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3092B1 -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092B1
KR102093092B1 KR1020190026638A KR20190026638A KR102093092B1 KR 102093092 B1 KR102093092 B1 KR 102093092B1 KR 1020190026638 A KR1020190026638 A KR 1020190026638A KR 20190026638 A KR20190026638 A KR 20190026638A KR 102093092 B1 KR102093092 B1 KR 102093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digester
food waste
waste
stir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덕섭
심경보
Original Assignee
심덕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덕섭 filed Critical 심덕섭
Priority to KR1020190026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0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02F11/04Anaerobic treatment; Production of methane by such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18Use of auxiliary physical effects, e.g. ultrasonics, irradiation, for disintegr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 C02F1/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ultrasonic vib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8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thermal conditio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02F3/2866Particular arrangements for anaerobic rea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101Sulfu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105Phosphorus compou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파쇄기를 거쳐서 나온 거칠고 걸쭉한 죽 같은 형태의 음식쓰레기를 미분한 후, 미분시킨 생슬러지와 잉여슬러지 모두와 또는 적어도 어느 한 슬러지를 혼합하고 나서 소화조로 투입함으로써 전처리된 음식물쓰레기와 소화미생물이 급속히 혼합됨으로서 소화 분해성을 증대되고, 잉여슬러지의 경우 슬러지를 감싸고 있는 점성이 많은 세포막을 초음파로 파쇄시킴에 따라 세포막 내부의 유기물질을 토출시키며, 소화조 내부 전체적에 걸쳐 동시에 투입함으로서 잉여슬러지 내부에 갇혀 있던 모든 유기물질이 소화균과 직접 접촉이 이루어 지게 한다, 소화조로 투입되는 혼합된 슬러지들은 투입 전 소화균이 필요로하는 온도로 가온 하여 소화조 전체적에 동시에 균일하게 투입함으로서 소화조 내에서 가온되는 시간을 단축 하고 소화균과의 접촉이 급속히 이루지게 하여 소화 시간을 줄이고 소화 분해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소화조 투입 폐유기물 외에 소화공정상 인(P)성분, 황(S)성분의 제거 또는 저감이 필요시 및 소화 도움 물질들의 투입이 필요시 이 물질들을 투입 을 교반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WASTE-ORGANICS FEEDING SYSTEM TO UPGRADE DIGESTION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공장의 파쇄기를 거쳐서 나온 걸쭉한 죽 같은 형태의 음식쓰레기와 농축기 등을 통하여 일차 탈수 농축 과정을 거쳐서 공급되는 입자가 크고 거친 하수슬러지(생슬러지, 잉여슬러지)를 소화조에 투입하기 전에 소화처리 효율을 높이도록 미세크기로 미분하고 적당한 비율로 서로 다른 성분의 슬러지를 혼합하여 소화조 내의 전체 체적에 걸쳐 동시에 고르게 투입함으로써 미분된 유기물들이 소화균과 잘 혼합이 되도록 하며, 잉여 슬러지의 경우 일차적으로 미문하고 필요시에는 미분된 슬러지를 감싸고 있는 점성이 강한 세포막을 초음파로 파괴하여 소화균과 접촉이 용이하도록 함에 따라 소화 분해 효율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쓰레기는 특성상 물기를 많이 함유 하고 있기 때문에 소각 처리시 소각효율을 저하시키고, 매립시에는 분해에 따른 악취와 고농도의 침출수 발생으로 2차 환경오염을 초래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배출된 음식물쓰레기는 에너지로 재생 가능한 유기물질을 80% 이상 포함하고 있으나 거의 대부분 매립 처분되고 있으며, 극소량이 가축 먹이와 퇴비 등으로 재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수 슬러지의 경우 활성 오니 공법으로 처리되고 남은 오니 즉, 잉여 슬러지의 경우 유기물질들이 세포막으로 둘러싸여 뭉쳐진 형태로서 다른 슬러지 즉 생슬러지나 음식물 쓰레기 등과 잘 섞이지도 않을 뿐만 아니라, 소화조 내에서 이 세포막이 소화균의 접촉 막고 있기 때문에, 소화 처리가 잘되지 않고 소화조의 효율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현실적으로 많은 하수 처리장에서 생슬러지는 따로 수거 하여 소화 처리 없이 건조 소각 하거나 매립처리 하고 있다.
이러한 폐유기물 등은 최근에 들어서 유기성 폐자원의 에너지화의 일환으로 혐기성 소화공정에 적용되어 바이오가스를 회수하는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기존의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방법을 크게 나누면 양을 줄이기 위한 감량화 시설과, 퇴비 및 사료를 생산하여 직접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자원화 시설과,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에너지화 시설로 분류된다.
