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0719A -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0719A
KR20200010719A KR1020180085111A KR20180085111A KR20200010719A KR 20200010719 A KR20200010719 A KR 20200010719A KR 1020180085111 A KR1020180085111 A KR 1020180085111A KR 20180085111 A KR20180085111 A KR 20180085111A KR 20200010719 A KR20200010719 A KR 20200010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odor
unit
portabl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3301B1 (ko
Inventor
서경한
Original Assignee
서경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한 filed Critical 서경한
Priority to KR1020180085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301B1/ko
Publication of KR20200010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0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01D39/2058Carbonaceous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articulate
    • B01D39/2062Bonded, e.g. activated carbon b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형 상가 등 공공시설 등에 설치된 화장실 등에서 사용자가 쾌적하게 좌변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 {Portable Bathroom offensive odor removal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좌변기의 일측에 부착되어 좌변기 내의 악취를 흡입, 정화할 수 있는 동시에 UV조사 등을 통해 좌변기 내측을 소독하는 동시에,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음이온 발생부를 통해 화장실 내부 공간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경제발전과 위생, 편의성 등에 대한 인식 개선 등을 통해 최근에는 좌변기가 가정, 사무공간, 공공공간 등 다양한 곳에 설치되고 있다.
하지만, 좌변기 및 좌변기가 설치된 화장실의 경우, 좌변기 사용에 따른 악취 발생과 이로 인한 여러가지 쾌적하지 못한 환경이 좌변기를 중심으로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 등에게 불쾌한 공간 및 장소로 인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공공화장실의 경우 다양한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특성에 의해 위생 상태나 관리가 불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을 기피하거나 별도의 물티슈, 휴대용 변기커버 등의 청소도구를 개별적으로 소지하고 다니는 일도 빈번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 및 불편한 부분을 감안하여 사용자가 휴대하기도 편하면서 좌변기의 위생적인 사용을 지원할 수 있는 기구들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6792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94068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좌변기 사용 등에 따라 좌변기 내측에 존재하거나 증식할 수 있는 각종 유해세균을 UV-C Lamp로 조사, 살균하고, 좌변기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용변 악취를 즉시 흡입하여 정화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좌변기 일측에 부착된 음이온 발생부를 통해 좌변기가 설치된 화장실 내부 공간의 쾌적 상태 유지가 가능한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의 제공에도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좌변기 일측에 탈부착하고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휴대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의 제공에도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탈착부; 상기 탈착부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좌변기 내측에 자외선 살균 기능을 수행하는 UV조사부; 상기 탈착부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몸체부를 포함하여, 상기 좌변기 일측에 부착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측에 상기 좌변기 외측으로 음이온을 공급할 수 있는 음이온 발생부; 상부에 화장실 및 상기 좌변기 내측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흡입 및 정화할 수 있는 필터부; 및 상단에 상기 음이온 발생부 및 상기 UV조사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동작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의 제공을 통해 달성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해 상기 탈착부는, 내부에 관통되어 형성된 통기관을 포함하되, 상기 통기관의 일단부는 상기 좌변기 내측으로 노출 형성되며, 상기 통기관의 타단부는 상기 필터부와 연결되어, 상기 좌변기 내측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흡입 정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의 제공도 고려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필터부는, 활성탄소 및/또는 활성탄소섬유 소재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소형 필터가 다단이 쌓인 블록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블록형태는, 상기 필터부를 형성하는 각각의 상기 소형 단위 필터 모듈의 상단부에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소형 단위 필터 모듈의 하단부에는 상기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돌기와 대응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좌변기 내측에서 발생하는 악취 정화를 위한 접촉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사용 기간이 도과한 상기 필터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하는 상기 소형 단위 필터 모듈을 사용자가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의 형태로도 구성 가능한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탈착부는, 내부의 설정된 위치에 상기 좌변기 내측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강제 흡입할 수 있는 흡입팬을 추가로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통기관은, 관통 형성되는 내측벽에는 광촉매 입자가 도포된 금속 또는 고분자 재질로 상기 좌변기 내측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의 형태로의 제공을 통해 본 발명의 목적 달성 역시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동작제어부는, 상기 탈착부의 상부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상기 좌변기 사용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좌변기 사용이 확인되는 경우, 자동적으로 상기 음이온 발생부 및 상기 UV조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의 제공을 통해서도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좌변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UV-C Lamp 및/또는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LED램프를 통해 자외선을 좌변기 내측으로 조사하여 좌변기 내측의 각종 유해세균을 멸균, 제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위생적인 좌변기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음이온 발생부를 화장실 실내 공간의 쾌적도를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좌변기에 탈부착 가능한 바, 다양한 공공공간에 설치된 화장실 좌변기의 사용도 보다 안심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의 사용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의 체결 작동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의 사용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의 체결 작동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이온 발생부(110), 필터부(130), 동작제어부(150), UV조사부(170) 및 탈착부(190)를 포함한다.
