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9074A - 아날로그 내장 자체 테스트 트랜시버 - Google Patents

아날로그 내장 자체 테스트 트랜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9074A
KR20160129074A KR1020167027316A KR20167027316A KR20160129074A KR 20160129074 A KR20160129074 A KR 20160129074A KR 1020167027316 A KR1020167027316 A KR 1020167027316A KR 20167027316 A KR20167027316 A KR 20167027316A KR 20160129074 A KR20160129074 A KR 20160129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amplifier
coupled
noise amplifier
receive
low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7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7242B1 (ko
Inventor
하임 멘델 웨이스먼
리오 라비브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129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1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calibration
    • H04B17/13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calibration of power amplifiers, e.g. gain or non-linearit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03F3/1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195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integra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using a combination of several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3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integra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1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calibration
    • H04B17/14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for calibration of the whol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ath, e.g. self-test loop-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04B17/15Performance testing
    • H04B17/19Self-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1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for calibration; for correcting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21Multiple switches coupled in the output circuit of an amplifier are controlled by a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Transceiver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장치는, 제 1 송신 경로에 커플링된 제 1 전력 증폭기, 제 1 수신 경로에 커플링된 제 1 저잡음 증폭기, 제 2 송신 경로에 커플링된 제 2 전력 증폭기, 및 제 2 수신 경로에 커플링된 제 2 저잡음 증폭기를 포함한다. 제 1 스위치는 제 1 전력 증폭기의 출력을 수신하도록 제 2 저잡음 증폭기를 선택적으로 커플링시키도록 구성된다. 제 2 스위치는 제 2 전력 증폭기의 출력을 수신하도록 제 1 저잡음 증폭기를 선택적으로 커플링시키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아날로그 내장 자체 테스트 트랜시버{ANALOG BUILT-IN SELF TEST TRANSCEIVER}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 인용
[0001] 본 출원은 2014년 3월 4일자로 출원된 공동 소유의 U.S. 정식 특허 출원 번호 14/196,743의 우선권을 청구하며, 그 내용은 본원에 인용에 의해 그 전체가 명시적으로 통합된다.
[0002] 본 개시 내용은 일반적으로, 아날로그 내장 자체 테스트 트랜시버(analog built-in self test transceiver)에 관련된다.
[0003] 기술의 진보들은 더 작고 더 강력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을 야기해 왔다. 예컨대, 무선 컴퓨팅 디바이스들, 예컨대, 휴대용 무선 전화들, 퍼스널 디지털 어시스턴트(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들, 및 작고, 가볍고, 사용자들이 쉽게 휴대하는 페이징 디바이스들을 비롯해, 다양한 휴대용 퍼스널 컴퓨팅 디바이스들이 현재 존재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휴대용 무선 전화들, 예컨대, 셀룰러 전화들 및 인터넷 프로토콜(IP:Internet protocol) 전화들은 무선 네트워크들을 통하여 음성 및 데이터 패킷들을 통신할 수 있다. 추가로, 많은 이러한 무선 전화들은 그 안에 통합되는 다른 타입들의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예컨대, 무선 전화는 또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레코더, 및 오디오 파일 플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무선 전화들은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예컨대, 인터넷에 액세스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을 비롯한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프로세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무선 전화들은 상당한 컴퓨팅 능력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04] 무선 전화는 트랜시버를 사용하여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트랜시버의 프론트-엔드는 (신호 수신을 위한) 다수의 저잡음 증폭기들 및 (신호 송신을 위한) 다수의 전력 증폭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및 수신 특성들(예컨대, 전력, 잡음 지수, 선형성, 이득 등)을 테스팅하기 위한 내장 자체 테스트(BiST:built-in self test) 메커니즘이 트랜시버의 백-엔드에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트랜시버의 백-엔드에 있는 모뎀은 트랜시버의 프론트-엔드에 있는 증폭기들의 특성들을 결정할 수 없을 수 있다. 부가하여, BiST 메커니즘이 트랜시버의 백-엔드에 구현된다면, 트랜시버는 전력 증폭기들 및/또는 저잡음 증폭기들을 교정할 수 없을 수 있다.
[0005] 도 1은 무선 시스템과 통신하는 무선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0006] 도 2는 도 1의 무선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0007] 도 3은 아날로그 내장 자체 테스트(BiST)를 가능하게 하는 토폴로지를 갖는 트랜시버의 예시적 실시예를 묘사하는 다이어그램이다.
[0008] 도 4는 아날로그 내장 자체 테스트(BiST)를 가능하게 하는 토폴로지를 갖는 트랜시버의 예시적 실시예를 묘사하는 다이어그램이다.
[0009] 도 5는 아날로그 BiST를 가능하게 하는 토폴로지를 갖는 트랜시버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를 묘사하는 다이어그램이다.
[0010] 도 6은 아날로그 BIST를 가능하게 하는 토폴로지를 갖는 트랜시버(600)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를 묘사하는 다이어그램이다.
[0011] 도 7은 트랜시버 컴포넌트들에 대한 아날로그 내장 자체 테스팅을 인에이블하기 위한 방법의 예시적 실시예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0012] 하기에서 제시되는 상세한 설명은 본 개시 내용의 예시적 설계들의 설명으로서 의도되고, 본 개시 내용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설계들을 표현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예시적"이란 용어는 본원에서 "예, 사례, 또는 예시로서의 역할을 하는"을 의미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에서 "예시적"으로서 설명되는 임의의 설계가 반드시 다른 설계들에 비하여 바람직하거나 또는 유리한 것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세한 설명은 본 개시 내용의 예시적 설계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는 목적을 위해 특정 세부사항들을 포함한다. 본원에 설명되는 예시적 설계들이 이들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이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일부 사례들에서, 잘-알려져 있는 구조들 및 디바이스들은 본원에 제시되는 예시적 설계들의 신규성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0013]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120)과 통신하는 무선 디바이스(110)를 도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120)은 롱 텀 에볼루션(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 글로벌 이동 통신 시스템(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시스템,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시스템, 또는 어떤 다른 무선 시스템일 수 있다. CDMA 시스템은 와이드밴드 CDMA(WCDMA:Wideband CDMA), CDMA 1X, EVDO(Evolution-Data Optimized), 시분할 동기 CDMA(TD-SCDMA:Time Division Synchronous CDMA), 또는 CDMA의 어떤 다른 버전을 구현할 수 있다. 단순성을 위해, 도 1은 두 개의 기지국들(130 및 132) 및 하나의 시스템 제어기(140)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120)을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무선 시스템은 임의의 개수의 기지국들, 및 네트워크 엔티티들의 임의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0014] 무선 디바이스(110)는 또한, 사용자 장비(UE:user equipment), 모바일 스테이션, 단말, 액세스 단말, 가입자 유닛, 스테이션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셀룰러 폰, 스마트폰, 태블릿, 무선 모뎀, 퍼스널 디지털 어시스턴트(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핸드헬드 디바이스, 랩톱 컴퓨터, 스마트북, 넷북, 코드리스 폰, 무선 로컬 루프(WLL:wireless local loop) 스테이션, 블루투스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무선 시스템(120)과 통신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또한, 브로드캐스트 스테이션들(예컨대, 브로드캐스트 스테이션(134))로부터의 신호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글로벌 내비게이션 위성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들의 위성들(예컨대, 위성(150))로부터의 신호들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LTE, WCDMA, CDMA 1X, EVDO, TD-SCDMA, GSM, 802. 11 등과 같은 무선 통신을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라디오 기술들을 지원할 수 있다.
[0015] 도 2는 도 1의 무선 디바이스(110)의 예시적 설계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이 예시적 설계에서, 무선 디바이스(110)는 일차 안테나(210)에 커플링된 트랜시버(220), 이차 안테나(212)에 커플링된 트랜시버(222), 및 데이터 프로세서/제어기(280)를 포함한다. 트랜시버(220)는 다수의 주파수 대역들, 다수의 라디오 기술들,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등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K) 개의 수신기들(230pa 내지 230pk) 및 다수(K) 개의 송신기들(250pa 내지 250pk)을 포함한다. 트랜시버(222)는 다수의 주파수 대역들, 다수의 라디오 기술들, 캐리어 어그리게이션, 수신 다이버시티, 다수의 송신 안테나들로부터 다수의 수신 안테나들로의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송신 등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L) 개의 수신기들(230sa 내지 230sl) 및 다수(L) 개의 송신기들(250sa 내지 250sl)을 포함한다.
