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2377A -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2377A
KR20160132377A KR1020167021987A KR20167021987A KR20160132377A KR 20160132377 A KR20160132377 A KR 20160132377A KR 1020167021987 A KR1020167021987 A KR 1020167021987A KR 20167021987 A KR20167021987 A KR 20167021987A KR 20160132377 A KR20160132377 A KR 20160132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communication
period
communication
signal
cellular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1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8828B1 (ko
Inventor
히로아키 다카노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132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10Dynamic resourc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5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collaboration of different radio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당해 셀룰러 시스템에 있어서 보다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제1 기간에 걸쳐서,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해서 점유하고, 상기 주파수 대역을, 적어도, 상기 제1 기간에 대응하는 제2 기간에 걸쳐서,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상기 무선 통신으로부터 해방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본 개시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있어서, 시스템 스루풋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기술이 논의되고 있다. 시스템 스루풋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주파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장 빠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3GPP에서는, 릴리스 10 및 릴리스 11에 있어서,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CA)이라는 기술이 검토되었다. CA는, 20㎒의 대역폭을 갖는 컴포넌트 캐리어를 묶어서 사용함으로써, 시스템 스루풋 및 최대의 데이터 레이트를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이 CA의 기술을 채용하기 위해서는, CC로서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이 필요하다. 그로 인해,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에 사용 가능한 또 다른 주파수 대역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사업자마다 전용으로 할당되는 전용 주파수 대역에 추가하여, 등록한 사업자가 사용 가능한 등록제 주파수 대역과, 소정의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사용 가능한 언라이선스드 밴드를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제2006-094001호 공보
그러나, 예를 들어 다른 무선 통신(예를 들어, 무선 LAN(Local Area Network)의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에도 사용하는 것은, 여러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즉,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주파수 대역을 공용(share)하는 것은, 여러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에 상기 주파수 대역이 지나치게 사용되면, 상기 주파수 대역이 상기 다른 무선 통신에 사용 가능한 기회가 현저하게 감소한다. 그로 인해, 상기 주파수 대역의 공용은, 상기 다른 무선 통신에 있어서 불이익으로 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장치는,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위해서 상기 주파수 대역을 확보할 수 있다고는 할 수 없다. 그로 인해,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에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기 시작하는데도 시간이 걸릴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셀룰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대역이 사용되면, 상기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과 상기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의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로 인해,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 및/또는 상기 다른 무선 통신의 통신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당해 셀룰러 시스템에 있어서 보다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의하면,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제1 기간에 걸쳐서,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해 점유하고, 상기 주파수 대역을, 적어도, 상기 제1 기간에 대응하는 제2 기간에 걸쳐서,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상기 무선 통신으로부터 해방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개시에 의하면, 프로세서에 의해,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제1 기간에 걸쳐서,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해서 점유하고, 상기 주파수 대역을, 적어도, 상기 제1 기간에 대응하는 제2 기간에 걸쳐서,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상기 무선 통신으로부터 해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의하면,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당해 셀룰러 시스템에 있어서 보다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의 효과는 반드시 한정적인 것이 아니라, 상기 효과와 함께, 또는 상기 효과 대신에, 본 명세서에 개시된 어느 하나의 효과, 또는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다른 효과가 발휘되어도 된다.
도 1은, IEEE 802.11의 프레임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는, LTE의 프레임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셀룰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스몰 셀과 겹치는 무선 LAN의 통신 에리어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매크로 셀과 겹치는 무선 LAN의 통신 에리어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공용 대역의 점유 및 해방 기간의 제1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은, 공용 대역의 점유 및 해방 기간의 제2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는, 공용 대역의 점유 및 해방 기간의 제3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공용 대역의 점유 및 해방 기간의 제4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의 개략적인 흐름의 제1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의 개략적인 흐름의 제2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의 개략적인 흐름의 제3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의 개략적인 흐름의 제4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7은, 신호의 송신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8은, 더미 신호의 송신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9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0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의 개략적인 흐름의 제1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1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의 개략적인 흐름의 제2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2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3은, 더미 신호가 송신되는 일부의 리소스 블록(RB)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4는, 일부의 리소스 블록(RB) 중에서 더미 신호가 송신되는 리소스 엘리먼트(RE)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5는, 각 리소스 블록(RB) 중에서 더미 신호가 송신되는 일부의 리소스 엘리먼트(RE)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6은, 복수의 단말 장치에 의해 더미 신호가 송신되는 무선 리소스의 제1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7은, 복수의 단말 장치에 의해 더미 신호가 송신되는 무선 리소스의 제2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8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9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에 의한 처리의 개략적인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0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에 의한 처리의 개략적인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1은, eNB의 개략적인 구성의 제1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2는, eNB의 개략적인 구성의 제2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3은, 스마트폰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4는, 카 내비게이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에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하기로 한다.
1. 서론
2.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3. 제1 실시 형태
3.1. 개략
3.2. 기지국의 구성
3.3. 단말 장치의 구성
3.4. 처리의 흐름
3.5. 변형예
4. 제2 실시 형태
4.1. 개략
4.2. 기지국의 구성
4.3. 단말 장치의 구성
4.4. 처리의 흐름
4.5. 제1 변형예
4.6. 제2 변형예
4.7. 제2 실시 형태와 제1 실시 형태의 조합
5. 제3 실시 형태
5.1. 개략
5.2. 기지국의 구성
5.3. 단말 장치의 구성
5.4. 처리의 흐름
5.5. 변형예
5.6. 제3 실시 형태와 제1 실시 형태/제2 실시 형태의 조합
6. 응용예
6.1. 기지국에 관한 응용예
6.2. 단말 장치에 관한 응용예
7. 결론
<<1. 서론>>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주파수 대역의 공용, 무선 LAN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의 기술, 및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의 기술을 설명한다.
(주파수 대역의 공용)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에 사용 가능한 또 다른 주파수 대역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이하, 「셀룰러 통신」이라고 함)에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으로서, 5㎓대가 고려된다.
그러나, 5㎓대는, 무선 LAN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이하, 「무선 LAN 통신」이라고 함)에 사용되고 있다. 그로 인해, 셀룰러 시스템이 5㎓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5㎓대는, 셀룰러 통신과 무선 LAN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share)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5㎓대의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무선 LAN의 채널)이, 어떤 시간에는 무선 LAN 통신에 사용되고, 다른 시간에는 셀룰러 통신에 사용된다. 이에 의해, 5㎓대의 주파수 이용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무선 LAN 규격에는, IEEE 802.11a, 11b, 11g, 11n, 11ac 및 11ad 등이 있고, 이들 규격은, MAC층으로서 IEEE 802.11을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선 LAN 통신을 행하는 장치는, 세상에 이미 널리 보급되어 있다. 그로 인해, 후방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의 관점에서, 무선 LAN 통신을 행하는 장치의 동작이 변경되는 것이 아니라, 셀룰러 통신과 무선 LAN 통신의 사이에서 주파수 대역을 공용하기 위한 방식이, LTE(Long Term Evolution)의 기술로서 검토되고, LTE가 새로운 규격으로서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새로운 규격에 준거한 단말 장치는,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지만, 상기 새로운 규격에 준거하지 않는 단말 장치는,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LTE, LTE-Advanced 또는 이들에 준하는 통신 규격에 준거한 셀룰러 시스템에서는,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은, 예를 들어 컴포넌트 캐리어(CC: Component Carrier)로서 사용될 것이다. 또한, 셀룰러 시스템용 주파수 대역이 PCC로서 사용되고,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은 SCC로서 사용되는 것이, 상정된다. 또한, 셀룰러 시스템용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가 송수신되고,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데이터 신호가 송수신될 수 있다.
(무선 LAN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의 기술)
도 1을 참조하여, 무선 LAN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의 기술로서, IEEE 802.11의 프레임 포맷을 설명한다. 도 1은, IEEE 802.11의 프레임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IEEE 802.11에서는, DATA 프레임 및 ACK 프레임이 기본 프레임이다. ACK 프레임은, DATA 프레임이 정확하게 수신될 때, DATA 프레임의 수신 성공을 송신측에 알리기 위한 프레임이다. DATA 프레임 및 ACK 프레임만에 의해 무선 LAN 통신이 행해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RTS(Request To Send) 프레임 및 CTS(Clear To Send) 프레임이라는 2개의 프레임이 사용된다.
무선 LAN 통신을 행하는 각 단말 장치는, RTS 프레임을 송신하기 전에, DIFS(DCF(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InterFrame Space)라는 기간 동안, 신호가 송신되지 않았음을 확인한다. 이것은, 캐리어 센스라고 불린다. DIFS가 경과한 시점에서 각 단말 장치가 동시에 신호를 송신하기 시작하면, 신호가 충돌해버린다. 그로 인해, 각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마다 랜덤하게 설정되는 백 오프 시간만큼 대기하고, 백 오프 시간 동안에도 신호가 송신되지 않으면 신호를 송신한다.
기본적으로는, 단말 장치는, 어느 한쪽의 신호를 검출하고 있는 동안에는, 신호를 송신할 수 없다. 그러나, 은폐 단말기 문제라는 것이 존재하므로, NAV(Network Allocation Vector)라는 값의 설정을 위한 지속 시간(Duration) 필드를 포함하는 RTS 프레임 및 CTS 프레임이 추가되었다. 당해 지속 시간 필드에 포함되는 값에 기초하여, NAV가 설정된다. NAV를 설정한 단말 장치는, 당해 NAV의 기간에 걸쳐서 신호의 송신을 회피한다.
우선, DATA 프레임을 송신하는 제1 단말 장치가 RTS 프레임을 송신한다. 그렇게 하면, 당해 제1 단말 장치의 주위에 위치하는 다른 단말 장치는, RTS 프레임을 수신하고, RTS 프레임 중의 지속 시간 필드에 포함되는 값을 취득한다. 그리고, 당해 다른 단말 장치는, 예를 들어 자신의 NAV를, 취득된 상기 값으로 설정하고, 당해 NAV의 기간에 걸쳐서 신호의 송신을 회피한다. 예를 들어, 당해 NAV의 기간은, RTS 프레임의 종료부터 ACK 프레임의 종료까지의 기간이다.
또한, DATA 프레임을 수신하는 제2 단말 장치가, RTS 프레임의 수신에 따라서, RTS 프레임의 종료부터 SIFS(Short InterFrame Space)만큼 후에, CTS 프레임을 송신한다. 그렇게 하면,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주위에 위치하는 다른 단말 장치는, CTS 프레임을 수신하고, CTS 프레임 중 지속 시간 필드에 포함되는 값을 취득한다. 그리고, 당해 다른 단말 장치는, 예를 들어 자신의 NAV를, 취득된 상기 값으로 설정하고, 당해 NAV의 기간에 걸쳐 신호의 송신을 회피한다. 당해 NAV의 기간은, CTS 프레임의 종료부터 ACK 프레임의 종료까지의 기간이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근처에는 없지만,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근처에 있는 다른 단말 장치(즉, 상기 제1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은폐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 장치와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통신의 사이에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RTS 프레임은, 지속 시간 필드 외에, 프레임 제어 필드, 수신 어드레스 필드, 송신 어드레스 필드 및 FCS(Frame Check Sequence)를 포함한다. 또한, CTS 프레임은, 지속 시간 필드 외에, 프레임 제어 필드, 수신 어드레스 필드 및 FCS를 포함한다.
또한, IEEE 802.11 시리즈의 규격에 있어서의 DIFS 및 SIFS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길이를 갖는다.
Figure pct00001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의 기술)
(a) 프레임 포맷
도 2를 참조하여, LTE의 프레임 포맷을 설명한다. 도 2는, LTE의 프레임 포맷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우선, LTE에서는,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이라는 시간의 단위가 사용된다. 1 무선 프레임은, 10㎳이다. 개개의 무선 프레임은, 0 내지 1023 중 어느 하나인 SFN(System Frame Number)에 의해 식별된다.
무선 프레임은, #0 내지 #9에 의해 각각 식별되는 10개의 서브 프레임을 포함한다. 각 서브 프레임은, 1㎳이다. 또한, 각 서브 프레임은, 2개의 슬롯을 포함하고, 각 슬롯은, 예를 들어 7개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을 포함한다. 즉, 각 서브 프레임은, 14개의 OFDM 심볼을 포함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프레임 포맷은, 다운링크의 프레임 포맷이며, 업링크의 프레임 포맷은, OFDM 심볼 대신에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심볼을 포함한다.
(b) 캐리어 애그리게이션
- 컴포넌트 캐리어
릴리스 10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서는, 최대 5개의 컴포넌트 캐리어(CC)가 묶여 UE(User Equipment)에 의해 사용된다. 각 CC는, 최대 20㎒ 폭의 대역이다.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서는, 주파수 방향에서 연속하는 CC가 사용되는 경우와, 주파수 방향에서 떨어진 CC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서는, 사용되는 CC를 UE마다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 PCC와 SCC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서는, UE에 의해 사용되는 복수의 CC 중 하나의 특별한 CC이다. 당해 하나의 특별한 CC는, PCC(Primary Component Carrier)라 불린다. 또한, 상기 복수의 CC 중 나머지는, SCC(Secondary Component Carrier)라 불린다. PCC는, UE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PCC는, 복수의 CC 중에서 가장 중요한 CC이므로, 통신 품질이 가장 안정된 CC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어느 CC를 PCC로 할지는, 실제로는, 어떻게 실장할 지에 의존된다.
SCC는, PCC에 추가된다. 또한, 추가된 기존의 SCC는, 삭제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SCC의 변경은, 기존의 SCC의 삭제와 새로운 SCC의 추가에 의해 행해진다.
- PCC의 결정 방법 및 변경 방법
UE의 접속이 처음에 확립되고, UE의 상태가, RRC(Radio Resource Control) Idle로부터 RRC Connected로 천이하는 경우에는, UE가 접속의 확립 시에 사용하는 CC가, 당해 UE에 있어서의 PCC로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속 확립(Connection Establishment)의 수속을 통해서 접속이 확립된다. 그 때, UE의 상태는, RRC Idle로부터 RRC Connected로 천이한다. 또한, 상기 수속에 사용되는 CC가, 상기 UE에 있어서의 PCC로 된다. 또한, 상기 수속은, UE측으로부터 개시되는 수속이다.
또한, PCC의 변경은, 주파수 간 핸드 오버에 의해 행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속 재구성(Connection Reconfiguration)의 수속에 있어서 핸드 오버가 지시되면, PCC의 핸드 오버가 행해지고, PCC가 변경된다. 또한, 상기 수속은, 네트워크측으로부터 개시되는 수속이다.
- SCC의 추가
전술한 바와 같이, SCC는, PCC에 추가된다. 그 결과, SCC는, PCC에 부수된다. 환언하면, SCC는, PCC에 종속한다. SCC의 추가는, 접속 재구성의 수속을 통해서 행해지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당해 수속은, 네트워크측으로부터 개시되는 수속이다.
- SCC의 삭제
전술한 바와 같이, SCC는 삭제될 수 있다. SCC의 삭제는, 접속 재구성의 수속을 통해서 행해지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메시지 중에서 지정되는 특정한 SCC가 삭제된다. 또한, 상기 수속은, 네트워크측으로부터 개시되는 수속이다.
또한, 모든 SCC의 삭제는, 접속 재확립(Connection Re-establishment)의 수속을 통해서 행해지는 것이 가능하다.
- PCC의 특별한 역할
접속 확립의 수속, NAS(Non-Access Stratum) 시그널링의 송수신, 및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에서의 업링크 제어 신호의 송수신은, SCC로는 행해지지 않고, PCC만으로 행해진다.
또한, 무선 링크 장해(RLF: Radio Link Failure)의 검출 및 그 후의 접속 재확립의 수속도, SCC로는 행해지지 않고, PCC만으로 행해진다.
-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위한 백홀의 조건
예를 들어, SCC의 다운링크 신호에 대한 ACK(Acknowledgement)는, PCC의 PUCCH로 송신된다. 상기 ACK는, eNB(evolved Node B)에 의한 데이터의 재송에 사용되므로, 상기 ACK의 지연은 허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UE에 있어서의 PCC인 CC를 사용하는 제1 eNB와, UE에 있어서의 SCC인 CC를 사용하는 제 2eNB가 상이한 경우에는, 당해 제1 eNB와 당해 제 2eNB 사이의 백홀에서의 지연은 기껏해야 10㎳ 정도인 것이 요망된다.
<<2. 셀룰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계속해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셀룰러 시스템(1)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셀룰러 시스템(1)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시스템(1)은, 기지국(100) 및 단말 장치(200)를 포함한다. 셀룰러 시스템(1)은, 예를 들어 LTE, LTE-Advanced, 또는 이들에 준하는 통신 규격에 준거한 시스템이다.
