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6136A -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46136A KR20160146136A KR1020150082836A KR20150082836A KR20160146136A KR 20160146136 A KR20160146136 A KR 20160146136A KR 1020150082836 A KR1020150082836 A KR 1020150082836A KR 20150082836 A KR20150082836 A KR 20150082836A KR 20160146136 A KR20160146136 A KR 2016014613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cosmetic composition
- skin
- pores
- po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암해수, 검정콩 추출물, 산초나무잎추출물, 호장근추출물, 홍화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의 건조를 막고, 각질층을 유지시켜 모공 축소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용암해수, 검정콩 추출물, 산초나무잎 추출물, 호장근 추출물 및 홍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공이란 털 구멍으로 털이 자라는 공간을 말한다. 또한, 모공은 피지선과도 연결되어 있어 피지선에 만들어 내는 피지가 모공을 통해 피부 표면으로 나오게 된다. 피부에는 ㎠ 당 100~120개의 모공이 존재하여 사람의 얼굴엔 약 2만 개의 모공이 있다. 일반적으로 모공의 지름은 약 0.02~0.05 mm 정도로 눈에 잘 띄지 않으나, 나이, 계절, 여성의 생리주기, 임신, 스트레스 등에 의해 피지 분비가 과다해지면 눈에 띌 만큼 커져 보기 흉해진다. 모공이 넓은 피부는 깨끗해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항상 얼굴이 번들거려 지저분하게 보인다. 또한, 모공이 열려 있으면 모낭 내로 세균이 침입하기 쉬워져 피부 트러블을 일으키기 쉽게 된다. 이에 따라 많은 이들이 모공축소에 큰 관심을 가지게 되어 화장품을 이용한 모공의 관리가 중요하게 되었다.
모공이 확장되는 주요 원인에는 피지 과다 분비, 피부 노화, 모공 속 노폐물 축적 등이 있다. 우선 피지가 과다 분비될 경우, 피지를 배출하기 위해 모공이 커지고, 피지가 모공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장애가 생기게 되면 모공은 점점 더 커진다. 사춘기 이후 본격적으로 피지 분비가 늘어나면서 모공이 넓어진다. 또한, 피지가 과도하게 분비되면 모공이 피지 분비량을 따라가지 못해 막히고 이로 인해 여드름이 발생한다. 피지 분비는 자외선에 의해서도 촉진되는데, 자외선이 강한 여름철에는 세안을 자주해도 금방 얼굴이 번들거린다.
한편, 20대 후반부터 노화에 의해서 모공이 커지게 되는데, 이는 피부가 나이 들면서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와 섬유아세포(fibroblast)의 활성, 콜라겐 합성능력, 엘라스틴 합성능력 및 수분보유능력이 감소하고, 피부의 탄력이 감소하면서 모공의 확장이 시작되는 것이다. 피부의 탄력이 떨어지면서 모공 벽을 지지하던 콜라겐과 탄력섬유가 점차 감소하고, 모공을 조여주는 힘이 떨어지기 때문에 모공이 늘어나게 된다. 모공이 넓어지면 그 속으로 세균들이 침입하기 쉬우므로 여드름과 같은 피부 트러블을 일으키기 쉬워진다. 또한, 화장이 잘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칙칙하고 지저분하게 보인다. 미세한 먼지나 화장 찌꺼기 등 노폐물이 끼어 큰 모공이 더욱 두드러져 보이므로 깨끗한 피부를 가지지 못하고 얼굴이 지저분해지는 결과를 얻게 된다.
모공과 관련된 피부 트러블을 개선하는 방법으로 수렴제로서 홍경천 추출물을 이용하여 모공을 수축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997-0070601호), 올리고사카라이드를 복용함으로써 피지선에서의 피지 분비량을 감소시켜 피지분비를 억제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 평 05-294836호). 또한, 허브 추출물을 화장료에 적용시켜 피지분비를 억제하여 모공수축의 효과를 얻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34474호).
