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9304A - 줌 트래킹 방법 - Google Patents

줌 트래킹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9304A
KR20160139304A KR1020150073939A KR20150073939A KR20160139304A KR 20160139304 A KR20160139304 A KR 20160139304A KR 1020150073939 A KR1020150073939 A KR 1020150073939A KR 20150073939 A KR20150073939 A KR 20150073939A KR 20160139304 A KR20160139304 A KR 201601393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om
focus
zoom magnification
magnification
control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3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2469B1 (ko
Inventor
이기림
김대봉
허진욱
이중경
권영상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3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2469B1/ko
Publication of KR20160139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2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246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3296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9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having zoom function
    • G02B15/161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02B7/282Autofocusing of zoom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줌 카메라의 제어부에 의하여 수행되는 줌 트래킹 방법에 있어서, 단계들 (a) 및 (b)를 포함한다. 단계 (a)에서는,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텔레(tele) 방향 또는 와이드(wide) 방향의 주밍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다. 단계 (b)에서는, 텔레(tele) 방향의 주밍 명령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는, 기준 줌 배율에 도달할 때까지 복수의 줌 트랙 곡선들을 선택적으로 적용하고, 상기 기준 줌 배율을 초과하는 동안에 상기 기준 줌 배율에서 적용되었던 어느 한 줌 트랙 곡선만을 지속적으로 적용한다.

Description

줌 트래킹 방법{Zoom tracking method}
본 발명은, 줌 트래킹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줌 카메라의 제어부에 의하여 수행되는 줌 트래킹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는 줌 카메라의 텔레(tele) 주밍 버튼 또는 와이드(wide) 주밍 버튼을 누름에 의하여 줌 카메라의 주밍 동작을 명령할 수 있다. 즉, 줌 카메라의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텔레(tele) 방향 또는 와이드(wide) 방향의 주밍 명령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주밍 동작과 함께 줌 트래킹 동작을 수행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줌 트래킹 동작은 주밍 동작과 함께 수행되는 포커싱 동작이다. 줌 트래킹의 성능이 낮은 경우, 사용자는 주밍 과정에서 답답함과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특히, 감시용 줌 카메라인 경우, 줌 트래킹의 성능이 낮으면 감시의 공백이 발생될 수 있다.
빠른 주밍 동작에 상응하여 빠른 포커싱 동작을 하려면, 복수의 줌 트랙 곡선들이 필요하다. 복수의 줌 트랙 곡선들은 피사체의 거리 별로 줌 배율에 대한 포커스-렌즈 위치 값을 알려준다.
줌 배율이 낮은 와이드(wide) 구간에 있어서, 복수의 줌 트랙 곡선들의 포커스 범위는 좁다. 즉, 어느 한 줌 배율에 대한 복수의 줌 트랙 곡선들의 포커스-렌즈 위치 값들의 최대 차이 값은 적다.
이와 반대로, 줌 배율이 높은 텔레(tele) 구간에 있어서, 복수의 줌 트랙 곡선들의 포커스 범위는 넓다. 즉, 어느 한 줌 배율에 대한 복수의 줌 트랙 곡선들의 포커스-렌즈 위치 값들의 최대 차이 값은 크다.
따라서, 텔레(tele) 구간에서부터 와이드(wide) 방향으로 주밍이 수행될 경우, 현재의 줌 배율에서 적용되었던 줌 트랙 곡선의 정밀도가 높으므로, 현재의 줌 배율에서 적용되었던 줌 트랙 곡선이 그대로 적용된다.
또한, 와이드(wide) 구간에서부터 텔레(tele) 방향으로 주밍이 수행될 경우, 현재의 줌 배율에서 적용되었던 줌 트랙 곡선의 정밀도가 낮으므로, 현재의 줌 배율에서 적용되었던 줌 트랙 곡선이 그대로 적용될 수 없다. 따라서, 종래에는, 복수의 줌 트랙 곡선들이 선택적으로 적용된다.
