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8199A - 크롬을 사용하지 않은 인쇄롤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크롬을 사용하지 않은 인쇄롤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8199A
KR20160148199A KR1020150084874A KR20150084874A KR20160148199A KR 20160148199 A KR20160148199 A KR 20160148199A KR 1020150084874 A KR1020150084874 A KR 1020150084874A KR 20150084874 A KR20150084874 A KR 20150084874A KR 20160148199 A KR20160148199 A KR 20160148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ungsten
nickel
forming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4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6887B1 (ko
Inventor
유봉영
박수빈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84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887B1/ko
Publication of KR20160148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8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C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SURFACES
    • B41C1/00Forme preparation
    • B41C1/02Engraving; Hea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9/00Machining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particular metal objects or for obtaining special effects or results on metal objects
    • B23H9/04Treating surfaces of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C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R REPRODUCTION OF PRINTING SURFACES
    • B41C1/00Forme preparation
    • B41C1/02Engraving; Heads therefor
    • B41C1/04Engraving; Heads therefor using heads controlled by an electric information signal
    • B41C1/05Heat-generating engraving heads, e.g. laser beam, electron b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 Printing Plates And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롬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충분한 내쇄력을 나타내는 인쇄롤에 대한 것으로서, 원통형의 몸체; 상기 몸체의 표면에 위치하며, 인쇄를 위한 패턴이 형성된 판형부; 및 내쇄력 강화를 위해 상기 판형부 표면에 코팅된 경질코팅을 포함하며, 상기 경질코팅이 니켈 재질의 하지층과 니켈-텅스텐 재질의 표면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니켈 하지층을 구비함으로써, 니켈-텅스텐 재질의 코팅의 표면 경도는 유지하면서 하지층의 완충역할에 의해서 경질코팅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니켈-텅스텐 박막에 포함된 니켈과 텅스텐의 비율을 조절한 표면층을 구비함으로써, 연성과 강성이 조합되어 뛰어난 물성을 가지는 경질코팅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충분한 내쇄력과 내구성을 가지는 경질 코팅을 포함하면서도, 크롬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문제가 없는 인쇄롤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크롬을 사용하지 않은 인쇄롤 및 그 제조방법{Cr-FREE PRINTING ROL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인쇄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크롬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내쇄력이 뛰어난 인쇄롤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전통적인 전자소자의 제조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고, 낮은 비용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인쇄방식을 이용한 롤투롤 공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전자소자 인쇄를 위해서 전도성 잉크나 인쇄 장비 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인쇄 장비의 수명을 늘리기 위한 인쇄롤의 표면 코팅에 대한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고 종래의 기술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현재 플렉소 인쇄, 그라비아 인쇄 및 오프셋 인쇄 등에 사용되는 인쇄롤은, 알루미늄이나 철 등의 금속제 중공 롤의 표면에 판면 형성용의 구리도금층을 만들고, 이 구리 도금층에 에칭에 의해 제판정보에 따른 다수의 요철을 형성하고, 그 다음에 인쇄롤의 내쇄력(耐刷力)을 늘리기 위해 크롬도금에 의해 경질의 크롬도금층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크롬은 규제대상 중금속에 해당하기 때문에 향후에 그 사용이 제한될 것으로 보이나, 이를 대체하기 위한 연구결과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나아가 크롬은 경도가 너무 높아서 치핑(chipping)현상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크랙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크롬을 사용하지 않고 인쇄롤의 내쇄력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충분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여 크롬을 사용하지 않는 인쇄롤에 대한 요구가 계속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니켈-텅스텐 박막은 니켈의 연성과 텅스텐의 강도를 함께 갖는 점에서 유용한 합금 박막으로 여겨지며, 이를 사용하여 크롬 경질 코팅을 대체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지만, 조성에 따라서 연성과 강성의 변화가 심하고 인쇄를 위한 미세 패턴이 형성된 판형재료와의 물성의 차이로 인하여 실용화된 결과물은 전무하다.
