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8730A - 휴대용 물병 걸이구 - Google Patents

휴대용 물병 걸이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8730A
KR20160138730A KR1020150072939A KR20150072939A KR20160138730A KR 20160138730 A KR20160138730 A KR 20160138730A KR 1020150072939 A KR1020150072939 A KR 1020150072939A KR 20150072939 A KR20150072939 A KR 20150072939A KR 20160138730 A KR20160138730 A KR 20160138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hinge
protrusion
piece
water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2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1294B1 (ko
Inventor
정재환
Original Assignee
정재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환 filed Critical 정재환
Priority to KR1020150072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294B1/ko
Publication of KR20160138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8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4External fittings for spacing bases of containers from supporting surfaces, e.g. l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물병 걸이구가 개시되는 것으로, 가방이나 배낭과 같은 휴대물품에 걸어지는 연결고리를 포함하고, 연결고리의 하부에 구비되고 연결구멍(11)을 갖는 연결구(10)와; 상기 연결구(10)의 연결구멍(11)에 대응되는 제1힌지구멍(21)을 갖는 제1힌지편(22)이 구비되고 외측면에 제1파지돌부(23)를 갖는 제1걸이몸체(20)와; 상기 제1걸이몸체(20)와 대칭되게 위치되고 상기 연결구(10)의 연결구멍(11)과 상기 제1걸이몸체(20)의 제1힌지구멍(21)에 대응되는 제2힌지구멍(31)을 갖는 제2힌지편(32)이 구비되며 외측면에 제2파지돌부(33)를 갖는 제2걸이몸체(30)와;상기 연결구(10)의 연결구멍(11)과 상기 제1걸이몸체(20)의 제1힌지구멍(21)과 상기 제2걸이몸체(30)의 제2힌지구멍(31)을 연결하여 힌지고정하는 힌지고정핀(40)과; 상기 제1걸이몸체(20)와 제2걸이몸체(30)가 상기 힌지고정핀(40)을 축으로 하여 서로 벌어졌다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탄성체(5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휴대용 물병 걸이구{water bottle hanger for potable}
본 발명은 휴대용 물병 걸이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방이나 배낭과 같이 휴대하는 물품에 물병을 걸어 휴대하도록 하여 물병에 대한 휴대성이 용이하도록 한 휴대용 물병 걸이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등산이나 야외활동을 할 때 생수가 담겨진 물병 또는 음료수가 담겨진 물병을 휴대하고 가게 되는 바, 이러한 물병을 대개 손에 들고 다니거나 또는 가방에 넣어 다니기 때문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불편함과 물병의 하중이 그대로 손에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가방에 넣어 다닐 경우에는 가방속에 보관된 물병을 꺼내어 마시거나 또는 다시 가방속에 물병을 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더욱이, 무더운 여름철의 경우에는 물을 많이 마시기 때문에 생수를 많이 찾게 되는 바, 대개 구입한 물병에 담겨진 물을 한 번에 다 마시지 못하기 때문에 물병을 들고 다니거나 가방속에 넣어 휴대하고 다닐 수 밖에는 없어 불편함을 감수할 수 밖에 없다.
또한, 물병을 사용자가 손에 직접 들고 휴대할 경우, 손에 들린 물병에 의해 자유로운 신체활동에 제한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근자들어서는, 단순하게 갈증 해소를 위해 물을 마시지 않고 사용자 인체에 보다 유익한 작용을 하기 위해 물을 마시거나 녹차나 옥수수차와 같은 음료를 마시게 되는 바, 이와 같은 음료를 마시기 위해서는 생수 또는 음료가 담겨진 병(이하 물병이라 한다)을 휴대하고 다녀야 함에 따라 물병의 휴대에 따른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절실하게 요구되는 실정이다.
