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19629A - 넥 밴드형 이어폰 홀더 및 넥 밴드형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 - Google Patents

넥 밴드형 이어폰 홀더 및 넥 밴드형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9629A
KR20130119629A KR1020120042575A KR20120042575A KR20130119629A KR 20130119629 A KR20130119629 A KR 20130119629A KR 1020120042575 A KR1020120042575 A KR 1020120042575A KR 20120042575 A KR20120042575 A KR 20120042575A KR 20130119629 A KR20130119629 A KR 20130119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bluetooth
neck
coupling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2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룩쏘
신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룩쏘, 신상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룩쏘
Priority to KR1020120042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19629A/ko
Publication of KR20130119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96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폰 코드의 수납 및 분리가 가능한 넥 밴드형 이어폰 홀더에 있어서, 이어폰의 양측 스피커 라인의 인출부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이어폰 코드가 인입이 가능한 개방구조를 갖는 이어폰 코드를 수납하는 중공의 넥 거치부; 상기 넥 거치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이어폰의 연결 잭이 관통하여 음향출력기기의 이어폰 단자에 결합되도록 결합홀이 형성되고 음향출력기기의 이어폰 단자가 형성된 일단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넥 밴드형 이어폰 홀더 및 넥 밴드형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Neck band type earphone holder and neck band type bluetooth hands free device}
본 발명은 넥 밴드형 이어폰 홀더 및 넥 밴드형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어폰 코드의 수납 및 분리가 가능한 이어폰 홀더 및 넥 밴드형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음향출력기기를 휴대할 때, 가방이나 주머니에 휴대한 상태에서 이어폰을 접속하여 음향을 청취하였으나, 최근에는 휴대성과 사용상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목에 휴대할 수 있는 목걸이형 이어폰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 목걸이용 이어폰은 이어폰이 목걸이 줄 또는 밴드에 이어폰의 코드 또는 와이어가 생산시부터 내장되는 형태로 결합되어 있는 일체형 형태와, 별도의 목걸이줄에 이어폰 코드 전체를 외부에서 결착하는 착탈부를 가져 목걸이 줄과 이어폰 코드의 일부를 결합하는 형태의 착탈형 형태의 목걸이용 이어폰이 주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위 일체형 형태의 경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목걸이줄을 사용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 또는 목걸이줄과 이어폰 중 하나를 교체를 원하거나 고장 등으로 이어폰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도 목걸이줄과 이어폰이 분리되지 않아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로, 일체형 형태를 개량한 [문헌 1]의 보조목걸이 줄이 착탈되는 목걸이형 스테레오 이어폰도 결국 동일한 문제점이 있으며, 나아가부품수의 증가 등으로 제조원가가 상승하고 보관상 꼬임 현상 등 관리상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위 착탈형 형태의 경우 목걸이줄과 이어폰의 착탈이 가능하나, 목걸이줄 외부에 이어폰 코드 이어폰 코드가 외부에 노출되어 이어폰이 자주 빠지거나 외관상 깔끔하게 정리되지 못하고 외부에 노출된 이어폰이 꼬이게 되어 사용시 미관상의 문제가 있다. 참고로, 착탈형 형태를 개량한 [문헌 2]의 목걸이형 블루투스 이어폰은 목걸이 줄 부분에 고정클립 대신 슬립홀더로 이어폰 길이만큼의 홈이 있는 목걸이 줄을 형성하고 버섯모양의 이어폰 줄을 슬립홀더로 끼울 수 있도록 하여 이어폰 줄을 정리하고 있으나, 버섯모양의 전용 이어폰 줄 만을 사용하여야 하여 일반 이어폰에 호환되지 않으며 착탈이 불편하고, 부품 및 전체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성이 낮고 제조원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통상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는 사용자 기기는 사용자의 활동을 전제한 모바일 기기로서, 귀걸이 형, 목걸이형 등 다양한 착용형태로 개발되어 있으나, 대부분의 블루투스 핸즈프리 제품은 이어폰 부분이 제조시부터 이미 결합된 형태로 제작되어 착탈이나 교체가 불가능한 구조이므로, 이어폰의 구성부품 일부의 고장시 블투스 핸즈프리 기기 전체를 교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본체 부분과 이어폰 부분이 착탈가능한 형태의 경우에도 종래 목걸이용 이어폰에서와 