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1759A - 집게형 머리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집게형 머리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1759A
KR20160131759A KR1020150064778A KR20150064778A KR20160131759A KR 20160131759 A KR20160131759 A KR 20160131759A KR 1020150064778 A KR1020150064778 A KR 1020150064778A KR 20150064778 A KR20150064778 A KR 20150064778A KR 20160131759 A KR20160131759 A KR 20160131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tongue
curved plate
present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4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9753B1 (ko
Inventor
정대욱
Original Assignee
정대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대욱 filed Critical 정대욱
Priority to KR1020150064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753B1/ko
Publication of KR20160131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20Hair clamps, i.e. elastic multi-part clamps, the parts of which are pivotally connected between their e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02Hair pi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24Hair clasps, i.e. multi-part clasps with pivotal connection of parts at their ends
    • A45D2008/002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하면, 내면부(11), 외면부(12), 물림부(13), 누름부(14)를 구비하는 몸체(10); 상기 몸체(10)의 물림부(13)에 부착되고, 곡판부(22) 상에 다수의 치형부(24)를 지니는 집게(20); 및 상기 몸체(10)의 누름부(14)에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대향하는 한 쌍의 몸체(10)를 연결하는 경첩(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수지 기반에 금속을 병행한 구조를 도입하여 양호한 장식성과 착용감을 유지하면서 반복적인 스프링 충격력에 의한 손상이나 내구성 약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집게형 머리핀 및 그 제조방법{Pincer type hair pi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머리를 결속하는 용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외형을 비교적 크게 형성하면서 스프링의 충격력에 의한 내구성 약화를 방지하는 집게형 머리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집게형 머리핀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한 쌍의 턱을 맞물리는 구조를 지니는 것으로 머리숱이 많은 경우에 안정적인 묶음 상태를 유지하므로 임의로 풀어지지 않아 편안한 착용감을 줄 수 있다. 다만 머리핀의 외형이 커지기 때문에 사용하는 과정에서 부러지는 등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수지재와 금속재를 병용하는 설계가 선호된다.
이와 관련되어 참조할 수 있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36155호(선행문헌 1),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67475호(선행문헌 2) 등이 알려져 있다.
선행문헌 1은 몸체의 손잡이부에 힌지부를 형성하되 손잡이부 일측 소정부위와 타측 소정부위 일부분을 절결 후 내측으로 서로 절곡시켜 대향된 상태로 한쌍을 이루는 힌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두편의 몸체에 구비된 힌지부가 힌지핀에 의해 결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견고한 힌지부를 형성할 수 있고 제작원가를 보다 감소시키는 효과를 기대한다.
선행문헌 2는 상, 하판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지지부재에 스프링을 연결한 집게형 머리핀에 있어서, 상, 하판의 양면 외주연에 용접되면서 다수개의 보석이 삽입고정되어 다양한 형상으로 절곡형성되는 보석틀띠;와, 상기 보석틀띠의 내측으로 머리핀의 미려감을 창출하기 위한 장식판;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머리핀의 상, 하판과 보석틀띠를 금속재로 형성함으로서 내구성이 향상되고 변색이나 변형되지 않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에 의하면 금속제를 기반으로 하는 견고성은 있으나 모발 손상이나 착용감 저하의 우려가 크고, 특히 선행문헌 2에 의하면 용접 공정을 수반하므로 생산성을 높이기에 한계를 드러낸다.
