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2533A - 지주용 앵커 - Google Patents

지주용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2533A
KR20160132533A KR1020150065146A KR20150065146A KR20160132533A KR 20160132533 A KR20160132533 A KR 20160132533A KR 1020150065146 A KR1020150065146 A KR 1020150065146A KR 20150065146 A KR20150065146 A KR 20150065146A KR 20160132533 A KR20160132533 A KR 20160132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strut arm
concrete
lower stru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5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원
Original Assignee
김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원 filed Critical 김상원
Priority to KR1020150065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2533A/ko
Publication of KR20160132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5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28Stressing the soil or the foundation structure while formin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지주를 지지하는 콘크리트 타설을 한 번에 마감 가능하게 하면서, 거푸집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콘크리트 상단, 하단 규격을 정확하게 할 수 있는 지주용 앵커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지주에 설치되는 앵커로서, 원반 형태의 바닥면부; 상기 바닥면부 하단에 설치되는 원통형의 하단지주부; 그리고 상기 하단지주부의 하단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하단지주암과 제2하단지주암으로 그 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하단지주부의 측면상으로는 적어도 둘 이상의, 'L' 자 형태로 형성되며 일단부에 나사홈이 형성되는 앵커볼트가, 나사홈이 형성되지 않는 타단부는 상기 하단지주부의 측면상에 고정 체결되고, 상기 나사홈이 형성된 일단부는 상기 바닥면부 상단부에 드러나도록 관통 설치되며,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앵커볼트 측면상으로는 한 쌍의 경계핀이 평행하게 고정 체결되고, 상기 제1하단지주암과 제2하단지주암의 일측 단부에는 제1연결핀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하단지주암과 제2하단지주암의 타측 단부에는 제2연결핀이 고정 설치된다.

