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0414A - 화상 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0414A
KR20160140414A KR1020160062566A KR20160062566A KR20160140414A KR 20160140414 A KR20160140414 A KR 20160140414A KR 1020160062566 A KR1020160062566 A KR 1020160062566A KR 20160062566 A KR20160062566 A KR 20160062566A KR 20160140414 A KR20160140414 A KR 20160140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b device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power state
tran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2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9231B1 (ko
Inventor
신이치 치바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6031463A external-priority patent/JP6675220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40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8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 G06F3/1221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with regard to power consum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04N1/00891Switching on or off, e.g. for saving power when not in 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40Details not directly involved in printing, e.g. machine management, management of the arrangement as a whole or of its constitutive parts
    • G06K15/4055Managing power consumption, e.g. standby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04N1/00896Control thereof using a low-power mode, e.g. standb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Source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접속된 USB 디바이스 등의 외부 기기의 사용상황을 고려하여, 화상 형성장치를 적절히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한 기술을 제공한다. 슬립 상태에의 이행 조건을 만족하면, 화상 형성장치의 CPU은, USB 디바이스 사용시의 슬립 이행의 설정이 "허가한다"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USB 디바이스 사용시의 슬립 이행의 설정이 "허가하지 않는다"라고 판정하면, CPU은, 접속된 USB 디바이스가 사용중인가 아닌지를 판정한다. USB 디바이스가 사용중이 아니라고 판정하면, CPU은 화상 형성장치를 슬립 상태로 이행시킨다.

Description

화상 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컴퓨터 프로그램{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COMPUTER PROGRAM}
본 발명은, 화상 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화상 형성장치 등의 정보 처리장치의 소비 전력을 저감하기 위한 기술로서, 장치가 소정 시간 동안 사용되지 않고 있을 때, 슬립 상태 등의 저소비 전력 상태(전력 절약 상태)로 장치를 이행시키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미리 정해진 조작을 유저가 행하면, 슬립 상태에 있는 정보 처리장치는 슬립 상태로부터 복귀해서 사용 가능 상태로 진입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정보 처리장치는, 슬립 상태로의 이행 조건을 어느 정도 유저가 지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최근, 에너지 절약화(전력 절약화)에의 유저의 의식의 높아짐, 다양한 에너지 절약 규격의 책정 등에 기인하여, 정보 처리장치를 전력 절약 상태로 더욱 빈번하게 이행하기 위한 요망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정보 처리장치를 빈번하게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시키면, 전력 절약 상태로부터 사용 가능 상태로 장치를 이행시키기 위한 유저 조작이 빈번하게 필요하게 되어, 유저의 편리성을 저하할 수 있다. 특히, 화상 형성장치와 같은 복수의 유저에 의해 공용되는 장치에 대해서는, 전력 절약화를 요구하는 유저와 편리성을 요구하는 유저가 혼재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많은 수의 유저에게 적합한, 전력 절약 상태로의 이행 조건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정보 처리장치에 대해서는, USB(Universal Serial Bus) 디바이스 등의 외부 디바이스가 접속된 경우에, 해당 외부 디바이스의 종류가 슬립 상태로의 이행 조건으로서 고려될 수 있다. 일본국 특개 2009-302831호 공보에 개시되는 정보 처리장치는, 접속된 USB 디바이스 내부에 설정되어 있는 클래스를 취득하고, 취득한 클래스에 근거하여, 화상 형성장치를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시킬 것인지 아닌지를 자동적으로 제어한다.
