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7566A - 지류 살균기 및 이를 이용한 지류 살균 방법 - Google Patents

지류 살균기 및 이를 이용한 지류 살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7566A
KR20160147566A KR1020150084484A KR20150084484A KR20160147566A KR 20160147566 A KR20160147566 A KR 20160147566A KR 1020150084484 A KR1020150084484 A KR 1020150084484A KR 20150084484 A KR20150084484 A KR 20150084484A KR 20160147566 A KR20160147566 A KR 20160147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ributary
sterilizing
dust collecting
steri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4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6273B1 (ko
Inventor
최미선
Original Assignee
최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미선 filed Critical 최미선
Priority to KR1020150084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6273B1/ko
Publication of KR20160147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7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류 살균기가 개시된다. 상기 지류살균기는 지류를 수용하며, 상기 지류가 장착되는 권취부 및 상기 지류가 인출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지류를 살균하는 살균부; 상기 커버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지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집진부; 및 상기 살균부 및 상기 집진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부로부터 상기 토출부까지의 상기 지류 경로에 인접하여 상기 집진부 및 상기 살균부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지류 살균기 및 이를 이용한 지류 살균 방법{TISSUE STERILIZER AND METHOD FOR STERILIZING TISSU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류 살균기 및 이를 이용한 지류 살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지류 자체에 포함된 분진이나 먼지를 제거한 후, UV LED를 지류에 투과시키는 지류 살균기 및 이를 이용한 지류 살균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장실이나 세면대 주변은 습도가 높기 때문에 세균들이 증식하기에 좋은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많은 사람들이 오고 가는 공공 화장실의 경우, 손을 닦기 위해 비치된 지류(예: 휴지, 종이타월 등)가 세균의 주요 전파경로가 될 수 있다. 지류 자체가 분진 또는 먼지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지류가 밀폐된 케이스에 수용되어 화장실과 같은 다습한 환경에 놓인 경우, 위생을 위한 지류가 오히려 세균을 키우고 전파하는 매개체가 될 수 있다.
종래의 지류 케이스는 지류를 수납하거나 지류를 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만을 수행하였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을 씻고 난 후에 지류로 손을 닦거나 용변을 본 후 지류를 사용하는 경우, 지류의 일 부분에 사용자의 손에 묻어 있던 세균이나 분비물 등이 묻어 그대로 방치될 수 있었다. 이로 인해, 다음 사용자가 지류를 잡는 순간 지류에 묻어 있는 세균이 다음 이용자의 손으로 전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지류 케이스는 사용자가 지류 케이스에 수납된 지류를 풀기 위하여 지류를 잡아당기는 경우, 종종 지류의 끝단이 지류 케이스 내부로 들어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지류 케이스에 손을 삽입한 후, 지류의 끝단을 찾아서 잡아당겼다. 이러한 경우, 지류의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지류가 사용자의 손에 묻어 있던 세균에 의하여 쉽게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005-0083155 A KR 10-2004-0030017 A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자동으로 지류를 풀어주며, 풀려진 지류에 포함된 먼지를 집진부가 필터링한 후, 살균부가 풀려진 지류를 살균함으로써 살균기능이 향상된 지류 살균기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류 살균기는 지류를 수용하며, 상기 지류가 장착되는 권취부 및 상기 지류가 인출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지류를 살균하는 살균부; 상기 커버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지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집진부; 및 상기 살균부 및 상기 집진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부로부터 상기 토출부까지의 상기 지류 경로에 인접하여 상기 집진부 및 상기 살균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집진부를 동작시켜 상기 지류에 포함된 상기 이물질을 제거한 후, 상기 살균부를 동작시켜 상기 지류를 살균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집진부는, 외부의 공기를 상기 커버부 내부로 유입시키는 펜(fan); 및 상기 유입된 공기의 유동에 의하여 상기 지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filter)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부 외주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부 및 상기 집진부 중 적어도 하나가 동작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를 점등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인체의 근접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인체의 근접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살균부 및 상기 집진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부 내부에 형성되며, 자동으로 지류를 