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7913A -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 - Google Patents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7913A
KR20160127913A KR1020150059384A KR20150059384A KR20160127913A KR 20160127913 A KR20160127913 A KR 20160127913A KR 1020150059384 A KR1020150059384 A KR 1020150059384A KR 20150059384 A KR20150059384 A KR 20150059384A KR 20160127913 A KR20160127913 A KR 20160127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les
body portion
fastening
scaff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9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0695B1 (ko
Inventor
이성민
Original Assignee
성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9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0695B1/ko
Publication of KR20160127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7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 Cabinets, Racks, Or The Like Of Rigid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공사시 발생되는 낙하물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건출물의 비계에 설치되어 낙하물을 방호하는 스틸재로 이루어진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개방된 삽입공(14)이 형성된 몸체부(13)와 상기 몸체부(13)의 일측으로 일체로 형성된 걸림날개부(12)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13)의 상하측부에 다수게의 체결공(16)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14)의 타측으로 바깥면으로 비계설치구(50)가 일체로 구성된 복수개의 가로골조(10);와, 상기 가로골조(10)의 상측의 안착면부(18)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며, 상기 안착면부에 안착되어 위치되는 날개부(44a, 44b)가 형성되는 상판(41)과 폭방향으로 소정폭을 가지도록 돌출되는 이음부(43a)가 형성되는 하판(43)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날개부(44a, 44b)에 상기 가로골조의 삽입공(14)과 일치되어 위치되는 체결공(42)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유공이 형성된 유공판(40);과, 상기 가로골조(10)와 유공판(40)을 견고히 결합시키는 상기 유공판(40)에 형성된 체결공(42)과 일치되어 위치되는 체결공(22)이 다수개 형성된 고정부재(20);와, 상기 가로골조(10)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공(14)에 삽입되는 삽입부재(36)와 상기 삽입부재(36)와 일체로 구성된 몸체부(34)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34)의 일측상단으로 관통공(37)이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부재(32)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37)에 삽입되어 볼트너트체결되는 구조로 되는 리벳(38)으로 구성되는 연결구(30);와, 상기 가로골조(10)와 유공판(40)과 고정부재(20)를 결합시키는 복수개의 볼트(51)와 너트(5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Still shelves for protecting the falling object}
본 발명은 낙하물 방호선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 공사시 발생되는 낙하물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건출물의 비계에 설치되어 낙하물을 방호하는 스틸재로 이루어진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을 건축하는 과정에서는 벽돌, 철골 잔재물 등과 같은 건축 자재들이 작업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하여 고층에서 낙하되는 일이 빈번하며, 건설 현장에서는 이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흔히 별도의 낙하물 방지장치를 구비하고, 이를 건물의 비계에 설치하는 방법을 통해 상술한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제거하고 있다.
이러한 방호선반의 일예로서 첨부도면 도1은 종래의 낙하물 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낙하물 방지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서 뼈대를 이루고 있는 골조(60a)와 골조(60b) 사이에 보강부재(61a, 61b)가 서로 엇갈려 결합되고, 보강부재(61a, 61b)에 의해 고정된 양 골조(60a, 60b) 사이에는 다시 복수개의 유공판(62)이 적층 삽입되어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물론, 상기와 같은 낙하물 방지장치는 미리 건축물 주위에 가로 세로 얽어서 고정시킨 비계에 설치된다.
예컨대, 양 골조(60a, 60b)의 각 일단부에는 훅이나 브래킷(도시되지 않음) 등이 결합되어 비계의 소정부에 설치되고, 그 각 타단부는 와이어(63a, 63b)에 의해 상부로부터 낙하하는 낙하물을 받을 수 있도록 비계의 다른 소정부에 비스듬히 설치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낙하물 방지장치는 뼈대를 이루는 양 골조가 보강부재의 엇갈림 고정방식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이고, 그 설치방법은 보강부재에 의해 고정된 골조를 비계에 미리 설치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유공판을 골조에 하나 삽입하고 그 삽입한 유공판을 밟고 다시 다른 유공판을 적층 삽입하는 방법이어서, 작업자가 이러한 낙하물 방지장치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추락사를 하게 되는 경우가 간혹 발생한다.