[0016] 도 2에 도시된 예시적 설계에서, 각각의 수신기(230)는 LNA(240) 및 수신 회로들(242)을 포함한다. 데이터 수신의 경우, 안테나(210)는 기지국들 및/또는 다른 송신기 스테이션들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고, 수신 RF 신호를 제공하며, 이 수신 RF 신호는 안테나 인터페이스 회로(224)를 통해 라우팅되고, 입력 RF 신호로서 선택된 수신기에 제시된다. 안테나 인터페이스 회로(224)는 스위치들, 듀플렉서들, 송신 필터들, 수신 필터들, 매칭 회로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기의 설명은, 수신기(230pa)가 선택된 수신기임을 가정한다. 수신기(230pa) 내에서, LNA(240pa)는 입력 RF 신호를 증폭하고, 출력 RF 신호를 제공한다. 수신 회로들(242pa)은 출력 RF 신호를 RF로부터 베이스밴드로 하향변환하고, 하향변환된 신호를 증폭 및 필터링하며, 그리고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데이터 프로세서(280)에 제공한다. 수신 회로들(242pa)은 믹서들, 필터들, 증폭기들, 매칭 회로들, 오실레이터, 로컬 오실레이터(LO:local oscillator) 생성기, 위상 고정 루프(PLL:phase locked lo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들(220 및 222)의 각각의 나머지 수신기(230)는 수신기(230pa)와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0017] 도 2에 도시된 예시적 설계에서, 각각의 송신기(250)는 송신 회로들(252) 및 전력 증폭기(PA:power amplifier)(254)를 포함한다. 데이터 송신의 경우, 데이터 프로세서(280)는 송신될 데이터를 프로세싱(예컨대, 인코딩 및 변조)하고, 아날로그 출력 신호를 선택된 송신기에 제공한다. 하기의 설명은, 송신기(250pa)가 선택된 송신기임을 가정한다. 송신기(250pa) 내에서, 송신 회로들(252pa)은 아날로그 출력 신호를 베이스밴드로부터 RF로 증폭, 필터링, 및 상향변환하고, 변조된 RF 신호를 제공한다. 송신 회로들(252pa)은 증폭기들, 필터들, 믹서들, 매칭 회로들, 오실레이터, LO 생성기, PL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PA(254pa)는 변조된 RF 신호를 수신 및 증폭하고, 적절한 출력 전력 레벨을 갖는 송신 RF 신호를 제공한다. 송신 RF 신호는 안테나 인터페이스 회로(224)를 통해 라우팅되고, 안테나(210)를 통해 송신된다. 트랜시버들(220 및 222)의 각각의 나머지 송신기(250)는 송신기(250pa)와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0018] 도 2는 수신기(230) 및 송신기(250)의 예시적 설계를 도시한다. 수신기 및 송신기는 또한,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회로들, 예컨대, 필터들, 매칭 회로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랜시버들(220 및 222) 중 일부 또는 전부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아날로그 집적 회로(IC:integrated circuit)들, RF IC들(RFIC들), 믹싱된-신호 IC들 등 상에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LNA들(240) 및 수신 회로들(242)은 하나의 모듈 상에 구현될 수 있고, 이 모듈은 RFIC 등일 수 있다. 트랜시버들(220 및 222)의 회로들은 또한, 다른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트랜시버들(220 및 222)은 도 3-도 7에 대하여 설명되는 아날로그 내장 자체 테스트(BiST)를 인에이블하기 위한 토폴로지를 가질 수 있다.
[0019] 데이터 프로세서/제어기(280)는 무선 디바이스(110)에 대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프로세서(280)는 수신기들(230)을 통해 수신되고 있는 데이터 및 송신기들(250)을 통해 송신되고 있는 데이터에 대한 프로세싱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기(280)는 트랜시버들(220 및 222) 내의 다양한 회로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282)는 데이터 프로세서/제어기(280)에 대한 프로그램 코드들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프로세서/제어기(280)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주문형 집적 회로(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들 및/또는 다른 IC들 상에 구현될 수 있다.
[0020] 무선 디바이스(110)는 다수의 대역 그룹들, 다수의 라디오 기술들, 및/또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10)는 다수의 대역 그룹들, 다수의 라디오 기술들, 및/또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통한 수신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LNA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21] 도 3을 참조하면, 아날로그 내장 자체 테스트(BiST)를 가능하게 하는 토폴로지를 갖는 트랜시버(300)의 예시적 실시예가 도시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도 1-도 2의 무선 디바이스(110)는 트랜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트랜시버(300)는 도 2의 트랜시버들(220, 222) 각각에 대응할 수 있다. 트랜시버(300)는 스위칭 네트워크(302), 제 1 전력 센서(304)(예컨대, 라디오-주파수 전력 센서), 제 2 전력 센서(306)(예컨대, 라디오-주파수 전력 센서), 및 로컬 오실레이터(3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트랜시버(300)는 또한, 트랜시버들의 제 1 어레이(Split 1_1, Split 1_2) 및 트랜시버들의 제 2 어레이(Split 2_1, Split 2_2)를 포함한다. 예컨대, 트랜시버(300)는 빔-포밍 메커니즘들을 위해 사용되는 다중-안테나 어레이 트랜시버일 수 있다.
[0022] 트랜시버들의 제 1 어레이(Split 1_1, Split 1_2)는 제 1 트랜시버, 제 2 트랜시버, 제 3 트랜시버, 및 제 4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트랜시버는 대응하는 전력 증폭기, 저잡음 증폭기, 및 위상 시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트랜시버는 제 1 전력 증폭기(PA 1), 제 1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LNA 1), 및 제 1 위상 시프터(PS 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력 증폭기(PA 1)는 제 1 송신 경로를 통해 제 1 위상 시프터(PS 1)에 커플링되고, 제 1 저잡음 증폭기(LNA 1)는 제 1 수신 경로를 통해 제 1 위상 시프터(PS 2)에 커플링된다. 예컨대, 제 2 트랜시버는 제 2 전력 증폭기(PA 2), 제 2 저잡음 증폭기(LNA 2), 및 제 2 위상 시프터(PS 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전력 증폭기(PA 2)는 제 2 송신 경로를 통해 제 2 위상 시프터(PS 2)에 커플링되고, 제 2 저잡음 증폭기(LNA 2)는 제 2 수신 경로를 통해 제 2 위상 시프터(PS 2)에 커플링된다. 제 3 트랜시버는 제 3 전력 증폭기(PA 3), 제 3 저잡음 증폭기(LNA 3), 및 제 3 위상 시프터(PS 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전력 증폭기(PA 3)는 제 3 송신 경로를 통해 제 3 위상 시프터(PS 3)에 커플링되고, 제 3 저잡음 증폭기(LNA 3)는 제 3 수신 경로를 통해 제 3 위상 시프터(PS 3)에 커플링된다. 제 4 트랜시버는 제 4 전력 증폭기(PA 4), 제 4 저잡음 증폭기(LNA 4), 및 제 4 위상 시프터(PS 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4 전력 증폭기(PA 4)는 제 4 송신 경로를 통해 제 4 위상 시프터(PS 4)에 커플링되고, 제 4 저잡음 증폭기(LNA 4)는 제 4 수신 경로를 통해 제 4 위상 시프터(PS 4)에 커플링된다.
[0023] 트랜시버들의 제 2 어레이(Split 2_1, Split 2_2)는 제 5 트랜시버, 제 6 트랜시버, 제 7 트랜시버, 및 제 8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5 트랜시버는 제 5 전력 증폭기(PA 5), 제 5 저잡음 증폭기(LNA 5), 및 제 5 위상 시프터(PS 5)를 포함할 수 있다. 제 5 전력 증폭기(PA 5)는 제 5 송신 경로를 통해 제 5 위상 시프터(PS 5)에 커플링되고, 제 5 저잡음 증폭기(LNA 5)는 제 5 수신 경로를 통해 제 5 위상 시프터(PS 5)에 커플링된다. 제 6 트랜시버는 제 6 전력 증폭기(PA 6), 제 6 저잡음 증폭기(LNA 6), 및 제 6 위상 시프터(PS 6)를 포함할 수 있다. 제 6 전력 증폭기(PA 5)는 제 6 송신 경로를 통해 제 6 위상 시프터(PS 6)에 커플링되고, 제 6 저잡음 증폭기(LNA 6)는 제 6 수신 경로를 통해 제 6 위상 시프터(PS 6)에 커플링된다. 제 7 트랜시버는 제 7 전력 증폭기(PA 7), 제 7 저잡음 증폭기(LNA 7), 및 제 7 위상 시프터(PS 7)를 포함할 수 있다. 제 7 전력 증폭기(PA 7)는 제 7 송신 경로를 통해 제 7 위상 시프터(PS 7)에 커플링되고, 제 7 저잡음 증폭기(LNA 7)는 제 7 수신 경로를 통해 제 7 위상 시프터(PS 7)에 커플링된다. 제 8 트랜시버는 제 8 전력 증폭기(PA 8), 제 8 저잡음 증폭기(LNA 8), 및 제 8 위상 시프터(PS 8)를 포함할 수 있다. 제 8 전력 증폭기(PA 8)는 제 8 송신 경로를 통해 제 8 위상 시프터(PS 8)에 커플링되고, 제 8 저잡음 증폭기(LNA 8)는 제 8 수신 경로를 통해 제 8 위상 시프터(PS 8)에 커플링된다.
