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6224A - Oct4가 도입된 인간체세포로부터 직접적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유도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Oct4가 도입된 인간체세포로부터 직접적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유도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6224A
KR20160136224A KR1020160043593A KR20160043593A KR20160136224A KR 20160136224 A KR20160136224 A KR 20160136224A KR 1020160043593 A KR1020160043593 A KR 1020160043593A KR 20160043593 A KR20160043593 A KR 20160043593A KR 20160136224 A KR20160136224 A KR 20160136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s
human somatic
rare
inhibitor
oct4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3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2488B1 (ko
Inventor
유승권
윤원진
박민지
박지용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US15/575,369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80155685A1/en
Priority to PCT/KR2016/004603 priority patent/WO2016186346A1/ko
Priority to CA2986368A priority patent/CA2986368C/en
Priority to JP2017560793A priority patent/JP6522790B2/ja
Priority to CN201680038355.7A priority patent/CN107810268B/zh
Priority to EP16796673.8A priority patent/EP3321354A4/en
Priority to AU2016264166A priority patent/AU2016264166B2/en
Publication of KR20160136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6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488B1/ko
Priority to US16/429,062 priority patent/US10767163B2/en
Priority to US16/992,136 priority patent/US1157254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18Cells of the nervous system
    • C12N5/0622Glial cells, e.g. astrocytes, oligodendrocytes; Schwann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5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anima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018Culture media for cell or tissue cul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065Modulators of histone acety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10Growth factors
    • C12N2501/115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FGF-2)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10Growth factors
    • C12N2501/135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10Growth factors
    • C12N2501/15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TGF-β)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20Cytokines; Chemokines
    • C12N2501/23Interleukins [IL]
    • C12N2501/2306Interleukin-6 (IL-6)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20Cytokines; Chemokines
    • C12N2501/23Interleukins [IL]
    • C12N2501/235Leukemia inhibitory factor [LI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40Regulators of development
    • C12N2501/41Hedgehog proteins; Cyclopamine (inhibit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60Transcription factors
    • C12N2501/603Oct-3/4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70Enzymes
    • C12N2501/72Transferases (EC 2.)
    • C12N2501/727Kinases (EC 2.7.)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999Small molecul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6/00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6/00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 C12N2506/09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from epidermal cells, from skin cells, from oral mucosa cells
    • C12N2506/092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from epidermal cells, from skin cells, from oral mucosa cells from hair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6/00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 C12N2506/13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from connective tissue cells, from mesenchymal cells
    • C12N2506/1307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from connective tissue cells, from mesenchymal cells from adult fibrobla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Immunology (AREA)
  • Vi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Oct4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분자가 도입된 인간 체세포 또는 Oct4 단백질이 처리된 인간 체세포로부터 직접적 리프로그래밍을 통해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유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Oct4가 과발현된 인간체세포에 저분자성 물질을 처리하여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유도하는 방법은 신경줄기세포를 거치지 않는 직접적 리프로그래밍을 통하여 단기간 동안 고효율로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확립할 수 있어, 난치성 탈수초성 질환의 세포치료제로 유용하다.

Description

Oct4가 도입된 인간체세포로부터 직접적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유도하는 방법 {Method for Inducing Oligodendrocyte Progenitor Cells from Human Somatic Cells Introduced with Oct4 Through Direct Reprogramming}
본 발명은 Oct4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분자가 도입된 인간 체세포 또는 Oct4 단백질이 처리된 인간 체세포로부터 직접적 리프로그래밍을 통해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유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건강한 노후와 질병 없는 건강한 삶을 위한 개인 맞춤형 세포치료제는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필수적인 의약품이다. 중추신경계 질환으로 알려져 있는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은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는 탈수초성 질환으로 심한 경우 감각 및 운동장애가 수반되지만, 증상완화 약물치료가 시행될 뿐 근본적인 치료법이 없는 실정이다. 이에, 마이엘린 수초(Myelin Sheath) 형성이 가능한 희소돌기아교세포(Oligodendrocyte)로 분화할 수 있는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Oligodendrocyte Precursor Cell; OPC) 이식이 주요 치료법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식에 사용될 세포를 얻고자 배아줄기세포, 성체줄기세포를 통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배아줄기세포(Embryonic Stem Cells)는 체세포와 다르게 무한히 분열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는 인체 내 모든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전분화성(Pluripotentcy) 세포이다. 성체줄기세포는 환자로부터 추출할 수 있는 다분화성(Multipotency) 세포로 대표적으로는 신경줄기세포(Neural Stem Cell; NSC)가 잘 알려져 있다. 성체줄기세포인 신경줄기세포는 신경계 질환 치료시 면역 거부반응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세포치료제로 각광을 받고 있지만, 희소돌기아교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이 현저히 낮고, 환자 본인의 뇌 조직에서 얻어야 하기 때문에 얻을 수 있는 세포의 수가 제한되어있어 큰 효과가 없는 실정이다. 배아줄기세포 역시 임상이용을 위해 극복해야하는 단점들이 존재하는데 우선, 배아줄기세포를 얻기 위해서는 수정된 배아를 파괴해야 하므로 윤리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배아줄기세포에서 분화된 세포를 환자에 이식했을 경우 면역 거부반응이 일어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시도된 여러 방법 중, 분화된 세포에서 미분화된 세포로의 역분화(dedifferentiation) 방법이 각광을 받았으며, 역분화는 분화된 세포를 이용하여 배아줄기세포와 같은 전분화능 줄기세포를 만들어내는 것을 총칭한다. 2006년 일본의 신야 야마나카 교수가 유전자 도입을 통한 역분화 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iPS cell)를 개발한 이후, 치료제에 적용하기 위한 수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마우스 또는 인간의 체세포에 4개의 유전자(역분화 유도인자; Oct4, Sox2, c-Myc, Klf4)를 도입한 후 배아줄기세포 배양조건에서 장기간 배양하면 배아줄기세포와 유사한 특성의 줄기세포가 확립된다는 보고(Cell 126:663-676, 2006; Science 318:1917-1920, 2007) 이후, 이를 임상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유전자를 대체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인간 체세포에 대한 연구결과는 미흡하고 역분화 유도 기작을 규명하기 어려운 점 및 양성종양(teratoma) 형성의 위험 등 때문에 역분화 줄기세포를 임상적용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역분화 줄기세포의 대안으로 최근 제시되고 있는 방법이 ‘직접적 리프로그래밍 (Direct reprogramming)’방법으로, 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들의 도입 기술 및 역분화 유도인자와 저분자성 물질의 조합으로 성장신호 조절을 통한 만능성 획득 없이 원하는 세포로 유도하는 기술 2가지로 볼 수 있다. 이 방법은 여러 줄기세포의 장점만을 가지면서 임상적용을 저해하는 요소들을 상당부분 제거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받고 있다.
