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7687A - 휴대용 음향기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음향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7687A
KR20160147687A KR1020160166350A KR20160166350A KR20160147687A KR 20160147687 A KR20160147687 A KR 20160147687A KR 1020160166350 A KR1020160166350 A KR 1020160166350A KR 20160166350 A KR20160166350 A KR 20160166350A KR 20160147687 A KR20160147687 A KR 20160147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elastic band
wheel
user
earbu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6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3600B1 (ko
Inventor
김성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6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3600B1/ko
Publication of KR20160147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7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3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3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탄성밴드; 상기 탄성밴드의 양 단부에 결합하는 한 쌍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이어버드 홀더; 상기 이어버드 홀더에 탈착되며 소리를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포함하는 이어버드; 상기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이어버드와 연결되어 상기 음향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이어버드와 상기 제어부를 연결하는 음향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밴드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상기 한 쌍의 하우징 사이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선; 상기 신호선과 상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의 외측을 감싸는 폴리머 튜브; 상기 폴리머 튜브의 양단에 고정되는 결합 브라켓; 및 상기 폴리머 튜브 및 상기 결합 브라켓의 일부를 감싸며 인서트사출로 일체형으로 형성된 밴드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는

Description

휴대용 음향기기{WIRELESS SOUND EQUIPMENT}
본 발명은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통해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휴대용 음향기기에 관한 것이다.
음향기기는 단말기로부터 음향신호를 수신하고 마이크를 통해 수집한 음향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음향장치를 의미한다. 종래에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단말기의 이어잭에 단자를 꼽아 음향 신호를 받는 유선 방식을 이용하였으나, 이동성 및 사용의 편의성 측면에서 최근 무선통신방식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의 몸에 휴대할 수 있도록 머리에 밴드형상으로 끼우는 헤드폰 타입, 귀에다 거는 타입 및 귀에 끼우는 타입 등 휴대성을 고려한 디자인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이어버드를 귀에 장착하지 않은 경우에도 사용자가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목에 거치할 수 있는 밴드를 구비한 휴대용 음향기기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운동 중에도 착용 가능하고 휴대가 더욱 편리하며, 기능을 확장할 수 있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탄성밴드; 상기 탄성밴드의 양 단부에 결합하는 한 쌍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이어버드 홀더; 상기 이어버드 홀더에 탈착되며 소리를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포함하는 이어버드; 상기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이어버드와 연결되어 상기 음향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이어버드와 상기 제어부를 연결하는 음향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밴드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상기 한 쌍의 하우징 사이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선; 상기 신호선과 상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의 외측을 감싸는 폴리머 튜브; 상기 폴리머 튜브의 양단에 고정되는 결합 브라켓; 및 상기 폴리머 튜브 및 상기 결합 브라켓의 일부를 감싸며 인서트사출로 일체형으로 형성된 밴드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를 제공한다.
상기 신호선은 상기 폴리머 튜브 내에서 나선형으로 꼬여져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신호선과 상기 형상기억 합금의 양 단부는 상기 결합 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밴드커버는 폴리우레탄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밴드와 상기 하우징은 C자 곡선을 형성하며, 사용자가 휴대용 음향기기를 목 둘레에 착용시, 사용자의 목 둘레에 접하는 착용면을 갖고,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탄성밴드에 위치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는 상기 휴대용 음향기기를 사용자가 목 둘레에 착용시 ON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상기 C자 곡선 내측으로 돌출된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은 사용자가 착용하면 인입되어 ON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상기 C자 곡선 내측에 위치하는 심전도 센서, 온도센서, 광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밴드와 상기 하우징은 사용자의 목둘레에 상응하는 C자 곡선을 형성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탄성밴드에 위치하여 상기 탄성밴드의 곡률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밴드의 곡률이 제1 크기로 변형되었다가, 상기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 상태에서 곡률이 유지되면 ON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외부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ON신호를 감지하면, 전원을 켜고 상기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 실장되며 상기 음향케이블이 감기는 자동 감김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동 감김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외측에 상기 음향케이블이 감기는 휠; 일단은 상기 고정축에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휠의 내측에 결합하며 나선형으로 감긴 판스프링; 및 상기 휠의 단부가 접속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기판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음향케이블을 당기는 힘을 인가하면 상기 음향케이블이 상기 휠에서 풀리면서 상기 휠은 제1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힘을 제거하면 상기 휠은 상기 판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제2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음향케이블을 상기 휠의 외측에 감길 수 있다.
상기 자동 감김장치는, 상기 휠의 일면에 호형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이동레일;
상기 레일의 사이에 위치하는 멈춤홈; 상기 레일과 대면하는 위치에 형성된 직선의 슬롯; 및 상기 슬롯과 상기 이동레일 사이에 끼워져 상기 휠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슬롯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멈춤홈에 위치하면 상기 휠의 회전을 제한하는 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밴드의 휨 정도를 단계적으로 구현하여 착용시 편리하면서도 목에 걸었을 때 쉽게 움직이거나 목에서 이탈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쉽게 이어버드 홀더에 이어버드를 수납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여 이어버드의 휴대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일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착용시 탄성밴드를 변형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탄성밴드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하우징 부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자동 감김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스토퍼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윙팁장착홈과 윙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에 따른 윙팁을 윙팁장착홈에 삽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에 따른 윙팁을 윙팁장착홈에서 분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200)는 제어부(250), 무선통신부(285), 음향출력부(240), 센싱부(275), 마이크(260), 사용자 입력부 및 전원공급부(257)를 포함한다.
