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4765B1 - 착탈가능한 커버 겸용 디스플레이장치를 갖는 전자책 - Google Patents

착탈가능한 커버 겸용 디스플레이장치를 갖는 전자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4765B1
KR100424765B1 KR10-2001-0064219A KR20010064219A KR100424765B1 KR 100424765 B1 KR100424765 B1 KR 100424765B1 KR 20010064219 A KR20010064219 A KR 20010064219A KR 100424765 B1 KR100424765 B1 KR 100424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main body
screen
book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4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2441A (ko
Inventor
여영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4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4765B1/ko
Publication of KR20030032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2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4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47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25User interface arrangements, e.g. keyboard, display; Interfaces to other computer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06F15/025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 G06F15/0291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adapted to a specific application for reading, e.g. e-boo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착탈가능한 커버 겸용 디스플레이장치를 갖는 전자책이 개시된다. 전자책은, 판상구조를 가지며 일면에 화면이 구비되고 타면에 커버시트가 부착된 디스플레이장치, 판상구조를 가지며 디스플레이장치에 면접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장치를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디스플레이장치와 상호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연결수단을 갖는 본체, 및 판상구조를 가지며 본체의 판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접촉을 감지하는 보조입력장치를 갖는다. 화면은 외부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스크린이고, 보조입력장치는 접촉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로 출력하고, 디스플레이장치는 입력된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커버시트에 디스플레이장치를 겸함으로써 제품의 휴대시 터치스크린의 손상을 막을 수 있고, 보조입력장치를 부착함으로써 한정된 노트 필기영역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착탈가능한 커버 겸용 디스플레이장치를 갖는 전자책{e-Book having a detachable display unit serving as a cover sheet}
본 발명은 전자 교과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어린이의 입장에서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전자 교과서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어린이의 교육 환경은 괄목 성장할 정도로 눈부시게 발달되고 있다. 그러나 첨단시대를 살아가는 어린이들의 교육 자료인 책은 그렇게 크게 변하지 않았다. 오히려 사회가 세분화되고, 다양하게 문화가 발전되면서, 어린이들에게는 그만큼 학습해야할 분야가 많아지고 있다. 또한, 많은 양의 학습을 하기 위해서는 그 만큼 많은 책을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무거운 책가방을 메고, 집에서 학교로 학교에서 학원으로 옮겨다녀야 하는 일은 공부를 하는 당사자인 어린이들에게 힘겨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뿐만 아니라, 매년 종이로 된 교과서 및 참고서를 출판하여, 각급 일선 학교에 배포하여야 하며, 그 배포한 만큼의 종이 폐지가 발생하여, 원자재 및 출판비용에 낭비가 발생한다. 또한 자녀를 둔 가정의 입장에서도 매년 자녀들이 상위 학년으로 올라갈 때마다 교과서나 참고서를 사주어야 하기 때문에 비용 부담이 크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어린이들의 학습내용을 데이터 형식으로 관리 및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전자책이 출시되었다. 전자책은 교과서 및 참고서의 내용이 데이터로 저장된 전자 도서들을 인터넷 및 네트워크 상에서 다운로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책은 학습한 내용에 대해 노트 필기가 가능하여 기존의 종이 노트를 대체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전자책은 노트 필기할 수 있는 화면이 한정되어 있어, 노트 필기할 내용이 많을 경우, 어린이에게 대처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종래의 전자책은 본체(미도시) 및 교과서의 내용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미도시)가 일체로 형성되어 야외에서 전자책을 휴대하고 다닐 경우, 전자책이 외부에 부딪침으로 인한 디스플레이의 손상을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자책을 소정의 케이스에 담고 다닐 경우, 전자책을 휴대하는데 부피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가 외부에 노출됨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표면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 및 디스플레이를 보호하면서 휴대가 간편한 전자책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기할 내용이 많은 경우 노트 필기 영역에 한정되지 않고 해당 내용을 필기할 수 있는 전자책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가능한 커버 겸용 디스플레이장치를 갖는 전자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이 적용된 전자책의 예를 도시한 상면도,
도 3은 도 2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그리고
도 4는 도 3의 디스플레이장치, 본체, 및 보조입력장치를 각각 분해한 상전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디스플레이장치 22 : 디스플레이부
24 : 터치스크린 40 : 본체
42 : 마이콤 44 : 고정부
46 : 제1연결부 48 : 제2연결부
52 : 제3연결부 54 : 메뉴제공부
56 : 오디오재생부 57 : 스피커
58 : 마이크 60 : 보조입력장치
62 : 보조입력패널 64 : 제4연결부
80 : 기록매체
상기와 같은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판상구조를 가지며 일면에 화면이 구비되고 타면에 커버시트가 부착된 디스플레이장치, 및 판상구조를 가지며 디스플레이장치에 면접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장치를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디스플레이장치와 상호 인터페이스가 가능한 연결수단을 갖는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에 의해 달성된다. 화면은 외부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스크린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전자책은, 판상구조를 가지며 본체의 판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접촉을 감지하는 보조입력장치를 더 갖는다. 여기서, 보조입력장치는 접촉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로 출력하고, 디스플레이장치는 입력된 정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책은 보조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기록매체가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미디어 연결부를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장치는 전자 잉크 디스플레이방식으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로 하여금 제어명령을 입력하도록 소정의 제어메뉴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체는, 저장매체에서 출력된 오디오데이터를 재생하는 오디오재생부, 및 오디오재생부로부터 재생된 오디오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가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시트에 디스플레이장치를 겸함으로써, 제품의 휴대시 터치스크린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외에 터치 감지 수단으로 보조입력장치를 부착함으로써, 한정된 노트 필기영역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가능한 커버 겸용 디스플레이장치를 갖는 전자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에 따른 전자책은, 판상구조로서 일면에 이미지 및 텍스트가 표시되는 화면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20), 판상구조로서 디스플레이장치(20)와 연결되어 상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본체(40), 판상구조로서 본체(40)의 판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부의 접촉을 감지하는 보조입력장치(60)를 갖는다.