(기지국(100))
기지국(100)은, 셀룰러 시스템(1)의 무선 통신(셀룰러 통신)을 행한다. 즉, 기지국(100)은, 단말 장치(200)와의 무선 통신을 행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기지국(100)의 통신 에리어인 셀(10) 내에 위치하는 단말 장치(200)와의 무선 통신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단말 장치(200)로의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단말 장치(200)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일례로서, 기지국(100)은, 스몰 기지국이며, 셀(10)은 스몰 셀이다. 다른 예로서, 기지국(100)은, 매크로 기지국이어도 되고, 셀(10)은 매크로 셀이어도 된다.
(단말 장치(200))
단말 장치(200)는,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셀룰러 통신)을 행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기지국(100)과의 무선 통신을 행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기지국(100)의 셀(10)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기지국(100)과의 무선 통신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기지국(100)으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기지국(100)으로의 업링크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단말 장치(200)는, 다른 단말 장치(예를 들어, 다른 단말 장치(200) 등)와의 무선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장치 간(Device-to-Device: D2D)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200)는, 단말 장치에 의해 형성되는 LN(Localized Network) 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200)는, 다른 무선 통신을 행해도 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무선 LAN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무선 LAN 통신)을 행해도 된다.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
셀룰러 시스템(1)의 무선 통신(즉, 셀룰러 통신)에는, 셀룰러 시스템(1)용 주파수 대역이 사용된다. 당해 주파수 대역은, 예를 들어 셀룰러 시스템(1)의 사업자에게 할당된 대역이며, 라이선스 밴드라고 불릴 수 있다.
특히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서는, 셀룰러 통신에는, 다른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도 사용된다. 즉, 셀룰러 통신에는, 셀룰러 통신과 상기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이하, 「공용 대역」이라고 함)도 사용된다. 상기 다른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무선 LAN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즉, 무선 LAN 통신)이다. 또한, 상기 공용 대역은, 예를 들어 무선 LAN의 채널이다. 일례로서, 상기 공용 대역은, 20㎒의 채널이다.
(다른 무선 통신)
셀(10) 내에는, 상기 다른 무선 통신의 통신 에리어가 존재할 수 있다. 즉, 셀(10)과 상기 다른 무선 통신의 통신 에리어가 겹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당해 다른 무선 통신은, 무선 LAN 통신이며, 셀(10) 내에는, 무선 LAN의 통신 에리어가 존재할 수 있다. 즉, 셀(10)과 무선 LAN의 통신 에리어가 겹칠 수 있다. 이하, 이 점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4는, 스몰 셀과 겹치는 무선 LAN의 통신 에리어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몰 기지국인 기지국(100) 및 단말 장치(200)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그 주변에는, 무선 LAN의 액세스 포인트(30) 및 무선 LAN 통신을 행하는 단말 장치(50)가 존재한다.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30)의 통신 에리어(40)는, 스몰 셀인 셀(10)과 겹친다.
도 5는, 매크로 셀과 겹치는 무선 LAN의 통신 에리어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매크로 기지국인 기지국(100) 및 단말 장치(200)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그 주변에는, 무선 LAN의 액세스 포인트(30), 및 무선 LAN 통신을 행하는 단말 장치(50)가 존재한다.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30)의 통신 에리어(40)는 매크로 셀인 셀(10)과 겹친다.
또한, 무선 LAN 통신은, 무선 LAN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LAN 통신을 행하는) 단말 장치 사이의 무선 통신에 추가하여, 무선 LAN 통신을 행하는 단말 장치 간의, 무선 LAN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무선 LAN 통신은, Wi-Fi Direct에 따른 무선 통신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셀룰러 시스템(1)을 설명하였다. 또한, 셀룰러 시스템(1)은, 1개의 기지국(100)뿐만 아니라, 복수의 기지국(1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셀룰러 시스템(1)은, 기지국(100) 및 단말 장치(200)에 추가하여, 다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룰러 시스템(1)은, 코어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S-GW(Serving Gateway) 및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3. 제1 실시 형태>>
계속해서, 도 6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1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3.1. 개략>
우선, 제1 실시 형태의 개략을 설명한다.
-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과제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즉, 셀룰러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예를 들어, 무선 LAN 통신)의 사이에서 주파수 대역이 공용되는 경우에, 셀룰러 통신에 주파수 대역이 지나치게 사용되면, 상기 주파수 대역이 상기 다른 무선 통신에 사용 가능한 기회가 현저하게 감소한다. 이것은, 상기 다른 무선 통신을 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불이익으로 된다. 그로 인해, 상기 주파수 대역이 공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주파수 대역이 상기 다른 무선 통신에 사용 가능한 기회가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주파수 대역의 사용 기회가, 셀룰러 시스템과 다른 무선 통신을 행하는 장치에 공평하게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무선 LAN 통신에서는 CSMA/CA(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에 기초하여 무선 리소스가 장치 간에서 공평하게 사용되고 있으므로, 상기 다른 무선 통신이 무선 LAN 통신인 경우에는, 공평성이 확보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셀룰러 시스템에서는, 비교적 긴 10㎳의 무선 프레임을 단위로 하여 무선 통신이 행해진다. 또한, 셀룰러 시스템에서는, 단말 장치는,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무선 프레임 중에서 송신되는 동기 신호에 의해 동기를 획득하고, 시스템 정보를 취득하여, 일련의 접속 확립 수속을 행함으로써,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하면, 셀룰러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셀룰러 통신을 위해 어느 정도의 시간 계속해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셀룰러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셀룰러 시스템에 있어서 보다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셀룰러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이 상기 다른 무선 통신에 사용 가능한 기회를 확보하고 또한 당해 주파수 대역을 셀룰러 통신을 위해서 어느 정도의 시간 계속해서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제1 실시 형태의 특징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셀룰러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은, 제1 기간에 걸쳐서, 상기 셀룰러 통신을 위해서 점유되고, 적어도, 상기 제1 기간에 대응하는 제2 기간에 걸쳐서, 상기 셀룰러 통신으로부터 해방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이 상기 다른 무선 통신에 사용 가능한 기회를 확보하고, 또한 당해 주파수 대역을 셀룰러 통신을 위해서 어느 정도의 시간 계속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3.2. 기지국의 구성>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100-1)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100-1)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기지국(100-1)은, 안테나부(110), 무선 통신부(120), 네트워크 통신부(130), 기억부(140) 및 처리부(150)를 구비한다.
(안테나부(110))
안테나부(110)는, 무선 통신부(120)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를 전파로서 공간에 방사한다. 또한, 안테나부(110)는, 공간의 전파를 신호로 변환하고, 당해 신호를 무선 통신부(120)로 출력한다.
(무선 통신부(120))
무선 통신부(120)는,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20)는, 셀(10) 내에 위치하는 단말 장치(200-1)로의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셀(10) 내에 위치하는 단말 장치(200-1)로부터의 업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20)는, 셀룰러 시스템(1)용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특히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서는, 무선 통신부(120)는, 셀룰러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예를 들어, 무선 LAN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즉,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수신한다.
(네트워크 통신부(130))
네트워크 통신부(130)는, 다른 노드와 통신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통신부(130)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MME, S-GW 및 P-GW 등)와 통신한다. 또한, 예를 들어 네트워크 통신부(130)는, 다른 기지국(100-1)과 통신한다.
(기억부(140))
기억부(140)는, 기지국(100-1)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또는 항구적으로 기억한다.
(처리부(150))
처리부(150)는, 기지국(100-1)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처리부(150)는, 통신 제어부(151)를 포함한다. 또한, 처리부(150)는, 통신 제어부(151) 이외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제어부(151))
통신 제어부(151)는, 공용 대역(즉, 셀룰러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제1 기간에 걸쳐서, 상기 셀룰러 통신을 위해서 점유하고, 상기 공용 대역을, 적어도, 상기 제1 기간에 대응하는 제2 기간에 걸쳐서, 상기 셀룰러 통신으로부터 해방한다.
(a) 다른 무선 통신
예를 들어, 상기 다른 무선 통신은, 무선 LAN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즉, 무선 LAN 통신)이다. 이 경우에, 상기 공용 대역은, 셀룰러 통신과 무선 LAN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된다. 상기 공용 대역은, 예를 들어 무선 LAN의 채널이다. 일례로서, 상기 공용 대역은, 20㎒의 채널이다.
(b) 공용 대역의 점유
- 제1 기간에 걸치는 신호의 송신에 의한 점유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151)는, 셀룰러 시스템(1)의 무선 통신(셀룰러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제1 기간에 걸쳐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공용 대역을 상기 제1 기간에 걸쳐 상기 셀룰러 통신을 위해서 점유한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기지국(100-1)이며, 통신 제어부(151)는, 기지국(100-1)이 상기 제1 기간에 걸쳐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기지국(100-1)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151)는, 상기 제1 기간에 걸치는 상기 공용 대역의 무선 리소스를 어느 한쪽의 신호에 할당한다. 또한,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151)는, 상기 제1 기간에 걸치는 상기 공용 대역의 무선 리소스에, 신호를 매핑한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단말 장치(200-1)이어도 되고, 통신 제어부(151)는, 단말 장치(200-1)가 상기 제1 기간에 걸쳐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단말 장치(200-1)를 제어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151)는, 상기 제1 기간에 걸쳐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단말 장치(200-1)에 지시해도 된다. 예를 들어, 이 지시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SI)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상과 같이, 무선 통신 장치(즉, 기지국(100-1) 및 단말 장치(200-1) 중 적어도 한쪽)가 제어된다. 또한,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한 신호의 송신의 구체적인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제3 실시 형태에 설명하는 방법이 적용된다. 또한, 신호의 송신 방법으로서, 제2 실시 형태에 설명하는 방법도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기간에 걸쳐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예를 들어 상기 다른 무선 통신(예를 들어, 무선 LAN 통신)을 행하는 장치는,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송신되는 신호를 검출하고, 당해 공용 대역의 사용을 회피한다. 그로 인해, 셀룰러 통신을 위해서 상기 공용 대역이 점유될 수 있다.
- NAV의 설정을 위한 프레임 송신에 의한 점유
상기 다른 무선 통신은, 무선 LAN 통신이며, 통신 제어부(151)는, 셀룰러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하여, NAV를 설정하기 위한 지속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공용 대역을 상기 제1 기간에 걸쳐 상기 셀룰러 통신을 위해서 점유해도 된다.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기지국(100-1) 및 단말 장치(200-1) 중 적어도 한쪽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RTS 프레임 또는 CTS 프레임이어도 되거나, 혹은 이들과 비슷한 프레임이어도 된다. 상기 지속 시간 정보는, 지속 기간 필드에 포함되는 값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제1 기간 전체를 커버하는 NAV를 설정하기 위한 지속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1개의 프레임을 송신해도 된다. 또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2개 이상의 프레임을 다른 타이밍에 송신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 2개 이상의 프레임의 각각이 송신될 때마다, 프레임을 수신하는 장치의 NAV가 갱신되고, 갱신되는 NAV가 상기 제1 기간 전체를 커버해도 된다.
상기 프레임의 송신에 의해, 예를 들어 상기 다른 무선 통신(예를 들어, 무선 LAN 통신)을 행하는 장치는, NAV를 설정하고, 상기 공용 대역의 사용을 회피한다. 그로 인해, 셀룰러 통신을 위해 상기 공용 대역이 점유될 수 있다.
(c) 공용 대역의 해방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151)는, 셀룰러 시스템(1)의 무선 통신(셀룰러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적어도 상기 제2 기간에 걸쳐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공용 대역을 적어도 상기 제2 기간에 걸쳐 상기 셀룰러 통신으로부터 해방한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기지국(100-1)이며, 통신 제어부(151)는, 기지국(100-1)이 적어도 상기 제2 기간에 걸쳐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기지국(100-1)을 제어한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단말 장치(200-1)이어도 되고, 통신 제어부(151)는 단말 장치(200-1)가 적어도 상기 제2 기간에 걸쳐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단말 장치(200-1)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151)는, 적어도 상기 제2 기간에 걸쳐 상기 공용 대역의 사용을 정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상기 제2 기간에 걸쳐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지 않음으로써, 예를 들어 상기 다른 무선 통신(예를 들어, 무선 LAN 통신)을 행하는 장치는, 셀룰러 통신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상기 다른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셀룰러 통신으로부터 상기 공용 대역이 해방될 수 있다.
(d) 제1 기간 및 제2 기간
- 제1 기간 및 제2 기간 길이
상기 제1 기간은, 셀룰러 시스템(1)의 1 무선 프레임 이상의 기간이다. 즉, 상기 공용 대역은, 1 무선 프레임 이상의 기간에 걸쳐 셀룰러 통신을 위해서 점유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셀룰러 통신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간은, 1 무선 프레임과 비교해서 오랜 시간(예를 들어, 30초 정도)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2 기간은, 상기 제1 기간과 마찬가지의 길이를 갖는다. 즉, 상기 공용 대역은, 제1 기간에 걸쳐서, 셀룰러 통신을 위해서 점유되고, 적어도, 제1 기간과 마찬가지의 길이를 갖는 기간에 걸쳐서, 셀룰러 통신으로부터 해방된다. 일례로서, 상기 제2 기간은, 상기 제1 기간의 길이 90% 내지 110%의 길이를 갖는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예를 들어, 무선 LAN 통신)의 사이의 공평성이 확보된다.
또한, 상기 제2 기간은, 상기 제1 기간의 길이의 소정의 비율의 길이를 가져도 된다. 일례로서, 상기 제2 기간은, 상기 제1 기간의 길이의 150%의 길이를 가져도 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2 기간은, 상기 제1 기간의 길이의 60%의 길이를 가져도 된다.
또한, 상기 제1 기간 및 상기 제2 기간의 길이는, 고정적이어도 된다. 또는, 상기 제1 기간 및 상기 제2 기간의 길이는, 가변이어도 되고, 상기 제1 기간의 길이에 따라서 상기 제2 기간의 길이가 변화되어도 되거나, 또는 상기 제2 기간의 길이에 따라서 상기 제1 기간의 길이가 변화되어도 된다.
- 제1 기간이 연속하는 기간인 경우
예를 들어, 상기 제1 기간은, 연속하는 기간이다. 즉, 상기 공용 대역은, 연속하는 제1 기간에 걸쳐 셀룰러 통신을 위해서 점유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상기 공용 대역을 셀룰러 통신을 위해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상기 공용 대역의 사용 개시를 위해서는, 단말 장치에는, 동기의 획득, 시스템 정보의 취득, 및 일련의 접속 확립 수속 등의 동작이 필요하게 된다. 그로 인해, 연속한 시간에 걸쳐 상기 공용 대역이 사용되면, 상기 동작의 빈도가 보다 적어지게 되어, 단말 장치(200-1)에 의해 상기 공용 대역이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2 기간은, 상기 제1 기간의 직전 또는 직후의 기간이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셀룰러 시스템(1)에서의 상기 공용 대역의 사용 전후에, 상기 공용 대역이 다른 무선 통신에 사용 가능한 기회를 확실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 제1 예
제1 예로서, 상기 제2 기간은, 상기 제1 기간의 직후의 연속하는 기간이다. 이하, 이 점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7은, 공용 대역의 점유 및 해방 기간의 제1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예를 들어, 제1 기간(61)은 연속하는 기간이며, 제2 기간(63)은 제1 기간(61)의 직후의 연속하는 기간이다. 즉, 공용 대역은, 연속하는 제1 기간(61)에 걸쳐서, 셀룰러 통신을 위해 점유되고, 그 후, 적어도, 연속하는 제2 기간에 걸쳐서, 셀룰러 통신으로부터 해방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셀룰러 시스템(1)은, 필요에 따라서, 상기 공용 대역의 사용을 보다 신속하게 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공용 대역이 상기 다른 무선 통신에 사용 가능한 기회가 보다 많아질 수 있다.
-- 제2 예
제2 예로서, 상기 제2 기간은, 상기 제1 기간의 직전의 기간 및 상기 제1 기간의 직후의 기간이어도 된다. 이하, 이 점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8은, 공용 대역의 점유 및 해방 기간의 제2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예를 들어, 제1 기간(61)은, 연속하는 기간이며, 제2 기간(63)은, 제1 기간(61)의 직전의 기간 및 제1 기간(61)의 직후의 기간이다. 즉, 공용 대역은, 제2 기간(63)의 일부 기간에 걸쳐 셀룰러 통신으로부터 해방된 후에, 연속하는 제1 기간(61)에 걸쳐 셀룰러 통신을 위해 점유되고, 그 후, 제2 기간(63)의 나머지 기간에 걸쳐 셀룰러 통신으로부터 해방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셀룰러 시스템(1)은, 필요에 따라서, 상기 공용 대역의 사용을 신속하게 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주파수 대역이 셀룰러 통신에 사용되는 시간이 보다 많아질 수 있다.
