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9592B1 -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장치 - Google Patents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9592B1
KR101749592B1 KR1020150158362A KR20150158362A KR101749592B1 KR 101749592 B1 KR101749592 B1 KR 101749592B1 KR 1020150158362 A KR1020150158362 A KR 1020150158362A KR 20150158362 A KR20150158362 A KR 20150158362A KR 101749592 B1 KR101749592 B1 KR 101749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mandible
mandibular
fixing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8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5326A (ko
Inventor
이상휘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58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9592B1/ko
Publication of KR20170055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61B17/66Alignment, compression or distraction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0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for external osteosynthesis, e.g. distractors, contractors
    • A61B17/66Alignment, compression or distraction mechanisms
    • A61B17/663Alignment, compression or distraction mechanisms for jaw bones, e.g. subcutaneous distractors with external acc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 A61B17/8004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with means for distracting or compressing the bone or b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S100)은, a) 대상 환자의 두개골 3D 이미지 파일과 치아부위 3D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이미지파일 생성단계(S110); b) 두개골 3D 이미지와 치아부위 3D 이미지를 융합하여 융합이미지를 생성하는 융합이미지 생성단계(S120); c) 상기 융합이미지(10)에서 수술할 하악골(14)을 절단하고 하악골 신장장치 및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100)가 장착될 위치 및 방향을 선정하는 장착위치 및 방향 선정단계(S130); d) 상기 장착위치 선정단계(S130) 이후 고정웨이퍼, 연결부 및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로 이루어진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의 형상을 생성하는 고정홀더형상 생성단계(S140); 및 e) 생성된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형상데이터를 이용하여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를 제조하는 고정홀더 제조단계(S150);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대상 환자의 두개골 3D 이미지와 치아 3D 이미지를 활용하여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합의 정확성과 수술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장치{Fixing Holder for Jaw Bone Distracto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Recording Medium Therefor,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제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성장(劣成長)하여 작은 크기를 가지는 하악골을 골 신장 기구(Distraction device)를 이용하여 신장시킬 때, 정확한 위치에서 정확한 방향으로 신장되도록 턱뼈 신장장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골절단 가이드를 포함하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골절단 가이드를 포함하지 않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턱뼈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악안면 기형 환자 중에서는 상악골 혹은 하악골의 양측 또는 편측이 비정상적으로 열성장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 특히 반안면 왜소증(hemifacial microsomia) 등과 같은 선천성 기형 환자나 입술 입천장 갈림증(구순구개열, cleft lip & palate)과 같은 선천성 기형에 성장 장애가 겹쳐진 경우에 턱뼈의 열성장은 심하게 발생한다.
여러 악안면 기형 중 상기 열성장을 보이는 상악골과 하악골의 외과적 치료법으로서 골신장술이 있다. 이 치료법은 열성장 하악골 혹은 상악골 길이를 증가시킬 목적으로 골절단을 하고 신장장치를 이용하여 매일 조금씩 뼈를 늘려나가는 방법이다. 이때 턱뼈가 늘어나는 신장 방향이 아주 중요하고 이에 따라 적절한 얼굴과 교합 등의 치료 결과가 좌우된다.
상악골과 하악골 등 턱뼈를 위한 턱뼈 신장장치(Distraction device for jaw bone)는 구강외 신장장치와 구강내 신장장치로 대별할 수 있다. 구강외 신장장치는 턱뼈 신장장치가 얼굴 밖으로 노출되게 장착되어 밖에서 조절하도록 이루어진 장치로, 장착의 간단함, 조작의 용이성, 신장 방향 조절 가능 등의 장점이 있으나, 사회생활을 하는데 불편하고 얼굴에 영구적인 흉터를 남길 가능성이 있는 등의 단점이 있다.