텔레(tele) 방향으로 주밍이 수행될 경우에 복수의 줌 트랙 곡선들이 선택적으로 적용됨에 있어서, 제어부는, 줌 렌즈의 구동에 의하여 줌 배율을 상승시키는 동안에, 각각의 줌 배율에 대하여, 복수의 줌 트랙 곡선들의 포커스-렌즈 위치 값들 중에서 가장 높은 선명도를 제공하는 포커스-렌즈 위치 값을 찾아서 적용한다. 여기에서, 줌 배율이 높아질수록 줌 트랙 곡선들의 포커스 범위가 넓어지므로, 가장 높은 선명도를 제공하는 포커스-렌즈 위치 값을 찾는 시간이 점점 길어진다. 따라서, 텔레(tele) 방향으로 주밍이 수행될 경우, 텔레(tele) 구간에서 필요한 주밍 속도에 비하여 줌 트래킹 속도가 떨어지므로, 사용자는 선명한 영상을 볼 수 없다. 특히, 감시용 줌 카메라인 경우, 감시의 공백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배경 기술의 문제점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내용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지된 내용이라 할 수는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보 제2007-0016351호 (출원인 : 삼성전기 주식회사, 발명의 명칭 : 줌 트래킹 제어 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는, 텔레(tele) 방향으로 주밍이 수행될 경우에도 사용자가 선명한 영상을 볼 수 있게 해주는 줌 트래킹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줌 카메라의 제어부에 의하여 수행되는 줌 트래킹 방법에 있어서, 단계들 (a) 및 (b)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a)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텔레(tele) 방향 또는 와이드(wide) 방향의 주밍 명령 신호를 입력받는다.
상기 단계 (b)에서는, 텔레(tele) 방향의 주밍 명령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기준 줌 배율에 도달할 때까지 복수의 줌 트랙 곡선들을 선택적으로 적용하고, 상기 기준 줌 배율을 초과하는 동안에 상기 기준 줌 배율에서 적용되었던 어느 한 줌 트랙 곡선만을 지속적으로 적용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의 상기 줌 트래킹 방법에 의하면, 상기 기준 줌 배율을 적절히 설정함에 의하여, 상기 기준 줌 배율을 초과하는 동안에 상기 한 줌 트랙 곡선만을 지속적으로 적용하더라도 선명한 영상이 나타날 수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거리 피사체에 비해 원거리 피사체의 초점 심도가 깊다. 또한 전방 배경에 비해 후방 배경의 초점 심도가 깊다. 따라서, 초점 거리가 길어질수록 초점 심도가 깊어지므로, 줌 배율이 높아질수록 초점 심도가 깊어질 확률이 높다.
둘째, 초점 거리가 길어질수록 화각이 좁아지므로, 줌 배율이 높아질수록 화각이 좁아질 확률이 높다. 화각이 상대적으로 좁은 경우, 피사계의 실제 영역이 상대적으로 좁으므로, 피사계의 실제 영역의 변화량이 상대적으로 적다.
따라서, 텔레(tele) 방향으로의 줌 트래킹에 있어서, 텔레(tele) 구간에서 필요한 주밍 속도에 비하여 줌 트래킹 속도가 떨어지지 않으면서, 사용자는 선명한 영상을 볼 수 있다. 특히, 감시용 줌 카메라인 경우, 감시의 공백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줌 트래킹 방법을 사용하는 줌 카메라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제어부에 의하여 수행되는 줌 트래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제어부에 의하여 수행되는 줌 트래킹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계 S304의 세부 단계들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줌 배율에 대한 화각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줌 트래킹 방법을 사용하는 줌 카메라의 예를 보여준다. 도 1의 줌 카메라가 감시용 줌 카메라인 경우, 패닝(panning) 및 틸팅(tilting)의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줌 카메라(10)는 광학계(OPS), 광전 변환부(OEC),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01), 제어부(107), 저장부(103), 통신 인터페이스(108), 구동부(110), 마이크로-컴퓨터(113), 조리개 모터(Ma), 줌 모터(Mz), 포커스 모터(Mf), 필터 모터(Md), 사용자 입력부(116), 및 디스플레이부(117)를 포함한다.
