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6351A - 줌 트래킹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줌 트래킹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6351A
KR20070016351A KR1020050070950A KR20050070950A KR20070016351A KR 20070016351 A KR20070016351 A KR 20070016351A KR 1020050070950 A KR1020050070950 A KR 1020050070950A KR 20050070950 A KR20050070950 A KR 20050070950A KR 20070016351 A KR20070016351 A KR 20070016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om
lens
tracking curve
focus lens
te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0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본영
최원태
김태응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0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6351A/ko
Publication of KR20070016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63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18Focusing aids
    • G03B13/20Rangefinders coupled with focusing arrangements, e.g. adjustment of rangefinder automatically focusing camer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줌 렌즈와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나타내는 줌 트래킹 곡선을 카메라 시스템에 적합하게 보정하여 사용함으로써 정확한 자동 포커싱을 이룰 수 있는 줌 트레킹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포커싱을 위한 포커스 렌즈와 줌 렌즈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제1 줌 트래킹 곡선이 결정된 렌즈 모듈을 갖는 카메라에서 줌 트래킹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줌 렌즈의 위치를 와이드에서 텔레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제1 줌 트래킹 곡선과 실제의 줌 렌즈 위치의 편차에 따른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보정한 제2 줌 트래킹 곡선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줌 렌즈의 위치를 텔레에서 와이드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제1 줌트래킹 곡선과 실제의 줌 렌즈 위치의 편차에 따른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보정한 제3 줌 트래킹 곡선을 산출하는 단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줌 렌즈가 와이드에서 텔레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 줌 트래킹 곡선을 이용하여 상기 줌 렌즈와 상기 포커스 렌즈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줌 렌즈가 텔레에서 와이드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3 줌 트래킹 곡선을 이용하여 상기 줌 렌즈와 상기 포커스 렌즈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줌 트래킹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줌 렌즈, 포커스 렌즈, 줌 트래킹, 자동 포커싱, 카메라, 렌즈 모듈

Description

줌 트래킹 제어방법{METHOD OF CONTROLLING ZOOM TRACKING}
도 1은 통상적인 줌 트래킹 곡선의 일례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줌 트래킹 제어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카메라 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줌 렌즈의 이동 방향에 따라 보정된 줌 트래킹 곡선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에 따라 보정된 줌 트래킹 곡선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렌즈 모듈 211: 포커스 렌즈
212: 줌 렌즈 221: 포커스 모터
222: 줌 모터 231: 포커스 모터 구동부
232: 줌 모터 구동부 24: 촬상소자
25: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 26: 디지털 신호 처리부
27: 마이콤 28: 메모리
본 발명은 카메라 등에 사용되는 렌즈 모듈에서 포커스 렌즈 및 줌 렌즈의 위치를 제어하는 줌 트래킹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커스 렌즈 및 줌 렌즈의 이동 방향에 따라 렌즈 모듈의 제작 시 결정되는 줌 트래킹 곡선을 카메라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보정한 줌 트래킹 곡선을 이용함으로써 피사체에 대한 자동 포커싱을 더욱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는 줌 트래킹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또는 카메라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등에 사용되는 줌(zoom) 기능을 구비한 렌즈 모듈은, 그 내부에 포함된 포커스 렌즈와 줌 렌즈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줌 트래킹 곡선에 기초하여 포커싱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줌 트래킹 곡선은 렌즈 모듈을 설계할 때 결정되며, 렌즈 모듈이 사용되는 카메라는, 렌즈 모듈의 설계시 결정된 줌 트래킹 곡선에 따라 각 렌즈 들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도록 설계 제작된다.