한편, 구강내 신장장치는 턱뼈 신장장치가 구강 내에 장착되는 장치로, 최근 구강외 장치의 단점 때문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구강내 신장장치도 조절부분이 구강 내에 있기 때문에 저작 활동의 불편감, 신장 방향 조절의 어려움 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구강내 신장장치를 이용한 턱뼈 신장술에서 골 신장 방향은 골 신장 장치의 설치에 의해 결정되는 골 신장 장치의 위치나 각도 등에 의해 거의 모두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턱뼈 신장술에서 방향이 제대로 조절되지 못하는 이유는 잘못된 치료 계획 수립이나, 수술 과정에서의 장치 고정 위치와 방향 설정의 잘못 등이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상악골이나 하악골이 잘못된 위치로 늘어나면서 얼굴의 형태 이상이 초래되고 동시에 부정교합 등 기능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열성장 되어 작고, 후방에 위치한 하악골을 턱뼈 신장술용 장치를 이용하여 신장시킬 때, 정확한 방향을 가지면서 정확한 위치에 턱뼈 신장장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골절단 가이드를 포함하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골절단 가이드를 포함하지 않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장치를 제공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87321호 (2012년 09월 25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치료 방법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열성장으로 작은 크기를 가지고 후방에 위치하는 하악골을 턱뼈 신장술 장치를 이용하여 신장시킬 때, 정확한 방향을 가지고 정확한 위치에 턱뼈 신장장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골절단 가이드를 포함하는 하악골장장치 고정홀더, 골절단 가이드를 포함하지 않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은: a) 대상 환자의 두개골 3D 이미지 파일과 치아부위 3D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이미지파일 생성단계(S110); b) 두개골 3D 이미지와 치아부위 3D 이미지를 융합하여 융합이미지를 생성하는 융합이미지 생성단계(S120); c) 상기 융합이미지에서 교정부위 하악을 절단하고 하악골 신장장치 및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가 장착될 위치 및 방향을 선정하는 장착위치 및 방향 선정단계(S130); d) 상기 장착위치 및 방향 선정단계(S130) 이후 고정웨이퍼, 연결부 및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로 이루어진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의 형상을 생성하는 고정홀더형상 생성단계(S140); 및 e) 생성된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형상데이터를 이용하여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를 제조하는 고정홀더 제조단계(S15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착위치 선정단계(S130)는: 절단된 하악골을 교정 목표로 하는 위치에 위치시키는 교정시뮬레이션 단계(S131); 교정시뮬레이션 단계 수행 후 하악골 신장장치의 위치 및 방향을 선정하는 단계(S132); 및 하악골 신장장치의 위치 및 방향에 대응되도록,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의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의 위치 및 방향을 선정하는 단계(S133);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더형상 생성단계(S140)는: 상기 연결부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하악골 신장장치의 외부면 일부를 감싸도록 하악골 신장장치의 외부면과 대응되는 내부면을 구비하여, 하악골 신장장치의 방향과 위치를 고정시키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의 형상을 생성하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 생성단계(S141);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홀더형상 생성단계(S140)는: 상기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와 고정웨이퍼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연결부의 형상을 생성하는 연결부 생성단계(S142);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홀더형상 생성단계(S140)는: 융합이미지의 상악과 하악 치아 사이에 위치하며, 상악과 하악을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웨이퍼의 형상을 융합이미지에 생성하는 고정웨이퍼 설정단계(S143);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홀더형상 생성단계(S140)는: 고정웨이퍼의 상부면에 상악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각구조 형상을 갖는 상악치아대면부를 형성시키고, 고정웨이퍼의 하부면에 하악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각구조 형상을 갖는 하악치아대면부를 형성시키는 치아대면부 형성단계(S144);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홀더형상 생성단계(S140)는, 교정 하악골을 절단하는 절단선과 대응되는 위치에 판상형 구조의 절단가이드부 형상을 생성하는 절단가이드부 생성단계(S145);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홀더형상 생성단계(S140)는, 고정웨이퍼의 일측면에 소정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부에 의해 장착되고 상악골신장장치의 위치와 방향을 고정하는 상악골신장장치 고정부의 형상을 생성하는 단계(S146)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더 제조단계(S150)는 CAD/CAM 기술을 이용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Rapid Prototyping 장비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에 의해 제작된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를 제공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는: 상악과 하악 치아 사이에 장착되어, 상악과 하악의 맞물림에 의해 고정되며, 상악골과 하악골 치아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된 고정웨이퍼; 상기 고정웨이퍼의 일측부에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고, 고정웨이퍼와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하악골 신장장치의 방향과 위치를 고정시키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웨이퍼의 상부면에는 상악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각구조 형상을 갖는 상악치아대면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웨이퍼의 하부면에는 하악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각구조 형상을 갖는 하악치아대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는, 임의의 한 연결부와 또 다른 연결부 사이를 연결하여 각 연결부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는, 고정웨이퍼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교정 하악골을 절단하는 절단선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판상형 구조의 