종래 기술로, 등록실용 20-0376604호인 물병 휴대 고리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홈과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착탈이 용이한 물병의 목에 거는 상하 고리부, 손가락이나 허리끈에 거는 중앙부, 허리끈에 물병 휴대 고리를 걸고 다닐 때 고리의 이탈을 막기 위한 고정부가 일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등산이나 야외 활동 시에 음료수 병의 몸통을 잡고 다니지 않고 물병 고리를 손가락에 끼우거나 허리끈에 걸고 다닐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리성을 높이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걸어 사용할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에 무리한 하중이 전달되어 손가락 통증과 같은 질환을 유발시키게 되고, 사용자의 허리끈에 착용할 경우 사용자가 뛰거나 걷거나 또는 앉거나 하는 동작을 취할 때마다 음료수 병이 걸리적거리게 되어 야외활동에 제한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예로서, 등록실용 20-0362666호인 페트병을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는 손목 걸이용 밴드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페트병 병목부분에 스토퍼가 장치된 환형 밴드를 장치하여, 스토퍼 한쪽 부분의 밴드는 페트병 병목부분에 감아주고 난 후, 밴드에 장치된 스토퍼를 병목부분에 밀착하여 병목에 감긴 밴드가 벗겨지거나 풀리지 않도록 고정시켜 주고, 다른 한쪽 부분의 밴드를 손목 걸이용으로 사용하는 밴드와 스토퍼의 구성을 밴드를 병목부분에 장치하여 사용하면 페트병을 그대로 들고 다녀야 하는 불편이 해소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사용자의 손목에 밴드를 걸어 고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역시 밴드가 손목에 걸어진 사용자의 손을 제대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과 페트병에 담긴 생수 또는 음료의 하중이 사용자의 손목에 그대로 전달되어 손목통증과 같은 질환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야기시키고 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 20-0376604호(2005.02.14. 등록) 대한민국등록실용 20-0362666호(2004.09.10. 등록)
본 발명은 생수 또는 음료수가 담겨진 물병을 사용자가 매고 다니는 가방이나 배낭에 간단하게 걸어 보관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무리함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물병의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며 간단한 체결에 의해 사용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물병 걸이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휴대용 물병 걸이구는, 가방이나 배낭과 같은 휴대물품에 걸어지는 연결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고리의 하부에 구비되고 연결구멍을 갖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의 연결구멍에 대응되는 제1힌지구멍을 갖는 제1힌지편이 구비되고 외측면에 제1파지돌부를 갖는 제1걸이몸체와; 상기 제1걸이몸체와 대칭되게 위치되고 상기 연결구의 연결구멍과 상기 제1걸이몸체의 제1힌지구멍에 대응되는 제2힌지구멍을 갖는 제2힌지편이 구비되며 외측면에 제2파지돌부를 갖는 제2걸이몸체와; 상기 연결구의 연결구멍과 상기 제1걸이몸체의 제1힌지구멍과 상기 제2걸이몸체의 제2힌지구멍을 연결하여 힌지고정하는 힌지고정핀과; 상기 제1걸이몸체와 제2걸이몸체가 상기 힌지고정핀을 축으로 하여 서로 벌어졌다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탄성체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제1걸이몸체는, 끝단에 제1지지홈이 구비되며 상단에 제1탄성체결합부가 구비되는 제1반원형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걸이몸체는, 상기 제1반원형몸체와 마주보는 반원형으로 이루어지고 끝단에 상기 제1지지홈에 끼워지는 제1지지돌기가 구비되며 상단에 상기 제1탄성체결합부와 대응되는 제2탄성체결합부가 구비되는 제2반원형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제1탄성체결합부에 끼워지는 제1절곡편과 상기 제2탄성체결합부에 끼워지는 제2절곡편을 갖는 제1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제1걸이몸체는, 끝단에 제2지지홈이 구비되며 내측 상단에 제1탄성체끼움부가 구비되는 제3반원형몸체로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걸이몸체는, 상기 제3반원형 몸체와 마주보는 반원형으로 이루어지고 끝단에 상기 제2지지홈에 끼워지는 제2지지돌기가 구비되며 상단에 상기 제1탄성체끼움부와 대응되는 제2탄성체끼움부가 구비되는 제4반원형몸체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제1탄성체끼움부에 일측이 끼워지고 상기 제2탄성체끼움부에 타측이 끼워지는 제2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제1걸이몸체는, 내측에 제1스프링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스프링수용부와 연통되는 제1가이드홈을 갖는 제1거치부와; 상기 제1거치부의 제1가이드홈에 끼워지는 제1푸싱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1거치부의 내측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제1거치부의 내측으로부터 인출되며 끝단에 제1걸림편을 갖는 제1확개부로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걸이몸체는, 내측에 제2스프링수용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2스프링수용부와 연통되는 