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647Y1 - 머리 집게핀 - Google Patents
머리 집게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85647Y1 KR200285647Y1 KR2020020010102U KR20020010102U KR200285647Y1 KR 200285647 Y1 KR200285647 Y1 KR 200285647Y1 KR 2020020010102 U KR2020020010102 U KR 2020020010102U KR 20020010102 U KR20020010102 U KR 20020010102U KR 200285647 Y1 KR200285647 Y1 KR 20028564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pin
- decorative plate
- tong
- tension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머리집게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머리카락을 집어주는 집게판의 상,하빗살부가 하나로 연결 형성되어서 "ㄷ"형을 이루도록 되고, 상기 하나로 연결된 상,하빗살부의 사이에 텐션연결부가 형성되므로서, 상기 집게판의 조립공정이 없이 집게판의 외측에 형성된 장식판 고정돌기에 의하여 장식판만 고정되면 상부빗살부와 하부빗살부가 장식판과 함께 텐션연결부의 텐션을 받으면서 벌어질 수 있도록 되므로서 바로 하나의 머리집게핀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머리집게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여러 가지 형상과 모양의 다양한 장식판이 설치되어서 집게 역할을 하게 되는 집게판에 집게의 텐션을 부여하기 위한 텐션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어서 이루어진 것이다.
종래의 머리집게핀(101)은 첨부된 도1 내지 도3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집게판(102)과 장식판(103)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집게판(102)은 상부판(104)과 하부판(105)이 힌지홀(106)을 가지고 각각 별도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판(104)과 하부판(105)이 탄성스프링(107)을 가지는 힌지핀(108)으로 조립되어져서 상기 상부판(104)과 하부판(105)이 힌지핀(108)을 중심으로 탄성스프링(107)에 의하여 탄성을 가지고 벌어질 수 있도록 되어지므로서 머리카락을 집어 줄 수 있는 머리집게핀(101)의 역할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머리집게핀(101)은 집게판(102)의 상부판(104)과 하부판(105)에 형성된 힌지홀(106)이 서로 일치되도록 맞추어지고, 상기 일치된 상부판(104)과 하부판(105)의 힌지홀(106)상에 탄성스프링(107)을 가지는 힌지핀(108)이 삽입되어진 후, 상기 힌지홀(106)내에 삽입되어 진 힌지핀(108)의 일단에 힌지핀(108)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기 위한 핀머리(109)를 박아주어야 하는 등 그 조립공정이 매우 까다롭고, 상기 조립공정의 자동화가 곤란하여 모두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또한, 상기 힌지핀(108)이 힌지홀(106)내에 삽입되기 위해서는 탄성스프링(107)의 양쪽 끝단이 강제로 오므려져서 탄성스프링(107)의 내경(107')과 힌지홀(106)이 일치되도록 한 후 힌지핀(108)이 관통되도록 삽입되어야 하므로 상기 탄성스프링(107)이 오므려진 상태가 잠시동안 일정상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치구의 사용이 불가피함은 물론, 상기 탄성스프링(107)이 강한 탄성력에 의하여 치구로부터 강하게 튕겨서 이탈되어 나가면서 작업자의 안전에 위협을 주게 되고, 이는 산업재해의 발생원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어진 것으로서, 머리카락을 집어주는 집게판의 상,하빗살부가 하나로 연결 형성되어서 "ㄷ"형을 이루도록 되고, 상기 하나로 연결된 상,하빗살부의 사이에 텐션연결부가 형성되므로서, 상기 집게판의 조립공정이 없이 집게판의 외측에 형성된 장식판 고정돌기에 의하여 장식판만 고정되면 상부빗살부와 하부빗살부가 장식판과 함께 텐션연결부의 텐션을 받으면서 벌어질 수 있도록 되므로서 바로 하나의 머리집게핀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은 종래 머리 집게핀의 분리 사시도,
도2는 도1의 결합 사시도,
도3은 도2의 측단면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머리집게핀의 정면 사시도,
도5는 도4의 집게판에 대한 배면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의 측면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머리 집게핀이 벌어진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집게판, 2- 장식판,
3- 머리집게핀, 4- 상부빗살부,
5- 하부빗살부, 6- 텐션연결부,
7- 장식판고정돌기, 8- 빗살.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집게판(1)과 장식판(2)으로 이루어진 머리집게핀(3)에 있어서, 상기 집게판(1)은 상부빗살부(4)와 하부빗살부(5)의 사이에 텐션연결부(6)가 일체로 형성되어서 이루어 진 것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첨부된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머리집게핀(3)의 구성도로서, 집게판(1)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적정위치에 장식판 고정돌기(7)나 관통홀이 외향되도록 돌출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장식판 고정돌기(7)를 이용하여 머리집게핀(3)의 외관을 꾸미게 되는 장식판(2)이 고정되도록 되어져 있다.