음향출력부(240)는 음향신호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장치로서, 이어버드(241)는 사용자의 귀에 끼워서 소리를 전달하는 장치이고, 스피커(243)는 사용자의 귀에 삽입하지 않고 귀와 이격된 상태에서 소리를 전달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이어버드(241)에서 출력되는 소리의 크기는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소리에 비해 작다.
*마이크(260)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무선통신부(285)를 통해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서버로 전달된다. 마이크(260)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센싱부(275)는 휴대용 음향기기(200) 자체의 상태 및 주변의 상황을 인지하는 장치로서, 주변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도선세, 터치입력을 감지하는 터치센서, 휴대용 음향기기의 기울기 및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 이어버드(241)(ear bud)가 이어버드 홀더(225)에 위치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이어버드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70)는 사용자가 휴대용 음향기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부로서, 통화 버튼(272), 음량조절 등을 위한 버튼(273), 전원 버튼(271) 등을 일 예로 들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200)의 일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200)의 착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200)의 외관을 구성하는 탄성밴드(210)와 하우징(2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자형의 곡선을 형성한다.
탄성밴드(210)는 곡선으로 휘어진 바(bar) 형상의 부재로서 탄성을 가지고 있어, 힘을 가하면 소정 범위내에서 변형되고 힘이 제거되면 원래 모양으로 복귀된다. 하우징(220)은 탄성밴드(210)의 양단에 결합하여 상기 휴대용 음향기기(200)의 C자형 곡선의 양 단부에 위치한다. 내부와 외부에 인쇄회로기판(281), 스피커(243), 무선통신부(285), 배터리(291) 감김부재(250)와 같은 각종 부품이 삽입된다.
C자 형상의 휴대용 음향기기(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목에 착용하여 휴대할 수 있다. 종래의 무선음향 기기는 목이 고정되지 않고 걸쳐있는 형상으로 걷거나 뛸 때 흔들리거나 목에서 이탈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목에 딱 붙어서 착용되므로, 운동 중에 착용 시 쇄골을 치거나 목이서 이탈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목에 착용 시 안정적으로 착용되도록, 사용자의 목에 닿는 휴대용 음향기기(200)의 내측면이 편평한 면을 갖도록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의 목과 닿는 면적이 넓을수록 마찰력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휴대용 음향기기(200)의 C자 형상의 양 단부 간격은 탄성밴드(210)의 변형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탄성밴드(210)에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음향기기(200)의 양 단부 간격(b)은 사용자의 목의 지름보다 작으며, 휴대용 음향기기(2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목에 고정되기 위해 휴대용 음향기기(200)의 최대지름(a) 역시 사용자의 목 지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사용자가 휴대용 음향기기(200)를 착용하기 위해 탄성밴드 부분을 변형 시켜 휴대용 음향기기(200)의 단부를 넓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탄성밴드(210)에 바깥쪽 방향으로(탄성밴드(210)의 곡선 반대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도 4와 같이 휴대용 음향기기(200)의 양 단부가 사용자의 목 지름보다 크게 벌어진다(d). 휴대용 음향기기(200)의 최대지름(a)이 사용자의 목 지름보다 작으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용 음향기기(200)를 목에 걸면 탄성밴드(210)의 곡선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이때, 탄성밴드(210)는 원래 형상으로 돌아가려는 탄성력에 의해 사용자의 목을 조이는 방향으로 힘을 인가하며, 상기 탄성력에 의해 상기 휴대용 음향기기(200)는 사용자의 목에서 흘러내리지 않고 고정된다. 사용자의 목에 착용했을 때, 휴대용 음향기기(200)의 양 단부 간격(c)은 힘이 가해지지 않은 도 2의 상태보다 넓고, 착용하기 위해 벌린 도 4의 상태보다 좁다(b<c<d).
탄성밴드(210)에 곡률변화를 감지하는 변위센서(276)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착용 시에 도 4와 같이, 상기 휴대용 음향기기(200)의 단부를 벌리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밴드(210)의 곡률이 완만하게 변화하므로, 사용자가 휴대용 음향기기(200)를 사용하려는 것을 판단하고, 휴대용 음향기기(200)의 전원을 ON하거나,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착용한 것인지 휴대 중에 벌어진 것인지 여부를 보다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 변위센서(256)에서 탄성밴드(210)의 곡률이 크게 변화한 이후의 곡률도 함께 고려할 수 있다. 탄성밴드(210)의 곡률이 제1 크기로 크게 변화하고 이후 곡률이 휴대용 음향기기(200)를 거치한 상태보다 완만한 제2 크기의 곡률로 고정된 경우 휴대용 음향기기(200)를 사용자가 목에 착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변위센서(276) 이외에 사용자가 착용시 목과 닿는 착용면에 온도감지 센서, 광센서 또는 심박센서와 같은 센서(277)를 구비하여 온도가 사람의 체온 범위이거나 밝기가 어두워지고, 심박이 감지되면 사용자가 착용한 것으로 판단하고 휴대용 음향기기(200)의 전원을 ON하거나, 무선통신부(285)를 활성화 하여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 할 수 있다.
또는 물리적 방식으로 눌러지는 스위치(278)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착용하면 돌출된 스위치가 눌려서 ON신호를 생성하고 소정시간 이상 스위치(278) ON상태가 유지되면 휴대용 음향기기(200)의 전원을 ON하거나,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 할 수 있다.
