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7617A - 전해수 농도 제어가 가능한 전해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전해수 농도 제어가 가능한 전해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7617A
KR20160127617A KR1020150106509A KR20150106509A KR20160127617A KR 20160127617 A KR20160127617 A KR 20160127617A KR 1020150106509 A KR1020150106509 A KR 1020150106509A KR 20150106509 A KR20150106509 A KR 20150106509A KR 20160127617 A KR20160127617 A KR 20160127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ic
water
unit
concentration
cu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근
권혁규
Original Assignee
(주)지오투유니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오투유니츠 filed Critical (주)지오투유니츠
Publication of KR20160127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76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5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22O2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30H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전해수 생성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동작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1000), 제 1 농도 측정부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전해수 생성장치가 물에 잠겼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1010), 전해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1020),물 속의 산소 혹은 수소의 제 1 용존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1030), 상기 측정 값에 기초하여 전해부의 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단계(1080), 제 2 농도 측정부에서 물 속의 산소 혹은 수소의 제 2 용존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0150), 상기 제 1 용존농도와 상기 제 2 용존농도의 비교값에 의해 상기 전해부의 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단계(1070)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해수 농도 제어가 가능한 전해수 제조장치{ APPARATUS HAVING CONSENTRATION CONTROL METHOD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본 발명은 전해수 농도 제어가 가능한 전해수 제조장치 및 구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용을 비롯한 소형수소수 생성장치의 수소 생성 농도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포함하는 구조적 특징을 가진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물의 전기분해를 이용한 전기분해 장치는 본체 내에 양극판과 음극판을 설치하고, 양극판과 음극판을 각 각 외부전원의 양극 및 음극에 연결한다. 본체 내에 전해질을 충전시킨 후 원수를 주입하고 전원을 인가하면, 양극에서는 산화반응으로 산소를 얻을 수 있고, 음극에서는 환원반응으로 수소를 얻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산기는 물(H2O) 분자가 강력한 전기적 에너지에 의해 분리되는 과정에서 수소 원자(H+) 하나가 떨어질 때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산소분자(O2)가 같은 방식으로 분리되면서 발생하는 O-, O2-,O3- 등의 산소 음이온 중에서 O2-(Super Oxide Anions)가 부유 중인 오염물질과 결합하여 산화 반응하는 과정에서도 일부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산기 (Hydroxyl Radical)가 산화작용을 하고 다시 물로 환원되는 데는 통상 대기중 상온에서 2~5시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동안 연구된 결과에 의해 구체적으로, 전기화학적 수 분해를 위한 전극의 제작의 방법에 있어서 종래에는 침상형, 선형, 환상형, 인쇄극판형 등의 여러 형태의 방전 전극이 발명되었다.
그러나 침상형은 시간이 지나면서 전기적, 화학적 산화에 의한 재료의 표면 석출로 침이 마모되면서 짧은 시간에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판상형은 대향전극인 판 사이의 간격을 아주 가깝게 할 경우 판 사이에서 발생된 기포들이 외부로 방출되기 힘들며, 방열효과의 저하로 산소계활성 종의 발생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전극의 여러 형태 중 선형이 방전효율이 가장 높고 경제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선형 전극 역시 짧은 시간의 사용에도(12~500시간) 불구하고 단선이 되거나, 극간 간격이 1mm 이내로 매우 좁기 때문에 방전열이나 외부 충격으로 도선이 약간만 늘어져도 단락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가정용을 비롯한 수소수 발생장치의수소 생성을 위한 전해조의 구조 및 전해조를 포함하는 구조적 특징을 가진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별히 판상형 대향전극인 판 사이의 간격을 아주 가깝게 할 경우 판 사이에서 발생된 기포들이 외부로 방출되기 힘들며, 방열효과의 저하로 산소계활성 종의 발생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전해부의 모양과 전해부를 지지하는 가이드부, 그리고 이를 동작하기 위한 전원부와 제어부, 독특한 구조와 위치를 갖는 제 1 바디부와 제 1 바디부의 고도로 계산된 형상으로서 기존 제품의 단가를 유지함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수소수 생성 장치는 전원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 1 바디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물을 전기분해하는 제 1 전해부; 상기 제 1 전해부를 지지하는 제 1 가이드부;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1 전해부 및 상기 제 1 가이드부를 감싸는 제 2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해부 기 설정된 두께와 너비를 갖는 띠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 1 전해부는 제 1 절단면과 제 2 절단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절단면은 상기 수소수 생성 장치의 상단을 향하고 상기 제 2 절단면은 상기 수소수 생성 장치의 하단을 향하도록 구성하여 물이 전기분해되면서 발생하는 기포를 유속을 발생시키는 동력으로 사용하여 자연스럽게 물의 흐름을 유도하여 전해부에 발생한 기포가 빠르게 제거되고 방열 효과를 극대화 하도록 설계하였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일 양상에 의하면 물이 전기분해되면서 발생하는 기포를 유속을 발생시키는 동력으로 사용하여 자연스럽게 물의 흐름을 유도하여 전해부에 발생한 기포가 빠르게 제거되고 방열 효과를 극대화 하도록 설계하였다. 