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1126A - 병렬식 psa 및 멤브레인 기반의 바이오 가스 정제를 위한 유량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병렬식 psa 및 멤브레인 기반의 바이오 가스 정제를 위한 유량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1126A
KR20160141126A KR1020150074869A KR20150074869A KR20160141126A KR 20160141126 A KR20160141126 A KR 20160141126A KR 1020150074869 A KR1020150074869 A KR 1020150074869A KR 20150074869 A KR20150074869 A KR 20150074869A KR 20160141126 A KR20160141126 A KR 20160141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rate
psa
membrane
biogas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4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7480B1 (ko
Inventor
이상진
배명원
김학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to KR1020150074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480B1/ko
Publication of KR20160141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1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02F11/04Anaerobic treatment; Production of methane by such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7Pressure swing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 B01D53/225Multiple stage diffusion
    • B01D53/227Multiple stage diffusion in parallel connex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2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meth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렬식 PSA 및 멤브레인 기반의 바이오 가스 정제를 위한 유량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바이오 가스에서 바이오 메탄을 정제함에 있어서, PSA과 멤브레인 공법을 병렬식으로 구성하여 병행작동시키되, 최초 공급 또는 공급되는 메인유량에 맞춰 상호간 상이한 처리유량을 보유한 PSA와 멤브레인을 개별작동 및 동시작동시킴으로써, 계절별로 상이하게 생산되는 바이오 가스의 유량을 제어하여 일정한 품질의 바이오 메탄을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한 병렬식 PSA 및 멤브레인 기반의 바이오 가스 정제를 위한 유량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병렬식 PSA 및 멤브레인 기반의 바이오 가스 정제를 위한 유량 제어방법{FLOW CONTROL METHOD FOR PARALLEL TYPE BIO GAS PURIFICATION SYSTEM USING PRESSURE SWING ADSORPTION AND MEMBRANE SEPARATION PROCESS}
본 발명은 병렬구조를 가지는 PSA(pressure swing adsorption) 및 멤브레인(membrane separation)을 사용하여 바이오 가스에서 바이오 메탄을 정제하되, 처리대상이 되는 메인유량을 측정하고 이에 대응하여 PSA 및 멤브레인의 동시작동 및 개별작동을 제어함으로서, 효율적인 유량제어 및 일정품질의 바이오 메탄 생산이 가능하도록 한 병렬식 PSA 및 멤브레인 기반의 바이오 가스 정제를 위한 유량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이오 가스는 슬러지류 및 음식물쓰레기, 가축분뇨 등의 유기성 폐자원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면서 생성되는 메탄과 이산화탄소 등을 포함하는 기체 혼합물을 일컫고, 이러한 바이오 가스 중에서 이산화탄소 및 일부 다른 가스가 제거된 메탄가스를 바이오메탄이라고 하는데, 최근에는 천연가스와 같이 청정연료로 사용될 수 있어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바이오 가스 중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이산화탄소/메탄 혼합기체를 분리하는 공정을 적용하여, 발전, 보일러, 공장 및 자동차 연료 또는 도시가스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바이오 가스 중에서 메탄(CH4)은 가연성 물질로 도시가스나 차량 연료 등의 에너지원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바이오 가스 중에 포함된 메탄 이외의 불순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바이오 가스의 정제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인데, 상기 바이오 가스의 정제기술은, 상기 바이오 가스에 함유된 황화수소(H2S), 실록산, 수분, 미세입자등 불순물을 제거하고, 메탄(CH4)함량이 높은 고품질의 연료로 전환하여 차량 연료 및 도시가스로 활용하는 기술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이오 가스의 정제기술로는 흡착법(pressure swing adsorption), 흡수법(water scrubbing, methanol scrubbing, polyethylene glycol scrubbing 등), 막분리법(membrane separation), 초저온 액화기술, 가스하이드레이트 기술 등이 있다.
