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2651A - 아스코르브산과 파라쿠마릭산의 신규한 혼성체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스코르브산과 파라쿠마릭산의 신규한 혼성체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2651A
KR20160142651A KR1020150078652A KR20150078652A KR20160142651A KR 20160142651 A KR20160142651 A KR 20160142651A KR 1020150078652 A KR1020150078652 A KR 1020150078652A KR 20150078652 A KR20150078652 A KR 20150078652A KR 20160142651 A KR20160142651 A KR 20160142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corbyl
skin
present
acid
couma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4479B1 (ko
Inventor
부용출
박원철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78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4479B1/ko
Publication of KR20160142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07/3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307/5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307/62Three oxygen atoms, e.g. ascorb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75Ascorbic acid, i.e. vitamin C;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스코르브산과 파라쿠마릭산의 혼성체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스코빌 쿠마레이트 화합물과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학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주름개선용 복합기능성 화장료, 약학적 그리고 식품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효과지속적이고 안정적인 피부미백과 주름개선에 효과적인 복합기능성 제제를 개발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아스코르브산과 파라쿠마릭산의 신규한 혼성체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Novel hybrid compounds of ascorbic acid and para-coumaric acid and compositions for skin whitening and wrinkle improvement comprising thereof}
본 발명은 아스코르브산과 파라쿠마릭산의 신규한 혼성체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주름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스코빌 쿠마레이트 화합물, 그리고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스코빌 쿠마레이트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및 주름개선용 복합기능성 화장료, 약학적 그리고 식품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건강 상태와 외모는 노화, 생활습관, 식이습관, 호르몬 상태 등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자외선과 공해물질은 활성산소종(ROS)과 자유라디칼을 생성시켜 피부의 항상성을 깨뜨린다. 산화물질은 내부 대사 과정 중에서도 발생한다. 피부의 항산화물질은 활성산소종이나 자유라디칼을 없애 이들의 유해한 효과를 최소화시킨다. 산화물질의 양이 항산화 방어기작의 한계를 넘어가게 되면 산화 스트레스가 발생하여 피부노화를 일으키는 다양한 생화학적 반응을 일으킨다. 만성적인 산화 스트스는 피부를 거칠게 하고, 색소침착, 주름, 피부처짐 등을 일으킨다.
피부의 주요 색소로서 멜라닌은 건강과 외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멜라닌은 유해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피부 광발암과 피부 멜라닌 함량은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다. 그러나 멜라닌이 과도하게 축적되고, 기미, 주근깨, 검버섯 등과 같이 불균형하게 분포하게 되면 외모에는 우려요인이 된다. 멜라닌은 피부 표피(epidermis) 기저층(basal layer)에 위치한 멜라닌형성세포(melanocyte)에서 합성되어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로 수송되어 표피 전체에 걸쳐 분포하게 된다. 그러므로 멜라닌 합성과 멜라닌 분포 과정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색소침착을 조절할 수 있다. 멜라닌 합성 반응에서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 monophenol, dihydroxyphenylalanine: oxygenoxidoreductase, EC 1.14.18.1)는 효율제한단계(rate-limiting step)를 촉매한다. 본 발명자들은 자연에서 제주조릿대(Sasaquelpaertensis)와 같은 식물에서 발견되는 페놀 화합물인 파라쿠마릭산(p-coumaricacid,p-CA)이 인간 타이로시네이즈의 강력하고 특이적인 억제제로서, 세포에서의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고 체내 색소 침착을 억제함을 보고한 바 있다 (Song K et al., J. Dermatol . Sci . (2011) 63:17-22; Seo YK et al., Clin . Exp . Dermatol . (2011) 36:260-266).
피부가 노화하면서 피부를 지지하는 진피가 약해지고 콜라겐과 엘라스틴 섬유는 희박해진다. 기질금속단백질가수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 MMP)는 아연 엔도펩티데이즈(zinc endopeptidase)에 속하며, 1종 콜라겐(type I collagen)과 같은 세포외부기저 고분자의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자외선은 피부세포에서 MMP의 발현을 증가시켜 콜라겐을 파괴시킨다. 노화가 진행되면서 콜라겐의 새로운 합성(de novo synthesis)은 점점 약해진다. 콜라겐은 프로콜라겐(procollagen)으로부터 합성되는데, 플로콜라겐의 프롤린과 라이신에 하이드록시기가 더해지고(hydroxylation), 당화(glycosylation)되어, 콜라겐 삼중 나선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수산화효소(hydroxylase)는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AA)을 필수보조인자로 이용하며, 이 비타민이 결핍되면 콜라겐 합성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한 AA는 유전자 발현 등 다양한 기전으로 콜라겐 합성을 향상시키며, 멜라닌(melanin) 합성에 필요한 오르쏘퀴논(orthoquinone)을 감소시켜 멜라닌 합성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Stamford NP et al., J. Cosmet . Dermatol . (2012) 34:202-208).