이로써 기존 제품의 단가를 유지함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종래기술에 대한 구조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제조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제조 장치의 각 구성 요소별 위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제조 장치의 각 구성 요소별 크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부와 가이드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부와 가이드부의 부위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도 측정부 위치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도 측정 방법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특정한 용어를 임의의 의미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용어의 의미에 관하여 별도로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과장되어 표시된 것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수소수 생성 장치는 전원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 1 바디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물을 전기분해하는 제 1 전해부, 상기 제 1 전해부를 지지하는 제 1 가이드부,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1 전해부 및 상기 제 1 가이드부를 감싸는 제 2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해부 기 설정된 두께와 너비를 갖는 띠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 1 전해부는 제 1 절단면과 제 2 절단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절단면은 상기 수소수 생성 장치의 상단을 향하고 상기 제 2 절단면은 상기 수소수 생성 장치의 하단을 향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제 1 전해부,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 바디부는 상기 제 1 바디부를 감싸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제 1 전해부는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는 이격이 존재하며 상기 이격 사이로 액체 및 기체가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해부의 너비는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너비보다 작으며,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너비는 상기 제 2 바디부의 너비보다 작고, 상기 제 2 바디부의 너비는 상기 제 1 바디부의 두께보다 작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부의 반경은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1 전해부의 반경보다 작으며, 상기 제 2 바디부의 반경은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1 전해부의 반경보다 큰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해부의 두께는 상기 이격보다 작고, 상기 너비는 제 1 절단면과 제 2 절단면과의 거리이며 상기 띠는 원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로 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물을 전기분해하는 제 2 전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해부는 상기 제 1 전해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너비와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 1 전해부보다 반경이 크며 상기 제 1 전해부와 실질적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제 1 전해부를 감싸며 위치하고 상기 제 2 바디부보다 반경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해부 및 상기 제 2 전해부는 각각 캐소드 전극 과 에노드 전극 혹은 에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으로서 물을 전기분해 하며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전극이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해부 및 상기 제 2 전해부는 물과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 다수의 관통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해부의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전해부의 제 1 영역의 관통구멍은 서로 관통해 있으며, 상기 제 1 전해부의 제 2 영역과 상기 제 2 전해부의 제 2 영역의 관통구멍은 서로 어긋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수소수 생성장치의 상부에 위치하여 전기 분해 전 혹은 후의 물이 출입할 수 있는 제 1 개수구와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수소수 생성장치의 하부에 위치하여 전기 분해 전 혹은 후의 물이 출입할 수 있는 제 2 개수구를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개수부와 상기 제 1 전해부의 상기 제 1 절단면은 서로 인접하고, 상기 제 1 전해부의 상기 제 2 절단면과 상기 제 2 개수부는 서로 인접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해부를 지지하는 제 2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가이드부는 상기 제 1 전해부의 상기 제 1 절단면을 따라 위치하고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상기 제 1 전해부의 상기 제 2 절단면을 따라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전기분해 전 혹은 후의 물이 출입할 수 있는 다수의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해부는 제 3 절단면과 제 4 절단면을 더 가지며, 상기 제 3 절단면과 상기 제 4 절단면은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서로 마주보고 있으며 상기 제 3 절단면과 상기 제 4 절단면은 상기 제 1 절단면과 상기 제 2 절단면 길이의 8분의 1 이하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는 충전식 배터리 혹은 교체식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바디부는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전원부를 물의 유입으로 보호하는 방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개수구로부터 나오는 전기분해된 물의 흐름방향을 전환하는 출수방향 변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수방향 변환부는 상기 제 1 바디부보다 반경이 크며 제 2 바디부보다 반경이 작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부의 일부와 상기 제 2 바디부의 일부, 상기 제 2 개수구는 연결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배경기술에 따른 전자 기기에 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종래기술에 대한 구조도이다.
한국 공개특허제 10-2011-0104829호에 따르면, 기존의 휴대용 혹은 소형 수소수 제조장치는 살균용으로 공개되어 있으며, 휴대용 무선살균기(100)는 관통공(121)이 다수 개 형성되는 커버(110)와, 커버(110) 내부에 수용되는 살균모듈(150), 배터리(170) 및 PCB(130)로 구성하여 있고, 커버(110)는 관통공(121)이 형성되는 상부커버(120)와, 이 상부커버(120)에 결합되는 하부커버(160)로 구성하여 있다.