절단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S100)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바, 본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장치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S100)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컴퓨터와 모니터; 및 상기 컴퓨터의 산술 처리부에서 상기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에 따라 산출된 형상 데이터에 의해 제어되어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를 제작하는 3D 프린터;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장치에 따르면, 대상 환자의 두개골 3D 이미지와 치아 3D 이미지를 활용하여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합의 정확성과 수술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그 제작방법은, 하악골 신장장치를 정확한 위치와 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특정구조의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를 제작할 수 있어, 종래의 턱뼈 신장 수술에 비해 현저히 향상된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함은 물론, 신속하고 빠르게 수술을 수행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수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만족도가 현저히 향상된 수술 결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장착위치 선정단계를 세부적인 단계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고정홀더형상 생성단계(S140)를 세부적인 단계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대상 환자를 CT(computerized tomography) 촬영하여 얻은 두개골 및 상악골, 하악골의 3차원 모델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5는 대상 환자의 두개골 3D 이미지와 치아부위 3D 이미지를 융합한 융합이미지에 가상의 상악 절단선과 가상의 하악 절단선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상악 절단선과 하악 절단선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절단가이드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여기에는 상악골 신장장치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대상 환자의 융합이미지에서 치료하려는 하악골을 절단하고, 잘려진 하악골 골편을 교정 목표로 하는 위치에 위치시키는 교정시뮬레이션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8은 교정시뮬레이션 단계 수행 후 하악골 신장장치의 위치 및 방향을 선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9는 하악골 신장장치의 위치 및 방향에 대응되도록,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의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의 위치 및 방향을 선정한 후,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의 형상을 생성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0은 하악골 신장장치의 고정부와 고정웨이퍼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연결부의 형상을 생성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1은 융합이미지의 상악과 하악 치아 사이에 위치하며, 상악과 하악을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웨이퍼를 융합이미지에 형성시킨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2는 도 11에서 하악골 신장장치를 생략한 상태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를 대상환자의 융합이미지에 하악골 신장장치와 함께 최종적으로 장착한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4는 대상환자의 상악골과 하악골의 형상을 본 따 만든 모형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모형에 본 실시예에 따른 절단가이드를 장착하여 수술 전 검토를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모형에 본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를 장착하여 수술 전 검토를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7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턱뼈 신장장치는 대상 환자의 하악골을 절단한 후 적절한 위치에 하악골의 성장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장착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턱뼈 신장장치는 수술하는 사람의 숙련도에만 의존하여 장착되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 및 정확한 방향으로 턱뼈 신장장치를 장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보다 정확한 시술을 위해 3차원 프린팅으로 제작한 두개골 및 턱뼈 모델을 이용하여 정밀도를 높이는 방안이 사용되어 왔으나, 치아 교합에 대한 고려가 어렵고 여기서 임시 설치한 신장장치를 환자에게 직접 설치하기 위해 이동시키는 방법이 적당하지 못하여 실제 시술에 활용이 어려웠다.
특히, 시술시 턱뼈 신장장치를 하악골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위치 및 정확한 방향으로 장착하는데 애로가 따르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정확도 또한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는 도 13,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턱뼈 신장장치의 외부면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의 방향을 정확하게 잡아줄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시술자가 효율적으로 시술을 진행할 수 있어 시술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시술 정확도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은, 최근의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3차원 프린터 등의 Rapid Prototyping 장비의 기술 발달에 따라 고안된 발명으로서, 종래의 수작업 석고 모형 수술이 디지털 모형 수술로 대체되는 방식이면서도 장치를 직접 위치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그 적용 가능성이 더욱 높아질 것이다.
본 발명은 두개골 3차원 이미지와 치아 3차원 이미지를 융합시킨 융합이미지로부터 이동시킬 상악골 혹은 하악골을 절단시킨 후, 프로그램 상의 3차원 이동, 회전 등의 기능을 이용하여 정확한 수술 방법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고, 이러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정확하고 신뢰성이 높은 시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과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도 4 및 도 5와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S100)은, 대상 환자의 두개골 3D 이미지 파일과 치아부위 3D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이미지파일 생성단계(S110), 두개골 3D 이미지(11)와 치아부위 3D 이미지(12)를 융합하여 융합이미지(10)를 생성하는 융합이미지 생성단계(S120)를 포함한다.