제2가이드홈을 갖는 제2거치부와; 상기 제2거치부의 제2가이드홈에 끼워지는 제2푸싱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2거치부의 내측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제2거치부의 내측으로부터 인출되며 끝단에 제2걸림편을 갖는 제2확개부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스프링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1확개부가 상기 제1거치부의 내측으로 인입될 때 상기 제1푸싱돌기에 의해 눌러져 압축되며 상기 제1푸싱돌기의 눌러짐이 해제되어 상기 제1확개부가 상기 제1거치부의 내측으로부터 인출될 때 인장되는 제1코일스프링과; 상기 제2스프링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2확개부가 상기 제2거치부의 내측으로 인입될 때 상기 제2푸싱돌기에 의해 눌러져 압축되며 상기 제2푸싱돌기의 눌러짐이 해제되어 상기 제2확개부가 상기 제2거치부의 내측으로 인출될 때 인장되는 제2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어깨에 매고 다니는 가방이나 배낭과 같은 휴대물품에 걸어지는 연결고리에 물병 걸이구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물이나 음료수가 담겨진 물병을 가방이나 배낭에 거치하여 다닐 수 있어 야외활동성이 용이하고 양손이 자유로워 물병을 휴대함에 불편함을 느끼지 않으며 사용자의 손목통증이나 손가락 통증과 같은 통증질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하고 쉽게 물병을 탈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성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며 간단한 구성에 의해 소비자의 구입비용에 부담을 주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인 휴대용 물병 걸이구의 일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휴대용 물병 걸이구의 일예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휴대용 물병 걸이구의 일예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휴대용 물병 걸이구에 물병이 거치된 상태의 일부생략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휴대용 물병 걸이구의 다른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인 휴대용 물병 걸이구의 다른 예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휴대용 물병 걸이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인 휴대용 물병 걸이구의 또 다른 예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물병 걸이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휴대용 물병 걸이구는, 가방이나 배낭과 같은 휴대물품에 걸어지는 연결고리를 포함하고, 연결고리의 하부에 구비되고 연결구멍(11)을 갖는 연결구(10)와, 상기 연결구(10)의 연결구멍(11)에 대응되는 제1힌지구멍(21)을 갖는 제1힌지편(22)이 구비되고 외측면에 제1파지돌부(23)를 갖는 제1걸이몸체(20)와, 상기 제1걸이몸체(20)와 대칭되게 위치되고 상기 연결구(10)의 연결구멍(11)과 상기 제1걸이몸체(20)의 제1힌지구멍(21)에 대응되는 제2힌지구멍(31)을 갖는 제2힌지편(32)이 구비되며 외측면에 제2파지돌부(33)를 갖는 제2걸이몸체(30)와, 상기 연결구(10)의 연결구멍(11)과 상기 제1걸이몸체(20)의 제1힌지구멍(21)과 상기 제2걸이몸체(30)의 제2힌지구멍(31)을 연결하여 힌지고정하는 힌지고정핀(40)과, 상기 제1걸이몸체(20)와 제2걸이몸체(30)가 상기 힌지고정핀(40)을 축으로 하여 서로 벌어졌다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탄성체(5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걸이몸체(20)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제1파지돌부(23)와 상기 제2걸이몸체(30)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제2파지돌부(33)는 사용자가 제1걸이몸체(20)와 제2걸이몸체(30)를 상기 힌지고정핀(40)을 축으로 하여 벌리고자 할 때 상기 제1파지돌부(23)와 제2파지돌부(33)를 파지하여 쉽게 제1걸이몸체(20)와 제2걸이몸체(30)를 벌리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인 휴대용 물병 걸이구는, 상기 제1걸이몸체(20)와 제2걸이몸체(30) 내측으로 물이 담겨진 물병이나 음료수가 담겨진 음료수병의 병목(101)이 걸어져 거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걸이몸체(20)와 제2걸이몸체(30)를 힌지고정핀(40)으로 연결하는 연결고리(102)를 어깨에 매고 휴대하는 가방이나 배낭에 연결하여 걸어주면 물병의 휴대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제1걸이몸체(20)와 제2걸이몸체(30) 내측으로 물병의 병목(101)을 걸어 거치하는 방법은,
상기 제1걸이몸체(20)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제1파지돌부(23)와 상기 제2걸이몸체(30)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제2파지돌부(33)를 사용자가 양 손으로 파지하거나 또는 한 손의 두 개의 손가락을 각각 제1파지돌부(23)와 제2파지돌부(33)에 걸은 상태에서 제1걸이몸체(20)와 제2걸이몸체(30)를 상기 힌지고정핀(40)을 축으로 하여 벌리면 쉽고 용이하게 제1걸이몸체(20)와 제2걸이몸체(30)가 벌어진다.
이와 같이 벌어진 제1걸이몸체(20)와 제2걸이몸체(30) 사이에 병목(101)을 위치한 후 제1걸이몸체(20)의 제1파지돌부(23)와 제2걸이몸체(30)의 제2파지돌부(33)에 가해지는 힘을 해제하면 상기 제1걸이몸체(20)와 제2걸이몸체(30)는 상기 탄성체(50)에 의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면서 병목(101)이 제1걸이몸체(20)와 제2걸이몸체(30)에 걸어져 거치된다.
