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3368A - 양악 동시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장치 - Google Patents

양악 동시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3368A
KR20160143368A KR1020150079972A KR20150079972A KR20160143368A KR 20160143368 A KR20160143368 A KR 20160143368A KR 1020150079972 A KR1020150079972 A KR 1020150079972A KR 20150079972 A KR20150079972 A KR 20150079972A KR 20160143368 A KR20160143368 A KR 20160143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t
shaped
shape
surgery
orthognathic surg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9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9576B1 (ko
Inventor
이상휘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79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576B1/ko
Publication of KR20160143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3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61B17/66Alignment, compression or distraction mechanisms
    • A61B17/663Alignment, compression or distraction mechanisms for jaw bones, e.g. subcutaneous distractors with external acc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2Tools for manipulating or working with an orthodontic appli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양악 동시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방법(S100)은, a) 대상 환자의 두개골 3차원 이미지 파일과 치아부위 3차원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이미지파일 생성단계(S110); b) 두개골 3차원 이미지와 치아부위 3차원 이미지를 융합하여 융합이미지를 생성하는 융합이미지 생성단계(S120); c) 상기 융합이미지(10)에서 수술 부위에 해당하는 상악골 및 하악골 부위를 가상 절단하여 정상 위치로 이동시키는 악교정 시뮬레이션을 행하는 교정시뮬레이션단계(S130); d) 상기 교정 시뮬레이션 후 상악지지부, 하악지지부 그리고 메인지지부로 이루어진 Y자형 스프린트의 형상을 생성하는 스프린트형상 생성단계(S140); 및 e) 생성된 Y자형 스프린트의 형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Y자형 스프린트를 제조하는 스프린트 제조단계(S150);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상 환자의 두개골 3차원 이미지와 치아 3차원 이미지를 활용하여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합의 정확성과 수술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고, 종래의 악안면 수술에 비해 현저히 향상된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함은 물론, 신속하고 빠르게 수술을 수행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수술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양악 동시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장치 {Bimaxillary Orthognathic Y-splint,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Recording Medium Therefor,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양악 동시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악골과 하악골 양악 모두를 동시에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시술할 수 있게 하는 양악 동시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악교정 수술(orthognathic surgery) 혹은 양악 수술(兩顎手術, bimaxillary surgery, two-jaw surgery)은 턱뼈와 치아의 불규칙성을 교정하는 악안면수술(maxillofacial surgey)의 시술 종류 중 하나이며, 비정상적으로 발달한 위턱과 아래턱을 골절시켜 분리 가능하게 한 다음 정상 교합에 맞게 이동시켜 고정하는 수술법이다.
악교정 수술은 일반적으로 상악골과 하악골을 동시에 수술하는 양악 수술이나 상악골, 하악골 중 한 부위만 수술하는 편악 수술(one-jaw surgery)의 형태로 행해진다.
악교정 수술에 의해 턱뼈나 치아의 불규칙성이나 비정상적인 교합 상태를 바로 잡음으로써, 씹거나 말하거나 숨을 쉬는 기능을 정상 상태로 회복될 수 있도록 치료할 수 있으며, 턱과 치아의 잘못된 위치 관계를 교정하여 환자의 안면 형태를 재구성함으로써 얼굴 외형의 심미적인 개선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악교정수술(양악수술) 중 턱뼈를 바른 위치에 고정하는 것은 수술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이며, 이를 위한 장치 제작은 수작업 석고 모형 수술(model surgery) 방법이 대부분 이용되고 있으며, 이 방법은 환자의 치아 석고 모형을 사용하여 수술 후를 예측하고 턱뼈의 목표 위치를 설정하는 것이다.
수작업 석고 모형 수술에 의하여 목표 위치가 설정이 되면 상악과 하악 사이에 끼워지는 마우스 피스 형태의 치아 음형을 갖는 틀을 제작하여 시술시 이용하게 되는데, 이렇게 제작된 틀은 상, 하악 치아에 고정시켜 절단된 턱뼈의 치아를 맞추어 원하는 위치를 찾게 된다. 이와 같이 악안면 수술에서 사용되는 마우스피스 형태의 일반적으로는 레진 소재의 틀을 "웨이퍼(wafer)" 혹은 스플린트 (splint)라고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웨이퍼는 상-하악 치아에만 물리게 되어있어 하악골 관절 등의 움직임의 영향을 받아 잘못된 위치로 유도하기 쉬웠고 이로 인해 시술시 원하지 않는 악골의 비대칭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특히 얼굴 기형, 특히 비대칭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악안면 수술에서는 작은 시술 오차가 수술 후 심각한 기능적, 심미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오차는 종래의 수작업 석고 모형 수술을 포함하는 수술 전 준비 과정이나 수술 과정에서 모두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제까지 석고 모형 수술을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들이 보고되었고, 예를 들어 height gauge와 model block을 이용해 치아 위치를 확인하며 모형 수술하는 방법은 오차 발생을 비교적 덜 발생시키고 비교적 쉽게 모형 수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여러 가지 방법의 모형 수술은 여러 번 작업 반복해야 하기도 하고, 시술자에 따라 오차가 클 수 있고 일반적으로 오차 범위도 커지는 단점이 있다.
때문에 최근에는 PC와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디지털 모형 수술의 가능성이 모색되고 있으며(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지 Vol.29, No.6, 2007, pp518~524), 수작업 석고 모형 수술 후 제작된 웨이퍼를 이용하는 경우의 오차보다 디지털 작업으로 수행하여 3차원 프린팅(three-dimensional printing, 3차원 printing) 장비로 제작된 웨이퍼를 사용하는 경우의 오차가 작아, 디지털 모형 수술의 정밀도가 높다는 결과가 알려져 있다.
악교정 수술 중 편악 수술의 경우 이러한 모형수술과 수술용 스프린트 웨이퍼의 정확성에 영향을 덜 받는다.
그러나, 상악골과 하악골을 동시에 수술 교정해야 하는 양악 수술에서는 어떤 방식으로 웨이퍼를 제작하든 상악 수술용과 하악 수술용 장치를 따로 제작하여야 한다.
