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9755A - 난의 대량 순화재배 방법 - Google Patents

난의 대량 순화재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9755A
KR20160139755A KR1020150075221A KR20150075221A KR20160139755A KR 20160139755 A KR20160139755 A KR 20160139755A KR 1020150075221 A KR1020150075221 A KR 1020150075221A KR 20150075221 A KR20150075221 A KR 20150075221A KR 20160139755 A KR20160139755 A KR 201601397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ltivation
weight
seedlings
soil
eg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5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9174B1 (ko
Inventor
김동용
Original Assignee
김동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용 filed Critical 김동용
Priority to KR1020150075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174B1/ko
Publication of KR20160139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01G1/00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의 대량 순화재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밀식재배를 통한 난의 대량 순화재배은 난묘 순화단계에서 대량 밀식재배 기술을 적용할 경우, 난의 고사율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내배양 시간 단축 및 재배 면적 감소가 가능하므로, 난 생산 농가의 노동력 및 생산비 단가 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난의 대량 순화재배 방법{Method for Large Scale Acclimation Culture of Orchid}
본 발명은 난의 대량 순화재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밀식재배를 통한 난의 대량 순화재배에 관한 것으로, 이를 통해 관행 재배방법에 비해 난의 고사율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내배양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난 생산 농가의 노동력 및 생산비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난은 국화과, 콩과 다음으로 큰 과로서 지구상 피자식물의 약 7%를 차지하고 있다. 난은 극지방을 제외한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하는 식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분포환경 만큼이나 단자엽 식물 중 가장 진화된 것으로 알려진 식물이기도 하다.
이 중에서도 한국 춘란은 습도가 높은 반 음지의 따뜻한 곳에 주로 자생하고 있으며 3~4월경에 꽃을 피우는데, 특히 하나의 꽃대에 하나의 꽃을 피우는 일경일화가 많고, 향기가 없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유의 아름다움과 고유한 특색으로서 오래전부터 상위 계층의 사람들에게는 고고함을 상징하는 식물로 여겨져 오고 있었다, 과거 일부 소수 특권계층에 국한되었던 이러한 난 취미가 70년대 후반으로 들어서 수입이 자유로워짐에 따라 난의 종류 역시 다양화되어 확산되기 시작하였고, 자연 상태에서도 다양한 무늬를 가진 잎이나 꽃을 가진 돌연변이가 잇달아 발견되면서 이를 육종하여 재배하는 민간 육종가들이 생겨나기 시작했으며, 현재는 그 층이 점차 두터워져 난을 즐겨 찾는 동호인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난 수요 증가로 인해 난은 지속적인 시장성장을 보이는 화훼류로 부상하여 현재는 부가가치가 높은 수준에 이르게 되었으나, 심비디움, 수입 동양란 등은 키가 크고 좁은 공간에서 관리가 불편하고, 동양란의 경우 직수입해서 소비자들에게 판매가(적응과정 없음) 되므로 일반과정에서 쉽게 고사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하지만, 난 수요 증가에 따른 대중화 및 산업화를 위한 난의 대량생산 기술을 미미한 실정이다. 특히, 안정적인 우량묘의 획득을 위한 순화기술 체계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지만 이러한 연구는 현재 팔레놉시스, 호접란, 한란, 온시디움 및 하란 등에 국한되어 있다 (관련 참고문헌 정보 기재).
최근에는 관상가치가 높은 춘란은 더욱이 수요가 급증하여 현재 일본 또는 중국에서 잠정적으로 밀반입이 되고 있는 실상이다. 이로 인해 많은 문제점이 나타남에 따라 조직배양모의 기외 대량순화 기술 개발을 통해 고품질 우량묘를 공급하고 농가 재배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즉, 증가하는 춘란의 수요에 맞추어 대중 산업화를 위한 대량 재배에 필수적인 기내조직 배양기, 충분한 증식속도와 기외에서의 수분, 토양 재료 및 광 요인들을 연구하여 결주율과 고사율을 낮추는 기술이 필요하며, 특히 기내 배양하였던 유모를 기외에 정식하였을 경우 감소하는 활착률과 생존율은 경제적으로도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모색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춘란 순화시 발생하는 높은 결주율과 고사율을 감소시키고, 재배면적, 노동력 등의 절감 및 순화재배 기간 단축 측면을 고려한 춘란의 대량 순화재배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묘 순화단계에서 대량 밀식재배 기술을 적용할 경우, 난의 고사율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내배양 시간 단축 및 재배 면적 감소가 가능하므로, 난 생산 농가의 노동력 및 생산비 단가 절감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난의 묘 순화 단계에서 대량 밀식 재배를 통한 난 대량 순화 재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a) 코코피트, 피트모스, 질석, 펄라이트, 제오라이트, 부식산 및 비료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이 혼합된 원예용 상토를 육묘상자에 넣어 대량 밀식 재배용 육묘상자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대량 밀식 재배용 육묘상자 1 ㎡ 당 400 내지 450개가 되도록 난 묘를 심은 다음, 저면관수 하는 단계; 및
