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0663A - 광 주파수 대역에 대해 실질적으로 일정한 위상 시프트를 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 경로 - Google Patents

광 주파수 대역에 대해 실질적으로 일정한 위상 시프트를 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 경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0663A
KR20160140663A KR1020167026886A KR20167026886A KR20160140663A KR 20160140663 A KR20160140663 A KR 20160140663A KR 1020167026886 A KR1020167026886 A KR 1020167026886A KR 20167026886 A KR20167026886 A KR 20167026886A KR 20160140663 A KR20160140663 A KR 20160140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ransmission line
pattern
phase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6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2664B1 (ko
Inventor
민차우 후인
Original Assignee
라이트포인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트포인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라이트포인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140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18Phase-shifters
    • H01P1/184Strip line phase-shif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10Auxiliary devices for switching or interrup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2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with invariable factor of coupling
    • H01P5/022Transitions between lines of the same kind and shape, but with different dimensions
    • H01P5/028Transitions between lines of the same kind and shape, but with different dimensions between strip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9/00Delay lines of the waveguide type

Landscapes

  • Waveguide Switches, Polarizers, And Phase Shifter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Waveguide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무선 주파수(RF) 신호의 위상을 시프트하는 회로. 기판의 하나의 측면 상의 전자기 전송선 패턴의 서로 상이하고 전기적으로 결합된 부분들은 대향하는 기판 측면 상의 또다른 전자기 전송선 패턴과 상호작용하여 RF 신호 주파수 및 전자기 전송선 패턴의 각각의 치수에 의해 결정되고 광 대역폭에 대해 실질적으로 일정한 위상 시프트를 가진 RF 신호를 전송한다. 상이한 패턴 치수를 갖고 RF 신호 스위치 사이에 결합된 이러한 대향하는 전자기 전송선 패턴들의 다수의 구현으로, 다수의 위상 시프트가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광 주파수 대역에 대해 실질적으로 일정한 위상 시프트를 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 경로{RADIO FREQUENCY SIGNAL PATH WITH SUBSTANTIALLY CONSTANT PHASE SHIFT OVER WIDE FREQUENCY BAND}
본 발명은 이상 회로(phase shift circuit)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 주파수 대역에 대해 실질적으로 일정한 위상 시프트를 제공하는 패시브 이상 회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의 전자 장치의 다수는 접속 및 통신 목적 모두를 위해 무선 신호 기술을 사용한다. 무선 장치가 전자기 에너지를 송수신하고, 2개 이상의 무선 장치가 자신의 신호 주파수 및 파워 스펙트럼 밀도에 의해 서로의 동작에 간섭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들 장치들과 그 장치들의 무선 기술은 다양한 무선 신호 기술 표준 규격을 준수해야 한다.
이러한 무선 장치들을 설계할 때, 엔지니어들은 장치들에 포함된 무선 신호 기술의 상술한 표준 기반 규격 각각을 이러한 장치들이 만족시키거나 또는 그것을 능가할 것을 보장하도록 특별히 유의한다. 추가로, 이들 장치가 추후에 대량으로 제조될 때, 이들 장치는, 장치들에 포함된 무선 신호 기술 표준 기반 규격에 대해 상기 장치들이 따르는 것을 포함하면서, 제조 결함이 부적절한 동작을 일으키지 않는 것을 보장하도록 테스트된다.
일반적으로 무선 주파수(RF) 장치 및 시스템들, 특히 무선 RF 장치 및 시스템들을 테스트할 때, 대개 특정한 신호 경로를 통해 송신 또는 수신되는 신호의 위상을 시프트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차폐된 인클로저 또는 또다른 형태의 제어된 신호 경로 환경내에서와 같이, 하나 이상의 무선 신호 경로를 이용하여 장치들을 테스트할 때, 다중 경로 신호 간섭 효과를 완화시키기 위해 신호 소스와 각각의 안테나 엘리먼트 사이의 하나 이상의 신호 경로 내에서의 신호 위상의 시프트를 허용하는 신호 시프트 엘리먼트와 함께 하나 이상의 안테나 엘리먼트(예를 들면, 안테나 어레이)가 사용될 수 있다.(이러한, 테스트 인클로저 및 무선 신호 테스트 기술은 그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 내에 통합되는 미국특허출원번호 제 13/839,162 및 13/839,583에 개시된다.)