음이온 발생부(110)는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100)의 외부로 노출된 일측에 형성되고, 산림향 등 상쾌한 향 등을 발산하거나, 음이온, 오존 및/또는 자연, 인공향의 생성 및 생성된 음이온 등의 물질을 악취제거 장치(100)의 외측으로 방출할 수 있는 모듈을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이온 발생부(110)는 음이온 생성기 또는 공기청청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좌변기 주변의 공기에 방전을 하여 산소의 분자를 깨뜨려 오존을 생성하거나, 정전기를 발생시켜 주변의 먼지 등의 이물질을 끌여 들어 흡착할 수도 있다.
필터부(130)는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100)의 내부 및/또는 하단부에 형성되며, 후술한 탈착부(190) 내의 통기관을 따라 악취제거 장치(100) 내부로 유입되는 좌변기 내측(13)에 형성된 악취를 정화할 수 있는 필터 모듈을 지칭한다. 이를 위해 필터부(130)는 활성탄소 및/또는 활성탄소섬유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탈취 성능을 높이기 위해 상기 활성탄소 및/또는 활성탄소섬유는 다단이 쌓인 블록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접촉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사용 기간이 도과한 필터부(1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사용자가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30)를 구성하는 다단이 쌓인 소형의 개별 블록은 레고(Lego) 블록(즉, 필터부(130)를 이루는 하나 이상의 각각의 소형 필터 모듈들이 단위블록(단위 필터 모듈)을 이루고, 이들 소형 필터 모듈의 상단부에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단위블록의 하단부에는 상기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돌기와 대응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수용홈이 형성되는 구조)과 같은 형태로 각각 제공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휴대 가능한 악취제거 장치(100)의 설정된 위치(하단부 또는 내부에 설정된 공간)에 손쉽게 맞춰 끼우거나, 필요시 전체 또는 필터부(130)의 일부 단위 블록을 제거하고 새로운 소형 단위 블록을 끼워 맞춤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30)는 복수개의 소형 필터가 다단이 쌓인 블록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블록형태는, 상기 필터부를 형성하는 각각의 상기 소형 단위 필터 모듈의 상단부에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소형 단위 필터 모듈의 하단부에는 상기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돌기와 대응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좌변기 내측에서 발생하는 악취 정화를 위한 접촉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사용 기간이 도과한 상기 필터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하는 상기 소형 단위 필터 모듈을 사용자가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지원하도록 설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30)는 악취 제거 성능을 높이기 위해 폴리에틸렌을 바인더로 하고, 활성탄소와 함께 추가적으로 구리와 같은 금속 촉매를 첨가하여 탈취 성능을 고도화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30)는 활성탄소 표면에 알칼리 금속의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수산화물이 담지된, 알칼리계 금속이 처리된 필터용 활성탄소 소재의 제공을 통해 화장실 내 악취 및 불쾌한 냄새 등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30)는 증류수에 활성탄소와 알칼리 금속 전구체 또는 알칼리 토금속 전구체를 용해시켜 혼합용액을 준비하고, 준비된 혼합용액을 상온에서 교반시켜 제1교반용액을 준비한 이후, 준비한 제1교반용액에 산촉매를 첨가한 후, 산촉매가 첨가된 제1교반용액을 상온에서 교반시켜 생성된 제2교반용액을 필터링 후 건조하여 알칼리 금속 산화물-활성탄소 또는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활성탄소를 