풀어주는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급부는 상기 지류를 자를 수 있는 절단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상기 인체의 근접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가 상기 인체의 근접 신호를 검출하면, 상기 공급부, 상기 표시부, 상기 살균부 및 상기 집진부를 연동시킬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지류가 투시되는 견시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류 살균기를 이용한 지류 살균 방법은, 센서부가 인체의 근접함을 인식하고 인체의 근접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체 근접 신호를 전달 받은 제어부가 펜을 동작시켜 지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이물질이 제거된 상기 지류를 살균부가 살균하는 단계; 및 공급부가 살균된 상기 지류를 토출부로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펜 및 상기 살균부 중 적어도 하나가 작동시, 표시부가 점등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류 자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먼저 제거한 후, 살균부로 지류를 살균 처리함으로써 지류의 살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센서부에 손을 가까이 가져 가면, 자동으로 지류가 공급되어 지류가 사용자의 손에 포함된 세균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류 살균기의 기능적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류 살균기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류 살균기의 측면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류 살균기를 이용한 지류 살균 방법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류 살균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류 살균기의 기능적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류 살균기(100)는 살균부(110), 집진부(120), 센서부(130), 공급부(140), 표시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류란, 일상 생활 또는 화장실에서 잔 부스러기나 액체 등을 닦을 때 사용하는 얇은 종이, 휴지, 직물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류는 흡수력이 좋으며, 무언가를 닦을 때 사용되는 다양한 일회용품을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살균부(110)는 커버부(도 2의 201)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지류를 살균할 수 있다. 살균부(11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동작이 제어될 수 있으며, 열, 자외선 또는 약품 등을 지류에 방출함으로써, 지류의 표면 및 내부에 존재하는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을 살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살균부(110)는 UV(ultra violet) LED(light emitting diode)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LED는 전류를 흘려주면 빛을 발생시키는 반도체 소자로서, 특히 자외선을 방출하는 LED를 UV LED라 한다. 바람직하게는, 세균 및 박테리아의 살균을 위해 100 ~ 280nm의 파장을 지류에 방출하는 UV LED로 살균부(110)를 형성시킬 수 있다. UV LED는 기존의 UV 램프(lamp)에 비해 파장 제어가 용이하고 소비전력이 낮으며 발열이 적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즉, 기존의 UV 램프는 복사열로 인하여 조사면의 온도가 상승되므로, UV 램프와 조사면 간에 일정 거리를 이상을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UV LED는 발열이 적어, 조사면과 광원과의 거리를 가깝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 UV 램프는 안정화를 위해 전원을 켜고 예열을 시켜야 하지만, UV LED 광원은 반응 속도가 빨라 예열 시간이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UV LED는 용이하게 소형 제품으로 형성시킬 수 있는 바,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디자인으로 응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집진부(120)는 커버부(도 2의 201)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며, 지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이물질이란, 분진 또는 먼지뿐만 아니라 식물의 화분, 동물의 낙설, 박테리아, 금속 물질 등 지류 상에 존재할 수 있는 미세한 고체 입자를 말한다. 이러한 미세한 고체 입자는 미생물이 쉽게 착근할 수 있는 매개체가 될 수 있는 바, 이를 제거해줌으로써 지류의 살균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집진부(120)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센서부(130)는 인체의 근접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자가 손을 씻고 난 후 센서부(130)에 손을 가까이 가져가거나 사용자가 지류 살균기(100) 근처로 다가가게 되면, 센서부(130)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60)로 인체의 근접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공급부(140)는 커버부(도 2의 201) 내부에 형성되며, 자동으로 지류를 풀어 토출부(도 2의 203)로 인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부(140)는 지류의 적어도 일 영역과 결합될 수 있으며, 회전운동을 통하여 지류를 지류 살균기(100)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급부(140)는 지류를 자를 수 있는 절단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급부(140)의 구성을 통해, 지류의 과다 사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지류를 인출시키다가 인장력이 약한 지류가 끊어져서 지류 살균기(100) 내부로 손을 집어넣어 꺼내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급부(140)는 사용자가 센서부(130)에 손을 대고 있는 동안은 지류를 풀어주고, 센서부(130)로부터 손을 제거한 경우에는 