동일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아울러,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는 단순히 블루투스 본체 기기와 음향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만을 수행하여 모바일 기기로서,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 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와 같은 자체 음원재생기능, 본체인 핸드폰의 분실방지 기능 등의 욕구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공보 등록번호 20-0342203호 (보조목걸이 줄이 착탈되는 목걸이형 스테레오 이어폰 ; 2004년 02월 18일 공고) [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0-0012009호 (목걸이형 무선 블루투스 이어폰 장 치; 2010년 02월04일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 등 휴대용 음향출력기기의 착탈이 가능한 결합부를 포함하여 음향기기와 용이하게 착탈이 가능하고, 이어폰 코드를 내부에 완전히 수납하고 코드간의 꼬임을 방지하여 사용상 편리할 뿐만 아니라 외관상 미려함을 제공할 수 있는, 넥 밴드형 이어폰 홀더 및 넥 밴드형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이어폰 홀더 및 음향출력기기, 특히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가 이어폰과 별개로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이어폰을 직접 착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른 디자인의 이어폰 홀더 또는 이어폰으로 교체하는 것도 가능한 넥 밴드형 이어폰 홀더 및 넥 밴드형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모바일 기기로서, 상기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 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와 같은 자체 음원재생기능, 본체인 핸드폰의 분실방지 기능, 외부스피커 사용기능 등의 욕구를 만족시키고 사용상 편리한 단순한 구조의 넥 밴드형 이어폰 홀더를 이용한 다기능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어폰 코드의 수납 및 분리가 가능한 넥 밴드형 이어폰 홀더에 있어서, 이어폰의 양측 스피커 라인의 인출부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이어폰 코드가 인입이 가능한 개방구조를 갖는 이어폰 코드를 수납하는 중공의 넥 거치부; 상기 넥 거치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이어폰의 연결 잭이 관통하여 음향출력기기의 이어폰 단자에 결합되도록 결합홀이 형성되고 음향출력기기의 이어폰 단자가 형성된 일단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결합부와 대향하는 넥 거치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음향출력기기의 이어폰 단자가 형성된 일단의 타단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넥 거치부의 제1결합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와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3결합부를 포함하고, 제1결합부에는 상기 제3결합부와의 착탁가능한 결합을 위하여 체결부가 형성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넥 밴드형 이어폰 홀더는 연성의 고무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음향출력기기로서 블루투스 방식으로 신호를 송 수신하는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인 경우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에 설치된 마이크를 노출시키는 마이크 노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넥 밴드형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에 관한 것으로, 블루투스 기기부의 이어폰 단자에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된 연결 잭을 가지는 이어폰, 이어폰 라인의 인출부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이어폰 코드의 인입이 가능한 개방구조를 갖고 이어폰 코드를 수납하는 중공의 넥 거치부와, 상기 블루투스 기기부의 이어폰 단자가 형성된 일단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이어폰의 연결 잭이 관통하여 상기 이어폰 단자에 결합되도록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넥 거치부의 일단에 결합된 제1결합부를 포함하는 넥 밴드형 이어폰 홀더(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넥 거치부의 제1결합부의 타단에, 상기 음향출력기기의 타단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선택적으로, 넥 거치부의 제1결합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와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3결합부를 포함하고, 제1결합부에는 상기 제3결합부와의 착탈가능한 결합을 위하여 체결부가 형성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루투스 기기부의 마이크는 이어폰 단자가 형성된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는 블루투스 기기부에 설치된 마이크를 노출시키는 마이크 노출 구조를 갖는다.