한편, 자연계에서 발견되는 항산화물질인 AA와 p-CA는 화학적 안정성이나 용해성 등의 문제가 있어 화장료로 사용하는데 많은 제약이 따른다. AA는 화학적으로 불안정하여 쉽게 산화되기 때문에 특히 수용액상 화장료로 사용하기 어렵고, p-CA는 용해도가 낮아 화장품 제제 형태 안에서는 피부 도포시 위험할 수 있는 예리한 결정구조를 형성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보다 안정적이고 효과지속적인 화장료 항산화물질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AA와 p-CA의 단점을 개선한 혼성체 화합물(hybrid compound)를 합성하고, 이들 혼성체 화합물에 우수한 멜라닌 억제와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가 있음을 세포 수준에서 확인하고, 나아가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인체에서 피부미백과 주름 개선 등의 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스코빌 쿠마레이트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Figure pat00001
<화학식 1>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화합물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스코빌 쿠마레이트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Figure pat00002
<화학식 2>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스코빌 쿠마레이트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및 주름개선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스코빌 쿠마레이트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및 주름개선용 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스코빌 쿠마레이트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pat00003
<화학식 1>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스코빌 쿠마레이트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pat00004
<화학식 2>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스코빌 쿠마레이트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및 주름개선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스코빌 쿠마레이트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pat00005
<화학식 1>
본 발명자들은 자연계에서 발견되는 항산화물질인 아스코르브산(AA)과 파라쿠마릭산(p-CA)의 화학적 안정성과 용해성의 문제를 개선하고, 보다 안정적이고 효과지속적인 복합기능성 항산화물질을 개발하기 위하여 AA와 p-CA의 혼성체 화합물을 합성하고, 기능성을 실험으로 검증하였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한 아스코빌 쿠마레이트 화합물은 (E)-2-(1,2-dihydroxyethyl)-4-hydroxy-5-oxo-2,5- dihydrofuran-3-yl 3-(4-hydroxyphenyl)-acrylate이며, 본 명세서에서는 ascorbyl 3-O-p-coumarate 또는 A-3-p-C로 부르기도 한다.
Figure pat00006
<화학식 2>
또한 본 명세서에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스코빌 쿠마레이트 화합물은 (E)-5-(1,2-dihydroxyethyl)-4-hydroxy-2-oxo-2,5-dihydrofuran-3-yl 3 -(4-hydroxyphenyl)-acrylate이며, 본 명세서에서는 ascorbyl 2-O-p-coumarate 또는 A-2-p-C로 부르기도 한다.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유사한 구조가 아스코르브산의 유도체로서 알려진 바 있으나(Voisin-Chiret et al., Molecules (2007) 12(11):2533-45), 피부관련 기능성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본 발명자들은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아스코빌 쿠마레이트 화합물이 인체 표피 멜라닌 세포에서 멜라닌 합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인체 섬유아세포에서는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시키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 같은 결과는 혼성체 화합물인 본 발명의 아스코빌 쿠마레이트 화합물들은 모화합물인 AA와 p-CA 각각의 피부개선 효과를 모두 갖는 것을 보여주며, 또한 알려진 AA의 유도체인 아스코빌 시나메이트(A 2-cinnamate), 아스코빌 페룰레이트(A 2-ferulate)에 비해서도 더욱 뛰어난 피부미백과 주름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나아가 본 발명의 아스코빌 쿠마레이트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고, 모화합물인 AA와 p-CA과 비교하여 장기간에 걸쳐 성상과 화학적 안정성이 현저하게 개선되었으며, 뛰어난 보관안정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인체 적용 실험을 통해, 아스코빌 쿠마레이트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들은 피부에 도포했을 때, 자극을 거의 유발하지 않으면서, 세포 수준에서 관찰되었던 멜라닌 생성 억제와 콜라겐 합성 촉진 등과 유사하게 피부미백과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스코빌 쿠마레이트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화합물 이외에도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적용 또는 전신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외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성분들은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적합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conceal stick)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제품으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수렴화장수,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바디크림,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트리트먼트, 미용액,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아이섀도 등의 제형을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 중량% 범위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스코빌 쿠마레이트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및 주름개선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그 자체 또는 염, 바람직하게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활성성분의 작용을 저해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위장 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말한다. 상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하여 형성된 산 부가염이 바람직하며,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구연산, 초산, 젖산, 주석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포름산, 프로피온산, 옥살산, 트리플로오로아세트산, 벤조산, 글루콘산, 메타술폰산, 글리콜산, 숙신산, 4-톨루엔술폰산, 글루탐산 및 아스파르트산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기산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염산, 브롬산, 황산 및 인산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피부미백 또는 주름개선 효과를 위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투여 경로에 따라 다양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담체로는 모든 종류의 용매, 분산매질, 수중유 또는 유중수 에멀젼, 수성 조성물, 리포좀, 마이크로비드 및 마이크로좀이 포함된다.
