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2066A -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 - Google Patents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2066A
KR20160142066A KR1020150077941A KR20150077941A KR20160142066A KR 20160142066 A KR20160142066 A KR 20160142066A KR 1020150077941 A KR1020150077941 A KR 1020150077941A KR 20150077941 A KR20150077941 A KR 20150077941A KR 20160142066 A KR20160142066 A KR 20160142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content
sensor unit
front cover
p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홍석
Original Assignee
최홍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홍석 filed Critical 최홍석
Priority to KR1020150077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2066A/ko
Publication of KR20160142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0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3Comparative campaig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의 페이지를 인식하여 페이지에 대응하는 상품에 대한 내용을 디지털 콘텐츠로 제공할 수 있는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면표지 및 후면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표지 및 상기 후면표지 중 적어도 하나에 메인 천공부가 형성되는 책 본체; 상기 책 본체에 부착되어 상기 책 본체의 오픈 여부를 센싱하는 센서부; 및 상기 메인 천공부에 배치되어 상기 센서부에 의해 센싱된 신호에 따라 상품 관련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 및 상기 영상과 연관된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MULTI CONTENT BOOK FOR PRODUCT MARKETING}
본 발명은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책의 페이지를 인식하여 페이지에 대응하는 상품에 대한 내용을 디지털 콘텐츠로 제공할 수 있는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업은 카탈로그, 팜플렛, 책자, 브로슈어, 신문, 잡지 등의 인쇄매체 또는 동영상과 같은 영상매체를 통해 상품에 대한 광고(즉, PPL; Product PLacement)를 제공한다.
또한, 도서는 그림 및 문자가 인쇄된 종이 인쇄물을 여러 장 묶어 만든 물리적 형태로, 하드 표지와 속지를 포함한다.
최근, 책장 넘김 동작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각 장에 기재된 문장과 배경음악을 들려주는 음성 출력 도서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는 대부분 도서의 페이지 자동 감지 수단, 페이지에 수록된 내용을 저장한 반도체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된 내용을 외부에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도서의 페이지에 대응하는 오디오만 제공할 뿐 시각적인 콘텐츠(예를 들어, 동영상)를 제공하지 않아 오디오로만 도서에 수록된 정보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상품에 대한 광고를 종이 인쇄물과 디지털 콘텐츠로 동시에 제공하는 기술은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90117호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5775호가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90117호(2008.10.08) (문헌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5775호(2001.08.28)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책의 페이지를 인식하여 페이지에 대응하는 상품에 대한 내용을 디지털 콘텐츠로 제공할 수 있는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플레이어와 종이 인쇄물을 결합하여 상품에 대한 내용을 텍스트, 영상 및 음성으로 제공할 수 있는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각 및 청각으로 상품에 대한 내용을 제공하여 상품의 마케팅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전면표지 및 후면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표지 및 상기 후면표지 중 적어도 하나에 메인 천공부가 형성되는 책 본체; 상기 책 본체에 부착되어 상기 책 본체의 오픈 여부를 센싱하는 센서부; 및 상기 메인 천공부에 배치되어 상기 센서부에 의해 센싱된 신호에 따라 상품 관련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 및 상기 영상과 연관된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책 본체는 사이트 연결 식별 코드 및 상기 전면표지와 상기 후면표지 사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속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속지는 상기 영상 및 음성과 연관된 텍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천공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서브 천공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속지는 제1 극성을 가지는 제1 자력부재와 제2 극성을 가지는 제2 자력부재 