가변 크기의 위상 시프트를 산출할 수 있는 다양한 RF 신호 경로 구조가 존재한다. 예를 들면, 단지 2개의 상이한 길이의 전송선을 가짐으로써 이러한 선들에 의해 전송된 신호들이 상호 상이한 위상 시프트를 경험하게 하여, 다른 신호에 대한 하나의 신호의 위상 시프트를 일으키게 된다. 그러나, 단순히 선택된 길이의 전송선을 이용하는 것은 신호 주파수의 선형 함수로서 변화되는 위상 시프트를 도입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원하는 크기의 위상 시프트는 매우 협소한 대역폭에 대해서만 달성될 수 있다.
패시브 전송선에 대해 가용한 대역폭을 증가시키기 위해 개발된 하나의 기술은 쉬프만 위상 천이기 설계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원하는 위상 시프트가 부여될 수 있는 더 넓은 대역폭을 제공하기 위한 전송선 및 결합 섹션을 이용한다. 그러나, 그 더 넓은 대역폭을 달성하는 것은 전송선 엘리먼트들 사이에서 타이트한 신호 커플링을 요구하며, 이는 구현을 어렵게 할 수 있다.
대개 컴팩트 초광대역 위상 천이기라고 불리우는, 개발된 또다른 기술은 넓은 위상 시프트 대역폭(예를 들면, 3-11GHz)을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위상 차이는 30°이하로 제한된다.
따라서, 넓은 주파수 대역에 대해 예를 들면 90° 이상의 선택가능한 크기의 현저한 위상 시프트를 제공하는 기술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무선 주파수(RF) 신호의 위상을 시프트하는 회로. 기판의 하나의 측면 상의 전자기 전송선 패턴의 서로 상이하고 전기적으로 결합된 부분들은 대향하는 기판 측면 상의 또다른 전자기 전송선 패턴과 상호작용하여, RF 신호 주파수 및 전자기 전송선 패턴의 각각의 치수에 의해 결정되고 광 대역폭에 대해 실질적으로 일정한 위상 시프트를 가진 RF 신호를 전송한다. 상이한 패턴 치수를 갖고 RF 신호 스위치 사이에 결합된 이러한 대향하는 전자기 전송선 패턴의 다수의 구현으로, 다수의 위상 시프트가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 주파수(RF) 신호의 위상을 시프트하는 회로는: 전기 절연체로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여 위치된 제1 및 제2 측면을 가지는 기판; 상기 제1 측면 상에 배치되고, 제1 및 제2 신호 단자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결합된 서로 상이하고 전기적으로 결합된 제1 및 제2 패턴부를 가진 제1 전자기 전송선을 포함하는 제1 전기 도전층; 및 상기 제2 측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패턴부와 전자기 통신하는 제2 전자기 전송선 패턴을 포함하는 제2 전기 도전층;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패턴부는 마이크로스트립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패턴부와 제2 전자기 전송선 패턴은 함께 패치-슬롯 구조를 포함한다.
도 1은 주파수의 함수로서 각각에 의해 분리된 상이한 길이 및 위상차이의 2개의 패시브 전송선을 도시한다.
도 2는 종래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슬롯-라인 전송 기술에 대해 마이크로스트립을 이용하는 종래 컴팩트한 초광대역 위상 천이기(shifter)를 위한 전송선 구조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위상 천이기에 대한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위상 시프트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2개의 패시브 전송선 구조를 이용한 주파수의 함수로서의 위상 시프트 차이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송선 이상 회로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의 이상 회로의 신호 위상 대 주파수를 도시한다.