또한, 인위적인 힘을 가해 상기 제1걸이몸체(20)와 제2걸이몸체(30)를 상기 힌지고정핀(40)을 축으로 하여 벌린 상태에서 벌어진 제1걸이몸체(20)와 제2걸이몸체(30) 사이에 병목(101)을 위치한 다음 상기 제1걸이몸체(20)와 제2걸이몸체(30)를 벌리고 있는 인위적인 힘을 해제하면 상기 탄성체(50)에 의해 벌어진 제1걸이몸체(20)와 제2걸이몸체(30)가 상기 힌지고정핀(40)을 축으로 하여 다시 모아짐에 따라 병목(101)을 견고하게 잡아주기 때문에 물병을 제1걸이몸체(20)와 제2걸이몸체(30)에 걸어 거치할 수 있다.
상기 제1걸이몸체(20)와 제2걸이몸체(30)를 벌리기 위한 인위적인 힘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걸이몸체(20)와 제2걸이몸체(30) 사이에 손가락을 위치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벌리는 동작에 의해 제1걸이몸체(20)와 제2걸이몸체(30)가 벌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물병의 뚜껑을 제1걸이몸체(20)와 제2걸이몸체(30) 사이의 하부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물병의 뚜껑을 제1걸이몸체(20)와 제2걸이몸체(30) 사이로 밀어넣음으로써 제1걸이몸체(20)와 제2걸이몸체(30)가 벌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벌어진 제1걸이몸체(20)와 제2걸이몸체(30)의 벌리고 있는 인위적인 힘을 해제하면 다시 힌지고정핀(40)을 축으로 하여 모아지는 이유는, 상기 제1걸이몸체(20)와 제2걸이몸체(30)가 벌어질 때 상기 탄성체(50)가 펼쳐지게 되고 제1걸이몸체(20)와 제2걸이몸체(30)의 벌어지는 힘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체(5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벌어진 제1걸이몸체(20)와 제2걸이몸체(30)가 다시 원래의 위치로 모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휴대용 물병 걸이구는, 생수 즉 물이 담겨진 물병이나 음료수가 담겨진 음료수 병의 병목을 제1걸이몸체(20)와 제2걸이몸체(30)에 걸어 거치할 수 있으며 제1걸이몸체(20)와 제2걸이몸체(30)가 가방이나 배낭에 걸 수 있는 연결고리(102)에 연결구(10)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물병을 가방이나 배낭에 걸어 거치하여 휴대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성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
본 발명인 휴대용 물병 걸이구의 상기 제1걸이몸체(20)는 끝단에 제1지지홈(211)이 구비되며 상단에 제1탄성체결합부(212)가 구비되는 제1반원형몸체(21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걸이몸체(30)는 상기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는 제1반원형몸체(210)와 마주보는 반원형으로 이루어지고 끝단에 상기 제1지지홈(211)에 끼워지는 제1지지돌기(311)가 구비되며 상단에 상기 제1탄성체결합부(212)와 대응되는 제2탄성체결합부(312)가 구비되는 제2반원형몸체(3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탄성체(50)는, 상기 제1탄성체결합부(212)에 끼워지는 제1절곡편(51)과 상기 제2탄성체결합부(312)에 끼워지는 제2절곡편(52)을 갖는 제1판스프링(5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판스프링(53)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체(50)는, 상기 제1판스프링(53)의 제1절곡편(51)과 제2절곡편(52)이 각각 제1탄성체결합부(212)와 제2탄성체결합부(312)에 끼움 구성되기 때문에 제1판스프링(53)의 펼쳐짐과 원래의 위치로의 복원동작이 가능한 것으로, 이 때 상기 제1절곡편(51)과 제2절곡편(5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해 모아지는 형태의 경사지게 굴곡되도록 구비하여 제1절곡편(51)과 제2절곡편(52)이 상기 제1탄성체결합부(212)와 제2탄성체결합부(312)로부터 빠져나가는 동작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기 제1걸이몸체(20)를 이루고 있는 제1반원형몸체(210)와 상기 제2걸이몸체(30)를 이루고 있는 제2반원형몸체(310)가 상기 힌지고정핀(40)을 축으로 하여 벌어지고 모아지는 동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1반원형몸체(210)와 제2반원형몸체(310)를 서로에 대해 벌린 상태에서 병목(101)을 위치한 후 제1반원형몸체(210)와 제2반원몸체(310)의 벌림 동작을 해제하면 상기 제1판스프링(5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반원형몸체(210)와 제2반원형몸체(310)가 병목(101)측으로 모아지게 되면서 병목(101)을 견고하게 파지하기 때문에 물병을 제1걸이몸체(20)를 이루고 있는 제1반원형몸체(210)와 제2걸이몸체(30)를 이루고 있는 제2반원형몸체(310)에 의해 쉽고 간단하게 걸어 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인 