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력부재와 상기 제2 자력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속지에 서로 교호하도록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전면표지 및 상기 후면표지 각각에 상호 대응하도록 부착되어 상기 책 본체의 오픈 여부를 센싱하는 전원 센서부; 및 상기 전면표지 또는 상기 후면표지에 부착되고 상기 제1 자력부재 및 상기 제2 자력부재의 접촉을 카운트하여 해당 속지의 페이지를 인식하는 페이지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영상 및 음성을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콘텐츠 저장모듈로부터 상기 페이지 센서부에서 인식된 해당 속지의 페이지에 대응하는 영상 및 음성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면표지에 배치되고 상기 콘텐츠 제공부와 연결되어 상기 영상 및 음성에 대한 출력 상태를 제어하는 콘텐츠 제어 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책 본체는 상기 전면표지 또는 후면표지에 상기 음성 출력부와 연결되는 이어폰 연결 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책의 페이지를 인식하여 페이지에 대응하는 상품에 대한 내용을 디지털 콘텐츠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플레이어와 종이 인쇄물을 결합하여 상품에 대한 내용을 텍스트, 영상 및 음성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시각 및 청각으로 상품에 대한 내용을 제공하여 상품의 마케팅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의 책 본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의 센서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의 콘텐츠 제공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의 콘텐츠 제어 버튼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을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도 1a는 콘텐츠 제공부(130)가 책 본체(110)의 전면표지에 배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b는 콘텐츠 제공부(130)가 책 본체(110)의 후면표지에 배치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c는 콘텐츠 제공부(130)가 책 본체(110)의 전면표지(a) 또는 후면표지(b)에 배치되었을 때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100)을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100)은 전면표지 및 후면표지를 포함하고, 전면표지 및 후면표지 중 적어도 하나에 메인 천공부가 형성되는 책 본체(110); 책 본체(110)에 부착되어 책 본체(110)의 오픈 여부를 센싱하는 센서부(120); 메인 천공부에 배치되어 센서부(120)에 의해 센싱된 신호에 따라 상품 관련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 및 영상과 연관된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100)은 전면표지에 배치되고 콘텐츠 제공부(130)와 연결되어 영상 및 음성에 대한 출력 상태를 제어하는 콘텐츠 제어 버튼부(14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100)은 책 본체(110)에 인쇄된 텍스트와 콘텐츠 제공부(130)에서 제공되는 영상 및 음성을 통해 상품에 대한 내용을 다감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 상품의 마케팅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100)은 일회성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일반적이기 때문에 최대한 적은 제조원가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의 책 본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책 본체(110)는 전면표지(111), 후면표지(112) 및 전면표지(111)와 후면표지(112) 사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속지(113)를 포함한다.
또한, 책 본체(110)는 전면표지(111) 및 후면표지(112)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메인 천공부(114), 전면표지(111), 후면표지(112) 및 속지(113)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사이트 연결 식별 코드(115) 및 전면표지(111) 또는 후면표지(112)에 배치되는 이어폰 연결 포트(116)를 더 포함한다.
이하, 콘텐츠 제공부(130)는 책 본체(110)의 전면표지(111)에 구비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하나, 이에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책 본체(110)의 후면표지(112)에 구비되어 전면표지(111)에 구비된 경우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전면표지(111)는 그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종이(또는 합성수지)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면표지(111)는 그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콘텐츠 제공부(130)가 구비되며, 콘텐츠 제공부(130)의 크기에 따라 상이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면표지(111)는 내면에 일정 크기의 메인 천공부(114)가 형성되어 내부 공간에 구비된 콘텐츠 제공부(113)의 영상 출력부(121)의 디스플레이 화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면표지(111)는 그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콘텐츠 