웨이퍼 2개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작하면 이 과정의 번거로움과 제작 오차가 커질 위험이 생길 뿐 아니라 두 장치 사이의 위치 관계도 틀어질 수 있어, 정확한 상악, 하악 위치를 잡는데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더 나아가, 종래 기술에 따른 상악골 수술용 장치는, 상악골 수술에만 활용될 뿐 하악골 수술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이 출원 등록한 Y자형 스프린트(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501447호)의 경우, 상악골 수술을 정확히 수행할 수 있으나, 이러한 장치를 하악골 수술용 웨이퍼에서는 다시 활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있다.
결국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런 Y자형 스프린트 장치를 상악용 하악용 웨이퍼에 이중으로 설치, 설계, 제작 및 시술해야 하는 딜레마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5323호 (2011년 12월 16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절단된 상악, 하악 그리고 웨이퍼를 안정적으로 잡아주기 위한 것으로서, 교합의 정확성과 수술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웨이퍼에 포함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물을 상악골 수술에서와 하악골 수술 모두에서 중복 설계 제작 없이도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양악 동시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악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방법은: 상하악 교정 수술시, 상악과 하악을 교정 위치로 고정시키는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를 제작하는 방법으로서, a) 대상 환자의 두개골 3차원 이미지 파일과 치아부위 3차원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이미지파일 생성단계; b) 두개골 3차원 이미지와 치아부위 3차원 이미지를 융합하여 융합이미지를 생성하는 융합이미지 생성단계; c) 상기 융합이미지에서 수술 부위에 해당하는 상악골 및 하악골 부위를 가상 절단하여 정상 위치로 이동시키는 악교정 시뮬레이션을 행하는 교정시뮬레이션단계; d) 상기 교정 시뮬레이션 후 상악지지부, 하악지지부 그리고 메인지지부로 이루어진 Y자형 스프린트의 형상 및 상악절단가이드를 생성하는 스프린트형상 생성단계; 및 e) 생성된 Y자형 스프린트의 형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Y자형 스프린트 및 상악절단가이드를 제조하는 스프린트 제조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악지지부의 상악고정부와 하악고정부 그리고 메인지지부가 융합이미지와 접촉하여 고정되는 고정위치를 융합이미지에 설정한 후, 고정위치에 형성될 천공부 위치를 융합이미지에 설정하고, 천공부를 포함하는 고정부의 외곽형상을 설정하는 단계; 천공부를 포함하는 고정부의 외곽형상에 대응되는 융합이미지의 표면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천공부를 포함하는 고정부 외곽형상에 대응되는 융합이미지의 표면 데이터를 바탕으로 두께를 가지는 고정부 형상을 생성하는 단계; 메인지지부의 수평연결부, 상악지지부의 상악고정부와 하악고정부 형상을 생성하는 단계; 메인지지부의 수평연결부와 하부웨이퍼를 연결하는 수직연결부 형상을 생성하는 단계; 메인지지부의 수직연결부와 하부웨이퍼를 서로 결속시키는 제 2 결속조인트의 형상, 상부웨이퍼와 하부웨이퍼를 서로 결속시키는 제 1 결속조인트의 형상, 및 상악고정부와 상부웨이퍼를 서로 결속시키는 측부결속조인트의 형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결속조인트에 제 1 결속조인트와 결속될 수 있는 제 1 결속조인트 수용홈 및 수직연결부와 결속되어 고정될 수 있는 수직연결부 수용홈을 형성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의 두께(t)는 1 내지 3 mm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CAD/CAM 기술을 이용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3차원 프린팅 장비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웨이퍼의 상부면에는, 상악골과 하악골 사이에 위치하여 상악과 하악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악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형을 갖는 상악치아대면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웨이퍼의 하부면에는, 하악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형을 갖는 하악치아대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작방법에 의해 제작된 양악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를 제공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는: 상악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형이 형성된 상부웨이퍼, 상부웨이퍼의 전면부에 돌출 형성되어 하부웨이퍼를 서로 결속시키는 제 1 결속조인트, 및 상부웨이퍼의 측부면에 장착되어 상악과 결속되는 상악고정부를 구비하는 상악지지부; 하악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형이 형성된 하부웨이퍼, 하부웨이퍼의 전면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부웨이퍼 및 메인지지부와 결속되는 제 2 결속조인트를 구비하는 하악지지부; 및 일단부에 상악과 결속고정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수직연결부와 결속되는 수평연결부, 및 수평연결부과 결속되고 제 2 결속조인트와 결속되어 고정되는 수직연결부를 구비하는 메인지지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악고정부의 일단부, 하악고정부의 일단부 및 수평연결부의 일단부에는 융합이미지의 두개골 표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접촉면 및 두개골에 스크류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천공부를 구비하는 고정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메인지지부는, 고정부가 양단에 부착된 수평지지부와 수평지지부가 하부웨이퍼에 연결되도록 지지하는 수직연결부로 이루어져 정면상 Y 자 형상을 갖춘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속조인트는: 제 1 결속조인트의 형상과 대응되는 구조의 제 1 결속조인트 수용홈; 및 상기 제 1 결속조인트 수용홈과 인접하여 형성되고, 수직연결부의 타단부와 대응되는 구조의 수직연결부 수용홈;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결속조인트에는, 제 1 결속조인트 또는 수직연결부를 볼팅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볼팅 고정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는, 상부웨이퍼의 측부면에 장착되어 하악과 결속되는 하악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작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컴퓨터와 모니터; 상기 컴퓨터의 산술 처리부에서 상기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방법에 따라 산출된 형상 데이터에 의해 제어되어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를 제작하는 3차원 프린터;를 포함하는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악 동시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장치에 따르면, 대상 환자의 두개골 3차원 이미지와 치아 3차원 이미지를 활용하여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합의 정확성과 수술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및 그 제작방법은, 절단된 상악과 웨이퍼를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는 특정 구조의 Y자형 스프린트를 제작할 수 있어, 종래의 악안면 수술에 비해 현저히 향상된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함은 물론, 신속하고 빠르게 수술을 수행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수술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및 그 제작방법은, 상악골 수술을 위한 Y자형 스프린트를 하악골 수술용 웨이퍼에 모두 사용하기 위해서 상악용 및 하악용 웨이퍼에 이중으로 Y자형 스프린트를 설치하는 소모를 막고 한쪽에만 설치함으로써 설계, 제작, 수술의 편리,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악 동시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방법을 나타내는 전체 흐름도이다.
