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5023A - 점착필름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점착필름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35023A KR20160135023A KR1020150067657A KR20150067657A KR20160135023A KR 20160135023 A KR20160135023 A KR 20160135023A KR 1020150067657 A KR1020150067657 A KR 1020150067657A KR 20150067657 A KR20150067657 A KR 20150067657A KR 20160135023 A KR20160135023 A KR 2016013502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th
- adhesive film
- acrylate
- monomer
- thicknes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3/00—Other surface treatment of glass not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C03C23/0095—Solution impregnating; Solution doping; Molecular stuffing, e.g. of porous glass
-
- C09J7/04—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및 상기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에 함침된 글라스 클로스를 포함하고, 유리전이온도(Tg)가 -60℃ 내지 -10℃이고, 헤이즈가 2%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점착필름은 넓은 온도 구간에서 저장탄성률이 유지되고, 굽힘성, 접힘성 및 접착력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학표시장치는 점차 소형화 및 박형화 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광학표시장치(optical display apparatus)에 포함되는 광학 부재들(optical members)은 광학용 점착제를 통해 접착된다. 때문에, 광학용 점착제의 물성은 광학표시장치의 소형화 및 박형화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스마트폰, 태블릿 PC및 스마트 가전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터치 패널이 설치된 형태의 광학표시장치에 대한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터치 패널은 동작원리에 따라 정전 용량 방식, 저항막 방식, 초음파 방식 또는 적외선 방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전에는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이 선호되었으나, 최근에는 반응 속도가 빠른 이유로 정전 용량 방식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 지고 있다.
이러한,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터치 스크린 패널(TSP) 센서, 투명 도전체 또는 편광 필름 등과 같은 광학 부재의 상부에 광학용 점착층을 통해 윈도우 글라스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윈도우 글라스와 같은 유리 재질의 부재를 투명 고분자 시트로 대체함으로써, 취성을 보완하고, 가공성 및 내충격성 등의 물성을 향상하기 위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유리 재질의 부재를 투명 고분자 시트로 대체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는 굽힘(bending) 특성 또는 접힘 특성(folding)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적용하기 위한 점착제에는 자체적인 접힘성 및 굽힘성 뿐만 아니라, 접힘(bending) 또는 굽힘(folding) 시 광학 부재들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응력을 제어하면서도 동시에 접착 특성을 유지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선행 기술은 한국 공개 특허 제2007-0055363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과제는 저온(-20℃)에서의 접착력(내박리력)이 우수한 동시에 고온(80℃)에서의 응력을 완화 특성이 우수한 점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넓은 온도 구간(-20℃ 내지 80℃)에서 저장탄성률이 유지되고, 굽힘성, 접힘성 및 리커버리 특성이 우수한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내박리성 및 접착력이 우수한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내구성과 광투명성이 우수한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광학부재의 피착 시 기포 발생을 저감할 수 있는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및 상기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에 함침된 글라스 클로스를 포함하고, 유리전이온도(Tg)가 -60℃ 내지 -10℃이며, 헤이즈가 2% 이하인 점착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점착필름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저온(-20℃)에서의 접착력(내박리력)이 우수한 동시에 고온(80℃)에서의 응력을 완화 특성이 우수하고, 넓은 온도 구간(-20℃ 내지 80℃)에서 저장탄성률이 유지되며, 굽힘성, 접힘성, 내구성, 리커버리 특성 및 광투명성이 우수하고, 피착 시 기포발생을 저감할 수 있는 점착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필름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필름에 사용되는 글라스 클로스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착필름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필름에 사용되는 글라스 클로스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착필름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및 상기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에 함침된 글라스 클로스(glass cloth)를 포함하는 광학용 점착필름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출원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각 장치의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를 다소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와 "하부"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으로서,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상부"가 "하부"로 "하부"가 "상부"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조를 개재한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체 등의 다른 구조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의 점착필름은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및 상기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에 함침된 글라스 클로스; 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필름은 유리전이온도(Tg)가 -60℃ 내지 -10℃이며, 헤이즈가 2% 이하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필름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의 점착필름(200)은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110) 및 글라스 클로스(100)를 포함한다. 이 때, 글라스 클로스(100)는 매트릭스 수지인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110)에 함침된 상태로 존재한다.
상기 점착필름(200)은 유리전이온도(Tg)가 -60℃ 내지 -10℃이다. 이러한 경우, 점착필름은 접힘성이 우수하면서, 넓은 온도 범위에서 우수한 점착력과 신뢰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점착필름(200)의 유리전이온도(Tg)는 -40℃ 내지 -20℃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필름의 접힘성, 굽힙성, 점착력 및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점착필름의 유리전이온도는 후술하는 물성평가 방법에 기재된 바와 같이 측정한다.
상기 점착필름(200)은 헤이즈가 2% 이하이다. 구체적으로 헤이즈는 1%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필름(200)은 자체의 투명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광학디스플레이 장치의 투명도 및 광학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점착필름의 「헤이즈」는 100 ㎛ 두께의 점착필름에 대하여 Haze meter(Nippon Denshoku社 모델 NDH 5000) 장비를 이용하여, ASTM(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easurement) 시험 방법 D 1003-95 ("투명 플라스틱의 탁도 및 시감 투과율에 대한 표준 시험법(Standard Test for Haze and Luminous Transmittance of Transparent Plastic)")에 따라 측정한다.