하수 슬러지 및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방안 중 혐기성소화조에서 소화처리 하는 과정에서 전기 발전 등의 경제성 있는 량의 소화가스 즉, 메탄가스를 생산하고 마지막 처리해야할 탈수 케이크 양을 줄이기 위해서는 소화조의 소화율을 최대한 높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처리대상인 폐유기물을 소화되기 좋은 상태로 만들어 소화조로 투입해야 한다. 즉 비유기성 협잡물은 제거하고 입자가 크고 길거나, 비중이 높은 물질들은 소화처리에 방해가 됨으로 투입 전 미분시키고 서로 다른 성분들을 적절히 섞어서 투입해야 한다. 혐기성 소화조로 투입되는 순수 유기물질양이 증가할수록, 또한 소화조 내에서 유기물이 많은량 소화 분해 될수록 이러한 가스의 발생량이 더욱 증가하게 되는데 이것을 가능케 하기 위하여 효과적인 투입 방법이 반드시 요구된다.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스템에 대해서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34873호(등록일: 2013.11.25.) 등에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기존의 음식물쓰레기 소화 처리시스템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의 파쇄기에서 대략적으로 파쇄되어 나온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적절한 전처리 없이 혐기성 소화시설에 투입됨에 따라, 협잡물에 의한 소화조 용적 감소 및 경량 협잡물에 의한 스컴 발생, 그리고 미분화되지 않은 음식물 투입으로 산발효 기간 장기화에 따른 소화조 효율 저하 및 때로는 운전 실패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그리고, 최종 침전지에서 인발 되어 농축조 또는 농축기에서 농축되어 공급되는 슬러지 덩어리인 잉여 슬러지는 그 특성상 유기물질들이 세포막에 싸여 있는 덩어리 상태인데 세포막 분해 없이 혐기성 소화시설에 투입됨에 따라, 소화균과의 접촉이 잘되지 않고 분해가 잘 되지 않기 때문에 소화조의 효율 저하 및 때로는 운전 실패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음식쓰레기나 잉여 슬러지에는 그 특성상 많은 인을 함유하고 있어 소화처리 후 슬러지 탈수시 발생되는 탈리액에 많은 양의 인(P)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이차적인 인처리를 필요로 하고 있다, 또한 소화가스에 포함된 다량의 황(S)성분이 냄새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발전 등 소화가스 사용시 금속기기의 부품들을 부식 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소화처리 할 (하수슬러지,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전 미분 및 교반시켜 각 성분이 다른 슬러지를 특성에 맞게 혼합한) 폐유기물을 소화조로 투입하기 전 외부가온기를 거쳐서 소화조의 각 체적부위 즉, 상층 중층 및 하층에 걸쳐 전체적으로 동시에 투입시킴에 따라 소화조가온 에너지를 절약하고 소화조 내부 전체의 온도가 항상 동일하거나 일정한 상태를 유지 시키고 소화균과 짧은 시간에 골고루 접촉이 이루어지 게 함으로서 소화 처리 효율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혼합 슬러지가 소화조에 투입되기 전에 음식물쓰레기나 잉여 슬러지에 다량 포함된 유해성분인 황(S) 성분과 인(P) 성분 등을 제거 또는 그 양을 줄일 수 있는 물질을 투입하고 교반시켜 소화공정 시에 화학적 물리적으로 반응 되어 제거될수 있도록 하여 소화가스의 활용(발전용으로 사용시 황(S) 성분 제거가 필수)을 용이하게 하며, 특히 하수 처리장으로 들어가는 소화 슬러지 탈리액에 고농도의 인(P)이 함유되지 않게 사전 처리 할수 있는 투입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도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에서 파쇄 처리된 전처리음식물쓰레기를 공급받아 미분(微粉)시키는 음식물미분기; 및 미분 처리된 상기 전처리음식물쓰레기를 교반시킨 후 소화조로 이송 안내하는 교반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처리음식물쓰레기는 미분 처리와 교반 처리된 상태로 분산 투입기를 통하여 상기 소화조의 내부 공간 전체에 걸쳐 동시에 고르게 분산 투입된 후 소화균과 급속 반응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는: 하수처리시설의 최초 침전조에 인발하여 농축된 농축 생슬러지를 공급받아 미분(微粉)시키는 생슬러지 미분기를 포함하고, 상기 생슬러지 미분기에서 미분 처리된 상기 생슬러지는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어 상기 전처리음식물쓰레기와 함께 교반 후 상기 소화조의 내부 공간 전체에 걸쳐 동시에 고르게 분산 투입된 후 소화균과 급속 반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는: 하수처리시설의 활성오니 처리법으로 처리된 후 최종침전지에서 인발하여 농후한 잉여슬러지를 공급받아 미분(微粉)시키는 잉여슬러지미분기를 포함하고, 상기 잉여슬러지미분기에서 미분 처리된 상기 잉여슬러지는 상기 교반기에 투입되어 전처리된 생슬러지 및 음식물쓰레기와 함께 교반되고 나서, 상기 소화조의 내부 공간 전체에 걸쳐 동시에 고르게 분산 투입된 후 소화균과 급속 반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잉여슬러지에서 미파쇄된 세포막들은 초음파장치에서 발진되는 초음파에 의해 파쇄된 후 상기 교반기에서 토출되는 전처리 생슬러지와 음식물쓰레기와 함께 교반되고 나서, 상기 소화조의 내부 공간 전체에 걸쳐 동시에 고르게 분산 투입된 후 소화균과 급속 반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는: 하수처리시설의 최초 침전조에서 인발하여 농축한 농축 생슬러지를 공급받아 미분(微粉)시키는 생슬러지 미분기; 및 미분 처리된 상기 생슬러지를 교반시키는 교반기를 포함하고, 상기 교반기에서 혼합된 상기 생슬러지는 소화조의 내부 공간 전체에 걸쳐 동시에 고르게 분산 투입된 후 소화균과 급속 반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는: 미분되고 혼합된 슬러지가 소화조에 투입되기 전(前)에 음식물쓰레기나 잉여슬러지에 포함된 황(S) 성분 및 인(P) 성분을 제거 또는 그 양을 줄이는 제거제를 투입하여 교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는: 하수처리장의 최초 침전조에 인발하고 농축된 생슬러지와, 파쇄 및 선별 처리된 전처리음식물쓰레기를 함께 공급받아 미분(微粉)시키는 복합미분기; 