지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필요한 지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공급부(15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풀린 지류의 양이 일정수치에 도달하게 되면, 작동을 멈춰 더 이상 지류가 풀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표시부(150)는 커버부(도 2의 201) 외주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150)는 살균부(110) 및 집진부(120) 중 적어도 하나가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점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살균부(110)가 작동되면, 제어부(160)에 의해 표시부(150)가 점등되어 사용자에게 지류가 살균 중임을 시각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제어부(160)는 지류 살균기(100)의 각 구성 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살균부(110) 및 집진부(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집진부(120)를 먼저 동작시켜 지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한 후, 살균부(110)를 동작시켜 지류의 살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60)는 센서부(130)의 인체의 근접 신호를 수신하면, 살균부(110), 집진부(120), 공급부(140) 및 표시부(150)를 연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용자가 손을 씻고 난 후 센서부(130)에 손을 가까이 가져가면 센서부(130)가 이를 감지한 후 제어부(160)로 인체의 근접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제어부(160)는 인체의 근접 신호를 수신하면, 먼저 집진부(120)를 작동시켜 지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게 할 수 있다. 지류의 이물질이 제거되면, 제어부(160)는 살균부(110)를 작동시켜 지류를 살균한 후, 공급부(150)를 작동시켜 지류를 지류 살균기(100)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60)는 일정 시간 또는 일정 주기마다 살균부(110) 및 집진부(1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센서부(130)와 독립하여 인체의 근접여부와 관계없이, 제어부(160)는 주기적으로 살균부(110) 및 집진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지류 살균기(100) 사용 빈도가 높지 않아, 지류가 장기간 지류 살균기(100)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경우에도, 제어부(160)가 주기적으로 지류를 살균 및 집진함으로써, 지류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류 살균기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류 살균기(200)는 커버부(201), 살균부(210), 집진부(220), 센서부(230), 표시부(240) 및 공급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201)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지류(P)를 수용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커버부(201)는 지류(P)가 장착되는 권취부(202) 및 지류(P)가 인출되는 토출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 권취부(202)는 지류(P)를 말아서 보관할 수 있는 장소로서, 사용자에게 즉시 공급하지 않는 지류(P)를 수용하며 지류(P)의 압축상태를 유지하는 공간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권취부(202)는 회전봉(202_1) 및 수용홈(202_2)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봉(202_1)은 수용홈(202_2)과 결합될 수 있으며, 지류(P)가 커버부(201) 내부에서 회전 운동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회전봉(202_1)은 제어부(도 1의 160)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공급부(250)와 연동하여 지류를 자동으로 풀어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관한 회전봉(202_1)의 작동에 대해서는 후술할 공급부(250)를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토출부(203)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지류(P)가 지류 살균기(200) 외부로 공급되는 장소로서, 살균부(210) 및 집진부(220)를 거친 지류(P)가 토출부(203)를 통해 인출되게 된다. 토출부(203)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커버부(201)의 적어도 일 영역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201)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지류가 투시되는 견시창(204)이 형성될 수 있으며, 견시창(204)은 투명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견시창(204)을 통해 잔존하는 지류(P)의 양을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는 커버부(201)를 열었다 닫았다 하지 않고도 지류(P)의 교체 시기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커버부(201)는 제 1 커버(201_1), 제 2 커버(201_2) 및 제 3 커버(201_3)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커버(201_1)의 양 측면에는 집진부(220)의 펜(221) 및 필터(222)를 수용할 수 있다. 