-- 제3 예
제3 예로서, 상기 제2 기간은, 상기 제1 기간 직전의 연속하는 기간이어도 된다. 이하, 이 점에 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9는, 공용 대역의 점유 및 해방 기간의 제3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예를 들어, 제1 기간(61)은, 연속하는 기간이며, 제2 기간(63)은, 제1 기간(61)의 직전의 연속하는 기간이다. 즉, 공용 대역은, 적어도, 연속하는 제2 기간에 걸쳐서, 셀룰러 통신으로부터 해방되고, 그 후, 연속하는 제1 기간(61)에 걸쳐서, 셀룰러 통신을 위해서 점유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상기 공용 대역이 상기 다른 무선 통신에 사용 가능한 기회가 확보된 것을 조건으로 하여, 상기 공용 대역이 셀룰러 통신에 사용 가능해진다. 그로 인해, 상기 공용 대역이 다른 무선 통신에 사용 가능한 기회를 보다 확실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 제1 기간이 불연속의 기간인 경우
상기 제1 기간은, 불연속의 기간이어도 된다. 그리고, 통신 제어부(151)는, 제3 기간 내에 있어서, 상기 공용 대역을 상기 제1 기간에 걸쳐 셀룰러 통신을 위해서 점유하고, 상기 공용 대역을 적어도 상기 제2 기간에 걸쳐 상기 셀룰러 통신으로부터 해방해도 된다. 이하, 이 점에 대하여, 도 10을 참조하여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10은, 공용 대역의 점유 및 해방 기간의 제4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예를 들어, 제1 기간(61)은, 불연속의 기간이며, 제2 기간(63)도, 불연속의 기간이다. 제3 기간(65)에 있어서, 불연속의 제1 기간(61)에 걸쳐서, 공용 대역이 셀룰러 통신을 위해 점유되고, 제2 기간(63)에 걸쳐서, 공용 대역이 셀룰러 통신으로부터 해방된다. 일례로서, 제3 기간(65)은, 고정적인 길이를 갖는 기간이며, 제3 기간(65) 내에서, 공용 대역을 셀룰러 통신에 사용 가능한 상한 시간이 정해진다. 그리고, 공용 대역의 점유 기간(즉, 제1 기간(61))이 상기 상한 시간에 도달하면, 제3 기간(65)이 경과할 때까지, 공용 대역이 셀룰러 통신으로부터 해방된다.
이에 의해, 상기 공용 대역이 상기 다른 무선 통신에 사용 가능한 기회를 확실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통신 제어부(151)는, 상기 공용 대역을 상기 제1 기간에 걸쳐 셀룰러 통신을 위해 점유하고, 상기 공용 대역을 적어도 상기 제2 기간에 걸쳐 셀룰러 통신으로부터 해방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즉, 공용 대역)이 상기 다른 무선 통신에 사용 가능한 기회를 확보하고, 또한 당해 주파수 대역을 셀룰러 통신을 위해서 어느 정도의 시간 계속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3.3. 단말 장치의 구성>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200-1)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200-1)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단말 장치(200-1)는, 안테나부(210), 무선 통신부(220), 기억부(230) 및 처리부(240)를 구비한다.
(안테나부(210))
안테나부(210)는, 무선 통신부(220)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를 전파로서 공간에 방사한다. 또한, 안테나부(210)는, 공간의 전파를 신호로 변환하고, 당해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로 출력한다.
(무선 통신부(220))
무선 통신부(220)는,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220)는, 단말 장치(200-1)가 셀(10)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 기지국(100-1)으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기지국(100-1)으로의 업링크 신호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220)는, 셀룰러 시스템(1)용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특히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서는, 무선 통신부(220)는, 셀룰러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예를 들어, 무선 LAN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즉,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수신한다.
(기억부(230))
기억부(230)는, 단말 장치(200-1)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또는 항구적으로 기억한다.
(처리부(240))
처리부(240)는, 단말 장치(200-1)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처리부(240)는, 통신 제어부(241)를 포함한다. 또한, 처리부(240)는, 통신 제어부(241) 이외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제어부(241))
통신 제어부(241)는, 단말 장치(200-1)를 제어한다.
특히 제1 실시 형태에서는, 통신 제어부(241)는, 단말 장치(200-1)가 상기 제1 기간에 걸쳐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단말 장치(200)를 제어해도 된다.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241)는, 기지국(100-1)에 의한 지시에 따라서, 단말 장치(200-1)가 상기 제1 기간에 걸쳐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단말 장치(200)를 제어해도 된다.
또한, 신호의 송신의 구체적인 방법으로서, 제3 실시 형태에 설명하는 방법이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신호의 송신 방법으로서, 제2 실시 형태에 설명하는 방법이 적용되어도 된다.
<3.4. 처리의 흐름>
다음으로,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의 예를 설명한다.
(제1 예)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의 개략적인 흐름의 제1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당해 처리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용 대역의 점유 및 해방이 행해지는 경우의 예이다.
통신 제어부(151)는, 공용 대역(즉, 셀룰러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지를 판정한다(S301).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S301: 아니오), 처리는 스텝 S301로 되돌아간다.
한편,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하였다고 판정된 경우에는(S301: 예), 통신 제어부(151)는, 제1 기간에 걸쳐 상기 공용 대역을 셀룰러 통신을 위해서 점유한다(S303). 당해 제1 기간에 있어서, 셀룰러 통신이 행해진다.
그 후, 통신 제어부(151)는, 제2 기간에 걸쳐 상기 공용 대역을 셀룰러 통신으로부터 해방한다(S305). 그리고, 처리는 스텝 S301로 되돌아간다.
(제2 예)
도 13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의 개략적인 흐름의 제2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당해 처리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용 대역의 점유 및 해방이 행해지는 경우의 예이다.
통신 제어부(151)는, 공용 대역(즉, 셀룰러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지를 판정한다(S311).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S311: 아니오), 통신 제어부(151)는, 상기 공용 대역에 대한 추가 해방 시간을 산출한다(S313). 그리고, 처리는 스텝 S311로 되돌아간다. 또한, 상기 추가 해방 기간은, 제2 기간의 해방 후에, 상기 공용 대역을 더 해방하고 있는 기간이다.
한편,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하였다고 판정된 경우에는(S311: 예), 통신 제어부(151)는, 제1 기간에 걸쳐 상기 공용 대역을 셀룰러 통신을 위해 점유한다(S315). 당해 제1 기간에 있어서, 셀룰러 통신이 행해진다.
그 후, 통신 제어부(151)는, 제2 기간 중 나머지의 기간(즉, 제2 기간과 상기 추가 해방 기간의 차분 기간)에 걸쳐 상기 공용 대역을 셀룰러 통신으로부터 해방한다(S317). 그리고, 처리는 스텝 S311로 되돌아간다.
(제3 예)
도 14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의 개략적인 흐름의 제3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당해 처리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용 대역의 점유 및 해방이 행해지는 경우의 예이다.
통신 제어부(151)는, 공용 대역(즉, 셀룰러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지를 판정한다(S321).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하였다고 판정된 경우에(S321: 예), 통신 제어부(151)는, 상기 공용 대역이 제2 기간에 걸쳐 이미 해방이 완료되었는지를 판정한다(S323).
상기 공용 대역이 제2 기간에 걸쳐 이미 해방이 완료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S323: 예), 통신 제어부(151)는, 제1 기간에 걸쳐 상기 공용 대역을 셀룰러 통신을 위해 점유한다(S325). 당해 제1 기간에 있어서, 셀룰러 통신이 행해진다. 그 후, 처리는 스텝 S321로 되돌아간다.
한편,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S321: 아니오), 및 상기 공용 대역이 제2 기간에 걸쳐 아직 해방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S323: 아니오), 통신 제어부(151)는, 상기 공용 대역에 대한 해방 시간을 산출한다(S327). 그리고, 처리는 스텝 S321로 되돌아간다.
(제4 예)
도 15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의 개략적인 흐름의 제4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당해 처리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용 대역의 점유 및 해방이 행해지는 경우의 예이다. 상기 처리는, 제3 기간에 걸쳐 행해진다.
통신 제어부(151)는, 공용 대역(즉, 셀룰러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지를 판정한다(S331).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하였다고 판정된 경우에(S331: 예), 통신 제어부(151)는, 상기 공용 대역을 셀룰러 통신을 위해서 점유한다(S333). 당해 제1 기간에 있어서, 셀룰러 통신이 행해진다. 그 후, 통신 제어부(151)는, 상기 공용 대역의 점유 기간(제1 기간)이 상한에 도달했는지를 판정한다(S335).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S331: 예), 및 상기 점유 기간(제1 기간)이 상한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S335: 예), 통신 제어부(151)는, 상기 공용 대역을 셀룰러 통신으로부터 해방한다(S337). 그리고, 처리는 스텝 S331로 되돌아간다.
한편, 상기 점유 기간(제1 기간)이 상한에 도달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S335: 예), 통신 제어부(151)는, 제3 기간 중 나머지 기간에 걸쳐 상기 공용 대역을 셀룰러 통신으로부터 해방한다(S339). 그리고, 처리는 종료된다.
<3.5. 변형예>
(개략)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의 예에서는, 예를 들어 기지국(100-1)(통신 제어부(151))이, 제1 기간에 걸쳐서, 셀룰러 통신을 위해 공용 대역을 점유하고, 적어도, 상기 제1 기간에 대응하는 제2 기간에 걸쳐서, 상기 셀룰러 통신으로부터 상기 공용 대역을 해방한다.
한편,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서는, 단말 장치(200-1)(통신 제어부(241))가, 제1 기간에 걸쳐서, 셀룰러 통신을 위해 공용 대역을 점유하고, 적어도, 상기 제1 기간에 대응하는 제2 기간에 걸쳐서, 상기 셀룰러 통신으로부터 상기 공용 대역을 해방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즉, 공용 대역)이 상기 다른 무선 통신에 사용 가능한 기회를 확보하고, 또한 셀룰러 시스템(1)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 간의 무선 통신(예를 들어, D2D 통신 또는 LN 내의 무선 통신)을 위해 상기 주파수 대역을 어느 정도의 시간 계속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도, 기지국(100-1)(통신 제어부(151))은, 제1 기간에 걸쳐서, 셀룰러 통신을 위해 공용 대역을 점유하고, 적어도, 상기 제1 기간에 대응하는 제2 기간에 걸쳐서, 상기 셀룰러 통신으로부터 상기 공용 대역을 해방해도 된다.
(단말 장치(200-1): 통신 제어부(241))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서는, 통신 제어부(271)는, 공용 대역(즉, 셀룰러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제1 기간에 걸쳐서, 상기 셀룰러 통신을 위해 점유하고, 상기 공용 대역을, 적어도, 상기 제1 기간에 대응하는 제2 기간에 걸쳐서, 상기 셀룰러 통신으로부터 해방한다.
이 점에 대한 통신 제어부(241)의 설명은, 주체(기지국(100-1) 및 단말 장치(200-1))에 관한 상이를 제외하고,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제어부(151)에 대한 대응하는 설명과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
(처리의 흐름)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단말 장치(200-1)의 처리의 예는, 주체(기지국(100-1) 및 단말 장치(200-1))에 관한 상이를 제외하고,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기지국(100-1)의 처리의 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
<<4. 제2 실시 형태>>
계속해서, 도 16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4.1. 개략>
우선, 제2 실시 형태의 개략을 설명한다.
-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과제
무선 LAN 규격에서는, CSMA/CA가 채용되어 있다. 예를 들어, 무선 LAN 통신에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셀룰러 통신에 사용하기 위해서, 셀룰러 시스템(1)의 장치(기지국(100) 또는 단말 장치(200))도 CSMA/CA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당연히, 무선 LAN 통신을 행하는 장치가 상기 주파수 대역을 먼저 사용하고, 셀룰러 시스템(1)의 상기 장치가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없게 될 가능성도 있다. 즉, 셀룰러 시스템(1)의 상기 장치는, 셀룰러 통신을 위해 상기 주파수 대역을 확보할 수 있다고는 할 수 없다. 그로 인해,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에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기 시작하는데 시간이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셀룰러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셀룰러 시스템에 있어서 보다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주파수 대역을 셀룰러 통신을 위해서 보다 확실하게 확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제2 실시 형태의 특징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과 무선 LAN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즉,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지 않은 기간이 DIFS가 되기 전에, 셀룰러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기 시작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제어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상기 주파수 대역을 셀룰러 통신을 위해서 보다 확실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에 사용되는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무선 프레임이 개시될 때까지의 기간에 걸쳐서, 셀룰러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셀룰러 통신과 무선 LAN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즉,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더미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제어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상기 주파수 대역을 셀룰러 통신을 위해서 보다 확실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4.2. 기지국의 구성>
다음으로,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100-2)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6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100-2)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기지국(100-2)은, 안테나부(110), 무선 통신부(120), 네트워크 통신부(130), 기억부(140) 및 처리부(160)를 구비한다.
여기서, 안테나부(110), 무선 통신부(120), 네트워크 통신부(130) 및 기억부(140)에 대한 설명은, 부호의 차이를 제외하고, 제1 실시 형태와 제2 실시 형태의 사이에 차이는 없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처리부(160)만을 설명하고,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
(처리부(160))
처리부(160)는, 기지국(100-2)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처리부(160)는, 통신 제어부(161)를 포함한다. 또한, 처리부(160)는, 통신 제어부(161) 이외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제어부(161))
(a) 공용 대역의 확보를 위한 제1 제어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161)는,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지 않은 기간이 DIFS가 되기 전에, 상기 셀룰러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기 시작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한다. 상기 공용 대역은, 셀룰러 시스템(1)의 무선 통신(즉, 셀룰러 통신)과 무선 LAN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즉, 무선 LAN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이다.
또한,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161)는,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지 않은 상기 기간이 SIFS보다도 길어진 후에,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기 시작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기지국(100-2)이며, 통신 제어부(161)는,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지 않은 기간이 SIFS보다도 길어진 후이며 DIFS가 되기 전에, 기지국(100-2)이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기 시작하도록, 기지국(100-2)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처리부(160)(통신 제어부(161) 또는 다른 구성 요소)는, 무선 통신부(120)에 의한 신호의 수신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또한, 처리부(160)(통신 제어부(161) 또는 다른 구성 요소)는,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지 않은 기간을 계측한다. 그리고, 통신 제어부(161)는,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지 않은 기간이 SIFS보다도 길어진 후이며 DIFS가 되기 전에, 무선 통신부(120)에,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시킨다. 일례로서, 상기 기간이, SIFS보다도 길고 DIFS보다도 짧은 소정의 기간이 되면,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된다. 이하, 이 점에 대하여 도 17을 참조하여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17은, 신호의 송신 타이밍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신호는,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지 않은 기간이 SIFS보다도 길어진 후이며 DIFS가 되기 전에 송신되기 시작한다. 일례로서, 신호는, SIFS보다도 길고 DIFS보다도 짧은 소정의 기간 경과 후에 송신되기 시작한다.
무선 LAN 통신을 행하는 장치는, 신호가 송신되지 않은 기간이 DIFS 및 백 오프 시간의 합에 도달하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전술한 바와 같은 DIFS 경과 전에 신호를 송신하기 시작함으로써, 예를 들어 무선 LAN 통신을 행하는 장치보다도 전에,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무선 LAN 통신을 행하는 장치에 의한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한 신호의 송신이 억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공용 대역이 셀룰러 통신을 위해서 보다 확실하게 확보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SIFS 경과 후에 신호를 송신하기 시작함으로써, 송신하는 신호가 무선 LAN 통신의 신호에 충돌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RTS 프레임, CTS 프레임, DATA 프레임 및 ACK 프레임은, SIFS의 시간 간격으로 연결된다. 그로 인해, SIFS 경과 전에 신호가 송신되면, 당해 신호는, CTS 프레임, DATA 프레임 또는 ACK 프레임 중 어느 한쪽의 신호와 충돌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지 않은 기간이 SIFS보다도 길어진 후에 신호가 송신되기 시작하면, 당해 신호와 CTS 프레임, DATA 프레임 또는 ACK 프레임의 신호와의 충돌이 방지될 수 있다.