그러나, 용암해수, 검정콩 추출물, 산초나무잎 추출물, 호장근 추출물 및 홍화 추출물을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용암해수 및 천연물질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의 건조를 막고, 각질층을 유지시켜 모공을 축소하는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용암해수, 검정콩 추출물, 산초나무잎 추출물, 호장근 추출물 및 홍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용암해수는 40만년 전에 화산활동에 의해 제주 섬의 해안지대가 형성되면서 바닷물이 지하에 남아있거나, 화산암에 의해 바닷물이 여과되면서 만들어진 염지하수로서, 일반해수와 달리 생활폐수, 농약, 양식장 배출수 중 선택되는 하나의 바닷물 오염원으로부터 안전한 해수이다. 또한, 미네랄이 용해되어 있는 청정 수자원이다. 용암해수는 피부 보습력 증진, 탄력 증진 및 항 염증 효과를 갖고, 육모촉진, 탈모 예방, 또는 모발 개선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본 발명의 용암해수는 바람직하게 용암해수를 탈염시켜 수득된 탈염용암해수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검정콩(Glycine max)은 검은콩 또는 흑대두(?大豆)라고도 하며, 특정한 한 종류의 콩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검은빛을 띠는 콩을 통칭한다. 흑태, 서리태 및 서목태(여두)가 검정콩에 속한다. 검정콩은 항균작용, 항염증작용, 보습작용을 지니고, 탈모 방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산초나무(Zanthoxylum schinifolium)는 운향과의 잎지는 넓은잎 작은키나무로 키 3~4 m 정도로 곧게 자라는 나무이며, 산초나무잎은 상기 산초나무의 잎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호장근(Reynoutria elliptica)은 마디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뿌리줄기가 옆으로 자라면서 새싹이 돋아 포기를 형성하며, 높이 1 m 내외로 자라는 식물이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호장근이라고 하며 완화?이뇨 및 통경제로 사용하고, 민간에서는 진정제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홍화(Carthamus tinctorius)는 높이는 1 m에 달하고 전체에 털이 없으며, 잎은 어긋나고 넓은 피침형(披針形)으로서 톱니 끝이 가시처럼 되어 있는 식물이다. 꽃은 7?8월에 피며, 모양이 엉겅퀴와 같으나 붉은빛이 도는 황색이고,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1개씩 달리며, 염료로 이용되어 과거에는 활발히 재배되었다.
본 발명의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바람직하게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20중량% 함유되는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10중량% 함유되는 것이 좋다. 상기 범위가 0.001중량% 이하일 경우에는 피부 모공 축소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 이상일 경우에는 경제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의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일 예로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용매에 의해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은 일 예로, 프로판디올, 글리세린, 포도추출물, 감나무잎추출물, 커피추출물, 밤껍질추출물, 녹차추출물, 톳추출물, 벼잎 및 줄기 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 1,2-헥산디올,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부틸렌글라이콜, 베타인, 잔탄검, 아데노신, 라피노오스, 이노시톨, 하이알루로닉애씨드, 카프릴릴글라이콜, 히스티딘, 알지닌, 시스테인, 라이신, 글루타민, 글라이신, 옥탄디올, 벤질알콜, 정제수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일 예로, 현탁액, 용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아이크림, 로션, 앰플, 세럼, 에센스,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팩, 마사지크림, 스크럽, 밤, 각질제거제, 샤워젤, 유연화장수 및 스프레이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상기 페이스트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상기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상기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상기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가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용암해수, 검정콩 추출물, 산초나무잎 추출물, 호장근 추출물 및 홍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의 건조를 막고, 각질층을 유지시켜 모공 축소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전안촬영시스템에 의해 촬영된 모공 수 분석 사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이 모공 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그래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의 모공 수 개선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전안촬영시스템 Facial Stage'에 의해 촬영된 모공 면적 분석 사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이 모공 면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그래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의 모공 면적 개선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이 모공 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그래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의 모공 수 개선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전안촬영시스템 Facial Stage'에 의해 촬영된 모공 면적 분석 사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이 모공 면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그래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의 모공 면적 개선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제조예 1: 탈염용암해수의 제조]
