KR20160148370A - 실리콘 퍼프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실리콘 퍼프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8370A
KR20160148370A KR1020150085345A KR20150085345A KR20160148370A KR 20160148370 A KR20160148370 A KR 20160148370A KR 1020150085345 A KR1020150085345 A KR 1020150085345A KR 20150085345 A KR20150085345 A KR 20150085345A KR 20160148370 A KR20160148370 A KR 20160148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
puff
fabric
present
silic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5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7728B1 (ko
Inventor
김남륜
한성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엔코리아
한성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엔코리아, 한성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엔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085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7728B1/ko
Publication of KR20160148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8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18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mprising a pad, i.e. a cushion-like mass of soft material, with or without gripp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3Cosmetic, toilet, powder pu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리퀴드 상태의 화장품을 피부표면에 도포할 시 상기 화장품이 퍼프에 함침되는 것을 방지하고, 재사용시 퍼프에 잔류하는 화장품과 혼합되지 않으며, 세척이 용이하도록 실리콘 재질인 실리콘을 이용한 실리콘 퍼프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실리콘재질에 특성에 따른 방수성으로 인하여 화장료가 흡수되지 않아 화장료의 과다 소모를 방지하고 물세척이 용이한 퍼프를 제공할 수 있는 실리콘 퍼프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실리콘 퍼프 제조 방법{SILICONE PUFF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화장용 퍼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리퀴드 상태의 화장품을 피부표면에 도포할 시 상기 화장품이 퍼프에 함침되는 것을 방지하고, 재사용시 퍼프에 잔류하는 화장품과 혼합되지 않으며, 세척이 용이하도록 실리콘 재질인 실리콘을 이용한 실리콘 퍼프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얼굴이나 외부로 노출되는 피부의 잡티나 기미 등을 자연스럽게 가리거나 깨끗하고 화사한 피부 또는 맑고 보송거리는 피부를 갖고자 할 때 파운데이션이나 스킨 커버 또는 트윈 케익, 화장용 파우더(이하 "화장료" 라 한다)를 이용하게 된다.
상기의 화장료들은 화장을 하고자 하는 부위에 뭉침 없이 골고루 펴서 밀착감 있게 발라야 함은 물론 감성적 사용감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터치하여 화장을 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것이 화장용 퍼프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형태의 퍼프는 전체적인 형상을 원형 또는 사각, 타원형 등으로 형성하고 직물을 중합시키되 피부표면의 접촉부에 융과 같이 미세한 기모가 형성된 천 또는 스펀지와 같은 다공질체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크림과 같은 리퀴드 형태의 화장료는 퍼프의 내부로 지나치게 과다한 량이 스며들게 되므로 불필요하게 화장료의 소모가 매우 크고, 하나의 퍼프로는 단색의 화장료 만을 전용으로 사용할 수 밖에 없어서 다수의 퍼프를 구비하여 사용하게 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상기 리퀴드 상태의 화장료를 과다하게 찍어 바르게 되면 흡수된 리퀴드 상태의 화장품 중 일부만이 피부에 도포되고 상당량이 스펀지에 그대로 남게 되거나 그 양이 과다할 때는 손잡이 끈이 부착된 면으로 용출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스펀지에 잔류된 화장품은 퍼프를 보관시 딱딱하게 굳어 있는 상태가 되므로 차후 사용시 부드러운 촉감이 떨어지게 되므로 한번 사용한 퍼프는 세척해서 사용해야 하나 세척시 세척수가 다시 스펀지에 남게 되어 건조되는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잔류하는 세척수 및 화장료에 의해 세균이 번식하게 되어 피부 트러블을 일으키며, 반복적인 세척 및 건조로 인해 퍼프의 부드러움이 상실되거나 본래의 물성을 잃게 되어 촉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6743호(2013.01.21. 자 등록)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41077호(2014.09.05. 