[0024] 각각의 전력 증폭기(PA 1-PA 8)는 무선 네트워크, 예컨대, 도 1의 무선 시스템(120)과 연관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신될 신호들을 증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저잡음 증폭기(LNA 1-LNA 8)는 무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의 이득을 증폭 및 개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25] 트랜시버들의 제 1 어레이(Split 1_1, Split 1_2)의 전력 증폭기 및 트랜시버들의 제 2 어레이(Split 2_1, Split 2_2)의 저잡음 증폭기는 아날로그 BiST를 인에이블하기 위해 3-상태 스위치를 통해 서로 커플링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전력 증폭기(PA 1)는 제 1의 3-상태 스위치(321)를 통해 제 5 저잡음 증폭기(LNA 5)에 커플링될 수 있고, 제 2 전력 증폭기(PA 2)는 제 2의 3-상태 스위치(322)를 통해 제 6 저잡음 증폭기(LNA 6)에 커플링될 수 있고, 제 3 전력 증폭기(PA 3)는 제 3의 3-상태 스위치(323)를 통해 제 7 저잡음 증폭기(LNA 7)에 커플링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 4 전력 증폭기(PA 4)는 제 4의 3-상태 스위치(324)를 통해 제 8 저잡음 증폭기(LNA 8)에 커플링될 수 있다. 각각의 3-상태 스위치(321-324)는 대응하는 안테나(331-334)(예컨대, 안테나 엘리먼트)에 커플링될 수 있다.
[0026] 유사한 방식으로, 트랜시버들의 제 2 어레이(Split 2_1, Split 2_2)의 전력 증폭기 및 트랜시버들의 제 1 어레이(Split 1_1, Split 1_2)의 저잡음 증폭기는 아날로그 BiST를 인에이블하기 위해 3-상태 스위치를 통해 서로 커플링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저잡음 증폭기(LNA 1)는 제 5의 3-상태 스위치(325)를 통해 제 5 전력 증폭기(PA 5)에 커플링될 수 있고, 제 2 저잡음 증폭기(LNA 2)는 제 6의 3-상태 스위치(326)를 통해 제 6 전력 증폭기(PA 6)에 커플링될 수 있고, 제 3 저잡음 증폭기(LNA 3)는 제 7의 3-상태 스위치(327)를 통해 제 7 전력 증폭기(PA 7)에 커플링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 4 저잡음 증폭기(LNA 4)는 제 8의 3-상태 스위치(328)를 통해 제 8 전력 증폭기(PA 8)에 커플링될 수 있다. 각각의 3-상태 스위치(325-328)는 대응하는 안테나(335-338)(예컨대, 안테나 엘리먼트)에 커플링될 수 있다.
[0027] 각각의 3-상태 스위치(321-328)는 대응하는 안테나들(331-338)을 통해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 상태, 대응하는 안테나들(331-338)을 통해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 상태, 송신 특성들 및 수신 특성들의 동시 테스팅을 인에이블하기 위해 대응하는 전력 증폭기로부터 대응하는 저잡음 증폭기로 송신 신호(예컨대, 누설 전류)를 제공하기 위한 루프백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 예로서, 하기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루프백 상태 동안에, 제 1의 3-상태 스위치(321)는 제 1 전력 증폭기(PA 1)의 송신 특성들 및 제 5 저잡음 증폭기(LNA 5)의 수신 특성들의 동시 테스팅을 인에이블하기 위해 제 1 전력 증폭기(PA 1)로부터 제 5 저잡음 증폭기(LNA 5)로 송신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0028] 스위칭 네트워크(302)는 제 1 송신 드라이버(342), 제 1 수신 드라이버(344)(예컨대, 감쇠기), 제 2 송신 드라이버(346), 제 2 수신 드라이버(348), 제 1 다이버시티 스위치(350), 및 제 2 다이버시티 스위치(3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송신 드라이버(342) 및 제 1 수신 드라이버(344)는 스위치를 통해 트랜시버들의 제 1 어레이(Split 1_1, Split 1_2)에 선택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예컨대, 트랜시버들의 제 1 어레이(Split 1_1, Split 1_2)는 송신 상태 동안에 대응하는 전력 증폭기들(PA 1-PA 4)을 통한 신호 송신을 인에이블하기 위해 또는 루프백 상태 동안에 전력 증폭기들(PA 1-PA 4)의 송신 테스팅을 인에이블하기 위해 제 1 송신 드라이버(342)에 커플링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트랜시버들의 제 1 어레이(Split 1_1, Split 1_2)는 대응하는 저잡음 증폭기들(LNA 1-LNA 4)을 통한 신호 수신을 인에이블하기 위해 또는 루프백 모드 동안에 저잡음 증폭기들(LNA 1-LNA 4)의 수신 테스팅을 인에이블하기 위해 제 1 수신 드라이버(344)에 커플링될 수 있다.
[0029] 제 2 송신 드라이버(346) 및 제 2 수신 드라이버(348)는 트랜시버들의 제 2 어레이(Split 2_1, Split 2_2)에 선택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예컨대, 트랜시버들의 제 2 어레이(Split 2_1, Split 2_2)는 송신 상태 동안에 대응하는 전력 증폭기들(PA 5-PA 8)을 통한 신호 송신을 인에이블하기 위해 또는 루프백 상태 동안에 전력 증폭기들(PA 5-PA 8)의 송신 테스팅을 인에이블하기 위해 제 2 송신 드라이버(346)에 커플링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트랜시버들의 제 2 어레이(Split 2_1, Split 2_2)는 대응하는 저잡음 증폭기들(LNA 5-LNA 8)을 통한 신호 수신을 인에이블하기 위해 또는 루프백 모드 동안에 저잡음 증폭기들(LNA 5-LNA 8)의 수신 테스팅을 인에이블하기 위해 제 2 수신 드라이버(348)에 커플링될 수 있다.
[0030] 제 1 다이버시티 스위치(350)는 송신 경로를 제 1 송신 드라이버(342)에 또는 제 2 송신 드라이버(346)에 선택적으로 커플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다이버시티 스위치(350)는 제 1 믹서(308)(예컨대, 송신 믹서)에 커플링될 수 있고, 제 1 믹서(308)는 로컬 오실레이터(312)로부터 로컬 오실레이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커플링될 수 있다. 제 1 믹서(308)는 송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로컬 오실레이터 신호를 송신 경로로부터의 중간 주파수 송신 신호(TX IF)와 믹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신 신호는, 제 1 다이버시티 스위치(350)의 상태에 기초하여, 트랜시버들의 제 1 어레이(Split 1_1, Split 1_2)의 전력 증폭기들(PA 1-PA 4)에 또는 트랜시버들의 제 2 어레이(Split 2_1, Split 2_2)의 전력 증폭기들(PA 5-PA 8)에 제공될 수 있다.
[0031] 제 2 다이버시티 스위치(352)는 수신 경로를 제 1 수신 드라이버(344)에 또는 제 2 수신 드라이버(348)에 선택적으로 커플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 2 다이버시티 스위치(352)는 제 2 믹서(310)에 커플링될 수 있고, 제 2 믹서(310)는 로컬 오실레이터(312)로부터 로컬 오실레이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커플링될 수 있다. 제 2 믹서(310)는 수신 중간 주파수 신호(RX IF)를 생성하기 위해 로컬 오실레이터 신호를 수신 신호와 믹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신 신호는, 제 2 다이버시티 스위치(352)의 상태에 기초하여, 트랜시버들의 제 1 어레이(Split 1_1, Split 1_2)의 저잡음 증폭기들(LNA 1-LNA 4) 또는 트랜시버들의 제 2 어레이(Split 2_1, Split 2_2)의 저잡음 증폭기들(LNA 5-LNA 8)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0032] 루프백 상태(예컨대, 루프백 테스팅) 동안에, 트랜시버(300)는 트랜시버들의 하나의 어레이의 전력 증폭기들의 송신 특성들 및 트랜시버들의 다른 어레이의 저잡음 증폭기들의 수신 특성들을 테스팅할 수 있다. 따라서, 트랜시버(300)의 프론트-엔드에 있는 컴포넌트들(예컨대, 전력 증폭기들 및 저잡음 증폭기들)의 특성들이 루프백 테스팅 동안에(예컨대, 아날로그 BiST 동안에) 테스팅될 수 있다. 예시적인 예로서, 루프백 상태 동안에 제 1 다이버시티 스위치(350)가 제 1 송신 드라이버(342)를 제 1 믹서(308)에 커플링시키고 제 2 다이버시티 스위치(352)가 제 2 수신 드라이버(348)를 제 2 믹서(310)에 커플링시킨다면, 트랜시버(300)는 트랜시버들의 제 1 어레이(Split 1_1, Split 1_2)의 전력 증폭기들(PA 1-PA 4)의 송신 특성들 및 트랜시버들의 제 2 어레이(Split 2_1, Split 2_2)의 저잡음 증폭기들(LNA 5-LNA 8)의 수신 특성들을 테스팅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예로서, 루프백 상태 동안에 제 1 다이버시티 스위치(350)가 제 2 송신 드라이버(346)를 제 1 믹서(308)에 커플링시키고 제 2 다이버시티 스위치(352)가 제 1 수신 드라이버(344)를 제 2 믹서(310)에 커플링시킨다면, 트랜시버(300)는 트랜시버들의 제 2 어레이(Split 2_1, Split 2_2)의 전력 증폭기들(PA 5-PA 8)의 송신 특성들 및 트랜시버들의 제 1 어레이(Split 1_1, Split 1_2)의 저잡음 증폭기들(LNA 1-LNA 4)의 수신 특성들을 테스팅할 수 있다.