제조하여 알칼리계 금속이 처리된 필터부(130)의 형태로도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이 경우 전술한 알칼리 금속 전구체 또는 알칼리 토금속 전구체는, 0.025 내지 3 M(mol/ℓ)의 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칼리계 금속 포함 필터부(130)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동작제어부(150)는 좌변기 사용을 인식(예컨데, 탈착부(190)의 상단에 부착된 센서 등을 통해 좌변기 의자(11)가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눌리는 것을 인식하는 등)하고, 자동적으로 음이온 발생부(110), UV조사부(170) 및/또는 탈착부(190) 내부의 통기관으로 좌변기 내측(13)의 악취 등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부(130)의 방향으로 상기 공기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을 지칭한다.
이를 위해 동작제어부(150)는 악취제거 장치(100)의 상측에 위치할 수도 있으나, 블루투스, 와이파이, NFC, Zigbee 통신망 등에 기반한 무선 통신모듈 등으로 연결될 경우, 별도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악취제거 장치(100)의 내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제어부(150)는 별도의 무선 통신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의 신호를 받아 상기 음이온 발생과 악취 정화 등의 기능을 수행하거나, 미리 설정된 시간이나 설정된 온도, 습도 조건 등에 따라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동작제어부(150)는 별도의 타이머 기능이나 좌변기(10) 내측 및/또는 외측의 온도, 습도나 좌변기 내측(13)의 청결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별도의 센서와 이를 지원하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제어부(150)는 좌변기 물탱크(12)의 수위 정보(물탱크 내부에 수용된 좌변기용 물의 높낮이 상태)를 확인하고, 상태에 따라 UV-C Lamp를 통한 좌변기 내측(13)의 청결상태 유지나 음이온 발생부(110) 등의 가동 여부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좌변기 물탱크(12) 수위 측정 및 이와 연동되어 음이온 발생부(110), UV조사부(17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UV조사부(170)는, 탈착부(190)의 단부에 위치하며, 동작제어부(150)의 신호에 따라, 좌변기 내측(13)에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유해세균을 멸균, 제균할 수 있는 UV-C Lamp(자외선 살균램프)를 포함하는 자외선 조사모듈을 지칭한다. 또한 UV조사부(170)는 좌변기 내측(13)으로 발산되는 자외선 램프의 빛을 통해 쾌적하게 운용되고 있는 좌변기(10)에 미적 효과를 부여(이를 위해 UV-C Lamp 이외에 추가적으로 좌변기 내측(13)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는 LED램프가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함으로써 상점이나 대중 이용시설 등에서 사용할 경우, 해당 상점 등을 방문한 고객들이 보다 안심하고 쾌적하게 좌변기(10)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 역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조사부(170)는 일단부에 코팅된 광촉매(Photocatalyst)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UV조사부(170)에 의해 발생하는 빛과 반응하여 발생되는 광분해 작용을 통해 좌변기 내측(13)의 악취 등 불쾌감 유발 물질의 분해 및 처리를 추가적으로 지원할 수도 있다.
또한 UV조사부(170)는 동작제어부(150)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이나 시간 간격, UV조사량, 조사 강도 등을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좌변기(10) 사용이 많은 시간과 적은 시간, 사용이 없는 시간 등을 구분하여 악취제거 장치(100)를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장치(100)의 수명 연장과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지원할 수도 있다.