최근 미국의 Marius Wernig 연구팀은 3개의 유전자(Olig2, Sox10, Zfp536)를, Paul J Tesar 연구팀도 3개의 유전자(Olig2, Sox10, NKX6.2)를 이용하여 마우스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의 확립이 가능함을 보여주어, 마우스 체세포로부터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로 직접적 리프로그래밍에 성공하였음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아직까지 인간의 체세포를 이용한 보고는 없다. 또한, 미국의 Shengding 연구팀과 Mickie Bhatia 연구팀은 인간의 체세포에 Oct4 유전자를 도입하여 직접적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신경줄기세포의 확립을 보여주어, Oct4 유전자가 세포내에서 신경계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다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간의 체세포로부터 직접적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유도하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인간 체세포에 Oct4를 도입시키고 희소돌기아교세포 형성에 관여하는 여러 저분자성 물질을 처리하여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로의 유도가 가능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Oct4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분자가 도입된 인간 체세포를 특정 저분자성 물질을 함유하는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직접적 리프로그래밍 (direct reprogramming)을 통한 인간 체세포로부터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유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저분자성 물질을 함유하는 배지에서 배양하되, 상기 인간 체세포는 배양 전, 배양과 동시에 또는 배양 후에 Oct4 단백질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직접적 리프로그래밍 (direct reprogramming)을 통한 인간 체세포로부터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유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정 저분자성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Oct4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분자가 도입되거나 또는 Oct4 단백질로 처리된 인간 체세포로부터 직접적 리프로그래밍 (direct reprogramming)을 통한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 유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희소돌기아교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Oct4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분자가 도입된 인간 체세포를 (i) TGF-β 타입 I 수용체 억제제 (TGF-β type I receptor inhibitor); (ii) ROCK 억제제 (Inhibitor of Rho-associated kinase); (iii) 히스톤 탈아세틸효소 억제제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및 (iv) Shh 작용제 (Sonic hedgehog agonist)를 함유하는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직접적 리프로그래밍 (direct reprogramming)을 통한 인간 체세포로부터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유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인간 체세포를 (i) TGF-β 타입 I 수용체 억제제 (TGF-β type I receptor inhibitor); (ii) ROCK 억제제 (Inhibitor of Rho-associated kinase); (iii) 히스톤 탈아세틸효소 억제제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및 (iv) Shh 작용제 (Sonic hedgehog agonist)를 함유하는 배지에서 배양하되, 상기 인간 체세포는 배양 전, 배양과 동시에 또는 배양 후에 Oct4 단백질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직접적 리프로그래밍 (direct reprogramming)을 통한 인간 체세포로부터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유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i) TGF-β 타입 I 수용체 억제제 (TGF-β type I receptor inhibitor); (ii) ROCK 억제제 (Inhibitor of Rho-associated kinase); (iii) 히스톤 탈아세틸효소 억제제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및 (iv) Shh 작용제 (Sonic hedgehog agonist)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Oct4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분자가 도입된 인간 체세포 또는 Oct4 단백질로 처리된 인간 체세포로부터 직접적 리프로그래밍 (direct reprogramming)을 통한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 유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ROCK 억제제 (Inhibitor of Rho-associated kinase), 칼슘 통로 작용제 (Calcium channel agonist) 및 LIF (Leukemia Inhibitory Factor)가 포함된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희소돌기아교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Oct4가 과발현된 인간체세포에 저분자성 물질을 처리하여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유도하는 방법은 신경줄기세포를 거치지 않는 직접적 리프로그래밍을 통하여 단기간 동안 고효율로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확립할 수 있어, 난치성 탈수초성 질환의 세포치료제로 유용하다.
도 1은 Sox10::eGFP hESCs로부터 분화시킨 Fibroblasts에 Oct4를 도입하여 iOPCs가 유도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2는 Sox10::eGFP fibroblasts에 Oct4를 도입하여 Reprogramming Media(RM)에서 7일간 배양 후, Inducing Media(IM)에서 배양을 통하여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induced OPCs, iOPCs)를 확립하는 데 필요한 저분자성 물질을 선별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3은 Oct4가 도입된 Sox10::eGFP Fibroblasts에 저분자성 물질를 처리 후, GFP+ 분포를 FACS 분석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Oct4가 도입된 Sox10::eGFP Fibroblasts에 저분자성 물질를 처리 후, Sox10 이외에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의 마커로 알려져 있는 Olig2, NKX2.2 및 ZFP536의 mRNA 수준을 실시간 PCR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이다.
도 5는 KSR(Knockout Serum Replacement)를 사용하지 않고, 인간 체세포로부터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의 모양이 나타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며, Olig2, Sox10 및 ZFP536 마커가 발현되는 것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6은 저분자성 물질이 하나씩 제거된 배지와 모두 함유된 배지에서의 Sox10 발현을 비교하였다.
도 7은 KSR(Knockout Serum Replacement)를 사용하지 않고, 인간 체세포로부터 iOPCs를 유도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8은 유도배지(IM)에서 배양한 3일 후에 상피-중간엽 이행(MMET: esenchymal to Epithelial Transition) 과정을 거친 세포를 확인하고, 배양 7일 후에 OPC와 유사한 모양의 세포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9는 FACS 분석를 통해 iOPC에서 OPC 마커인 PDGFRa, A2B5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10은 면역화학염색법을 통해 iOPC에서 발현되는 PDGFRa, A2B5의 발현을 세포막에서 확인한 결과이다.
도 11은 실시간 PCR을 통해 iOPC에서 OPC 마커 유전자들의 mRNA 발현을 비교분석한 결과이다.
도 12는 확립된 iOPC를 성장인자가 배제된 분화조건에서 40일~60일간 배양하였을 때 나타나는 전형적인 Branch 유형의 형태로 희소돌기아교세포(Oligodendrocyte)의 분화를 확인한 결과이며, 실시간 PCR과 면역화학염색법을 통해 희소돌기아교세포의 마커인 MBP와 MAG의 발현 증가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13은 GFP를 발현하는 iOPC를 쥐의 뉴런(Neuron)과 공배양하여 희소돌기아교세포로 분화하고, 뉴런과 마이엘린 수초형성(myelination)을 이루고 있는 것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14는 생체내 분화 및 치료제로서의 효능을 검증하기 위해, 다발성 경화증 동물모델에 iOPC를 이식하여 myelin이 정상쥐와 유사하게 관찰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15는 iOPCs의 유도과정이 Oct4 과발현 후에 신경줄기세포를 거쳐 분화를 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유도기간 중 신경줄기세포 마커인 Sox1, Sox2, Pax6 유전자의 발현을 실시간 PCR을 통해 확인을 한 결과이다.