배터리(170)는 하부커버(160)의 맨 아래쪽에 놓여 있으며, PCB(130)는 하부커버(160)의 밑면에 장착된 ON/OFF 스위치의 입력을 받아 배터리(170)의 전원을 살균모듈(15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중지하는 제어를 한다.살균모듈(150)은 플라즈마발생기로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수소수 발생장치는,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별도의 전원 케이블 없이 자체 전원부로 동작을 하기 때문에 휴대용으로 제작이 가능했다.
하지만, 살균모듈에 의해 물이 전기분해 되면서 미세한 기포가 발생하면서 살균모듈 근처의 물 속에 수소의 용존률이 일시적으로 올라가고 물 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전체적인 수소 용존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뿐만 아니라, 물의 전기 분해시 살균모듈에서 주위에서 열이 발생하는 데 살균모듈을 냉각하는 구조가 부재하여 발생하는 열이 순환되는데 한계가 있어 수소의 용존 효율을 높이는데 장애가 되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제조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제조 장치의 각 구성 요소별 위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생성 장치는 전원부(202)와 제어부(201)를 포함하는 제 1 바디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바디부는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구조물로서 내부에는 상기 전원부와 상기 제어부를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부(200)의 구조물은 플라스틱, 혹은 금속 주조물일 수 있으며 사출, 압출, 압착, 3D 프린팅 등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을 통해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부(200) 내부의 일정한 공간은 원통형일 수 있으며 상기 원통형 공간에 원형 혹은 사각의 회로부와 전원부를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부(200)의 내부는 상기 수소주 제조장치가 물에 뜨지 않도록 일정한 질량의 추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회로부와 전원부를 제외한 공간을 동일한 소재로 채울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부는 밀폐되어 물에 잠기더라도 물이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방수부재(2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수부재는 제 1 바디부의 하판(200a)과 상판(200b) 사이에 고무링이나 접착제, 개스킷 등의 소재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부는 상기 제 1 바디부의 하판과 상판을 고정하기 위한 결속부(2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속부는 상기 전원부와 상기 제어부를 감쌀 수 있을 정도로 큰 원형 링 형상의 나사 구조물 일 수 있다.
상기 전원부(202)는 외부 전원공급부(250)을 통해 충전하는 충전식 배터리 이거나, 교체형 배터리 일 수 있다. 혹은 별도의 배터리 없이 외부로부터 전원을 받아 회로부로 전달하는 전선 혹은 단자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202)는 외부 무선 전원 공급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식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하는 무선 충전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전원부(202)는 외부 무선 전원 공급장치로부터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비 충전식으로 직접 작동하는 무선 전력 공급형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전원부(202)는 자가발전식으로 외부로부터 물리적인 힘을 전달받아 소형 발전기를 돌려 전기를 발생하여 충전지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1)는 상기 수소수 제조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전해부(220)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소수 제어장치의 동작 및 중지, 충전 및 대기 등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소부 제어장치의 상태 등을 나타내는 인디케이터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는 LED 등 발광장치를 사용한 라이팅 장치일 수 있으며, LCD 등을 비롯한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혹은 진동이나 소리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타이머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타이머에 의해 상기 수소수 발생장치의 동작과 중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수소수 제조 장치는 물을 감지하거나 물의 성분을 센싱하는 각종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소수 제어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수소수 생성장치는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물을 전기분해하는 전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해부는 제 1 전해부와 제 2 전해부로 구성 될 수 있다.
상기 전기분해의 일 실시례로, 상기 제 1 전해부와 제 2 전해부는 1mm 이내의 실질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 1 전해부와 제 2 전해부에 인가된 DC전류에 의해 상기 제 1 전해부와 제 2 전해부 사이에 방전하면 전계 내에 위치한음전극(Cathode) 끝에 서 국부적인 방전열이 발생하고, 접촉된 물이 기화되면서 형성된 기포가 그 크기가 커지는 과정에서 미약한 전계에 의해서 방전을 일으켜 액체 유전체의 급속한 파괴를 유도하며, 이러한 수중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해 다량의 수산화이온(OH-)을 비롯한 산소계활성종(O-, O2, O3,HO2, H2O2,OH)을 만드는 전해부일 수 있다.
상기 제 1 전해부 혹은 제 2 전해부에 수 Kv의 전압을 인가하여 수중에서 물 분자를 파괴하여 수소 이온과 오존, 산소이온들을 생성하는 전해부일 수 있다.