제 2 커버(201_2)는 제 1 커버(201_1)와 탈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용이하게 지류(P) 및 필터(222)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제 2 커버(201_1) 및 제 3 커버(201_3) 중 적어도 하나의 외주면에는 표시부(240)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커버부(201)는 화장실 벽 등에 부착되는 것이 일반적인 바, 커버부(201)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 영역은 벽 등에 부착될 수 있도록 결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살균부(210)는 지류에 포함된 세균을 살균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커버부(201)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살균부(210)는 지류 뿐만 아니라 커버부(201) 내부의 공기도 살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살균부(210)는 커버부(210)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살균부(210)는 권취부(202)로부터 토출부(203)까지의 지류 경로에 인접하여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살균부(210)의 위치 및 동작 등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집진부(220)는 지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펜(fan)(221) 및 필터(filter)(222)로 형성될 수 있다. 펜(221)은 외부의 공기를 커버부(201)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즉, 펜(221)이 회전하면 지류 살균기(200)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면서 공기의 유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공기의 유동에 의해 지류(P)의 표면에 포함되어 있던 미세한 이물질이 지류(P)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필터(222)는 펜(221)에 의해 발생된 공기의 유동에 의하여 지류로부터 분리된 이물질 및 지류 살균기(200)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집진부(220)의 위치 및 동작 등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하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센서부(230)는 인체의 근접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제어부(도 1의 160)로 송신할 수 있다. 센서부(230)는 인체의 근접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201)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근접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센서부(230)에 손을 가까이 가져다 대면, 지류(P)의 살균을 위하여 살균부(210) 및 집진부(220)가 작동될 수 있으며, 공급부(230)는 살균이 끝난 지류(P)를 지류 살균기(200) 외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직접 센서부(230)를 터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센서부(230)를 통해 사용자의 손에서 다른 사용자의 손으로 세균이 전염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표시부(240)는 커버부(201) 외주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살균부(210) 및 집진부(220) 중 적어도 하나가 동작하는 경우, 점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살균부(210) 및 집진부(220)에 대한 작동 정보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표시부(240)의 개수 및 위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부(240)는 필터(222)의 교체 시기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도 있다.
공급부(250)는 커버부(201)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자동으로 지류(P)를 풀어 토출부(203)로 인출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급부(250)는 지류를 자를 수 있는 절단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부(250)를 통해, 사용자는 용이하게 지류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지류가 뜯어지면서 발생하는 먼지 또는 분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급부(250)는 지류(P)를 자동으로 풀어주기 위하여, 전동모터(미도시) 및 롤러(25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동모터가 회전하면 롤러(251)도 함께 회전하게 되고, 롤러(251)의 회전 운동과 연동되어 지류(P)가 풀릴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롤러(251)는 롤(roll)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롤 센서는 롤러(251)가 지류(P)와 함께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풀린 지류(P)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이다. 따라서 공급부(250)는 풀린 지류(P)의 양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하여 사용자에게 일정량의 지류(P)를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급부(250)는 회전봉(202_1)과 연동될 수 있다. 즉, 공급부(250)와 회전봉(202_1)이 연동됨으로써 지류(P)를 풀거나 지류 살균기(200) 외부로 인출하는 것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공급부(250)에 지류(P)가 걸려져 있지 않는 경우, 회전봉(202_1)이 제어부(도 1의 160)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 운동하여 지류(P)를 풀어줌으로써, 공급부(250)가 풀려진 지류(P)와 결합되게 할 수 있다.
도 2는 공급부(250)가 지류 살균기(200)의 하부면에서 지류(P)를 공급하는 형상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지류 살균기(200) 측면 또는 상부면에서 지류(P)를 커버부(201) 외부로 배출시킬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류 살균기의 측면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부(220) 및 살균부(210)는, 권취부(202)로부터 토출부(203)까지의 지류 경로(A)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집진부(220)의 위치가 지류 살균기(200) 측면에 위치하여, 지류 살균기(200) 내부 공기를 직접 필터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살균부(210)를 거치기 전에 미리 지류(P)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특히, 권취부(202)로부터 토출부(203)까지의 지류 경로(A)에 집진부(220)를 형성시킴으로써 지류(P)의 양면에 포함된 이물질을 모두 제거할 수 있다.