자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실리콘 재질인 실리콘으로 제조된 원단시트를 이용하여 리퀴드형의 화장료를 사용함에 있어서, 화장료의 우수한 발림성과 함께 퍼프의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위생적이고 청결한 사용이 가능한 실리콘 퍼프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관점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리콘 퍼프 제조 방법은 리퀴드 화장용 실리콘 퍼프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금형을 통해 실리콘원단을 사출하는 단계; 상기 사출된 실리콘 원단에 완충제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완충제가 삽입된 실리콘원단을 실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원단의 실링된 부분을 가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원단에 손잡이끈을 실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원단 사출 단계는 상기 실리콘 원단 표면에 광촉매 물질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퍼프 제조 방법은 실리콘재질에 특성에 따른 방수성으로 인하여 화장료가 흡수되지 않아 화장료의 과다 소모를 방지하고 물세척이 용이한 퍼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퍼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퍼프를 제조단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발명에 따른 실리콘 퍼프 제조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퍼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퍼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실리콘 퍼프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퍼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퍼프(100)는, 한 쌍의 상면(111)과 하면(112)이 실리콘으로 사출되는 실리콘원단(110); 상기 실리콘원단(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완충재(120); 및 상기 완충재(120)가 구비된 상기 실리콘원단(110)을 실링하는 실링부재(130)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 실리콘 퍼프의 제조 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퍼프 제조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퍼프 제조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퀴드 화장용 실리콘 퍼프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금형을 통해 실리콘원단을 사출하는 단계(S110); 상기 사출된 실리콘원단(110)에 완충제(120)를 삽입하는 단계(S120); 및 상기 완충제(120)가 삽입된 실리콘원단(110)을 실링하는 단계(S130);를 포함한다.
상기 실리콘원단(110)을 사출하는 단계(S110)는 퍼프(100)의 외형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원하는 퍼프 형상의 금형에 실리콘을 사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원형의 퍼프(100)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실리콘원단(110)은 한 쌍의 상면(111)과 하면(112) 원단을 사출하여 가장자리를 접합하도록 구성된다. 실리콘원단(110)을 구성하는 실리콘은 피부표면에 닿는 유해물질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의료용 실리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원단 사출 단계(S110)는 광촉매 물질 도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촉매 물질 도포 단계는 실리콘원단(110) 표면에 잔존하는 피부 조직에 의해 발생하는 미생물을 살균하기 위하여 광촉매 물질을 부분적으로 도포하는 단계이다.
일반적으로 광촉매 물질은 산화티타늄(TiO2), 바람직하게는 가시광에서 활성되는 N-doped TiO2를 활용할 수 있다.
상기 광촉매 물질은 피부에 트러블을 발생시키지 않는 글리세린을 이용하여 실리콘원단(110) 표면에 부분적으로 도포된다. 글리세린은 생물학적 위해성이 없어 생분해가 가능하고 인체에 직접 적용할 수 있는 재료이다. 상기와 같이 글리세린을 이용하여 광촉매 물질을 도포하면, 실리콘원단(110) 표면에 도포된 광촉매 물질이 자외선 및 가시광선에 의해 반응하여 미생물의 발생을 억제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광촉매 물질을 부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글리세린은 상온에서 겔상태이기 때문에 글리세린에 광촉매 물질을 혼합하여 용해시킨 후, 점분사방식으로 실리콘원단(110)에 도포하거나 스프레이분사 방식으로 실리콘원단(110)에 도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광촉매 물질이 함유된 글리세린을 실리콘원단(110)에 도포한 후, 일정 시간동안 저온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광촉매 물질이 실리콘 원단에 고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저온상태에서 광촉매 물질이 실리콘원단(110)에 고착되면, 초음파 세척 등을 통해 글리세린만 제거함으로써 실리콘원단(110)에 광촉매 물질을 잔존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광촉매 물질을 실리콘원단(110)에 도포하면, 퍼프를 오랜 기간 동안 사용하여도 피부 조직으로 인해 발생하는 미생물의 증식을 방지함으로써 퍼프의 청결도를 유지할 수 있다.
실리콘원단(110) 사출 단계(S110)가 완료되면, 상기 실리콘원단(110)의 상면(111)과 하면(112) 사이에 퍼프(100)의 쿠션감을 주기 위한 완충제(120)를 삽입하는 단계(S120)가 수행된다.