일 실시예의 점착필름은 상기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110)와 글라스 클로스(100)의 굴절률 차이(△R) 값이 0.02 이하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굴절률 차이(△R) 값은 하기 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식 1]
△R = |R1-R2|
상기 식 1에서, R1은 경화 후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의 굴절률이고, R2는 글라스 클로스의 굴절률이다.
상기 굴절률 차이(△R) 값은 예를 들면, 0.01 이하, 0.005 이하, 0.002 이하, 0.001 이하 또는 0 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점착필름의 광학특성이 우수하여 광학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하기에 유리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의 경화 후 굴절률 및 상기 글라스 클로스의 굴절률은 실질적으로 측정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점착 필름은 헤이즈 값을 더욱 낮출 수 있고, 광학특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의 점착필름에 사용되는 글라스 클로스(100)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 클로스(100)는 복수 개의 글라스 얀(glass yarn)이 직조된 것으로 인접한 글라스 얀(110, 120)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직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글라스 클로스는 동일 종류의 글라스 얀(yarn)으로 직조될 수 있다. 여기서, "동일 종류의 글라스 얀(glass yarn)"이란 굴절률이 1.40 내지 1.70을 갖는 글라스 재질이고, 필라멘트(Filament)를 구성하는 평균 단사 직경과 개수 및 얀 (Yarn)을 구성하는 필라멘트의 수가 동일한 얀(Yarn)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 글라스 클로스의 평활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점착 필름은 내구성 및 광투명성을 더욱 우수한 수준으로 양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글라스 얀은 평균 단사 직경이 1㎛ 내지 500 ㎛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점착필름의 유연성 제어가 유리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글라스 얀의 평균 단사 직경은 1 ㎛ 내지 200㎛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단사의 직경에 따른 두께와 강도의 밸런스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글라스 얀의 단사개수는 30 내지 400 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사의 다발이 충분히 확보되고 글라스 클로스 두께를 점착필름에 최적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사개수는 50 내지 400 개, 100 내지 350 개, 150 내지 250개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단사의 직경에 따른 두께와 강도의 밸런스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 점착필름을 디스플레이 장치, 특히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하기 유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글라스 얀은 꼬임(twist) 정도가 0.5회/inch 이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저연사화된 얀을 사용할 경우, 얀(Yarn) 폭이 확대되기 쉬우면서도, 글라스 클로스의 두께는 저감시킬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글라스 얀은 꼬임(twist) 정도가 0회/inch 내지 0.2회/inch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얀(Yarn)을 편평화할 수 있고, 얀(Yarn)자체의 단면 형상을 보다 더 평판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어, 글라스 클로스 내의 글라스 섬유의 분포를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글라스 클로스는 표면조도가 0.5 ㎛ 내지 200 ㎛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표면조도는 광학분석기 (Optical Profiler)로 측정될 수 있으며, 평균 표면조도(Ra)를 의미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글라스 클로스의 표면조도는 0.5㎛ 내지 100 ㎛, 예를 들면 0.5 ㎛ 내지 50 ㎛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필름은 LCD 또는 OLED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으로 적용되기에 유리한 물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표면조도는 개섬율, 꼬임수, 단사 개수 등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글라스 클로스는 개섬율이 90%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점착필름은 우수한 표면 평활성 및 치수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글라스 클로스의 개섬율은 95% 이상, 예를 들면, 96% 내지 99.5%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사용하기에 유리한 표면 조도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글라스 클로스의 개섬율(A)은 하기 식 2로 표시될 수 있다.
[식 2]
A = (A1/A2)×100
상기 식 2에서, A1은 위사 및 경사에 의해 형성되는 빈 공간의 면적이고, A2는 글라스 클로스의 전체 면적이다.
개섬율은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개섬방법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류 압력에 의한 개섬 가공, 액체를 매개로 한 고주파 진동에 의한 개섬 가공, 연속 초음파에 의한 개섬 가공, 기계적으로 롤에 의한 가압 등 또는 복수의 개섬 가공 등을 혼합 적용하여 실시함으로써 글라스 클로스를 구성하는 얀의 편평화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글라스 클로스의 두께(Dg)는 하기 식 3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식 3]
Dg ≤ Da
상기 식 3에서, Dg는 글라스 클로스의 두께이고, Da는 점착필름의 두께이다.