탈착부(190)는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100)의 일측으로 길게 형성된 지지부재로, 일단부에는 좌변기 내측(13)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UV조사부(170)가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음이온 발생부(110), 필터부(130) 및 동작제어부(150)를 포함하는 몸체부(100a)가 형성된다. 또한 탈착부(190)는 좌변기 의자(11)가 내려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의자(11) 사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의자(11) 하부에 형성된 부양돌기(11a)의 두께보다 낮은 두께로 연결(지지부)되어 일단부에는 UV조사부(170), 타단부에는 음이온 발생부(110), 필터부(130) 및 동작제어부(150)를 포함하는 몸체부(100a)가 지지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즉, 도 2를 참조로 확인할 경우, ㄷ 자 형상의 입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타단부에 형성된 동작제어부(150)에서 좌변기 안쪽(내측)으로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즉 UV조사부(170)가 형성된 일단부, 방향으로)으로 길게 이어진 지지대와 같이 얇게 이어진 지지부분을 지지부라 하며, 상기 몸체부(100a)는 탈착부(190)의 타단부에 부착 체결되어 좌변기(10)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음이온 발생부(110), 필터부(130), 동작제어부(150)를 포함하는 구성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탈착부(190)는 좌변기 일측의 벽체에 손쉽게 탈부착 가능하도록 충분한 폭으로 상기 지지부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좌변기(10)의 일측에 쉽게 거치할 수 있는 ㄷ 구조를 통해 좌변기의 좌측, 우측에 자유롭게 거치(사용자가 왼손잡이, 오른손잡이 여부에 상관없이 사용자의 편리한 바대로 장치 및 사용 가능)할 수 있는 동시에, 휴대도 가능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기존 비데 등이 설치된 좌변기(10)에도 기존 비데 등의 장치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는 위치에 편리하게 악취제거 장치(100)를 거치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바, 사용자의 편의성 도모는 물론, 화장실 관리자의 입장에서도 기존 비데 등의 사용과 함께 새로운 악취제거 장치(100)를 보다 손쉽게 설치, 사용 및 유지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부에는 별도의 무게 센서나 빛 센서 등이 제공되고 이를 통해 좌변기(10) 사용시 내려지는 좌변기 의자(11)에 가해지는 무게나 좌변기 의자(11)의 내림상태에 의해 가려지는(좌변기 의자(11)에 의해 상기 지지부 상부에 형성된 빛 센서 등이 가려짐) 상기 지지부의 상태 등에 따라 좌변기(10)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고, 이에 따라 동작제어부(150)에 신호를 전달하고, 동작제어부(150)를 통해 음이온 발생부(110), UV조사부(170) 등의 동작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탈착부(190)는 내부에 별도의 통기관(19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기관(191)은 좌변기(10) 사용에 따라 좌변기 내측(13)에 형성되는 악취 등 불쾌 물질이 내부로 흡입되어 필터부(1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흐름관을 지칭하며, 내부의 설정된 위치에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흡기용 팬(Fan)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좌변기 내측(13)에 위치한 탈착부(190)의 일단부에 형성된 통기관으로 좌변기 내측(13)의 악취 및 불쾌한 물질이 흡입되며, 통기관(191)을 따라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100)의 하단부 및/또는 내부에 위치한 필터부(130)에 도달하게 된 악취는 필터부(130)에서 정화되어, 악취제거 장치(10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도 2의 화살표 참조). 또한 악취제거 장치(100)는 악취 정화와 함께 음이온 발생부(110)를 통해 추가적인 음이온, 산림향 제공 등을 통해 추가적으로 화장실의 위생적인 공간 연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술한 통기관(191)은 원통형 등으로 탈착부(190) 내부에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벽에 광촉매(Photocatalyst) 입자가 도포되며, 금속 또는 고분자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악취를 추가적으로 제거할 수도 있게 된다.