도 2는 도1에 나타낸 양악 동시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의 형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세부적인 단계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대상 환자의 두개골 3차원 이미지와 치아부위 3차원 이미지를 융합한 융합이미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4는 융합이미지에서 상악골, 하악골 수술부위를 가상 절단하여 교정 시뮬레이션을 행한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5는 상악골 및 하악골 절단을 위한 가이드홈과 Y자형 스프린트 및 하악골 고정을 위한 천공부가 형성된 상악용 및 하악용 절단 가이드 플레이트를 융합이미지에 장착한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6은 절단 가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갈고리 모양의 걸림돌기와 걸림돌기가 결속되는 융합이미지에 결속부위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7은 드릴가이드와 드릴가이드 결속부가 형성된 절단 가이드 플레이트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8은 드릴가이드의 헤드부분을 드릴가이드 결속부에 결속시킨 후, 정확한 방향으로 드릴작업 수행될 수 있도록 드릴 가이드 홀을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드릴가이드를 대체하여 드릴 가이드 볼트를 드릴가이드 결속부에 볼팅결합시킨 후, 정확한 방향으로 드릴작업 수행될 수 있도록 드릴 가이드 홀을 제공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단 가이드 플레이트를 융합이미지에 장착한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1은 상악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형이 형성된 상부웨이퍼와 하악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형이 형성된 하부웨이퍼를 생성한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2는 융합이미지에 메인지지부의 고정부가 형성될 위치와 형상을 표시한 그림이다.
도 13은 메인지지부의 수직연결부 형상을 생성한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4는 메인지지부의 수평연결부 형상을 생성한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5는 융합이미지에 상악고정부의 고정부가 형성될 위치와 형상을 표시한 그림이다.
도 16은 측부결속조인트 형상을 생성한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7은 상악고정부의 형상을 생성한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8은 융합이미지에 하악고정부의 고정부가 형성될 위치와 형상을 표시한 그림이다.
도 19는 하악고정부의 형상을 생성한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양악 동시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Y자형 스프린트에 하악고정부를 장착한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악 동시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의 상부웨이퍼와 하부웨이퍼를 분리한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상부웨이퍼와 하부웨이퍼의 하부면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악 동시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에서 하부웨이퍼만을 분리한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도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양악수술용 웨이퍼는 상-하악 치아에만 물리게 되어있어 하악골 관절 등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아 잘못된 위치로 유도하기 쉬웠고 이로 인해 원하지 않는 악골의 비대칭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보다 정확한 시술을 위해 수작업 석고 모형 수술의 단계별 정밀도를 높이는 방안을 강구하거나, 디지털 모형 수술을 이용하여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어떤 방식으로 웨이퍼를 제작하여 적용하든 양악 수술에서와 같이 상악과 하악을 동시에 교정해야 하는 경우는 기존의 기술을 적용하여 시술시 상악 수술용과 하악 수술용 장치를 따로 제작하여야 한다.
웨이퍼 2개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작하면 이 과정의 번거로움과 제작 오차가 커질 위험이 생길 뿐 아니라 두 장치 사이의 위치 관계도 틀어질 수 있어 정확한 상악, 하악 위치를 잡는데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특히 Y자형 스프린트와 같이 상악골 수술을 정확히 하기 위한 장치를 상악 장치에 설치하면 하악골 수술용 웨이퍼에서는 다시 이용하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결국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런 Y자형 스프린트 장치를 상악용 및 하악용 웨이퍼에 각각 독립작으로 설치, 즉 설계, 제작, 시술해야 하는 큰 문제가 발생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는 도16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어, 도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악골 및 하악골을 웨이퍼와 함께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잡아 주기 위한 것으로 교합의 정확성과 수술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를 웨이퍼에 포함한다. 두개골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시술자가 효율적으로 시술을 진행할 수 있어 시술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시술 정확도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조물을 상악골 수술용 장치에 설치하며, 하악골 수술장치에서는 사용할 수 없어지는데, 이를 개선하여 상악골과 하악골 수술 모두에서 중복 설계 제작 없이 상악 수술용 장치에 설치하되, 하악 수술용 장치에서도 다시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을 가진다. 이를 통해 양악 동시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가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방법은, 최근의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3차원 프린터 등의 Rapid Prototyping 장비의 기술 발달에 따라 고안된 발명으로서, 종래의 수작업 석고 모형 수술이 디지털 모형 수술로 대체되게 된다면 그 적용 가능성이 더욱 높아질 것이다.
본 발명은 두개골 3차원 이미지와 치아 3차원 이미지를 융합시킨 융합이미지로부터 교정을 행할 상악골과 하악골을 절단시킨 후, 프로그램 상의 3차원 이동, 회전 등의 기능을 이용하여 정확한 수술 방법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고, 이러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정확하고 신뢰성이 높은 시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방법과 Y자형 스프린트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방법을 나타내는 전체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를 제작하는 방법은, 대상 환자의 두개골 3차원 이미지 파일과 치아부위 3차원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이미지파일 생성단계(S110), 및 두개골 3차원 이미지(11)와 치아부위 3차원 이미지(12)를 융합하여 융합이미지(10)를 생성하는 융합이미지 생성단계(S120)를 포함한다.
대상 환자의 두개골 3차원 이미지 파일과 치아부위 3차원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이미지파일 생성단계(S110)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두개골 3차원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와 치아부위 3차원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두개골 3차원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일반적으로 두개골이나 안면골에 대한 CT(computed tomography,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을 변환시키는 과정이 수행되며, 치아부위 3차원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3차원 스캐너로 환자의 치아 석고 모형을 스캔하거나, 3차원 스캐너를 구강에 직접 삽입하는 방식으로 스캔하여 치아 형상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다음 단계로 두개골 3차원 이미지와 치아부위 3차원 이미지를 융합하여 융합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S120)가 수행되며, 이러한 작업은 일반적인 CAD/CAM(computer aided design / computer aided manufacturing) 프로그램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음 단계로 융합이미지로부터 상악골, 하악골 수술부위를 가상 절단하여 교정 위치로 악골을 이동시키는 교정 시뮬레이션을 행하는 단계(S130)가 수행된다.