나아가, 상기 블루투스 기기부는 후면에 상기 블루투스 기기부를 착탈하기 위한 착탈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루투스 기기부는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연결 직렬 포트를 포함하여, 직렬 포트를 통하여 외부기기로부터 음원을 수신하여 재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블루투스 기기부는 진동모터를 포함하여, 페어링된 모바일폰으로부터의 수신신호를 모니터링하여, 수신신호가 일정 기준 이하로 약해지거나 페어링이 끊어지는 경우 상기 진동모터를 통하여 경고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넥 밴드형 이어폰 홀더 및 이를 이용한 다기능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에 있어서,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 등 휴대용 음향출력기기의 착탈이 가능한 결합부를 포함하여 음향기기와 용이하게 착탈이 가능하고, 이어폰 코드를 내부에 완전히 수납하고 코드 간의 꼬임을 방지하여 사용상 편리할 뿐만 아니라 외관상 미려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어폰 홀더 및 음향출력기기 특히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가 이어폰과 별개로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이어폰을 직접 착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른 디자인의 이어폰 홀더 또는 이어폰으로 교체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 MP3 플레이어와 같은 자체 음원재생기능, 외부 스피커 사용기능, 본체인 핸드폰의 분실방지 기능 등의 욕구를 만족시키고, 별도의 고정용 클립의 사용으로 사용상 편리한 단순한 구조의 넥 밴드형 이어폰 홀더를 이용한 다기능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넥 밴드형 이어폰 홀더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넥 밴드형 이어폰 홀더의 일 실시예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넥 밴드형 이어폰 홀더의 다른 실시예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의 본체의 외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의 블루투스 기기부의 회로 구성 블럭도이다.
도 5a 내지 도c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넥 밴드형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 제품 사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여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에서는 본 발명을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넥 밴드형 이어폰 홀더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2a 및 도2b는 각각 본 발명의 넥 밴드형 이어폰 홀더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넥 밴드형 이어폰 홀더(10)는, 음향출력기기(30)와 결합부를 통하여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양측에는 결합부를 통하여 음향출력기기의 이어폰 단자와 연결된 이어폰의 양측 스피커 라인(20)의 인출부가 형성되고 이어폰 코드는 넥 밴드형 이어폰 홀더(10)의 내부에 착탈가능하도록 전체가 수납되어 넥 밴드형 이어폰 홀더(10)와 이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된 음향출력기기(30)가 전체로서 사용자의 목에 걸치는 목걸이 형태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넥 밴드형 이어폰 홀더(10)의 일 실시예의 세부 구성도인 도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넥 밴드형 이어폰 홀더는 기본적으로 이어폰 코드를 수납하는 중공의 넥 거치부(11), 음향출력기기(30)의 이어폰 단자가 형성된 일단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결합부(12)로 구성된다.
중공의 넥 거치부(11)에는 이어폰의 양측 스피커 라인(20)의 인출부(14)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이어폰 코드의 인입이 가능한 개방구조(15)가 형성되어, 이어폰의 코드 전체를 수납하고, 이어폰의 양측 스피커 라인(20)의 인출부(14)를 통하여 이어폰의 스피커 라인만을 인출하여, 내부에 이어폰 코드를 수납하여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으며, 사용시 이어폰 코드의 일부가 걸려서 빠지는 등의 단점을 개선하고 있다.
넥 밴드형 이어폰 넥 거치부(11)는 연성의 고무 재질의 튜브 형태로 제작되며,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목에 착용가능하고 내부에 이어폰 코드의 수납이 가능한 중공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연성의 고무 재질의 튜브 형태를 사용함으로써, 말아서 주머니에 넣는 등 보관이 편리하게 된다. 재질에 있어서는 연성의 고무 재질에 한정되지 않고, 위 효과를 가져오는 합성수지 및 폴리 실리콘 등이 튜브 형태 또는 이어폰 코드의 수납이 가능한 중공의 형태로 가공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1결합부(12)는 상기 넥 거치부(11)의 일단에 형성되어 이어폰의 연결 잭이 관통하여 음향출력기기의 이어폰 단자에 결합되도록 결합홀이 형성되고 음향출력기기(30)의 이어폰 단자가 형성된 일단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제1결합부는 음향출력기기가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인 경우처럼 별도의 마이크가 설치되는 경우 마이크 설치부분을 상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마이크 노출 구조를 가지게 되며, 마이크 노출 구조는 제1결합부의 상부에 홀을 형성하거나 상부를 개방시키는 형태로 제1결합부를 구성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도2a의 실시예의 경우 도2a의 부분확대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가 상부로 개방된 형태로 마이크 노출 구조가 형성되었다.