상기 제 1 전해부 혹은 제 2 전해부는 수중에서 코로나(CORONA)방전에 의한 저전압 저온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전기적, 화학적, 물리적 작용에 의해 강력한 산화력과 살균력을 가진 수산기(Hydroxyl Radical)를 생성시키는 전해부일 수 있으며, 상기 저전압 저온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수산기를 생성시킴으로써 살균된 물을 만들거나 상수 및 오폐 수를 정수할 수 있다.
상기 전해부는 침상형, 선형, 환상형, 인쇄극판형, 링형 등의 여러 형태의 방전 전극일 수 있으며 복수의 형태가 복합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전해부의 재료로는 페라이트(FERRITE), 음전극에는 백금(Pt), 로듐, 이리듐 등 백금 족 귀금속류, 황금(Au), 스텐레스304(SUS)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전류는 캐소드(Cathode음극)에서 애노드(Anode양극) 방향으로 흐르면서 수중방전을 하게 되고, 양극전극에서 산소계 활 성종 클러스터 이온들이 기포상태로 발생한다. 이때 이온화된 불순물(유기물)과 전해 분리된 음이온(무기물의)이 양전극에 부착되어 장시간 사용시 전극의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DC전압만을 그대로 인가할 경우 음극전극은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양극전극은 사용 수명이 짧아진다. 따라서 양극전극을 더 크게 하거나 전극을 주기적으로 혹은 일정 알고리즘에 의해 교환해줄 수 있다.
상기 전해부는 순티타늄 와이어(직경 0.1~0.5mm)를 일반적인 스테인레스망(mesh) 직조기에서 셀 공극을 0.15 (100mesh)~ 1.2mm(16mesh), 공간 비율을 50% 내외로 하여 평직 사각 그물형태로 직조하여 매쉬(mesh 망)형태로 제작하여 필요한 크기로 절단하여 제작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작된 전해부는 백금을 1~5(미크롬 μm) 두께로 이온도금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전해부는 물과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 다수의 관통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전해부의 재료 및 제작방법 등은 일 실시례일 뿐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목적에 한정되거나 국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이루고하 하는 목적을 실시하는데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의 발전에 의해 혹은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되어 적용할 수 있는 물 혹은 다른 액체류의 전기분해 방법을 포괄하여 포함한다.
상기 제 1 전해부 혹은 제 2 전해부 사이에 전극분리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극분리망은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에 내산성, 내식성이 강하고 인체에 전혀 무해한 실리콘, PP, 테프론 소재의 부도체를 망 형태로 제작하여 삽입할 수 있다.
전극 분리망의 셀 규격은 3~15mm 일 수 있으며, 전극에 인가되는 전하의 세기, 전극의 크기에 따라 분리망의 두께는 0.1~2mm가 적당하다.
상기 전극분리망의 역할은 두 개의 전극 사이의 이격 거리를 최적화하고, 두 전극의 단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전해부는 세로의 길이가 가로의 길이의 8분의 1 이하인 직사각형의 망 형태일 수 있다.
이 때 가로 길이의 절단면 두 개와 세로 길이의 절단면 두 개가 발생하며 상기 두 개의 가로 길이의 절단면은 원형으로 구부러져 띠 모양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세로 길이의 절단면 두 개는 서로 마주보게 되며 서로 겹치거나 이어지지 않고 간격을 두고 떨어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띠 모양의 전해부는 원형 띠가 상기 간격만큼 미완성된 원형의 띠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해부의 서로 마주 본 세로방향 절단면 부근에서 각 전극이 전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사각형 망은 둥근 띠 형태로 구부러져 높이가 낮고 직경이 큰 원통형 모양일 수 있다.