이러한 경우, 글라스 클로스의 두께는 점착필름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더 얇은 범위를 갖는다. 이를 통해, 점착필름의 접착력을 유지하면서도, 폴딩성 및 벤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글라스 클로스는 굴절률이 1.40 내지 1.70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글라스 클로스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점착필름에 사용하기에 충분한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글라스 클로스의 굴절률은 1.48 내지 1.65, 더욱 구체적으로 1.50 내지 1.60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필름에 포함되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와의 굴절률 차이를 더욱 저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점착필름은 두께가 10 ㎛ 내지 200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점착필름의 두께는 10 ㎛ 내지 150 ㎛, 더욱 구체적으로 20 ㎛ 내지 100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필름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소형화 및 박형화 하면서도 우수한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점착필름은 저온(-20℃)에서 저장탄성률(Storage modulus) G1이 6×105 dyne/cm2 내지 1×108 dyne/cm2이고, 상온(25℃)에서 저장탄성률 G2가 1.5×105 dyne/cm2 내지 5×106 dyne/cm2이며, 고온(80℃)에서 저장탄성률 G3가 1×105 dyne/cm2 내지 4×106 dyne/cm2일 수 있다. 상기 각 저장탄성률 범위에서, 점착필름은 저온, 상온 및 고온에서의 우수한 굽힘성과 접힘성 및 리커버리력이 발현되고 유지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저장 탄성률」은 하나 이상의 점착필름(두께: 100㎛, 5개)을 적층하고 절단하여 제조한 두께 1mm, 직경 8mm의 원형의 저장 탄성 측정용 시편에 대하여 측정한다. 상기 저장 탄성 측정용 시편에 대해 저장 탄성률 측정기(ARES, Anton Paar社 MCR-501)를 사용하여 주파수 1 ㎐, strain 1%에서 auto strain 조건으로 -20℃, 25℃ 및 80℃의 각 온도 조건에서 모듈러스(저장탄성률)을 측정하였다(Frequency: 1 rad/sec)
일 실시예의 점착필름(13 cm × 3 cm, 두께 100 ㎛)은 온도 60℃, 습도 93%에서 24시간 에이징(aging)한 경우 기포발생면적이 0%일 수 있다. 상기의 범위에서, 점착필름은 고온고습에서도 피착체와 접착력이 우수하고, 내구 신뢰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점착필름의 기포발생면적」은 점착필름(13 cm × 3 cm, 두께 100 ㎛)의 일면에 50 ㎛ 두께의 PET필름을 적층하고, 상기 점착필름의 이면에는 100 ㎛ 두께의 PET 필름을 적층하여 제조된 적층체 시편에 대하여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층체 시편을 50 ㎛ PET이 부착된 방향으로 구부려서 1 cm 간격의 평행한 틀 사이에 넣고 60℃, 습도 93%에서 24시간 에이징(Aging)한 후, 적층체 시편을 광학현미경(Olympus사, EX-51, 20배율)으로 측정한 이미지를 Mountech사의 Mac-view software로 분석하여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점착필름(두께 100 ㎛)은 25℃(상온)에서의 PET 필름에 대한 박리강도가 1000 gf/in 내지 3000 gf/in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필름은 25℃(상온)에서의 PET 필름에 대한 박리강도가 1100 gf/in 내지 3000 gf/in, 예를 들면, 1200 gf/in 내지 2800 gf/in, 1400 gf/in 내지 2500 gf/in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필름은 상온에서의 접착력 및 내구신뢰성이 우수하다.
일 실시예의 점착필름(두께 100 ㎛)은 60℃(고온)에서의 PET 필름에 대한 박리강도가 450 gf/in 내지 3000 gf/in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필름은 60℃(고온)에서의 PET 필름에 대한 박리강도가 500 gf/in 내지 3000 gf/in, 예를 들면, 600 gf/in 내지 2800 gf/in, 700 gf/in 내지 2500 gf/in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필름은 고온에서의 접착력 및 내구신뢰성이 우수하다.
일 구체예의 점착필름(두께 100 ㎛)은 25℃(상온)에서의 PET 필름에 대한 박리강도가 1000 gf/in 내지 3000 gf/in이고, 동시에 60℃(고온)에서의 PET 필름에 대한 박리강도가 450 gf/in 내지 3000 gf/in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점착필름은 상온 및 고온 모두에서의 굽힘성, 접힘성 및 접착력이 더욱 우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박리강도」는 두께 100 ㎛의 점착필름을 PET 기재와 합지한 후 2 kg 롤러를 통과시켜 접착시킨 시편에 대하여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25℃에서의 PET 필름에 대한 박리강도는 롤러를 통과시킨 후 30 분이 경과된 시편에 대하여 TA.XT Plus Texture Analyzer (Stable Micro System 제조)를 사용하여, 25℃에서 50 mm/min의 속도 및 90°박리각도 점착필름을 박리하면서 측정한 값(gf/in)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60℃ 에서의 PET 필름에 대한 박리강도는 롤러를 통과시킨 시편을 상온에서 24 시간 aging 한 후, 60℃에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 값(gf/in)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필름(두께 100 ㎛)은 하기 식 4에 의한 리커버리력이 85%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점착필름을 플렉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식 4]
리커버리력(%)=(1-(Xf/X0))×100
상기 식 4에서, Xf는 점착필름을 두께의 1000%의 길이로 인장한 상태에서10초 유지 후 응력을 제거하여 측정한 길이이고, X0는 점착필름을 두께의 1000%로 인장하여 측정한 길이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점착필름은 리커버리력이 90% 이상, 예를 들면 90% 내지 95%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굽힘성 및 접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리커버리력」은 50mm×20mm 크기의 PET필름 두 개의 사이에, 각 PET필름 면적이 20 mm × 20 mm 겹치도록, 점착필름(크기 20 mm × 20 mm, 두께 100 ㎛)을 통해 라미네이트(laminate)하여 제조한 리커버리력 측정용 시편에 대하여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커버리력 측정용 시편을 오토클레이브(autoclave)처리한 후 두 PET필름의 양끝 15 mm 에 지그(jig)를 이용하여 10 MPa의 힘으로 고정하고, 30 mm/min의 속도로 점착필름 두께의 1000%의 길이까지 인장한다. 1000%의 길이에 도달한 후 때 10초 동안 유지하여 응력을 제거한 후 길이를 측정하여 상기의 식 4를 통해 리커버리력(%)을 측정한다.
일 실시예의 점착필름은 전술한 바와 같이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110)를 포함한다. 이러한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110)는 글라스 클로스가 함침되는 매트릭스 수지의 역할을 하는 동시에 점착필름에 점착력을 구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글라스 클로스를 함침시킨 뒤 경화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는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은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A)를 포함하며, 상기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A)는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a1) 및 반응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a2)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제조된 것 수 있다.
