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2856A - 하우징의 벽에 대한 교환 번들의 부착을 개선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상기 교환 번들을 포함하는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하우징의 벽에 대한 교환 번들의 부착을 개선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상기 교환 번들을 포함하는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2856A
KR20160142856A KR1020167030601A KR20167030601A KR20160142856A KR 20160142856 A KR20160142856 A KR 20160142856A KR 1020167030601 A KR1020167030601 A KR 1020167030601A KR 20167030601 A KR20167030601 A KR 20167030601A KR 20160142856 A KR20160142856 A KR 20160142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eat exchange
exchange bundle
heat exchange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0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뱅자맹 페를레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시스템므 떼르미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시스템므 떼르미끄 filed Critical 발레오 시스템므 떼르미끄
Publication of KR20160142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8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26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of heat-exchange elements, e.g. of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9/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for charging or scaveng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B25/00, F02B27/00 or F02B33/00 - F02B39/00; Details thereof
    • F02B29/04Cooling of air intake supply
    • F02B29/04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eat exchangers, e.g. pipes, plates, ribs, insulation, materials, or manufacturing and assembly
    • F02B29/0462Liquid cooled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1/00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31/20Apparatus for thermally treating combustion-air, fuel, or fuel-air mixture fo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06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being enclosed within a pressure vess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1Casings in the form of plate-like arrangements; Frames enclosing a heat exchange co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vehicles
    • F28D2021/0082Charged air coo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25/00Reinforcing means
    • F28F2225/02Reinforcing means for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65/00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 F28F2265/28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for prevent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65/00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 F28F2265/30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for preventing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2Fastening; Joining by using bonding materials; by embedding elements in particular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75/00Fastening; Joining
    • F28F2275/02Fastening; Joining by using bonding materials; by embedding elements in particular materials
    • F28F2275/025Fastening; Joining by using bonding materials; by embedding elements in particular materials by using adhes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02T10/14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 번들(40)을 둘러싸기에 적합한 하우징을 포함하는 열교환기로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기 열교환 번들(40)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갖고, 상기 열교환 번들(40)은 열교환 번들(40)이 하우징(30) 내부에 삽입될 때 하우징의 개구를 막을 수 있는 제 1 단부를 포함하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요소가 상기 제 1 단부 반대편에 있는 열교환 번들(40)의 제 2 단부(80) 상에 또는 하우징의 하부 벽(50) 상에 제공되고, 제 1 요소에는 돌출 림(70)이 제공되며, 제 2 요소가 열교환 번들(40)의 상기 제 2 단부 상에 또는 하우징(30)의 하부 벽(50) 상에 제공되고, 제 2 요소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림(70)을 수용하고 고정하기에 적합한 홈(51)이 제공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 림(7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51)은 접착제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돌출 림(70)을 적어도 하나의 홈(51) 내에 고정할 수 있다. 자동차 분야에서의 응용.

Description

하우징의 벽에 대한 교환 번들의 부착을 개선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상기 교환 번들을 포함하는 열교환기{HEAT EXCHANGER COMPRISING AN EXCHANGE BUNDLE EQUIPPED WITH MEANS FOR IMPROVING ATTACHMENT OF SAID EXCHANGE BUNDLE TO THE WALLS OF A HOUSING}
본 발명은 열교환기, 예를 들어 자동차용으로 의도된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제 1 유체와 제 2 유체 사이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제 1 유체는 예를 들어 공기와 같은 유체이고, 제 2 유체는 예를 들어 물과 같은 액체 유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는 특히 과급 공기(charge air)를 냉각하는 데 사용되도록 설계된다.
요즘에는, 자동차 내의 연소 기관에는 보통 상기 엔진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압축 공기가 공급된다. 이러한 압축 공기는 종종 "과급 공기"로 지칭된다. 압축 공기는 배기 가스에 의해 구동되는 압축기를 사용하여 얻어진다. 그 결과, 공기의 압축은 압축 공기가 가열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상기 압축 공기가 엔진의 실린더로 전달되기 전에 그것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 압축 공기는 엔진으로 전달되기 전에 냉각될 필요가 있다.
