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4181A - 유기폐기물의 바이오가스 생성시스템 - Google Patents

유기폐기물의 바이오가스 생성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4181A
KR20160144181A KR1020150080647A KR20150080647A KR20160144181A KR 20160144181 A KR20160144181 A KR 20160144181A KR 1020150080647 A KR1020150080647 A KR 1020150080647A KR 20150080647 A KR20150080647 A KR 20150080647A KR 20160144181 A KR20160144181 A KR 20160144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organic waste
heat
water
anaerob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8302B1 (ko
Inventor
김현식
윤민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투
해평바이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투, 해평바이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투
Priority to KR1020150080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8302B1/ko
Publication of KR20160144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02F11/04Anaerobic treatment; Production of methane by such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02F3/2866Particular arrangements for anaerobic reactors
    • C02F3/2893Particular arrangements for anaerobic reactors with biogas recyc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2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meth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icro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기조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혐기조를 위치시키고 혐기조의 외측면에서 호기조에서 발생된 열을 축열하는 축열부재를 형성하여 혐기조에 적합한 소화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유기폐기물의 바이오가스 생성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유기폐기물을 발효시켜 바이오가스를 생성하는 유기폐기물의 바이오가스 생성시스템에 있어서, 유기폐기물을 저장하는 유기폐기물 저장부재(10)와; 유기폐기물을 공급받아 호기성 미생물로 호기 분해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호기조(40)와; 호기조(40)의 내부에 하나 이상 위치하며 유기폐기물을 공급받아 혐기성 미생물로 유기폐기물을 소화시켜 바이오가스를 생성하는 혐기조(50)와; 혐기조(50)를 감싸도록 위치하고 내부에 축열수가 내장되어 있으며 호기조(40)의 산소발효에 의해서 발생되는 열을 제공받아 축적하면서 혐기조의 소화온도가 유지되도록 혐기조(50)로 제공하는 축열부재(60)와; 축열부재(60)의 축열수 유입구(62) 및 축열수 배출구(63)에 연결되어 온수 및 냉수를 공급하여 축열수를 일정온도로 유지시키는 냉온수 공급장치(70)와; 혐기조(50)에서 배출된 바이오가스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바이오가스 저장부재(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기폐기물의 바이오가스 생성시스템{Biogas generation system of organic wastes}
본 발명은 호기조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혐기조를 위치시키고 혐기조의 외측면에서 호기조에서 발생된 열을 축열하는 축열부재를 형성하여 혐기조에 적합한 소화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유기폐기물의 바이오가스 생성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음식물 슬러지, 분뇨, 오니 등을 포함하는 유기폐기물은 부패 및 침출수 등에 의해 환경을 심각하게 훼손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그 처리는 반드시 폐기물을 종류별로 취합하여 정해진 폐기물 처리과정을 거쳐서 폐기되어야 한다.
이러한 유기폐기물은 공해상 투기 또는 퇴비화 등의 활용에 의한 처리가 일반적이다. 최근에는 소각에 의한 감량화 처리가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매립이나 해양투기는 2차 오염 발생의 소지가 있어 장기적인 처분방안이 못되고, 소각 역시 설비 투자 및 운영비용의 과다 지출이 예상되며 소각시 발생되는 가스와 소각회에 의한 환경오염 재발생 소지가 문제시된다. 퇴비화 방법은 재활용 측면에서는 좋은 방법일 수 있으나 사용량의 한계가 있어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한다.
최근에는 유기폐기물을 이용하여 바이오가스(또는 메탄가스)를 생산하고 이 바이오가스를 에너지화하는 기술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러한 유기폐기물의 재활용에 대한 종래의 기술들은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99-0046725호와 특허공개 제2001-0112168호 및 등록특허 제10-0743373호 등에 개시된 바 있다.
종래의 유기폐기물의 재활용 기술들은 공통적으로 유기폐기물을 호기발효 또는 혐기발효를 이용하여 주로 메탄으로 이루어진 바이오가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바이오가스를 이용하여 열에너지나 전기에너지를 얻을 수 있고, 또한, 바이오가스 생성과정에서 액화비료를 얻을 수 있는 기술에 대해서도 개시되어 있다.