도 1은 통상적인 줌 트래킹 곡선이 일례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에서 x축은 줌렌즈의 위치를 나타내고, y축은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나타낸다. x축에서 와이드 방향은 줌 아웃(zoom out)을 하는 방향으로 와이드 방향의 원점은 전혀 줌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며, 텔레 방향은 줌 인(zoom in)을 하는 방향으로 멀리 있는 피사체를 가까이 있는 것처럼 보기 위한 줌렌즈의 이동 방향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줌 트래킹 곡선은 피사체까지의 거리에 따라 각각 다른 곡선이 나타나게 된다. 도 1에서는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각각 3m, 5m, 무한대인 경우의 예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렌즈 모듈의 설계시 결정되는 줌 트래킹 곡선은 렌즈 모듈이 적용되는 카메라 등의 조립 후 최초 설계한 값과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줌 렌즈 및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해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gear)들에서, 나사선 사이의 간격 또는 마찰력 등의 차이에 의해 최초 설계된 줌 트래킹 곡선에서 결정된 위치와 실제 줌 렌즈 및 포커스 렌즈의 위치가 차이가 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이동 단말기 등에 적용되는 렌즈 모듈은, 렌즈 모듈 자체가 매우 소형이므로 별도의 위치 검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줌 렌즈 및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기 어렵다. 따라서, 각 렌즈를 이동시키는 모터의 회전수 및 기어들의 기어비에 의해 각 렌즈의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이 때, 기어(gear)들 사이의 나사선 유격 또는 마찰력 등의 차이에 의해 렌즈의 이동 방향에 따라, 줌 렌즈 및 포커스 렌즈의 실제 위치가 최초 설계된 줌 트래킹 곡선에서 결정된 위치와 차이가 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렌즈 모듈이 설계될 때 결정된 줌 트래킹 곡선을 카메라 시스템에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 줌 트래킹 곡선과 실제의 렌즈 위치에 오차가 발생하 므로 자동 포커싱이 맞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렌즈 모듈 내의 줌 렌즈와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나타내는 줌 트래킹 곡선을 카메라 시스템에 적합하게 보정하여 사용함으로써 정확한 자동 포커싱을 이룰 수 있는 줌 트레킹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포커싱을 위한 포커스 렌즈와 줌 렌즈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제1 줌 트래킹 곡선이 결정된 렌즈 모듈을 갖는 카메라에서 줌 트래킹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줌 렌즈의 위치를 와이드에서 텔레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제1 줌 트래킹 곡선과 실제의 줌 렌즈 위치의 편차에 따른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보정한 제2 줌 트래킹 곡선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줌 렌즈의 위치를 텔레에서 와이드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제1 줌트래킹 곡선과 실제의 줌 렌즈 위치의 편차에 따른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보정한 제3 줌 트래킹 곡선을 산출하는 단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줌 렌즈가 와이드에서 텔레로 이동되는 경우, 상 기 제2 줌 트래킹 곡선을 이용하여 상기 줌 렌즈와 상기 포커스 렌즈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줌 렌즈가 텔레에서 와이드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3 줌 트래킹 곡선을 이용하여 상기 줌 렌즈와 상기 포커스 렌즈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줌 트래킹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 상기 줌 렌즈가 와이드에서 텔레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포커스 렌즈가 근거리에서 원거리로 이동할 때, 상기 제2 줌 트래킹 곡선과 실제의 포커스 렌즈 위치의 편차에 따른 상기 줌 렌즈의 위치를 보정한 제4 줌 트래킹 곡선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줌 렌즈가 와이드에서 텔레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포커스 렌즈가 원거리에서 근거리로 이동할 때, 상기 제2 줌 트래킹 곡선과 실제의 포커스 렌즈의 위치의 편차에 따른 상기 줌 렌즈의 위치를 보정한 제5 줌 트래킹 곡선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줌 렌즈가 텔레에서 와이드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포커스 렌즈가 근거리에서 원거리로 이동할 때, 상기 제3 줌 트래킹 곡선과 실제의 포커스 렌즈 위치의 편차에 따른 상기 줌 렌즈의 위치를 보정한 제6 줌 트래킹 곡선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줌 렌즈가 텔레에서 와이드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포커스 렌즈가 원거리에서 근거리로 이동할 때, 상기 제3 줌 트래킹 곡선과 실제의 포커스 렌즈의 위치의 편차에 따른 상기 줌 렌즈의 위치를 보정한 제7 줌 트래킹 곡선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줌 트래킹 곡선을 이용하여 포커스 렌즈의 위 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줌 렌즈가 와이드에서 