(c) 묘가 이식된 육묘상자를 차광시설을 가지고 있는 비닐하우스에서 25 내지 28℃ 조건으로 재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밀식재배(high density culture)를 통한 난 대량 순화 재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난은 춘란(Cymbidium virescens Lindl.)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의 원예상토는 총 중량부에 대하여 코코피트 50 내지 52 중량%, 피트모스 8 내지 12 중량%, 질석 11 내지 15 중량%, 펄라이트 11 내지 15 중량%, 제오라이트 8 내지 12 중량%, 부식산 0.05 내지 0.2 중량% 및 비료 0.2 내지 0.6 중량%로 포함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a) 단계에서 원예상토 총 중량부에 대하여 펄라이트 14 내지 18 중량% 및 왕겨 숯 4 내지 8 중량%를 추가로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의 난묘는 원예용 육묘상자에서 180일~240일 동안 배양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의 난묘는 가로 25 ~ 30mm 세로 20 ~ 22mm 간격으로 심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b) 단계에서 난묘를 심은 다음, 22 내지 26시간 동안 반그늘에서 방치한 후 저면관수(bottom watering)를 수행할 수 있으며, 최초 저면 관수는 30 내지 40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c) 단계의 재배는 비닐하우스에서 조도 2500 lux를 기준으로 하기 조건으로 배양할 수 있다.
1중 차광 : 50 내지 60% 차광 (고정)
2중 차광 : 50 내지 60% 차광 (오전 9시 내지 11시)
완전 차광 : 광량이 높은 6월 25일 내지 9월 초에는 오전 11시부터 오후 3시 30분까지 완전 차광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재배방법으로 배양한 난의 고사율은 9 내지 10%로, 30 내지 40%의 고사율을 보이는 관행재배에 비해 25 내지 21 내지 30% 감소되며, 상기 관행재배는 난분 1 ㎡ 당 30 내지 40개가 되도록 난을 심어 재배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재배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160 내지 170일 동안 재배하여 난을 순화시킬 수 있으며, 290 내지 310일의 순화기간이 필요한 관행재배에 비해 51 내지 55% 재배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밀식재배를 통한 난의 대량 순화재배은 난묘 순화단계에서 대량 밀식재배 기술을 적용할 경우, 난의 고사율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내배양 시간 단축 및 재배 면적 감소가 가능하므로, 난 생산 농가의 노동력 및 생산비 단가 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대량 밀식 재배용 혼합 상토 제작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1번 : 원예용 상토, 2번 : 펄라이트, 3번 : 왕겨, 4번 : 혼합기에 재료를 넣는 모습, 5번 : 비커, 6번 : 혼합기에 넣은 원예용 상토를 넣은 모습, 7번 : 혼합기에 펄라이트 및 왕겨를 추가로 첨가한 모습, 8번 : 혼합중인 혼합기 모습, 9번 : 작업통에 혼합된 상토를 넣는 모습, 10번 : 배합된 혼합 상토).
도 2는 마사토를 활용한 난 밀식 재배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비료 성분이 많은 상토에서 난을 재배했을 때 피해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대량 밀식 재배용 육묘 상자 제작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11번 : 좌측 면천 흰색; 중앙 부직포; 우측 합성섬유, 12번 : 6ℓ상토 적정, 13번 : 원예용 육묘상자에 상토 넣기, 14번 : 원예용 상토 고르기, 15번 : 완성된 육묘 상자).
도 5는 조직 배양묘를 대량 밀식 재배용 육묘 상자에 이식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대량 밀식 재배용 육묘상자 정식 후 최초 물 관리를 나타낸 사진이다 (19번 : 저면 관수, 20번 : 저면 관수 밑받침까지 물을 높여줌, 21번 : 저면 관수 밑받침까지 물을 주기 시작, 22번 : 저면 관수 13분 경과, 23번 : 저면 관수 23분 경과, 24번 : 저면 관수 30분 경과, 25번 : 저면 관수 40분 경과).
도 7은 저면 관수 및 살수식 관수에 따른 난의 고사율을 비교한 사진이다 (좌 : 저면 관수, 우 : 살수식 관수).
도 8은 살수식 관수에 의한 과습에 따른 난의 고사정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9는 대량 밀식 순화 묘 화분 정식 과정을 나타낸 사진이다 (28번 : 2014년 9월 16일 육묘상자에 이식, 29번 : 2014년 2월 24일 뿌리 상태 확인, 30번 : 전체적인 뿌리 상태 사진, 31번 : 순화가 잘 된 것과 고사된 것 분류, 32번 : 고사된 난 사진, 33번 : 난의 전체 뿌리 사진, 34번 : 바크로 화분에 정식, 35번 : 정식 완료 후 모습).
