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3708A - 절임 배추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절임 배추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3708A
KR20160133708A KR1020150066568A KR20150066568A KR20160133708A KR 20160133708 A KR20160133708 A KR 20160133708A KR 1020150066568 A KR1020150066568 A KR 1020150066568A KR 20150066568 A KR20150066568 A KR 20150066568A KR 20160133708 A KR20160133708 A KR 20160133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bage
conveyor
washing
chinese cabbage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6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7008B1 (ko
Inventor
고인자
이대선
이한울
송미선
Original Assignee
고인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인자 filed Critical 고인자
Priority to KR1020150066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7008B1/ko
Publication of KR20160133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2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by pickling, e.g. sauerkraut or pickles

Abstract

본 발명은 절임 배추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급된 통배추 분할하여 이송하는 배추 절단기; 상기 배추 절단기에서 분할된 절단 배추를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 공급된 상기 절단 배추를 절이도록 염수를 담아 저장하는 내부 절임 공간을 가지고 복수의 절임조; 상기 각 절임조들의 상부를 덮으며 염수 내에 상기 배추 포기들이 잠기도록 눌러 가압하는 가압 덮개판; 상기 가압 덮개판을 걸어 이송시키는 이송 호이스트;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고정 프레임 상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절임조 내에서 절여진 절임 배추들을 상기 이송 컨베이어 상에 건져 올리는 배추 건짐 컨베이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된 상기 절임 배추를 담아 1차 세척하는 1차 세척기; 상기 1차 세척기에서 이송된 1차 세척 절임 배추로부터 이물을 선별하는 선별기; 상기 선별기에서 선별된 선별 절임 배추를 담아 2차 세척하는 2차 세척기; 및상기2차 세척기에서 이송된 2차 세척 절임 배추를 담아 물에 헹궈주는 헹굼조;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절임 배추의 제조시 요구되는 배추 절단, 배추 절임, 1차 세척, 선별, 2차 세척 및 헹굼 과정들을 일괄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배추 절임 과정에서 온열 기능과 가압 침지 기능을 추가해 배추의 절임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절임 배추 제조 장치{DEVICE OF MANUFACTURING SALTED CABBABEE}
본 발명은 절임 배추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절임 배추의 제조시 요구되는 배추 절단, 배추 절임, 1차 세척, 선별, 2차 세척 및 헹굼 과정들을 일괄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배추 절임 과정에서 온열 기능과 가압 침지 기능을 추가해 배추의 절임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절임 배추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김치는 우리 민족의 대표적인 식품으로 연간 150만 톤이 소비되는 중요한 산업이고, 그 중 배추김치는 100만 톤으로 주종을 이루며 배추김치 제조 시 80만 톤의 절임 배추가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다.
김치를 소규모 자영업자 혹은 가정에서 생산하는 경우에는 그 양이 수 ㎏ 내지 수십㎏ 정도인 것이 대부분이어서, 배추를 소금에 절이고, 절인 것을 세척하고 다시 양념 처리 등의 공정을 사람이 일일이 작업하는 것에 별 무리가 없었다.
그러나, 대규모 절임 배추 생산 공장에서는 배추 절단에서부터 절임, 1차 세척, 선별 및 2차 세척 등의 모든 공정에서 취급되는 물량이 수십 내지 수십 톤에 이르기 때문에 작업자들의 수작업에 의한 처리가 불가능한 실정이다.
종래 절임 배추를 생산하는 배추 절임 제조 장치들의 경우 상기한 절단 단계, 절임 단계, 1차 세척 단계, 선별 단계 및 2차 선별 단계들 중 각각의 단계 별로 기계화나 자동화하는데 그치고 있어 작업자들의 육체적 노동 강도가 너무 심하고, 부 주위로 인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노동력이 반드시 필요한 부분을 제외하고 절임 배추 생산에 필요한 모든 공정들을 자동화 및 기계화시켜 작업자의 노동 강도 및 부상율을 낮출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절임 배추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합적인 절임 배추 제조 장치의 개발이 절실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절임 단계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3가지는 온도와 염도 그리고 압력이다. 그러나 종래 절임 배추 제조 장치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요소를 보완할 장치가 없어 계절에 따른 절임 품질이 일정하지 않게 되어 제품의 차이가 발생하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배추의 절임 단계에서 절임 온도를 지속적으로 보정해주어 봄, 여름, 가을, 겨울에 따라 온도가 다름으로 자동적으로 환경 설정에 의해서 유지할 수 있는 온열 기능과, 절임 탱크에 담기는데 있어 상부에 있는 배추와 하부에 있는 배추의 일정한 염도를 유지하기 위해 배추를 일정하게 잠길 수 있는 압력을 유지할 수 있는 압력 조절 기능을 보완하여 생산되는 절임 배추의 품질을 균일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절임 배추 제조 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2-0058654호(공개일자 2012년06월08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47475호(등록일자 2013년12월26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47429호(등록일자 2013년12월26일)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절임 배추 제조 과정에서 배추 절단, 배추 절임, 1차 세척, 선별, 2차 세척 및 헹굼 과정을 일괄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한 대부분의 과정들을 기계화 및 자동화시키도록 하며 특히, 절임 과정에서 온열 기능과 누름 기능을 추가해 배추의 절임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절임 배추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절임 배추 제조 장치는 공급된 통배추 분할하여 이송하는 배추 절단기; 상기 배추 절단기에서 분할된 절단 배추를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 공급된 상기 절단 배추를 절이도록 염수를 담아 저장하는 내부 절임 공간을 가지고 복수의 절임조; 상기 각 절임조들의 상부를 덮으며 염수 내에 상기 배추 포기들이 잠기도록 눌러 가압하는 가압 덮개판; 상기 가압 덮개판을 걸어 이송시키는 이송 호이스트;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고정 프레임 상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절임조 내에서 절여진 절임 배추들을 상기 이송 컨베이어 상에 건져 올리는 배추 건짐 컨베이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된 상기 절임 배추를 담아 1차 세척하는 1차 세척기; 상기 1차 세척기에서 이송된 1차 세척 절임 배추로부터 이물을 선별하는 선별기; 상기 선별기에서 선별된 선별 절임 배추를 담아 2차 세척하는 2차 세척기; 및 상기2차 세척기에서 이송된 2차 세척 절임 배추를 담아 물에 헹궈주는 헹굼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절임조는 