도 8은 선택가능한 위상 시프트를 제공하는 위상 시프트 구조로서 구현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전송선 이상 회로를 도시한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이다.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한 예시이고 그에 대해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당업자로 하여금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충분히 상세히 기술되고, 다른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취지를 벗어나지 않고서 일부 변형을 하여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문맥으로부터 명시적으로 반대로 지시하지 않는다면 본 명세서 전체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개별 회로 엘리먼트는 단수이거나 복수일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circuit" 및 "circuitry"와 같은 용어들은 단일한 컴포넌트 또는 복수의 컴포넌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능동 및/또는 수동이고, 연결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함께 결합되어(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집적회로 칩으로서) 기술된 기능을 제공한다. 추가로, "신호"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전류, 하나 이상의 전압 또는 데이터 신호를 가리킨다. 도면 내에서, 유사하거나 연관된 엘리먼트들은 유사하거나 연관된 문자, 숫자 또는 문자숫자 지시어를 가질 것이다. 추가로, 본 발명은 이산 전자 회로(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집적회로 칩의 형태로 된)를 이용하는 실시의 측면에서 개시되었지만, 신호 주파수 또는 처리될 데이터 속도에 따라 이러한 회로의 임의의 부분의 기능은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적절하게 프로그래밍된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추가로, 도면이 다양한 실시예의 기능 블록도의 다이어그램을 예시하는 정도로, 기능 블록은 필수적으로 하드웨어 회로 사이의 분할을 지시하지는 않는다.
휴대 전화기, 스마트폰, 테블릿 등과 같은 무선 장치들은 IEEE 802.11a/b/g/n/ac, 3GPP LTE, 및 블루투스와 같은 표준 기반 기술들을 이용한다. 이들 기술에 내재한 표준은 신뢰할 수 있는 무선 연결 및/또는 통신을 제공하도록 설계된다. 표준은 무선 스펙트럼에 인접하거나 또는 그를 공유하는 동일한 또는 다른 기술들을 이용하는 장치들 사이에서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일반적으로 에너지 효율적으로 설계된 물리적 및 고 레벨 규격을 제시한다.
이들 표준들에 의해 규정된 테스트들은 이러한 장치들이 표준으로 규정된 규격을 따르도록 설계되고, 제조된 장치들이 이들 규정된 규격을 계속해서 따르는 것을 보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장치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트랜시버이다. 따라서, 테스터는 송수신기 모두가 호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의도된다. DUT의 수신기 또는 수신기들의 테스트(RX 테스트)는 일반적으로 테스트 패킷을 수신기(들)로 전송하는 테스트 시스템(테스터) 및 이들 테스트 패킷에 대해 DUT 수신기(들)이 어떻게 응답하는 지를 판정하는 지의 일부 방식을 포함한다. DUT의 송신기는 그것들이 테스트 시스템으로 패킷들을 전송함으로써 테스트되고, 이는 DUT에 의해 전송된 신호의 물리적 특성을 평가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장치의 테스트는 도전성 신호 커넥터를 이용하여 이들 장치를 자신들 각각의 테스트 서브시스템 또는 시스템으로 연결한 다음 이루어진다. 