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7645A - 일차 체결 시스템 및 이차 체결 시스템을 갖는 흡수 용품 - Google Patents

일차 체결 시스템 및 이차 체결 시스템을 갖는 흡수 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7645A
KR20160137645A KR1020167031114A KR20167031114A KR20160137645A KR 20160137645 A KR20160137645 A KR 20160137645A KR 1020167031114 A KR1020167031114 A KR 1020167031114A KR 20167031114 A KR20167031114 A KR 20167031114A KR 20160137645 A KR20160137645 A KR 20160137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primary
diaper
fastening component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1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2332B1 (ko
Inventor
사라 제인 윌리 스타벨펠트
데이비드 플레거 비숍
웬디 린 반디케
로버트 리 포프
데이비드 존 엔츠
캐서린 마가리트 핸콕-쿡
알라나 해슬러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160137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7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2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2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33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open type dia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33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open type diaper
    • A61F13/5644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open type diaper having more than one pair of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located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58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 A61F13/49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the modular concept of constructing the diaper the diaper having an outer chassis forming the diaper and an independent absorbent structure attached to the chas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pants type diaper
    • A61F13/565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pants type diaper adjustable pants type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8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 A61F13/581Tab fastener elements combining adhesive and mechanical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2Mechanical fastening means, ; 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61F13/622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3Reusable, washable fabric diapers
    • A61F13/49004Reusable, washable fabric diapers with fas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33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open type diaper
    • A61F13/5638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open type diaper adjustable open type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2Mechanical fastening means, ; 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흡수 용품은 길이방향 대향 말단들, 가로 방향 대향 측면들,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용품의 내면을 형성하는 신체측 라이너,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용품의 외면을 형성하는 외부 커버, 및 상기 라이너와 상기 외부 커버 사이에 배치된 흡수성 코어를 가지는 섀시를 포함한다. 한 쌍의 귀들이 용품의 제2 허리부에서 상기 섀시의 대향 측면들로부터 외측으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일차 체결 시스템은 한 쌍의 귀들 각각에 위치되는 일차 제1 체결 구성요소 및 일차 제2 체결 구성요소를 가진다. 이차 체결 시스템은 귀들의 각각에 위치되는 이차 제2 체결 구성요소 및 대응하는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를 가진다. 용품의 외면에 부착되는 비-선형 스트립은 일차 제2 체결 구성요소 및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일차 체결 시스템 및 이차 체결 시스템을 갖는 흡수 용품{ABSORBENT ARTICLE HAVING A PRIMARY FASTENING SYSTEM AND A SECONDARY FASTENING SYSTEM}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개인 착용을 위한 흡수 용품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용품을 착용자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체결 및 재체결하기 위한 일차 체결 시스템 및 이차 체결 시스템을 가지는 일회용 흡수 용품에 관한 것이다.
기저귀, 훈련용 팬티, 여성 위생 제품, 성인 실금 제품, 붕대, 의료용 의복 등의 개인적 착용을 위한 다수의 흡수 용품은, 오랫동안 습기에 노출됨에 따른 피부 자극을 줄이도록 착용자로부터 분리하여 소변, 월경 분비물, 혈액 등을 포함한 액상 신체 삼출물로부터 습기를 흡수하기 위한 충분한 흡수성을 갖도록 설계된다. 일례로, 기저귀는, 통상적으로, 한 세트의 일차 체결 탭들, 예컨대 접착 탭 또는 기계적(예를 들어, 후크 또는 루프) 체결 시스템 탭을 사용하여 착용자에게 배치되고 고정되고, 분비물을 흡수하고 배설물을 함유하도록 제 자리에 두게 된다.
기저귀와 일부 훈련용 팬티와 같이 부착물이 재체결가능한 용품에서는, 착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부착물에 가해지는 응력의 결과로 갑작스런 개방현상(pop-open)(체결기구의 분리)이 때때로 발생한다. 예를 들어, 그리고 특히 단지 하나의 체결 시스템을 사용하는 흡수 용품에 대해서, 흡수 용품을 착용한 유아 또는 다른 착용자가 돌아다닐 때(예를 들어, 기고, 걷고, 뛰고, 구부릴 때 등) 유아의 동작으로 인해 체결 시스템에 놓이는 전단 응력은 체결 탭들(tabs) 등의 느슨해짐 또는 심지어 완전한 체결 해제를 유발할 수 있어서, 흡수 용품의 누수, 처짐, 또는 착용자로부터 떨어지는 경향을 초래한다.
이에 따라, 공지의 일부 흡수 용품은, 하나보다 많은 체결 시스템 및/또는 체결기구를 포함해서 용품 누출, 처짐, 사용자와의 분리 등의 가능성을 줄이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1은, 일반적으로 10으로 나타내며, 다음과 같이 두 개의 체결 시스템을 포함하는, 공지의 기저귀를 도시한다: 일차 체결 시스템 및 이차 체결 시스템. 도 1은 기저귀 착용시 착용자로부터 먼쪽을 향하는 기저귀의 외부 커버(32)를 도시하도록 기저귀(10)가 평평하게 펼쳐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기저귀(10)는 길이방향(12)과 측방향(14)을 갖는다.
길이방향(12)에 있어서, 기저귀(10)는, 전방 부분(16), 후방 부분(18), 및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 사이를 연결하면서 연장되는 가랑이 부분(20)을 정의한다. 또한, 기저귀(10)는, (도 1에 도시한 시야로부터 먼쪽을 향하는) 신체측 라이너(30), 및 신체측 라이너와 외부 커버(32)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성 코어(34)를 포함한다. 기저귀(10)는 후방 허리 에지(38)와 전방 허리 에지(40) 사이에서 연장되는 대향하는 길이방향 측면 에지들(28)을 갖는다. 또한, 기저귀(10)는 한 쌍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다리 커프스(cuffs; 36)를 포함한다. 다리 커프스(36)는, 사용시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끼워져 신체 삼출물의 측방향 흐름에 대한 기계적 장벽으로서 기능하기에 적합할 수도 있다.
기저귀(10)의 후방 부분(18)은 일반적으로 참조번호 22로 표시한 한 쌍의 후방 귀를 포함한다. 각 귀(22)는, 기저귀(10)를 착용자의 허리 둘레에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일차 체결 시스템의 일부로서 일차 제1 체결 구성요소(24)를 포함한다. 일차 체결 시스템은, 또한, 일차 제1 체결 구성요소(24)를 선택적으로 수용하여 체결하기 위한 일차 제2 체결 구성요소(76)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기저귀(10)는 허리 개구부(50)와 한 쌍의 다리 개구부(52)를 갖는 기저귀의 3차원 착용 구성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도 2 및 도 3) 후방 허리 영역(18)(및 더욱 구체적으로는 후방 귀(22))을 전방 허리 영역(16)에 부착함으로써 (도 1에서 볼 수 있는 같은)미체결 구성으로부터 체결 또는 착용 구성으로 선택적으로 옮겨갈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기저귀(10)는, 본 기술분야에 주지되어 있듯이, 일차 제1 체결 구성요소(24)를 일차 제2 체결 구성요소(76)에 체결함으로써 미체결 구성으로부터 착용 구성으로 선택적으로 옮겨갈 수 있다.
또한, 기저귀(10)는,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26)와 이차 제2 체결 구성요소(78)를 포함하는 이차 체결 시스템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시한 기저귀(10)는, 각 후방 귀(22) 상에 제공된 이차 제2 체결 구성요소(78)와 함께, 기저귀의 전방 부분(16)의 일부로서 한 쌍의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26)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기저귀(10)가 착용 구성으로 옮겨지면,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26)는 기저귀의 후방 부분(18)(더욱 구체적으로는, 후방 귀(22)에 제공된 이차 제2 체결 구성요소(78))과 결합해서, 일차 체결 시스템과 이차 체결 시스템 모두가 기저귀를 착용자의 허리 둘레에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기저귀(10)에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26)를 제공하게 되면, 기저귀가 최종적으로 착용될 때 단점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26)의 강도 또는 유사한 특성들로 인해 기저귀(10)의 착용자에게 불편함 또는 이동성 감소를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저귀(10) 착용시, 유아는, 기저귀의 전방 부분(16)이 이동하고, 휘어지고, 또는 그 외에는 변형되는 방식으로 기고, 걷고, 뛰고, 숙이는 등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차 체결 시스템(더욱 구체적으로는, 기저귀(10)의 전방 부분(16) 상에 배치된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26))이 너무 강직하면, 기저귀의 전방 부분이 쉽게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마치 이차 체결 시스템이 기저귀에서 생략된 것처럼 줄어든 이동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비교적 강직한 이차 체결 시스템은, 착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는데 비교적 유연하지 않은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26)이 착용자가 움직이는 경우 자극을 가한다.
또한,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26)의 위치선정으로 기저귀(10)의 착용자에게 불편함을 또한 초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26)는 이들이 기저귀의 전방 부분(16)에 적절히 위치되지 않는 경우에 기저귀(10)의 사용 중에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종종 후크 체결기구인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26)에 의한 피부 접촉은 붉은-자국 및 다른 피부 자극을 생기게 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기저귀(10)가 입혀졌을 때, 도 2 및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기저귀의 전방 부분(16)의 측면 쪽이 다리 개구부(52)에 인접해서 종종 주름 잡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압축되게 된다. 이것이 발생할 때 그리고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26)는 착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하게 될 수 있으며, 예시된 기저귀(10)에서 착용자는 유아 또는 어린이이다. 착용자가 그의/그녀의 다리를 움직일 때,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26)는 다리에 마찰되어 피부 자극 또는 붉은 자국을 유발할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연관된 불편함 없이 흡수 용품의 증가된 누수 방지와 확실한 부착을 제공하는 흡수 용품에 제공되는 개선된 체결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있다.
일 측면에서, 흡수 용품은 내면, 외면, 제1 허리부, 제2 허리부, 및 제1 허리부와 제2 허리부 사이를 연결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랑이부를 포함한다. 흡수 용품은 일반적으로 길이방향 대향 말단들, 가로방향 대향 측면들,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품의 내면을 정의하는 신체측 라이너,적어도 부분적으로 용품의 외면을 정의하는 외부 커버, 및 라이너와 외부 커버 사이에 배치된 흡수성 코어를 가지는 섀시를 포함한다. 한 쌍의 귀들이 용품의 제2 허리부에서 상기 섀시의 대향 측면들로부터 외측으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체결 시스템은 일차 체결 시스템과 이차 체결 시스템을 포함한다. 일차 체결 시스템은 한 쌍의 귀들의 각각에 위치한 일차 제1 체결 구성요소 및 일차 제2 체결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차 체결 시스템은 귀들의 각각에 위치한 이차 제2 체결 구성요소 및 대응하는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비-선형 스트립은 제1 허리부에서 흡수 용품의 외면에 부착된다. 일차 제2 체결 구성요소 및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는 비-선형 스트립에 위치된다.
다른 측면에서, 흡수 용품은 내면, 외면, 제1 허리부, 제2 허리부, 및 제1 허리부와 제2 허리부 사이를 연결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랑이부를 포함한다. 흡수 용품은 일반적으로 길이방향 대향 말단들, 가로방향 대향 측면들,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품의 내면을 정의하는 신체측 라이너,적어도 부분적으로 용품의 외면을 정의하는 외부 커버, 및 라이너와 외부 커버 사이에 배치된 흡수성 코어를 가지는 섀시를 포함한다. 한 쌍의 귀들이 용품의 제2 허리부에서 상기 섀시의 대향 측면들로부터 외측으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체결 시스템은 일차 체결 시스템과 이차 체결 시스템을 포함한다. 일차 체결 시스템은 한 쌍의 귀들의 각각에 위치한 일차 제1 체결 구성요소 및 일차 제2 체결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차 체결 시스템은 귀들의 각각에 위치한 이차 제2 체결 구성요소 및 대응하는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스트립은 제1 허리부에서 용품의 외면에 부착된다. 일차 제2 체결 구성요소 및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는 스트립 상에 위치된다. 스트립은 한 쌍의 이격된 절취부를 가지며 각각의 절취부는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 중의 하나를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흡수 용품은 내면, 외면, 제1 허리부, 제2 허리부, 및 제1 허리부와 제2 허리부 사이를 연결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랑이부를 포함한다. 흡수 용품은 일반적으로 길이방향 대향 말단들, 가로방향 대향 측면들,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품의 내면을 정의하는 신체측 라이너,적어도 부분적으로 용품의 외면을 정의하는 외부 커버, 및 라이너와 외부 커버 사이에 배치된 흡수성 코어를 가지는 섀시를 포함한다. 한 쌍의 귀들이 용품의 제2 허리부에서 상기 섀시의 대향 측면들로부터 외측으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각의 귀들은 중앙선을 가진다. 체결 시스템은 일차 체결 시스템과 이차 체결 시스템을 포함한다. 일차 체결 시스템은 한 쌍의 귀들의 각각에 위치한 일차 제1 체결 구성요소 및 일차 제2 체결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차 체결 시스템은 귀들의 각각에 위치한 이차 제2 체결 구성요소 및 대응하는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각각의 일차 제1 체결 구성요소는 중앙선 아래에 위치된다.