제어 버튼부(140)가 구비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버튼 천공부들(미도시)을 메인 천공부(114)의 인근에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면표지(111)는 내면 또는 내부 공간에 전원 센서부(121) 및 페이지 센서부(122)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표지(111)는 그 하단부 내부 공간에 전원 센서부(121) 및 페이지 센서부(122)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면표지(111)는 내면에 사이트 연결 식별 코드(115) 및 이어폰 연결 포트(11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전면표지(111)는 적어도 하나의 속지(113)가 전면, 후면 및 측면으로 감싸지도록 후면표지(112)와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속지(113)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후면표지(112)는 전면표지(111)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고 전면표지(111)와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속지(113)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하였지만, 후면표지(112)는 그 내부 공간에 콘텐츠 제공부(130) 및 콘텐츠 제어 버튼부(140)가 구비될 수 있고, 이 경우 내면에 메인 천공부(114)와 복수의 버튼 천공부들(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면표지(112)는 내면 또는 내부 공간에 전원 센서부(121) 및 페이지 센서부(122)가 배치될 수 있고, 내면에 사이트 연결 식별 코드(115) 및 이어폰 연결 포트(11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속지(113)는 전면표지(111) 및 후면표지(112)보다 얇은 종이로 형성되어 전면표지(111) 및 후면표지(112)의 사이에 구비되고 상품과 연관된 내용을 텍스트로서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속지(113)는 메인 천공부(114)에 대응하는 위치 및 크기의 서브 천공부(113-1)를 포함하여 영상 출력부(131)와 콘텐츠 제어 버튼부(140)가 항상 외부로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속지(113)는 전면표지(111)에 배치된 제1 전원 센서부(121a)에 대응하도록 제2 전원 센서부(121b)가 배치될 수 있고, 전면표지(111)에 배치된 페이지 센서부(122)에 대응하도록 극성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자력부재(113-2a, 113-2b)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b를 참조하면, 적어도 하나의 속지(113)는 각각 제1 극성(예를 들어, N극)을 가지는 제1 자력부재(113-2a)와 제1 극성과 다른 극성의 제2 극성(예를 들어, S극)을 가지는 제2 자력부재(113-2b) 중 하나를 포함하고, 제1 자력부재(113-2a)와 제2 자력부재(113-2b)는 적어도 하나의 속지(113)에 서로 교호하도록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속지(113)는 제1 속지에 제1 자력부재(113-2a), 제2 속지에 제2 자력부재(113-2b), 제3 속지에 제1 자력부재(113-2a), 제4 속지에 제2 자력부재(113-2b)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자력부재들(113-2a, 113-2b)은 전면표지(111)에 배치된 페이지 센서부(122)와 전자기적으로 연결되어 페이지 센서부(122)가 해당 속지(113)의 페이지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속지(113) 각각은 해당 페이지에 있는 텍스트와 연관된 사이트 연결 식별 코드(11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속지(113)는 상품 가격에 대한 텍스트를 포함하면 상품 가격과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는 사이트 연결 식별 코드(115)를 포함하고, 제2 속지(113)는 상품 특징에 대한 텍스트를 포함하면 상품 특징과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는 사이트 연결 식별 코드(115)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천공부(114)는 전면표지(111)(또는 후면표지(112))의 내면에 형성되어 영상 출력부(131)의 디스플레이 화면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메인 천공부(114)는 영상 출력부(131)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대응하는 크기의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이트 연결 식별 코드(115)는 사용자 소유의 모바일 단말의 카메라를 통해 인식되어 내포하고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바코드로, 전면표지(111), 후면표지(112) 및 속지(113)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사이트 연결 식별 코드(115)는 QR(Quick Response)코드로 구현되어 상품과 연관된 정보 또는 사이트(예를 들어, 기업 홈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어폰 연결 포트(116)는 전면표지(111) 또는 후면표지(112)에 형성되어 음성 출력부(132)와 연결될 수 있다. 이어폰 연결 포트(116)는 이어폰이 연결되면 음성 출력부(132)에서 출력하는 음성을 이어폰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어폰 연결 포트(116)는 전면표지(111)의 내면, 상면, 측면 또는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의 센서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20)는 전원 센서부(121) 및 페이지 센서부(122)를 포함한다.