디스플레이장치(20)는 디스플레이부(22), 및 터치스크린(touch screen)(24)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장치(20)는 일 면이 터치스크린(24)이고 타면이 본체(42)의 면접되는 부위에 대한 커버시트(cover sheet)이다. 디스플레이부(22)는 이미지 데이터 및 텍스트 데이터 등과 같은 표시 가능한 데이터에 대한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한다. 터치스크린(24)에는 디스플레이부(22)에서 출력된 데이터에 대응되는 이미지 또는 텍스트가 표시된다. 터치스크린(24)은 외부로부터의 접촉을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를 디스플레부(22)에 제공한다.
본체(40)는, 고정부(44), 제1연결부(46), 제2연결부(48), 제3연결부(52), 및 마이콤(42)을 갖는다. 고정부(44)는 디스플레이장치(20)가 면접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장치(20)를 고정시킨다. 즉, 본체(40)에 면접된 디스플레이장치(20)의 상면이 터치스크린(24)이든지, 커버시트 이든지에 상관없이, 본체(40)에 면접된 디스플레이장치(20)를 고정시킨다. 제1연결부(46)는 디스플레이장치(20)와 상호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본체(40)에 대해 면접된 디스플레이장치(20)의 상면이 터치스크린(24)인 경우, 본체(40) 및 디스플레이장치(20)는본체(40) 및 디스플레이장치(20) 각각에 마련된 제1연결부(46)에 의해 상호 통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부(48)는 외부 기록매체(80)가 착탈가능하고, 보조입력장치(60)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저장명령에 따라 기록매체(80)에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제3연결부(52)는 외부 컴퓨터와 상호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무선 통신 및/또는 유선 통신에 대한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마이콤(42)은 제1연결부(46), 제2연결부(48), 및 제3연결부(52)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한다.
한편, 본체(40)는 사용자로 하여금 제어명령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어메뉴를 제공하는 메뉴제공부(54)를 갖는다. 이러한 제어메뉴는 마이콤(42)에 의해 디스플레이장치(20)에 전송되고, 디스플레이부(22)에 의해 터치스크린(24)에 표시된다. 또한, 본체(40)는 외부의 사운드를 수령하는 마이크(58)를 갖는다. 그리고, 본체(40)는 마이크(58), 제2연결부(48), 및 제3연결부(52)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오디오재생부(56), 및 오디오재생부(56)로부터 재생된 오디오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57)를 갖는다.