최근의 화상 형성장치는, 네트워크를 거쳐 통신가능한 외부의 정보 처리장치와 화상 형성장치에 접속된 USB 디바이스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USB over Network(이하, 적절히 "USBNW"로 약칭한다) 기술에 대응한 것이 알려져 있다. USBNW 기술을 이용하면, 외부의 정보 처리장치에 인스톨된 제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화상 형성장치를 거쳐 USB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일본국 특개 2009-302831호 공보에 개시되는 종래기술에서는, USB 디바이스가 화상 형성장치에 접속되면, 화상 형성장치가 이행하는 전력 상태가, USB 디바이스의 클래스에 따라 일률적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USB 디바이스의 클래스에 따라서는, USB 디바이스가 화상 형성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한, 화상 형성장치가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지 않는다. 이것은, USB 디바이스에 접속된 화상 형성장치의 전력 절약화를 달성할 수 없는 상황을 일으킬 수 있다. 반대로, USB 디바이스의 클래스에 따라서는, USB 디바이스가 접속되어 있더라도, USB 디바이스의 접속시에 화상 형성장치가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하여, USB 디바이스를 빈번하게 사용할 수 없게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USBNW 통신을 사용해서 USB 디바이스를 충분히 사용할 수 없다. 이것은 USBNW 통신을 빈번하게 사용하는 유저의 편리성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접속된 USB 디바이스 등의 외부 기기의 사용상황을 고려하여, 화상 형성장치를 적절히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한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화상 형성장치로서, USB 디바이스가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USB 디바이스와 상기 USB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외부 장치 사이의 통신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와,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접속부에 전력이 공급되는 제1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접속부에의 전력공급이 정지되는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키도록 구성된 이행부와, 상기 USB 디바이스의 사용시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킬 것인지 아닌지를 표시하는 유저 설정을 접수하도록 구성된 접수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저 설정이 상기 USB 디바이스의 사용시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키도록 설정된 경우에, 상기 이행부는, 상기 USB 디바이스의 사용시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제1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키고, 상기 유저 설정이 상기 USB 디바이스의 사용시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키지 않도록 설정된 경우에, 상기 이행부는, 상기 USB 디바이스의 사용시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제1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키지 않는 화상 형성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르면, 화상 형성장치로서, USB 디바이스가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USB 디바이스와 상기 USB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외부 장치 사이의 통신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와,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접속부에 전력이 공급되는 제1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접속부에의 전력공급이 정지되는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키도록 구성된 이행부를 구비하고, 상기 USB 디바이스가 사용중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이행부는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제1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키고, 상기 USB 디바이스가 사용중인 경우에는, 상기 이행부는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제1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키지 않는 화상 형성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르면, USB 디바이스가 접속되는 접속부를 구비한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USB 디바이스와 상기 USB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외부 장치 사이의 통신을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접속부에 전력이 공급되는 제1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접속부에의 전력공급이 정지되는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키는 단계와, 상기 USB 디바이스의 사용시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킬 것인지 아닌지를 표시하는 유저 설정을 접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행단계에서는, 상기 유저 설정이 상기 USB 디바이스의 사용시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키도록 설정된 경우에, 상기 USB 디바이스의 사용시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제1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키고, 상기 유저 설정이 상기 USB 디바이스의 사용시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키지 않도록 설정된 경우에, 상기 USB 디바이스의 사용시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제1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키지 않는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르면, USB 디바이스가 접속되는 접속부를 구비한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기억매체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USB 디바이스와 상기 USB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외부 장치 사이의 통신을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접속부에 전력이 공급되는 제1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접속부에의 전력공급이 정지되는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키는 단계와, 상기 USB 디바이스의 사용시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킬 것인지 아닌지를 표시하는 유저 설정을 접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행단계에서는, 상기 유저 설정이 상기 USB 디바이스의 사용시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키도록 설정된 경우에, 상기 USB 디바이스의 사용시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제1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키고, 상기 유저 설정이 상기 USB 디바이스의 사용시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키지 않도록 설정된 경우에, 상기 USB 디바이스의 사용시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제1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키지 않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속된 USB 디바이스 등의 외부 기기의 사용상황을 고려하여, 화상 형성장치를 적절히 전력 절약 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지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화상 형성장치의 구성 예를 각각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화상 형성장치의 슬립 모드를 설정하는 화면이다.
도 3은 USB 디바이스 사용시의 슬립 이행을 설정하는 화면이다.
도 4는 USB 디바이스 사용시의 슬립 이행을 설정하는 화면의 변형예이다.
도 5는 장치가 슬립 상태로 이행할 때까지의 시간을 설정하는 화면이다.
도 6은 USB 디바이스 사용시의 화상 형성장치의 전력 상태의 제어를 나타낸 흐름도이다(제1 실시형태).
도 7은 USB 디바이스 사용시의 화상 형성장치의 전력 상태의 제어를 나타낸 흐름도이다(제2 실시형태).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며, 이하의 실시예에 따라 서술되는 국면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에 대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것은 자명하다.
[제1 실시형태]
도 1a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장치(100)의 구성 예를 나타낸 블록도다. 화상 형성장치(100)는, CPU(101)과, 시스템 버스(110)를 거쳐 CPU(101)과 접속된 ROM(102), RAM(103), 프린터부(104), 조작패널(105), USB 인터페이스(I/F)(106) 및 네트워크 I/F(107)를 구비한다. USB I/F(106)는, 화상 형성장치(100)에 접속된 USB 디바이스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로서의 역할을 한다. 네트워크 I/F(107)는, 네트워크(LAN(160))를 거쳐 외부의 통신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로서의 역할을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a에 나타낸 화상 형성장치(100), USB 디바이스(150) 및 단말(170)은, 각각 USBNW(USB over Network)에 대응하고 있다. USB I/F(106)에는, USBNW에 대응한 USB 디바이스(150)가 접속가능하다. USB 디바이스(150)는, 예를 들면, 터치패널, 카드 리더, USB 메모리 또는 태블릿 단말이다. 또한, 네트워크 I/F(107)는, LAN(160)를 거쳐 USBNW에 대응한 외부의 단말(170)과 통신가능하다. USBNW 기술을 이용하면, 단말(170)로부터, USBNW를 따르는 통신(USBNW 통신)을 이용해서 USB 디바이스(150)를 제어할 수 있다. 단말(170)에는, USB 디바이스(150)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되어 있고, 이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화상 형성장치(100)를 거쳐 USB 디바이스(15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유저는, 단말(170)로부터 USB 통신을 이용해서 USB 디바이스(150)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단말(170)은, USB 디바이스(1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외부 장치의 일례다.