투여 경로로는 경구적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비경구적인 투여방법으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내 투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경구 투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적합한 경구 투여용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현탁액, 웨이퍼 등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적합한 담체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및 말티톨 등을 포함하는 당류와 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및 감자 전분 등을 포함하는 전분류,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즈류,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등과 같은 충전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경구적으로 투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적합한 비경구용 담체와 함께 주사제, 경피 투여제 및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주사제의 경우에는 반드시 멸균되어야 하며 박테리아 및 진균과 같은 미생물의 오염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주사제의 경우 적합한 담체의 예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물, 에탄올, 폴리올(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이들의 혼합물 및/또는 식물유를 포함하는 용매 또는 분산매질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담체로는 행크스 용액, 링거 용액,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또는 주사용 멸균수, 10% 에탄올, 40% 프로필렌 글리콜 및 5% 덱스트로즈와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사제를 미생물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빈산, 티메로살 등과 같은 다양한 항균제 및 항진균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제는 대부분의 경우 당 또는 나트륨 클로라이드와 같은 등장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피 투여제의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가 포함된다. 상기에서 “경피 투여”는 약학적 조성물을 국소적으로 피부에 투여하여 약학적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한 양의 활성성분이 피부 내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주사형 제형으로 제조하여 이를 30 게이지의 가는 주사 바늘로 피부를 가볍게 단자(prick)하거나 피부에 직접적으로 도포하는 방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들 제형은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처방서인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5th Edition, 1975,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ennsylvania)에 기술되어 있다.
흡입 투여제의 경우,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화합물은 적합한 추진제, 예를 들면,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또는 다른 적합한 기체를 사용하여, 가압 팩 또는 연무기로부터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편리하게 전달할 수 있다. 가압 에어로졸의 경우, 투약 단위는 계량된 양을 전달하는 밸브를 제공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입기 또는 취입기에 사용되는 젤라틴 캡슐 및 카트리지는 화합물 및 락토오즈 또는 전분과 같은 적합한 분말 기제의 분말 혼합물을 함유하도록 제형화할 수 있다.
그 밖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5).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완충제(예를 들어, 식염수 또는 PBS), 카보하이트레이트(예를 들어, 글루코스, 만노즈, 슈크로즈 또는 덱스트란), 항산화제, 정균제, 킬레이트화제(예를 들어, EDTA 또는 글루타치온), 아쥬반트(예를 들어,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현탁제, 농후제 및/또는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단독으로 투여하거나, 피부미백 또는 주름개선 효과가 있는 공지의 화합물과 병용하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스코빌 쿠마레이트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및 주름개선용 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용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들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식품으로는 본 발명의 식품용 조성물 자체를 차, 쥬스,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용 조성물은 탈모 예방이나 개선의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물질 또는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식품으로는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 (예: 과일 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티,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이즈 등), 식용식물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본 발명의 식품용 조성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식품용 조성물의 바람직한 함유량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최종적으로 제조된 식품 중 0.01 내지 50 중량% 이다. 본 발명의 식품용 조성물을 식품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스코르브산과 파라쿠마릭산의 혼성체 화합물인 아스코빌 쿠마레이트와 이를 이용한 피부미백용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약학적 그리고 식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모화합물의 피부 개선 효과는 모두 가지면서 보관안정성은 크게 개선되어, 피부미백과 주름개선에 효과적인 효과지속형 복합기능성 제제를 개발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ascorbyl 3-O-p-coumarate (A-3-p-C)의 합성 과정을 나타낸다.
도 2는 아스코르브산(AA), 파라쿠마릭산(p-CA), 아스코빌 쿠마레이트(A-3-p-C, A-2-p-C)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UV absorption spectrum)과 HPLC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다.
도 3은 아스코르브산(AA), 파라쿠마릭산(p-CA), 아스코빌 쿠마레이트(A-3-p-C, A-2-p-C), 아스코빌 시나메이트(A 2-cinnamate), 아스코빌 페룰레이트(A 2-ferulate)가 인간 표피 멜라닌 세포에서 멜라닌의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아스코르브산(AA), 파라쿠마릭산(p-CA), 아스코빌 쿠마레이트(A-3-p-C, A-2-p-C), 아스코빌 시나메이트(A 2-cinnamate), 아스코빌 페룰레이트(A 2-ferulate)가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에서 콜라겐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아스코르브산과 파라쿠마릭산의 혼성체의 합성
아스코르브산(AA)와 파라쿠마릭산(p-CA)으로부터 혼성체 화합물(hybrid compound)인 아스코빌 쿠마레이트, 즉, ascorbyl 2-O-p-coumarate(A-2-p-C)와 ascorbyl 3-O-p-coumarate(A-3-p-C)를 합성하였다. A-2-p-C는 공지된 방법으로도 합성하였고 최종결과물은 동일하였다(Voisin-Chiret et al., Molecules (2007) 12(11): 2533-45). 본 발명에서 ascorbyl 3-O-p-coumarate (A-3-p-C) 를 합성하여 수득한 방법은 아래와 같으며, 도 1에도 도시되어 있다.