보조입력장치(60)는, 제4연결부(64) 및 보조입력패널(62)을 갖는다. 제4연결부(64)는 디스플레이부(22)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보조입력패널(62)은 판상구조로서 외부로부터의 접촉을 감지한다. 보조입력패널(62)은 접촉에 따라 입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2)로 출력하고, 디스플레이부(22)는 입력된 정보를 터치스크린(24)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보조입력장치(60)는 본체(40)의 판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본체(40)에 결합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부(22)는 입력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때 전자 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전자잉크 디스플레이방식이 적용된 디스플레이부(22)는 일반 LCD(Liquid Crystal Display)와는 달리 플라스틱소재를 사용한다. 따라서, 전자잉크 디스플레이방식이 전용된 디스플레이부(22)는 휴대하기에 무게가 가볍고 유연성이 있으며 튼튼하다. 또한, 이러한 전자잉크 디스플레이방식이 전용된 디스플레이부(22)는 표시되는 문서 또는 영상이 주변의 조명의 영향 및 사용자의 주시 방향에 최소의 영향을 받으며, 전력 소비면에서도 LCD에 비해 적게 소모된다.도 2는 도 1이 적용된 전자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2a는 전자책의 본체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b 및 도 2c는 전자책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앞면 및 뒷면을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본체(40)는 디스플레이장치(2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44), 디스플레이장치(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1연결부(46), 스피커(57), 마이크(58), 기록매체(80)가 삽입 결합되는 제2연결부(48)를 구비한다. 또한, 본체(40)의 상단에는 이동이 편하도록 마련된 연결고리(90)를 구비한다. 도 2a는 본체(40)의 좌측의 제2연결부(48)에는 원통형상의 기록매체(80)가 삽입 결합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며, 본체(40)의 우측의 제2연결부(48)에는 기록매체(80)가 삽입 결합되지 않은 경우를 도시하였다.디스플레이장치(20)는 일면이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24)으로 이루어지며, 타면이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시트(26)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터치스크린(24)는 외부로부터의 접촉을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전기신호를 동일한 면에 표시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22)를 겸하는 장치이다. 터치스크린(24)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 세부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디스플레이장치(20)의 커버시트(26)에는 본체(40)의 제1연결부(46)와 접속되어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1연결부(46)가 구비된다. 즉, 디스플레이장치(20)의 터치스크린(24)이 상면이 되도록 본체(40)와 결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20)는 본체(40)의 고정부(44)에 의해 고정되며, 디스플레이장치(20)의 제1연결부(46)와 본체(40)의 제1연결부(46)는 서로 접속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20)의 커버시트(26)가 상면이 되도록 본체(40)와 결합되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20)는 본체(40)의 고정부(44)에 의해 고정되며, 터치스크린(24)는 본체(40)와 접합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된다.
도 3은 도 2를 전개한 상태에서 동작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에서, 전자책은 기록매체(80)에 저장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장치(20)의 터치스크린(24)에 표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20)는 일 면이 커버시트(26)이고 타면이 터치스크린(24)임을 알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터치스크린(24)은 표시된 데이터에 대한 편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보조입력장치(60)는 본체(40)의 배면의 소정 부위에 판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보조입력장치(60)는 보조입력패널(62)을 통해 외부로부터의 접촉을 감지한다. 이에 따라, 보조입력장치(60)는 보조입력패널(62)에 소정의 접촉이 감지되면, 접촉된 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20)로 출력한다. 이때, 디스플레이장치(20)는 입력된 정보를 터치스크린(24)에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2)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4는 도 3의 디스플레이장치(20), 본체(40), 및 보조입력장치(60)를 각각 분해하여 도시한 상전면도이다. 본체(40)는 디스플레이장치(20)가 면접될 때, 디스플레이장치(2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44)를 갖는다. 고정부(44)는 디스플레이장치(20)의 고정부(44)와 상호 맞물려 결합된다. 또한, 본체(40)는 디스플레이장치(20)의 제1연결부(46)와 상호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공하는 인터페이스(46)를 갖는다. 한편, 디스플레이장치(20)는 커버시트(26)가 상면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본체(40)와 면접될 때, 본체(40)와 고정 결합되기 위한 소정의 체결부(미도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보조입력장치(60)는 본체(40)와 데이터 전송케이블(66)로 보조입력장치(60)의 인터페이스(64)를 통해 상호 연결된다. 이에 따라, 보조입력장치(60)는 보조입력패널(62)을 통해 감지된 접촉에 대응하는 정보를 데이터 전송케이블(66)을 통해 본체(40)에 전송한다. 본체(40)의 마이콤(42)은 수신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2)에 전송한다. 디스플레이부(22)는 입력된 정보를 터치스크린(24)을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시트에 디스플레이장치를 겸함으로써, 제품의 휴대시 터치스크린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 외에 터치 감지 수단으로 보조입력장치를 부착함으로써, 한정된 노트 필기영역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7)

  1. 판상구조를 가지고, 일면에 화면이 구비되고 타면에 커버시트가 부착되며, 상기 커버시트의 소정 위치에 외부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1연결수단이 구비된 디스플레이장치; 및
    판상구조를 가지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면접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를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및 상기 제1연결수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연결수단과 접속하기 위한 제2연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이 상면이 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고정된 경우에 처리된 데이터를 상기 제1연결수단 및 상기 제2연결수단을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하는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은 외부 접촉을 감지하는 터치스크린이며, 상기 본체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지된 상기 외부 접촉을 신호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
  3. 제 2항에 있어서,
    판상구조를 가지며, 상기 본체의 판면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부로부터 접촉을 감지하는 보조입력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입력장치는 상기 접촉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출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상기 정보를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입력장치로부터 입력된 상기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기록매체가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미디어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전자 잉크 디스플레이방식으로 상기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로 하여금 제어명령을 입력하도록 소정의 제어메뉴를 상기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저장매체에서 출력된 오디오데이터를 재생하는 오디오재생부; 및
    상기 오디오재생부로부터 재생된 상기 오디오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책.