전원 센서부(121)는 전면표지(111) 및 후면표지(112)(또는 속지(113)) 각각에 상호 대응하도록 부착되어 책 본체(110)의 오픈 여부를 센싱한다. 구체적으로, 전원 센서부(121)의 제1 전원 센서부(121a)는 전면표지(111)에 부착되고, 전원 센서부(121)의 제2 전원 센서부(121b)는 후면표지(112)(또는 속지(113))에 부착되어, 제1 전원 센서부(121a)와 제2 전원 센서부(121b) 간의 접촉 여부에 따라 책 본체(110)의 오픈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센서부(121)는 제1 전원 센서부(121a)와 제2 전원 센서부(121b)가 접촉되어 있으면 책 본체(110)가 오픈되지 않은 것으로 센싱하고, 제1 전원 센서부(121a)와 제2 전원 센서부(121b)가 접촉되어 있지 않으면 책 본체(110)가 오픈된 것으로 센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전원 센서부(121a)와 제2 전원 센서부(121b) 간의 접촉은 자기력 세기를 기초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1 전원 센서부(121a)와 제2 전원 센서부(121b) 간의 자기력 세기가 기준 자기력 세기 이상이면 상호 접촉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원 센서부(121)는 홀센서로 구현되어 자기장에 따라 변하는 전압을 기준으로 책 본체(110)의 오픈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페이지 센서부(122)는 전면표지(111) 또는 후면표지(112)에 부착되어 해당 속지(113)의 페이지를 인식한다. 페이지 센서부(122)는 적어도 하나의 속지(113) 각각에 부착된 자력부재(113-2a, 113-2b) 또는 속지 고유 코드(미도시)와 접촉함에 따라 해당 속지(113)의 페이지를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페이지 센서부(122)는 제1 자력부재(113-2a) 및 제2 자력부재(113-2b)의 접촉을 카운트하여 해당 속지의 페이지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를 참조하면, 페이지 센서부(122)는 제1 자력부재(113-2a)가 하나 카운트되면 해당 속지가 1페이지에 해당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제1 자력부재(113-2a)가 하나 카운트되고 제2 자력부재(113-2b)가 하나 카운트되면 해당 속지가 2페이지에 해당하는 것으로 인식하며, 제1 자력부재(113-2a)가 두 개 카운트되고 제2 자력부재(113-2b)가 두 개 카운트되면 해당 속지가 4페이지에 해당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자력부재(113-2a)와 제2 자력부재(113-2b)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기 때문에 서로 다른 자기장을 발생하여 페이지 센서부(122)에서 각각 카운팅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페이지 센서부(122)는 속지 고유 코드(미도시)를 센싱하여 해당 속지의 페이지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이지 센서부(122)는 제1 속지 고유 코드를 센싱하면 해당 속지가 1페이지에 해당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제1 속지 고유 코드 및 제2 속지 고유 코드를 센싱하면 해당 속지가 2페이지에 해당하는 것으로 인식하며, 제1 속지 고유 코드, 제2 속지 고유 코드, 제3 속지 고유 코드 및 제4 속지 고유 코드를 센싱하면 해당 속지가 4페이지에 해당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여기에서, 페이지 센서부(122)는 가장 마지막에 센싱된 속지 고유 코드를 기초로 해당 속지의 페이지를 인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의 콘텐츠 제공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제공부(130)는 영상 출력부(131) 및 음성 출력부(132)를 포함한다. 또한, 콘텐츠 제공부(130)는 영상 출력부(131) 및 음성 출력부(132)와 연관된 영상 및 음성을 저장히는 콘텐츠 저장모듈(미도시)(즉, 메모리)을 더 포함한다.
한편, 콘텐츠 제공부(130)는 영상 출력부(131) 및 음성 출력부(132)에 전원을 공급하는 베터리(예를 들어, 리튬 베터리)와 영상 출력부(131) 및 음성 출력부(132)의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메인 보더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영상 출력부(131)는 메인 천공부(112)에 배치되어 센서부(120)에 의해 센싱된 신호에 따라 상품 관련 영상을 출력한다. 영상 출력부(131)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상품 관련 영상은 동영상과 같은 동적 영상 및 이미지와 같은 정적 영상을 포함한다.