Description

지주용 앵커{ANCHOR HOLDING}
본 발명은 지주용 앵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주를 지지하는 콘크리트 타설을 한 번에 마감 가능하게 하면서, 거푸집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콘크리트 상단, 하단 규격을 정확하게 할 수 있는 지주용 앵커에 관한 것이다.
교통신호등 및 가로등, 각종 표시판 등을 포함하여, 도로 및 도로변에 설치할 수 있는 각종 지주(이하 지주로 칭함)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기둥의 한쪽 측면으로만 필요한 부속(신호등의 경우 신호등, 가로등의 경우 가로등 램프)이 설치되므로, 상기 부속이 설치된 한 쪽 방향으로만 큰 힘을 받기 때문에, 상기 지주의 기초를 단단하게 하여 상기 지주가 기울어지거나 쓰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와 같은 특성으로 인하여, 상기 지주의 기초는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기반을 평평하게 하고, 상기 그 위에 지주를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콘크리트 평면 상에 지주를 설치하는 일반적인 형태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형태와 같이, 일반적인 콘크리트 기초는 두 번에 걸쳐서 타설하게 되는데, 첫 번째로 지하에 매설하는 부분으로서 지주 연결부(B)보다 크게 제1콘크리트(C1)를 타설하고, 그 위에 지면(G)에 드러나는 부분으로서 상기 지주 연결부(B)를 설치할 수 있도록 제2콘크리트(C2)를 타설하여 일반적인 상기 지주의 기초 설치 형태를 형성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지주의 기초 설치 형태는 몇 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는데, 첫째로 상기 콘크리트 기초를 2번에 걸쳐 나눠서 타설하게 되어 추가적인 작업 소요를 발생시킴은 물론, 상기 제1콘크리트(C1)와 제2콘크리트(C2) 사이의 경계선 부분의 굳기가 상대적으로 취약해질 수밖에 없고, 상기 지주를 여러 개 설치하여야 할 경우, 상기 제1콘크리트(C1)와 제2콘크리트(C2)의 규격이 부정확하여 상기 지주를 버틸 수 있는 힘의 차이가 발생하여 유지보수를 어렵게 하고 경제적인 낭비를 초래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지주의 기초 설치 형태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다양한 형태로 상기 지주를 설치할 수 있는 앵커 기술이 개발되었는데, 상기와 같은 기술로써 등록특허 10-1127989호는 기둥 정착 구조물 및 그 제작 방법을, 등록특허 10-0374000호는 도로에 설치된 지주바의 지지용 기초 보호판을, 등록특허 10-0996734호는 교통신호등 또는 도로표지판 지주 매립형 기초 초립체 및 그를 이용한 기초를, 등록특허 10-1351058호는 폴리건 구조의 블록기초와 마이크로파일을 이용한 도로 시설물용 지주기초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을, 등록특허 10-0763555호는 지주 설치용 앵커장치를, 등록특허 10-1077971호는 강광 지주용 기초 블록을, 등록특허 10-0951086호는 도로시설물용 지주의 고정장치를, 등록특허 10-0945663호는 앵커너트를 구비한 기초석을, 등록특허 10-1114840호는 보강 지주조립체를 각각 개시하고 있다. 상기한 기술들은 모두 본 발명과는 그 구조 및 구성, 설치 방법 등이 상이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과는 다른 구성 및 구조로서, 콘크리트타설을 한번에 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거푸집의 설치가 용이하고,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규격을 명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지주용 앵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주에 설치되는 앵커로서, 원반 형태의 바닥면부; 상기 바닥면부 하단에 설치되는 원통형의 하단지주부; 그리고 상기 하단지주부의 하단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하단지주암과 제2하단지주암으로 그 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하단지주부의 측면상으로는 적어도 둘 이상의, 'L' 자 형태로 형성되며 일단부에 나사홈이 형성되는 앵커볼트가, 나사홈이 형성되지 않는 타단부는 상기 하단지주부의 측면상에 고정 체결되고, 상기 나사홈이 형성된 일단부는 상기 바닥면부 상단부에 드러나도록 관통 설치되며,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앵커볼트 측면상으로는 한 쌍의 경계핀이 평행하게 고정 체결되고, 상기 제1하단지주암과 제2하단지주암의 일측 단부에는 제1연결핀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하단지주암과 제2하단지주암의 타측 단부에는 제2연결핀이 고정 설치되는 지주용 앵커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한 쌍의 경계핀은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단부와 상단부를 구분하는 경계선과 일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두 차례에 걸쳐서 타설하여야 했던 콘크리트를 한번에 타술할 수 있으며 또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상단, 하단 규격을 정확하고 균일하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콘크리트 타설에 있어서 약한 부분이 발생하지 않고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지주용 앵커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지주용 앵커의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지주용 앵커의 전면부 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2의 A-A 단면도.
도 5는 상기 도 2의 B-B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지주용 앵커의 설치 형태 구조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와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들은 이하의 특허등록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지주용 앵커(100)의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닥면부(70) 및 앵커볼트(10)의 설치 형태 구조도, 도 4는 상기 도 2에서의 A-A 단면도, 도 5는 상기 도 2에서의 B-B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도 3, 도 4 및 도 5를 통하여 본 발명의 지주용 앵커(100)의 구성 및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주용 앵커(100)는 일반적인 형태와 동일하게 8개의 앵커볼트(11~18)가 설치되는데, 상기 8개의 앵커볼트(11~18)는 'L' 자 형태로 구부러진 금속제 앵커볼트로서 단부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나사홈이 원반형의 바닥면부(70) 상단면에 균일 간격으로 드러나도록 형성된다. 이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상기 바닥면부(70) 상에 상기 8개의 앵커볼트(11~18)의 나사홈이 드러난다.
또한 상기 바닥면부(70)의 하단면으로는 원통형의 하단지주부(30)가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 체결되는데, 여기서 그리고 상기 8개의 앵커볼트(11~18)의 드러나지 않는 부분이 상기 바닥면부(70)의 하단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단지주부(30)의 측면상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 체결된다. 또한 상기 8개의 앵커볼트(11~18)와 상기 바닥면부(70)가 만나는 지점 역시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 체결되어, 상기 앵커볼트(11~18)를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연결되는 앵커볼트 중 근접하여 있는 각각 한 쌍씩, 예를 들어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앵커볼트(11)와 근접한 제8앵커볼트(18), 그리고 제4앵커볼트(14)와 제5앵커볼트(15)의 측면상으로 각각 한 쌍의 경계핀(20)을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 체결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경계핀(20), 즉 제1경계핀(21)과 제2경계핀(22)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평행이 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단지주부(30)는 하단부로 잘려진 원통 형태의 제1하단지주암(31)과 제2하단지주암(32)이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하단지주암(31)과 제2하단지주암(32) 각각의 단부 측면으로 한 쌍의 앵글핀(40)이 설치되는데, 정확하게는 상기 제1하단지주암(31)과 제2하단지주암(32)의 일측단부 측면상으로 제1앵글핀(41)이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 체결되고, 상기 제1하단지주암(31)과 제2하단지주암(32)의 타측단부 측면상으로 제2앵글핀(42)이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 체결된다. 상기 제1, 제2하단지주암(31, 32)의 단면 형태 및 설치 형태는 도 5를 참조하면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지주용 앵커(100)를 콘크리트(C) 상에 설치된 형태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6을 통하여 상기 지주용 앵커(100)의 설치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콘크리트(C)는 하단부(C1)를 상단부(C2)에 비해 두껍게 형성하고, 이에 따라 상기 하단부(C1)와 상단부(C2) 간에는 콘크리트의 경계선(C-L)이 생기게 된다. 종래에는 상기 경계선(C-L)을 확정짓지 못하여 상기 하단부(C1)를 형성한 다음에 상기 상단부(C2)를 형성하여야 했지만, 본 발명의 지주용 앵커(100)상에서는 상기 경계핀(20)이 상기 경계선(C-L)과 일치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작자는 상기 콘크리트(C)의 거푸집을 형성할 때 상기 경계핀(20)을 기준으로 상기 콘트리트의 경계선(C-L)을 설정하여 상기 거푸집을 형성하면 되므로, 제작자는 거푸집을 편리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형성된 거푸집을 바탕으로 상기 콘트리트(C)를 한번에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경계핀(20)의 높이는 사용자가 상기 지주용 앵커(100)를 제작할 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경계선(C-L)의 높이는 사용자가 설정한 높이에 따라 형성하게 되어 상기 콘크리트(C)의 규격이 균일해질 수 있게 된다.
11~18 : 앵커볼트. 20, 21, 22 : 경계핀.
30 : 하단지주부. 31, 32 : 하단지주암.
40, 41, 42 : 앵글핀.

