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6845A - 변기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변기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6845A
KR20160136845A KR1020150070952A KR20150070952A KR20160136845A KR 20160136845 A KR20160136845 A KR 20160136845A KR 1020150070952 A KR1020150070952 A KR 1020150070952A KR 20150070952 A KR20150070952 A KR 20150070952A KR 20160136845 A KR20160136845 A KR 20160136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rine
toilet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0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승규
Original Assignee
강승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승규 filed Critical 강승규
Priority to KR1020150070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6845A/ko
Publication of KR20160136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68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7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urine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G06F19/3418
    • G06F19/34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rketing (AREA)
  • Hemat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iophysic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설물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더 구체적으로는 따로 채변을 할 필요가 없이 사용자가 좌변기에 직접 소변이나 대변을 배설하면 그 배설물들을 분석한 뒤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그에 대한 처방을 받아볼 수 있는 변기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변기좌석과 등받이 즉 변기뚜껑을 구비하는 변기에 대변의 유입을 인지하는 대변감지부, 소변의 유입을 인지하는 소변감지부, 변기 사용자의 소변성분의 정보를 읽어 들이고 분석하는 소변검사부, 변기 사용자의 대변성분의 정보를 읽어 들이고 분석하는 대변검사부, 상기 대변검사부 또는 상기 소변검사부에서 분석한 검사 결과를 웹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 그리고
상기 서버가 상기 대변검사부 또는 상기 소변검사부의 검사결과를 토대로 분석을 하여 사용자의 건강정보를 직접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다른 도구를 이용해 채변을 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직접 좌변기에 앉아 소변이나 대변을 배설하면, 그 배설물들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를 확인해볼 수 있고, 건강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경우나 질병이 의심되는 경우 병원의 서버로부터 받은 검사 결과와 전문 의료진의 처방을 받을 수 있는 등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건강을 관리하는 것이 용이하다.
한편, 일반인들은 배설물을 통해 자신의 건강상태를 직접 육안으로 판단하기 쉽지 않으므로 상기의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을 통해 현재의 건강상태 확인의 어려움을 겪지 않아도 된다. 특히 독거노인이나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에게는 건강상태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편리하다. 또한 번거로운 병원 방문을 피할 수 있고 병원이 아닌 가정과 공공시설에서 간편하게 자가진단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변기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 Health care system used toilet }
본 발명은 배설물을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더 구체적으로는 따로 채변을 할 필요가 없이 사용자가 좌변기에 직접 소변이나 대변을 배설하면 그 배설물들을 분석한 뒤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그에 대한 처방을 받아볼 수 있는 변기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변기는 사용자가 착석상태에서 하중을 받쳐 주는 좌석과 상기 좌석의 후면에 세워져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를 포함하는 변기뚜껑 두 가지로 구성된다. 그동안 변기는 배설물을 상기의 구성을 가진 사용자의 배설물을 처리하는 기구로만 여겨져 왔다.
한편, 배설물을 통해 인간의 신체의 건강함과 병을 진단하는 것은 익히 알려져 온 사실이다. 그러나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의 눈으로 직접 배설물을 보고 판단하기엔 다소 무리하다고 볼 수 있다. 그렇기에 이미 시중에는 배설물의 성분과 상태를 분석할 수 있는 기구나 도구는 이미 발명되어 시판 중에 있다. 그러나 상기의 도구 등을 이용할 때 배설물의 처치가 곤란한 상황들이 이따금씩 발생할 것이다. 게다가 실시간으로 정보를 보내고 그에 대한 결과나 상세한 데이터 등을 받는 피드백 등이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아직 기능이 불완전하다.
요즘 같은 과학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는 시대에서 한 가지 도구에 여러 가지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것은 다른 관점으로 보면 낭비이다. 변기 역시 마찬가지로 단순히 배설물만 처리하는 시대는 지났다.
한국공개특허공보 등록번호 10-1312-5590000
본 발명은 변기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배설을 한 후 상기 변기의 감지부가 배설물을 인지하고 성분을 확인하는 센서를 장착하고 그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화 하여 병원의 관리서버와 연동하여 변기 사용자의 건강에 대한 정보를 스마트폰이나 PC로 확인, 관리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변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은 A) 본체의 중앙에 위치한 변기좌석과 등받이 즉 변기뚜껑을 구비한 변기; B) 변기좌석의 바로 아래의 후방벽면의 중앙에 위치하고 소변의 유입을 인지하는 소변감지부; C) 변기좌석의 바로 아래의 후방벽면의 중앙에 위치한 상기 소변감지부의 오른편에 위치하고 대변의 유입을 인지하는 대변감지부; D) 상기 변기 본체의 우측면에 위치한 제어부 내부에 존재하고 변기 사용자의 소변성분의 정보를 읽어 들이고 분석하는 소변검사부; E) 상기 변기 본체의 우측면에 위치한 제어부 내부에 존재하고 변기 사용자의 대변성분의 정보를 읽어 들이고 분석하는 대변검사부; F) 상기 변기 본체의 우측면에 위치한 제어부 내부에 존재하고 상기 대소변검사부에서 분석한 검사 결과를 웹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 G) 상기 웹 서버가 상기 대변검사부 또는 상기 소변검사부의 검사결과를 토대로 분석을 하여 사용자의 건강정보를 직접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다른 도구를 이용해 채변을 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직접 좌변기에 앉아 소변이나 대변을 배설하면, 그 배설물들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를 확인해볼 수 있고, 건강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경우나 질병이 의심되는 경우 병원의 서버로부터 받은 검사 결과와 전문 의료진의 처방을 받을 수 있는 등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건강을 관리하는 것이 용이하다.