도 10은 화분에 정식이 완료된 난의 재배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2015년 3월 20일).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춘란의 수요에 맞추어 대중 산업화를 위한 대량 재배에 필수적인 기내조직 배양기, 충분한 증식속도와 기외에서의 수분, 토양 재료 및 광 요인들을 연구하여 결주율과 고사율을 낮추는 기술이 필요하며, 특히 기내 배양하였던 유모를 기외에 정식하였을 경우 감소하는 활착률과 생존율은 경제적으로도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 모색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밀식재배를 통한 난의 대량 순화재배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문제의 해결을 모색하였다. 묘 순화단계에서 대량 밀식재배 기술을 적용할 경우 춘란 순화시 발생하는 높은 결주율과 고사율을 감소시키고, 재배면적, 노동력 등의 절감 및 순화재배 기간 단축이 가능하므로, 난 생산 농가의 노동력 및 생산비 단가를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a) 코코피트, 피트모스, 질석, 펄라이트, 제오라이트, 부식산 및 비료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이 혼합된 원예용 상토를 육묘상자에 넣어 대량 밀식 재배용 육묘상자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대량 밀식 재배용 육묘상자 1m㎡ 당 400 내지 450개가 되도록 난 묘를 심은 다음, 저면관수 하는 단계; 및
(c) 묘가 이식된 육묘상자를 차광시설을 가지고 있는 비닐하우스에서 25 내지 28℃ 조건으로 재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밀식재배(high density culture)를 통한 난의 대량 순화 재배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밀식재배(high density culture)'는 빈틈없이 빽빽하게 심어 재배하는 것으로, 배게 심기라고도 한다. 나무 등의 식물을 처음 심을 때 밀도를 높이게 되면 토양의 유실이 적어서 산림의 황폐화를 줄이는 효과를 나타내며, 밑가지 발생이 억제되고 수고 장생이 촉진되어 나무 줄기가 곧고 마디가 적은 나무가 많이 생산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난의 대량 순화 재배방법은 일반적인 난(orchid)에 모두 적용시킬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춘란(Cymbidium virescens Lindl.)에 밀식재배방법을 적용시켜 대량 순화 재배할 수 있다.
상기 재배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a) 단계는 코코피트, 피트모스, 질석, 펄라이트, 제오라이트, 부식산 및 비료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이 혼합된 원예용 상토를 육묘상자에 넣어 대량 밀식 재배용 육묘상자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원예용 상토는 코코피트, 피트모스, 질석, 펄라이트, 제오라이트, 부식산 및 비료 등이 포함된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원예용 상토를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원예상토 총 중량부에 대하여 코코피트 50 내지 52 중량%, 피트모스 8 내지 12 중량%, 질석 11 내지 15 중량%, 펄라이트 11 내지 15 중량%, 제오라이트 8 내지 12 중량%, 부식산 0.05 내지 0.2 중량% 및 비료 0.2 내지 0.6 중량%로 포함되도록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난의 재배시 뿌리 내림 및 뿌리 고정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펄라이트 또는 왕겨를 추가로 더 혼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예상토 총 중량부에 대하여 펄라이트 14 내지 18 중량% 및 왕겨 숯 4 내지 8 중량%를 추가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원예상토 성분 중 코코피트(cocopeat, COIR)는 열대지방 야자수의 섬유물질로 리그닌의 함량이 높아 화학적으로 불활성 물질이다. 미생물 침투에 저항성이 있고 산화조건이 안정적이며, 상당한 유기 양분과 미량요소를 함유하고 있는 무독, 무취의 소재이다. 코코넛 열매에 염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제조과정에서 바닷물이 유입되지 않고 염분농도가 없는 코코피트를 재료를 사용하는 원예용 상토가 좋다. 코코피트는 퇴비와는 달리 장기간 분해되지 않는 특성이 있으므로 상토 내에서 가스발생의 우려가 적다. 보수력은 건물기준으로 중량의 6∼9배로 대단히 높고, 공극량은 96%로 양호하다. 입자는 0.l∼0.4mm, 기상률은 12∼15% , 그리고 유효수분 함량은 25∼28%이다. 이를 이용한 상토는 물리성과 화학성이 안정되어 있으며, 타 소재에 비해 무게가 매우 가벼워 작업성이 뛰어나다는 특징이 있다. 국내에는 피트모스보다 늦게 소개되었지만 대규모 육묘에서 소규모 농가들까지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소재로 호평 받아 농가보급률이 매우 높다. 다만 야자수의 채취시기, 가공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 품질등급이 있기 때문에 이를 철저히 관리하는 회사의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현명하다.