[0033] 송신 특성들의 테스팅은 중간 주파수 송신 신호(TX IF)의 신호 특성들을 측정하도록 제 1 전력 센서(304)를 커플링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고, 수신 특성들의 테스팅은 수신 중간 주파수 신호(RX IF)의 신호 특성들을 측정하도록 제 2 전력 센서(306)를 커플링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전력 센서들(304, 306)은 중간 주파수 송신 신호(TX IF)의 전력, 중간 주파수 송신 신호(TX IF)의 이득, 중간 주파수 송신 신호(TX IF)와 연관된 로컬 오실레이터 누설, 중간 주파수 송신 신호(TX IF)의 선형성 또는 출력 전력(OP1dB),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측정(예컨대, 계산)할 수 있다. 전력 센서들(304, 306)은 또한, 수신 중간 주파수 신호(RX IF)의 잡음 지수, 수신 중간 주파수 신호(RX IF)의 이득, 수신 중간 주파수 신호(RX IF)의 입력 전력(IP1dB),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측정할 수 있다.
[0034] 두 개의 전력 센서들(304, 306)이 예시되지만, 다른 예시적 실시예들에서, 측정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부가적인 전력 센서들이 트랜시버(300)에 또는 트랜시버(300)의 컴포넌트들에 커플링될 수 있다. 비-제한적 예로서, 비교적 높은 정확성으로 제 1 전력 증폭기(PA 1)의 출력 전력을 측정하기 위해, 전력 센서는 제 1 전력 증폭기(PA 1)의 출력(예컨대, 제 1 전력 증폭기(PA 1)와 제 1의 3-상태 스위치(321) 사이)에 커플링될 수 있다. 다른 비-제한적 예로서, 스위칭 네트워크(302) 내의 컴포넌트들에 기인할 수 있는 전력 누설에 앞서 전력 측정들을 인에이블하기 위해, 전력 센서는 트랜시버들의 제 1 어레이(Split 1_1)와 스위칭 네트워크(302) 사이에 커플링될 수 있다.
[0035]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루프백 상태 동안에, 트랜시버(300)는 송신 드라이버들(342, 346)의 송신 특성들 및 수신 드라이버들(344, 348)의 수신 특성들을 테스팅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송신 드라이버(342)의 출력 및 제 1 수신 드라이버의 입력에 커플링된 스위치가 또한 3-상태 스위치일 수 있다. 따라서, 루프백 상태에서, 제 1 송신 드라이버(342)의 출력이 3-상태 스위치를 통해 제 1 수신 드라이버(344)의 입력에 커플링될 수 있어, 제 1 송신 드라이버(342)로부터의 누설 전류가 제 1 수신 드라이버(344)에 제공된다. 이 구성에서, 전력 센서들(304, 306)은 위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 1 송신 드라이버(342)의 송신 특성들 및 제 1 수신 드라이버(344)의 수신 특성들을 측정할 수 있다.
[0036] 루프백 상태(예컨대, 각각의 3-상태 스위치(321-328)가 루프백 상태로 있음)의 제 1 예시적 실시예의 동작 동안에, 트랜시버들의 제 1 어레이(Split 1_1, Split 1_2)의 전력 증폭기들(PA 1-PA 4) 및 트랜시버들의 제 2 어레이(Split 2_1, Split 2_2)의 저잡음 증폭기들(LNA 5-LNA 8)의 테스팅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송신 드라이버(342)는 트랜시버들의 제 1 어레이(Split 1_1, Split 1_2)에 커플링될 수 있고, 제 2 수신 드라이버(348)는 트랜시버들의 제 2 어레이(Split 2_1, Split 2_2)에 커플링될 수 있다. 부가하여, 제 1 다이버시티 스위치(350)는 제 1 송신 드라이버(342)를 제 1 믹서(308)에 커플링시킬 수 있고, 제 2 다이버시티 스위치(352)는 제 2 수신 드라이버(348)를 제 2 믹서(310)에 커플링시킬 수 있다.
[0037] 제 1 믹서(308)는 송신 신호(예컨대, 로컬 오실레이터 신호와 믹싱된 중간 주파수 송신 신호(TX IF))를 제 1 송신 드라이버(342)를 통해 각각의 전력 증폭기(PA 1-PA 4)에 제공할 수 있다. 전력 증폭기들(PA 1-PA 4)은 송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고, 증폭된 송신 신호(예컨대, 라디오 주파수 송신 신호)를, 도 4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3-상태 스위치들(321-328)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저잡음 증폭기들(LNA 5-LNA 8)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제 1 전력 증폭기(PA 1)는 증폭된 송신 신호를 제 5 저잡음 증폭기(LNA 5)에 제공할 수 있고, 제 2 전력 증폭기(PA 2)는 증폭된 송신 신호를 제 6 저잡음 증폭기(LNA 6)에 제공할 수 있으며, 제 3 전력 증폭기(PA 3)는 증폭된 송신 신호를 제 7 저잡음 증폭기(LNA 7)에 제공할 수 있고, 그리고 제 4 전력 증폭기(PA 4)는 증폭된 송신 신호를 제 8 저잡음 증폭기(LNA 8)에 제공할 수 있다.
[0038] 저잡음 증폭기들(LNA 5-LNA 8)은 증폭된 송신 신호들을 증폭시켜, 수신 신호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신 신호들은 제 2 다이버시티 스위치(352)를 통해 제 2 수신 드라이버(348) 및 제 2 믹서(310)에 제공될 수 있다. 제 2 믹서(310)는 수신 신호들을 로컬 오실레이터 신호와 믹싱함으로써 수신 중간 주파수 신호(RX IF)를 생성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력 검출기들(304, 306)은 중간 주파수 송신 신호(TX IF) 및 수신 중간 주파수 신호(RX IF)의 신호 품질들을 각각 측정할 수 있다.
[0039] 루프백 상태(예컨대, 각각의 3-상태 스위치(321-328)가 루프백 상태로 있음)의 제 2 예시적 실시예의 동작 동안에, 트랜시버들의 제 2 어레이(Split 2_1, Split 2_2)의 전력 증폭기들(PA 5-PA 8) 및 트랜시버들의 제 1 어레이(Split 1_1, Split 1_2)의 저잡음 증폭기들(LNA 1-LNA 4)의 동시 테스팅이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수신 드라이버(344)는 트랜시버들의 제 1 어레이(Split 1_1, Split 1_2)에 커플링될 수 있고, 제 2 송신 드라이버(346)는 트랜시버들의 제 2 어레이(Split 2_1, Split 2_2)에 커플링될 수 있다. 부가하여, 제 1 다이버시티 스위치(350)는 제 2 송신 드라이버(346)를 제 1 믹서(308)에 커플링시킬 수 있고, 제 2 다이버시티 스위치(352)는 제 1 수신 드라이버(344)를 제 2 믹서(310)에 커플링시킬 수 있다.
[0040] 제 1 믹서(308)는 송신 신호(예컨대, 로컬 오실레이터 신호와 믹싱된 중간 주파수 송신 신호(TX IF))를 제 2 송신 드라이버(346)를 통해 각각의 전력 증폭기(PA 5-PA 8)에 제공할 수 있다. 전력 증폭기들(PA 5-PA 8)은 송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고, 증폭된 송신 신호(예컨대, 라디오 주파수 송신 신호)를, 도 4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3-상태 스위치들(321-328)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저잡음 증폭기들(LNA 1-LNA 4)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제 5 전력 증폭기(PA 5)는 증폭된 송신 신호를 제 1 저잡음 증폭기(LNA 1)에 제공할 수 있고, 제 6 전력 증폭기(PA 6)는 증폭된 송신 신호를 제 2 저잡음 증폭기(LNA 2)에 제공할 수 있으며, 제 7 전력 증폭기(PA 7)는 증폭된 송신 신호를 제 3 저잡음 증폭기(LNA 3)에 제공할 수 있고, 그리고 제 8 전력 증폭기(PA 8)는 증폭된 송신 신호를 제 4 저잡음 증폭기(LNA 4)에 제공할 수 있다.
[0041] 저잡음 증폭기들(LNA 1-LNA 4)은 증폭된 송신 신호들을 증폭시켜, 수신 신호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신 신호들은 제 2 다이버시티 스위치(352)를 통해 제 1 수신 드라이버(344) 및 제 2 믹서(310)에 제공될 수 있다. 제 2 믹서(310)는 수신 신호들을 로컬 오실레이터 신호와 믹싱함으로써 수신 중간 주파수 신호(RX IF)를 생성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력 검출기들(304, 306)은 중간 주파수 송신 신호(TX IF) 및 수신 중간 주파수 신호(RX IF)의 신호 특성들을 각각 측정할 수 있다.