상기 센서(277)와 스위치(278)는 복수개를 구비하여 복수개의 값을 조합하여 착용여부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200)의 탄성밴드(210)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a)와 같이 파이프(pipe) 형상의 탄성을 갖는 폴리머 튜브(214)에 형상기억합금 와이어(211)와 신호선(212)를 삽입한다. 형상기억합금 와이어(211)는 탄성밴드(210)가 도 2의 형상을 유지하는 곡률로 휘어진 상태를 기본형태로 하여 힘이 가해지더라도 원래 형상으로 복원하는 탄성을 제공한다. 신호선(212)는 좌측의 하우징(220)에 실장된 부품과 우측의 하우징(220)에 실장된 부품 사이의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폴리머 튜브(214)는 신호선(212)과 형상기억합금 와이어(211)가 이격되지 않도록 잡아주며, 후술할 결합 브라켓(215)을 고정하기 위해 이용한다.
다음으로, (b)와 같이 상기 폴리머 튜브(214)의 양단에 결합 브라켓(215)을 끼운다. 결합 브라켓(215)은 하우징(220)과 탄성밴드(210)를 결합하기 위해 이용되며, 하우징(220)과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탄성이 없는 단단한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결합 브라켓(215)은 하우징(220)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 홀/돌기를 구비할 수 있으며, 결합 브라켓(215)을 관통하여 상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211)와 신호선(212)이 노출된다.
(b)의 부재를 금형에 넣어 (c)와 같이 폴리머 튜브(214)와 결합 브라켓(215)의 일부를 커버하는 사출물을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밴드커버(216)를 형성한다.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밴드커버(216)를 형성하면 형상기억합금 와이어(211), 신호선(212)과 결합 브라켓(215)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탄성밴드(210)의 형상을 반복적으로 변화시키더라도 탄성밴드(210) 사이가 벌어지거나 분해되지 않아 내구성이 좋아지며, 방수기능이 더해져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된 상태에서 땀이 스며들지 않는다.
밴드커버(216)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 Urethane)을 이용할 수 있다. 열로 녹여 제작 가능하고, 경화되면 내유성 내마모성이 있고 고무와 같은 탄성이 있는 재질이 된다. 상기 결합 브라켓(215)과 밴드커버(216)의 중첩구간이 클수록 탄성밴드(210)의 강성이 커져 쉽게 변형이 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2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200)의 하우징(220) 부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전술한 탄성밴드(210)의 양 단부에 결합하는 하우징(220)은 상부 하우징(210a)와 하부 하우징(210b)를 포함하며, 상부 하우징(210a)와 하부 하우징(210b) 사이에 인쇄회로기판(281), 무선통신부(285), 배터리(291), 마이크(260), 스피커(243), 진동모터(265) 및 감김장치(250) 등이 실장된다.
하우징(220)은 폴리머 재질을 사출성형하여 제조하며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과 같은 강도가 있는 플라스틱 제품을 이용할 수 있다. 부분적으로 금속이나, 유리, 가죽 등의 이형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20)의 소재는 결합 브라켓(215)과 같은 소재를 이용할 수 있으며, 밴드커버(216)와는 차이가 있다.
밴드커버(216)에 이용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Thermoplastic Poly Urethane)은 탄성이 있어 쉽게 변형되고 힘을 제거하면 원래 형상으로 복원하며, 표면의 마찰계수가 높아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된다.
하우징(220)은 강성이 있는 폴리스티렌(PS: Polystyrene) 재질로 형성하여 내부 부품을 보호하며 동시에 사용자의 신체에 밀착되도록 하우징(220) 표면에 폴리우레탄 코팅을 할 수 있다. 하우징(220) 표면에 폴리우레탄 코팅을 하면 휴대용 음향기기(200)의 일체감 있는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탄성밴드(210)와 하우징(220)이 모두 사용자의 피부와 밀착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흔들리지 않아 착용감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신체에 착용하는 휴대용 음향기기(200)는 땀과 같은 수분에 노출되기 쉬우므로 방수기능을 부가하면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부 하우징(220a)와 하부 하우징(220b) 사이의 틈을 커버하는 리브를 형성하거나 방수부재를 개재하여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별도의 방수부재를 개재하지 않더라도 폴리우레탄 코팅을 하면 상부 하우징(220a)와 하부 하우징(220b) 사이가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우징(220)의 내부에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281)은 무선통신부(285), 마이크(260) 등이 실장되며, 배터리(291), 사용자 입력부(270), 음향출력부(240) 등과 연결된다. 하우징(220)에 실장되는 부품은 양측의 하우징(220)에 대칭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고, 일측만 구비된 부품을 탄성밴드(210)에 실장된 신호선(212)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통신부(285)가 일측의 하우징(220)에 구비된 경우 무선통신부(285)가 수신한 음향신호를 이용하여 양측의 이어버드(2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285)는 인쇄회로기판(281)에 실장되거나, 하우징(220)의 표면에 형성되어 외부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외부 단말기와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 하여 외부 단말기로부터 제어신호 및 음향신호를 수신하거나, 휴대용 음향기기(200)의 사용자 입력부나 마이크(260)를 통해 입력받은 제어명령 및 음향신호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한다.
