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6982A - 금속―공기 배터리 - Google Patents

금속―공기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6982A
KR20160146982A KR1020167032978A KR20167032978A KR20160146982A KR 20160146982 A KR20160146982 A KR 20160146982A KR 1020167032978 A KR1020167032978 A KR 1020167032978A KR 20167032978 A KR20167032978 A KR 20167032978A KR 20160146982 A KR20160146982 A KR 20160146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e
air
anode
battery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2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페터 엥글레르트
Original Assignee
말레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말레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말레 인터내셔널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146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9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2/00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2/04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composed of a half-cell of the fuel-cell type and of a half-cell of the primary-cell type
    • H01M12/06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composed of a half-cell of the fuel-cell type and of a half-cell of the primary-cell type with one metallic and one gaseous electr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7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2/00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2/08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composed of a half-cell of a fuel-cell type and a half-cell of the secondary-cell type
    • H01M2/08
    • H01M2/30
    • H01M2/4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46Alloys based on magnesium or aluminium
    • H01M4/463Aluminium bas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70Arrangements for stirring or circulating the electrolyte
    • H01M50/77Arrangements for stirring or circulating the electrolyte with external circulating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e.g. for maintaining operating temperature
    • H01M6/5022Arrangements for moving electrodes or separa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e.g. for maintaining operating temperature
    • H01M6/5038Heating or cooling of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62Treatment of gaseous reactants or gaseous residues, e.g. clea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6/00Structural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electrochemical generators
    • H01M16/003Structural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electrochemical generators of fuel cells with other electrochemical devices, e.g. capacitors, electrolysers
    • H01M16/006Structural 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electrochemical generators of fuel cells with other electrochemical devices, e.g. capacitors, electrolysers of fuel cells with rechargeable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5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with shapes other than plane or cylindric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02Aqueous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02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14Alkaline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381Alkaline or alkaline earth metals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e.g. for maintaining operating temperature
    • H01M6/5077Regeneration of reactants or electroly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ybrid Cell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공기 배터리(1)에 관한 것으로, 이것은 하우징(2), 하우징(2) 내의 공기 챔버(9)와 전해질 챔버(10) 사이에 배치된 속이 빈 원통형의 캐소드(7), 전해질 챔버(10) 내에 배치된 금속 어노드(11), 하우징(2)의 공기 유입구(15)로부터 하우징(2)의 공기 배출구(16)로 이어지는 하우징(2)을 통과하는 공기 통로(14), 공기 통로(14)를 따르며 캐소드(7) 상에 충돌하는 공기 흐름을 생성하기 위한 공기 공급 디바이스(20), 전해질 챔버(10)에 유동적으로 접속된 하우징(2)의 전해질 유입구(18)로부터 전해질 챔버(10)에 유동적으로 접속된 하우징(2)의 전해질 배출구(19)로 이어지는 하우징(2)을 통과하는 전해질 통로(17), 및 전해질 통로(17)를 따르며 어노드(11) 및 캐소드(7) 상에 충돌하는 전해질 흐름을 생성하기 위한 전해질 공급 디바이스(21)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금속―공기 배터리{METAL-AIR BATTERY}
본 발명은 금속-공기 배터리, 특히 알루미늄-공기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두 개의 이러한 배터리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배터리 또는 이러한 배터리 시스템이 장착된 전기모터 장착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이러한 배터리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금속-공기 배터리는 일반적으로 1차 전지이며, 즉 공기 중 산소와 개별 금속의 화학적 반응을 통한 소정의 전압을 생성하는 전기적으로 재충전 가능하지 않은 갈바닉 전지(galvanic cell)이다. 이러한 1차 전지는 또한 연료 전지로도 지칭될 수 있다. 1차 전지와 대조적으로, 2차 전지, 소위 축전지 전기적으로 재충전가능하다.
아연-공기 배터리에 대한 예시적인 구조는 WO 2012/156972 A1로부터 알려져 있다.
WO 2013/150519 A1로부터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에서 재사용하기 위한 아연 전극은 알려져 있다.
WO 2013/128445 A1로부터 소비된 연료, 즉 아연이 액화제의 도움으로 배출되는 금속-공기 배터리가 알려져 있다.
WO 2013/150520 A1로부터 금속-공기 배터리에 대해 배터리를 대기 모드로 전이시키도록 세척 용액을 이용하여 전해질을 씻어내는 것이 알려져 있다.
WO 2013/150521 A1로부터 금속-공기 배터리에 대해, 필요조건에 따라 전해질을 갱신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WO 2014/009951로부터 달라지는 전력 수요가 금속-공기 배터리 및 개별 축전지로에 대한 전력 수요의 상응하는 분배를 통해 획득되는 방식으로 재충전 가능한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 즉 축전지와 금속-공기 배터리를 커플링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로 인해 전력 변동이 축전지에 의해 오프셋될 수 있기 때문에 금속-공기 배터리는 축전지로 완충되고 비교적 일정하게 동작될 수 있다.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에 대한 제어는 DE 11 2010 002 707 T5, DE 11 2009 000 223 T5, DE 10 2011 002 549 A1, DE 10 2013 107 033 A1 및 DE 24 17 571 A1로부터 알려져 있다.
금속-공기 배터리는 매우 높은 화학 에너지 밀도를 소유하기 때문에 전기 자동차에서의 용도로 큰 관심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금속-공기 배터리의 도움으로, 전기 자동차의 범주가 축전지와 비교하여 뚜렷하게 증가될 수 있다.
금속-공기 배터리의 경우에서의 문제점은 금속-공기 배터리의 도움으로 공급될 수 있는 전기 에너지를 자동차에 의해 현재 요구되는 전기 에너지로 자동차에 대해 적합하게 동적 적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전력 제어의 구현이다. 전기 모터 드라이브를 갖는 자동차의 경우에서, 원하는 전기 에너지는 일반적으로 고정적인 상태가 아닌 구동 동작으로부터 발생하는 큰 변동을 겪게 된다. 만약 금속-공기 배터리가 높은 출력에 대해 지정되면, 배터리의 수명은 특히 비교적 작은 출력만이 요구될 때조차도 감소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전력 버퍼로서 축전지와 함께 정교한 전력 제어가 일반적으로 요구된다.
본 발명은 금속-공기 배터리 또는 연관된 동작 방법 또는 특히 배터리에 대해 특히 높은 효율성 및 긴 수명을 갖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이러한 배터리가 장착된 자동차에 대한 향상된 실시예를 제공하는 문제를 다룬다. 또한 다양한 전력 수요에 대한 배터리의 단순한 적응력이 요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문제는 독립항들의 주제사항을 통해 해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의 주제이다.
금속-공기 배터리와 관련하여, 본 발명은 배터리의 하우징 내에 배치된 속이 빈 원통형 캐소드 내의 금속성 어노드를 배치하는 일반적인 아이디어에 기초한다. 방사상으로 어노드와 캐소드 사이에는 전해질 공간이 위치된다. 방사상으로 캐소드와 하우징 사이에는 공기 공간이 위치된다. 이로 인해서, 매우 작은 배터리 구조가 획득되며, 그 결과로 높은 전력 밀도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한 편으로는 전해질에 대한 그리고 다른 한 편으로는 공기에 대한 특히 바람직한 흐름 라우팅(routing)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공기 챔버에 유동적으로 접속된 하우징의 공기 유입구로부터 공기 챔버에 유동적으로 접속된 하우징의 공기 배출구까지 이어지는 하우징을 통과하는 공기 통로가 제공된다. 따라서 공기 공급 디바이스의 도움으로, 공기 통로를 따르며 캐소드 상에 충돌하는 공기 흐름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전해질 챔버에 유동적으로 접속된 하우징의 전해질 유입구로부터 전해질 챔버에 유동적으로 접속된 하우징의 전해질 배출구까지 이어지는 하우징을 통과하는 전해질 통로가 제공된다. 전해질 공급 디바이스의 도움으로, 전해질 통로를 따르며 어노드 및 캐소드 상에 충돌하는 전해질 흐름이 이제 생성될 수 있다. 하우징, 공기 챔버, 캐소드, 전해질 챔버 및 어노드의 동축 배치를 통해, 공기 통로 및 전해질 통로에 대해 낮은 흐름 저항이 구현되며 그에 따라 특히 한 편으로는 공기 통로를 따르는 공기에 대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전해질 통로를 따르는 전해질에 대해 주요 부피 흐름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산소가 캐소드 상에서 특히 보충될 수 있다. 어노드 상에서, 충분히 사용되지 않은 전해질이 또한 보충될 수 있으며 소비된 전해질이 방출된다. 본 맥락에서 유체에 의해 "충돌되는" 바디는 유체가 양의 압력에 의해 공급되는지 또는 음의 압력에 의해 흡입되는지와 무관하게 충돌된 바디에 접촉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공기 통로에 따르는 공기의 용량 흐름이 조정가능하도록, 즉 비교적 큰 범위 내에서 가변적이도록 공기 공급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것이 특히 가능하다. 유사하게, 전해질 공급 디바이스는 전해질의 용량 흐름이 조정가능하도록, 즉 비교적 큰 범위 내에서 가변적이도록 쉽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금속-공기 배터리 상에서 탭 오프(tapped off)될 수 있는 전력은 특히 쉽게 전해질 흐름을 변화시킴으로써 수압으로 및/또는 공기 흐름을 변화시킴으로써 공기로 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금속-공기 배터리는, 어노드가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하거나 이것으로 구성되는 전해질에 노출된 어노드 바디를 포함하도록 알루미늄-공기 배터리로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디바이스는 한 편으로는 공기 공급 디바이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다른 한 편으로는 전해질 공급 디바이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금속-공기 배터리의 동작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제어 디바이스는 이제 금속-공기 배터리에서의 전력 수요의 함수로서 이러한 전력 수요에 적응된 공기 흐름을 생성하도록 공기 공급 디바이스를 작동시키고/시키거나 이러한 전력 수요에 적응된 전해질 흐름을 생성하도록 전해질 공급 디바이스를 작동시키도록 구성 및/또는 프로그램될 수 있다. 전해질 및/또는 탭오프될 수 있는 전력의 용량 흐름을 다르게 함으로써, 금속-공기 배터리가 달라질 수 있다. 공기 및/또는 전해질의 용량 흐름이 상당히 넓은 범위 내에서 비교적 쉽고 비교적 신속하게 변화될 수 있기 때문에, 금속-공기 배터리가 탭오프될 수 있는 전력은 여기에 도입된 절차를 통해 현재 요구되는 전력에 대해 상당히 신속하게 적응될 수 있다. 특히, 금속-공기 배터리 상에서 제공되고 탭될 수 있는 전력은 또한 공기 흐름 및/또는 전해질 흐름을 감소시킴으로써 더 낮은 전력 수요에 단기간 내에 적응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금속-공기 배터리의 수명이 뚜렷하게 연장될 수 있다. 여기에서 도입되는 열린-루프 또는 닫힌-루프 전력 제어는 수압식으로 또는 공기압식으로 동작한다.