영상 출력부(131)는 전원 센서부(121)에서 책 본체(110)의 오픈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영상을 출력하고, 영상 및 음성을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모듈로부터 페이지 센서부(122)에서 인식된 해당 속지의 페이지에 대응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 출력부(131)는 콘텐츠 제어 버튼부(140)에 의해 영상 재생, 영상 정지, 다음 영상 재생, 이전 영상 재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영상 출력부(131)는 센서부(120)에 의해 센싱된 신호와 무관하게 콘텐츠 제어 버튼부(140)에 의한 제어신호를 기초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음성 출력부(132)는 영상과 연관된 음성을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32)는 스피커로 구현되고 전면표지(111) 또는 후면표지(112)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거나, 책 본체(110)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음성은 사람의 목소리, 노래 등을 포함한다.
음성 출력부(132)는 전원 센서부(121)에서 책 본체(110)의 오픈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음성을 출력하고, 영상 및 음성을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모듈로부터 페이지 센서부(122)에서 인식된 해당 속지의 페이지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음성 출력부(132)는 콘텐츠 제어 버튼부(140)에 의해 음성 재생, 음성 정지, 다음 음성 재생, 이전 음성 재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음성 출력부(132)는 센서부(120)에 의해 센싱된 신호와 무관하게 콘텐츠 제어 버튼부(140)에 의한 제어신호를 기초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의 콘텐츠 제어 버튼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제어 버튼부(140)는 전면표지(111) 또는 후면표지(112)에 형성된 버튼 천공부(미도시)에 구비되고 스위칭 소자로 구현되어 사용자에 의해 일정 크기의 압력이 가해지면 해당 버튼에 대응하는 신호를 콘텐츠 제공부(130)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제어 버튼부(140)는 재생버튼, 정지버튼, 다음버튼, 이전버튼, 볼륨 조절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콘텐츠 제어 버튼부(140)는 녹음버튼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을 해당 속지와 연관시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음성을 해당 속지와 연관된 영상 및 음성과 함께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100)을 자동차 브로슈어로 가정하여 하나의 예시로 설명한다.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100)은 사용자에 의해 책 본체(110)가 오픈되면 전원 센서부(121)에서 이를 감지하고, 영상 출력부(131) 및 음성 출력부(132)에서 기업 관련 홍보 또는 해당 상품에 대한 전체적인 설명 관련 영상 및 음성을 각각 출력한다. 여기에서,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100)은 속지(113)의 1페이지에 목차 관련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100)은 페이지 센서부(122)에서 다른 페이지(예를 들어, 2페이지)를 인식하면 영상 출력부(131) 및 음성 출력부(132)에서 해당 페이지의 속지에 있는 텍스트와 연관된 영상 및 음성을 각각 출력한다. 예를 들어, 해당 페이지의 속지에 있는 텍스트는 자동차에 대한 외관을 설명하는 문장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100)은 해당 페이지에 대응되는 텍스트, 영상 및 음성을 동시에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자동차를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어, 상품 마케팅(PPL; Product PLacement)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
110: 책 본체 111: 전면표지
112: 후면표지 113: 속지
114: 메인 천공부 115: 사이트 연결 식별 코드
116: 이어폰 연결 포트
120: 센서부 121: 전원 센서부
122: 페이지 센서부
130: 콘텐츠 제공부 131: 영상 출력부
132: 음성 출력부
140: 콘텐츠 제어 버튼부

Claims (7)

  1. 전면표지 및 후면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표지 및 상기 후면표지 중 적어도 하나에 메인 천공부가 형성되는 책 본체;
    상기 책 본체에 부착되어 상기 책 본체의 오픈 여부를 센싱하는 센서부; 및
    상기 메인 천공부에 배치되어 상기 센서부에 의해 센싱된 신호에 따라 상품 관련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 및 상기 영상과 연관된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는 콘텐츠 제공부를 포함하는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책 본체는 사이트 연결 식별 코드 및 상기 전면표지와 상기 후면표지 사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속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속지는 상기 영상 및 음성과 연관된 텍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천공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서브 천공부가 형성되는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속지는 제1 극성을 가지는 제1 자력부재와 제2 극성을 가지는 제2 자력부재 중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력부재와 상기 제2 자력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속지에 서로 교호하도록 포함되는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전면표지 및 상기 후면표지 각각에 상호 대응하도록 부착되어 상기 책 본체의 오픈 여부를 센싱하는 전원 센서부; 및