측벽 또는/및 바닥이 염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순환 공급된 온도 조절 유체를 담아 수용할 수 있게 수용 공간을 가지는 2중 자켓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압 덮개판은 상기 절임조의 개방 상부를 덮으며 상기 절임조 내에 채워진 염수 내에 상기 절단 배추가 잠기도록 눌러 가압하는 덮개판부; 및 상기 덮개판부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 걸이들에 끼워져 상기 덮개판부를 상기 이송 호이스트로 걸어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송 걸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판부는 누름 가압력을 전달하도록 하는 중량성 판재; 및 상기 중량성 판재의 외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내부식성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판부에는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의 통공들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 덮개판을 상기 절임조의 개방 상부에서 누름 높이를 고정하는 덮개 위치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 위치 고정 수단은 상기 각 절임조의 내측 벽면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덮개판 걸림턱; 및 상기 가압 덮개판의 상면에서 상기 각 덮개판 걸림턱에 빗장 형태로 걸려 고정되게 형성되는 덮개 잠금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추 절단기는 상기 절단기 지지 프레임의 상에서 통배추를 이송시키도록 서로 V자 형태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한 쌍의 경사 컨베이어; 상기 경사 컨베이어의 배추 이송 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경사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통배추를 수평 2등분하도록 선택적으로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 절단날; 및 상기 경사 컨베이어의 배추 이송 후단부에 수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경사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배추를 수직 2등분하도록 설치되는 수직 절단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 컨베이어는 상기 배추 절단기에서 분할 이송된 상기 절단 배추를 받아 상향 이송시키도록 설치되는 제1 이송 컨베이어; 및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상기 절단 배추를 전달 받아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의 대향측에 설치되는 제1 세척조를 연결하며 수평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이송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절단 배추를 상기 각 절임조 내에 투입되도록 하는 배추 투입 가이드;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추 투입 가이드는 상기 제2 이송 컨베이어의 양측 지지 프레임 상에서 상기 절임조에 대응되게 이동 설치 가능하게 형성되는 가이드 고정 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 고정 프레임 내에서 상기 절임조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절단 배추를 상기 절임조 내로 투입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추 건짐 컨베이어는 상기 제2 이송 컨베이어의 양측 지지 프레임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건짐 컨베이어 이동 프레임; 및 일측 단부가 상기 절임조 내에 삽입되게 설치되며 타일측 단부가 상기 건짐 컨베이어 이동 프레임의 상기 절임조 쪽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체인 벨트를 통해 상기 절임조의 염수 내에서 절여진 절임 배추를 건져 상기 제2 이송 컨베이어 상으로 건져 내도록 하는 건짐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세척기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된 상기 절임 배추를 담아 세척하도록 내부 수용 공간을 가지는 제1 세척조; 상기 제1 세척조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세척조 내부에 채워진 세척수 내에 제1 송풍기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산기시키는 제1 산기관; 상기 제1 세척조 상부에 부상된 이물들을 걸러 상기 제1 세척조 양쪽 측벽에 형성된 제1 이물 분리통으로 분리 배출하는 제1 이물 분리휠; 및 상기 제1 세척조의 일측 단부에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제1 세척조 내에서 세척된 1차 세척 배추를 상기 선별기로 건져 상향 이송시키는 제1 세척 배추 건짐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별기는 선별기 고정 프레임 상에서 상기 제1 세척조에서 공급된 1차 세척 배추를 상기 상기 제2 세척조쪽으로 이송 공급하는 제1 선별 이송 컨베이어; 상기 제1 선별기 컨베이어 양측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판상의 망체로 이루어지는 선별 작업판; 및 상기 제1 선별기 컨베이어 상에 기설정된 높이 차이를 두고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이물 선별된 선별 배추를 상기 제2 세척기로 이송 공급하는 제2 선별 이송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세척기는 상기 선별기로부터 이송된 상기 선별 배추를 담아 세척하도록 내부 수용 공간을 가지는 제2 세척조; 상기 제2 세척조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세척조 내부에 채워진 세척수 내에 제2 송풍기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산기시키도록 하는 제2 산기관; 상기 제2 세척조 상부에 부상된 이물들을 걸러 상기 제2 세척조 양쪽 측벽에 형성된 제2 이물 분리통으로 분리 배출하도록 하는 제2 이물 분리휠; 및 상기 제2 세척조의 일측 단부에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제2 세척조 내에서 세척된 2차 세척 배추를 건져 상기 헹굼조로 공급하도록 상향 이송시키는 제2 세척 배추 건짐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절임 배추 제조 장치에 따르면, 절임 배추 제조 과정에서 배추 절단, 배추 절임, 1차 세척, 선별, 2차 세척 및 헹굼 과정을 일괄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대부분의 과정들을 기계화 및 자동화시켜 작업자들의 육체적 노동 강도와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고, 배추 절임 과정에서 온열 기능과 압력 기능을 추가해 배추의 절임 효과를 증대시켜 절임 배추의 품질을 균일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임 배추 제조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절임 배추 제조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절임 배추 제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배추 절단 장치에 대한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배추 절단 장치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절임 배추 제조 장치의 절임조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절임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절임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절임조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가압 덮개판에 대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가압 덮개판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가압 덮개판의 덮개판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6의 덮개 걸림 수단을 확대 도시한 부분 확대 사사도이다.