일본 특개2004-268538 일본 특개2004-202888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롬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충분한 내쇄력을 나타내는 인쇄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대량 생산을 위한 전자소자 인쇄공정 등에 사용되는 그라비아롤 등의 인쇄롤은, 원통형의 몸체; 상기 몸체의 표면에 위치하며, 인쇄를 위한 패턴이 형성된 판형부; 및 내쇄력 강화를 위해 상기 판형부 표면에 코팅된 경질코팅을 포함하며, 상기 경질코팅이 니켈 재질의 하지층과 니켈-텅스텐 재질의 표면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니켈-텅스텐 박막 내부에 텅스텐 함량을 조절하여 강성과 연성이 서로 다른 다층 구조의 니켈-텅스텐 박막 및 그 형성방법을 개발하여 인쇄롤에의 적용 가능성을 높였지만, 실용화까지는 어려웠으며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서 니켈 재질의 하지층을 포함하는 경질 코팅층을 적용한 인쇄롤을 발명하게 되었다.
이때, 하지층과 표면층의 두께는 각각 1~5㎛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층의 두께가 이 범위보다 얇거나 두꺼운 경우에는, 원하는 완충효과를 얻지 못하거나 과도한 연성을 부여함으로써 경질코팅의 내구성이 저하된다. 표면층의 두께가 이 범위보다 얇거나 두꺼운 경우에는, 필요한 정도의 내쇄력을 얻지 못하거나 과도한 강성으로 코팅의 내구성이 저하된다.
그리고 판형부의 재질의 구리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리는 미세 패턴 형성이 용이하여 판형부의 재료로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종래에 니켈-텅스텐 박막과는 원자간 간격의 차이가 연성의 차이로 인하여 함께 사용이 어려웠다. 본 발명은 경질 코팅의 아래층으로서 니켈 재질의 하지층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판형부 재질로서 구리를 적용하여도 내쇄력이나 경질 코팅의 내구성의 문제가 없다.
그리고 표면층을 텅스텐의 함량 비율이 서로 다른 2 종류의 니켈-텅스텐층이 1회 이상 교대로 배열된 층상구조로 구성하여,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층상구조에서 하지층과 접하는 최하층에는 텅스텐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더 적은 니켈-텅스텐층이 위치하도록 하고, 층상구조에서 표면에 위치하는 최상층에는 텅스텐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더 많은 니켈-텅스텐층이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텅스텐의 함량이 낮아서 연성이 강한 니켈-텅스텐층이 니켈 하지층과 접촉하고, 텅스텐 함량이 높아서 강성이 뛰어난 니켈-텅스텐층이 표면에 노출됨으로써, 경질 코팅의 내구성과 내쇄력이 모두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른 형태로서 표면층에 포함된 니켈과 텅스텐의 상대적 비율이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변화하도록 구성하되, 하지층과 접하는 최하단에서 최상단 표면까지, 니켈의 상대적 비율은 감소하고 텅스텐의 상대적 비율은 증가하도록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변화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단은 연성이 강하고 상단은 강성이 뛰어난 단일층 또는 다층의 니켈-텅스텐 표면층을 구비함으로써, 경질 코팅의 내구성과 내쇄력이 모두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대량 생산을 위한 전자소자 인쇄공정 등에 사용되는 그라비아롤 등의 인쇄롤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쇄롤의 제조방법은, 원통형의 몸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몸체 표면에 인쇄를 위한 패턴이 형성된 판형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판형부의 표면에 니켈 재질의 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지층의 표면에 니켈-텅스텐 재질의 표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에 판형부의 표면에 크롬재질의 경질 코팅을 수행했던 것과 달리, 본 발명은 판형부의 표면에 경질 코팅으로서 니켈 재질의 하지층과 니켈-텅스텐 재질의 표면층의 2개 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함으로써 크롬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내쇄성과 내구성이 향상된 인쇄롤을 제조할 수 있다.