도 1은 기저귀 착용시 착용자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기저귀의 외면을 도시하도록 펼쳐지고 평평하게 놓인 상태인 종래 기술의 기저귀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착용자에 의해 입혀진 착용 구성인, 도 1의 종래 기술의 기저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체결 시스템의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를 예시하도록 체결 해제된 체결 시스템을 갖춘, 도 2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기저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기저귀 착용시 착용자로부터 먼쪽을 향하는 기저귀의 외면을 도시하도록 펼쳐져 평평하게 놓인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5는 기저귀 착용시 착용자 쪽을 향하는 기저귀의 내면을 도시하도록 펼쳐지고 평평하게 놓인 상태인 도 4의 기저귀의 저면도이며, 기저귀의 부분들이 아래 놓인 구성요소를 예시하도록 절단되어 있다.
도 6은 체결 시스템이 체결 해제된 채로 착용자에 의해 입혀진 착용 구성인, 도 4의 기저귀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체결 시스템이 체결된 채로 착용자에 의해 착용된 착용 구성인, 도 4의 기저귀의 정면도이다.
도 8은 중심선으로부터 기저귀의 다양한 구성요소들까지의 상대 거리를 예시하는 도 4의 기저귀의 일부의 확대된 부분 평면도이다.
도 9는 기저귀 착용시 착용자로부터 먼쪽을 향하는 기저귀의 외면을 도시하도록 펼쳐져 평평하게 놓인 상태에 있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10은 기저귀 착용시 착용자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기저귀의 외면을 도시하도록 펼쳐지고 평평하게 놓인 상태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기저귀 착용시 착용자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기저귀의 외면을 도시하도록 펼쳐지고 평평하게 놓인 상태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저귀의 확대된 부분 평면도이다.
도 12는 체결 시스템이 체결 해제된 채로 착용자에 의해 입혀진 착용 구성인 다른 적합한 실시예의 기저귀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체결 시스템이 체결된 채로 착용자에 의해 착용된 착용 구성인 도 12의 기저귀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체결 시스템이 체결 해제된 채로 착용자에 의해 입혀진 착용 구성인 또 다른 적합한 실시예의 기저귀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체결 시스템이 체결된 채로 착용자에 의해 착용된 착용 구성인 도 14의 기저귀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에지 강도 시험에 따른 시험 기계에 제공되는 시편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에지 강도 시험(Edge Stiffness Test)에 따른 종래 기술 제품의 시편 및 본 발명 제품의 일 실시예의 시편에 대한 압축력 대 압축 거리의 그래프이다.
대응하는 참조 부호들은 도면의 여러 도들에 걸쳐 대응하는 부분들을 가리킨다.
본 발명의 일부 측면들에 따르면, 상술한 종래 기저귀의 단점들 중 적어도 일부를 극복하는 흡수 용품을 제공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부 측면들에 따르면, 흡수 용품은, 흡수 용품을 착용자의 허리 둘레에 단단히 부착하기 위해 이차 체결 시스템을 포함하지만, 공지의 체결 시스템에 비해 개선된 유연성 및/또는 위치선정성을 포함해서 착용자가 기고, 걷고, 뛰고, 굽히는 등의 행동을 하더라도 피부 자극 또는 붉은 자국을 유발함이 없이 흡수 용품이 단단히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차 체결 시스템은, 적합한 물질들로 구성되고, 흡수 용품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적합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어서 전술한 공지의 기저귀의 단점들 없이 흡수 용품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 4와 도 5는, 기저귀 착용시 착용자로부터 먼쪽을 향하는 기저귀의 외면(도 4) 및 기저귀 착용시 착용자를 향하는 기저귀의 내면(도 5)을 도시하도록 펼쳐져 평평하게 놓인 상태에 있는 일반적으로 참조번호 110으로 표시된, 기저귀(넓게는, "흡수 용품")의 적절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한 기저귀(110)의 부분들은 하부 구조를 도시하도록 절단되어 있다. 기저귀(110)는 길이방향(112)과 측방향(114)을 갖는다. 본 발명은 문맥상 기저귀(110)로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은 성인 실금 의복, 어린이의 훈련용 팬티, 수영 팬티 등의 다른 개인 위생 흡수 용품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도록 한다.
적절한 일 실시예에서, 기저귀(110)는 일회용 흡수 용품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일회용 흡수 용품"이라는 용어는, 신체 삼출물을 흡수 및 함유하며 제한된 사용 기간 후에 폐기되는 용품을 가리킨다. 이 용품은 재사용을 위해 세탁되지 않으며 또는 복원되지 않는다. 용품은, 착용자의 신체에 맞서도록 배치되거나 착용자의 신체에 근접하여 배치되어서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방출되는 다양한 삼출물을 흡수 및 함유할 수 있다. 다른 적절한 실시예들에서는, 기저귀(110)를 재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도록 한다. 즉, 기저귀(110)는 본 발명의 일부 측면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여러 번 사용될 수 있다.
길이방향(112)에 있어서, 기저귀(110)는, 전방 부분(116), 후방 부분(118), 및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 사이를 연결하면서 연장되는 가랑이 부분(120)을 정의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전방 부분(116)에 대한 참조는, 사용시 착용자의 대략 전방에 위치하는 기저귀(110) 부분을 가리킨다. 후방 부분(118)에 대한 참조는 사용시 대략 착용자의 후방에 위치하는 기저귀(110) 부분을 가리키는 것이며, 가랑이 부분(120)에 대한 참조는 사용시 대략 착용자의 다리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을 가리킨다.
기저귀(110)는, 신체측 라이너(130), 외부 커버(132), 및 신체측 라이너와 외부 커버 사이에 위치되는 흡수성 코어(134)를 포함한다. 신체측 라이너(130), 외부 커버(132), 및 흡수성 코어(134)는 집합적으로 흡수 조립체를 정의한다. 흡수 조립체는, 예를 들어, 도 4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은 대략 I-형상 또는 대략 직사각형을 포함한 임의의 적합한 형상일 수 있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기저귀(110)의 후방 부분(118)은 직선 후방 허리 에지(138)를 포함하고, 전방 부분(116)은 직선 전방 허리 에지(140)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직선 에지"는 곡선, 굽힘, 경사, 노치(notch), 또는 요철이 실질적으로 없는 에지를 가리킨다. 그러나, 후방 허리 에지(138)와 전방 허리 에지(140)는 당해 기술에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임의의 적절한 형상(예를 들어, 아치형)으로 절단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하도록 한다. 도 4와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기저귀(110)는, 후방 허리 에지(138)와 전방 허리 에지(140) 사이에서 연장되는 대향하는 길이방향 측면 에지들(128)을 갖는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측면 에지들(128)의 각각은, 기저귀(110)의 착용 동안 다리 개구부의 일부를 형성하기 위한 아치형 부분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기저귀(110)의 신체측 라이너(130)는, 착용자의 신체에 인접하여 신체와 직접 접촉하게 되는 신체 대향면을 정의한다. 신체측 라이너(130)는, 착용자의 피부에 적절히 순응적이고, 부드러운 느낌을 주며, 자극을 주지 않는 것이다. 신체측 라이너(130)는 흡수성 코어(134)보다 친수성이 덜하고, 액체가 투과할 수 있도록 충분한 다공성을 갖는다. 신체측 라이너(130)는, 다공성 폼(foam), 망상 폼, 천공형 플라스틱 필름, 천연 섬유(예를 들어, 목질 또는 면 섬유), 합성 섬유(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프로필렌 섬유), 또는 천연 섬유와 합성 섬유의 조합 등의 적절한 웹 물질들의 넓은 선택 범위에서 제조될 수 있다. 신체측 라이너(130)는, 착용자의 피부를 흡수성 코어(134)에 의해 보유된 액체 및 습기로부터 격리하도록 적절히 조정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기저귀(110)의 외부 커버(132)는 착용자의 의복에 인접하여 착용되도록 의복 대향면을 정의한다. 적절한 일 실시예에서, 외부 커버(132)는 폴리에틸렌 필름이다. 적절한 다른 일 실시예에서, 외부 커버(132)는, 원하는 수준의 액체 불투과성을 흡수성 코어(134)에 인접하거나 근접해 있는 외부 커버의 선택된 영역들에 부여하도록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구성되거나 처리된 직물 또는 부직포 섬유 웹층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의류형 외부 커버는, 신장-박화(stretch-thinned)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적층되고 열적 결합된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패브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 커버(132)는, 액체 삼출물이 통과하는 것을 여전히 방지하면서 증기가 기저귀(110)로부터 방출될 수 있게 하는 미세다공성(micro-porous) "통기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커버(132)는, 원하는 수준의 액체 불투과성을 부여하도록 코팅되거나 그 외에는 처리된 미세다공성 중합체 필름 또는 부직포 패브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외부 커버(132)는 엠보싱되거나 그 외에는 무광택 마무리되어서 심미적으로 더욱 기분 좋은 외관을 나타낼 수 있다.
신체측 라이너(130)와 외부 커버(132)는, 일반적으로 흡수성 코어(134)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 관계로 결합된다. 신체측 라이너(130)와 외부 커버(132)는, 접착 결합, 초음파 결합, 열적 결합, 이들의 조합 등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는 임의의 수단에 의해 기저귀(110)의 외측 주변부 둘레에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결합(join)"이라는 용어, 및 그의 파생어는 한 요소를 다른 요소에 직접 첨부함으로써 한 요소가 다른 요소에 직접 고정되는 구성, 및 한 요소를 결국에는 다른 요소에 첨부되는 중간 부재(들)에 첨부함으로써 한 부재가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고정되는 구성을 망라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134)는 신체측 라이너(130)와 외부 커버(132) 사이에 위치한다. 흡수성 코어(134)는, 일반적으로 순응적이며, 액체 신체 삼출물을 흡수 및 보유할 수 있다. 흡수성 코어(134)는,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초흡수성 물질, 단섬유, 바인더 섬유, 이들의 조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흡수성 코어(134)는 다양한 형상과 크기 중 임의의 것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합재 흡수성 코어(134)는 직사각형, I 형상, 또는 T 형상일 수 있다. 흡수성 코어(134)의 크기와 흡수 용량은 기저귀의 사용 의도에 의해 부여되는 유체 로딩 및 의도하는 착용자의 크기와 맞아야 한다.
적절한 일 실시예에서, 기저귀(110)는 흡수성 코어(134)와 신체측 라이너(130) 사이에 배치된 서지(surge) 부분(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서지 부분은, 착용자가 배출하는 액체를 빠르게 수집하고 일시적으로 보유한 후 그 액체를 흡수성 코어(134)에 방출하도록 기능한다. 다양한 직물 또는 부직포 물질을 이용하여 서지 부분을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지 부분은 폴리올레핀 섬유들의 스펀본디드 또는 멜트블로운 웹의 층일 수 있다. 또한, 서지 부분은 천연 섬유와 합성 섬유의 본디드 카디드 웹일 수 있다. 서지 부분은, 실질적으로 소수성 물질일 수 있으며, 선택 사항으로는, 계면활성제로 처리되거나 그 외에는 원하는 수준의 습윤성과 친수성을 부여하도록 처리될 수 있다.
기저귀(110)는 한 쌍의 탄성화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다리 커프스들(leg cuffs; 136)을 포함한다. 다리 커프스들(136)은, 사용시 착용자의 다리에 끼워지고 신체 삼출물의 측방향 흐름에 대한 기계적 장벽으로서 기능하기에 적합하다. 적절한 일 실시예에서, 다리 커프스들(136)은, 흡수성 코어(134)의 길이방향 측면들을 넘어서 연장되는, 외부 커버(132) 및/또는 신체측 라이너(130)의 부분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적절한 다른 일 실시예에서, 다리 커프스들(136)은 외부 커버(132) 및/또는 신체측 라이너(130)에 결합된 별도의 물질들(예를 들어, 다리 탄성체의 가닥)로 형성될 수 있다.