텔레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포커스 렌즈가 근거리에서 원거리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4 줌 트래킹 곡선을 이용하여 상기 줌 렌즈와 상기 포커스 렌즈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줌 렌즈가 와이드에서 텔레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포커스 렌즈가 원거리에서 근거리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5 줌 트래킹 곡선을 이용하여 상기 줌 렌즈와 상기 포커스 렌즈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3 줌 트래킹 곡선을 이용하여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줌 렌즈가 텔레에서 와이드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포커스 렌즈가 근거리에서 원거리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6 줌 트래킹 곡선을 이용하여 상기 줌 렌즈와 상기 포커스 렌즈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줌 렌즈가 텔레에서 와이드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포커스 렌즈가 원거리에서 근거리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7 줌 트래킹 곡선을 이용하여 상기 줌 렌즈와 상기 포커스 렌즈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 상에서 실질 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줌 트래킹 제어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카메라 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포커스 렌즈(211)와 줌 렌즈(212)를 구비한 카메라의 렌즈 모듈(21)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은 촬상소자(CCD 또는 CMOS)(24)에서 상이 맺혀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촬상소자(24)에서 변환되어 출력되는 전기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이므로, 디지털 신호 처리를 위해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25)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변환된 디지털 신호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Digital Signal Processor: DSP)(26)로 입력되어 고유한 디지털 처리 알고리즘에 따라 적절한 디지털 영상 신호로 처리된다. 이렇게 처리된 디지털 영상 신호는 아날로그로 변환된 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디지털 신호 처리부(26)는 입력된 영상의 포커스를 검출하여 마이콤(27)에 전달한다. 마이콤(27)에 전달된 포커스는 마이콤(27)에 내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분석되고,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마이콤(27)은 포커스 모터 구동부(231) 및 줌모터 구동부(232)를 통해 포커스 렌즈(211) 및 줌 렌즈(212)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마이콤(27)에 연결된 메모리(28)에는 렌즈 모듈(21)이 설계 제작될 때 결정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제1 줌 트래킹 곡선이 저장된다. 종래에는, 사용자 입 력에 의해 줌이 조정되면, 상기 마이콤(27)은 사용자 입력에 따른 줌 조정 신호를 입력받아 메모리(28)에 저장된 제1 줌 트래킹 곡선을 읽어들여 줌 모터 구동부(232)를 통해 줌 모터(222)를 구동시켜 줌 렌즈(212)의 위치를 결정하고, 이 줌 렌즈(212)의 위치 변화에 따라 포커스 모터 구동부(231)를 통해 포커스 모터(221)를 구동시켜 포커스 렌즈(211)의 위치를 결정하였다.
그러나, 렌즈 모듈(21)이 조립된 카메라 시스템에서, 조립에 의해 상기 제1 줌 트래킹 곡선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모터로 구동되는 렌즈는 구동을 위한 기어의 연결에서 유격 및 마찰력의 차이로 인하여 제1 줌 트래킹 곡선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렌즈 모듈(21)이 카메라 시스템에 조립된 이후, 상기 렌즈 모듈(21)의 최초 설계시 결정된 제1 줌 트래킹 곡선에 발생하는 오차를 보정하여 정확한 포커싱을 이룰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줌 트래킹 제어방법에 따른 작용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렌즈 모듈(21)의 설계 시 결정된 제1 줌 트래킹 곡선은 실제의 줌 렌즈(212) 이동이 제1 줌 트래킹 곡선과 일치하지 않으므로 새로운 트래킹 곡선으로 보정되어야 한다. 특히, 줌 렌즈(212)의 이동 방향에 따라 줌 렌즈(212)의 위치가 차이가 나게 되므로, 줌 렌즈의 이동 방향, 즉 와이드에서 텔레, 및 텔레에서 와이드로 줌 렌즈의 이동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줌 트래킹 곡선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줌 렌즈의 이동 방향에 따라 보정된 줌 트래킹 곡선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3에서 도면 부호 31은 렌즈 모듈의 설계 시 결정된 제1 줌 트래킹 곡선을, 도면 부호 32 및 33은 본 발명에 따라 보정된 줌 트래킹 곡선을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줌 조정(줌 렌즈 이동 지시)에 의해 와이드에서 텔레 방향으로 줌 렌즈(212)를 이동시켜 Z1 지점에 줌 렌즈(212)를 위치시키고자 하는 경우, 카메라의 조립 오차 또는 줌 모터와 줌 렌즈(212)를 연결하는 기어의 유격 및 마찰력에 의하여 실제 줌 렌즈(212)의 위치가 Z2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이 때, 제1 줌 트래킹 곡선(31)에의 하면, 포커스 렌즈(211)는 F1에 위치하게 되므로 포커싱이 맞지 않게 된다.