압축 공기를 냉각하기 위해, 서로 겹쳐져서 위치되고, 액체와 같은 제 1 유체를 입구로부터 출구로 안내하도록 설계된 도관을 함께 형성하는 플레이트의 조립체에 의해 형성된 열교환 번들(heat exchange bundle)을 포함하는 열교환기를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열교환을 개선하기 위해, 플레이트 조립체는 또한 파형 삽입체(corrugated insert)를 포함한다.
열교환 번들은 케이싱 또는 하우징 내부에 위치된다. 이러한 하우징은 공기와 같은, 냉각될 제 2 유체를 위한 입구 및 출구를 구비하고, 제 2 유체를 입구로부터 출구로 안내하도록 설계된다. 하우징은, 상기 열교환 번들을 에워싸고 과급 공기의 흡입 및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콜렉터 박스(collector box)로서의 역할을 한다. 그러한 하우징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성형된다.
실제로, 하우징의 벽은 비교적 얇고 비교적 가요성이다. 그렇기 때문에, 하우징이 사용 중일 때, 상기 하우징의 체적은 하우징 내부의 압력 및 온도에 있어서의 증가의 함수로서 증가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 열교환기의 하우징에는 열교환 번들이 하우징 내로 삽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개구가 제공된다. 실제로, 하우징은 본질적으로 5개의 벽을 가진 박스이다. 6번째 벽은 열교환 번들을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삽입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번들이 하우징 내로 삽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거된다. 열교환 번들이 제 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의 6번째 벽은 열교환 번들의 제 1 말단부(extremity)가 부착되는 커버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유형의 응용에 대해, 커버는 플레이트 조립체가 열교환기의 파형 삽입체에 연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조립체가 상기 커버에 부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커버에는 액체와 같은 유체가 열교환기의 내부에 들어가고 열교환기를 떠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도관이 제공된다. 열교환 번들에 부착된 커버는 열교환기를 삽입하는 데 사용되는 개구를 폐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열교환 번들은 첫째로 하우징의 벽에 의해 에워싸이거나 둘러싸이고, 둘째로 커버에 의해 둘러싸인다.
그것의 사용 위치에서, 열교환 번들이 부착되는 커버는 일반적으로 상기 열교환 번들 위에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위치된다. 다시 말해서, 열교환 번들은 커버에 매달린다.
종래 기술에서 알려진 열교환기는 많은 결점을 갖고 있다. 첫째로, 하우징과 커버 사이의 연결이 취약하고, 열교환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고압 및 고온을 견디도록 요구된다. 또한, 열교환기의 정상 사용 동안, 하우징의 벽은 상기 열교환기 내부에 존재하는 고온 공기의 압력하에서 변형될 수 있다. 열교환기의 사용 동안 일정한 이러한 변형은 하우징을 제조하는 데 사용된 재료의 조기 마모를 야기할 수 있다. 이것은 하우징의 신뢰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열교환 번들이 커버에 매달리기 때문에, 열교환 번들에는 열교환기가 사용되는 차량의 엔진의 작동으로부터 유래하는 진동에 의해 유발되는 진자 운동(pendular movement)이 가해질 수 있다. 특히 공명 효과와 조합된, 그러한 진자 운동의 반복은 열교환기의 신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는 열교환 번들을 열교환기의 하우징 내부에 부착하기 위한 신규한 수단을 제안함으로써 종래 기술에서 드러난 열교환기의 결점을 해결하도록 의도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열교환 번들을 둘러싸기에 적합한 하우징을 포함하는 열교환기로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상기 열교환 번들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갖고, 상기 열교환 번들은 열교환 번들이 상기 하우징 내로 삽입될 때 하우징의 개구를 막도록 설계된 제 1 말단부(extremity)를 포함하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제 1 요소가 상기 제 1 말단부 반대편에 있는 열교환 번들의 제 2 말단부 상에 또는 하우징의 하부 벽 상에 제공되고, 제 1 요소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림(projecting rim)이 제공되며, 제 2 요소가 열교환 번들의 상기 제 2 말단부 상에 또는 하우징의 상기 하부 벽 상에 제공되고, 제 2 요소에는 하우징의 상기 하부 벽에 관한 열교환 번들의 제 2 말단부의 이동성(mobility)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 림을 내부에 수용하고 부착하도록 설계된 홈이 제공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 림 및 상기 적어도 하나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돌출 림을 적어도 하나의 홈 내부에 부착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돌출 림 또는 돌출부는 열교환 번들의 제 2 말단부가 하우징의 벽에 관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이에 의해 열교환기의 진자 운동을 제한한다. 