도 16은 iOPCs의 유도과정이 신경줄기세포를 거치지 않고, 성장인자에 반응하여 증식하는 iOPC 임을 증명하기 위해, 유도과정 중 OPCs의 성장인자인 bFGF, PDGF-AA를 배양액에서 제거한 후 증식을 확인하였으며, 상기 성장인자 의존 증식 세포에서 OPC 마커인 PDGFRa, A2B5의 발현을 FACS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도 17은 모낭세포(Hair-follicle Dermal Papilla)에서 Oct4를 과발현시켜 IM에서 배양한 후, OPC 마커의 발현을 FACS 분석 및 실시간 PCR, 면역화학염색법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도 18은 양수줄기세포, 다양한 연령대의 지방유래 줄기세포 및 피부세포에서 Oct4를 과발시켜 IM에서 배양한 후, OPC마커의 발현을 실시간 PCR 또는 FACS 분석을 통해 보여준 결과인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내용 및 기존 기술과의 차이점을 나타낸 도식도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인간 체세포에 Oct4를 과발현시키고 희소돌기아교세포 형성에 관여하는 여러 저분자성 물질을 함께 처리하는 Oct4 유전자의 도입과 배양 조건 조절을 통해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로의 유도가 가능함을 확인하고, OPC 마커 유전자의 발현, 후성학적 특성(epigenetics) 및 in vitro에서의 마이엘린(Myelin) 형성 능력 등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렇게 유도된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가 분화하여 세포치료제로서의 효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직접적 리프로그래밍 방법을 활용한 환자 맞춤형 세포치료제 개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자들은 이전에 확립한 저분자성 물질(KR 10-1357402)을 바탕으로 새로운 물질의 조합을 발굴하고 유전자와의 조합을 통하여 인간 체세포로부터 신경줄기세포를 거치지 않고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확립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인간 체세포인 포피 섬유아세포에 Oct4 유전자를 도입한 뒤, A83-01, 티아조비빈, 발포릭산(VPA), 퍼모파민 및 포스콜린을 함유하는 배지에서 배양하여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 마커 발현을 확인하고, 인간 체세포에서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로의 유도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관점에서 Oct4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분자가 도입된 인간 체세포를 (i) TGF-β 타입 I 수용체 억제제 (TGF-β type I receptor inhibitor); (ii) ROCK 억제제 (Inhibitor of Rho-associated kinase); (iii) 히스톤 탈아세틸효소 억제제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및 (iv) Shh 작용제 (Sonic hedgehog agonist)를 함유하는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직접적 리프로그래밍 (direct reprogramming)을 통한 인간 체세포로부터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유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인간 체세포인 포피 섬유아세포에 Oct4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 형태의 유전자를 도입하여 Oct4를 과발현시켰으나,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 유도를 위해서는 체세포에 Oct4 유전자를 도입하는 방법 이외에도 Oct4 단백질을 직접 체세포에 처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Oct4 단백질은 체세포를 저분자성 물질을 함유하는 배지에서 배양하기 전, 배양과 동시에 또는 배양 후에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인간 체세포를 (i) TGF-β 타입 I 수용체 억제제 (TGF-β type I receptor inhibitor); (ii) ROCK 억제제 (Inhibitor of Rho-associated kinase); (iii) 히스톤 탈아세틸효소 억제제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및 (iv) Shh 작용제 (Sonic hedgehog agonist)를 함유하는 배지에서 배양하되, 상기 인간 체세포는 배양 전, 배양과 동시에 또는 배양 후에 Oct4 단백질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직접적 리프로그래밍 (direct reprogramming)을 통한 인간 체세포로부터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유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지는 칼슘 통로 작용제 (Calcium channel agonist)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RG108, BIX01294, SP600125, 리소포스파디드산(Lysophosphatidic acid), Bayk8644, 포스콜린(Forskolin),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EX527 및 로리프램(Rolipram) 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TGF-β 타입 I 수용체 억제제는 A83-01, ROCK 억제제는 티아조비빈 (Thiazovivin), 히스톤 탈아세틸효소 억제제는 발포릭산 (Valproic Acid) 또는 Shh 작용제는 퍼모파민 (Purmorphamine)인 것이 바람직하며, 칼슘 통로 작용제는 포스콜린 (Forskolin)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A83-01"은 TGF-β 타입 I 리셉터 억제제(TGF-β type I receptor inhibitor)로 TGF-β 타입 I 리셉터에 결합하여 TGF-β 타입 I의 정상적인 신호전달 과정을 방해하는 물질을 의미한다(Tojo M et al., Cancer Sci. 96: 791-800, 2005). TGF-β 타입 I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type I)은 세포증식, 분화 및 다양한 종류의 세포에 다양한 작용을 하는 다기능성 펩타이드로서, 이러한 다기능성은 지방세포형성, 근세포형성, 골세포형성, 상피세포 분화 등 여러 조직의 성장 및 분화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며, 신경줄기세포의 증식을 억제한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TGF-β 타입 I 리셉터 억제제 A83-01 외에도 SB432542을 포함한 모든 TGF-β 타입 I 리셉터 억제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저분자성 물질 TGF-β 타입 I 리셉터 억제제 A83-01는 시중에서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억제제 처리에 의해 신경줄기세포증식이 촉진된다. 상기 TGF-β 타입 I 리셉터 억제제 A83-01는 배지에 처리하여 유효 농도로 포함되도록 한다. 배지의 종류 및 배양방법 등 당분야에서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유효농도는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티아조비빈(Thiazovivin: N-benzyl-2-(pyrimidin-4-ylamino)thiazole-4-carboxamide)"은 신경세포와 신경줄기세포의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Rho/ROCK 신호를 막고 신경줄기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PTEN 신호를 막는다고 알려져 있어, 신경줄기세포의 세포사멸 억제와 자가재생능력과 자가증식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Matthias Groszer, et al., Science 294: 2186, 2001). 상기 티아조비빈(Thiazovivin)은 ROCK 억제제 (inhibitor of Rho-associated kinase: ROCK)로 ROCK(Rho-associated kinase)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물질로 티아조비빈 외에 Y-27632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티아조비빈을 배지에 처리하여 유효 농도로 포함되도록 하며, 배지의 종류 및 배양방법 등 당분야에서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유효농도는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VPA (valproic acid, 2-프로필펜타노익산)"은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를 억제하는 물질이며, 크로마틴을 고아세틸화 상태로 만들어 세포증식억제인자 및 분화유도에 필수적인 유전자들의 발현을 촉진하여 세포 (암세포)의 분화를 유도하고 혈관신생 (angiogenesis)을 억제하며, 세포주기를 G1상태로 고정시켜 암세포 (cancer cell)의 아폽토시스 (apoptosis)를 유발하여 강한 세포증식억제 (cytostatic)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 (HDAC)는 pRB/E2F를 매개로 유전자 전사 (gene transcription)을 억제하며, 히스톤 아세틸레이션 (histone acetylation)의 파괴가 여러 가지 암 발생과 관련되어 있고, HDAC는 저산소증, 저당 (低糖), 세포암화 등 열악한 환경조건에서 고발현되어 세포증식억제인자의 발현을 저해하여 세포증식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여, HDAC는 세포암화 및 분화조절에 중요조절인자로 인식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상기 VPA는 이노시톨 감소를 유발하고, GSK-3β를 저해하고 ERK pathway를 활성화시키고, PPAR 활성을 자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히스톤 디아세틸라아제 억제제 (HDAC inhibitor) VPA (valproic acid, 2-프로필펜타노익산) 외에도 트라코스타틴 (trichostatin, TSA) 또는 그 유도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유도체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각종 무기염 또는 유기염을 포함한다. 