기저귀(110)는 전방 허리 탄성체(도시하지 않음) 및/또는 후방 허리 탄성체(146)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기저귀(110)는 후방 허리 탄성체(146)를 구비하지만 전방 허리 탄성체는 구비하지 않는다. 후방 허리 탄성체(146)는, 더욱 상세히 설명하듯이, 착용자에 맞서서, 특히, 착용자의 허리에 맞서서 기저귀(110)를 당겨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다리 커프스들(136) 및/또는 허리 탄성체(146)를 형성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적절한 물질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물질의 예는, 신장된 위치에서 기저귀(110)에 부착되거나, 또는 탄성 긴축력이 기저귀에 부여되도록 기저귀가 주름진 상태에 있는 동안 기저귀에 부착되는 중합체, 탄성중합체 물질의 가닥이나 리본이다. 다리 커프스들(136) 및/또는 허리 탄성체(146)는 원하는 성능을 제공하는 임의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다리 커프스들(136)은, 대략 직선형일 수 있고 또는 선택 사항으로 착용자의 다리의 윤곽에 더욱 밀접하게 끼워지도록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선형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탄성", "탄성중합체" 등은, 적어도 약 50%만큼 세장(elongate)되고 이완시 원래 길이의 적어도 50% 이내까지 복귀하는 물질 또는 복합재의 능력을 가리킨다.
다리 커프스들(136) 및/또는 허리 탄성체(146)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는 임의의 방식으로 기저귀(110)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리 커프스들(136) 및/또는 허리 탄성체(146)는, 초음파 결합, 열적 결합, 접착 결합, 이들의 조합 등에 의해 기저귀(1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기저귀(110)는, 기저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신체 삼출물의 측방향 흐름에 대한 장벽을 제공하기에 적합한 한 쌍의 샘방지 플랩(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샘방지 플랩은 본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듯이 신체측 라이너(13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에 연결될 수 있다. 샘방지 플랩(148)의 적절한 구성은, 예를 들어, K. Enloe에게 1997년 2월 4일 발행된 미국 특허 제5,599,338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전문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원용된다.
도 4와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기저귀의 후방 부분(118)은 일반적으로 참조번호 122로 표시된 한 쌍의 후방 귀(ear)를 포함한다. 적절한 일 실시예에서, 후방 귀들(122)은, 신체측 라이너(130), 외부 커버(132), 또는 신체측 라이너와 외부 커버 모두의 조합의 연장부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적절한 다른 일 실시예에서,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귀들(122)은, 본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듯이, 별도의 구성요소들로서 형성될 수 있고, 신체측 라이너(130), 외부 커버(132), 또는 신체측 라이너와 외부 커버 모두에 부착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후방 귀들(122)은, 신체측 라이너(130)의 신체 대향면에 부착되어서 기저귀(110) 착용시 후방 귀들(122)의 부착 부분이 착용자의 신체와 신체측 라이너 사이에 배치된다.
적절한 일 실시예에서, 후방 귀들(122)의 각각은, 탄성중합체 부분(150), 비-탄성중합체 부분(152), 및 비-탄성중합체 부분에 장착된 일차 제1 체결 구성요소(primary first fastening component; 124)를 포함한다(도 5).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탄성중합체 부분들(150)의 각각은, 근위 에지(154), 대향하는 원위 에지(156), 상부 에지(158), 및 하부 에지(160)를 갖는다. 각각의 탄성중합체 부분들(150)의 근위 에지(154)는, 기저귀(110)의 각각의 측면 에지(128)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있어서 탄성중합체 부분의 일부가 신체측 라이너(130)와 중첩된다. 각각의 탄성중합체 부분들(150)이 신체측 라이너(130)와 중첩되는 부분은 적어도 신체측 라이너에 결합(예를 들어, 접착제 결합, 열적 결합, 열적 결합과 접착제 결합 모두)된다. 적절한 다른 일 실시예에서, 탄성체 구성요소(150)는 제거될 수도 있고, 전체 후방 귀(122)가 비-탄성체 구성요소(152)로부터 구축될 수도 있다.
도 4와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탄성중합체 부분들(150)의 각각의 근위 에지(154)와 원위 에지(156)는 서로 대략 평행하며, 모두 직선형(즉, 선형)이다. 적절한 일 실시예에서, 근위 에지(154)는, 약 2인치(5.1 cm) 내지 약 7인치(17.8 cm), 바람직하게는 약 3인치(7.6 cm) 내지 약 6인치(15.2 cm),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5인치(8.9 cm) 내지 약 5.5인치(14.0 cm)의 길이를 갖는다. 원위 에지(156)는, 약 0.25인치(0.635 cm) 내지 약 6인치(15.24 cm), 바람직하게는 약 1인치(2.54 cm) 내지 약 3인치(7.6 cm)의 길이를 갖는다. 또한, 원위 에지(156) 대 근위 에지(154)의 길이 비는, 적절하게 약 1:28 내지 약 3:4, 바람직하게는 약 1:10 내지 약 2:3,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4 내지 약 1:2이다.
상부 및 하부 에지들(158, 160) 모두는, 서로 대략 평행하고 각 근위 에지(154)에 대하여 대략 수직인 제1 부위들(162)을 갖는다. 제1 부위들(162)의 각각은 신체측 라이너(130)와 중첩되는 탄성중합체 부분들(150)의 각각의 부분에 대략 대응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탄성중합체 부분(150)의 상부 에지들(158)의 제1 부위들(162)은 후방 허리 에지(138)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그러나, 제1 부위들(162)은 기저귀(110)의 후방 허리 에지(138)와 정렬될 수 있음을 이해하도록 한다.
상부 및 하부 에지들(158, 160)의 각각의 제2 부위들(164)은, 대략 동축이며, 제1 부위들(162)에 대략 수직하면서 서로를 향하여 연장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하부 에지(160)의 제2 부위(164)는 상부 에지(158)의 제2 부위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다. 그러나, 상부 및 하부 에지들(158, 160)의 제2 부위들(164)이 임의의 적절한 길이를 가질 수 있음을 이해하도록 한다.
예시된 탄성중합체 부분들(150)의 각각은 제2 부위들(164)을 각 원위 에지(156)에 상호 연결하는 아치형 제3 부위(166)를 더 포함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제3 부위들(166)은 서로 대략 거울상이다. 그러나, 제3 부위들(166)은 임의의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부 에지들(158)의 제3 부위들이 하부 에지들(160)의 제3 부위들의 형상과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을 이해하도록 한다.
후방 귀들(122)의 탄성중합체 부분들(150)은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탄성중합체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적합한 일 실시예에서, 탄성중합체 물질은 적어도 한 방향으로(예를 들어,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저귀(110)의 측방향(114)으로) 신장가능하며, 대안적으로, 탄성중합체 물질은 두 방향으로(예를 들어,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저귀의 길이방향(112)과 측방향으로) 신장가능하다. 탄성중합체 물질이 단일 방향으로 적절히 신장가능한 경우, 탄성중합체 물질의 신장 방향은, 용품이 착용자의 허리 둘레에서 유지되도록 용품의 전방부와 후방부를 서로를 향하여 당기려는 탄성중합체 힘을 제공하도록 배향된다.
적합한 일 실시예에서, 후방 귀들(122)의 탄성중합체 부분들(150)을 형성하는 탄성중합체 물질은, 적어도 약 50%만큼, 대안적으로는 적어도 약 100%만큼, 대안적으로 적어도 약 130%만큼 세장될 수 있다. (탄성중합체 물질이 100% 이하로 세장될 수 있다면) 50%로 또는 (탄성중합체 물질이 100%를 초과하여 세장될 수 있다면) 100%로 세장된 후, 탄성중합체 물질은 초기 길이의 적어도 약 50%까지, 대안적으로 초기 길이의 적어도 약 80%까지 적절히 복원된다. 탄성중합체 물질은, 선천적으로 탄성중합체 물질일 수도 있으며, 즉, 탄성중합체 상태에서 형성되는 물질일 수 있고, 또는 후속 성형 가공을 통해 탄성중합체로 되는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탄성중합체 물질은 열 또는 압력 활성화될 수도 있다. 후방 귀들(122)의 탄성중합체 부분들(150)은, 스트레치-본디드-라미네이트(SBL) 물질, 넥-본디드-라미네이트(NBL) 물질, 탄성중합체 필름, 탄성중합체 폼 물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후방 귀들(122)의 비-탄성중합체 부분들(152)의 각각은 탄성중합체 부분들(150)의 각각에 부착되고, 이어서, (후크 물질 등의) 일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124)은 비-탄성중합체 부분들 상에 배치된다. 도 4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귀들(122)의 비-탄성중합체 부분들(152)은 각 탄성중합체 부분(150)의 외측으로 가로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비-탄성중합체 부분들의 각각의 일차 제1 체결 구성요소(124)는,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착용 구성에 있어서 기저귀(110)의 전방 허리 영역(116)에 배치된 루프 구성요소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도 5에 가장 잘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한 비-탄성중합체 부분들(152)의 각각은, 비-탄성중합체 부분, 더욱 넓게는 기저귀(110)에 대하여 각 후방 귀(122)를 수동으로 잡고 조작하는 데 사용하기 위해 일차 제1 체결 구성요소(124)의 가로방향으로 외측에 있는 그립 영역(168)을 더 포함한다. 그립 영역(168)은 기저귀(110)에 부착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비부착성"이라는 용어는, 그립 영역(168)이 기저귀(110)에 대하여 분리가능하게 부착되지 않거나 그 외에는 기저귀에 대하여 제거가능하게 부착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그립 영역(168)은, 각각의 일차 제1 체결 구성요소(124)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외측으로 적어도 약 1 mm 거리, 예컨대, 약 1 mm 내지 약 10 mm 범위의 거리만큼 연장되어서, 비-탄성중합체 부분(152)을 쉽게 잡고 당기기에 충분한 미부착 물질을 제공하게 된다.
기저귀(110)는, 일반적으로 도면 번호 170으로 나타낸 용품 체결 시스템(170)을 이용하여 후방 허리 영역(118)(더욱 구체적으로, 후방 귀들(122))을 전방 허리 영역(116)에 부착하여 허리 개구부(172)와 한 쌍의 다리 개구부(174)를 갖는 기저귀의 3차원 착용 구성을 형성함으로써, 도 4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은 미체결 구성으로부터 도 6과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은 체결 또는 착용 구성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에 도시한 기저귀(110)는 연결시 전방 허리 영역(116)과 중첩되는 후방 허리 영역(118)(더욱 구체적으로 후방 귀들(122))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연결이 편리하며, 기저귀는 또한 연결되었을 때 전방 허리 영역이 후방 허리 영역과 중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용품 체결 시스템(170)은 일차 체결 시스템(primary fastening system)과 이차 체결 시스템(secondary fastening system)을 포함한다. 일차 체결 시스템은, 후방 귀들(122)의 비-탄성중합체 부분들(152) 상에 배치된 일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124), 및 일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에 재체결가능하게 결합되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일차 제2 체결 구성요소(176)를 포함한다. 적절한 일 실시예에서, 일차 체결 구성요소들(124, 176)의 각각의 외면은 복수의 결합 요소를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일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124)의 결합 요소들은, 착용 구성의 기저귀(110)를 분리가능하게 고정하도록 일차 제2 체결 구성요소들(176)의 대응하는 결합 요소들과 반복적으로 결합되고 결합해제되기에 적합하다.