돌출 림은 열교환 번들의 하부 말단부에 부착될 수 있다. 돌출 림은 또한 하우징의 하부 벽에 부착될 수 있다. 돌출 림은 홈 내부에 제 위치에 유지되거나 부착된다. 돌출 림이 하우징의 하부 벽에 부착되는 경우, 홈은 열교환 번들의 하부 말단부에 위치된다. 돌출 림이 열교환 번들의 하부 말단부에 부착되는 경우, 홈은 하우징의 하부 벽 상에 위치된다. 돌출 림은 접착제와 같은 부착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홈 내부에 유지된다. 다시 말해서, 열교환기가 사용되고 있는 차량의 엔진의 작동에 의해 유발되는 진동의 결과로서의 하우징에 관한 열교환 번들의 어떠한 진자 운동도 존재하지 않음에 의해 하우징과 커버 사이의 연결이 더 확고하게 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열교환기의 조립 동안, 열교환 번들은 하우징 내로 삽입 방향으로 삽입되어, 돌출 림과 홈이 상기 삽입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제는 단일-성분 접착제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접착제는 2-성분 접착제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림은 고정 수단(anchoring means)이고, 투영에서, 실질적으로 L-형상의 프로필을 갖는다.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되고 실질적으로 L-형상의 프로필을 갖는 돌출 에지는 "L"의 짧은 아암(arm)을 형성하는 하나의 만곡된 말단부를 갖는다. 만곡된 말단부는 홈 내부에의 접착제를 이용한 돌출 림의 부착을 개선한다. 돌출 림의 L-형상은 I-형상의 돌출 림의 부착과 비교하여 부착을 개선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홈은 프로필의 형태이고, 경납땜(brazing) 방법을 사용하여 열교환 번들의 제 2 하부 말단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목표, 목적 및 특징뿐만 아니라 그것의 이점이 도면을 참조하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기의 설명에서 더 분명히 나타난다.
도 1은 예로서 주어진,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부의 열교환기의 단면도,
도 2는 예로서 주어진, 도 2의 열교환기의 하우징의 벽에 대한 열교환 번들의 부착의 상세도,
도 3은 예로서 주어진,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부의 열교환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예로서 주어진,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내부의 열교환기의 단면도, 및
도 5는 예로서 주어진,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의 하우징의 벽에 대한 열교환 번들의 부착의 상세도.
도 1은 열교환기(10)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열교환기(10)는 특히 열기관에서 과급 공기를 냉각하기 위해 자동차 산업에서 사용하도록 설계된다. 열교환기(10)는 과급 공기가 외부 공기, 또는 엔진의 냉각수와 같은 액체와 같은 제 1 유체와의 열교환에 의해 냉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에 의해 공기/공기 또는 액체/공기 교환기를 형성한다.
첫째로, 열교환기(10)는 당업계의 기술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지칭되는 흡입 매니폴드(intake manifold)(20)를 갖는다. 흡입 매니폴드(20)는 엔진(도시되지 않음)의 연소실의 실린더 헤드에, 즉 실린더의 입구에서 부착된다. 엔진의 속도에 따라, 공기가 완전히 냉각되거나, 부분적으로 냉각되거나, 전혀 냉각되지 않을 수 있다. 흡입 매니폴드(20)는 하우징(30)에 연결된다. 하우징(30)은 상기 하우징(30) 내부에 위치된 열교환 번들(40)을 둘러싸는 엔벨로프(envelope)를 형성한다. 하우징(30)은 제 1 기체 유체를 위한 입구 및 출구를 갖고, 상기 제 1 유체를 입구로부터 출구로 안내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교환 번들(40)은 하우징(30) 내부에 위치된다.
열교환 번들(40)은, 예를 들어, 서로 겹쳐져서 위치되어, 제 1 기체 유체를 냉각하는 데 사용되는 제 2 액체 유체가 입구로부터 출구로 안내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도관을 함께 형성하는 플레이트의 조립체에 의해 형성된다. 열교환을 개선하기 위해, 플레이트 조립체는 또한 파형 삽입체를 포함한다.