대상 환자의 두개골 3차원 이미지 파일과 치아부위 3차원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이미지파일 생성단계(S110)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두개골 3차원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와 치아부위 3차원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두개골 3차원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일반적으로 두개골이나 안면골에 대한 CT(computed tomography,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을 변환시키는 과정이 수행되며, 치아부위 3차원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3차원 스캐너로 환자의 치아 석고 모형을 스캔하거나, 3차원 스캐너를 구강에 직접 삽입하는 방식으로 스캔하여 치아 형상 데이터를 추출하는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다음 단계로 두개골 3차원 이미지와 치아부위 3차원 이미지를 융합하여 융합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S120)가 수행되며, 이러한 작업은 일반적인 CAD/CAM(computer aided design / computer aided manufacturing) 프로그램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음 단계로 융합이미지(10)에서 교정부위 하악골(14)을 절단하고 하악골 신장장치(30) 및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100)가 장착될 위치 및 방향을 선정하는 장착위치 및 방향 선정단계(S130)가 수행된다.
본 발명의 장착위치 및 방향 선정단계(S130)는 도 5에 나타낸 골절단선(21, 22)을 그어 하악골을 프로그램 상에서 절단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이상적인 교정 위치로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는 상태로 놓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악골 신장장치(30) 및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100)가 장착될 위치 및 방향을 선정하는 단계이다.
수술 시뮬레이션 단계를 통해 턱뼈 신장장치의 위치와 방향이 확정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단계로 턱뼈 신장장치(30)와 대응되는 형상의 가이드봉(30)을 턱뼈 신장장치의 위치에 대체해 표시한다.
이후,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웨이퍼(110), 연결부(120) 및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130)로 이루어진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100)의 형상을 생성하는 고정홀더형상 생성단계(S140)가 수행된다. 이전의 단계와 마찬가지로 이 단계도 CAD/CAM(computer aided design / computer aided manufacturing) 프로그램에서 수행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생성된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형상데이터를 이용하여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100)를 제조하는 고정홀더 제조단계(S150)가 수행되며, 이때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의 제조는 Rapid prototyping 장비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D 프린터가 이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간략하게 설명된 장착위치 및 방향 선정단계(S130)를 세분화한 도 2의 흐름도와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장착위치 및 방향 선정단계(S130)는 도 2의 흐름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된 하악골을 교정 목표로 하는 위치에 위치시키는 교정시뮬레이션 단계(S131), 교정시뮬레이션 단계 수행 후 하악골 신장장치의 위치 및 방향을 선정하는 단계(S132) 및 하악골 신장장치의 위치 및 방향에 대응되도록,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의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의 위치 및 방향을 선정하는 단계(S13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는 대상 환자의 두개골 3D 이미지와 치아부위 3D 이미지를 융합한 융합이미지에 가상의 상악 절단선과 가상의 하악 절단선을 나타내는 그림이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합이미지(10)에 수술 교정부위 상악골(13)과 하악골(14)을 절단할 수 있는 가상의 상악 절단선(21)과 가상의 하악 절단선(22)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에는 도 5에 도시된 상악 절단선과 하악 절단선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절단가이드를 나타내는 그림이 도시되어 있고, 여기에는 상악골 신장장치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의 하악절단선(22)의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절단가이드(53)가 형성된 절단가이드(50)를 융합이미지(10)에 형성시킬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절단가이드(50)는 웨이퍼(51), 연결부(52) 및 절단가이드판(53)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 단계를 통해 생성된 절단가이드(50) 형상 데이터는 고정홀더 제조단계(S150)와 함께 제작되어 실제 수술에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절단가이드(50)의 웨이퍼(51), 연결부(52) 및 절단가이드판(53)의 형상 데이터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100)의 형상 데이터 생성방법과 동일하다.
또한, 상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41, 52)를 더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악골 신장장치 고정부(150)는 고정웨이퍼의 일측면에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부(151)에 의해 장착되고 상악골 신장장치의 위치와 방향을 고정할 수 있다.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에 상악골 신장장치 고정부(150)가 형성될 경우, 상기 언급한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S100)은, 고정웨이퍼(110)의 일측면에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부(120)에 의해 장착되고 상악골 신장장치의 위치와 방향을 고정하는 상악골 신장장치 고정부(150)의 형상을 생성하는 단계(S1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는 대상 환자의 융합이미지에서 치료하려는 하악골을 절단하고, 잘려진 하악골 골편을 교정 목표로 하는 위치에 위치시키는 교정시뮬레이션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된 하악골 골편을 교정 목표로 하는 위치에 위치시키는 교정시뮬레이션 단계(S131)가 수행된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악골 신장장치의 위치 및 방향을 선정하는 단계(S132)가 수행될 수 있다.