펄라이트(Perlite)는 화산의 용암지대에서 캐낸 회백색의 광물을 760℃의 고열 처리를 하여 원광석의 10배 이상으로 팽창시켜 만든 백색의 가벼운 입자이다. 무게가 모래보다 86% 정도 가벼워 관수하면 이동하기 쉬우나 다른 상토재료와 섞어서 사용하면 적정한 공기와 수분을 함유하여 토양을 부드럽게 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세근의 발육이 양호하다. 또한 무균이므로 파종에 적합하고 이식을 필요로 하는 작물에서는 오랫동안 습기를 유지하게 되므로 활착이 용이하다. 주의할 점은 펄라이트 량이 너무 많이 넣으면 상토의 결합력이 떨어져 실험 결과 뿌리 내림이 매우 불량하므로, 적절한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중요하다.
왕겨는 리그닌, 규산함량 등이 높아 가공이 어려우나 분해 안정성이 높은 장점이 있으며 통기성이 매우 우수하다. 그러나 양이온치환용량이 낮고, pH가 지속적으로 높아지며 자체 결합력이 있어 원예용 상토에는 총 중량부에 대하여 4 내지 8 중량%를(원예용 상토 50ℓ에 왕겨 3ℓ 정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사(굵은 모래)는 입자가 굵어 배수가 잘되고 세균도 거의 없어 싹을 틔울 때, 토질 개량을 할 때 많이 사용하는 재료이다. 각종 암석의 풍화작용에 의해 생성되기 때문에 돌과 흙의 중간 단계의 모습을 하고 있다. 원예용 육묘상자에 묘를 식재 시 원예용 상토에서의 뿌리 생장은 좋으나 묘가 생장할 때 상토가 들썩이는 경우가 생긴다. 이때 마사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토의 표면에 뿌려서 묘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고 뿌리가 안착하는데 도움을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만, 마사는 깨끗한 물로 여려 번 세척 후 건조를 시킨다음 사용을 해야 재배 시 마사 끼리 덩어리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원예용 상토 내 비료성분은 질소(N), 인(P), 칼륨(K) 및 미량요소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가을철에 생산되는 원예용 상토는 대부분 양파 등을 재배하기 위한 상토라서 봄철에 생산되는 상토에 비해 비료 성분이 많아 난 재배에 불리한 점이 있다 (도 3). 즉, 비료 성분의 많은 원예용 상토보다는 비료 성분이 적은 원예용 상토가 난의 묘 대량 재배에 적합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a) 단계의 육묘상자는 난묘를 재배하기 위한 것이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일반 원예용 육묘상자보다는 밑에 다리가 있는(공간이 확보되는) 육묘상자를 이용하는 것이 관수 및 통풍이 유리하여 난의 생육에 유리하다.
도 4는 난의 대량 밀식 재배용 육묘상자의 제작 과정을 나타낸 사진으로, 도 4의 11번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육묘상자 바닥에 부직포 및 합성섬유를 깔고 난의 대량 밀식 재배용 육묘 상자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저면관수 시 흡수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면천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만약, 육묘 상자 바닥에 천을 깔지 않고 육묘상자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장기적으로 관수시 상토가 밖으로 유출되는 단점이 있으며, 공기가 직접 상토에 닿으므로, 공중습도 건조로 인하여 뿌리 부분이 건조하여 난의 고사율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바크를 육묘상자에 깔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크가 마르고, 버섯류가 바크로부터 전이되어 혼합한 상토가 버섯 균사로 딱딱해져 난이 고사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눈으로 버섯균이 관찰되면 불과 7 내지 10일 안에 전체가 딱딱하게 변함).
다음으로, (b) 단계는 (a) 단계의 대량 밀식 재배용 육묘상자 1 ㎡ 당 400 내지 450개가 되도록 난 묘를 심은 다음, 저면관수 하는 단계이다.
상기 난묘는 난의 조직배양묘이다. 조직배양은 식물체의 일부분을 모체에서 떼어내어 배양기 안에서 생육시키는 방법으로, 줄기 정상조직, 뿌리, 줄기, 잎, 화기 등 각 기관의 배양, 세포융합에 의한 체세포 잡종의 육성, 무병묘 육성의 육종 응용, 유전자 재조합 기술의 적용 등 농업, 원예, 식물육종, 유용 물질의 생산에 이용된다.
대량 밀식 재배용 육묘상자에 난 묘의 이식은 1㎡ 당 400 내지 450개가 되도록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난묘는 가로 25 내지 30mm, 세로 20 내지 22mm 간격으로 심을 수 있다. 너무 간격이 넓으면 효율성이 떨어지고 간격이 좁으면 작업 능율이 떨어진다.
대량 밀식 재배를 위한 육묘상자의 크기가 470mm(L) x 315mm(W) x 90mm(H)인 경우에, 육묘상자 1개당 약 190 내지 210개의 묘를 심어 기내배양하게 되며, 330㎡ 당 720개의 육모상자를 배양하게 된다. 즉, 330㎡당 136,800 내지 151,200개의 묘를 심을 수 있게 된다.