발효에 의해 바이오가스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호기발효인의 경우 발효시에 75~80℃의 열이 발생되지만 바이오가스의 생산효율을 낮은 문제가 있기 때문에 대부분 혐기발효를 사용한다. 그러나 혐기발효의 경우에도 중온소화인 경우에 약 35℃ㅁ6℃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하고, 고온소화인 경우에 약 55℃ㅁ2℃의 온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연료가 필요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호기조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혐기조를 위치시키고 혐기조의 외측면에서 호기조에서 발생된 열을 축열하는 축열부재를 형성하여 혐기조에 적합한 소화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유기폐기물의 바이오가스 생성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혐기조를 감싸는 축열부재에 온수 또는 냉수를 공급하여 축열부재의 온도를 오차범위 내에서 유지할 수 있는 유기폐기물의 바이오가스 생성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해결과제는 유기페기물의 발효 후에 발생되는 고형물을 연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탄화시키는 유기폐기물의 바이오가스 생성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유기폐기물을 발효시켜 바이오가스를 생성하는 유기폐기물의 바이오가스 생성시스템에 있어서, 유기폐기물을 저장하는 유기폐기물 저장부재(10)와; 유기폐기물을 공급받아 호기성 미생물로 호기 분해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호기조(40)와; 호기조(40)의 내부에 하나 이상 위치하며 유기폐기물을 공급받아 혐기성 미생물로 유기폐기물을 소화시켜 바이오가스를 생성하는 혐기조(50)와; 혐기조(50)를 감싸도록 위치하고 내부에 축열수가 내장되어 있으며 호기조(40)의 산소발효에 의해서 발생되는 열을 제공받아 축적하면서 혐기조의 소화온도가 유지되도록 혐기조(50)로 제공하는 축열부재(60)와; 축열부재(60)의 축열수 유입구(62) 및 축열수 배출구(63)에 연결되어 온수 및 냉수를 공급하여 축열수를 일정온도로 유지시키는 냉온수 공급장치(70)와; 혐기조(50)에서 배출된 바이오가스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바이오가스 저장부재(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유기폐기물 저장부재(10)는 음식물 슬러지를 저장하는 음식물 슬러지 저장조(11), 분뇨를 저장하는 분뇨 저장조(12), 오니를 저장하는 오니 저장조(13)를 포함하되, 각각의 저장조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개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유기폐기물 저장부재(10)는 음식물 슬러지를 일정한 크기로 파쇄하면서 오니 또는 분뇨를 혼합하는 혼합조(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유기폐기물 저장부재(10)로부터 유기폐기물을 공급받아 저분자 화합물로 가수분해시키는 가수분해조(20)와; 가수분해조(20)의 저분자 화합물로 가수분해된 유기폐기물을 공급받아 산발효시키는 산발효조(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가수분해조(20)는 호기조(40)로 공급되는 유기폐기물을 가수분해시키는 제1가수분해조(21)와, 혐기조(50)로 공급되는 유기폐기물을 가수분해시키는 제2가수분해조(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산발효조(30)는 호기조(40)로 공급되는 유기폐기물을 산발효시키는 제1산발효조(31)와, 혐기조(50)로 공급되는 유기폐기물을 산발효시키는 제2산발효조(3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호기조(40)의 상단 일측에는 유기폐기물을 유입시키는 유입구(41)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발효가 완료된 유기폐기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42)가 형성되고, 혐기조(50)의 하부는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최하단에는 유기폐기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51)가 형성되고, 상단 일측에는 유기폐기물을 유입시키는 유입구(52)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생성된 바이오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바이오가스 가스배출구(5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축열부재(60)는 혐기조(50)의 외면을 감싸면서 내부에 축열수가 내장되어 혐기조의 산소발효에 의해 발생된 열을 제공받아 축적하는 축열부(61)와, 축열부(61)의 일측에 