상기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계 단량체(a1)는 1개 이상의 수산기 및 탄소수 1 내지 20의 탄화수소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일 수 있다. 탄소수 1 내지 20의 탄화수소기는 예를 들면, 탄소수 1~20의 알킬기, 탄소수 5~20의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탄소수 6~20의 아릴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a2)는 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모노 (메트)아크릴레이트, 1-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라이콜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 디(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닐옥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사이클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사이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사이클로헥산 디메탄올 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중 1종 이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점착필름의 가교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수산기 함유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를 사용함으로써 더욱 우수한 접착력 상승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a2)는 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6-히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중 1종 이상의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점착필름 제조 시 생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점착필름의 접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a1)는 상기 예시 중 굴절률이 1.5 이하, 예를 들면 1.4 내지 1.5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제조되는 공중합체의 굴절률 조절이 유리할 수 있다.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a2)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 중 4 중량% 내지 40 중량%, 예를 들면 10 중량%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필름의 접착력 및 내구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반응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a2)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a21), 에틸렌 옥사이드를 갖는 단량체(a22), 프로필렌 옥사이드를 갖는 단량체(a23), 아민기를 갖는 단량체(a24), 아미드기를 갖는 단량체(a25), 알콕시기를 갖는 단량체(a26), 인산기를 갖는 단량체(a27), 설폰산기를 갖는 단량체(a28), 페닐기를 갖는 단량체(a29) 및 실란기를 갖는 단량체(a30) 중 1종 이상의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a21)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의 알킬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iso-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 (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트)아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탄소수 4 내지 8의 알킬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를 사용함으로써 초기 점착력의 증대 효과가 더 있을 수 있다.
에틸렌 옥사이드를 갖는 단량체(a22)는 에틸렌옥사이드기(-CH2CH2O-)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모노메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모노에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모노프로필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모노부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모노펜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디메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디에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모노이소프로필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모노이소부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모노터트부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알킬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가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필렌 옥사이드를 갖는 단량체(a23)는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모노메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모노에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모노프로필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모노부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모노펜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디메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디에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모노이소프로필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모노이소부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모노터트부틸 에터(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알킬에터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민기를 갖는 단량체(a24)는 모노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에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메틸아미노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에틸아미노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N-tert-뷰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크릴옥시에틸트라이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미노기 함유 (메트)아크릴계 단량체가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다.
아미드기를 갖는 단량체(a25)는 (메트)아크릴아마이드, N-메틸아크릴아마이드, N-메틸메트크릴아마이드, N-메틸올 (메트)아크릴아마이드, N-메톡시메틸 (메트)아크릴 아마이드, N,N-메틸렌 비스 (메트)아크릴 아마이드,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아마이드 등의 아마이드기 함유 (메트)아크릴계 모노머가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알콕시기를 갖는 단량체(a26)는 2-메톡시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톡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톡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부톡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톡시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톡시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부톡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3-메톡시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3-에톡시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3-부톡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인산기를 갖는 단량체(a27)로는 2-메트크릴로일옥시에틸다이페닐포스페이트 (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메트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 (메트)아크릴레이트, 트라이아크릴로일옥시에틸포스페이트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인산기를 갖는 아크릴계 단량체가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다.
설폰산기를 갖는 단량체(a28)는 설포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나트륨, 2-설포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나트륨, 2-아크릴아미도-2-메틸프로페인설폰산 나트륨 등의 설폰산기를 갖는 아크릴계 단량체가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페닐기를 갖는 단량체(a29)는 p-tert-부틸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o-바이페닐(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페닐기를 갖는 아크릴계 비닐 단량체가 가능하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란기를 갖는 단량체(a30)는 2- 비닐트라이메톡시실란, 비닐트라이에톡시실란, 비닐 트리스(β-메톡시에틸)실란, 비닐트라이아세틸실란, 메트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란 등의 실란기를 지닌 비닐 단량체가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체예에서, 반응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a1)는 상기 예시 중 굴절률이 1.5 이상, 예를 들면 1.5 내지 1.7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제조되는 공중합체의 굴절률 조절이 유리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반응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a2)는 상기 예시 중 유리전이온도(Tg)가 -150 ℃ 내지 0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공중합체의 유리전이 온도를 전술한 범위 내로 조절하기에 유리하다. 상기 반응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a2)의 유리전이온도(Tg)는 예를 들면, -150 ℃ 내지 -20 ℃, 또는 -150 ℃ 내지 -40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필름의 접힘성, 굽힙성, 점착력 및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반응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a2)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 중 60 중량% 내지 95 중량%, 예를 들면 70 중량% 내지 9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착필름의 접착력 및 내구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a1) 및 반응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a2)은 하기 식 5를 만족할 수 있다.
[식 5]
1.4 < Ra1 ≤ Ra2 < 1.7
상기 식 5에서, Ra1은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a1)의 굴절률이고, Ra2는 반응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a2)의 굴절률이다.
이러한 경우, 점착필름은 광투과도를 88% 이상, 예를 들면 88% 내지 100%, 또는 92% 내지 100% 로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점착필름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광학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a1) 및 반응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a2)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은 개시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되는 개시제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는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개시제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단량체 혼합물에 사용되는 개시제의 양은 예를 들면,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001 중량부 내지 1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글라스 클로스의 함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점착필름은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a1) 및 반응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a2)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에 0.0001 중량부 내지 0.1 중량부의 개시제를 혼합한 후, UV를 조사하여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A)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일부분의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A)와 단량체로 이루어져있는 프리 폴리머(Pre-polymer) 상태이다.