하우징(220)에는 전원을 ON/OFF하는 전원버튼(271), 재생하거나 통화를 위한 버튼(272), 음향을 조절하는 방향키(273)등을 포함할 수 있다(상기 방향키는 재생곡의 이전곡 또는 이후 곡을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버튼은 물리적으로 가압되는 돔 키(dome key)를 이용할 수도 있고, 정전용량 변화로 감지하는 터치 키(touch key)를 이용할 수도 있다.
터치키의 경우 위치가 제한되지 않고, 하우징(220) 표면을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터치키가 하우징(220)의 표면에 구현된 경우, 하우징(220)의 표면에 터치키가 구현된 부분에 LED를 이용하여 터치키 위치 및 기능을 표시할 수 있다.
이어버드(240)는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어 소리를 전달하며, 이어버드(240)는 음향케이블(245)을 통해 상기 인쇄회로기판(281)과 연결된다. 인쇄회로기판(281)은 이어버드(240)를 제어하여 음향신호에 따라 소리가 출력되게 제어한다.
본 발명의 하우징(220)은 양측에 각각 상기 이어버드(240)가 안착되는 이어버드 홀더(225)를 구비한다. 이어버드 홀더(225)는 이어버드(240)의 형상에 상응하는 리세스부를 포함하며, 내측에 형성된 케이블 홀(227)을 통해 이어버드(240)와 인쇄회로기판(281)을 연결하는 음향케이블(245)이 통과한다. 이어버드(240)와 음향케이블(245)이 연결된 연결부는 상기 케이블 홀(227)에 삽입되어, 상기 이어버드(240)가 이어버드 홀더(225)에 정확히 위치하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이어버드(240)는 음향출력부(240)가 실장되며, 사용자의 귀에 삽입될 수 있도록 귓구멍의 크기에 상응하는 크기를 갖는다. 사용자의 귓구멍 크기에 따라 다른 사이즈의 이어버드(240)를 제공하기 위해 실리콘이나 폴리 우레탄 재질의 탈착가능한 이어캡을 구비한다. 상기 이어캡은 사용자가 변경될 경우 사용자에게 맞는 사이즈로 교체 가능하고, 장시간 사용하여 더러워지면 교체가능하여 위생적인 장점이 있다.
이어버드(240)와 이어버드 홀더(225)에 자석/금속과 같은 자성물질(226)을 구비하여 자력을 이용하여 이어버드(240)가 이어버드 홀더(225)에 인접하면 자동으로 이어버드 홀더(225)에 삽입될 수 있다. 이어버드 홀더(225)에 이어버드(240)가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이어버드(240)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어버드(240) 센서를 사용자가 이어버드(240)를 이어버드 홀더(225)에서 분리 여부에 따라 휴대용 음향기기(2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측의 이어버드(240)만 이어버드 홀더(225)에서 분리되면, 이동 단말기의 통화기능을 활성화 하거나 무선통신부(285)를 활성화 하여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 할 수 있다. 또한, 양쪽 다 이어버드 홀더(225)에서 분리되면 외부 단말기의 음향과 관련된 기능을 활성화 할 수 있다. 이어버드(240)가 상기 이어버드 홀더(225)에 수납되면 재생되는 음악을 끄거나, 동기화를 종료할 수 있다.
휴대용 음향기기(200)는 사용자의 목에 착용하기 때문에 시각적인 정보제공이 어려운 바, 음향출력부(240) 및 진동모터(265)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전원이 켜지거나,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 되는 경우 및 호신호 수신이나 메시지 수신과 같은 알림사항이 발생한 경우 진동 또는 알림음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배터리(291)는 하우징(220) 양측에 모두 실장될 수 있고, 일측에만 실장될 수도 있으며, 배터리(291)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하우징(220)에 전자부품이 실장된 형상을 도시한 것으로 하우징(220) 내부에 공간을 분할하여 하우징(220)과 탄성밴드(210)가 연결된 부분에 스피커(243)가 실장될 수 있다. 스피커(243)는 이어버드(240)와 달리 귀와 이격된 상황에음향케이블(245)서 소리를 공급하므로 이어버드(240)보다 더 큰 음향을 제공한다.
통상의 스피커(243)와 달리 목에 착용하는 휴대용 음향기기(200)는 착용한 상태에서 음악을 듣는 용도인 바, 스피커(243)가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귀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사용자의 귀와 가장 가까운 위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20)의 탄성밴드(210)에 인접한 부분인 바, 하우징(220)의 탄성밴드(210)에 인접한 부분에 상기 스피커(243)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243)에서 출력된 음향이 주변에 퍼지기 보다 사용자의 귀에 도달하도록 음향홀(244)이 상측 또는 내측(사용자를 향하는 방향)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이어버드(240)가 이어버드 홀더(225)에 수납되었을 때, 음향케이블(245)은 하우징(220) 내부에 위치하는 자동 감김장치(250)에 감겨 하우징(220) 내부로 수납되어 휴대용 음향기기(200)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자동 감김장치(250)는, 이어버드 홀더(225)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판스프링(256)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음향케이블(245)을 휠(255)에 감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200)의 감김장치(250)의 분해사시도이다. 자동 감김장치(250)는 하우징(220)에 고정되는 고정축(252), 상기 고정축(252)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외측에 상기 음향케이블(245)이 감기는 휠(255), 일단은 상기 고정축(252)에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휠(255)의 내측에 결합하며 나선형으로 감긴 탄성부재 및 상기 휠(255)의 단부가 접속되과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기판부(258)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축(252)은 하우징(220)에 고정되며, 직접 고정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감김장치(250)를 케이스(251)에 모듈화하여 구비한 경우, 케이스(251)에 고정축(252)이 결합하고, 자동 감김장치(250) 케이스(251)를 하우징(220)에 고정시면 고정축(252)이 하우징(220)에 대해 고정된다.