형성되어 축열수를 공급하거나 배출시키는 축열수 유입구(62)와 축열수 배출구(63)와, 축열수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싱부(64), 및 온도센싱부(64)에서 측정된 온도를 제공받아 등록된 설정온도와 비교하여 설정온도를 벗어나면 냉온수 공급장치(70)의 온수 또는 냉수를 작동시키는 온도 조절부(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축열부(61)는 관형상으로 혐기조(50)를 감싸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혐기조(50)의 내부에는 축열수가 저장되는 내부 축열부(6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냉온수 공급장치(70)는 축열부(61)의 축열수가 설정온도보다 낮으면 보일러를 작동시켜 온수를 공급하고, 축열수가 설정온도보다 높으면 냉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혐기조(50), 호기조(40)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을 공급받아 고액분리하는 탈수조(90)와; 탈수조(90)를 통해서 수분이 분리된 고형물을 제공받고 흡습제 또는 부형제를 혼합하여 고형물에 포함된 잔여수분을 흡착시키는 수분흡착조(100)와; 수분흡착조(100)에서 배출된 흡습제가 포함된 고형물을 제공받아 부숙, 발효, 건조시키는 부숙조(110)와; 부숙조(110)에서 부숙된 고형물을 제공받아 건조, 탄화시키는 탄화조(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흡착제로는 활성탄, 실리카겔, 활성 알루미나 및 수분 조절제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폐기물의 바이오가스 생성시스템은 호기조에서 발효에 의해서 발생된 열을 축열하여 혐기조의 소화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혐기조를 감싸는 축열부재에 온수 또는 냉수를 추가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축열수의 온도를 오차범위 내에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기페기물의 발효후에 발생되는 고형물을 건조, 탄화시켜 연료로 사용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폐기물의 바이오가스 생성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호기조와 혐기조의 배치상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혐기조의 단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기폐기물의 바이오가스 생성시스템은 유기폐기물 저장부재(10), 가수분해조(20), 산발효조(30), 호기조(40), 혐기조(50), 축열부재(60), 냉온수 공급장치(70), 바이오가스 저장부재(80), 탈수조(90), 수분흡착조(100), 부숙조(110), 탄화조(120)를 포함한다.
유기폐기물 저장부재(10)는 가정, 식당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슬러지를 저장하는 음식물 슬러지 저장조(11), 축분, 인분 등의 분뇨를 저장하는 분뇨 저장조(12), 하수오니, 유기성 오니 등을 저장하는 오니 저장조(13)로 이루어진다. 이때, 유기폐기물 저장부재(10)는 각각의 저장조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개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유기폐기물 저장부재(10)는 음식물 슬러지, 분뇨, 오니 등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음식물 슬러지, 분뇨, 오니를 제공받아 혼합하는 혼합조(14)를 더 포함한다. 이때, 혼합조(14)는 음식물 슬러지를 일정한 크기로 파쇄하면서 오니 또는 분뇨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혼합조(14)는 휘발성 고형물(VS)을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유지할 수 있도록 1차로 오니를 제공받아 파쇄하면서 2차로 분뇨를 제공받아 혼합하며, 3차로 오니를 제공받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수분해조(20)는 각각의 저장조(11,12,13) 또는 혼합조(14)로부터 유기폐기물을 공급받아 저분자 화합물로 가수분해한다. 이때, 가수분해조(20)는 후술하는 호기조(40)로 공급되는 유기폐기물을 가수분해시키는 제1가수분해조(21)와, 고온소화 혐기조(50)로 공급되는 유기폐기물을 가수분해시키는 제2가수분해조(22)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발효조(30)는 가수분해조(20)의 저분자 화합물로 가수분해된 유기폐기물을 공급받아 유기폐기물에 포함된 산소를 제거되도록 산발효시킨다. 