판형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몸체의 표면에 구리층을 형성한 뒤에 구리층의 표면에 인쇄를 위한 패턴을 형성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리층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은 다양한 종류의 부식법이나 레이저 가공법과 같은 패턴 형성 방법을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다. 구리는 현재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판형부의 재질로서 전해도금 등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구리 표면에 인쇄를 위한 미세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표면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모두 전해도금 공정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5㎛ 두께의 하지층 또는 표면층을 빠르고 경제적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전해도금 공정이 적합하다.
그리고 전해도금 공정으로 표면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2종류의 전류밀도를 교번하여 인가함으로써 텅스텐의 함량 비율이 서로 다른 2 종류의 니켈-텅스텐층이 1회 이상 교대로 배열된 층상구조를 구성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층상구조에서 하지층과 접하는 최하층을 형성하는 초기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전류밀도를 인가하여 텅스텐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더 적은 니켈-텅스텐층을 형성하고, 층상구조에서 표면에 위치하는 최상층을 형성하는 마지막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전류밀도를 인가하여 텅스텐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더 많은 니켈-텅스텐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층을 형성하는 다른 전해도금 방법으로, 전류밀도를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낮춤으로써, 하지층과 접하는 최하단에서 최상단 표면까지, 니켈의 상대적 비율은 감소하고 텅스텐의 상대적 비율은 증가하도록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해도금 공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작업전극으로서 인쇄롤을 세워서 도금조에 위치시키고, 대향전극을 작업전극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세워서 위치하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하는 경우에 도금층이 고르게 형성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니켈 하지층을 구비함으로써, 니켈-텅스텐 재질의 코팅의 표면 경도는 유지하면서 하지층의 완충역할에 의해서 경질코팅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니켈-텅스텐 박막에 포함된 니켈과 텅스텐의 비율을 조절한 표면층을 구비함으로써, 연성과 강성이 조합되어 뛰어난 물성을 가지는 경질코팅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충분한 내쇄력과 내구성을 가지는 경질 코팅을 포함하면서도, 크롬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환경문제가 없는 인쇄롤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롤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 표면층을 형성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적으로 조성이 변화하는 표면층을 형성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서 인쇄롤의 표면에 경질 코팅을 전해도금하기 위한 장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인쇄롤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먼저, 도 1에 표시된 몸체(100)는 인쇄롤의 형태에 따라서 원통형상인 스틸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스틸 재질의 몸체(100)는 표면에 인쇄를 위한 패턴 형성이 어려우므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구리 재질의 판형부(200)가 몸체(100)의 표면에 형성된다. 도 1에서는 원통형의 인쇄롤에 대한 기술임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몸체의 사시도로서 표현하였지만, 나머지 도 2 이하는 단면도의 표면 일부를 확대한 그림으로 표시하였다.
최초에 형성된 판형부(200)는 인쇄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이며, 이후에 다양한 부식기법이나 레이저 가공기슬 등을 적용하여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미세 패턴을 형성한다. 이때, 구리 재질의 판형부(200)는 전해도금 공정으로 형성하는 경우에 빠르고 경제적으로 구리 재질의 후막을 형성할 수 있다. 판형부(200)의 두께는 인쇄를 위한 미세패턴을 형성하기에 용이한 두께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적용하며, 너무 얇은 경우에는 인쇄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범위가 좁아지는 단점이 있고, 너무 두꺼운 경우에는 재료비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판형부(200)의 재질은 꼭 구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재질이 구리이다. 구리에 비하여 니켈-텅스텐 합금 박막의 원자간 간격이 크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표면 크랙이 발생하며, 이러한 이유로 니켈-텅스텐 합금 박막을 인쇄롤의 경질 코팅으로 사용하기에 어려웠다.