(b) 공용 대역의 확보를 위한 제2 제어
-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프레임 개시까지의 신호의 송신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161)는, 셀룰러 통신에 사용되는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무선 프레임이 개시될 때까지의 기간에 걸쳐서, 상기 셀룰러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더미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한다. 상기 공용 대역은, 셀룰러 시스템(1)의 무선 통신(즉, 셀룰러 통신)과 무선 LAN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즉, 무선 LAN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이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기지국(100-2)이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공용 대역은, 셀룰러 시스템(1)에 있어서의 컴포넌트 캐리어(CC)이며, 상기 다른 주파수 대역은, 셀룰러 시스템(1)에 있어서의 다른 CC이다. 통신 제어부(161)는, 다른 CC에 대한 무선 프레임이 개시될 때까지의 기간에 걸쳐서, 기지국(100-2)이 공용 대역(CC)을 사용해서 더미 신호를 송신하도록, 기지국(100-2)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161)는, SIFS의 경과 후 DIFS의 경과 전의 타이밍으로부터, 다른 CC에 대한 무선 프레임이 개시될 때까지의 기간에 걸쳐서, 무선 통신부(120)에 더미 신호를 송신시킨다. 이하, 이 점에 대하여 도 18을 참조하여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18은, 더미 신호의 송신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공용 대역(CC)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지 않게 된 후에(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지 않은 기간이 SIFS보다도 길어진 후이며 DIFS가 되기 전에),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더미 신호가 송신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다른 CC의 무선 프레임(및 상기 공용 대역의 무선 프레임)이 개시될 때까지, 상기 더미 신호가 송신된다. 그 후, 상기 다른 CC 및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하여,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 셀룰러 시스템의 신호가 송수신된다.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상기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무선 프레임이 개시될 때까지의 기간에 걸쳐 더미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무선 프레임의 개시까지, 무선 LAN 통신을 행하는 장치에 의한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한 신호의 송신이 억제될 수 있다. 즉, 상기 무선 프레임의 개시까지, 상기 공용 대역이 확보된다. 그를 위해,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용의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무선 프레임이 개시하는 타이밍에, 상기 공용 대역에 대한 무선 프레임을 개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공용 대역에 대한 무선 프레임과 상기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무선 프레임을 동기시키면서, 상기 공용 대역을 셀룰러 통신을 위해서 보다 확실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더미 신호는, 예를 들어 셀룰러 시스템의 신호(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 이외의 어느 한쪽의 신호이다. 상기 더미 신호가, 무선 LAN 통신을 행하는 장치에 있어서의 통화중 음(busy tone)으로 된다.
또한, 상기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무선 프레임이 개시될 때까지의 기간은, 환언하면, 상기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0의 서브 프레임이 개시될 때까지의 기간이다.
- NAV의 설정을 위한 무선 프레임의 송신
또한, 전술한 더미 신호의 송신 대신에 통신 제어부(161)는, 상기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무선 프레임이 개시되기 전에,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하여, NAV를 설정하기 위한 지속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해도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기지국(100-2)이다. 또한, 상기 공용 대역은, 셀룰러 시스템(1)에 있어서의 CC여도 되고, 상기 다른 주파수 대역은, 셀룰러 시스템(1)에 있어서의 다른 CC여도 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RTS 프레임 또는 CTS 프레임이어도 되고, 또는 이들과 비슷한 프레임이어도 된다. 통신 제어부(161)는, 다른 CC에 대한 무선 프레임이 개시되기 전에 기지국(100-2)이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상기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기지국(100-2)을 제어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161)는,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고, 무선 통신부(120)에, 다른 CC에 대한 무선 프레임이 개시되기 전에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상기 프레임을 송신시켜도 된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무선 프레임이 개시될 때까지의 기간을 커버하는 NAV를 설정하기 위한 지속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1개의 프레임을 송신해도 된다. 또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2개 이상의 프레임을 다른 타이밍에 송신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 2개 이상의 프레임의 각각이 송신될 때마다, 프레임을 수신하는 장치의 NAV가 갱신되고, 갱신되는 NAV가, 상기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무선 프레임이 개시될 때까지의 기간 전체를 커버해도 된다.
상기 프레임을 송신함으로써, 예를 들어 무선 LAN 통신을 행하는 장치는, NAV를 설정하고, 상기 공용 대역의 사용을 회피한다. 그로 인해, 상기 무선 프레임의 개시까지, 무선 LAN 통신을 행하는 장치에 의한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한 신호의 송신이 억제될 수 있다.
<4.3. 단말 장치의 구성>
다음으로, 도 19를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200-2)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9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200-2)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200-2)는, 안테나부(210), 무선 통신부(220), 기억부(230) 및 처리부(250)를 구비한다.
여기서, 안테나부(210), 무선 통신부(220) 및 기억부(230)에 대한 설명은, 부호의 차이를 제외하고, 제1 실시 형태와 제2 실시 형태의 사이에 차이는 없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처리부(250)만을 설명하고,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
(처리부(250))
처리부(250)는, 단말 장치(200-2)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처리부(250)는, 통신 제어부(251)를 포함한다. 또한, 처리부(250)는, 통신 제어부(251) 이외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제어부(251))
통신 제어부(251)는, 단말 장치(200-1)를 제어한다.
<4.4. 처리의 흐름>
다음으로, 도 20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의 예를 설명한다.
(제1 예)
도 20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의 개략적인 흐름의 제1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당해 처리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가 송신되는 경우의 예이다.
처리부(160)(통신 제어부(161) 또는 다른 구성 요소)는, 무선 통신부(120)에 의한 신호의 수신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었는지를 판정한다(S401).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었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S401: 예), 처리는 스텝 S401로 되돌아간다.
한편,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에(S401: 아니오),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161)는,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지 않은 기간이, SIFS보다도 길고 DIFS보다도 짧은 소정의 기간이 되었는지를 판정한다(S403). 상기 기간이 상기 소정의 기간이 되지 않았다(즉, 상기 소정의 기간 경과 전에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S403: 아니오), 처리는 스텝 S401로 되돌아간다.
상기 기간이 상기 소정의 기간이 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S403: 예), 처리부(160)에 의한 제어에 따라서, 기지국(100-2)은,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고, 및/또는 수신한다(S405). 그리고, 처리는 종료된다.
(제2 예)
도 21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의 개략적인 흐름의 제2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당해 처리는, 도 18(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가 송신되는 경우의 예이다.
처리부(160)(통신 제어부(161) 또는 다른 구성 요소)는, 무선 통신부(120)에 의한 신호의 수신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었는지를 판정한다(S411).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었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S411: 예), 처리는 스텝 S411로 되돌아간다.
한편,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에(S411: 아니오),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161)는,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어 않은 기간이, SIFS보다도 길고 DIFS보다도 짧은 소정의 기간이 되었는지를 판정한다(S413). 상기 기간이 상기 소정의 기간이 되지 않았다(즉, 상기 소정의 기간 경과 전에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S413: 아니오), 처리는 스텝 S411로 되돌아간다.
상기 기간이 상기 소정의 기간이 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S413: 예), 처리부(160)에 의한 제어에 따라서, 기지국(100-2)은 셀룰러 시스템(1)용의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무선 프레임이 개시될 때까지의 기간에 걸쳐서,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더미 신호를 송신한다(S415).
또한, 기지국(100-2)은,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 셀룰러 시스템의 신호를 송신하고, 및/또는 수신한다(S417). 그리고, 처리는 종료된다.
<4.5. 제1 변형예>
(개략)
(a) 공용 대역의 확보를 위한 제1 제어
전술한 제2 실시 형태의 예에서는, 예를 들어 기지국(100-2)이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지 않은 기간이 DIFS가 되기 전에,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기 시작한다.
한편, 제2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서는, 예를 들어 기지국(100-2)은,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지 않은 기간이 DIFS가 되기 전에 단말 장치(200-2)가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기 시작하도록, 단말 장치(200-2)를 제어한다. 그리고, 단말 장치(200-2)가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지 않은 기간이 DIFS가 되기 전에,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기 시작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기지국(100-2)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장치에도, 단말 장치(200-2)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그로 인해, 예를 들어 은폐 터미널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있어서도, 기지국(100-2)(통신 제어부(161))은,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지 않은 기간이 DIFS가 되기 전에,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기 시작해도 된다.
(b) 공용 대역의 확보를 위한 제2 제어
전술한 제2 실시 형태의 예에서는, 예를 들어 기지국(100-2)이, 셀룰러 시스템(1)의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무선 프레임이 개시될 때까지의 기간에 걸쳐서,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더미 신호를 송신한다.
한편, 제2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서는, 예를 들어 기지국(100-2)은, 셀룰러 통신에 사용되는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무선 프레임이 개시될 때까지의 기간에 걸쳐 단말 장치(200-2)가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더미 신호를 송신하도록, 단말 장치(200-2)를 제어한다. 그리고, 단말 장치(200-2)가 셀룰러 시스템(1)의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무선 프레임이 개시될 때까지의 기간에 걸쳐서,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더미 신호를 송신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기지국(100-2)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장치에도, 단말 장치(200-2)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그로 인해, 예를 들어 은폐 터미널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있어서도, 기지국(100-2)(통신 제어부(161))은, 셀룰러 시스템(1)의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무선 프레임이 개시될 때까지의 기간에 걸쳐서,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더미 신호를 송신해도 된다.
(기지국(100-2): 통신 제어부(161))
(a) 공용 대역의 확보를 위한 제1 제어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161)는,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지 않은 기간이 DIFS가 되기 전에, 상기 셀룰러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기 시작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한다. 또한,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161)는,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지 않은 상기 기간이 SIFS보다도 길어진 후에,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기 시작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한다.
제1 변형예에서는, 예를 들어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단말 장치(200-2)이며, 통신 제어부(161)는,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지 않은 기간이 SIFS보다도 길어진 후이며 DIFS가 되기 전에, 단말 장치(200-2)가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기 시작하도록, 단말 장치(200-2)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161)는,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지 않은 기간이 SIFS보다도 길어진 후이며 DIFS가 되기 전에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기 시작하도록, 단말 장치(200-2)에 지시한다. 예를 들어, 이 지시는, RRC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정보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b) 공용 대역의 확보를 위한 제2 제어
-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프레임 개시까지의 신호의 송신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161)는, 셀룰러 통신에 사용되는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무선 프레임이 개시될 때까지의 기간에 걸쳐서, 상기 셀룰러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더미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한다.
제1 변형예에서는, 예를 들어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단말 장치(200-2)이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공용 대역은, 셀룰러 시스템(1)에 있어서의 CC이며, 상기 다른 주파수 대역은, 셀룰러 시스템(1)에 있어서의 다른 CC이다. 통신 제어부(161)는, 다른 CC에 대한 무선 프레임이 개시될 때까지의 기간에 걸쳐서, 단말 장치(200-2)가 공용 대역(CC)을 사용해서 더미 신호를 송신하도록, 단말 장치(200-2)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161)는, 다른 CC에 대한 무선 프레임이 개시될 때까지의 기간에 걸쳐 공용 대역(CC)을 사용해서 더미 신호를 송신하도록, 단말 장치(200-2)에 지시한다. 예를 들어, 이 지시는, RRC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정보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 NAV의 설정을 위한 무선 프레임의 송신
전술한 바와 같이, 전술한 더미 신호의 송신 대신에, 통신 제어부(161)는, 상기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무선 프레임이 개시되기 전에,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하여, NAV를 설정하기 위한 지속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해도 된다.
제1 변형예에서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단말 장치(200-2)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공용 대역은, 셀룰러 시스템(1)에 있어서의 CC이어도 되고, 상기 다른 주파수 대역은, 셀룰러 시스템(1)에 있어서의 다른 CC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RTS 프레임 또는 CTS 프레임이어도 되고, 혹은 이들과 비슷한 프레임이어도 된다. 통신 제어부(161)는, 다른 CC에 대한 무선 프레임이 개시되기 전에 단말 장치(200-2)가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상기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단말 장치(200-2)를 제어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161)는, 다른 CC에 대한 무선 프레임이 개시되기 전에 상기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단말 장치(200-2)에 지시해도 된다. 예를 들어, 이 지시는, RRC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정보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이상, 제2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따른 기지국(100-2)을 설명하였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서는,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기지국(100-2) 및 단말 장치(200-2)이어도 되고, 전술한 제2 실시 형태의 예와 마찬가지로, 기지국(100-2)도 신호를 송신해도 된다.
(단말 장치(200-2): 통신 제어부(251))
(a) 공용 대역의 확보를 위한 제1 제어
제2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서는,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251)는,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지 않은 기간이 DIFS가 되기 전에, 단말 장치(200-2)가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기 시작하도록, 단말 장치(200-2)를 제어한다.
또한,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251)는,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지 않은 상기 기간이 SIFS보다도 길어진 후에, 단말 장치(200-2)가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기 시작하도록, 단말 장치(200-2)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251)는, 기지국(100-2)에 의한 지시에 따라서, 단말 장치(200-2)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처리부(250)(통신 제어부(251) 또는 다른 구성 요소)는, 무선 통신부(220)에 의한 신호의 수신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또한, 처리부(250)(통신 제어부(251) 또는 다른 구성 요소)는,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지 않은 기간을 계측한다. 그리고, 통신 제어부(251)는,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지 않은 기간이 SIFS보다도 길어진 후이며 DIFS가 되기 전에, 무선 통신부(220)에,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시킨다. 일례로서, 상기 기간이, SIFS보다도 길고 DIFS보다도 짧은 소정의 기간이 되면,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된다. 제2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서도,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200-2)가 신호를 송신한다.
(b) 공용 대역의 확보를 위한 제2 제어
-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프레임 개시까지의 신호의 송신
제2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서는,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251)는, 셀룰러 통신에 사용되는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무선 프레임이 개시될 때까지의 기간에 걸쳐서, 단말 장치(200-2)가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더미 신호를 송신하도록, 단말 장치(200-2)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251)는, 기지국(100-2)에 의한 지시에 따라서, 단말 장치(200-2)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251)는, SIFS의 경과 후 DIFS의 경과 전의 타이밍으로부터, 다른 CC에 대한 무선 프레임이 개시될 때까지의 기간에 걸쳐서, 무선 통신부(220)에 더미 신호를 송신시킨다. 제2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서도, 예를 들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200-2)가 신호를 송신한다.
- NAV의 설정을 위한 무선 프레임의 송신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서는, 전술한 더미 신호의 송신 대신에, 통신 제어부(251)는, 상기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무선 프레임이 개시되기 전에, 단말 장치(200-2)가,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하여, NAV를 설정하기 위한 지속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단말 장치(200-2)를 제어해도 된다.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251)는, 기지국(100-2)에 의한 지시에 따라서, 단말 장치(200-2)를 제어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251)는, 상기 프레임을 생성하고, 다른 CC에 대한 무선 프레임이 개시되기 전에 상기 프레임을 무선 통신부(220)에 송신시켜도 된다.
(처리의 흐름)
제2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따른 단말 장치(200-2)의 처리의 예는, 주체(기지국(100-2) 및 단말 장치(200-2))에 관한 상이를 제외하고, 도 20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 기지국(100-2)의 처리의 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
<4.6. 제2 변형예>
(개략)
제2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와 마찬가지로, 제2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서도,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2)가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지 않은 기간이 DIFS가 되기 전에,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기 시작한다. 또한,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2)가 셀룰러 통신에 사용되는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무선 프레임이 개시될 때까지의 기간에 걸쳐서,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더미 신호를 송신한다.
특히, 제2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서는, 단말 장치(200-2)는, 기지국(100-2)에 의한 제어(기지국(100-2)에 의한 지시)에 따라서가 아니라, 자주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셀룰러 시스템(1)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 간의 무선 통신(예를 들어, 셀룰러 시스템에 있어서의 D2D 통신 또는 LN 내의 무선 통신)을 위해서 상기 공용 대역을 보다 확실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말 장치(200-2): 통신 제어부(251))
제2 변형예에 따른 통신 제어부(251)의 설명은, 기지국(100-2)의 관여에 관한 상이를 제외하고, 제1 변형예에 따른 통신 제어부(251)의 설명과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
또한, 제2 변형예에 따른 통신 제어부(251)는, 기지국(100-2)에 의한 지시에 따라서가 아니라, 자주적으로(예를 들어,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셀룰러 시스템(1)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 간에서의 무선 통신을 행할지 여부의 판단에 따라서), 단말 장치(200-2)를 제어한다.
(처리의 흐름)
제2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따른 단말 장치(200-2)의 처리의 예는, 주체(기지국(100-2) 및 단말 장치(200-2))에 관한 상이를 제외하고, 도 20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 기지국(100-2)의 처리의 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
<4.7. 제2 실시 형태와 제1 실시 형태의 조합>
제2 실시 형태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조합되어 된다. 예를 들어,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동작이,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에 적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1)의 통신 제어부(151)는, 기지국(100-2)의 통신 제어부(161)의 동작을 더 행해도 되고, 단말 장치(200-1)의 통신 제어부(241)는, 단말 장치(200-2)의 통신 제어부(251)의 동작을 더 행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기간에 걸쳐 공용 대역을 셀룰러 통신을 위해서 점유할 때,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방법이 이용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어, 기지국(100) 또는 단말 장치(200))가, 제1 기간에 걸쳐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할 때, 당해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지 않은 기간이 DIFS가 되기 전에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기 시작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어, 기지국(100) 또는 단말 장치(200))가, 제1 기간에 걸쳐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할 때, 다른 주파수 대역의 무선 프레임이 개시될 때까지의 기간에 걸쳐서,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더미 신호를 송신해도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보다 확실하게 공용 대역이 확보될 수 있다.
<<5. 제3 실시 형태>>
계속해서, 도 22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5.1. 개략>
우선, 제3 실시 형태의 개략을 설명한다.