살균부(210)는 지류(P)의 이물질 제거 후 외부로 토출되는 지류(P) 부분에 대해 직접 살균을 수행할 수 있어, 살균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살균부(210)도 권취부(202)로부터 토출부(203)까지의 지류 경로(A)에 형성될 수 있으며, 지류(P)의 양면을 살균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살균부(210)를 서로 마주보게 배치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집진부(202), 살균부(210) 및 공급부(250)는 순차적으로 연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균부(210)의 동작 전에, 먼저 집진부(220)를 이용하여 지류(P)에 포함되어 있는 분진이나 먼지를 빨아 들일 수 있다. 즉, 펜(221)에서 공기를 커버부(201) 내부로 빨아들이면 필터(222)를 통해 지류(P) 내에 포함된 미세한 이물질이 공기의 유동으로 인하여 지류(P)로부터 분리되어 집진부(220)로 이동되게 된다. 집진부(220)는 이러한 이물질을 필터(222)에 안착시키거나 집진부(220)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커버부(201)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지류(P)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렇게 이물질이 먼저 제거된 지류(P)에 살균부(210)가 살균작용을 수행함으로써, 세균에 미치는 자외선의 유효 반응이 더욱 높아져 살균효과를 높일 수 있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류(P)가 뭉쳐져 있는 권취부(202)가 아닌 지류(P)가 풀려져 있는 지류 경로(A)에 살균부(210) 및 집진부(220)를 배치시킴으로써, 집진부(220) 및 살균부(210)와 작용하는 지류(P)의 표면적이 넓어져 이물질 제거 및 살균효과를 높일 수 있다. 계속하여, 집진부(220) 및 살균부(210)를 통과한 지류(P)를 공급부(250)가 잘라줌으로써, 지류(P)를 뜯을 때 발생하는 먼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급부(250)가 지류를 커팅한 후 집진부(220)만 추가로 동작될 수도 있다. 즉, 이와 같은 방법으로 공급부(250)의 커팅 및 지류(P)의 이동으로 인하여 발생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살균부(210) 및 집진부(220)의 위치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상기 살균부(210) 및 집진부(2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류 살균기(200)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류 살균기를 이용한 지류 살균 방법을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지류 살균 방법(400)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류 살균기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센서부가 인체의 근접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S410 단계). 구체적으로, S410 단계는, 사용자의 손이나 사용자가 센서부 근처로 다가오는 것을 감지한 후, 인체의 근접 신호를 생성하며 이를 제어부가 인식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부는 적외선 등을 쏘아 인체의 근접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S410 단계는, 사용자가 직접 센서부를 터치하거나 가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센서부의 인체 근접 신호를 전달 받은 제어부가 집진부의 펜(fan)을 동작시킬 수 있다(S420 단계). 구체적으로, S420단계는 제어부가 펜을 동작시키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면서, 지류 살균기 내부 공기가 유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공기의 유동은 지류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던 먼지나 분진 등의 이물질을 지류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며, 지류로부터 분리된 먼지는 유동된 공기를 타고 집진부의 필터에 걸러지게 된다. 또한, S420단계는 펜 및 필터를 이용하여 지류 살균기의 내부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물질이 제거된 지류를 살균부가 살균할 수 있다(S430 단계).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류 살균기는 집진부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지류를 살균부가 살균함으로써, 살균의 효과가 상승될 수 있다.