특히, 제어 디바이스는 닫힌-루프 전력 제어를 구현할 수 있고 이때 전력 수요를 설정 포인트 값으로서 고려하며 금속-공기 배터리의 전기적 또는 갈바닉 전력 접속부에서 측정된 전력을 실질적인 값으로서 고려한다. 설정 포인트-실제의 비교에 의해서, 제어 디바이스는 그에 따라 전해질 및/또는 공기에 대한 용량 흐름을 추적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추가의 발전에 따르면, 제어 디바이스는 전력 수요의 함수로서 이러한 전력 수요에 적응된 전해질 흐름을 생성하도록 전해질 공급 디바이스를 작동시키고 적응된 전해질 흐름에 적응된 공기 흐름을 생성하도록 공기 공급 디바이스를 작동시키도록 구성 및/또는 프로그램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어 디바이스는 처음에 제1 단계에서 전력 수요에 대해 요구된 전해질의 용량 흐름을 결정하며 그에 따라 전해질 공급 디바이스를 작동시킨다. 전술된 제1 단계와 표면상 동시에 발생할 수 있는 제2 단계에서, 제어 디바이스는 결정된 전해질 용량 흐름에 따라 이러한 목적을 위해 요구되는 공기 용량 흐름을 결정하며 그에 따라 공기 공급을 작동시킨다.
다른 바람직한 추가의 발전으로, 제어 디바이스는 금속-공기 배터리를 스위칭 오프하기 위해 전해질의 전해질 통로를 비우도록 전해질 공급 디바이스를 작동시키도록 구성 및 프로그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렇게 전해질 통로, 특히 전해질 챔버를 비움으로써, 금속-공기 배터리 내의 어노드와 전해질 사이의 화학적 반응이 완전히 방해되며 그에 따라 어노드의 분해 또는 용해가 크게 감소된다. 따라서 배터리의 수명이 연장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어노드는 하우징 상에 자신의 세로방향 중심축 둘레에서 회전가능하게 회전될 수 있다. 하우징에 대한 어노드의 회전가능성을 통해, 고정 하우징에 대한 어노드의 회전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어노드는 또한 하우징에 대해 회전식으로 고정되는 캐소드에 대해 회전한다. 회전하는 어노드는 어노드 둘레의 전해질의 흐름 순환을 증가시킨다. 동시에, 원심력으로 인해 반응 생성물이 어노드로부터 더욱 잘 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전해질에 대해 이용가능한 어노드의 표면 면적을 확대시킨다.
만약 어노드가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면, 예를 들어 전기 모터에 의해서 상응하는 회전식 드라이브가 어노드를 회전하도록 기본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어노드는 어노드의 회전이 전해질을 전해질 경로 내로 몰도록 구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추가의 기능을 획득한다. 여기에서, 회전하는 어노드를 이용하여 전해질을 몰아가는 흐름 안내 구조를 전해질 챔버에 노출된 자신의 외부에 갖는 추가의 발전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나선형으로 배치된 이동 날이 고려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어노드가 전해질 흐름에 의해, 즉 수압으로 구동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전해질 통로는 전해질 흐름이 회전식으로 어노드를 구동하도록 어노드를 지나 안내된다. 따라서, 전해질 흐름의 운동 에너지는 어노드를 회전시키도록 활용된다. 따라서 추가의 에너지 소비 전기 드라이브가 생략될 수 있다.
바람직한 추가의 발전에 따르면, 전해질 유입구는 전해질 챔버의 제1 단부 영역에서 전해질 챔버에 접하게 배치될 수 있는 반면에 전해질 배출구는 전해질 챔버의 제2 단부 영역에 구체적으로 축의 방향으로 배치된다. 전해질 유입구 및 전해질 배출구의 이격 배치를 통해, 전해질 챔버의 표면상 축방향의 스루-플로우가 전해질에 대해 구현된다. 전해질 유입구의 접선식 배치의 결과로서, 나선형의 스루-플로우가 선회 흐름(swirling flow)으로도 불릴 수 있는 전해질 챔버 내에 구현된다. 표면 마찰을 통해, 선회 흐름은 어노드의 회전 움직임을 발생시킨다. 접선식 배치는 이 경우에 캐소드의 세로방향 중심축에 대해 직교하게 이어지는 캐소드의 또는 공기 챔버의 단면에서 발견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또는 이와 다르게, 어노드는 어노드가 전해질 흐름에 의해 충돌될 때 어노드에 토크를 전달하는 전해질 챔버에 노출된 자신의 외부의 흐름-안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전해질 흐름의 운동 에너지는 어노드를 구동하도록 특히 활용될 수 있다.
전해질의 상응하는 용량 흐름을 통해, 특히 어노드로부터 반응 생성물의 탈착을 가능하게 하기에 충분히 높은 원심력이 생성되도록 선택될 수 있는 상당히 높은 회전 속도를 가진 어노드의 회전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당 300회의 회전에 이르는 회전 속도가 고려될 수 있다.
하우징은 실용적으로 전기적으로 절연성인 재료,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부터 절연되거나 또는 제조된다. 하우징 내에 어노드를 배치하는 것은 바람직하게는 어노드의 세로방향 중심축 및 따라서 또한 캐소드의 세로방향 중심축이 배터리의 사용 상태에서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하도록 달성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노드 또는 어노드 바디는 원통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금속 지지 플레이트에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설계는 어노드가 하우징 내에 보다 쉽게, 예를 들어 캐소드 내에 동축으로 배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특히 원형 지지 플레이트는 축방향 베어링에 의해 어노드의 세로방향 중심축 둘레에서 하우징 상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어노드는 자신의 지지 플레이트의 영역 내의 하우징 상에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지지 플레이트는 어노드와 상이한 금속 합금으로부터 생산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지지 플레이트의 영역 내의 적절한 마운팅(mounting)의 설계가 단순화된다. 축방향 베어링에 의해서, 축방향 힘이 어노드와 하우징 사이에서 특히 쉽게 지지될 수 있다. 축방향 베어링은, 예를 들어 배터리의 동작 상태에서 상단에 배치된 하우징의 축방향 면 단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추가의 발전에서, 전기적 음극을 나타내는 금속-공기 배터리의 어노드 측 갈바닉 전력 접속이 축방향 베어링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축방향 베어링은 고정 영역으로서 또한 기술될 수 있으며 어노드 측 전력 접속의 형성에 특히 적합한 하우징에 고정된 방식으로 접속된 영역을 구비한다. 이로 인해, 이러한 어노드 측 상의 전력 접속은 하우징에 대해 어노드 자신이 회전 가능함에도 고정적이다. 이로 인해, 배터리 상의 전류 드로잉(drawing)이 단순화된다.
다른 추가의 발전에 따르면, 축방향 베어링은 슬라이딩 베어링으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 측 환형 베어링 쉘 내에 놓이고 지지 플레이트가 지지되며 어노드가 회전할 때 지지 플레이트가 슬라이딩하는 금속 슬라이딩 링을 포함한다. 슬라이딩 베어링으로서 축방향 베어링을 구성함으로써, 어노드와 축방향 베어링 사이에서의 전력 전달을 단순화하는 축방향 베어링 또는 마찰 방지 금속 링과 지지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당히 큰 접촉 영역이 구현될 수 있다.
마찰 방지 금속 합금이 마찰 방지 금속 합금으로 제조된 환형 바디 및 바람직하게는 환형 바디를 가열시킬 수 있는 환형 바디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 가열 컨덕터를 포함하는 실시예가 특히 바람직하다. 환형 바디의 가열은 마찰 방지 금속 링과 지지 플레이트 사이의 전력 전달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열 컨덕터의 전원은 가열 컨덕터가 환형 바디 상에서 표면 융해가 발생하는 마찰 방지 금속 합금의 융해점 아래이지만 동시에 마찰 방지 금속 합금의 융해점에 매우 가까운 사전결정된 동작 온도까지 환형 바디를 가열하도록 구성되는 추가의 발전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마찰 방지 금속 합금은 예를 들어 융해점이 50℃와 300℃ 사이에 놓일 수 있는 저융점(low-melting) 합금이다. 사전결정된 동작 온도는 예를 들어 융해점의 10% 내지 15% 아래에 놓이며 특히 융해점보다 대략 40℃ 아래이다. 따라서 융해가 발생한 표면의 결과로서, 액체 금속 필름이 수압식 베어링의 방식으로 지지 플레이트가 슬라이딩하는 마찰 방지 금속 링의 표면 상에 생성된다. 한 편으로, 지지 플레이트와 마찰 방지 금속 링 사이의 마찰이 그에 따라 뚜렷하게 감소된다. 다른 한 편으로 액체 금속 필름의 결과로서 뚜렷하게 향상된 전기 접촉이 구현된다. 예를 들어, 서로 접촉하는 표면들의 산화층의 형성이 액체 금속 필름에서 감소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도입된 구성의 결과로서, 지지 플레이트와 축방향 베어링 사이에 극도로 낮은 손실의 전기적 접촉이 구현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높은 전류가 낮은 전압에서 구현될 수 있다.
