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5781A - 생체 분자 분석 장치 - Google Patents

생체 분자 분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5781A
KR20160135781A KR1020167029136A KR20167029136A KR20160135781A KR 20160135781 A KR20160135781 A KR 20160135781A KR 1020167029136 A KR1020167029136 A KR 1020167029136A KR 20167029136 A KR20167029136 A KR 20167029136A KR 20160135781 A KR20160135781 A KR 20160135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transfer film
cover
anode
electrod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9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5608B1 (ko
Inventor
다이가 도미나가
히데끼 기노시따
신이찌 고또
미에꼬 히라바야시
고우헤이 가게야마
다까떼루 마쯔나가
기미히꼬 야베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255113A external-priority patent/JP602581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034588A external-priority patent/JP6030681B2/ja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35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5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16Systems
    • G01N27/447Systems using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16Systems
    • G01N27/447Systems using electrophoresis
    • G01N27/44704Details; Accessories
    • G01N27/44717Arrangements for investigating the separated zones, e.g. localising zones
    • G01N27/44739Collecting the separated zones, e.g. blotting to a membrane or punching of gel spo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16Systems
    • G01N27/447Systems using electrophoresis
    • G01N27/44756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1N27/44773Multi-stage electrophoresis, e.g.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분리부가 연직으로 배치되는 구성이며, 또한 전극에서 발생한 기포가 전사막과 분리부의 맞닿음 개소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양극(32)은 전기 영동 겔 칩(50)의 배출부(50a)로부터 전사막(1)의 반송 방향(X)에 있어서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양극(32)의 상부에, 양극(32)에서 발생한 기포를 릴리프하기 위한 절연성 전극 커버(35)가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생체 분자 분석 장치{BIOMOLECULAR ANALYSIS APPARATUS}
본 발명은, 단백질 등의 생체 분자를 분석하기 위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포스트 게놈 연구의 중심적 위치를 담당하고 있는 단백체 해석에 있어서, 이차원 전기 영동법(2DE) 및 웨스턴 블로팅법의 조합은, 우수한 분리 분석 방법으로서 알려져 있다. 2DE는, 단백질에 고유의 독립된 2개의 물리적 성질(전하 및 분자량)에 기초하여, 다양한 분리 매체를 사용하여, 단백체를 복수의 성분(단백질)으로 고분해 가능하게 분리할 수 있다. 2DE에 의한 분리 결과를 이용해서 단백질을 더 분석할 경우, 분리 매체에 함유되는 복수의 단백질을, 웨스턴 블로팅법에 의해 전사막에 고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전사막에 고정화된 단백질이, 장기간에 걸쳐 안정되게 보존될 수 있는 데다가 분석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특히, 단백질의 발현량의 증감 및 번역 후 수식의 유무와 같은 단백질의 복수의 생물학적 특징을, 2DE에 의한 분리 결과를 이용해서 망라적으로 비교 검토할 경우, 웨스턴 블로팅법은 필수적인 공정이라 할 수 있다.
종래의 웨스턴 블로팅법에는, 전사막과 분리 매체의 접촉 개소에, 양극으로부터 발생한 기포가 부착됨으로써, 전사막에 고정화되는 단백질의 패턴이 희미해지거나 왜곡되거나 하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에 관하여, 특허문헌 1에는 원기둥 형상의 다공질 재료로 덮인 양극을 사용하는 고안이 개시되어 있다. 이 고안의 이점에 대해서, 특허문헌 1에는 다음과 같이 개시되어 있다. 양극으로부터 발생한 기포가 다공질 재료를 통과할 때에 그 사이즈가 커지기 때문에, 기포가 수면까지 상승하기 쉬워진다. 이에 의해, 버퍼 중으로의 미소한 기포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접촉 개소로의 기포의 악영향을 없앨 수 있다.
미국 특허 제5,916,429호(1999년 6월 29일 발행) 미국 특허 제5,234,559호(1993년 8월 10일 발행) 일본 공표 특허 공보「일본 특허 공표 평9-501774호(1997년 2월 18일 공표)」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발생한 기포를 버퍼조의 상부에서 통합해서 배출하므로, 분리 매체를 수평하게 설치하는 경우에는 유효하다. 그러나 분리 매체를 연직으로 설치할 경우, 양극이 버퍼조의 저부에 배치되므로, 양극으로부터 발생한 기포가 수면에 도달하기 전에 전사막과 분리 매체와의 접촉 개소를 향하고, 그 결과, 기포가 접촉 개소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여전히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그 목적은, 분리부가 연직으로 배치되는 구성이며, 또한 전극에서 발생한 기포가 전사막과 분리부와의 맞닿음 개소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생체 분자 분석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전사막과,
상기 전사막을 소정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반송하는 반송부와,
상기 전사막에 대하여 수직으로 맞닿고 또한 연직으로 설치되어, 전기 영동에 의해 검체를 분리하고, 분리한 상기 검체를 상기 전사막에 배출하는 분리부와,
상기 분리부와 상기 전사막과의 맞닿음 개소로부터 상기 반송 방향에 있어서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전극과,
상기 전극의 상부에 있어서, 상기 전극과 맞닿거나 또는 상기 전극으로부터 이격해서 배치되는 절연성의 전극 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완충액조와,
상기 완충액조 내에 배치되는 전사막과,
상기 전사막을 소정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반송하는 반송부와,
상기 전사막에 대하여 수직으로 맞닿고 또한 연직으로 설치되어, 전기 영동에 의해 검체를 분리하고, 분리한 상기 검체를 상기 전사막에 배출하는 분리부와,
상기 분리부와 상기 전사막과의 맞닿음 개소로부터 상기 반송 방향에 있어서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전극과,
상기 전극과 상기 맞닿음 개소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성의 전극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완충액조의 저부에 있어서의 상기 전극과 상기 맞닿음 개소 사이에 끼인 위치에, 제1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극 커버는, 상기 제1 오목부를 향해 수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분리부가 연직으로 배치되는 구성이며, 또한 전극에서 발생한 기포가 전사막과 분리부와의 맞닿음 개소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생체 분자 분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에 있어서의 양극 커버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의 개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의 개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양극 커버가 없는 경우에 발생하는 전기력선의 확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축소 부재의 배치, 및 배출부로부터 발생하는 전기력선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있어서의 전극 커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있어서의 양극 커버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에 있어서의 양극 커버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관한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의 개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의 개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관한 지지 부재를 구비한 전극 커버의 개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의 개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7 및 실시 형태 8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의 개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9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의 개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실시 형태 1〕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4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0)]
먼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에 사용되는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2의 (a)는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0)의 개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의 (b)는, 도 2의 (a)에 있어서의 선 A 및 선 B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0)은 전사막(1)의 1변(제1 변)과 그 1변에 대향하는 1변(제2 변)을, 한 쌍의 프레임(프레임 부재)(2)에 의해 개별로 지지되고 있다.
도 2의 (b)의 선 A 및 선 B에 있어서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0)은, 한 쌍의 프레임(2)에 있어서의 끼워 맞춤부(3)로서, 프레임(2)을 관통하는 개구 형상의 끼워 맞춤부(관통 구멍)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끼워 맞춤부(3)는, 각각 대응하는 볼록 형상의 끼워 맞춤부에 끼워 맞출 수 있다. 이에 의해, 끼워 맞춤부(3)에 의해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0)과 생체 분자 분석 장치를 고정할 수 있다.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0)은 한 쌍의 프레임(2)을 평행하게 고정하고, 서로를 이격함으로써, 전사막(1)을 느슨함 없이 팽팽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된 전사막(1)을 프레임(2)에 의해 고정할 수 있으므로, 간단하면서도 또한 적절한 장력을 전사막(1)에 부여하면서,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0)을 생체 분자 분석 장치에 설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생체 분자 분석 장치에 고정하고, 배출 전사에 의해 검체를 전사할 때에 블롯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0)에서는, 전사막(1)의 추로서 프레임(2)을 사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셰이카 등의 시약조 안에 시약 중에 있어서 전사막(1)이 작용하여, 항체 반응에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0)은, 전사막(1)과 한 쌍의 프레임(2)으로 이루어지는 간단한 구성이므로, 예를 들어 외주 전체를 프레임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전사막을 평탄하게 확장해서 고정하고 있는 것이나, 만곡한 프레임에 의해 전사막을 확장해서 고정하고 있는 것과 비교하여, 부피가 크지 않아, 예를 들어 웨스턴 블로팅법을 행할 때에 사용하는 항체의 양을 적게 할 수 있다.
[전사막(1)]
전사막(1)은 생체 분자 분석 장치의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생체 분자 샘플(검체)을 흡착하고, 보유 지지하기 위한 막이다. 여기서, 전사막(1)은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생체 분자 샘플(검체)을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보존 가능하게 하고, 또한 그 후의 분석을 용이하게 하는 생체 분자 샘플의 흡착·보유 지지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사막(1)의 재질로서는, 높은 강도를 갖고, 또한 샘플 결합 능력(단위 면적당 흡착 가능한 중량)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전사막(1)으로서는, 샘플이 단백질인 경우에는 폴리불화비닐리덴(PVDF)막 등이 적합하다. 또한, PVDF막은 미리 메탄올 등을 사용해서 친수화 처리를 행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는, 니트로셀룰로오스막 또는 나일론막 등, 종래부터 단백질, DNA 및 핵산의 흡착에 이용되고 있는 막도 사용 가능하다.
생체 분자 분석 장치에 있어서 분리 및 흡착될 수 있는 생체 분자 샘플로서는, 단백질, DNA 및 RNA를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생물 재료(예를 들어, 생물 개체, 체액, 세포주, 조직 배양물, 또는 조직 단편)로부터의 조제물, 또는 시판되고 있는 시약 등도, 샘플의 예에 포함된다. 나아가, 폴리펩티드 또는 폴리뉴클레오티드도 샘플 중 1종이다.