악취의 강제 순환 및 정화를 위해 탈착부(190) 및/또는 상기 통기관 및/또는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100)에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공기 순환용 팬(Fan, 흡입팬, 193)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100)에는 전술한 음이온 발생부(110) 등의 모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별도의 독립된 전원장치(배터리 포함)가 포함되거나 별도의 외부 전원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필요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좌변기
11: 좌변기 의자
12: 좌변기 물탱크
13: 좌변기 내측
100: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
100a: 몸체부
110: 음이온 발생부
130: 필터부
150: 동작제어부
170: UV조사부(UV-C Lamp 및/또는 LED 램프 포함)
190: 탈착부
191: 통기관
193: 공기 순환용 팬

Claims (5)

  1.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탈착부;
    상기 탈착부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좌변기 내측 방향으로 자외선 살균 기능을 수행하는 UV조사부;
    상기 탈착부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몸체부를 포함하여, 상기 좌변기의 일측에 부착될 수 있는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일측에 상기 좌변기의 외측으로 음이온을 공급할 수 있는 음이온 발생부;
    내부에 화장실 및 상기 좌변기의 내측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정화할 수 있는 필터부; 및
    상단에 상기 음이온 발생부 및 상기 UV조사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동작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는,
    내부에 관통되어 형성된 통기관을 포함하되,
    상기 통기관의 일단부는 상기 좌변기 내측으로 노출 형성되며,
    상기 통기관의 타단부는 상기 필터부와 연결되어,
    상기 좌변기 내측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흡입 정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활성탄소 및/또는 활성탄소섬유 소재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소형 필터 모듈이 다단이 쌓인 블록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블록형태는,
    상기 필터부를 형성하는 각각의 상기 소형 필터 모듈의 상단부에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소형 필터 모듈의 하단부에는 상기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돌기와 대응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돌기를 수용할 수 있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좌변기의 내측에서 발생하는 악취 정화를 위한 접촉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사용 기간이 도과한 상기 필터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하는 상기 소형 필터 모듈을 사용자가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는,
    내부의 설정된 위치에 상기 좌변기의 내측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강제 흡입할 수 있는 흡입팬을 추가로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통기관은,
    관통 형성되는 내측벽에는 광촉매 입자가 도포된 금속 또는 고분자 재질로 상기 좌변기 내측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작제어부는,
    상기 탈착부의 상부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상기 좌변기의 사용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좌변기의 사용이 확인되는 경우, 자동적으로 상기 음이온 발생부 및 상기 UV조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
KR1020180085111A 2018-07-23 2018-07-23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 KR102183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111A KR102183301B1 (ko) 2018-07-23 2018-07-23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111A KR102183301B1 (ko) 2018-07-23 2018-07-23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0719A true KR20200010719A (ko) 2020-01-31
KR102183301B1 KR102183301B1 (ko) 2020-11-26

Family

ID=69369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111A KR102183301B1 (ko) 2018-07-23 2018-07-23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3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46443A (zh) * 2020-04-02 2020-06-30 吉林省沃豪斯建材科技有限公司 用于坐便器和蹲便器除味装置的过滤杀菌结构