1.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36155호 "금속제 집게용 머리핀" (공개일자 : 2000. 7. 25.) 2.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67475호 "집게형 머리핀" (공개일자 : 2002. 3. 9.)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지 기반에 금속을 병행한 구조를 도입하여 양호한 장식성과 착용감을 유지하면서 반복적인 스프링 충격력에 의한 손상이나 내구성 약화를 방지하는 집게형 머리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하면, 내면부, 외면부, 물림부, 누름부를 구비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물림부에 부착되고, 곡판부 상에 다수의 치형부를 지니는 집게; 및 상기 몸체의 누름부에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대향하는 한 쌍의 몸체를 연결하는 경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몸체는 집게를 보강하도록 물림부에 다수의 돌출핀을 구비하고, 집게의 맞물림 충격을 완화하도록 내면부에 멈춤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집게의 곡판부는 몸체의 물림부와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고, 치형부는 중앙에서 길고 양측으로 갈수록 짧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의하면, 청구항 1의 집게형 머리핀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금형에 금속재 경첩을 인서트한 상태에서 수지를 주입하여 몸체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몸체의 물림부에 집게를 부착하는 단계; 및 (c) 상기 한 쌍의 몸체를 대향시키고 경첩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단계 (b)는 집게의 곡판부에 통공부를 형성하고 물림부의 돌출핀과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지 기반에 금속을 병행한 구조를 도입하여 양호한 장식성과 착용감을 유지하면서 반복적인 스프링 충격력에 의한 손상이나 내구성 약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머리핀을 결합된 상태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머리핀을 종단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첩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3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의 주요 단계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하면 몸체(10), 집게(20), 경첩(30)으로 이루어지는 집게형 머리핀을 개시한다. 집게형 머리핀은 머리숱이 많은 경우에 적절한 형태를 의미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몸체(10)는 내면부(11), 외면부(12), 물림부(13), 누름부(14)를 구비하는 구조이다. 내면부(11)는 머리카락과 접하는 부분이고, 외면부(12)는 손으로 쥐는 부분으로서 모두 곡면으로 형성된다. 물림부(13)는 머리카락과 맞물려 결속되는 부분이고, 누름부(14)는 손으로 가압하여 물림부(13)를 벌리는 부분이다. 집게형 머리핀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동일한 형태를 지닌 한 쌍의 몸체(10)를 대향시켜 완성된다. 도 4의 평면도와 같이 물림부(13)를 곡면으로 형성하여 머리와 넓은 영역에서 접촉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도 4의 측면도와 같이 누름부(14)를 곡면으로 형성하여 가압 과정에서 손의 안착성을 증대하는 것이 좋다.
한편, 머리핀의 물림부(13)에서 머리카락을 가압하여 결속하는 힘은 후술하는 경첩(30)의 스프링(38)에 의하여 생성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몸체(10)는 집게(20)를 보강하도록 물림부(13)에 다수의 돌출핀(16)을 구비하고, 집게(20)의 맞물림 충격을 완화하도록 내면부(11)에 멈춤판(1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돌출핀(16)은 내면부(11)에서 물림부(13)의 곡면형 단부에 연하여 동일한 크기의 원추형으로 형성된다. 집게(20)에 대한 보강은 부착력을 증대하는 동시에 머리카락과의 결속력을 증대함을 의미한다. 누름부(14)를 눌러서 머리를 묶거나 푸는 과정에서 스프링(38)의 탄성력으로 집게(20)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멈춤판(18)은 내면부(11)에서 경첩(30)에 인접한 위치에 돌출되어 스프링(38)의 탄성 충격을 일차적으로 흡수한다. 이외에 머리카락이 경첩(30)의 스프링(38)에 끼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도 기대된다.
본 발명의 집게(20)는 곡판부(22) 상에 다수의 치형부(24)를 지니고, 상기 몸체(10)의 물림부(13)에 부착되는 구조이다. 집게(20)는 머리카락과 직접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곡판부(22)와 치형부(24)를 전체적으로 모서리가 없는 라운드로 형성한다. 수지의 사출성형 방식을 적용하는 경우 몸체(10)와 집게(20)를 다른 색상으로 구현하여 장식미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집게(20)의 곡판부(22)는 몸체(10)의 물림부(13)와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고, 치형부(24)는 중앙에서 길고 양측으로 갈수록 짧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의 평면도와 같이 물림부(13)를 오목하게 곡면화 하듯이 곡판부(22)도 이와 동일한 곡률의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한다. 치형부(24)는 도 1처럼 상하로 교번하여 맞물린 상태에서 전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면서 중앙으로 올수록 길이가 길어지는 형태로 형성한다. 상하의 치형부(24)를 벌려서 머리를 묶을 때 중앙의 치형부(24)부터 차례로 맞물리므로 결속이 원활하고 편안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경첩(30)은 상기 몸체(10)의 누름부(14)에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대향하는 한 쌍의 몸체(10)를 연결하는 구조이다. 경첩(30)은 곡판부(32)의 양측면으로 절곡된 다리부(34)를 지닌다. 곡판부(32)는 누름부(14)에 인서트 몰딩으로 은폐되고 다리부(34)는 내면부(11)로 노출된다. 한 쌍의 몸체(10)를 대향시키고 각각의 다리부(34)에 힌지축(36)과 스프링(38)을 장착하여 연결하면 도 1 및 도 2의 형태로 집게형 머리핀이 완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의하면, 청구항 1의 집게형 머리핀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기의 단계 (a), (b), (c)로 이루어지는 방법을 개시한다. 머리핀의 몸체(10), 집게(20), 경첩(30) 구조는 도 1과 동일하게 적용된다.