본 제조 예에서는 탈염과정을 통해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 가능한 용암해수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제주도 동부지역에서 용암해수를 채수하고, 전기투석기(ASTOM CO. LTD , 일본)에 의하여, 이온 교환 막을 이용, 1가 이온을 제거함으로써 탈염 과정을 거쳐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 가능한 탈염용암해수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복합추출물의 제조]
본 제조예에서는 검정콩 추출물, 산초나무잎 추출물, 호장근 추출물 및 홍화 추출물을 혼합하여 복합추출물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검정콩, 산초나무잎, 호장근, 홍화를 각각 세척한 후, 완전 건조한 후, 분쇄하여, 검정콩, 산초나무잎, 호장근, 홍화의 분쇄물을 각각 100 g 에 대하여 10배 부피의 함수에탄올을 이용하여 50℃의 온도에서 각각 12시간 침적 추출하고, 여과하였다. 여과 후, 감압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검정콩 추출물, 산초나무잎 추출물, 호장근 추출물, 홍화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용암해수 및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탈염용암해수 및 제조예 2에서 제조한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탈염용암해수 및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하기 표 1의 성분들을 혼합하여 본 발명의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번호 | 성분 | 함량(중량%) |
1 | 탈염용암해수(제조예 1) | to 100 |
2 | 복합추출물(제조예 2) | 5 |
3 | 프로판디올 | 5 |
4 | 글리세린 | 5 |
5 | 녹차추출물 | 4 |
6 | 커피추출물 | 3 |
7 | 밤껍질추출물 | 3 |
8 | 감나무잎추출물 | 2.4 |
9 | 포도추출물 | 2.4 |
10 | 톳추출물 | 미량 |
11 | 벼잎 및 줄기 추출물 | 미량 |
12 | 나이아신아마이드 | 2 |
15 | 부틸렌글라이콜 | 0.2 |
16 | 베타인 | 0.2 |
17 | 잔탄검 | 0.05 |
18 | 아데노신 | 0.04 |
합계 | 100 |
[실험예 1: 크게 열린 모공 수 개선 효과 평가]
본 실험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의 모공 수 개선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피실험자는 20세 이상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연령은 31.45 세이다. 본 인체적용실험은 한국피부임상과학연구소에서 동일한 세안제로 세안 후, 30분간 항온항습실 (온도: 22±1℃, 습도: 45±5%)에서 안정을 취하였다. 그 후, 전안촬영시스템(Robo skin analyzer CS50, inforward, lnc., japan)을 사용하여 촬영하였다. 이때, 일관된 측정을 위하여 균일한 조명과 동일한 포지션에서 한 명의 실험담당자가 모든 피실험자의 얼굴 정면을 촬영하도록 하였으며, 피실험자 이마의 헤어라인을 확보하기 위하여 모발을 헤어 밴드로 고정한 후, 동일한 상의 가운을 착용하고 의자에 앉도록 하여, 얼굴을 케이지 아래에 있는 툴바의 상단에 고정시킨채 얼굴 정면을 촬영하였다.
기기촬영은 본 발명의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전과 사용 직후,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의 시점에서 이루어졌으며, 촬영의 재현성을 위하여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사용 전 안면 촬영 이미지의 특징점들과 오버랩시켜 동일부위를 촬영하였다 (도 1 참조). 촬영 후, 크게 열린 모공 수를 분석하였으며, 그 값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때, 크게 열린 모공이란 0~215 단계의 음영 및 0.3~0.6 mm2 사이즈의 음영을 가진 것을 말한다.
사용 전 | 사용 직후 | 2주 사용 후 | 4주 사용 후 | |
평균 | 223.40 | 167.70 | 215.00 | 187.95 |
표준편차 | 182.16 | 133.94 | 170.12 | 155.93 |
한편, 크게 열린 모공 수 개선율(%)은 하기 수학식 1을 사용하여 표 3에 나타내었으며, 크게 열린 모공 수 통계를 분석하여 하기 표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통계처리는 'SPSS 17.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크게 열린 모공 수 개선율에 대한 기기측정 결과에 유의한 변화 여부를 분석하기 위하여 'paired t-test' 분석을 실시하였다.
사용 직후 | 2주 사용 후 | 4주 사용 후 | |
크게 열린 모공 수 개선율(%) | 24.93 | 3.76 | 15.87 |
사용 직후 | 2주 사용 후 | 4주 사용 후 | |
p-value | 0.023* | 0.560 | 0.049* |
(*p<0.05, **p<0.01, ***p<0.001: p-value is measured by paired t-test)
실험결과, 크게 열린 모공 수가 본 발명의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직후 24.93%, 2주 사용 후 3.76%, 4주 사용 후 15.87%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직후, 4주 사용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치를 보여 본 발명의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이 크게열린 모공 수 개선에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2 내지 표 4, 도 2).
[실험예 2: 모공 면적개선 효과 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의 모공 면적개선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피실험자는 20세 이상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연령은 본 인체적용실험은 한국피부임상과학연구소에서 동일한 세안제로 세안 후, 30분간 항온항습실 (온도: 22±1℃, 습도: 45±5%)에서 안정을 취하였다.