이러한 산발효조(30)에 의해서 유기폐기물에 존재하는 산소가 제거되기 때문에 후공정인 무산소조에서의 소화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산발효조(30)는 후술하는 호기조(40)로 공급되는 유기폐기물을 산발효시키는 제1산발효조(31)와, 고온소화 혐기조(50)로 공급되는 유기폐기물을 산발효시키는 제2산발효조(32)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가수분해조(20)와 산발효조(30)를 호기조(40)의 내부에 위치시켜 호기조(40)에서 발생된 열을 전달받아 열원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기조(40)는 산발효조(30)에서 배출된 유기폐기물을 호기 분해하여 발생된 열을 상기 고온소화 혐기조(50)에 필요한 열원으로 공급한다. 호기조(40)의 상단 일측에는 유기폐기물을 유입시키는 유입구(41)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발효가 완료된 유기폐기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42)가 형성된다. 이러한 호기조(40)에서는 유기폐기물을 산소발효하면서 약 75~80℃의 열을 발생하고, 발생된 열을 혐기조(50)의 가열하는 기본 열원으로 사용하게 된다. 호기조(40)의 내부에는 교반기(미도시)가 설치되어 발효되는 유기폐기물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혐기조(50)는 호기조(40)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다수개가 위치하며 산발효조(30)의 유기폐기물을 공급받아 소화온도[중온소화의 경우 약 35℃ㅁ6℃, 고온소화의 경우 55℃(ㅁ2℃)]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혐기성 미생물로 유기폐기물을 소화시켜 바이오가스를 생성한다. 혐기조(50)의 하부는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최하단에는 유기폐기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51)가 형성되고, 상단 일측에는 유기폐기물을 유입시키는 유입구(52)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생성된 바이오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바이오가스 가스배출구(53)가 형성된다. 그리고, 내부에는 교반기(미도시)가 설치되어 발효되는 내부의 유기폐기물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혐기조(50)는 내부의 유기폐기물이 소화되면 일정량을 최하단의 배출구(51)를 통해서 배출하면서 새로운 유기폐기물을 유입구(52)를 통해 공급받게 된다. 이에 따라 혐기조(50)는 연속적으로 유기폐기물을 소화시키면서 바이오가스를 안정적으로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중온소화인 경우에는 소화온도가 높지 않지만 약 45일 정도로 긴 단점이 있고, 고온소화인 경우에는 소화온도가 높지만 체류시간이 약 12~15일 정도로 빠른 장점이 있기 때문에 고온소화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축열부재(60)는 혐기조(50)를 감싸도록 위치하고 내부에 축열수가 내장되어 있으며 호기조(40)의 산소발효에 의해서 발생되는 열을 제공받아 축적하면서 혐기조의 소화온도가 유지되도록 혐기조(50)로 전달하게 된다. 축열부재(60)는 혐기조(50)의 외면을 감싸면서 내부에 축열수가 내장되어 혐기조의 산소발효에 의해 발생된 열을 제공받아 축적하는 축열부(61)와, 축열부(61)의 일측에 형성되어 축열수를 공급하거나 배출시키는 축열수 유입구(62)와 축열수 배출구(63)와, 축열수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싱부(64), 및 온도센싱부(64)에서 측정된 온도를 제공받아 등록된 설정온도와 비교하여 설정온도를 벗어나면 냉온수 공급장치(70)의 온수 또는 냉수를 작동시키는 온도 조절부(65)를 포함한다. 이때, 축열부(61)는 관형상으로 혐기조(50)를 감싸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혐기조(50)의 내부에는 축열수가 저장되는 내부 축열부(66)를 더 포함한다. 내부 출열부(66)는 혐기조(50) 외부의 출열부(61)와 연결되어 출열수를 순환받거나 또는 별도의 보일러를 통해서 출열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러한 축열부재(60)는 호기조(40)에서 발생된 열을 축열하는 축열수를 이용하여 혐기조(50)의 내부가 소화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열하게 되며, 온도센싱부(64)에 의해 확인된 축열수의 온도가 설정온도를 벗어나게 되면 온도 조절부(65)는 후술하는 냉온수 공급장치(70)를 작동시켜 외부로부터 온수를 제공받거나 또는 냉수를 제공받아 축열수의 설정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혐기조(50)의 내부에 내부 축열부(66)가 형성되면 혐기조의 내부온도를 더 빠르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냉온수 공급장치(70)는 축열부재(60)의 축열수 유입구(62) 및 축열수 배출구(63)에 연결되어 온도 조절부(65)의 작동신호에 의해서 온수 및 냉수를 공급한다. 즉, 냉온수 공급장치(70)는 축열부(61)의 축열수가 설정온도보다 낮으면 보일러를 작동시켜 온수를 공급하고, 축열수가 설정온도보다 높으면 냉수를 공급하게 된다.