휴대용 물병 걸이구의 상기 제1걸이몸체(20)는, 끝단에 제2지지홈(221)이 구비되며 내측 상단에 제1탄성체끼움부(222)가 구비되는 제3반원형몸체(220)로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걸이몸체(30)는, 상기 제3반원형몸체(220)와 마주보는 반원형으로 이루어지고 끝단에 상기 제2지지홈(221)에 끼워지는 제2지지돌기(321)가 구비되며 상단에 상기 제1탄성체끼움부(222)와 대응되는 제2탄성체끼움부(322)가 구비되는 제4반원형몸체(320)로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탄성체(50)는, 상기 제1탄성체끼움부(222)에 일측이 끼워지고 상기 제2탄성체끼움부(322)에 타측이 끼워지는 제2판스프링(5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판스프링(54)은 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2판스프링(54)의 일측이 상기 제1탄성체끼움부(222)에 끼워지고 제2판스프링(54)의 타측은 상기 제2탄성체끼움부(322)에 끼워짐에 따라, 상기 제1걸이몸체(20)를 이루고 있는 제3반원형몸체(220)와 상기 제2걸이몸체(30)를 이루고 있는 제4반원형몸체(320)가 서로에 대해 벌어지거나 모아지는 동작을 진행하더라도 상기 제3반원형몸체(220)와 제4반원형몸체(320)로부터 빠져나감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기 제1걸이몸체(20)를 이루고 있는 제3반원형몸체(220)와 상기 제2걸이몸체(30)를 이루고 있는 제4반원형몸체(320)가 상기 힌지고정핀(40)을 축으로 하여 벌어지고 모아지는 동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3반원형몸체(220)와 제4반원형몸체(320)를 서로에 대해 벌린 상태에서 병목(101)을 위치한 후 제3반원형몸체(220)와 제4반원몸체(320)의 벌림 동작을 해제하면 상기 제2판스프링(5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3반원형몸체(220)와 제4반원형몸체(320)가 병목(101)측으로 모아지게 되면서 병목(101)을 견고하게 파지하기 때문에 물병을 제1걸이몸체(20)를 이루고 있는 제3반원형몸체(220)와 제2걸이몸체(30)를 이루고 있는 제4반원형몸체(320)에 의해 쉽고 간단하게 걸어 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인 휴대용 물병 걸이구의 상기 제1걸이몸체(20)는, 내측에 제1스프링수용부(231)가 구비되고 상기 제1스프링수용부(231)와 연통되는 제1가이드홈(232)을 갖는 제1거치부(230)와, 상기 제1거치부(230)의 제1가이드홈(232)에 끼워지는 제1푸싱돌기(241)가 구비되고 상기 제1거치부(230)의 내측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제1거치부(230)의 내측으로부터 인출되며 끝단에 제1걸림편(242)을 갖는 제1확개부(240)로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걸이몸체(30)는, 내측에 제2스프링수용부(331)가 구비되고 상기 제2스프링수용부(331)와 연통되는 제2가이드홈(332)을 갖는 제2거치부(330)와, 상기 제2거치부(330)의 제2가이드홈(332)에 끼워지는 제2푸싱돌기(341)가 구비되고 상기 제2거치부(330)의 내측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제2거치부(330)의 내측으로부터 인출되며 끝단에 제2걸림편(342)을 갖는 제2확개부(340)로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스프링수용부(231)에 수용되고 상기 제1확개부(240)가 상기 제1거치부(230)의 내측으로 인입될 때 상기 제1푸싱돌기(241)에 의해 눌러져 압축되며 상기 제1푸싱돌기(241)의 눌러짐이 해제되어 상기 제1확개부(240)가 상기 제1거치부(240)의 내측으로부터 인출될 때 인장되는 제1코일스프링(60)과, 상기 제2스프링수용부(331)에 수용되고 상기 제2확개부(340)가 상기 제2거치부(330)의 내측으로 인입될 때 상기 제2푸싱돌기(341)에 의해 눌러져 압축되며 상기 제2푸싱돌기(341)의 눌러짐이 해제되어 상기 제2확개부(340)가 상기 제2거치부(330)의 내측으로 인출될 때 인장되는 제2코일스프링(70)으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상기 제1확개부(240)가 제1거치부(230)의 내측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고, 상기 제2확개부(340)가 제2거치부(330)의 내측으로 인출 또는 인입되기 때문에, 이들 제1확개부(240) 및 제2확개부(340)에 의해 물병의 병목(101)을 걸어 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확개부(240)와 제2확개부(340)가 상기 힌지고정핀(40)을 축으로 하여 서로에 대해 벌어지고 모아지는 동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병목의 크기에 관계없이 물병을 걸어 거치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편(242)과 제2걸림편(342)는 병목을 지지함은 물론 병목에 걸어짐에 따라 병목을 더욱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다.