상기 제 1 전해부와 제 2 전해부는 다수의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제 1 전해부와 제 2 전해부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원형 띠 모양을 형성하고 있을 때 상기 원형 띠의 제 1 영역에서는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의 관통구멍이 상호 겹치고, 상기 원형 띠의 제 2 영역에서는 상기 제 1 전극의 관통구멍과 상기 제 2 전극의 관통구멍이 상호 어긋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전해부에서 발생하는 기포에 의해 물의 흐름을 아래에서 위로 유도하는 한편 상기 관통구멍의 일치 부분과 어긋난 부분에서의 기포발생의 차이에 의해 물의 흐름에 회전이 발생하여 물의 흐름과 수소수 용존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수소수 생성장치는 상기 전해부의 위치와 모양 등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30)는 상기 전해부와 물리적으로 결속되거나 가이부의 홈 혹은 고리 등에 상기 전해부(220)를 고정함으로써 상기 전해부가 기 설정된 모양과 위치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30)는 상기 제 1 전해부와 제 2 전해부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간격 유지부(2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극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부재는 사기 가이드 부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개의 판이나 띠, 막대 등일 수 있고 상기 가이드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판이나 띠, 막대 등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전해부의 적어도 두 개의 절단면을 따라 전해조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절단면은 상기 전해부의 세로 절단면이며, 상기 세로 절단면은 원형의 띠 모양으로 구부러져 있을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세로 절단면의 하나는 상기 수소수 생성장치의 상단을 향해 있고, 나머지 한개는 상기 수소수 생성기의 하단 즉 바닥면을 향해 있을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두 개의 세로 절단면의 적어도 하나의 절단면을 따라 가이드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부는 상기 두 개의 세로 절단면 모두를 따라 가이드 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소수 생성장치의 상단을 향해 있는 전해부를 따라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고 또 상기 수소수 생성장치의 하단 즉, 바닥을 향한 절단면을 따라 가이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전해부는 적어도 두 개의 전극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두 개의 전극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포개져 있을 수 있으며 상기 간격의 두 배 만큼 원주의 크기가 큰 띠를 형성하며 전해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도 마찬가지로, 상기 가이드 부는 상기 두 개의 전극의 세로 절단면을 따라 상단 또는/그리고 하단에서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물이 출입을 할 수 있는 복수의 구멍 혹은 틈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전해부의 제 1 세로 절단면을 따라 가이드하고 있는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전해부의 제 2 세로 절단면을 따라 가이드하고 있는 제 2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각각 물이 출입을 할 수 있는 복수의 구멍 혹은 틈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구멍 혹은 틈을 통해 전기분해될 물이 입수하거나 전기분해된 물이 출수하게 된다.
상기 수소수 생성장치의 상단이 위를 향하게 물 속에 넣고 동작할 경우, 바닥면을 향한 제 2 가이드부의 구멍 혹은 틈은 입수구로부터 입수된 물이 통과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상단을 향한 제 1 가이드부는 전기분해된 물이출수구(로 출수되도록 물이 통과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반면, 상기 수소수 생성장치의 하단이 위를 향하게 물 속에 넣고 동작할 경우, 상기 수소수 생성장치의 바닥면을 향한 제 2 가이드부의 구멍 혹은 틈은 전기분해된 물의 출수구 역할을 하고, 상기 수소수 생성장치의 상단을 향한 제 1 가이드부는 전기분해 될 물의 입수구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전해부는 두 개의 가로 절단면이 서로 간격이 형성된 채로 미완성된 띠 형태를 띠고 있는 반면, 상기 가이드부는 온전한 띠 형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소수 생성장치는 제 2 바디부(210)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바디부는 상기 제 1 바디부(200)와 상기 전해부(220)를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제 1 바디부 및 상기 전해부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바디부는 상판과 하판의 구성으로 결속되거나 하나의 바디로 구성되어 상기 제 1 바디부 혹은 상기 전해부와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바디부는 제 1 바디부와 하나의 연결된 사출물 혹은 주조물로 생산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생산 단가를 낮추고, 제 1 바디부의 방수효과를 효과적으로 높이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 2 바디부는 상기 가이드 부 및 상기 제 1 바디부와 하나의 연결된 사출물 혹은 주조물로 생산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생산 단가를 낮추고, 제 1 바디부의 방수효과를 효과적으로 높이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 2 바디부는 상기 전해조의 입수구와 출수구가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도록 하여 전기분해 전의 물과 전기분해 후의 물을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전기분해의 효율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 2 바디부는 상기 전해조의 너비보다 넓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바디부는 입수구(310)와 출수구(320)로부터 멀어질 수록 두께가 증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입수구로 들어가는 물과 출수구로 들어가는 물이 보다 효과적으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전기분해의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바디부는 원형의 띠 혹은 도넛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꼭지점에 곡률이 존재하는 다각형의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혹은 모서리의 일부에 곡률을 가하여 물 속에 있는 야채 등 소독을 원하는 대상물 사이를 비집고 들어가기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소수 생성장치 상단 혹은 하단에는 전기분해 후 물과 기포가 함께 상기 수소수 제조장치로부터 빠져나올 때 출수의 흐름 방향을 변환시켜주는 출수방향 변환부(240)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출수방향 변환부(240)는 입수구(310)로부터 전기분해 전의 물이 입수하여 전해부에서 전기분해되어 물과 기포가 발생하여 물의 상승 흐름이 발생하고 상단의 출수구로 물과 기포가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상승 흐름의 물과 기포가 출수방향 변환부에 의해 물의 흐름이 상승 흐름에서 상승 흐름의 수직 방향의 힘을 받게되어 출수 흐름의 방향이 변하게 된다.
이는 생성된 수소수가 수직 흐름에 의해 물의 표면에 도달하는 거리를 증가시켜 수소수의 용존 효율을 높이고 수소수가 보다 넓게 세척 대상으로 퍼지도록 유도한다.