렌즈들과 적외선 차단 필터를 구비한 광학계(OPS)는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광학적으로 처리한다. 광학계(OPS)의 렌즈들은 줌 렌즈 및 포커스 렌즈를 포함한다.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의 광전 변환부(OEC)는 광학계(OPS)로부터의 빛을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킨다. 여기에서, 제어부(107)는 타이밍 회로(102)를 제어하여 광전 변환부(OEC)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01)의 동작을 제어한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0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01)는,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의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영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디지털 영상 신호는 제어부(107)에 입력된다.
사용자 입력부(116)로부터의 제어 데이터에 따라 동작하는 제어부(107) 예를 들어, 디지털 신호 처리기는 광학계(OPS), 광전 변환부(OEC)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01)의 동작을 제어하면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01)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신호의 형식을 변환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107)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101)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휘도 및 색도 신호로 분류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발생시킨다.
저장부(103)는 제어부(107)로부터의 라이브-뷰(live-view) 동영상을 선택적으로 저장한다.
디스플레이부(117)는 제어부(107)로부터의 라이브-뷰(live-view)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107)는, 통신 인터페이스(108)를 통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 신호들(DCOM)을 주고 받으면서 라이브-뷰(Live-view)의 동영상 데이터(DIMA)를 외부 장치에게 전송한다.
한편, 마이크로-컴퓨터(113)는 구동부(110)를 제어하여 조리개 모터(Ma), 줌 모터(Mz), 포커스 모터(Mf) 및 필터 모터(Md)를 구동한다.
조리개 모터(Ma)는 조리개를 구동하고, 줌 모터(Mz)는 줌 렌즈를 구동하며, 포커스 모터(Mf)는 포커스 렌즈를 구동한다. 필터 모터(Md)는 적외선 차단 필터를 구동한다.
도 2는 도 1의 제어부(107)에 의하여 수행되는 줌 트래킹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16)의 텔레(tele) 주밍 버튼 또는 와이드(wide) 주밍 버튼을 누름에 의하여 줌 카메라의 주밍 동작을 명령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7)는 사용자 입력부(116)로부터 텔레(tele) 방향 또는 와이드(wide) 방향의 주밍 명령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07)는 주밍 동작과 함께 줌 트래킹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107)는, 빠른 주밍 동작에 상응하여 빠른 포커싱 동작을 하기 위하여, 복수의 줌 트랙 곡선들(C90 내지 C200)을 사용한다. 복수의 줌 트랙 곡선들(C90 내지 C200)은 피사체의 거리 별로 줌 배율에 대한 포커스-렌즈 위치 값을 알려준다. 예를 들어, 광학계(OPS)와 피사체의 거리가 1.5 미터(m) 내지 무한 거리의 범위에서 각각의 거리에 대하여 줌 트랙 곡선들(C90 내지 C200)이 설정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줌 배율이 낮은 와이드(wide) 구간에 있어서, 복수의 줌 트랙 곡선들(C90 내지 C200)의 포커스 범위는 좁다. 즉, 어느 한 줌 배율에 대한 복수의 줌 트랙 곡선들의 포커스-렌즈 위치 값들의 최대 차이 값은 적다.
이와 반대로, 줌 배율이 높은 텔레(tele) 구간에 있어서, 복수의 줌 트랙 곡선들(C90 내지 C200)의 포커스 범위는 넓다. 즉, 어느 한 줌 배율에 대한 복수의 줌 트랙 곡선들의 포커스-렌즈 위치 값들의 최대 차이 값은 크다.
따라서, 텔레(tele) 구간에서부터 와이드(wide) 방향으로 주밍이 수행될 경우, 현재의 줌 배율에서 적용되었던 줌 트랙 곡선의 정밀도가 높으므로, 현재의 줌 배율에서 적용되었던 줌 트랙 곡선이 그대로 적용된다.
또한, 와이드(wide) 구간에서부터 텔레(tele) 방향으로 주밍이 수행될 경우, 현재의 줌 배율에서 적용되었던 줌 트랙 곡선의 정밀도가 낮으므로, 다음과 같은 제어가 수행된다.
먼저 제어부(107)는 기준 줌 배율(Mref)에 도달할 때까지 복수의 줌 트랙 곡선들(C90 내지 C200)을 선택적으로 적용한다.