Claims (2)

  1. 지주에 설치되는 앵커로서, 원반 형태의 바닥면부; 상기 바닥면부 하단에 설치되는 원통형의 하단지주부; 그리고 상기 하단지주부의 하단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하단지주암과 제2하단지주암으로 그 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하단지주부의 측면상으로는 적어도 둘 이상의, 'L' 자 형태로 형성되며 일단부에 나사홈이 형성되는 앵커볼트가, 나사홈이 형성되지 않는 타단부는 상기 하단지주부의 측면상에 고정 체결되고, 상기 나사홈이 형성된 일단부는 상기 바닥면부 상단부에 드러나도록 관통 설치되며,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앵커볼트 측면상으로는 한 쌍의 경계핀이 평행하게 고정 체결되고, 상기 제1하단지주암과 제2하단지주암의 일측 단부에는 제1연결핀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하단지주암과 제2하단지주암의 타측 단부에는 제2연결핀이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용 앵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경계핀은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단부와 상단부를 구분하는 경계선과 일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주용 앵커.
KR1020150065146A 2015-05-11 2015-05-11 지주용 앵커 KR201601325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146A KR20160132533A (ko) 2015-05-11 2015-05-11 지주용 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146A KR20160132533A (ko) 2015-05-11 2015-05-11 지주용 앵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533A true KR20160132533A (ko) 2016-11-21

Family

ID=57537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146A KR20160132533A (ko) 2015-05-11 2015-05-11 지주용 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25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048B1 (ko) * 2021-08-13 2022-02-23 김병준 위험 알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사각지대 위험 경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048B1 (ko) * 2021-08-13 2022-02-23 김병준 위험 알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사각지대 위험 경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1030B2 (ja) アンカーボルトセット装置
KR100611553B1 (ko) 가로등지주의 연결구조
KR101304985B1 (ko) 기초볼트 높낮이 조절용 기초블록 설치대
JP2009097244A (ja) 支柱立設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係止部材
KR101114840B1 (ko) 보강 지주조립체
KR100934934B1 (ko) 수평조절장치가 구비된 가로등주의 기초구조물
KR101377720B1 (ko) 가로 시설물용 지주장치
KR20160132533A (ko) 지주용 앵커
KR100906137B1 (ko) 가로등주의 기초구조물 및 기초와 이에 장착되는 가로등주
KR200433150Y1 (ko) 가로등용 지주의 고정대
JP3156999U (ja) 支柱固定具
KR20180109531A (ko) 위치가변형 브라켓을 갖는 기초석 어셈블리
KR100905889B1 (ko) 등주 설치용 기초 구조체
KR200430115Y1 (ko) 도로 경계석 이음부 받침대
KR101474736B1 (ko) 가로등의 기둥 고정장치
KR101314649B1 (ko) 회전수단이 구비된 지주형 구조물
KR200468906Y1 (ko) 기초볼트 높낮이 조절용 기초블록 설치대
KR100673583B1 (ko) 도로 안내표지판 및 가로등 지주
KR100772671B1 (ko) 보도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보도경계석 시공방법
KR101354455B1 (ko) 철주의 매설식 지지구조
KR20120110851A (ko) 가로등지주 고정용 기초블록
CN105805659A (zh) 一种市政园林用路灯的固定装置
KR101311259B1 (ko) 기초환경블록을 이용한 지주의 설치장치
JP2009144382A (ja) 支柱立設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01441117B1 (ko) 가로등 등의 지주 매설용 시멘트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