이에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미세 패턴이 형성된 판형부(200)의 표면에 니켈 재질의 하지층(300)을 먼저 형성하고,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니켈-텅스텐 재질의 표면층(400)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경질 코팅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니켈-텅스텐 재질인 표면층(400)과 구리 재질인 판형부(200)의 사이의 원자 간격 차이 및 연성의 차이를 니켈 재질의 하지층(300)이 완충하면서도, 표면층(400)은 뛰어난 경도를 나타내어 인쇄롤의 내쇄성이 크게 향상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지층(300)과 표면층(400)을 형성하는 방법은 모두 전해 도금 공정을 적용하였으며, 두께는 각각 1~5㎛ 범위로 형성하였다. 이 범위보다 얇은 경우에는 각각 완충 효과 및 내쇄성 향상 효과가 약해지고, 이 범위보다 두꺼운 경우에는 연성 특성 또는 강성 특성이 너무 심해져서 크랙 또는 치핑의 원인이 된다.
전해 도금 공정은 빠르고 경제적으로 니켈 박막 및 니켈-텅스텐 박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이후 자세하게 설명하겠지만 전해 도금 공정의 공정조건을 조절하여 니켈-텅스텐 재질의 표면층(400)에 다양한 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크롬 경질 코팅을 대체할 물질로서 니켈-텅스텐 코팅을 선택하되, 니켈-텅스텐 단일 코팅이 판형부인 구리와의 물리적 특성 차이가 큰 것을 완충하기 위하여 하부에 니켈만으로 구성된 하지층을 먼저 형성하고 그 위에 니켈-텅스텐 표면층을 형성하였다. 이로써 경질 특성을 가지는 니켈-텅스텐 표면층에 의한 표면의 내쇄력 향상과 함께, 니켈 하지층이 판형부를 구성하는 구리와 표면층을 구성하는 니켈-텅스텐 사이의 원자 간격 차이 및 연성의 차이를 완충함으로써 경질 코팅 자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통해서 크롬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내쇄성과 내구성이 크게 향상된 인쇄롤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전해 도금 공정으로 니켈-텅스텐 표면층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공정 조건을 조절하여 표면층의 특성을 조절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출원한 바 있으며, 이를 본 발명에 적용함으로써 경질 코팅의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해 도금 공정에서 인가된 전류밀도의 차이에 의해서 니켈-텅스텐 박막의 특성에 차이가 생긴다. 전류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을수록 텅스텐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아져서 니켈에 의한 연성이 강화된 표면층을 얻을 수 있고, 전류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을수록 텅스텐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져서 텅스텐에 의한 강성이 강화된 표면층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단일의 전해 도금 공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전해액 조성 등에 변화를 주지 않은 상태로 전류밀도만을 조절하여 니켈-텅스텐 표면층에 포함된 니켈과 텅스텐의 조성을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경질 코팅의 특성을 향상시켰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층구조 또는 연속적으로 조성이 변화하는 표면층을 형성한 모습을 나타낸다.
먼저, 도 6과 같은 다층구조의 표면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2종류의 서로 다른 전류밀도를 사용하여, 전해도금 공정 중간에 전류밀도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때, 니켈 하지층에 접하는 최하층(410)을 형성하는 공정 초기에는 니켈과의 물리적 특성 차이가 적도록 상대적으로 높은 전류밀도를 인가하여 텅스텐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니켈-텅스텐층을 형성한다. 반대로, 표면에 노출되는 최상층(420)을 형성하는 공정의 마지막에는 강성이 강해지도록 상대적으로 낮은 전류밀도를 인가하여 텅스텐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니켈-텅스텐층을 형성한다.
도면에서는 표면층(400)이 최하층(410)과 최상층(420)의 2개 층으로 구성된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텅스텐 함량이 적은 최하층(410)과 텅스텐 함량이 많은 최상층(420)의 사이에 많게는 수 십층~200층 정도의 층이 포함될 수 있으며, 전류밀도를 반복적으로 변경하는 것만으로 이러한 다층구조의 형성이 가능하다.