[프레임(2)]
한 쌍의 프레임(2)의 각각은, 프레임(2)의 길이가 고정되는 전사막(1)의 1변의 길이보다 긴 것이면 된다. 또한, 프레임(2)은 절연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성 재료로서는, 폴리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세탈(POM),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등의 수지 또는 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은 표면에 친수성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재질로 이루어지는 프레임(2)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면 된다. 이에 의해, 프레임(2)의 표면에 분리부의 배출부로부터 배출된 단백질 등의 검체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프레임(2)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의 표면에 있어서의 대수 접촉각은, 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프레임(2)의 표면에 있어서의 대수 접촉각을 90° 이하로 함으로써, 프레임(2)이 검체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적절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0)]
이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0)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0)의 개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0)는 클램프(20), 양극 버퍼조(30)(버퍼조), 양극 스테이지(31), 음극 버퍼조(40), 전기 영동 겔 칩(50)(분리부) 및 반송부를 구비하고 있다.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0)에 있어서, 양극 버퍼조(30)는 양극 스테이지(31)에 착탈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양극 버퍼조(30) 내에 클램프(20)가 배치되어 있고,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0)은 양극 버퍼조(30) 내에 있어서 클램프(20)에 고정되어 있다. 음극 버퍼조(40)는 양극 버퍼조(30)에 착탈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전기 영동 겔 칩(50)은 서로 대향하는 양단부 중 일단부가 양극 버퍼조(30) 내에 위치하고, 타단부가 음극 버퍼조(40) 내에 위치하도록,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0)에 배치되어 있다.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0)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전기 영동 겔 칩(50)은 분리 겔(52)에 도입된 검체를 전기 영동에 의해 분리하고, 분리한 검체를 전사막(1)에 대하여, 전기 영동 겔 칩(50)의 일단부에 있는 배출부(50a)를 통해서 배출한다. 반송부는, 전사막(1)을 반송 방향 X[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0)에 있어서의 프레임(2)이 설치된 1변(제1 변)으로부터, 프레임(2)이 설치된 다른 변(제2 변)을 향하는 방향]으로 반송한다. 이에 의해, 배출된 검체가, 전사막(1)에 있어서의 배출되는 타이밍을 따른 위치[배출된 타이밍에 있어서 전기 영동 겔 칩(50)에 대향하고 있던 위치]에 흡착된다. 이에 의해, 분리된 검체가 전사막(1)에 전사된다.
[클램프(20)]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20)는 전방부 클램프(20a 및 20b)와, 후방부 클램프(21a 및 21b)와, 클램프 프레임(22)을 구비하고 있다. 전방부 클램프(20a 및 20b)는, 전사막(1)이 반송될 때의 반송 종료 지점측에 배치되어 있고, 한편 후방부 클램프(21a 및 21b)는 반송 개시 지점측에 배치되어 있다.
클램프(20)에 있어서, 전방부 클램프(20a)와 전방부 클램프(20b)는, 지그에 의해 해방할 수 있도록 고정되어 있다. 전방부 클램프(20a)에 있어서의 2개소에는 도시하지 않은 끼워 맞춤부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의 끼워 맞춤부에 대하여, 도 2의 (a)에 나타내는 한쪽 프레임(2)의 2개소에 설치된 끼워 맞춤부(3)를 각각 끼워 맞추게 한다. 그 후, 전방부 클램프(20a)와 전방부 클램프(20b)에 의해, 한쪽의 프레임(2)을 끼워 넣어서 고정한다.
마찬가지로, 클램프(20)에 있어서, 후방부 클램프(21a)와 후방부 클램프(21b)는, 지그에 의해 해방할 수 있도록 고정되어 있다. 후방부 클램프(21a)에 있어서의 2개소에는 도시하지 않은 끼워 맞춤부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의 끼워 맞춤부에 대하여, 도 2의 (a)에 도시하는 다른 쪽의 프레임(2)의 2개소에 설치된 끼워 맞춤부(3)를 각각 끼워 맞추게 한다. 그 후, 후방부 클램프(21a)와 후방부 클램프(21b)에 의해, 다른 쪽의 프레임(2)을 끼워 넣어서 고정한다.
클램프 프레임(22)은 전방부 클램프(20a)와 후방부 클램프(21a)를 일정한 거리로 이격한 상태에서 고정하고 있다. 이로 인해, 클램프(20)에 의해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0)을 고정했을 때에, 전사막(1)은 느슨해짐 없이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에서 고정된다. 또한, 클램프 프레임(22)은 전사막(1)의 반송 방향 측방[프레임(2)에 의해 지지되어 있지 않은 2변의 외측]으로부터, 전방부 클램프(20a)와 후방부 클램프(21a)를 고정한다. 이에 의해,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0)에 클램프(20)를 개재해서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0)을 고정했을 때에, 전사막(1)의 반송 경로에 있어서 클램프 프레임(22)이 전기 영동 겔 칩(50) 및 가이드(33 및 34)에 접촉하지 않도록,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0)을 배치할 수 있다.
캐리어(23)는 전방부 클램프에(20b)에 설치되어 있다. 클램프(20)를 양극 버퍼조(30)의 내측에 설치할 때, 클램프(20)를 양극 버퍼조(30)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가이드 폴(66)에 캐리어(23)를 통해서 착탈 가능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양극 버퍼조(30)]
도 3에 있어서, 양극 버퍼조(30)를 점선으로 나타낸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극 버퍼조(30)는 양극(전극)(32), 가이드(지지 부재)(33 및 34), 및 양극 커버(35)(전극 커버)를 구비하고 있다.
양극 버퍼조(30)에는, 양극 버퍼가 채워져 있다. 양극 버퍼로서는, 예를 들어 Tris/글리신계 완충액, 아세트산 완충 용액, 탄산나트륨계 완충액, CAPS 완충액, Tris/붕산/EDTA 완충액, Tris/아세트산/EDTA 완충액, MOPS, 인산 완충액, Tris/트리신계 완충액 등의 완충액을 사용할 수 있다. 클램프(20)에 고정된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0)은, 양극 버퍼조(30) 내에 채워진 양극 버퍼 중에 설치되어 있다.
양극(32)은 백금선 등에 의해 구성되는, 가늘고 긴 막대 형상의 전극이다. 양극(32)은 그 길이 방향이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0)의 반송 방향 X와 수직이 되도록, 양극 버퍼조(30)의 저부에 설치되어 있다. 양극(32)은 전기 영동 겔 칩(50)에 있어서의 배출부(50a)의 바로 아래가 아닌, 반송 방향 X에 있어서 배출부(50a)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위치는,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0)이 설치되었을 때에, 전사막(1)의 전기 영동 겔 칩(50)에 대향하는 측의 이면으로부터, 양극(32)과 음극(41) 사이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는 위치이다.
가이드(33 및 34)는 전사막(1)에 있어서 전기 영동 겔 칩(50)이 맞닿음(접촉)하는 위치를, 반송 방향의 전후에서 끼우는 한 쌍의 위치를, 전사막(1)의 전기 영동 겔 칩(50)과는 반대측으로부터 각각 지지하는 지지 부재이다. 가이드(33 및 34)는 양극 버퍼조(30)의 저부에 있어서,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0)이 반송되는 반송 경로 위에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33 및 34)는 각각의 높이 방향이, 전기 영동 겔 칩(50)의 면 내 방향에 평행하며, 또한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0)이 반송되는 반송 방향 X에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이드(33 및 34)는 전사막(1)의 전기 영동 겔 칩(50)에 대향하는 측의 이면으로부터 전사막(1)을 전기 영동 겔 칩(50)에 있어서의 배출부(50a)측의 단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지지한다.
[양극 커버(35)]
양극 커버(35)는 양극(32)의 상부에 있어서, 양극(32)과 맞닿거나 또는 양극(32)으로부터 이격해서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0)는 양극 커버(35)를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양극(32)으로부터 전극에서 발생한 기포를 양극 버퍼조(30)의 상부로 릴리프할 수 있으므로, 전사막(1)과 전기 영동 겔 칩(50)과의 맞닿음 개소에 기포가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양극 커버(35)는 절연성의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절연성 재료로서는, 폴리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세탈(POM),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등의 수지 또는 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양극 커버(35)는 표면에 친수성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재질로 이루어지는 프레임(2)의 표면에, 예를 들어 코팅층을 형성하면 된다. 이에 의해, 양극(32)에서 발생한 기포를, 양극 커버(35)의 표면을 따라 양극 버퍼조(30)의 상부로 보다 릴리프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양극 커버(35)의 표면에 있어서의 대수 접촉각은, 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양극 커버(35)의 표면에 있어서의 대수 접촉각을 90° 이하로 함으로써, 기포를 양극 커버(35)의 표면을 따라 보다 릴리프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음극 버퍼조(40)]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극 버퍼조(40)는 음극(41) 및 로크(42)를 구비하고 있다. 음극(41)은 백금선 등에 의해 구성되는, 가늘고 긴 막대 형상의 전극이다. 음극(41)은 그 길이 방향이 전사막(1)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도록, 음극 버퍼조(40)의 내측에 있어서의 상부[분리 겔(52)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 즉 음극(41)의 길이 방향은 양극(32)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음극 버퍼조(40)에는, 음극 버퍼가 채워져 있다. 음극 버퍼에는, 양극 버퍼와 마찬가지인 완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음극 버퍼조(40) 내에 있어서, 전기 영동 겔 칩(50)이 로크(4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때, 전기 영동 겔 칩(50)에 있어서의, 배출부(50a)와는 반대측의 단부가 음극 버퍼조(40)에 채워진 음극 버퍼에 침지되어 있다. 한편, 전기 영동 겔 칩(50)에 있어서의, 배출부(50a)측의 단부가 양극 버퍼조(30)에 채워진 양극 버퍼에 침지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 겔(52)에 있어서의 배출부(50a)측과 반대측의 단부는, 음극(41)에 대향하고 있다. 한편, 분리 겔(52)에 있어서의 배출부(50a)측의 단부는, 양극(32)에 대향하고 있지 않다. 이와 같이, 분리 겔(52)에 있어서의 배출부(50a)측의 단부는, 전사막(1)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양극(32)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있다.
[전기 영동 겔 칩(50)]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영동 겔 칩(50)은 절연판(51), 분리 겔(52) 및 절연판(53)을 구비하고 있다. 절연판(51) 및 절연판(53)은, 예를 들어 유리 및 아크릴 등의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절연판(51)과 절연판(53) 사이에, 분리 겔(52)이 형성되어 있다.
분리 겔(52)은, 도입된 생체 분자 샘플(검체)을 분자량에 따라서 분리하기 위한 겔이다. 분리 겔(52)의 예로서는, 폴리아크릴아미드 겔 및 아가로오스 겔 등을 들 수 있고, 상술한 적합한 조성에 완충액에 맞춘 겔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리 겔(52)은 전기 영동 겔 칩(50)을 음극 버퍼조(40)에 대하여 설치하기 전에 전기 영동 겔 칩(50) 내에 충전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전기 영동 겔 칩(50)은 전사막(1)에 대하여 수직으로 접촉하도록,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0)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기 영동 겔 칩(50)은 연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전사막(1)의 표면에는, 전기 영동 겔 칩(50)의 배출부(50a)가 접촉하고 있다. 전기 영동 겔 칩(50)에 있어서, 배출부(50a)에 대향하고 또한 음극 버퍼조(40) 중에 배치되는 단부를 통해서, 분리 겔(52)에 대하여 생체 분자 샘플이 공급된다. 생체 분자 샘플이 공급된 후, 양극(32)과 음극(41)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전기 영동이 행하여진다. 그 결과, 검체가 배출부(50a)를 통해서 전사막(1)에 전사된다.
[반송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부는 모터(62), 볼 나사(63), 가이드 샤프트(64), 샤프트 홀더(65), 가이드 폴(66)을 구비하고 있다.