따라서, 실제 줌 렌즈(212)의 위치인 Z2에 해당하는 포커스 렌즈(211) 위치인 F2로 보정하여야 포커싱이 맞게 된다. 즉, 사용자가 줌 렌즈(212)를 와이드에서 텔레로 이동시켜 Z1 지점에 줌 렌즈(212)의 위치를 결정하고자 할 때, 정확한 포커싱이 맞는 점은 C1이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와이드에서 텔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씩 줌 렌즈(212)를 이동시키면서 실제 줌 렌즈(212)의 위치와 제1 줌 트랙킹 곡선을 대비하여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보정하게 되면 도면 부호 32로 표시된 보정된 제2 줌 트랙킹 곡선을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한 제2 줌 트래킹 곡선(32)은 카메라의 메모리(28)에 저장된다. 따라서, 이 후 사용자의 지시에 의해 줌 렌즈(212)가 와이드에서 텔레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마이콤(27)은 상기 제2 줌 트래킹 곡선(32)을 이용하여 포커싱 렌즈의 위치를 제어하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의 줌 렌즈 이동 지시에 의해 텔레에서 와이드 방향으로 줌 렌즈(212)를 이동시켜 Z2 지점에 줌 렌즈(212)를 위치시키고자 하는 경우, 실제 줌 렌즈(212)의 위치가 Z1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이 때, 제1 줌 트래킹 곡선(31)에의 하면, 포커스 렌즈(211)는 F2에 위치하게 되므로 포커싱이 맞지 않게 된다.
따라서, 실제 줌 렌즈(212)의 위치인 Z1에 해당하는 포커스 렌즈(211) 위치인 F1로 보정하여야 포커싱이 맞게 된다. 즉, 사용자가 줌 렌즈(212)를 텔레에서 와이드로 이동시켜 Z2 지점에 줌 렌즈(212)의 위치를 결정하고자 할 때, 정확한 포커싱이 맞는 점은 C2가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텔레에서 와이드 방향으로 소정 간격씩 줌 렌즈(212)를 이동시키면서 실제 줌 렌즈(212)의 위치와 제1 줌 트랙킹 곡선을 대비하여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보정하게 되면 도면 부호 31로 표시된 보정된 제3 줌 트랙킹 곡선을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한 제3 줌 트래킹 곡선(32)은 카메라의 메모리(28)에 저장된다. 따라서, 이 후 사용자의 지시에 의해 줌 렌즈(212)가 텔레에서 와이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마이콤(27)은 상기 제3 줌 트래킹 곡선(32)을 이용하여 포커싱 렌즈의 위치를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줌 트래킹 제어방법은 줌 렌즈(212)의 위치가 와이드에서 텔레로 이동하는 경우와, 텔레에서 와이드로 이동하는 경우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보정된 줌 트래킹 곡선(제2 및 제3 줌 트래킹 곡선)을 산출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각 경우에 따라 자동 포커싱이 이루어지므로 실제의 줌 렌즈(212)의 위치에 적합한 포커스 렌즈(211)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즉, 렌즈 모듈 설계 시에 결정된 줌 트래킹 곡선을 실제 카메라 시스템에 적합하게 보정하여 사용함으로써 더욱 정확한 자동 포커싱을 얻을 수 있다.