바이오가스 저장부재(80)는 혐기조(50)에서 배출된 바이오가스를 제공받아 저장한다. 이러한 바이오가스 저장부재(80)에 저장된 바이오가스는 제습/탈황/분리과정을 거쳐 정제되어 저장된다.
탈수조(90)는 혐기조(50)에서 배출되는 폐기물과 호기조(40)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을 공급받아 고액 분리한다. 이때, 탈수조(90)는 압착 또는 원심분리 등을 이용하여 폐기물을 탈수하게 되며 폐기물에 포함된 수분의 약 70~75%가 탈수된다. 탈수조에서 탈수된 폐수는 폐수처리 과정을 거쳐 배출된다.
수분흡착조(100)는 탈수조(90)를 통해서 수분이 분리된 고형물을 제공받고 흡습제를 혼합하여 고형물에 포함된 잔여수분을 흡착시킨다. 이때, 흡착제로는 활성탄, 실리카겔, 활성 알루미나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흡착제에 의해서 탈수조(90)에서 탈수후에도 남아 있는 수분의 약 70% 정도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부숙조(110)는 수분흡착조(100)에서 배출된 흡습제가 포함된 고형물을 제공받아 부숙제를 혼합하고 부숙, 발효 및 건조시킨다. 이때, 부숙제는 톱밥, 왕겨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숙조(110)는 호기소화에 의해 고형물을 부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부숙제로 톱밥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톱밥 및 부형제 등을 사용하면 혼합물에 공극을 주어 수증기로 인한 수분의 증발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탄화조(120)는 부숙조(110)에서 부숙된 고형물을 제공받아 가열하여 건조 및 탄화시킨다. 탄화조(120)에서 배출된 고형물은 연료로 사용되도록 펠렛형상으로 가공되어 냉온수 공급장치(70)의 보일러의 연료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유기폐기물 저장부재 11 : 음식물 슬러지 저장조
12 : 분뇨 저장조 13 : 오니 저장조
14 : 혼합조 20 : 가수분해조
21 : 제1가수분해조 22 : 제2가수분해조
30 : 산발효조 31 : 제1산발효조
32 : 제2산발효조 40 : 호기조
50 : 혐기조 60 : 축열부재
61 : 축열부 62 : 축열수 유입구
63 : 축열수 배출구 64 : 온도센싱부
65 : 온도 조절부 70 : 냉온수 공급장치
80 : 바이오가스 저장부재 90 : 탈수조
100 : 수분흡착조 110 : 부숙조
120 : 탄화조

Claims (13)

  1. 유기폐기물을 발효시켜 바이오가스를 생성하는 유기폐기물의 바이오가스 생성시스템에 있어서,
    유기폐기물을 저장하는 유기폐기물 저장부재(10)와;
    유기폐기물을 공급받아 호기성 미생물로 호기 분해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호기조(40)와;
    호기조(40)의 내부에 위치하며 유기폐기물을 공급받아 혐기성 미생물로 유기폐기물을 소화시켜 바이오가스를 생성하는 혐기조(50)와;
    혐기조(50)를 감싸도록 위치하고 내부에 축열수가 내장되어 있으며 호기조(40)의 산소발효에 의해서 발생되는 열을 제공받아 축적하면서 혐기조의 소화온도가 유지되도록 혐기조(50)로 제공하는 축열부재(60)와;
    축열부재(60)의 축열수 유입구(62) 및 축열수 배출구(63)에 연결되어 온수 및 냉수를 공급하여 축열수를 일정온도로 유지시키는 냉온수 공급장치(70)와;
    혐기조(50)에서 배출된 바이오가스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바이오가스 저장부재(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폐기물의 바이오가스 생성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유기폐기물 저장부재(10)는 음식물 슬러지를 저장하는 음식물 슬러지 저장조(11), 분뇨를 저장하는 분뇨 저장조(12), 오니를 저장하는 오니 저장조(13)를 포함하되, 각각의 저장조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개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폐기물의 바이오가스 생성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유기폐기물 저장부재(10)는 음식물 슬러지를 일정한 크기로 파쇄하면서 오니 또는 분뇨를 혼합하는 혼합조(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폐기물의 바이오가스 생성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유기폐기물 저장부재(10)로부터 유기폐기물을 공급받아 저분자 화합물로 가수분해시키는 