상기 완충제(120)는 라텍스, 스펀지 등과 같은 자기형상기억물질로 구성되며 일정한 쿠션감을 주기 위한 소재는 어떤 것이든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완충제(120)는 상기 실리콘원단(110)의 내부공간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원단(110)에 완충제(120)가 삽입되면, 상면(111)과 하면(112)을 실링하기 위하여 실링부재(130)를 통한 실리콘원단(110)의 실링 단계(S130)가 수행된다.
상면(111)과 하면(112)의 실링은 정량토출기를 통하여 토출되는 실링부재(130)를 상면(111)과 하면(112)이 맞닿는 가장자리에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면(111)과 하면(112)의 실링 단계(S130)를 수행한 상태에서 상기 실링부재(130)가 경화되기 전에 실리콘원단(110)의 실링된 부분을 가압하는 단계(S140)를 통하여 더욱 견고하게 압착 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 퍼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 퍼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 퍼프(100)는 일정 개구부(113)를 포함하는 일체형의 실리콘원단(110)으로 사출될 수 있다.
개구부(113)는 일 실시예로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형성된 단턱부를 포함하며, 단턱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덮개부재(113A)를 통하여 개구부(113)를 밀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덮개부재(113A)를 사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 퍼프의 제조 방법은 일정 개구부(113)를 포함하는 일체형의 실리콘원단(110)을 사출하는 단계(S110); 개구부(113)를 통해 완충제(120)를 삽입하는 단계(S120); 완충제(120)가 삽입된 실리콘원단(110)의 개구부(113)를 실링하는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113)의 실링 단계(S130)는 실리콘원료를 가열하여 용융상태가 된 실링부재(130)를 정량토출기를 통하여 개구부(113)와 덮개부재(113A)가 맞닿는 면에 도포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구부(113)에 삽입된 덮개부재(113A)의 가장자리를 실링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리콘원단(110)의 실링된 부분을 가압하는 단계(S140)는 상기 실리콘원단(110)을 실링하는 단계(S130)에서 개구부(113)가 봉해짐에 있어서 더욱 견고한 압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개구부(113)의 압착은 가압성형(Press)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개구부(113)의 실링작업(S130)을 수행한 상태에서 상기 실링부재(130)가 경화되기 전에 덮개부재(113A)를 가압(press)하는 단계(S140)를 통하여 개구부(113)와 덮개부재(113A)가 더욱 견고하게 압착 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자면 실리콘 퍼프의 양단에 돌출편(114)을 포함하여 사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원단(110)에 손잡이끈(140)을 실링하는 단계(S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끈(140)은 실리콘원단(110)의 상면(111)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구체적으로 손잡이끈(1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원단(110)를 사출하는 단계(S110)에서 측면에 돌출편(114)이 포함된 형태의 실리콘원단(110)을 사출하여 돌출편(114)에 손잡이끈(140)을 재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손잡이끈(140)을 실링하는 단계(S150)는 실리콘원단(110)에 손잡이끈(140)이 구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따른 실리콘원단(110)의 상면(111)과 하면(112)을 실링하는 단계(S130)에서 상면(111)과 하면(112)이 접하는 부위와 손잡이끈(140)이 함께 실링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퍼프 제조 방법은 실리콘재질의 특성에 따른 방수성으로 인하여 화장료가 흡수되지 않아 화장료의 과다 소모를 방지하고 물세척이 용이한 퍼프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110: 실리콘원단 사출단계
S120: 완충제 삽입단계
S130: 실리콘원단 실링단계
S140: 가압단계
S150: 손잡이끈 실링단계

Claims (4)

  1. 리퀴드 화장용 실리콘 퍼프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금형을 통해 실리콘원단을 사출하는 단계;
    상기 사출된 실리콘원단에 완충제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완충제가 삽입된 실리콘원단을 실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리콘 퍼프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원단의 실링된 부분을 가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리콘 퍼프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원단에 손잡이끈을 실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리콘 퍼프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원단 사출 단계는
    상기 실리콘 원단 표면에 광촉매 물질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리콘 퍼프 제조 방법.