더욱 정확한 자동 포커싱을 위하여, 전술한 줌 렌즈의 이동 방향에 따른 보정 줌 트래킹 곡선(제2, 제3 줌 트래킹 곡선)을 산출하는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포커스 렌즈(211)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줌 렌즈의 이동 방향에 따른 보정 줌 트래킹 곡선(제2, 제3 줌 트래킹 곡선)을 보정한 줌 트래킹 곡선을 구하고 이를 카메라 시스템에 적용된 줌 렌즈(212)와 포커스 렌즈(211)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에 따라 보정된 줌 트래킹 곡선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포커스 렌즈(211)의 이동 방향에 따른 보정 줌 트래킹 곡선은, 줌 렌즈(212)의 이동 방향에 따른 보정 줌 트래킹 곡선(제2, 제3 줌 트래 킹 곡선)을 이용하여 산출된다.
이하는, 줌 렌즈(212)가 와이드에서 텔레로 이동하는 경우에 포커스 렌즈(211)의 이동 방향에 따른 보정 줌 트래킹 곡선을 산출하는 예를 설명한다. 줌 렌즈(212)가 텔레에서 와이드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기준이 되는 줌 트래킹 곡선이 제3 줌 트래킹 곡선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이하의 설명과 동일한 방식으로 포커스 렌즈(211)의 이동 방향에 따른 보정 줌 트래킹 곡선이 산출된다.
사용자의 줌 조정(줌 렌즈 이동 지시)에 의해 와이드에서 텔레 방향으로 줌 렌즈(212)를 이동시에는 전술한 방식으로 보정된 제2 줌 트래킹 곡선(32)을 사용하므로 상기 제2 줌 트래킹 곡선(32)을 이용하여 포커스 렌즈(211)의 이동 방향에 따른 보정이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줌 렌즈(212)와 포커스 렌즈(211)의 위치가 P4 지점에서 결정되어야 하는 경우, 포커스 렌즈(211)가 근거리에서 원거리로 이동하면서 F4 지점에 정지하지 못하고 오차에 의해 F3 지점에 정지할 수 있다. 이 때, 제2 줌 트래킹 곡선(32)에의 하면, 줌 렌즈(212)는 Z4에 위치하게 되므로 포커싱이 맞지 않게 된다.
따라서, 실제 포커스 렌즈(211)의 위치인 F3에 해당하는 줌 렌즈(212) 위치인 Z3로 보정하여야 포커싱이 맞게 된다. 즉, 포커스 렌즈(211)가 근거리에서 원거리로 이동하여 F4 지점에 포커스 렌즈(211)의 위치를 결정하고자 할 때, 정확한 포커싱이 맞는 점은 C4가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와이드에서 텔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씩 줌 렌즈(212)를 이동시키면서 포커스 렌즈(211)가 근거리에서 원거리로 이동할 때, 실제 포커스 렌즈(211)의 위치와 제2 줌 트랙킹 곡선을 대비하여 줌 렌즈의 위치를 보정하게 되면 도면 부호 34로 표시된 보정된 제4 줌 트랙킹 곡선을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한 제4 줌 트래킹 곡선(34)은 카메라의 메모리(28)에 저장된다. 따라서, 이 후 사용자의 지시에 의해 줌 렌즈(212)가 와이드에서 텔레 방향으로 이동하고 포커스 렌즈(211)가 근거리에서 원거리로 이동하는 경우, 마이콤(27)은 상기 제4 줌 트래킹 곡선(34)을 이용하여 포커싱 렌즈의 위치를 제어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줌 렌즈(212)와 포커스 렌즈(211)의 위치가 P3 지점에서 결정되어야 하는 경우, 포커스 렌즈(211)가 원거리에서 근거리로 이동하면서 F3 지점에 정지하지 못하고 오차에 의해 F4 지점에 정지할 수 있다. 이 때, 제2 줌 트래킹 곡선(32)에의 하면, 줌 렌즈(212)는 Z3에 위치하게 되므로 포커싱이 맞지 않게 된다.