가수분해조(20)와; 가수분해조(20)의 저분자 화합물로 가수분해된 유기폐기물을 공급받아 산발효시키는 산발효조(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폐기물의 바이오가스 생성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가수분해조(20)는 호기조(40)로 공급되는 유기폐기물을 가수분해시키는 제1가수분해조(21)와, 혐기조(50)로 공급되는 유기폐기물을 가수분해시키는 제2가수분해조(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폐기물의 바이오가스 생성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산발효조(30)는 호기조(40)로 공급되는 유기폐기물을 산발효시키는 제1산발효조(31)와, 혐기조(50)로 공급되는 유기폐기물을 산발효시키는 제2산발효조(3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폐기물의 바이오가스 생성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호기조(40)의 상단 일측에는 유기폐기물을 유입시키는 유입구(41)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발효가 완료된 유기폐기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42)가 형성되고,
    혐기조(50)의 하부는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최하단에는 유기폐기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51)가 형성되고, 상단 일측에는 유기폐기물을 유입시키는 유입구(52)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생성된 바이오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바이오가스 가스배출구(5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폐기물의 바이오가스 생성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축열부재(60)는 혐기조(50)의 외면을 감싸면서 내부에 축열수가 내장되어 혐기조의 산소발효에 의해 발생된 열을 제공받아 축적하는 축열부(61)와, 축열부(61)의 일측에 형성되어 축열수를 공급하거나 배출시키는 축열수 유입구(62)와 축열수 배출구(63)와, 축열수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싱부(64), 및 온도센싱부(64)에서 측정된 온도를 제공받아 등록된 설정온도와 비교하여 설정온도를 벗어나면 냉온수 공급장치(70)의 온수 또는 냉수를 작동시키는 온도 조절부(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폐기물의 바이오가스 생성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축열부(61)는 관형상으로 혐기조(50)를 감싸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폐기물의 바이오가스 생성시스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혐기조(50)의 내부에는 축열수가 저장되는 내부 축열부(6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폐기물의 바이오가스 생성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냉온수 공급장치(70)는 축열부(61)의 축열수가 설정온도보다 낮으면 보일러를 작동시켜 온수를 공급하고, 축열수가 설정온도보다 높으면 냉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폐기물의 바이오가스 생성시스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혐기조(50), 호기조(40)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을 공급받아 고액분리하는 탈수조(90)와;
    탈수조(90)를 통해서 수분이 분리된 고형물을 제공받고 흡습제를 혼합하여 고형물에 포함된 잔여수분을 흡착시키는 수분흡착조(100)와;
    수분흡착조(100)에서 배출된 흡습제가 포함된 고형물을 제공받아 부숙, 발효, 건조시키는 부숙조(110)와;
    부건조(110)에서 배출된 고형물을 제공받아 건조, 탄화시키는 탄화조(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폐기물의 바이오가스 생성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흡착제로는 활성탄, 실리카겔, 활성 알루미나, 부형제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폐기물의 바이오가스 생성시스템.