    상기 전면표지 또는 상기 후면표지에 부착되고 상기 제1 자력부재 및 상기 제2 자력부재의 접촉을 카운트하여 해당 속지의 페이지를 인식하는 페이지 센서부를 포함하는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부는
    상기 영상 및 음성을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콘텐츠 저장모듈로부터 상기 페이지 센서부에서 인식된 해당 속지의 페이지에 대응하는 영상 및 음성을 검출하는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책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콘텐츠 제공부와 연결되어 상기 영상 및 음성에 대한 출력 상태를 제어하는 콘텐츠 제어 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책 본체는
    상기 전면표지 또는 후면표지에 상기 음성 출력부와 연결되는 이어폰 연결 포트를 더 포함하는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
KR1020150077941A 2015-06-02 2015-06-02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 KR201601420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941A KR20160142066A (ko) 2015-06-02 2015-06-02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941A KR20160142066A (ko) 2015-06-02 2015-06-02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066A true KR20160142066A (ko) 2016-12-12

Family

ID=57574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941A KR20160142066A (ko) 2015-06-02 2015-06-02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20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3550B1 (ko) 2022-07-14 2022-08-19 주식회사 도서출판지혜로 독서 모니터링 장치
KR102560786B1 (ko) * 2023-01-26 2023-07-26 권금화 스마트 카탈로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775Y1 (ko) 2001-05-24 2001-10-15 서문환 자동으로 책의 페이지를 인식하여 책의 내용을 소리로들려주는 장치
KR20080090117A (ko) 2007-04-04 2008-10-08 주식회사 지팡이 페이지를 자동 인식하는 도서내용출력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775Y1 (ko) 2001-05-24 2001-10-15 서문환 자동으로 책의 페이지를 인식하여 책의 내용을 소리로들려주는 장치
KR20080090117A (ko) 2007-04-04 2008-10-08 주식회사 지팡이 페이지를 자동 인식하는 도서내용출력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3550B1 (ko) 2022-07-14 2022-08-19 주식회사 도서출판지혜로 독서 모니터링 장치
KR102560786B1 (ko) * 2023-01-26 2023-07-26 권금화 스마트 카탈로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unan et al. The Cambridge guide to teaching English to speakers of other languages
US9491876B2 (en) Video display device
CN106980459A (zh) 基于触屏设备的点读方法及装置
CN102187378A (zh) 印刷品
MX2010011312A (es) Un sistema de libro sensible y metodo para el mismo.
US20200281081A1 (en) Customizable marketing apparatus
US8538758B2 (en) Electronic apparatus
KR20160142066A (ko) 상품 마케팅용 멀티 콘텐츠북
KR20160142067A (ko) 교육용 멀티 콘텐츠북
US20160148521A1 (en) Sensitivity adjustment for talking book
KR20210141855A (ko) 비디오 스토리지 앨범
US20160147314A1 (en) Talking notebook
US20160148517A1 (en) Talking notebook with projection
JP2013154885A (ja) 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物品情報音声報知システム
US20160148519A1 (en) Replaceable paper-based touch booklets
JP3190471U (ja) ティッシュボックス用のカバー
TW201528228A (zh) 互動式感應學習裝置
KR200287177Y1 (ko) 인식부가 내장된 학습물
KR100424765B1 (ko) 착탈가능한 커버 겸용 디스플레이장치를 갖는 전자책
JP4303975B2 (ja) シート状表示体
JP3192906U (ja) 広告表示部付き自動しおり
JP3198581U (ja) 名刺型付箋収納ケース、及び、付箋
US20110304130A1 (en) Identifying Film for Optical Code
JP3194841U (ja) 音声情報提供装置
JP3134685U (ja) ビットマップデータ付きシ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