CPU(101)은, 시스템 제어부로서의 역할을 하며, 화상 형성장치(100)의 전체를 제어한다. ROM(102)은, CPU(101)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을 격납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ROM(102)은, 고쳐쓰기 가능한 플래쉬 ROM이며, 화상 형성장치(100)의 유저에 의해 등록되는 설정값을 나타내는 데이터와, 관리 데이터 등의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다양한 데이터를 격납하고 있다. RAM(103)은, CPU(101)에 의해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워크 에어리어로서 사용되는 동시에,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격납하는 일시 기억영역으로서 사용된다.
프린터부(104)는, LAN(160)를 거쳐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기록 매체(기록지)에 화상을 형성한다. 또한, 예를 들면, 태블릿 단말이 USB 디바이스(150)로서 USB I/F(106)에 접속된 경우, 해당 태블릿 단말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에 근거하여, 기록 매체(기록지)에 화상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작패널(105)은, 키보드, 터치패널, LCD, LED 등으로 구성되고, 유저로부터 각종 조작을 접수하고, 조작 화면을 표시하고, 유저에게 통지를 보낸다.
전술한 것과 같이, USB 디바이스(150)가 접속된 경우에, USB I/F(106)는, USB 디바이스(150)에 대한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하고, USB 디바이스(150)와 통신을 제어한다. USB I/F(106)는 USB 디바이스(150)에 전력공급을 행한다. 네트워크 I/F(107)는, 전술한 것과 같이, LAN(160)를 거쳐 통신가능한 외부 장치에 대한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하고, LAN(160)를 거쳐 외부 장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네트워크 I/F(107)는, 예를 들면, 인쇄 데이터 및 화상 형성장치(100)의 제어 정보를, 단말(170)로부터 수신한다. 이때, LAN(160)은, 유선통신을 위한 유선 LAN이어도 되고, 무선통신을 위한 무선 LAN이어도 된다.
도 1b는, 화상 형성장치(100)에 있어서의 전원(120)으로부터의 전력공급에 관련되는 구성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원(120)은, 스위치 121, 122, 123을 각각 거쳐, 프린터부(104), 조작패널(105) 및 USB I/F(106)에 전력을 공급한다. CPU(101)는 스위치 121 내지 123 각각의 ON/OFF의 전환을 제어한다. 스위치 121 내지 123이 각각이 ON 상태인 경우, 전원(120)으로부터 대응하는 유닛에 전력공급이 행해진다. 스위치 121 내지 123이 각각 OFF 상태인 경우, 전원(120)으로부터 대응하는 유닛에의 전력공급이 정지한다.
CPU(101)은, 화상 형성장치(100)의 상태에 따라, 스위치 121 내지 123의 ON/OFF의 전환을 제어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상 형성장치(100)는 통상의 전력 상태(사용 가능 상태)와, 통상의 전력 상태보다도 소비 전력이 적은 전력 절약 상태(슬립 상태)를 갖는다. CPU(101)은, 화상 형성장치(100)를 통상의 전력 상태로부터 슬립 상태로 이행시킬 때에, 스위치 121 내지 123을 ON 상태로부터 OFF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프린터부(104), 조작패널(105) 및 USB I/F(106)에의 전력공급을 정지한다. 이에 따라, 슬립 상태에 있어서 화상 형성장치(100)의 전력 절약화가 실현된다.
화상 형성장치(100)는, 통상의 전력 상태에 있어서, 슬립 상태로 이행하는 조건이 만족될 때(예를 들면, 소정의 슬립 이행 시간이 경과할 때), 슬립 상태로 이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상 형성장치(100)를 슬립 상태로 이행시킬 것인지 아닌지를 유저가 설정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낸 화면에 있어서, 슬립 모드로서 "레벨 높음(딥 슬립)"을 유저가 선택하면, 화상 형성장치(100)는, 슬립 상태로 이행하도록 설정된다. 도 2에 나타낸 화면에 있어서, 슬립 모드로서 "OFF"를 유저가 선택하면, 화상 형성장치(100)는, 슬립 상태로 이행하지 않도록 설정된다. 상기한 슬립 모드의 설정은 ROM(102)에 유지된다.