본 발명의 단계 (a)는 금형에 금속재 경첩(30)을 인서트한 상태에서 수지를 주입하여 몸체(10)를 형성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경첩(30)의 다리부(34)를 홀딩한 상태로 곡판부(32)를 캐비티에 수용하고, 캐비티로 용융수지를 주입하여 인서트 몰딩을 수행한다. 경첩(30)이 암수의 구분이 있기는 하지만 1벌의 금형으로 몸체(10)의 성형이 완료될 수 있다. 도 3처럼 곡판부(32)에 형성되는 절개홈(32a)은 수지로 충진되어 경첩(30)의 결합력을 증대한다.
본 발명의 단계 (b)는 상기 몸체(10)의 물림부(13)에 집게(20)를 부착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집게(20)는 별도의 금형을 사용하여 곡판부(22)와 치형부(24)를 동시에 사출로 형성한다. 치형부(24)는 비대칭적 형태로 형성하고 상하의 물림부(13)에 뒤집어 고정한다. 도 1에서 상하의 치형부(24)가 뒤집어진 상태로 치합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집게(20)의 곡판부(22)를 몸체(10)의 물림부(13)에 부착함에 있어서 아세톤과 같은 용해성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단계 (b)는 집게(20)의 곡판부(22)에 통공부(26)를 형성하고 물림부(13)의 돌출핀(16)과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집게(20)의 곡판부(22)에 배치되는 통공부(26)는 곡판부(22), 치형부(24)와 함께 사출성형으로 완성된다. 도 5처럼 곡판부(22)의 통공부(26)를 돌출핀(16)에 맞물린 상태에서 접착제를 투입하면 부착력이 높아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머리핀은 2벌의 금형만 사용하므로 장식성, 기능성, 내구성을 높이면서 원가절감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계 (c)는 상기 한 쌍의 몸체(10)를 대향시키고 경첩(30)을 연결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도 6처럼 상하의 몸체(10)에서 노출된 다리부(34)를 대향시키고 힌지축(36)과 스프링(38)을 장착하여 도 1처럼 완성한다. 스프링(38)은 양단으로 다리를 지닌 토션형으로서 각각의 다리를 상측과 하측의 누름부(14)에 접촉시킨다. 이에 양측의 누름부(14)를 누르면 집게(20)가 벌려지고 가압을 해제하면 탄성력에 의하여 맞물림 결속 상태가 유지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몸체 11: 내면부
12: 외면부 13: 물림부
14: 누름부 16: 돌출핀
18: 멈춤판 20: 집게
22: 곡판부 24: 치형부
26: 통공부 30: 경첩
32: 곡판부 32a: 절개홈
34: 다리부 36: 힌지축
38: 스프링

Claims (5)

  1. 내면부(11), 외면부(12), 물림부(13), 누름부(14)를 구비하는 몸체(10);
    상기 몸체(10)의 물림부(13)에 부착되고, 곡판부(22) 상에 다수의 치형부(24)를 지니는 집게(20); 및
    상기 몸체(10)의 누름부(14)에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대향하는 한 쌍의 몸체(10)를 연결하는 경첩(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머리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집게(20)를 보강하도록 물림부(13)에 다수의 돌출핀(16)을 구비하고, 집게(20)의 맞물림 충격을 완화하도록 내면부(11)에 멈춤판(1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머리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게(20)의 곡판부(22)는 몸체(10)의 물림부(13)와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고, 치형부(24)는 중앙에서 길고 양측으로 갈수록 짧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머리핀.