흡착법은 흡착제와 혼합가스의 압력순환에 의해서 생기는 흡착 평형량의 차이를 이용하여 혼합가스 중 특정 성분을 선택적으로 분리하는 기술로 주로 고압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착하고 메탄을 정제하며 저압에서 흡착성분을 탈착하는 방식이다.
흡수법으로는 주로 water scrubbing process가 적용되는데, 이 공정은 흡수액의 종류, 기액 접촉면적, 가스와 물의 온도에 따라 성능이 좌우된다. 그렇지만 정제된 메탄가스에 다량의 수분이 포화되어 이를 제거하기 위한 후처리 공정의 추가 또는 용량이 증가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막분리법은 분리막을 이용한 정제기술로서 플랜트 공정이 간단해진다. 흡착법, 흡수법 같은 경우 전처리 과정이 복잡하거나 폐수처리 등 다양한 공정이 필요한데 비해 분리막을 이용한 방법(막 분리법)은 설비를 기존 플랜트의 1/3 크기로 소형화할 수 있어 초기투자비용이 저렴하다. 이산화탄소의 분자 크기는 0.330nm이며 메탄가스의 분자 크기는 0.380nm인데, 이 크기와 투과속도 차이를 이용해 메탄과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것이며, 상변화를 동반하지 않아 에너지 소모가 적고, 설치면적이 작아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어 근래에 기체분리 및 정제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바이오가스 정제설비에는 이들 중 하나의 방식이 채택되고 있는데 이는 몇 가지 사안에서 경제적 손실을 유발시킬 수도 있다. 바이오가스 발생량은 계절에 따라 상이하며 특히 겨울철에는 여름철에 비하여 약 30% 정도의 바이오가스 발생량 감소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하나의 방식을 채택하여 년 중 최대 바이오가스 발생량 기준으로 바이오가스 에너지화 플랜트 건설할 경우 바이오가스 생산량이 감소될 시 이에 따른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하여 상당한 설비운영경비의 손실부담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바이오가스 발생량의 감소 또는 긴급상황으로 인해 설계 조건 이하의 유량이 가스정제시스템 내로 유입될 시 정제방식에 따라 생산물의 품질 저하가 발생될 수도 있다. 특히, 흡착식의 경우 그 가스분리 특성 상 유량 감소에 따라 설계치 이하의 압력으로 가스 유입 시에는 정제 효율이 감소한다. 정제 효율 감소의 방지를 위해서는 연속운전 대신 전체 설비의 On/Off 운전이 증가하여 에너지소모를 증대시키므로 결과적으로 시스템 전체 효율을 저감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이오 가스에서 바이오 메탄을 정제함에 있어서, PSA와 멤브레인을 병렬구조로 하여 사용하되, 바이오 가스의 생산량에 의해 변동되는 최초 바이오가스 유입유량을 항시 측정하여, 이에 대응시켜 상호간 처리유량이 상이하게 구성된 PSA와 멤브레인을 개별구동 또는 동시구동을 시키거나, 처리되지 못하고 남은 바이오 가스는 바이패스시키는 등 유량을 제어함으로서, 항시 일정한 품질의 바이오 메탄의 안정적 생산이 가능해지는 병렬식 PSA 및 멤브레인 기반의 바이오 가스 정제를 위한 유량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음식물 및 가축분뇨의 폐기물을 소화하여 발생된 바이오 가스가 저장된 가스 소화조 내 저장레벨을 측정하는 저장레벨측정단계(S100); 상기 가스 소화조 저장레벨이 사전설정된 저장레벨 이상이 되는 경우, 상호간 병렬로 연결된 PSA 및 멤브레인으로 바이오 가스가 공급되는 공급단계(S200); 최초 공급되는 바이오 가스의 메인유량에 따라, 상호간 상이한 처리유량을 가지는 PSA와 멤브레인이 개별작동 또는 동시작동되어, 바이오 가스에서 바이오 메탄이 정제되도록 하는 정제단계(S3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가스정제방식(PSA+멤브레인)을 사용하여, 생산 또는 공급되는 바이오 가스의 메인유량에 