왜냐하면, 두 개의 보강부재에 의해 엇갈림 고정방식으로 고정되는 양 골조는 그것이 용접에 의해 고정이 되든 리벳이음에 의해 고정이 되든 작업자가 밟고 올라가는 과정에서 비틀려지기가 쉽기 때문이며, 이는 설치시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시에도 작업자가 밟고 올라가는 일이 흔히 있으므로 매우 위험한 구조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낙하물 방지장치는 골조, 보강부재, 유공판 등을 일일이 작업자가 해당 건물의 층까지 운반하고 조립하여 설치하게 되어 있어 작업시간이 길고 인건비가 불필요하게 많이 소요된다.
또한, 이러한 낙하물 방지장치는 자재를 반입하는 자재반입구를 별도로 설치하여야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운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보조수단을 설치하여야 하는 작업 역시 번거롭고 불필요한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게다가, 그 구조는 낙하물을 단순히 유공판으로 막기만 하는 구조이므로, 낙하물은 비스듬히 설치된 유공판을 따라 내려오다가 다시 밑으로 낙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낙하물 방지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있으며, 이 외에도 낙하물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는 그물망이나 라스(lath) 형태의 방지장치가 있으나, 그물망 형태의 방지장치는 그물망 자체의 처짐과 파열 등으로 공사현장에는 적용이 불가하며, 라스 형태의 방지장치는 조립, 설치 등이 오히려 더 번거롭고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47798호 2.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6241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 설치가 간편함과 아울러 그 구조가 견고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공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조립 설치시나 유지 보수시에는 작업자가 추락사를 할 위험이 없는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을 제공함을 그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히 낙하물을 막기만 하는 방지구조를 지양하여 상부에서 낙하하는 낙하물로부터 건설 현장의 작업자 등을 확실히 보호할 수 있는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을 제공함을 다른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의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100)은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개방된 삽입공(14)이 형성된 몸체부(13)와 상기 몸체부(13)의 일측으로 일체로 형성된 걸림날개부(12)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13)의 상하측부에 다수게의 체결공(16)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14)의 타측으로 바깥면으로 비계설치구(50)가 일체로 구성된 복수개의 가로골조(10);와,
상기 가로골조(10)의 상측의 안착면부(18)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며, 상기 안착면부에 안착되어 위치되는 날개부(44a, 44b)가 형성되는 상판(41)과 폭방향으로 소정폭을 가지도록 돌출되는 이음부(43a)가 형성되는 하판(43)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날개부(44a, 44b)에 상기 가로골조의 삽입공(14)과 일치되어 위치되는 체결공(42)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유공이 형성된 유공판(40);과,
상기 가로골조(10)와 유공판(40)을 견고히 결합시키는 상기 유공판(40)에 형성된 체결공(42)과 일치되어 위치되는 체결공(22)이 다수개 형성된 고정부재(20);와,
상기 가로골조(10)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공(14)에 삽입되는 삽입부재(36)와 상기 삽입부재(36)와 일체로 구성된 몸체부(34)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34)의 일측상단으로 관통공(37)이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부재(32)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37)에 삽입되어 볼트너트체결되는 구조로 되는 리벳(38)으로 구성되는 연결구(30);와,
상기 가로골조(10)와 유공판(40)과 고정부재(20)를 결합시키는 복수개의 볼트(50)와 너트(5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구(30)와 가로골조(10)가 견고히 결합되도록 상기 연결구(30)의 삽입부재(36)의 중심부에 체결공(39)이 더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39)와 일치되도록 상기 가로골조(10)의 하측부에 체결공(17)이 더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와 가로골조가 나사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로골조(10)의 비계설치구(50)가 상호 대칭되어 외치되도록 복수개 결합되는 구조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구(30)는 상기 삽입부재(36)의 타측 몸체부(34)에 일체로 결합되는 고정부(33c, 35c)와 상기 고정날개부(33c, 35c)와 일체로 구성되되 "ㄱ"자 꺽임형태가 되도록 일체로 구성되며, 중앙부에 삽입공(33b, 35b)이 형성된 결합날개부(33a, 35a)로 이루어진 결합부재(33, 35)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비계설치구(50)측에 위치되어 결합되는 유공판(40)은 상판(41)의 상면으로 구름방지판(60)이 구비되고, 상기 구름방지판(60)은 상기 상판(41)의 일측단에 소정각 유동 가능하도록 경첩(62)을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공판(40)의 하판(43)의 하측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보강부재(70)와 상기 보강부재(70)를 하판에 결합시키는 복수개의 체결부재(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견고한 구조의 골조에 제반 구성들을 간편히 조립하여 건물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설치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불필요한 공사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조립 설치시나 유지 보수시에는 작업자가 추락사를 할위험이 전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계설치방향으로 구름방지턱의 더 구성함으로써 상부에서 낙하하는 낙하물로부터 건설 현장의 작업자 등을 확실히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방호선반의 일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을 구성하는 연결구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을 구성하는 