상기 프리 폴리머가 된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함량은 전체 수지 조성물 중 3 중량% 내지 20 중량% 예를 들면, 3 중량% 내지 10 중량%, 5중량% 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점착필름의 경화도 조절이 유리할 수 있다. 프리 폴리머가 된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Mw)는 100만 내지 300만 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점착필름의 경화 후 점착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글라스 클로스가 수지 조성물에 함침되기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A)를 포함하며; 그 외에 가교제(C) 및 개시제(D) 중 하나 이상의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교제(C)는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로, 예를 들면 1,4-부탄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아디페이트(neopentylglycol adipate)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dicyclopentanyl)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시클로펜테닐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트)아크릴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알릴화 시클로헥실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 (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롤 디시클로펜탄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옥시드 변성 헥사히드로프탈산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 디메탄올 (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변성 트리메틸프로판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아다만탄(adamantane)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9,9-비스[4-(2-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등과 같은 2관능성 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피온산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시드 변성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3 관능형 우레탄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트리스(메트)아크릴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3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디글리세린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펜타에리쓰리톨테트라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4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5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6관능형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교제는 수산기를 2~20개 갖는 다가알코올의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함으로써 내구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가교제는 수산기 함유(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 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구체적으로 0.03 중량부 내지 7 중량부, 구체적으로 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접착력과 신뢰성을 더욱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개시제(D)는 라디칼형 광중합 개시제가 될 수 있고, 수산기 함유(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제조 시 사용된 개시제와 같거나 다른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는 열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개시제는 상기 수산기 함유(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 0.01 내지 5 중량부, 구체적으로는 0.05 중량부 내지 3 중량부, 더욱 구체적으로는 0.1 중량부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범위에서 경화 반응이 완전히 진행될 수 있고, 잔량의 개시제가 남아 투과율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또한 기포발생을 낮출 수 있고 우수한 반응성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첨가제(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는 커플링제, 경화촉진제, 이온성 액체, 리튬염, 무기충전제, 연화제, 분자량 조절제, 산화방지제, 노화방지제, 안정제, 점착 부여 수지, 개질수지(폴리올 수지, 페놀수지, 아크릴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에폭시 수지, 에폭시화 폴리부타다이엔 수지 등), 레벨링제, 소포제, 가소제, 염료, 안료(착색 안료, 체질 안료 등), 처리제, 자외선차단제, 형광증백제, 분산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자외선흡수제, 대전방지제, 응집제, 윤활제 및 용제 등의 통상의 첨가제일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은 용매를 포함하지 않으며, 25℃ 점도가 100cPs 내지 50,000cPs가 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200cPs 내지 2000cPs, 가장 구체적으로는 500cPs 내지 1500cPs 일 수 있다. 점착 조성물이 용매를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기포발생을 낮추어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로 글라스 클로스를 함침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수지 조성물을 탈포한 뒤 글라스 클로스에 코팅하여 함침하고, UV광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른 점착필름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점착필름(250)은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110)에 함침된 글라스 클로스(100)를 포함하는 함침체 및 상기 함침체의 양면에 추가로 형성된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코팅층(120a, 120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가의 코팅층(120a, 120b)이 형성된 경우에는 점착필름의 표면조도(roughness)를 더욱 낮출 수 있으므로 점착필름의 광투과율을 향상시켜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점착필름의 표면조도(Ra)는 1 nm 내지 300 nm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5 nm 내지 250 nm, 예를 들면, 10 nm 내지 200 nm 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120a, 120b)은 글라스 클로스(110)가 함침된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코팅층일 수 있다. 이러한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와 관련된 설명은 전술하연 바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상기 코팅층(120a, 120b)의 두께는 1 ㎛ 내지 50 ㎛, 구체적으로는 5 ㎛ 내지 30 ㎛, 더욱 구체적으로는 5 ㎛ 내지 10 ㎛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우수한 시인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디스플레이부(350), 점착필름(360), 편광판(370), 터치스크린패널(380), 플렉시블 윈도우 필름(390)을 포함하고, 점착필름(36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점착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5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기판 및 기판 상에 형성된 OLED, LED 또는 LCD 소자를 포함하는 광학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미도시하였으나, 디스플레이부(350)는 기판, 박막 트랜지스터, 유기발광다이오드, 평탄화층, 보호막, 절연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디스플레이부(350), 점착필름(360), 편광판(370), 터치스크린패널(380), 플렉시블 윈도우 필름(390)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필름(360)은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점착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필름(360)은 플렉시블 윈도우 필름(390)과 편광판(370)의 사이 및 편광판(370)과 디스플레이부(350)의 사이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점착필름(360)은 리커버리성 및 내박리성이 우수하며, 넓은 온도 범위(-20℃ 내지 80℃)에서 충분한 저장탄성률을 나타내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하기에 더욱 적합한 이점을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1
4-히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오사카유기社 4-HBA) 61 중량% 및 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오사카유키社 Viscoat192) 39 중량%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 및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 대비 광중합 개시제(BASF社 Iracure184) 50 ppm 중량부를 유리 용기 내에서 잘 혼합하였다. 유리 용기 내의 용해된 산소를 질소 기체로 교체하고, 수분 동안 저압 램프(Sankyo社에서 제조된 BL Lamp)를 사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혼합물을 중합시켜 점도 약 1000 cps 및 중량평균분자량 약 100만 내지 300만인 수산기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프리-폴리머)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수지 조성물에 광중합 개시제(BASF社 Iracure184) 0.2 중량부를 투입한 후, 임펠라를 이용하여 약 30분간 교반 및 탈포하였다. 상기 탈포된 수지 조성물에 글라스 클로스(상하이그레이스社 IPC code 1078, 43 ㎛)를 함침시킨 후 UV-A 파장에서 600 mJ의 광량으로 조사하여 경화하였다. 경화된 점착필름을 0.1 mpm의 속도로 압착하여 두께는 100 ㎛인 점착필름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실시예 1의 점착필름의 표면조도는 200 nm 이었다.