원하는 동작 온도가 환형 바디 내에서 조정될 수 있도록 돕는 가열 컨덕터의 전원을 제어하는 것은, 예를 들어 온도 측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개별 가열 컨덕터를 PTC 요소와 직렬로 접속시키는 것 또한 고려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PTC는 정온도 계수를 뜻한다. 개별 PTC 요소는 이러한 경우에 원하는 동작 온도로 매칭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개별 가열 컨덕터의 자가-조정 가열이 환형 바디를 사전결정된 동작 온도로 특히 가열시킬 수 있는 주요 전기적 노력 없이 제공될 수 있다.
개별 가열 컨덕터의 전원은 어노드와 어노드 측 갈바닉 전류 접속 사이의 전류 통로로 실용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공기 공급 디바이스는 공기 흐름 내의 산소 비율을 증가시키는 공기 유입구 상류의 농축 디바이스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공기 흐름이 동반하는 산소에 대해 공기 흐름이 농축되며 그에 따라 캐소드에서의 전기분해 기능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농축 디바이스에는, 예를 들어 적절한 필터 막(membrane) 또는 적절한 분자 체(sieve)가 장착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한쪽에서는 질소 비율이 증가하고 산소 비율이 감소하는 반면 다른 한쪽에서는 질소 비율이 감소하고 산소 비율이 증가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농축 디바이스의 도움으로 자연적인 산소 함유량이 공기 중에서 대략 20%에서 90% 이상으로 증가될 수 있다.
만약 주기적으로 재생성되어야만 하는 필터 매체가 여기에서 사용된다면, 적어도 하나의 농축 유닛에 의한 산소 비율의 증가가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반면 동시에 다른 농축 유닛이 재생성될 수 있도록 농축 디바이스는 둘 이상의 농축 유닛을 포함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해질 공급 디바이스는 어드밴스(advance) 및 리턴(return)을 포함하는 전해질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서 어드밴스는 전해질 탱크로부터 전해질 유입구로 이어지는 반면 리턴은 전해질 배출구로부터 전해질 탱크로 이어진다. 이러한 닫힌 전해질 회로를 이용함으로써, 전해질이 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그에 따라 전해질이 전해질 통로를 통과하는 흐름 동안 완전히 사용되지 않을 정도로 높은, 전해질에 대해 더 높은 용량의 어드밴스가 가능하다.
바람직한 추가의 발전에 따르면, 전해질을 몰기 위한 어드밴스 펌프가 어드밴스 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전해질 통로를 통해 안내되는 전해질의 현재 용량 흐름이 어드밴스 펌프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해질을 몰기 위한 리턴 펌프가 리턴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리턴 펌프는 전해질 배출구로부터 전해질 탱크로 전해질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것은 특히 예를 들어 전해질 회로의 작동가능한 환기 및 블리딩(bleeding)과 함께 전해질 챔버 또는 전해질 통로를 비우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해질로부터 반응 생성물을 제거하기 위한 전해질 정화 디바이스가 리턴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해질 정화 디바이스는 이 경우에 실용적으로 리턴 펌프의 하류에 배치되며, 예를 들어 막을 갖는 원심분리기로서 구성될 수 있다. 전해질 정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전해질 챔버로부터 오는 전해질의 상태는 제조된 전해질이 전해질 챔버로 다시 공급될 수 있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해질의 소비는 이러한 수단에 의해 최소화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액체 전해질로부터 기체를 제거하기 위한 기체 분리 디바이스가 리턴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금속-공기 배터리 내의 전해질 반응 중에 특히 수소인 기체가 형성될 수 있다. 기체는 예를 들어 전해질 기능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액체 전해질로부터 분리되어야만 한다. 특히 전해질 내의 어떠한 형태의 거품 또한 방지되어야만 한다. 기체 분리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노즐을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특히 비교적 쉽게 분리될 수 있는 큰 기체 방울이 전해질 내에 형성된다. 바람직한 추가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체 분리 디바이스는 분리된 기체의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 및/또는 열 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 디바이스에 기체관선을 통해서 유동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폐기물로서 축적되는 기체의 화학적 에너지가 금속-공기 배터리의 전체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추가의 발전에 따르면, 변환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백금 그물을 포함하는 촉매 버너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기체 수소는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물로 변환된다. 그 동안 생성된 열은 배터리를 가열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변환 디바이스는 수소 기체가 산소 기체와 전류 및 열로 변환되는 수소-공기 연료 전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열은 다시 금속-공기 배터리를 가열하도록 활용될 수 있다. 전기적 에너지는 또한 배터리 내부에서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추가의 전력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서적절한 수소-공기 연료 전지는 저온 연료 셀 또는 PEM 연료 전지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PEM은 양성자 교환막을 의미한다. 원리적으로, 고온 연료 전지, 특히 SOFC 연료 전지로서의 실시예 또한 고려가능하며, 여기에서 SOFC는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를 의미한다.
변환 디바이스와 남아있는 금속-공기 배터리 사이의 열 전달이, 예를 들어 적절한 방식으로 전해질 회로 내에 포함된 열 교환자의 도움으로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열 교환자를 이용하여 초과 열이 전해질로부터 나올 수 있다. 그 다음 열은 특히 전해질 반응을 향상시키기 위해 어노드 및/또는 캐소드를 가열하도록 활용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공기 유입구가 공기 챔버에 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또는 이와 다르게, 공기 배출구가 공기 챔버에 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공기 유입구 또는 공기 배출구의 접선식 배치는 나선형으로, 즉 소용돌이 흐름으로서 공기 챔버 내에 공기 흐름을 구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으며, 그 결과로서 공기 챔버 내의 공기 흐름에 대한 증가된 체류 시간이 구현된다. 이로 인해, 이것은 공기 흐름과 캐소드 사이의 산소의 전달을 증가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노드를 가열하도록 유도 가열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도 가열은, 예를 들어 어노드의 영역 내에 고정적인, 공간적으로 불균일한 전기장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도코일을 이용하여 동작한다. 이러한 전기장 내에서 어노드를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킴으로써, 어노드 내에, 특히 전해질 챔버를 마주하는 벽 영역 내에 열이 유도되며 이는 전해질 반응을 뚜렷하게 향상시킨다.
이 경우에 개별 유도 가열은 캐소드의 영역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 결과 특히 소형의 설계가 구현될 수 있다. 유도 가열의 도움으로, 어노드는 특히 전해질 챔버를 마주하는 벽 영역 내에서 가열될 수 있다. 이러한 수단에 의해서 실질적인 반응 구역을 가열시키도록 비교적 작은 에너지만이 요구된다. 반응 구역 내의 증가된 온도는 금속-공기 배터리의 에너지 효율성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은 전술된 타입의 복수의 금속-공기 배터리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배터리들의 공기 통로를 통해 개별 공기 흐름을 생성하기 위한 공통 공기 공급 디바이스 및/또는 배터리들의 전해질 통로를 통해 개별 전해질 흐름을 생성하기 위한 공통 전해질 공급 디바이스 및/또는 배터리들을 동작시키기 위한 공통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배터리들은 자신들의 공기 통로 및/또는 자신들의 전해질 통로와 직렬로 또는 병렬로 유동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설계를 통해, 효율적인 배터리 시스템의 구현이 단순화된다. 특히, 공통 공기 전달 디바이스가 복수의 배터리들에 대해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또는 이와 다르게, 전해질 전달 디바이스가 복수의 배터리들에 대해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또는 이와 다르게, 공통 제어 디바이스가 복수의 배터리들에 대해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 시스템의 열린-루프 또는 닫힌-루프 제어 또한 단순화된다.
바람직하게는 주행차량일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는 전기 모터 드라이브를 구비하며 전술된 타입의 적어도 하나의 금속-공기 배터리 또는 전술된 타입의 하나의 배터리 시스템이 장착된다. 이러한 자동차는 특히 개별 금속-공기 배터리 또는 배터리 시스템에 비완충 상태로 커플링되는 전기 드라이브의 전원에 대한 전력 전자시스템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전기적 비완충 커플링은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의 중간 접속 없이, 즉 특히 축전지의 중간 접속 없이 제어되는 직류 접속에 대응한다. 본 발명은 따라서 자동차에 대해 예를 들어 축전지와 같은 추가의 전기 에너지 저장 장치의 중간 접속이 생략될 수 있도록 전기 드라이브의 전원에 대해 직접 개별 금속-공기 배터리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아이디어에 기초한다.
본 발명은 금속-공기 배터리의 전력 출력을 수압으로 또는 공기로 열린-루프 또는 닫힌-루프 제어 또는 조정하는 일반적인 아이디어에 기초한 방법에 관련된다. 다시 말하면, 금속-공기 배터리의 열린-루프 또는 닫힌-루프 전력 제어는 전해질 및/또는 공기의 용량 흐름의 특정 변화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공기 또는 수압식 닫힌-루프 또는 열린-루프 힘의 조정 또는 제어는 예를 들어 블로어(blower) 및/또는 펌프와 같은 종래의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특히 쉽게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작동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전해질 흐름의 적응을 위해 자신의 전달 출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기에 적합하게 작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해질 전달 디바이스, 예로서 적절한 펌프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또는 이와 다르게 공기 흐름의 적응을 위해 자신의 전달 출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기에 적합하게 작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전달 디바이스, 예로서 적절한 블로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또는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노드는 나트륨 매트릭스 내에 알루미늄 합금의 입자들을 함유하는 어노드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물을 함유하는 전해질과 결합되면, 일반적으로 물과 나트륨의 접촉으로 인해 격렬한 반응이 발생하지만 이러한 경우에 이것은 알루미늄 입자들에 의해 지둔화된다. 그럼에도, 높은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개별 전해질 내의 어노드 또는 어노드 바디의 우수한 용해가능성을 구현한다.
입자들이 1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의 입자 크기를 갖는 실시예가 바람직하다. 입자들이 대략 50㎛의 입자 크기를 갖는 실시예가 특히 바람직하다. 선택된 입자 크기의 결과로서, 비교적 넓은 표면이 원하는 전해질 반응을 제공하는 알루미늄 합금에 대해 획득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어노드 바디 내의 입자 비율은 4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0%의 범위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어노드 바디 내의 입자들의 비율이 대략 65%인 실시예가 특히 바람직하다. 전술된 백분율 정보는 중량백분율에 기초한다. 어노드 바디 내에 남아있는 비율은 나트륨 매트릭스에 의해 형성된다. 65% 입자 비율을 이용하여 매트릭스가 어노드 바디 내의 35%의 비율을 가진다.