미분 처리된 상기 생슬러지와 상기 전처리음식물쓰레기를 교반시키는 교반기; 폭기 처리 후 최종적으로 침전된 잉여슬러지를 공급받아 미분(微粉)시키는 잉여슬러지미분기를 포함하고, 미분 처리 후 교반시킨 상기 생슬러지와 상기 전처리음식물쓰레기, 미분처리된 상기 잉여슬러지를 공급받아 소화조의 내부 공간 전체에 걸쳐 동시에 고르게 분산 투입된 후 소화균과 급속 반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잉여슬러지에서 미파쇄된 세포막들은 초음파장치에서 발진되는 초음파에 의해 파쇄된 후 상기 교반기에서 토출되는 전처리 생슬러지와 음식물쓰레기와 함께 교반되고 나서, 상기 소화조의 내부 공간 전체에 걸쳐 동시에 고르게 분산 투입된 후 소화균과 급속 반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화조는 내부로 투입되기 전(前)에 투입물을 가열하기 위한 외부가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의 파쇄기를 거쳐서 대충(일차적으로) 파쇄되어 나온 걸쭉한 죽 같은 형태의 전처리된 음식쓰레기를 미분(微粉)화한 후 생슬러지와 잉여슬러지 또는 다른 슬러지를 혼합하고 나서 소화조로 투입함으로써 전처리된 음식물쓰레기의 소화 분해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미분화된 전처리 음식물쓰레기 및 생슬러지와 혼합될 잉여슬러지를 초음파로 잉여슬러지를 감싸고 있는 세포막을 파괴하여 세포막 속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질들을 토출시켜 다른 유기물질들과의 혼합도를 증대시키고, 소화조 내에서 소화균과의 접촉이 많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유기물질 분해 처리 효율을 증대시킴에 따라 많은 양의 바이오가스(메탄가스)를 얻고 최종 처분할 탈수 케이크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는 음식물미분기(20), 교반기(50) 및 소화조(70)를 포함한다.
음식물미분기(20)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도시하지 않음)에서 파쇄 처리된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를 공급받아 미분화(微粉化)하는 설비이다. 특히,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는 최초 음식물쓰레기를 선별 처리 및 파쇄 처리한 상태를 의미한다. 이때, 전처리 과정에서 파쇄된 음식물쓰레기는 걸쭉한 죽 같은 형태로, 입자는 크기가 일정하지 않고 비교적 길이가 길고 부피가 큰 상태이다. 이런 상태의 음식물쓰레기가 소화조(70)에 투입되어 소화[DIGESTION TREATMENT] 과정을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음식물쓰레기의 소화 효율이 저하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음식물미분기(20)가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를 더 잘게 파쇄하여 미분화(微粉化)하게 된다. 이를 위해, 음식물미분기(20)는 그라인더 등 다양한 파쇄기구(툴)를 구비하여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를 미분화 처리하게 된다. 이로써, 음식물미분기(20)에서 미분화 처리된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는 1 ~ 4mm 의 일정한 입자 크기가 된다.
또한, 교반기(50)는 미분화 처리된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를 공급받아 교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교반기(50)는 나선 형태의 윙을 갖는 스크류를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는 등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특히, 교반기(50)는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에 함유된 유기물들이 고르게 교반되도록 함으로써 소화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소화공정상 인(P)성분, 황(S)성분 등을 제거 혹은 저감이 필요시 또는, 소화율 향상과 발효율 향상을 위해, 소화도움 물질 또는 효소물질 등이 필요시 상기의 교반되어 이송되는 교반슬러지와 상기의 물질들을 교반시켜 투입할 수 있은 설비가 설치된다. 물론, 이런 물질들은 다양한 종류로 적용 가능하다.
한편, 소화조(70)는 음식물미분기(20)에서 미분 처리 후, 교반기(50)에서 교반 처리된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를 공급받아 소화균과 반응시키는 역할을 한다. 물론, 소화조(7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를 소화 처리하기 위한, 소화조(70) 내부의 환경 조건이나 가동 조건은 한정하지 않는다.
이때, 미분 처리 후 교반 처리된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가 교반기(50)에서 안정적으로 소화조(70)로 공급될 수 있도록, 이송펌프(52)가 구비될 수 있다. 이송펌프(52)는 교반기(50)와 소화조(70)를 연결하는 라인에 구비된다.
따라서, 한정된 공간인 소화조(70) 내에서, 유기물질인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는 기존 대비 줄어든 시간에 많은 양이 분해될 수 있도록 단위 유기물 당 많은 개체의 소화균의 접촉이 이루어 질 수 있게,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는 전처리로 파쇄 후 음식물미분기(20)를 통해 미분화 처리된다. 이로써, 소화효율이 기존 대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는 미분 처리와 교반 처리된 상태로 소화조(70)의 내부 공간 전체에 걸쳐 동시에 고르게 분산 투입된 후 소화균과 급속 반응됨으로써, 기존 대비 음식물쓰레기의 소화시간이 현저히 단축된다.
특히, 소화조(70)는 미분 처리와 교반 처리된 상태의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를 내부 전체에 고르게 동시에 공급할 수 있도록, 내측면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 유격된 노즐을 구비하고, 노즐 각각이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를 분출 안내하는 것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는 음식물미분기(20), 교반기(50), 소화조(70) 및 외부가열기(84)를 포함한다.