그러나, 일부 예시에서(예를 들면, 상술한 특허출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장치들과 테스트 설비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신호가 전자기적으로 전송되는 무선 신호 경로를 포함한다. 상대적으로 작은 전자기 차폐 인클로저로 한정되면, 테스트 신호 인터페이스는 개별 안테나 신호가 동 위상으로(in phase) 조정되고, 무선 신호가 그를 통해 송수신되는 인클로저 내의 안테나 엘리먼트의 어레이들을 포함한다. 안테나 엘리먼트의 어레이들을 이용하는 이러한 테스트 환경은 신호 소스와 송신기 안테나 어레이 엘리먼트 사이, 또는 수신기 안테나 어레이 엘리먼트와 신호 수신 서브시스템 사이의 각각의 신호 경로에서의 신호 위상을 시프트하는 메커니즘을 필요로 한다. 장치의 동작 요구조건이 주어지면, 이들 위상 천이기들은 최소의 삽입 손실(insertion loss)을 가지고 광대역 주파수 범위에서 동작해야만 한다. 추가로, 이것들은 반사 손실(return loss)을 최소화하기 위해 연결되는 신호 경로의 전압 정재 파비(VSWR: voltage standing wave ratio)를 매칭시킬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호 상이한 신호 위상을 가진 2개의 RF 신호를 전달하는 종래 기술은 2개의 전송선(10a, 10b)을 이용하고, 후자인 신호 경로(10b)가 더 길다. 그 결과, 제2 신호 경로(10b)를 통과하는 신호의 위상은 더 짧은 신호 경로(10a)를 통과하는 신호의 위상에 비해 지연될 것이다. 따라서, 원하는 신호 주파수(13)에서, 신호 경로(10a, 10b)의 길이 사이의 차이는 2개의 신호 사이의 원하는 위상 시프트가 달성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위상 대 주파수 그래프에서 도시되었듯이, 원하는 주파수(13) 이하의 주파수에 대해, 위상 시프트가 감소하는 반면, 원하는 주파수(13) 이상의 주파수에 대해, 위상 시프트가 증가한다. 따라서, 위상 시프트가 특정한 원하는 천이와 실질적으로 같게 유지되는 대역폭은 협소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위상 천이기에 사용되는 공통 전송선 구조는 마이크로스트립으로 알려져있다. 공지된 기술에 따르면,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 구조는 접지면(ground plane)을 제공하는 도전체(예를 들면, 금속)로 도금된 탑(14a) 및 바닥(14b) 표면을 가진 유전체(14) 및 폭(12)과 길이(18)를 가진 신호 도전체(10)를 구비한 인쇄회로 기판을 포함한다. 폭(12)은 기판의 두께(16)와 그의 유전 상수에 따라 원하는 라인 임피던스에 의해 결정되는 반면, 길이(18)는 전송되는 신호에 부여되는 원하는 위상 시프트에 의해 결정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컴팩트 초광대역 위상 천이기가 전송선 패치-슬롯 구조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2개의 구조(20a, 20b)가 여기에 도시되고, 기판(예를 들면, 인쇄회로 기판)의 탑(측면 A)에 배치된 입출력 전송선 패턴들을 가지고, 그리고 바닥(측면 B) 상에 배치된 전송선 구조들을 결합하면서 서로 나란히 배치된다. 마이크로스트립(33a)을 통해 입력 도전성 패치(22a)에 결합되는 입력 신호 포트(32a)와 마이크로스트립(35a)을 통해 출력 신호 포트(34a)에 결합되는 출력 도전성 패치(24a)를 가진 길이(25a) 및 폭(23a) 치수를 가진 입력 도전성 패치(22a) 및 출력 도전성 패치(24a)가 하나의 측면 상에 배치된다. 폭(27a) 및 길이(29a) 치수를 갖고 규정된 길이(31a)를 가진 마이크로스트립(30a)을 통해 결합된 2개의 장방형 도전성 패치(26a, 28a)에 의해 형성된 전기 절연된 전송선 구조가, 실질적으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서, 다른 측면 상에 배치된다. 입력 신호(32a)는 입력 마이크로스트립 선(33a) 및 패치(22a)에 의해 전도되고, 그것이 마이크로스트립(30a)을 통해 다른 대향하는 패치(28a)로 전달되는 대향하는 패치(26a)에 결합되고, 다시 그것이 출력 마이크로스트립(35a)을 통해 출력 포트(34a)에 도전되는 출력 패치(24a)로 결합된다.