'전안촬영시스템 Facial Stage' (Cosme tic Full-Face Photography System Facial Stage DM-3, MORITEX Corp., Japan)를 사용하였다. 이때, 일관된 촬영을 위하여 균일한 조명과 동일한 포지션에서 한 명의 실험담당자가 모든 피실험자의 얼굴 정면을 촬영하도록 하였으며, 피실험자 이마의 헤어라인을 확보하기 위하여 모발을 헤어밴드로 고정시킨 후, 동일한 상의 가운을 착용하고 의자에 앉도록 하여, 얼굴을 케이지 아래에 있는 툴바의 상단에 고정시킨채 얼굴 정면을 촬영하였다.
기기촬영은 본 발명의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사용 전과 사용 직후,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의 시점에서 이루어졌으며, 촬영의 재현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사용 전 안면 촬영 이미지와 오버랩시켜 동일부위를 촬영하였다 (도 3 참조). 모공 면적개선에 대한 평가는 T존 부위의 모공 면적을 분석하였으며, 측정단위는 ㎟이다.
본 발명의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사용 전과 비교하여 측정값이 감소할수록 모공 면적이 개선되었음을 의미하며, 측정값은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사용 전 | 사용 직후 | 2주 사용 후 | 4주 사용 후 | |
평균 | 401.73 | 332.38 | 383.21 | 358.79 |
표준편차 | 204.80 | 162.01 | 194.59 | 198.93 |
(단위: ㎟)
한편, 모공 면적 개선율(%)은 하기 수학식 2를 사용하여 표 6에 나타내었으며, 크게 열린 모공 수를 통계분석하여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이때, 통계처리는 'SPSS 17.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크게 열린 모공 면적 개선율에 대한 기기측정 결과에 유의한 변화 여부를 분석하기 위하여 'paired t-test' 분석을 실시하였다.
사용 직후 | 2주 사용 후 | 4주 사용 후 | |
모공 면적 개선율(%) | 17.26 | 4.61 | 10.69 |
사용 직후 | 2주 사용 후 | 4주 사용 후 | |
p-value | 0.001* | 0.097 | 0.007* |
(*p<0.05, **p<0.01, ***p<0.001: p-value is measured by paired t-test)
실험결과, 본 발명의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직후 17.26%, 2주 사용 후 4.61%, 4주 사용 후 10.69%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직후, 4주 사용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치를 보여, 본 발명의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이 모공 면적 개선에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5 내지 표 7, 도 4).
[실험예 3: 피부이상 반응 평가]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였을 때, 피부이상 반응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담당자는 피실험자의 안면부위에서 피부이상인 홍반(Erythema), 부종(Edema), 인설생성(Scaling), 가려움(Itching), 자통(Stinging), 작열감(Burning), 뻣뻣함(Tightness), 따끔거림(Prickling)의 여부를 관찰하고 피부이상반응이 나타날 시 등급을 표시하여 이에 대한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 결과를 작성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번호 | 이상반응 | 2주 사용 후 | 4주 사용 후 |
1 | 홍반(붉어짐) | 0 | 0 |
2 | 부종(부어오름) | 0 | 0 |
3 | 인설(각질) | 0 | 0 |
4 | 가려움 | 0 | 0 |
5 | 자통(통증) | 0 | 0 |
6 | 작열감 | 0 | 0 |
7 | 뻣뻣함 | 0 | 0 |
8 | 따끔거림 | 0 | 0 |
(0: 없음, 1: 약한 정도, 2: 중간 정도, 3: 심한 정도)
실험결과, 본 발명의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이상을 일으키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표 8).
[실험예 4: 피부타입 평가 및 화장료 조성물 사용 전?후의 피부상태 조사]
본 실험예에서는 피실험자의 피부타입을 평가하고,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지 전?후 피부상태 특성조사 및 화장료 조성물 사용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고자 하였다.
피실험자의 일반적인 피부타입에 대해 평가하여, 하기 표 9에 나타내었으며, 본 발명의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사용 전?후의 피부상태에 관한 9문항을 10 ㎝ 'Visual Analogue Scale' (VAS, 0=전혀 그렇지 않다, 10=매우 그렇다)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0 및 표 11에 나타내었다.