이때, 음식물미분기(20), 교반기(50) 및 소화조(70)는 제 1실시예에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그리고, 외부가열기(84)는 미분 처리와 교반 처리 후, 소화조(70) 내부로 투입되기 전(前) 상태인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를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외부가열기(84)는 소화조(70)의 투입구 측에 위치할 수도 있고, 교반기(50)와 소화조(70)를 연결하는 라인에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외부가열기(84)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는 미분 처리와 교반 처리된 상태로 소화조(70)의 내부 공간 전체에 걸쳐 동시에 고르게 분산 투입된 후 소화균과 급속 반응됨으로써, 기존 대비 음식물쓰레기의 소화시간이 현저히 단축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는 생슬러지 미분기(40), 교반기(50) 및 소화조(70)를 포함한다.
이때, 생슬러지 미분기(40)는 생슬러지(30)를 공급받아 미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생슬러지 미분기(40)는, 제 1실시예의 음식물미분기(20)와 동일하거나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생슬러지 미분기(40)가, 제 1실시예의 음식물미분기(20)와 동일하지 않을 경우, 생슬러지(30)를 미분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생슬러지(30)는 하수처리시설(도시하지 않음)의 최초 침전조(도시하지 않음)에 인발하여 농축된 상태로서, 생오니 또는 일차오니라고도 하며, 하수가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면 일차적 처리 절차로 최초 침전조에서 유입된 부유물을 침전시키는데, 이 침전된 슬러지가 비중이 높은 유기물 덩어리 및 모래 등 무기질들로 구성되어있는 생슬러지(30)가 된다.
이때, 생슬러지(30)가, 기존과 같이, 침전조 하부에서 인발되어 농축조(도시하지 않음)에서 탈수 과정을 거친 후 소화조(70)로 보내질 경우, 농축 과정에서 더 크고 단단한 입자들로 뭉쳐지게 됨에 따라 이송라인을 막는 현상이 발생되고, 소화분해 시간이 지연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생슬러지(30)는 침전조 하부에서 인발 후 농축조 또는 농축기를 거쳐 공급되는 생슬러지는 생슬러지 미분기(40)로 이송된다. 생슬러지 미분기(40)가 생슬러지(30)를 미분시킴으로써 이송 과정 중에 이송라인을 막는 현상이 방지되고, 소화균과 접촉량이 많아짐으로 소화분해 시간이 단축된다.
아울러, 생슬러지 미분기(40)에서 미분 처리된 생슬러지(30)는 교반기(50)로 이송된다.
교반기(50)는 미분화 처리된 생슬러지(30)를 공급받아 교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교반기(50)는 나선 형태의 윙을 갖는 스크류를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는 등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특히, 교반기(50)는 생슬러지(30)에 함유된 유기물들이 고르게 교반되도록 함으로써 소화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소화공정상 인(P)성분, 황(S)성분 등을 제거 혹은 저감이 필요할시 또는, 소화율 향상과 발효율 향상을 위해, 소화도움 물질 또는 효소물질 등의 첨가가 필요시 상기의 교반되어 이송되는 교반슬러지와 상기의 물질들을 투입할 수 있은 설비가 설치된다. 물론, 이런 물질들은 다양한 종류로 적용 가능하다.
한편, 소화조(70)는 생슬러지 미분기(40)에서 미분 처리 후, 교반기(50)에서 교반 처리된 생슬러지(30)를 공급받아 소화균과 반응시키는 역할을 한다. 물론, 소화조(7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생슬러지(30)를 소화 처리하기 위한, 소화조(70) 내부의 환경 조건이나 가동 조건은 한정하지 않는다.
이때, 미분 처리 후 교반 처리된 생슬러지(30)가 교반기(50)에서 안정적으로 소화조(70)로 공급될 수 있도록, 이송펌프(52)가 구비될 수 있다. 이송펌프(52)는 교반기(50)와 소화조(70)를 연결하는 라인에 구비된다.
따라서, 한정된 공간인 소화조(70) 내에서, 유기물질인 생슬러지(30)는 기존 대비 줄어든 시간에 많은 양이 분해될 수 있도록 단위 유기물 당 많은 개체의 소화균의 접촉이 이루어 질 수 있게, 생슬러지(30)는 전처리로 파쇄 후 음식물미분기(20)를 통해 미분화 처리된다. 이로써, 소화효율이 기존 대비 증가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생슬러지미분기(40)에서 미분 처리된 생슬러지(30)는 교반기(50)에 투입되어, 생슬러지(30) 단독 또는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의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와 함께 교반 후 소화조(70)의 내부 공간 전체에 걸쳐 동시에 고르게 분산 투입된 후 소화균과 급속 반응되어 소화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는 생슬러지 미분기(40), 교반기(50), 소화조(70) 및 외부가열기(84)를 포함한다.
이때, 생슬러지 미분기(40), 교반기(50) 및 소화조(70)는 제 3실시예에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그리고, 외부가열기(84)는 미분 처리와 교반 처리 후, 소화조(70) 내부로 투입되기 전(前) 상태인 생슬러지(30)를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외부가열기(84)는 소화조(70)의 투입구 측에 위치할 수도 있고, 교반기(50)와 소화조(70)를 연결하는 라인에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외부가열기(84)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제 3실시예에서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는 음식물미분기(20), 생슬러지 미분기(40), 교반기(50) 및 소화조(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처리음식물과 생슬러지(30)를 각각 미분화 처리 후, 혼합하고 나서 소화조(70)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음식물미분기(20)는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를 공급받아 미분화(微粉化)하는 설비이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는 최초 음식물쓰레기를 선별 처리 및 파쇄 처리한 상태이다.