  4. 청구항 1의 집게형 머리핀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금형에 금속재 경첩(30)을 인서트한 상태에서 수지를 주입하여 몸체(10)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몸체(10)의 물림부(13)에 집게(20)를 부착하는 단계; 및
    (c) 상기 한 쌍의 몸체(10)를 대향시키고 경첩(30)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머리핀 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집게(20)의 곡판부(22)에 통공부(26)를 형성하고 물림부(13)의 돌출핀(16)과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머리핀 제조방법.
KR1020150064778A 2015-05-08 2015-05-08 집게형 머리핀 및 그 제조방법 KR101709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778A KR101709753B1 (ko) 2015-05-08 2015-05-08 집게형 머리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778A KR101709753B1 (ko) 2015-05-08 2015-05-08 집게형 머리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759A true KR20160131759A (ko) 2016-11-16
KR101709753B1 KR101709753B1 (ko) 2017-02-24

Family

ID=57541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778A KR101709753B1 (ko) 2015-05-08 2015-05-08 집게형 머리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97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785B1 (ko) * 2021-01-21 2021-07-13 뭄무컴퍼니 마스크 면적 조절을 위한 마스크 집게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6155B1 (ko) 1996-03-26 1999-12-15 오카모토 유지 페라이트 자석과 페라이트 자석용 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194875Y1 (ko) * 2000-03-08 2000-09-01 주식회사인터내쇼날 펄 장식용 머리 집게
KR100267475B1 (ko) 1992-04-06 2000-10-16 이데이 노부유끼 전하 결합 장치
KR200255124Y1 (ko) * 2001-06-21 2001-12-13 노훈상 두발고정구
KR20020082087A (ko) * 2001-04-23 2002-10-30 이동욱 헤어클립
KR101036432B1 (ko) * 2010-04-20 2011-05-23 박미숙 수지재 안경테의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7475B1 (ko) 1992-04-06 2000-10-16 이데이 노부유끼 전하 결합 장치
KR100236155B1 (ko) 1996-03-26 1999-12-15 오카모토 유지 페라이트 자석과 페라이트 자석용 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194875Y1 (ko) * 2000-03-08 2000-09-01 주식회사인터내쇼날 펄 장식용 머리 집게
KR20020082087A (ko) * 2001-04-23 2002-10-30 이동욱 헤어클립
KR200255124Y1 (ko) * 2001-06-21 2001-12-13 노훈상 두발고정구
KR101036432B1 (ko) * 2010-04-20 2011-05-23 박미숙 수지재 안경테의 조립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785B1 (ko) * 2021-01-21 2021-07-13 뭄무컴퍼니 마스크 면적 조절을 위한 마스크 집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9753B1 (ko) 2017-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217125B2 (en) Flexible eyewear frame with rigid lens retainer
US20060219255A1 (en) Hair grip with a connection working in elongation
US9924772B2 (en) Method for producing a clamping member of a hair clip, the clamping member, and a hair clip including two clamping members
KR101709753B1 (ko) 집게형 머리핀 및 그 제조방법
US20100326458A1 (en) Hair Ornament
GB2400790A (en) Garment hanger
CN101716813A (zh) 制造夹紧装置的模具
ATE460856T1 (de) Haarspange (1)
CN104921446B (zh) 牙刷体
KR101709756B1 (ko) 클립형 머리핀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16652A (ko) 무용접 조립형 메탈 안경테
ITRM970202A1 (it) Metodo di preparazione di ciocche posticce per acconciature, relativo attrezzo e ciocca cosi' preparata
KR20170130916A (ko) 안경의 결합구조
CN105942673A (zh) 一种弹性卡扣结构及由其构成的首饰制品和加工方法
US2450229A (en) Ophthalmologist's tool
KR200410867Y1 (ko) 귀걸이 뒷장식
KR200473056Y1 (ko) 다용도 집게핀
KR200210901Y1 (ko) 장신구용 체결장치
EP2229070A1 (en) Hair-clipper
KR200285647Y1 (ko) 머리 집게핀
KR200404888Y1 (ko) 조리용 집게
KR200239135Y1 (ko) 머리핀
KR200260202Y1 (ko) 가죽편이 접합된 집게핀
KR200355314Y1 (ko) 집게형 머리핀
KR20110105604A (ko) 장식용 머리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