도 5 및 도 10에는 상악골을 절단하기 위한 절단선을 그을 수 있도록 슬릿형상으로 관통된 절단 가이드 슬릿(33, 43)과 본 발명의 Y자형 스프린트 및 하악골을 두개골에 고정하기 위한 위치를 표시하는 천공부(34, 44)가 형성된 절단 가이드 모듈(30, 40)이 융합이미지에서 상악골과 하악골을 절단시킨 이미지에 겹쳐진 상태로 나타냈다.
여기서 절단 가이드 모듈(30, 40)은 참조를 위해 표현된 것으로서, 실제 시술을 행하는 경우에는 상악골 절단선(21)을 상기 절단 가이드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그려 넣고 절단을 행하게 된다.
이때, 절단 가이드 모듈(30, 40)은 절단된 상악골(13)과 하악골(14)을 정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천공부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절단가이드(31)의 일측부에는 융합이미지(10)의 코뼈 부분(결속부위)과 결속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37)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는 융합이미지(10)의 결속부위에 결속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절단가이드(31)가 융합이미지(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절단가이드(31, 41)에는 드릴가이드(50)의 헤드(51)의 일부면을 감싸는 구조의 드릴가이드 결속부(36)가 형성되어 있어, 드릴가이드 헤드(51)에 형성된 드릴가이드 홀의 방향을 정확하게 가이드해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가이드의 헤드(51)를 드릴가이드 결속부(36)에 결속시킨 후, 정확한 방향으로 드릴작업 수행될 수 있도록 드릴 가이드 홀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드릴가이드(50)는 소정 크기의 강성을 가지는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그 소재 선택에 있어 제한은 없으나,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금속 또는 플라스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안급한 드릴가이드의 헤드(51)의 외주면은 단부쪽으로 경사가 형성된 테이퍼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드릴가이드의 헤드(51)는 소정 범위 내의 허용오차에서 드릴가이드 결속부(36)가 손쉽게 결속될 수 있어,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드릴가이드 헤드(51)를 드릴가이드 결속부(36)에 결속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가이드(50)를 대체하여 드릴 가이드 볼트를 드릴가이드 결속부(36)에 볼팅결합시킨 후, 정확한 방향으로 드릴작업 수행될 수 있도록 드릴 가이드 홀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술 시뮬레이션을 행하는 단계(S130)는 도 4에 나타낸 상악골 절단선(21) 및 하악골 절단선(22)을 그어 상악골 및 하악골을 프로그램 상에서 절단하여, 교정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로 놓고, 교정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수술 시뮬레이션 단계를 통해 상악골과 하악골의 교정 위치가 확정되면, 다음 단계로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악지지부(110), 하악지지부(120) 그리고 메인지지부(130)로 이루어진 Y자형 스프린트의 형상 및 상악절단가이드(31, 41)를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40)가 수행된다. 이전의 단계와 마찬가지로 이 단계도 CAD/CAM(computer aided design / computer aided manufacturing) 프로그램에서 수행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생성된 Y자형 스프린트의 형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Y자형 스프린트 및 상악절단가이드(31, 41)를 제조하는 단계(S150)가 수행되며, 이때 Y자형 스프린트의 제조는 3차원 프린팅 장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Y자형 스프린트를 구성하는 재료는 소정 강도를 가지는 재료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플라스틱 소재 또는 금속 소재일 수 있다. 금속 소재일 경우에는 스테인리 금속 소재임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앞서 간략하게 설명된 Y자형 스프린트의 형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40)를 세분화한 도 2의 흐름도와 도 4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Y자형 스프린트 및 상악절단가이드(31, 41)의 형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40)는 도 2의 흐름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악지지부(110)의 상악고정부(113)와 하악고정부(114), 그리고 메인지지부(130)가 융합이미지(10)와 접촉하여 고정되는 고정위치를 융합이미지(10)에 설정한 후, 고정위치에 형성될 천공부(118, 119, 134) 위치를 융합이미지(10)에 설정하고, 천공부(118, 119, 134)를 포함하는 고정부(115, 116, 133)의 외곽형상을 설정하는 단계(S141); 천공부(118, 119, 134)를 포함하는 고정부(115, 116, 133)의 외곽형상에 대응되는 융합이미지의 표면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S142); 천공부(118, 119, 134)를 포함하는 고정부(115, 116, 133) 외곽형상에 대응되는 융합이미지의 표면 데이터를 바탕으로 두께를 가지는 고정부(115, 116, 133) 형상을 생성하는 단계(S143); 메인지지부(130)의 수평연결부(131), 상악지지부(110)의 상악고정부(113)와 하악고정부(114) 형상을 생성하는 단계(S144); 메인지지부(130)의 수평연결부(131)와 하부웨이퍼(121)를 연결하는 수직연결부(132) 형상을 생성하는 단계(S145); 메인지지부(130)의 수직연결부(132)와 하부웨이퍼(121)를 서로 결속시키는 제 2 결속조인트(122)의 형상, 상부웨이퍼(111)와 하부웨이퍼(121)를 서로 결속시키는 제 1 결속조인트(112)의 형상, 및 상악고정부(113)와 상부웨이퍼(111)를 서로 결속시키는 측부결속조인트(119)의 형상을 생성하는 단계(S146)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정 시뮬레이션 후 정위치에 교정된 상악골(13)과 하악골(14) 사이에는 상부웨이퍼(111)와 하부웨이퍼(121)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상부웨이퍼(111)의 상부면에는 상악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형을 갖는 상악치아대면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웨이퍼(121)의 하부면에는, 하악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형을 갖는 하악치아대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을 도 22 내지 도 24에 대한 설명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도 12에는 융합이미지에 메인지지부의 고정부가 형성될 위치와 형상을 표시한 그림이 도시되어 있는 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자형 스프린트의 고정부(133)에 형성될 천공부의 위치를 융합이미지(10)에 설정하고 고정부(133)의 외곽형상을 설정하는 단계(S141)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 단계로는 Y자형 스프린트의 고정부(133) 외곽형상에 대응되는 융합이미지의 표면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S142)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12에는 본 발명의 Y자형 스프린트의 고정부 형상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앞서 표시한 표면데이터에 일정 두께를 부여하여 모양을 형성하고, 본 발명의 Y자형 스프린트를 환자의 두개골에 고정시 스크류의 진입방향과 구멍 크기를 시뮬레이션하는 가이드봉(35)을 삽입한 그림이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자형 스프린트의 고정부(133) 외곽형상에 대응되는 융합이미지의 표면 데이터를 바탕으로 일정 두께를 가지는 고정부 형상을 생성하는 단계(S143)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33)의 두께(t)는, 두개골에 스크류 또는 볼팅 결합될 수 있고 악안면 수술 시 간섭이 적으며 소정의 강성을 갖는 두께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1.0 내지 3.0 mm 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mm 일 수 있다.