고정축(25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휠(255)은 내부에 판스프링(256)이 수납되는 공간을 구비하고 외부에 음향케이블(245)이 감기는 측벽을 구비한다. 음향케이블의 일단은 기판부(258)와 브러쉬(253)를 통해 연결되어, 휠(255)이 회전하더라도 브러쉬(253)는 기판부(258)의 전극과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바,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기판부(258)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81)과 연결되어 음향신호를 이어버드(24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휠(255)의 내측에 위치하는 판스프링(256)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 모양의 금속판이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겨있는 스파이럴 스프링(256)을 이용할 수 있다. 스파이럴 스프링(256)의 중앙은 상기 고정축(252)에 고정되고, 외측 단부는 상기 휠(255)에 결합하여 사용자가 음향케이블(245)을 당겨 휠(255)을 스파이럴 스프링(256)의 소용돌이 감긴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파이럴 스프링(256)의 감긴 횟수가 감소한다. 사용자가 음향케이블(245)을 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256)의 복원력에 의해 휠(255)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휠(255)의 외측면에 음향케이블(245)을 감기며 이어버드(240)는 이어버드 홀더(225)에 수납된다.
다만, 사용자가 힘을 제거하더라도 이어버드(240)를 이용하여 음악을 듣기 위해서는 인출된 상태를 유지해야하는 바,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256)에 의한 휠(255)의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 모듈(25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상기 스토퍼 모듈(257)을 도시한 도면으로 스토퍼 모듈(257)은 일측은 상기 하우징(220)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휠(255)과 함께 회전한다. 하우징(220)에 고정된 일측(제1 스토퍼 모듈(2578))은 자동 감김장치(250)의 케이스(251)가 될 수 있으며, 직선의 슬롯(2577)이 형성되어 있다.
휠(255)에 고정되어 휠(255)과 함께 회전하는 제2 스토퍼 모듈(2579)은 상기 제1 스토퍼 모듈(2578)과 마주보는 면에 복수개의 호형상으로 형성된 이동레일(2571)이 형성되어 있다.
도 9의 (a)는 상기 제1 스토퍼 모듈(2578)의 상기 제2 스토퍼 모듈(2579)과 마주하는 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의 (b)는 상기 제2 스토퍼 모듈(2579)의 상기 제1 스토퍼 모듈(2578)과 마주하는 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직선 슬롯(2577)과 상기 이동레일(2571) 사이에 개재되는 볼(2575)은 휠(255)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레일(2571) 위를 이동한다. 실제로는 상기 제2 스토퍼 모듈(2579)이 회전과 상기 이동레일(2571)이 회전하는 바, 볼(2575)은 회전하지 않고 상기 직선 슬롯(2577)상에서 직선 방향으로 움직인다.
상기 이동레일(2571) 사이에 멈춤홈(2573)이 형성되며, 멈춤홈(2573)은 상기 이동레일(2571)보다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볼(2575)이 멈춤홈(2573)에 도달하면 빠지면서 상기 제1 스토퍼 모듈(2578)에 걸리면서 상기 제2 스토퍼 모듈(2579) 및 휠(255)의 회전을 저지한다.
사용자가 다시 음향케이블(245)을 살짝 당기면 상기 볼(2575)이 멈춤홈(2573)에서 빠져 나오고 사용자가 음향케이블(245)을 놓으면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256)의 복원력에 의해 휠(255)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볼(2575)은 상기 이동레일(2571) 위에 있으므로 휠(255)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스토퍼 모듈(257)을 이용하여 음향케이블(245)을 당기고 놓는 방법으로 손쉽게 음향케이블(245)을 하우징(220)에 수납하거나 하우징(220)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200)의 윙팁(230)장착홈과 윙팁(230)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200)는 사용자의 목에 딱 맞게 착용하는 바, 목이 너무 굵은 사람에게는 휴대용 음향기기(200)의 길이가 짧고 목이 너무 가는 사람에게는 휴대용 음향기기(200)가 너무 큰 문제가 있다. 즉, 사용자의 목 둘레는 개인별로 차이가 있기 때문에 사용자 목둘레에 착용시에 딱 맞도록 조정하는 액세서리가 필요하다.
하우징(220)의 단부에 C자 곡선의 길이를 연장하는 윙팁(230)을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20)의 단부는 윙팁(230)이 결합하는 윙팁 장착홈(221)을 포함한다. 윙팁 장착홈(221)은 하우징(220)의 단부에 인접하여 하우징(220)의 둘레를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된 홈으로, 윙팁 장착홈(221)의 깊이는 윙팁(230)의 두께에 상응한다. 장착홈은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비가 상이하다. 사용자가 착용시 바깥쪽에 위치하는 부분이 좁고 착용시 내측에 위치하는 부분으로 갈수록 너비가 널어진다.
윙팁(230)은 상기 윙팁 장착홈(221)에 끼워지는 러버링(231)을 포함한다. 윙팁(230)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탄성밴드(210)의 밴드커버(216)와 같은 폴리 우레탄을 이용할 수 있다. 폴리 우레탄은 얇게 형성하면 쉽게 변형되고 두껍게 형성하면 변형도가 작아진다. 러버링(231) 부분은 얇은 테이프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윙팁 장착홈(221)의 깊이에 상응하는 두께를 갖는다. 상기 윙팁 장착홈(221)의 너비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윙팁 장착홈(221)에 삽입된 러버링(231)은 하우징(220)의 둘레를 따라 회전하지 못하고 고정될 수 있다.