알루미늄 합금이 지르코늄을 함유하는 실시예가 특히 중요하다. 알루미늄에 지르코늄 함금으로서 추가함으로써, 전해질에 노출된 어노드의 표면 상의 패시브 층(passive layer)의 형성이 수소의 형성이 선호되지 않는 반면 동시에 통과 과전압으로 인한 손실이 뚜렷하게 감소되는 정도까지 특히 방지될 수 있다. 어노드 표면에 있는 전해질은 통과 과전압을 정의하는 어노드 표면의 패시베이션(passivation)을 발생시킨다. 패시브 층이 넓을수록, 패시브 층에 침투하기 위해 요구되는 통과 과전압은 더 높다. 합금으로서 지르코늄을 추가함으로써, 패시브 층의 형성이 감소될 수 있으며 이는 통과 과전압을 낮출 수 있다. 패시브 층의 형성이 완전히 억제되지는 않는다는 점이 중요하다. 알루미늄의 경우에 패시브 층의 부재는 수소를 형성하기 위해 알루미늄이 물과 접촉하여 분해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그러나, 전해질 내의 이러한 수소의 강한 형성은 금속-공기 배터리 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바람직한 추가의 발전에 따르면, 알루미늄 합금은 0.01% 내지 1.00% 지르코늄을 함유할 수 있으며, 0.05% 내지 0.80% 지르코늄의 함유량이 바람직하다. 대략 0.5% 지르코늄의 함유가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일반적으로 방지될 수 없는 오염물과 별개로, 알루미늄 합금의 나머지가 알루미늄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에서도 백분율 정보는 중량 백분율에 기초한다.
이러한 어노드를 생산하기 위해서, 추가로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하는 입자 재료가 나트륨 융해물 내에 도입되는 방법이 제안되며 여기에서 나트륨 융해물을 포함하는 어노드 또는 어노드 바디가 그 안에 도입된 알루미늄 입자 재료와 주조된다. 특히, 이에 따라 로드형(rod-shaped) 원통형 어노드 바디가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독립적인 양태에 따르면 또는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된 금속-공기 배터리에 대한 전해질은 적어도 하나의 할로겐 및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수성 산 또는 수성 알칼리성 용액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수성 알칼리성 용액이 바람직하다. 개별 할로겐의 도움으로, 어노드 표면에서의 화학적 반응이 할로겐을 추가한 결과로서 증가될 수 있으며, 산 또는 알칼리성 용액은 개별 금속 어노드의 패시브 층에 더욱 잘 침투할 수 있다. 개별 계면활성제를 추가함으로써, 계면활성제가 어노드 표면에서의 전해질과의 전자 교환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전기화학적 반응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계면활성제는 반응 동안 형성된 기체의 용해 증가를 가져올 수 있으며 이 또한 전자화학적 반응을 증가시킨다.
바람직하게는 개별 산 또는 알칼리성 용액은 물 내에 10% 내지 40% 비율을 포함한다. 20%±5%의 산 또는 알칼리성 용액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도 백분율 정보는 중량 백분율에 관련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산 또는 알칼리성 용액 내에 0.1% 내지 4%,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비율의 할로겐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정보 또한 중량 백분율에 관련된다. 할로겐은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라이드, 특히 칼륨 알루미늄 펜타플루오라이드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산 또는 알칼리성 용액은 0.1% 내지 2%의 농도,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의 농도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계면활성제는 라우릴 황산염나트륨이다.
본 발명의 추가로 중요한 특성 및 장점이 종속항, 도면 및 도면을 참조한 연관된 도면 설명으로부터 획득된다.
전술된 특성들 및 이후에 설명될 특성들은 개별로 언급된 조합으로만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프레임워크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른 조합 또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면에 도시되고 아래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며 이러한 설명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하거나 또는 기능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들은, 각 경우에서 개략적으로 다음을 도시한다:
도 1은 주변 구성요소들이 없는 금속-공기 배터리의 회로도의 방식으로 나타낸 매우 단순화된 도면,
도 2는 도 1과 유사하지만 주변 구성요소들이 있는 모습의 도면.
도 1 및 2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공기 배터리를 포함하는 금속-공기 배터리(1)가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과 같은 전기적으로 절연성인 재료로 이루어진 하우징(2)을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하우징(2)은 원통형 컨테이너로서 구성되며 플레이트형, 특히 원형인 바닥(4)뿐만 아니라 원통형 쉘(shell)(3)을 구비한다. 아래에서는 짧게 배터리(1)로 기술될 수 있는 금속-공기 배터리(1)의 설치 상태 또는 동작상 준비된 상태에서, 하우징(2)은 하우징(2)의 세로방향 중심축(5)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즉 도 1에 화살표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중력 방향(6)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되도록 배치된다. 배터리(1)는 하우징(2) 내에 배치되고 배터리(1)의 동작상 준비된 상태에서 바람직하게는 특히 캐소드(7)의 세로방향 중심축(8)이 중력 방향(6)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이어지도록 적어도 하나의 속이 빈 원통형의 캐소드(7)를 더 포함한다. 도시된 예에서 하우징(2) 및 캐소드(7)는 두 세로방향 중심축(5, 8)이 동일한 위치에 있도록 서로에 대해 동축으로 그리고 동심으로 배치된다. 캐소드(7)는 하우징(2) 내의 전해질 챔버(10)로부터 공기 챔버(9)를 분리시킨다. 캐소드(7)는 일반적으로 다공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그에 따라 넓은 표면 면적이 일반적으로 액체인 전해질에 대해 이용 가능하게 되며 이는 공기 내에 함유된 기체 산소와 접촉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캐소드는 투과성 막(membrane)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이러한 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는 전해질 챔버(10)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 어노드(11)를 포함한다. 어노드(11)는 이 예에서 세로방향 중심축(13)을 갖는 원통형 어노드 바디(12)를 소유하며 캐소드(7)에 동축이고 그에 동심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세로방향 중심축(5, 8, 13)은 여기에서 동일한 위치에 있다.
공기 통로(14)는 하우징(2)을 통해 이어지고, 이러한 공기 통로는 도 1에서 화살표로 표시되었으며 공기 챔버(9)를 통해서 하우징(2) 내에서 하우징(2)의 공기 유입구(15)를 하우징의 공기 배출구(16)에 유동적으로 접속시킨다. 또한, 전해질 통로(17)는 하우징(2)을 통해 이어지고, 이러한 전해질 통로는 도 1에서 화살표에 의해 표시되었으며 전해질 챔버(10)를 통해서 하우징(2)의 전해질 유입구(18)를 하우징(2)의 전해질 배출구(19)에 유동적으로 접속시킨다.
배터리(1)는 공기 공급 디바이스(20)와 추가로 맞춰지며 이것의 도움으로 배터리(1)의 동작 중에 공기 통로(14)를 따르고 그에 따라 캐소드(7) 상에 충돌하며, 즉 캐소드(7) 상에서 흐르거나 그 둘레를 순환하는 공기 흐름이 배터리(1)의 동작을 위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전해질 공급 디바이스(21)가 제공되며 이것의 도움으로 배터리(1)의 동작 중에 전해질 통로(17)를 따르고 그에 따라 한 편으로는 어노드(11) 상에, 다른 한 편으로는 캐소드(7) 상에 충돌하며, 즉 그에 대해 흐르거나 그 둘레를 순환하는 전해질 흐름이 배터리(1)의 동작을 위해 생성될 수 있다.
도 2에 따른 배터리(1)의 동작을 위해서 예를 들어 제어 장치의 형태인 제어 디바이스(22)가 제공된다. 제어 디바이스(22)는 예를 들어 적절한 제어선(23)에 의해 공기 공급 디바이스(20) 및 전해질 공급 디바이스(2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어 디바이스(22)는 적절한 신호선(24)을 통해서 본 명세서에 더욱 상세하게 나타나지 않은 배터리(1)의 센서 시스템에 추가로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만약 배터리(1)가 1차 시스템, 특히 자동차에서 사용된다면, 전기 에너지의 공급을 위해서, 제어 디바이스(22)는 본 명세서에 도시되지 않은 자동차 또는 시스템의 제어부에 이러한 제어선(24)을 통해 추가로 접속되며 그에 따라 제어 디바이스(22)가 시스템 또는 자동차 각각의 전류 전력 수요를 인지한다. 이러한 전력 수요는 이 경우에 배터리(1)에 대한 전력 수요와 일치한다.
이제 제어 디바이스(22)가 배터리(1)에서의 전류 전력 수요에 따라 공기 공급 디바이스(20)가 전력 수요에 적응된 공기 흐름을 생성하고/하거나 전해질 공급 디바이스(21)가 전력 수요에 적응된 전해질 흐름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공기 공급 디바이스(20) 및/또는 전해질 공급 디바이스(21)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거나 프로그램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디바이스(22)의 구성 또는 프로그래밍은 제1 단계에서 전력 수요에 따라서 처음에는 예를 들어 특징 곡선 또는 특징 맵에 의해서 또는 적절한 계산식에 의해서 전력 수요에 맞추기 위한 전해질 흐름을 결정한 다음 결정된 전해질 흐름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전해질 공급 디바이스(21)를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달성된다. 거의 동시에 발생할 수 있는 제2 단계에서, 제어 디바이스(22)는 유사하게 특징 곡선 또는 특징 맵에 의해서 또는 적절한 계산식에 의해서 결정된 전해질 흐름에 대해 요구되는 공기 흐름을 결정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공기 공급 디바이스(20)를 결정된 공기 흐름을 생성하도록 후속하여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어 디바이스(22)는 배터리(1)의 수압식 또는 공기압식 열린-루프 또는 닫힌-루프 힘의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만약 전력 수요가 증가하면, 전해질 및 공기에 대한 용량 흐름이 적절하게 증가된다. 대조적으로 만약 전력 수요가 감소되면, 전해질 및 공기에 대한 용량 흐름이 적절하게 감소된다. 따라서, 배터리(1)의 마모, 즉 어노드(11)의 분해가 최소화된다. 그 결과 배터리(1)는 비교적 긴 수명을 가진다.
