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7774A - 고소 작업차량의 굴절장치 - Google Patents

고소 작업차량의 굴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7774A
KR20160137774A KR1020150071022A KR20150071022A KR20160137774A KR 20160137774 A KR20160137774 A KR 20160137774A KR 1020150071022 A KR1020150071022 A KR 1020150071022A KR 20150071022 A KR20150071022 A KR 20150071022A KR 20160137774 A KR20160137774 A KR 20160137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refracting
rotary
platform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1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용
김영길
이해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룡
Priority to KR1020150071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7774A/ko
Publication of KR20160137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77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2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actuated by lazy-tongs mechanisms or articulated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 작업차량의 굴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각도로 보다 안정되게 붐대들이 각각 굴절되어 어떠한 상황에서도 고소 작업이 가능하게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차량의 차대(1)에 회전가능 하도록 설치되는 붐지지대(4)와,
이 붐지지대(4)에 힌지 결합되어 메인실린더(6)의 전후진 작동으로 각도 전환되며 말단붐(11)을 포함하여 수개의 붐들이 절첩식으로 내장되는 메인붐 어세이(10)와,
상기 메인붐 어세이(10)의 말단붐(11) 단부와, 프랫폼(5) 사이에서 각각 힌지 연결되는 회전붐(20)과,
상기 회전붐(20)을 제1 실린더(31)의 전후진 작동으로 말단붐(11)으로부터 굴절시키는 제1 굴절부(30)와,
상기 회전붐(20)의 단부로부터 중심축(42)을 중심으로 프랫폼(5)을 제2 실린더(41)의 전후진 작동으로 굴절시키는 제2 굴절부(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소 작업차량의 굴절장치{Articulation device of high place works car}
본 발명은 고소 작업차량의 굴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각도로 보다 안정되게 붐대들이 각각 굴절되어 어떠한 상황에서도 고소 작업이 가능하게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가 고층화를 이루면서 고소작업을 위한 특수 장비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다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 일 예로서 붐대가 설치된 이동성을 갖춘 고소 작업차가 있다.
고소 작업차는 붐대의 선단에 적재대를 겸한 탑승함 설치되어 고층 아파트나 빌딩에 물품 운송 작업용으로 이용되며, 경우에 따라 작업자를 탑승시켜서 가로수나 가로등 및 신호등을 보수하거나 정비하기 위한 정비용으로 사용된다.
또한, 고층 건물 외벽 설치 및 보수 작업 등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고소 작업차의 구성은 도 1에서와 같이 다수의 붐들이 내장되어 접첩식으로 조립된 붐대(2)가 하단부에 링기어를 이용한 회전수단(3)을 갖춘 붐지지대(4)와 힌지 결합에 의해 일체를 이루고, 붐지지대(4)는 차량의 차대(1)에 회전가능 하도록 설치된다.
이 붐대(2)는 안테나식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고, 최상단의 붐대(2) 선단에는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프랫폼(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힌지 결합을 이루고 있는 붐대(2)와 붐지지대(4)간에는 붐대(2)의 각도를 조종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한 유압장치와, 안테나 식으로 중첩되어 있는 붐들을 늘어나게 하거나 줄어들게 하기 위해 붐대 내부에는 신축용 유압실린더나 윈치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프랫폼(5)에 작업자를 탑승시킨 상태에서 붐대(2)를 작동시켜 고층 건물에서 고소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특허문헌 : 국내 등록 실용신안 20-0377023호(등록일자 2005년02월17일) 국내 특허공개 10-2006-39164호(공개일자 2006년 05월 08일)
종래, 붐 어셈블리는 내부에 메인붐의 내부에 수용되는 신축 수단에 의해 전진, 및 후퇴기능 밖에 발휘할 수 없었다.
따라서, 주어진 작업 환경에 따라 붐의 일부, 특히 말단 붐을 원하는 각도로 굴절할 수 없어 고소 작업이 이루어질 수 없는 경우도 발생되었다.
