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2739A - 휴대용 음향기기의 탄성 밴드 - Google Patents

휴대용 음향기기의 탄성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2739A
KR20200102739A KR1020190021094A KR20190021094A KR20200102739A KR 20200102739 A KR20200102739 A KR 20200102739A KR 1020190021094 A KR1020190021094 A KR 1020190021094A KR 20190021094 A KR20190021094 A KR 20190021094A KR 20200102739 A KR20200102739 A KR 20200102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elastic band
signal line
portable audio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7477B1 (ko
Inventor
오영선
이상일
권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텍
Priority to KR1020190021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7477B1/ko
Publication of KR20200102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7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7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형상 기억 합금 대신 요철을 가진 러버를 구비함으로써 형태 및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는 휴대용 음향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선, 신호선이 관통하는 제1 러버, 신호선이 관통하며, 제1 러버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 브라켓 및 제1 러버와 결합 브라켓의 일부를 감싸는 제1 러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의 탄성 밴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음향기기의 탄성 밴드{ELEASTIC BAND FOR WIRELESS SOUND EQUIPMENT}
본 발명은 휴대용 음향기기의 탄성 밴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용자의 활동성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목에 거치할 수 있는 휴대용 음향 기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휴대용 음향기기(20)의 외관 을 구성하는 탄성밴드(21)와 하우징(2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C자형의 곡선을 형성한다. 탄성밴드(21)는 곡선으로 휘어진 바(bar) 형상의 부재로서 탄성을 가지고 있어, 힘을 가하면 소정 범위내에서 변형되고 힘이 제거되면 원래 모양으로 복귀된다. 하우징(22)은 탄성밴드(21)의 양단에 결합하여 상기 휴대용 향기기(20)의 C자형 곡선의 양 단부에 위치한다. 내부와 외부에 인쇄회로기판, 스피커, 무선통신부, 배터리, 감김부재와 같은 각종 부품이 삽입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20)의 탄성밴드(21)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a)와 같이 파이프(pipe) 형상의 탄성을 갖는 폴리머 튜브(21d)에 형상기억합금 와이어(21a)와 신호선(21b)를 삽입한다. 형상기억합금 와이어(21a)는 탄성밴드(21)가 도 1의 형상을 유지하는 곡률로 휘어진 상태를 기본형 태로 하여 힘이 가해지더라도 원래 형상으로 복원하는 탄성을 제공한다.
신호선(21b)는 좌측의 하우징(22)에 실장된 부품과 우측의 하우징(22)에 실장된 부품 사이의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폴리머 튜브(21d)는 신호선(21b)과 형상기억합금 와이어(21a)가 이격되지 않도록 잡아주며, 후술할 결합 브라켓(21e)을 고정하기 위해 이용한다.
다음으로, (b)와 같이 상기 폴리머 튜브(21d)의 양단에 결합 브라켓(21e)을 끼운다. 결합 브라켓(21e)은 하우징(22)과 탄성밴드(21)를 결합하기 위해 이용되며, 하우징(22)과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탄성이 없는 단단한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결합 브라켓(21e)은 하우징(22)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 홀/돌기를 구비할 수 있으며, 결합 브라켓(21e)을 관통하여 상기 형상기억합금 와이어(21a)와 신호선(21b)이 노출된다.
(b)의 부재를 금형에 넣어 (c)와 같이 폴리머 튜브(21d)와 결합 브라켓(21e)의 일부를 커버하는 사출물을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밴드커버(21f)를 형성한다.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밴드커버(21f)를 형성하면 형상기억합금 와이어(21a), 신호선(21b)과 결합 브라켓(21e)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탄성밴드(21)의 형상을 반복적으로 변화시키더라도 탄성밴드(21) 사이가 벌어지거나 분해되지 않아 내구성이 좋아지며, 방수기능이 더해져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된 상태에서 땀이 스며들지 않는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음향 부재는, 탄성밴드 내에 고가의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사용하는 데 따라 제조 단가가 상승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10-2016-0147687
형상 기억 합금 대신 요철을 가진 러버를 구비함으로써 형태 및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는 휴대용 음향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선, 신호선이 관통하는 제1 러버, 신호선이 관통하며, 제1 러버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 브라켓 및 제1 러버와 결합 브라켓의 일부를 감싸는 제1 러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의 탄성 밴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제1 러버는 복수 개의 홈을 구비하며, 제2 러버는 제1 러버의 홈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의 탄성 밴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제1 러버는 복수 개의 돌기를 구비하며, 제2 러버는 제1 러버의 돌기를 수용하는 복수 개의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의 탄성 밴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제1 러버는 TPU 또는 TPE로 제조되고, 제2 러버는 TPU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의 탄성 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휴대용 음향기기의 탄성 밴드는 단가가 비싼 형상기억합금을 대신하여 TPU 또는 TPE로 제조되는 제1 러버와 TPU로 제조되는 제2 러버로 형태 및 탄성을 부여함으로써 양산성을 높이고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휴대용 음향기기의 탄성 밴드는 제1 러버 및 제2 러버에 형성되는 홈과 돌기의 형상과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탄성 밴드의 탄성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본 발명의 휴대용 음향기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20)의 탄성밴드(21)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탄성 밴드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탄성 밴드의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음향기기의 탄성 밴드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선(212)과 탄성 밴드의 형상을 유지하며 신호선(212)을 보호하기 위한 제1 러버(214), 제1 러버(214)의 양 단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 브라켓(215) 및 제1 러버(214)와 결합 브라켓(215)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제2 러버(216)를 포함한다.
이때, 제1 러버(214)는 TPE 또는 TPU 재질로 형성되며, 요철 형성이나 요홈 형상을 구비함으로써, 복원력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러버(214)는 외주에 홈(214a)을 구비한다.
한편, 신호선(212)은 제1 러버(214)를 관통하며, 그에 따라 제1 러버(214)는 가운데에 관통홀(214b)을 구비한다.
결합 브라켓(215) 역시 신호선(212)이 관통하는 관통홀(215a)을 구비한다. 결합 브라켓(215)은 제1 러버(214)의 일부와 맞물려 결합된다. 결합 브라켓(215)은 일반적인 플라스틱 사출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 브라켓(214) 내로 제1 러버(214)의 단부가 삽입될 수도 있고, 제1 러버(214)의 단부 내로 결합 브라켓(214)의 단부가 삽입될 수도 있다.
제1 러버(214)와 결합 브라켓(215)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2 러버(216)가 그 외면을 감싼다. 제2 러버(216)는 TPU로 제조되며, 제1 러버(214)의 홈(214a) 내로 삽입되는 돌기(216a)를 구비한다.
제1 러버(214)는 제품의 외관으로 드러나지 않기 때무에, 복원력과 내구성 확보를 위해 형상 변경 및 경도 조절 등의 수정과 보완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형상기억합금 대신 제1 러버(214)와 제2 러버(216)로 탄성 밴드를 제조할 경우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 공정이 단순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신호를 송수신하는 신호선;
    신호선이 관통하는 제1 러버;
    신호선이 관통하며, 제1 러버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 브라켓; 및
    제1 러버와 결합 브라켓의 일부를 감싸는 제1 러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의 탄성 밴드.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러버는 복수 개의 홈을 구비하며,
    제2 러버는 제1 러버의 홈에 삽입되는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의 탄성 밴드.
  3. 제1항에 있어서,
    제1 러버는 복수 개의 돌기을 구비하며,
    제2 러버는 제1 러버의 돌기를 수용하는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의 탄성 밴드.
  4. 제1항 내지 제3에 있어서,
    제1 러버는 TPU 또는 TPE로 제조되고, 제2 러버는 TPU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음향기기의 탄성 밴드.
KR1020190021094A 2019-02-22 2019-02-22 휴대용 음향기기의 탄성 밴드 KR102167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094A KR102167477B1 (ko) 2019-02-22 2019-02-22 휴대용 음향기기의 탄성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094A KR102167477B1 (ko) 2019-02-22 2019-02-22 휴대용 음향기기의 탄성 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739A true KR20200102739A (ko) 2020-09-01
KR102167477B1 KR102167477B1 (ko) 2020-10-19