문항 | 인원 | 백분율(%) | |
피부타입 |
지성 | 5 | 25.00 |
중성(정상피부) | 1 | 5.00 | |
복합성(T존 지성, U건성) | 11 | 55.00 | |
건성 | 3 | 15.00 | |
예민성 | 0 | 0.00 | |
합계 | 20 | 100.00 |
문항 | 평균 | 표준편차 |
피부가 촉촉한 편이다 | 3.90 | 1.25 |
피부결이 촘촘하고 부드러운 편이다 | 3.90 | 2.15 |
피부에 윤기가 나고 피부톤이 맑은 편이다 | 3.35 | 1.60 |
모공 사이에 메이크업이 끼거나 들뜨지 않는 편이다 | 3.10 | 1.92 |
피부에 요철이 없고 매끈한 편이다 | 3.05 | 2.35 |
피지 분비가 과다하지 않고 적정한 편이다 | 3.25 | 2.07 |
모공의 크기가 미세하고 눈에 띄지 않는 편이다 | 2.60 | 2.11 |
눈에 띄는 모공 수가 적은 편이다 | 2.55 | 2.16 |
모공에 묵은 피지나 노폐물 없이 깨끗한 편이다 | 2.95 | 1.88 |
문항 |
2주 사용 후 | 4주 사용 후 | ||
평균 | 표준편차 | 평균 | 표준편차 | |
피부가 촉촉한 편이다 | 6.10 | 1.48 | 6.05 | 2.26 |
피부결이 촘촘하고 부드러운 편이다 | 6.35 | 1.46 | 6.10 | 2.20 |
피부에 윤기가 나고 피부톤이 맑은 편이다 | 5.35 | 1.53 | 5.70 | 2.00 |
모공 사이에 메이크업이 끼거나 들뜨지 않는 편이다 | 5.90 | 1.68 | 6.20 | 1.99 |
피부에 요철이 없고 매끈한 편이다 | 5.60 | 1.39 | 6.00 | 2.10 |
피지 분비가 과다하지 않고 적정한 편이다 | 5.70 | 1.92 | 6.00 | 2.53 |
모공의 크기가 미세하고 눈에 띄지 않는 편이다 | 5.05 | 2.06 | 5.30 | 2.23 |
눈에 띄는 모공 수가 적은 편이다 | 5.05 | 2.01 | 5.50 | 2.31 |
모공에 묵은 피지나 노폐물 없이 깨끗한 편이다 | 5.65 | 2.39 | 6.10 | 2.53 |
또한, 본 발명의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을 살펴보기 위하여 10 ㎝ VAS (0=전혀 만족스럽지 않다, 10=매우 만족스럽다)를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 사용감과 관련한 5문항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하기 표 12에 나타내었다.
문항 |
2주 사용 후 | 4주 사용 후 | ||
평균 | 표준편차 | 평균 | 표준편차 | |
질감 | 6.15 | 1.53 | 6.10 | 1.77 |
발림성 | 6.20 | 1.61 | 6.55 | 2.01 |
흡수력 | 5.95 | 1.70 | 6.25 | 2.22 |
수분감 | 6.80 | 1.64 | 6.80 | 1.91 |
사용감에 관한 전체적인 만족도 | 6.75 | 1.48 | 6.60 | 1.93 |
실험결과, 본 발명의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사용 전보다 후의 피부상태 설문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10 내지 표 11). 또한, 사용감도 우수한 것으로 보여졌다 (표 12).
[실험예 5: 화장료 조성물 4주 사용 후, 피부상태 설문조사]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을 4주 사용한 피실험자의 피부상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피실험자의 피부상태 설문조사는 네/아니오의 양자택일형을 이용하여 설문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3에 나타내었다.
문항 |
답변 | 4주 사용 후 | |
빈도 | 백분율(%) | ||
촉촉하고 가벼운 텍스쳐로 피부에 가볍게 밀착된다 |
네 | 16 | 80.00 |
아니오 | 4 | 20.00 | |
끈저임을 남기지 않고 빠르게 흡수된다 |
네 | 13 | 65.00 |
아니오 | 7 | 35.00 | |
실키한 마무리로 피부를 매끈하고 뽀송하게 유지시켜 주는 것 같다 | 네 | 12 | 60.00 |
아니오 | 8 | 40.00 | |
시원한 쿨링감이 순간적으로 모공을 조여주는 기분이다 |
네 | 13 | 65.00 |
아니오 | 7 | 35.00 | |
지속 사용 후 모공이 작아보임을 느꼈다 |
네 | 11 | 55.00 |
아니오 | 9 | 45.00 |
실험결과, 다수의 실험참가자들이 '네'라고 답하여 본 발명의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상태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13).