일반적인 난의 관행재배는 3.5인치 난분(보통 PVC 재질)를 사용하며, 330㎡당 약 12,000개의 난, 즉 1㎡ 당 30 내지 40개로 난을 심어 재배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밀식재배를 이용한 대량 순화 재배 방법은 관행재배에 비해 약 5 내지 10배 효율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간면에서도 상기 육묘상자에 190 내지 210개의 묘를 이식하는 시간은 관행재배의 3.5인치 난분에 66개의 묘를 이식하는 시간과 비슷하게 소요되므로, 본 발명의 밀식재배는 3.5인치 난분에 3개씩 이식하는 것보다 약 4배 정도 시간 절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난묘를 심은 다음, 22 내지 26시간 동안 반그늘에서 방치한 다음, 저면관수(bottom watering)를 수행할 수 있으며, 최초 저면 관수는 30 내지 40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대량 밀식 재배용 육묘상자 정식 후, 처음 24시간 정도 반그늘에서 관리를 해야한다. 저면관수는 살수식 관수보다 물 비용이 더 들어가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나, 약 30분 정도 저면관수를 하게되면 상토 표면까지 촉촉하게 적셔져 살수식 관수보다 고사율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대량 밀식 재배용 육묘상자에 난 묘를 정식 후 최초 물관리 과정을 나타낸 사진으로, 최초 저면관수 시 육묘상자 외각 벽면까지 충분히 흡수되도록 해야 하며, 이후에는 통풍, 광량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물 관리를 해야 한다.
도 7은 저면관수와 살수식 관수 시 난의 고사율 정도를 비교한 것으로, 살수식 관수를 할 경우 물이 골고루 흡수되지 않아 마른 곳과 과습하는 곳이 생기게 되여,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살수관수의 경우 난의 고사율이 저면관수에 비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c) 단계는 묘가 이식된 육묘상자를 차광시설을 가지고 있는 비닐하우스에서 25 내지 28℃ 조건으로 재배하는 단계이다.
난 재배는 차광 및 온도 조절이 중요하므로, 육묘상자의 재배는 차광시설을 가지고 있는 비닐하우스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차광은 차광시설이 갖춰진 비닐하우스에서 조도 2500 lux를 기준으로 하기 조건으로 배양할 수 있다.
1중 차광 : 50 내지 60% 차광 (고정)
2중 차광 : 50 내지 60% 차광 (오전 9시 내지 11시)
완전 차광 : 광량이 높은 6월 25일 내지 9월 초에는 오전 11시부터 오후 3시 30분까지 완전 차광.
본 발명의 대량 순화 재배방법으로 재배된 난은 이후 화분으로 정식하는 작업을 거치게 되는데,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순화가 잘된 것과 고사된 것을 분류하여 정식을 수행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대량 순화 재배방법으로 재배된 난을 최종적으로 화분에 정식(2015년 02월 24일)한 다음, 약 한달 정도(2015년 03월 20일) 지난 후에 관찰 한 것으로, 난의 고사 없이 잘 자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재배방법으로 배양한 난의 고사율은 9 내지 10%로, 30 내지 40%의 고사율을 보이는 관행재배에 비해 25 내지 21 내지 30% 감소되며, 상기 관행재배는 3.5인치 난분에 3개의 배양묘를 심어 재배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배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160 내지 170일 동안 재배하여 난을 순화시킬 수 있으며, 290 내지 310일의 순화기간이 필요한 관행재배에 비해 51 내지 55% 재배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만약, 육묘상자에서 10개월 이상 재배하게 되면 과밀화가 되어 통풍의 불량과 뿌리가 밖으로 나오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적절한 시기에 정식분갈이를 해주지 않으면 상품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춘란의 한 종류인 줄리 신품종을 대량 밀식 재배용 육모상자 1개당 총 204개를 이식(2014년 9월16일)하여 대량 재배한 결과, 이식 후 157일(2015년 2월24일) 경과 후 20개(9.8%)가 고사를 하고 184개가 정상적으로 순화 결과를 얻었다. 반면, 일반적인 관행방법인 3,5인치 PVC 난분(화분)에 기내 배양묘 3개씩 심어 순화재배하는 경우에는 화분 정식 과정까지 약 300일 정도 소요되며, 고사율이 약 35%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후사리움 속균(Fusarium) 오염과 모 잘록병(damping-off)에 의한 고사가 심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상기 모 잘록병은 작물의 발아 직후 유묘(幼苗)에 발생하는 식물병의 하나로, 유묘의 지표부가 수침상으로 연화 또는 지표부에 갈색의 병반이 생겨 도복하여 고사한다. 입고병의 1종이지만, 모종시기에만 발생하여 묘립고병이라고도 한다. 많은 작물에 발생하며 병원의 종류도 단일하지 않다. 벼, 조, 옥수수 등에서는 Fusarium roseum f. sp. cerealis가 병원이고, 이밖에 Fusarium solani가 관여하기도 한다.