유사하게, 인접한 회로 구조(20b)를 참조하면, 입력 포트(32b)로 들어가고 출력 포트(34b)를 나오는 신호가 또한 위상 시프트를 경험할 것이다. 다양한 회로 치수(23a, 25a, 27a, 29a, 31a)가 동일한 경우, 위상 시프트는 같을 것이다. 그러나, 제2 구조(20b)의 치수가 제1 구조(20a)의 치수와 상이한 경우, 출력 포트(34a, 34b)를 빠져나오는 2개의 신호 사이에는 위상 차이가 있을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구조(20b)의 치수가 제1 구조(20a)와 상이한 경우, 위상 차이는 관심있는 주파수 영역에 대해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위상 차이는 대략 30°로 한정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이러한 전송 패치/슬롯 구조 및 전송선이 하나 이상의 집중 회로(lumped circuit) 리액턴스(예를 들면, 이산 커패시턴스 및/또는 인덕터)를 이용함으로써 전송선의 기울기(즉, 위상 대 주파수)를 변화시키기 위해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송선 위상 기울기는 필수적으로 전송 패치/슬롯 구조에 대한 대응하는 기울기의 실질적으로 선형 부분에 평행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신호 사이의 위상 차이는 관심있는 주파수 영역에 대해 실질적으로 일정한 값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이 위상 차이는 관심있는 주파수에 대한 90° ± 20°의 명목상 위상 변화를 가진 것과 같이, 30°보다 현저하게 더 높을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전송 패치/슬롯 구조(20)의 형태로 된 전송선 패턴이 탑 및 바닥 도전체(상술한 바와 같은) 사이에 개재된 유전체를 가진 인쇄회로 기판과 같은 공유 기판 상의 마이크로스트립 형태로 된 전송선 구조(40)와 함께 사용된다. 제2 구조(40)의 입력 포트(42)로 들어가는 신호가 전송선(40)에 의해 입력 포트(44)로 전송된다. 또다른 신호가 제1 구조(20)의 입력 포트(32)로 들어가고, 제1 패턴(20)의 출력 신호가 제2 패턴(40)의 출력 포트(44)에서의 신호와 비교해 90 ± 20°의 위상 시프트를 가지도록 한 위상 시프트를 가지고 출력 포트(34)로 전송된다. 이 위상 시프트는 800MHz 내지 8GHz의 주파수 범위에 대해 이러한 변화 내에서, 1dB 이하의 삽입 손실 및 +10dB 이상의 반사 손실을 가지고 유지된다.
제1 회로 구조(20)와 제2 회로 구조(40) 사이의 위상 시프트 차이는 T 네트워크(제2 유형의 시리얼 리액턴스에 의해 분리되는 제1 유형의 2개의 분류기(shunt) 회로 리액턴스) 또는 π 네트워크(제2 유형의 2개의 시리얼 리액턴스 사이에서 연결된 제1 유형의 분류기 리액턴스)와 같은 형태로 된 집중(lumped) 커패시턴스 및/또는 인덕턴스와 같은 집중 회로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것과 같이 종래 기술에 공지된 기술들을 사용하여 보상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것들에 따른 회로 구조가 구현되어 제2 전송선 구조(40)(마이크로스트립)가 다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수용가능한 위상 변이인 ±20°이하의 2개의 구조 사이의 위상 변이를 가진, 전송 패치/슬롯 구조(20)의 기울기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기울기(위상 대 주파수)를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전송선 패턴(20, 40)의 다수의 예(도 6)가 다수의 가능한 위상 시프트를 가진 회로 구조(50)를 형성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다양한 전송선 패턴(20, 40)의 조합을 이용하는 더 많거나 더 적은 위상 시프트가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이 용이하게 이해될지라도, 이러한 예시에 대해, 4개의 가능한 위상 시프트가 제공된다.) 예를 들면, 이 구조(50)는 4개의 신호 경로들 중에서 신호 라우팅 회로(60a, 60b)(예를 들면, 단극 사투 스위치(single pole, four throw switches)의 형태로 된)를 스위칭함으로써 180, 90, 0, 및 270°(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의 정상 위상 시프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동작의 구조 및 방법에서의 다양한 기타 변형 및 대안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취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에게 명확할 것이다. 본 발명이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한 실시예에 과도하게 한정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하기의 청구 범위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정의하고, 이들 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의 범위 내에서의 구조 및 방법이 그에 의해 커버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10)

  1. 무선 주파수(RF) 신호의 위상을 시프트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전기 절연체로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여 위치된 제1 및 제2 측면을 가지는 기판;
    상기 제1 측면 상에 배치되고, 제1 및 제2 신호 단자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서로 상이하고 전기적으로 결합된 제1 및 제2 패턴부를 가진 제1 전자기 전송선 패턴을 포함하는 제1 전기 도전층; 및