다음으로, 펜 및 살균부 중 적어도 하나가 작동시, 표시부가 점등될 수 있다(S440 단계). 표시부가 점등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지류가 살균 중임을 인식하게 할 수 있다. 표시부는 일정한 주기로 점등이 되거나, 점등되는 색상을 변화시킴으로써 지류 살균기가 동작 중임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공급부가 살균된 상기 지류를 토출부로 인출할 수 있다(S450 단계). 집진부 및 살균부를 통과한 지류는 작동부에 의해 지류 살균기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또한, 공급부는 일정 양의 지류가 인출되면, 지류를 잘라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S410 단계 내지 S450 단계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류 살균기는, 집진부의 펜 및 필터를 이용하여 지류살균기 내부 공기를 직접 필터링할 뿐만 아니라, 지류 사용 전 미리 지류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지류의 먼지 또는 분진 제거 후 외부로 토출되는 지류 부분에 대해 직접 UV를 이용한 살균을 수행할 수 있어 살균기능이 향상된 지류 살균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류 살균기를 이용한 지류 살균 방법 (400)은 실시예에 따라 S410 및 S450 단계 중 적어도 한 단계를 생략하거나 단계들의 순서를 서로 바꾸는 등 다양하게 변경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류 살균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류 살균기(200)는 많은 사람이 오고 가는 공공 화장실에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센서부(230)에 손을 가까이 가져가면, 집진부(도 2의 220)) 및 살균부(도 2의 210)가 순차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부(240)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점등되어 사용자에게 지류(P)가 집진 및 살균 상태인 것을 인식하게 할 수 있다. 계속하여, 집진 및 살균을 마친 지류(P)는 공급부(도 2의 250)에 의해 지류 살균기(200) 밖으로 인출될 수 있다. 공급부(도 2의 250)는 절단 부재(미도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집진 및 살균을 마친 지류(P)의 일정량을 컷팅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휴지를 뜯을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공급부(도 2의 250)가 절단 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지류(P)를 자동으로 잘라줌으로써, 지류(P)를 뜯을 때 발생하는 먼지 발생 현상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류(P)의 끝단이 지류 살균기(200) 내부로 들어가 사용자가 지류 살균기(200) 내부로 손을 집어 넣어 휴지와 접촉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부(230)의 손을 대고 있는 동안은 집진부(도 2의 220), 살균부(도 2의 210) 및 공급부(도 2의 250)가 연동되어, 지류(P)가 계속하여 지류 살균기(200) 밖으로 인출 되다가, 센서부(230)에서 손을 뗀 경우, 공급부(도 2의 250)의 컷팅 기능이 작동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길이만큼의 지류(P)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류 살균기(200)에 수납된 지류(P)는 마른 종이나 타올 종류가 아닌 물수건 형태의 지류(P)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지류(P)에 수분 또는 액체 소독약을 공급할 수 있는 별도의 수분 공급구성을 더 포함하거나 물티슈와 같이 처음부터 수분을 함유하는 지류(P)를 지류 살균기(200) 내부에 수용한 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지류 살균기(200)가 화장실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라 일반 가정의 식탁 근처, 식당, 교실 및 병원 등 살균된 지류(P)가 필요한 다양한 장소에 지류 살균기(2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지류 살균기 110 살균부
120 집진부 130 센서부
140 공급부 150 표시부
160 제어부
200 지류 살균기 201 커버부
202 권취부 203 토출부
204 견시창 210 살균부
220 집진부 221 펜(fan)
222 필터(filter) 230 센서부
240 표시부 250 공급부
251 롤러 P 지류

Claims (12)

  1. 지류를 수용하며, 상기 지류가 장착되는 권취부 및 상기 지류가 인출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지류를 살균하는 살균부;
    상기 커버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지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집진부; 및
    상기 살균부 및 상기 집진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부로부터 상기 토출부까지의 상기 지류 경로에 인접하여 상기 집진부 및 상기 살균부가 형성되는, 지류 살균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집진부를 동작시켜 상기 지류에 포함된 상기 이물질을 제거한 후, 상기 살균부를 동작시켜 상기 지류를 살균하는, 지류 살균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외부의 공기를 상기 커버부 내부로 유입시키는 펜(fan); 및
    상기 유입된 공기의 유동에 의하여 상기 지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filter)로 형성되는, 지류 살균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 외주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부 및 상기 집진부 중 적어도 하나가 동작하는 경우, 상기 표시부를 점등시키는, 지류 살균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인체의 근접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상기 인체의 근접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살균부 및 상기 집진부를 제어하는, 지류 살균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 내부에 형성되며, 자동으로 상기 지류를 풀어주는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지류 살균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지류를 자를 수 있는 절단 부재를 포함하는, 지류 살균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인체의 근접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공급부를 제어하는, 지류 살균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의 상기 인체의 근접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공급부, 상기 표시부, 상기 살균부 및 상기 집진부를 연동시키는, 지류 살균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지류가 투시되는 견시창을 더 포함하는, 지류 살균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지류 살균기를 이용한 지류 살균 방법으로서,
    센서부가 인체의 근접함을 인식하고 인체의 근접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체 근접 신호를 전달 받은 제어부가 펜을 동작시켜 지류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이물질이 제거된 상기 지류를 살균부가 살균하는 단계; 및
    공급부가 살균된 상기 지류를 토출부로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류 살균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펜 및 상기 살균부 중 적어도 하나가 작동시, 표시부가 점등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지류 살균 방법.