3,5인치 PVC 난분(관행 화분 재배)은 저면 관수가 어려워 초기 모잘록병 약을 살수식으로 방제할 수밖에 없는 문제를 가지고 있는 반면, 본 발명의 대량 순화 재배 방법은 처음 저면관수를 통한 모 잘록병 예방이 가능하며, 혼합상토를 이용 원예용 상자재배 특성상 물의 량을 조절이 용이하기 때문에 식물 병원균에 의한 고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대량 순화 재배 방법은 관행 재배 방법에 비해 고사율을 약 25.2% 줄이고(관행 35%, 대량 밀식 순화재배 9.8%), 재배 시간은 134일 단축(관행 300일, 대량밀식재배 166일)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일반적으로 난의 배양 작업은 라이좀(생장점을 따서 증식) 증식작업, 슈팅작업, 정식작업 등 보통 3단계로 작업을 수행하지만, 본 발명의 대량 순화 재배 방법은 라이좀 증식작업과, 슈팅 및 정식작업의 2단계로 줄일 수 있으므로, 기내 배양에서 순화재배까지의 기간을 6 ~ 8개월 정도로 소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춘란의 경우, 36 내지 40개월(일반춘란은 어린 묘를 심었을 때 경우에 따라 50개월~60개월 재배를 해야 개화) 재배를 해야 출하가 가능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밀식 재배를 통한 대량 순화 재배방법을 이용하면 순화 재배기간을 6 ~ 8 개월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실제 농가에서 28 ~ 30 개월이면 출하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밀식 재배를 통한 난의 대량 순화 재배 방법을 이용하여 난의 묘를 재배하게 되면, 관행 재배에 비해 면적 효율이 높고 관리가 용이하며, 시간 및 공간의 활용도가 높다. 또한, 물관리가 용이하여 후사리움 속균(Fusarium)에 의한 고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건조로 인하여 잎 끝이 타는 것을 억제하고 생장을 촉진시켜 뿌리가 잘 내리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난의 대량 순화 재배
1 단계 : 난의 대량 순화 재배를 위한 혼합토 제조
본 발명에서는 난의 대량 순화 재배를 위한 혼합토를 제조하기 위해 도 1의 대량 밀식 재배용 혼합토 제작 과장과 같이 혼합토를 제작하였다.
밀도 0.3 미만(Mg/㎥)이고, 코코피트 51.5%, 피트모스10%, 질석13%, 펄라이트 13%, 제오라이트 10%, 부식산 0.1%, 비료(N,P,K 및 미량요소 0.4%)가 혼합되어 있는 일반 원예용 상토 50ℓ(신성미네랄, 한아름)에 펄라이트 8ℓ및 왕겨 숯 3ℓ를 추가로 첨가하여 믹서기로 5분 동안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2 단계 : 대량 밀식 재배용 육묘 상자 만들기
도 6의 대량 밀식 재배용 육묘상자 제작 과정과 같이 수행하였으며, 470mm(L) x 315mm(W) x 90mm(H) 크기의 원예용 육묘상자 바닥에 면천을 깔고 상기에서 혼합한 상토 6ℓ 정도를 넣은 다음 표면을 고르게 하였다.
3 단계 : 난 조직 배양묘 이식
난은 춘란 품종의 하나인 줄리를 이용하였으며, 줄리의 조직배양묘는 새만금생명공학센터에서 얻어 준비하였다.
(추가로 작성해주신 부분이 기내배양에 관한 내용이여서 삭제를 하고, 조직배양묘는 간단하게 새만금 생명공학센터에서 얻어서 사용하였다고 기재하였습니다.
혹시라도, 조직배양묘 준비 방법에 대해 아신다면 간단하게 기재 부탁드립니다.)
그 다음, 플라스크에서 꺼낸 묘를 깨끗한 물에 세척(겨울철에는 미지근한 물을 사용)한 다음, 반그늘에서 신문지로 덮고, 뿌리에 물이 없을 정도로 말린 후,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셋으로 묘의 벌브 부분을 잡고 2 단계에서 준비한 육묘상자에 심었다. 육묘상자 1개당 204개의 조직배양묘를 심어 기내배양을 수행하였다 (2014년 9월 16일 수행).
4 단계 : 대량 밀식 재배용 육묘상자 정식 후 최초 물관리
대량 밀식 재배용 육묘상자 정식 후, 처음 24시간 정도 반그늘에서 그대로 관리하였다. 그 다음, 도 6의 과정과 같이 육묘상자 외각 벽면까지 물이 충분히 흐수되도록 하였으며, 상토 표면까지 촉촉하게 적셔지도록 30 내지 40분 동안 저면관수를 수행하였다.
5 단계 : 육묘상자 재배 시 농약 방제
최초 물주기 시에 물에 모잘록병 방제약(다찌가렌, (주) 아그로텍)을 1,000배로 희석하여 저면관수를 수행하였으며, 15일 간격으로 살충제(포위망, (주) 동부팜 한농) 및 살균제(카브리오, 한국상농)를 살포하였다.