일차 체결 구성요소들(124, 176)은, 접착 체결기구, 점착 체결기구, 기계적 체결기구 등의 흡수 용품에 적합한 임의의 재체결가능 체결기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일 실시예에서, 일차 체결 구성요소들(124, 176)은 후크와 루프 체결기구 등의 기계적 체결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적절한 후크와 루프 구성요소들은 기하학적 형상의 물질들을 상호 고정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후크"는, 넓게는, 예를 들어, 후크, 벌브, 머시룸, 화살촉, 볼 온 스템(ball on stem), 스템, 오픈 셀 폼 등과 결합하는 스템 등을 갖는 구조물을 포함하는 루프 구성요소들과 결합되기에 적합한 임의의 적합한 기계적 체결기구를 가리킨다. 다른 적절한 기계적 체결 구성요소들은, 수형 및/또는 암형 정합 구성요소들, 버클, 스냅 등을 포함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일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124)은 후크 체결기구를 포함하고, 일차 제2 체결 구성요소들(176)은 외부 커버(132)의 외면 상에 배치된 상보적인 루프 체결기구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일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124)은 루프 체결기구를 포함할 수 있고, 일차 제2 체결 구성요소들(176)은 상보적인 후크 체결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와 루프의 형상, 밀도, 및 중합체 조성은 일차 체결 구성요소들(124, 176) 간에 원하는 수준의 결합을 얻도록 선택될 수 있다. 더욱 공격적인 후크 물질은, 평균 후크 높이가 더 크고 및/또는 배향 정렬된 후크의 비중이 더 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저귀(110)의 외부 커버(132)의 외면은, 루프 체결기구인 일차 제2 체결 구성요소(176)를 형성하도록 적합하게 구성된다. 즉, 외부 커버(132) 자체는, 일차 제2 체결 구성요소(176)를 형성하는 물질(예를 들어, 적합한 부직포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적합한 일 실시예에서,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일차 제2 체결 구성요소(176)는, 별도의 구성요소로서 형성되고 기저귀의 외부 커버(132)의 외면에 부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루프 체결 물질을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참조번호 180으로 표시된 스트립은, 기저귀의 전방 허리 영역(116)에 부착된다. 스트립(180)은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아치형 상부 에지(182), 아치형 하부 에지(184), 및 상부 및 하부 에지들(182, 184)을 연결하는 한 쌍의 측면 에지(186)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스트립(180) 그 자체는 비-선형이고, 더욱 구체적으로 아치형 형상이다.
이제 도 8을 참조하면, 스트립(180)의 예시된 실시예의 상부 에지(182)는 전방 허리 에지(140)로부터 각각의 측면 에지(186)에 인접한 제1(또는 최소) 거리(D1) 및 제1 거리보다 더 큰, 각각의 측면 에지로부터 안쪽으로 이격된 제2(또는 최대) 거리만큼 이격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1 거리(D1)는 스트립(180)의 측면 에지(186) 중 하나와 동축으로 정렬되는 선을 따라 취해진다. 그러나, 다른 적합한 실시예에서, 제1 거리(D1)는 본 발명의 일부 측면으로부터 이탈함이 없이 측면 에지(186)로부터 오프셋될 수(안쪽에 있을 수) 있음이 이해된다. 또한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2 거리(D2)는 기저귀(110)의 길이방향 축과 동축으로 정렬되는, 기저귀(110)의 중심선(198)을 따라 취해진다. 그러나, 다른 적합한 실시예에서, 제2 거리(D2)는 본 발명의 일부 측면으로부터 이탈함이 없이 기저귀(110)의 중심선(198)으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
적합한 일 실시예에서, 제1 거리(D1)(즉, 스트립(180)의 상부 에지(182)가 전방 허리 에지(140)로부터 이격되는 최소 거리)는 3 mm 내지 30 mm일 수 있으며, 제2 거리(D2)(즉, 스트립(180)의 상부 에지(182)가 전방 허리 에지(140)로부터 이격되는 최대 거리)는 6 mm 내지 67 mm일 수 있다. 그러나, 제1 거리(D1) 및 제2 거리(D2)는 본 발명의 일부 측면으로부터 이탈함이 없는 임의의 적합한 거리일 수 있음이 이해된다.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180)의 아치형 상부 에지(182)는 적합한 반경(R1)에 의해 형성된다. 적합한 일 실시예에서, 반경(R1)은 155 mm 내지 1,740 mm, 더욱 구체적으로 400 mm 내지 1,400 mm, 그리고 휠씬 더 구체적으로 600 mm 내지 1,200 mm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반경(R1)은 대략 700 mm이다. 스트립(180)의 아치형 상부 에지(182)가 하나 초과의 반경을 가질 수 있음이 고려된다. 즉, 상부 에지(182)의 부분은 다양한 반경들을 가질 수 있다. 적합한 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에지(186)는 본 발명의 일부 측면으로부터 이탈함이 없이 직선을 포함한 아치형 이외의 형상일 수 있음이 추가로 고려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아치형 상부 에지(182) 및 아치형 하부 에지(184)는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부 에지(182)의 반경(R1)은 하부 에지(184)의 반경과 동일하다. 그러나, 적합한 다른 실시예에서 하부 에지(184)는 상부 에지의 형상과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이 고려된다. 즉, 하부 에지(184)는 상부 에지(182)의 반경(R1)과 다른 반경을 가질 수 있다. 하부 에지(184)가 본 발명의 일부 측면으로부터 이탈함이 없이 직선을 포함한 아치형 이외의 형상일 수 있음이 추가로 고려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스트립(180)의 측면 에지(186)는 기저귀(110)의 각각의 측면 에지(128)로부터 이격된다. 그러나, 적합한 다른 실시예에서 스트립(180)의 측면 에지(186)는 기저귀(110)의 측면 에지(128)와 정렬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제1 거리(D1)는 기저귀(110)의 측면 에지(128)의 적어도 일부와 동축으로 정렬되는 선을 따라서 취해질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용품 체결 시스템(170)의 이차 체결 시스템은 한 쌍의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126) 및 상보적인 한 쌍의 이차 제2 체결 구성요소(178)를 포함한다.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126)은, 기저귀(110)의 전방 부분(116) 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이차 제2 체결 구성요소(178)(예를 들어, 후방 귀들(122)의 탄성중합체 부분(150))에 재체결가능하게 결합되기에 적합하다.
도 4와 도 8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스트립(180)은 한 쌍의 이격된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126)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126)은, 후크 체결기구를 포함하고, 기저귀(110)의 착용 구성에서 후방 귀들(122)의 탄성중합체 부분(150)에 의해 형성되는 이차 제2 체결 구성요소들(178)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후크" 체결기구는, 넓게는, 예를 들어, 후크, 벌브, 머시룸, 화살촉, 볼 온 스템, 스템, 오픈 셀 폼 등과 결합되는 스템 등을 갖는 구조물을 포함하는 루프 구성요소들과 결합되기에 적합한 임의의 적합한 기계적 체결기구를 가리킨다. 일 실시예에서,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126)은 폴리에틸렌 또는 기타 적절한 중합체 배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적합한 일 실시예에서, 후방 귀들(122)의 탄성중합체 부분들(150)은, 적어도 탄성중합체 부분들의 내면이 루프 체결 구성요소의 형태로 이차 제2 체결 구성요소들(178)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즉, 탄성중합체 부분들과 각 이차 제2 체결 구성요소들이 일체 형성된다). 탄성중합체 부분들(150)은, 적절한 일 실시예에서, 탄성중합체 부분들 자체가 루프 체결 구성요소를 정의하도록 NBL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적절한 다른 일 실시예에서, 탄성중합체 부분들(150)은, 탄성중합체 부분들 자체가 루프 체결 구성요소를 정의하도록 VFL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차 제2 체결 구성요소들(178)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탄성중합체 부분들(150)과는 별도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접착제, 열적 결합, 초음파 결합, 압력 결합, 또는 다른 적절한 기술에 의해 탄성중합체 부분들에 부착될 수 있음을 이해하도록 한다.
다른 적절한 실시예들에서,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126)은 루프 체결기구를 포함할 수 있고, 이차 제2 체결 구성요소들(178)은 후크 체결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126)은 단일의 일체형 체결기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적합한 일 실시예에서,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126)은 단일의 루프 체결기구일 수 있고, 이차 제2 체결 구성요소들(178)은 후프 체결기구들일 수 있다.
적합한 일 실시예에서 그리고 도 4 및 도 8에서 볼 수 있듯이, 스트립(180)은 이차 체결 시스템의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126)과 일차 체결 시스템의 일차 제2 체결 구성요소(176) 모두를 포함한다. 일차 제2 체결 구성요소(176)가 루프 물질을 포함하고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126)가 후크 물질을 포함하는 그러한 일 실시예에서, 스트립(180)은 (일차 제2 체결 구성요소를 형성하는) 적합한 루프 물질일 수 있고, 따라서, 후크 물질은 2 이상의 위치에서 루프 물질 상으로 압출되어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을 형성할 수 있다.
적절한 다른 일 실시예에서,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126)은 일차 제2 체결 구성요소(176)와는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일차 제2 체결 구성요소(176)는 스트립(180)을 정의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126)은 일차 제2 체결 구성요소의 부분들과 중첩되는 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126)은, 예를 들어, 접착제 결합, 초음파 결합, 열적 결합, 압력 결합, 이들의 조합 등을 포함한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는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이용하여 스트립(180) 및/또는 일차 제2 체결 구성요소(176)에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126)은, 스트립이 기저귀(110)에 부착된 후 기저귀(110) 및/또는 스트립(180)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절한 일 실시예에서, 스트립(18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적절한 수단을 이용하여 기저귀(110)에 먼저 결합될 수 있고, 이어서,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126)이 스트립에 결합되거나 압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126)과 일차 제2 체결 구성요소들(176) 모두를 포함하는 스트립(180)은 기저귀(110)에 하나의 단일 유닛으로서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126) 및/또는 스트립(180)은, 기저귀(110)에 충분히 결합됨으로써, 기저귀의 사용 동안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 및/또는 스트립에 가해지는 전단력으로 인해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 및/또는 스트립이 느슨해지지 않거나 기저귀로부터 완전히 결합해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개선된 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어서, 사용 동안 체결 시스템(170)에 가해지는 힘에도 불구하고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126) 및/또는 스트립(180)이 예를 들어 외부 커버에 단단히 체결된 상태로 유지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기저귀(110)는 갑작스런 개방(pop-open)이 덜 쉬운 경향을 보이며,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126) 및/또는 스트립(180)의 에지들은 외부 커버(132)와 같은 높이로 유지될 수 있어서, 착용 동안, 다른 경우에는 느슨한 이차 제1 체결기구 및/또는 느슨한 스트립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자극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차 체결 구성요소들(124, 176)이 서로 결합되는 착용 구성으로 기저귀(110)가 이동되면, 이차 체결 구성요소들(126, 178)은, 또한, 증가된 안정성과 누수 방지를 제공하도록 서로 결합될 수 있다(도 6 및 도 7). 예를 들어, 용품 체결 시스템(170)은 4개의 결합 지점을 포함하기 때문에, 기저귀(110)는 착용시 갑작스런 개방이 덜 쉽게 될 것이다. 또한, 이차 체결 구성요소들(126, 178)은 일차 체결 구성요소들(124, 176)의 결합 지점보다 착용자의 측면에 가깝게 서로 결합되기 때문에, 이차 체결 시스템은, 착용자의 측면과 다리에 더욱 가깝게 기저귀(110)를 고정하며, 이에 따라, 기저귀의 다리 개구부(174) 근처에서의 누출을 감소시킨다. 또한, 이차 체결 구성요소들(126, 178)이 착용자의 측면 근처에서 서로 결합되기 때문에, 이차 체결 시스템은 증가된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고, 따라서, 발생, 예를 들어, 착용자의 이동으로 인한 기저귀의 처짐(sagging)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스트립(180)이 아치형 상부 및 하부 에지(182, 184)를 갖는 결과로써,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126)는 기저귀(110)가 착용자에 의해 입혀졌을 때 각각의 다리 개구부(174)로부터 이격된 관계로 위치된다. 결과적으로,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126)는 사용 동안에 착용자의 피부에 대해 마찰하거나 또는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126)는 피부 자극 또는 붉은 자국을 유발할 가능성이 더 적다.