처리 농도는 너무 낮으면 효과를 보기 어렵고, 농도가 너무 높으면 독성을 가지게 되므로 세포의 종류에 따라 적정한 농도를 확인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 "퍼모파민 (purmorphamine)"은 퓨린화합물 (purine compound)로서, Shh 신호체계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퍼모파민은 Shh 시그널을 유도할 수 있다면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유도체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1-Naphthoxy)-6-(4-morpholinoanilino)-9-cyclohexylpurin) 등을 시중에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퍼모파민은 신경줄기세포 유사세포로 역분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배지에 처리하면 된다. 이렇게 Shh 유사체인 퍼모파민을 처리하면 인간 섬유아세포로부터 신경줄기세포를 제조하기 위해 유전자를 도입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상기 퍼모파민은 상기 배지에 유효 농도로 포함되도록 한다. 배지의 종류와 배양방법 등 당분야에서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퍼모파민의 유효 농도는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포스콜린”은 다데닐산고리화효소의 촉매소단위를 직접 활성화하여 세포내 cAMP의 농도를 상승시키는 작용을 하며, “트라닐시프로민”은 신경말단에서 정상적으로 노르에피네프린을 분해하는 효소인 모노아민산화효소 (MAO)를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양 배지는 신경줄기세포 배양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배지를 모두 포함하며,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는 일반적으로 탄소원, 질소원 및 미량원소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지는 N2, B27,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비필수아미노산, bFGF, PDGF 및 아스코브산이 포함된 DMEM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유도된 세포 배양을 위한 배지는 당업계에 알려진 기본 배지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기본 배지는 인위적으로 합성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 제조된 배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업적으로 제조되는 배지의 예를 들면,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MEM(Minimal Essential Medium), BME(Basal Medium Eagle), RPMI 1640, F-10, F-12, α-MEM(α-Minimal essential Medium), G-MEM(Glasgow's Minimal Essential Medium) 및 Isocove's Modified Dulbecco's Medium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DMEM 배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DMEM 배지에 배양시켰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간 체세포는 포피 섬유아세포 (Foreskin fibroblast), 모낭 모유두세포 (Hair-follicle dermal papilla), IMR90 폐섬유아세포 또는 피부 섬유아세포 (Dermal Fibroblasts)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인간 체세포 외에 양막 줄기세포 (Amniotic derived Stem Cells) 또는 지방 줄기세포 (Adipose-derived Stem Cells)로부터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의 유도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의 Oct4는 단백질 또는 이의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Oct4 단백질은 이의 야생형(wild type)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단백질뿐만 아니라 Oct4 단백질의 변이체를 포함한다.
상기 Oct4 단백질의 변이체란 Oct4의 천연 아미노산 서열과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결실, 삽입, 비보전적 또는 보전적 치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상이한 서열을 가지는 단백질을 의미한다. 상기 변이체는 천연 단백질과 동일한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는 기능적 등가물이거나 필요에 의해서 단백질의 물리 화학적 성질이 변형되어 물리, 화학적 환경에 대한 구조적 안정성이 증대되거나 생리학적 활성이 증대된 변이체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Oct4 단백질을 코딩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갖는 핵산의 형태인 것이며, 상기 Oct4을 코딩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은 야생형 또는 상기 변이체 형태의 Oct4 단백질을 코딩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로서, 하나 이상의 염기가 치환, 결실, 삽입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변이될 수 있으며, 천연에서 분리되거나 화학적 합성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Oct4 단백질을 코딩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을 갖는 핵산은 단쇄 또는 이중쇄일 수 있으며, DNA 분자(게놈, cDNA) 또는 RNA 분자일 수 있다.
상기 Oct4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은 당 분야의 공지 방법, 예를 들어 벡터 형태의 네이키드 DNA로 세포내로 도입하거나(Wolff et al. Science,1990: Wolffet al. J Cell Sci. 103:1249-59, 1992), 리포좀(Liposome), 양이온성 고분자(Cationic polymer) 등을 이용하여 세포내로 도입될 수 있다. 리포좀은 유전자 도입을 위하여 DOTMA나 DOTAP 등의 양이온성 인지질을 혼합하여 제조한 인지질 막으로, 양이온성의 리포좀과 음이온성의 핵산이 일정 비율로 혼합하면 핵산-리포좀 복합체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벡터"란 적당한 숙주세포에서 목적 단백질을 발현할 수 있는 발현 벡터로서, 유전자 삽입물이 발현되도록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필수적인 조절 요소를 포함하는 유전자 작제물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작동가능하게 연결된(operably linked)"은 일반적 기능을 수행하도록 핵산 발현조절 서열과 목적하는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 서열이 기능적으로 연결(functional linkage)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재조합 벡터와의 작동적 연결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부위-특이적 DNA 절단 및 연결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효소 등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벡터는 프로모터, 오퍼레이터, 개시코돈, 종결코돈, 폴리아데닐화 시그널, 인핸서 같은 발현 조절 요소 외에도 막 표적화 또는 분비를 위한 신호 서열 또는 리더 서열을 포함하며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다. 벡터의 프로모터는 구성적 또는 유도성일 수 있다. 또한, 발현벡터는 벡터를 함유하는 숙주 세포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성 마커를 포함하고, 복제 가능한 발현벡터인 경우 복제 기원을 포함한다. 벡터는 자가 복제하거나 숙주 DNA에 통합될 수 있다.