또한, 고정부(133)에 형성된 천공부(134)의 개수는 Y자형 스프린트를 두개골(1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소정의 개수로 정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두 개 내지 네 개 일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9에는 Y자형 스프린트(100)의 메인지지부(130), 상악지지부(110)의 상악고정부(113)와 하악고정부(114)의 형상을 생성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방법(S100)은 메인지지부(130)의 수평연결부(131), 상악지지부(110)의 상악고정부(113)와 하악고정부(114) 형상을 생성하는 단계(S144)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수평연결부(131)는 두 개의 고정부(133)를 아치구조로 연결시키고, 아치구조의 수평연결부(131)는 상부웨이퍼(111)의 일측부에 형성된 제 2 결속조인트(122)와 결속되는 수직연결부(132)와 결속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수평연결부(131)의 아치구조는 대상 환자의 코뼈와 간섭되지 않기 위한 구조로서, 대상 환자로부터 획득한 두개골(10) 데이터로부터 손쉽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수직연결부(132)의 구조는 대상 환자의 상악(13)에 형성된 치아구조와 간섭되지 않기 위한 구조로서, 대상 환자로부터 획득한 상악골(13) 데이터로부터 손쉽게 설계할 수 있다.
도 13에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Y자형 스프린트의 수평연결부(131)와 상부웨이퍼(111)를 연결하는 수직연결부(132)의 형상을 생성하는 과정은, 수평연결부(131)와 상부웨이퍼(111)의 전방부 사이를 연결하는, 전체적으로 아치 형상이면서 단면이 사각형인 수직지지부의 형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대상 환자의 상악골(13) 교정 위치와 웨이퍼의 위치에 따라 수직연결부(131)의 길이와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도 15에는 융합이미지(10)에 상악고정부(113)의 고정부(115)가 형성될 위치와 형상을 표시한 그림이 도시되어 있고, 도 16에는 측부결속조인트(119) 형상을 생성한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7에는 상악고정부의 형상을 생성한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악고정부(113)는 고정부(115)와 측부결속조인트(119)와 결속되어 상부웨이퍼(111)를 두개골(1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언급한 상악고정부(113)의 고정부(115)의 생성 방법은 앞서 언급한 메인지지부(130)의 고정부(133)를 생성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이때, 측부결속조인트(119)에는 상악고정부(113)의 일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악고정부(113)를 안정적으로 결속 및 고정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볼팅구가 형성되어 있어 볼팅체결에 의해 결속 고정구조를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다.
도 18에는 융합이미지(10)에 하악고정부(114)의 고정부(116)가 형성될 위치와 형상을 표시한 그림이 도시되어 있고, 도 19에는 하악고정부(114)의 형상을 생성한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악고정부(114)는 고정부(116)와 측부결속조인트(119)와 결속되어 상부웨이퍼(111)와 두개골(10)의 위치관계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언급한 하악고정부(114)의 고정부(116)의 생성 방법은 앞서 언급한 메인지지부(130)의 고정부(133)를 생성하는 방법과 동일하다.
상기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방법(S100)은 메인지지부(130)의 수직연결부(132)와 하부웨이퍼(121)를 서로 결속시키는 제 2 결속조인트(122)의 형상, 상부웨이퍼(111)와 하부웨이퍼(121)를 서로 결속시키는 제 1 결속조인트(112)의 형상, 및 상악고정부(113)와 상부웨이퍼(111)를 서로 결속시키는 측부결속조인트(119)의 형상을 생성하는 단계(S146); 및 제 2 결속조인트(122)에, 제 1 결속조인트(112)와 결속될 수 있는 제 1 결속조인트 수용홈(123) 및 수직연결부(132)와 결속되어 고정될 수 있는 수직연결부 수용홈(124)을 형성하는 단계(S14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앞서 상세히 설명한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를 제공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후술하기로 한다.
도 2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악 동시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를 나타내는 그림이 도시되어 있고, 도 21에는 도 20에 도시된 Y자형 스프린트에 하악고정부를 장착한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100)는, 상악지지부(110), 하악지지부(120) 및 메인지지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악지지부(110)는, 상악(13)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형이 형성된 상부웨이퍼(111), 상부웨이퍼(111)의 전면부에 돌출 형성되어 하부웨이퍼(121)를 서로 결속시키는 제 1 결속조인트(112), 및 상부웨이퍼(111)의 측부면에 장착되어 상악(13)과 결속되는 상악고정부(113)를 구비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하악지지부(120)는, 하악(14)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형이 형성된 하부웨이퍼(121), 하부웨이퍼(121)의 전면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부웨이퍼(111) 및 메인지지부(130)와 결속되는 제 2 결속조인트(122)를 구비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메인지지부(130)는, 일단부에 상악(13)과 결속고정되는 고정부(115)가 형성되고 수직연결부(132)와 결속되는 수평연결부(131), 및 수평연결부(131)과 결속되고 제 2 결속조인트(122)와 결속되어 고정되는 수직연결부(132)를 구비하는 구조일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지지부(130)는 수평연결부(131)와 수직연결부(132)를 포함하는 구조로서, 정면상 Y 자 형상을 갖춘 구조일 수 있다. 또한, 고정부(133)는 수평연결부(131) 양 단에 장착되고, 상악골의 표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접촉면 및 상악골에 볼팅 고정될 수 있도록 천공부(134)를 구비하는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수평연결부(131)는 고정부(133)에 의해 안면골에 스크류 결합 또는 볼팅 체결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악고정부(113)의 일단부에도 두개골의 표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접촉면 및 두개골에 볼팅 고정될 수 있도록 천공부(117)를 구비하는 고정부(115)가 장착되어 있어, 상부웨이퍼(111)를 두개골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하악고정부(114)의 일단부에도 두개골의 표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접촉면 및 두개골에 볼팅 고정될 수 있도록 천공부(118)를 구비하는 고정부(116)가 장착되어 있어, 상부웨이퍼(111)를 두개골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상악고정부(113)와 하악고정부(114)는 동시에 측부결속조인트(119)에 결속될 수 없고, 수술을 수행함에 있어 필요에 따라 상악고정부(113) 또는 하악고정부(114)를 측부결속조인트(119)에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다.