6 단계 : 재배관리 (차광 및 온도 조절)
난 재배는 차광 및 온도 조절이 중요하므로, 육묘상자의 재배는 차광시설을 가지고 있는 비닐하우스에서 수행하였다. 차광은 차광시설이 갖춰진 비닐하우스에서 조도 2500 lux를 기준으로 하기 조건으로 배양하였으며, 차광은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일반시중에 판매하는 바둑판 차광막 (검정색 필름에 UV 코팅 처리된 차광막) 55% 광량에 따라 1중 2겹 2중 2겹 총 4겹으로 차광이 조절할 수 있는 시설을 이용하였다.
1중 차광 : 50 내지 60% 차광 (고정)
2중 차광 : 50 내지 60% 차광 (오전 9시 내지 11시)
완전 차광 : 광량이 높은 6월 25일 내지 9월 초에는 오전 11시부터 오후 3시 30분까지 완전 차광.
온도 조절은 27℃를 기준으로 자동 측창 개폐 조건에서 재배를 수행하였다.
7 단계 : 화분 정식 작업
상기 1 내지 6 단계를 통해 157일 동안 대량 순화 재배한 난을 화분으로 정식하였다 (2015년 02월 24일). 정식과정은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순화가 잘된 것과 고사된 난을 분류한 다음, 순화된 난을 화분에 정식하였다.
줄리 총 204개의 조직배양묘를 상기 방법으로 대량 순화 재배한 결과, 기내배양 157일 경과 후 20개(9.8%)가 고사를 하고 184개가 정상적으로 순화된 것을 확인하였다.
< 비교예 1>
본 발명에서는 원예용 상토에 포함된 비료 성분함량에 따라 난의 순화재배에 어떤 결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예 1의 1 단계에서 사용하는 원예용 상토를 비료 함량이 많은 제품(오래오래, ㈜서울바이오)를 사용하였으며, 이외에 다른 단계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료 성분이 많은 경우 난의 고사가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하여, 비료 성분이 많은 원예용 상토는 난묘의 대량 재배에 부적합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제품은 가을철에 생산되는 원예용 상토로 대부분 양파 등을 재배하기 위한 상토라서 봄철에 생산되는 상토에 비해 비료 성분이 많아 난 재배에 불리한 점이 있다.
< 비교예 2>
본 발명에서는 실시예 1의 2단계에서 원예용 육묘상자에 까는 천의 종류에 따라 난의 순화재배에 어떤 결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도 4의 11번과 같이 면 천 이외에 합성섬유 또는 부직포를 사용한 경우, 천을 깔지 않은 경우, 바크를 이용하는 경우로 나누었으며, 이외에 다른 단계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합성섬유 또는 부직포를 사용하는 경우 저면 관수시 흡수력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육모 바닥에 천을 깔지 않은 경우, 장기적으로 관수시 상토가 밖으로 유출되는 단점이 있으며, 공기가 직접 상토에 닿으므로, 공중습도 건조로 인하여 뿌리 부분이 건조하여 난의 고사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바크를 육묘상자에 깔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크가 마르고, 버섯류가 바크로부터 전이되어 혼합한 상토가 버섯 균사로 딱딱해져 난이 고사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눈으로 버섯균이 관찰되고 7 내지 10일 안에 상토 전체가 딱딱하게 변한 것을 관찰하였다.
< 비교예 3>
본 발명의 저면관수와 일반적인 살수식 관수에 따른 난의 고사율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 1의 4 단계에서 저면관수 방법 대신 살수식 관수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이외에 다른 단계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도 7은 저면관수와 살수식 관수 시 난의 고사율 정도를 비교한 것으로, 살수식 관수를 할 경우 물이 골고루 흡수되지 않아 마른 곳과 과습하는 곳이 생기게 되여,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살수관수의 경우 난의 고사율이 저면관수에 비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 비교예 4>
본 발명의 밀식재배를 통한 대량순화 방법과 난 재배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관행재배 방법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먼저, 실시예 1의 1 단계와 동일하게 혼합 상토를 제조한 다음, 3.5인치 난분(PVC 재질)에 상기 혼합 상토를 넣어 난묘 재배를 위한 난분을 준비하였다.
그 다음, 실시예 1의 3 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준비한 줄리의 조직배양묘를 난분 1개당 3개씩 이식하였다. 3.5인치 PVC 난분의 경우 저면관수가 어려우므로 살수식 관수 방법으로 난을 재배하였다.