신속히 대응하여 처리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일정한 품질의 바이오 메탄의 안정적 생산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병렬식 PSA 및 멤브레인 기반의 바이오 가스 정제를 위한 유량 제어방법을 나타낸 일실시에의 공정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음식물 및 가축분뇨의 폐기물을 소화하여 발생된 바이오 가스가 저장된 가스 소화조 내 저장레벨을 측정하는 저장레벨측정단계(S100); 상기 가스 소화조저장레벨이 사전설정된 저장레벨 이상이 되는 경우, 상호간 병렬로 연결된 PSA 및 멤브레인으로 바이오 가스가 공급되는 공급단계(S200); 최초 공급되는 바이오 가스의 메인유량에 따라, 상호간 상이한 처리유량을 가지는 PSA와 멤브레인이 개별작동 또는 동시작동되어, 바이오 가스에서 바이오 메탄이 정제되도록 하는 정제단계(S3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제단계(S300)는 메인유량이 PSA와 멤브레인 각 최저 처리유량보다 작은 경우, 바이오 가스가 가스 소화조로 바이패스되는 제 1경우(S310); 메인유량이 PSA와 멤브레인 중 상대적으로 처리유량이 작은 정제장치의 유량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해당 정제장치만 구동되어 바이오 가스가 정제되는 제 2경우(S320); 메인유량이 PSA와 멤브레인 중 첫번째 정제장치 최대처리유량보다는 크면서, 나머지 두번째 정제장치의 최소처리유량에는 미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첫번째 정제장치만 구동된 후, 나머지 바이오 가스는 가스 소화조로 바이패스되는 제 3경우(S330); 메인유량이 PSA와 멤브레인 중 상대적으로 처리유량이 큰 정제장치의 유량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해당 정제장치만 구동되어 바이오 가스를 정제하는 제 4경우(S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 1경우(S310), 제 2경우(S320), 제 3경우(S330), 제 4경우(S340)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제단계(S300)는 메인유량이 PSA와 멤브레인 두개의 정제장치 처리유량에 포함될 경우, PSA와 멤브레인은 동시에 작동되며, 메인유량은 항시 측정되어, 메인유량에 따라 PSA 또는 멤브레인의 개별작동으로 전환되는 제 5경우(S350); 메인유량이 PSA와 멤브레인 두개의 정제장치 처리유량 이상이 되는 경우, PSA와 멤브레인은 동시에 작동되며, 처리되지 못하는 나머지 바이오 가스는 가스 소화조로 바이패스되는 제 6경우(S36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 5경우(S350), 제 6경우(S360)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병렬식 PSA 및 멤브레인 기반의 바이오 가스 정제를 위한 유량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병렬식 PSA 및 멤브레인 기반의 바이오 가스 정제를 위한 유량 제어방법은 하기와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1. 음식물 및 가축분뇨의 폐기물을 소화하여 발생된 바이오 가스가 저장된 가스 소화조 내 저장레벨을 측정하는 저장레벨측정단계(S100): 바이오 메탄 정제대상이 되는 바이오 가스는 가스 소화조 내에 저장되며, 이러한 가스 소화조 내에는 바이오 가스의 저장레벨을 측정하기 위한 다양한 레벨 게이지가 설치되어, 해당 가스 소화조 내에 저장되는 바이오 가스의 채워진 정도를 항시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단계이다.
물론, 이러한 S100단계에서는 후술될 복수개의 정제공법인 PSA 및 멤브레인이 각각 OFF(작동중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은 당연하다.