KR10-2001-0064219A 2001-10-18 2001-10-18 착탈가능한 커버 겸용 디스플레이장치를 갖는 전자책 KR100424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219A KR100424765B1 (ko) 2001-10-18 2001-10-18 착탈가능한 커버 겸용 디스플레이장치를 갖는 전자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219A KR100424765B1 (ko) 2001-10-18 2001-10-18 착탈가능한 커버 겸용 디스플레이장치를 갖는 전자책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2441A KR20030032441A (ko) 2003-04-26
KR100424765B1 true KR100424765B1 (ko) 2004-03-30

Family

ID=29565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4219A KR100424765B1 (ko) 2001-10-18 2001-10-18 착탈가능한 커버 겸용 디스플레이장치를 갖는 전자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47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2878A (ko) 2004-05-28 2005-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 영동 표시 장치
KR100893170B1 (ko) * 2006-12-22 2009-04-17 이정숙 팝-업 북을 이용한 동영상 제공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9393A (ko) * 1993-09-21 1995-04-21 강창록 착탈식 디스플레이 판넬을 갖는 휴대용 컴퓨터
US5608863A (en) * 1991-04-23 1997-03-04 Seiko Epson Corporation Portable computer system having a display housing providing a stacked structure to accommodate display panel, circuit board, rechargeable sheet battery, charging circuit and terminal
KR19980016003U (ko) * 1996-09-13 1998-06-25 김광호 액정표시장치의 분리 장착이 가능한 휴대용 컴퓨터
KR200166528Y1 (ko) * 1999-08-02 2000-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엘씨디모듈이분리가능한휴대용무선단말기
KR100286976B1 (ko) * 1998-10-07 2001-07-12 윤종용 정보처리장치 및 이에 채용되는 화상표시모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8863A (en) * 1991-04-23 1997-03-04 Seiko Epson Corporation Portable computer system having a display housing providing a stacked structure to accommodate display panel, circuit board, rechargeable sheet battery, charging circuit and terminal
KR950009393A (ko) * 1993-09-21 1995-04-21 강창록 착탈식 디스플레이 판넬을 갖는 휴대용 컴퓨터
KR19980016003U (ko) * 1996-09-13 1998-06-25 김광호 액정표시장치의 분리 장착이 가능한 휴대용 컴퓨터
KR100286976B1 (ko) * 1998-10-07 2001-07-12 윤종용 정보처리장치 및 이에 채용되는 화상표시모듈
KR200166528Y1 (ko) * 1999-08-02 2000-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엘씨디모듈이분리가능한휴대용무선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2441A (ko) 200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8019B1 (ko) 다목적학습기
KR101475736B1 (ko) 필기 가능한 전자 책
US20120127642A1 (en) Digital Book
US20080046818A1 (en) Non-electronic books with displays
KR20070053978A (ko) 전자칠판 시스템
KR101157630B1 (ko) 시청각 교육용 학습서 및 학습 키트
KR100424765B1 (ko) 착탈가능한 커버 겸용 디스플레이장치를 갖는 전자책
JP2012196847A (ja) 電子黒板、生徒端末、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JP2000293120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20020079239A (ko) 학습기
EP1941439A1 (en) Multimedia publication
KR20110059426A (ko) 전자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WO2014129740A1 (ko) Nfc를 이용한 학습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학습 시스템
KR20020030462A (ko) 교재 전용 디스플레이 장치
KR20020071242A (ko) 유무선 겸용 전자교과서 및 그 기록매체
JP3057945U (ja) Cd−rom読み取り装置
CN201311772Y (zh) 谱例读写器
KR20060116985A (ko) 인쇄 구분자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재생시스템 및 방법
WO2021074474A1 (es) Dispositivo electrónico para estudio y trabajo
KR20070079304A (ko) 학습 시스템
KR200388560Y1 (ko) 멀티 모니터링 통합 데스크시스템
JP2007128476A (ja) パソコン用水平設置式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
KR100459242B1 (ko) 오버레이 기법을 이용한 전자칠판시스템 구현방법
KR200366124Y1 (ko) 구멍이 제공된 스티커를 이용한 학습용 카드
JPH06262877A (ja) 液晶表示装置付書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