실시예 2
4-히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오사카유기社 4-HBA) 61 중량% 및 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오사카유키社 Viscoat192) 39 중량%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 및 상기 단량체 혼합물 100 중량부 대비 광중합 개시제(BASF社 Iracure184) 50 ppm 중량부를 유리 용기 내에서 잘 혼합하였다. 유리 용기 내의 용해된 산소를 질소 기체로 교체하고, 수분 동안 저압 램프(Sankyo社에서 제조된 BL Lamp)를 사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혼합물을 중합시켜 점도 약 1000 cps 및 중량평균분자량 약 100만 내지 300만인 수산기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프리-폴리머)을 준비 하였다.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두께 50 ㎛인 점착필름의 일면에 상기 코팅 조성물을 도포한 후 경화한 후 압착하여 두께 25 ㎛인 코팅층 1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점착필름의 다른 일면에도 두께 25 ㎛인 코팅층 2를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실시예 2의 점착필름의 표면조도는 15 nm 이었다.
비교예 1
글라스 클로스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필름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비교예 1의 점착필름의 표면조도는 10nm 이었다.
물성평가 방법
(1) 저장탄성률(dyne/cm2):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하나 이상의 점착필름(두께: 100㎛, 5개)을 적층하고 절단하여 제조한 두께 1 mm, 직경 8 mm의 원형의 저장 탄성 측정용 시편을 제조하였다. 상기 저장 탄성 측정용 시편에 대해 ARES (Anton Paar社 MCR-501)를 사용하여 주파수 1 ㎐, strain 1%에서 auto strain 조건으로 -20℃, 25℃ 및 80℃의 각 온도 조건에서 모듈러스(저장탄성률)을 측정하였다(Frequency: 1 rad/sec).
(2) 박리강도(gf/in):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두께 100 ㎛의 점착필름을 PET 기재와 합지한 후 2 kg 롤러를 통과시켜 접착시킨 시편에 대하여 측정한다. 25℃에서의 PET 필름에 대한 박리강도는 롤러를 통과시킨 후 30 분이 경과된 시편에 대하여 TA.XT Plus Texture Analyzer (Stable Micro System 제조)를 사용하여, 25℃에서 50 mm/min의 속도 및 90°박리각도 점착필름을 박리하면서 측정하였다. 60℃ 에서의 PET 필름에 대한 박리강도는 롤러를 통과시킨 시편을 상온에서 24 시간 aging 한 후, 60℃에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3) 헤이즈: Haze meter(Nippon Denshoku社 모델 NDH 5000) 장비를 이용하였다. ASTM(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easurement) 시험 방법 D 1003-95 ("투명 플라스틱의 탁도 및 시감 투과율에 대한 표준 시험법(Standard Test for Haze and Luminous Transmittance of Transparent Plastic)")에 따라 100 ㎛ 두께에서의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4) 기포발생면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점착필름(13 cm × 3 cm, 두께 100 ㎛)의 일면에 50 ㎛ 두께의 PET 필름을 적층하고, 상기 점착필름의 이면에는 100 ㎛ 두께의 PET 필름을 적층하여 제조된 적층체 시편에 대하여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층체 시편을 50 ㎛ PET이 부착된 방향으로 구부려서 1 cm 간격의 평행한 틀 사이에 넣고 60℃, 습도 93%에서 24시간 에이징(Aging)한 후, 적층체 시편을 광학현미경(Olympus사, EX-51, 20배율)으로 측정한 이미지를 Mountech사의 Mac-view software로 분석하여 산출하였다.
(5) 리커버리력(%): 50mm×20mm 크기의 PET필름 두 개의 사이에, 각 PET필름 면적이 20 mm×20 mm 겹치도록,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점착필름(크기 20 mm×20 mm, 두께 100 ㎛)을 라미네이트(laminate)하여 제조한 리커버리력 측정용 시편에 대하여 측정한다. 상기 리커버리력 측정용 시편을 오토클레이브(autoclave)처리한 후 두 PET 필름의 양끝 15 mm 에 지그(jig)를 이용하여 10 MPa의 힘으로 고정하고, 30 mm/min의 속도로 점착필름 두께의 1000%의 길이까지 인장한다. 1000%의 길이에 도달한 후 때 10초 동안 유지하여 응력을 제거한 후 길이를 측정하여 하기 식 4를 통해 리커버리력(%)을 측정한다.
[식 4]
리커버리력X(%)=(1-(Xf/X0))×100
상기 식 4에서, Xf는 점착필름을 두께의 1000%의 길이로 인장한 상태에서10초 유지 후 응력을 제거하여 측정한 길이이고, X0는 점착필름을 두께의 1000%로 인장하여 측정한 길이이다.
(6) 점착필름의 유리전이온도: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점착필름에 대하여, TA Instrument사의 DSC Q2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0℃/분의 속도로 160℃까지 온도를 올린 후, 서서히 식혀 50℃에서 평형상태를 유지시키고, 10℃/분의 속도로 160℃까지 승온하였을 때의 흡열 전이곡선을 데이터를 얻은 후, 상기 흡열전이곡선의 변곡점을 유리전이온도로 결정하였다.