또한, 제어 디바이스(22)는 예를 들어 배터리(1)를 스위칭오프하기 위해 이것이 전해질 공급 디바이스(21)를 작동시켜 전해질의 전해질 챔버(10) 또는 전체 전해질 통로(17)를 비우도록 프로그램되거나 구성될 수 있다. 이것은 적절한 중성 또는 비활성 관류액(flushing medium)을 이용해 관류되는 것으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도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어노드(11)는 하우징(2) 상에서 자신의 세로방향 중심축(13) 둘레에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될 수 있다. 상응하는 회전식 이동은 도면들에서 회전식 화살표(25)에 의해 나타내어졌다. 어노드(11)의 회전식 이동의 결과로서, 어노드(11)와 전해질 사이의 접촉이 향상되고, 이것은 전류 생성에 대한 전해질 반응을 증가시킨다. 동시에, 적절한 회전 속도에서의 어노드(11)의 회전은 원심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는 어노드(11)로부터 반응 생성물의 방출을 야기하여 전해질 반응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어노드(11) 또는 이것의 어노드 바디(12)는 금속 지지 플레이트(26) 상에 배치되고 기계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이것에 접속된다. 이와 관련하여, 지지 플레이트(26)는 또한 어노드(11)의 범위의 일부로서 카운팅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26)는 하우징(2) 상에 축방향 베어링(27)에 의해서 어노드(11)의 세로방향 중심축(13) 둘레를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다. 이를 위해서, 축방향 베어링(27)은 바닥(4)과 마주하지 않는 하우징 쉘(3)의 면 단부(28) 상에 배치된다.
배터리(1)는 두 개의 갈바닉 또는 전력 접속부(29, 30), 즉 어노드(1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음극을 나타내는 제1 전력 접속부(29) 및 캐소드(7)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양극을 나타내는 제2 전력 접속부(30)를 소유한다.
본 명세서에 도시된 바람직한 예에서, 어노드 측 갈바닉 전력 접속부(29)는 축방향 베어링(27) 상에 형성되고 그에 고정된 방식으로 접속되며, 그 결과로 이것이 하우징(2)에 대해 고정되며 비고정 또는 회전 어노드(11)와 대조적으로 고정적으로 또는 회전식으로 고정되어 배치된다.
축방향 베어링(27)은 기본적으로 롤링 베어링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축방향 베어링(27)이 슬라이딩 베어링으로서 구성되는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었다. 특히, 축방향 베어링(27)은 이를 위해서 마찰 방지 금속 링(31) 및 환형 베어링 쉘(32)을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 쉘(32)은 하우징(2) 상에 고정되어 배치된다. 마찰 방지 금속 링(31)은 베어링 쉘(32) 내에 삽입된다. 이를 위해서 이 예에서의 베어링 쉘(32)이 축방향으로 개방된 환형 홈(groove)(33)을 가진다. 마찰 방지 금속 링(31)은 환형 홈(33) 내에 놓인다. 지지 플레이트(26)는 마찰 방지 금속 링(31) 상에 지지되며 배터리(1)의 동작 중에 그 위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마찰 방지 금속 링(31)은 마찰 방지 금속 합금으로 이루어진 환형 바디(34) 및 환형 바디(34)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 가열 컨덕터(35)를 구비한다. 환형 바디(34)는 가열 컨덕터(35)의 도움으로 가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도시되지 않은 가열 컨덕터(35)의 전원은 가열 컨덕터(35)가 한 편으로는 마찰 방지 금속 합금의 융해점 아래에 있으며 다른 한 편으로는 환형 바디(34) 상에서 표면 융해가 발생하는 마찰 방지 금속 합금의 융해점에 매우 가까운 사전결정된 동작 온도까지 환형 바디(34)를 가열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온도는 마찰 방지 금속 합금의 융해 온도 아래의 대략 10% 내지 20%이다. 저융점 합금은 실용적으로 250℃ 내지 350℃의 최대 융해점을 가질 수 있는 마찰 방지 금속 합금으로서 사용된다. 환형 바디(34)를 사전결정된 동작 온도까지 가열하는 것은 환형 바디(34)에서의 표면 융해를 발생시키며 그에 따라 외부에 위치된 환형 바디(34)의 외부 표면이 적어도 지지 플레이트(26)의 영역 내에서 액화된다. 한 편으로, 이것은 극도로 낮은 마찰력을 갖는 수압식 슬라이딩 마운팅을 생산한다. 다른 한 편으로, 이것은 마찰 방지 금속 링(31)과 지지 플레이트(26) 사이의 전기 접촉이 그에 따라 뚜렷하게 향상되어 큰 전류가 낮은 전압에서 전달될 수 있는 결과를 가진다.
가열 컨덕터(35)의 전술된 전원은 예를 들어 환형 바디(34)에서 원하는 동작 온도를 조정하도록 온도 센서와 함께 제어 디바이스(22)의 도움으로 열린-루프 또는 닫힌-루프 제어될 수 있는 별개의 전원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단순화된 경우에 전원은 적절한 위치에서 가열 컨덕터(35)와 직렬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PTC 요소의 도움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원한다면 각각의 PTC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 축방향 베어링(32)과 지지 플레이트(26) 사이의 전류 통로 내에 가열 컨덕터(35)를 도입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또한 도시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해질 통로(17)는 배터리(1)의 동작 동안 전해질 흐름이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어노드(11)를 회전식으로 구동하도록 어노드(11) 또는 어노드 바디(12)를 통과하여 안내된다. 이를 위해서 전해질 유입구(18)는 전해질 챔버(10)에 접선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전해질 챔버(17)로의 전해질의 유입이 캐소드(7)에 근접하게 발생한다. 또한 전해질 유입구(18)는 여기에서는 바닥(4)에 대해 말단으로 또는 상단에 설치된 상태로 전해질 챔버(10)의 제1 단부 영역 상에 배치되어 제공될 수 있는 반면 전해질 배출구(19)는 제1 단부 영역으로부터 원거리에 있는 전해질 챔버(10)의 제2 단부 영역 상에 배치된다. 도 1의 예 또는 설치된 상태에서, 전해질 배출구(19)는 바닥(4)에 근접하게, 즉 바닥에 배치된다. 도시된 예에서 전해질 배출구(19)는 또한 바닥(4)을 통해 통과되고 축방향으로 배향된다. 전해질 챔버(10)의 대향하는 축방향 단부들에 있는 전해질 유입구(18) 및 전해질 배출구(19)의 배치는 전해질 챔버(10)를 통한 전해질의 축방향 스루-플로우를 야기한다. 전해질 유입구(18)의 접선식 배치는 마찰 효과의 결과로서 어노드(11)를 회전식으로 구동하는 전해질 챔버(10) 내의 소용돌이 흐름 또는 스크류형 흐름을 생성한다. 그러나, 전해질 챔버(10) 내의 소용돌이 흐름은 또한 전해질 챔버(10) 내의 전해질에 대해 비교적 높은 체류 시간을 가지고 비교적 높은 흐름 속도를 가능하게 한다.
예에서, 어노드(11) 또는 어노드 바디(12)는 전해질 챔버(10)에 노출된 흐름-안내 구조(37)를 갖는 외부(36) 상에 장착된다. 여기에서, 흐름-안내 구조(37)는 어노드(11)가 전해질 흐름에 의해 충돌될 때 어노드(11)에 토크를 전달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흐름-안내 구조(37)는 따라서 어노드(11)를 구동하기 위한 전해질 흐름의 운동 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다. 흐름-안내 구조(37)는, 예를 들어, 나선형 날 또는 날 섹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흐름-안내 구조(37)는 여기에서 접선식으로 전해질 유입구(18)에 점증식으로 제공되었지만 이와 다르게 제공될 수도 있다.
전술된 예에서 적절한 방식으로 생성된 전해질 흐름이 어노드(11)를 회전식으로 구동하도록 활용되는 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해질을 몰기 위해, 즉 전해질 흐름을 생성하기 위해 노드(11)의 회전을 사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 2의 가로막힌 선에 의해 나타내어진, 어노드(11)를 회전식으로 구동하는 회전식 드라이브(26)가 제공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예를 들어 전기 모터일 수 있는 회전식 드라이브(56)는 어노드 바디(12)를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26)를 구동시킨다. 이러한 경우에, 흐름-안내 구조(37)는 예를 들어 프로펠러와 같은 축방향 흐름 기계의 이동 날(blade)과 같이 동작한다. 이러한 경우에 구동된 어노드(11)는 전해질 전달 디바이스를 형성한다. 제어 디바이스(22)는 수요에 따라 회전식 드라이브(56)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적절한 제어선(23)을 통해 회전식 드라이브(56)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도 2에 따르면, 공기 공급 디바이스(20)는 공기 유입구(15)의 상류에 농축 디바이스(38)를 구비하여 이것의 도움으로 공기 흐름 내의 산소 비율이 증가될 수 있다. 농축 디바이스(38)는 적절한 필터 구조물, 특히 막 등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농축 디바이스(38) 하류의 공기 흐름은 농축 디바이스(38)의 상류의 공기 흐름에 비교하여 상당히 증가된 산소 비율을 가진다. 폐기 공기관선(39)에 의해, 적절하게 감소된 산소 비율 또는 상승된 질소 비율을 갖는 공기 흐름이 농축 디바이스(38)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공기 공급 디바이스(20)는 공기 흐름을 몰거나 생성하기 위한 블로어(40)를 추가로 소유한다. 블로어(40)는 제어 디바이스(22)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도시되지 않은 "정상" 공기 필터가 공기 공급 디바이스(20) 내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액체 및/또는 고체 오염물이 공기 밖으로 걸러질 수 있다.