연결구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4의 연결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을 구성하는 가로골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을 구성하는 가로골조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을 구성하는 가로골조와 설치구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을 구성하는 유공판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 및 11 은 본 발명의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을 구성하는 유공판의 일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을 구성하는 유공판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을 구성하는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의 일설치형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을 구성하는 연결구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을 구성하는 연결구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 는 도 4의 연결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을 구성하는 가로골조를 도시한 것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을 구성하는 가로골조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8 은 본 발명의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을 구성하는 가로골조와 설치구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9 는 본 발명의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을 구성하는 유공판을 도시한 것이며, 도 10 및 11 은 본 발명의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을 구성하는 유공판의 일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12 는 본 발명의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을 구성하는 유공판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3 은 본 발명의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을 구성하는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100)은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개방된 삽입공(14)이 형성된 몸체부(13)와 상기 몸체부(13)의 일측으로 일체로 형성된 걸림날개부(12)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13)의 상하측부면에 다수게의 체결공(16)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14)의 타측으로 바깥면으로 비계설치구(50)가 일체로 구성된 복수개의 가로골조(10);와,
상기 가로골조(10)의 상측의 안착면부(18)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며, 상기 안착면부에 안착되어 위치되는 날개부(44a, 44b)가 형성되는 상판(41)과 폭방향으로 소정폭을 가지도록 돌출되는 이음부(43a)가 형성되는 하판(43)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날개부(44a, 44b)에 상기 가로골조의 삽입공(14)과 일치되어 위치되는 체결공(42)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유공이 형성된 유공판(40);과,
상기 가로골조(10)와 유공판(40)을 견고히 결합시키는 상기 유공판(40)에 형성된 체결공(42)과 일치되어 위치되는 체결공(22)이 다수개 형성된 고정부재(20);와,
상기 가로골조(10)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공(14)에 삽입되는 삽입부재(36)와 상기 삽입부재(36)와 일체로 구성된 몸체부(34)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34)의 일측상단으로 관통공(37)이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부재(32)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37)에 삽입되어 볼트너트체결되는 구조로 되는 리벳(38)으로 구성되는 연결구(30);와,
상기 가로골조(10)와 유공판(40)과 고정부재(20)를 결합시키는 복수개의 볼트(50)와 너트(52)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 가로골조(10)는 첨부도면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a)는 평면도이고, (b)는 저면도이며, (c)는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되지 않는 도면부호 18은 이후에 설명되는 유공판(40)과 가로골조(10)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안착면부(18)로 칭하여 설명된다.
상기 연결구(30)를 구성하는 상기 리벳(38)은 볼트너트체결방식을 채택하여 구성되며, 상기 리벳(38)은 상기 가로골조(10)의 일측단에 구성되는 비계설치구(50)가 설치된 비계의 다른 소정부와 서로 와이어 체결되어 스틸선반(100)이 소정각 기울어지게 설치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30)와 가로골조(10)가 견고히 결합되도록 상기 연결구(30)의 삽입부재(36)의 중심부에 체결공(39)이 더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39)와 일치되도록 상기 가로골조(10)의 하측부에 체결공(17)이 더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와 가로골조가 나사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나사체결방식은 통상의 체결방식으로 통상의 기술자라면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더라고 누구나 인지할 수 있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연결구와 가로골조에 나사체결될 수 있는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로골조(10)의 비계설치구(50)가 상호 대칭되어 위치되도록 복수개 결합되는 구조로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일 때, 보다 안정적적으로 비계에 본 발명의 스틸선반(100)이 설치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30)는 상기 삽입부재(36)의 타측 몸체부(34)에 일체로 결합되는 고정부(33c, 35c)와 상기 고정날개부(33c, 35c)와 일체로 구성되되 "ㄱ"자 꺽임형태가 되도록 일체로 구성되며, 중앙부에 삽입공(33b, 35b)이 형성된 결합날개부(33a, 35a)로 이루어진 결합부재(33, 35)가 더 형성되어진 구조일 수 있다. 