윙팁(230)은 러버링(231)에서 일측으로 돌출되어 하우징(220)의 길이를 연장하는 러버캡(233)을 더 포함한다. 도 10의 (b)와 (c)처럼 러버캡(233)의 길이가 상이한 윙팁(230)을 이용하여 사용자에 맞게 휴대용 음향기기(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윙팁 장착홈(221)의 너비가 변화하기 때문에 윙팁(230)이 상기 윙팁 장착홈(221)에서 회전하지는 않으나, 보다 안정적으로 윙팁(230)을 하우징(220)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러버캡(233)이 결합하는 윙팁 고정돌기(2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러버캡(233)은 주머니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상기 윙팁 고정돌기(223)를 커버하며 윙팁 고정돌기(223)와 결합한다.
윙팁 고정돌기(223)는 러버캡(233)과 결합하여 윙팁(230)이 윙팁 장착홈(221)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목에 휴대용 음향기기(20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러버캡(233) 부분의 강성을 보강한다.
윙팁 고정돌기(223)는 윙팁 장착홈(221)에서 연장되어 뾰족하게 돌출된다. 러버캡(233)이 휴대용 음향기기(200)의 내측, 사용자의 목과 닿는 방향쪽에 위치하므로, 윙팁 고정돌기(223)도 휴대용 음향기기(200)의 C형상의 곡선 내측방향에서 돌출된다. 윙팁 고정돌기(223)는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여 뿔 형상으로 형성되며, 러버캡(233)도 그에 상응하여 단부가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윙팁(230)에 보조배터리, 스피커(243)와 같은 전자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자장치는 휴대용 음향기기(200)의 기능을 확대하는 액세서리 개념의 장치로서, 사용자가 필요한 기능을 추가적으로 장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220) 내부의 인쇄회로기판(281)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윙팁 장착홈(221) 부분에 제1 단자(227)가 형성되거나, 윙팁 고정돌기(223)에 제1 단자(227)가 형성될 수 있다. 그에 상응하여 윙팁(230)에도 러버링(231)의 내측면이나 러버캡(233)의 내측면에 윙팁(230)에 실장된 전자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단자(237)가 노출된다. 상기 제1 단자(227)와 상기 제2 단자(237)가 접촉하면 상기 윙팁(230)에 실장된 전자부품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의 목 둘레가 큰 경우뿐만 아니라 기본 사이즈 보다 작은 경우 사용자의 목에 안착되지 않고 아래로 흘러내려 쇄골 부분에 닿게 되는 문제가 있다. 쇄골 부분에 휴대용 음향기기(200)가 위치하면 뛸 때 쇄골에 휴대용 음향기기(200)가 부딪치게 되어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있는 바, 흔들리지 않도록 목에 고정될 필요가 있다.
목이 가는 사람을 위해 도 11과 같은 윙팁(230)을 이용할 수 있다. 러버캡(233)의 길이는 짧되 하우징(220)의 내측 둘레 부분에 덧대어지는 보정리브(235)를 더 포함한다. 보정리브(235)는 러버캡(233)과 반대 방향으로 하우징(220)의 C자형 곡선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음향기기(200)의 지름 사이즈(e<b)를 줄여 목이 가는 사람도 목에 딱 맞게 착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 상기 탄성밴드 또는 하우징과 탄성밴드 사이에 위치하는 길이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길이 조정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신호선이나 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은 나선형으로 꼬거나 접어 길이 조절부의 길이를 늘릴 때 꼬인 부분이나 접힌 부분이 펴지면서 길이 조절부와 같이 길이가 증가할 수 있다.
길이 조절부는 제1 하우징이 제2 하우징의 내측에서 인입되는 형태나, 접이식 부재를 이용하여 부채처럼 접히면 길이가 줄어들고 펴면 길이가 늘어나는 형태도 이용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200)에 따른 윙팁(230)을 윙팁(230)장착홈에 삽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어버드 홀더(225)는 하우징(220)의 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러버링(231)을 관통하여 하우징(220)의 단부에 노출된다.
이어버드 홀더(225)가 하우징(220)의 단부에 위치하는 경우, 이어버드(240)가 하우징(220)의 측면에서 돌출되지 않고 탄성밴드(210), 하우징(220) 및 이어버드(240)가 C자형의 곡선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기 때문에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윙팁 고정돌기(223)와 러버캡(233)이 같은 방향에 위치하도록 하우징(220)과 윙팁(230)을 잡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어버드 홀더(225)에 장착된 이어버드(240)가 러버링(231)을 관통하도록 윙팁(230)을 하우징(220) 단부에 삽입한다. 러버링(231)은 탄성 부재로 이루어져 크기가 변화하기 때문에 손쉽게 끼워지며 윙팁 고정돌기(223)는 하우징(220)의 단부에서 하우징(220)의 연장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윙팁(230)을 삽입하는 방향과 나란히 배치되어 윙팁(230)을 끼우면 자연스럽게 윙팁 고정돌기(223)가 러버캡(233)에 삽입된다.