도 14은 도 6의 배추 건짐 컨베이어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배추 건짐 컨베이어를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의 1차 세척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1차 세척기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1차 세척기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의 선별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선별기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선별기에 대한 측면동이다.
도 22는 도 1의 제2 선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임 배추 제조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절임 배추 제조 장치의 우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절임 배추 제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절임 배추 제조 장치는 배추 절단기(10), 이송 컨베이어(20), 복수의 절임조(30), 가압 덮개판(50), 이송 호이스트(60), 배추 투입 가이드(110), 배추 건짐 컨베이어(40), 1차 세척기(70), 선별기(80), 2차 세척기(90), 및 헹굼조(1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절임 배추의 생산시 요구되는 배추 절단, 배추 절임, 1차 세척, 선별, 2차 세척 및 헹굼 과정들을 일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배추 절단기(10)는 산지로부터 수확된 후 거친 겉잎 일부와 뿌리 부분을 제거하여 1차 손질된 상태로 공급된 통배추를 절임이 용이한 형태로 크기에 따라 2 내지 4 분할 형태로 쪼개지도록 하는 배추 절단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4는 도 2의 배추 절단 장치에 대한 정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배추 절단 장치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추 절단기(10)는 절단기 지지 프레임(19), 한 쌍의 경사 컨베이어(13, 14), 한 쌍의 수평 절단날(11, 12) 및 수직 절단날(1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경사 컨베이어(13, 14)들은 절단기 지지 프레임(19)의 상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V자 형태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각각의 경사 컨베이어 구동 모터(15, 16)에 의해 구동하며 이들 사이로 공급된 통배추(210)가 수평 절단날(11, 12) 또는/및 수직 절단날(17)에 의해 절단되며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수평 절단날(11, 12)들은 각각 상기 경사 컨베이어(13, 14)들의 배추 이송 전단부에 설치되어 경사 컨베이어들(13, 14)에 의해 이송되는 통배추(210)를 길이 방향으로 수평 2등분하도록 한다.
그리고 수직 절단날(17)은 경사 컨베이어(13, 14)들의 배추 이송 후단부에 중심에서 수직 절단날 구동 모터(18)에 의해 수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경사 컨베이어(13, 14)들에 의해 이송되는 통배추(210)를 다시 수직 2등분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추 절단기(10)는 수평 절단날(11, 12)과 수평 절단날(17)이 모두 사용되어 경사 컨베이어(13, 14)들에 의해 이송되는 통배추(150)가 4등분으로 분할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수평 절단날(11, 12)들을 선택적으로 접철 가능하게 형성하여 이송되는 통배추(150)의 사이즈가 작을 경우 수평 절단날(11, 12)들을 접어 사용하지 않고 수직 절단날(17)만을 통해 2 등분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송 컨베이어(20)는 배추 절단기(10)에서 절단된 절단 배추(220)를 절임조(30)들 내부로 이송 공급하거나, 절임조에서 절여진 절임 배추(230)를 제1 세척기(70) 내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송 컨베이어(20)는 제1 이송 컨베이어(21)와 제2 이송 컨베이어(25)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한다.