또한, 말단 붐과 프랫폼의 연결부 또한 자동 수평유지를 위해 단지 힌지축으로만 연결하고 있다.
그러므로, 말단 붐으로부터 플랫폼을 원하는 각도로 전환할 수가 없으므로 고소 작업이 불가능한 조건이 흔히 발생되어 작업자로 하여금 많은 불편함을 느끼게 하였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굴절 위치가 직선으로 전후진 신축되는 붐대로부터 회전붐이 실린더에 의해 굴절되고, 이 회전붐의 단부에서 프랫폼이 실린더에 의해 2곳에서 각각 굴절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어떠한 작업 환경에서도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고소 작업차량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랫폼이 회전붐으로부터 큰 각도로 굴절 가능하게 하여 어떠한 작업 환경에서도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고소 작업차량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각도로 보다 안정되게 붐대들이 각각 굴절되어 제품에 대한 안정성과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고소 작업차량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구성은, 차량의 차대(1)에 회전가능 하도록 설치되는 붐지지대(4)와,
이 붐지지대(4)에 힌지 결합되어 메인실린더(6)의 전후진 작동으로 각도 전환되며 말단붐(11)을 포함하여 수개의 붐들이 절첩식으로 내장되는 메인붐 어세이(10)와,
상기 메인붐 어세이(10)의 말단붐(11) 단부와, 프랫폼(5) 사이에서 각각 힌지 연결되는 회전붐(20)과,
상기 회전붐(20)을 제1 실린더(31)의 전후진 작동으로 말단붐(11)으로부터 굴절시키는 제1 굴절부(30)와,
상기 회전붐(20)의 단부로부터 중심축(42)을 중심으로 프랫폼(5)을 제2 실린더(41)의 전후진 작동으로 굴절시키는 제2 굴절부(40)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1 굴절부(30)는 말단붐(11)의 단부에 고정바디(15)를 고정 부착하여, 이 고정바디(15)와 회전붐(20)을 힌지축(3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며,
고정바디(15)에 상기 힌지축(32)과 거리를 두고 피봇축(33)을 중심으로 링크부재(34)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고,
이 링크부재(34)의 일측과 회전붐(20)의 중간부 위치에 축설치되는 제1 실린더(31)의 단부를 핀(35)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링크부재(34)와 회전붐(20)의 사이에는 로드바(38)가 각각 핀축(36)(37)을 중심으로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안정적인 굴절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2 굴절부(40)는 회전붐(20)의 단부와 프랫폼(5)을 중심축(42)을 중심으로 유동 가능하게 연결하며, 이 중심축(42)으로부터 내측으로 거리를 두고 제1핀(44)을 설치하여 호형링크부재(43)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하고,
프랫폼(5)에 제2핀(45)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로드(48)의 단부와 호형링크부재(43)의 타측단부가 제3핀(46)을 중심으로 유동 가능하게 힌지 연결하며,
회전붐(20)의 중간부에 고정브라켓트(49)에 힌지 연결되는 제2 실린더(41)의 샤프트 단부가 호형링크부재(43)와 제4핀(47)을 중심으로 힌지 연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굴절 위치가 직선으로 제1 굴절부와 제2 굴절부에서 각각 2곳에서 굴절이 이루어지면서, 프랫폼이 회전붐으로부터 큰 각도로 굴절 가능하게 하여 어떠한 작업 환경에서도 프랫폼을 작업 위치까지 도달될 수 있도록 제어가능하게 된다.
또, 다양한 각도로 보다 안정되게 붐대들이 각각 굴절되는 것에 의해 제품에 대한 안정성과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고소 작업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고소 작업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메인붐 어세이와 회전붐 및 플랫폼이 차량 주행상태를 위해 절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회전붐과 플랫폼이 펼쳐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일부 절결 정면도.
도 6은 도 4의 일부 절결 배면도
도 7은 제1 굴절부가 절첩된 상태를 보인 확대 정면도.
도 8은 제1 굴절부가 펼쳐지는 상태를 보인 확대 정면도.