러버링(231)과 러버캡(233)이 윙팁 장착홈(221)과 윙팁 고정돌기(223)에 삽입되면, 도 12의 (c)와 같이 하우징(220)의 단부 길이가 연장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200)에 따른 윙팁(230)을 윙팁(230)장착홈에서 분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윙팁(230)을 삽입한 방향으로 윙팁(230)을 잡아당기더라도 윙팁 장착홈(221)에 러버링(231)이 걸려 윙팁(230)이 빠지지 않는다. 윙팁 장착홈(221)에서 러버링(231)을 이탈시키기 위해 윙팁(230)을 하우징(220)의 둘레 방향으로 돌리면 윙팁 장착홈(221)의 너비가 변화하는 바, 러버링(231)이 윙팁 장착홈(221)의 너비보다 넓은 부분에서 자연스럽게 러버링(231)이 윙팁 장착홈(221)으로부터 빠져나온다.
윙팁 고정돌기(223)가 러버캡(233)에 삽입되어 러버링(231)을 회전할 수 없으므로, 먼저 도 13의 (a)와 같이 러버캡(233)을 잡고 (b)와 같이 러버캡(233)에서 윙팁 고정돌기(223)를 분리하고, (c)와 같이 러버캡(233)과 윙팁 고정돌기(223)가 반대 방향에 위치하도록 돌린다. 러버링(231)이 윙팁 장착홈(221)에서 빠진 상태이므로 윙팁(230) 삽입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윙팁(230)을 잡아당기면 윙팁(230)이 하우징(220)에서 분리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는 밴드의 휨 정도를 단계적으로 구현하여 착용시 편리하면서도 목에 걸었을 때 쉽게 움직이거나 목에서 이탈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쉽게 이어버드 홀더(225)에 이어버드(240)를 수납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여 이어버드(240)의 휴대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200: 휴대용 음향기기 210: 탄성밴드
211: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212: 신호선
214: 폴리머 튜브 215: 결합 브라켓
216: 밴드커버 220: 하우징
221: 윙팁 장착홈 223: 윙팁 고정돌기
225: 이어버드 홀더 227: 단자
230: 윙팁 231: 러버링
233: 러버캡 235: 보조리브
240: 음향출력부 241: 이어버드
243: 스피커 245: 음향케이블
250: 자동 감김장치 251: 케이스
252: 고정축 255: 휠
256: 판스프링 257: 스토퍼 모듈
2571: 이동레일 2573: 멈춤홈
2575: 볼 2577: 슬롯
2578: 제1 스토퍼 모듈 2579: 제2 스토퍼 모듈
258: 기판부 260: 마이크
270: 사용자 입력부 275: 센싱부
280: 제어부 281: 인쇄회로기판
285: 무선통신부 290: 전원공급부
291: 배터리

Claims (11)

  1. 탄성밴드;
    상기 탄성밴드의 양 단부에 결합하는 한 쌍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이어버드 홀더;
    상기 이어버드 홀더에 탈착되며 소리를 출력하는 음향출력부를 포함하는 이어버드;
    상기 하우징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이어버드와 연결되어 상기 음향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이어버드와 상기 제어부를 연결하는 음향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밴드는
    형상기억합금 와이어;
    상기 한 쌍의 하우징 사이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선;
    상기 신호선과 상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의 외측을 감싸는 폴리머 튜브;
    상기 폴리머 튜브의 양단에 고정되는 결합 브라켓; 및
    상기 폴리머 튜브 및 상기 결합 브라켓의 일부를 감싸며 인서트사출로 일체형으로 형성된 밴드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은 상기 폴리머 튜브 내에서 나선형으로 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과 상기 형상기억 합금의 양 단부는 상기 결합 브라켓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 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커버는 폴리우레탄 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밴드와 상기 하우징은 C자 곡선을 형성하며, 사용자가 휴대용 음향기기를 목 둘레에 착용시, 사용자의 목 둘레에 접하는 착용면을 갖고,
    상기 하우징 또는 상기 탄성밴드에 위치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는 상기 휴대용 음향기기를 사용자가 목 둘레에 착용시 ON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C자 곡선 내측으로 돌출된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은 사용자가 착용하면 인입되어 ON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C자 곡선 내측에 위치하는 심전도 센서, 온도센서, 광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밴드와 상기 하우징은 사용자의 목둘레에 상응하는 C자 곡선을 형성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탄성밴드에 위치하여 상기 탄성밴드의 곡률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밴드의 곡률이 제1 크기로 변형되었다가, 상기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 상태에서 곡률이 유지되면 ON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9. 제5항에 있어서,
    외부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ON신호를 감지하면, 전원을 켜고 상기 외부 단말기와 동기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실장되며 상기 음향케이블이 감기는 자동 감김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동 감김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외측에 상기 음향케이블이 감기는 휠;
    일단은 상기 고정축에 결합하고, 타측은 상기 휠의 내측에 결합하며 나선형으로 감긴 판스프링; 및
    상기 휠의 단부가 접속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기판부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음향케이블을 당기는 힘을 인가하면 상기 음향케이블이 상기 휠에서 풀리면서 상기 휠은 제1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힘을 제거하면 상기 휠은 상기 판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제2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음향케이블을 상기 휠의 외측에 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감김장치는,
    상기 휠의 일면에 호형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이동레일;
    상기 레일의 사이에 위치하는 멈춤홈;
    상기 레일과 대면하는 위치에 형성된 직선의 슬롯; 및
    상기 슬롯과 상기 이동레일 사이에 끼워져 상기 휠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슬롯을 따라 이동하고 상기 멈춤홈에 위치하면 상기 휠의 회전을 제한하는 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