한편, 일반인들은 배설물을 통해 자신의 건강상태를 직접 육안으로 판단하기 쉽지 않으므로 상기의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을 통해 현재의 건강상태 확인의 어려움을 겪지 않아도 된다. 특히 독거노인이나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에게는 건강상태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편리하다. 또한 번거로운 병원 방문을 피할 수 있고 병원이 아닌 가정과 공공시설에서 간편하게 자가진단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변기를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의 전체 모습을 비스듬하게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인 변기를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변기를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중 하나의 장치인 시스템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인 변기를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인 변기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변기를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의 전체 모습을 비스듬하게 도시한 도면이 도시되어있고, 도 2는 본 발명인 변기를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은 본 발명인 변기를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중 하나의 장치인 시스템제어부의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변기를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사용자의 대변 또는 소변의 상태에 따라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진단하고, 그 진단 결과를 사용자의 스마트기기로 제공하는 변기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은, 물내림레버(101), 변기커버(102), 변기좌석(103), 대변감지부(104), 소변감지부(105), 화학센서(106), 대변검사부(107), 소변검사부(108), 무선통신부(109), 시스템제어부(110)를 포함한다.
물내림레버(101)는 사용자가 배설을 한 후 배설물을 처리할 때 작동시키는 레버이다.
변기커버(102)는 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 변기의 내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변기를 사용할 때에는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 역할을 하는 장치이다.
변기좌석(103)은 변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둔부를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대변감지부(104)는 사용자가 변기를 이용하여 대변을 배설할 시, 상기 대변감지부(104)가 사용자의 대변의 유입을 인식하고 상기 변기의 본체의 우측면에 위치한 시스템제어부(110) 내부의 상기 대변검사부(107)로 대변 유입의 정보를 전달한다.
소변감지부(105)는 사용자가 변기를 이용하여 소변을 배설할 시, 상기 소변감지부(105)가 사용자의 소변의 유입을 인식하고 상기 변기의 본체의 우측면에 위치한 시스템제어부(110) 내부의 상기 소변검사부(108)로 소변 유입의 정보를 전달한다.
화학센서(106)는 정보를 받아들이는 센서로써 상기 변기의 내부의 벽면에 부착되어있으며 사용자의 배설물이 센서근처에 접근하면 상기의 화학센서(106)가 배설물을 인지하고 시스템제어부(110) 내부의 상기 대변검사부(107) 또는 상기 소변검사부(108)로 소변 또는 대변의 성분에 대한 정보를 전달한다.
대변검사부(107)는 상기 대변감지부(104)의 유입결과를 받아 작동을 시작하고 상기 대변검사부(107)는 화학센서(106)가 분석한 사용자의 대변성분의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한 뒤, 결과를 무선통신부(109)로 송신한다.
소변검사부(108)는 상기 대변감지부(105)의 유입결과를 받아 작동을 시작하고 상기 소변검사부(108)는 상기 화학센서(106)가 분석한 사용자의 소변성분의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한 뒤, 결과를 무선통신부(109)로 송신한다.
무선통신부(109)는 상기 대변검사부(107) 또는 상기 소변검사부(108)의 검사 결과를 토대로 데이터화한 후 네트워크를 통해 웹 서버로 전송한다. 웹 서버로 전송된 정보는 변기를 사용한 사용자에게 진단 결과를 전송하여 사용자가 질병의 유무, 건강관리의 필요성 등 현재 몸상태와 관계된 여러 정보들을 스마트기기나 PC를 이용하여 수신할 수 있다.
시스템제어부(110)는 상기 대변검사부(107), 상기 소변검사부(108) 그리고 상기 무선통신부(109)를 제어,관리하는 장치이다.