1) 4-acetoxy coumaric acid의 합성
p-coumaric acid(5g)를 무수 아세트산(17mL)에 현탁시킨 후 DMAP(0.19g)를 넣고 상온에서 약 3시간 동안 교반시킨다. 이 반응혼합용액에 물 100mL을 넣고 12시간 동안 저어 준 후 흰색의 침전물을 유리여과기(glass filter)로 여과하고 물로 여러 번 씻어준 후 건조하였다.
2) 4-acetoxy coumaric acid chloride의 합성
4-acetoxy coumaric acid(2.2g)를 CH2Cl2 용매에(40mL) 현탁시킨 후 oxalyl chloride(1.6mL)를 가하고 DMF를 2방울 넣고 현탁액이 맑은 용액으로 변할 때까지 실온에서 약 1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용매는 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제거하고 건조시켰다.
3) 4-(benzyloxy)-5-(2,2-dimethyl-1,3-dioxolan-4-yl)-3-hydroxyfuran-2
(5H)-one의 합성
Acetonide protected ascorbic acid(5g)을 DMSO/THF(9/8) 혼합용매 100mL 에 용해시킨 후 무수 K2CO3(3.8g)를 넣고 약 30분간 교반시켰다. 이 반응 혼합용액에 BnBr(3.3mL)를 가하고 실온에서 약 5시간 동안 저어주었다. 반응용매는 rotary evaporator 이용하여 제거하고 물과 에틸아세테이트(EtOAc)를 이용하여 추출하고 유기용매는 무수 MgSO4를 이용하여 건조시킨 후 여과하고 용매 제거 후 생성잔류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리정제하였다(hexane:EtOAc = 3/1).
4) 4-(benzyloxy)-5-(2,2-dimethyl-1,3-dioxolan-4-yl)-3-(methoxymethoxy) furan-2(5H)-one의 합성
3)에서 합성된 화합물(화합물 3) 3.46g을 CH2Cl2 용매 50mL에 용해시킨 후 DIPEA(2.9mL)와 MOMCl(1.2mL)를 가하고 실온에서 약 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용매는 감압농축하여 제거하고 생성잔류물은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리정제하였다(hexane:EtOAc = 3/1).
5) 5-(2,2-dimethyl-1,3-dioxolan-4-yl)-4-hydroxy-3-(methoxymethoxy)furan
-2(5H)-one의 합성
4)에서 합성된 화합물(화합물 4) 3.5g을 EtOAC 용매 50mL에 용해시킨 후 Pd/C(0.3g)를 넣고 수소 분위기 하에서 약 2시간 동안 교반시키고 cellite pad를 이용하여 Pd/C를 제거하고 용매는 감압농축하여 흰색의 생성물을 얻었다.
6) (E)-2-(2,2-dimethyl-1,3-dioxolan-4-yl)-4-(methoxymethoxy)-5-oxo-2,5- dihydrofuran-3-yl-3-(4-acetoxyphenyl)acrylate의 합성
CH2Cl2 용매 50mL에 5)에서 합성된 화합물(화합물 5) 2.6g와 TEA(1.65mL) 그리고 DMAP(0.1g)을 용해시킨 후 CH2Cl2 용매 50mL에 녹아있는 2)에서 합성된 화합물을 천천히 적가하고 실온에서 약 30분간 교반하였다. 반응혼합용액에 0.1N HCl 50mL를 가하고 약 1분간 저어 준 후 분별깔대기를 이용하여 유기층을 분리하여 회수하고,회수한 유기층을 감압농축하여 생성잔류물은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리정제하였다(hexane:EtOAc = 2/1).
7) (E)-2-(1,2-dihydroxyethyl)-4-hydroxy-5-oxo-2,5-dihydrofuran-3-yl 3- (4-hydroxyphenyl)-acrylate 합성
6)에서 합성된 화합물(화합물 6) 4g을 메탄올(MeOH) 50mL에 용해시킨 후 2N HCl 10mL을 가하고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메탄올은 감압농축하여 제거하고 물층은 EtOAc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 무수 MgSO4를 이용하여 건조시켜 여과하고 용매를 제거한 후 생성잔류물을 얻었다.
< 실험예 1>
합성된 아스코르브산과 파라쿠마릭산의 혼성체의 화학구조적 분석
수득한 혼성체들은 핵자기공명(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질량분석(mass spectrometry, MS),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UV absorption spectrum) 등의 분석을 통해 화학적,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고 모화합물과 비교하였다.