[0042] 트랜시버(300)의 토폴로지는, 전력 증폭기들(PA 1-PA 8)의 특성들 및 저잡음 증폭기들(LNA 1-LNA 8)의 특성들이 전력 센서들(304, 306)에 의해 결정된 메트릭 값들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예컨대, 트랜시버(300) 토폴로지는 BiST(예컨대, 루프백 테스팅)를 통합시키기 위해 특정한 트랜시버의 전력 증폭기(예컨대, 제 1 전력 증폭기(PA 1))와 다른 트랜시버의 저잡음 증폭기(예컨대, 제 5 저잡음 증폭기(LNA 5)) 사이의 누설 경로를 지원한다. 따라서, 트랜시버(300)의 토폴로지는, 프론트-엔드에서 전력 증폭기들(PA 1-PA 8) 및 저잡음 증폭기들(LNA 1-LNA 8)의 아날로그 BiST를 가능하게 한다.
[0043] 예시적 실시예에서, 트랜시버(300)는 라디오 주파수/중간 주파수(RF/IF) 컨버터 칩 상에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아날로그 BiST는 성능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전력 센서들(304, 306)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0044] 도 4를 참조하면, 아날로그 내장 자체 테스트(BiST)를 가능하게 하는 토폴로지를 갖는 트랜시버(예컨대, 트랜시버(300))의 안테나 체인(400)의 예시적 실시예가 도시된다. 안테나 체인(400)은 트랜시버들의 제 1 어레이(Split 1_1, Split 1_2)의 제 1 전력 증폭기(PA 1) 및 트랜시버들의 제 2 어레이(Split 2_1, Split 2_2)의 제 5 저잡음 증폭기(LNA 5)를 포함한다. 트랜시버(300)의 다른 안테나 체인들의 토폴로지가 도 4에 묘사되는 안테나 체인(400)의 토폴로지와 실질적으로 유사함이 주목되어야 한다.
[0045] 제 1 전력 증폭기(PA 1)는 제 1의 3-상태 스위치(321)에 커플링될 수 있고, 저잡음 증폭기(LNA 5)가 또한 제 1의 3-상태 스위치(321)에 커플링될 수 있다. 제 1의 3-상태 스위치(321)는 또한 제 1 안테나(331)에 커플링될 수 있다. 제 1 위상 시프터(PS 1)는 제 1 전력 증폭기(PA 1)의 입력에 커플링될 수 있고, 제 5 위상 시프터(PS 5)는 제 5 저잡음 증폭기(LNA 5)의 출력에 커플링될 수 있다.
[0046] 제 1의 3-상태 스위치(321)는 송신 상태, 수신 상태, 또는 루프백 상태로 스위칭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송신 상태 동안에, 제 1의 3-상태 스위치(321)는 제 1 안테나(331)를 제 1 전력 증폭기(PA 1)의 출력에 커플링시킨다. 송신 상태 동안에, 제 1 전력 증폭기(PA 1)는 라디오 주파수 송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송신 신호를 증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라디오 주파수 송신 신호는 제 1 안테나(331)를 통해 무선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하여 송신될 수 있다.
[0047] 수신 상태 동안에, 제 1의 3-상태 스위치(321)는 제 1 안테나(331)를 제 5 저잡음 증폭기(LNA 5)의 출력에 커플링시킨다. 수신 라디오 주파수 신호는 수신 상태 동안에 제 1 안테나(331)를 통해 제 5 저잡음 증폭기(LNA 5)에 제공될 수 있다. 제 5 저잡음 증폭기(LNA 5)는, 수신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수신 라디오 주파수 신호의 이득을 증폭 및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48] 루프백 상태 동안에, 제 1의 3-상태 스위치(321)는 제 1 전력 증폭기(PA 1)의 출력을 제 5 저잡음 증폭기(LNA 5)의 입력에 커플링시킬 수 있다. 제 1 전력 증폭기(PA 1)에서 생성된 라디오 주파수 송신 신호는 누설 전류로서 제 5 저잡음 증폭기(LNA 5)에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루프백 상태 동안에, 안테나 체인(400)은 라디오 주파수 신호들을 송신하는 것 또는 수신하는 것 없이 있고, 제 1 전력 증폭기(PA 1)로부터의 누설 전류를 생성한다. 누설 전류는 제 5 저잡음 증폭기(LNA 5)에 제공되고, 제 5 저잡음 증폭기(LNA 5)에서 증폭되며, 그리고 도 3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프론트-엔드에서 아날로그 BiST를 인에이블하기 위해 수신 신호로서 사용된다. 예컨대, 제 2 전력 센서(306)에서의 측정들은 누설 전류에 기초할 수 있다.
[0049] 예시적 실시예에서, 제 1 바이패스 회로(402)는 제 1 전력 증폭기(PA 1)에 대한 특정한 측정들을 인에이블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바이패스 회로(402)를 선택적으로 인에이블하는 것(예컨대, 스위치를 클로즈하는 것)은, 제 1 전력 증폭기(PA 1)와 연관된 이득을 결정하기 위해, 제 1 전력 검출기(304)가 전력 증폭 이전에 그리고 그 이후에 송신 신호의 전력을 측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제 2 바이패스 회로(404)는 제 5 저잡음 증폭기(LNA 5)에 대한 특정한 측정들을 인에이블할 수 있다. 예컨대, 제 2 바이패스 회로(404)를 선택적으로 인에이블하는 것은, 제 5 저잡음 증폭기(LNA 5)와 연관된 이득을 결정하기 위해, 제 2 전력 검출기(306)가 증폭 이전에 그리고 증폭 이후에 수신 신호의 전력을 측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0050] 도 5을 참조하면, 아날로그 내장 자체 테스트(BiST)를 가능하게 하는 토폴로지를 갖는 트랜시버(500)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가 도시된다. 트랜시버(500)는 스위칭 네트워크(302), 트랜시버들의 제 1 어레이(Split 1_1, Split 1_2), 및 트랜시버들의 제 2 어레이(Split 2_1, Split 2_2)를 포함할 수 있다.
[0051] 제 1 다이버시티 스위치(350)는 한 쌍의 송신 믹서들(508)에 커플링될 수 있다. 예컨대, 한 쌍의 송신 믹서들(508)은 동상 송신 믹서 및 쿼드러처 송신 믹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동상 송신 믹서는 동상 송신 회로(522)에 커플링될 수 있고, 쿼드러처 송신 믹서는 쿼드러처 송신 회로(524)에 커플링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동상 송신 회로(522)는 동상 비디오 그래픽스 어레이(VGA:video graphics array) 송신기 및 이미지 거부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쿼드러처 송신 회로(524)는 쿼드러처 VGA 송신기 및 이미지 거부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동상 송신 회로(522) 및 쿼드러처 송신 회로(524)는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들을 통해 디지털 모뎀(530)에 커플링될 수 있다.
[0052] 제 2 다이버시티 스위치(352)는 한 쌍의 수신 믹서들(510)에 커플링될 수 있다. 예컨대, 한 쌍의 수신 믹서들(510)은 동상 수신 믹서 및 쿼드러처 수신 믹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동상 수신 믹서는 동상 수신 회로(526)에 커플링될 수 있고, 쿼드러처 수신 믹서는 쿼드러처 수신 회로(528)에 커플링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동상 수신 회로(526)는 동상 VGA 수신기 및 안티-앨리어싱 필터(anti-aliasing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서, 쿼드러처 수신 회로(528)는 쿼드러처 VGA 수신기 및 안티-앨리어싱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동상 수신 회로(526) 및 쿼드러처 수신 회로(528)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들을 통해 디지털 모뎀(530)에 커플링될 수 있다.
[0053] 디지털 모뎀(530)(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은 송신 신호들(예컨대, 송신 신호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신호들(예컨대, 수신 신호들)을 검출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디지털 모뎀(530)은 아날로그 BiST 동안에 송신 신호들 및 수신 신호들의 신호 특성들을 측정할 수 있다. 부가적인 전력 센서들이 또한, 신호 특성들을 더욱 상세히 모니터링하기 위해 신호 경로들에 커플링될 수 있다.
[0054] 예시적 실시예에서, 트랜시버(500)는 제로 중간 주파수(ZIF:zero intermediate frequency) 컨버터 칩 상에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아날로그 BiST는 전력 증폭기들(PA 1-PA 8) 및 저잡음 증폭기들(LNA 1-LNA 8)의 성능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디지털 모뎀(530)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0055] 도 6을 참조하면, 아날로그 내장 자체 테스트(BiST)를 가능하게 하는 토폴로지를 갖는 트랜시버(600)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가 도시된다. 트랜시버(600)는 스위칭 네트워크(302), 트랜시버들의 제 1 어레이(Split 1_1, Split 1_2), 및 트랜시버들의 제 2 어레이(Split 2_1, Split 2_2)를 포함한다.