이의 사용상태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100)이 결합된 상태로 건축물의 비계에 다수개 설치시 상기 연결구(30)는 일측의 가로골재(10)에 결합되는 연결구(30)의 상기 결합부재(33)와 타측의 가로골재(10)에 결합되는 연결구의 결합부재(35)가 서로 맞물림 구조가 되어 서로 암수 결합되는 형태가 되고, 이때, 상기 삽입공(33b, 35b)에 볼트(37a)와 너트(37b)로 구성되는 체결수단으로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건축공사시 하층부에 설치되는 스틸선반(100)이 다수개 설치되는 상황에서 각각의 스틸선반과 스틸선반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인 낙하물 방호역할을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첨부도면 도 9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유공판(40)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a)는 평면도, (b)는 저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유공판(40)은 상판(41)과 하판(43)으로 이루어지고, 상판과 하판은 일체로 결합된다. 이때, 결함방식은 통상의 결합방식을 체택하며, 한 예로 용접에 의한 결합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상판(41)은 양측 끝 말단부에 가로골조(10)의 안착면부(18)에 일정간격져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16)과 동일한 위치에 체결공(4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안착부면(18)의 체결공(16)은 유공판(40)을 조립시 각각의 유공판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42)과 체결공(42)의 이격거리와 동일한 이격거리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판(41)은 상기 안착부면(18)의 세로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날개부(44a, 44b)와 하판(43)의 일끝단부보다 소정폭 돌출되는 돌출단부(45)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판(43)은 상기 상판(41)의 돌출단부(45)의 타측 하단으로 상기 돌출단부(45)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안착부(43a)가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유공판은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으로 조립시, 상기 상판의 돌출단부(45)가 상기 하판의 안착부(43a)에 올려져 안착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조립구조를 채택함으로써 하판이 상판을 보조하는 구조가 되어 별도의 휨방지 보조부재를 구비하지 않아도 유공판이 휘어지거나, 낙하물의 낙하충격에 의해 휘어지는 현상 등이 현격하게 개선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첨부도면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유공판(40)을 도시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가로골조와 가로골조의 길이방향 양 말단에 위치되어 조립되는 유공판의 일실시양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가로골조의 비계설치구(50)측 말단에 위치되어 조립되는 유공판의 실시양태로 (a)는 평면도, (b)는 저면도, (c)는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계설치구측 말단에 위치되어 조립되는 유공판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과 하판의 일끝단은 일치되게 위치되고, 그 타측으로 하판이 상판보다 소정폭 더 넓게 형성되어 안착부(43a)를 형성하는 구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이다.
도 11은 상기 도 10에서 설명되는 유공판이 타측 말단에 위치되어 조립되는 것으로, 도 10의 유공판과 반대로 상판이 하판보다 소정폭 더 넓은 폭을 가져, 하판의 안착부(43a)에 안착되는 돌출단부(45)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형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계설치구(50)측에 위치되어 결합되는 유공판(40)은 상판(41)의 상면으로 구름방지판(60)이 더 구비되고, 상기 구름방지판(60)은 상기 상판(41)의 일측단에 소정각 유동 가능하도록 경첩(62)으로 체결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름방지판(60)은 상기 유공판(40)의 상판(43)의 일끝단부측으로 소정폭만큼 돌출되는 구름방치판 돌출단부(64)를 두어 상기 구름방지판 돌출단부(64)의 하측면과 상판의 일측부가 경첩(62)으로 결합되게 되고, 스틸선반으로 조립된 후, 비계에 설치된 다음, 상기 구름방지판을 펼쳐 상기 상판과 수직되게 세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구름방지판 돌출단부(64)가 상판의 일측부에 맞닿아 멈추게 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첨부도면 도 13은 유공판(40)의 하측에 보강부재(70)를 더 구성하는 것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공판(40)을 구성하는 하판(43)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복수개의 보강부재(70)와, 상기 보강부재(70)를 하판에 결합시키는 복수개의 체결부재(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다른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80)는 하판과 밀착되는 날개부(82)에 복수개의 통공(84)이 형성되고, 하판에 상기 통공과 일치되는 위치에 통공이 형성되거나, 혹은 상기 체결부재(80)가 결합되는 위치에 필요에 따라 드릴비트 등으로 타공한 후, 상기 체결부재(80)와 하판을 나사체결하여 상기 보강부재를 조립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80)는 양 말단의 유공판에 결합되거나, 혹은 필요에 따라 적의 선택하여 다수개의 체결부재(80)를 양 말단의 유공판의 사이에 위치되어 조립된 유공판들 중 적의 선택하여 다수개 결합시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양태를 살펴 보면, 본 발명의 스틸선반은 건축공사중 상부에서 낙하되는 낙하물을 받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는 가로골조에 결합되어 있는 비계설치구가, 상부에는 연결구가 각각 비계에 설치되게 된다. 상기 비계설치구(50)는 연결구(30)보다 하부에 위치되게 비계(92)에 설치되게 된다. 이때, 상기 비계설치구(5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복수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비계에 간단히 걸쳐 설치될 수 있는 훅(hook)인 것이 설치가 간편하고, 또한 하부에서 힘이 작용하여 구성 전체가 들리는 경우는 거의 없으므로 그에 따른 위험성도 적다. 상기 훅은 갈고리 형상을 한 부위가 일부가 개방된 형태의 일정한 형상을 가진 것도 있고, 그 갈고리의 폭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 것도 있다. 어느 것을 적의 선택하여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비계설치구(50)는 그 형태가 훅에 한정하지 않고, 통상의 브래킷을 구비하여 가로골조에 결합하고, 이를 이용하여 비계의 소정부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도 있음이다.