2. 상기 가스 소화조 저장레벨이 사전설정된 저장레벨 이상이 되는 경우, 상호간 병렬로 연결된 PSA와 멤브레인으로 바이오 가스가 공급되는 공급단계(S200): 상기 S100단계를 통해 가스 소화조 내에 저장되는 바이오 가스의 저장레벨을 측정하되, 이러한 바이오 가스의 저장레벨이 사전설정 저장레벨 이상이 되는 경우, 송풍수단(ex: 블로워 등)을 작동시켜 바이오 가스가 PSA와 멤브레인 또는 PSA 또는 멤브레인 중 하나로 공급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가스 소화조 내 바이오 가스의 사전설정 저장레벨(가스 소화조 LEVEL)은, 상호간 상이한 처리유량을 가지는 PSA와 멤브레인 중, 처리유량이 작은 정제장치의 최저처리유량이 바이오 가스의 사전설정 저장레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원발명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PSA의 처리유량을 200N㎥/hr ~ 250N㎥/hr, 멤브레인의 처리유량을 PSA보다 작은 50N㎥/hr ~ 150N㎥/hr이라 가정하며, 가스 소화조 내 바이오 가스의 사전설정 저장레벨의 경우, 바이오 가스를 송풍수단을 통해 PSA와 멤브레인으로 이송시키는 최초 조건은 가스 소화조 저장레벨이 사전설정수위에 도달한 경우(ex: 가스 소화조 LEVEL > 400㎥/hr , 즉, 가스 소화조 내의 저장레벨이 400㎥/hr이상이 되면, 가스 소화조 내 레벨 게이지의 신호가 ON작동이 되어 제어부에 측정신호를 전달하게 되고, 이러한 제어부에는 전달받은 측정값에 맞춰, 후술될 S300단계에서 PSA와 멤브레인 중 어느 하나만을 구동시킬 것인지, 또는 PSA와 멤브레인를 동시에 구동시킬것인지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3. 최초 공급되는 바이오 가스의 메인유량에 따라, 상호간 상이한 처리유량을 가지는 PSA와 멤브레인이 개별동작 또는 동시작동되어, 바이오 가스에서 바이오 메탄이 정제되도록 하는 정제단계(S300): 상기 S200단계를 통해, 가스 소화조에 저장된 바이오 가스의 저장레벨이 사전설정 저장레벨 이상이 되면, 제어부에서는 이러한 바이오 가스가 최초 공급되어지는 유량, 즉 메인유량에 맞춰 PSA와 멤브레인의 개별작동 및 동시작동을 제어하여, 계절별로 공급되는 양이 변경되는 바이오 가스 유량을 제어하여, 항시 일정한 품질의 바이오 메탄이 생산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정제단계는 다양한 경우의 수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하기와 같다.
(본원발명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PSA의 처리유량을 200N㎥/hr ~ 250N㎥/hr, 멤브레인의 처리유량을 PSA보다 작은 50N㎥/hr ~ 150N㎥/hr이라 가정한다.)
① 메인유량이 PSA와 멤브레인 각 최저 처리유량보다 작은 경우, 바이오 가스가 가스 소화조로 바이패스되는 제 1경우(S310): 최초 공급되어져 공급되는 바이오 가스의 메인유량이 PSA와 멤브레인 중, 처리유량이 작은 PSA의 최초 처리유량인 50N㎥/hr보다 작은 경우(FLOW RATE < 50N㎥/hr), 제어부에서는 PSA와 멤브레인 모두 구동하지 않고 OFF시키고, 이러한 바이오 가스를 가스 소화조로 바이패스(Bypass)시키는 것이다.
② 메인유량이 PSA와 멤브레인 중 상대적으로 처리유량이 작은 정제장치의 처리유량에 포함되는 경우, 해당 정제장치만 구동되어 바이오 가스가 정제되는 제 2경우(S320): 처리대상이 되는 바이오가스의 메인유량이, PSA와 멤브레인 중 처리유량이 작은 멤브레인의 유량범위(처리유량범위)에 해당되는 경우(50N㎥/hr < FLOW RATE < 150N㎥/hr), 제어부는 멤브레인만을 구동시키고, PSA는 OFF시켜 바이오 메탄을 정제 생산하는 경우이다.