따라서, 실제 포커스 렌즈(211)의 위치인 F4에 해당하는 줌 렌즈(212) 위치인 Z4로 보정하여야 포커싱이 맞게 된다. 즉, 포커스 렌즈(211)가 원거리에서 근거리로 이동하여 F3 지점에 포커스 렌즈(211)의 위치를 결정하고자 할 때, 정확한 포커싱이 맞는 점은 C3이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와이드에서 텔레 방향으로 소정 간격씩 줌 렌즈(212)를 이동시키면서 포커스 렌즈(211)가 원거리에서 근거리로 이동할 때, 실제 포커스 렌즈(211)의 위치와 제2 줌 트랙킹 곡선을 대비하여 줌 렌즈의 위치를 보정하게 되면 도면 부호 35로 표시된 보정된 제5 줌 트랙킹 곡선을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한 제5 줌 트래킹 곡선(35)은 카메라의 메모리(28)에 저장된다. 따라서, 이 후 사용자의 지시에 의해 줌 렌즈(212)가 와이드에서 텔레 방향으로 이동하고 포커스 렌즈(211)가 원거리에서 근거리로 이동하는 경우, 마이콤(27)은 상기 제5 줌 트래킹 곡선(35)을 이용하여 포커싱 렌즈의 위치를 제어하게 된다.
상술한 포커싱 렌즈(211)의 이동 방향에 따른 보정된 줌 트래킹 곡선을 산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줌 렌즈(212)와 포커싱 렌즈(211)의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은, 줌 렌즈(212)가 텔레에서 와이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산출된 제3 줌 트래킹 곡선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줌 렌즈(212)가 텔레에서 와이드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포커스 렌즈(211)가 근거리에서 원거리로 이동할 때, 제3 줌 트래킹 곡선과 실제의 포커스 렌즈(211) 위치의 편차에 따른 줌 렌즈(212)의 위치를 보정한 제6 줌 트래킹 곡선 및 줌 렌즈(212)가 텔레에서 와이드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포커스 렌즈(211)가 원거리에서 근거리로 이동할 때, 상기 제3 줌 트래킹 곡선과 실제의 포커스 렌즈(211)의 위치의 편차에 따른 줌 렌즈(212)의 위치를 보정한 제7 줌 트래킹 곡선을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줌 트래킹 제어 방법은, 줌 렌즈(212)의 이동 방향 및 포커스 렌즈(211)의 이동 방향에 따라 보정된 2개 또는 4개의 서로 다른 줌 트래킹 곡선을 사용함으로써 카메라 시스템의 자동 포커싱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렌즈 모듈의 설계 시 결정되는 줌 트래킹 곡선을, 렌즈 모듈 내의 줌 렌즈와 포커스 렌즈의 이동 방향에 따라 카메라 시스템에 적합하게 보정한 보정 줌 트래킹 곡선을 산출하고, 이를 각 경우에 따라 자동 포커싱에 사용함으로써 카메라 시스템의 자동 포커싱 성능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포커싱을 위한 포커스 렌즈와 줌 렌즈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제1 줌 트래킹 곡선이 결정된 렌즈 모듈을 갖는 카메라에서 줌 트래킹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줌 렌즈의 위치를 와이드에서 텔레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제1 줌 트래킹 곡선과 실제의 줌 렌즈 위치의 편차에 따른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보정한 제2 줌 트래킹 곡선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줌 렌즈의 위치를 텔레에서 와이드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제1 줌트래킹 곡선과 실제의 줌 렌즈 위치의 편차에 따른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보정한 제3 줌 트래킹 곡선을 산출하는 단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줌 렌즈가 와이드에서 텔레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 줌 트래킹 곡선을 이용하여 상기 줌 렌즈와 상기 포커스 렌즈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줌 렌즈가 텔레에서 와이드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3 줌 트래킹 곡선을 이용하여 상기 줌 렌즈와 상기 포커스 렌즈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줌 트래킹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줌 렌즈가 와이드에서 텔레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포커스 렌즈가 근거리에서 원거리로 이동할 때, 상기 제2 줌 트래킹 곡선과 실제의 포커스 렌즈 위치의 편차에 따른 상기 줌 렌즈의 위치를 보정한 제4 줌 트래킹 곡선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줌 렌즈가 와이드에서 텔레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포커스 렌즈가 원거리에서 근거리로 이동할 때, 상기 제2 줌 트래킹 곡선과 실제의 포커스 렌즈의 위치의 편차에 따른 상기 줌 렌즈의 위치를 보정한 제5 줌 트래킹 곡선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줌 렌즈가 텔레에서 와이드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포커스 렌즈가 근거리에서 원거리로 이동할 때, 상기 제3 줌 트래킹 곡선과 실제의 포커스 렌즈 위치의 편차에 따른 상기 줌 렌즈의 위치를 보정한 제6 줌 트래킹 곡선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줌 렌즈가 텔레에서 와이드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포커스 렌즈가 원거리에서 근거리로 이동할 때, 상기 제3 줌 트래킹 곡선과 실제의 포커스 렌즈의 위치의 편차에 따른 상기 줌 렌즈의 위치를 보정한 제7 줌 트래킹 곡선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트래킹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줌 