이 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악골 신장장치의 위치 및 방향에 대응되도록,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의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의 위치 및 방향을 선정한 후,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의 형상을 생성시킬 수 있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가이드봉(31)은 하악골 신장장치(3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하악골 신장장치의 위치 및 방향을 대체해 표시한다.
이하에서는 앞서 간략하게 설명된 고정홀더형상 생성단계(S140)를 세분화한 도 3의 흐름도와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고정홀더형상 생성단계(S140)는 도 3의 흐름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 생성단계(S141), 연결부 생성단계(S142), 고정웨이퍼 설정단계(S143), 치아대면부 형성단계(S144) 및 절단가이드부 생성단계(S14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 생성단계(S14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20)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하악골 신장장치의 외부면 일부를 감싸도록 하악골 신장장치의 외부면과 대응되는 내부면을 구비하여, 하악골 신장장치의 방향과 위치를 고정시키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130)의 형상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연결부 생성단계(S14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130)와 고정웨이퍼(110)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연결부(120)의 형상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경우에 따라서, 임의의 한 연결부와 또 다른 연결부 사이를 연결하여 각 연결부를 지지하는 지지대(12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고정웨이퍼 설정단계(S143)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합이미지의 상악골(13)과 하악골(14) 치아 사이에 위치하며, 상악골(13)과 하악골(14)을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웨이퍼(110)의 형상을 융합이미지(10)에 생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치아대면부 형성단계(S144)를 통해, 고정웨이퍼(110)의 상부면에 상악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각구조 형상을 갖는 상악치아대면부(111)를 형성하고, 고정웨이퍼(110)의 하부면에 하악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각구조 형상을 갖는 하악치아대면부(112)를 형성할 수 있다.
치아대면부 형성단계(S144)는, 상악골(13)과 하악골(14) 치아 사이에 고정웨이퍼(110)가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단계로서, 치아대면부 형성단계(S144)를 생략하고 상악골(13)과 하악골(14)의 치열을 일부 감싸 덮을 수 있는 구조의 형상을 고정웨이퍼(110)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시킬 수 있다.
이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봉(31)을 제거하여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100)의 최종 형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완성된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1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환자의 두개골 융합이미지에 장착된 후, 이를 이용하여 하악골 신장장치를 장착할 수 있다.
한편, 고정홀더 제조단계(S150)를 통해 제조된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100)는 도 14에 도시된 모형에 장착되어 수술 전 검토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4에는 대상환자의 상악골과 하악골의 형상을 본 따 만든 모형을 나타내는 그림이 도시되어 있고, 도 15에는 도 14에 도시된 모형에 본 실시예에 따른 절단가이드를 장착하여 수술 전 검토를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6에는 도 14에 도시된 모형에 본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를 장착하여 수술 전 검토를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그림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일련의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S100)에 의해 제작된 절단가이드(50) 및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100)는 모형에 장착되어 수술 전 검토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100)에 실제 수술 시 적용할 하악골 신장장치를 장착하여, 하악골 신장장치의 구조를 대상 환자의 골격에 대응되도록 절곡시키거나 변형시킬 수 있다.
도 17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S100)에 의해 제조된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100)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100)는, 고정웨이퍼(110), 연결부(120) 및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웨이퍼(110)는 상악골(13)과 하악골(14) 치아 사이에 장착되어, 상악골(13)과 하악골(14)의 맞물림에 의해 고정되며, 상악골(13)과 하악골(14) 치아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연결부(120)는 고정웨이퍼(110)의 일측부에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고, 고정웨이퍼(110)와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130)를 서로 연결시키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130)는 연결부(120)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하악골 신장장치의 방향과 위치를 고정시키는 구조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고정웨이퍼(110)의 상부면에는 상악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각구조 형상을 갖는 상악치아대면부(111)가 형성될 수 있고, 고정웨이퍼(110)의 하부면에는 하악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각구조 형상을 갖는 하악치아대면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110)는, 임의의 한 연결부와 또 다른 연결부 사이를 연결하여 각 연결부를 지지하는 지지대(121)를 더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도 18 및 도 19에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는 상악골신장장치 고정부(15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악골신장장치 고정부(150)는 고정웨이퍼의 일측면에 소정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부(151)에 의해 장착되고 상악골신장장치의 위치와 방향을 고정할 수 있다.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에 상악골신장장치 고정부(150)가 형성될 경우, 상기 언급한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S100)은, 고정웨이퍼(110)의 일측면에 소정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부(120)에 의해 장착되고 상악골신장장치의 위치와 방향을 고정하는 상악골신장장치 고정부(150)의 형상을 생성하는 단계(S1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는 절단가이드부(14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단가이드부(140)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100)는, 고정웨이퍼(110)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교정부위 하악골을 절단하는 절단선(2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판상형 구조일 수 있다.