Claims (5)
- 용암해수, 검정콩 추출물, 산초나무잎 추출물, 호장근 추출물 및 홍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암해수는,
용암해수를 탈염시켜 수득된 탈염용암해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20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은,
프로판디올, 글리세린, 포도추출물, 감나무잎추출물, 커피추출물, 밤껍질추출물, 녹차추출물, 톳추출물, 벼잎 및 줄기 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 1,2-헥산디올, 하이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부틸렌글라이콜, 베타인, 잔탄검, 아데노신, 라피노오스, 이노시톨, 하이알루로닉애씨드, 카프릴릴글라이콜, 히스티딘, 알지닌, 시스테인, 라이신, 글루타민, 글라이신, 옥탄디올, 벤질알콜, 정제수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용매에 의해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2836A KR20160146136A (ko) | 2015-06-11 | 2015-06-11 |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2836A KR20160146136A (ko) | 2015-06-11 | 2015-06-11 |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6136A true KR20160146136A (ko) | 2016-12-21 |
Family
ID=57734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2836A KR20160146136A (ko) | 2015-06-11 | 2015-06-11 |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146136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55829A1 (ko) * | 2017-02-24 | 2018-08-30 | (주)아모레퍼시픽 | 피부 미용액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
JP2019085361A (ja) * | 2017-11-06 | 2019-06-06 | 花王株式会社 | 経口毛穴目立ち改善剤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41101A (ko) | 2009-10-15 | 2011-04-21 | (주)아우딘퓨쳐스 | 피부 각질 제거 및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
KR101333676B1 (ko) | 2013-07-11 | 2013-11-27 | 주식회사 더마랩 | 달맞이꽃, 갈근, 솔잎 및 유근피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모공축소 및 피지분비 억제용 화장료조성물 |
-
2015
- 2015-06-11 KR KR1020150082836A patent/KR2016014613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41101A (ko) | 2009-10-15 | 2011-04-21 | (주)아우딘퓨쳐스 | 피부 각질 제거 및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
KR101333676B1 (ko) | 2013-07-11 | 2013-11-27 | 주식회사 더마랩 | 달맞이꽃, 갈근, 솔잎 및 유근피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모공축소 및 피지분비 억제용 화장료조성물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55829A1 (ko) * | 2017-02-24 | 2018-08-30 | (주)아모레퍼시픽 | 피부 미용액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
US11179319B2 (en) | 2017-02-24 | 2021-11-23 | Amorepacific Corporation | Method for producing cosmetic composition using skin serum |
JP2019085361A (ja) * | 2017-11-06 | 2019-06-06 | 花王株式会社 | 経口毛穴目立ち改善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37316B1 (ko) | 두피두발용 조성물 | |
CN107536773B (zh) | 后发泡洁面啫喱的生产工艺 | |
CN111166683A (zh) | 一种富勒烯抗衰抗氧化美容护肤化妆品及其制备方法 | |
KR100767974B1 (ko) | 우엉 추출물과 냉감성분을 함유하는 모공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307509B1 (ko) | 탈모 및 두피 관리용 조성물 | |
EP2700406A1 (en) | METHOD FOR PRODUCING POLYGONUM TINCTORIUM EXTRACT& xA; | |
JP2000154113A (ja) |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 |
KR101595530B1 (ko) | 피부 주름 개선 및 미백 효과가 우수한 경피 흡수 촉진용 리포좀 조성물 | |
KR102037030B1 (ko) | 피토실리카(Phytosilica)를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CN110339111A (zh) | 一种含矿物温泉的清洁组合物 | |
KR101764533B1 (ko) |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 |
KR20160036236A (ko) | 극지 지의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 | |
JP2011032195A (ja) | 老化防止化粧料 | |
KR20160146136A (ko) | 피부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497191B1 (ko) | 블랙헤드 및 피지제거 효과를 갖는 피부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JP2005298503A (ja) | 粉状化した玉竹を含む保湿性化粧料組成物 | |
CN110613663A (zh) | 一种皮肤修护组合物、护肤品及其制备方法 | |
KR101759310B1 (ko) |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패드 | |
KR20070008831A (ko) | 피부 보습 효과를 가지는 올리브 추출물, 귀리 추출물 및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1832501B1 (ko) | 항비듬용 두피 조성물 | |
DE102010012384A1 (de) | Hautfreundliche Wirkstoffkombination gegen Akne | |
KR20090087223A (ko) | 타나까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 |
JP2019530655A (ja) | アルブツス・ウネドの果実抽出物の化粧品としての使用 | |
KR20120138382A (ko) | 팩조성물 | |
KR101825599B1 (ko) | 백화사설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