반송부에서는, 모터(62)에 의해 볼 나사(63)를 회전시킴으로써, 가이드 샤프트(64)를 따라, 샤프트 홀더(65)를 전사 방향 X로 이동할 수 있다. 샤프트 홀더(65)에는 가이드 폴(66)이 고정되어 있고, 가이드 폴(66)이 양극 버퍼조(30)의 외부로부터 클램프(20)에 설치된 캐리어(23)를 지지하고 있다.
반송부는, 상기 구성에 의해, 모터(62)를 회전시킴으로써, 양극 버퍼조(30)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가이드 폴(66)을 통하여, 양극 버퍼조(3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0)을 전사 방향 X로 이동시킨다.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0)의 동작]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0)의 동작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0)을 클램프(20)에 의해 고정하고, 양극 버퍼를 채운 양극 버퍼조(30)의 내측에 배치한다.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0)의 전사막(1)은 가이드(33) 및 가이드(34)에 의해 하측으로부터 지지된 상태로 고정된다.
그 후, 로크(42)에 의해 전기 영동 겔 칩(50)이 고정된 음극 버퍼조(40)를 양극 버퍼조(30)의 상부에 고정한다. 이때 음극 버퍼조(40)는, 전기 영동 겔 칩(50)을 전사막(1)의 상측에서 꽉 누르는 상태에서 설치된다. 이에 의해 전사막(1)은 가이드(33), 가이드(34) 및 전기 영동 겔 칩(50)에 접함으로써 전기 영동 겔 칩(50)과는 반대측으로 볼록해지도록(골접기 형상으로) 절곡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어서, 양극(32)과 음극(41) 사이에 있어서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양극 버퍼 중에 있어서,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0)의 전사막(1)은, 전기 영동 겔 칩(50)에 의해 배출된 검체가 전사되면서, 전기 영동 겔 칩(50)의 배출부를 꽉 누르게 된 상태에서, 도 3에 도시하는 전사 방향 X로 반송된다. 이로 인해, 전사막(1)이 반송될 때에 발생하는 장력은, 전기 영동 겔 칩(50)의 단부에 설치된 배출부에 집중된다. 즉, 전사막(1)은 일정한 힘에 의해 전기 영동 겔 칩(50)의 배출부에 꽉 눌려지면서, 전사 방향 X로 반송된다.
이로 인해,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0)에서는, 전사막(1)을 반송할 때에, 전사막(1)과 전기 영동 겔 칩(50)의 검체 배출부와의 사이에 있어서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영동 겔 칩(50)의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검체가, 전사막(1)에 전사되기 전에 양극 버퍼 중에 확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사막(1)에 전사된 검체의 밴드 요동을 저감할 수 있어, 생체 분자 분석 장치의 감도를 향상할 수 있다.
[양극 커버(35)의 배치]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0)에 있어서의 양극 커버(35)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서는,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0)에 구비되는 일부의 부재만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의 예에서는, 양극 커버(35)는 평평한 판 형상을 갖고 있다.
양극 커버(35)는 서로 대향하는 단부(35a) 및 단부(35b)를 갖는다. 반송 방향 X에 있어서, 단부(35a)쪽이 단부(35b)보다도, 전사막(1)과 전기 영동 겔 칩(50)과의 맞닿음 개소[배출부(50a)에 일치]에 가깝다. 바꾸어 말하면, 반송 방향 X에 있어서, 단부(35b)쪽이 단부(35a)보다도 배출부(50a)로부터 멀다.
양극 커버(35)는 전사막(1)의 반송 방향 X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경사져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일정한 각도라 함은, 전사막(1)의 면 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단부(35a)쪽이 단부(35b)보다도 양극(32)[양극 버퍼조(30)의 저부]에 가까운 각도이다. 바꾸어 말하면, 전사막(1)의 면 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단부(35b)쪽이 단부(35a)보다도 양극 버퍼의 수면에 가까워지는 각도이다.
양극 커버(35)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져 있으므로, 양극(32)에 있어서 발생한 기포를, 양극 커버(35)의 표면을 따라, 전사막(1)의 귄취 방향 Y로 릴리프할 수 있다. 즉, 기포는 배출부(50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릴리프하고, 단부(35a)측[배출부(50a)측]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이 결과, 기포가 전사막(1)과 전기 영동 겔 칩(50)과의 맞닿음 개소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전기력선의 축소)
상술한 바와 같이, 양극(32)은 배출부(50a)의 바로 아래가 아닌, 반송 방향 X에 있어서 배출부(50a)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양극 커버(35)가 없으면, 전기 영동 시에 배출부(50a)에서 발생하는 전기력선(37)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확대되어 버린다. 도 4는, 양극 커버(35)가 없는 경우에 발생하는 전기력선(37)의 확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면과 같이, 크게 넓어진 전기력선(37)이 발생하면, 배출부(50a)로부터 배출된 검체가 크게 확산되는 결과, 검체의 분리 능력을 크게 저하시킬 가능성이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극 커버(35)의 단부(35a)는, 전기 영동 겔 칩(50)과 전사막(1)과의 맞닿음 개소에 있어서의, 양극(32)측의 단부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양극 커버(35)는 절연성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배출부(50a)에서 발생한 전기력선(36)은 배출부(50a)의 바로 근처에 존재하는 양극 커버(35)에 의해 저해되어, 양극(32)을 향해서 확대되는 일이 없다. 이 결과,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부(50a)로부터, 좁혀진 전기력선(36)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검체의 분리 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양극 커버(35)는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0)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양극 커버(35)를 정기적으로 용이하게 청소 또는 세정할 수 있다. 나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열화한 양극 커버(35)를 신제품으로 교환할 수도 있다.
〔실시 형태 2〕
본 발명에 관한 제2 실시 형태를 도 5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5는, 축소 부재(38)의 배치, 및 배출부(50a)에서 발생하는 전기력선(39)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0)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0)가 구비하는 각 부재 외에, 또한 축소 부재(38)(제2 절연성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축소 부재(38)는 절연성의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축소 부재(38)의 재료는 양극 커버(35)의 재료와 동일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축소 부재(38)는 배출부(50a)에 있어서의 양극(32)측과 반대측의 단부 하부에, 전사막(1)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축소 부재(38)가 절연성이므로, 배출부(50a)에서 발생한 전기력선(39)은 축소 부재(38)에 의해 저해되어서, 양극(32)측과 반대측으로 확대될 수 없다. 이 결과, 전기력선(39)을 축소 부재(38)가 없는 경우에 발생하는 도 1에 도시하는 전기력선(36)보다도, 더 좁힐 수 있다. 이에 의해, 검체의 분리 능력을 한층 더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3〕
본 발명에 관한 제3 실시 형태를 도 6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0)에 있어서의 양극 커버(35)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의 (a) 또는 (b)에 도시하는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0)가 구비하는 각 부재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0)와 동일하다. 그러나 양극 커버(35)와 양극 버퍼조(30)의 저면과의 사이에 슬릿(70)(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는 상이하다.
도 6의 (a)에서는, 양극 커버(35)의 단부(35a)와, 양극 버퍼조(30)의 저면과의 사이에, 슬릿(7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70)은 반송 방향 X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거나, 또는 양극(32)보다도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슬릿(70)은 배출부(50a)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극 커버(35)에 있어서의 단부(35b)측은, 양극(32)보다도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양극 커버(35)에 있어서의 단부(354b)측에는, 넓은 개구부(71)가 형성되어 있다. 전기 영동 시에 양극(32)에 있어서 열 및 기포가 발생한다. 이 열에 의해, 양극(32) 주위에 양극 버퍼의 대류가 발생한다. 개구부(71)는 슬릿(70)보다도 넓으므로, 열에 의한 대류에 의해, 기포를 포함하는 양극 버퍼는 슬릿(70)보다도 개구부(71)로 이동하기 쉬워진다. 이 결과, 양극(32)에서 발생한 기포가 배출부(50a)를 향하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도 6의 (b)에서는, 양극 커버(35)는 배출부(50a)의 하부에 있어서 만곡하고 있으며, 단부(35a)가 양극(32)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단부(35a)와 양극 버퍼조(30)의 저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70)은 양극(32)보다도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배출부(50a)에서 발생한 전기력선(72)은 양극 커버(35)에 의해 저해되어, 양극(32)을 향해 확대되는 일은 없다. 즉 전기력선(72)은 양극(32)의 하방에 어떤 슬릿(70)을 향해, 양극 커버(35)를 따라 좁혀진다. 이에 의해, 검체의 분리 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6의 (b)에 나타내는 구성에 있어서도, 양극 커버(35)에 있어서의 단부(35b)측에는, 넓은 개구부(7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6의 (a)에 나타내는 구성과 마찬가지로, 양극(32)에서 발생한 기포가 배출부(50a)를 향하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도 6의 (c)에 나타내는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0)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0)가 구비하는 각 부재 외에, 양극 버퍼조(30)의 저면에 설치되는 세로로 가늘고 긴 절연성의 직립 부재(73)(제1 절연성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다. 직립 부재(73)는 배출부(50a)에 있어서의 양극(32)측의 단부 하부에, 전사막(1)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양극 커버(35)는 직립 부재(73)의 상부까지 연신되어 있다.
도 6의 (c)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양극 커버(35)의 단부(35a)와 양극 버퍼조(30)의 저면과의 사이에는 슬릿(70)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 대신에, 양극 커버(35)에 있어서의 단부(35a)보다도 조금 단부(35b)측의 개소와 직립 부재(73)와의 사이에, 슬릿(74)이 형성되어 있다. 즉 슬릿(74)은, 양극 버퍼조(30)의 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직립 부재(73)의 높이와 동등] 떨어진 장소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 6의 (c)에 나타내는 구성에 있어서도, 양극 커버(35)에 있어서의 단부(35b)측에는, 넓은 개구부(7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6의 (a)에 나타내는 구성과 마찬가지로, 이 결과, 양극(32)에서 발생한 기포가 배출부(50a)를 향하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
본 발명에 관한 제4 실시 형태를 도 7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0)가 구비하는 각 부재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0)와 동일하다. 그러나 양극 커버(35)의 경사 방향이, 제1 실시 형태와는 상이하다.
도 7의 (a)는,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0)를 반송 방향 X의 좌측으로부터 본 경우의 양극 커버(35)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극 커버(35)는 반송 방향 X에 대하여 경사져 있지 않다.
도 7의 (b)는,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0)를 반송 방향 X의 종점측에서 본 경우의 양극 커버(35)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극 커버(35)는 반송 방향 X와 직교하고, 또한 전사막(1)의 면 내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경사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사막(1)의 면 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양극 커버(35)가 갖는 한 쌍의 단부(35c 및 35d) 중, 반송 방향 X의 좌측에 위치하는 단부(35c)가 반송 방향 X의 우측에 위치하는 단부(35d)보다도 양극(32)에 가깝다. 바꾸어 말하면, 전사막(1)의 면 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단부(35d)쪽이 단부(35c)보다도 양극 버퍼의 수면에 가깝다.