도 2에 따르면 전해질 공급 디바이스(21)는 어드밴스(42) 및 리턴(43)을 포함하는 닫힌 전해질 회로(41)가 장착된다. 어드밴스(42)는 전해질을 저장하기 위한 전해질 탱크(44)를 전해질 유입구(18)에 유동적으로 접속시킨다. 어드밴스 펌프(45)는 제어 디바이스(22)의 도움으로 작동될 수 있는 어드밴스(42) 내에 위치된다. 리턴(43)은 전해질 배출구(19)를 전해질 탱크(44)에 유동적으로 접속시키며 제어 디바이스(22)의 도움으로 작동될 수 있는 리턴 펌프(46)를 포함한다. 어드밴스 펌프(45) 및 리턴 펌프(46)는 여기에서 전해질 전달 디바이스를 형성한다.
또한, 전해질 정화 디바이스(47)는 리턴(43) 내의 리턴 펌프(46)의 하류에 배치되며, 이것의 도움으로 반응 생성물이 전해질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전해질의 준비가 전해질 정화 디바이스(47) 내부에서 일어나며 그에 따라 정화된 또는 소비되지 않은 전해질이 전해질 탱크(44)에 공급될 수 있다. 전해질 정화 디바이스(47)는, 예를 들어 원심분리기, 특히 막을 막는 원심분리기로서 구성될 수 있다. 원심분리기는 전해질 흐름의 운동 에너지에 의해 구동되는 리턴 젯(jet) 원심분리기로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기체 분리 디바이스(48)는 리턴(43)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것의 도움으로 액체 전해질로부터 기체가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기체 분리 디바이스(48)는 리턴 펌프(46)의 하류에 또는 전해질 정화 디바이스(47)의 하류에 배치된다. 분리된 기체는 특히 전해질 챔버(10) 내의 전해질 반응 동안 형성된 수소 기체를 포함한다. 향상된 기체 분리를 위해서 기체 분리 디바이스(48)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액체 전해질이 빠져나갈 수 있다. 노즐들이 액체 전해질로부터 기체의 분리를 단순화하는 거품 형성을 강화한다는 것이 나타내어졌다.
기체 분리 디바이스(48)는 기체관선(49)을 통해 변환 디바이스(50)에 유동적으로 접속되며 이것의 도움으로 분리된 기체의 화학적 에너지가 전기 에너지 및/또는 열 에너지로 변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환 디바이스(50)는 촉매 버너를 포함하며 그에 따라 연소가능한 기체가 열을 생성하도록 발열식으로 변환된다. 이와 다르게 변환 디바이스(50)는 수소-공기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은 대기 중 산소의 도움으로 분리된 수소 기체를 열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킨다. 변환 디바이스(50)의 도움으로 분리된 기체로부터 변환된 에너지는 화살표(51)에 따라서 배터리(1) 또는 개별 1차 시스템, 즉 특히 자동차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열 교환기(55)는 리턴(43)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것의 도움으로 복귀된 전해질이 냉각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에서 방출된 열은 전해질 챔버(10) 내의 반응 구역으로 공급될 수 있거나 또는 배터리(1)에 대한 1차 시스템, 특히 자동차로 공급될 수 있다. 도 2의 예에서 열 교환기(55)는 기체 분리 디바이스(48) 내에 통합된다.
도 1에 따르면, 공기 챔버(9) 내의 공기 흐름의 체류 시간을 증가시키도록, 적어도 공기 유입구(15)가 공기 챔버(9)에 접선식으로 배치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공기 유입구(15) 및 공기 배출구(16)는 서로 원거리인 공기 챔버(9)의 단부들에 배치된다. 여기에서 소위 반대-흐름(counter-flow) 원리가 전해질 통로(17) 및 공기 통로(14)에 대해 구현될 수 있도록 전해질 통로(17)에 비교하여 역 배치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예에서 공기 유입구(15)는 바닥(4)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반면 공기 배출구(16)는 바닥(4)에서 먼 곳에 배치된다.
유도 가열(57)이 이 예에서 캐소드(7)의 영역 내에 위치되는 어노드(11) 또는 어노드 바디(12)를 가열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도 가열(52)의 도움으로 어노드(11) 또는 어노드 바디(12)가 한 편으로는 비접촉 방식으로 가열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가열은 특히 전해질 흐름에도 노출되는 전해질 챔버(10)를 마주하는 외부(36)의 영역 내에서 발생한다. 따라서, 가열은 특히 향상된 전해질 반응을 위해 증가된 온도가 요구되는 곳에서 발생한다. 유도 가열(52)은 특히 수직 자기장이 유도로 인해 어노드(11) 또는 어노드 바디(12)의 원하는 표면 가열에 대해 어노드(11)의 상대적인 움직임으로만 발생하는 원주 방향의 교류 자기 편극으로 발생되도록 구성된다. 어노드(11)의 상대적인 움직임은 자신의 세로방향 중심축(13) 둘레의 어노드(11)의 회전에 의해 달성된다. 유도 가열은 회전 속도 제어되며 이때 어노드(11)의 회전 속도는 전해질의 부피 흐름에 의존한다.
여기에서 나타내어지는 바람직한 예에서는 단지 하나의 캐소드(7) 및 하나의 어노드(11)만이 하우징(2) 내에 배치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하우징(2) 내에 복수의 캐소드(7) 및 복수의 어노드(11)를 배치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동일한 캐소드(7) 내에 복수의 어노드(11)를 배치하는 것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도 2에서 전반적으로 참조번호(57)로 지정된 배터리 시스템은 전술된 타입의 적어도 두 개의 금속-공기 배터리(1)를 포함하지만 여기에서 주변 장치 또는 구성요소들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배터리(1)에는 공통 공기 공급 디바이스(20)에 의해 개별 공기 흐름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배터리(1)에는 공통 전해질 공급 디바이스(21)에 의해 개별 전해질 흐름이 공급될 수 있다. 특히, 공통 제어 디바이스(22)는 복수의 배터리(1) 또는 배터리 시스템(57)을 동작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공통 전달 디바이스가 또한 개별 배터리(1)를 위해 공기 흐름 또는 전해질 흐름을 생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배터리(1)는 전기적으로 직렬로 또는 병렬로 접속될 수 있다. 배터리(1)의 이러한 전해질 통로(17)는 독립적으로 병렬로 또는 직렬로 유동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통 전해질 회로(41)가 제공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복수의 배터리(1)는 예를 들어 전해질 정화 디바이스(47) 및/또는 기체 분리 디바이스(48)와 같은 전해질 회로(41)의 추가의 구성요소들이 함께 사용될 수 있도록 유동적으로 포함된다. 유사하게, 배터리(1)의 공기 통로(14)는 병렬로 또는 직렬로 유동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또한 예를 들어 농축 디바이스(38) 또는 공기 필터와 같은 공기 공급 디바이스(20)의 추가의 구성요소들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전기 모터 드라이브를 구비한 자동차에 개별 전기 모터에 대해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해 전술된 타입의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 또는 전술된 배터리 시스템(57)이 장착될 수 있다. 수압식 또는 물과 공기압의 열린-루프 또는 닫힌-루프 전력 제어로 인해, 여기에서 도입되는 배터리(1)는 특히 무거운 축전지 등이 생략될 수 있도록 자동차의 개별 전류 소비자 또는 상응하는 전력 전자 시스템에 전기적으로 원칙적 비완충 접속될 수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금속-공기 배터리(1) 또는 이러한 배터리 시스템(57)을 동작하기 위해서, 이제 금속-공기 배터리(1) 또는 배터리 시스템(57)에 대한 전력 수요에 따라서 개별 배터리(1)에 대해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전해질 흐름 및/또는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공기 흐름이 생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실용적으로 전해질 흐름을 적응시키기 위해서 회전식으로 구동되는 어노드(11)에 대해 각각의 전해질 전달 디바이스, 즉 바람직하게는 전해질 펌프(47, 46)가 자신의 전달 출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적절하게 작동되고/되거나 공기 흐름을 적응시키기 위해서 각각의 공기 전달 디바이스, 즉 바람직하게는 블로어(40)가 그에 따라서 자신의 전달 출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적절하게 작동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1에 따라 그리고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어노드(11)는 알루미늄 합금의 입자들(54)이 내장되는 나트륨 매트릭스(53) 내의 어노드 바디(12)를 포함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것은 알루미늄 나트륨 합금이 아니라 알루미늄 나트륨 합성 재료이다. 이것이 획득됨에 따라 입자들(54)을 형성하는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하는 입자 재료가 매트릭스(53)를 형성하는 나트륨 융해물로 도입된다. 어노드(11) 또는 어노드 바디(12)는 알루미늄 합금의 입자들(54)을 함유하는 이러한 융해된 나트륨의 도움으로 주조될 수 있다.
입자들(54)은 예를 들어 10㎛ 내지 100㎛의 입자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입자 크기는 40㎛ 내지 60㎛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대략 50㎛의 입자 크기를 가진다. 어노드 바디(12) 내의 입자들(54)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의 범위 내에 있다. 60% 내지 70%의 입자 비율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대략 65%의 입자 비율을 가지며, 여기에서 백분율은 중량 백분율을 의미한다.
입자들(54)이 생성되는 알루미늄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르코늄을 함유할 수 있다. 알루미늄 합금 내의 지르코늄은 어노드 바디(12)의 외부(36)에서의 장벽 층의 형성을 감소시켜 알루미늄 산화물과 수소를 형성하는 물과 알루미늄의 직접 변환이 크게 방지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합금은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0%의 지르코늄을 함유한다. 0.05% 내지 0.8%의 지르코늄 비율이 바람직하다. 대략 0.5%의 지르코늄 비율이 특히 바람직하다. 전술된 백분율 정보는 중량백분율에 의해 표현되었다. 알루미늄 합금은 생산으로 인한 방지할 수 없는 오염물을 제외하면 오직 알루미늄으로만 이루어진다.
전해질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할로겐 및 적어도 하나의 계면활성제가 추가되는 수성 산 또는 수성 알칼리성 용액으로 이루어진다. 할로겐은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아스타틴 및 우눈셉튬이다. 특히 불소, 염소, 브롬 및 요오드가 전해질로서 고려된다. 여기에서는 불소가 바람직하다. 할로겐은 순수한 형태로 사용되지 않으며 불소 화합물, 특히 불소를 함유하는 염, 소위 플루오라이드의 형태로 사용된다. 계면활성제는 두 가지 상(phase) 사이의 계면 장력을 낮추고 분산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거나 촉진하거나 또는 용해제로서 작용하는 물질이다.