벡터는 플라스미드 벡터, 코즈미드 벡터, 바이러스 벡터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바이러스 벡터이다. 바이러스 벡터는 레트로바이러스(Retrovirus), 예를 들어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 MLV(Murineleukemia virus), ASLV(Avian sarcoma/leukosis), SNV(Spleen necrosis virus), RSV(Rous sarcoma virus), MMTV(Mouse mammary tumor virus) 등,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 아데노 관련 바이러스(Adenoassociatedvirus), 헤르페스 심플렉스 바이러스(Herpes simplex virus) 등에서 유래한 벡터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는 PDGFRa, A2B5, Olig2, Sox10, S100b 및 ZFP536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마커를 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Sox1, Sox2 및 Pax6 마커를 발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i) TGF-β 타입 I 수용체 억제제 (TGF-β type I receptor inhibitor); (ii) ROCK 억제제 (Inhibitor of Rho-associated kinase); (iii) 히스톤 탈아세틸효소 억제제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및 (iv) Shh 작용제 (Sonic hedgehog agonist)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Oct4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분자가 도입된 인간 체세포 또는 Oct4 단백질로 처리된 인간 체세포로부터 직접적 리프로그래밍 (direct reprogramming)을 통한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 유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칼슘 통로 작용제 (Calcium channel agonist)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또한, RG108, BIX01294, SP600125, 리소포스파디드산(Lysophosphatidic acid), Bayk8644, 포스콜린(Forskolin),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EX527 및 로리프램(Rolipram) 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TGF-β 타입 I 수용체 억제제는 A83-01, ROCK 억제제는 티아조비빈 (Thiazovivin), 히스톤 탈아세틸효소 억제제는 발포릭산 (Valproic Acid) 또는 Shh 작용제는 퍼모파민 (Purmorphamine)인 것이 바람직하며, 칼슘 통로 작용제는 포스콜린 (Forskolin)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는 Sox1, Sox2 및 Pax6 마커를 발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기존의 유도 배양액에서 성장인자 및 특정 저분자성 물질을 제거하고, T3 (triiodo-l-thyronine), 티아조비빈, 폴스콜린 및 LIF를 첨가한 분화 배양액을 이용하여 유도된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가 희소돌기아교세포로 분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ROCK 억제제 (Inhibitor of Rho-associated kinase), 칼슘 통로 작용제 (Calcium channel agonist) 및 LIF (Leukemia Inhibitory Factor)가 포함된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희소돌기아교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지는 N2, B27,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비필수아미노산, 아스코브산 및 T3 (triiodo-l-thyronine)가 포함된 DMEM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의 경우, 대뇌에서도 극히 소량 존재하는 세포로 알려져 있을 뿐 아니라 대뇌를 구성하는 신경줄기세포에서도 분화율이 낮다고 알려져 있어, 상위 줄기세포로부터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확립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경우,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효율적으로 확립하려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지만, 최소 70일이라는 장기간의 분화를 통하여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확립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신경줄기세포를 거치지 않고 직접적 리프로그래밍을 통해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1주~2주 정도의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 배양을 통해 확립할 수 있으므로 단기간에 고효율의 세포 전환율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아직까지 인간체세포를 이용한 직접적 리프로그래밍을 이용한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의 확립에 대한 보고가 없으므로, 향후 세포치료제 시장에서 탈 수초성 질환 관련 치료제로 유용하며, 본 발명의 저분자성 물질이 신경계 치료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탈 수초성 질환(demyelination disease)은 희소돌기아교세포의 부재로 일어나는 난치성 신경계 질환으로, 종래의 기술은 배아줄기세포로부터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확립하여 치료하는 연구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배아줄기세포는 면역거부반응으로 인해 한계가 있을 뿐 아니라 윤리적인 문제가 있어 치료제로 확립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체세포로부터 직접적 리프로그래밍을 통해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확립하는 방법은 윤리적인 문제를 해결할 뿐 아니라, 면역거부반응이 없어 환자 맞춤형 세포 치료제를 확립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 실시예 ]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저분자성 물질의 선별 및 유도조건 확립
1-1: Sox10 리포터 시스템을 이용한 저분자성 물질의 선별
본 발명자들은 유전자 도입 없이 저분자성 물질만으로 마우스 세포로부터 신경줄기세포를 유도할 수 있는 조건을 확립한바 있다(KR 10-1357402). 따라서, 이전 연구에서 확립된 저분자성 물질을 토대로 인간 체세포를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로 유도할 수 있는 새로운 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희소돌기아교세포의 발달에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는 유전자인 Sox10 리포터 시스템(Sox10::eGFP)을 이용하여 저분자성 물질을 선별하였다(도 1).
Oct4 유전자가 도입된 세포를 Reprogramming Media(RM: DMEM High Glucose +5% Knock out Serum Replacement(KSR)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1% 비필수아미노산 +basic FGF(bFGF) 20ng/ml +Human Recombinant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PDGF) 20ng/ml +아스코브산 50㎍/ml)에서 배양하였을 때, 유도 1주일 후 상피-중간엽 이행(Mesenchymal to Epithelial Transition: MET) 과정을 통하여 세포의 길이가 짧아지고 크기가 작아져 상피 유사 콜로니(Epithelial like Colony)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세포를 마트리젤 코팅 디쉬(Matrigel coated dish)에 계대배양을 한 후, 신경줄기세포를 유도할 수 있는 저분자성 물질 조합인 A83-01, 티아조비빈(Thiazovivin), 발포릭산(Valproic Acid), 퍼모파민(Purmorphamine)이 포함된 배양액 (DMEM High glucose +1X N2 +1X B27(without vitamin A)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1% 비필수아미노산 +basic FGF(bFGF) 20ng/ml +Human Recombinant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PDGF) 20ng/ml +아스코브산 50㎍/ml +0.5μM A83-01 +0.5μM 티아조비빈 +0.1mM 발포릭산(VPA) +0.5μM 퍼모파민)에 후성적 조절인자(epigenetic modulator) 및 신경계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저분자성 물질 등을 추가적으로 조합하여 선별하였다.
다음은 저분자성 물질의 조합 조건을 나타낸다.
ATVP: 0.5μM A83-01 + 0.5μM 티아조비빈 + 0.1mM 발포릭산(VPA) + 0.5μM 퍼모파민, RG108: 0.5μM RG108, BIX01294: 0.25μM BIX01294, SP600125: 2μM SP600125, LPA: 2μM 리소포스파디드산(Lysophosphatidic acid), Bayk: 2μM Bayk8644, Fsk: 10μM 폴스콜린(Forskolin), Dex: 1μM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EX527: 5μM EX527, Rolipram: 2μM 로리프램(Rolipram)
그 결과, 10μM 포스콜린(Forskolin)을 첨가한 조건에서 Sox10::eGFP의 발현이 가장 높은(3.31%) 것을 FACS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도 3), 실시간 PCR을 통하여 Sox10 이외에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의 마커로 알려져 있는 Olig2, NKX2.2 및 ZFP536의 mRNA발현 또한 상기 조건에서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도 4).
1-2: KSR을 배제한 유도조건 확립
실시예 1-1의 Reprogramming Media(RM)에 함유된 Knockout Serum Replacement(KSR)의 경우 Oct4의 과발현과 함께 이용될 경우, 신경줄기세포로의 전환이 가능하다는 보고가 있다.