③ 메인유량이 PSA와 멤브레인 중 첫번째 정제장치 최대처리유량보다는 크면서, 나머지 두번째 정제장치의 최소처리유량에는 미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첫번째 정제장치만 구동된 후, 나머지 바이오 가스는 가스 소화조로 바이패스되는 제 3경우(S330): 처리대상이 되는 메인유량이, PSA와 멤브레인 중 처리유량이 작은 멤브레인의 유량범위(처리유량범위)의 최대값보다는 크지만, PSA의 최저처리유량ㅇ에에는 미치지 못하는 경우(150㎥/hr ≤ FLOW RATE ≤ 200N㎥/hr), 제어부는 전술된 제 2경우(S320)처럼 멤브레인만을 구동시키고, PSA는 OFF시켜 바이오 메탄을 정제하되, 처리하지 못하고 남는 미량의 바이오 가스는 가스 소화조로 바이패스 시키는 경우이다.
④ 메인유량이 PSA와 멤브레인 중 상대적으로 처리유량이 큰 정제장치의 처리유량에 포함되는 경우, 해당 정제장치만 구동되어 바이오 가스를 정제하는 제 4경우(S340): 처리대상이 되는 바이오 가스의 메인유량이, PSA와 멤브레인 중 처리유량이 상대적으로 더 큰 PSA의 유량범위(처리유량범위)에 해당되는 경우(200N㎥/hr ≤ FLOW RATE < 300N㎥/hr), 제어부는 PSA만을 구동시키고, 멤브레인는 OFF시켜 바이오 메탄을 정제 생산하는 경우이다.
더불어, 상기와 같이 제 1경우(S310), 제 2경우(S320), 제 3경우(S330), 제 4경우(S340)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정제공정이 진행이 되어, 사전설정된 시간 경과되면, 가스 소화조 내의 저장레벨을 측정하여(제어부에 의해 가스 소화조의 저장레벨은 항시 측정이 될 수 있음이다.), 이러한 저장레벨이 사전설정된 가스 소화조의 최저 저장레벨보다 낮은 경우(가스 소화조의 메인유량값이 처리유량이 작은 정제장치(ex: PSA)의 최저 처리용량에도 못미치는 경우, 가스 소화조 LEVEL > 50㎥/hr), PSA와 멤브레인 및 메인유량을 이송시키기 위한 블로워 모두 off 되고 정제공정은 정지하게 된다.
⑤ 메인유량이 PSA와 멤브레인 두개의 정제장치 처리유량에 포함될 경우, PSA와 멤브레인은 동시에 작동되며, 메인유량은 항시 측정되어, 메인유량에 따라 PSA 또는 멤브레인의 개별작동으로 전환되는 제 5경우(S350): 처리대상이 되는 바이오 가스의 메인유량이, PSA와 멤브레인 2개의 정제장치를 모두 구동했을시 처리할 수 있는 처리유량범위에 해당되는 경우로, 제어부는 PSA와 멤브레인을 동시에 구동시켜 바이오 메탄을 정제 생산하는 경우이다.
물론, 이렇게 PSA와 멤브레인을 동시 구동 시에도 공급되는 메인유량은 항시 체크되어, 메인유량이 PSA와 멤브레인 중 큰 처리유량을 가지는 PSA의 최대처리유량보다 작은 경우, 구동되던 멤브레인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제 4경우(S340)로 변경이 되도록 함은 당연할 것이다.
⑥ 메인유량이 PSA와 멤브레인 두개의 정제장치 처리유량 이상이 되는 경우, PSA와 멤브레인은 동시에 작동되며, 처리되지 못하는 나머지 바이오 가스는 가스 소화조로 바이패스되는 제 6경우(S360): 전술된 제 5경우(S350)에서 PSA와 멤브레인 두개 이상의 처리용량이 되어, PSA와 멤브레인 모두가 작동될 시, PSA와 멤브레인 각각의 유량을 측정했을때, 두개의 정제장 치 중 어느 하나의 정제장치의 처리유량이 한계에 도달하는 경우(PSA=0 or 멤브레인=0), 블러워 장치의 속도를 조절하여 처리되지 못하는 바이오 가스를 가스 소화조로 바이패스 하는 경우이다.