상기 출수방향 변환부는 상기 제 1 바디부(200)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소수 생성장치의 최상단면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출수방향 변환부에서 출수구에 위치한 곳에는 경사면(241)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경사면(241)은 곡률을 가지고 있을 경우 출수방향 변환 효과 및 수소수 용존률 향상에 도움이 된다. 뿐만 아니라, 상승흐름의 전기분해 후의 물과 기포가 상기 출수방향 변환부에 의해 부딪히지 않고 부드럽게 흐름 방향을 바꾸는데 도움이 된다.
상기 수소수 생성장치는, 상기 전해부(220)를 지지하는 가이드부(230), 상기 제 1 바디부(200)와 상기 전해부 및 상기 가이드부를 감싸는 제 2 바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해부(220)는 기 설정된 두께와 너비를 갖는 띠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전해부는 제 1 절단면과 제 2 절단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절단면은 상기 수소수 생성 장치의 상단을 향하고 상기 제 2 절단면은 상기 수소수 생성 장치의 하단을 향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전해부(220), 상기 가이드부(230) 및 상기 제 2 바디부는 상기 제 1 바디부(200)를 감싸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전해부(220)는 상기 제 1 바디부(200)와 상기 제 2 바디부(210)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는 이격이 존재하며 상기 이격 사이로 액체 및 기체가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제조 장치의 각 구성 요소별 크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전해부(220)의 너비(330)는 상기 가이드부의 너비(331)보다 작으며, 상기 가이드부의 너비(331)는 상기 제 2 바디부의 너비(332)보다 작고, 상기 제 2 바디부의 너비(332)는 상기 제 1 바디부의 두께(333)보다 작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부의 반경(340)은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1 전해부의 반경(341)보다 작으며, 상기 제 2 바디부의 반경(342)은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1 전해부의 반경보다 큰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해부의두께(350)는 상기 이격(351)보다 작고, 상기 전해부의 너비는 제 1 절단면과 제 2 절단면과의 거리이며 상기 띠는 원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부이다.
상기 수소수 생성장치의 전해부는 상기 전원부로 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물을 전기분해하는 제 2 전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해부(220b)는 상기 제 1 전해부(220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너비와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길이는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해부(220b)는상기 제 1 전해부(220a)보다 반경이 크며 상기 제 1 전해부와 실질적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제 1 전해부를 감싸며 위치하고 상기 제 2 바디부(210)보다 반경이 작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해부의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전해부의 제 1 영역의 관통구멍은 서로 관통해 있으며, 상기 제 1 전해부의 제 2 영역과 상기 제 2 전해부의 제 2 영역의 관통구멍은 서로 어긋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전해부는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수소수 생성장치의 상부에 위치하여 전기 분해 전 혹은 후의 물이 출입할 수 있는 출수구(320)와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수소수 생성장치의 하부에 위치하여 전기 분해 전 혹은 후의 물이 출입할 수 있는 입수구(310)를 더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출수구와 상기 제 1 전해부의 상기 제 1 절단면은 서로 인접하고, 상기 제 1 전해부의 상기 제 2 절단면과 상기 입수구는 서로 인접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30) 상기 전해부(220)를 지지하는 제 2 가이드부(230b)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가이드부(230a)는 상기 제 1 전해부의 상기 제 1 절단면을 따라 위치하고 상기 제 2 가이드부(230b)는 상기 제 1 전해부의 상기 제 2 절단면을 따라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전기분해 전 혹은 후의 물이 출입할 수 있는 다수의 구멍(50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해부의 일측에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제 1 전극(510a)와 상기 제 2 전해부의 일측에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제 2 전극(51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는 충전식 배터리 혹은 교체식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바디부는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전원부를 물의 유입으로 보호하는 방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개수구로부터 나오는 전기분해된 물의 흐름방향을 전환하는 출수방향 변환부(2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수방향 변환부는 상기 제 1 바디부보다 반경이 크며 제 2 바디부보다 반경이 작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출수방향 변환부는 상기 제 1 바디부의 상단에 접합되거나 상기 제 1 바디부와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부의 일부와 상기 제 2 바디부의 일부, 상기 제 2 개수구는 연결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부와 가이드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부와 가이드부의 부위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부의 평면도이다.