상기 제1확개부(240)가 제1거치부(23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은, 상기 제1확개부(240)의 제1푸싱돌기(241)를 상기 힌지고정핀(40)측으로 당겨주면 당겨지는 제1푸싱돌기(241)가 구비되는 제1확개부(240)가 제1거치부(23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바, 이 때 상기 제1푸싱돌기(241)는 제1거치부(230)의 제1가이드홈(232)에 의해 가이드되어 힌지고정핀(40)측으로 당겨지며, 제1확개부(240)가 제1거치부(230)의 내측으로 인입될 때 상기 제1스프링수용부(231)에 수용된 제1코일스프링(60)이 눌러져 압축된다.
또한, 상기 제2확개부(340)가 제2거치부(33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것은, 상기 제2확개부(340)의 제2푸싱돌기(341)를 상기 힌지고정핀(40)측으로 당겨주면 당겨지는 제2푸싱돌기(341)가 구비되는 제2확개부(340)가 제2거치부(33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바, 이 때 상기 제2푸싱돌기(341)는 제2거치부(330)의 제2가이드홈(332)에 의해 가이드되어 힌지고정핀(40)측으로 당겨지며, 제2확개부(340)가 제2거치부(330)의 내측으로 인입될 때 상기 제2스프링수용부(331)에 수용된 제2코일스프링(70)이 눌러져 압축된다.
상기 제1확개부(240)가 제1거치부(230)의 내측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은, 상기 제1푸싱돌기(241)가 힌지고정핀(40)측으로 당겨지는 것에 의해 제1확개부(240)가 제1거치부(230) 내측으로 인입되는 과정에서 눌러져 압축되는 제1코일스프링(60)의 복원력에 의해 가능한 것으로, 상기 당겨진 제1푸싱돌기(241)에 대한 당기는 힘을 해제하면 상기 압축된 제1코일스프링(60)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하기 위해 인장되는 바, 이 때 인장되는 제1코일스프링(60)에 의해 상기 제1거치부(230)의 내측으로 인입된 제1확개부(240)가 밀어짐에 따라 제1확개부(240)가 제1거치부(230)의 내측으로부터 인출된다.
상기 제2확개부(340)가 제2거치부(330)의 내측으로부터 인출되는 것은, 상기 제2푸싱돌기(341)가 힌지고정핀(40)측으로 당겨지는 것에 의해 제2확개부(340)가 제2거치부(330) 내측으로 인입되는 과정에서 눌러져 압축되는 제2코일스프링(70)의 복원력에 의해 가능한 것으로, 상기 당겨진 제2푸싱돌기(341)에 대한 당기는 힘을 해제하면 상기 압축된 제2코일스프링(70)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하기 위해 인장되는 바, 이 때 인장되는 제2코일스프링(70)에 의해 상기 제2거치부(330)의 내측으로 인입된 제2확개부(340)가 밀어짐에 따라 제2확개부(340)가 제2거치부(330)의 내측으로부터 인출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연결구 11 : 연결구멍
20 : 제1걸이몸체 21 : 제1힌지구멍
22 : 제1힌지편 23 : 제1파지돌부
30 : 제2걸이몸체 31 : 제2힌지구멍
32 : 제2힌지편 33 : 제2파지돌부
40 : 힌지고정핀 50 : 탄성체
51 : 제1절곡편 52 : 제2절곡편
53 : 제1판스프링 54 : 제2판스프링
60 : 제1코일스프링 70 : 제2코일스프링
210 : 제1반원형몸체 211 : 제1지지홈
212 : 제1탄성체결합부 220 : 제3반원형몸체
221 : 제2지지홈 222 : 제1탄성체끼움부
230 : 제1거치부 231 : 제1스프링수용부
232 : 제1가이드홈 240 : 제1확개부
241 : 제1푸싱돌기 242 : 제1걸림편
310 : 제2반원형몸체 311 : 제1지지돌기
312 : 제2탄성체결합부 320 : 제4반원형몸체
321 : 제2지지돌기 322 : 제2탄성체끼움부
330 : 제2거치부 331 : 제2스프링수용부
332 : 제2가이드홈 340 : 제2확개부
341 : 제2푸싱돌기 342 : 제2걸림편

Claims (4)

  1. 가방이나 배낭과 같은 휴대물품에 걸어지는 연결고리를 포함하고,
    연결고리의 하부에 구비되고 연결구멍(11)을 갖는 연결구(10)와;
    상기 연결구(10)의 연결구멍(11)에 대응되는 제1힌지구멍(21)을 갖는 제1힌지편(22)이 구비되고 외측면에 제1파지돌부(23)를 갖는 제1걸이몸체(20)와;
    상기 제1걸이몸체(20)와 대칭되게 위치되고 상기 연결구(10)의 연결구멍(11)과 상기 제1걸이몸체(20)의 제1힌지구멍(21)에 대응되는 제2힌지구멍(31)을 갖는 제2힌지편(32)이 구비되며 외측면에 제2파지돌부(33)를 갖는 제2걸이몸체(30)와;