한편,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웨이퍼(111)의 상부면에는, 상악골과 하악골 사이에 위치하여 상악과 하악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악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형을 갖는 상악치아대면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하부웨이퍼(121)의 하부면에는, 하악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형을 갖는 하악치아대면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 2 결속조인트(122)에는, 제 1 결속조인트(112)의 형상과 대응되는 구조의 제 1 결속조인트 수용홈(123), 및 제 1 결속조인트 수용홈(123)과 인접하여 형성되고, 수직연결부(132)의 타단부와 대응되는 구조의 수직연결부 수용홈(124)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이때, 제 2 결속조인트(122)에는, 제 1 결속조인트(112) 또는 수직연결부(132)를 볼팅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볼팅 고정구(1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볼팅 고정부(125)에는 소정 강도를 갖는 고정 핀을 삽입하거나 접착제 등을 주입하여 결속 구조를 더욱 강화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Y자형 스프린트가 웨이퍼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경우를 보이고 있으나, Y자형 스프린트가 웨이퍼와 일체로 결합된 경우도 제조될 수 있다.
도 2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악 동시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의 상부웨이퍼와 하부웨이퍼를 분리한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3에는 도 22에 도시된 상부웨이퍼와 하부웨이퍼의 하부면을 나타내는 그림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양악 동시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에서 하부웨이퍼만을 분리한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도 2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웨이퍼(111)와 하부웨이퍼(121)는 서로 안정적으로 결속될 수 있도록, 결속구조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웨이퍼(121)의 상부면에는 하악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양각 돌기부(103)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웨이퍼(111)의 하부면에는 하악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각 만입부가 형성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상부웨이퍼(111)의 하부면에 형성된 음각 만입부(102)는 하부웨이퍼(121)의 상부면에 형성된 양각 돌기부(103)와 서로 결속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 악교정 수술시에는 상부웨이퍼(111)와 하부웨이퍼(121)를 서로 결속시킨 상태에서 Y자형 스프린트를 사용한다.
반면, 도 21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악 악교정 수술시에는 상부웨이퍼(111)만을 따로 분리한 상태에서 Y자형 스프린트를 사용한다.
이 경우, 상부웨이퍼(121)의 상부면에는 상악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각 만입부(101)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웨이퍼(121)의 하부면에는 하악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각 만입부(102)가 형성되어 있어, 상악과 하악을 동시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방법(S100)에 의해 형상화된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100)는, 상-하악 치아 및 두개골에 안정적으로 결속되어 움직임에 영향을 받아 잘못된 위치로 유도하기 쉬운 종래 기술에 따른 웨이퍼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앞서 설명된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앞서 설명된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컴퓨터와 모니터; 및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방법에 따라 산출된 Y자형 스프린트 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를 제작하는 3차원 프린터를 제어하는 제어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및 그 제작방법에 따르면, 대상 환자의 두개골 3차원 이미지와 치아 3차원 이미지를 활용하여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합의 정확성과 수술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및 그 제작방법은, 절단된 상악과 웨이퍼를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는 특정 구조의 Y자형 스프린트를 제작할 수 있어, 종래의 악안면 수술에 비해 현저히 향상된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함은 물론, 신속하고 빠르게 수술을 수행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수술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기술적 이점을 가지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대상 환자의 융합이미지
11: 대상 환자의 두개골 3차원 이미지
12: 대상 환자의 치아부위 3차원 이미지
13: 상악
14: 하악
21: 상악골 절단선
22: 하악골 절단선
30: 절단 가이드 모듈
31: 상악절단가이드
32: 하악고정가이드
33: 절단 가이드 슬릿
34: 천공부
35: 가이드봉
36: 드릴가이드 결속부
37: 걸림돌기
40: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단 가이드 모듈
41: 상악절단가이드
42: 하악고정가이드
43: 절단 가이드 슬릿
44: 천공부
50: 드릴가이드
51: 드릴가이드 헤드
100: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101: 상악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각 만입부
102: 하악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각 만입부
103: 하악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양각 돌기부
104: 하악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각 만입부
110: 상악지지부
111: 상부웨이퍼
112: 제 1 결속조인트
113: 상악고정부
114: 하악고정부
115, 116: 고정부
117, 118: 천공부
119: 측부결속조인트
120: 하악지지부
121: 하부웨이퍼
122: 제 2 결속조인트
123: 제 1 결속조인트 수용홈
124: 수직연결부 수용홈
125: 볼팅 고정구
130: 메인지지부
131: 수평연결부
132: 수직연결부
133: 고정부
134: 천공부
S100: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방법
S110: 이미지파일 생성단계
S120: 융합이미지 생성단계
S130: 교정시뮬레이션단계
S140: 스프린트형상 생성단계
S150: 스프린트 제조단계

Claims (19)

  1. 상하악 교정 수술시, 상악과 하악을 교정 위치로 고정시키는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를 제작하는 방법(S100)으로서,