-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과제
예를 들어, 무선 LAN 통신을 행하는 장치는, 주파수 대역(채널)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지 않은 기간이 DIFS 및 백 오프 시간의 합에 도달하면, 당해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예를 들어, RTS 프레임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당해 DIFS는, 예를 들어 LTE의 심볼(OFDM 심볼 또는 SC-FDMA 심볼)보다도 짧다.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과 무선 LAN 통신의 사이에서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무선 LAN의 채널)이 공용된다. 이 경우에, 예를 들어 상기 주파수 대역이 셀룰러 통신에 사용되고 있는 동안이라도, 어느 한쪽의 심볼에서는,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셀룰러 시스템의 어느 한쪽의 신호도 송신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그로 인해, 무선 LAN 통신을 행하는 장치는, 상기 주파수 대역이 셀룰러 통신에 사용되고 있는 동안이라도,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예를 들어, RTS 프레임의 신호)를 송신할 가능성이 있다. 그로 인해, 상기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셀룰러 통신과 무선 LAN 통신의 사이에서의 간섭이 발생하여, 상기 셀룰러 통신 및/또는 상기 다른 무선 통신의 통신 품질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셀룰러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셀룰러 시스템에 있어서 보다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셀룰러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예를 들어, 무선 LAN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이 셀룰러 통신에 사용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주파수 대역이 상기 다른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제3 실시 형태의 특징
제3 실시 형태에 의하면, 어느 한쪽의 시간에도, 셀룰러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셀룰러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즉,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제어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예를 들어, 무선 LAN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이 셀룰러 통신에 사용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주파수 대역이 상기 다른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5.2. 기지국의 구성>
다음으로, 도 22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100-3)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22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100-3)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기지국(100-3)은, 안테나부(110), 무선 통신부(120), 네트워크 통신부(130), 기억부(140) 및 처리부(170)를 구비한다.
여기서, 안테나부(110), 무선 통신부(120), 네트워크 통신부(130) 및 기억부(140)에 대한 설명은, 부호의 차이를 제외하고, 제1 실시 형태와 제3 실시 형태의 사이에 차이는 없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처리부(170)만을 설명하고,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
(처리부(170))
처리부(170)는, 기지국(100-3)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처리부(170)는, 통신 제어부(171)를 포함한다. 또한, 처리부(170)는, 통신 제어부(171) 이외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제어부(171))
통신 제어부(171)는, 어느 한쪽의 시간에도, 셀룰러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한다. 상기 공용 대역은, 셀룰러 시스템(1)의 무선 통신(즉, 셀룰러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이다.
(a) 다른 무선 통신
예를 들어, 상기 다른 무선 통신은, 무선 LAN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즉, 무선 LAN 통신)이다. 이 경우에, 상기 공용 대역은, 셀룰러 통신과 무선 LAN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된다. 상기 공용 대역은, 예를 들어 무선 LAN의 채널이다.
(b) 시간의 단위
통신 제어부(171)는, 각 심볼에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한다. 상기 심볼은, 예를 들어 OFDM 심볼 또는 SC-FDMA 심볼이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무신호의 시간을 없애는 것이 가능해진다.
(c) 무선 통신 장치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기지국(100-3) 및 단말 장치(200-3) 중 적어도 한쪽이다.
- FDD의 케이스
-- 다운링크 대역
제1 예로서, 셀룰러 시스템(1)에 있어서 FDD가 채용되고, 상기 공용 대역은, 셀룰러 시스템(1)에 있어서 다운링크 대역으로서 사용된다. 이 경우에,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기지국(100-3)이다. 즉, 통신 제어부(171)는, 기지국(100-3)이 어느 한쪽의 시간에도 공용 대역(다운링크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기지국(100-3)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171)는, 각 심볼에 있어서의 상기 공용 대역 내의 1개 이상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신호를 매핑한다. 이에 의해, 기지국(100-3)은 각 심볼에서,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한다.
-- 업링크 대역
제2 예로서, 셀룰러 시스템(1)에 있어서 FDD가 채용되고, 상기 공용 대역은, 셀룰러 시스템(1)에 있어서 업링크 대역으로서 사용된다. 이 경우에,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단말 장치(200-3)이다. 즉, 통신 제어부(171)는 기지국(100-3)이 어느 한쪽의 시간에도 상기 공용 대역(업링크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단말 장치(200-3)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171)는 업링크에 대하여, 어느 한쪽의 시간에도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단말 장치(200-3)에 지시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3)가, 어느 한쪽의 시간에도(각 심볼에서)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이 지시는, RRC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정보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 TDD의 케이스
제3 예로서, 셀룰러 시스템(1)에 있어서 TDD가 채용되고, 상기 공용 대역은, 셀룰러 시스템(1)에 있어서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대역으로서 사용된다. 이 경우에, 예를 들어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기지국(100-3) 및 단말 장치(200-3)이다.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171)는, 기지국(100-3)이 어느 한쪽의 다운링크 시간에도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기지국(100-3)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171)는,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에 대하여, 각 심볼에 있어서의 상기 공용 대역 내의 1개 이상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신호를 매핑한다. 이에 의해, 기지국(100-3)은, 다운링크 서브 프레임 내의 각 심볼에서,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171)는, 단말 장치(200-3)가 어느 한쪽의 업링크 시간에도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단말 장치(200-3)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171)는 업링크에 대하여, 어느 한쪽의 시간에도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단말 장치(200-3)에 지시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3)가, 어느 한쪽의 업링크 시간에도(업링크 서브 프레임 내의 각 심볼에서)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이 지시는, RRC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정보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d) 송신 전력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171)는, 어느 한쪽의 시간에도,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송신되는 신호의 송신 전력이 소정의 송신 전력 이상이 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기지국(100-3)이며, 통신 제어부(171)는 다운링크에 대하여, 어느 한쪽의 시간에도,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송신되는 신호의 송신 전력이 소정의 송신 전력 이상이 되도록, 기지국(100-3)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171)는, 각 심볼에서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송신되는 신호에 상기 소정의 송신 전력 이상의 전력을 할당한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단말 장치(200-3)이며, 통신 제어부(171)는, 업링크에 대하여, 어느 한쪽의 시간에도,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송신되는 신호의 송신 전력이 소정의 송신 전력 이상이 되도록, 단말 장치(200-3)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171)는,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송신되는 신호의 송신 전력을, 단말 장치(200-3)에 지시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다른 무선 통신(예를 들어, 무선 LAN 통신)을 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의 수신 전력이 원하는 전력에 도달할 수 있다. 그 결과, 당해 장치가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한 신호의 송신을 보다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e) 신호의 송신 방법
- 더미 신호의 송신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171)는 적어도,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셀룰러 시스템(1)의 데이터 신호 및 제어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심볼에서, 기지국(100-3)이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더미 신호를 송신하도록, 기지국(100-3)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다운링크의 각 심볼에서 확실하게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더미 신호는, 예를 들어 셀룰러 시스템의 신호(제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 이외의 어느 한쪽의 신호이다. 상기 더미 신호가, 무선 LAN 통신을 행하는 장치에 있어서의 통화중 음으로 된다.
- 일부의 무선 리소스에서의 더미 신호의 송신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171)는 적어도 상기 심볼에서, 상기 공용 대역에 걸쳐 주파수 방향으로 배열하는 무선 리소스 중 일부의 무선 리소스 중에서 기지국(100-3)이 상기 더미 신호를 송신하도록, 기지국(100-3)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171)는 적어도, 데이터 신호 및 제어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심볼에 대하여, 상기 공용 대역 내의 1개 이상의 리소스 엘리먼트(RE)에 더미 신호를 매핑한다.
-- 일부의 리소스 블록 중에서의 송신
예를 들어, 상기 일부의 무선 리소스는, 상기 공용 대역에 걸쳐 주파수 방향으로 배열하는 리소스 블록(Resource Block: RB) 중의 일부 리소스 블록이다. 즉, 기지국(100-3)은, 상기 공용 대역에 걸쳐 주파수 방향으로 배열하는 RB 중 일부의 RB 중에서 더미 신호를 송신한다. 이하, 이 점에 대하여,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여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23은, 더미 신호가 송신되는 일부의 리소스 블록(RB)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공용 대역(71) 및 복수의 슬롯에 걸쳐 배열하는 RB가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각 슬롯 내에서 공용 대역(71)에 걸쳐 주파수 방향으로 배열하는 RB 중 1개의 특정한 RB 중에서, 더미 신호가 송신된다. 또한, 그 밖의 RB에서는, 더미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다.
도 24는, 더미 신호가 송신되는 리소스 엘리먼트(RE)의 제1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도 23에 있어서 도시된) 더미 신호가 송신되는 일부의 RB 중 1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RB에 포함되는 RE 중,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용 RE를 제외한 모든 RE 중에서, 더미 신호가 송신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더미 신호가 송신되지 않은 RB를 할당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예를 들어 후방 호환성이 보다 용이하게 담보될 수 있다.
또한, 도 23의 예에서는, 1개의 RB 중에서만 더미 신호가 송신되지만, 당연히, 2개 이상의 RB 중에서 더미 신호가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도 23의 예에서는, 더미 신호가 송신되는 RB의 대역은 슬롯 간에서 공통이지만, 당연히, 더미 신호가 송신되는 RB의 대역은 슬롯 간에서 상이해도 된다.
또한, 도 24의 예에서는, RB 중, CRS 용의 RE를 제외한 모든 RE 중에서, 더미 신호가 송신되지만, 당연히, RB 중 일부의 RE 중에서, 더미 신호가 송신되어도 된다. 일례로서, RB의 12개의 서브 캐리어 중 1개 이상의 서브 캐리어에 있어서, 더미 신호가 송신되지 않아도 된다. 다른 예로서, RB의 7개의 심볼 중, 다른 신호가 송신되는 1개 이상의 심볼에서, 더미 신호가 송신되지 않아도 된다. 구체예로서, PDCCH 및 PCFICH 등의 제어 채널의 신호가 송신되는 1개 이상의 심볼(즉, 서브 프레임의 제1 슬롯 중 1번째부터 3번째의 OFDM 심볼)에서는, 더미 신호가 송신되지 않아도 된다. 또한, 다른 구체예로서, 데이터 신호가 송신되는 1개 이상의 심볼에서는, 더미 신호가 송신되지 않아도 된다.
-- 각 리소스 블록 중에서의 송신
또한, 상기 일부의 무선 리소스는, 상기 공용 대역에 걸쳐 주파수 방향으로 배열하는 각 리소스 블록에 포함되는 일부의 리소스 엘리먼트이어도 된다. 즉, 기지국(100-3)은, 상기 공용 대역에 걸쳐 주파수 방향으로 배열하는 각 RB에 포함되는 일부의 리소스 엘리먼트에서 더미 신호를 송신해도 된다. 이하, 이 점에 대하여, 도 25를 참조하여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25는, 더미 신호가 송신되는 리소스 엘리먼트(RE)의 제2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각 RB 중에서 더미 신호가 송신되는 경우의 RB가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각 심볼 내에서 RB에 걸쳐 주파수 방향으로 배열하는 12개의 RE 중 특정한 1개 또는 2개의 RE 중에서, 더미 신호가 송신된다. 또한, 그 밖의 RE에서는, 더미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다.
또한, 도 25의 예에서는, 2개의 서브 캐리어의 RE 중에서만 더미 신호가 송신되지만, 당연히, 1개의 서브 캐리어의 RE 중에서 더미 신호가 송신되어도 되고, 3개 이상의 서브 캐리어의 RE 중에서 더미 신호가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도 25의 예에서는, 더미 신호가 송신되는 RE의 서브 캐리어는 심볼간에서 공통이지만, 당연히, 더미 신호가 송신되는 RE의 서브 캐리어는 심볼 간에서 상이해도 된다. 또한, RB의 7개의 심볼 중, 다른 신호가 송신되는 1개 이상의 심볼에서, 더미 신호가 송신되지 않아도 된다. 구체예로서, PDCCH 및 PCFICH 등의 제어 채널의 신호가 송신되는 1개 이상의 심볼(즉, 서브 프레임의 제1 슬롯 중 1번째부터 3번째의 OFDM 심볼)에서는, 더미 신호가 송신되지 않아도 된다. 별도의 구체예로서, 데이터 신호가 송신되는 1개 이상의 심볼에서는, 더미 신호가 송신되지 않아도 된다.
(f) 복수의 단말 장치에 의한 신호의 송신
- 복수의 단말 장치에의 지시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171)는, 업링크에 대하여, 어느 한쪽의 시간에도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복수의 단말 장치(200-3)의 각각에 지시한다. 예를 들어, 이 지시는, RRC 시그널링 또는 시스템 정보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복수의 단말 장치(200-3)가 신호를 송신하므로, 더 넓은 영역에 신호가 도달한다. 그로 인해, 다른 무선 통신(예를 들어, 무선 LAN 통신)을 행하는 장치에 의한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한 신호의 송신이, 보다 확실하게 억제될 수 있다.
- 더미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리소스
또한,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171)는, 업링크에 대하여, 적어도,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셀룰러 시스템(1)의 데이터 신호 및 제어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심볼에서, 상기 공용 대역에 걸쳐 주파수 방향으로 배열하는 무선 리소스 중 일부의 무선 리소스 중에서 상기 더미 신호를 송신하도록, 복수의 단말 장치에 지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171)는, 더미 신호의 송신을 복수의 단말 장치에 지시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171)는, 이 지시 시에, 더미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리소스를 지정한다.
-- 공통의 무선 리소스
상기 일부의 무선 리소스는, 복수의 단말 장치(200-3)의 사이에서 공통이다. 즉, 통신 제어부(171)는 업링크에 대하여, 적어도 상기 심볼에서,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200-3) 사이에서 공통의 무선 리소스 중에서 상기 더미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200-3)에 지시한다.
이하, 도 26을 참조하여, 당해 무선 리소스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26은, 복수의 단말 장치(200-3)에 의해 더미 신호가 송신되는 무선 리소스의 제1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공용 대역(71) 및 복수의 슬롯에 걸쳐 배열하는 RB가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복수의 단말 장치(200-3)는, 각 슬롯 내에서 공용 대역(71)에 걸쳐 주파수 방향으로 배열하는 RB 중 동일한 RB 중에서, 더미 신호를 송신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셀룰러 시스템(1)에 있어서, 더미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보다 많은 RB를 할당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 각각의 무선 리소스
또한, 상기 일부의 무선 리소스는, 복수의 단말 장치(200-3)의 적어도 2개의 사이에서 서로 달라도 된다. 즉, 통신 제어부(171)는 업링크에 대하여, 적어도 상기 심볼에서, 다른 무선 리소스 중에서 상기 더미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복수의 단말 장치(200-3) 중 적어도 2개에 지시해도 된다. 이하, 도 27을 참조하여, 당해 무선 리소스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27은, 복수의 단말 장치(200-3)에 의해 더미 신호가 송신되는 무선 리소스의 제2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공용 대역(71) 및 복수의 슬롯에 걸쳐 배열하는 RB가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제1 내지 제3 단말 장치(200-3)는, 각 슬롯 내에서 공용 대역(71)에 걸쳐 주파수 방향으로 배열하는 RB 중 다른 RB 중에서, 더미 신호를 송신한다.
이상과 같이, 통신 제어부(171)는 어느 한쪽의 시간에도, 셀룰러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예를 들어, 무선 LAN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즉, 공용 대역)이 셀룰러 통신에 사용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주파수 대역이 상기 다른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방법에 의하면, 예를 들어 NAV를 설정할 수 없는 무선 LAN 통신 장치가 상기 주파수 대역(즉, 공용 대역)을 사용하는 것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5.3. 단말 장치의 구성>
다음으로, 도 28을 참조하여,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200-3)의 구성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28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200-3)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단말 장치(200-3)는 안테나부(210), 무선 통신부(220), 기억부(230) 및 처리부(260)를 구비한다.
여기서, 안테나부(210), 무선 통신부(220) 및 기억부(230)에 대한 설명은, 부호의 차이를 제외하고, 제1 실시 형태와 제3 실시 형태와의 사이에 차이는 없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처리부(260)만을 설명하고,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
(처리부(260))
처리부(260)는, 단말 장치(200-3)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처리부(260)는 통신 제어부(261)를 포함한다. 또한, 처리부(260)는, 통신 제어부(261) 이외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제어부(261))
통신 제어부(261)는, 업링크에 대하여, 어느 한쪽의 시간에도 단말 장치(200-3)가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단말 장치(200-3)를 제어한다. 상기 공용 대역은, 셀룰러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이다.
또한, 상기 주파수 대역은, 예를 들어 FDD가 채용되는 경우의 업링크 대역이며 또는 TDD가 채용되는 경우의 다운링크 및 업링크의 대역이다.
(a) 다른 무선 통신, 시간의 단위
예를 들어, 상기 다른 무선 통신은, 무선 LAN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즉, 무선 LAN 통신)이다.