다음에, 기준 줌 배율(Mref)을 초과하는 동안에, 제어부(107)는 기준 줌 배율(Mref)에서 적용되었던 어느 한 줌 트랙 곡선만을 지속적으로 적용한다.
도 3은 도 1의 제어부(107)에 의하여 수행되는 줌 트래킹 방법을 보여준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07)는 사용자 입력부(116)로부터 주밍 명령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301). 주밍 명령 신호가 입력되면, 다음 동작들이 수행된다.
제어부(107)는 입력되는 주밍 명령 신호에서 주밍 방향을 판단한다(단계 S302).
와이드(wide) 방향의 주밍 명령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07)는 현재의 줌 배율에서 적용되었던 어느 한 줌 트랙 곡선만을 지속적으로 적용한다(단계 S303).
텔레(tele) 방향의 주밍 명령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07)는 단계들 S304 내지 S306을 수행한다.
단계들 S304 및 S305에 있어서, 제어부(107)는 기준 줌 배율(Mref)에 도달할 때까지 복수의 줌 트랙 곡선들(C90 내지 C200)을 선택적으로 적용한다.
또한, 단계들 S305 및 S306에 있어서, 제어부(107)는 기준 줌 배율(Mref)에서 적용되었던 어느 한 줌 트랙 곡선만을 지속적으로 적용한다.
도 4는 도 3의 단계 S304의 세부 단계들을 보여준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07)는, 구동부(110)를 제어함에 의하여 광학계(OPS) 내의 줌 렌즈를 이동시켜서, 단위 줌 배율만큼 줌 배율을 상승시킨다(단계 S401).
다음에, 제어부(107)는, 현재의 줌 배율에 대하여, 복수의 줌 트랙 곡선들(C90 내지 C200)의 포커스-렌즈 위치 값들 중에서 가장 높은 선명도를 제공하는 포커스-렌즈 위치 값을 찾는다(단계 S402).
그리고, 제어부(107)는, 찾아진 포커스-렌즈 위치 값에 따라, 구동부(110)를 제어함에 의하여 광학계(OPS) 내의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킨다(단계 S403).
따라서, 도 3의 단계들 S304 및 S305를 다시 참조하면, 제어부(107)는, 줌 렌즈의 구동에 의하여 줌 배율을 상승시키는 동안에, 각각의 줌 배율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줌 트랙 곡선들의 포커스-렌즈 위치 값들 중에서 가장 높은 선명도를 제공하는 포커스-렌즈 위치 값을 적용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가장 높은 선명도를 제공하는 포커스-렌즈 위치 값은, 프레임 영상에서 가장 많은 고주파 함량을 발생시키는 포커스-렌즈 위치 값이다.
한편, 기준 줌 배율(Mref)은 실험 및 시뮬레이션에 의하여 줌 카메라(10)의 설계 특성에 맞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줌 배율(Mref)에서는 아래의 수학식 1이 성립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FR은 복수의 줌 트랙 곡선들(C90 내지 C200)의 포커스 범위를 가리킨다. 즉, FR은 복수의 줌 트랙 곡선들(C90 내지 C200)의 포커스-렌즈 위치 값들의 최대 차이 값을 가리킨다. Nx는 복수의 줌 트랙 곡선들(C90 내지 C200)의 개수를, Fd는 초점 심도를, 그리고 Ys는 계수를 가리킨다. 계수(Ys)는 광전 변환부(OEC)의 화소 개수에 비례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기준 줌 배율(Mref)을 초과하는 동안에, 복수의 줌 트랙 곡선들(C90 내지 C200)의 포커스-렌즈 위치 값들의 최대 차이 값(FR)은, 복수의 줌 트랙 곡선들(C90 내지 C200)의 개수(Nx), 초점 심도, 및 계수를 곱한 결과보다 적다.