그래서, 음식물미분기(20)는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를 더 잘게 파쇄하여 미분화(微粉化)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생슬러지 미분기(40)는, 상술한, 생슬러지(30)를 최초 침전조로부터 공급받아 미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물론, 음식물미분기(20)와 생슬러지 미분기(40)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음식물미분기(20)를 통해 미분 처리된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와 생슬러지 미분기(40)를 통해 미분 처리된 생슬러지(30)를 함께 소화조(70)에 투입하여 소화시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음식물미분기(20)와 생슬러지 미분기(40)가 단독으로 구동될 때 대비 각 작업조건이 상이해 질 수 있다.
또한, 교반기(50)는 음식물미분기(20)를 통해 미분 처리된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와 생슬러지 미분기(40)를 통해 미분 처리된 생슬러지(30)를 동시에 공급받아 함께 교반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일정한 크기로 미분된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와 생슬러지(30)는 교반기(50)에서 고르게 교반된다. 그래서, 교반기(50)에 별도로 투입되거나 또는 생슬러지(30)와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에 함유된 유기물들이 미분된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와 생슬러지(30)의 입자와의 접촉이 증가된다. 물론, 교반기(50)의 가동 작업 조건은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특히,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와 생슬러지(30)는 이미 미분된 상태이기에 동일한 교반기(50)에서 함께 교반됨으로써 투입전 혼합률이 증가 된다.
교반된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와 생슬러지(30)는 소화조(70)로 투입된다.
소화조(70)는 음식물미분기(20)에서 미분 처리 후 교반기(50)에서 교반 처리된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 및 생슬러지 미분기(40)에서 미분 처리 후 동일한 교반기(50)에서 교반 처리된 생슬러지(30)를 동시에 공급받아 소화균과 반응시켜 소화 분해 시키는 역할을 한다. 물론, 소화조(7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이때, 혐기성 소화조(70) 안에서 소화공정(발효공정)이 짧은 시간 내에 강력하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혐기성 미생물인 밀발효균과 소화조(70)로 투입된 전처리음식물 및 생슬러지(30)의 접촉면이 증가하게 되어, 미생물 활성화도가 향상된다. 특히, 소화조(70) 내부에서 미생물 활성화도가 더욱 향상되도록, 소화조(70)로 투입되는 전처리음식물과 생슬러지(30)는 각각 음식물미분기(20)와 생슬러지 미분기(40)에서 입자들이 최대한 미분화된 채 동일한 교반기(50)에서 급속히 교반된다.
충분히 교반된 전처리음식물과 생슬러지(30) 및 기타 유기성 슬러지는 소화조(70) 내 전체 체적에 동시에 분산 투입되어, 소화조(70) 내부 전체에서 동시에 소화공정이 진행된다. 한정된 공간에서 많은 양의 전처리음식물과 생슬러지(30) 및 기타 유기성 슬러지가 소화 분해 처리됨에 따라, 소화효율이 극대화되고 많은 소화가스(메탄가스)가 생산된다.
이때, 전처리음식물과 생슬러지(30) 및 기타 유기성 슬러지가 소화조(70)로 투입되는 공정은 기존의 슬러지 전처리 시설(도시하지 않음) 및 기존의 소화조 교반 설비(도시하지 않음) 등과 연계되어 운전된다.
이때, 미분 처리 후 교반 처리된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와 생슬러지(30)가 동일한 교반기(50)에서 안정적으로 소화조(70)로 공급될 수 있도록, 이송펌프(52)가 구비될 수 있다. 이송펌프(52)는 교반기(50)와 소화조(70)를 연결하는 라인에 구비된다.
물론, 교반기(50)는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와 생슬러지(30)를 각각 단독으로 교반 처리하도록 복수로 구비되고, 교반 처리된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와 생슬러지(30)가 각각 동일한 소화조(70)로 이송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생슬러지미분기(40)에서 미분 처리된 생슬러지(30)는 교반기(50)에 투입되어,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와 함께 교반 후 소화조(70)의 내부 공간 전체에 걸쳐 동시에 고르게 분산 투입된 후 소화균과 급속 반응되어 소화효율이 더욱 향상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는 음식물미분기(20), 생슬러지 미분기(40), 교반기(50), 소화조(70) 및 외부가열기(84)를 포함한다.
여기서, 음식물미분기(20), 생슬러지 미분기(40), 교반기(50) 및 소화조(70)는 제 5실시예에서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외부가열기(84)는 미분 처리와 교반 처리 후, 소화조(70) 내부로 투입되기 전(前) 상태인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와 생슬러지(30)를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외부가열기(84)는 소화조(70)의 투입구 측에 위치할 수도 있고, 교반기(50)와 소화조(70)를 연결하는 라인에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외부가열기(84)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제 5실시예에서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는 음식물미분기(20), 생슬러지 미분기(40), 교반기(50), 잉여슬러지미분기(62), 초음파장치(64), 소화조(70) 및 외부가열기(84)를 포함한다.
이때, 음식물미분기(20), 생슬러지 미분기(40) 및 교반기(50)는 제 6실시예에서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잉여슬러지미분기(62)는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가 폭기 처리 후 최종적으로 침전된 잉여슬러지(60)의 일부를 공급받아 미분(微粉)시키는 역할을 한다.