이에, 리프로그래밍이 아닌 분화로 유도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배제하기 위해, KSR을 제외한 조건에서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유도한 결과,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의 모양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고,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의 마커인 Olig2, Sox10 및 ZFP536의 발현을 PCR을 통해 검증하였다(도 5).
또한, 최적의 저분자성 물질 조합을 선별하기 위해 실시예 1-1의 유도 조건에서 저분자성 물질을 하나씩 제거하여 처리해본 결과, 저분자성 물질이 모두 함유된 배지에서 가장 높은 Sox10의 발현을 확인하였다(도 6).
따라서, 상기 확립된 조건(IM: DMEM High glucose +1X N2 +1X B27(without vitamin A)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1% 비필수아미노산 +basic FGF(bFGF) 20ng/ml +Human Recombinant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PDGF) 20ng/ml +아스코브산 50㎍/ml +0.5μM A83-01 +0.5μM 티아조비빈 +250μM 발포릭산(VPA) +0.5μM 퍼모파민 +10μM 포스콜린)을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의 유도조건으로 확립하였다(도 2).
실시예 2: 인간 체세포로부터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 유도 및 검증
실시예 1-1의 리포터 세포주로 사용된 Sox10::eGFP 섬유아세포(fibroblasts)의 경우 배아줄기세포(ES cell)로부터 분화를 통해 얻어진 세포이기 때문에 섬유아세포가 아닌 다른 줄기세포들을 완벽히 배제할 수 없어 체세포로부터의 직접적 리프로그래밍이라 볼 수 없다. 또한, 미국의 Shengding 연구팀과 Mickie Bhatia 연구팀이 인간체세포에 Oct4를 과발현 후 신경줄기세포를 확립하는 과정에서 KSR(Knock out Serum Replacement)이 들어간 배양액을 사용하였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배아(Embryo) 유래가 아닌 인간 체세포로부터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의 상위 줄기세포인 신경줄기세포를 거치지 않고 직접적 리프로그래밍을 유도하기 위하여 KSR이 들어간 RM(Reprogramming Media)를 사용하지 않았다(도 7).
즉, BJ 세포(포피 섬유아세포)에 Oct4 유전자를 도입한 뒤 마트리젤 코팅 디쉬(Matrigel coated dish)에 계대배양하고, 상기 실시예 1-2에서 확립된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의 유도조건(IM)에서 4일간 배양한 결과, 상피-중간엽 이행(MET) 과정을 거친 세포들이 관찰이 되었으며, 배양 7일 후 희소돌기아교 세포처럼 보이는 세포들이 관찰되었다(도 8).
또한, 배양 7일 후의 세포들이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FACS 분석(도 9) 및 면역화학염색법(도 10)을 통하여, 약 10% 세포들이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의 대표적인 마커인 PDGFRa 및 A2B5이 각각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실시간 PCR을 통하여 유도된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에서 역분화 줄기세포로부터 유래된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에서 발현되는 마커인 Olig2, Sox10, S100b 및 ZFP536이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1).
상기 결과를 토대로, 확립된 세포를 유도된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 (induced OPC: iOPC)라 명명하였다.
실시예 3: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의 희소돌기아교 세포로의 분화
3-1: 희소돌기아교 세포로의 분화
실시예 2에서 유도된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의 희소돌기아교세포로의 분화능력을 확인하기 위해, 기존 배양액에서 성장인자를 제거하고 분화 배양액 (DMEM High glucose + 1X N2 + 1X B27 (without vitamin A) +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 1% 비필수아미노산 + 50㎍/ml 아스코브산 + 40ng/ml T3 (triiodo-l-thyronine) + 0.5μM 티아조비빈 + 10μM 폴스콜린 + 10ng/ml Human Leukemia Inhibitor Factor(LIF))으로 바꾸어 주었다.
그 결과, 희소돌기아교세포의 전형적인 Branch 유형의 형태(morphology)를 나타내었고, 실시간 PCR을 통하여 MBP 및 MAG의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2).
또한, 분화된 희소돌기아교세포의 in vitro 마이엘린 수초형성(myelination)을 확인하기 위해 Rat의 해마(Hippocampus)로부터 얻은 뉴런과 공배양을 진행한 결과, 분화된 희소돌기아교세포가 뉴런과의 수초형성(myelination)을 이루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3).
3-2: 생체내 분화 및 치료능 검증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의 생체내 분화능 및 세포치료제로서의 치료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발성 경화증 동물모델(Experimental Autoimmune Encephalomyelitis mouse model, EAE mouse model)에 실시예 2에서 유도된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이식하였다.
그 결과, PBS를 주입한 대조군에서는 myelin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으나, iOPC가 이식된 군에서는 myelin이 정상 쥐와 유사하게 관찰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4). 즉, 유도된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 (induced OPC: iOPC)는 생체내에서 분화되어 세포치료제로의 효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직접적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의 유도
본 실시예에서는 iOPC를 확립하는 과정에서, iOPC가 Oct4 과발현 후에 유도된 신경줄기세포로부터 분화된 것이 아니라 직접적 리프로그래밍을 통해 확립이 되었다는 것을 검증하기 위하여, 유도 7일 동안의 유전자 발현 변화를 실시간 PCR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신경줄기세포의 마커로 알려진 Sox1, Sox2 및 Pax6 모두 7일 동안 발현이 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도 15).
또한, 유도 7일 동안 OPC의 성장인자로 알려진 FGF2 및 PDGF-AA에 의해 세포가 증식하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증식된 세포들은 PDGFRa 및 A2B5를 나타내는 세포임을 FACS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다(도 16).
따라서, 상기 결과를 바탕으로 iOPC는 유도 7일 동안 신경줄기세포를 거치지 않고 직접적 리프로그래밍을 통해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확립한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다양한 인간 체세포로부터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의 유도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로의 유도가 포피 섬유아세포(Foreskin fibroblast) 뿐 아니라 다른 인간 체세포 또는 줄기세포에서도 가능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5종 세포 (모낭 모유두세포(Hair-follicle dermal papilla), 양막 줄기세포(Amniotic derived Stem Cells), IMR90 폐섬유아세포, 피부 섬유아세포(Dermal Fibroblasts) 및 지방 줄기세포(Adipose-derived Stem Cells))에 Oct4를 과발현 시킨 후,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로 유도하였다.
그 결과, 포피 섬유아세포(Forskin Fibroblasts)와 마찬가지로 희소돌기아교전구세포의 대표적인 마커인 PDGFRα, A2B5 및 Olig2의 발현을 RT-PCR, 면역화학염색법 및 FACS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도 17 및 18).