공지된 작동 모드에 따르면, 공기와 같은 제 1 유체가 열교환 번들(40)을 통과하고, 냉각 도관 내의 물과 같은 제 2 유체가 열교한 번들(40) 내부를 유동하며, 이에 의해 공기가 냉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열교환 번들(40)은 스탬핑된(stamped) 플레이트 또는 "하프 블레이드(half blade)"의 조립체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또한 다른 유형의 번들, 그리고 특히 파이프 및 핀(fin)을 포함하는 번들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열교환 번들(40)은 예를 들어 쌍을 이루어 배열된 스탬핑된 동일한 플레이트의 스택(stack)에 의해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 번들(40)의 상부 부분은 플레이트 또는 커버(60)와 같은 폐쇄 요소에 부착된다. 커버(60)는 몇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기능 중 하나는 커버(60) 상에 배열된 파이프를 사용하여 액체 냉각제를 위한 입구 및 출구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커버(60)는 하우징(30)을 위한 폐쇄 요소로서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열교환기(10)가 조립될 때, 열교환 번들(40)은 첫째로 하우징(30)에 의해 형성된 벽에 의해, 그리고 둘째로 커버(60)에 의해 감싸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열교환기(10)의 특징은 열교환 번들(40)이 커버(60)에 매달리게 하는 것이다. 이것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정상 사용 동안, 열교환기(10)가 연결된 자동차의 작동에 의해 유발되는 진동의 영향하에서, 열교환 번들(40)에 진자 운동이 가해질 수 있고 열교환 번들이 하우징(30)의 내부에 관하여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 기술에서, 이러한 진자 운동은 커버(60)와 하우징(30) 사이의 부착을 약화시킨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 하우징(30)의 하부 벽이 열교환 번들의 하부 부분에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하우징(30)의 벽, 그리고 특히 하부 벽은 열교환기 내부에 존재하는 고온 공기의 압력하에서 변형될 수 있다. 열교환기의 사용 동안 일정한 이러한 변형은 하우징(30)을 제조하는 데 사용된 재료의 조기 마모를 야기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열교환기와는 다르게, 하우징(30)의 하부 벽(5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또는 채널(51)이 제공된다. 홈(51)의 하부 부분은 특정 체적을 형성한다. 열교환 번들(40)의 하부 부분을 형성하는 플레이트(80)는 돌출 림 또는 돌출부(70)를 포함한다. 홈(51)의 특정 체적은 돌출부(70)를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홈(51) 내부에의 돌출부(70)의 부착이 도 2에 더 상세히 도시된다.
도 2는 플레이트(80)에 의해 형성된 열교환 번들(40)의 하부 부분을 도시한다. 플레이트(80)의 말단부는 이 경우에 L-형상의 돌출부(70)의 형태로 제공된 고정 수단을 갖는다. L-형상의 돌출부는 홈(51)에 의해 형성된 체적 내부에 안착된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실시예는 T-형상 또는 F-형상의 고정 수단을 제안한다.
홈(51)의 내부는 접착제와 같은 부착 수단(90)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된다. 일단 부착 수단(90)이 고화되면, 돌출부(70)는 홈(51) 내부에 유지되거나 부착된다. 따라서, 열교환 번들(40)의 하부 부분이 하우징(30)의 벽(50)에 부착된다. 이러한 부착은 열교환기(10)가 사용되고 있는 자동차의 엔진의 작동에 의해 유발되는 진동의 결과로서 발생할 수 있는 진자 운동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벽(50)은 열교환기(10) 내부에 존재하는 고온 공기의 압력의 결과로서 커버(60)에 관하여 이동되거나 변형될 수 없다.
종래 기술에서, 열교환기의 조립 동안,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수직 위치에, 즉 개구가 상향으로 배향된 상태로 설치된다. 후속적으로, 커버 및 열교환 번들에 의해 형성된 조립체는 커버가 상기 하우징과 접촉할 때까지 하우징 내로 수직으로 삽입된다.
종래 기술과는 다르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열교환기(10)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은 홈(51)을 접착제와 같은 부착 수단으로 충전하기 위해 커버(60) 및 열교환 번들(40)에 의해 형성된 조립체의 삽입 전에 단계를 포함한다. 접착제는 단일-성분 접착제일 수 있다. 열교환기(10)의 조립 후에 그것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 및 수분은 이어서 접착제를 경화시킨다.