제1결합부(12)는 끼움결합에 의하여 음향출력기기를 결합할 수 있는 탄성과 결합력이 있는 고무 재질 및 다양한 소재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1결합부 만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넥 밴드의 형태와 목 부분의 기능을 유지하고 음향출력기기의 결합을 확보하는 재질과 형상이 선택되어 실시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결합부(12)와 대향하는 넥 거치부(11)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음향출력기기의 이어폰 단자가 형성된 일단의 타단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결합부(1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끼움결합에 의하여 음향출력기기를 결합할 수 있는 탄성과 결합력이 있는 고무 재질 및 다양한 소재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넥 밴드형 이어폰의 튜브형 넥 거치부(11)의 측면을 따라 이어폰 코드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개방구조(15)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2a의 요부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넥 거치부를 구성하는 튜브의 일면을 절단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이를 통하여 넥 거치부(11)의 중공에 이어폰 코드 전체를 수납하고 이어폰의 양측 스피커 라인(20)의 인출부(14)를 통하여 이어폰 스피커 라인만을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1 및 도2a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제1결합부(12)와 제2결합부(13)에 의해 음향출력기기와 넥 밴드형 이어폰 홀더가 결합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제2결합부(13) 대신에 도2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결합부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결합부(16)를 포함하여 본 발명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넥 밴드형 이어폰 홀더(10)의 다른 실시예의 세부 구성도인 도2b를 참조하면, 도2b의 실시예의 경우는, 넥 거치부(11)의 제1결합부(12)와 대향하는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12)와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3결합부(16)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경우로서, 이 경우 제1결합부에는 상기 제3결합부(16)와의 착탈가능한 결합을 위하여 체결부(17)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결합부(12)에는 음향출력기기와의 결합을 위한 부분의 측면에 체결부(17)로서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에 착탈결합된는 돌기형상이 결합부가 제3결합부(16)로서 형성되어 본 발명의 넥 밴드형 이어폰 홀더(10)를 구성한다.
또한, 도2a의 실시예의 경우 블루투스 기기가 결합되는 경우 마이크 노출구조로서, 도2b의 부분확대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1결합부가 상부로 개방된 형태로 마이크 노출 구조가 형성되었다.
본 발명의 이어폰 홀더와 결합가능한 음향출력기기로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 휴대용 MP3 플레이어, 휴대용 라디오, 또는 이들 기능을 모두 갖춘 복합 기능의 음향출력기기 등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1 및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넥 밴드형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넥 밴드형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넥 벤드형 이어폰 홀더(10) 및 이어폰(20)이 블루투스 기기부와 각각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일체를 이루어 구성되어, 기본적으로는, 음향출력이 가능한 이어폰 단자가 일단에 설치된 블루투스 기기부, 상기 블루투스 기기부의 이어폰 단자에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된 연결 잭을 가지는 이어폰(20), 이어폰 라인의 인출부(14)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이어폰 코드의 인입이 가능한 개방구조(15)를 갖고 이어폰 코드를 수납하는 중공의 넥 거치부(11)와 상기 블루투스 기기부의 이어폰 단자가 형성된 일단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이어폰의 연결 잭이 관통하여 상기 이어폰 단자에 결합되도록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넥 거치부(11)의 일단에 결합된 제1 결합부(12)를 포함하는 넥 밴드형 이어폰 홀더(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5a 및 도5b에서와 같이, 상기 넥 거치부(11)의 제1결합부(12)의 타단에, 상기 음향출력기기의 타단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결합부(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3c와 같이, 상기 넥 거치부(11)의 제1결합부(12)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부(12)와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3결합부(16)를 포함하고, 제1결합부에는 상기 제3 결합부와의 착탁가능한 결합을 위하여 체결부(17)가 형성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블루투스 기기부의 마이크는 이어폰 단자가 형성된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12)는 블루투스 기기부에 설치된 마이크를 노출시키는 마이크 노출 구조를 갖는다.