물론, 잉여슬러지미분기(62)는 음식물미분기(20) 또는 생슬러지 미분기(40)와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특히, 잉여슬러지(60)는 하수처리시설에서 활성오니처리법으로 처리된 후 최종침전지(도시하지 않음)에서 인발하여 농후한 이차오니로서, 하수와 함께 유입된 유기물(오니)들이 활성 오니(호기성 오니)에 의하여 분해되고 남은 잔재물이 최종 침전지에서 침전의 과정을 거쳐 생성된다. 이 잉여오니 입자는 호기성균에 의하여 분해되고 남은 유기물질, 호기성균, 무기질 등이 세포막에 쌓여있고, 이 입자들이 서로 뭉쳐있는 형태로서 세포막이 파괴되지 않은 한 소화균이 침투 할 수 없어 소화분해가 힘든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잉여슬러지(60)는 잉여슬러지미분기(62)를 통해 미분 처리된다. 그리고, 잉여슬러지(60)에 함유된 잉여오니 입자를 감싸는 세포막이 초음파장치(64)에서 발진되는 초음파에 의해 파괴된다. 이로써, 잉여슬러지(60)는 더욱 잘게 파쇄되며 소화균과의 접촉이 많이 이루어지게된다.
이때, 초음파장치(64)는 잉여슬러지미분기(62)에서 토출된 잉여슬러지(60)의 일부를 통과시키면서 초음파를 발진하게 된다. 잉여슬러지미분기(62)에서 토출된 나머지 잉여슬러지(60)는 교반기(50)에서 교반 후 소화조(70)로 이송되는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 및 생슬러지(30)와 혼합된다.
아울러, 초음파에 의해 세포막이 파괴 처리된 잉여슬러지(60)도 교반기(50)에서 교반 후 소화조(70)로 이송되는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 및 생슬러지(30)와 혼합된다.
물론, 잉여슬러지(60)는 전체가 초음파장치(64)로부터 초음파 조사 후, 잉여슬러지미분기(62)로 공급될 수도 있다.
소화조(70)는 음식물미분기(20)에서 미분 처리 후 교반기(50)에서 교반 처리된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 생슬러지 미분기(40)에서 미분 처리 후 동일한 교반기(50)에서 교반 처리된 생슬러지(30), 및 잉여슬러지미분기(62)에서 미분 처리 후 일부가 초음파장치(64)에 의해 초음파 조사된 잉여슬러지(60) 전체를 동시에 공급받아 소화균과 반응시키는 역할을 한다. 물론, 소화조(7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충분히 교반된 전처리음식물과 생슬러지(30), 잉여슬러지(60) 및 기타 유기성 슬러지는 소화조(70) 내 전체 체적에 동시로 분산되어 투입되어, 소화조(70) 내부 전체에서 동시에 소화공정이 진행된다. 한정된 공간에서 많은 양의 전처리음식물, 생슬러지(30), 잉여슬러지(60) 및 기타 유기성 슬러지가 소화 분해 처리됨에 따라, 소화효율이 극대화된다.
이때, 전처리음식물, 생슬러지(30), 잉여슬러지(60) 및 기타 유기성 슬러지가 소화조(70)로 투입되는 공정은 기존의 슬러지 전처리 시설(도시하지 않음) 및 기존의 소화조 교반 설비(도시하지 않음) 등과 연계되어 운전된다.
이때, 미분 처리 후 교반 처리된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와 생슬러지(30) 및 잉여슬러지(60)가 동시에 안정적으로 소화조(70)로 공급될 수 있도록, 이송펌프(52)가 구비될 수 있다.
외부가열기(84)는 미분 처리와 교반 처리 후, 소화조(70) 내부로 투입되기 전(前)에 혼합된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와 생슬러지(30) 및 잉여슬러지(60)를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외부가열기(84)는 소화조(70)의 투입구 측에 위치할 수도 있고, 교반기(50)와 소화조(70)를 연결하는 라인에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외부가열기(84)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잉여슬러지미분기(62)에서 미분 처리된 잉여슬러지(60)는 교반기(50)에 투입되어 전처리된 생슬러지(30) 및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 또는 전처리 되지 않은 음식물쓰레기와 함께 교반되고 나서, 소화조(70)의 내부 공간 전체에 걸쳐 동시에 고르게 분산 투입된 후 소화균과 급속 반응됨으로써, 소화 효율이 극대화된다.
아울러, 잉여슬러지(60)에서 미파쇄된 세포막들은 초음파장치(64)에서 발진되는 초음파에 의해 파쇄된 후 교반기(50)에서 토출되는 전처리된 생슬러지(30)와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와 함께 교반되고 나서, 소화조(70)의 내부 공간 전체에 걸쳐 동시에 고르게 분산 투입된 후 소화균과 급속 반응됨으로써, 소화 효율이 더욱 더 향상될 수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제 6실시예에서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는 음식물미분기(20), 생슬러지 미분기(40), 교반기(50), 잉여슬러지미분기(62), 초음파장치(64) 및 소화조(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음식물미분기(20), 생슬러지 미분기(40), 교반기(50), 잉여슬러지미분기(62), 초음파장치(64) 및 소화조(70)는 제 7실시예에서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제 7실시예에서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는 복합미분기(90), 교반기(50), 잉여슬러지미분기(62), 초음파장치(64), 소화조(70) 및 외부가열기(84)를 포함한다.
이때, 복합미분기(90)는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와 생슬러지(30)를 동시에 또는 시차를 두고 공급받아 함께 미분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 후, 미분 처리된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와 생슬러지(30)는 교반기(50)에서 교반 처리된다.
아울러, 잉여슬러지미분기(62)와 초음파장치(64)는 제 7실시예와 제 8실시예에서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소화조(70)는 음식물미분기(20)에서 미분 처리 후 교반기(50)에서 교반 처리된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 생슬러지 미분기(40)에서 미분 처리 후 동일한 교반기(50)에서 교반 처리된 생슬러지(30), 및 잉여슬러지미분기(62)에서 미분 처리 후 일부가 초음파장치(64)에 의해 초음파 조사된 잉여슬러지(60) 전체를 동시에 공급받아 소화균과 반응시키는 역할을 한다.