따라서 Oct4와 저분자성 물질 조합은 BJ 세포(포피 섬유아세포)에 국한된 유도방법이 아니라 다양한 인간 체세포 또는 줄기세포에 적용될 수 있는 유도 방법임을 증명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9)

  1. Oct4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분자가 도입된 인간 체세포를 (i) TGF-β 타입 I 수용체 억제제 (TGF-β type I receptor inhibitor); (ii) ROCK 억제제 (Inhibitor of Rho-associated kinase); (iii) 히스톤 탈아세틸효소 억제제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및 (iv) Shh 작용제 (Sonic hedgehog agonist)를 함유하는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직접적 리프로그래밍 (direct reprogramming)을 통한 인간 체세포로부터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유도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는 칼슘 통로 작용제 (Calcium channel agonist)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적 리프로그래밍 (direct reprogramming)을 통한 인간 체세포로부터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유도하는 방법.
  3. 인간 체세포를 (i) TGF-β 타입 I 수용체 억제제 (TGF-β type I receptor inhibitor); (ii) ROCK 억제제 (Inhibitor of Rho-associated kinase); (iii) 히스톤 탈아세틸효소 억제제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및 (iv) Shh 작용제 (Sonic hedgehog agonist)를 함유하는 배지에서 배양하되, 상기 인간 체세포는 배양 전, 배양과 동시에 또는 배양 후에 Oct4 단백질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직접적 리프로그래밍 (direct reprogramming)을 통한 인간 체세포로부터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유도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는 칼슘 통로 작용제 (Calcium channel agonist)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적 리프로그래밍 (direct reprogramming)을 통한 인간 체세포로부터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유도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는 RG108, BIX01294, SP600125, 리소포스파디드산(Lysophosphatidic acid), Bayk8644, 포스콜린(Forskolin),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EX527 및 로리프램(Rolipram)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적 리프로그래밍 (direct reprogramming)을 통한 인간 체세포로부터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유도하는 방법.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TGF-β 타입 I 수용체 억제제는 A83-01이고, ROCK 억제제는 티아조비빈 (Thiazovivin)이며, 히스톤 탈아세틸효소 억제제는 발포릭산 (Valproic Acid)이고, Shh 작용제는 퍼모파민 (Purmorphami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적 리프로그래밍 (direct reprogramming)을 통한 인간 체세포로부터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유도하는 방법.
  7.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칼슘 통로 작용제는 포스콜린 (Forskol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적 리프로그래밍 (direct reprogramming)을 통한 인간 체세포로부터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유도하는 방법.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는 N2, B27,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비필수아미노산, bFGF, PDGF 및 아스코브산이 포함된 DME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적 리프로그래밍 (direct reprogramming)을 통한 인간 체세포로부터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유도하는 방법.
  9.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간 체세포는 포피 섬유아세포 (Foreskin fibroblast), 모낭 모유두세포 (Hair-follicle dermal papilla), IMR90 폐섬유아세포 및 피부 섬유아세포 (Dermal Fibroblast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적 리프로그래밍 (direct reprogramming)을 통한 인간 체세포로부터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유도하는 방법.
  10.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는 PDGFRa, A2B5, Olig2, Sox10, S100b 및 ZFP536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마커를 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적 리프로그래밍 (direct reprogramming)을 통한 인간 체세포로부터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유도하는 방법.
  11.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는 Sox1, Sox2 및 Pax6 마커를 발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접적 리프로그래밍 (direct reprogramming)을 통한 인간 체세포로부터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유도하는 방법.
  12. (i) TGF-β 타입 I 수용체 억제제 (TGF-β type I receptor inhibitor); (ii) ROCK 억제제 (Inhibitor of Rho-associated kinase); (iii) 히스톤 탈아세틸효소 억제제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및 (iv) Shh 작용제 (Sonic hedgehog agonist)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Oct4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분자가 도입된 인간 체세포 또는 Oct4 단백질로 처리된 인간 체세포로부터 직접적 리프로그래밍 (direct reprogramming)을 통한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 유도용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칼슘 통로 작용제 (Calcium channel agonist)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ct4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분자가 도입된 인간 체세포 또는 Oct4 단백질로 처리된 인간 체세포로부터 직접적 리프로그래밍 (direct reprogramming)을 통한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 유도용 조성물.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RG108, BIX01294, SP600125, 리소포스파디드산(Lysophosphatidic acid), Bayk8644, 포스콜린(Forskolin),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EX527 및 로리프램(Rolipram)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ct4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분자가 도입된 인간 체세포 또는 Oct4 단백질로 처리된 인간 체세포로부터 직접적 리프로그래밍 (direct reprogramming)을 통한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 유도용 조성물.
  15. 제12항에 있어서, TGF-β 타입 I 수용체 억제제는 A83-01이고, ROCK 억제제는 티아조비빈 (Thiazovivin)이며, 히스톤 탈아세틸효소 억제제는 발포릭산 (Valproic Acid)이고, Shh 작용제는 퍼모파민 (Purmorphami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ct4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분자가 도입된 인간 체세포 또는 Oct4 단백질로 처리된 인간 체세포로부터 직접적 리프로그래밍 (direct reprogramming)을 통한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 유도용 조성물.
  16. 제13항에 있어서, 칼슘 통로 작용제는 포스콜린 (Forskol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ct4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분자가 도입된 인간 체세포 또는 Oct4 단백질로 처리된 인간 체세포로부터 직접적 리프로그래밍 (direct reprogramming)을 통한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 유도용 조성물.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는 Sox1, Sox2 및 Pax6 마커를 발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ct4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분자가 도입된 인간 체세포 또는 Oct4 단백질로 처리된 인간 체세포로부터 직접적 리프로그래밍 (direct reprogramming)을 통한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 유도용 조성물.