또한,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261)는, 각 심볼에서, 단말 장치(200-3)가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단말 장치(200-3)를 제어한다. 상기 심볼은, 예를 들어 SC-FDMA 심볼이다.
(b) 제어의 트리거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261)는, 기지국(100-3)에 의한 지시에 따라서, 어느 시간에도 단말 장치(200-3)가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단말 장치(200-3)를 제어한다.
(c) 송신 전력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261)는, 어느 한쪽의 시간에도,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송신되는 신호의 송신 전력이 소정의 송신 전력 이상이 되도록, 단말 장치(200-3)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261)는, 각 심볼에서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송신되는 신호에 상기 소정의 송신 전력 이상의 전력을 할당한다. 또한, 예를 들어 당해 소정의 송신 전력은, 기지국(100-3)에 의해 지시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다른 무선 통신(예를 들어, 무선 LAN 통신)을 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의 수신 전력이 원하는 전력에 도달할 수 있다. 그 결과, 당해 장치가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한 신호의 송신을 보다 확실하게 회피할 수 있다.
(d) 신호의 송신 방법
- 더미 신호의 송신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261)는, 적어도,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셀룰러 시스템(1)의 데이터 신호 및 제어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심볼에서, 단말 장치(200-3)가 상기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더미 신호를 송신하도록, 단말 장치(200-3)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업링크의 각 심볼에서 확실하게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단말 장치(200-3)에 의한 더미 신호의 송신의 구체적인 방법의 설명은, 링크 방향(다운링크 및 업링크)에 관한 상이를 제외하고, 전술한, 기지국(100-3)에 의한 더미 신호의 송신의 구체적인 방법의 설명과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통신 제어부(261)는, 어느 한쪽의 시간에도 단말 장치(200-3)가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단말 장치(200-3)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예를 들어, 무선 LAN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즉, 공용 대역)이 업링크 통신에 사용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주파수 대역이 상기 다른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5.4. 처리의 흐름>
다음으로,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여,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처리의 예를 설명한다.
(기지국에 의한 처리)
도 29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100-3)에 의한 처리의 개략적인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통신 제어부(171)는, 대상의 심볼을 선택한다(S501).
그리고, 통신 제어부(171)는 대상의 심볼에 대하여, 공용 대역에 걸쳐 주파수 방향으로 배열하는 무선 리소스 중 일부의 무선 리소스에, 더미 신호를 매핑한다(S503).
공용 대역을 사용한 셀룰러 통신이 종료된 경우에는(S505: 예), 처리는 종료된다. 그렇지 않으면(S505: 아니오), 통신 제어부(171)는, 다음의 심볼을 대상 심볼로서 선택한다(S501).
(단말 장치에 의한 처리)
도 30은,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200-3)에 의한 처리의 개략적인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당해 처리는, 기지국(100-3)에 의한 지시에 따라서 단말 장치(200-3)에 의해 실행된다.
통신 제어부(261)는, 대상의 심볼을 선택한다(S511).
그리고, 통신 제어부(261)는 대상의 심볼에 대하여, 공용 대역에 걸쳐 주파수 방향으로 배열하는 무선 리소스 중 일부의 무선 리소스에, 더미 신호를 매핑한다(S513).
공용 대역을 사용한 셀룰러 통신이 종료된 경우에는(S515: 예), 처리는 종료된다. 그렇지 않으면(S515: 아니오), 통신 제어부(261)는, 다음의 심볼을 대상 심볼로서 선택한다(S511).
<5.5. 변형예>
(개략)
전술한 제3 실시 형태의 예에서는, 예를 들어 기지국(100-3)은, 업링크에 대하여, 어느 한쪽의 시간에도(예를 들어, 각 심볼에서)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단말 장치(200-3)에 지시한다. 또한,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3)는, 기지국(100-3)에 의한 지시에 따라서, 어느 한쪽의 시간에도(예를 들어, 각 심볼에서)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한다.
한편,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서는, 단말 장치(200-3)는, 기지국(100-3)에 의한 지시에 따라서가 아니라, 자주적으로, 어느 쪽의 시간에도(예를 들어, 각 심볼에서)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즉, 공용 대역)이 셀룰러 시스템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 간의 무선 통신(예를 들어, D2D 통신 또는 LN내의 무선 통신)에 사용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주파수 대역이 상기 다른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단말 장치(200-3): 통신 제어부(261))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서는, 통신 제어부(261)는, 어느 한쪽의 시간에도 단말 장치(200-3)가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단말 장치(200-3)를 제어한다.
이 점에 대한 통신 제어부(261)의 설명은, 기지국의 관여 및 링크 방향에 관한 상이를 제외하고, 전술한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통신 제어부(261)의 설명과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
또한, 전술한 제3 실시 형태의 예에서는,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261)는 기지국(100-3)에 의한 지시에 따라서, 어느 한쪽의 시간에도 단말 장치(200-3)가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단말 장치(200-3)를 제어한다. 한편,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서는, 통신 제어부(261)는 자주적으로, (예를 들어, 공용 대역이 셀룰러 통신에 사용되는 기간에 있어서) 어느 한쪽의 시간에도 단말 장치(200-3)가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단말 장치(200-3)를 제어한다.
또한, 전술한 제3 실시 형태의 예에서는,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261)는 업링크에 대하여, 어느 한쪽의 시간에도 단말 장치(200-3)가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단말 장치(200-3)를 제어한다. 한편,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서는, 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261)는 셀룰러 시스템(1)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 간의 무선 통신 시에, 어느 한쪽의 시간에도 단말 장치(200-3)가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단말 장치(200-3)를 제어한다.
(처리의 흐름)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단말 장치(200-3)의 처리의 예는, 도 30을 참조하여 설명한 단말 장치(200-3)의 처리의 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중복되는 기재를 생략한다.
<5.6. 제3 실시 형태와 제1 실시 형태/제2 실시 형태와의 조합>
(제3 실시 형태와 제1 실시 형태의 조합)
제3 실시 형태는,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조합되어 된다. 예를 들어,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동작이,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에 적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1)의 통신 제어부(151)는, 기지국(100-3)의 통신 제어부(171)의 동작을 더 행해도 되고, 단말 장치(200-1)의 통신 제어부(241)는, 단말 장치(200-3)의 통신 제어부(261)의 동작을 더 행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기간에 걸쳐 공용 대역을 셀룰러 통신을 위해서 점유할 때,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방법이 이용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어, 기지국(100) 또는 단말 장치(200))가 제1 기간에 걸쳐서, 어느 한쪽의 시간에도(예를 들어, 각 심볼에서)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해도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제1 기간에 걸쳐 다른 무선 통신(예를 들어, 무선 LAN 통신)을 위한 공용 대역의 사용이 방지된다. 따라서, 공용 대역이 셀룰러 통신을 위해서 보다 확실하게 점유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와 제2 실시 형태의 조합)
제3 실시 형태는, 전술한 제2 실시 형태와 조합할 수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동작이, 전술한 제2 실시 형태에 적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2)의 통신 제어부(161)는, 기지국(100-3)의 통신 제어부(171)의 동작을 더 행해도 되고, 단말 장치(200-2)의 통신 제어부(251)는 단말 장치(200-3)의 통신 제어부(261)의 동작을 더 행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할 때,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방법이 이용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예를 들어, 기지국(100) 또는 단말 장치(200))가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지 않은 기간이 DIFS가 되기 전에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기 시작하고, 그 후, (어느 한쪽의 기간에 걸쳐) 어느 한쪽의 시간에도(예를 들어, 각 심볼에서)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해도 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공용 대역을 셀룰러 통신을 위해서 보다 확실하게 확보하고, 그 후, 당해 공용 대역 셀룰러 통신에 계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당연히,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가 모두 조합되어도 된다.
<<6. 응용예>>
본 개시에 따른 기술은, 다양한 제품에 응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매크로 eNB 또는 스몰 eNB 등의 어느 한 종류의 eNB(evolved Node B)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스몰 eNB는, 피코 eNB, 마이크로 eNB 또는 홈(펨토) eNB 등의, 매크로 셀보다도 작은 셀을 커버하는 eNB이어도 된다. 그 대신에, 기지국(100)은, NodeB 또는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등의 다른 종류의 기지국으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기지국(100)은, 무선 통신을 제어하는 본체(기지국 장치라고도 함)와, 본체와는 다른 장소에 배치되는 1개 이상의 RRH(Remote Radio Head)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후술하는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가 일시적으로 또는 반영속적으로 기지국 기능을 실행함으로써, 기지국(100)으로서 동작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단말 장치(2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PC, 휴대형 게임 단말기, 휴대형/동글형 모바일 라우터 또는 디지털 카메라 등의 모바일 단말기, 또는 카 내비게이션 장치 등의 차량 탑재 단말기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200)는 M2M(Machine To Machine) 통신을 행하는 단말기(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단말기라고도 함)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200)의 적어도 일부의 구성 요소는, 이들 단말기에 탑재되는 모듈(예를 들어, 1개의 다이로 구성되는 집적 회로 모듈)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6.1. 기지국에 관한 응용예>
(제1 응용예)
도 31은, 본 개시에 따른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eNB의 개략적인 구성의 제1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eNB(800)는, 1개 이상의 안테나(810) 및 기지국 장치(820)를 갖는다. 각 안테나(810) 및 기지국 장치(820)는, RF 케이블을 통해서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안테나(810)의 각각은, 단일의 또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예를 들어, MIMO 안테나를 구성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갖고, 기지국 장치(820)에 의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위해서 사용된다. eNB(800)는,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810)를 갖고, 복수의 안테나(810)는 예를 들어 eNB(800)가 사용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각각 대응해도 된다. 또한, 도 31에는 eNB(800)가 복수의 안테나(810)를 갖는 예를 나타냈지만, eNB(800)는 단일의 안테나(810)를 가져도 된다.
기지국 장치(820)는, 컨트롤러(821), 메모리(82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 및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를 구비한다.
컨트롤러(821)는, 예를 들어 CPU 또는 DSP여도 되며, 기지국 장치(820)의 상위 레이어의 다양한 기능을 동작시킨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821)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에 의해 처리된 신호 내의 데이터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한 패킷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를 통해 전송한다. 컨트롤러(821)는, 복수의 기저 대역 프로세서로부터의 데이터를 번들링함으로써 번들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번들 패킷을 전송해도 된다. 또한, 컨트롤러(821)는, 무선 리소스 관리(Radio Resource Control), 무선 베어러 제어(Radio Bearer Control),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유입 제어(Admission Control) 또는 스케줄링(Scheduling) 등의 제어를 실행하는 논리적인 기능을 가져도 된다. 또한, 당해 제어는, 주변의 eNB 또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와 제휴해서 실행되어도 된다. 메모리(822)는 RAM 및 ROM을 포함하고, 컨트롤러(82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다양한 제어 데이터(예를 들어, 단말기 리스트, 송신 전력 데이터 및 스케줄링 데이터 등)를 기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는, 기지국 장치(820)를 코어 네트워크(824)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컨트롤러(821)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를 통하여, 코어 네트워크 노드 또는 다른 eNB와 통신해도 된다. 그 경우에, eNB(800)와, 코어 네트워크 노드 또는 다른 eNB는, 논리적인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S1 인터페이스 또는 X2 인터페이스)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도 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는,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이어도 되고, 또는 무선 백홀을 위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이어도 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인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보다도 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을 무선 통신에 사용해도 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는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LTE-Advanced 등의 어느 한쪽의 셀룰러 통신 방식을 서포트하고, 안테나(810)를 통해 eNB(800)의 셀 내에 위치하는 단말기에 무선 접속을 제공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는 전형적으로는, 기저 대역(BB) 프로세서(826) 및 RF 회로(82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826)는, 예를 들어 부호화/복호, 변조/복조 및 다중화/역다중화 등을 행해도 되고, 각 레이어(예를 들어, L1, MAC(Medium Access Control), RLC(Radio Link Control) 및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의 다양한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BB 프로세서(826)는 컨트롤러(821) 대신에 전술한 논리적인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가져도 된다. BB 프로세서(826)는, 통신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메모리,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 및 관련된 회로를 포함하는 모듈이어도 되고, BB 프로세서(826)의 기능은, 상기 프로그램의 업데이트에 의해 변경 가능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모듈은, 기지국 장치(820)의 슬롯에 삽입되는 카드 또는 블레이드이어도 되고, 또는 상기 카드 혹은 상기 블레이드에 탑재되는 칩이어도 된다. 한편, RF 회로(827)는 믹서, 필터 및 증폭기 등을 포함해도 되고, 안테나(810)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는,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BB 프로세서(826)를 포함하고, 복수의 BB 프로세서(826)는 예를 들어 eNB(800)가 사용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각각 대응해도 된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는,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RF 회로(827)를 포함하고, 복수의 RF 회로(827)는, 예를 들어 복수의 안테나 소자에 각각 대응해도 된다. 또한, 도 31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가 복수의 BB 프로세서(826) 및 복수의 RF 회로(827)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는 단일의 BB 프로세서(826) 또는 단일의 RF 회로(827)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는, 셀룰러 통신 방식에 추가하여, 무선 LAN 통신 방식을 서포트해도 되고, 그 경우에, 무선 LAN 통신 방식의 BB 프로세서(826) 및 RF 회로(827)를 포함해도 된다.
도 31에 도시한 eNB(800)에 있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통신 제어부(151)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예를 들어, BB 프로세서(826))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는, 통신 제어부(151)의 적어도 일부는, 컨트롤러(821)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일례로서, eNB(80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의 일부(예를 들어, BB 프로세서(826)) 혹은 전부, 및/또한 컨트롤러(821)를 포함하는 모듈을 탑재하고, 당해 모듈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51)가 실장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상기 모듈은, 프로세서를 통신 제어부(151)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환언하면, 프로세서에 통신 제어부(151)의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를 통신 제어부(151)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eNB(800)에 인스톨되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예를 들어, BB 프로세서(826)) 및/또한 컨트롤러(821)가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통신 제어부(151)를 구비하는 장치로서 eNB(800), 기지국 장치(820) 또는 상기 모듈이 제공되어도 되고, 프로세서를 통신 제어부(151)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기억한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가 제공되어도 된다. 이들 점에 대해서는,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통신 제어부(161), 및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 통신 제어부(171)도, 통신 제어부(151)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31에 도시한 eNB(800)에 있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 통신부(12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25)(예를 들어, RF 회로(827))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안테나부(110)는, 안테나(810)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네트워크 통신부(130)는, 컨트롤러(821)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제2 응용예)
도 32는, 본 개시에 따른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eNB의 개략적인 구성의 제2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eNB(830)는, 1개 이상의 안테나(840), 기지국 장치(850), 및 RRH(860)를 갖는다. 각 안테나(840) 및 RRH(860)는, RF 케이블을 통해서 서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장치(850) 및 RRH(860)는, 광섬유 케이블 등의 고속 회선으로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안테나(840)의 각각은, 단일의 또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예를 들어, MIMO 안테나를 구성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갖고, RRH(860)에 의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사용된다. eNB(830)는,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840)를 갖고, 복수의 안테나(840)는 예를 들어 eNB(830)가 사용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각각 대응해도 된다. 또한, 도 32에는 eNB(830)가 복수의 안테나(840)를 갖는 예를 나타냈지만, eNB(830)는 단일의 안테나(840)를 가져도 된다.
기지국 장치(850)는 컨트롤러(851), 메모리(85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53),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 및 접속 인터페이스(857)를 구비한다. 컨트롤러(851), 메모리(8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53)는,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한 컨트롤러(821), 메모리(82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23)와 마찬가지의 것이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는, LTE 또는 LTE-Advanced 등 어느 한쪽의 셀룰러 통신 방식을 서포트하고, RRH(860) 및 안테나(840)를 통해 RRH(860)에 대응하는 섹터 내에 위치하는 단말기에 무선 접속을 제공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는 전형적으로는, BB 프로세서(85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856)는, 접속 인터페이스(857)를 통해 RRH(860)의 RF 회로(864)와 접속되는 것을 제외하고,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한 BB 프로세서(826)와 마찬가지의 것이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는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BB 프로세서(856)를 포함하고, 복수의 BB 프로세서(856)는, 예를 들어 eNB(830)가 사용하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각각 대응해도 된다. 또한, 도 32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가 복수의 BB 프로세서(856)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는 단일의 BB 프로세서(856)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는, 셀룰러 통신 방식에 추가하여, 무선 LAN 통신 방식을 서포트해도 되고, 그 경우에, 무선 LAN 통신 방식의 BB 프로세서(856)를 포함해도 된다.
접속 인터페이스(857)는 기지국 장치(850)(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를 RRH(860)와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접속 인터페이스(857)는, 기지국 장치(850)(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와 RRH(860)를 접속하는 상기 고속 회선에서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이어도 된다.
또한, RRH(860)는, 접속 인터페이스(861) 및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를 구비한다.