도 9는 제1 굴절부가 펼쳐진 상태를 저면에서 보인 사시도.
도 10은 제2 굴절부의 요부 사시도.
도 11은 제2 굴절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 정면도.
도 12는 제2 굴절부에 의해 플랫폼이 회동되는 상태를 보인 이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차대(1)에 붐지지대(4)가 회전수단(3)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붐지지대(4)는 다수의 붐들이 내장되어 접첩식으로 조립되는 메인붐 어세이(10)가 힌지 결합된다.
메인붐 에세이(10)는 가장 말단에 위치되는 말단붐(11)을 포함하여 수개의 붐들이 안테나식으로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도록 신축 작용이 가능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메인붐 어세이(10)와 붐지지대(4) 사이에는 각도를 조종하는 메인실린더(6)를 포함한 유압장치와, 붐들의 신축 작용을 위하여 메인붐 어세이(10)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신축용 유압실린더나 윈치장치가 설치되는 것은 통상적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메인붐 어세이(10)의 말단붐(11) 단부에는 회전붐(20)이 제1 굴절부(30)에 의해 굴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이 회전붐(20)의 단부에는 제2 굴절부(40)에 의해 프랫폼(5)이 굴절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어 있다.
프랫폼(5)은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기능과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바스켓이 구비되기도 하며, 통상의 고도 작업차량에서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수평유지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수평유지장치는 메인붐 어세이(10) 및 회전붐(20)이 어떠한 위치로 펼쳐지면서 원하는 각도로 굴절된다 하더라도 작업자 및 적재물의 안전을 위해 항상 지면과 수평상태를 자동으로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회전붐(20)을 제1 실린더(31)의 전후진 작동으로 말단붐(11)으로부터 굴절시키는 제1 굴절부(30)의 구성은, 말단붐(11)의 단부에 고정바디(15)를 고정 부착하여, 이 고정바디(15)와 회전붐(20)을 힌지축(3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게 된다.
이 고정바디(15)에는 상기 힌지축(32)과 거리를 두고 피봇축(33)을 중심으로 링크부재(34)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링크부재(34)의 일측에는 회전붐(20)의 중간부 위치에 브라켓트(39)에 의해 유동가능하게 축설치되는 제1 실린더(31)의 단부를 핀(35)으로 각각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도 2에서와 같이 차량을 이용해 주행하거나 고소 작업이 수행되지 않을 경우에는 메인붐 어세이(10) 및 회전붐(20)은 중첩된 상태에서 나란하게 차대(1) 및 지면과 대략 수평한 방향으로 안착된다.
이 상태에서 고소 작업을 위해서 우선, 메인붐 어세이(10)와 붐지지대(4) 사이에서 각도를 조종하는 메인실린더(6)를 작동시켜 차량으로부터 회전붐(20)의 회전 반경에 지장이 없는 위치로 회동된다.
이어서, 제1 실린더(31)의 길이가 늘어나도록 유압을 제어하며 고정바디(15)의 힌지축(32)을 중심으로 회전붐(20)이 프랫폼(5)과 함께 회동된다.
이때 고정바디(15)에 피봇축(33)으로 연결되는 링크부재(34)가 제1 실린더(31)의 전진 작동으로 피봇축(33)을 중심으로 회전붐(20)과 연동되어 회동되는 것에 의해 회전붐(20)과 메인붐 어세이(10)의 연결부가 굴절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링크부재(34)와 회전붐(20)의 사이에는 로드바(38)가 각각 핀축(36)(37)을 중심으로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안정적인 굴절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회전붐(20)의 굴절 각도는 제1 실린더(31)의 신축 길이 조절로 제어된다.
한편, 상기 제2 굴절부(40)의 구성은 회전붐(20)의 단부와 프랫폼(5)을 중심축(42)을 중심으로 유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그리고, 이 중심축(42)으로부터 내측으로 거리를 두고 제1핀(44)을 설치하여 호형링크부재(43)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하게 된다.