설명된 장점들 중 하나 이상을 달성하기 위한 기저귀(110)의 다른 구성요소들과 관련한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126)의 하나의 적합한 배치가 도 8을 다시 참조하여 더욱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1은 기저귀(110)의 길이방향 축과 동축 정렬된 중심선(198)으로부터 기저귀(110)의 외부 에지(128)까지의 거리를 나타내고, L2는 중심선부터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126) 중 하나의 안쪽 에지까지의 거리를 나타내고, L3은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126)의 바깥쪽 에지로부터 기저귀의 외부 에지까지의 거리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126)의 (기저귀(110)의 측면 방향(114)으로 측정된 대로의)폭은 L1으로부터 거리(L2 및 L3)를 감산함으로써 쉽게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L2:L1, L2:L3, 및/또는 L1:L3의 비는, 기저귀(110)가 본 발명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장점을 나타내도록 적절히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저귀는, L2:L1의 비(즉, 중심선(198)으로부터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126)의 안쪽 에지까지의 거리 대 중심선으로부터 기저귀(110)의 전방 부분(116)의 외부 에지(128)까지의 거리의 비)가 적어도 0.50이고 1.00 미만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기저귀(110)는, L2:L1의 비가 0.50 내지 0.80, 더욱 바람직하게는 0.50 내지 0.7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50 내지 0.65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기저귀(110)는, L2:L3의 비(즉, 중심선(198)으로부터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126)의 안쪽 에지까지의 거리 대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126)의 바깥쪽 에지로부터 기저귀(110)의 외부 에지(128)까지의 거리의 비)가 1.15보다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기저귀(110)는, L2:L3의 비가 1 내지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5,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15 내지 2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각각의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126)는 그들 전체가, 기저귀(110)의 중심선(198)에 보다 기저귀(110)의 측면 에지(128)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여전히 도 8을 참조하면, 도 8에서 볼 수 있는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126)들 중의 하나의 안쪽 및 바깥쪽 에지 각각에 인접한 굵은 선(200)은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치될 수 있는 기저귀(110)의 전방 부분(116)에 대한 적절한 범위를 나타낸다. 즉,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126)는 상기 범위 내의 어느 곳이든 배치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126)는 상기 범위의 폭보다 실질적으로 더 적은(예를 들어, 약 50%) 폭을 가진다. 그러나,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126)가 임의의 적합한 폭을 가질 수 있음이 고려된다. 따라서,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126)의 폭은 도 8에 예시된 것보다 더 넓거나 좁을 수 있다. 굵은 선들(200)은 기저귀(110)의 전방 부분(116)의 (도 8에서 보았을 때)우측에만 도시되어 있지만, 당업자는 기저귀의 전방 부분의 좌측에 배치된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126)가 중심선(198)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유사한 범위 내에 배치되도록 기저귀가 기저귀의 중심선(198)을 중심으로 대칭일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제 도 9로 돌아가면, 본 발명의 일부 측면에 따른 기저귀(110)의 다른 적합한 실시예가 예시된다. 특히, 도 9는 기저귀 착용시 착용자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기저귀의 외면을 다시 볼 수 있도록 펼쳐지고 평평하게 놓인 상태로 기저귀(110)를 도시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기저귀(110)의 동작 가능한 측면들의 대부분은 도 4 내지 도 8에 도시하고 여기서 설명한 바와 같은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스트립(280)은 아치형이 아니며, 오히려 일반적으로 직선의 중심 부분(281)과 한 쌍의 각진 부분(283)을 포함하며 각각의 각진 부분은 직선 부분의 대향 측면 옆에 있다. 도 9에서 볼 수 있듯이, 스트립(280)의 각각의 각진 부분(283)은 직선 부분(281)의 각각의 측면으로부터 기저귀(110)의 전방 허리 에지(140)와 각각의 측면 에지(128) 쪽으로 상방 외측으로 각도를 이룬다. 그러나, 스트립(280)은 본 발명의 일부 측면으로부터 이탈함이 없이 임의의 적합한 형상(예를 들어, 갈매기형 또는 V-형상, U-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부 측면에 따른 기저귀(110)의 또 다른 적합한 실시예를 예시한다. 또한, 도 10은 기저귀 착용시 착용자의 반대측인 기저귀의 외면을 볼 수 있도록 펼쳐지고 평평하게 놓인 상태로 기저귀(110)를 도시한다. 기저귀(110)의 동작 가능한 측면들의 대부분은 도 4 내지 도 8에 도시한 실시예들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426)은 그 후에 외부 커버(132)에 부착되거나 또는 그에 제공되는 대응하는 캐리어(402) 상에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트립(480)의 측면 에지들(486)은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426)의 안쪽에 배치된다. 그러나,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126)을 외부 커버(132)에 직접적으로 부착하거나 또는 그에 제공하기보다는, 각각의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는 각각의 캐리어(402)에 중간 부착되고, 해당 캐리어는 그 후에 외부 커버(132)에 부착된다.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426)는 스트립(480)보다 전방 허리 에지(140)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도 10에 예시된 기저귀(110)의 전방 부분(116)은 한 쌍의 전방 귀들(490)을 포함한다. 적합한 일 실시예에서, 전방 귀들(490)은 신체측 라이너(130), 외부 커버(132), 또는 신체측 라이너와 외부 커버 모두의 조합의 연장부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적합한 다른 실시예에서 그리고 도 10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전방 귀들(490)은 본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듯이, 별도의 구성요소들로서 형성될 수 있고, 신체측 라이너(130), 외부 커버(132), 또는 신체측 라이너와 외부 커버 모두에 부착될 수 있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전방 귀들(490)은 신체측 라이너(130)의 신체 대향면에 부착되어서 기저귀(110) 착용시 전방 귀들(490)의 부착 부분이 착용자의 신체와 신체측 라이너 사이에 배치된다. 전방 귀들(490)은 SMS 및 다른 적합한 부직포를 포함한 임의의 적합한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부 측면에 따른 기저귀(110)의 또 다른 적합한 실시예를 예시한다. 또한, 도 11은 기저귀 착용시 착용자의 반대측인 기저귀의 외면을 볼 수 있도록 펼쳐지고 평평하게 놓인 상태로 기저귀(110)를 도시한다. 도 11에서 볼 수 있는 기저귀(110)의 동작 가능한 측면들의 대부분은 도 4 내지 도 8에 도시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일차 제2 체결 구성요소(176) 및 한 쌍의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526)를 포함하는 스트립(580)은 기저귀(110)의 전방 허리 영역(116)에 부착된다. 스트립(580)은 도 11에서 볼 수 있듯이, 직선 상부 에지(582), 직선 하부 에지(584), 및 한 쌍의 측면 에지(58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스트립(580)은 스트립의 각각의 측면 에지(586)에 인접한 곳에 나타나는 한 쌍의 이격된 아치형 절취부(587)를 더 포함한다. 적합하게, 절취부(587)는 구성요소와 스트립(580)의 하부 에지가 인접하도록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526)를 통해 연장한다.
적합한 일 실시예 및 도 11에서 볼 수 있듯이, 아치형 절취부(587)는 기저귀(110)의 측면 에지(128)의 인접한 부분(즉, 사용 동안에 다리 개구부(174)를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측면 에지(128)의 부분)과 대략 동일한 반경을 가진다. 아치형 절취부(587)가 본 발명의 일부 측면으로부터 이탈함이 없이 기저귀(110)의 측면 에지(128)의 인접한 부분에 비해서 상이한 반경을 가질 수 있음이 이해된다. 스트립 및 더욱 구체적으로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526)가 귀로 연장하는 (도 10에 예시된 전방 귀들(490)과 같은)전방 귀들을 갖는 실시예에서, 아치형 절취부(587)는 각각의 전방 귀의 인접한 부분과 대략 동일한 반경을 가질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된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부 측면에 따른 기저귀(110)의 다른 적합한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12 및 도 13에서 볼 수 있는 기저귀(110)의 동작 가능한 측면들의 대부분은 도 4 내지 도 8에 도시한 실시예들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기저귀(110)는 다른 적합한 실시예를 갖는, 일반적으로 도면 번호 622로 나타낸 한 쌍의 후방 귀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후방 귀들(622)은 탄성중합체 부분(650), 비-탄성중합체 부분(652), 및 비-탄성중합체 부분에 장착된 일차 제1 체결 구성요소(624)를 포함한다(도 12).
후방 귀들(622)의 탄성중합체 부분들(650)은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탄성중합체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적합한 일 실시예에서, 탄성중합체 물질은 적어도 일 방향으로(예를 들어, 기저귀(110)의 측면 방향(114)으로) 신장가능하며, 대안적으로, 탄성중합체 물질은 양 방향으로(예를 들어, 기저귀의 길이 방향(112)과 측면 방향으로) 신장 가능하다. 탄성중합체 물질이 단일 방향으로 적절히 신장가능한 경우, 탄성중합체 물질의 신장 방향은, 용품이 착용자의 허리 둘레에서 유지되도록 용품의 전방부와 후방부를 서로를 향하여 당기려는 탄성중합체 힘을 제공하도록 배향된다.
적합한 일 실시예에서, 후방 귀들(622)의 탄성중합체 부분들(650)을 형성하는 탄성중합체 물질은, 적어도 약 50%만큼, 대안적으로는 적어도 약 100%만큼, 대안적으로 적어도 약 130%만큼 세장될 수 있다. (탄성중합체 물질이 100% 이하로 세장될 수 있다면) 50%로 또는 (탄성중합체 물질이 100%를 초과하여 세장될 수 있다면) 100%로 세장된 후, 탄성중합체 물질은 초기 길이의 적어도 약 50%까지, 대안적으로 초기 길이의 적어도 약 80%까지 적절히 복원된다. 탄성중합체 물질은, 선천적으로 탄성중합체 물질일 수도 있으며, 즉, 탄성중합체 상태에서 형성되는 물질일 수 있고, 또는 후속 성형 가공을 통해 탄성중합체로 되는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탄성중합체 물질은 열 또는 압력 활성화될 수도 있다. 후방 귀들(622)의 탄성중합체 부분들(650)은 스트레치-본디드-라미네이트(SBL) 물질, 넥-본디드-라미네이트(NBL) 물질, 탄성중합체 필름, 탄성중합체 폼 물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탭들인 후방 귀들(622)의 각각의 비-탄성중합체 부분들(652)은 탄성중합체 부분들(650)의 각각 하나에 부착되고, 이어서, (후크 물질과 같은) 일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624)은 비-탄성중합체 부분들 상에 배치된다. 도 13과 도 14에 예시한 바와 같이, 후방 귀들(622)의 비-탄성중합체 부분들(652)은 각각의 탄성중합체 부분(650)의 외측으로 가로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각각의 비-탄성중합체 부분들의 일차 제1 체결 구성요소(624)는 착용 구성에서 기저귀(110)의 전방 허리 영역(116)에 배치된 루프 구성요소(예를 들어, 일차 제2 체결 구성요소(176))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도 12를 참고하면, 후방 귀들(622)의 각각의 탄성중합체 부분(650)은 탄성중합체 부분을 상부 절반부와 하부 절반부로 분할하는 중앙선(MA)을 가진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그리고 도 12에서 볼 수 있듯이, 비-탄성중합체 부분(652)은 전체 비-탄성중합체 부분이 중앙선 아래에 배치되도록 각각의 탄성중합체 부분(650)의 하부 절반부(즉, 중앙선(MA) 아래)로부터 연장한다. 즉, 비-탄성중합체 부분(652)의 일부는 탄성중합체 부분(650)의 중앙선(MA) 위에 배치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중앙선(MA)은 각각의 탄성중합체 부분(650)의 근위 에지와 원위 에지 모두의 중점을 통해 연장한다.
도 12에 가장 잘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한 비-탄성중합체 부분들(652)의 각각은 비-탄성중합체 부분, 및 더욱 넓게는 기저귀(110)에 대하여 각각의 후방 귀(622)를 수동으로 잡고 조작하는데 사용하기 위해 일차 제1 체결 구성요소(624)의 가로방향으로 외측에 있는 그립 영역(668)을 더 포함한다. 그립 영역(668)은 기저귀(110)에 부착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그립 영역(668)은 각각의 일차 제1 체결 구성요소(624)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외측으로 적어도 약 1 mm의 거리, 예컨대, 약 1 mm 내지 약 10 mm 범위의 거리만큼 연장되어서, 비-탄성중합체 부분(652)을 쉽게 잡고 당기기에 충분한 미부착 물질을 제공하게 된다.