접속 인터페이스(861)는, RRH(860)(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를 기지국 장치(850)와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접속 인터페이스(861)는, 상기 고속 회선에서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이어도 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는, 안테나(840)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는, 전형적으로는, RF 회로(86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F 회로(864)는 믹서, 필터 및 증폭기 등을 포함해도 되고, 안테나(840)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는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RF 회로(864)를 포함하고, 복수의 RF 회로(864)는, 예를 들어 복수의 안테나 소자에 각각 대응해도 된다. 또한, 도 32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가 복수의 RF 회로(864)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는 단일의 RF 회로(864)를 포함해도 된다.
도 32에 도시한 eNB(830)에 있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통신 제어부(151)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예를 들어, BB 프로세서(856))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는, 통신 제어부(151)의 적어도 일부는, 컨트롤러(851)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일례로서, eNB(83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의 일부(예를 들어, BB 프로세서(856)) 혹은 전부, 및/또한 컨트롤러(851)를 포함하는 모듈을 탑재하고, 당해 모듈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151)가 실장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상기 모듈은, 프로세서를 통신 제어부(151)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환언하면, 프로세서에 통신 제어부(151)의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를 통신 제어부(151)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eNB(830)에 인스톨되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55)(예를 들어, BB 프로세서(856)) 및/또한 컨트롤러(851)가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통신 제어부(151)를 구비하는 장치로서 eNB(830), 기지국 장치(850) 또는 상기 모듈이 제공되어도 되고, 프로세서를 통신 제어부(151)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기억한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가 제공되어도 된다. 이들 점에 대해서는,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통신 제어부(161) 및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 통신 제어부(171)도, 통신 제어부(151)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32에 도시한 eNB(830)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 통신부(12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863)(예를 들어, RF 회로(864))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안테나부(110)는, 안테나(840)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네트워크 통신부(130)는, 컨트롤러(851) 및/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53)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6.2. 단말 장치에 관한 응용예>
(제1 응용예)
도 33은, 본 개시에 따른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스마트폰(900)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스마트폰(900)은, 프로세서(901), 메모리(902), 스토리지(903),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904), 카메라(906), 센서(907), 마이크로폰(908), 입력 디바이스(909), 표시 디바이스(910), 스피커(91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 1개 이상의 안테나 스위치(915), 1개 이상의 안테나(916), 버스(917), 배터리(918) 및 보조 컨트롤러(919)를 구비한다.
프로세서(901)는, 예를 들어 CPU 또는 SoC(System on Chip)이어도 되며, 스마트폰(900)의 애플리케이션 레이어 및 그 밖의 레이어의 기능을 제어한다. 메모리(902)는 RAM 및 ROM을 포함하고, 프로세서(90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한다. 스토리지(903)는, 반도체 메모리 또는 하드디스크 등의 기억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904)는 메모리 카드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디바이스 등의 외장형 디바이스를 스마트폰(900)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카메라(906)는, 예를 들어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의 촬상 소자를 갖고, 촬상 화상을 생성한다. 센서(907)는, 예를 들어 측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및 가속도 센서 등의 센서군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908)은 스마트폰(900)에 입력되는 음성을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입력 디바이스(909)는, 예를 들어 표시 디바이스(910)의 화면상으로의 터치를 검출하는 터치 센서, 키패드, 키보드, 버튼 또는 스위치 등을 포함하고, 유저로부터의 조작 또는 정보 입력을 접수한다. 표시 디바이스(91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등의 화면을 갖고, 스마트폰(900)의 출력 화상을 표시한다. 스피커(911)는 스마트폰(900)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는, LTE 또는 LTE-Advanced 등 어느 한쪽의 셀룰러 통신 방식을 서포트하고, 무선 통신을 실행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는 전형적으로는, BB 프로세서(913) 및 RF 회로(9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913)는, 예를 들어 부호화/복호, 변조/복조 및 다중화/역다중화 등을 행해도 되고, 무선 통신을 위한 다양한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RF 회로(914)는 믹서, 필터 및 증폭기 등을 포함해도 되고, 안테나(916)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는 BB 프로세서(913) 및 RF 회로(914)를 집적한 원칩의 모듈이어도 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는,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BB 프로세서(913) 및 복수의 RF 회로(914)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도 33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가 복수의 BB 프로세서(913) 및 복수의 RF 회로(914)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는 단일의 BB 프로세서(913) 또는 단일의 RF 회로(914)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는, 셀룰러 통신 방식에 추가하여, 무선 LAN 통신 방식을 서포트해도 되고, 그 경우에, 무선 LAN 통신 방식의 BB 프로세서(913) 및 RF 회로(914)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 또는 근접 무선 통신 방식 등의 또 다른 종류의 무선 통신 방식을 서포트해도 되고, 그 경우에, 무선 통신 방식마다의 BB 프로세서(913) 및 RF 회로(914)를 포함해도 된다.
안테나 스위치(915)의 각각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에 포함되는 복수의 회로(예를 들어, 서로 다른 무선 통신 방식을 위한 회로)의 사이에 안테나(916)의 접속처를 전환한다.
안테나(916)의 각각은, 단일의 또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예를 들어, MIMO 안테나를 구성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갖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에 의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위해서 사용된다. 스마트폰(900)은,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916)를 가져도 된다. 또한, 도 33에는 스마트폰(900)이 복수의 안테나(916)를 갖는 예를 나타냈지만, 스마트폰(900)은 단일의 안테나(916)를 가져도 된다.
또한, 스마트폰(900)은 무선 통신 방식마다 안테나(916)를 구비해도 된다. 그 경우에, 안테나 스위치(915)는 스마트폰(900)의 구성에서 생략되어도 된다.
버스(917)는 프로세서(901), 메모리(902), 스토리지(903),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904), 카메라(906), 센서(907), 마이크로폰(908), 입력 디바이스(909), 표시 디바이스(910), 스피커(91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 및 보조 컨트롤러(919)를 서로 접속한다. 배터리(918)는 도면 중에 파선으로 부분적으로 나타낸 급전 라인을 통하여, 도 33에 도시한 스마트폰(900)의 각 블록에 전력을 공급한다. 보조 컨트롤러(919)는, 예를 들어 슬립 모드에 있어서, 스마트폰(900)의 필요 최저한의 기능을 동작시킨다.
도 33에 도시한 스마트폰(900)에 있어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통신 제어부(241)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예를 들어, BB 프로세서(913))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는, 통신 제어부(241)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901) 또는 보조 컨트롤러(919)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일례로서, 스마트폰(900)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의 일부(예를 들어, BB 프로세서(913)) 혹은 전부, 프로세서(901), 및/또는 보조 컨트롤러(919)를 포함하는 모듈을 탑재하고, 당해 모듈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41)가 실장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상기 모듈은, 프로세서를 통신 제어부(241)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환언하면, 프로세서에 통신 제어부(241)의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를 통신 제어부(241)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스마트폰(900)에 인스톨되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예를 들어, BB 프로세서(913)), 프로세서(901), 및/또는 보조 컨트롤러(919)가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통신 제어부(241)를 구비하는 장치로서 스마트폰(900) 또는 상기 모듈이 제공되어도 되고, 프로세서를 통신 제어부(241)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기억한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가 제공되어도 된다. 이들 점에 대해서는,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 통신 제어부(251) 및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한 통신 제어부(261)도, 통신 제어부(241)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33에 도시한 스마트폰(900)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 통신부(22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12)(예를 들어, RF 회로(914))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안테나부(210)는 안테나(916)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제2 응용예)
도 34는, 본 개시에 따른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는 프로세서(921), 메모리(922),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924), 센서(925), 데이터 인터페이스(926), 콘텐츠 플레이어(927), 기억 매체 인터페이스(928), 입력 디바이스(929), 표시 디바이스(930), 스피커(93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 1개 이상의 안테나 스위치(936), 1개 이상의 안테나(937) 및 배터리(938)를 구비한다.
프로세서(921)는, 예를 들어 CPU 또는 SoC여도 되며,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내비게이션 기능 및 그 밖의 기능을 제어한다. 메모리(922)는, RAM 및 ROM을 포함하고, 프로세서(92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한다.
GPS 모듈(924)은,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GPS 신호를 사용하여,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위치(예를 들어, 위도, 경도 및 고도)를 측정한다. 센서(925)는,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및 기압 센서 등의 센서군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인터페이스(926)는,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단자를 통해 차량 탑재 네트워크(941)에 접속되고, 차속 데이터 등의 차량측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취득한다.
콘텐츠 플레이어(927)는, 기억 매체 인터페이스(928)에 삽입되는 기억 매체(예를 들어, CD 또는 DVD)에 기억되어 있는 콘텐츠를 재생한다. 입력 디바이스(929)는, 예를 들어 표시 디바이스(930)의 화면상으로의 터치를 검출하는 터치 센서, 버튼 또는 스위치 등을 포함하고, 유저로부터의 조작 또는 정보 입력을 접수한다. 표시 디바이스(930)는, LCD 또는 OLED 디스플레이 등의 화면을 갖고, 내비게이션 기능 또는 재생되는 콘텐츠의 화상을 표시한다. 스피커(931)는, 내비게이션 기능 또는 재생되는 콘텐츠의 음성을 출력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LTE 또는 LTE-Advanced 등 어느 한쪽의 셀룰러 통신 방식을 서포트하고, 무선 통신을 실행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전형적으로는, BB 프로세서(934) 및 RF 회로(93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934)는, 예를 들어 부호화/복호, 변조/복조 및 다중화/역다중화 등을 행해도 되고, 무선 통신을 위한 다양한 신호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RF 회로(935)는, 믹서, 필터 및 증폭기 등을 포함해도 되고, 안테나(937)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BB 프로세서(934) 및 RF 회로(935)를 집적한 원칩의 모듈이어도 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BB 프로세서(934) 및 복수의 RF 회로(935)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도 34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가 복수의 BB 프로세서(934) 및 복수의 RF 회로(935)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단일의 BB 프로세서(934) 또는 단일의 RF 회로(935)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셀룰러 통신 방식에 추가하여, 무선 LAN 통신 방식을 서포트해도 되고, 그 경우에, 무선 LAN 통신 방식의 BB 프로세서(934) 및 RF 회로(935)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 또는 근접 무선 통신 방식 등의 또 다른 종류의 무선 통신 방식을 서포트해도 되고, 그 경우에, 무선 통신 방식마다의 BB 프로세서(934) 및 RF 회로(935)를 포함해도 된다.
안테나 스위치(936)의 각각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에 포함되는 복수의 회로(예를 들어, 다른 무선 통신 방식을 위한 회로)의 사이에 안테나(937)의 접속처를 전환한다.
안테나(937)의 각각은, 단일의 또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예를 들어, MIMO 안테나를 구성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갖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에 의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위해서 사용된다.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는,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안테나(937)를 가져도 된다. 또한, 도 34에는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가 복수의 안테나(937)를 갖는 예를 나타냈지만,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는 단일의 안테나(937)를 가져도 된다.
또한,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는, 무선 통신 방식마다 안테나(937)를 구비해도 된다. 그 경우에, 안테나 스위치(936)는,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구성에서 생략되어도 된다.
배터리(938)는, 도면 중에 파선으로 부분적으로 나타낸 급전 라인을 통하여, 도 34에 도시한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각 블록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배터리(938)는 차량측으로부터 급전되는 전력을 축적한다.
도 34에 도시한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에 있어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통신 제어부(241)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예를 들어, BB 프로세서(934))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는, 통신 제어부(241)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921)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일례로서,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의 일부(예를 들어, BB 프로세서(934)) 혹은 전부, 및/또는 프로세서(921)를 포함하는 모듈을 탑재하고, 당해 모듈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241)가 실장되어도 된다. 이 경우에, 상기 모듈은, 프로세서를 통신 제어부(241)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환언하면, 프로세서에 통신 제어부(241)의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를 통신 제어부(241)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에 인스톨되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예를 들어, BB 프로세서(934)) 및/또는 프로세서(921)가 당해 프로그램을 실행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통신 제어부(241)를 구비하는 장치로서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 또는 상기 모듈이 제공되어도 되고, 프로세서를 통신 제어부(241)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기억한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가 제공되어도 된다. 이들 점에 대해서는,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 통신 제어부(251) 및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한 통신 제어부(261)도, 통신 제어부(241)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34에 도시한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무선 통신부(220)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933)(예를 들어, RF 회로(935))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안테나부(210)는, 안테나(937)에 있어서 실장되어도 된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기술은, 전술한 카 내비게이션 장치(920)의 1개 이상의 블록과, 차량 탑재 네트워크(941)와, 차량측 모듈(942)을 포함하는 차량 탑재 시스템(또는 차량)(940)으로서 실현되어도 된다. 즉, 통신 제어부(241)(또는, 통신 제어부(251) 또는 통신 제어부(261))를 구비하는 장치로서 차량 탑재 시스템(또는 차량)(940)이 제공되어도 된다. 차량측 모듈(942)은 차속, 엔진 회전수 또는 고장 정보 등의 차량측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데이터를 차량 탑재 네트워크(941)로 출력한다.
<<7. 결론>>
여기까지, 도 1 내지 도 34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따른 장치 및 각 처리를 설명하였다.
(제1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셀룰러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즉, 공용 대역)은, 제1 기간에 걸쳐서, 상기 셀룰러 통신을 위해서 점유되고, 적어도, 상기 제1 기간에 대응하는 제2 기간에 걸쳐서, 상기 셀룰러 통신으로부터 해방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상기 주파수 대역(즉, 공용 대역)이 상기 다른 무선 통신에 사용 가능한 기회를 확보하고, 또한 당해 주파수 대역을 셀룰러 통신을 위해서 어느 정도의 시간 계속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과 무선 LAN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즉,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지 않은 기간이 DIFS가 되기 전에, 셀룰러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기 시작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제어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상기 주파수 대역을 셀룰러 통신을 위해서 보다 확실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에 사용되는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무선 프레임이 개시될 때까지의 기간에 걸쳐서, 셀룰러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셀룰러 통신과 무선 LAN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즉,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더미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제어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상기 주파수 대역을 셀룰러 통신을 위해서 보다 확실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3 실시 형태)
제3 실시 형태에 의하면, 어느 한쪽의 시간에도, 셀룰러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셀룰러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즉, 공용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제어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예를 들어, 무선 LAN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이 셀룰러 통신에 사용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주파수 대역이 상기 다른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개시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어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당해 셀룰러 시스템에 있어서 보다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당업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각종 변경예 또는 수정예에 상도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며, 그들에 대해서도 당연히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고 이해된다.
예를 들어, 셀룰러 시스템이 LTE, LTE-Advanced, 또는 이들에 준하는 통신 규격에 준거한 시스템인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은, 다른 통신 규격에 준거한 시스템이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과는 상이한 다른 무선 통신이 무선 LAN 통신(즉, 무선 LAN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의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다른 무선 통신은, 무선 LAN 통신 이외의 무선 통신(예를 들어, CSMA를 채용하는 다른 통신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이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처리에 있어서의 처리 스텝은, 반드시 흐름도 또는 시퀀스도에 기재된 순서를 따라서 시계열로 실행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각 처리에 있어서의 처리 스텝은, 흐름도 또는 시퀀스도로서 기재한 순서와 상이한 순서로 실행되어도, 병렬적으로 실행되어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장치(예를 들어, 기지국 또는 단말 장치)에 구비되는 프로세서(예를 들어, CPU, DSP 등)를 상기 장치의 구성 요소(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환언하면, 상기 프로세서에 상기 장치의 구성 요소의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도 작성 가능하다. 또한, 당해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도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메모리와,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 가능한 1개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장치(예를 들어, 완성품, 또는 완성품을 위한 모듈(부품, 처리 회로 혹은 칩 등))도 제공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장치의 구성 요소(예를 들어, 통신 제어부)의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도, 본 개시에 따른 기술에 포함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설명적 또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한정적이지 않다. 즉, 본 개시에 따른 기술은, 상기 효과와 함께, 또는 상기 효과 대신에, 본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다른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이하와 같은 구성도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
(1)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제1 기간에 걸쳐서,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해서 점유하고, 상기 주파수 대역을, 적어도, 상기 제1 기간에 대응하는 제2 기간에 걸쳐서,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상기 무선 통신으로부터 해방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장치.
(2)
상기 제1 기간은,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1 무선 프레임 이상의 기간인, 상기 (1)에 기재된 장치.
(3)
상기 제1 기간은, 연속하는 기간인, 상기 (1)에 기재된 장치.
(4)
상기 제2 기간은, 상기 제1 기간의 직전 또는 직후의 기간인, 상기 (3)에 기재된 장치.
(5)
상기 제2 기간은, 상기 제1 기간의 직후의 연속하는 기간인, 상기 (4)에 기재된 장치.
(6)
상기 제2 기간은, 상기 제1 기간의 직전의 기간 및 상기 제1 기간의 직후의 기간인, 상기 (4)에 기재된 장치.