외부가열기(84)는 미분 처리와 교반 처리 후, 소화조(70) 내부로 투입되기 전(前)에 혼합된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와 생슬러지(30) 및 잉여슬러지(60)를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외부가열기(84)는 소화조(70)의 투입구 측에 위치할 수도 있고, 교반기(50)와 소화조(70)를 연결하는 라인에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외부가열기(84)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미분 처리 후 교반시킨 생슬러지(30)와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 미분 처리된 잉여슬러지(60)는 소화조(70)의 내부 공간 전체에 걸쳐 동시에 고르게 분산 투입된 후 소화균과 급속 반응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제 7실시예와 제 8실시예에서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는 음식물미분기(20), 생슬러지 미분기(40), 교반기(50), 잉여슬러지미분기(62), 초음파장치(64) 및 소화조(70)를 포함한다.
아울러, 소화조(70)에 투입되기 전(前)에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나 잉여슬러지(60)에는 황(S) 성분 및 인(P) 성분이 함유되는데, 이 황성분 및 인성분이 제거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황성분과 인성분을 제거 또는 그 양을 줄이기 위한 제거제 투입장치(94)를 포함한다.
제거제 투입장치(94)의 제거제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고, 소화조(70)로 투입되기 전 상태에서 전처리된 유기물질들과 혼합된다.
특히, 음식물미분기(20), 생슬러지 미분기(40), 교반기(50), 잉여슬러지미분기(62), 초음파장치(64) 및 소화조(70)는 제 7실시예에서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제 7실시예에서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그리고, 내부가열기(82)는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 생슬러지(30) 및 잉여슬러지(60)가 투입된 소화조(70) 내부에 열기를 송풍하거나, 또는 소화조(70) 내부에서 발열되는 발열체로 구성되어, 소화조(70) 내부에 저장된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와 생슬러지(30) 및 잉여슬러지(60)에 열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소화조(70) 내부로 투입되는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와 생슬러지(30) 및 잉여슬러지(60)가 소화균의 영양소가 되고,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와 생슬러지(30) 및 잉여슬러지(60)의 유기물질이 분해되는 과정 중에 열에너지를 공급받음으로써, 소화균의 번식력이 더욱 활성화된다. 결론적으로, 혼합된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 생슬러지(30) 및 잉여슬러지(60)의 소화시간이 더욱 단축되고, 인성분과 황성분이 제거되거나 줄어들게 됨에 따라 최종적인 부산물인 슬러지(10,30,60)의 생산량이 다량으로 줄어든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처리된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는 소화조(70)로 공급되기 전에 미분공정, 미분 처리된 생슬러지(30)와 잉여슬러지(60) 중 적어도 어느 한 슬러지와 교반 처리 후 소화조(70)로 투입됨에 따라, 더 작게 파쇄된 입자들로 인해, 소화조(70) 내에서 소화균에 의한 소화공정 시간이 급격히 단축될 수 있다.
아울러, 소화조(70) 내부가 가온기로 가온되거나, 또는 소화조(70)로 투입되는 전처리음식물쓰레기(10)와 생슬러지(30) 및/또는 잉여슬러지(60)가 열에너지를 공급받음으로써, 소화조(70) 내에서 소화균이 필요로하는 온도 및 충분한 영양소가 공급되어, 유기성 쓰레기(10)의 소화효율이 극대화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전처리음식물쓰레기 20: 음식물미분기
30: 생슬러지 40: 생슬러지 미분기
50: 교반기 60: 잉여슬러지
62: 잉여슬러지미분기 64: 초음파장치
70: 소화조 90: 복합미분기

Claims (10)

  1.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에서 파쇄 처리된 전처리음식물쓰레기를 공급받아 더 잘게 파쇄하여 미분(微粉)시키는 음식물미분기;
    하수처리시설의 최초 침전조에 인발하여 농축된 농축 생슬러지를 공급받아 미분(微粉)시키는 생슬러지 미분기;
    미분 처리된 상기 전처리음식물쓰레기와 미분 처리된 농축 생슬러지를 함께 교반시킨 후 소화조로 이송 안내하는 교반기;
    하수처리시설의 활성오니 처리법으로 처리된 후 최종침전지에서 인발하여 농후한 잉여슬러지를 공급받아 미분(微粉)시키는 잉여슬러지미분기;
    상기 잉여슬러지미분기에서 미파쇄된 세포막들을 발진되는 초음파에 의해 파쇄하는 초음파장치; 및
    상기 음식물미분기에서 미분 처리 후 상기 교반기에서 교반 처리된 상기 전처리음식물쓰레기, 상기 생슬러지 미분기에서 미분 처리 후 상기 교반기에서 교반 처리된 상기 생슬러지, 상기 잉여슬러지미분기에서 미분 처리 후 일부가 상기 초음파장치에 의해 초음파 조사된 상기 잉여슬러지 전체를 동시에 공급받아 내부 공간 전체에 걸쳐 동시에 고르게 분산 투입되는 소화균과 급속 반응 유도하는 소화조를 포함하고,
    상기 소화조 내부로 투입되기 전(前) 또는 상기 소화조 내부로 투입된 상기 전처리음식물쓰레기와 상기 생슬러지와 상기 잉여슬러지는 외부가열기에 의해 전달되는 열로써 필요로 하는 온도만큼 상승됨에 따라 소화 효율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하수처리장의 최초 침전조에 인발하고 농축된 생슬러지와, 파쇄 및 선별 처리된 전처리음식물쓰레기를 함께 공급받아 미분(微粉)시키는 복합미분기;