    상기 제2 측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패턴부와 전자기 통신하는 제2 전자기 전송선 패턴을 포함하는 제2 전기 도전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RF) 신호의 위상을 시프트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턴부와 상기 제2 전자기 전송선 패턴은 실질적으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RF) 신호의 위상을 시프트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자기 전송선 패턴은 상기 제2 측면 상의 임의의 다른 전기 도전체와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RF) 신호의 위상을 시프트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부는 마이크로스트립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RF) 신호의 위상을 시프트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턴부와 상기 제2 전자기 전송선 패턴은 함께 패치 슬롯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RF) 신호의 위상을 시프트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 도전층은 제3 및 제4 신호 단자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서로 상이하고 전기적으로 결합된 제3 및 제4 패턴부를 가진 제3 전자기 전송선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패턴부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패턴부의 적어도 일부와 유사하고;
    상기 제2 전기 도전층은 상기 제4 패턴부와 전자기 통신하는 제4 전자기 전송선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전자기 전송선 패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전자기 전송선 패턴의 적어도 일부와 유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RF) 신호의 위상을 시프트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신호 단자에 결합된 제1 RF 신호 스위치 회로; 및
    상기 제2 및 제4 신호 단자에 결합된 제2 RF 신호 스위치 회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RF) 신호의 위상을 시프트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전자기 전송선 패턴을 통해 전송된 RF 신호는 서로 상이한 RF 신호 위상 시프트를 경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RF) 신호의 위상을 시프트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또다른 전기 절연체로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3 및 제4 측면을 가지는 또다른 기판;
    상기 제3 측면 상에 배치되고, 제3 및 제4 신호 단자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서로 상이하고 전기적으로 결합된 제3 및 제4 패턴부를 가진 제3 전자기 전송선 패턴을 포함하는 제3 전기 도전층; 및
    상기 제4 측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4 패턴부와 전자기 통신하는 제4 전자기 전송선 패턴을 포함하는 제4 전기 도전층;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RF) 신호의 위상을 시프트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3 신호 단자에 결합된 제1 RF 신호 스위치 회로; 및
    상기 제2 및 제4 신호 단자에 결합된 제2 RF 신호 스위치 회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주파수(RF) 신호의 위상을 시프트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장치.
KR1020167026886A 2014-04-02 2015-03-06 광 주파수 대역에 대해 실질적으로 일정한 위상 시프트를 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 경로 KR1023426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243,166 US9306257B2 (en) 2014-04-02 2014-04-02 RF phase shift apparatus having an electrically coupled path separated from an electromagnetically coupled path to provide a substantially constant phase difference therebetween
US14/243,166 2014-04-02
PCT/US2015/019103 WO2015153054A1 (en) 2014-04-02 2015-03-06 Radio frequency signal path with substantially constant phase shift over wide frequency ban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663A true KR20160140663A (ko) 2016-12-07
KR102342664B1 KR102342664B1 (ko) 2021-12-23

Family

ID=54210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6886A KR102342664B1 (ko) 2014-04-02 2015-03-06 광 주파수 대역에 대해 실질적으로 일정한 위상 시프트를 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 경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06257B2 (ko)
JP (1) JP6533796B2 (ko)
KR (1) KR102342664B1 (ko)
CN (1) CN106104910B (ko)
TW (1) TWI658704B (ko)
WO (1) WO20151530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63689A (zh) * 2019-09-10 2021-03-26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移相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9509A (en) * 1994-04-28 1999-09-28 Alliedsignal Inc. Printed 180 degree differential phase shifter including a non-uniform non-regular line
JP2003008310A (ja) * 2001-06-27 2003-01-10 Sumitomo Electric Ind Ltd 高周波伝送線路の結合構造とそれを用いた可変移相器
WO2008006089A2 (en) * 2006-07-06 2008-01-10 The Ohio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Emulation of anisotropic media in transmission line
JP2012039297A (ja) * 2010-08-05 2012-02-23 Hitachi Cable Ltd 移相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68098A (en) * 1969-06-23 1971-03-02 Anaren Microwave Inc Microwave stripline devices