NMR은 500MHz Varian Unity INOVA FT-NMR spectrometer(Varian, Inc., Palo Alto,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Chemical shift(δ ppm)는 tetramethylsilane (TMS)와 비교하였다. 이중질량분석법(tandem mass spectrometry, MS/MS)은 Thermo Vantage triple-quadrupole mass spectrometer(Thermo Fisher Scientific, San Jose, USA)를 이용하여 직접 주입(direct infusion)으로 실시하였다.
NMR 측정 결과는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MS는 네거티브 모드의 전기방사(electrospray)로 측정하였다. 기기 측정 조건은 다음과 같다: capillary temperature, 350°C; vaporizer temperature, 300°C; sheath gas pressure, 35 arbitrary units; auxiliary gas, 10 arbitrary units; nitrogen gas flow rate, 8 L/min; spray voltage, -3,500 V; collision energy, 10-35 eV. 분석 데이터는 Xcalibur(version 2.1) software(Thermo Fisher Scientific)로 처리하였다.
질량분석 결과, A-2-p-C은 m/z 321에서 deprotonated molecular ion [M-H]-에 해당하는 강력한 피크를 나타냈다. 이 피크는 m/z 261 [M-ethylene glycol], m/z 175 [ascorbate]- 그리고 m/z 163 [coumarate]-에서 특징적인 단편 이온(fragment ion)을 보였다. A-3-p-C의 피크는 m/z 321에서 deprotonated molecular ion [M-H]-의 피크를 보였으며, m/z 175 [ascorbate]- 그리고 m/z 163 [coumarate]-에서 특징적인 단편 이온을 보였다.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은 Shimadzu UV-1650PC spectrophotometer(Shimadzu Corporation, Kyoto, Japan)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용매는 메탄올이었다. HPLC 분석은 312 펌프와 UV/VIS 151 detector를 탑재한 Gilson HPLC system(Gilson Inc, Middleton, USA)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Hector-M C18 column(4.6mm X 250mm) (RSTech, 대전, 한국)를 고정상(stationary phase)으로 사용하였다. 유동상(mobile phase)은 0.5% formic acid(A)와 methanol(B)이었고, 변화도(gradient)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050분, 직선경사(linear gradient), 0부터 100% B까지. 유속(flow rate)은 0.6 mL/min이었다. UV detector는 254 nm로 설정하였다.
AA, p-CA와 이들의 혼성체 화합물의 HPLC 크로마토그램과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은 도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7
< 실험예 2>
아스코빌 쿠마레이트가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영향
아스코빌 쿠마레이트가 세포 수준에서 멜라닌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인간 표피 멜라닌 세포(멜라노사이트, melanocyte)에서 검증하고, 모화합물인 AA와 p- CA, 그리고 공지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인 아스코빌 시나메이트(A 2-cinnamate), 아스코빌 페룰레이트(A 2-ferulate)와 그 효과를 비교하였다(도 3).
황인종 신생아 포피에서 얻은 인간 표피 멜라노사이트는 Cascade Biologics에서 구입하였다. 세포는 5% CO2, 37℃, 습윤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인간 표피 멜라노사이트는 인간 멜라노사이트 성장 보조제를 포함한 Medium 254(Cascade biologics) 성장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항생제로 100U/mL 페니실린, 0.1 mg/mL 스트렙토마이신, 0.25 μg/mL 암포테리신 B를 첨가하였다. 인간 표피 멜라닌 세포는 24웰 배양접시에 5×104의 밀도로 넣어 24시간 배양하고 시험 물질을 100μM 농도로 60분 동안 전처리한 후 4.0mM의 타이로신(L-tyrosine)으로 48시간 동안 자극하였다. 이 과정은 3번의 배지 교환과 함께 반복하였다. 세포내에 존재하는 멜라닌은 60oC에서 60분 동안 0.1M NaOH으로 추출하여 490nm에서 흡광도 측정으로 정량하고 전체 단백질 함량으로 보정하였다.