    미분 처리된 상기 생슬러지와 상기 전처리음식물쓰레기를 교반시키는 교반기;
    상기 전처리음식물쓰레기가 폭기 처리 후 최종적으로 침전된 잉여슬러지의 일부를 공급받아 미분(微粉)시키는 잉여슬러지미분기;
    상기 잉여슬러지에서 미파쇄된 세포막들을 발진되는 초음파로써 파쇄하는 초음파장치; 및
    상기 복합미분기에서 미분 처리 후 상기 교반기에서 교반 처리된 상기 생슬러지와 상기 전처리음식물쓰레기, 상기 잉여슬러지미분기에서 미분 처리 후 일부가 상기 초음파장치에 의해 초음파 조사된 상기 잉여슬러지 전체를 동시에 공급받아 내부 공간 전체에 걸쳐 동시에 고르게 분산 투입되는 소화균과 급속 반응 유도하는 소화조를 포함하고,
    상기 소화조 내부로 투입되기 전(前) 또는 상기 소화조 내부로 투입된 상기 전처리음식물쓰레기와 상기 생슬러지와 상기 잉여슬러지는 외부가열기에 의해 전달되는 열로써 필요로 하는 온도만큼 상승됨에 따라 소화 효율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조 내부로 투입되기 전(前)의 상기 전처리음식물쓰레기나 상기 잉여슬러지에 함유된 황 성분과 인 성분은 제거제 투입장치에서 공급되는 제거제에 의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
KR1020190026638A 2019-03-08 2019-03-08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 KR102093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638A KR102093092B1 (ko) 2019-03-08 2019-03-08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638A KR102093092B1 (ko) 2019-03-08 2019-03-08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3092B1 true KR102093092B1 (ko) 2020-03-25

Family

ID=70001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638A KR102093092B1 (ko) 2019-03-08 2019-03-08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0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6779A (ko) * 2002-03-21 2003-09-29 주식회사 청정 고농도 유기물, 질소 및 인을 함유한 폐수 처리방법 및시스템
KR101034115B1 (ko) * 2010-08-27 2011-05-13 홍원표 슬러지 감량 및 소화가스 증량 장치
KR20160057243A (ko) * 2014-11-13 2016-05-23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건식 혐기 소화조
KR20160144181A (ko) * 2015-06-08 2016-12-16 주식회사 오투 유기폐기물의 바이오가스 생성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6779A (ko) * 2002-03-21 2003-09-29 주식회사 청정 고농도 유기물, 질소 및 인을 함유한 폐수 처리방법 및시스템
KR101034115B1 (ko) * 2010-08-27 2011-05-13 홍원표 슬러지 감량 및 소화가스 증량 장치
KR20160057243A (ko) * 2014-11-13 2016-05-23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건식 혐기 소화조
KR20160144181A (ko) * 2015-06-08 2016-12-16 주식회사 오투 유기폐기물의 바이오가스 생성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0425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를 위한 혐기성 통합공정장치
KR20060059919A (ko) 남은음식물류쓰레기의 혐기성자원화를 위한 밀링식 분쇄 및원심식 고액분리 연속처리공정구성과 탈리액의 효소반응을이용한 전처리공정의 설비구성 및 그 운영 방안.
KR100787074B1 (ko) 유기성 폐기물의 바이오가스 생성장치
KR101032608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CN102352380A (zh) 餐饮垃圾与污泥混合的厌氧处理方法及系统
KR200425442Y1 (ko) 밀링식 분쇄와 원심식 고액분리 연속처리 및 탈리액의 효소반응을 이용한 음식쓰레기의 전처리 설비
JP4642203B2 (ja) 有機性廃棄物の処理方法
CN111346897A (zh) 一种有机固废预处理系统和工艺、以及对应的有机固废连续水热处理系统和工艺
JP2010142735A (ja) 有機性固形廃棄物のメタン発酵方法及びシステム
JPH11197636A (ja) 有機性廃棄物の処理方法
KR101824609B1 (ko) 유기성폐기물 반응장치 및 이를 구비한 유기성폐기물 소멸화 처리시스템
KR102093092B1 (ko) 폐유기물의 소화조 투입처리장치
KR100374485B1 (ko) 혼합 단상 혐기성 소화설비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처리방법
KR100883979B1 (ko) 알칼리 분쇄와 초음파 공정을 이용한 하·폐수 슬러지감량화 방법 및 장치
GB2428670A (en) Anaerobic digestion of organic wastes
KR20090026843A (ko) 상향류식 혐기성 소화조를 이용한 음식물폐기물 소화 및바이오가스 생산 장치와 방법
KR20100013803A (ko) 건식습식 일체형 혐기성분해조, 관로수거된 음식물쓰레기의생물학적 분해특성을 고려한 건식습식 혼합형혐기성분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처리공정
GB2162196A (en) Sewage treatment process
KR20140063328A (ko) 순환 감량화조를 이용한 유기성 슬러지 건조장치
JPH11319782A (ja) メタン発酵方法
JP2004105878A (ja) メタン発酵装置及びメタン発酵方法
JPH11290827A (ja) 発酵槽内の有機性廃棄物の加温方法
CN212703648U (zh) 一种城市生活垃圾湿式工艺处理系统
KR100498882B1 (ko) 축산폐수 전처리 장치
KR101029713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축산폐수의 혐기성 소화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