KR1020150080647A 2015-06-08 2015-06-08 유기폐기물의 바이오가스 생성시스템 KR101788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647A KR101788302B1 (ko) 2015-06-08 2015-06-08 유기폐기물의 바이오가스 생성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647A KR101788302B1 (ko) 2015-06-08 2015-06-08 유기폐기물의 바이오가스 생성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181A true KR20160144181A (ko) 2016-12-16
KR101788302B1 KR101788302B1 (ko) 2017-12-20

Family

ID=57735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647A KR101788302B1 (ko) 2015-06-08 2015-06-08 유기폐기물의 바이오가스 생성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83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17052A (zh) * 2017-09-14 2017-12-01 广州沼能环保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高温化学环保厌氧系统
KR101977701B1 (ko) * 2017-11-15 2019-05-13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성 소화 처리장치 및 혐기성 소화 처리방법
KR102093092B1 (ko) * 2019-03-08 2020-03-25 심덕섭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4968B1 (ko) * 1999-11-15 2002-10-05 주식회사 제오텍 음식물쓰레기와 하수슬러지의 병합처리 방법
JP4510782B2 (ja) * 2006-06-16 2010-07-28 カワサキプラントシステムズ株式会社 汚泥の再資源化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959375B1 (ko) * 2010-02-10 2010-05-24 디에이치엠(주) 유기폐기물을 이용한 바이오가스 생산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17052A (zh) * 2017-09-14 2017-12-01 广州沼能环保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高温化学环保厌氧系统
KR101977701B1 (ko) * 2017-11-15 2019-05-13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유기성 폐기물의 혐기성 소화 처리장치 및 혐기성 소화 처리방법
KR102093092B1 (ko) * 2019-03-08 2020-03-25 심덕섭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8302B1 (ko) 2017-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uan et al. Effects of adding bulking agents on biostabilization and drying of municipal solid waste
US20090209025A1 (en) High solid thermophilic anaerobic digester
Zhang et al. A hybrid biological and thermal waste-to-energy system with heat energy recovery and utilization for solid organic waste treatment
JP4510782B2 (ja) 汚泥の再資源化方法及びその装置。
US20170051221A1 (en) System for producing biochar and method for producing biochar
KR20170088176A (ko) 열가수분해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 혐기소화 시스템
CN104958865B (zh) 生物化学—热化学多点交联处理生物质废物的方法及系统
WO2017161445A1 (en) Two stage pyrolysis of organic waste
CN102731179B (zh) 有机垃圾与污泥的固体厌氧及好氧堆肥系统的处置方法
CN101899348A (zh) 一种生活垃圾快速生物干化的方法
KR101788302B1 (ko) 유기폐기물의 바이오가스 생성시스템
KR20150096349A (ko) 바이오촤 생산 시스템
KR101011973B1 (ko) 폐수를 이용한 바이오가스 발생방법 및 그 발생장치
KR101616417B1 (ko) 하이브리드형 하수슬러지 처리 시스템
KR20150049087A (ko) 유기성 폐기물이 혼재된 생활폐기물의 에너지화 방법 및 시스템
KR101152613B1 (ko) 바이패스 라인이 구비된 슬러지 또는 폐기물 처리 시스템
CA3233855A1 (en) System for producing biogas using mixed liquid of digestive fluid treated water and organic dry substance
KR200420688Y1 (ko) 유기성 건조폐기물의 재활용 시스템
CN203781995U (zh) 污泥处理系统
CN111196999A (zh) 一种生物质垃圾批式微生物发酵处理系统及处理方法
KR20160093290A (ko) 유기성 폐기물의 바이오촤 생산 시스템
KR20110046813A (ko) 음식물 바이오가스를 재생이용하는 음폐수 처리장치 및 방법
KR101007990B1 (ko)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탄화 고형물 및 가용화액을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생성 장치
EP220800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 gasification of organic materials and residual humus materials of stabilized municipal and industrial sewage sludges
JPH10316982A (ja) 固形燃料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