양극 커버(35)가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져 있으므로, 양극(32)에 있어서 발생한 기포를, 양극 커버(35)의 단부(35d)측, 즉 전사막(1)의 귄취 방향 Y와 수직인 방향으로 릴리프할 수 있다. 이 결과, 기포가 배출부(50a)측으로 이동하지 않으므로, 기포가, 전사막(1)과 전기 영동 겔 칩(50)과의 맞닿음 개소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또한, 양극 커버(35)의 경사는, 도 7의 (b)에 나타내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양극 커버(35)는 단부(35c)쪽이 단부(35d)보다도 양극 버퍼의 수면에 가까운 각도로 경사져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양극(32)에 있어서 발생한 기포를, 단부(35c)측으로 릴리프할 수 있다.
〔실시 형태 5〕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 5를 도 8 내지 도 11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10)]
먼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에 사용되는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에 대해서, 도 9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9의 (a)는,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10)의 개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의 (b)는, 도 9의 (a)에 있어서의 선 A 및 선 B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10)은 전사막(101)에 1변(제1 변)과 그 1변에 대향하는 1변(제2 변)을, 한 쌍의 프레임(프레임 부재)(102)에 의해 개별로 지지되고 있다.
도 9의 (b)의 선 A 및 선 B에 있어서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10)은, 한 쌍의 프레임(102)에 있어서의 끼워 맞춤부(103)로서, 프레임(102)을 관통하는 개구 형상의 끼워 맞춤부(관통 구멍)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끼워 맞춤부(103)는, 각각 대응하는 볼록형 형상의 끼워 맞춤부에 끼워 맞출 수 있다. 이에 의해, 끼워 맞춤부(103)에 의해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10)과 생체 분자 분석 장치를 고정할 수 있다.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10)은 한 쌍의 프레임(102)을 평행하게 고정하고, 서로를 이격함으로써, 전사막(101)을 느슨함 없이 팽팽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된 전사막(101)을 프레임(102)에 의해 고정할 수 있으므로, 간단하면서도 또한 적절한 장력을 전사막(101)에 부여하면서,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10)을 생체 분자 분석 장치에 설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생체 분자 분석 장치에 고정하고, 배출 전사에 의해 검체를 전사할 때에 블롯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10)에서는, 전사막(101)의 추로서 프레임(102)을 사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셰이카 등의 시약조 안에 시약 중에 있어서 전사막(101)이 작용하여, 항체 반응에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10)은 전사막(101)과 한 쌍의 프레임(102)으로 이루어지는 간단한 구성이므로, 예를 들어 외주 전체를 프레임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전사막을 평탄하게 확장해서 고정하고 있는 것이나, 만곡한 프레임에 의해 전사막을 확장해서 고정하고 있는 것과 비교하여, 부피가 크지 않으며, 예를 들어 웨스턴 블로팅법을 행할 때에 사용하는 항체의 양을 적게 할 수 있다.
[전사막(101)]
전사막(101)은 생체 분자 분석 장치의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생체 분자 샘플(검체)을 흡착하고, 보유 지지하기 위한 막이다. 여기서, 전사막(101)은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생체 분자 샘플(검체)을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보존 가능하게 하고, 또한 그 후의 분석을 용이하게 하는 생체 분자 샘플의 흡착·보유 지지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사막(101)의 재질로서는, 높은 강도를 갖고, 또한 샘플 결합 능력(단위 면적당 흡착 가능한 중량)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전사막(101)으로서는, 샘플이 단백질인 경우에는 폴리불화비닐리덴(PVDF)막 등이 적합하다. 또한, PVDF막은 미리 메탄올 등을 사용해서 친수화 처리를 행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는, 니트로셀룰로오스막 또는 나일론막 등, 종래부터 단백질, DNA 및 핵산의 흡착에 이용되고 있는 막도 사용 가능하다.
생체 분자 분석 장치에 있어서 분리 및 흡착될 수 있는 생체 분자 샘플로서는, 단백질, DNA 및 RNA를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생물 재료(예를 들어, 생물 개체, 체액, 세포주, 조직 배양물, 또는 조직 단편)로부터의 조제물, 또는 시판되고 있는 시약 등도, 샘플의 예에 포함된다. 나아가, 폴리펩티드 또는 폴리뉴클레오티드도 샘플 중 1종이다.
[프레임(102)]
한 쌍의 프레임(102) 각각은, 프레임(102)의 길이가 고정되는 전사막(101)의 1변의 길이보다 긴 것이면 된다. 또한, 프레임(102)은 절연성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성 재료로서는, 폴리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세탈(POM),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등의 수지 또는 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2)은 표면에 친수성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재질로 이루어지는 프레임(102)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하면 된다. 이에 의해, 프레임(102)의 표면에 분리부의 배출부로부터 배출된 단백질 등의 검체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프레임(102)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2)의 표면에 있어서의 대수 접촉각은, 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프레임(102)의 표면에 있어서의 대수 접촉각을 90° 이하로 함으로써, 프레임(102)이 검체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적절하게 방지할 수 있다.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1)]
이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1)에 대해서,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1)의 개략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1)는 클램프(120), 양극 버퍼조(130)(버퍼조), 양극 스테이지(131), 음극 버퍼조(140), 전기 영동 겔 칩(150)(분리부) 및 반송부를 구비하고 있고, 양극 버퍼조(130)의 저부에는, 제1 오목부(130a)가 형성되어 있다.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1)에 있어서, 양극 버퍼조(130)는 양극 스테이지(131)에 착탈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양극 버퍼조(130) 내에 클램프(120)가 배치되어 있고,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10)은 양극 버퍼조(130) 내에서 클램프(120)에 고정되어 있다. 음극 버퍼조(140)는 양극 버퍼조(130)에 착탈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전기 영동 겔 칩(150)은 서로 대향하는 양단부 중 일단부가 양극 버퍼조(130) 내에 위치하고, 타단부가 음극 버퍼조(140) 내에 위치하도록,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1)에 배치되어 있다.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1)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전기 영동 겔 칩(150)은 분리 겔(152)에 도입된 검체를 전기 영동에 의해 분리하고, 분리한 검체를 전사막(101)에 대하여, 전기 영동 겔 칩(150)의 일단부에 있는 배출부(150a)를 통해서 배출한다. 반송부는, 전사막(101)을 반송 방향 X[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10)에 있어서의 프레임(102)이 설치된 1변(제1 변)으로부터, 프레임(102)이 설치된 다른 변(제2 변)을 향하는 방향]로 반송한다. 이에 의해, 배출된 검체가, 전사막(101)에 있어서의 배출되는 타이밍에 따른 위치[배출된 타이밍에 있어서 전기 영동 겔 칩(150)에 대향하고 있던 위치]에 흡착된다. 이에 의해, 분리된 검체가 전사막(101)에 전사된다.
[클램프(120)]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램프(120)는 전방부 클램프(120a 및 120b)와, 후방부 클램프(121a 및 121b)와, 클램프 프레임(122)을 구비하고 있다. 전방부 클램프(120a 및 120b)는 전사막(101)이 반송될 때의 반송 종료 지점측에 배치되어 있고, 한편 후방부 클램프(121a 및 121b)는 반송 개시 지점측에 배치되어 있다.
클램프(120)에 있어서, 전방부 클램프(120a)와 전방부 클램프(120b)는, 지그에 의해 해방할 수 있도록 고정되어 있다. 전방부 클램프(120a)에 있어서의 2개소에는 도시하지 않은 끼워 맞춤부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의 끼워 맞춤부에 대하여 도 9의 (a)에 나타내는 한쪽 프레임(102)의 2개소에 설치된 끼워 맞춤부(103)를 각각 끼워 맞추게 한다. 그 후, 전방부 클램프(120a)와 전방부 클램프(120b)에 의해, 한쪽 프레임(102)을 끼워 넣어 고정한다.
마찬가지로, 클램프(120)에 있어서, 후방부 클램프(121a)와 후방부 클램프(121b)는, 지그에 의해 해방할 수 있도록 고정되어 있다. 후방부 클램프(121a)에 있어서의 2개소에는 도시하지 않은 끼워 맞춤부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의 끼워 맞춤부에 대하여, 도 9의 (a)에 나타내는 다른 쪽의 프레임(102)의 2개소에 설치된 끼워 맞춤부(103)를 각각 끼워 맞추게 한다. 그 후, 후방부 클램프(121a)와 후방부 클램프(121b)에 의해, 다른 쪽 프레임(102)을 끼워 넣어 고정한다.
클램프 프레임(122)은 전방부 클램프(120a)와 후방부 클램프(121a)를 일정한 거리로 이격한 상태에서 고정하고 있다. 이로 인해, 클램프(120)에 의해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10)을 고정했을 때에, 전사막(101)은 느슨함 없이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에서 고정된다. 또한, 클램프 프레임(122)은 전사막(101)의 반송 방향 측방[프레임(102)에 의해 지지되고 있지 않은 2변의 외측]으로부터, 전방부 클램프(120a)와 후방부 클램프(121a)를 고정한다. 이에 의해,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1)에 클램프(120)를 개재해서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10)을 고정했을 때에, 전사막(101)의 반송 경로에 있어서 클램프 프레임(122)이 전기 영동 겔 칩(150) 및 가이드(133 및 134)에 접촉하지 않도록,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10)을 배치할 수 있다.
캐리어(123)는 전방부 클램프(120b)에 설치되어 있다. 클램프(120)를 양극 버퍼조(130)의 내측에 설치할 때, 클램프(120)를 양극 버퍼조(130)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가이드 폴(166)에 캐리어(123)를 통해 착탈 가능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양극 버퍼조(130)]
도 10에 있어서, 양극 버퍼조(완충액조)(130)를 점선으로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극 버퍼조(130)는 양극(전극)(132), 가이드(지지 부재)(133 및 134), 및 양극 커버(135)(전극 커버)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양극 버퍼조(130)의 저부에는, 오목부(130a)가 형성되어 있다.
양극 버퍼조(130)에는, 양극 버퍼가 채워져 있다. 양극 버퍼로서는, 예를 들어 Tris/글리신계 완충액, 아세트산 완충 용액, 탄산 나트륨계 완충액, CAPS 완충액, Tris/붕산/EDTA 완충액, Tris/아세트산/EDTA 완충액, MOPS, 인산 완충액, Tris/트리신계 완충액 등의 완충액을 사용할 수 있다. 클램프(120)에 고정된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10)은 양극 버퍼조(130) 내에 채워진 양극 버퍼 중에 설치되어 있다.