101 : 물내림레버 102 : 변기커버
103 : 변기좌석 104 : 대변감지부
105 : 소변감지부 106 : 화학센서
107 : 대변검사부 108 : 소변검사부
109 : 무선통신부 110 : 시스템제어부

Claims (8)

  1. A) 본체의 중앙에 위치한 변기좌석과 등받이 즉 변기뚜껑을 구비한 변기;
    B) 변기좌석의 바로 아래의 후방벽면의 중앙에 위치하고 소변의 유입을 인지하는 소변감지부;
    C) 변기좌석의 바로 아래의 후방벽면의 중앙에 위치한 상기 소변감지부의 오른편에 위치하고 대변의 유입을 인지하는 대변감지부;
    D) 상기 변기 본체의 우측면에 위치한 제어부 내부에 존재하고 변기 사용자의 소변성분의 정보를 읽어 들이고 분석하는 소변검사부;
    E) 상기 변기 본체의 우측면에 위치한 제어부 내부에 존재하고 변기 사용자의 대변성분의 정보를 읽어 들이고 분석하는 대변검사부;
    F) 상기 변기 본체의 우측면에 위치한 제어부 내부에 존재하고 상기 대소변검사부에서 분석한 검사 결과를 웹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
    G) 상기 웹 서버가 상기 대변검사부 또는 상기 소변검사부의 검사결과를 토대로 분석을 하여 사용자의 건강정보를 직접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감지부가 사용자의 소변의 유입을 인식하고 상기 소변검사부로 해당 소변의 유입의 정보를 전송하는 변기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변감지부가 사용자의 대변의 유입을 인식하고 상기 대변검사부로 해당 대변의 유입의 정보를 전송하는 변기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감지부의 유입결과를 받은 상기 소변검사부가 변기 사용자의 소변성분의 정보를 읽어 들이고 상기 정보를 분석하는 변기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변감지부의 유입결과를 받은 상기 대변검사부가 변기 사용자의 대변성분의 정보를 읽어 들이고 상기 정보를 분석하는 변기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6. 제 4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보를 받아들이는 센서가 상기 변기의 벽면에 부착되어있으며 사용자의 배설물을 인지하고 상기 소변검사부 또는 상기 대변검사부로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가진 변기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변검사부 또는 상기 소변검사부의 검사 결과를 데이터화한 후 네트워크를 통해 웹 서버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가 포함된 변기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무선 통신부의 전송결과를 전송받은 상기 웹 서버는 변기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기록,저장이 가능하여 변기 사용자는 스마트기기를 통해 날짜,시기별 건강상태를 알 수 있다. 더하여 웹 서버는 저장되어있는 사용자의 과거의 건강상태와 현재의 건강상태를 비교하여 건강의 개선유무 등을 확인하여 환자 관리 매니저에게 직접 정보를 전송하여 관리를 변기 사용시마다 받을 수 있는 기능을 가진 변기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KR1020150070952A 2015-05-21 2015-05-21 변기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KR201601368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952A KR20160136845A (ko) 2015-05-21 2015-05-21 변기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952A KR20160136845A (ko) 2015-05-21 2015-05-21 변기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845A true KR20160136845A (ko) 2016-11-30

Family

ID=57707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0952A KR20160136845A (ko) 2015-05-21 2015-05-21 변기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684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481B1 (ko) * 2020-08-28 2021-10-12 김정은 스마트 소변 검사 센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변기
KR20220073959A (ko) * 2020-11-27 2022-06-0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건강 상태 진단 변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481B1 (ko) * 2020-08-28 2021-10-12 김정은 스마트 소변 검사 센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변기
KR20220073959A (ko) * 2020-11-27 2022-06-0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건강 상태 진단 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63310A1 (zh) 一种粪便尿液智能检测系统
US20170212039A1 (en) Extre occult blood inspec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JP3562626B2 (ja) 生体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同システムの生体検査装置
CN104039216A (zh) 生体信息取得终端、信息管理方法及信息显示方法
JP6100447B1 (ja) 健康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健康モニタリング方法および健康モニタリングプログラム
JP2019074328A (ja) 便座システム
JP2018109597A (ja) 健康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健康モニタリング方法および健康モニタリングプログラム
KR102592841B1 (ko)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JP7414279B2 (ja) 生体情報取得システム、健康管理サーバーおよびシステム
WO2018008155A1 (ja) 健康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健康モニタリング方法および健康モニタリングプログラム
WO2021055681A1 (en) Apparatuses and systems for tracking bowel movement and urination and methods of using same
CN113556980A (zh) 卫生间环境中的使用者检测和识别
KR20160136845A (ko) 변기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Chapron et al. Highly accurate bathroom activity recognition using infrared proximity sensors
US20190206226A1 (en) Display system for usage compliance of hygiene equipment
JP2000175872A (ja) 生体情報管理システム
JP2001265822A (ja) 生体情報管理システム
US10182789B2 (en) Toilet with stethoscope
KR102155772B1 (ko) 건강 체크기를 이용한 소변기 접근 유도 시스템 및 방법
JP2005172647A (ja) トイレにおける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
JP2017115382A (ja) 大便器装置
JP2005168952A5 (ko)
JP2005168952A (ja) トイレ装置
KR102358315B1 (ko) 환자 배설량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환자 정보 관리 시스템
KR101656510B1 (ko) 기저귀 용변 감지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