도 7은 표면층(430)이 단층구조이지만, 그 내부에는 연속적인 조성의 변화가 있는 경우이다. 표면층(430)을 형성하는 전해 도금 공정 동안에 전류밀도를 연속적으로 낮춰 가면, 초기에 포함된 니켈의 함량이 점차 감소하고 텅스텐의 함량이 점차 증가하는 표면층(430)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해 도금 공정 동안에 전류밀도를 불연속적으로 낮춰 가면, 즉 계단과 같이 변화를 주면, 텅스텐의 비율이 계단적으로 증가하는 다층구조의 표면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해도금 공정에서 전류밀도를 조절하는 것 이외의 공정조건은 니켈-텅스텐 박막을 전해도금하기 위한 모든 기술을 자유롭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서 인쇄롤의 표면에 경질 코팅을 전해도금하기 위한 장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니켈 재질의 하지층이나 니켈-텅스텐 재질의 표면층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전해도금 공정을 적용하는 것이 좋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전해도금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장비를 도 8과 같이 구성하였다.
도금액(50)이 채워지는 도금조(40)에 하지층과 표면층이 형성될 작업전극(10)인 원통형의 인쇄롤을 세워서 배치하고, 인쇄롤의 측면을 따라서 이격되도록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된 대향전극(20)을 배치하고, 작업전극(10)과 대향전극(20) 사이에 전원(30)을 설치한다.
이러한 도금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원통형인 인쇄롤의 측면에 균일한 두께로 니켈 박막 또는 니켈-텅스텐 박막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원통형의 몸체;
    상기 몸체의 표면에 위치하며, 인쇄를 위한 패턴이 형성된 판형부; 및
    내쇄력 강화를 위해 상기 판형부 표면에 코팅된 경질코팅을 포함하며,
    상기 경질코팅이 니켈 재질의 하지층과 니켈-텅스텐 재질의 표면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지층의 두께가 1~5㎛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의 두께가 1~5㎛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형부가 구리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이 텅스텐의 함량 비율이 서로 다른 2 종류의 니켈-텅스텐층이 1회 이상 교대로 배열된 층상구조이며,
    상기 층상구조에서 상기 하지층과 접하는 최하층에는 텅스텐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더 적은 니켈-텅스텐층이 위치하고, 상기 층상구조에서 표면에 위치하는 최상층에는 텅스텐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더 많은 니켈-텅스텐층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에 포함된 니켈과 텅스텐의 상대적 비율이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변화하며,
    상기 하지층과 접하는 최하단에서 최상단 표면까지, 니켈의 상대적 비율은 감소하고 텅스텐의 상대적 비율은 증가하도록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롤.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쇄롤이 그라비아 인쇄를 위한 그라비아 인쇄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롤.
  8. 원통형의 몸체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몸체 표면에 인쇄를 위한 패턴이 형성된 판형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판형부의 표면에 니켈 재질의 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하지층의 표면에 니켈-텅스텐 재질의 표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롤의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판형부를 형성하는 단계가, 상기 몸체의 표면에 구리층을 형성한 뒤에 상기 구리층의 표면에 인쇄 패턴을 형성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롤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구리층에 인쇄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이 부식법 또는 레이저 가공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롤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가 전해도금 공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롤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을 형성하는 단계가 전해도금 공정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롤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해도금 공정으로 표면층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2종류의 전류밀도를 교번하여 인가함으로써 텅스텐의 함량 비율이 서로 다른 2 종류의 니켈-텅스텐층이 1회 이상 교대로 배열된 층상구조를 구성하며,
    상기 층상구조에서 상기 하지층과 접하는 최하층을 형성하는 초기에는 상대적으로 높은 전류밀도를 인가하여 텅스텐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더 적은 니켈-텅스텐층을 형성하고, 상기 층상구조에서 표면에 위치하는 최상층을 형성하는 마지막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전류밀도를 인가하여 텅스텐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더 많은 니켈-텅스텐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롤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해도금 공정으로 표면층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전류밀도를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낮춤으로써,
    상기 하지층과 접하는 최하단에서 최상단 표면까지, 니켈의 상대적 비율은 감소하고 텅스텐의 상대적 비율은 증가하도록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롤의 제조방법.
  15. 청구항 11 내지 청구항 14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도금 공정이, 작업전극으로서 상기 인쇄롤을 세워서 도금조에 위치시키고, 대향전극을 상기 작업전극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세워서 위치하는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롤의 제조방법.