트래킹 곡선을 이용하여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줌 렌즈가 와이드에서 텔레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포커스 렌즈가 근거리에서 원거리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4 줌 트래킹 곡선을 이용하여 상기 줌 렌즈와 상기 포커스 렌즈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줌 렌즈가 와이드에서 텔레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포커스 렌즈가 원거리에서 근거리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5 줌 트래킹 곡선을 이용하여 상기 줌 렌즈와 상기 포커스 렌즈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트래킹 제어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줌 트래킹 곡선을 이용하여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줌 렌즈가 텔레에서 와이드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포커스 렌즈가 근거리에서 원거리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6 줌 트래킹 곡선을 이용하여 상기 줌 렌즈와 상기 포커스 렌즈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줌 렌즈가 텔레에서 와이드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포커스 렌즈가 원거리에서 근거리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7 줌 트래킹 곡선을 이용하여 상기 줌 렌즈와 상기 포커스 렌즈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트래킹 제어 방법.
  5. 포커싱을 위한 포커스 렌즈와 줌 렌즈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제1 줌 트래킹 곡선이 결정된 렌즈 모듈을 갖는 카메라에서 줌 트래킹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 서,
    상기 줌 렌즈의 위치를 와이드에서 텔레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제1 줌 트래킹 곡선과 실제의 줌 렌즈 위치의 편차에 따른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보정한 제2 줌 트래킹 곡선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줌 렌즈의 위치를 텔레에서 와이드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제1 줌트래킹 곡선과 실제의 줌 렌즈 위치의 편차에 따른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보정한 제3 줌 트래킹 곡선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줌 렌즈가 와이드에서 텔레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포커스 렌즈가 근거리에서 원거리로 이동할 때, 상기 제2 줌 트래킹 곡선과 실제의 포커스 렌즈 위치의 편차에 따른 상기 줌 렌즈의 위치를 보정한 제4 줌 트래킹 곡선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줌 렌즈가 와이드에서 텔레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포커스 렌즈가 원거리에서 근거리로 이동할 때, 상기 제2 줌 트래킹 곡선과 실제의 포커스 렌즈의 위치의 편차에 따른 상기 줌 렌즈의 위치를 보정한 제5 줌 트래킹 곡선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줌 렌즈가 텔레에서 와이드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포커스 렌즈가 근거리에서 원거리로 이동할 때, 상기 제3 줌 트래킹 곡선과 실제의 포커스 렌즈 위치의 편차에 따른 상기 줌 렌즈의 위치를 보정한 제6 줌 트래킹 곡선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줌 렌즈가 텔레에서 와이드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포커스 렌즈가 원거리에서 근거리로 이동할 때, 상기 제3 줌 트래킹 곡선과 실제의 포커스 렌즈의 위치의 편차에 따른 상기 줌 렌즈의 위치를 보정한 제7 줌 트래킹 곡선을 산출하는 단계;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줌 렌즈가 와이드에서 텔레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포커스 렌즈가 근거리에서 원거리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4 줌 트래킹 곡선을 이용하여 상기 줌 렌즈와 상기 포커스 렌즈를 위치시키는 단계;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줌 렌즈가 와이드에서 텔레로 이동하는 경우 이에 따라 상기 포커스 렌즈가 원거리에서 근거리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5 줌 트래킹 곡선을 이용하여 상기 줌 렌즈와 상기 포커스 렌즈를 위치시키는 단계;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줌 렌즈가 텔레에서 와이드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포커스 렌즈가 근거리에서 원거리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6 줌 트래킹 곡선을 이용하여 상기 줌 렌즈와 상기 포커스 렌즈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상기 줌 렌즈가 텔레에서 와이드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기 포커스 렌즈가 원거리에서 근거리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7 줌 트래킹 곡선을 이용하여 상기 줌 렌즈와 상기 포커스 렌즈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줌 트래킹 제어 방법.