US6091311A (en) * 1997-08-21 2000-07-1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Selectable path stripline/slotline digital phase shifter
JP2002151905A (ja) * 2000-11-14 2002-05-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可変遅延回路、該可変遅延回路を用いた増幅器および通信装置
GB0305619D0 (en) * 2003-03-12 2003-04-16 Qinetiq Ltd Phase shifter device
KR101151984B1 (ko) * 2009-11-24 2012-06-01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슬로우 웨이브 구조를 이용하는 엔포트 피딩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된 피딩 소자
US20110183624A1 (en) 2010-01-28 2011-07-28 Thiagarajar College Of Engineering Devices and Methods for Phase Shifting a Radio Frequency (RF) Signal for a Base Station Antenna
US8890750B2 (en) * 2011-09-09 2014-11-18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Symmetrical partially coupled microstrip slot feed patch antenna element
US8847702B2 (en) 2011-09-26 2014-09-30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Stub array microstrip line phase shif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9509A (en) * 1994-04-28 1999-09-28 Alliedsignal Inc. Printed 180 degree differential phase shifter including a non-uniform non-regular line
JP2003008310A (ja) * 2001-06-27 2003-01-10 Sumitomo Electric Ind Ltd 高周波伝送線路の結合構造とそれを用いた可変移相器
WO2008006089A2 (en) * 2006-07-06 2008-01-10 The Ohio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Emulation of anisotropic media in transmission line
JP2012039297A (ja) * 2010-08-05 2012-02-23 Hitachi Cable Ltd 移相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33796B2 (ja) 2019-06-19
TW201540000A (zh) 2015-10-16
JP2017510204A (ja) 2017-04-06
CN106104910B (zh) 2020-10-30
US9306257B2 (en) 2016-04-05
WO2015153054A1 (en) 2015-10-08
TWI658704B (zh) 2019-05-01
US20150288042A1 (en) 2015-10-08
CN106104910A (zh) 2016-11-09
KR102342664B1 (ko) 202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3088B2 (en) Antenna unit and terminal
CN110114938B (zh) 可重配置径向线缝隙天线阵列
US10461422B1 (en) Balanced antenna
KR20160105870A (ko) 쿼시-야기-타입 안테나
CN104579221A (zh) 高频电路模块
US10903546B2 (en) Planar balun transformer device
Asif et al. Low-profile independently-and concurrently-tunable quad-band antenna for single chain sub-6GHz 5G new radio applications
CN108321472A (zh) 一种移相器、天馈系统及基站
KR102342664B1 (ko) 광 주파수 대역에 대해 실질적으로 일정한 위상 시프트를 하는 무선 주파수 신호 경로
CN103746160A (zh) 合路模块及合路装置
Qian A compact LTCC decoupling-network based on coupled-resonator for antenna interference suppression of adjacent frequency bands
Pal et al. Loopback testing of automotive 77 ghz antenna-in-package radar transceiver ICs
Nachouane et al. Wideband 3× 4 Butler matrix using Wilkinson divider for MIMO applications
WO2020014891A1 (en) Balu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Luo et al. A D-band SPST switch using parallel-stripline swap with defected ground structure
Seddiki et al. A compact power divider multilyer for UWB applications
Madany et al. Analysis and design of microstrip array antenna using SPDT-T/R switch for MIMO antenna system applications
Swaminathan et al. RF system integration and miniaturization using advanced polymers
Bergeron et al. Microstrip antenna system for arbitrary polarization reconfigurability
Madany et al. Smart distributed subarray MIMO (DS-MIMO) microstrip antenna system with frequency agile for communication and radar applications
Neelamegam et al. Development and analysis of microstrip antenna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IEEE 802.11 y)
CN104051829A (zh) 基于阶梯阻抗的小型化双频段带通滤波器
Kanaya et al. Sutdy of a CPW-fed slot dipole one-sided directional antenna for UWB systems
Vuorenmaa High-Power Full-Duplex Radio Prototype at Lower UHF Band: RF Self-Interference Canceller Design and Implementation
Lee et al. A band-stop RF switch using a dual-mode stepped-impedance microstrip ring reson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