기저귀(110)는 용품 체결 시스템(170)을 이용하여 후방 귀들(622)을 전방 허리 영역(116)에 부착하여 허리 개구부(172)와 한 쌍의 다리 개구부(174)를 갖는 기저귀의 3차원 착용 구성을 형성함으로써, 도 12에 예시한 바와 같은 미체결 구성으로부터 도 13에 예시한 바와 같은 체결 또는 착용 구성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 예시된 용품 체결 시스템(170)은 일차 체결 시스템(primary fastening system)과 이차 체결 시스템(secondary fastening system)을 포함한다. 일차 체결 시스템은 후방 귀들(622)의 비-탄성중합체 부분들(652) 상에 배치된 일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624), 및 탄성중합체 부분(650)에 재체결 가능하게 결합되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일차 제2 체결 구성요소(17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일차 제2 체결 구성요소(176) 및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126)를 포함하는, 도 6 및 도 7에서 볼 수 있는 스트립(180)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스트립(680)은 기저귀(110)의 전방 허리 영역(116)에 부착된다. 스트립(680)의 다른 적합한 실시예들이 그 전체가 원용에 의해 본 발명에 포함되는, 발명의 명칭이 "ABSORBENT ARTICLE HAVING A FASTENING SYSTEM(체결 시스템을 갖는 흡수 용품)"인 Stabelfeldt 등에 의해 2013년 7월 29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13/953,380호에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부 측면에 따른 기저귀(110)의 다른 적합한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14 및 도 15에서 볼 수 있는 기저귀(110)의 동작 가능한 측면들의 대부분은 도 4 내지 도 8에 도시한 실시예들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기저귀(110)는 다른 적합한 실시예를 갖는, 일반적으로 도면 번호 722로 나타낸 한 쌍의 후방 귀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후방 귀들(722)은 탄성중합체 부분(750), 비-탄성중합체 부분(752), 및 비-탄성중합체 부분에 장착된 일차 제1 체결 구성요소(724)를 포함한다(도 14).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탄성중합체 부분들(750)은 근위 에지(754), 대향하는 원위 에지(756), 상부 에지(758), 및 하부 에지(760)를 갖는다. 각각의 탄성중합체 부분들(750)의 근위 에지(754)는 기저귀(110)의 각각의 측면 에지(128)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있어서 탄성중합체 부분의 일부가 신체측 라이너(130)와 중첩된다. 각각의 탄성중합체 부분들(750)이 신체측 라이너(130)와 중첩되는 부분은 적어도 신체측 라이너에 결합(예를 들어, 접착제 결합, 열적 결합, 열적 결합과 접착제 결합 모두)된다.
도 14에서 볼 수 있듯이, 각각의 후방 귀들(722)의 탄성중합체 부분(750)은 기저귀(110)의 길이 방향(112)에 대해 각을 이룬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부 및 하부 에지들(758, 760)은 하방향으로(즉, 후방 허리 에지(138)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을 이룬다. 따라서, 근위 에지(754)는 원위 에지(756)보다 후방 허리 에지(138)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후방 귀들(722)의 탄성중합체 부분들(750)은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임의의 유형의 탄성중합체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적합한 일 실시예에서, 탄성중합체 물질은 적어도 일 방향으로(예를 들어, 기저귀(110)의 측면 방향(114)으로) 신장가능하며, 대안적으로, 탄성중합체 물질은 양 방향으로(예를 들어, 기저귀의 길이 방향(112)과 측면 방향으로) 신장 가능하다. 탄성중합체 물질이 단일 방향으로 적절히 신장가능한 경우, 탄성중합체 물질의 신장 방향은, 용품이 착용자의 허리 둘레에서 유지되도록 용품의 전방부와 후방부를 서로를 향하여 당기려는 탄성중합체 힘을 제공하도록 배향된다.
적합한 일 실시예에서, 후방 귀들(722)의 탄성중합체 부분들(750)을 형성하는 탄성중합체 물질은 적어도 약 50%만큼, 대안적으로는 적어도 약 100%만큼, 대안적으로 적어도 약 130%만큼 세장될 수 있다. (탄성중합체 물질이 100% 이하로 세장될 수 있다면) 50%로 또는 (탄성중합체 물질이 100%를 초과하여 세장될 수 있다면) 100%로 세장된 후, 탄성중합체 물질은 초기 길이의 적어도 약 50%까지, 대안적으로 초기 길이의 적어도 약 80%까지 적절히 복원된다. 탄성중합체 물질은, 선천적으로 탄성중합체 물질일 수도 있으며, 즉, 탄성중합체 상태에서 형성되는 물질일 수 있고, 또는 후속 성형 가공을 통해 탄성중합체로 되는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탄성중합체 물질은 열 또는 압력 활성화될 수도 있다. 후방 귀들(722)의 탄성중합체 부분들(750)은 스트레치-본디드-라미네이트(SBL) 물질, 넥-본디드-라미네이트(NBL) 물질, 탄성중합체 필름, 탄성중합체 폼 물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탭들인 후방 귀들(722)의 각각의 비-탄성중합체 부분들(752)은 탄성중합체 부분들(750)의 각각 하나에 부착되고, 이어서, (후크 물질과 같은) 일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724)은 비-탄성중합체 부분들 상에 배치된다. 도 14와 도 15에 예시한 바와 같이, 후방 귀들(722)의 비-탄성중합체 부분들(752)은 각각의 탄성중합체 부분(750)의 외측으로 가로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각각의 비-탄성중합체 부분들의 일차 제1 체결 구성요소(724)는 착용 구성에서 기저귀(110)의 전방 허리 영역(116)에 배치된 루프 구성요소(예를 들어, 일차 제2 체결 구성요소(176))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후방 귀들(722)의 각각의 탄성중합체 부분들(750)은 탄성중합체 부분의 원위 에지(756)를 상부 절반부와 하부 절반부로 분할하는 중앙선(MA)을 가진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그리고 도 14에서 볼 수 있듯이, 비-탄성중합체 부분(752)은 전체 비-탄성중합체 부분이 중앙선 아래에 배치되도록 각각의 탄성중합체 부분(750)의 하부 절반부(즉, 중앙선(MA) 아래)로부터 연장한다. 즉, 비-탄성중합체 부분(752)의 일부는 탄성중합체 부분(750)의 중앙선(MA) 위에 배치되지 않는다.
도 14에 가장 잘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된 비-탄성중합체 부분들(752)의 각각은 비-탄성중합체 부분, 및 더욱 넓게는 기저귀(110)에 대하여 각각의 후방 귀(722)를 수동으로 잡고 조작하는 데 사용하기 위해 일차 제1 체결 구성요소(724)의 가로방향으로 외측에 있는 그립 영역(768)을 더 포함한다. 그립 영역(768)은 기저귀(110)에 부착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그립 영역(768)은 각각의 일차 제1 체결 구성요소(724)로부터 가로방향으로 외측으로 적어도 약 1 mm 거리, 예컨대, 약 1 mm 내지 약 10 mm 범위의 거리만큼 연장되어서, 비-탄성중합체 부분(752)을 쉽게 잡고 당기기에 충분한 미부착 물질을 제공하게 된다.
기저귀(110)는 용품 체결 시스템(170)을 이용하여 후방 귀들(722)을 전방 허리 영역(116)에 부착하여 허리 개구부(172)와 한 쌍의 다리 개구부(174)를 갖는 기저귀의 3차원 착용 구성을 형성함으로써, 도 14에 예시한 바와 같은 미체결 구성으로부터 도 15에 예시한 바와 같은 체결 또는 착용 구성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에 예시된 용품 체결 시스템(170)은 일차 체결 시스템(primary fastening system)과 이차 체결 시스템(secondary fastening system)을 포함한다. 일차 체결 시스템은 후방 귀들(722)의 비-탄성중합체 부분들(752) 상에 배치된 일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724), 및 탄성중합체 부분(750)에 재체결 가능하게 결합되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대응하는 일차 제2 체결 구성요소(17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일차 제2 체결 구성요소(176) 및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126)를 포함하는, 도 6 및 도 7에서 볼 수 있는 스트립(180)과 실질적으로 유사한 스트립(780)은 기저귀(110)의 전방 허리 영역(116)에 부착된다. 스트립(780)의 다른 적합한 실시예들이 그 전체가 원용에 의해 본 발명에 포함되는, 발명의 명칭이 "ABSORBENT ARTICLE HAVING A FASTENING SYSTEM(체결 시스템을 갖는 흡수 용품)"인 Stabelfeldt 등에 의해 2013년 7월 29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13/953,380호에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일 실시예에서, 기저귀(110)의 전방 부분(116) 상의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126)(즉, 도시한 실시예의 후크 체결기구) 각각은, 기저귀의 착용자에 대한 불편함과 적색 마크를 감소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적어도 기저귀의 길이방향(112)에 있어서 비교적 낮은 강도를 갖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126)의 강도는 일반적으로 인가력에 의해서만 작용되는 경우 편향이나 변형(예를 들어, 굽힘)에 대한 각 구성요소의 저항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적절한 일 실시예에서, 강도는 걸리(Gurley) 강도 시험에서 결정되는 바와 같이 걸리 강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강도는 에지 강도 시험에서 결정되는 바와 같은 에지 강도일 수 있다.
걸리 강도 시험(Gurley Stiffness Test)
걸리 강도 시험은, 시험 중인 시편의 길이와 폭에 의해 실질적으로 정의되는 평면에 수직으로 향하는 힘에 의해 발생하는 굽힘 모멘트에 대한 (예를 들어,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126) 등의) 시편의 강도를 결정하는 데 흔히 사용된다. 걸리 강도 시험의 설명은, TAPPI 표준 시험 T543 om-94에 개시되어 있다(종이의 굽힘 저항 (Gurley type tester). 걸리 강도 시험을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한 가지 시험 장치는, 걸리 디지털 강도 시험기인, Troy, N.Y.에 소재하는 Teledyne Gurley 에 의해 제조된 Model 31644이다.
본 발명을 위해, 언급되는 걸리 강도 값들은, 걸리 디지털 강도 시험기를 사용하여 표준 크기 샘플(즉, 폭 1인치 x 길이 3.5인치)에 의해 발생하는 값들이다. 이에 따라, 시험기로부터의 판독값들은, 표준 크기 샘플(즉, 폭 1인치 x 길이 3.5인치)의 강도로 적절히 변환되고, mg 힘으로 보고된다.
일반적으로, 걸리 디지털 강도 시험기는, 다양한 추를 부착하기 위한 슬롯들을 갖는 진자로 이루어진다. 시험 중인 시편은, 진자를 오른쪽 및 왼쪽으로 가압하여, 두 개의 판독값이 발생한다. 판독값들은 시편의 강도와 적극적으로 상관된다. 이어서, 두 개의 판독값은 평균화되고 인자에 의해 승산된다. 이 인자는, 시편 크기, 중심 피봇으로부터의 거리, 및 진자에 사용되는 추에 의해 결정된다. 걸리 강도 시험의 방법론을 후술한다.
본 발명을 위해, 예를 들어, 시편을 제품의 길이방향 또는 기계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절단함으로써, 큰 샘플 또는 제품으로부터 취한 시편들을 준비한다. 일례로,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예를 들어, 후크 체결기구)이 시험 받는 본 발명을 위해, 부착되는 물질, 예를 들어, 기저귀의 외부 커버와 함께 체결기구를 포함하도록 기저귀로부터 시편들을 절단한다. 각 시편은 폭 12 mm x 길이 25 mm ± 1 mm(또는 폭 0.5인치 x 길이 1인치 ± 0.04인치)로 절단되어야 한다.
걸리 디지털 강도 시험기를 사용하여 걸리 강도 시험을 실행하도록, 먼저, 레벨의 버블이 중심에 오고 진자의 포인터가 제로를 가리킬 때까지 레벨링 스크류를 조절함으로써 기구의 베이스를 레벨링한다. 전원을 켠 후, 시편을 사용하여 진자 상의 적절한 추와 추 위치를 결정하여 스케일/디스플레이 상의 2 내지 6의 판독값을 얻는다. 스위치들은, 사용되고 있는 추, 진자 상의 추의 위치, 시험 중인 시편의 폭, 및 시편의 길이에 대응하도록 설정된다.
각 시편마다, 시편 스트립은, 6.4 mm ± 1 mm (또는 0.25인치 ± 0.04인치)가 진자의 최상부와 중첩되고 6.4 mm ± 1 mm (또는 0.25인치 ± 0.04인치)가 시험기의 조에서 유지되도록 진자 위에서 중심에 오게 된다. 시스템은 디스플레이가 00-000-00을 판독하도록 리셋된다. 모터-방향 스위치를 작동시켜 클램프 암이 결합되어 시편을 진자에 대하여 가압하게 된다. 좌측 판독값과 우측 판독값을 취하고, 평균 판독값을 결정한다. 이어서, 시험기 상의 SELECT 버튼을 눌러 강도(mg) 산출을 얻고, 강도를 기록한다. 상술한 단계들을 샘플 그룹의 각 시편마다 반복한다.