KR1020150084874A 2015-06-16 2015-06-16 크롬을 사용하지 않은 인쇄롤 및 그 제조방법 KR101756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874A KR101756887B1 (ko) 2015-06-16 2015-06-16 크롬을 사용하지 않은 인쇄롤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874A KR101756887B1 (ko) 2015-06-16 2015-06-16 크롬을 사용하지 않은 인쇄롤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199A true KR20160148199A (ko) 2016-12-26
KR101756887B1 KR101756887B1 (ko) 2017-07-11

Family

ID=57733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4874A KR101756887B1 (ko) 2015-06-16 2015-06-16 크롬을 사용하지 않은 인쇄롤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68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5501A1 (ko) * 2017-08-18 2019-02-21 (주)프로템 인쇄전자용 그라비어 옵셋롤 및 미세패턴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2888A (ja) 2002-12-25 2004-07-22 Think Laboratory Co Ltd グラビア製版方法
JP2004268538A (ja) 2003-03-12 2004-09-30 Think Laboratory Co Ltd グラビア印刷ロールの製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0718A (ja) * 2002-10-11 2004-04-30 Nikka Kk 版胴および輪転印刷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2888A (ja) 2002-12-25 2004-07-22 Think Laboratory Co Ltd グラビア製版方法
JP2004268538A (ja) 2003-03-12 2004-09-30 Think Laboratory Co Ltd グラビア印刷ロールの製作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5501A1 (ko) * 2017-08-18 2019-02-21 (주)프로템 인쇄전자용 그라비어 옵셋롤 및 미세패턴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6887B1 (ko) 2017-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45016A1 (en) Methods for producing alloy deposits and controlling the nanostructure thereof using negative current pulsing electro-deposition, and articles incorporating such deposits
JP6196285B2 (ja) ナノ積層黄銅合金の電気化学析出の材料および過程
US10030312B2 (en) Electrodeposited alloy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ing power pulses
KR102393825B1 (ko) 전지 용기용 표면 처리 강판 및 전지 용기용 표면 처리 강판의 제조 방법
Yue et al. Laser cladding of Ni/Cu/Al functionally graded coating on magnesium substrate
EA032264B1 (ru) Способ нанесения покрытия на изделие, изделие, полученное вышеуказанным способом, и труба
CA2730252A1 (en) Low stress property modulated materials and methods of their preparation
Mohamadian Samim et al. Structure and corrosion behavior of ZrN/CrN nano-multilayer coating deposited on AISI 304 stainless steel by CAE-PVD technique
JP5403816B2 (ja) Dlc膜被覆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756887B1 (ko) 크롬을 사용하지 않은 인쇄롤 및 그 제조방법
DE102012213766A1 (de) Oberflächenbeschichtungsfolie für eine Formgebungsmaschin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rselben
JP2006119564A5 (ko)
TWI537435B (zh) 凹版輥及其製造方法
JP5938824B2 (ja) 金属化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金属箔の製造方法
US10590558B2 (en) Nanostructured aluminum alloys for improved hardness
US20160002812A1 (en) Aluminum films having hardening particles
TWI470123B (zh) 鋼鐵表面之黑色鈍化處理方法
TWI396779B (zh) Copper foi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Oduoza et al. Chromium electroplating of aluminium alloys using electroless nickel as underlayer
Chen et al. Fabrication of homogeneous multiscale microtexture surfaces on copper foil by laser shock imprinting with two-step overlapping laser shock path
US20020071962A1 (en) Nanolaminate mechanical structures
Shen et al. Surface self-nanocrystallization in copper Electroforming
Hagiwara et al. Sliding-wear properties of electro-deposited films with Cu and pulse-plated Ni multi-layers
Cheng et al. Fabrication of Ni-Mn microprobe structure with low internal stress and high hardness by employing DC electrodeposition
WO2002057515A3 (en) A continuous electroforming process to form a strip for battery electrodes and a mandrel to be used in said electroforming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