[0056] 트랜시버들의 제 1 어레이(Split 1_1, Split 1_2)에서, 제 1 안테나(631)는 제 1 전력 증폭기(PA 1)의 출력 및 제 1 저잡음 증폭기(LNA 1)의 입력에 커플링되고, 제 2 안테나(632)는 제 2 전력 증폭기(PA 2)의 출력 및 제 2 저잡음 증폭기(LNA 2)의 입력에 커플링되며, 제 3 안테나(633)는 제 3 전력 증폭기(PA 3)의 출력 및 제 3 저잡음 증폭기(LNA 3)의 입력에 커플링되고, 그리고 제 4 안테나(634)는 제 4 전력 증폭기(PA 4)의 출력 및 제 4 저잡음 증폭기(LNA 4)의 입력에 커플링된다.
[0057] 트랜시버들의 제 2 어레이(Split 2_1, Split 2_2)에서, 제 5 안테나(635)는 제 5 전력 증폭기(PA 5)의 출력 및 제 5 저잡음 증폭기(LNA 5)의 입력에 커플링되고, 제 6 안테나(636)는 제 6 전력 증폭기(PA 6)의 출력 및 제 6 저잡음 증폭기(LNA 6)의 입력에 커플링되며, 제 7 안테나(637)는 제 7 전력 증폭기(PA 7)의 출력 및 제 7 저잡음 증폭기(LNA 7)의 입력에 커플링되고, 그리고 제 8 안테나(638)는 제 8 전력 증폭기(PA 8)의 출력 및 제 8 저잡음 증폭기(LNA 8)의 입력에 커플링된다.
[0058] 도 4에 대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루프백 상태 동안에(예컨대, 아날로그 BiST 동안에), 제 1 루프백 스위치(LBS 1)는, 피드백 전류가 제 1 전력 증폭기(PA 1)로부터 제 5 저잡음 증폭기(LNA 5)로 전파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 1 전력 증폭기(PA 1)를 제 5 저잡음 증폭기(LNA 5)에 선택적으로 커플링시킬 수 있다. 제 1 루프백 스위치(LBS)는 또한, 피드백 전류가 제 5 전력 증폭기(PA 5)로부터 제 1 저잡음 증폭기(LNA 1)로 전파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 5 전력 증폭기(PA 5)를 제 1 저잡음 증폭기(LNA 1)에 선택적으로 커플링시킬 수 있다.
[0059] 실질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루프백 상태 동안에, 제 2 루프백 스위치(LBS 2)는 제 2 전력 증폭기(PA 2)를 제 6 저잡음 증폭기(LNA 6)에 선택적으로 커플링시킬 수 있거나, 또는 제 6 전력 증폭기(PA 6)를 제 2 저잡음 증폭기(LNA 2)에 커플링시킬 수 있다. 제 3 루프백 스위치(LBS 3)는 제 3 전력 증폭기(PA 3)를 제 7 저잡음 증폭기(LNA 7)에 선택적으로 커플링시킬 수 있거나, 또는 제 7 전력 증폭기(PA 7)를 제 3 저잡음 증폭기(LNA 3)에 커플링시킬 수 있다. 제 4 루프백 스위치(LBS 4)는 제 4 전력 증폭기(PA 4)를 제 8 저잡음 증폭기(LNA 8)에 선택적으로 커플링시킬 수 있거나, 또는 제 8 전력 증폭기(PA 8)를 제 4 저잡음 증폭기(LNA 4)에 커플링시킬 수 있다.
[0060] 도 6의 트랜시버(600)의 어레이 체인 토폴로지가 도 3의 트랜시버(300) 또는 도 5의 트랜시버(500)로 구현될 수 있음이 인식될 것이다. 예컨대, 트랜시버(600)의 어레이 체인 토폴로지는 라디오 주파수/중간 주파수(RF/IF) 컨버터 칩 상에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아날로그 BiST는 전력 증폭기들(PA 1-PA 8) 및 저잡음 증폭기들(LNA 1-LNA 8)의 성능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도 3의 전력 센서들(304, 306)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트랜시버(600)의 어레이 체인 토폴로지는 제로 중간 주파수(ZIF) 컨버터 칩 상에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아날로그 BiST는 성능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디지털 모뎀(530)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0061] 도 7을 참조하면, 흐름도는 트랜시버 컴포넌트들에 대한 아날로그 내장 자체 테스팅을 인에이블하기 위한 방법(700)의 예시적 실시예를 예시한다. 방법(700)은 도 1-도 2의 무선 디바이스(110), 도 3의 트랜시버(300), 도 4의 안테나 체인(400), 도 5의 트랜시버(500), 도 6의 트랜시버(600),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0062] 방법(700)은, 702에서, 루프백 테스팅을 인에이블하기 위해 제 1 전력 증폭기의 출력을 수신하도록 제 2 저잡음 증폭기를 선택적으로 커플링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컨대, 도 3을 참조하면, 루프백 테스팅을 인에이블하기 위해, 제 1 전력 증폭기(PA 1)는 제 1의 3-상태 스위치(321)를 통해 제 5 저잡음 증폭기(LNA 5)에 커플링될 수 있다.
[0063] 704에서, 루프백 테스팅을 인에이블하기 위해, 제 1 저잡음 증폭기는 제 2 전력 증폭기의 출력을 수신하도록 선택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을 참조하면, 루프백 테스팅을 인에이블하기 위해, 제 5 전력 증폭기(PA 5)는 제 2의 3-상태 스위치(322)를 통해 제 1 저잡음 증폭기(LNA 1)에 커플링될 수 있다.
[0064] 예시적 실시예에서, 방법(700)은 루프백 테스팅 동안에 제 1 전력 증폭기의 특성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전력 증폭기(PA 1)의 특성들은 루프백 테스팅 동안에 결정(예컨대, 제 1 전력 센서(304)를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6을 참조하면, 제 1 전력 증폭기(PA 1)의 특성들은 루프백 테스팅 동안에 결정(예컨대, 트랜시버들의 제 1 어레이(Split 1_1, Split 1_2)에 커플링된 전력 센서(미도시)를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방법(700)은 또한, 루프백 테스팅 동안에 제 2 저잡음 증폭기의 특성들을 동시에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을 참조하면, 루프백 테스팅 동안에, 제 1 전력 증폭기(PA 1)의 특성들이 결정되고 있을 때, 제 5 저잡음 증폭기(LNA 5)의 특성들이 결정(예컨대, 제 2 전력 센서(306)를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6을 참조하면, 루프백 테스팅 동안에, 제 1 전력 증폭기(PA 1)의 특성들이 결정되고 있을 때, 제 5 저잡음 증폭기(LNA 5)의 특성들이 결정(예컨대, 트랜시버들의 제 2 어레이(Split 2_1, Split 2_2)에 커플링된 전력 센서(미도시)를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0065] 예시적 실시예에서, 방법(700)은 제 1 안테나를 통한 신호 송신을 인에이블하기 위해 제 1 전력 증폭기를 제 1 안테나에 선택적으로 커플링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을 참조하면, 제 1 루프백 스위치(LBS 1)가 비활성화(예컨대, 오픈)될 수 있다. 제 1 전력 증폭기(PA 1)는 제 1 안테나(631)에 커플링될 수 있다. 제 1 안테나(631)를 통한 신호 송신은, 제 1 전력 증폭기(PA 1) 및 제 1 송신 경로를 사용하여 인에이블될 수 있다. 방법(700)은 또한, 제 2 안테나를 통한 동시 신호 수신을 인에이블하기 위해 제 제 2 저잡음 증폭기를 제 2 안테나에 선택적으로 커플링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을 참조하면, 제 1 루프백 스위치(LBS 1)가 비활성화될 때, 제 5 저잡음 증폭기(LNA 5)는 제 5 안테나(635)에 커플링될 수 있다. 제 5 안테나(635)를 통한 신호 수신은, 제 5 저잡음 증폭기(LNA 5) 및 제 5 수신 경로를 사용하여 인에이블될 수 있다. 신호 송신이 트랜시버들의 제 1 어레이(Split 1_1, Split 1_2)의 각각의 전력 증폭기(PA 1-PA 4)에 대해 인에이블될 수 있으면서, 신호 수신이 트랜시버들의 제 2 어레이(Split 2_1, Split 2_2)의 각각의 저잡음 증폭기(LNA 5-LNA 8)에 대해 동시에 인에이블됨이 인식될 것이다.
[0066] 도 7의 방법(700)은, 전력 센서들(304, 306) 또는 디지털 모뎀(530)에 의해 결정된, 측정된 메트릭 값들(예컨대, 전력, 이득, 로컬 오실레이터 누설, 선형성 등)에 기초하여, 전력 증폭기들(PA 1-PA 8)의 특성들 및 저잡음 증폭기들(LNA 1-LNA 8)의 특성들이 결정 및 교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방법(700)은, 트랜시버(300)의 프론트-엔드에서 전력 증폭기들(PA 1-PA 8) 및 저잡음 증폭기들(LNA 1-LNA 8)의 아날로그 BiST를 지원하는 토폴로지를 가능하게 한다.