그 결과,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인간 표피 멜라닌 세포의 멜라닌 함량은 타이로신 자극에 의해 크게 증가하였으며, 알려진 대로 파라쿠마릭산(p-CA)은 강력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보였다. 한편, 아스코빌 쿠마레이트 화합물(A-3-p-C, A-2-p-C)들은 파라쿠마릭산과 유사한 정도의 멜라닌 억제 효과를 보였으며, AA 또는 AA의 유도체인 아스코빌 신나메이트, 아스코빌 페룰레이트와 비교하여도 그 효과가 월등함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3>
아스코빌 쿠마레이트가 콜라겐 대사에 미치는 영향
아스코빌 쿠마레이트가 세포 수준에서 콜라겐 대사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인간 진피 섬유아 세포(dermal fibroblast)에서 검증하고, 모화합물인 AA와 p- CA, 그리고 공지된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인 아스코빌 시나메이트(A 2-cinnamate), 아스코빌 페룰레이트(A 2-ferulate)와 그 효과를 비교하였다(도 4).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는 48웰 배양접시에 5×104의 밀도로 넣고, 각 화합물을 100μM 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이후 세포들을 PBS로 세척하고, 새로운 섬유아세포 무혈청 성장 배지(growth medium)를 넣어 24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세포 배양한 배지(conditioned medium)은 수득하여 콜라겐 합성의 지표인 PIP의 농도를 엘라이자 키트(ELISA kit)를 이용하여 생산자 매뉴얼을 따라 측정하였다. 인간 PIP EIA Kit(Takara Bio, Inc., Otsu, Japan)를 이용한 측정에서는 과산화효소(peroxidase)가 결합된 PIP 항체 용액(100uL)과 각 샘플(20uL 세포 배양한 배지), 또는 10-320ng/mL의 PIP 정량액을 PIP 단일항체를 포함하고 있는 마이크로플레이트 웰에 넣고, 세척한 뒤, 기질(substrate) 용액을 첨가하여 15분간 배양하였다. 반응중지용액(stop solution)을 첨가하고, 45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알려진 바와 같이 아스코르브산은 콜라겐 합성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보였으며, 아스코르브산 유도체인 아스코빌 시나메이트(A 2-cinnamate)와 아스코빌 페룰레이트(A 2-ferulate)도 콜라겐 합성을 증가시켰으나, 이에 반해 파라쿠마릭산은 콜라겐 합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아스코빌 쿠마레이트 화합물은(A-3-p-C, A-2-p-C) 콜라겐 합성을 크게 증가시켰으며, 아스코르브산이나 아스코르브산 유도체들과 비교하여도 더욱 뛰어난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예들의 결과를 종합하면, 아스코빌 쿠마레이트 화합물(A-3-p-C, A-2-p-C)들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고 콜라겐 합성은 촉진시키는 등 모화합물의 특징은 동시에 가지고 있으면서, 효과면에서는 모화합물이나 AA 유도체들보다 뛰어나, 복합 기능성 화장료로 가장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제조예 1>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아스코빌 쿠마레이트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화장료로서 아스코빌 쿠마레이트와 기능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아스코르브산(AA) 또는 파라쿠마릭산(p-CA)을 포함하거나 상기 성분들을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의 각 성분의 함량비는 표 2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실험군 1과 2는 각각 1.0%의 A-3-p-C 또는 A-2-p-C를 함유하도록 제조하였으며, 실험군 3과 4는 각각 2.0%의 A-3-p-C 또는 A-2-p-C를 함유하도록, 그리고 실험군 5는 A-3-p-C 와 A-2-p-C를 1.0%씩 모두 함유하도록 제조하였다. 비교군 1 내지 3은 각각 아스코르브산(AA) 또는 파라쿠마릭산(p-CA)을 2.0%씩 함유하거나 어떠한 유효성분도 함유하지 않도록 제조하였다. 다른 성분은 일정한 함량으로 사용하였으며 상기 사용된 유효성분의 함량 차이는 조성물 내의 정제수의 함량을 조절하여 총 100%를 만족하도록 하였다.
Figure pat00008
< 실시예 2>
화장료 제형 안정성 분석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실험군 1 내지 5 및 비교군 1 내지 3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각각의 조성물을 화장품 용기에 넣어 60℃ 오븐에 6개월 동안 보관하면서 잔존하는 유효성분의 함량을 분석하고 육안으로 변색 및 침전 여부를 확인하였다. 유효성분 함량은 HPLC로 정량분석하였다. 각각의 화장료 시료를 에탄올에 1/100으로 희석하고 20㎕를 취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비교군들의 경우 심한 변색이나 결정성 침전 등 화장료로서 적절치 않은 문제점들이 발견되었으나, 실험군 1 내지 5의 화장료 조성물은 성상이나 유효성분의 함량에도 큰 변화가 없음을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아스코르브산(AA)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인 비교군 1은 실험시작 후 1개월부터 변색이 진행되고 유효성분의 잔존량이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아울러 파라쿠마릭산(p-CA)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인 비교군 2는 화장료에 포함된 유효성분 함량 자체에는 큰 변함은 없었으나, 실험 시작 후 1개월 후부터 결정성 침전이 생성되어 화장품으로서는 사용할 수 없었다. 즉 파라쿠마릭산은 화장료 제형에서 용해성이 크게 떨어져, 그 자체로서는 기능성 화장료로 활용가치가 높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반면, 아스코빌 쿠마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인 실험군 1 내지 5는 6개월이 지날 때까지 변색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유효성분의 함량도 큰 변함없이 높게 유지됨을 확인하였다.