전해질에 대해 사용되는 산 또는 알칼리성 용액은 물 내에서 10% 내지 40%의 농도를 가진다. 여기에서 바람직한 농도는 15% 내지 25%의 범위 내에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대략 20%의 농도를 가진다. 할로겐은 산 또는 알칼리성 용액 내에서 0.1% 내지 4.0%의 비율을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의 할로겐 비율을 가진다. 바람직한 할로겐은 이 경우에서 칼륨 알루미늄 펜타플루오라이드이다. 계면활성제는 산 또는 알칼리성 용액 내에 0.1% 내지 2.0%의 비율을 가진다. 0.2% 내지 1.0%의 계면활성제 비율이 바람직하다. 라우릴 황산나트륨이 계면활성제로서 바람직하다. 전술된 백분율 정보는 각각의 경우 중량백분율로서 표현되었다.

Claims (33)

  1. 금속-공기 배터리로서,
    - 하우징(2),
    - 공기 챔버(9)와 전해질 챔버(10)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2)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속이 빈 원통형 캐소드(7),
    - 상기 전해질 챔버(10) 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 어노드(11),
    - 상기 공기 챔버(9)에 유동적으로 접속된 상기 하우징(2)의 공기 유입구(15)로부터 상기 공기 챔버(9)에 유동적으로 접속된 상기 하우징(2)의 공기 배출구(16)로 이어지는, 상기 하우징(2)을 통과하는 공기 통로(14),
    - 상기 공기 통로(14)를 따르며(following) 상기 캐소드(7) 상에 충돌하는 공기 흐름을 생성하기 위한 공기 공급 디바이스(20),
    - 상기 전해질 챔버(10)에 유동적으로 접속된 상기 하우징(2)의 전해질 유입구(18)로부터 상기 전해질 챔버(10)에 유동적으로 접속된 상기 하우징(2)의 전해질 배출구(19)로 이어지는, 상기 하우징(2)을 통과하는 전해질 통로(17), 및
    - 상기 전해질 통로(17)를 따르며 상기 어노드(11) 및 상기 캐소드(7) 상에 충돌하는 전해질 흐름을 생성하기 위한 전해질 공급 디바이스(21)를 포함하는, 배터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 디바이스(20) 및 상기 전해질 공급 디바이스(2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기 금속-공기 배터리(1)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 디바이스(22)에 의해 특징지어지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22)는 상기 금속-공기 배터리(1)에서의 전력 수요의 함수로서 이러한 전력 수요에 적응된 공기 흐름을 생성하도록 상기 공기 공급 디바이스(20)를 작동시키고/시키거나 이러한 전력 수요에 적응된 전해질 흐름을 생성하도록 상기 전해질 공급 디바이스(21)를 작동시키도록 구성 및/또는 프로그램되는, 배터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22)는, 상기 전력 수요의 함수로서 이러한 전력 수요에 적응된 전해질 흐름을 생성하도록 상기 전해질 공급 디바이스(21)를 작동시키고 상기 적응된 전해질 흐름에 적응된 공기 흐름을 생성하도록 상기 공기 공급 디바이스(20)를 작동시키도록 구성 및/또는 프로그램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배터리.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22)는 상기 금속-공기 배터리(1)를 스위칭오프(switching off)하기 위해 전해질의 상기 전해질 통로(17)를 비우도록 상기 전해질 공급 디바이스(21)를 작동시키도록 구성 및/또는 프로그램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배터리.
  5. 제 1 항 또는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노드(11)는 상기 하우징(2) 상에서 자신의 세로방향 중심축(13) 둘레를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배터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어노드(11)를 회전식으로 구동하는 회전식 드라이브(56)가 제공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배터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어노드(11)는 상기 어노드(11)의 회전이 전해질을 상기 전해질 통로(17) 내에서 몰아가도록(drive) 구성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배터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 챔버(10)에 노출된 자신의 외부(36) 상의 상기 어노드(11)는 흐름 안내 구조(37)를 포함하고, 이를 이용하여 회전하는 어노드(11)가 전해질을 몰아가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배터리.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 통로(17)는 상기 전해질 흐름이 회전식으로 상기 어노드(11)를 구동하도록 상기 어노드(11)를 지나치게 안내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배터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 유입구(18)는 상기 전해질 챔버(10)의 제1 단부 영역에서 상기 전해질 챔버(10)에 접하게 배치되는 반면 상기 전해질 배출구(19)는 상기 전해질 챔버(10)의 제2 단부 영역에 배치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배터리.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어노드(11)는 상기 어노드(11)가 상기 전해질 흐름에 의해 충돌될 때 상기 어노드(11)로 토크(torque)를 전달하는 상기 전해질 챔버(10)에 노출된 자신의 외부(36) 상에 흐름-안내 구조(37)를 포함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배터리.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노드(11)는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금속 지지 플레이트(26)에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배터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26)는 상기 하우징(2) 상의 축방향 베어링(axial bearing)(27)을 통해 상기 어노드(11)의 세로방향 중심축(13) 둘레를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배터리.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공기 배터리(1)의 어노드 측 전력 접속부(29)는 상기 축방향 베어링(27)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배터리.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베어링(27)은 마찰 방지 금속 링(31)을 포함하고, 상기 마찰 방지 금속 링(31)은 하우징 측 환형 베어링 쉘(housing-side annular bearing shell)(32) 내에 놓이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26)가 상기 마찰 방지 금속 링(31)에 지지되며 상기 어노드(11)가 회전할 때 상기 지지 플레이트(26)가 상기 마찰 방지 금속 링(31) 상에서 슬라이드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배터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방지 금속 링(31)은 마찰 방지 금속 합금의 환형 바디(34) 및 상기 환형 바디(34) 내에 배치되어 상기 환형 바디(34)를 가열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 컨덕터(35)를 포함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배터리.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컨덕터(35)의 전원은 상기 가열 컨덕터(35)가 상기 환형 바디(34) 상에서 표면 융해가 발생하는 상기 마찰 방지 금속 합금의 융해점 아래이지만 상기 마찰 방지 금속 합금의 융해점에 매우 가까운 사전결정된 동작 온도까지 상기 환형 바디(34)를 가열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배터리.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 디바이스(20)는 상기 공기 유입구(15)의 상류에 상기 공기 흐름 내의 산소 비율을 증가시키는 농축 디바이스(concentrating device)(38)를 구비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배터리.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 공급 디바이스(21)는 전해질 탱크(44)로부터 상기 전해질 유입구(18)까지 이어지는 어드밴스(advance)(42) 및 상기 전해질 배출구(19)로부터 상기 전해질 탱크(44)까지 이어지는 리턴(return)(43)을 포함하는 전해질 회로(41)를 포함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배터리.
  20. 제 19 항에 있어서,
    전해질을 몰기 위한 어드밴스 펌프(45)가 상기 어드밴스(42) 내에 위치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배터리.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전해질을 몰기 위한 리턴 펌프(46)가 상기 리턴(43) 내에 배치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배터리.
  22. 제 19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해질로부터 반응생성물을 제거하기 위한 전해질 정화 디바이스(electrolyte cleaning device)(47)가 상기 리턴(43) 내에 배치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배터리.
  23. 제 19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체 전해질로부터 기체를 제거하기 위한 기체 분리 디바이스(48)가 상기 리턴(43) 내에 배치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배터리.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 분리 디바이스(48)는 분리된 기체의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 및/또는 열 에너지로 변환하는 변환 디바이스(50)에 기체관선(gas line)(49)을 통해서 유동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배터리.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디바이스(50)는 촉매 버너인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배터리.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디바이스(50)는 수소-공기 연료 전지인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배터리.
  27. 제 1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공기 유입구(15)가 상기 공기 챔버(9)에 접하게 배치되고/되거나,
    - 상기 공기 배출구(16)가 상기 공기 챔버(9)에 접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배터리.
  28. 제 1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도 가열(induction heating)(52)이 상기 어노드(11)를 가열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배터리.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 가열(52)이 상기 캐소드(7)의 영역 내에 배치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배터리.
  30. 제 1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수의 금속-공기 배터리들(1)을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배터리들(1)의 상기 공기 통로(14)를 통해 개별 공기 흐름을 생성하기 위한 공통 공기 공급 디바이스(20) 및/또는 상기 배터리들(1)의 상기 전해질 통로(17)를 통해 개별 전해질 흐름을 생성하기 위한 공통 전해질 공급 디바이스(21) 및/또는 상기 배터리들(1)을 동작시키기 위한 공통 제어 디바이스(22)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배터리 시스템.
  31. 전기 모터 드라이브를 구비하며 제 1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금속-공기 배터리(1) 또는 제 30 항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57)을 구비하는 자동차로서,
    상기 자동차의 상기 전기 드라이브의 전원에 대한 전력 전자 시스템이 상기 개별 금속-공기 배터리(1) 또는 상기 배터리 시스템(57)에 비완충(unbuffered) 커플링되는, 자동차.
  32. 제 1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금속-공기 배터리(1)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금속-공기 배터리(1)에서의 전력 수요에 따라 적절한 전해질 흐름 및/또는 적절한 공기 흐름이 생성되는,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 상기 전해질 흐름을 적응시키도록 적어도 하나의 전해질 전달 디바이스(45, 46; 11)가 자신의 전달 출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적절하게 작동되고/되거나,
    - 상기 공기 흐름을 적응시키도록 적어도 하나의 공기 전달 디바이스(40)가 자신의 전달 출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적절하게 작동되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는, 방법.