실시예
두 개의 서로 다른 흡수 제품들로부터의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을 걸리 강도 시험 받게 하여 각각의 상대 걸리 강도를 평가한다. 제1 제품은 KC-Mexico 기저귀로, 체결 구성요소들이 후크 체결기구고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되었다. 각 시편은 다음에 따르는 시험 조건들을 갖는다. 즉, 추 25 g, 추 위치 4"; 측정: 폭 0.5", 길이 1". 제2 제품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것으로서, 체결 구성요소들이 후크 체결기구고 폴리에틸렌으로 형성된 것이다. 각 시편은 다음에 따르는 시험 조건들을 갖는다. 즉, 추 25 g, 추 위치 2"; 측정: 폭 0.5", 길이 1". 각 제품의 10개의 시편을 시험하였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걸리 강도 시험을 언급하는 경우, "길이"는 일반적으로 제품의 길이방향으로의 방향을 가리키고, "폭"은 일반적으로 제품의 측방향으로의 치수를 가리킨다. 또한, "추"와 "추 위치"는 일반적으로 시험 동안 얼마나 큰 힘이 진자에 걸리고 어느 위치에 걸리는지를 나타내는 시험 조건들을 가리킨다.
아래의 표 1은 KC-Mexico 기저귀에 대한 걸리 강도 시험의 결과이고, 표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품에 대한 결과이다.
표 1: KC-Mexico 기저귀 걸리 강도 시험 결과
시편 우측 좌측 평균 강도 (mg)
1 3.30 4.80 4.05 225.18
2 2.50 4.60 3.55 197.38
3 3.00 4.60 3.80 211.28
4 2.60 4.10 3.35 186.26
5 3.00 4.40 3.70 205.72
6 2.90 3.80 3.35 186.26
7 2.10 4.70 3.40 189.04
8 3.70 4.10 3.90 216.84
9 3.10 5.70 4.40 244.64
10 2.70 5.10 3.90 216.84
평균 2.89 4.59 3.74 207.94
표준 0.45 0.55 0.34 18.94
표 2: 본 발명 제품 걸리 강도 시험 결과
시편 우측 좌측 평균 강도 (mg)
1 1.40 2.80 2.10 116.76
2 1.70 3.70 2.70 150.12
3 1.90 2.90 2.40 130.44
4 1.50 3.00 2.25 125.10
5 1.60 2.70 2.15 119.54
6 1.90 4.40 3.15 175.14
7 1.70 2.70 2.20 122.32
8 1.70 2.70 2.20 122.32
9 1.30 3.10 2.20 122.32
10 2.00 4.50 3.25 180.70
평균 1.67 3.25 2.46 136.48
표준 0.23 0.70 0.43 23.76
시험한 KC-Mexico 기저귀의 체결 구성요소들은 207.94 mg의 평균 강도를 갖는 반면 시험한 본 발명의 체결 구성요소들은 136.48 mg의 평균 강도를 가졌다. 또한, 시험한 KC-Mexico 기저귀의 체결 구성요소들은 186.26 mg의 최소 강도 내지 244.64 mg의 최대 강도를 가졌다. 시험한 본 발명 체결 구성요소들은 116.76 mg의 최소 강도 내지 180.70 mg의 최대 강도를 가졌다. 다시 말하면, 시험한 KC-Mexico 기저귀의 체결 구성요소들의 최소 강도(186.26 mg)는 시험한 본 발명 제품의 체결 구성요소들의 최대 강도(180.70 mg)보다 컸다. 다시 말하면, 시험한 본 발명 제품의 모든 체결 구성요소는 185 mg 미만의 걸리 강도를 가졌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적합한 일 실시예에서,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126), 및 더욱 구체적으로, 예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기저귀(110)의 전방 부분(116) 상의 이차 후크 체결기구는 걸리 강도 시험에 따른 걸리 강도인, 185 mg 미만, 더욱 적절하게는 170 mg 미만, 더욱 적절하게는 160 mg 미만, 더욱 더 적절하게는 150 mg 미만, 훨씬 더 적절하게는 140 mg 미만을 갖는다. 다른 적합한 실시예에서,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126), 및 더욱 구체적으로, 예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기저귀(110)의 전방 부분(116) 상의 이차 후크 체결기구는 걸리 강도 시험에 따른 평균 걸리 강도인, 적어도 10개의 시편의 샘플 크기에 대한 180 mg 미만, 더욱 적절하게는 170 mg 미만, 더욱 더 적절하게는 160 mg 미만, 더욱 더 적절하게는 150 mg 미만, 훨씬 더 적절하게는 140 mg 미만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126)의 걸리 강도 및/또는 평균 걸리 강도가 상술한 범위 미만일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에지 강도 시험(Edge Stiffness Test)
에지 강도 시험은, (예를 들어,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126) 등의) 시편(500)의 에지 강도를 결정하며, 더욱 구체적으로, 시편의 에지에 대하여 길이방향 힘을 가하는 경우 휘어지거나 찌그러지게 하는 데 필요한 힘의 양을 그램으로(그램 힘, 즉 gf) 결정한다. 이는, 예를 들어, 착용자가 허리를 굽힐 때 착용자에 의해 힘이 기저귀(110)의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126)에 인가되는 방식을 나타낸다.
이제, 도 16을 참조하면, 직사각형(세장형) 시편(500)이 그립 또는 조(jaw)(즉, 상부 조(516)와 하부 조(518))에 의해 수직으로(즉, 길이방향으로) 세워져 있으며, 이때, 시편의 짧은 에지 또는 말단부는 평평한 표면 또는 가압판(platen; 520)에 수직하게 접촉하고 있다. 이어서, 접촉 각은, 시편이 휘어지거나 찌그러질 때까지 그립 또는 조(516, 518)를 기록된 거리만큼 평평한 표면(520)을 향하여 이동시킴으로써, 평평한 표면에 대하여 점진적으로 향한다. 압축력 대 압축 거리(즉, 시험 동안 그립 또는 조(516, 518)가 평평한 표면을 향하여 이동하는 거리)의 그래프인 도 17에서 알 수 있고 본 발명에서 이후에 더욱 상세히 설명하듯이, 압축력은 초기에 압축 거리, 즉, 그립 또는 조가 평평한 표면(520)을 향하여 이동하는 거리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피크 압축력에 도달한 후, 압축력은 상수를 향하여 점근적으로 감소되는 한편 압축 거리는 증가된다. 에지 강도는 시험 동안 얻어지는 피크 압축력이며, 이때, 낮은 압축력은, 시편(500)이 낮은 에지 강도를 갖고, 또는 시편의 에지에 힘이 인가되면 더욱 쉽게 휘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에지 강도 시험을 실행하기 위한 한 가지 적절한 시험 장치는, Eden Prairie, Minnesota에 소재하는 MTS System Corporation에 의해 제조된 MTS Sintech 인장 프레임 500S이다. 에지 강도 시험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추가 기구는, 하중 셀 100 뉴튼 D86201, 길이 1", 폭 3"인 상부 조(516)를 갖는 상측 고정물, 및 직경 3.5"인 하측 고정물 스테인리스 스틸 가압판(520)을 포함한다(이들 모두는 MTS System Corporation에서 제조되었다). 또한, New York, NY에 소재하는 Sony Corporation of America에 의해 제조된, 0.05psi 가압판을 구비하는 소니 디지털 인디케이터 U30A(Sony Digital Indicator U30A) 등의 두께 측정 장치가 사용된다.
본 발명을 위한 에지 강도 시험을 실행하기 위해, 시편들(500)을, 도시한 실시예의 기저귀(110) 등의 제품의 측방향(114)으로 15 mm의 폭 및 그 제품의 길이방향(112)으로 40 mm의 길이를 갖도록 절단한다. 각 시편(500)의 두께는, 0.05 psi 가압판을 갖는 두께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0.001 mm에 가까운 값까지 측정된다. 하부 가압판(520)과 상부 조(516)의 최하부 간의 거리는 10 mm로 설정되고, 시편(500)은, 시편이 길이방향으로 배향된 상태에서 상부 조에 배치된다. 시편(500)의 하부 에지는 하부 가압판(520)의 평평한 표면과 약간 접촉한다.
상부 조(516)는 힘이 피크값으로부터 떨어지고 안정화될 때까지 시펀(500)을 길이방향으로 압축하도록 6.35 mm/분(0.25 인치/분)의 속도로 하부 가압판(520)을 향해 하향 이동하도록 작동된다. MTS System Corporation 에서 제공하는 상품명 TestWorks V4.12C를 갖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압축력 대 압축 거리(예를 들어, 상부 조(516)의 하향 이동 거리)의 시험 데이터를 PC에 기록한다. 압축력은 0.1 gf에 최 근사값까지 보고된다. 시험 받는 각 시편(500) 피크 압축 하중(gf 단위)는 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결정된다. gf/mm2 단위의 피크 압축 응력은, gf 단위의 피크 압축 하중을 mm2 단위의 단면적으로 나눔으로써 산출된다.
실시예
두 개의 서로 다른 흡수 제품의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을 에지 강도 시험하여 각각의 상대 에지 강도를 평가하였다. 제1 제품은 폴리프로필렌으로 제조된 후크 체결기구를 갖는 KC-Mexico 기저귀였다. 제2 제품은,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126)이 후크 체결기구고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기저귀(110)였다. 각 제품의 5개의 시편(500)을 시험하였다.
표 3은 KC-Mexico 기저귀에 대한 에지 강도 시험의 결과이고, 표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품에 대한 결과이다. 피크 하중은 gf 단위의 에지 강도다.
표 3: KC-Mexico 기저귀 에지 강도 시험 결과
시편 두께 (mm) 폭 (mm) 피크 하중 (gf) 피크 응력 (gf/mm2)
1 0.728 15 115 10.5
2 0.72 15 158.2 14.6
3 0.761 15 100.1 8.8
4 0.768 15 149.5 13.0
5 0.689 15 110.7 10.7
평균 0.733 15 126.7 11.5
표준 0.032 0 25.6 2.3
표 4: 본 발명 제품 에지 강도 시험 결과
시편 두께 (mm) 폭 (mm) 피크 하중 (gf) 피크 응력 (gf/mm2)
1 0.651 15 68.2 7.0
2 0.772 15 38.5 3.3
3 0.735 15 43.7 4.0
4 0.768 15 53.4 4.6
5 0.739 15 40.6 3.7
평균 0.733 15 48.9 4.5
표준 0.049 0 12.2 1.5
도 17은 상기 에지 강도 시험의 KC-Mexico 기저귀의 시편 #5(추세선 A) 및 본 발명의 제품의 시편 #5(추세선 B)에 대한 압축력 대 압축 거리의 그래프다. 각 곡선은, 시편의 에지에 힘을 인가할 때 시편을 휘어지게 하거나 찌그러지게 하는 데 필요한 힘의 양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추세선 B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제품으로부터의 시편이 (약간의 압축 거리량 후에) 40.6 gf의 피크 압축력에서 찌그러질 때까지 그 시편을 휘어지게 하거나 찌그러지게 하는 데 필요한 압축력이 증가하였음을 나타낸다. 피크 압축 하중 후에, 시편(500)을 더욱 휘어지게 하는 데 필요한 압축력은 약 20 gf를 향하여 점근적으로 감소되었다.
추세선 A는, KC-Mexico 기저귀로부터의 시편(500)이 110.7 gf의 피크 압축력에서 찌그러질 때까지 그 시편을 휘어지게 하거나 찌그러지게 하는 데 필요한 압축력이 증가함을 나타낸다. 피크 압축 하중 후에, 시편(500)을 더욱 휘어지게 하는 데 필요한 압축력은 약 80 gf를 향하여 점근적으로 감소되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제품으로부터의 시편의 에지를 압축하는 힘보다 KC-Mexico 기저귀로부터의 시편(500)의 에지를 압축하는 힘이 더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품의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126)의 에지 강도가 KC-Mexico 기저귀의 에지 강도보다 덜 강직하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서,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126), 더욱 구체적으로,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기저귀(110)의 전방 부분(116)의 이차 후크 체결기구는, 에지 강도 시험에 따른 에지 강도인, 100 gf 미만, 더욱 적절하게는 90 gf 미만, 더욱 더 적절하게는 80 gf 미만, 더욱 더 적절하게는 70 gf 미만, 더욱 더 적절하게는 60 gf 미만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에지 강도가 50 gf 미만이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126), 더욱 구체적으로, 도시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기저귀(110)의 전방 부분(116)의 이차 후크 체결기구는, 에지 강도 시험에 따른 평균 에지 강도인, 적어도 5개의 시편의 샘플 크기에 대한 80 gf 미만, 더욱 적절하게는 70 gf 미만, 더욱 더 적절하게는 60 gf 미만, 더욱 더 적절하게는 50 gf 미만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126)의 에지 강도 및/또는 평균 에지 강도가 상술한 범위 미만일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표 3과 표 4를 참조하면, KC-Mexico 기저귀 시편들(500)은, 126.7 gf의 평균 피크 하중을 가진 반면 본 발명의 시편들은 48.9 gf의 평균 피크 하중을 가졌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적어도 5개의 샘플의 샘플 크기에 기초하여 90 gf 미만의 평균 피크 하중을 갖는다. 적어도 5개의 샘플의 샘플 크기를 갖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80 gf 미만의 평균 피크 하중을 갖는다. 적어도 5개의 샘플의 샘플 크기를 갖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70 gf 미만의 평균 피크 하중을 갖는다. 적어도 5개의 샘플의 샘플 크기를 갖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는 60 gf 미만의 평균 피크 하중을 갖는다.