상기 연결구(30)는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이 소정각으로 기울여진 상태에서 와이어(90)에 의해 비계(93)에 체결되게 된다. 상기 와이어(90)는 그 일단부가 연결구(30)의 몸체부(34)의 일측상단으로 관통공(37)이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부재(32)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37)에 삽입되어 볼트너트체결되는 구조로 되는 리벳(38)에 체결되고, 타단부가 별도로 구비된 브래킷(94)과 체결되어, 상기 브래킷(94)에 의해 비계(93)에 보다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와이어(50)에는 그밖에도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턴버클(turnbuckle) 등이 더 구비될 수 있으나,기타 구체적인 구성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생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100)은 복수이 가로골조에 유공판을 안착시키고, 안착된 유공판을 가로골조와 견고히 조립되어 안착되도록 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가로골조와 유공판 및 고정부재를 볼트와 너트의 결합으로 견고히 고정하고 일끝단에 연결구를 가로골조에 삽입하여 조립함으로써 선반의 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선반을 건물 주위의 비계에 설치시키는 간단한 방법으로 낙하물을 방호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데, 지상에서 미리 조힙작업을 하고, 조립작업이 마무리된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은 크레인 등 중장비를 이용하여 설치될 위치로 인양한 후, 해당 설치위치에 대기하고 있는 작업자가 이를 이어받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어 인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과 동시에 설치시간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가로골조 12: 걸림날개부
13: 몸체부 14: 삽입공
16: 체결공 17: 설치공
18:안착면부 20: 고정부재
22: 체결공 30: 연결구
32: 고정부재 34: 몸체부
36: 삽입부재 37: 관통공
38: 리벳 40: 유공판
41: 상판 42: 체결공
43: 하판 44a, 44b: 날개부
50: 비계설치구 51: 볼트
52: 너트

Claims (5)

  1. 건축물 비계에 설치되는 낙하물 방호선반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개방된 삽입공(14)이 형성된 몸체부(13)와 상기 몸체부(13)의 일측으로 일체로 형성된 걸림날개부(12)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부(13)의 상하측부에 다수게의 체결공(16)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14)의 타측으로 바깥면으로 비계설치구(50)가 일체로 구성된 복수개의 가로골조(10);와,
    상기 가로골조(10)의 상측의 안착면부(18)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며, 상기 안착면부에 안착되어 위치되는 날개부(44a, 44b)가 형성되는 상판(41)과 폭방향으로 소정폭을 가지도록 돌출되는 이음부(43a)가 형성되는 하판(43)이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날개부(44a, 44b)에 상기 가로골조의 삽입공(14)과 일치되어 위치되는 체결공(42)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유공이 형성된 유공판(40);과,
    상기 가로골조(10)와 유공판(40)을 견고히 결합시키는 상기 유공판(40)에 형성된 체결공(42)과 일치되어 위치되는 체결공(22)이 다수개 형성된 고정부재(20);와,
    상기 가로골조(10)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공(14)에 삽입되는 삽입부재(36)와 상기 삽입부재(36)와 일체로 구성된 몸체부(34)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34)의 일측상단으로 관통공(37)이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부재(32)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37)에 삽입되어 볼트너트체결되는 구조로 되는 리벳(38)으로 구성되는 연결구(30);와,
    상기 가로골조(10)와 유공판(40)과 고정부재(20)를 결합시키는 복수개의 볼트(51)와 너트(5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30)와 가로골조(10)가 견고히 결합되도록 상기 연결구(30)의 삽입부재(36)의 중심부에 체결공(39)이 더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39)와 일치되도록 상기 가로골조(10)의 하측부에 체결공(17)이 더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와 가로골조가 나사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30)는 상기 삽입부재(36)의 타측 몸체부(34)에 일체로 결합되는 고정부(33c, 35c)와 상기 고정날개부(33c, 35c)와 일체로 구성되되 "ㄱ"자 꺽임형태가 되도록 일체로 구성되며, 중앙부에 삽입공(33b, 35b)이 형성된 결합날개부(33a, 35a)로 이루어진 결합부재(33, 35)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계설치구(50)측에 위치되어 결합되는 유공판(40)은 상판(41)의 상면으로 구름방지판(60)이 구비되고, 상기 구름방지판(60)은 상기 상판(41)의 일측단에 소정각 유동 가능하도록 경첩(62)을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판(40)의 하판(43)의 하측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보강부재(70)와 상기 보강부재(70)를 하판에 결합시키는 복수개의 체결부재(8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