제1 이송 컨베이어(21)는 배추 절단기(10)에서 절단된 절단 배추(220)를 받아 제2 이송 컨베이어로 연계되게 상향 이송시키도록 설치되고, 제2 이송 컨베이어(25)는 제1 이송 컨베이어(21)로부터 전달된 절단 배추(220)를 상기 각 절임조(20)들 내에 투입할 수 있도록 절임조(10)들의 전면부를 따라 제1 세척조에 연결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절임조들(25)은 제2 이송 컨베이어(25)를 통해 이송 공급된 절단 배추(220)를 절이기 위한 염수에 담도록 기설정된 내부 절임 공간(33)을 가지고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절임조(30)들은 각각 제2 이송 컨베이어(25)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3개가 설치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제2 이송 컨베이어(25)의 길이 방향 일측 또는 양측으로 간격을 두고 더 많은 수의 절임조(30)들을 배치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6은 도 1의 절임 배추 제조 장치의 절임조들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절임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절임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도 6의 절임조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먼저, 도 6에서는 절임조(30)들을 배추 절임의 세부 과정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첫 번째 절임조(30) 내부로 제2 이송 컨베이어(25)로 이송되는 절단 배추(220)들이 배추 투입 가이드(110)를 통해 절임조 내로 투입되는 배추 투입 과정을, 두 번째 절임조(30)에서는 가압 덮개판(50)을 이용해 투입된 절단 배추(220)들이 염수 내에 잠기도록 눌러주는 가압 침지 과정을, 그리고 마지막 세 번째 절임조(30)에서는 염주세 절여진 절임 배추(230)를 배추 건짐 컨베이어(40)를 통해 건져 올리는 절임 배추 건짐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절임 배추의 생산량과 염수내 침지 시간을 고려하여 적용된 3개의 절임조(30)들 모두에 대해 상기한 배추 투입 과정, 가압 침지 과정 및 배추 건짐 과정을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절임조(30)들 사이 사이에는 상기한 배추 투입, 가압 침지 및 배추 건짐 작업시 작업자가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기설정된 높이의 이동 발판(39)이 기설정된 높이로 단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절임조(30)들은 각각 기설정된 내부 절임 공간(33)을 갖도록 형성되고, 바닥면 중심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염수 배출구(31)에 연결되게 염수 배수로가 기설정된 깊이로 홈이지게 형성되며, 염수 배수로의 상부에는 다공 덮개판(32)으로 덮어 배추 절단 과정에서 발생된 부스러기들이 염수와 함께 배출되지 않고 걸러지도록 한다.
한편, 절임조(30)들 내에 채워져 배추 절임 과정에 사용된 염수들은 염수 배출구(31)를 연결하는 염수 회부 배관(125)을 통해 염수 저장조(120)로 회수되는 과정에서 추가 여과 과정을 거친 후, 염도 조절 과정을 거쳐 절임조(30)들로 재순환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절임조(30)들은 내부의 배추 절임 공간(33)을 형성하기 위한 측벽 내에 내부 수용 공간(34)을 가지는 2중 자켓 구조로 형성되어, 절임조 내부에 채워진 염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보일러 및 냉각기(130)를 통해 기설정된 가열 및 냉각되어 순환 공급된 온도 조절 유체를 담아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서 절임조(30)들은 각각 측벽 상측과 하측 내부에 서로 연통되며 온도 조절 유체를 담아 수용하기 위한 내부 수용공간(34)을 가지는 2중 자켓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절임조(30)들의 바닥 역시 2중 자켓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실시예에서 온도 조절 유체로 물을 사용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보일러 또는 냉동기(130)을 통해 절임조(30)들 내에 채워진 염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좀더 다양한 종류의 단일 또는 혼합 물질들을 온도 조절 유체를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처럼, 절임조(30)들의 벽면 또는/및 바닥을 2중 자켓 구조로 형성하고 그 내부에 온도 조절 유체를 순환 공급하여 절임조(30)들 내에 채워진 염수의 온도가 대략 18℃ 내지 25℃ 범위로 4계절 내내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국 배추 절임 과정에 사용되는 염수의 염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절임 배추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배추 투입 가이드(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이송 컨베이어(25)를 통해 이송되는 절단 배추(210)를 상기 각 절임조(30) 내에 투입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배추 투입 가이드(110)는 가이드 고정 프레임(111) 및 가이드판(11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여기서, 가이드 고정 프레임(111)은 제2 이송 컨베이어(25)의 양측 지지 프레임(27) 상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의 절임조(30)들에 대응되게 위치에 고절 설치 가능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판(115)은 상기 가이드 고정 프레임(111) 내에서 상기 각 절임조(30) 쪽으로 경사지게 고정 설치되어, 제2 이송 컨베이어(25)를 통해 이송되는 절단 배추(220)를 해당 절임조(30) 내로 투입될 수 있게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도록 한다.