표 3 및 표 5를 계속 참조하면, 표 3에 도시한 KC-Mexico 기저귀 시편들(500)은 100.1 gf의 최소 피크 하중 내지 158.2 gf의 최대 피크 하중 범위를 나타내었다. 표 4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시편들(500)은 38.5 gf의 최소 피크 하중 내지 68.2 gf의 최대 피크 하중 범위를 나타내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모든 시편(500) 샘플은 100 gf 미만의 피크 하중을 가졌다.
따라서, 걸리 강도 시험 및 에지 강도 시험 중 임의의 하나를 고려할 때, 특히 위 예들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것을 고려할 때,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126)이 KC-Mexico 기저귀의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보다 덜 강직하다는 점은 명백하다. 본원에서 설명한 기저귀(110)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이렇게 강도가 감소됨에 따라, 착용자의 편안함이 증가하고, 피부를 자극할 수 있는 적색 마크가 감소된다.
본 발명 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요소들을 도입하는 경우, "일", "하나", "그", "상기"라는 용어들은 그 요소들의 하나 이상이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이라는 용어는 포괄적임을 의도한 것이며, 열거된 요소와는 다른 추가 요소가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상술한 구성에 대하여 다양한 변경을 행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설명에 포함되거나 첨부 도면에 도시한 모든 사항은 예시적으로 해석해야 하며 제한적인 의미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Claims (20)

  1. 내면, 외면, 제1 허리부, 제2 허리부, 및 상기 제1 허리부와 상기 제2 허리부 사이를 연결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랑이부를 가지는 흡수 용품으로, 상기 흡수 용품은,
    길이방향 대향 말단들, 가로방향 대향 측면들,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용품의 내면을 정의하는 신체측 라이너,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용품의 외면을 정의하는 외부 커버, 및 상기 라이너와 상기 외부 커버 사이에 배치된 흡수성 코어를 가지는 섀시;
    상기 용품의 제2 허리부에서 상기 섀시의 대향 측면들로부터 외측으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귀들; 및
    일차 체결 시스템과 이차 체결 시스템을 포함하는 체결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일차 체결 시스템은 상기 한 쌍의 귀들 각각에 위치한 일차 제1 체결 구성요소 및 일차 제2 체결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이차 체결 시스템은 상기 귀들 각각에 위치한 이차 제2 체결 구성요소 및 대응하는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비-선형 스트립이 상기 제1 허리 부분에서 용품의 외면에 부착되고, 일차 제2 체결 구성요소 및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이 비-선형 스트립 상에 위치되는, 흡수 용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은 아치형인, 흡수 용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은 아치형 상부 에지, 아치형 하부 에지 그리고 상부 및 하부 에지 사이로 연장하는 한 쌍의 측면 에지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의 적어도 상부 에지는 155 mm 내지 1,740 mm의 반경을 가지는, 흡수 용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은 직선 중심 부분 및 한 쌍의 각진 부분을 포함하며 각각의 각진 부분은 직선 부분의 대향 측면의 옆에 있으며, 상기 직선 중심 부분은 일차 제2 체결 구성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각진 부분은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의 각각의 각진 부분은 직선 중심 부분의 각각의 측면으로부터 제1 허리 에지 및 각각의 측면 에지를 향해 상향 및 외측으로 각을 이루는, 흡수 용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진 부분은 직선 중심 부분과 별도로 형성되는, 흡수 용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은 상기 일차 제2 체결 구성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흡수 용품.
  9. 내면, 외면, 제1 허리부, 제2 허리부, 및 상기 제1 허리부와 상기 제2 허리부 사이를 연결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랑이부를 가지는 흡수 용품으로, 상기 흡수 용품은,
    길이방향 대향 말단들, 가로방향 대향 측면들,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용품의 내면을 정의하는 신체측 라이너,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용품의 외면을 정의하는 외부 커버, 및 상기 라이너와 상기 외부 커버 사이에 배치된 흡수성 코어를 가지는 섀시;
    상기 용품의 제2 허리부에서 상기 섀시의 대향 측면들로부터 외측으로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귀들; 및
    일차 체결 시스템과 이차 체결 시스템을 포함하는 체결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일차 체결 시스템은 상기 한 쌍의 귀들 각각에 위치한 일차 제1 체결 구성요소 및 일차 제2 체결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이차 체결 시스템은 상기 귀들 각각에 위치한 이차 제2 체결 구성요소 및 대응하는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스트립이 상기 제1 허리 부분에서 용품의 외면에 부착되고, 일차 제2 체결 구성요소 및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이 선형 스트립 상에 위치되고, 상기 선형 스트립은 한 쌍의 이격된 절취부를 가지고, 각각의 절취부는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들의 하나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
  10.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절취부는 아치형인, 흡수 용품.
  11. 제10항에 있어서, 각각의 아치형 절취부는 측면 에지의 인접한 부분과 대략 동일한 반경을 가지는, 흡수 용품.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은 상부 에지, 하부 에지 및 한 쌍의 측면 에지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절취부가 하부 에지와 측면 에지들 중 하나의 측면 에지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 용품.
  13. 내면, 외면, 제1 허리부, 제2 허리부, 및 상기 제1 허리부와 상기 제2 허리부 사이를 연결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랑이부를 가지는 흡수 용품으로, 상기 흡수 용품은,
    길이방향 대향 말단들, 가로방향 대향 측면들,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용품의 내면을 정의하는 신체측 라이너,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용품의 외면을 정의하는 외부 커버, 및 상기 라이너와 상기 외부 커버 사이에 배치된 흡수성 코어를 가지는 섀시;
    각각 중앙선을 가지며, 상기 용품의 제2 허리부에서 상기 섀시의 대향 측면들로부터 외측으로 가로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귀들; 및
    일차 체결 시스템과 이차 체결 시스템을 포함하는 체결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일차 체결 시스템은 상기 한 쌍의 귀들 각각에 위치한 일차 제1 체결 구성요소 및 일차 제2 체결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이차 체결 시스템은 상기 귀들 각각에 위치한 이차 제2 체결 구성요소 및 대응하는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각각의 일차 제1 체결 구성요소가 중앙선 아래에 위치되는, 흡수 용품.
  14. 제13항에 있어서, 각각의 귀들은 상부 에지, 하부 에지, 근위 에지, 및 원위 에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선이 원위 에지를 따라 취해지는, 흡수 용품.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선은 각각의 귀들을 상부 절반부와 하부 절반부로 분할하고, 상기 일차 제1 체결 구성요소는 하부 절반부 상에 위치되는, 흡수 용품.
  16. 제13항에 있어서, 제1 허리 부분에서 용품의 외면에 부착되는 비-선형 스트립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일차 제2 체결 구성요소 및 이차 제1 체결 구성요소는 비-선형 스트립 상에 위치되는, 흡수 용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은 아치형인, 흡수 용품.
  18. 제13항에 있어서, 각각의 후방 귀들은 탄성중합체 부분 및 비-탄성중합체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일차 제1 체결 구성요소는 각각의 비-탄성중합체 부분에 장착되는, 흡수 용품.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귀들의 각각의 비-탄성중합체 부분들은 탭인, 흡수 용품.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귀들의 적어도 일부분은 탄성중합체인, 흡수 용품.
KR1020167031114A 2014-04-30 2014-04-30 일차 체결 시스템 및 이차 체결 시스템을 갖는 흡수 용품 KR1017323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4/036179 WO2015167533A2 (en) 2014-04-30 2014-04-30 Absorbent article having a primary fastening system and a secondary fasten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645A true KR20160137645A (ko) 2016-11-30
KR101732332B1 KR101732332B1 (ko) 2017-05-02

Family

ID=54359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1114A KR101732332B1 (ko) 2014-04-30 2014-04-30 일차 체결 시스템 및 이차 체결 시스템을 갖는 흡수 용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867743B2 (ko)
KR (1) KR101732332B1 (ko)
CN (1) CN106163475B (ko)
AR (1) AR100397A1 (ko)
AU (1) AU2014392680B2 (ko)
BR (1) BR112016022729B1 (ko)
DE (1) DE112014006471T5 (ko)
MX (1) MX356248B (ko)
RU (1) RU2628996C1 (ko)
WO (1) WO201516753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72794A (zh) 2018-08-21 2023-05-30 宝洁公司 包括上面具有一体成型钩连部的非织造基底的紧固系统
US11793685B2 (en) 2019-11-15 2023-10-2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fastening system
USD970725S1 (en) 2019-11-15 2022-11-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component
US11801168B2 (en) 2019-11-15 2023-10-3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Tape-type absorbent article with belt structure
US20210386602A1 (en) * 2020-06-12 2021-12-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fasten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5448A (en) * 1984-12-19 1986-04-29 Kimberly-Clark Corporation Disposable garment having high-absorbency area
US5772649A (en) * 1995-02-27 1998-06-30 Siudzinski; Betty S. Panel attachment for absorbent undergarments
US6524293B1 (en) * 1999-12-17 2003-02-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efastene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a stretch panel
US6755809B2 (en) * 2000-08-07 2004-06-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surface fastening system
US6648866B2 (en) * 2001-11-26 2003-11-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fastening device
US7344525B2 (en) * 2002-11-22 2008-03-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fastening system
JP4363840B2 (ja) * 2002-12-04 2009-11-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7867212B2 (en) * 2006-09-21 2011-01-11 First Quality Retail Services, Llc Absorbent articles, fastener ears for absorbent articles, and processes for making same
CN102149356A (zh) 2008-09-19 2011-08-10 株式会社瑞光 尿布的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65468A1 (en) 2017-03-09
KR101732332B1 (ko) 2017-05-02
WO2015167533A3 (en) 2016-04-21
BR112016022729B1 (pt) 2022-04-26
US9867743B2 (en) 2018-01-16
AU2014392680B2 (en) 2019-06-13
WO2015167533A2 (en) 2015-11-05
RU2628996C1 (ru) 2017-08-23
AU2014392680A1 (en) 2016-11-17
AR100397A1 (es) 2016-10-05
MX2016013150A (es) 2017-02-06
DE112014006471T5 (de) 2016-12-22
CN106163475A (zh) 2016-11-23
BR112016022729A2 (ko) 2017-08-15
MX356248B (es) 2018-05-18
CN106163475B (zh) 2018-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07255B2 (ja) 構造的、機能的、及び視覚的に異なる領域のあるサイドパネルを有する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6367474B2 (ja) 成人用使い捨て吸収性物品の腰部輪郭に対する長さ、及び配列
JP6363749B2 (ja) 改善された衣類のような特徴を有する吸収性物品
JP4902668B2 (ja) フィットが不適切であることを知らせる有用な指標を備える使い捨て吸収性物品
KR101662979B1 (ko) 체결 시스템을 구비한 흡수 용품
JP2008543525A (ja) より良いフィット性および更なる快適性を着用者に提供する吸収性物品
JP2009509619A (ja) 改善された衣類のような特徴を有する吸収性物品
JP2018027315A (ja) 改善された衣類のような特徴を有する吸収性物品
JP6117834B2 (ja) 改善された衣類のような特徴を有する吸収性物品
JP5623555B2 (ja) 改善された衣類のような特徴を有する吸収性物品
KR101671678B1 (ko) 체결 시스템을 구비한 흡수 용품
KR101732332B1 (ko) 일차 체결 시스템 및 이차 체결 시스템을 갖는 흡수 용품
KR101661446B1 (ko) 저 강도의 체결 시스템을 구비한 흡수 용품
US9138362B2 (en) Folded absorbent article with a fastening system
JP5925927B2 (ja) 改善された衣類のような特徴を有する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