WO2023033353A1 (ko) * 2021-08-31 2023-03-09 아이오드 주식회사 부유식 자외선 발생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00114A1 (de) * 2021-01-06 2022-07-07 Giuseppe Leo Toilettenvorrichtung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8165A (ja) * 1993-09-27 1995-04-04 Toto Ltd ポータブル脱臭器の取付構造
KR100568252B1 (ko) * 2005-10-07 2006-04-07 양승란 양변기의 탈취장치
JP2007143784A (ja) * 2005-11-25 2007-06-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消臭トイレ装置
KR100894068B1 (ko) 2007-07-02 2009-04-21 임재영 자외선램프가 장착된 살균용 좌변기의 구조
KR20090006728U (ko) * 2007-12-30 2009-07-03 (주)태영테크 건전지로 작동되는 자외선엘이디를 이용한 살균좌변기 시트
KR20100013178A (ko) * 2008-07-30 2010-02-09 (주)아이리녹스 살균 및 악취제거가 가능한 음이온 발생 비데
KR20110067925A (ko) 2009-12-15 2011-06-22 윤형원 화장실 악취제거장치
KR20120081681A (ko) * 2011-01-12 2012-07-20 김병수 포터블 탈취기
KR101841104B1 (ko) * 2017-04-13 2018-03-22 임진택 악취제거 변기
KR20180080064A (ko) * 2017-01-03 2018-07-11 김종성 음이온 발생장치를 활용한 화장실과 욕실 살균 시스템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8165A (ja) * 1993-09-27 1995-04-04 Toto Ltd ポータブル脱臭器の取付構造
KR100568252B1 (ko) * 2005-10-07 2006-04-07 양승란 양변기의 탈취장치
JP2007143784A (ja) * 2005-11-25 2007-06-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消臭トイレ装置
KR100894068B1 (ko) 2007-07-02 2009-04-21 임재영 자외선램프가 장착된 살균용 좌변기의 구조
KR20090006728U (ko) * 2007-12-30 2009-07-03 (주)태영테크 건전지로 작동되는 자외선엘이디를 이용한 살균좌변기 시트
KR20100013178A (ko) * 2008-07-30 2010-02-09 (주)아이리녹스 살균 및 악취제거가 가능한 음이온 발생 비데
KR20110067925A (ko) 2009-12-15 2011-06-22 윤형원 화장실 악취제거장치
KR20120081681A (ko) * 2011-01-12 2012-07-20 김병수 포터블 탈취기
KR20180080064A (ko) * 2017-01-03 2018-07-11 김종성 음이온 발생장치를 활용한 화장실과 욕실 살균 시스템
KR101841104B1 (ko) * 2017-04-13 2018-03-22 임진택 악취제거 변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46443A (zh) * 2020-04-02 2020-06-30 吉林省沃豪斯建材科技有限公司 用于坐便器和蹲便器除味装置的过滤杀菌结构
WO2023033353A1 (ko) * 2021-08-31 2023-03-09 아이오드 주식회사 부유식 자외선 발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3301B1 (ko) 2020-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81384B (zh) 消毒和除臭卫生间系统的方法和装置
KR102183301B1 (ko) 휴대 가능한 화장실 악취제거 장치
WO2007051276A1 (en) Uv sterilizing wand
KR102329659B1 (ko) 옷장용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490315Y1 (ko) 이동형 공기청정기
JP3231850U (ja) 光電子式空気除菌器
KR20110085060A (ko)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
KR20180080064A (ko) 음이온 발생장치를 활용한 화장실과 욕실 살균 시스템
KR19990007160U (ko) 변기의 탈취 및 살균장치
KR101434615B1 (ko) 살균기능 및 방향제, 에티켓 벨 기능을 구비한 기능성 디스펜서
US11473286B2 (en) Filtration assembly for reducing malaodors in air and aerosolized waste from toilets
KR101058562B1 (ko) 자외선 살균 소독기
JP2021536331A (ja) トイレからの空気およびエアロゾル化した排泄物の悪臭を削減する濾過アセンブリ
KR20050083155A (ko) 살균장치가 내장된 화장지걸이 하우징
KR20110098073A (ko) 공기 청정 및 살균장치
KR200282630Y1 (ko) 양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
JP3119096U (ja) 病院などにおけるおむつ取替用移動車の空気清浄装置
JP7228140B2 (ja) 空間除菌清浄化装置
KR100626200B1 (ko) 화장실 공기 정화기
CN214665053U (zh) 一种使用led灯作为催化光源的杀菌消毒机
KR200308605Y1 (ko) 소변기의 살균 및 냄새제거장치
CN216416452U (zh) 一种带有除臭功能的鞋柜
WO2021066203A1 (ja) 空間除菌清浄化装置
US20230038314A1 (en) Filtration assembly for reducing malaodors in air and aerosolized waste from toilets
KR200349290Y1 (ko) 화장실 공기 정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