상기 수소수 생성 장치는 전원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 1 바디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제 1 전원을 인가받아 물을 전기분해하는 제 1 전해부(220a), 상기 전원부로부터 제 2 전원을 인가받아 물을 전기분해하는 제 2 전해부(220b), 상기 제 1 전해부 및 상기 제 2 전해부는 제 1 절단면과 제 2 절단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해부 및 상기 제 2 전해부의 제 1 절단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전해부 및 상기 제 2 전해부를 지지하는 제 1 가이드부(230a), 상기 제 1 전해부 및 상기 제 2 전해부의 제 2 절단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 1 전해부 및 상기 제 2 전해부를 지지하는 제 2 가이드부(230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해부 및 상기 제 2 전해부는 기 설정된 두께와 너비를 갖는 원형띠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 1 절단면은 상기 수소수 생성 장치의 상단을 향하고 상기 제 2 절단면은 상기 수소수 생성 장치의 하단을 향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제 1 전해부, 상기 제 2 전해부,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상기 제 1 바디부를 감싸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상기 제 1 전해부와 상기 제 2 전해부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간격 유지부(610)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간격 유지부(610)는 기 설정된 간격으로 돌출된 돌기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기 설정된 간격으로 돌기가 돌출되어 있기에 상기 전해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단면은 돌기가 있는 부위(710)과 돌기가 없는 부위(720, 730)로 나뉠 수 있으며, 돌기가 없는 부위는 다시 상기 다수의 구멍(501)이 있는 부위(720)과 상기 다수의 구멍(510)이 없는 부위(730)으로 나뉠 수 있다.
상기 간격 유지부가 상기 다수의 구멍(501)이 없는 모든 부위에 위치하고 있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상기 돌기는 직사각형 모양이거나, 둥근 모양이거나, 한 면이 사선인 사각형이거나, 삼각형일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상기 제 1 전해부와 상기 제 2 전해부 사이의 간격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구멍(50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상기 다수의 구멍과 상기 제 2 가이드부의 상기 다수의 구멍은 실질적으로 일직선(720) 상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상기 다수의 구멍과 상기 제 2 가이드부의 상기 다수의 구멍은 상기 제 1 전해부와 상기 제 2 전해부 사이의 간격을 관통하고 위치(720)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 1 전해부와 상기 제 2 전해부는 원형띠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형띠의 원주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고 있어 상기 원형띠의 일부가 단락되어 있을 수 있다(600).
상기 제 2 전해부는 상기 제 1 전해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너비와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 1 전해부보다 반경이 크며 상기 제 1 전해부와 실질적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제 1 전해부를 감싸며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제 1 전해부 및 상기 제 2 전해부는 각각 캐소드 전극과 에노드 전극이거나물을 전기분해 하며 일정 시간 간격으로 에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이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해부 및 상기 제 2 전해부는 물과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 다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 1 전해부의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전해부의 제 1 영역의 관통구멍은 서로 관통해 있으며, 상기 제 1 전해부의 제 2 영역과 상기 제 2 전해부의 제 2 영역의 관통구멍은 서로 어긋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해부는 제 3 절단면과 제 4 절단면을 더 가지며, 상기 제 3 절단면과 상기 제 4 절단면은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서로 마주보고 있으며 상기 제 3 절단면과 상기 제 4 절단면은 상기 제 1 절단면과 상기 제 2 절단면 길이의 8분의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전해부의 길이는 상기 제 2 전해부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제 1 전해부 또는 상기 제 2 전해부는 상기 제 1 절단면에서 상기 제 2 절단면 방향으로 혹은 상기 제 2 절단면에서 상기 제 1 절단면 방향으로 물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흐름 가이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부, 상기 제 1 전해부, 상기 제 2 전해부,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 가이드부를 감싸는 제 2 바디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해부는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는 이격이 존재하며 상기 이격 사이로 액체 및 기체가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해부의 너비는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제 2 가이드부 사이의 간격보다 작으며,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제 2 가이드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2 바디부의 너비보다 작고, 상기 제 2 바디부의 너비는 상기 제 1 바디부의 두께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바디부의 반경은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1 전해부의 반경보다 작으며, 상기 제 2 바디부의 반경은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1 전해부의 반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수소수 생성장치의 상부에 위치하여 전기 분해 전 혹은 후의 물이 출입할 수 있는 제 1 개수구와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수소수 생성장치의 하부에 위치하여 전기 분해 전 혹은 후의 물이 출입할 수 있는 제 2 개수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바디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개수구로부터 나오는 전기분해된 물의 흐름방향을 전환하는 출수방향 변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출수방향 변환부는 상기 제 1 바디부보다 반경이 크며 제 2 바디부보다 반경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소수 생성 방법은 제어부에 의해 전원부의 전원상태를 표시하는 단계,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제 1 전해부와 제 2 전해부로 인가하는 단계, 제어부에 의해 기 설정된 시간 후 상기 제 1 전해부와 제 2 전해부로 인가된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와 상기 제어부는 제 1 바디부 안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전해부와 상기 제 2 전해부는 가이드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1 전해부, 상기 제 2 전해부 및 상기 가이드부는 제 2 바디부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상기 제 1 전해부와 상기 제 2 전해부는 기 설정된 두께와 너비를 갖는 원형띠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전해부와 상기 제 2 전해부의 제 1 절단면은 상기 수소수 생성 장치의 상단을 향하고 상기 제 1 전해부와 상기 제 2 전해부의 제 2 절단면은 상기 수소수 생성 장치의 하단을 향하고 있도록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해부는 원형띠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정에서 야채등을 세척하는 세정기의 용도로 사용할 경우 그 지름(800)은 70내지 120 밀리미터가 적당하다.