프랫폼(5)에는 제2핀(45)을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로드(48)와 호형링크부재(43)의 타측 단부를 제3핀(46)으로 다시 힌지 연결하게 된다.
이어서, 제2 실린더(41)의 일단은 회전붐(20)의 중간부에 위치 고정되는 고정브라켓(49)와 유동가능하게 힌지 연결되고, 샤프트 단부는 상기 호형링크부재(43)와 제4핀(47)을 중심으로 힌지 연결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제2 굴절부(40)는 플랫폼(5)의 내부에 장착되는 통상의 수평유지장치의 제어에 의해 회전붐(20)이 회동되는 위치에 따라 작동된다.
즉, 제2 실린더(41)의 샤프트를 후퇴하게 되면 제4핀(47)으로 연결된 호형링크부재(43)가 당겨져 로드(48)에 제2핀(45)으로 연결된 프랫폼(5)이 회전붐(20)으로부터 큰 각도를 유지하도록 회동된다.
이와 역으로, 제2 실린더(41)의 샤프트를 전진시키게 되면 제4핀(47)으로 연결된 호형링크부재(43)가 제1핀(44)을 중심으로 프랫폼(5)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로드(48)에 제2핀(45)으로 연결된 프랫폼(5)을 회전붐(20)과 근접되는 작은 각도를 유지하도록 회동된다.
여기서, 상기 호형링크부재(43)를 고리형상으로 성형하는 이유는 중심축(42)에 간섭받지 않고 보다 큰 각도 회동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프랫폼(5)가 회동가능한 최대 범위가 대략 250-270도 까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플랫폼(5)의 굴절 가능한 각도가 크게 되는 것에 의해, 주어진 작업 환경에 따라 어떠한 상황에서도 원하는 위치로 안정되게 플랫폼(5)을 접근시켜 각종 고소 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프랫폼(5)과 회전붐(20)의 굴절 각도는 제2 실린더(41)의 신축 길이 조절로 제어된다.
한편, 상기 회전붐(20)을 다단으로 중첩되게 성형하여 도시하지 않은 안테나식 신축조절수단에 의해 플랫폼(5)을 고정바디(15)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신축 조절할 수도 있다.
이 회전붐(20)의 신축조절수단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압실린더 또는 윈치장치에 의해 동작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어 있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소 작업차 분야에 적용된다. 특히, 말단 붐의 양쪽에서 각각 2중 굴절이 가능하므로써 어떠한 작업 환경에서도 플랫폼을 작업 위치로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붐 굴절 기술에 적용된다.
1 - 차대문 4 - 붐지지대
5 - 프랫폼 6 - 메인실린더
10 - 메인붐 어세이 11 - 말단붐
15 - 고정바디 20 - 회전붐
30 - 제1 굴절부 31 - 제1 실린더
32 - 힌지축 33 - 피봇축
34 - 링크부재 40 - 제2 굴절부
41 - 제2 실린더 42 - 중심축
43 - 호형링크부재

Claims (4)

  1. 차량의 차대(1)에 회전가능 하도록 설치되는 붐지지대(4)와,
    이 붐지지대(4)에 힌지 결합되어 메인실린더(6)의 전후진 작동으로 각도 전환되며 말단붐(11)을 포함하여 수개의 붐들이 절첩식으로 내장되는 메인붐 어세이(10)와,
    상기 메인붐 어세이(10)의 말단붐(11) 단부와, 프랫폼(5) 사이에서 각각 힌지 연결되는 회전붐(20)과,
    상기 회전붐(20)을 제1 실린더(31)의 전후진 작동으로 말단붐(11)으로부터 굴절시키는 제1 굴절부(30)와,
    상기 회전붐(20)의 단부로부터 중심축(42)을 중심으로 프랫폼(5)을 제2 실린더(41)의 전후진 작동으로 굴절시키는 제2 굴절부(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량의 굴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굴절부(30)는 말단붐(11)의 단부에 고정바디(15)를 고정 부착하여, 이 고정바디(15)와 회전붐(20)을 힌지축(3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며,
    고정바디(15)에 상기 힌지축(32)과 거리를 두고 피봇축(33)을 중심으로 링크부재(34)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고,
    이 링크부재(34)의 일측과 회전붐(20)의 중간부 위치에 축설치되는 제1 실린더(31)의 단부를 핀(35)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량의 굴절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34)와 회전붐(20)의 사이에는 로드바(38)가 각각 핀축(36)(37)을 중심으로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량의 굴절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굴절부(40)는 회전붐(20)의 단부와 프랫폼(5)을 중심축(42)을 중심으로 유동 가능하게 연결하며, 이 중심축(42)으로부터 내측으로 거리를 두고 제1핀(44)을 설치하여 호형링크부재(43)의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하고,
    프랫폼(5)에 제2핀(45)을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로드(48)의 단부와 호형링크부재(43)의 타측단부가 제3핀(46)을 중심으로 유동 가능하게 힌지 연결하며,
    회전붐(20)의 중간부에 고정브라켓트(49)에 힌지 연결되는 제2 실린더(41)의 샤프트 단부가 호형링크부재(43)와 제4핀(47)을 중심으로 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 작업차량의 굴절장치.