[0067] 설명된 실시예들과 함께, 장치는 송신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 1 수단을 포함한다. 예컨대, 송신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 1 수단은 도 3-도 6의 제 1 전력 증폭기(PA 1), 도 3, 도 5 및 도 6의 제 2 전력 증폭기(PA 2), 도 3, 도 5 및 도 6의 제 3 전력 증폭기(PA 3), 도 3, 도 5 및 도 6의 제 4 전력 증폭기(PA 4), 송신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디바이스들, 회로들, 모듈들, 또는 명령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0068] 장치는 또한, 수신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 1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수신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 1 수단은 도 3, 도 5 및 도 6의 제 1 저잡음 증폭기(LNA 1), 도 3, 도 5 및 도 6의 제 2 저잡음 증폭기(LNA 2), 도 3, 도 5 및 도 6의 제 3 저잡음 증폭기(LNA 3), 도 3, 도 5 및 도 6의 제 4 저잡음 증폭기(LNA 4), 수신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디바이스들, 회로들, 모듈들, 또는 명령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트랜시버는 송신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 1 수단 및 수신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 1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0069] 장치는 또한, 송신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 2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송신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 2 수단은 도 3, 도 5 및 도 6의 제 5 전력 증폭기(PA 5), 도 3, 도 5 및 도 6의 제 6 전력 증폭기(PA 6), 도 3, 도 5 및 도 6의 제 7 전력 증폭기(PA 7), 도 3, 도 5 및 도 6의 제 8 전력 증폭기(PA 8), 송신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디바이스들, 회로들, 모듈들, 또는 명령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0070] 장치는 또한, 수신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 2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수신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 2 수단은 도 3-도 6의 제 5 저잡음 증폭기(LNA 5), 도 3, 도 5 및 도 6의 제 6 저잡음 증폭기(LNA 6), 도 3, 도 5 및 도 6의 제 7 저잡음 증폭기(LNA 7), 도 3, 도 5 및 도 6의 제 8 저잡음 증폭기(LNA 8), 수신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디바이스들, 회로들, 모듈들, 또는 명령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트랜시버는 송신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 2 수단 및 수신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 2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0071] 장치는 또한, 루프백 테스팅을 인에이블하기 위해, 송신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 1 수단의 출력을 수신하도록, 수신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 2 수단을 선택적으로 커플링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선택적으로 커플링하기 위한 수단은, 도 3 및 도 5의 3-상태 스위치들(321-328) 중 하나 또는 그 초과, 도 4의 제 1의 3-상태 스위치(321), 도 6의 루프백 스위치들(LBS 1-LBS 4) 중 하나 또는 그 초과, 송신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 1 수단의 출력을 수신하도록, 수신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 2 수단을 선택적으로 커플링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디바이스들, 회로들, 모듈들, 또는 명령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을 포함할 수 있다.
[0072] 추가로, 당업자들은,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구성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 둘의 결합들로서 구현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구성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은 일반적으로 그들의 기능성 면에서 위에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로서 구현되는지 또는 프로세서 실행가능한 명령들로서 구현되는지의 여부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설계 제약들에 따라 좌우된다. 당업자들은 설명된 기능성을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구현 결정들이 본 개시 내용의 범위를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0073]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직접적으로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 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판독-전용 메모리(ROM:read-only memory), 프로그래머블 판독-전용 메모리(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삭제가능 프로그래머블 판독-전용 메모리(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전기적으로 삭제가능한 프로그래머블 판독-전용 메모리(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탈착가능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판독-전용 메모리(CD-ROM:compact disc read-only memory), 또는 임의의 다른 형태의,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비-일시적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 저장 매체가 프로세서에 커플링되어, 이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정보를 저장 매체에 기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 회로(ASIC)에 상주할 수 있다. ASIC는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단말에 상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단말에서 이산 컴포넌트들로서 상주할 수 있다.
[0074] 개시된 실시예들의 이전 설명은 당업자가 개시된 실시예들을 실시하거나 또는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은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에게 용이하게 명백할 것이고, 본 개시 내용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원에 정의된 원리들은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 내용은 본원에 나타난 실시예들로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는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가능한 최광의의 범위에 부합할 것이다.

Claims (20)

  1. 장치로서,
    제 1 송신 경로에 커플링된 제 1 전력 증폭기;
    제 1 수신 경로에 커플링된 제 1 저잡음 증폭기;
    제 2 송신 경로에 커플링된 제 2 전력 증폭기;
    제 2 수신 경로에 커플링된 제 2 저잡음 증폭기;
    상기 제 1 전력 증폭기의 출력을 수신하도록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기를 선택적으로 커플링시키도록 구성된 제 1 스위치; 및
    상기 제 2 전력 증폭기의 출력을 수신하도록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를 선택적으로 커플링시키도록 구성된 제 2 스위치
    를 포함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력 증폭기 및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는 제 1 트랜시버에 포함되고, 상기 제 2 전력 증폭기 및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기는 제 2 트랜시버에 포함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트랜시버는 다수의 트랜시버들을 포함하는 제 1 어레이에 포함되고, 제 2 트랜시버는 다수의 트랜시버들을 포함하는 제 2 어레이에 포함되는,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력 증폭기는 제 1 안테나를 통한 상기 제 1 송신 경로를 거친 신호 송신을 인에이블하기 위해 상기 제 1 안테나에 선택적으로 커플링되고, 그리고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기는 제 2 안테나를 통한 상기 제 2 수신 경로를 거친 신호 수신을 인에이블하기 위해 상기 제 2 안테나에 선택적으로 커플링되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는, 루프백 테스팅을 인에이블하기 위해 상기 제 1 전력 증폭기의 상기 출력을 수신하도록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기를 선택적으로 커플링시키도록 구성된 제 1 루프백 스위치인,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위치는, 동시 루프백 테스팅을 인에이블하기 위해 상기 제 2 전력 증폭기의 상기 출력을 수신하도록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를 선택적으로 커플링시키도록 구성된 제 2 루프백 스위치인,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력 증폭기 및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기는 상기 제 1 스위치를 통해 제 1 안테나에 선택적으로 커플링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 및 상기 제 2 전력 증폭기는 상기 제 2 스위치를 통해 제 2 안테나에 선택적으로 커플링되도록 구성되는,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기가 상기 제 1 전력 증폭기의 상기 출력을 수신하도록 커플링될 때 루프백 테스팅이 인에이블되는,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가 상기 제 2 전력 증폭기의 상기 출력을 수신하도록 커플링될 때 루프백 테스팅이 인에이블되는,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는 신호들을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신하기 위해 상기 제 1 전력 증폭기를 제 1 안테나에 선택적으로 커플링시키도록 구성되는,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치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신되는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기를 제 1 안테나에 선택적으로 커플링시키도록 구성되는,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력 증폭기의 입력 단자에 커플링되고, 상기 제 1 전력 증폭기의 출력 단자에 커플링된 제 1 바이패스 회로; 및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기의 입력 단자에 커플링되고,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의 출력 단자에 커플링된 제 2 바이패스 회로
    를 더 포함하고,
    루프백 테스팅 동안에, 상기 제 1 바이패스 회로 및 상기 제 2 바이패스 회로는 이득 측정들을 인에이블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인에이블되는,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이패스 회로는 제 1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바이패스 회로는 제 2 스위치를 포함하는,
    장치.
  14. 방법으로서,
    제 1 전력 증폭기 및 제 2 저잡음 증폭기의 제 1 루프백 테스팅을 인에이블하기 위해 상기 제 1 전력 증폭기의 출력을 수신하도록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기를 선택적으로 커플링시키는 단계; 및
    제 2 전력 증폭기 및 제 1 저잡음 증폭기의 제 2 루프백 테스팅을 인에이블하기 위해 상기 제 2 전력 증폭기의 출력을 수신하도록 상기 제 1 저잡음 증폭기를 선택적으로 커플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루프백 테스팅 동안에 상기 제 1 전력 증폭기의 특성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루프백 테스팅 동안에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기의 특성들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제 1 안테나를 통한 신호 송신을 인에이블하기 위해 상기 제 1 전력 증폭기를 상기 제 1 안테나에 선택적으로 커플링시키는 단계; 및
    제 2 안테나를 통한 신호 수신을 인에이블하기 위해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기를 상기 제 2 안테나에 선택적으로 커플링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저잡음 증폭기는 3-상태 스위치를 통해 상기 제 1 전력 증폭기의 상기 출력을 수신하도록 선택적으로 커플링되는,
    방법.