더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USB 디바이스(150)의 사용중에 화상 형성장치(100)를 슬립 상태로 이행시킬 것인지 아닌지를 유저가 설정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화면에 있어서, USB 사용시의 슬립 이행으로서 "허가한다"를 유저가 선택하면, 화상 형성장치(100)는, USB 사용시에도 슬립 상태로 이행한다. 도 3에 나타낸 화면에 있어서, USB 사용시의 슬립 이행으로서 "허가하지 않는다"를 유저가 선택하면, 화상 형성장치(100)는, USB 사용시에는 슬립 상태로 이행하지 않는다. 이때, USB 사용시의 슬립 이행으로서 "허가하지 않는다"를 유저가 선택하고 있는 경우, USB 디바이스(150)가 접속되어 있지만 사용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화상 형성장치(100)가 슬립 상태로 이행한다. 상기한 USB 사용시의 슬립 이행의 설정은 ROM(102)에 유지된다. 전술한 것과 같이, CPU(101)은, 도 3에 나타낸 화면을 사용하여, USB 디바이스(150)의 사용시에 화상 형성장치(100)를 슬립 상태로 이행시킬 것인지 아닌지를 표시하는 유저 설정을 접수하는 접수처리를 행한다.
CPU(101)은, 슬립 모드의 설정, USB 사용시의 슬립 이행의 설정, 및, USB 디바이스(150)의 사용상황에 근거하여, 화상 형성장치(100)를 슬립 상태로 이행시킬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슬립 모드의 설정이 "OFF"인 경우에는, 화상 형성장치(100)는, 슬립 상태로 이행하지 않는다. 슬립 모드의 설정이 "레벨 높음(딥 슬립)"인 경우에는, CPU(101)은, USB 사용시의 슬립 이행의 설정에 근거하여, 화상 형성장치(100)를 슬립 상태로 이행시킬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한다. 즉, 슬립 모드의 설정이 "레벨 높음(딥 슬립)"이고, USB 사용시의 슬립 이행의 설정이 "허가한다"이면,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켰을 때에, USB 디바이스(150)가 사용중인지 아닌지에 상관없이, CPU(101)은, 화상 형성장치(100)를 슬립 상태로 이행시킨다. 한편, 슬립 모드의 설정이 "레벨 높음(딥 슬립)"이고, USB 사용시의 슬립 이행의 설정이 "허가하지 않는다"이면, USB 디바이스(150)가 사용중일 때, CPU(101)은 화상 형성장치(100)를 슬립 상태로 이행시키지 않는다. 또한, 슬립 모드의 설정이 "레벨 높음(딥 슬립)"이고, USB 사용시의 슬립 이행의 설정이 "허가하지 않는다"이면, USB 디바이스(150)가 사용중이 아닐 때, CPU(101)은 화상 형성장치(100)를 슬립 상태로 이행시킨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장치(100)는, 유저 설정(USB 사용시의 슬립 이행의 설정: 허가한다)에 따라, USB 디바이스(150)의 사용시에 화상 형성장치(100)를 슬립 상태로 이행할 수 있다. 즉, USB 디바이스(150)의 사용시에, 전력 절약화를 원하는 유저의 의도에 반하여, 화상 형성장치(100)가 슬립 상태로 이행하지 않게 되는 상황을 회피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장치(100)는, 유저 설정(USB 사용시의 슬립 이행의 설정: 허가하지 않는다)에 따라, USB 디바이스(150)의 사용시에, USB 디바이스(150)의 사용을 우선하기를 원하는 유저의 의도에 반하여, 화상 형성장치(100)가 슬립 상태로 이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화상 형성장치(100)를 슬립 상태로 이행시키는 설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의 설정 화면은, 조작패널(105)을 사용한 유저의 조작에 의해, 조작패널(105)의 LCD에 표시된다.
도 2에 도시된 슬립 모드의 설정 화면(230)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킨 경우에 화상 형성장치(100)가 이행하는 상태를 설정하는 화면이다. 유저는, 설정 화면(230)에 있어서, "레벨 높음(딥 슬립)", "레벨 중간(프린터 슬립)", "레벨 낮음(패널 슬립)" 및 "OFF"의 어느 한 개를 선택할 수 있다. 설정 화면(230)에 있어서 유저가 "레벨 높음(딥 슬립)"을 선택한 경우에, 화상 형성장치(100)는, 프린터부(104), 조작 패널(105) 및 USB I/F(106)에의 전력공급이 정지되는 슬립 상태로 이행한다.