도5는 본 고안의 집게판(1)에 대한 배면 사시도써, 상기 집게판(1)은 "ㄷ"자 형으로 형성되어서 상부빗살부(4)와 하부빗살부(5)가 하나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빗살부(4)와 하부빗살부(5)의 사이에 텐션연결부(6)가 일체로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텐션연결부(6)는 빗살(8)이 형성된 반대편에 형성되어지는 동시에 상기 빗살(8)방향을 향하도록 만곡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집게판(1)은 도4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빗살부(4,5)의 선단에 빗살(8)이 형성되어져 있어서 머리카락을 물어 줄 수 있게 되며, 상기 상,하빗살부(4,5)의 사이에는 텐션연결부(6)가 일체로 형성되어져 있으므로 상기 상,하빗살부(4,5)가 텐션연결부(6)를 사이에 두고 텐션력을 가지며 벌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집게판(1)은 통상 탄성력이 우수한 금속제의 프레스물로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열처리 공정을 거치게 되므로서 머리집게핀(3)으로서 요구되는 텐션압력을 얻게 되나, 합성수지로도 얼마든지 성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상,하빗살부(4,5)의 외측에 장식판(1)이 얹혀지고 상기 상,하빗살부(4,5)의 안쪽에서 스폿용접기와 같은 별도의 장치에 의하여 각각의 장식판고정돌기(7)주변에 순간적인 전극이 가해지면 상기 장식판고정돌기(7)가 장식판(2)을 국부적, 순간적으로 녹이며서 파고 들어가므로서 상기 상,하빗살부(4,5)의 외측면에 장식판(2)이 고정 되게 된다. 즉, 장식판(2)은 장식판 고정돌기(7)에 의하여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며 따라서, 상,하빗살부(4,5)의 외측면에 고정된 장식판(1)에 인조보석등을 붙이면 하나의 머리집게핀(3)이 완성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장식판(1)과 상,하빗살부(4,5)는 장식판 고정돌기(7)에 의하지 않고 관통홀과 작은나사등에 의하여 서로 체결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집게판(1)과 장식판(2)의 결합이 이루어져서 완성된 머리 집게핀(3)은 상,하빗살부(4,5)의 빗살(8)이 서로 벌어질 수 있도록 상기 빗살(8)이 있는 반대편 쪽의 장식판(2) 끝을 눌러 주면 상,하빗살부(4,5)을 연결하고 있는 텐션연결부(6)가 텐션스프링의 작용을 하게 되므로서 적정 텐션 압력을 가지는 머리집게핀(3)의 역할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머리집게핀(3)의 집게압력 즉 텐션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집게판(1)의 제작시 텐션연결부(6)에 절곡부등을 형성하여 힘을 보강 할 수 있는 비드(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고, 상기 비드의 폭이나 깊이 또는 모양에 변화를 주므로서 텐션력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머리카락을 집어주는 집게판이 상,하빗살부의 사이에 텐션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므로서 상기 집게판의 조립공정이 없이 바로 상기 텐션연결부가 형성되어진 집게판의 외측에 장식판 고정돌기를 이용하여 장식판만 고정되면 바로 하나의 머리집게핀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재해 방지나 원가절감등 생산성 향상과 제품의 품질향상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Claims (1)
- 집게판(1)과 장식판(2)으로 이루어진 머리집게핀(3)에 있어서, 상기 집게판(1)은 상부빗살부(4)와 하부빗살부(5)의 사이에 텐션연결부(6)가 일체로 형성되어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집게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10102U KR200285647Y1 (ko) | 2002-04-03 | 2002-04-03 | 머리 집게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10102U KR200285647Y1 (ko) | 2002-04-03 | 2002-04-03 | 머리 집게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85647Y1 true KR200285647Y1 (ko) | 2002-08-13 |
Family
ID=73120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10102U KR200285647Y1 (ko) | 2002-04-03 | 2002-04-03 | 머리 집게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85647Y1 (ko) |
-
2002
- 2002-04-03 KR KR2020020010102U patent/KR20028564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60219255A1 (en) | Hair grip with a connection working in elongation | |
KR200285647Y1 (ko) | 머리 집게핀 | |
CN113273776B (zh) | 一种可拆卸表带的手表 | |
AU648932B2 (en) | Detent mechanism for controlling position of rotatable die | |
KR20190016652A (ko) | 무용접 조립형 메탈 안경테 | |
US4744646A (en) | Plastic eyeglass frames | |
KR102010763B1 (ko) | 스톤 비드를 이용한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유닛 | |
KR100569887B1 (ko) | 붙임머리 탈부착 장치 | |
GB2207047A (en) | A hair clip | |
KR101709753B1 (ko) | 집게형 머리핀 및 그 제조방법 | |
WO1998042227A1 (fr) | Montre-bracelet | |
KR200315186Y1 (ko) | 머리핀 | |
JP2600784Y2 (ja) | 眼鏡フレームにおける装飾体の止着構造 | |
KR200165252Y1 (ko) | 머리핀 | |
CN219069623U (zh) | 一种首饰单体及饰品 | |
CN216089234U (zh) | 一种扣合式手镯 | |
KR200236155Y1 (ko) | 금속제집게용머리핀 | |
KR200341800Y1 (ko) | 빗형 헤어핀 | |
KR100700202B1 (ko) | 클립형 체결장치 | |
KR200323322Y1 (ko) | 귀걸이 탈착구 | |
KR200410867Y1 (ko) | 귀걸이 뒷장식 | |
KR200210901Y1 (ko) | 장신구용 체결장치 | |
KR200254955Y1 (ko) | 귀걸이 | |
KR200304059Y1 (ko) | 헤어 아이롱 | |
KR100329087B1 (ko) | 전면 제어식 버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731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