양극(132)은 백금선 등에 의해 구성되는, 가늘고 긴 막대 형상의 전극이다. 양극(132)은, 그 길이 방향이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10)의 반송 방향 X와 수직이 되도록, 양극 버퍼조(130)의 저부에 설치되어 있다. 양극(132)은 전기 영동 겔 칩(150)에 있어서의 배출부(150a)의 바로 아래가 아닌, 반송 방향 X에 있어서 배출부(150a)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위치는,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10)이 설치되었을 때에, 전사막(101)의 전기 영동 겔 칩(150)에 대향하는 측의 이면으로부터, 양극(132)과 음극(141) 사이에 전압을 인가할 수 있는 위치이다.
가이드(133 및 134)는 전사막(101)에 있어서 전기 영동 겔 칩(150)이 맞닿음(접촉)하는 위치를, 반송 방향의 전후에서 끼우는 한 쌍의 위치를, 전사막(101)의 전기 영동 겔 칩(150)과는 반대측으로부터 각각 지지하는 지지 부재이다. 가이드(133 및 134)는 양극 버퍼조(130)의 저부에 있어서,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10)이 반송되는 반송 경로 위에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133 및 134)는 각각의 높이 방향이, 전기 영동 겔 칩(150)의 면 내 방향에 평행하며, 또한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10)이 반송되는 반송 방향 X에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가이드(133 및 134)는 전사막(101)의 전기 영동 겔 칩(150)에 대향하는 측의 이면으로부터 전사막(101)을, 전기 영동 겔 칩(150)에 있어서의 배출부(150a)측의 단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지지한다.
[양극 커버(135)]
양극 커버(135)는 양극(132)과, 전사막(101)과 전기 영동 겔 칩(150)과의 맞닿음 개소 사이에 있어서, 양극(132)과 맞닿거나 또는 양극(132)으로부터 이격해서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1)는 양극 커버(135)를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양극(132)으로부터 전극에서 발생한 기포를 양극 버퍼조(130)의 상부로 릴리프할 수 있으므로, 전사막(101)과 전기 영동 겔 칩(150)과의 맞닿음 개소에 기포가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양극 커버(135)는, 절연성의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절연성 재료로서는, 폴리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아세탈(POM),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등의 수지 또는 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양극 커버(135)는 표면에 친수성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재질로 이루어지는 프레임(102)의 표면에, 예를 들어 코팅층을 형성하면 된다. 이에 의해, 양극(132)에서 발생한 기포를, 양극 커버(135)의 표면을 따라 양극 버퍼조(130)의 상부로 보다 릴리프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양극 커버(135)의 표면에 있어서의 대수 접촉각은, 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양극 커버(135)의 표면에 있어서의 대수 접촉각을 90° 이하로 함으로써, 기포를 양극 커버(135)의 표면을 따라 보다 릴리프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음극 버퍼조(140)]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극 버퍼조(140)는 음극(141) 및 로크(142)를 구비하고 있다. 음극(141)은 백금선 등에 의해 구성되는, 가늘고 긴 막대 형상의 전극이다. 음극(141)은 그 길이 방향이 전사막(101)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도록, 음극 버퍼조(140)의 내측에 있어서의 상부[분리 겔(152)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다. 즉 음극(141)의 길이 방향은 양극(132)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음극 버퍼조(140)에는, 음극 버퍼가 채워져 있다. 음극 버퍼에는, 양극 버퍼와 마찬가지인 완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음극 버퍼조(140) 내에서, 전기 영동 겔 칩(150)이 로크(14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때, 전기 영동 겔 칩(150)에 있어서의, 배출부(150a)와는 반대측의 단부가 음극 버퍼조(140)에 채워진 음극 버퍼에 침지되어 있다. 한편, 전기 영동 겔 칩(150)에 있어서의, 배출부(150a)측의 단부가 양극 버퍼조(130)에 채워진 양극 버퍼에 침지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 겔(152)에 있어서의 배출부(150a)측과 반대측의 단부는, 음극(141)에 대향하고 있다. 한편, 분리 겔(152)에 있어서의 배출부(150a)측의 단부는, 양극(132)에 대향하고 있지 않다. 이와 같이, 분리 겔(152)에 있어서의 배출부(150a)측의 단부는, 전사막(101)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양극(132)으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있다.
[전기 영동 겔 칩(150)]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영동 겔 칩(150)은 절연판(151), 분리 겔(152) 및 절연판(153)을 구비하고 있다. 절연판(151) 및 절연판(153)은, 예를 들어 유리 및 아크릴 등의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절연판(151)과 절연판(153) 사이에, 분리 겔(152)이 형성되어 있다.
분리 겔(152)은, 도입된 생체 분자 샘플(검체)을 분자량에 따라서 분리하기 위한 겔이다. 분리 겔(152)의 예로서는, 폴리아크릴아미드 겔 및 아가로오스 겔 등을 들 수 있고, 상술한 적합한 조성에 완충액에 맞춘 겔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리 겔(152)은 전기 영동 겔 칩(150)을 음극 버퍼조(140)에 대하여 설치하기 전에 전기 영동 겔 칩(150) 내에 충전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전기 영동 겔 칩(150)은 전사막(101)에 대하여 수직으로 접촉하도록,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1)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기 영동 겔 칩(150)은 연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전사막(101)의 표면에는, 전기 영동 겔 칩(150)의 배출부(150a)가 접촉하고 있다. 전기 영동 겔 칩(150)에 있어서, 배출부(150a)에 대향하고 또한 음극 버퍼조(140) 중에 배치되는 단부를 통해, 분리 겔(152)에 대하여 생체 분자 샘플이 공급된다. 생체 분자 샘플이 공급된 후, 양극(132)과 음극(141) 사이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전기 영동이 행하여진다. 그 결과, 검체가 배출부(150a)를 통해 전사막(101)에 전사된다.
[반송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부는 모터(162), 볼 나사(163), 가이드 샤프트(164), 샤프트 홀더(165), 가이드 폴(166)을 구비하고 있다.
반송부에서는, 모터(162)에 의해 볼 나사(163)를 회전시킴으로써, 가이드 샤프트(164)에 따라, 샤프트 홀더(165)를 전사 방향 X로 이동할 수 있다. 샤프트 홀더(165)에는 가이드 폴(166)이 고정되어 있고, 가이드 폴(166)이 양극 버퍼조(130)의 외부에서 클램프(120)에 설치된 캐리어(123)를 지지하고 있다.
반송부는, 상기 구성에 의해, 모터(162)를 회전시킴으로써, 양극 버퍼조(130)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가이드 폴(166)을 거쳐, 양극 버퍼조(13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10)을 전사 방향 X로 이동시킨다.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1)의 동작]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1)의 동작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10)을 클램프(120)에 의해 고정하고, 양극 버퍼를 채운 양극 버퍼조(130)의 내측에 배치한다.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10)의 전사막(101)은 가이드(133) 및 가이드(134)에 의해 하측으로부터 지지된 상태로 고정된다.
그 후, 로크(142)에 의해 전기 영동 겔 칩(150)이 고정된 음극 버퍼조(140)를, 양극 버퍼조(130)의 상부에 고정한다. 이때 음극 버퍼조(140)는 전기 영동 겔 칩(150)을 전사막(101)의 상측에서 꽉 누르는 상태에서 설치된다. 이에 의해 전사막(101)은 가이드(133), 가이드(134) 및 전기 영동 겔 칩(150)에 접함으로써 전기 영동 겔 칩(150)과는 반대측으로 볼록해지도록(골접기 형상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이어서, 양극(132)과 음극(141) 사이에 있어서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양극 버퍼 중에 있어서,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10)의 전사막(101)은, 전기 영동 겔 칩(150)에 의해 배출된 검체가 전사되면서, 전기 영동 겔 칩(150)의 배출부가 꽉 눌려진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하는 전사 방향 X로 반송된다. 이로 인해, 전사막(101)이 반송될 때에 발생하는 장력은, 전기 영동 겔 칩(150)의 단부에 설치된 배출부에 집중된다. 즉, 전사막(101)은 일정한 힘에 의해 전기 영동 겔 칩(150)의 배출부에 꽉 눌려지면서, 전사 방향 X로 반송된다.
이로 인해,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110)에서는, 전사막(101)을 반송할 때에, 전사막(101)과 전기 영동 겔 칩(150)의 검체 배출부와의 사이에 있어서 간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영동 겔 칩(150)의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검체가, 전사막(101)에 전사되기 전에 양극 버퍼 중으로 확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사막(101)에 전사된 검체의 밴드 요동을 저감할 수 있어, 생체 분자 분석 장치의 감도를 향상할 수 있다.
[양극 커버(135)의 배치]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1)에 있어서의 양극 커버(135)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서는,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1)에 구비되는 일부의 부재만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의 예에서는, 양극 커버(135)는 저면이 전사막(101)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경사진 사다리꼴을 하고 있다.
양극 커버(135)는, 그 저면에 있어서, 반송 방향 X에 직교하고, 서로 대향하는 단부변(단부)(135a) 및 단부변(135b)을 갖는다. 반송 방향 X에 있어서, 단부변(135a)쪽이 단부변(135b)보다도, 전사막(101)과 전기 영동 겔 칩(150)과의 맞닿음 개소[배출부(150a)에 일치]에 가깝다. 바꾸어 말하면, 반송 방향 X에 있어서, 단부변(135b)쪽이 단부변(135a)보다도 배출부(150a)로부터 멀다.
양극 커버(135)의 저면은, 단부변(135a)쪽이 단부변(135b)보다도 양극 버퍼조(130)의 저부에 근접하도록, 경사져 있다. 바꾸어 말하면, 단부변(135b)쪽이 단부변(135a)보다도 양극 버퍼의 수면에 근접하도록, 양극 커버(135)의 저면이 경사져 있다. 경사 각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일정한 각도이어도 좋고, 위치에 따라 경사각이 변화해도 좋다.
또한, 전사막(101)과 전기 영동 겔 칩(150)과의 맞닿음 개소의 하부에 있어서, 양극 버퍼조(130)에는 홈 형상의 제1 오목부(130a)가, 그 길이 방향이 전사막(101)의 반송 방향에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오목부(130a)는 깊이 2 내지 3㎜ 정도의 깊이를 갖고 있다.
양극 커버(135)의 단부변(135a)은 제1 오목부(130a)를 향해 수하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양극 커버(135)의 단부변(135a)은 제1 오목부(130a)에, 제1 오목부(130a)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해서 헐겁게 삽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양극 커버(135)의 단부변(135a)을, 양극(132)이 배치되어 있는 양극 버퍼조(130)의 저면보다도 낮은 위치에 배치하면서, 양극 커버(135)와 제1 오목부(130a) 사이에 애로를 형성한다.