    상기 연결구(10)의 연결구멍(11)과 상기 제1걸이몸체(20)의 제1힌지구멍(21)과 상기 제2걸이몸체(30)의 제2힌지구멍(31)을 연결하여 힌지고정하는 힌지고정핀(40)과;
    상기 제1걸이몸체(20)와 제2걸이몸체(30)가 상기 힌지고정핀(40)을 축으로 하여 서로 벌어졌다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탄성체(50)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물병 걸이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이몸체(20)는,
    끝단에 제1지지홈(211)이 구비되며 상단에 제1탄성체결합부(212)가 구비되는 제1반원형몸체(21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걸이몸체(30)는,
    상기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는 제1반원형몸체(210)와 마주보는 반원형으로 이루어지고 끝단에 상기 제1지지홈(211)에 끼워지는 제1지지돌기(311)가 구비되며 상단에 상기 제1탄성체결합부(212)와 대응되는 제2탄성체결합부(312)가 구비되는 제2반원형몸체(310)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체(50)는,
    상기 제1탄성체결합부(212)에 끼워지는 제1절곡편(51)과 상기 제2탄성체결합부(312)에 끼워지는 제2절곡편(52)을 갖는 제1판스프링(53)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물병 걸이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이몸체(20)는,
    끝단에 제2지지홈(221)이 구비되며 내측 상단에 제1탄성체끼움부(222)가 구비되는 제3반원형몸체(220)로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걸이몸체(30)는,
    상기 제3반원형몸체(220)와 마주보는 반원형으로 이루어지고 끝단에 상기 제2지지홈(221)에 끼워지는 제2지지돌기(321)가 구비되며 상단에 상기 제1탄성체끼움부(222)와 대응되는 제2탄성체끼움부(322)가 구비되는 제4반원형몸체(320)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체(50)는,
    상기 제1탄성체끼움부(222)에 일측이 끼워지고 상기 제2탄성체끼움부(322)에 타측이 끼워지는 제2판스프링(54)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물병 걸이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이몸체(20)는,
    내측에 제1스프링수용부(231)가 구비되고 상기 제1스프링수용부(231)와 연통되는 제1가이드홈(232)을 갖는 제1거치부(230)와;
    상기 제1거치부(230)의 제1가이드홈(232)에 끼워지는 제1푸싱돌기(241)가 구비되고 상기 제1거치부(230)의 내측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제1거치부(230)의 내측으로부터 인출되며 끝단에 제1걸림편(242)을 갖는 제1확개부(240)로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걸이몸체(30)는,
    내측에 제2스프링수용부(331)가 구비되고 상기 제2스프링수용부(331)와 연통되는 제2가이드홈(332)을 갖는 제2거치부(330)와;
    상기 제2거치부(330)의 제2가이드홈(332)에 끼워지는 제2푸싱돌기(341)가 구비되고 상기 제2거치부(330)의 내측으로 인입되거나 상기 제2거치부(330)의 내측으로부터 인출되며 끝단에 제2걸림편(342)을 갖는 제2확개부(340)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1스프링수용부(231)에 수용되고 상기 제1확개부(240)가 상기 제1거치부(230)의 내측으로 인입될 때 상기 제1푸싱돌기(241)에 의해 눌러져 압축되며 상기 제1푸싱돌기(241)의 눌러짐이 해제되어 상기 제1확개부(240)가 상기 제1거치부(240)의 내측으로부터 인출될 때 인장되는 제1코일스프링(60)과;
    상기 제2스프링수용부(331)에 수용되고 상기 제2확개부(340)가 상기 제2거치부(330)의 내측으로 인입될 때 상기 제2푸싱돌기(341)에 의해 눌러져 압축되며 상기 제2푸싱돌기(341)의 눌러짐이 해제되어 상기 제2확개부(340)가 상기 제2거치부(330)의 내측으로 인출될 때 인장되는 제2코일스프링(70)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물병 걸이구.