도 10은 도 6의 가압 덮개판에 대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가압 덮개판의 평면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가압 덮개판의 덮개판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압 덮개판(50)은 상기 각 절임조(30)들의 상측 개방부를 덮으며 염수내 절임 중인 절단 배추(220)들이 염수 내에 침지되게 눌러 가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 덮개판(50)은 덮개판부(51)와 이송 걸이부(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덮개판부(51)는 절임조(30)들의 개방 상부를 덮으며 자중에 의해 각 절임조 내에 채워진 염수 내에 절단 배추(220)가 잠기도록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덮개판부(51)는 자중에 의한 누름 가압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기설정 두께의 주철과 같은 중량성 판재(51b)와, 상기 중량성 판재(51b)의 상, 하 외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내부식성 판재(51a)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덮개판부(51)는 염수에 대한 내부식성이 높으나 가격이 비싼 스테이레스 스틸 판재를 사용해 외부를 감싸고, 그 내부에 비중은 높으나 가격이 저렴한 주철 판재를 채워 구성함으로써 제작 비용을 낮추고 부식에 따른 식품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덮개판부(51)에는 이를 통해 누름 가압력을 전달시 염수에 의한 부력 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의 통공(54)들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공(51)들은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파이프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송 걸이부(53)는 덮개판부(51)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 걸이들(52)에 결합되어 상기 덮개판부(51)를 상기 이송 호이스트로 들어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이송 걸이부(53)는 이송 호이스트(60)의 후크(66)를 걸 수 있게 이송 고리(53d)가 형성되는 이송 블록(53c)을 중심으로 사방으로 펼쳐지는 이송 걸이대(53a) 절곡 단부들(53b)이 덮개판부(51)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4개의 고정 걸이들(52) 내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 호이스트(60)는 컨트롤러(68)를 통해 제1 호이스트 이송 모터(67)를 구동시켜 후크(66)에 걸린 가압 덮개판(50)을 수직 방향으로 들어 올리거나 들어 내리도록 하고, 제2 호이스트 이송 모터(63)를 구동시켜 2개의 수직 지지빔(62)에 의해 양측 단부가 지지되는 수평 이송 가이드빔(6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시키도록 한다.
도 13은 도 6의 덮개 걸림 수단을 확대 도시한 부분 확대 사사도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가압 덮개판(50)을 상기 각 절임조(30)의 개방 상부에서 눌러 가압하는 절단 배추 침지 높이를 고정하는 덮개 위치 고정 수단(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덮개 위치 고정 수단(55)은 상기 각 절임조(30)의 내측 벽면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덮개판 걸림턱(35)과, 상기 가압 덮개판(50)의 상면에서 해당 높이의 덮개판 걸림턱(35)에 빗장 형태로 걸려 고정되게 형성되는 덮개 잠금바(5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좀더 다양한 방식으로 덮개 위치 고정 수단(33)을 구성하여 가압 덮개판(50)을 통해 절임조(30) 내의 투입된 절단 배추(220)들의 염수 내 침지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배추 건짐 컨베이어(40)는 제2 이송 컨베이어(25)의 양측 지지 프레임(27) 상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절임조(30)들 내에서 절여진 절임 배추(230)를 제2 이송 컨베이어(25) 상에 건져 올리도록 한다.
도 14은 도 6의 배추 건짐 컨베이어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배추 건짐 컨베이어를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배추 건짐 컨베이어(40)는 건짐 컨베이어 이동 프레임(41), 건짐 컨베이어(45) 및 건짐 컨베이어 구동 모터(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건짐 컨베이어 이동 프레임(41)은 제2 이송 컨베이어(25)의 양측 지지 프레임(27) 상에 올려져 길이 방향을 따라 좀더 쉽고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동 바퀴(42)들이 형성될 수 있다.
건짐 컨베이어(45)는 일측 단부가 상기 각 절임조(30) 내로 연장될 수 있게 타일측 단부가 상기 건짐 컨베이어 이동 프레임(41)의 상기 절임조(30) 쪽에서 절임조(30) 내부로 삽입되게 기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건짐 컨베이어 구동 모터(46)를 통해 구동되는 체인 벨트를 이용해 절임조 내에서 절여진 절임 배추(230)를 상기 제2 이송 컨베이어(45) 상으로 건져 올리도록 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1차 세척기(70)는 제2 이송 컨베이어(25)를 통해 이송된 절임 배추(230)를 담아 1차 세척하는 과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도 16은 도 1의 1차 세척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1차 세척기에 대한 측면도이며, 도 18은 도 16의 1차 세척기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 1차 세척기(70)는 제1 세척조(71), 제1 산기관(72), 제1 이물 분리휠(74) 및 제1 세척 배추 건짐 컨베이어(7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여기서, 제1 세척조(71)는 상기한 제2 이송 컨베이어(25)를 통해 이송된 절임 배추를 담아 세척하도록 내부 수용 공간을 가지는 장방형의 통체로 이루어진다.
제1 산기관(72)은 상기 제1 세척조(71) 내부 바닥으로 연장 설치되어 상기 제1 세척조(71) 내부에 채워진 세척수 내에 제1 송풍기(73)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산기시켜 만들어진 공기 버블들에 의해 좀더 효과적으로 절임 배추들의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제1 이물 분리휠(74)은 분리휠 구동 모터(75)로 구동시켜 상기 제1 세척조(71) 상부에 부상된 이물들을 걸러 상기 제1 세척조(71) 양쪽 측벽에 형성된 제1 이물 분리통(78)으로 분리 배출하도록 한다.
제1 세척 배추 건짐 컨베이어(76)는 제1 세척 구동 모터(77)에 의해 상기 제1 세척조(71)의 일측 단부에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제1 세척조(71) 내에서 세척된 1차 세척 절임 배추(미도시)를 건져 선별기(80) 쪽으로 상향 이송시키도록 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선별기(80)는 상기한 1차 세척기(70)에서 이송된 1차 세척 절임 배추로부터 이물을 선별하는 선별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도 19는 도 1의 선별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선별기에 대한 정면도이며, 도 21은 도 19의 선별기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선별기(80)는 선별기 고정 프레임(81), 제1 선별 이송 컨베이어(82), 선별 작업판(86) 및 제2 선별 이송 컨베이어(8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제1 선별 이송 컨베이어(82)는 선별기 고정 프레임(81) 상에서 제1 선별 구동 모터(83)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제1 세척조(70)로부터 공급된 1차 세척 절임 배추를 작업자들이 선별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상기 제2 세척조(90)쪽으로 이송 시키는 역할을 한다.