절단가이드부(140)의 형성 개수는 하악골 절단 수량과 위치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에 절단가이드부(140)가 형성될 경우, 상기 언급한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S100)은, 교정 하악골을 절단하는 절단선과 대응되는 위치에 판상형 구조의 절단가이드부(140) 형상을 생성하는 절단가이드부 생성단계(S1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고정웨이퍼(110)는 상악골(13)과 하악골(14) 치아 사이에 장착되어 고정되어 상악골(13)과 하악골(14)의 맞물림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악과 하악의 일부와 맞물려 고정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100)는, 하악골 신장장치(30) 및 상악골 신장장치(40)의 외부면과 대응되는 내부면을 구비하여, 하악골 신장장치와 상악골 신장장치의 방향과 위치를 고정시키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130) 및 상악골신장장치 고정부(150)를 구비함으로써, 하악골 신장장치(30) 및 상악골신장장치(30)를 정확한 위치와 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악골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은, 상악골신장장치 및 하악골 신장장치를 정확한 위치와 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특정구조의 턱뼈신장장치 고정홀더를 제작할 수 있어, 종래의 턱뼈 신장 수술에 비해 현저히 향상된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함은 물론, 신속하고 빠르게 수술을 수행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수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만족도가 현저히 향상된 수술 결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앞서 설명된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앞서 설명된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S100)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컴퓨터와 모니터; 및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에 따라 산출된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형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를 제작하는 3차원 프린터를 제어하는 제어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장치는, 턱뼈 신장장치를 정확한 위치와 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특정구조의 턱뼈신장장치 고정홀더를 제작할 수 있어, 종래의 턱뼈 신장 수술에 비해 현저히 향상된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함은 물론, 신속하고 빠르게 수술을 수행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수술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만족도가 현저히 향상된 수술 결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대상 환자의 융합이미지
11: 대상 환자의 두개골 3D 이미지
12: 대상 환자의 하악골 및 치아부위 3D 이미지
13: 상악골
14: 하악골
21: 상악골 절단선
22: 하악골 절단선
30: 하악골 신장장치
31: 가이드봉
40: 상악골신장장치
41: 가이드봉
50: 절단가이드
51: 웨이퍼
52: 연결부
53: 절단가이드판
100: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110: 고정웨이퍼
111: 상악치아대면부
112: 하악치아대면부
120: 연결부
121: 지지대
130: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
140: 절단가이드부
150: 상악골신장장치 고정부
151: 연결부
S100: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
S110: 이미지파일 생성단계
S120: 융합이미지 생성단계
S130: 장착위치 및 방향 선정단계
S131: 교정시뮬레이션 단계
S132: 하악골 신장장치의 위치 및 방향을 선정하는 단계
S133: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의 위치 및 방향을 선정하는 단계
S140: 고정홀더형상 생성단계
S141: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 생성단계
S142: 연결부 생성단계
S143: 고정웨이퍼 설정단계
S144: 치아대면부 형성단계
S145: 절단가이드부 생성단계
S146: 상악골신장장치 고정부의 형상을 생성하는 단계
S150: 고정홀더 제조단계

Claims (16)

  1.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를 제작하는 방법(S100)으로서,
    a) 대상 환자의 두개골 3D 이미지 파일과 치아부위 3D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이미지파일 생성단계(S110);
    b) 두개골 3D 이미지(11)와 치아부위 3D 이미지(12)를 융합하여 융합이미지(10)를 생성하는 융합이미지 생성단계(S120);
    c) 상기 융합이미지(10)에서 수술할 하악골(14)을 절단하고 하악골 신장장치 및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100)가 장착될 위치 및 방향을 선정하는 장착위치 및 방향 선정단계(S130);
    d) 상기 장착위치 및 방향 선정단계(S130) 이후 고정웨이퍼(110), 연결부(120) 및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130)로 이루어진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100)의 형상을 생성하는 고정홀더형상 생성단계(S140); 및
    e) 생성된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형상데이터를 이용하여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100)를 제조하는 고정홀더 제조단계(S150);
    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위치 선정단계(S130)는:
    절단된 하악골을 교정 목표로 하는 위치에 위치시키는 교정시뮬레이션 단계(S131);
    교정시뮬레이션 단계 수행 후 하악골 신장장치의 위치 및 방향을 선정하는 단계(S132); 및