KR1020150059384A 2015-04-28 2015-04-28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 KR101820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384A KR101820695B1 (ko) 2015-04-28 2015-04-28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384A KR101820695B1 (ko) 2015-04-28 2015-04-28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913A true KR20160127913A (ko) 2016-11-07
KR101820695B1 KR101820695B1 (ko) 2018-01-22

Family

ID=57529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9384A KR101820695B1 (ko) 2015-04-28 2015-04-28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06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94626A (zh) * 2017-04-27 2017-06-27 廊坊凯博建设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附墙爬升脚手架的附墙座及防坠保护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7798A (ko) 2000-12-14 2002-06-22 이계안 자동차 후드의 충격 흡수장치
KR20110106241A (ko) 2010-03-22 2011-09-28 내셔널 세미콘덕터 코포레이션 컨스턴트 온-타임 및 컨스턴트 오프-타임 스위칭 레귤레이터용 감지 캐패시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831Y1 (ko) * 2002-11-29 2003-02-11 다산건설(주) 건축공사장용 안전선반
KR200474157Y1 (ko) * 2013-02-18 2014-08-27 임종준 작업용 안전발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7798A (ko) 2000-12-14 2002-06-22 이계안 자동차 후드의 충격 흡수장치
KR20110106241A (ko) 2010-03-22 2011-09-28 내셔널 세미콘덕터 코포레이션 컨스턴트 온-타임 및 컨스턴트 오프-타임 스위칭 레귤레이터용 감지 캐패시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94626A (zh) * 2017-04-27 2017-06-27 廊坊凯博建设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附墙爬升脚手架的附墙座及防坠保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0695B1 (ko) 2018-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1190B2 (en) Wood gang 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using same
US20230279678A1 (en) Side protector, ceiling formwork system having at least one such side protector, and method for erecting such a side protector
KR200418247Y1 (ko) 건축용 비계
EP3330440A1 (en) Anchoring and attachment assembly for modular constructions
EP3807204A1 (en) Composite assembly of the steel structure for lifting equipment
KR20110110494A (ko) 지지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낙하방지용 안전망 지지장치
JP6846098B2 (ja) 梁枠の取付構造並びにこれに用いられる梁枠受け部材及び梁枠渡し部材
JP3181041U (ja) 橋梁用足場取付け部材
KR101435948B1 (ko) 철골 빔 설치용 안전 난간대
EP1878850B1 (en) Scaffolding system
KR101820695B1 (ko) 낙하물 방호용 스틸선반
KR200413590Y1 (ko) 고하중 비계 및 이의 조립구조
KR101138805B1 (ko) 안전 작업대유닛
KR102335856B1 (ko) 철골빔 설치용 안전 난간대
JP2016014236A (ja) 吊足場
JP6108512B1 (ja) 吊り足場及びその設置方法
KR200229773Y1 (ko) 낙하물 방호선반
JP5851315B2 (ja) 足場金具およびその取付け方法
KR101224917B1 (ko) 족장 지그
KR101063630B1 (ko) 천장패널과 프레임 부재를 이용한 천장 마감장치 및 설치방법
JP2020174909A (ja) 墜落防止構造
FI127235B (en) Frame, shock absorber and procedure
KR20000049555A (ko) 슬라이드갱폼
JP2019112905A (ja) 外壁パネルの施工時構造体および外壁の施工方法
JP7282569B2 (ja) 建物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