양극 커버(135)의 저면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져 있으므로, 양극(132)에 있어서 발생한 기포를, 양극 커버(135)의 표면을 따라, 전사막(101)의 귄취 방향 Y로 릴리프할 수 있다. 또한, 양극 커버(135)의 단부변(135a)은 양극(132)의 저부보다도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양극(132)에서 발생하는 기포가, 단부변(135a)과 제1 오목부(130a)에 의해 형성되는 애로를 통과하는 일이 없다. 이로 인해, 기포는 배출부(150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릴리프하고, 단부변(135a)측[배출부(150a)측]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이 결과, 기포가, 전사막(101)과 전기 영동 겔 칩(150)과의 맞닿음 개소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전기력선의 축소)
상술한 바와 같이, 양극(132)은 배출부(150a)의 바로 아래가 아닌, 반송 방향 X에 있어서 배출부(150a)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양극 커버(135)가 없으면, 전기 영동 시에 배출부(150a)에서 발생하는 전기력선이 크게 넓어져 버린다. 전기력선이 크게 넓어지면, 배출부(150a)로부터 배출된 검체가 크게 확산되는 결과, 검체의 분리 능력을 크게 저하시킬 가능성이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극 커버(135)의 단부변(135a)은 양극 버퍼조(130)의 저부에 있어서, 전기 영동 겔 칩(150)과 전사막(101)과의 맞닿음 개소에 있어서의, 양극(132)측의 단부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제1 오목부(130a) 위에 배치되어 있다. 양극 커버(135)는 절연성의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배출부(150a)에서 발생한 전기력선(170)은 배출부(150a)의 바로 근처에 존재하는 양극 커버(135)에 의해 저해되어, 양극(132)을 향해 확대되는 일이 없다. 또한, 양극 커버(135)의 단부변(135a)과 양극 버퍼조(130)의 제1 오목부(130a)에 의해 형성된 애로는, 양극(132)과 배출부(150a) 사이에 있어서 연통하고, 양극 버퍼조(130)의 저부에 있어서 배출부(150a)를 향해 개방되어 있다. 이 결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부(150a)로부터 좁혀진 전기력선(170)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검체의 분리 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양극 커버(135)는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1)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양극 커버(135)를 정기적으로 용이하게 청소 또는 세정할 수 있다. 나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열화된 양극 커버(135)를 신제품으로 교환할 수도 있다.
〔변형예〕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가 구비하고 있는 양극 커버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1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극 커버(135)와 가이드(133)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11의 (a)는, 본 발명의 하나의 변형예에 관한 지지 부재를 구비한 양극 커버의 개략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1의 (b)는, 도 11의 (a)의 A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133)에 있어서의 2개의 지지부(133b)는, 양극 커버(135)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측면 양단부에 고정되어 있고, 당해 2개의 지지부(133b)에 의해 축부(133a)가 지지되고 있다.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극 커버(135)는 단부변(135b)측의 측면에 있어서 지지부(133b)가 고정되어 있고, 지지부(133b)에 지지되는 축부(133a)의 하부에는 차폐물이 없이 개방되어 있다. 또한, 양극 커버(135)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는, 단부변(135a) 및 단부변(135b)에 교차하는 2변을 따라, 양극 커버(135)의 저면에 대하여 수직인 측벽부(135c)가 설치되어 있다[도 11의 (b)에는, 속에 보이는 측벽부(135c)를 나타내고 있음].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1)에서는, 가이드(133)는 축부(133a)에 의해 반송 방향으로 반송되는 전사막(101)을 지지하도록 배치되고, 양극 커버(135)는 단부변(135a)이 양극 버퍼조(130)의 오목부(130a) 위에 배치되고, 전사막(101)과 전기 영동 겔 칩(150)과의 맞닿음 개소에 대하여, 단부변(135b)쪽이 단부변(135a)보다도 먼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양극 커버(135)에 있어서의 측벽부(135c)는 전사막(101)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배치된다.
양극(132)에서 발생하는 기포는, 양극 커버(135)의 측벽부(135c)에 의해, 양극 커버(135)의 반송 방향을 따른 2변측으로부터, 전사막(101)과 전기 영동 겔 칩(150)과의 맞닿음 개소를 향해 유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양극(132)에서 발생한 기포는, 양극 커버(135)의 저면 및 측벽부(135c)를 따라, 양극 커버(135)의 단부변(135a)측으로부터 단부변(135b)측을 향해 이동하고, 가이드(133)에 있어서의 축부(133a)의 하부로부터 양극 버퍼조(130)의 상부를 향해 릴리프된다. 양극 커버(135)의 단부변(135b)은, 전사막(101)과 전기 영동 겔 칩(150)과의 맞닿음 개소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가이드(133)에 있어서의 축부(133a)의 하부로부터 릴리프된 기포는 맞닿음 개소까지 도달하지 않는다.
〔실시 형태 6〕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 6을 도 12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2)에 있어서의 각 부재는, 실시 형태 5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1)와 동일하다. 그러나 양극 버퍼조(130)에 있어서, 제2 오목부(130b)가 오목부(130a)로부터 반송 방향에 있어서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고, 양극(132)이 제2 오목부(130b)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실시 형태 5와는 상이하다.
제2 오목부(130b)는 실시 형태 5에 있어서 양극(132)이 배치되어 있는 위치와 동일한 정도로, 제1 오목부(130a)로부터 반송 방향에 있어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오목부(130b)의 내측에 양극(132)을 배치함으로써, 전기 영동 시에 있어서, 양극(132)에서 발생하는 미소한 기포 B가 양극(132)의 수평 방향으로 확대되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양극(132)에서 발생하는 미소한 기포 B를, 제2 오목부(130b)의 내측에 있어서 응집시켜, 보다 큰 기포 B로 성장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기포 B를 제2 오목부(130b)의 상부를 향해 보다 적합하게 부상시킬 수 있어, 양극 커버(135)의 저면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양극(132)에서 발생하는 미소한 기포 B가, 배출부(150a)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기포 B가, 전사막(101)과 전기 영동 겔 칩(150)과의 맞닿음 개소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또한, 제2 오목부(130b)의 깊이는, 내측에 양극(132)을 수납할 수 있을 정도의 깊이이면 되지만, 양극(132)의 높이보다도 깊은 것이 기포를 보다 적합하게 응집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실시 형태 7〕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 7을 도 13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3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3 및 204)에 있어서의 각 양극 커버 및 양극 버퍼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의 (a)에 나타내는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3)는, 양극 커버(135)를 대신하여, 양극 커버(136)를 구비하고 있다. 양극 커버(136)의 저면에는 양극 커버(135)의 저면과 달리, 배출부(150a)측의 단부변을 따라, 제1 오목부(130a)를 향해 수하하는 볼록부(136a)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136a)의 길이 방향은, 제1 오목부(130a)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다. 전사막(101)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제2 오목부(130b)의 내측에 설치된 양극(132)보다도 볼록부(136a)쪽이, 배출부(150a)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볼록부(136a)는 제1 오목부(130a)에 헐겁게 삽입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양극 버퍼조(130)의 저면에 있어서, 양극 커버(136)와 제1 오목부(130a)가 애로를 형성하고 있다.
양극 커버(136)에서는, 볼록부(136a)가 제1 오목부의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으므로, 볼록부(136a)를 제1 오목부(130a)의 내측에 깊이 헐겁게 삽입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양극(132)에서 발생한 기포가, 양극 커버(136)의 저면을 향해 부상했을 때에, 당해 기포가 배출부(150a)측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볼록부(136a)에 의해 방지할 수 있고, 당해 기포를 양극 커버(136)의 저면에 따라, 단부변(136b)측을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포가, 전사막(101)과 전기 영동 겔 칩(150)과의 맞닿음 개소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볼록부(136a)와 제1 오목부(130a)에 의해 형성된 애로는, 전사막(101)과 전기 영동 겔 칩(150)과의 맞닿음 개소의 하부에 있어서 개방되어 있다. 이로 인해, 배출부(150a)로부터, 좁혀진 전기력선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3의 (b)에 나타내는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4)는, 양극 커버(135) 대신에, 양극 커버(137)를 구비하고 있다. 양극 커버(135)의 저면과 달리, 양극 커버(137)의 저면에는, 전사막(101)의 반송 방향에 있어서, 단부변(137a)보다도 배출부(150a)에 대하여 멀리, 양극(132)보다도 배출부(150a)에 대하여 가까운 위치에, 볼록부(137a')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137a')는, 양극 버퍼조(130)에 있어서 볼록부(137a')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제1 오목부(130a)에 헐겁게 삽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양극 커버(137)의 저면에 있어서의 볼록부(137a')로부터 단부변(137a)까지의 부위와, 제1 오목부(130a)를 포함하는 양극 버퍼조(130)의 저면의 일부에 의해 애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단부변(137a)보다도, 배출부(150a)에 대하여 먼 위치에 형성된 볼록부(137a')에 의해, 양극(132)에서 발생한 기포가 배출부(150a)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볼록부(137a')로부터 단부변(137a)까지의 부위와, 제1 오목부(130a)를 포함하는 양극 버퍼조(130)의 저면의 일부에 의해 애로는, 배출부(150a)의 하부에 있어서 개방되어 있다. 이로 인해, 배출부(150a)로부터, 좁혀진 전기력선을 발생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8〕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 8을 도 14에 기초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4의 (a)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5)에 있어서의 각 양극 커버 및 양극 버퍼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의 (a)에 나타내는 생체 분자 분석 장치(205)는, 양극 커버(136) 대신에, 양극 커버(13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양극 버퍼조(130)의 저부에는, 오목부(130a 및 130a')로 이루어지는 제1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양극 버퍼조(130)의 저부에 있어서의 배출부(150a)의 하부에 오목부(130a)가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130a)와 제2 오목부(130b) 사이에, 오목부(130a')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30a 및 130a')는, 길이 방향이 전사막(101)의 반송 방향에 직교하도록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양극 커버(138)의 저면에는, 양극 커버(136)의 볼록부(136a) 대신에, 복수의 볼록부(138a 및 138a')가 오목부(130a 및 130a')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양극 커버(137)의 볼록부(138a)는 오목부(130a)에 헐겁게 삽입되고, 볼록부(138a')는 오목부(130a')에 헐겁게 삽입되어 있다. 이에 의해, 양극 커버(137)의 볼록부(138a 및 138a')와, 양극 버퍼조(130)의 오목부(130a 및 130a')에 의해 애로가 형성되어 있다.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극 커버(138)에서는 볼록부(138a 및 138a')를, 개별로 오목부(130a 및 130a')의 내측을 향해 깊이 헐겁게 삽입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양극(132)에서 발생한 기포 B가, 볼록부(138a')를 초과해서 배출부(150a)측을 향해 이동해도, 볼록부(138a')를 초과한 기포 B를, 애로 내에 있어서, 한번 부상시켜, 볼록부(138a)와 볼록부(138a') 사이에 모아, 영동 완충액의 흐름으로부터 격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기포 B가, 영동 완충액의 흐름에 의해, 배출부(150a)측을 향해 흐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양극(132)에서 발생하는 기포 B가, 배출부(150a)측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양극 커버(138)의 볼록부(138a 및 138a')와, 양극 버퍼조(130)의 제1 오목부(130a 및 130a')에 의해 형성된 애로는, 배출부(150a)의 하부에 있어서 개방되어 있으므로, 배출부(150a)로부터, 좁혀진 전기력선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 형태〕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는, 상기 실시예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에서는, 측면에서 보아 제1 오목부의 형상은 반원형이어도 되고, 직사각형이나 V자형(테이퍼) 등이어도 된다. 또한, 전극 커버가 제1 오목부를 향해 수하하는 볼록부를 쭈그러지게 하고 있는 경우, 당해 볼록부의 측면에서 본 형상도, 반원형이어도 되고, 직사각형이나 V자형(테이퍼) 등이어도 된다. 전극 커버와 제1 오목부 사이에, 분리부와 전사막과의 맞닿음 개소에 연통하는 애로를 형성할 수 있으면, 전극 커버 및 제1 오목부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 형태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에서는, 완충액조에 있어서, 제1 오목부측에 배치되는 전극 커버의 단부변(단부)은, 제1 오목부 위에 있어서, 완충액조의 저면과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이면, 전극에서 발생하는 기포가 제1 오목부 위를 통과해서 전사막과 전기 영동 겔 칩과의 맞닿음 개소까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전극 커버와 제1 오목부에 의해 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 형태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에서는, 전사막(101)에 프레임(102)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클램프(120)가 직접, 전사막(101)을 고정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부기 사항〕
본 발명의 형태 1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는,
전사막과,
상기 전사막을 소정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반송하는 반송부와,
상기 전사막에 대하여 수직으로 맞닿고 또한 연직으로 설치되어, 전기 영동에 의해 검체를 분리하고, 분리한 상기 검체를 상기 전사막에 배출하는 분리부와,
상기 분리부와 상기 전사막과의 맞닿음 개소로부터 상기 반송 방향에 있어서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전극과,
상기 전극의 상부에 있어서, 상기 전극과 맞닿거나 또는 상기 전극으로부터 이격해서 배치되는 절연성의 전극 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전기 영동 시에 전극에서 발생하는 기포가, 분리부와 전사막과의 맞닿음 개소를 향해 이동하는 것이, 전극 커버에 의해 방지된다. 이에 의해, 전극에서 발생한 기포가 전사막과 분리부의 맞닿음 개소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형태 2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에서는, 상기 형태 1에 있어서,