    하악골 신장장치의 위치 및 방향에 대응되도록,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의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의 위치 및 방향을 선정하는 단계(S13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더형상 생성단계(S140)는:
    상기 연결부(120)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하악골 신장장치의 외부면 일부를 감싸도록 하악골 신장장치의 외부면과 대응되는 내부면을 구비하여, 하악골 신장장치의 방향과 위치를 고정시키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130)의 형상을 생성하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 생성단계(S14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더형상 생성단계(S140)는:
    상기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130)와 고정웨이퍼(110)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연결부(120)의 형상을 생성하는 연결부 생성단계(S14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더형상 생성단계(S140)는:
    융합이미지의 상악골(13)과 하악골(14) 치아 사이에 위치하며, 상악골(13)과 하악골(14)을 동시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웨이퍼(110)의 형상을 융합이미지(10)에 생성하는 고정웨이퍼 설정단계(S14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더형상 생성단계(S140)는:
    고정웨이퍼(110)의 상부면에 상악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각구조 형상을 갖는 상악치아대면부(111)를 형성시키고, 고정웨이퍼(110)의 하부면에 하악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각구조 형상을 갖는 하악치아대면부(112)를 형성시키는 치아대면부 형성단계(S14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더형상 생성단계(S140)는, 교정 하악골을 절단하는 절단선과 대응되는 위치에 판상형 구조의 절단가이드부(140) 형상을 생성하는 절단가이드부 생성단계(S14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더형상 생성단계(S140)는,
    고정웨이퍼(110)의 일측면에 소정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부(120)에 의해 장착되고 상악골신장장치의 위치와 방향을 고정하는 상악골신장장치 고정부(150)의 형상을 생성하는 단계(S14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홀더 제조단계(S150)는 CAD/CAM 기술을 이용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Rapid Prototyping 장비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
  10.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작방법(S100)에 의해 제작되고, 하악골 신장장치를 정확한 위치 및 방향으로 턱뼈에 고정시킬 수 있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100)로서,
    상악골(13)과 하악골(14) 치아 사이에 장착되어, 상악골(13)과 하악골(14) 치아의 맞물림에 의해 고정되며, 상악골(13)과 하악골(14) 치아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된 고정웨이퍼(110);
    상기 고정웨이퍼(110)의 일측부에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고, 고정웨이퍼(110)와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130)를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부(120); 및
    상기 연결부(120)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하악골 신장장치의 방향과 위치를 고정시키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부(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웨이퍼(110)의 상부면에는 상악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각구조 형상을 갖는 상악치아대면부(1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웨이퍼(110)의 하부면에는 하악의 치열 및 치아 형상과 대응되는 음각구조 형상을 갖는 하악치아대면부(11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110)는, 임의의 한 연결부와 또 다른 연결부 사이를 연결하여 각 연결부를 지지하는 지지대(1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100)는, 고정웨이퍼(110)로부터 일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교정부위 하악을 잘라내는 절단선(2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판상형 구조의 절단가이드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100)는, 고정웨이퍼의 일측면에 소정길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부(151)에 의해 장착되고 상악골신장장치의 위치와 방향을 고정하는 상악골신장장치 고정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15.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S100)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16.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S100)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컴퓨터와 모니터; 및
    상기 컴퓨터의 산술 처리부에서 상기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방법에 따라 산출된 형상 데이터에 의해 제어되어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를 제작하는 3D 프린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장치.