KR1020150071022A 2015-05-21 2015-05-21 고소 작업차량의 굴절장치 KR201601377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022A KR20160137774A (ko) 2015-05-21 2015-05-21 고소 작업차량의 굴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022A KR20160137774A (ko) 2015-05-21 2015-05-21 고소 작업차량의 굴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774A true KR20160137774A (ko) 2016-12-01

Family

ID=57577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1022A KR20160137774A (ko) 2015-05-21 2015-05-21 고소 작업차량의 굴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777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7023Y1 (ko) 2004-11-22 2005-03-09 주식회사 호룡 고소작업차량의 붐대 회전장치
KR20060039164A (ko) 2004-11-02 2006-05-08 주식회사 호룡 와이어를 이용한 고소작업차량의 붐 신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9164A (ko) 2004-11-02 2006-05-08 주식회사 호룡 와이어를 이용한 고소작업차량의 붐 신축장치
KR200377023Y1 (ko) 2004-11-22 2005-03-09 주식회사 호룡 고소작업차량의 붐대 회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9332B2 (en) Internally supported power track
KR100668027B1 (ko) 고밀도 물질 분배 장치
JP4878766B2 (ja) 作業車のブーム旋回自動停止装置
JP4250165B2 (ja) 昇降装置付車両及び昇降装置
US20100078403A1 (en) Adjusting mechanism for a winch
CN108239910B (zh) 具有可折叠的传送带的地面铣刨机
CN204572025U (zh) 用于采矿顶板的支撑系统和地下采矿的锚杆机
US20090250971A1 (en) Material handling machine
US6290078B1 (en) Device for folding a crane jib with nesting elements
KR20160137776A (ko) 고소 작업차량의 프랫폼 굴절장치
KR20160137774A (ko) 고소 작업차량의 굴절장치
KR100680148B1 (ko) 굴절식 보조사다리를 구비한 고가사다리
US3035711A (en) Hydraulic pillar-type rotary cranes, particularly for motor trucks
US20190127998A1 (en) Hollow two-point lever
US20200217093A1 (en) Distribution Boom for Mobile Concrete Pumps Comprising Joints for Adjacent Arms, and Mobile Concrete Pump
JP4791734B2 (ja) 作業車の伸縮ブーム
KR200377476Y1 (ko) 고소작업차량의 아웃트리거
KR20190116602A (ko) 트러스 프레임을 가진 지붕 작업 장치
US9981832B1 (en) Control panel assembly
RU2726507C1 (ru) Выносная опора
JP2004189356A (ja) 伸縮ブーム
EP3339237A1 (en) Hydraulic crane
KR102297603B1 (ko) 특수차량의 무게 밸런싱 시스템과 이를 탑재한 특수차량 및 무게 밸런싱 방법
JP4885493B2 (ja) 伸縮ブーム
JP2009012871A (ja) 伸縮ブ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