상기 전극 커버에 있어서의 일단부는, 상기 맞닿음 개소에 있어서의 상기 전극측의 단부 하부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전기 영동 시에 분리부에 있어서의 맞닿음 개소에서 발생하는 전기력선이, 전극측으로 확대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검체의 분리 능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3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에서는, 상기 형태 2에 있어서,
상기 전극이 배치되는 버퍼조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전극 커버에 있어서의 상기 일단부와, 상기 버퍼조의 저면과의 사이에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전기 영동 시에 전극에서 발생하는 기포가 슬릿측(즉 분리부와 전사막과의 맞닿음 개소측)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4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에서는, 상기 형태 1에 있어서,
상기 전극이 배치되는 버퍼조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전극 커버는, 상기 전극 커버에 있어서의 일단부가 상기 전극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맞닿음 개소에 있어서의 상기 전극측의 단부 하부에 있어서 상기 전극측으로 만곡되어 있고,
상기 전극 커버에 있어서의 상기 일단부와, 상기 버퍼조의 저면과의 사이에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검체의 분리 능력을 크게 향상시킴과 함께, 전기 영동 시에 전극에서 발생하는 기포가 슬릿측(즉 분리부와 전사막과의 맞닿음 개소측)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5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에서는, 상기 형태 1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 개소에 있어서의 상기 전극측의 단부 하부에, 상기 전사막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1 절연성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전극 커버는, 상기 제1 절연성 부재의 상부까지 연신되어 있고,
상기 전극 커버와 상기 제1 절연성 부재 사이에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전기 영동 시에 전극에서 발생하는 기포가 슬릿측(즉 분리부와 전사막과의 맞닿음 개소측)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6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에서는, 상기 형태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 개소에 있어서의 상기 전극측과 반대측의 단부 하부에, 상기 전사막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절연성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전기 영동 시에 분리부에 있어서의 맞닿음 개소에서 발생하는 전기력선이, 전극과 반대측으로 확대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검체의 분리 능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7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에서는, 상기 형태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전극 커버는, 상기 반송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고,
상기 전극 커버에 있어서의 상기 맞닿음 개소로부터 보다 먼 단부가, 상기 전극 커버에 있어서의 상기 맞닿음 개소에 보다 가까운 단부보다도, 상기 전사막의 면 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극으로부터 보다 먼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전극에서 발생한 기포를, 맞닿음 개소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릴리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8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에서는, 상기 형태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전극 커버는, 상기 반송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상기 전사막의 면 내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전극에서 발생한 기포를, 맞닿음 개소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릴리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9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에서는, 상기 형태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전극 커버의 표면에 있어서의 대수 접촉각은 9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전극에서 발생한 기포를, 전극 커버의 표면을 따라 보다 릴리프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10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는,
완충액조와,
상기 완충액조 내에 배치되는 전사막과,
상기 전사막을 소정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반송하는 반송부와,
상기 전사막에 대하여 수직으로 맞닿고 또한 연직으로 설치되어, 전기 영동에 의해 검체를 분리하고, 분리한 상기 검체를 상기 전사막에 배출하는 분리부와,
상기 분리부와 상기 전사막과의 맞닿음 개소로부터 상기 반송 방향에 있어서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전극과,
상기 전극과 상기 맞닿음 개소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성의 전극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완충액조의 저부에 있어서의 상기 전극과 상기 맞닿음 개소 사이에 끼인 위치에, 제1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기 커버는, 상기 제1 오목부를 향해 수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전기 영동 시에 전극에서 발생하는 기포가, 분리부와 전사막과의 맞닿음 개소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전극 커버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극 커버는 완충액조의 저부에 설치된 제1 오목부를 향해 수하하고 있으므로, 전극에서 발생한 기포가 제1 오목부를 넘어, 분리부와 전사막과의 맞닿음 개소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극에서 발생한 기포가 전사막과 분리부와의 맞닿음 개소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또한, 분리부와 전사막과의 맞닿음 개소측과 전극측은, 절연성의 전극 커버와 제1 오목부에 의해 형성된 애로에 의해 연통하고 있으므로, 맞닿음 개소로부터 애로를 향하는 전기력선을 좁힐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11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에서는, 상기 형태 10에 있어서,
상기 완충액조는 상기 제1 오목부로부터 상기 반송 방향에 있어서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제2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오목부에 상기 전극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전기 영동 시에 전극에서 발생하는 기포가 수평 방향으로 확대되는 것을 제2 오목부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오목부의 내측에 있어서, 전극에서 발생한 미소한 기포를 응집시켜, 보다 큰 기포로 성장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전극에서 발생한 기포가, 제1 오목부와 전극 커버에 의해 형성되는 애로를 통해서, 전사막과 분리부의 맞닿음 개소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12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에서는, 상기 형태 10 또는 11에 있어서,
상기 전극 커버는, 상기 제1 오목부를 향해 수하하는 볼록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볼록부에 의해 전극에서 발생한 기포가 전극 커버의 저면을 따라서 분리부와 전사막과의 맞닿음 개소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13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에서는, 상기 형태 12에 있어서, 상기 전극 커버에 있어서의 상기 볼록부는 복수의 볼록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완충액조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오목부는 복수의 오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볼록부가 상기 복수의 오목부에 개별로 수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볼록부에 의해, 전극에서 발생한 기포가 전극 커버의 저면을 따라서 분리부와 전사막과의 맞닿음 개소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14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에서는, 상기 형태 10 또는 11에 있어서,
상기 전극 커버의 단부가 상기 제1 오목부에 헐겁게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전극에서 발생한 기포가, 전극 커버의 단부와 제1 오목부에 의해 형성된 애로를 통해서, 전사막과 분리부와의 맞닿음 개소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형태 15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에서는, 상기 형태 12 또는 13에 있어서, 상기 전극 커버의 상기 볼록부가, 상기 제1 오목부에 헐겁게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전극에서 발생한 기포가, 전극 커버의 볼록부와 제1 오목부에 의해 형성된 애로를 통해서, 전사막과 분리부의 맞닿음 개소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16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에서는, 상기 형태 10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는, 상기 맞닿음 개소에 있어서의 상기 전극측의 단부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전기 영동 시에 분리부에 있어서의 맞닿음 개소에서 발생하는 전기력선이, 전극측으로 확대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검체의 분리 능력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17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에서는, 상기 형태 10 내지 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전극 커버에 있어서의 상기 완충액조에 대향하는 면은, 상기 반송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고,
상기 완충액조에 대향하는 면에 있어서의 상기 맞닿음 개소로부터 보다 먼 단부가, 상기 전극 커버에 있어서의 상기 맞닿음 개소에 보다 가까운 단부보다도, 상기 전사막의 면 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극으로부터 보다 먼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전극에서 발생한 기포를, 맞닿음 개소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릴리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18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에서는, 상기 형태 10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전극 커버는, 상기 반송 방향에 평행한 2변을 따라 상기 완충액조의 저면을 향해 확대되는 측벽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전극에서 발생한 기포를, 전극 커버에 있어서의 전사막의 반송 방향을 따른 2변측으로부터 전사막과 분리부와의 맞닿음 개소를 향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19에 관한 생체 분자 분석 장치에서는, 상기 형태 10 내지 1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전극 커버의 표면에 있어서의 대수 접촉각은 9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전극에서 발생한 기포를, 전극 커버의 표면을 따라 보다 릴리프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다른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해서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조합함으로써, 새로운 기술적 특징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차원 전기 영동 장치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1 : 전사막
2 : 프레임
10 : 프레임을 구비한 전사막
20 : 클램프
32 : 양극(전극)
35 : 양극 커버(전극 커버)
36, 37 : 전기력선
38 : 축소 부재(제2 절연성 부재)
41 : 음극
50 : 전기 영동 겔 칩(분리부)
50a : 배출부
52 : 분리 겔
70 : 슬릿
71 : 개구부
72 : 전기력선
73 : 직립 부재(제1 절연성 부재)
74 : 슬릿
101 : 전사막
130 : 양극 버퍼조(완충액조)
130a, 130a' : 제1 오목부
130b : 제2 오목부
132 : 양극(전극)
135, 136, 137, 138 : 양극 커버(전극 커버)
135a : 단부변(단부)
136a, 137a, 137a', 138a, 138a' : 볼록부
141 : 음극
150 : 전기 영동 겔 칩(분리부)
150a : 배출부
152 : 분리 겔
200, 201, 202, 203, 204, 205 : 생체 분자 분석 장치

Claims (19)

  1. 전사막과,
    상기 전사막을 소정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반송하는 반송부와,
    상기 전사막에 대하여 수직으로 맞닿고 또한 연직으로 설치되어, 전기 영동에 의해 검체를 분리하고, 분리한 상기 검체를 상기 전사막에 배출하는 분리부와,
    상기 분리부와 상기 전사막과의 맞닿음 개소로부터 상기 반송 방향에 있어서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전극과,
    상기 전극의 상부에 있어서, 상기 전극과 맞닿거나 또는 상기 전극으로부터 이격해서 배치되는 절연성의 전극 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분자 분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커버에 있어서의 일단부는, 상기 맞닿음 개소에 있어서의 상기 전극측의 단부 하부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분자 분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이 배치되는 버퍼조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전극 커버에 있어서의 상기 일단부와, 상기 버퍼조의 저면과의 사이에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분자 분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이 배치되는 버퍼조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전극 커버는, 상기 전극 커버에 있어서의 일단부가 상기 전극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맞닿음 개소에 있어서의 상기 전극측의 단부 하부에 있어서 상기 전극측으로 만곡되어 있고,
    상기 전극 커버에 있어서의 상기 일단부와, 상기 버퍼조의 저면과의 사이에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분자 분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 개소에 있어서의 상기 전극측의 단부 하부에, 상기 전사막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1 절연성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전극 커버는, 상기 제1 절연성 부재의 상부까지 연신되어 있고,
    상기 전극 커버와 상기 제1 절연성 부재 사이에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분자 분석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 개소에 있어서의 상기 전극측과 반대측의 단부 하부에, 상기 전사막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제2 절연성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분자 분석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커버는, 상기 반송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고,
    상기 전극 커버에 있어서의 상기 맞닿음 개소로부터 보다 먼 단부가, 상기 전극 커버에 있어서의 상기 맞닿음 개소에 보다 가까운 단부보다도, 상기 전사막의 면 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극으로부터 보다 먼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분자 분석 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커버는, 상기 반송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상기 전사막의 면 내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분자 분석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커버의 표면에 있어서의 대수 접촉각은 9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분자 분석 장치.