도 3에 도시된, USB 디바이스(150) 사용시의 슬립 이행을 설정하는 설정 화면(220)은, USB 디바이스(150)의 사용시에 슬립 상태로 이행하는 것을 허가할 것인지 아닌지를 선택하는 화면이다. 설정 화면(220)에 있어서 유저가 "허가하지 않는다"를 선택하면, 화상 형성장치(100)에 접속된 USB 디바이스(150)가 사용중인 동안에는, 화상 형성장치(100)는 슬립 상태로 이행하지 않는다. 설정 화면(220)에 있어서 유저가 "허가한다"를 선택하면, 화상 형성장치(100)에 접속된 USB 디바이스(150)가 사용중이라도, 화상 형성장치(100)는 슬립 상태로 이행한다.
도 4에 도시되는 설정 화면(200)은 도 3에 도시된 설정 화면(220)의 변형예다. 설정 화면 220의 "허가하지 않는다"는 도 4의 설정 화면(200)의 "사용시는 슬립 상태로 이행하지 않는다"에 대응한다. 또한, 설정 화면 220의 "허가한다"는 도 4의 설정 화면(200)의 "사용시에도 슬립 상태로 이행한다"에 대응한다.
도 5는, 장치가 슬립 상태로 이행할 때까지의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화면이다. 유저는, 도 5의 설정 화면(210)에서, 화상 형성장치(100)를 슬립 상태로 이행시킬 때까지의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유저는, 설정 화면(210)에서, 이 시간의 설정으로서, 예를 들면, 1분, 5분, 30분 또는 60분을 선택할 수 있다. 도 5의 예에서는, 1분이 선택되어 있다. CPU(101)은, 설정 화면(210)에 있어서 선택된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ROM(102)에 격납한다. 이때, 설정 화면(210)을 사용한 설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이와 같은 시간(예를 들면, 5분)이 영구적으로 미리 설정되어도 된다.
도 6은, 화상 형성장치(100)의 전력 상태의 제어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6에 나타낸 각 스텝의 처리는, CPU(101)가, ROM(102)에 격납된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실행할 때, 화상 형성장치(100)에 있어서 실현된다. 이때, 예를 들면, USB 디바이스(150)가 카드 리더인 경우, 유저가 카드 리더를 사용해서 카드 인증을 행하면, 해당 카드 리더와 단말(170) 사이에서 USBNW 통신이 행해지게 된다.
스텝 S101에서, CPU(101)은, 슬립 모드의 설정이 "레벨 높음(딥 슬립)"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슬립 모드의 설정이 "레벨 높음(딥 슬립)"이 아닌 경우에는, 화상 형성장치(100)는 슬립 상태로 이행하지 않으므로, 이 흐름도의 처리를 종료한다. 슬립 모드의 설정이 "레벨 높음(딥 슬립)"이라고 판단한 경우(스텝 S101에서 Yes), CPU(101)는 처리를 스텝 S102로 진행시킨다.
스텝 S102에서, CPU(101)은, 화상 형성장치(100)를 슬립 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한 이행 조건을 만족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이행 타이밍을 판정하기 위한 타이머에 의해 측정되는 시간이 미리 유저에 의해 설정된 슬립 이행 시간에 도달한 경우에, CPU(101)은, 이행 조건을 만족시켰다고 판정한다. 이때, 예를 들면, 유저가 조작패널(105)을 조작하는 경우에, 타이머가 0으로 리셋된다. 스텝 S102에서, 이행 조건을 만족시켰다고 판정하면, CPU(101)은 처리를 스텝 S103으로 진행시킨다.
스텝 S103에서, CPU(101)은, USB 디바이스 사용시의 슬립 이행의 설정이 "허가한다"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USB 디바이스 사용시의 슬립 이행의 설정이 "허가한다"라고 판정하면, CPU(101)은 처리를 스텝 S104로 진행시킨다. 스텝 S104에 있어서, CPU(101)은 화상 형성장치(100)를 슬립 상태로 이행시킨다. 한편, USB 디바이스 사용시의 슬립 이행의 설정이 "허가하지 않는다"라고 판정하면, CPU(101)은 처리를 스텝 S105로 진행시킨다.