이외, 상술한 바와 같은 넥 밴드형 이어폰 홀더의 각 특징을 포함한다. 따라서, 위의 넥 밴드형 이어폰 홀더의 설명과 중복되지 않는 범위에서 본 발명의 넥 밴드형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를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의 블루투스 기기부의 외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의 블루투스 기기부의 회로 구성 블럭도이다. 도5a 내지 도5c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넥 밴드형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의 제품 사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의 블루투스 기기부는 도3(a)와 같이, 상단에 이어폰의 연결잭(또는 스피커의 연결잭)과 연결가능한 단자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블루투스 기기부의 마이크는 이어폰 단자가 형성된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부(12)에 형성된 마이크 노출 구조를 통하여 마이크를 노출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도3(a) 내지 도3(c)에 일부 표시된 바와 같이, 각 면에는 볼륨조절버튼, 통화입력 및 재생/정지 버튼 등 기능 입력 버튼과, 상태 표시등 및 입출력 단자가 형성되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도3(c) 및 도3(d)에서 와 같이, 넥 밴드형 이어폰 홀더와 분리시 의류 등에 꽂아 블루투스 기기부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블루투스 기기부의 후면에 착탈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의 기능적인 특징을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는 통상의 블루투스 핸즈프리와 마찬가지로 블루투스 기능이 탑재된 모바일폰과 페어링하여 연결된 후, 사용자가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를 통하여 모바일폰을 이용한 통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부가기능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블루투스 기기의 특징적인 기능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는 국부발진신호를 생성하는 크리스털 발진기인 XTAL(311)과 블루투스 송수신용 안테나(312), SAW필터(313)와 수신된 블루투스 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의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블루투스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블루투스 제어부(320), 블루투스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스피커 앰프(324),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또는 이어폰 연결단자(325),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326)로 구성된다.
블루투스 제어부(320)는, 통상적인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에서와 같이, 밸런(balun) 필터를 포함하고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송수신 신호를 변환하는 블루투스무선부(321), ROM(322), RAM(323), 기저대역 DSP(324), MCU(325), 칼림바 DSP(326)과 입출력부(327)로 구성되어, 블루투스 기능이 탑재된 모바일폰(미도시)으로부터의 블루투스 신호를 블루투스무선부(321)과 기저대역 DSP(324)와 칼림바 DSP(326)와 오디오 코덱(미도시) 및 스피커 앰프(324)를 거쳐 스피커 또는 이어폰 연결 잭(325)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마이크(325)를 통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블루투스제어부의 내부 앰프(미도시)에서 증폭한 후 오디오코덱(미도시)과 칼림바 DSP(326), 기저대역 DSP(324), 블루투스무선부(321)를 통해 블루투스 신호로 처리하여 안테나를 통해 모바일폰으로 전송한다.
입출력부(327)는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연결 직렬 포트를 제공하여, 외부 기기 또는 직렬 포트를 통하여 연결된 플래시 EEPROM으로 음원을 저장하거나, 외부 기기 또는 직렬 포트를 통하여 연결된 플래시 EEPROM으로 MP3 등 다양한 음원을 수신하여 재생하도록 구성되고, 이 경우, 블루투스 제어부(320)에는 음원의 변환 재생을 위하여 필요한 코덱(미도시)가 설치되어, MCU(325)는 음성신호를 변환하여 저장하거나, 직렬 포트를 통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 또는 플래시 EEPROM으로부터의 MP3 등 음원을 수신하여 재생한다.