선별 작업판(86)은 제1 선별기 컨베이어(82) 양측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망체 판상 형태로 이루어져, 작업자들이 제1 세척조(70)로부터 공급된 1차 세척 절임 배추를 들어 내어 올려 놓고 선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2 선별 이송 컨베이어(84)는 제1 선별기 컨베이어(82) 상에서 기설정된 높이 차이를 두고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고, 제2 선별기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하며 작업자에 의해 이물이 선별되어 올려진 선별 절임 배추를 상기 제2 세척기로 이송 공급하도록 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차 세척기(90)는 상기한 선별기(80)에서 이물 선별된 선별 절임 배추를 담아 2차 세척해주는 역할을 한다.
도 22는 도 1의 2차 세척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제2 세척기(90)는 전술한 제1 세척기(70)와 마찬가지로 제2 세척조(91), 제2 산기관(92), 제2 이물 분리휠(94) 및 제2 세척 배추 건짐 컨베이어(9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따라서 상기 선별기로부터 이송된 상기 선별 배추를 제2 세척조 내에 담아 물로 2차 세척하도록 하며, 이때, 2 송풍기(93)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산기관(92)을 통해 산기시켜 만들어진 공기 버블들 이용해 작업자가 별도 수작업을 거치지 않고도 2차 세척 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2 이물 분리휠(94)를 통해 제2 세척조(91) 상부에 부상된 이물들을 걸러 제2 이물 분리통(98)으로 분리 배출하고, 제2 세척 배추 건짐 컨베이어(96)를 통해 세척된 2차 세척 절임 배추를 건져 헹굼조(100)로 공급하도록 상향 이송시키도록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헹굼조(100) 내로 이송 공급된 2차 세척 절임 배추는 행구조(100) 내에서 다시 한번 헹굼 과정을 수행한 후, 적재대(미도시)에 기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적재시키는 탈수 과정을 거친 후 포장 및 출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의 절임 배추 제조 장치(1)는 배추 절단, 배추 절임, 1차 세척, 선별, 2차 세척 및 헹굼 과정을 일괄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대부분의 과정들을 기계화 및 자동화시켜 작업자들의 육체적 노동 강도와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배추 절임 과정에서 온열 기능과 압력 기능을 추가해 배추의 절임 효과를 증대시켜 절임 배추의 품질을 균일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 절임 배추 제조 장치 10: 배추 절단기
11, 12: 수평 절단날 13; 14: 경사 컨베이어
15: 경사 컨베이어 구동 모터 17: 수직 절단날
19: 절단기 지지 프레임 20: 이송 컨베이어
21: 제1 이송 컨베이어 25: 제2 이송 컨베이어
27: 컨베이어 지지 프레임 30: 절임조
31: 염수 배출구 32: 다공 덮개판
33: 내부 절임 공간 34: 내부 수용 공간
36: 덮개판 걸림턱 40: 배추 건짐 컨베이어
41: 컨짐 컨베이어 이동 프레임 42: 이동 바퀴
45: 건짐 컨베이어 46: 건짐 컨베이어 구동 모터
50: 가압 덮개판 51: 덮개판부
51a: 내부식성 판재 51b: 중량성 판재
53: 이송 걸이부 54: 통공
55: 덮개 위지 고정 수단 56: 덮개 잠금바
60: 이송 호이스트 61: 수평 이송 가이드빔
62: 수직 지지빔 63: 제2 호이스트 이송 모터
66: 후크 67: 제1 호이스트 이송 모터
68: 컨트롤러 70: 1차 세척기
71: 제1 체척조 72: 제1 산기관
73: 송풍기 74: 제1 이물 분리휠
75: 분리휠 구동 모터 76: 제1 세척 배추 건짐 컨베이어
77: 제1 세척 구동 모터 78: 제1 이물 분리통
80: 선별기 81: 선별기 고정 프레임
82: 제1 선별 이송 컨베이어 83: 제1 선별 구동 모터
84: 제2 선별 이송 컨베이어 85: 제2 선별 구동 모터
86: 선별 작업판 90: 2차 세척기
91: 제2 체척조 92: 제2 산기관
93: 송풍기 94: 제2 이물 분리휠
95: 제2 분리휠 구동 모터 96: 제2 세척 배추 건짐 컨베이어
97: 제2 세척 구동 모터 98: 제2 이물 분리통
100: 헹굼조 110: 배추 투입 가이드
111: 가이드 고정 프레임 120: 염수 저장조
130: 보일러 및 냉동기 200: 배추
210: 통배추 220: 절단 배추
230: 절임 배추

Claims (14)

  1. 공급된 통배추 분할하여 이송하는 배추 절단기;
    상기 배추 절단기에서 분할된 절단 배추를 이송하는 이송 컨베이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 공급된 상기 절단 배추를 절이도록 염수를 담아 저장하는 내부 절임 공간을 가지고 복수의 절임조;
    상기 각 절임조들의 상부를 덮으며 염수 내에 상기 배추 포기들이 잠기도록 눌러 가압하는 가압 덮개판;
    상기 가압 덮개판을 걸어 이송시키는 이송 호이스트;
    상기 이송 컨베이어의 고정 프레임 상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절임조 내에서 절여진 절임 배추들을 상기 이송 컨베이어 상에 건져 올리는 배추 건짐 컨베이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된 상기 절임 배추를 담아 1차 세척하는 1차 세척기;
    상기 1차 세척기에서 이송된 1차 세척 절임 배추로부터 이물을 선별하는 선별기;
    상기 선별기에서 선별된 선별 절임 배추를 담아 2차 세척하는 2차 세척기; 및
    상기2차 세척기에서 이송된 2차 세척 절임 배추를 담아 물에 헹궈주는 헹굼조;를 포함하는 절임 배추 제조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절임조는,