  1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ROCK 억제제 (Inhibitor of Rho-associated kinase), 칼슘 통로 작용제 (Calcium channel agonist) 및 LIF (Leukemia Inhibitory Factor)가 포함된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희소돌기아교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는 N2, B27,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비필수아미노산, 아스코브산 및 T3 (triiodo-l-thyronine)가 포함된 DME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희소돌기아교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
KR1020160043593A 2015-05-19 2016-04-08 Oct4가 도입된 인간체세포로부터 직접적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유도하는 방법 KR101782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4603 WO2016186346A1 (ko) 2015-05-19 2016-05-02 Oct4가 도입된 인간체세포로부터 직접적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유도하는 방법
CA2986368A CA2986368C (en) 2015-05-19 2016-05-02 Method of inducing oligodendrocyte precursor cells from oct4-induced human somatic cells through direct reprogramming
JP2017560793A JP6522790B2 (ja) 2015-05-19 2016-05-02 Oct4が導入されたヒト体細胞からダイレクトリプログラミングを用いた希突起膠前駆細胞を誘導する方法
CN201680038355.7A CN107810268B (zh) 2015-05-19 2016-05-02 通过直接重编程由引入Oct4的人体细胞诱导少突胶质细胞前体细胞的方法
US15/575,369 US20180155685A1 (en) 2015-05-19 2016-05-02 Method for inducing oligodendrocyte precursor cells from oct4-induced human somatic cells through direct reprogramming
EP16796673.8A EP3321354A4 (en) 2015-05-19 2016-05-02 Method for inducing oligodendrocyte precursor cells from oct4-induced human somatic cells through direct reprogramming
AU2016264166A AU2016264166B2 (en) 2015-05-19 2016-05-02 Method of inducing oligodendrocyte precursor cells from oct4 introduced human somatic cells through direct reprogramming
US16/429,062 US10767163B2 (en) 2015-05-19 2019-06-03 Method for inducing oligodendrocyte precursor cells from Oct4-induced human somatic cells through direct reprogramming
US16/992,136 US11572540B2 (en) 2015-05-19 2020-08-13 Method for inducing oligodendrocyte precursor cells from OCT4-induced human somatic cells through direct reprogramm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696 2015-05-19
KR20150069696 2015-05-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224A true KR20160136224A (ko) 2016-11-29
KR101782488B1 KR101782488B1 (ko) 2017-09-28

Family

ID=57706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3593A KR101782488B1 (ko) 2015-05-19 2016-04-08 Oct4가 도입된 인간체세포로부터 직접적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유도하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20180155685A1 (ko)
EP (1) EP3321354A4 (ko)
JP (1) JP6522790B2 (ko)
KR (1) KR101782488B1 (ko)
CN (1) CN107810268B (ko)
AU (1) AU2016264166B2 (ko)
CA (1) CA2986368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9713A3 (ko) * 2017-09-21 2019-05-23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자연살해세포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WO2021054806A1 (ko) * 2019-09-20 2021-03-2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직접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유도 도파민성 신경세포 전구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2488B1 (ko) 2015-05-19 2017-09-28 주식회사 스템랩 Oct4가 도입된 인간체세포로부터 직접적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유도하는 방법
CN107142240B (zh) * 2016-06-03 2021-01-29 中国人民解放军军事医学科学院野战输血研究所 将消化道来源上皮细胞重编程为内胚层干/祖细胞的方法及应用
CN110714024A (zh) * 2018-07-13 2020-01-21 中国科学院上海生命科学研究院 建立自外周血单核细胞的神经前体细胞及其构建方法
EP4081258A4 (en) * 2019-10-18 2024-04-17 Beixcell Beijing Biotechnology Ltd GENERATION OF PLURIPOTENT STEM CELLS INDUCED BY POLYCISTRONIC SOX2, KLF4 AND POSSIBLY C-MYC
WO2023217125A1 (zh) * 2022-05-10 2023-11-16 上海赛立维生物科技有限公司 前列腺前体样细胞、细胞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WO2024012502A1 (zh) * 2022-07-12 2024-01-18 南京瑞初医药有限公司 组合物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402B1 (ko) * 1998-07-08 2003-03-03 애경산업(주) 죽내피 추출물을 함유한 미백화장료
WO2011006205A1 (en) 2009-07-15 2011-01-20 Regenertech Pty Limited Method of producing progenitor cells from differentiated cells
JP2012031127A (ja) * 2010-08-03 2012-02-16 Nagoya Univ 臍帯由来間葉系幹細胞を含む組成物
KR101357402B1 (ko) 2012-01-20 2014-02-07 주식회사 스템랩 유전자 도입 없이 직접적 역분화를 통해 체세포로부터 신경상피세포 및 신경줄기세포를 유도하는 방법
CN102604894B (zh) * 2012-02-29 2014-07-30 中国科学院广州生物医药与健康研究院 用于制备神经干细胞的培养基及其用途
WO2016167528A1 (ko) * 2015-04-13 2016-10-20 고려대학교산학협력단 소분자 화합물을 이용한 인간 섬유아세포를 신경줄기세포로 직접 전환하는 방법
KR101816103B1 (ko) 2015-04-13 2018-01-0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분자 화합물을 이용한 인간 섬유아세포를 신경줄기세포로 직접 전환하는 방법
KR101782488B1 (ko) 2015-05-19 2017-09-28 주식회사 스템랩 Oct4가 도입된 인간체세포로부터 직접적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유도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9713A3 (ko) * 2017-09-21 2019-05-23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자연살해세포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WO2021054806A1 (ko) * 2019-09-20 2021-03-2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직접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유도 도파민성 신경세포 전구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6264166B2 (en) 2019-09-19
JP2018516570A (ja) 2018-06-28
CN107810268B (zh) 2021-09-24
US10767163B2 (en) 2020-09-08
CA2986368A1 (en) 2016-11-24
US20180155685A1 (en) 2018-06-07
EP3321354A4 (en) 2018-11-14
EP3321354A1 (en) 2018-05-16
CA2986368C (en) 2021-06-01
US20190284528A1 (en) 2019-09-19
JP6522790B2 (ja) 2019-05-29
US20210017491A1 (en) 2021-01-21
KR101782488B1 (ko) 2017-09-28
AU2016264166A1 (en) 2017-12-07
CN107810268A (zh) 2018-03-16
US11572540B2 (en) 202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2488B1 (ko) Oct4가 도입된 인간체세포로부터 직접적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유도하는 방법
JP7407865B2 (ja) 細胞の再プログラミングのための方法とその用途
AU2014250190B2 (en) Method for producing reprogrammed derivative neuronal stem cell from non-neuronal cell by using HMGA2
US9290740B2 (en) Use of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in the de-differentiation of animal connective tissue cells
KR101211624B1 (ko) Shh, FGFR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 MEK 억제제와 GSK 억제제를 이용하여 체세포로부터 배아줄기세포 유사세포로의 역분화를 유도하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배아줄기세포 유사세포의 제조방법
KR20110124101A (ko) Bmi1, MEK 억제제와 GSK 억제제를 이용하여 체세포로부터 배아줄기세포 유사세포로의 역분화를 유도하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배아줄기세포 유사세포의 제조방법
WO2016186346A1 (ko) Oct4가 도입된 인간체세포로부터 직접적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희소돌기아교 전구세포를 유도하는 방법
KR101188878B1 (ko) 퍼모파민 및 Oct4를 이용하여 체세포로부터 배아줄기세포 유사세포로의 역분화를 유도하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배아줄기세포 유사세포의 제조방법
KR101188877B1 (ko) 옥시스테롤 및 Oct4를 이용하여 체세포로부터 배아줄기세포 유사세포로의 역분화를 유도하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배아줄기세포 유사세포의 제조방법
Raciti Reprogramming fibroblasts to Neural-Stem-like cells by structured overexpression of pallial patterning genes
KR20110078222A (ko) Shh 및 Oct4를 이용하여 체세포로부터 배아줄기세포 유사세포로의 역분화를 유도하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배아줄기세포 유사세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