아울러, 입출력부(327)는 UART/USB포트를 제공하여 PC 등의 연결을 통해 필요한 코덱 등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거나 내장된 배터리(미도시)를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PIO 포트를 제공하여 각종 버튼 입력을 송수신하고, 상태 표시등(미도시) 및 내장된 진동모터(미도시)를 제어하여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 제어부(320)의 MCU(325)는 페어링된 모바일폰으로부터의 수신신호를 모니터링하여, 수신신호가 일정 기준 이하로 약해지거나 페어링이 끊어지는 경우 상태 표시등(미도시) 및 내장된 진동모터(미도시)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경고함으로써 모바일폰의 분실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SPI(Serial Peripheral Interconnect)/I²C(Inter-Integrated Circuit)를 제공하여 다양한 주변 기기와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예시적인 장치 및 방법에서, 장치의 기능들은 블록으로써 구성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구성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구성은 상술한 바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 또는 중복하여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블록도에 나타낸 구성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구성을 포함되거나 블록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성이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넥 밴드형 이어폰 홀더 11: 넥 거치부
12: 제1결합부 13: 제2결합부
14: 이어폰의 양측 스피커 라인의 인출부
15: 개방구조 16: 제3결합부
17:체결부
20:이어폰의 측 스피커 라인
30: 음향출력기기/블루투스 기기부

Claims (11)

  1. 이어폰 코드의 수납 및 분리가 가능한 넥 밴드형 이어폰 홀더에 있어서,
    이어폰의 양측 스피커 라인(20)의 인출부(14)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이어폰 코드의 인입이 가능한 개방구조(15)를 갖는 이어폰 코드를 수납하는 중공의 넥 거치부(11); 상기 넥 거치부(11)의 일단에 형성되어 이어폰의 연결 잭이 관통하여 음향출력기기의 이어폰 단자에 결합되도록 결합홀이 형성되고 음향출력기기(30)의 이어폰 단자가 형성된 일단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결합부(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 밴드형 이어폰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넥 거치부(11)의 제1 결합부(12)와 대향하는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음향출력기기의 이어폰 단자가 형성된 일단에 대향하는 타단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결합부(1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 밴드 형 이어폰 홀더.
  3. 제2항에 있어서,
    넥 거치부(11)의 제1 결합부(12)와 대향하는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부(12)와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3 결합부(16)를 포함하고, 제1결합부에는 상기 제3 결합부와의 착탈가능한 결합을 위하여 체결부(1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 밴드 형 이어폰 홀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넥 밴드형 이어폰 홀더는 연성의 고무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 밴드 형 이어폰 홀더.
  5. 제1항 내지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출력기기는 블루투스 방식으로 신호를 송 수신하는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로서, 상기 제1결합부에는 상기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에 설치된 마이크를 노출시키는 마이크 노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 밴드 형 이어폰 홀더.
  6. 넥 밴드형 블루투스 기기에 있어서,
    음향출력이 가능한 이어폰 단자가 일단에 설치된 블루투스 기기부;
    상기 블루투스 기기부의 이어폰 단자에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된 연결 잭을 가지는 이어폰(20);
    이어폰 라인의 인출부(14)가 형성되고, 일측면에 이어폰 코드의 인입이 가능한 개방구조(15)를 갖고 이어폰 코드를 수납하는 중공의 넥 거치부(11)와,
    상기 블루투스 기기부의 이어폰 단자가 형성된 일단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이어폰의 연결 잭이 관통하여 상기 이어폰 단자에 결합되도록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넥 거치부(11)의 일단에 결합된 제1 결합부(12)를 포함하는 넥 밴드형 이어폰 홀더(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 밴드형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넥 밴드형 이어폰 홀더는,
    넥 거치부(11)의 제1 결합부(12)의 타단에, 상기 음향출력기기의 타단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결합부(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 밴드형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넥 밴드형 이어폰 홀더는,
    넥 거치부(11)의 제1 결합부(12)의 타단에, 상기 제1 결합부(12)와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3 결합부(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 밴드형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기기부의 마이크는,