대안적으로, 2-성분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즉 접착제의 경화 공정이 상기 접착제(90)를 함께 형성하는 제 1 및 제 2 성분의 존재에 의해 개시된다.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홈(51) 내로 삽입될 때, 부착 수단(90)은 비교적 높은 점도를 갖는다. 이것은 부착 수단(90)이 페이스트상이고(pasty), 액체가 아니다는 것을 의미한다. 부착 수단(90)의 컨시스턴시(consistency)는 이에 따라, 특히 예를 들어 열교환기(10)의 조립 동안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의 하우징(30)의 이동 동안, 돌출부(70)를 수용하기에 충분히 가요성이고 돌출부(70)의 이동을 방지하기에 충분히 점성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51) 내부의 구역의 치수는 돌출부(70)의 치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다. 따라서, 이러한 크기 차이는 그것의 조립 동안 하우징(30) 내로의 열교환 번들(4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이러한 크기 차이는 상기 구성요소의 치수에 관한 상대 허용오차(relative tolerance)를 갖고서, 그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10)의 조립을 위태롭게 함이 없이, 상기 열교환기(10)의 구성요소를 조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열교환기는 제조하기에 비교적 저렴하다. 열교환 번들(40)의 하부 말단부를 형성하는 플레이트(80)는 일반적으로 압출 방법을 사용하여 얻어진다. 그것의 말단부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70)를 갖는 플레이트(80)를 얻도록 압출 방법을 변경하는 것은 어떠한 추가 비용도 발생시키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하우징(30)의 벽은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된다. 따라서, 홈(51)의 추가 형성은 그러한 하우징(30)에 대한 제조 비용을 약간만 증가시킨다. 다시 말해서, 도 1,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은 해법은 열교환기(10)를 제조할 때 추가의 별개의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부착에 사용될 수 있는 부착 수단(90)이 또한 비교적 저렴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에 따르면, 하우징(30')의 벽(50')에는 중심에 위치되고 돌출부(70')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홈 또는 채널(51')이 제공된다. 돌출부(70')는 열교환 번들(40')의 하부 부분을 형성하는 플레이트(90')에 부착된다. 홈(51') 내부에의 돌출부(70')의 부착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홈(51) 내부에의 돌출부(70)의 부착과 동일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하며, 여기서 열교환 번들(40)의 하부 부분을 형성하는 플레이트(80")에는 플레이트(90")의 2개의 말단부에서 2개의 돌출부(70")가 제공된다. 하부 벽(50")에는 제 1 및 제 2 돌출부(70")를 각각 수용하기 위한 2개의 홈 또는 채널(51")이 제공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에 따르면, 열교환 번들(40)의 하부 플레이트에는 그것의 하부측에 플레이트(85)가 제공된다. 플레이트(85)는 그 자체에 내부에 돌출부(75)를 수용하기 위해 하향으로 배향된 개구(87)를 갖는 채널을 형성하는 요소(86)가 제공되며, 상기 돌출부는 하우징(30)의 하부 벽(55)의 내부에 부착된다. 채널(86) 내부에의 돌출부(75)의 부착은 돌출부(70, 70', 70")의 부착과 유사하다. 비교적 높은 점도를 갖는 부착 수단(90)이 채널(86) 내부에 존재한다. 상기 부착 수단(90)이 채널(86) 내로 삽입될 때, 그것은 채널(86)의 개구(87)가 하향으로 배향될지라도 채널(86)의 벽에 접착된다. 이것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열교환기(40) 및 커버(60)는 채널(66) 내부에의 돌출부(75)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수직으로 조합될 수 있으며, 그것은 부착 수단(90)을 사용하여 채널(86) 내부에 부착된다.