    a) 대상 환자의 두개골 3차원 이미지 파일과 치아부위 3차원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이미지파일 생성단계(S110);
    b) 두개골 3차원 이미지(11)와 치아부위 3차원 이미지(12)를 융합하여 융합이미지(10)를 생성하는 융합이미지 생성단계(S120);
    c) 상기 융합이미지(10)에서 수술 부위에 해당하는 상악골 및 하악골 부위를 가상 절단하여 정상 위치로 이동시키는 악교정 시뮬레이션을 행하는 교정시뮬레이션단계(S130);
    d) 상기 교정 시뮬레이션 후 상악지지부(110), 하악지지부(120) 그리고 메인지지부(130)로 이루어진 Y자형 스프린트(100)의 형상 및 상악절단가이드(31, 41)를 생성하는 스프린트형상 생성단계(S140); 및
    e) 생성된 Y자형 스프린트의 형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Y자형 스프린트 및 상악절단가이드(31, 41)를 제조하는 스프린트 제조단계(S1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S140)는 상악지지부(110)의 상악고정부(113)와 하악고정부(114), 그리고 메인지지부(130)가 융합이미지(10)와 접촉하여 고정되는 고정위치를 융합이미지(10)에 설정한 후, 고정위치에 형성될 천공부(118, 119, 134) 위치를 융합이미지(10)에 설정하고, 천공부(118, 119, 134)를 포함하는 고정부(115, 116, 133)의 외곽형상을 설정하는 단계(S14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S140)는 천공부(118, 119, 134)를 포함하는 고정부(115, 116, 133)의 외곽형상에 대응되는 융합이미지의 표면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S14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S140)는 천공부(118, 119, 134)를 포함하는 고정부(115, 116, 133) 외곽형상에 대응되는 융합이미지의 표면 데이터를 바탕으로 두께를 가지는 고정부(115, 116, 133) 형상을 생성하는 단계(S14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15, 116, 133)의 두께(t)는 1 내지 3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S140)는 메인지지부(130)의 수평연결부(131), 상악지지부(110)의 상악고정부(113)와 하악고정부(114) 형상을 생성하는 단계(S14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S140)는 메인지지부(130)의 수평연결부(131)와 하부웨이퍼(121)를 연결하는 수직연결부(132) 형상을 생성하는 단계(S14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S140)는 메인지지부(130)의 수직연결부(132)와 하부웨이퍼(121)를 서로 결속시키는 제 2 결속조인트(122)의 형상, 상부웨이퍼(111)와 하부웨이퍼(121)를 서로 결속시키는 제 1 결속조인트(112)의 형상, 및 상악고정부(113)와 상부웨이퍼(111)를 서로 결속시키는 측부결속조인트(119)의 형상을 생성하는 단계(S14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146)는,
    상기 제 2 결속조인트(122)에, 제 1 결속조인트(112)와 결속될 수 있는 제 1 결속조인트 수용홈(123) 및 수직연결부(132)와 결속되어 고정될 수 있는 수직연결부 수용홈(124)을 형성하는 단계(S147);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S150)는 CAD/CAM 기술을 이용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3차원 프린팅 장비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방법.
  11. 제 6 항,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웨이퍼(111)의 상부면에는, 상악골과 하악골 사이에 위치하여 상악과 하악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상악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형을 갖는 상악치아대면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웨이퍼(121)의 하부면에는, 하악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형을 갖는 하악치아대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방법.
  12. 상기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작방법에 의해 제작된 양악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100)로서,
    상악(13)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형이 형성된 상부웨이퍼(111), 상부웨이퍼(111)의 전면부에 돌출 형성되어 하부웨이퍼(121)를 서로 결속시키는 제 1 결속조인트(112), 및 상부웨이퍼(111)의 측부면에 장착되어 상악(13)과 결속되는 상악고정부(113)를 구비하는 상악지지부(110);
    하악(14)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형이 형성된 하부웨이퍼(121), 하부웨이퍼(121)의 전면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부웨이퍼(111) 및 메인지지부(130)와 결속되는 제 2 결속조인트(122)를 구비하는 하악지지부(120); 및
    일단부에 상악(13)과 결속고정되는 고정부(115)가 형성되고 수직연결부(132)와 결속되는 수평연결부(131), 및 수평연결부(131)과 결속되고 제 2 결속조인트(122)와 결속되어 고정되는 수직연결부(132)를 구비하는 메인지지부(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악고정부(113)의 일단부, 하악고정부(114)의 일단부 및 수평연결부(131)의 일단부에는 융합이미지의 두개골 표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접촉면 및 두개골에 스크류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천공부(118)를 구비하는 고정부(115, 116, 133)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지지부(130)는, 고정부가 양단에 부착된 수평연결부(131)와 수평연결부(131)가 하부웨이퍼(121)에 연결되도록 지지하는 수직연결부(132)로 이루어져 정면상 Y 자 형상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속조인트(122)는:
    제 1 결속조인트(112)의 형상과 대응되는 구조의 제 1 결속조인트 수용홈(123); 및
    상기 제 1 결속조인트 수용홈(123)과 인접하여 형성되고, 수직연결부(132)의 타단부와 대응되는 구조의 수직연결부 수용홈(12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속조인트(122)에는, 제 1 결속조인트(112) 또는 수직연결부(132)를 볼팅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볼팅 고정구(12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100)는, 상부웨이퍼(111)의 측부면에 장착되어 하악(14)과 결속되는 하악고정부(1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18. 상기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방법(S100)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19. 상기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컴퓨터와 모니터;
    상기 컴퓨터의 산술 처리부에서 상기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방법에 따라 산출된 형상 데이터에 의해 제어되어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를 제작하는 3차원 프린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장치.