  10. 완충액조와,
    상기 완충액조 내에 배치되는 전사막과,
    상기 전사막을 소정의 반송 방향을 따라서 반송하는 반송부와,
    상기 전사막에 대하여 수직으로 맞닿고 또한 연직으로 설치되어, 전기 영동에 의해 검체를 분리하고, 분리한 상기 검체를 상기 전사막에 배출하는 분리부와,
    상기 분리부와 상기 전사막과의 맞닿음 개소로부터 상기 반송 방향에 있어서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전극과,
    상기 전극과 상기 맞닿음 개소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성의 전극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완충액조의 저부에 있어서의 상기 전극과 상기 맞닿음 개소 사이에 끼인 위치에, 제1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극 커버는, 상기 제1 오목부를 향해 수하((垂下))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분자 분석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액조는, 상기 제1 오목부로부터 상기 반송 방향에 있어서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제2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오목부에 상기 전극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분자 분석 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커버는, 상기 제1 오목부를 향해 수하하는 볼록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분자 분석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커버에 있어서의 상기 볼록부는 복수의 볼록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완충액조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오목부는 복수의 오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볼록부가 상기 복수의 오목부에 개별로 수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분자 분석 장치.
  14.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커버의 단부가 상기 제1 오목부에 헐겁게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분자 분석 장치.
  15.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커버의 상기 볼록부가, 상기 제1 오목부에 헐겁게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분자 분석 장치.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는, 상기 맞닿음 개소에 있어서의 상기 전극측의 단부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분자 분석 장치.
  17.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커버에 있어서의 상기 완충액조에 대향하는 면은, 상기 반송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고,
    상기 완충액조에 대향하는 면에 있어서의 상기 맞닿음 개소로부터 보다 먼 단부가, 상기 전극 커버에 있어서의 상기 맞닿음 개소에 보다 가까운 단부보다도, 상기 전사막의 면 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극으로부터 보다 먼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분자 분석 장치.
  18. 제10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커버는, 상기 반송 방향에 평행한 2변을 따라 상기 완충액조의 저면을 향해 확대되는 측벽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분자 분석 장치.
  19. 제10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커버의 표면에 있어서의 대수 접촉각은 9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분자 분석 장치.
KR1020167029136A 2014-12-17 2015-12-08 생체 분자 분석 장치 KR1018556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55113 2014-12-17
JP2014255113A JP6025813B2 (ja) 2014-12-17 2014-12-17 生体分子分析装置
JP2015034588A JP6030681B2 (ja) 2015-02-24 2015-02-24 生体分子分析装置
JPJP-P-2015-034588 2015-02-24
PCT/JP2015/084445 WO2016098648A1 (ja) 2014-12-17 2015-12-08 生体分子分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5781A true KR20160135781A (ko) 2016-11-28
KR101855608B1 KR101855608B1 (ko) 2018-05-04

Family

ID=56126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9136A KR101855608B1 (ko) 2014-12-17 2015-12-08 생체 분자 분석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401322B2 (ko)
EP (1) EP3236251B1 (ko)
KR (1) KR101855608B1 (ko)
CN (1) CN106233132B (ko)
SG (1) SG11201700893WA (ko)
WO (1) WO201609864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5323A (ko) * 2016-03-04 2018-10-22 샤프 라이프 사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샘플 분리 기구 및 샘플 분석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5608B1 (ko) * 2014-12-17 2018-05-04 샤프 라이프 사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생체 분자 분석 장치
EP3932532A1 (de) * 2018-07-25 2022-01-05 TECAN Trading AG Mischapparat, mischanlage und verfahren zum mischen von substanzen in geschlossenen behältern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08929A (en) * 1962-09-11 1965-09-28 Robert H Raymond Apparatus for gel electrophoresis
DE3022527C2 (de) * 1980-06-16 1985-01-31 Fritz Prof. Dr. 7750 Konstanz Pohl Verfahren zur elektrophoretischen Trennung sowie Vorrichtung dazu
JPS59194050U (ja) * 1983-06-10 1984-12-24 東洋醸造株式会社 トランスフア・ブロテイング装置
US4574040A (en) * 1984-04-17 1986-03-04 Bio-Rad Laboratories, Inc. Apparatus for vertical gel electrophoresis
US4622124A (en) * 1985-01-11 1986-11-11 International Biotechnologies, Inc. Device for horizontal electroblotting
JPS62184343A (ja) * 1986-02-07 1987-08-12 Fuji Photo Film Co Ltd 電気泳動装置
US4747918A (en) * 1986-06-18 1988-05-31 William Bellomy Electroelution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GB8724528D0 (en) * 1987-10-20 1987-11-25 Amersham Int Plc Biological testing
JPH01112147A (ja) * 1987-10-26 1989-04-28 Shimadzu Corp 核酸の塩基配列決定方法
DE68919375T2 (de) * 1988-03-22 1995-06-14 Nieman Elektroforesegerät.
EP0382426A3 (en) * 1989-02-06 1992-03-25 Applied Biosystems, Inc. Micro-preparative electrophoresis apparatus
US4994166A (en) 1989-08-22 1991-02-19 Bio-Rad Laboratories, Inc. Single apparatus for slab gel electrophoresis and blotting
US5234559A (en) 1991-12-31 1993-08-1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pparatus for direct blotting and automated electrophoresis, transfer and detection and processes utilizing the apparatus thereof
US5306403A (en) 1992-08-24 1994-04-26 Martin Marietta Energy Systems, Inc. Raman-based system for DNA sequencing-mapping and other separations
US5433837A (en) 1993-08-27 1995-07-1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Gel cassette for enhanced electrophoretic separation and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US5993627A (en) * 1997-06-24 1999-11-30 Large Scale Biology Corporation Automated system for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US5916429A (en) 1997-08-01 1999-06-29 Qualicon Inc. Direct blot electrophoresis apparatus and method
AU2003267255A1 (en) * 2002-09-20 2004-04-08 Novus Molecular, Inc. Methods and devices for active bioassay
JP4712364B2 (ja) * 2004-12-07 2011-06-29 株式会社アドバンス 電気泳動装置用泳動槽
WO2006093343A1 (ja) 2005-03-04 2006-09-08 Kabushikikaisya Advance 電気泳動用バリアー物質及びバリアー構造体ならびに電気泳動装置
CN2824030Y (zh) * 2005-09-29 2006-10-04 北京百晶生物技术有限公司 一次装夹胶室的垂直电泳仪
CN101042369A (zh) * 2006-03-21 2007-09-26 简子超 电泳装置
JP4813244B2 (ja) 2006-04-25 2011-11-09 シャープ株式会社 サンプル分離吸着器具
JP4431838B2 (ja) 2008-06-30 2010-03-17 シャープ株式会社 サンプル分離吸着器具
KR101855608B1 (ko) * 2014-12-17 2018-05-04 샤프 라이프 사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생체 분자 분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5323A (ko) * 2016-03-04 2018-10-22 샤프 라이프 사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샘플 분리 기구 및 샘플 분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233132A (zh) 2016-12-14
SG11201700893WA (en) 2017-03-30
US10401322B2 (en) 2019-09-03
KR101855608B1 (ko) 2018-05-04
CN106233132B (zh) 2020-03-03
EP3236251B1 (en) 2024-03-27
EP3236251A4 (en) 2018-08-29
US20170276644A1 (en) 2017-09-28
EP3236251A1 (en) 2017-10-25
WO2016098648A1 (ja) 2016-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7591A (en) Gel electrophoresis sample applicator/retriever
KR101855608B1 (ko) 생체 분자 분석 장치
JPH11502618A (ja) キャピラリー電気泳動装置および方法
US4964961A (en) Elution method and device
US4622124A (en) Device for horizontal electroblotting
JP2009063454A (ja) 電気泳動転写装置
CN108700549B (zh) 样品分离器具及样品分析装置
US20170038335A1 (en) Frame member-equipped transfer film, biomolecule analysis device, reagent tank, and shaking device
CN109470760B (zh) 用于制备琼脂糖凝胶的装置、琼脂糖凝胶电泳方法和应用
KR101873143B1 (ko) 전사막 유지 기구 및 분리 전사 장치
JP6030681B2 (ja) 生体分子分析装置
JP2011085535A (ja) サンプル分離吸着器具
JP6025813B2 (ja) 生体分子分析装置
EP3128320A1 (en) Separation medium cassette for sample separation adsorption and analysis device for sample separation adsorption
JP6353869B2 (ja) 生体分子分析装置
US9341595B2 (en) Electrophoresis gel assembly
JP2006280258A (ja) ハイブリダイゼーション用カートリッジ、ハイブリダイゼーション装置およびハイブリダイゼーション方法
JP5952379B2 (ja) 生体分子分析装置
SU103240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вертикального гельэлектрофорез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