Family

ID=72450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094A KR102167477B1 (ko) 2019-02-22 2019-02-22 휴대용 음향기기의 탄성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747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1807U (ko) * 2006-12-11 2008-06-16 임태경 이어폰 부착 고정밴드
KR20130119629A (ko) * 2012-04-24 2013-11-01 주식회사 룩쏘 넥 밴드형 이어폰 홀더 및 넥 밴드형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
KR20160147687A (ko) 2016-12-08 2016-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KR101919801B1 (ko) * 2017-05-16 2018-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1807U (ko) * 2006-12-11 2008-06-16 임태경 이어폰 부착 고정밴드
KR20130119629A (ko) * 2012-04-24 2013-11-01 주식회사 룩쏘 넥 밴드형 이어폰 홀더 및 넥 밴드형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
KR20160147687A (ko) 2016-12-08 2016-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KR101919801B1 (ko) * 2017-05-16 2018-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음향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7477B1 (ko) 2020-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82347B1 (en) In-ear headphones with retention members
US8270648B2 (en) Earpiece and electro-acoustic transducer
US7106877B1 (en) Earloop for telecommunications headset
JP4946538B2 (ja) ヘッドホン装置
KR100955033B1 (ko) 귀걸이형 무선스피커장치
KR100824188B1 (ko) 헤드셋
US10284976B2 (en) Hearing aid
US10085080B2 (en) Earphone assemblies with multiple subassembly housings
US20200413179A1 (en) Earphones with a formable ear hook
JP5990191B2 (ja) 細長い保持部材を備えているbte補聴器
EP2456228A1 (en) Earphone, and electronic device
WO2016151952A1 (ja) ウェアラブル装置
KR101914544B1 (ko) 개인용 음향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가요성 이어피스 마운트
KR101503327B1 (ko) 이어커널 적응형 가변 이어폰
KR102167477B1 (ko) 휴대용 음향기기의 탄성 밴드
US11252493B2 (en) Hearing device and earphone
US20030114201A1 (en) Over-the-ear type headset
JPWO2019064438A1 (ja) イヤホン
CN214675622U (zh) 耳机和电子产品
CN212231716U (zh) 一种耳机
CN210120646U (zh) 耳机
CN208241835U (zh) 耳机
JP3179361B2 (ja) ヘッドホン装置
US20100240310A1 (en) Earpiece
KR102315063B1 (ko) 세미 커널 타입 무선 이어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