KR1020167032978A 2014-04-29 2015-04-09 금속―공기 배터리 KR201601469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208044.4A DE102014208044A1 (de) 2014-04-29 2014-04-29 Metall-Luft-Batterie
DE102014208044.4 2014-04-29
PCT/EP2015/057744 WO2015165708A2 (de) 2014-04-29 2015-04-09 Metall-luft-batteri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982A true KR20160146982A (ko) 2016-12-21

Family

ID=52807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2978A KR20160146982A (ko) 2014-04-29 2015-04-09 금속―공기 배터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340504B2 (ko)
EP (1) EP3138139B1 (ko)
JP (1) JP6731349B2 (ko)
KR (1) KR20160146982A (ko)
CN (1) CN106463664B (ko)
DE (1) DE102014208044A1 (ko)
IL (1) IL248413A0 (ko)
WO (1) WO201516570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63663B (zh) * 2014-04-29 2019-09-10 马勒国际有限公司 金属空气电池
WO2017189487A1 (en) * 2016-04-25 2017-11-02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backup power
AU2017298994B2 (en) 2016-07-22 2019-09-12 Nantenergy, Inc. Moisture and carbon dioxide management system in electrochemical cells
JP6695614B2 (ja) * 2017-03-10 2020-05-20 ineova株式会社 金属負極電池
CN108808176B (zh) * 2017-04-28 2021-12-10 罗天珍 分舱循环、喷淋溶氧型金属空气电池
DE102017212275A1 (de) * 2017-07-18 2019-01-2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und system zum erwärmen eines energiespeichers sowie fahrzeug
CN108183288A (zh) * 2017-12-28 2018-06-19 张树雄 一种金属空气燃料电池
CN108183290A (zh) * 2017-12-28 2018-06-19 张树雄 一种智能金属空气电池系统
CN108454367B (zh) * 2017-12-28 2021-02-19 江苏欧力特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防潮功能的电动汽车锂电池
US11245143B2 (en) * 2018-05-10 2022-02-08 Form Energy, Inc. Electrochemical cell having orthogonal arrangement of electrodes
DE102018112308A1 (de) * 2018-05-23 2019-11-28 Deutsches Zentrum für Luft- und Raumfahrt e.V. Magnesium-Luft-Batterie und Verfahren zum kontinuierlichen Betreiben derselben
CN109638309B (zh) * 2018-12-14 2022-03-29 北京工业大学 一种气相逆流的无隔膜金属-含氧气体液流电池
US11876206B2 (en) * 2019-03-31 2024-01-16 Dai Zhou Compact unit of refillable aluminum-air battery with concurrent hydrogen utilization system
DE102019003257B4 (de) * 2019-05-08 2020-12-17 Diehl Aviation Gilching Gmbh Vorrichtung, Verfahren und Verwendung der Vorrichtung zum Inertisieren oder aufrechterhaltung einer Inertisierung eines Raumes sowie Luft- oder Raumfahrzeug
US11936028B1 (en) 2020-07-13 2024-03-19 Ampcer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eating electrochemical systems
CN113394845B (zh) * 2021-06-23 2024-03-12 深圳丰汇汽车电子有限公司 用于蓄电池组的充电器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974905A (no) 1997-10-23 1999-01-04 Statoil Asa Batterisystem
US3415685A (en) * 1964-05-19 1968-12-10 Union Carbide Corp Gas-depolarizable galvanic cell
US3505113A (en) * 1967-11-22 1970-04-07 Gulf General Atomic Inc Rechargeable energy conversion process
GB1317214A (en) * 1970-08-12 1973-05-16 Hitachi Maxell Metal/air or metal/oxygen cells
US3847671A (en) 1973-04-13 1974-11-12 Electromedia Hydraulically-refuelable metal-gas depolarized battery system
US4341847A (en) * 1980-10-14 1982-07-27 Institute Of Gas Technology Electrochemical zinc-oxygen cell
US4521497A (en) * 1984-05-18 1985-06-04 Lth Associates, Ltd. Electrochemical generators and method for the operation thereof
JPH0665052B2 (ja) * 1986-09-19 1994-08-22 三洋電機株式会社 燃料電池
US4822698A (en) * 1987-05-15 1989-04-18 Westinghouse Electric Corp. Seawater power cell
US4842963A (en) 1988-06-21 1989-06-2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Zinc electrode and rechargeable zinc-air battery
US5439758A (en) * 1992-10-02 1995-08-08 Voltek, Inc. Electrochemical power generating system
US5415949A (en) * 1992-10-02 1995-05-16 Voltek, Inc. Metal-air cell and power system using metal-air cells
US6296960B1 (en) * 1997-10-06 2001-10-02 Reveo,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electrical power using metal-air fuel cell battery technology
CO5060451A1 (es) * 1998-05-18 2001-07-30 Procter & Gamble Bateria de cinc/oxigeno que contiene un concentrados de oxigeno
US6274261B1 (en) * 1998-12-18 2001-08-14 Aer Energy Resources, Inc. Cylindrical metal-air battery with a cylindrical peripheral air cathode
US6127061A (en) * 1999-01-26 2000-10-03 High-Density Energy, Inc. Catalytic air cathode for air-metal batteries
WO2004015799A1 (en) * 2002-08-08 2004-02-19 Ztek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charging a metal-air converter used for vehicle propulsion
US7332238B2 (en) * 2002-09-06 2008-02-19 The Gillette Company Electrochemical cells and systems
AU2003278810A1 (en) 2002-09-12 2004-04-30 Metallic Power, Inc. Self-controlling fuel cell power system
US20060127740A1 (en) * 2002-10-23 2006-06-15 William Morris Oxidant flow system for submerged metal air electrochemical cell
US7157171B2 (en) 2003-05-09 2007-01-02 Nanotek Instruments, Inc. Metal-air battery with programmed-timing activation
CN2768221Y (zh) * 2004-12-25 2006-03-29 中国科学技术大学 液控敞口铝空电池装置
US20090130504A1 (en) * 2007-11-20 2009-05-21 Robert Van Burdine Electrochemical discharge cell
JP4789018B2 (ja) 2008-01-28 2011-10-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
WO2010128552A1 (ja) * 2009-05-08 2010-11-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空気電池モジュール
JP4852630B2 (ja) 2009-06-25 2012-01-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充放電制御装置
KR20130112697A (ko) * 2010-06-04 2013-10-14 히다치 조센 가부시키가이샤 금속공기전지
JP2011253789A (ja) 2010-06-04 2011-12-15 Hitachi Zosen Corp 金属空気電池
DE102010033020A1 (de) * 2010-07-31 2012-02-02 Volkswagen Ag Lithium-Luft-Batterie mit hoher Sauerstoffsättigung
JP5659675B2 (ja) * 2010-10-07 2015-01-28 住友化学株式会社 空気電池
CN102005578A (zh) * 2010-10-15 2011-04-06 南开大学 一种圆筒型薄膜空气电极及其在锌-空气电池中的应用
DE102011002549A1 (de) 2011-01-12 2012-07-12 Robert Bosch Gmbh Batterietemperierung durch Aggregatzustandswechselmaterial
DE102011002729A1 (de) * 2011-01-14 2012-07-19 Siemens Aktiengesellschaft Energiespeicheranordnung
CN202076387U (zh) * 2011-05-05 2011-12-14 天津市诺奇新能源科技有限公司 动力型锌空气电池
JP2012239245A (ja) * 2011-05-09 2012-12-06 Blue Aqua Industry Kk 配電システム
CN104106157B (zh) 2011-05-16 2017-08-25 斐源有限公司 可再充电的锌空气电池及其操作方法
EP2770578B1 (en) * 2011-10-21 2016-04-20 Nissan Motor Co., Ltd Fluid injection-type air battery
EP2820698B1 (en) 2012-02-27 2018-04-25 Phinergy Ltd. Metal-air fuel cells and methods of removing spent fuel therefrom
WO2013150519A1 (en) 2012-04-04 2013-10-10 Phinergy Ltd. Zinc electrode for use in rechargeable batteries
US9627726B2 (en) 2012-04-04 2017-04-18 Phinergy Ltd. Shutdown system for metal-air batteri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PL2834871T3 (pl) 2012-04-04 2019-01-31 Phinergy Ltd. Układ elektrolitu i sposób jego wytwarzania
WO2013165406A1 (en) * 2012-05-02 2013-11-07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Lobed two-gas mixer and solid oxide fuel cell system using same
JP6001360B2 (ja) 2012-07-05 2016-10-05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池ユニット
RU2645988C2 (ru) 2012-07-09 2018-02-28 Финэрджи Лтд.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работы металло-воздушной батареи
US9240599B2 (en) * 2012-09-05 2016-01-19 Bloom Energy Corporation Ammonia or hydrazine injection into fuel cell systems
CN106463663B (zh) * 2014-04-29 2019-09-10 马勒国际有限公司 金属空气电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38139B1 (de) 2018-10-03
EP3138139A2 (de) 2017-03-08
JP6731349B2 (ja) 2020-07-29
US10340504B2 (en) 2019-07-02
IL248413A0 (en) 2016-11-30
CN106463664A (zh) 2017-02-22
WO2015165708A3 (de) 2015-12-23
JP2017515274A (ja) 2017-06-08
US20170170451A1 (en) 2017-06-15
WO2015165708A2 (de) 2015-11-05
DE102014208044A1 (de) 2015-10-29
CN106463664B (zh) 201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46982A (ko) 금속―공기 배터리
KR20160147003A (ko) 금속―공기 배터리
JP6637441B2 (ja) 空気電池用のアノード及び電解液
US20060269807A1 (en) Fuel cell cool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irculation of cooling liquid in fuel cell
JP2006286559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5505583B1 (ja) 2次電池型燃料電池システム
JP2010015729A (ja) 二次電池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並びにこれらの充電方法
JP2011171260A (ja) 空気二次電池システム
US7767326B2 (en) Water controller system having stable structure for direct methanol fuel cell
JP2005285715A (ja) 発電蓄電装置
US20150037696A1 (en) Secondary Cell-Type Fuel Cell System
JP2014216062A (ja) 2次電池型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それを備えた給電システム
CN220491923U (zh) 风冷式燃料电池
JP2007503295A (ja) 流体分離器と一体化したエネルギー及び/又は質量交換器
JP5772681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5207395A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WO2023084117A1 (en) Battery with electrochemical cell
JP2023130620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5340002A (ja) 燃料電池放電システム
US20150306561A1 (en) Fuel Generation Device and Fuel Cell System Provided with Same
US20150171441A1 (en) Fuel Cell System
KR20040003659A (ko) 연료전지의 냉각/가습장치
JP2006073407A (ja) 固体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