KR1020150158362A 2015-11-11 2015-11-11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장치 KR101749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362A KR101749592B1 (ko) 2015-11-11 2015-11-11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8362A KR101749592B1 (ko) 2015-11-11 2015-11-11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326A KR20170055326A (ko) 2017-05-19
KR101749592B1 true KR101749592B1 (ko) 2017-06-21

Family

ID=59049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8362A KR101749592B1 (ko) 2015-11-11 2015-11-11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95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6095A (ko) * 2018-09-21 2020-04-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맞춤형 골신장술을 위한 반조절성 골신장장치,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골신장장치 제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6278B1 (ko) * 2018-09-21 2020-08-2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완전맞춤형 골신장술을 위한 골 신장장치,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완전맞춤형 골신장장치 제작장치
WO2020060350A1 (ko) * 2018-09-21 2020-03-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맞춤형 골신장술을 위한 골 신장장치,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완전맞춤형 골신장장치 제작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82635B1 (en) 2007-01-18 2012-10-09 Amato Cyrus J Intra-oral devices for craniofacial surgery
US20120303031A1 (en) 2011-05-23 2012-11-29 Coceancig Paul Lloyd G Distractor device and a method for distracting a jaw bone
KR101501447B1 (ko) * 2013-10-31 2015-03-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및 그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82635B1 (en) 2007-01-18 2012-10-09 Amato Cyrus J Intra-oral devices for craniofacial surgery
US20120303031A1 (en) 2011-05-23 2012-11-29 Coceancig Paul Lloyd G Distractor device and a method for distracting a jaw bone
KR101501447B1 (ko) * 2013-10-31 2015-03-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및 그 제작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6095A (ko) * 2018-09-21 2020-04-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맞춤형 골신장술을 위한 반조절성 골신장장치,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골신장장치 제작장치
KR102146292B1 (ko) 2018-09-21 2020-08-2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3차원 맞춤형 골신장술을 위한 반조절성 골신장장치,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골신장장치 제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326A (ko) 2017-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1447B1 (ko)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및 그 제작방법
EP2849667B1 (en) Method of surgical planning
KR101252277B1 (ko) 치과 치료용 가상 중첩 장치 및 그 방법
JP6578026B2 (ja) 顎顔面矯正手術画像校正デザイン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ang et al. Verification of the usability of a navigation method in dental implant surgery: in vitro comparison with the stereolithographic surgical guide template method
KR101478009B1 (ko) 악교정 수술용 상악 절단 가이드 템플릿 및 그 제작방법
KR101719576B1 (ko) 양악 동시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악교정 수술용 y자형 스프린트 제작장치
WO2003037204A1 (fr) Appareil de simulation medical et procede de commande d'afficheur d'image en trois dimensions inclus dans cet appareil de simulation medical
RU2698047C1 (ru)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ортодонтического аппарата, шаблон и ортодонтический аппарат
KR101668919B1 (ko) Cad-cam 기반 턱교정 수술용 상악 형판
KR101749592B1 (ko)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하악골 신장장치 고정홀더 제작장치
KR20100092753A (ko) 악교정시 수술용 웨이퍼 제작방법
Lee et al. Keyhole system: A computer-assisted designed and computer-assisted manufactured maxillomandibular complex repositioner in orthognathic surgery
KR101749595B1 (ko) 환자맞춤 턱뼈 고정장치,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턱뼈 고정장치 제작장치
KR20130075305A (ko) 악교정 수술 시뮬레이션 방법, 그 기록매체 및 장치
KR102146278B1 (ko) 3차원 완전맞춤형 골신장술을 위한 골 신장장치,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완전맞춤형 골신장장치 제작장치
KR102180559B1 (ko) 환자맞춤 턱끝 수술용 가이드,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그 제작장치
KR101363417B1 (ko) 하악 측골 고정용 지그 및 그 제조방법
KR101714767B1 (ko) 턱뼈신장장치 고정홀더,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제작장치
CN213217733U (zh) 一种用于下颌升支定位的正颌外科合板
KR20190031711A (ko) 무치악 시술용 가이드 및 무치악 시술용 가이드 제작 방법
KR100852572B1 (ko) 치과용 의료 기기
KR102146292B1 (ko) 3차원 맞춤형 골신장술을 위한 반조절성 골신장장치,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골신장장치 제작장치
KR101491041B1 (ko) 악 교정용 웨이퍼 제작 방법
KR101778790B1 (ko) 광대뼈 수술용 가이드, 그 제작방법, 기록매체 및 그 제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