KR1020150079972A 2015-06-05 2015-06-05 양악 동시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장치 KR101719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972A KR101719576B1 (ko) 2015-06-05 2015-06-05 양악 동시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972A KR101719576B1 (ko) 2015-06-05 2015-06-05 양악 동시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368A true KR20160143368A (ko) 2016-12-14
KR101719576B1 KR101719576B1 (ko) 2017-04-04

Family

ID=57575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9972A KR101719576B1 (ko) 2015-06-05 2015-06-05 양악 동시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957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4391A1 (ko) * 2017-03-07 2018-09-13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3차원 하이브리드 영상 구축 프로그램을 이용한 악교정 시스템
CN109009502A (zh) * 2018-08-07 2018-12-18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口腔矫正器
WO2020060349A1 (ko) * 2018-09-21 2020-03-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맞춤 턱끝 수술용 가이드, 3차원 골 삭제 가이드,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그 제작장치
KR20200040319A (ko) * 2018-09-28 2020-04-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맞춤 턱끝 수술용 가이드,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그 제작장치
JP2020526324A (ja) * 2017-07-13 2020-08-31 カール ライビンガー メディツィンテヒニーク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ーカーゲーKarl Leibinger Medizintechnik Gmbh & Co. Kg 切断工具案内装置/部分を有する顎骨発育不全用の骨位置決め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076B1 (ko) 2017-12-22 2022-07-2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골 재건을 위한 생체역학적 응력 적응형 하이브리드 구조체
KR102142778B1 (ko) 2018-11-28 2020-08-0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골 재건용 하이브리드 구조체
KR20210018587A (ko) 2019-08-05 2021-02-1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뼈 세포외기질 미립자 및 바이오잉크가 복합 적용된 생분해성 인공지지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160A (ko) * 2006-01-05 2009-01-09 아스트라 테크, 인크. 치아 임플란트용 맞춤형 수복물 설계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92753A (ko) * 2009-02-13 2010-08-23 주식회사 오라픽스 악교정시 수술용 웨이퍼 제작방법
KR20110135323A (ko) 2010-06-10 2011-12-16 주식회사 오라픽스 치과 치료용 가상 수술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웨이퍼 제작 방법
KR101478009B1 (ko) * 2013-10-31 2015-01-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악교정 수술용 상악 절단 가이드 템플릿 및 그 제작방법
KR101501447B1 (ko) * 2013-10-31 2015-03-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및 그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3160A (ko) * 2006-01-05 2009-01-09 아스트라 테크, 인크. 치아 임플란트용 맞춤형 수복물 설계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92753A (ko) * 2009-02-13 2010-08-23 주식회사 오라픽스 악교정시 수술용 웨이퍼 제작방법
KR20110135323A (ko) 2010-06-10 2011-12-16 주식회사 오라픽스 치과 치료용 가상 수술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웨이퍼 제작 방법
KR101478009B1 (ko) * 2013-10-31 2015-01-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악교정 수술용 상악 절단 가이드 템플릿 및 그 제작방법
KR101501447B1 (ko) * 2013-10-31 2015-03-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및 그 제작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4391A1 (ko) * 2017-03-07 2018-09-13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3차원 하이브리드 영상 구축 프로그램을 이용한 악교정 시스템
CN110461267A (zh) * 2017-03-07 2019-11-15 美佳境植牙股份有限公司 使用三维混合图像构建程序的颌矫正系统
CN110461267B (zh) * 2017-03-07 2023-09-15 美佳境植牙股份有限公司 使用三维混合图像构建程序的颌矫正系统
JP2020526324A (ja) * 2017-07-13 2020-08-31 カール ライビンガー メディツィンテヒニーク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ーカーゲーKarl Leibinger Medizintechnik Gmbh & Co. Kg 切断工具案内装置/部分を有する顎骨発育不全用の骨位置決め装置
CN109009502A (zh) * 2018-08-07 2018-12-18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口腔矫正器
CN109009502B (zh) * 2018-08-07 2023-08-08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口腔矫正器
WO2020060349A1 (ko) * 2018-09-21 2020-03-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맞춤 턱끝 수술용 가이드, 3차원 골 삭제 가이드,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그 제작장치
KR20200040319A (ko) * 2018-09-28 2020-04-2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환자맞춤 턱끝 수술용 가이드,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그 제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9576B1 (ko) 2017-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9576B1 (ko) 양악 동시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장치
KR101501447B1 (ko)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및 그 제작방법
EP2595552B1 (en) Internal apparatus for determining final position of dentate skeleton in orthognathic surgery
JP6578026B2 (ja) 顎顔面矯正手術画像校正デザイン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1478009B1 (ko) 악교정 수술용 상악 절단 가이드 템플릿 및 그 제작방법
JP6853895B2 (ja) 3次元ハイブリッド映像構築プログラムを利用した顎矯正システム
KR101668919B1 (ko) Cad-cam 기반 턱교정 수술용 상악 형판
KR101309488B1 (ko) 악교정 수술 시뮬레이션 방법, 그 기록매체 및 장치
RU2698047C1 (ru)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ортодонтического аппарата, шаблон и ортодонтический аппарат
KR101749595B1 (ko) 환자맞춤 턱뼈 고정장치,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턱뼈 고정장치 제작장치
ES2355672B1 (es) Método de planificación de un implante dental.
KR101749592B1 (ko)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장치
EP3375401B1 (en) Template and method for planning the surgery of dental implants and/or guided placement of a prosthesis on implants
KR102180559B1 (ko) 환자맞춤 턱끝 수술용 가이드,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그 제작장치
KR102146278B1 (ko) 3차원 완전맞춤형 골신장술을 위한 골 신장장치,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완전맞춤형 골신장장치 제작장치
WO2019210373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fitting dental prostheses
KR101363417B1 (ko) 하악 측골 고정용 지그 및 그 제조방법
ITBS20100175A1 (it) Metodo per la preparazione di una mascherina chirurgica per l installazione di un impianto dentale
KR101778790B1 (ko) 광대뼈 수술용 가이드,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그 제작장치
BR112021003425A2 (pt) método implementado por computador de planejamento de um tratamento dentário restaurador
RU2470609C2 (ru)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ортодонтического микроимплантата и шаблон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2146292B1 (ko) 3차원 맞춤형 골신장술을 위한 반조절성 골신장장치,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골신장장치 제작장치
KR101714767B1 (ko) 턱뼈신장장치 고정홀더,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제작장치
ITVI20120272A1 (it)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una maschera di guida per interventi di implantologia dentale
KR20130120432A (ko) 하악 측골 고정용 지그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