스텝 S105에서, CPU(101)은, USB 디바이스(150)가 사용중인가 아닌지를 판정한다. USBNW 통신을 개시할 때, 호스트로서의 역할을 하는 단말(170)로부터 USB 디바이스(150)에 접속 요구가 송신된다. USB 디바이스(150)는, 단말(170)로부터 송신된 접속 요구에 대한 응답을 송신한다. 이에 따라, 단말(170)과 USB 디바이스(150) 사이에 통신 세션이 확립된다. USBNW 통신을 종료할 때, 단말(170)로부터 USB 디바이스(150)에 절단 요구가 송신된다. USB 디바이스(150)는, 단말(170)로부터 송신된 절단 요구에 대한 응답을 송신한다. 이에 따라, 단말(170)과 USB 디바이스(150) 사이의 통신 세션이 절단된다. CPU(101)은 단말(170)로부터 송신되는 접속 요구를 수신하고나서 절단 요구를 수신할 때까지의 기간 동안, USB 디바이스(150)가 사용중이라고 판단한다. USB 디바이스(150)가 사용중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CPU(101)은 스텝 S106에서 타이머를 클리어(리셋)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CPU(101)는 스텝 S107에서 화상 형성장치(100)를 슬립 상태로 이행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슬립 상태에의 이행 조건을 만족시켰을 때에, USB 디바이스 사용시의 슬립 이행의 설정이 "허가한다"이면, USB 디바이스(150)가 사용중이라도, CPU(101)은 화상 형성장치(100)를 슬립 상태로 이행시킨다. 한편, USB 디바이스 사용시의 슬립 이행의 설정이 "허가하지 않는다"이면, 접속된 USB 디바이스가 사용중인가 아닌지를 판정한다. USB 디바이스(150)가 사용중이면, USB 디바이스(150)가 접속되어 있어도, CPU(101)은 화상 형성장치(100)를 슬립 상태로 이행시킨다. 이에 따라, USB 디바이스(150)가 현재 접속되어 있는 화상 형성장치(100)를, 유저의 편리성을 유지하면서, USB 디바이스(150)의 사용상황에 따라 슬립 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낸 설정 화면(220) 또는 도 4에 나타낸 설정 화면(200)을 사용한 유저 설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USB 디바이스 사용시에 화상 형성장치(100)를 슬립 상태로 이행시키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제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의 설명을 생략하고, 주로 제1 실시형태와의 차이를 설명한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장치(100)의 전력 상태의 제어를 나타낸 흐름도다. 도 4에 나타낸 각 스텝의 처리는, CPU(101)가 ROM(102)에 격납된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실행할 때, 화상 형성장치(100)에 있어서 실현된다.
스텝 S201에서, CPU(101)은, 스텝 S101과 마찬가지로, 슬립 모드의 설정이 "레벨 높음(딥 슬립)"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슬립 모드의 설정이 "레벨 높음(딥 슬립)"이 아닌 경우, CPU(101)은 이 흐름도의 처리를 종료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스텝 S101에서 Yes)에는, CPU(101)는 처리를 스텝 S202로 진행시킨다.
스텝 S202에서, CPU(101)은, 스텝 S102와 마찬가지로, 화상 형성장치(100)를 슬립 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한 이행 조건을 만족하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이행 타이밍에 이르렀다고 판정하면, CPU(101)은 처리를 스텝 S203으로 진행시킨다.
스텝 S203에서, CPU(101)은, 스텝 S105와 마찬가지로, USB 디바이스(150)가 사용중인가 아닌지를 판정한다. 스텝 S203에서, USB 디바이스(150)가 사용중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CPU(101)은 처리를 스텝 S204로 진행시키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CPU(101)는 처리를 스텝 S205로 진행시킨다. CPU(101)은 스텝 S204에서 타이머를 클리어(리셋)하고, 스텝 S205에서 화상 형성장치(100)를 슬립 상태로 이행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슬립 상태에의 이행 조건을 만족시켰을 때, CPU(101)은 접속된 USB 디바이스(150)가 사용중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USB 디바이스(150)가 사용중이면, CPU(101)은 화상 형성장치(100)를 슬립 상태로 이행시키지 않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CPU(101)는 화상 형성장치(100)를 슬립 상태로 이행시킨다. 이렇게 하여, USB 디바이스(150)가 현재 접속되어 있는 화상 형성장치(100)를, USB 디바이스(150)의 사용상황에 따라 슬립 상태로 이행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USB 디바이스 사용시라도 화상 형성장치(100)를 슬립 상태로 이행시킬 것인지 아닌지를 유저가 설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유저 설정의 수고를 저감할 수 있다.
기타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로서 더 상세히 언급해도 된다)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예를 들어, 1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거나 및/또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1개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나,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1개 이상의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 처리장치(MPU) 또는 기타 회로를 구비하고, 별개의 컴퓨터들의 네트워크 또는 별개의 컴퓨터 프로세서들을 구비해도 된다.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은, 예를 들어, 기억매체의 네트워크로부터 컴퓨터로 주어져도 된다. 기록매체는, 예를 들면, 1개 이상의 하드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 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등), 플래시 메모리소자, 메모리 카드 등을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행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는 가장 넓게 해석되어 모든 변형, 동등물 구조 및 기능을 포괄하여야 한다.