(7) 굴절률 측정: ATAGO사의 DR-M2 다파장 아베굴절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8) Folding test: 7.2" 크기의 100 ㎛의 PET 필름을 상부에, 125 ㎛의 PET 필름을 하부에 놓고,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점착필름을 라미네이션(lamination)하여 Folding test용 시편을 제조한다. 제조된 Folding test용 시편은 오토클레이브(Autoclave) 처리한 후, 측정기기(COVOTEC社, CFT시리즈)에 시편 길이의 1/2되는 지점이 100 ㎛의 PET 필름이 안쪽으로 접히도록 고정한다. 측정방법은 시편을 접었을 때 반지름 3 mm의 곡률 반경이 되도록 180도 접힘(folding), 펼침(unfolding)을 반복하며, 1회 접힘 및 펼침하는 것을 1 Cycle이라고 할 때 1분에 30 Cycle의 속도로 측정한다. 측정조건은 Chamber로 조정이 가능하며, 각 저온은 -20℃(N1) 에서, 상온은 25℃(N2)에서 고온, 고습은 60℃, 93%RH(N3)에서 측정한다. 실험결과는 시편에서 기포의 발생, Crack 발생, 들뜸 또는 Delamination이 발생하는 순간까지의 Folding 횟수를 기록하였다.
실시예 1 | 실시예 2 | 비교예 1 | ||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의 광경화 후 굴절률 |
1.478 | 1.478 | 1.478 | |
글라스 클로스 굴절률 | 1.480 | 1.480 | - | |
아크릴 공중합체와 글라스클로스의 굴절률 차이(△R) |
0.002 | 0.002 | - | |
저장탄성률 (G') (dyne/cm2) |
G1(-20℃) | 3.09×107 | 3.89×107 | 4.14×107 |
G2 (25℃) | 1.89×105 | 1.56×105 | 4.26×104 | |
G3 (80℃) | 1.59×105 | 1.09×105 | 3.54×104 | |
박리강도 (gf/in) |
25℃ | 1448 | 1392 | 1301 |
60℃ | 824 | 843 | 868 | |
점착필름의 Tg(℃) | -12.7 | -10.2 | -6.9 | |
1000% 복원율(Recovery) | 90.8 | 89 | 85.3 | |
Haze(%) | 1.97 | 1.19 | 0.99 | |
Transmittance(%) | 88 | 90 | 91 | |
기포발생면적(%) | 0 | 0 | 12 | |
Folding 횟수 (회) | N1(-20℃) | 43,200 | 43,200 | 500 |
N2 (25℃) | 100,000 | 100,000 | 100,000 | |
N3 (60℃/93%) | 100,000 | 100,000 | 70,000 |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점착필름은 넓은 온도구간에서 리커버리력 및 접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가혹조건에서도 기포가 발생하지 않아 신뢰성이 우수하고, 낮은 헤이즈 값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은 리커버리력, 접착력이 저하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Claims (19)
-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및 상기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에 함침된 글라스 클로스; 를 포함하고,
유리전이온도(Tg)가 -60℃ 내지 -10℃이며, Haze가 2% 이하인 점착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와 상기 글라스 클로스는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굴절률 차이(△R)가 0.0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필름:
[식 1]
△R = |R1-R2|
상기 식 1에서, R1은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의 경화 후 굴절률이고, R2는 글라스 클로스의 굴절률이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필름은 -20℃에서의 저장탄성률 G1이 6×105 dyne/cm2 내지 1×108 dyne/cm2이고,
25℃에서의 저장탄성률 G2가 1.5×105 dyne/cm2 내지 5×106 dyne/cm2이며,
80℃에서의 저장탄성률 G3가 1×105 dyne/cm2 내지 4×106 dyne/cm2인 점착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클로스는 글라스 얀(glass yarn)으로 구성되며, 표면조도가 0.5㎛ 내지 200 ㎛이고, 하기 식 2로 표시되는 개섬률(A)이 9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필름:
[식 2]
A = (A1/A2)×100
상기 식 2에서, A1은 위사 및 경사에 의해 형성되는 빈 공간의 면적이고, A2는 글라스 클로스의 전체 면적이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클로스의 두께(Dg)는 하기 식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필름:
[식 3]
Dg ≤ Da
상기 식 3에서, Dg는 글라스 클로스의 두께이고, Da는 점착필름의 두께이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클로스의 굴절률은 1.40 내지 1.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필름.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얀의 단사개수는 30 내지 4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필름.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얀은 평균 단사 직경이 1 ㎛ 내지 50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필름은 두께 100 ㎛, 25℃ 조건에서 PET 필름에 대한 박리강도가 1000 gf/in 내지 3000 gf/in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필름은 두께 100 ㎛, 60℃ 조건에서 PET 필름에 대한 박리강도가 450 gf/in 내지 3000 gf/in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필름 100 ㎛의 두께에서, 하기 식 4로 표시되는 리커버리력이 8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필름:
[식 4]
리커버리력(%)=(1-(Xf/X0))×100
상기 식 4에서, Xf는 점착필름을 두께의 1000%의 길이로 인장한 상태에서 10초 유지 후 응력을 제거하여 측정한 길이이고, X0는 점착필름을 두께의 1000%로 인장하여 측정한 길이이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는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a1)와 반응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a2)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필름.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a1)는 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6-히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점착필름.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a2)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에틸렌 옥사이드를 갖는 단량체, 프로필렌 옥사이드를 갖는 단량체, 아민기를 갖는 단량체, 아미드기를 갖는 단량체, 알콕시기를 갖는 단량체, 인산기를 갖는 단량체, 설폰산기를 갖는 단량체, 페닐기를 갖는 단량체 및 실란기를 갖는 단량체 중 1종 이상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것인 점착필름.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a1) 및 상기 반응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a2)는 하기 식 5를 만족하는 것인 점착필름:
[식 5]
1.4 < Ra1 ≤ Ra2 < 1.7
상기 식 5에서, Ra1은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a1)의 굴절률이고, Ra2는 반응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a2)의 굴절률이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필름의 두께는 10 ㎛ 내지 2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필름의 양면에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코팅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필름.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계 공중합체 수지 코팅층의 두께는 1 ㎛ 내지 50 ㎛이며,