KR1020050070950A 2005-08-03 2005-08-03 줌 트래킹 제어방법 KR200700163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0950A KR20070016351A (ko) 2005-08-03 2005-08-03 줌 트래킹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0950A KR20070016351A (ko) 2005-08-03 2005-08-03 줌 트래킹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6351A true KR20070016351A (ko) 2007-02-08

Family

ID=43650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0950A KR20070016351A (ko) 2005-08-03 2005-08-03 줌 트래킹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6351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424B1 (ko) * 2008-05-13 2009-11-19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오차 보정 방법
US9503651B2 (en) 2014-09-30 2016-11-22 Hanwha Techwin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finding optimal zooming speed
KR20160139304A (ko) 2015-05-27 2016-12-07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줌 트래킹 방법
CN106657787A (zh) * 2016-12-28 2017-05-10 天津天地伟业生产力促进有限公司 变焦跟踪曲线的快速校正方法
KR20180106736A (ko) 2017-03-21 2018-10-01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줌 트래킹 방법 및 줌 카메라
US11394868B2 (en) * 2017-09-27 2022-07-19 Fujifilm Corporation Imaging device, imaging method, and program
CN114900606A (zh) * 2022-03-31 2022-08-12 浙江华创视讯科技有限公司 变焦跟踪曲线的校准方法、装置、电子装置和存储介质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424B1 (ko) * 2008-05-13 2009-11-19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오차 보정 방법
US9503651B2 (en) 2014-09-30 2016-11-22 Hanwha Techwin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finding optimal zooming speed
KR20160139304A (ko) 2015-05-27 2016-12-07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줌 트래킹 방법
CN106657787A (zh) * 2016-12-28 2017-05-10 天津天地伟业生产力促进有限公司 变焦跟踪曲线的快速校正方法
KR20180106736A (ko) 2017-03-21 2018-10-01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줌 트래킹 방법 및 줌 카메라
US10904445B2 (en) 2017-03-21 2021-01-26 Hanwha Techwin Co., Ltd. Zoom tracking method and zoom camera
US11394868B2 (en) * 2017-09-27 2022-07-19 Fujifilm Corporation Imaging device, imaging method, and program
CN114900606A (zh) * 2022-03-31 2022-08-12 浙江华创视讯科技有限公司 变焦跟踪曲线的校准方法、装置、电子装置和存储介质
CN114900606B (zh) * 2022-03-31 2024-01-05 浙江华创视讯科技有限公司 变焦跟踪曲线的校准方法、装置、电子装置和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5236B2 (en) Camera body, camera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camera-body blur correction
US10230887B2 (en) Lens barrel, replacement lens, imaging device, and control program
US10345615B2 (en) Optical control apparatus, optical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storing optical control program
KR20070016351A (ko) 줌 트래킹 제어방법
US7450836B2 (en) Image device, control method for the imaging device, program for performing the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the program
EP1885119B1 (en) Image-pickup apparatus and focus control method
JP6080505B2 (ja) 像振れ補正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946337B2 (ja)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およびカメラ
JP2008089803A (ja) 撮像装置
JP5868109B2 (ja) 光学機器、レンズ鏡筒および自動焦点調節方法
JP2008089804A (ja) 撮像装置
EP1939681B1 (en) Optical apparatus and image-pickup system
US7852568B2 (en) Lens position control apparatus,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EP2372430B1 (en) Image pickup lens, image pickup apparatus, and lens controlling method
WO2008146486A1 (ja) 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カメラ本体
US20090324208A1 (en) Optical apparatus
US5315340A (en) Video camera apparatus
JP2008089800A (ja) 撮像装置
JP4208589B2 (ja) 光学機器
US20200404155A1 (en) Position detecting apparatus and optical apparatus
JP4847352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653790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086494A (ja) 手振れ補正ユニットの初期位置設定方法及びレンズ鏡胴並びに撮像装置
US20220353429A1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nd storage medium
JP4478173B2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