KR1020150072939A 2015-05-26 2015-05-26 휴대용 물병 걸이구 KR101691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2939A KR101691294B1 (ko) 2015-05-26 2015-05-26 휴대용 물병 걸이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2939A KR101691294B1 (ko) 2015-05-26 2015-05-26 휴대용 물병 걸이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8730A true KR20160138730A (ko) 2016-12-06
KR101691294B1 KR101691294B1 (ko) 2016-12-29

Family

ID=57576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2939A KR101691294B1 (ko) 2015-05-26 2015-05-26 휴대용 물병 걸이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2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014A (ko) * 2018-05-10 2018-06-15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장치
KR20180065015A (ko) * 2018-05-10 2018-06-15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6948A (ja) * 1989-07-31 1991-03-22 Nissan Motor Co Ltd 粘度可変流体封入制御型防振体
JP2002355107A (ja) * 2001-06-01 2002-12-10 Ooshiba:Kk 指 輪
KR200362666Y1 (ko) 2004-06-21 2004-09-22 이홍주 페트병을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는 손목 걸이용 밴드
KR200376604Y1 (ko) 2004-11-30 2005-03-08 권형진 물병 휴대 고리
KR100803518B1 (ko) * 2007-01-12 2008-02-14 이은수 자동으로 크기가 조절되는 반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6948B2 (ja) * 1995-11-06 2000-07-17 片山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ベルトラインモールディン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6948A (ja) * 1989-07-31 1991-03-22 Nissan Motor Co Ltd 粘度可変流体封入制御型防振体
JP2002355107A (ja) * 2001-06-01 2002-12-10 Ooshiba:Kk 指 輪
KR200362666Y1 (ko) 2004-06-21 2004-09-22 이홍주 페트병을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는 손목 걸이용 밴드
KR200376604Y1 (ko) 2004-11-30 2005-03-08 권형진 물병 휴대 고리
KR100803518B1 (ko) * 2007-01-12 2008-02-14 이은수 자동으로 크기가 조절되는 반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014A (ko) * 2018-05-10 2018-06-15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장치
KR20180065015A (ko) * 2018-05-10 2018-06-15 주식회사 경신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1294B1 (ko) 2016-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1187B2 (en) Self-closing bag holder and assembly
US9888816B1 (en) Wearable fluid-dispensing apparatus
JP3207032U (ja) ネックストラップ構造及びその補助具
US20030111496A1 (en) Bottle carrier device
WO2016019697A1 (zh) 伸缩收纳瓶
KR101691294B1 (ko) 휴대용 물병 걸이구
US6886739B1 (en) Food and treat dispenser
WO2007094769A1 (en) Forearm crutch padded cover
US20050109803A1 (en) Water bottle holder
KR20150001069U (ko) 신체 착용형 물통
KR101732229B1 (ko) 다기능 옷걸이
FR3026295A1 (fr) Bretelles souples de maintien de bequilles
KR20190051359A (ko) 핸드용 유니버셜 커프
CN104643542A (zh) 一种多用途开合提菜器
JP3179312U (ja) 買い物袋保持用肩掛け紐
US20120067471A1 (en) Purse attachment that holds an umbrella, water bottle or similar shape object
WO1997029727A1 (fr) Porte-cannes
US20200054084A1 (en) Shoulder sling and pillow system
KR20090025731A (ko) 휴대의 편리성을 갖는 음료용기용 걸이
JP3162090U (ja) 飲み物容器保持具
KR101415093B1 (ko) 휴대용 음료용기 홀더
CN214454098U (zh) 一种易于固定搬运的饮用水桶
KR101589459B1 (ko) 휴대용 접이식 물통
US6598769B1 (en) Sock holding dressing aid
CN208243085U (zh) 可封闭袋口的手提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