KR1020160166350A 2016-12-08 2016-12-08 휴대용 음향기기 KR101763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350A KR101763600B1 (ko) 2016-12-08 2016-12-08 휴대용 음향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350A KR101763600B1 (ko) 2016-12-08 2016-12-08 휴대용 음향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4583A Division KR101687623B1 (ko) 2015-06-15 2015-06-15 휴대용 음향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7687A true KR20160147687A (ko) 2016-12-23
KR101763600B1 KR101763600B1 (ko) 2017-08-14

Family

ID=57736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6350A KR101763600B1 (ko) 2016-12-08 2016-12-08 휴대용 음향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3600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4589A1 (en) * 2016-12-26 2018-07-05 Lg Electronics Inc. Ear unit and portable sound device
KR20180125919A (ko) * 2018-11-06 2018-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US10244305B2 (en) 2017-08-03 2019-03-26 Lg Electronics Inc. Portable sound device
WO2019088385A1 (ko) * 2017-11-03 2019-05-09 (주)모비프렌 블루투스 헤드셋
US10306351B2 (en) 2017-08-03 2019-05-28 Lg Electronics Inc. Portable sound device
US10356506B2 (en) 2016-12-26 2019-07-16 Lg Electronics Inc. Portable sound equipment
US10448141B2 (en) 2016-12-26 2019-10-15 Lg Electronics Inc. Earphone
US10542343B2 (en) 2017-05-16 2020-01-21 Lg Electronics Inc. Portable sound equipment
KR200491370Y1 (ko) * 2019-10-05 2020-03-27 신태승 넥 밴드형 전원인가장치
KR20200102739A (ko) 2019-02-22 2020-09-01 주식회사 이엠텍 휴대용 음향기기의 탄성 밴드
KR102291248B1 (ko) 2020-06-05 2021-08-20 주식회사 이엠텍 휴대용 음향기기의 탄성 밴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5051B2 (ja) * 1995-08-17 2000-05-22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ホン装置
KR200408656Y1 (ko) * 2005-11-29 2006-02-13 주식회사 뉴투원 헤드폰의 귀걸이밴드 구조
KR100872845B1 (ko) * 2007-07-20 2008-12-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맞춤형 오디오 서비스가 가능한 헤드셋 및 이를이용한 사용자 맞춤형 오디오 서비스 방법
KR101365926B1 (ko) * 2013-11-25 2014-02-24 주식회사 블루콤 넥밴드 및 헤드폰 겸용 블루투스 오디오 장치
KR101507869B1 (ko) * 2014-03-21 2015-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음향기기
KR101471903B1 (ko) * 2014-08-18 2014-12-26 주식회사 블루콤 전자 기기에서 사용되는 자동 감김 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4589A1 (en) * 2016-12-26 2018-07-05 Lg Electronics Inc. Ear unit and portable sound device
US10356506B2 (en) 2016-12-26 2019-07-16 Lg Electronics Inc. Portable sound equipment
US10433061B2 (en) 2016-12-26 2019-10-01 Lg Electronics Inc. Ear unit and portable sound device
US10448141B2 (en) 2016-12-26 2019-10-15 Lg Electronics Inc. Earphone
US10542343B2 (en) 2017-05-16 2020-01-21 Lg Electronics Inc. Portable sound equipment
US10244305B2 (en) 2017-08-03 2019-03-26 Lg Electronics Inc. Portable sound device
US10306351B2 (en) 2017-08-03 2019-05-28 Lg Electronics Inc. Portable sound device
WO2019088385A1 (ko) * 2017-11-03 2019-05-09 (주)모비프렌 블루투스 헤드셋
KR20180125919A (ko) * 2018-11-06 2018-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KR20200102739A (ko) 2019-02-22 2020-09-01 주식회사 이엠텍 휴대용 음향기기의 탄성 밴드
KR200491370Y1 (ko) * 2019-10-05 2020-03-27 신태승 넥 밴드형 전원인가장치
KR102291248B1 (ko) 2020-06-05 2021-08-20 주식회사 이엠텍 휴대용 음향기기의 탄성 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3600B1 (ko) 2017-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7623B1 (ko) 휴대용 음향기기
KR101763600B1 (ko) 휴대용 음향기기
EP3188499B1 (en) Portable sound equipment
US9282392B2 (en) Headset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TW201012242A (en) A sound producing device
US10306351B2 (en) Portable sound device
JP4289376B2 (ja) ヘッドセット
JP2009055252A (ja) ヘッドホン装置
US10448160B2 (en) Portable sound equipment
JP2019508782A (ja) フレキシブル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
KR101943329B1 (ko) 휴대용 음향기기
KR101758285B1 (ko) 휴대용 음향기기
EP3439321B1 (en) Portable sound device
KR101759947B1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80024235A (ko) 휴대용 음향기기
CN106899906A (zh) 包括心率测量单元的耳机
US10244298B1 (en) Wearable wireless audio device
KR20190069755A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70116376A (ko) 휴대용 전자기기
KR101790527B1 (ko) 휴대용 전자기기
KR20190016843A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90014978A (ko) 회전모듈 및 휴대용 음향기기
KR20190016845A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90019546A (ko) 휴대용 음향기기
KR20190022138A (ko) 휴대용 음향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