그 결과, 관행방법으로 난의 순화재배를 하는 경우, 순화에까지 약 300일정도 소요되고 35%의 고사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주로 후사리움 속균(Fusarium) 오염과 모 잘록병(damping-off)에 의해 고사가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a) 코코피트, 피트모스, 질석, 펄라이트, 제오라이트, 부식산 및 비료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이 혼합된 원예용 상토를 육묘상자에 넣어 대량 밀식 재배용 육묘상자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대량 밀식 재배용 육묘상자 1 ㎡ 당 400 내지 450개가 되도록 난 묘를 심은 다음, 저면관수 하는 단계; 및
    (c) 묘가 이식된 육묘상자를 차광시설을 가지고 있는 비닐하우스에서 25 내지 28℃ 조건으로 재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밀식재배(high density culture)를 통한 난의 대량 순화 재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은 춘란(Cymbidium virescens Lind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의 대량 순화 재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원예용 상토는 총 중량부에 대하여 코코피트 50 내지 52 중량%, 피트모스 8 내지 12 중량%, 질석 11 내지 15 중량%, 펄라이트 11 내지 15 중량%, 제오라이트 8 내지 12 중량%, 부식산 0.05 내지 0.2 중량% 및 비료 0.2 내지 0.6 중량%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의 대량 순화 재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원예용 상토 총 중량부에 대하여 펄라이트 14 내지 18 중량% 및 왕겨 4 내지 8 중량%가 추가로 혼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의 대량 순화 재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난묘는 가로 25 ~ 30mm 세로 20 ~ 22mm 간격으로 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의 대량 순화 재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난묘를 심은 후, 22 내지 26시간 동안 반그늘에서 방치한 다음, 저면관수(bottom watering)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의 대량 순화 재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방법으로 배양한 난의 고사율은 9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의 대량 순화 재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방법을 이용한 난의 순화 기간은 160 내지 170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의 대량 순화 재배방법.
KR1020150075221A 2015-05-28 2015-05-28 난의 대량 순화재배 방법 KR101789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221A KR101789174B1 (ko) 2015-05-28 2015-05-28 난의 대량 순화재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221A KR101789174B1 (ko) 2015-05-28 2015-05-28 난의 대량 순화재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755A true KR20160139755A (ko) 2016-12-07
KR101789174B1 KR101789174B1 (ko) 2017-10-23

Family

ID=57573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5221A KR101789174B1 (ko) 2015-05-28 2015-05-28 난의 대량 순화재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91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01358A (zh) * 2019-01-29 2019-04-12 江苏苏台航天农业云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铁皮石斛的种植床栽培方法
WO2019119970A1 (zh) * 2017-12-22 2019-06-27 广西乙木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墨兰的高效栽培方法
CN113079927A (zh) * 2021-04-13 2021-07-09 永德沃森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苦子果驯化后规模化种植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0088B1 (ko) * 1997-04-01 1999-09-01 박호군 시설하우스내인공씨감자의밀식단축및년중다회전재배를통한무병,우량소괴경씨감자의대량생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9970A1 (zh) * 2017-12-22 2019-06-27 广西乙木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墨兰的高效栽培方法
CN109601358A (zh) * 2019-01-29 2019-04-12 江苏苏台航天农业云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铁皮石斛的种植床栽培方法
CN113079927A (zh) * 2021-04-13 2021-07-09 永德沃森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苦子果驯化后规模化种植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9174B1 (ko) 2017-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60172B (zh) 杜鹃红山茶短穗根接快繁方法
CN101637084B (zh) 利用硬枝扦插和根段育苗相结合繁育四倍体刺槐苗木方法
CN105052665B (zh) 一种良种金槐大苗的培育方法
CN101946661B (zh) 白茶工厂化快速繁育方法
CN105191763A (zh) 蔬菜有机无土栽培方法、栽培基质及其制造方法
CN101803515A (zh) 铁皮石斛的快速生长栽培方法
Hernández et al. Cultivation systems
CN102919035A (zh) 一种桂花苗木工厂化培育方法
CN105918049A (zh) 一种桃树枝扦插繁殖方法
CN104663422B (zh) 一种杂交水稻的制种方法
KR20130051649A (ko) 호밀을 이용한 가지과 과채류 재배방법
CN102172153A (zh) 作物工厂化土壤基质育苗移栽方法
CN107926715A (zh) 一种茄子或/和辣椒或/和番茄的嫁接培育方法
KR101432471B1 (ko) 천마 재배용 상토,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천마 재배방법
CN111758529A (zh) 中山杉温室容器扦插育苗方法及基质
CN103392488B (zh) 一种青花菜扦插育苗的方法
CN107409670A (zh) 一种烟草漂浮育苗拔株膜下移栽方法
CN103858771A (zh) 一种玉米转基因组培苗的移栽方法
CN104285771B (zh) 核桃容器苗水培培育方法
CN105594540A (zh) 毛瓣金花茶嫁接育苗方法
KR101789174B1 (ko) 난의 대량 순화재배 방법
CN107853046A (zh) 一种湿地松工厂化扦插育苗方法
CN102550271A (zh) 耐寒天竺桂种质容器苗商品化培育方法
CN104303765B (zh) 石斛的高产种植方法
CN106034712B (zh) 一种桤木嫩枝单芽扦插育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