Claims (6)

  1. 열교환 번들(heat exchange bundle)(40)을 둘러싸도록 설계된 하우징(30)을 포함하는 열교환기(10)로서, 상기 하우징(30)은 상기 하우징(30) 내부에 상기 열교환 번들(40)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갖고, 상기 열교환 번들(40)은 상기 열교환 번들(40)이 상기 하우징(30) 내로 삽입될 때 상기 하우징(30)의 개구를 막도록 설계된 제 1 말단부(extremity)를 포함하는, 열교환기(10)에 있어서,
    제 1 요소가 상기 제 1 말단부 반대편에 있는 상기 열교환 번들(40)의 제 2 말단부(80, 80', 80", 85) 상에 또는 상기 하우징(30)의 하부 벽(50, 50', 50", 55)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요소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림(projecting rim)(70, 70', 70", 75)이 제공되며, 제 2 요소가 상기 열교환 번들(40)의 제 2 말단부 상에 또는 상기 하우징(30)의 하부 벽(50, 50', 50", 55)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제 2 요소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 림(70, 70', 70", 75)을 수용하고 부착하도록 설계된 홈(51, 51', 51", 86)이 제공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 림(70, 70', 70", 75)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51, 51', 51", 86)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 림(70, 70', 70", 75)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51, 51', 51", 86) 내에 부착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번들(40)은, 상기 열교환기(10)의 조립 동안, 상기 하우징(30) 내로 삽입 방향으로 삽입되며, 상기 돌출 림(70, 70', 70", 75) 및 상기 홈(51, 51', 51", 86)은 상기 삽입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단일-성분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부착 수단은 2-성분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 림(70, 70', 70", 75)은 고정 수단(anchoring means)이고, 본질적으로 L-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프로필(profile)(86)의 형태이고, 상기 열교환 번들(40)의 제 2 말단부(80, 80', 80", 85)에 연결되며, 상기 프로필(86)은 경납땜(brazing)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열교환 번들(4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KR1020167030601A 2014-04-03 2015-04-03 하우징의 벽에 대한 교환 번들의 부착을 개선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상기 교환 번들을 포함하는 열교환기 KR201601428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452976 2014-04-03
FR1452976A FR3019641B1 (fr) 2014-04-03 2014-04-03 Echangeur de chaleur comprenant un faisceau d'echange muni de moyens permettant d'ameliorer la fixation dudit faisceau d'echange aux parois d'un boitier
PCT/EP2015/000723 WO2015149950A1 (fr) 2014-04-03 2015-04-03 Echangeur de chaleur comprenant un faiseau d'echange muni de moyens permettant d'ameliorer la fixation dudit faisceau d'echange aux parois d'un boiti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856A true KR20160142856A (ko) 2016-12-13

Family

ID=51014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0601A KR20160142856A (ko) 2014-04-03 2015-04-03 하우징의 벽에 대한 교환 번들의 부착을 개선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상기 교환 번들을 포함하는 열교환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70108294A1 (ko)
EP (1) EP3126648B1 (ko)
JP (1) JP2017517711A (ko)
KR (1) KR20160142856A (ko)
CN (1) CN106460637A (ko)
ES (1) ES2700845T3 (ko)
FR (1) FR3019641B1 (ko)
PL (1) PL3126648T3 (ko)
WO (1) WO20151499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06121A1 (de) * 2012-04-13 2013-10-17 Behr Gmbh & Co. Kg Anordnung eines Ladeluftkühlers in einem Ansaugrohr
FR3043189B1 (fr) * 2015-10-28 2019-10-18 Valeo Systemes Thermiques Echangeur de chaleur comprenant un faisceau d'echange, boitier adapte pour envelopper celui-ci et un procede pour assembler un tel echangeur de chaleur
EP3671097B1 (en) * 2018-12-19 2022-07-20 Valeo Autosystemy SP. Z.O.O. An arrest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3505A (en) * 1979-08-27 1982-02-02 Rodac Pneumatic Tools Rotary impact clutch
DE4313505C2 (de) * 1993-04-24 2002-02-07 Mahle Filtersysteme Gmbh Flüssigkeitskühler mit einem durchströmbaren Scheibenpaket