    측벽 또는/및 바닥이 염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순환 공급된 온도 조절 유체를 담아 수용할 수 있게 수용 공간을 가지는 2중 자켓 구조로 이루어지는 절임 배추 제조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가압 덮개판은,
    상기 절임조의 개방 상부를 덮으며 상기 절임조 내에 채워진 염수 내에 상기 절단 배추가 잠기도록 눌러 가압하는 덮개판부; 및
    상기 덮개판부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 걸이들에 끼워져 상기 덮개판부를 상기 이송 호이스트로 걸어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송 걸이부;를 포함하는 절임 배추 제조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덮개판부는,
    누름 가압력을 전달하도록 하는 중량성 판재; 및
    상기 중량성 판재의 외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내부식성 판재;로 이루어지는 절임 배추 제조 장치.
  5. 제3항에서,
    상기 덮개판부에는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복수의 통공들이 관통 형성되는 절임 배추 제조 장치.
  6. 제4항에서,
    상기 가압 덮개판을 상기 절임조의 개방 상부에서 누름 높이를 고정하는 덮개 위치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 위치 고정 수단은,
    상기 각 절임조의 내측 벽면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복수의 덮개판 걸림턱; 및
    상기 가압 덮개판의 상면에서 상기 각 덮개판 걸림턱에 빗장 형태로 걸려 고정되게 형성되는 덮개 잠금바;를 포함하는 절임 배추 제조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배추 절단기는,
    상기 절단기 지지 프레임의 상에서 통배추를 이송시키도록 서로 V자 형태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한 쌍의 경사 컨베이어;
    상기 경사 컨베이어의 배추 이송 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경사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통배추를 수평 2등분하도록 선택적으로 접철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평 절단날; 및
    상기 경사 컨베이어의 배추 이송 후단부에 수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경사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배추를 수직 2등분하도록 설치되는 수직 절단날;을 포함하는 절임 배추 제조 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는,
    상기 배추 절단기에서 분할 이송된 상기 절단 배추를 받아 상향 이송시키도록 설치되는 제1 이송 컨베이어; 및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상기 절단 배추를 전달 받아 상기 제1 이송 컨베이어의 대향측에 설치되는 제1 세척조를 연결하며 수평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이송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절임 배추 제조 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제2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절단 배추를 상기 각 절임조 내에 투입되도록 하는 배추 투입 가이드;을 더 포함하는 절임 배추 제조 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배추 투입 가이드는,
    상기 제2 이송 컨베이어의 양측 지지 프레임 상에서 상기 절임조에 대응되게 이동 설치 가능하게 형성되는 가이드 고정 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 고정 프레임 내에서 상기 절임조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절단 배추를 상기 절임조 내로 투입되게 가이드하는 가이드판;을 포함하는 절임 배추 제조 장치.
  11. 제8항에서,
    상기 배추 건짐 컨베이어는,
    상기 제2 이송 컨베이어의 양측 지지 프레임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건짐 컨베이어 이동 프레임;
    일측 단부가 상기 절임조 내에 삽입되게 설치되며 타일측 단부가 상기 건짐 컨베이어 이동 프레임의 상기 절임조 쪽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체인 벨트를 통해 상기 절임조의 염수 내에서 절여진 절임 배추를 건져 상기 제2 이송 컨베이어 상으로 건져 내도록 하는 건짐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절임 배추 제조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제1 세척기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된 상기 절임 배추를 담아 세척하도록 내부 수용 공간을 가지는 제1 세척조;
    상기 제1 세척조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세척조 내부에 채워진 세척수 내에 제1 송풍기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산기시키는 제1 산기관;
    상기 제1 세척조 상부에 부상된 이물들을 걸러 상기 제1 세척조 양쪽 측벽에 형성된 제1 이물 분리통으로 분리 배출하는 제1 이물 분리휠; 및
    상기 제1 세척조의 일측 단부에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제1 세척조 내에서 세척된 1차 세척 배추를 상기 선별기로 건져 상향 이송시키는 제1 세척 배추 건짐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절임 배추 제조 장치.