부언하면, 기준 줌 배율(Mref)을 초과하기 전에는, 복수의 줌 트랙 곡선들(C90 내지 C200)의 포커스 범위(FR)가 초점 심도(Fd)의 상대적 범위(수학식 1의 우변)보다 넓다. 하지만, 기준 줌 배율을 초과하는 동안에, 복수의 줌 트랙 곡선들(C90 내지 C200)의 포커스 범위(FR)의 증가 비율은 초점 심도(Fd)의 상대적 범위(수학식 1의 우변)의 증가 비율보다 적어진다.
물론, 상기 수학식 1 외에도, 기준 줌 배율(Mref)은 실험 및 시뮬레이션에 의하여 줌 카메라(10)의 설계 특성에 맞도록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줌 배율에 대한 화각의 관계를 보여준다. 도 5에서 참조 부호 Chor는 줌 배율에 대한 수평 화각의 특성 곡선을, 그리고 Cver은 줌 배율에 대한 수직 화각의 특성 곡선을 각각 가리킨다.
초점 거리가 길어질수록 화각이 좁아지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줌 배율이 높아질수록 화각이 좁아질 확률이 높다. 도 5를 참조하면, 화각의 감소 비율은 점점 줄어든다. 이를 이용하여, 화각의 감소 비율이 문턱 값보다 적어지는 시점의 줌 배율을 상기 기준 줌 배율(Mref)로서 설정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줌 트래킹 방법에 의하면, 기준 줌 배율을 적절히 설정함에 의하여, 상기 기준 줌 배율을 초과하는 동안에 상기 한 줌 트랙 곡선만을 지속적으로 적용하더라도 선명한 영상이 나타날 수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거리 피사체에 비해 원거리 피사체의 초점 심도가 깊다. 또한 전방 배경에 비해 후방 배경의 초점 심도가 깊다. 따라서, 초점 거리가 길어질수록 초점 심도가 깊어지므로, 줌 배율이 높아질수록 초점 심도가 깊어질 확률이 높다.
둘째, 초점 거리가 길어질수록 화각이 좁아지므로, 줌 배율이 높아질수록 화각이 좁아질 확률이 높다. 화각이 상대적으로 좁은 경우, 피사계의 실제 영역이 상대적으로 좁으므로, 피사계의 실제 영역의 변화량이 상대적으로 적다.
따라서, 텔레(tele) 방향으로의 줌 트래킹에 있어서, 텔레(tele) 구간에서 필요한 주밍 속도에 비하여 줌 트래킹 속도가 떨어지지 않으면서, 사용자는 선명한 영상을 볼 수 있다. 특히, 감시용 줌 카메라인 경우, 감시의 공백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청구된 발명 및 청구된 발명과 균등한 발명들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광학 줌 뿐만 아니라 전자 줌의 동작에도 이용될 가능성이 크다.
10 : 줌 카메라, OPS : 광학계,
OEC : 광전 변환부,
101 :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102 : 타이밍 회로,
107 : 제어부, 108 : 통신 인터페이스,
110 : 구동부, 113 : 마이크로 컴퓨터, 116 : 사용자 입력부, 117 : 디스플레이부,
Ma : 조리개 모터, Mz : 줌 모터,
Mf : 포커스 모터, Md : 필터 모터.

Claims (6)

  1. 줌 카메라의 제어부에 의하여 수행되는 줌 트래킹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텔레(tele) 방향 또는 와이드(wide) 방향의 주밍 명령 신호를 입력받음;
    (b) 텔레(tele) 방향의 주밍 명령 신호가 입력되면, 기준 줌 배율에 도달할 때까지 복수의 줌 트랙 곡선들을 선택적으로 적용하고, 상기 기준 줌 배율을 초과하는 동안에 상기 기준 줌 배율에서 적용되었던 어느 한 줌 트랙 곡선만을 지속적으로 적용함;을 포함한, 줌 트래킹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c) 와이드(wide) 방향의 주밍 명령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 시점에서의 줌 배율에서 적용되었던 어느 한 줌 트랙 곡선만을 지속적으로 적용함;을 더 포함한, 줌 트래킹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기준 줌 배율에 도달할 때까지 복수의 줌 트랙 곡선들을 선택적으로 적용함에 있어서,
    줌 렌즈의 구동에 의하여 줌 배율을 상승시키는 동안에, 각각의 줌 배율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줌 트랙 곡선들의 포커스-렌즈 위치 값들 중에서 가장 높은 선명도를 제공하는 포커스-렌즈 위치 값을 적용하는, 줌 트래킹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 높은 선명도를 제공하는 포커스-렌즈 위치 값은,
    프레임 영상에서 가장 많은 고주파 함량을 발생시키는 포커스-렌즈 위치 값인, 줌 트래킹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줌 배율을 초과하는 동안에,
    상기 복수의 줌 트랙 곡선들의 포커스-렌즈 위치 값들의 최대 차이 값은, 상기 복수의 줌 트랙 곡선들의 개수, 초점 심도, 및 계수를 곱한 결과보다 적은, 줌 트래킹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는,
    광전 변환부의 화소 개수에 비례하도록 설정되는, 줌 트래킹 방법.