(7)
상기 제2 기간은, 상기 제1 기간의 직전의 연속하는 기간인, 상기 (4)에 기재된 장치.
(8)
상기 제1 기간은, 불연속의 기간이며,
상기 제어부는, 제3 기간 내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대역을 상기 제1 기간에 걸쳐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해서 점유하고, 상기 주파수 대역을 적어도 상기 제2 기간에 걸쳐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상기 무선 통신으로부터 해방하는, 상기 (3)에 기재된 장치.
(9)
상기 제2 기간은, 상기 제1 기간의 길이의 90% 내지 110%의 길이를 갖는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치.
(10)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제1 기간에 걸쳐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주파수 대역을 상기 제1 기간에 걸쳐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해서 점유하는,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치.
(11)
상기 제어부는, 어느 한쪽의 시간에도,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상기 (10)에 기재된 장치.
(12)
상기 제어부는, 어느 한쪽의 시간에도,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송신되는 신호의 송신 전력이 소정의 송신 전력 이상이 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상기 (11)에 기재된 장치.
(13)
상기 제어부는, 각 심볼에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상기 (11) 또는 (12)에 기재된 장치.
(14)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데이터 신호 및 제어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심볼에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더미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상기 (13)에 기재된 장치.
(15)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상기 심볼에서, 상기 주파수 대역에 걸쳐 주파수 방향으로 배열하는 무선 리소스 중 일부의 무선 리소스 중에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더미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상기 (14)에 기재된 장치.
(16)
상기 일부의 무선 리소스는, 상기 주파수 대역에 걸쳐 주파수 방향으로 배열하는 리소스 블록 중 일부의 리소스 블록인, 상기 (15)에 기재된 장치.
(17)
상기 일부의 무선 리소스는, 상기 주파수 대역에 걸쳐 주파수 방향으로 배열하는 각 리소스 블록에 포함되는 일부의 리소스 엘리먼트인, 상기 (15)에 기재된 장치.
(18)
상기 장치는,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기지국, 당해 기지국을 위한 기지국 장치, 또는 당해 기지국 장치를 위한 모듈이며,
상기 제어부는, 업링크에 대하여, 어느 한쪽의 시간에도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단말 장치에 지시하는, 상기 (11) 내지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치.
(19)
상기 제어부는, 업링크에 대하여, 어느 한쪽의 시간에도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복수의 단말 장치의 각각에 지시하는, 상기 (18)에 기재된 장치.
(20)
상기 제어부는, 업링크에 대하여, 적어도,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데이터 신호 및 제어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심볼에서, 상기 주파수 대역에 걸쳐 주파수 방향으로 배열하는 무선 리소스 중 일부의 무선 리소스 중에서 더미 신호를 송신하도록, 복수의 단말 장치에 지시하고,
상기 일부의 무선 리소스는, 복수의 단말 장치의 사이에서 공통인, 상기 (18) 또는 (19)에 기재된 장치.
(21)
상기 장치는,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단말 장치, 또는 당해 단말 장치를 위한 모듈이며,
상기 제어부는, 업링크에 대하여, 어느 한쪽의 시간에도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상기 (11)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장치.
(22)
상기 다른 무선 통신은,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NAV(Network Allocation Vector)를 설정하기 위한 지속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주파수 대역을 상기 제1 기간에 걸쳐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해서 점유하는,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치.
(23)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적어도 상기 제2 기간에 걸쳐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주파수 대역을 적어도 상기 제2 기간에 걸쳐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상기 무선 통신으로부터 해방하는, 상기 (1) 내지 (2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치.
(24)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기지국 및 단말 장치 중 적어도 한쪽인, 상기 (10) 내지 (2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치.
(25)
상기 다른 무선 통신은,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인, 상기 (1) 내지 (2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치.
(26)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지 않은 기간이 DIFS(DCF(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InterFrame Space)가 되기 전에,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기 시작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상기 (25)에 기재된 장치.
(27)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지 않은 상기 기간이 SIFS(Short InterFrame Space)보다도 길어진 후에,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기 시작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상기 (26)에 기재된 장치.
(28)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무선 프레임이 개시될 때까지의 기간에 걸쳐서,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더미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상기 (25) 내지 (2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치.
(29)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무선 프레임이 개시되기 전에,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NAV를 설정하기 위한 지속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상기 (24) 내지 (2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치.
(30)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기지국 및 단말 장치 중 적어도 한쪽인, 상기 (26) 내지 (2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치.
(31)
상기 장치는,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기지국, 당해 기지국을 위한 기지국 장치, 또는 당해 기지국 장치를 위한 모듈인, 상기 (1) 내지 (17) 및 (22) 내지 (3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치.
(32)
상기 장치는,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단말 장치, 또는 당해 단말 장치를 위한 모듈인, 상기 (1) 내지 (17) 및 (22) 내지 (3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치.
(33)
프로세서에 의해,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제1 기간에 걸쳐서,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해서 점유하고, 상기 주파수 대역을, 적어도, 상기 제1 기간에 대응하는 제2 기간에 걸쳐서,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상기 무선 통신으로부터 해방하는 것
을 포함하는 방법.
(34)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제1 기간에 걸쳐서,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해서 점유하고, 상기 주파수 대역을, 적어도, 상기 제1 기간에 대응하는 제2 기간에 걸쳐서,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상기 무선 통신으로부터 해방하는 것
을 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35)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제1 기간에 걸쳐서,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해서 점유하고, 상기 주파수 대역을, 적어도, 상기 제1 기간에 대응하는 제2 기간에 걸쳐서,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상기 무선 통신으로부터 해방하는 것
을 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36)
어느 한쪽의 시간에도,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장치.
(37)
프로세서에 의해, 어느 한쪽의 시간에도,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것
을 포함하는 방법.
(38)
어느 한쪽의 시간에도,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것
을 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39)
어느 한쪽의 시간에도,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것
을 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40)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지 않은 기간이 DIFS가 되기 전에,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기 시작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장치.
(41)
프로세서에 의해,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지 않은 기간이 DIFS가 되기 전에,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기 시작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것
을 포함하는 방법.
(42)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지 않은 기간이 DIFS가 되기 전에,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기 시작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것
을 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43)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지 않은 기간이 DIFS가 되기 전에,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기 시작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것
을 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44)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무선 프레임이 개시될 때까지의 기간에 걸쳐서,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더미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장치.
(45)
프로세서에 의해,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무선 프레임이 개시될 때까지의 기간에 걸쳐서,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더미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것
을 포함하는 방법.
(46)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무선 프레임이 개시될 때까지의 기간에 걸쳐서,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더미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것
을 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47)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무선 프레임이 개시될 때까지의 기간에 걸쳐서,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더미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것
을 프로세서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48)
상기 장치는,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기지국, 당해 기지국을 위한 기지국 장치, 또는 당해 기지국 장치를 위한 모듈인, 상기 (36), (40) 및 (4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치.
(49)
상기 장치는,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단말 장치, 또는 당해 단말 장치를 위한 모듈인, 상기 (36), (40) 및 (4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장치.
1: 셀룰러 시스템
10: 셀
30: 액세스 포인트
40: 통신 에리어
50: 단말 장치
61: 제1 기간
63: 제2 기간
65: 제3 기간
71: 공용 대역
100: 기지국
151, 161, 171: 통신 제어부
200: 단말 장치
241, 251, 261, 271: 통신 제어부

Claims (33)

  1.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제1 기간에 걸쳐서,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해서 점유하고, 상기 주파수 대역을, 적어도, 상기 제1 기간에 대응하는 제2 기간에 걸쳐서,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상기 무선 통신으로부터 해방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간은,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1 무선 프레임 이상의 기간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간은, 연속하는 기간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간은, 상기 제1 기간의 직전 또는 직후의 기간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간은, 상기 제1 기간의 직후의 연속하는 기간인,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간은, 상기 제1 기간의 직전의 기간 및 상기 제1 기간의 직후의 기간인,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간은, 상기 제1 기간의 직전의 연속하는 기간인,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간은, 불연속의 기간이며,
    상기 제어부는, 제3 기간 내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대역을 상기 제1 기간에 걸쳐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해서 점유하고, 상기 주파수 대역을 적어도 상기 제2 기간에 걸쳐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상기 무선 통신으로부터 해방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간은, 상기 제1 기간의 길이의 90% 내지 110%의 길이를 갖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제1 기간에 걸쳐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주파수 대역을 상기 제1 기간에 걸쳐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해서 점유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어느 한쪽의 시간에도,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어느 한쪽의 시간에도,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송신되는 신호의 송신 전력이 소정의 송신 전력 이상이 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 심볼에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데이터 신호 및 제어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심볼에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더미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적어도 상기 심볼에서, 상기 주파수 대역에 걸쳐 주파수 방향으로 배열하는 무선 리소스 중 일부의 무선 리소스 중에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더미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의 무선 리소스는, 상기 주파수 대역에 걸쳐 주파수 방향으로 배열하는 리소스 블록 중 일부의 리소스 블록인,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의 무선 리소스는, 상기 주파수 대역에 걸쳐 주파수 방향으로 배열하는 각 리소스 블록에 포함되는 일부의 리소스 엘리먼트인,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기지국, 당해 기지국을 위한 기지국 장치, 또는 당해 기지국 장치를 위한 모듈이며,
    상기 제어부는, 업링크에 대하여, 어느 한쪽의 시간에도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단말 장치에 지시하는,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업링크에 대하여, 어느 한쪽의 시간에도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복수의 단말 장치의 각각에 지시하는,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업링크에 대하여, 적어도,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데이터 신호 및 제어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심볼에서, 상기 주파수 대역에 걸쳐 주파수 방향으로 배열하는 무선 리소스 중 일부의 무선 리소스 중에서 더미 신호를 송신하도록, 복수의 단말 장치에 지시하고,
    상기 일부의 무선 리소스는, 복수의 단말 장치의 사이에서 공통인, 장치.
  2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단말 장치, 또는 당해 단말 장치를 위한 모듈이며,
    상기 제어부는, 업링크에 대하여, 어느 한쪽의 시간에도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단말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무선 통신은,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NAV(Network Allocation Vector)를 설정하기 위한 지속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주파수 대역을 상기 제1 기간에 걸쳐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해서 점유하는, 장치.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적어도 상기 제2 기간에 걸쳐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주파수 대역을 적어도 상기 제2 기간에 걸쳐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상기 무선 통신으로부터 해방하는, 장치.
  2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기지국 및 단말 장치 중 적어도 한쪽인, 장치.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무선 통신은,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인,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지 않은 기간이 DIFS(DCF(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InterFrame Space)가 되기 전에,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기 시작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가 송신되지 않은 상기 기간이 SIFS(Short InterFrame Space)보다도 길어진 후에, 상기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신호를 송신하기 시작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무선 프레임이 개시될 때까지의 기간에 걸쳐서,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해서 더미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에 사용되는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무선 프레임이 개시되기 전에,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상기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NAV를 설정하기 위한 지속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기지국 및 단말 장치 중 적어도 한쪽인, 장치.
  3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기지국, 당해 기지국을 위한 기지국 장치, 또는 당해 기지국 장치를 위한 모듈인, 장치.
  3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을 행하는 단말 장치, 또는 당해 단말 장치를 위한 모듈인, 장치.
  33. 프로세서에 의해, 셀룰러 시스템의 무선 통신과 다른 무선 통신의 사이에서 공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제1 기간에 걸쳐서,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해서 점유하고, 상기 주파수 대역을, 적어도, 상기 제1 기간에 대응하는 제2 기간에 걸쳐서,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상기 무선 통신으로부터 해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KR1020167021987A 2014-03-14 2014-12-17 장치 및 방법 KR1019088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52066 2014-03-14
JP2014052066 2014-03-14
PCT/JP2014/083387 WO2015136808A1 (ja) 2014-03-14 2014-12-17 装置及び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377A true KR20160132377A (ko) 2016-11-18
KR101908828B1 KR101908828B1 (ko) 2018-10-16

Family

ID=54071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1987A KR101908828B1 (ko) 2014-03-14 2014-12-17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9854448B2 (ko)
EP (1) EP3119120A4 (ko)
JP (2) JP6269811B2 (ko)
KR (1) KR101908828B1 (ko)
CN (1) CN106063311B (ko)
CA (1) CA2941434A1 (ko)
MY (1) MY178985A (ko)
PH (1) PH12016501758A1 (ko)
WO (1) WO20151368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81726B2 (en) 2014-03-18 2020-06-09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allocation vector frequency band sharing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cellular system and other wireless communication
CN108243486B (zh) * 2016-12-23 2021-04-23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用于资源管理的方法和设备
WO2019218272A1 (en) * 2018-05-16 2019-11-21 Metis Ip (Suzhou)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ata transmission over wi-fi and lte-u coexistence framework
CN113228783A (zh) * 2019-01-16 2021-08-06 联想(北京)有限公司 处置无线电链路故障的方法及设备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4001A (ja) 2004-09-22 2006-04-06 Ntt Docomo Inc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周波数帯割当装置ならびに周波数帯割当方法
US20060203841A1 (en) * 2005-03-09 2006-09-14 Fischer Matthew J Coordination of multiple protocols using a shared communication medium
US20110128895A1 (en) * 2009-12-02 2011-06-02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spectrum sharing using listen-before-talk with quiet periods
KR20120005570A (ko) * 2006-02-09 2012-01-16 알테어 세미콘덕터 엘티디. 복합기능형 무선 데이터 단말기
KR20130018827A (ko) * 2010-03-30 2013-02-25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다중-라디오 공존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30208587A1 (en) * 2012-01-26 2013-08-1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Dynamic parameter adjustment for lte coexistence
JP2014500685A (ja) * 2010-12-06 2014-01-09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ライセンス不要スペクトルでワイヤレス動作を可能にす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1367B2 (ja) * 2003-05-07 2007-12-12 シャープ株式会社 基地局と移動局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01431721B (zh) * 2007-11-06 2013-06-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多基站mbs的无线资源调度方法
CN102196565B (zh) * 2010-03-18 2013-07-24 杭州华三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分配信道资源的方法和接入点
US8724545B2 (en) 2010-03-31 2014-05-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support for multi-radio coexistence
EP2620026B1 (en) * 2010-09-21 2020-08-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laying in mixed licensed and unlicensed carrier aggregation
TWI423710B (zh) * 2010-10-15 2014-01-11 Acer Inc 行動通訊裝置、系統、以及連線建立方法
US8416799B2 (en) * 2011-05-05 2013-04-09 Hitachi, Lt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9031017B2 (en) * 2012-06-21 2015-05-12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Power control for LTE deployment in unlicensed band
US20150195849A1 (en) * 2014-01-06 2015-07-09 Intel IP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multiple signal co-existence in multiple-use frequency spectrum
US9537642B2 (en) * 2014-02-03 2017-01-03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requency hopping coexistence in unlicensed radio frequency bands for mobile devices
JP6513906B2 (ja) 2014-04-28 2019-05-15 ハジメ産業株式会社 レーザ溶着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4001A (ja) 2004-09-22 2006-04-06 Ntt Docomo Inc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周波数帯割当装置ならびに周波数帯割当方法
US20060203841A1 (en) * 2005-03-09 2006-09-14 Fischer Matthew J Coordination of multiple protocols using a shared communication medium
KR20120005570A (ko) * 2006-02-09 2012-01-16 알테어 세미콘덕터 엘티디. 복합기능형 무선 데이터 단말기
US20110128895A1 (en) * 2009-12-02 2011-06-02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spectrum sharing using listen-before-talk with quiet periods
KR20130018827A (ko) * 2010-03-30 2013-02-25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다중-라디오 공존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4500685A (ja) * 2010-12-06 2014-01-09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ライセンス不要スペクトルでワイヤレス動作を可能にする方法
US20130208587A1 (en) * 2012-01-26 2013-08-1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Dynamic parameter adjustment for lte coexiste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063311B (zh) 2020-06-12
JP6515994B2 (ja) 2019-05-22
EP3119120A1 (en) 2017-01-18
US20170019794A1 (en) 2017-01-19
JP2018046586A (ja) 2018-03-22
US10028152B2 (en) 2018-07-17
US20180077582A1 (en) 2018-03-15
CA2941434A1 (en) 2015-09-17
MY178985A (en) 2020-10-26
US9854448B2 (en) 2017-12-26
JP6269811B2 (ja) 2018-01-31
CN106063311A (zh) 2016-10-26
JPWO2015136808A1 (ja) 2017-04-06
EP3119120A4 (en) 2017-11-01
WO2015136808A1 (ja) 2015-09-17
KR101908828B1 (ko) 2018-10-16
PH12016501758A1 (en) 2016-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7331B2 (ja) 端末装置
JP6515994B2 (ja) 装置及び方法
JP6496938B2 (ja) 装置
TWI678126B (zh) 無線通訊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