Claims (13)

  1. 화상 형성장치로서,
    USB 디바이스가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USB 디바이스와 상기 USB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외부 장치 사이의 통신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와,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접속부에 전력이 공급되는 제1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접속부에의 전력공급이 정지되는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키도록 구성된 이행부와,
    상기 USB 디바이스의 사용시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킬 것인지 아닌지를 표시하는 유저 설정을 접수하도록 구성된 접수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저 설정이 상기 USB 디바이스의 사용시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키도록 설정된 경우에, 상기 이행부는, 상기 USB 디바이스의 사용시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제1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키고,
    상기 유저 설정이 상기 USB 디바이스의 사용시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키지 않도록 설정된 경우에, 상기 이행부는, 상기 USB 디바이스의 사용시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제1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키지 않는, 화상 형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USB 디바이스 사이에 통신 세션이 확립되어 있는지 아닌지에 근거하여, 상기 이행부는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USB 디바이스가 사용중인가 아닌지를 판단하는 화상 형성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행부는, 상기 USB 디바이스에의 접속 요구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고나서, 절단 요구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될 때까지의 기간동안, 상기 USB 디바이스가 사용중이라고 판단하는 화상 형성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한 이행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에, 상기 유저 설정이 상기 USB 디바이스의 사용시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키지 않도록 설정되면, 상기 이행부는 상기 USB 디바이스가 사용중 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상기 이행부는, 상기 USB 디바이스가 사용중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키지 않고, 상기 USB 디바이스가 사용중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키는 화상 형성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한 이행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에, 상기 유저 설정이 상기 USB 디바이스의 사용시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키도록 설정되면, 상기 이행부는, 상기 USB 디바이스가 사용중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지 않고,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키는 화상 형성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행 조건은, 상기 제1전력 상태에 있어서 타이머에 의해 측정되는 시간이 유저에 의해 미리 설정된 슬립 이행 시간에 도달하는 것이고,
    상기 이행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에, 상기 유저 설정이 상기 USB 디바이스의 사용시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키지 않도록 설정되고, 또한, 상기 USB 디바이스가 사용중이라고 판단하면, 상기 이행부는 상기 타이머를 리셋하는 화상 형성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USB 디바이스 및 상기 외부 장치는 USBNW(USB over Network)에 대응하고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USB 디바이스 사이의 USBNW 통신을 제어하는 화상 형성장치.
  8. 화상 형성장치로서,
    USB 디바이스가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USB 디바이스와 상기 USB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외부 장치 사이의 통신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와,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접속부에 전력이 공급되는 제1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접속부에의 전력공급이 정지되는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키도록 구성된 이행부를 구비하고,
    상기 USB 디바이스가 사용중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이행부는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제1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키고,
    상기 USB 디바이스가 사용중인 경우에는, 상기 이행부는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제1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키지 않는, 화상 형성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USB 디바이스 사이에 통신 세션이 확립되어 있는지 아닌지에 근거하여, 상기 이행부는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USB 디바이스가 사용중인가 아닌지를 판단하는 화상 형성장치.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행부는, 상기 USB 디바이스에의 접속 요구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고나서, 절단 요구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될 때까지의 기간동안, 상기 USB 디바이스가 사용중이라고 판단하는 화상 형성장치.
  11.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USB 디바이스 및 상기 외부 장치는 USBNW(USB over Network)에 대응하고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장치와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USB 디바이스 사이의 USBNW 통신을 제어하는 화상 형성장치.
  12. USB 디바이스가 접속되는 접속부를 구비한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USB 디바이스와 상기 USB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외부 장치 사이의 통신을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접속부에 전력이 공급되는 제1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접속부에의 전력공급이 정지되는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키는 단계와,
    상기 USB 디바이스의 사용시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킬 것인지 아닌지를 표시하는 유저 설정을 접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행단계에서는,
    상기 유저 설정이 상기 USB 디바이스의 사용시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키도록 설정된 경우에, 상기 USB 디바이스의 사용시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제1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키고,
    상기 유저 설정이 상기 USB 디바이스의 사용시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키지 않도록 설정된 경우에, 상기 USB 디바이스의 사용시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제1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키지 않는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3. USB 디바이스가 접속되는 접속부를 구비한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기억매체에 기억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상기 USB 디바이스와 상기 USB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는 외부 장치 사이의 통신을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접속부에 전력이 공급되는 제1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접속부에의 전력공급이 정지되는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키는 단계와,
    상기 USB 디바이스의 사용시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킬 것인지 아닌지를 표시하는 유저 설정을 접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행단계에서는,
    상기 유저 설정이 상기 USB 디바이스의 사용시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키도록 설정된 경우에, 상기 USB 디바이스의 사용시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제1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키고,
    상기 유저 설정이 상기 USB 디바이스의 사용시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키지 않도록 설정된 경우에, 상기 USB 디바이스의 사용시에, 상기 화상 형성장치를 상기 제1전력 상태로부터 상기 제2전력 상태로 이행시키지 않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60062566A 2015-05-28 2016-05-23 정보 처리장치 KR1020492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09122 2015-05-28
JP2015109122 2015-05-28
JPJP-P-2016-031463 2016-02-22