    이어폰 단자가 형성된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부(12)는 블루투스 기기부에 설치된 마이크를 노출시키는 마이크 노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 밴드형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기기부는,
    외부기기와 연결되는 연결 직렬 포트를 포함하여, 직렬 포트를 통하여 외부기기로부터 음원을 수신하여 재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 밴드형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기기부는,
    진동모터를 포함하여, 페어링된 모바일폰으로부터의 수신신호를 모니터링하여, 수신신호가 일정 기준 이하로 약해지거나 페어링이 끊어지는 경우 상기 진동모터를 통하여 경고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 밴드형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
KR1020120042575A 2012-04-24 2012-04-24 넥 밴드형 이어폰 홀더 및 넥 밴드형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 KR201301196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575A KR20130119629A (ko) 2012-04-24 2012-04-24 넥 밴드형 이어폰 홀더 및 넥 밴드형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575A KR20130119629A (ko) 2012-04-24 2012-04-24 넥 밴드형 이어폰 홀더 및 넥 밴드형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629A true KR20130119629A (ko) 2013-11-01

Family

ID=49850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575A KR20130119629A (ko) 2012-04-24 2012-04-24 넥 밴드형 이어폰 홀더 및 넥 밴드형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19629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869B1 (ko) * 2014-03-21 2015-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음향기기
KR200482579Y1 (ko) 2015-08-18 2017-02-09 조병환 음이온을 방출하는 목걸이형 블루투스 헤드셋
US9571928B2 (en) 2014-03-13 2017-02-14 Lg Electronics Inc. Wireless sound equipment
KR200482913Y1 (ko) 2016-05-24 2017-03-15 강철민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가 구비된 넥 밴드형 블루투스 핸즈프리장치
WO2018049819A1 (zh) * 2016-09-14 2018-03-22 深圳市一程科技有限公司 脖挂式耳机
KR20190010012A (ko) 2017-07-20 2019-01-30 유한회사 청텍 헤드셋으로 변형 가능한 넥밴드형 이어폰
KR20200102739A (ko) * 2019-02-22 2020-09-01 주식회사 이엠텍 휴대용 음향기기의 탄성 밴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71928B2 (en) 2014-03-13 2017-02-14 Lg Electronics Inc. Wireless sound equipment
US10321229B2 (en) 2014-03-13 2019-06-11 Lg Electronics Inc. Wireless sound equipment
KR101507869B1 (ko) * 2014-03-21 2015-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음향기기
KR200482579Y1 (ko) 2015-08-18 2017-02-09 조병환 음이온을 방출하는 목걸이형 블루투스 헤드셋
KR200482913Y1 (ko) 2016-05-24 2017-03-15 강철민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가 구비된 넥 밴드형 블루투스 핸즈프리장치
WO2018049819A1 (zh) * 2016-09-14 2018-03-22 深圳市一程科技有限公司 脖挂式耳机
KR20190010012A (ko) 2017-07-20 2019-01-30 유한회사 청텍 헤드셋으로 변형 가능한 넥밴드형 이어폰
KR20200102739A (ko) * 2019-02-22 2020-09-01 주식회사 이엠텍 휴대용 음향기기의 탄성 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19629A (ko) 넥 밴드형 이어폰 홀더 및 넥 밴드형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기.
US20060126882A1 (en) Earphone
US8060031B2 (en) Hands-free cell phone jewelry
US2013033115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earable wireless speakerphone
KR101542598B1 (ko) 교체 가능한 텐션바를 갖는 블루투스 이어폰
CN206498514U (zh) 一种挂颈式无线耳机
WO2002071795A1 (en) Fixable-wire earphone
KR100901361B1 (ko) 모노-스테레오 겸용 무선 이어셋 및 이어폰
KR101109018B1 (ko) 사용성이 향상된 핸즈프리 장치
KR20110122974A (ko) 기능성 케릭터 구조를 갖는 이어폰 수납장치
KR101511752B1 (ko) 이어폰용 케이블 권선기구
KR101700556B1 (ko) 파우치형 블루투스 디바이스
JP2006086746A (ja) ヘッドセット装置
KR100619090B1 (ko) 활 타입 이어 후크를 갖는 블루투스 헤드셋
JP3068201U (ja) コ―ド付きストラップ
CN208299789U (zh) 一种一体式对讲机
KR101806238B1 (ko) 교체식 커버형 넥밴드 액세서리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헤드셋
KR200200252Y1 (ko) 이어폰 일체형 목걸이
CN209105249U (zh) 一种具有音响功能的手机指环扣
US9319505B2 (en) Terminal equipment with built-in retractable headset
KR200233019Y1 (ko) 목걸이형 이어폰-마이크 세트
KR200316856Y1 (ko) 목걸이형 스테레오 이어마이크세트
KR101043126B1 (ko) 핸즈프리 장치
KR20020024908A (ko) 마이크/이어폰 겸용 안테나가 구비된 휴대전화기
KR200216288Y1 (ko) 목걸이형 이어폰의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