JPH08247689A (ja) * 1995-03-13 1996-09-27 Nippondenso Co Ltd 二輪車用熱交換器
JPH1148798A (ja) * 1997-08-08 1999-02-23 Calsonic Corp 一体型熱交換器のマウント構造
JPH11211366A (ja) * 1998-01-28 1999-08-06 Toshiba Plant Kensetsu Co Ltd 合成樹脂製伝熱エレメントおよびプレート型熱交換器
FR2838599B1 (fr) * 2002-04-11 2004-08-06 Valeo Climatisation Dispositif de chauffage electrique, notamment pour appareil de chauffage et ou climatisation de vehicule
WO2007048603A2 (de) * 2005-10-26 2007-05-03 Behr Gmbh & Co. Kg Wärmetauscher,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wärmetauschers
DE102005053924B4 (de) * 2005-11-11 2016-03-31 Modine Manufacturing Co. Ladeluftkühler in Plattenbauweise
DE102005058769B4 (de) * 2005-12-09 2016-11-03 Modine Manufacturing Co. Ladeluftkühler
US20110062137A1 (en) * 2007-07-18 2011-03-17 Chia-Hsiung Wu Vehicular fluid heater
US7848106B2 (en) * 2008-04-17 2010-12-07 Teradyne, Inc. Temperature control within disk drive testing systems
DE102008019556A1 (de) * 2008-04-18 2009-10-22 Esk Ceramics Gmbh & Co. Kg Bauteil aus einem Stapel stoffschlüssig gefügter Platten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20100031507A1 (en) * 2008-08-05 2010-02-11 Suresh Deepchand Shah Method for manifold manufacture and assembly
JP2013011175A (ja) * 2011-06-28 2013-01-17 Mahle Filter Systems Japan Corp 吸気マニホールドのシール構造
DE102011078559A1 (de) * 2011-07-01 2013-01-03 Behr Gmbh & Co. Kg Wärmeübertrager für ein Klimagerät eines Kraftfahrzeugs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FR2984476B1 (fr) * 2011-12-20 2014-02-28 Valeo Systemes Thermiques Echangeur thermiqu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DE102012202234A1 (de) * 2012-02-14 2013-08-14 Behr Gmbh & Co. Kg Wärmeübertrageranordnung
FR2989772B1 (fr) * 2012-04-19 2014-05-23 Valeo Systemes Thermiques Echangeur thermiqu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19641A1 (fr) 2015-10-09
EP3126648B1 (fr) 2018-09-19
US20170108294A1 (en) 2017-04-20
PL3126648T3 (pl) 2019-03-29
EP3126648A1 (fr) 2017-02-08
JP2017517711A (ja) 2017-06-29
ES2700845T3 (es) 2019-02-19
FR3019641B1 (fr) 2019-06-14
CN106460637A (zh) 2017-02-22
WO2015149950A1 (fr) 2015-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3942A (ko) 자동차용 열교환기
CN104101250B (zh) 热交换器及生产方法
US8910704B2 (en) Heat exchanger
US9696099B2 (en) Heat exchanger with sealing member and protrusion between core plate and header
US10030918B2 (en) Radiator tank fastening system
KR20160142856A (ko) 하우징의 벽에 대한 교환 번들의 부착을 개선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상기 교환 번들을 포함하는 열교환기
US20140246186A1 (en) Heat exchanger assembly
KR20160119226A (ko) 내연기관의 신선 공기 시스템용 과급 공기 냉각기
JP6273617B2 (ja) 吸気管における給気冷却器の配置
JP6445168B2 (ja) 熱交換器と、流路内の溝の内壁との間の隙間をシールするためのシール
CN105545518B (zh) 发动机缸体组件
US20150168076A1 (en) Heat Exchanger Comprising A Bundle Provided With Means Permitting The Limitation Of The Movements Of The Said Exchange Bundle In Relation To The Walls Of The Housing
US20150129168A1 (en) Heat Exchanger Comprising A Heat-Exchanger Core Bundle Connected At Two Opposite Ends To The Walls Of The Housing
US9897395B2 (en) Tank for heat exchang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40011613A (ko) 라디에이터 탱크 및 이를 이용한 라디에이터
KR101601814B1 (ko) 인터쿨러용 온도센서
KR10145845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10465597B2 (en) Charge air cooler assembly
US4195607A (en) Blow-by gas recirculating device
CN220016420U (zh) 一种分体式快插接头
KR100963771B1 (ko) 하이브리드 라디에이터 탱크 및 그 제조방법
US20050140095A1 (en) Insert molded structure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KR100758621B1 (ko) 알루미늄 라디에이터의 마운팅 핀 서포트 구조
KR20110085263A (ko) 라디에이터
KR100829886B1 (ko) 알루미늄 라디에이터 탱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