상기 점착필름의 표면조도(roughness)는 1 nm 내지 3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필름. -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점착필름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7657A KR20160135023A (ko) | 2015-05-14 | 2015-05-14 | 점착필름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7657A KR20160135023A (ko) | 2015-05-14 | 2015-05-14 | 점착필름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35023A true KR20160135023A (ko) | 2016-11-24 |
Family
ID=57705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67657A KR20160135023A (ko) | 2015-05-14 | 2015-05-14 | 점착필름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135023A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99207A (ko) * | 2017-02-28 | 2018-09-05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윈도우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
KR20190092900A (ko) * | 2018-01-31 | 2019-08-08 |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 다층 점착필름 |
KR20210018133A (ko) * | 2019-08-05 | 2021-02-1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점착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
KR20210080480A (ko) * | 2018-10-22 | 2021-06-30 | 타츠타 전선 주식회사 | 도전성 접착 시트 |
KR102305521B1 (ko) * | 2021-03-04 | 2021-09-30 | 주식회사 오플렉스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백플레이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
WO2023282010A1 (ja) * | 2021-07-06 | 2023-01-12 | 日東電工株式会社 | 両面粘着シート |
WO2023282009A1 (ja) * | 2021-07-06 | 2023-01-12 | 日東電工株式会社 | 両面粘着シート |
CN115667443A (zh) * | 2020-05-21 | 2023-01-31 | 三星Sdi株式会社 | 粘合膜、包括其的光学构件及包括其的光学显示装置 |
US12054646B2 (en) | 2017-12-11 | 2024-08-06 | Lg Chem, Ltd. | Adhesive composition for foldable display, and foldable display comprising same |
US12077693B2 (en) | 2017-12-11 | 2024-09-03 | Lg Chem, Ltd. | Adhesive composition for foldable display, and foldable display comprising same |
-
2015
- 2015-05-14 KR KR1020150067657A patent/KR2016013502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99207A (ko) * | 2017-02-28 | 2018-09-05 |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 윈도우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
WO2018159918A1 (ko) * | 2017-02-28 | 2018-09-07 |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 윈도우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
US12054646B2 (en) | 2017-12-11 | 2024-08-06 | Lg Chem, Ltd. | Adhesive composition for foldable display, and foldable display comprising same |
US12077693B2 (en) | 2017-12-11 | 2024-09-03 | Lg Chem, Ltd. | Adhesive composition for foldable display, and foldable display comprising same |
KR20190092900A (ko) * | 2018-01-31 | 2019-08-08 |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 다층 점착필름 |
KR20210080480A (ko) * | 2018-10-22 | 2021-06-30 | 타츠타 전선 주식회사 | 도전성 접착 시트 |
KR20210018133A (ko) * | 2019-08-05 | 2021-02-1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점착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
CN115667443A (zh) * | 2020-05-21 | 2023-01-31 | 三星Sdi株式会社 | 粘合膜、包括其的光学构件及包括其的光学显示装置 |
KR102305521B1 (ko) * | 2021-03-04 | 2021-09-30 | 주식회사 오플렉스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백플레이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
WO2023282010A1 (ja) * | 2021-07-06 | 2023-01-12 | 日東電工株式会社 | 両面粘着シート |
WO2023282009A1 (ja) * | 2021-07-06 | 2023-01-12 | 日東電工株式会社 | 両面粘着シート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135023A (ko) | 점착필름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 |
US11999879B2 (en) | Adhesive film and display member comprising the same | |
KR101814249B1 (ko) |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 |
US20220177732A1 (en) | Adhesive film and display member including the same | |
CN105567109B (zh) | 粘合剂膜以及包含粘合剂膜的显示部件 | |
US20170349791A1 (en) |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film formed from same, and display member comprising same | |
US20170253769A1 (en) | Adhesive film, optical member comprising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 |
US10676654B2 (en) | Adhesive film, optical member comprising the same and optic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 |
KR20180096448A (ko) | 윈도우 필름용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
US20160177146A1 (en) | Adhesive film and display member including the same | |
KR101780542B1 (ko) | 점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955755B1 (ko) | 점착필름, 이를 위한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 |
KR102097799B1 (ko) | 광학표시장치의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 |
US20230048574A1 (en) | Optical display comprising an adhesive film | |
US20160177147A1 (en) | Adhesive film and display member including the same | |
KR101962999B1 (ko) |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 |
KR102027570B1 (ko)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2430602B1 (ko) |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 |
KR20190063306A (ko) | 광학표시장치의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 |
KR101845137B1 (ko) |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 |
KR101992002B1 (ko) | 편광판용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 |
KR20170121037A (ko)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 |
KR20170103617A (ko) |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 |
KR102352953B1 (ko) |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 |
KR102328208B1 (ko) | 점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광학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