KR1020150085345A 2015-06-16 2015-06-16 실리콘 퍼프 제조 방법 KR101757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345A KR101757728B1 (ko) 2015-06-16 2015-06-16 실리콘 퍼프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345A KR101757728B1 (ko) 2015-06-16 2015-06-16 실리콘 퍼프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370A true KR20160148370A (ko) 2016-12-26
KR101757728B1 KR101757728B1 (ko) 2017-07-14

Family

ID=57733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5345A KR101757728B1 (ko) 2015-06-16 2015-06-16 실리콘 퍼프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77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591B1 (ko) 2017-06-19 2018-09-04 주식회사 뉴벨 화장용 퍼프
JP2019043068A (ja) * 2017-09-04 2019-03-22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ゲル状弾性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6615B1 (ko) 2017-11-16 2019-12-17 손광오 탄성 마이크로셀 표면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58945A (ko) 2017-11-22 2019-05-30 김상복 실리콘 퍼프 및 그 제조방법
KR102176744B1 (ko) 2019-05-27 2020-11-09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일회용 교체퍼프를 갖는 실리콘 퍼프
KR102176747B1 (ko) 2019-06-24 2020-11-09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기능성 화장료의 자가 배출형 퍼프
KR102360193B1 (ko) * 2020-07-31 2022-02-07 김시아 2중 경도를 갖는 실리콘 퍼프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743B1 (ko) 2011-07-25 2013-02-07 (주)삼본퍼프 화장용 퍼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41077B1 (ko) 2012-05-31 2014-09-17 모카몰드 주식회사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3495B1 (ko) * 2012-06-08 2013-10-31 주식회사 대현공예 퍼프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퍼프
WO2015060473A1 (ko) 2013-10-21 2015-04-30 주식회사 대현공예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방법
KR101441850B1 (ko) 2014-05-19 2014-09-18 이지파우더 주식회사 화장용 퍼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6743B1 (ko) 2011-07-25 2013-02-07 (주)삼본퍼프 화장용 퍼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41077B1 (ko) 2012-05-31 2014-09-17 모카몰드 주식회사 화장용 퍼프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4591B1 (ko) 2017-06-19 2018-09-04 주식회사 뉴벨 화장용 퍼프
JP2019043068A (ja) * 2017-09-04 2019-03-22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ゲル状弾性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7728B1 (ko) 2017-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7728B1 (ko) 실리콘 퍼프 제조 방법
KR101751445B1 (ko) 실리콘 퍼프
CN107404988B (zh) 可涂敷液体的头皮护理容器用盖
KR100659575B1 (ko) 파우더 흡착 마스크팩 및 그 제조방법
JP2005349194A (ja) アプリケータ及びアプリケータを含むキット
KR101615149B1 (ko) 진동 두피 모발 마사지장치
KR200478768Y1 (ko) 액상 조성물 함침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KR200478728Y1 (ko) 상하 표면에 담지홈이 형성된 담지스펀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0467884Y1 (ko) 물 없이 사용되는 샴푸 도포용 빗
WO2017075816A1 (zh) 化妆品容器
KR101937812B1 (ko) 화장용 퍼프
KR102112055B1 (ko) 두피와 헤어의 피지 세정용 장갑
KR101831631B1 (ko) 피부 처짐 및 주름 개선시트
KR20190058945A (ko) 실리콘 퍼프 및 그 제조방법
KR102081140B1 (ko) 화장용 퍼프
CN210672454U (zh) 一种接触面积大的海绵粉扑
KR20180010920A (ko) 캡슐형 클렌징오일 화장솜
CN213096329U (zh) 一种附着有玻尿酸胶囊的手套
CN210672455U (zh) 一种擦拭无死角的海绵粉扑
CN209204122U (zh) 一种上下分离式片状面膜
CN214157940U (zh) 一种眼霜用按摩机构
WO2017108717A1 (en) Packaging device for a cosmetic product
JP3042138U (ja) 封止栓
JP2007260136A (ja) 皮膚洗浄用パフ
KR101873376B1 (ko) 탈부착 가능한 화장용 퍼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