  18. 장치로서,
    송신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 1 수단 및 수신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 1 수단;
    송신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 2 수단 및 수신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 2 수단;
    상기 송신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 1 수단의 출력을 수신하도록, 상기 수신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 2 수단을 선택적으로 커플링시키기 위한 제 1 수단; 및
    상기 송신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 2 수단의 출력을 수신하도록, 상기 수신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 1 수단을 선택적으로 커플링시키기 위한 제 2 수단
    을 포함하는,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으로 커플링시키기 위한 제 1 수단은 3-상태 스위치를 포함하는,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으로 커플링시키기 위한 제 1 수단은 루프백 스위치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67027316A 2014-03-04 2015-03-03 아날로그 내장 자체 테스트 트랜시버 KR1023572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196,743 2014-03-04
US14/196,743 US9628203B2 (en) 2014-03-04 2014-03-04 Analog built-in self test transceiver
PCT/US2015/018517 WO2015134519A1 (en) 2014-03-04 2015-03-03 Analog built-in self test transcei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074A true KR20160129074A (ko) 2016-11-08
KR102357242B1 KR102357242B1 (ko) 2022-01-27

Family

ID=52693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7316A KR102357242B1 (ko) 2014-03-04 2015-03-03 아날로그 내장 자체 테스트 트랜시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28203B2 (ko)
EP (1) EP3114782B1 (ko)
JP (1) JP6479843B2 (ko)
KR (1) KR102357242B1 (ko)
CN (1) CN106063160B (ko)
WO (1) WO201513451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1971A (ko) * 2018-05-18 2021-02-02 난양 테크놀러지컬 유니버시티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61595B2 (en) 2014-03-14 2016-10-04 Qualcomm Incoporated Integrator for class D audio amplifier
US20160127016A1 (en) * 2014-10-31 2016-05-05 Skyworks Solutions, Inc. Uplink diversity and interband uplink carrier aggregation in front-end architecture
US9794007B2 (en) * 2015-07-01 2017-10-17 Arm Limited Single RF oscillator technique for built-in tune, test, and calibration of a transceiver
CN105429714B (zh) * 2015-11-03 2018-01-30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一研究所 一种t/r组件测试装置及装置安全性校验方法
CN105848093A (zh) * 2016-06-14 2016-08-10 深圳市北斗时空科技有限公司 一种亚米级北斗精密定位蓝牙终端
US20190089471A1 (en) * 2017-09-21 2019-03-2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mmwave massive array self-testing
US10038508B1 (en) * 2017-10-17 2018-07-31 Nxp B.V. Wireless communication unit diagnostics
DE102017219690A1 (de) * 2017-11-06 2019-05-09 Laird Dabendorf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en zur Ermittlung eines Frequenzbereichs eines zu übertragenden Signals
US10333579B1 (en) * 2018-04-12 2019-06-25 Shenzhen GOODIX Technology Co., Ltd. Multi-mode configurable transceiver with low voltage switches
US11171683B2 (en) 2018-04-12 2021-11-09 Shenzhen GOODIX Technology Co., Ltd. Multi-mode configurable transceiver with low voltage switches
US10498375B1 (en) * 2018-07-11 2019-12-03 Rohde & Schwarz Gmbh & Co. Kg Portable RF receiver module and portable antenna arrangement
US11032113B2 (en) * 2018-09-25 2021-06-08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hybrid vector based polar modulator
KR102612360B1 (ko) * 2018-12-04 2023-12-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기반하여 통신 회로의 성능을 확인하는 방법
US11569886B2 (en) * 2019-04-01 2023-01-31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sensitive transmit diversity scheme
JP7327168B2 (ja) * 2020-01-08 2023-08-16 株式会社デンソー 自己診断装置
JP7327169B2 (ja) * 2020-01-08 2023-08-16 株式会社デンソー 自己診断装置
US11140633B2 (en) * 2020-02-10 2021-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loopback gain step calibration on RF chain with phase shifter
US11804866B2 (en) * 2020-10-22 2023-10-31 Molex Technologies Gmbh Circuit arrangement and method for adjusting signal parameter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4105A (ja) * 2002-12-26 2004-07-22 Toray Ind Inc 難燃性耐衝撃性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KR20100093282A (ko) * 2009-02-16 2010-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모듈의 렌즈 조립체 정렬 장치
JP2013156085A (ja) * 2012-01-27 2013-08-15 Sharp Corp 光検出装置、物体検出センサ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3830A (ja) * 1997-04-23 1998-11-13 Oki Electric Ind Co Ltd 無線装置の内部折り返し試験回路
US6006112A (en) * 1997-11-26 1999-12-21 Lucent Technologies, Inc. Transceiver with RF loopback and downlink frequency scanning
US6346910B1 (en) 1999-04-07 2002-02-12 Tei Ito Automatic array calibration scheme for wireless point-to-multipoint communication networks
JP3649082B2 (ja) * 2000-04-25 2005-05-18 松下電工株式会社 演算増幅器の測定回路及びその測定方法
US20040204105A1 (en) * 2002-05-24 2004-10-14 Ying-Chang Liang Method and apparatus for a base station with multiple distributed antennas to communicate with mobile stations
US7248625B2 (en) * 2002-09-05 2007-07-24 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Compensation of I-Q imbalance in digital transceivers
JP3798759B2 (ja) * 2003-04-09 2006-07-19 日本無線株式会社 無線式送受信装置
JP4172589B2 (ja) * 2004-08-31 2008-10-29 シャープ株式会社 消費電力制御装置、高周波通信装置、消費電力制御方法および消費電力制御プログラム
US20060063494A1 (en) * 2004-10-04 2006-03-23 Xiangdon Zhang Remote front-end for a multi-antenna station
US20060197538A1 (en) 2005-03-07 2006-09-07 Nokia Corporation Self-test method for antennas
US7379716B2 (en) 2005-03-24 2008-05-27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Embedded IC test circuits and methods
US8140031B2 (en) 2006-12-19 2012-03-2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ransmitter built-in production line testing utilizing digital gain calibration
US8139670B1 (en) 2007-09-21 2012-03-20 Marvell International Ltd. Modular MIMO transceiver architecture
JP4651750B2 (ja) * 2008-05-16 2011-03-16 三菱電機株式会社 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および通信装置
JP5051385B2 (ja) * 2008-05-16 2012-10-17 日本電気株式会社 アレーアンテナを用いた無線通信装置、その校正方法、及び無線通信基地局システム
US8045926B2 (en) * 2008-10-15 2011-10-25 Nokia Siemens Networks Oy Multi-transceiver architecture for advanced Tx antenna monitoring and calibration in MIMO and smart antenna communication systems
CN101668356B (zh) * 2009-09-22 2012-01-11 福建三元达通讯股份有限公司 双模数字射频拉远系统
US10116399B2 (en) 2010-12-22 2018-10-30 Snaptrack, Inc. Circuit arrangement for RF loopback
CN201887766U (zh) * 2010-12-28 2011-06-29 成都福兰特电子技术有限公司 无线通信转发系统
US20130043946A1 (en) * 2011-08-16 2013-02-21 Qualcomm Incorporated Low noise amplifiers with combined outputs
US8918060B2 (en) 2011-09-29 2014-12-23 St-Ericsson Sa 2G, 2.5G RF loopback arrangement for mobile device self-testing
US9088448B2 (en) * 2011-11-11 2015-07-21 Mediatek Singapore Pte. Ltd. Phased array device and calibration method therefor
US9338664B2 (en) * 2012-02-22 2016-05-10 Mediatek Singapore Pte. Ltd.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therefor
CN103582106B (zh) * 2012-07-23 2017-02-08 京信通信系统(中国)有限公司 基于双载波跳频技术的信号处理方法、装置及塔顶放大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4105A (ja) * 2002-12-26 2004-07-22 Toray Ind Inc 難燃性耐衝撃性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KR20100093282A (ko) * 2009-02-16 2010-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모듈의 렌즈 조립체 정렬 장치
JP2013156085A (ja) * 2012-01-27 2013-08-15 Sharp Corp 光検出装置、物体検出センサ及び電子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1971A (ko) * 2018-05-18 2021-02-02 난양 테크놀러지컬 유니버시티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07611A (ja) 2017-03-16
US20150256272A1 (en) 2015-09-10
US9628203B2 (en) 2017-04-18
KR102357242B1 (ko) 2022-01-27
CN106063160B (zh) 2018-09-07
CN106063160A (zh) 2016-10-26
WO2015134519A1 (en) 2015-09-11
EP3114782B1 (en) 2019-04-17
JP6479843B2 (ja) 2019-03-06
EP3114782A1 (en) 201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7242B1 (ko) 아날로그 내장 자체 테스트 트랜시버
JP6290247B2 (ja) 非起動の受信機からのlo信号による受信機較正
US10333469B2 (en) Cascaded switch between pluralities of LNAS
US9490548B2 (en) Wireless device with antenna array and separate antenna
US9392558B2 (en) Control of transmit power and adjustment of antenna tuning network of a wireless device
US9326171B2 (en) Enhancing data throughput using multiple receivers
US20150270813A1 (en) Dynamically adjustable power amplifier load tuner
US10305431B2 (en) Noise cancelling baseband amplifier
US20150372702A1 (en) Filters for a frequency band
EP3032749B1 (en) Method for closed-loop tuner in a receiver antenna
JP2018515037A (ja) 出力カプラを有する低雑音増幅器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