KR1020150084484A 2015-06-15 2015-06-15 지류 살균기 및 이를 이용한 지류 살균 방법 KR102066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484A KR102066273B1 (ko) 2015-06-15 2015-06-15 지류 살균기 및 이를 이용한 지류 살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484A KR102066273B1 (ko) 2015-06-15 2015-06-15 지류 살균기 및 이를 이용한 지류 살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7566A true KR20160147566A (ko) 2016-12-23
KR102066273B1 KR102066273B1 (ko) 2020-01-14

Family

ID=57736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4484A KR102066273B1 (ko) 2015-06-15 2015-06-15 지류 살균기 및 이를 이용한 지류 살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62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3979B1 (ko) * 2020-02-19 2021-08-25 김철만 화장실휴지 걸이시스템
KR20210124878A (ko) * 2020-04-07 2021-10-15 (주)맥솔루션 살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0017A (ko) 2004-03-04 2004-04-08 양영근 두루마리화장지케이스 겸 종이먼지흡입 제거기
KR20050083155A (ko) 2005-08-05 2005-08-25 권대웅 살균장치가 내장된 화장지걸이 하우징
KR20120005770U (ko) * 2011-02-07 2012-08-17 신연철 살균기능이 구비된 자동 휴지 디스펜서
KR20130130065A (ko) * 2011-03-02 2013-11-29 가부시키가이샤 시코쿠 페이퍼 홀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0017A (ko) 2004-03-04 2004-04-08 양영근 두루마리화장지케이스 겸 종이먼지흡입 제거기
KR20050083155A (ko) 2005-08-05 2005-08-25 권대웅 살균장치가 내장된 화장지걸이 하우징
KR20120005770U (ko) * 2011-02-07 2012-08-17 신연철 살균기능이 구비된 자동 휴지 디스펜서
KR20130130065A (ko) * 2011-03-02 2013-11-29 가부시키가이샤 시코쿠 페이퍼 홀더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3979B1 (ko) * 2020-02-19 2021-08-25 김철만 화장실휴지 걸이시스템
KR20210124878A (ko) * 2020-04-07 2021-10-15 (주)맥솔루션 살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6273B1 (ko) 202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1587A (en) Hand washing and drying apparatus and system including waste disposal apparatus and method
US20140137369A1 (en) Self-sanitizing door handle
KR101375568B1 (ko) 생리대 수거함
JP4072110B2 (ja) 殺菌装置
KR101620492B1 (ko) 생리대 수거함
KR100922253B1 (ko) 살균이 용이한 휴대용 칫솔
KR20140145214A (ko) 핸드 레일 크리닝 장치
KR20160147566A (ko) 지류 살균기 및 이를 이용한 지류 살균 방법
US9737625B2 (en) Sanitizing device
JP2010019430A (ja) 空気調和機
KR20120002300A (ko) 살균 건조부를 포함하는 비데
KR100995005B1 (ko) 음수공급장치
KR20100013178A (ko) 살균 및 악취제거가 가능한 음이온 발생 비데
KR20200010719A (ko)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
KR20160142213A (ko) 좌변기 기반의 탈취 장치
KR20110077421A (ko) 감지센서와 연계된 살균 정화장치
JP2008100003A (ja) 電気掃除機
KR20120012710A (ko) 살균유닛을 갖는 정수기
KR200338582Y1 (ko) 급수전 살균기를 갖는 정수기
JP2004061078A (ja) 空気清浄機
CN213883001U (zh) 一种人员免移位走动的洗手烘手一体机
KR100643751B1 (ko) 광고판을 겸한 엘리베이터용 살균기
JP2010268941A (ja) 電気掃除機
CN217645576U (zh) 一种抽纸机用自动消毒装置
KR102477715B1 (ko) 복합 공간방역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