JP2016031463A JP6675220B2 (ja) 2015-05-28 2016-02-22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414A true KR20160140414A (ko) 2016-12-07
KR102049231B1 KR102049231B1 (ko) 2019-11-28

Family

ID=57399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566A KR102049231B1 (ko) 2015-05-28 2016-05-23 정보 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9774753B2 (ko)
KR (1) KR102049231B1 (ko)
CN (1) CN1062008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74753B2 (en) * 2015-05-28 2017-09-2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JP6891705B2 (ja) * 2017-07-27 2021-06-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印刷装置の制御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1958A (ko) * 2009-01-07 2010-07-15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KR20140049932A (ko) * 2012-10-18 2014-04-2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복수의 전력상태로 가동하는 전자기기 및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1214A (ja) * 2003-07-10 2005-02-17 Canon Inc 印刷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018686B2 (ja) * 2003-12-10 2007-12-0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078892B2 (en) * 2007-11-01 2011-12-13 Ricoh Company, Limited Information-processing apparatus, packet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network device and switching between a normal power mode and a power saving mode
JP5317542B2 (ja) 2008-06-12 2013-10-1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460167B2 (ja) * 2009-07-31 2014-04-0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CN102033451A (zh) * 2009-10-06 2011-04-27 株式会社东芝 图像形成装置以及图像形成装置的控制的方法
JP5446943B2 (ja) * 2010-01-29 2014-03-19 ソニー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及びプリンタ装置の制御方法
JP5693049B2 (ja) * 2010-06-04 2015-04-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784322B1 (ko) * 2010-11-25 2017-10-12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5808129B2 (ja) * 2011-04-06 2015-11-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5847501B2 (ja) * 2011-09-07 2016-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5975662B2 (ja) * 2012-02-06 2016-08-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CN103259243B (zh) * 2012-02-16 2016-01-13 佳能株式会社 信息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
JP5586718B2 (ja) * 2012-06-19 2014-09-10 株式会社東芝 制御プログラム、ホスト装置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ホスト装置
US9338320B2 (en) * 2012-08-10 2016-05-10 Konica Minolta, Inc.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14085955A (ja) * 2012-10-25 2014-05-1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080539B2 (ja) * 2012-12-25 2017-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00062B2 (ja) * 2013-04-01 2017-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376973B2 (ja) * 2014-01-14 2018-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324089B2 (ja) * 2014-01-29 2018-05-1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6336328B2 (ja) * 2014-05-02 2018-06-0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32183B2 (ja) * 2014-05-20 2020-01-2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6397234B2 (ja) * 2014-06-19 2018-09-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55464B2 (ja) * 2014-07-22 2018-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577727B2 (ja) * 2015-03-25 2019-09-1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
US9774753B2 (en) * 2015-05-28 2017-09-2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US9992236B2 (en) * 2015-06-22 2018-06-05 Dell Products L.P.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rotocol independent disjoint port names
JP6700742B2 (ja) * 2015-11-26 2020-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27798B2 (ja) * 2015-12-07 2020-07-2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742815B2 (ja) * 2016-05-23 2020-08-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ユーザに時刻を入力させるための画面の表示制御を行う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1958A (ko) * 2009-01-07 2010-07-15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KR20140049932A (ko) * 2012-10-18 2014-04-2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복수의 전력상태로 가동하는 전자기기 및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200864A (zh) 2016-12-07
US20170346979A1 (en) 2017-11-30
US20160352947A1 (en) 2016-12-01
US9774753B2 (en) 2017-09-26
KR102049231B1 (ko) 2019-11-28
CN106200864B (zh) 2020-01-21
US10165144B2 (en) 2018-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28269C2 (ru)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ом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и носитель данных
CN103516940B (zh) 信息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
US9128891B2 (en) Method, mobile terminal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haring storage device
US9813576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12155533A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20190052764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6071510B2 (ja)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8019328A (ja) 電子機器、無線通信装置、及び電力状態の制御方法
US9967417B2 (en) Managing apparatus power states
KR20160140414A (ko) 화상 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컴퓨터 프로그램
US1053442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figured to select swap area based on power mode,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6675220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EP3293610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US10033895B2 (en) Printing apparatus having plurality of power state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14130424A (ja) 電子機器、及びデバイス接続可否判定方法
CN104754161A (zh) 打印装置以及打印装置的控制方法
JP2015208905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174376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11036668B2 (en)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device configured to be shifted to power saving state and connected to PCI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530960B2 (en) Transmitting wireless communication advertisement packets
JP201411987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40146335A1 (en) Prin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print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6532240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4116905A (ja) 画像処理装置、機器制御方法、及び機器制御プログラム
US1152049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