더불어, 전술된 바와 같이, 제 1경우(S310) ~ 제 6경우(360)는 가스 소화조의 저장레벨 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를 통해 하나의 경우가 선택되어 작동되는 것으로, 이러한 가스 소화조의 저장레벨은 실시간으로 항시 측정되어, 이러한 저장레벨값에 의해 선택되는 정제공정의 경우(제 1경우(S310) ~ 제 6경우(360))가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것임은 당연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3)

  1. 음식물 및 가축분뇨의 폐기물을 소화하여 발생된 바이오 가스가 저장된 가스 소화조 내 저장레벨을 측정하는 저장레벨측정단계(S100);
    상기 가스 소화조 저장레벨이 사전설정된 저장레벨 이상이 되는 경우, 상호간 병렬로 연결된 PSA 및 멤브레인으로 바이오 가스가 공급되는 공급단계(S200);
    최초 공급되는 바이오 가스의 메인유량에 따라, 상호간 상이한 처리유량을 가지는 PSA와 멤브레인이 개별작동 또는 동시작동되어, 바이오 가스에서 바이오 메탄이 정제되도록 하는 정제단계(S3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식 PSA 및 멤브레인 기반의 바이오 가스 정제를 위한 유량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단계(S300)는
    메인유량이 PSA와 멤브레인 각 최저 처리유량보다 작은 경우, 바이오 가스가 가스 소화조로 바이패스되는 제 1경우(S310);
    메인유량이 PSA와 멤브레인 중 상대적으로 처리유량이 작은 정제장치의 유량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해당 정제장치만 구동되어 바이오 가스가 정제되는 제 2경우(S320);
    메인유량이 PSA와 멤브레인 중 첫번째 정제장치 최대처리유량보다는 크면서, 나머지 두번째 정제장치의 최소처리유량에는 미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첫번째 정제장치만 구동된 후, 나머지 바이오 가스는 가스 소화조로 바이패스되는 제 3경우(S330);
    메인유량이 PSA와 멤브레인 중 상대적으로 처리유량이 큰 정제장치의 유량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해당 정제장치만 구동되어 바이오 가스를 정제하는 제 4경우(S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 1경우(S310), 제 2경우(S320), 제 3경우(S330), 제 4경우(S340)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식 PSA 및 멤브레인 기반의 바이오 가스 정제를 위한 유량 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단계(S300)는
    메인유량이 PSA와 멤브레인 두개의 정제장치 처리유량에 포함될 경우, PSA와 멤브레인은 동시에 작동되며, 메인유량은 항시 측정되어, 메인유량에 따라 PSA 또는 멤브레인의 개별작동으로 전환되는 제 5경우(S350);
    메인유량이 PSA와 멤브레인 두개의 정제장치 처리유량 이상이 되는 경우, PSA와 멤브레인은 동시에 작동되며, 처리되지 못하는 나머지 바이오 가스는 가스 소화조로 바이패스되는 제 6경우(S36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 5경우(S350), 제 6경우(S360)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식 PSA 및 멤브레인 기반의 바이오 가스 정제를 위한 유량 제어방법.