KR1020150073939A 2015-05-27 2015-05-27 줌 트래킹 방법 Active KR102282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939A KR102282469B1 (ko) 2015-05-27 2015-05-27 줌 트래킹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939A KR102282469B1 (ko) 2015-05-27 2015-05-27 줌 트래킹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304A true KR20160139304A (ko) 2016-12-07
KR102282469B1 KR102282469B1 (ko) 2021-07-27

Family

ID=57573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3939A Active KR102282469B1 (ko) 2015-05-27 2015-05-27 줌 트래킹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24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04445B2 (en) 2017-03-21 2021-01-26 Hanwha Techwin Co., Ltd. Zoom tracking method and zoom camera
WO2024241928A1 (ja) * 2023-05-22 2024-11-28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レンズ装置、制御方法、撮像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6351A (ko) 2005-08-03 2007-02-08 삼성전기주식회사 줌 트래킹 제어방법
JP2010266701A (ja) * 2009-05-15 2010-11-25 Sanyo Electric Co Ltd 電子カメラ
KR101293245B1 (ko) * 2012-02-21 2013-08-09 (주)비에이치비씨 광학 줌 카메라의 줌 트래킹 자동 초점 제어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6351A (ko) 2005-08-03 2007-02-08 삼성전기주식회사 줌 트래킹 제어방법
JP2010266701A (ja) * 2009-05-15 2010-11-25 Sanyo Electric Co Ltd 電子カメラ
KR101293245B1 (ko) * 2012-02-21 2013-08-09 (주)비에이치비씨 광학 줌 카메라의 줌 트래킹 자동 초점 제어기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04445B2 (en) 2017-03-21 2021-01-26 Hanwha Techwin Co., Ltd. Zoom tracking method and zoom camera
WO2024241928A1 (ja) * 2023-05-22 2024-11-28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レンズ装置、制御方法、撮像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2469B1 (ko) 202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51536B1 (en) Image capturing terminal and image capturing method
US7706674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ash
EP3151538A1 (en) Image capturing terminal and image capturing method
CN105493493B (zh) 摄像装置、摄像方法及图像处理装置
JP2021002066A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9503650B2 (en) Zoom-tracking method performed by imaging apparatus
CN111133355B (zh) 摄像装置、摄像装置的控制方法及存储介质
JP2020022012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057608B2 (ja) 焦点調節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282469B1 (ko) 줌 트래킹 방법
KR101603213B1 (ko) 손떨림 보정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JP7463078B2 (ja) 撮像装置
JP2006330272A (ja) 撮像装置
WO2020044835A1 (ja)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信号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撮像装置
JP6794185B2 (ja) 焦点検出装置
JPWO2018235384A1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撮像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KR102214094B1 (ko) 줌 트래킹 방법 및 줌 카메라
CN117177055A (zh) 对焦方法、对焦装置及存储介质
JP5091091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オートフォーカス制御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KR102415063B1 (ko) 자동 포커싱 방법 및 카메라
JP6246705B2 (ja) フォーカス制御装置、撮像装置及びフォーカス制御方法
US1120635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ickup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8189666A (ja) 撮像装置の制御方法
KR20090043159A (ko) 얼굴 인식을 수행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KR102565418B1 (ko) 카메라의 자동 노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809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3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5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7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7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