  13. 제12항에서,
    상기 선별기는,
    선별기 고정 프레임 상에서 상기 제1 세척조에서 공급된 1차 세척 배추를 상기 상기 제2 세척조쪽으로 이송 공급하는 제1 선별 이송 컨베이어;
    상기 제1 선별기 컨베이어 양측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판상의 망체로 이루어지는 선별 작업판; 및
    상기 제1 선별기 컨베이어 상에 기설정된 높이 차이를 두고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이물 선별된 선별 배추를 상기 제2 세척기로 이송 공급하는 제2 선별 이송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절임 배추 제조 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제2 세척기는,
    상기 선별기로부터 이송된 상기 선별 배추를 담아 세척하도록 내부 수용 공간을 가지는 제2 세척조;
    상기 제2 세척조 바닥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세척조 내부에 채워진 세척수 내에 제2 송풍기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산기시키도록 하는 제2 산기관;
    상기 제2 세척조 상부에 부상된 이물들을 걸러 상기 제2 세척조 양쪽 측벽에 형성된 제2 이물 분리통으로 분리 배출하도록 하는 제2 이물 분리휠; 및
    상기 제2 세척조의 일측 단부에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제2 세척조 내에서 세척된 2차 세척 배추를 건져 상기 헹굼조로 공급하도록 상향 이송시키는 제2 세척 배추 건짐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절임 배추 제조 장치.
KR1020150066568A 2015-05-13 2015-05-13 절임 배추 제조 장치 KR101727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568A KR101727008B1 (ko) 2015-05-13 2015-05-13 절임 배추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568A KR101727008B1 (ko) 2015-05-13 2015-05-13 절임 배추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708A true KR20160133708A (ko) 2016-11-23
KR101727008B1 KR101727008B1 (ko) 2017-04-14

Family

ID=57541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6568A KR101727008B1 (ko) 2015-05-13 2015-05-13 절임 배추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70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498A (ko) * 2017-11-13 2019-05-22 이종남 절임배추 제조장치
CN112193853A (zh) * 2020-09-22 2021-01-08 重庆市机电设计研究院 全自动自举式物料出池系统和出池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9135A (ja) * 1998-12-28 2000-07-11 Komine Kikai Kk 原料処理用コンベア装置
KR100828004B1 (ko) * 2007-05-16 2008-05-08 한국생산성본부 전통김치 가공을 위한 복합 자동화 장치
KR20120058654A (ko) 2010-09-20 2012-06-08 한응수 이동식 절임배추 생산시스템 및 그 장치
KR101347475B1 (ko) 2012-11-27 2014-01-06 한국식품연구원 염수순환식 자동배추절임장치
KR101347429B1 (ko) 2012-11-27 2014-01-22 한국식품연구원 침탈식 자동배추절임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9135A (ja) * 1998-12-28 2000-07-11 Komine Kikai Kk 原料処理用コンベア装置
KR100828004B1 (ko) * 2007-05-16 2008-05-08 한국생산성본부 전통김치 가공을 위한 복합 자동화 장치
KR20120058654A (ko) 2010-09-20 2012-06-08 한응수 이동식 절임배추 생산시스템 및 그 장치
KR101290419B1 (ko) * 2010-09-20 2013-07-26 한응수 이동식 절임배추 생산방법 및 그 장치
KR101347475B1 (ko) 2012-11-27 2014-01-06 한국식품연구원 염수순환식 자동배추절임장치
KR101347429B1 (ko) 2012-11-27 2014-01-22 한국식품연구원 침탈식 자동배추절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498A (ko) * 2017-11-13 2019-05-22 이종남 절임배추 제조장치
CN112193853A (zh) * 2020-09-22 2021-01-08 重庆市机电设计研究院 全自动自举式物料出池系统和出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7008B1 (ko) 2017-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775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roduce
CN105875461B (zh) 虾蟹、贝类水产品自动化网箱式养殖生产设备
US7179160B2 (en) Automated apparatus and system for cooking, drying and peeling shellfish products
US4750995A (en) Starch separation of potato strips
CN101396165B (zh) 杏切分去核生产工艺及机械化生产线
KR100957207B1 (ko) 야채 세척장치
KR101347429B1 (ko) 침탈식 자동배추절임장치
KR101727008B1 (ko) 절임 배추 제조 장치
CN104304407A (zh) 船钓鱿鱼海上初加工方法及其专用设备
US4985965A (en) Fish processing unit
JP4953624B2 (ja) 温湯消毒装置
KR20110010673U (ko) 해태 수확장치
CN203776103U (zh) 全自动不锈钢洗瓜喂瓜机
KR20150086889A (ko) 절임조이동식 자동배추절임장치
CN110720612A (zh) 一种多功能手动蔬菜加工机
US7527550B1 (en) Meat processing system
EP2222172B1 (en) Apparatus for salting, pickling or adding additives to meat, fish or similar products, and a method for use thereof
KR20220111493A (ko) 식물의 데침 가공 장치
JP5151796B2 (ja) 温湯消毒設備
JP5248830B2 (ja) 温湯消毒装置
JP2008000150A (ja) 温湯消毒装置
EP3986168B1 (en) Boiling machine
KR100929874B1 (ko) 농산물 예냉장치
GB2575438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shellfish
US3121252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mate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