KR1020150074869A 2015-05-28 2015-05-28 병렬식 psa 및 멤브레인 기반의 바이오 가스 정제를 위한 유량 제어방법 KR101717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869A KR101717480B1 (ko) 2015-05-28 2015-05-28 병렬식 psa 및 멤브레인 기반의 바이오 가스 정제를 위한 유량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869A KR101717480B1 (ko) 2015-05-28 2015-05-28 병렬식 psa 및 멤브레인 기반의 바이오 가스 정제를 위한 유량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126A true KR20160141126A (ko) 2016-12-08
KR101717480B1 KR101717480B1 (ko) 2017-03-28

Family

ID=57576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4869A KR101717480B1 (ko) 2015-05-28 2015-05-28 병렬식 psa 및 멤브레인 기반의 바이오 가스 정제를 위한 유량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74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737B1 (ko) * 2021-03-16 2021-10-27 한국산업기술시험원 분리막과 psa 혼합법에 의한 수소 회수율 제고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0337B1 (ko) 2017-06-20 2018-03-20 한국화학연구원 고순도 바이오메탄 및 고순도 이산화탄소 정제 방법 및 장치
KR101938759B1 (ko) 2018-02-23 2019-01-15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2개의 유량제어부를 이용한 실시간 메탄 농도측정에 의한 바이오가스의 목표 메탄 균일농도 정제를 위한 자동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6702A (ja) * 2000-01-26 2001-07-31 Nissan Motor Co Ltd 燃料改質装置および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9249571A (ja) * 2008-04-09 2009-10-29 Taiyo Nippon Sanso Corp バイオガス中の硫化水素の除去方法
KR100945786B1 (ko) * 2009-04-13 2010-03-05 최정규 태양광 발전으로 동작하는 메탄가스 생성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6702A (ja) * 2000-01-26 2001-07-31 Nissan Motor Co Ltd 燃料改質装置および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9249571A (ja) * 2008-04-09 2009-10-29 Taiyo Nippon Sanso Corp バイオガス中の硫化水素の除去方法
KR100945786B1 (ko) * 2009-04-13 2010-03-05 최정규 태양광 발전으로 동작하는 메탄가스 생성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737B1 (ko) * 2021-03-16 2021-10-27 한국산업기술시험원 분리막과 psa 혼합법에 의한 수소 회수율 제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7480B1 (ko) 201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ah et al. Comprehending the contemporary state of art in biogas enrichment and CO2 capture technologies via swing adsorption
KR100985911B1 (ko) 바이오가스 전처리 시스템
He et al. Renewable CO2 absorbent for carbon capture and biogas upgrading by membrane contactor
JP5061328B2 (ja) メタン分離方法、メタン分離装置及びメタン利用システム
US20090156875A1 (en) Methane separation method, methane separation apparatus, and methane utilization system
JP4022555B2 (ja) バイオガスの精製方法及びバイオガス精製設備
ES2625174T3 (es) Dispositivo y método para retirada simultánea de sulfuro de hidrógeno y dióxido de carbono del biogás
US20170283292A1 (en) Multistage Membrane Separation and Purification Process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High Purity Methane Gas
McLeod et al. Biogas upgrading by chemical absorption using ammonia rich absorbents derived from wastewater
CN203342628U (zh) 集装箱式沼气净化膜法提纯系统
CA3032787C (en) Method and device for biogas upgrading and hydrogen production from anaerobic fermentation of biological material
US2012009702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urifying biogas for extracting methane
JP2006036849A (ja) バイオガスの処理利用システム及びバイオガスの処理利用方法
KR101717480B1 (ko) 병렬식 psa 및 멤브레인 기반의 바이오 가스 정제를 위한 유량 제어방법
CA2872873C (en) Plant and process for treating methane-containing gas from natural sources
KR101442730B1 (ko) 연료전지용 바이오가스 전처리 장치
KR101863058B1 (ko) 가변 운전이 가능한 고순도 바이오메탄 정제 방법 및 장치
KR20170098385A (ko) 바이오 가스로부터 고순도 메탄 가스 정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순도 메탄 정제 방법
KR101653362B1 (ko) 막 분리와 엔진 연소기술을 이용한 바이오메탄 및 전기 동시 생산 장치
CN106497760B (zh) 生物沼气膜分离提纯装置
KR101840340B1 (ko) 가변운전이 가능한 다단계 막분리 고순도 바이오메탄 정제 방법 및 장치
CN202785635U (zh) 一种吸附法氢气提纯装置
Nindhia et al. Method on conversion of gasoline to biogas fueled single cylinder of four stroke engine of electric generator
US20130060074A1 (en) Method for Producing High Purity Biomethane Without Adding Unacceptable Quantities of Moisture
KR20150080990A (ko) 바이오 가스의 정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