Figure pat00009
이상의 제형 안정성 분석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아스코빌 쿠마레이트 화합물은 뛰어난 멜라닌 억제와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를 갖고 있으면서 장기간 보관에도 성상이나 함량에 큰 변화가 없어 효과지속적인 복합 기능성 화장료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인체 적용 시험: 피부 자극성 테스트
상기 제조예 1에 따라 제조한 실험군 및 비교군의 화장료 조성물들의 인체 자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인체 피부에 대해 일차 자극시험을 수행하였다. 비교군 1 및 2의 화장료 조성물은 변질로 인해 유해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인체 적용실험에서는 배제하였으며, 이들 성분을 함유하지 않아 안정한 비교군 3만을 포함하여 실험하였다.
상기 인체 적용실험은 건강한 성인남녀 3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 화장료 조성물을 적당량(20㎕) 첩포시험용 IQ 챔버에 적하시켜 등 부위에 48시간 동안 첩포한 후 챔버를 제거하였다. 이후 30분 및 24시간 경과 시점에서 피부 상태의 변화를 육안으로 판독하였다. 피부반응의 평가 기준 및 해당 점수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첩포를 제거하고 30분 후에 1차 판정을, 다시 24시간이 경과한 후에 2차로 판정하여 하기 수식에 따라 반응도를 계산하였다. 인체 피부에 대한 자극정도를 1차 및 2차 판정의 평균 반응도로 나타내었으며, 이를 하기 표 5에 정리하였다.
Figure pat00010
자극도=[(반응점수×반응자 수)/{최대 반응점수(4)×총 시험자 수(n)}]×100×1/2
Figure pat00011
그 결과,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듯이, 실험군 1 내지 5 및 비교군 3의 화장료 조성물의 평균 반응도는 아무런 유효성분을 포함하지 않은 비교군 3과 크게 다르지 않은 반응도를 나타냈으며, 이는 실험군의 화장료 조성물들이 인체 피부에 대한 일차 자극 측면에 있어서, 피부에 거의 자극을 주지 않는 저자극 범주에 속하는 것을 보여준다.
< 실시예 4>
인체 적용 시험: 피부미백 효능 테스트
상기 실시예 3의 피부 자극성 테스트를 통해 인체 피부에 자극을 유발하지 않음이 확인된 실험군들과 비교군 3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인체 피부에 대한 미백 효능을 테스트하였다. 피부미백 효능 테스트는 건강한 성인남녀 20명을 대상으로 피험자의 양쪽 전박부 내측에 1.5cm×1.5cm 크기의 구멍 4개를 포함하는 불투명 테이프를 부착하고, 각 피험자의 최소 홍반량(MED)의 2배 정도의 자외선(UVB)을 조사하여 피부의 인공 색소침착을 유도하였다. 제조예 1에 따라 제조한 실험군 1 내지 5과 비교군 3의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색소침착 부위에 8주간 1일 2회, 아침/저녁으로 시험부위에 도포하였다. 실험 결과는 화장료 조성물 사용 전과 8주간의 사용 후에 멕사미터(Mexameter)와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멜라닌 지수와 피부색을 측정하여 실험군의 미백 효능을 평가하였다.
멕사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한 멜라닌 지수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사용 전 측정된 멜라닌 지수보다 사용 후 측정된 멜라닌 지수가 낮은 경우 미백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정할 수 있으며, 그 차이가 클수록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험군 1 내지 5의 화장료 조성물은 비교군 3과 비교하여 큰 폭으로 멜라닌 지수를 감소시켰으며, 따라서 매우 우수한 피부미백 효과를 갖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특히 아스코빌 쿠마레이트 화합물들의 총 함량이 높은 실험군 3 내지 5에서 실험군 1 또는 2보다 멜라닌 감소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나, 유효성분의 함량이 높을수록 미백 효과가 커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Figure pat00012
한편, 피부색 변화에 대한 아스코빌 쿠마레이트 화합물의 효과는 하기의 식을 이용하여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L* 및 b* 값으로부터 피부의 흰 정도를 반영하는 ITA°(Individual Typological Angle) 값을 계산하여 평가하였다. 계산된 값은 하기 표 7에 나타내었으며, ITA°값이 클수록 미백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ITA°= arctg[(L*-50)/b*]×(180/π)
L*: 명도인자; 밝기
b*: 색채인자; 파랑-노랑
Figure pat00013
상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험군 1 내지 5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색 변화에 있어서도 비교군 3의 화장료 조성물보다 큰 폭으로 ITA°를 증가시켜 우수한 피부미백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특히, 멜라닌 지수 감소 효과에서와 같이 유효성분의 총 함량이 높은 실험군 3 내지 5가 실험군 1 또는 2보다 효과가 더 커서, 유효성분 함량이 높을수록 피부색 미백 효과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시예 5>
인체 적용 시험: 피부 주름개선 효능 테스트
인체 피부 주름개선 효능 테스트는 30세 이상의 여성 피험자 2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제조예 1에 따라 제조한 실험군 5와 비교군 3의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얼굴의 시험부위에 12주간 1일 2회, 아침/저녁으로 도포하고, 제품 사용 전과 사용 후 각 시점(4주, 8주, 12주)에서 주름의 정도에 대한 육안평가를 실시하였다. 육안 평가는 양측 눈가의 주름 상태에 대해서는 주름평가 기준에 의거하여 2인의 시험자가 독립적으로 평가하였다. 각 평가시점마다 주름 상태의 등급을 기록하고 (평가는 0.5 단계로 진행함), 평균값을 취하여 분석하였다.
Figure pat00014
그 결과, 하기 표 9에 나타낸 주름 평가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아스코빌 쿠마레이트 화합물 2종을 1%씩 함유한 실험군 5가 유효성분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군 3에 비해 실험 진행 기간 12주에 걸쳐 낮은 주름 평가 등급을 받았으며, 따라서 우수한 주름개선 효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pat00015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안전하고 효과지속적인 피부미백과 주름개선용 복합기능성 제제를 개발하는 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4)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스코빌 쿠마레이트 화합물.
    Figure pat00016
    <화학식 1>
  2. 제1항의 화합물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스코빌 쿠마레이트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igure pat00017
    <화학식 2>


  3. 제1항의 화합물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스코빌 쿠마레이트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및 주름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Figure pat00018
    <화학식 2>
  4. 제1항의 화합물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스코빌 쿠마레이트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및 주름개선용 식품용 조성물.
    Figure pat00019
    <화학식 2>
KR1020150078652A 2015-06-03 2015-06-03 아스코르브산과 파라쿠마릭산의 신규한 혼성체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784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652A KR101784479B1 (ko) 2015-06-03 2015-06-03 아스코르브산과 파라쿠마릭산의 신규한 혼성체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652A KR101784479B1 (ko) 2015-06-03 2015-06-03 아스코르브산과 파라쿠마릭산의 신규한 혼성체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651A true KR20160142651A (ko) 2016-12-13
KR101784479B1 KR101784479B1 (ko) 2017-10-11

Family

ID=57575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652A KR101784479B1 (ko) 2015-06-03 2015-06-03 아스코르브산과 파라쿠마릭산의 신규한 혼성체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44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126B1 (ko) * 2020-12-18 2021-06-11 한국콜마 주식회사 콜라겐 합성 촉진 및 활성산소 억제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WO2023195569A1 (ko) * 2022-04-08 2023-10-12 이왕재바이오연구소 주식회사 비타민 c를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WO2024021544A1 (zh) * 2022-07-26 2024-02-01 长春圣博玛生物材料有限公司 维生素c乳酸酯及其类似物在制备皮肤组织用制品中的用途及其相关制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126B1 (ko) * 2020-12-18 2021-06-11 한국콜마 주식회사 콜라겐 합성 촉진 및 활성산소 억제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WO2023195569A1 (ko) * 2022-04-08 2023-10-12 이왕재바이오연구소 주식회사 비타민 c를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WO2024021544A1 (zh) * 2022-07-26 2024-02-01 长春圣博玛生物材料有限公司 维生素c乳酸酯及其类似物在制备皮肤组织用制品中的用途及其相关制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4479B1 (ko) 2017-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5155B2 (en) Plant extract obtained from Morus plant leaves which has an IC50 value to inhibit a-glucosidase I at a concentration of less than 90 uG/ml,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method of extraction and uses thereof
US9180077B2 (en) Green tea extracts of improved bioavailability
KR101714434B1 (ko) 퓨코스테롤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또는 보습용 조성물
KR20130083805A (ko) 피부 탄력 증진 및 미백용 조성물
KR101784479B1 (ko) 아스코르브산과 파라쿠마릭산의 신규한 혼성체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1483872B1 (ko) 신갈나무 잎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주름용 조성물
KR20130023606A (ko) 회화나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10085151A (ko) 마테차로부터 분리한 메가스티그만 유도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223684B1 (ko) 아프젤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128977B1 (ko) 흰꽃여뀌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672841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EP3674296A1 (en) Novel compound produced by means of marine microorganism and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s, enhancing elasticity and skin whitening comprising same compound as active ingredient
KR102503107B1 (ko) 폴리갈라사포닌 f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305237B1 (ko) 이삭여뀌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238695B1 (ko) 감마선 조사된 감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553924B1 (ko) 3-디옥시사파논 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항주름효과가 우수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57828B1 (ko) 피부 미백, 항산화, 피부 상태 개선, 탈모 예방 또는 개선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유효성분으로서 트라이펩타이드와 바이오틴이 결합된 융합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조성물
JP6744537B2 (ja) 毛髪の成長を促進させる組成物
KR102239470B1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흑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00047477A (ko) 흰꽃여뀌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40013514A (ko) 바위수국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항산화용 조성물
KR20230033388A (ko) 푸른여로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711513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20166127A (ko) 한라꽃향유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20140124A (ko)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를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