상기 제 1 전해부 및 상기 제 2 전해부의 두께(810)은 0.4 내지 1 밀리미터가 적당하며 이때 상기 제 1 전해부와 상기 제 2 전해부 사이의 간격(820)은 0.5 내지 1.6 밀리미터가 적당하다.
상기 제 1 전해부와 상기 제 2 전해부의 제 3 절단면과 제 4 절단면 사이의 간격(600)은 5내지 20 밀리미터가 적당하다.
상기 제 1 전해부의 상기 간격(600)과 상기 제 2 전해부의 상기 간격(600)은 서로 어긋나도록 설계하며 전극(510a, 510b)이 연결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례로, 전해수 생성 장치는, 전원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 1 바디부,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물을 전기분해하는 전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해부는 제 1 절단면과 제 2 절단면을 포함하며 상기 전해부의 제 1 절단면에 위치하여 상기 전해부를 지지하는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전해부의 제 2 절단면에 위치하여 상기 전해부를 지지하는 제 2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해수 생성장치는 상기 제 1 바디부, 상기 전해부,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 가이드부를 감싸는 제 2 바디부,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 사이로 액체 및 기체가 유입되는 입수부,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 사이로 액체 및 기체가 유출되는 출수부, 전해수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 1 농도 측정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해수의 농도는 수소의 용존 농도와 산소의 용존 농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 1 농도 측정부(900)는 상기 출수부 보다 상기 입수부에 더 근접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 농도 측정부(900)에서 측정된 값이 제 1 스레시홀드 이상일 경우 상기 전해부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농도 측정부에서 측정된 값이 제 2 스레시 홀드 이하일 경우 상기 전해부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입수부보다 상기 출수부에 더 근접하여 위치한 제 2 농도 측정부(9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 1 농도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제 1 측정값과 상기 제 2 농도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제 2 측정값을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측정값과 상기 제 2 측정값의 차이가 기 정의된 스레시홀드 이하일 경우 상기 전해부에 인가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측정값과 상기 제 2 측정값의 차이가 기 정의된 스레시홀드 이하이고, 상기 제 1 측정값과 상기 제 2 측정값이 기 정의된 값 이하일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알림은 상기 전해조의 동작에 이상이 발생했음을 알리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전해수 생성장치는 중력의 방향을 센싱하는 중력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력의 방향으로 아래에 위치한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의 사이의 물과 기체의 통로가 입수부이며 상기 중력의 방향으로 위에 위치한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의 사이의 물과 기체의 통로가 출수부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 1 농도 측정부는 상기 전해부에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와 상기 전해부에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 2 농도 측정부는 상기 전해부에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만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전해부는 기 설정된 두께와 너비를 갖는 원형띠 형상으로 구비되고
제 1 절단면과 제 2 절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절단면은 상기 출수부를 향하고 상기 제 2 절단면은 상기 입수부를 향하고 있도록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전해부는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 사이에 액체 및 기체가 유동할 수 있는 이격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해부,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상기 제 1 바디부를 감싸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제 1 농도 측정부는 상기 전해수 생성장치가 물 속에 잠겼는지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전해부 액체와 기체가 유동할 수 있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전해부는 물과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 다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전해부의 너비는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제 2 가이드부 사이의 간격보다 작으며,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제 2 가이드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2 바디부의 너비보다 작고, 상기 제 2 바디부의 너비는 상기 제 1 바디부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제 일 실시례로, 전해수 생성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동작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1000), 제 1 농도 측정부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전해수 생성장치가 물에 잠겼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1010), 전해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1020),물 속의 산소 혹은 수소의 제 1 용존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1030), 상기 측정 값에 기초하여 전해부의 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단계(1080), 제 2 농도 측정부에서 물 속의 산소 혹은 수소의 제 2 용존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0150), 상기 제 1 용존농도와 상기 제 2 용존농도의 비교값에 의해 상기 전해부의 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단계(10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로 별개로 또는 조합되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전해수 생성 장치에 있어서,
    전원부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 1 바디부;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물을 전기분해하는 제 1 절단면과 제 2 절단면을 포함하는 전해부;
    상기 전해부의 제 1 절단면에 위치하여 상기 전해부를 지지하는 제 1 가이드부;
    상기 전해부의 제 2 절단면에 위치하여 상기 전해부를 지지하는 제 2 가이드부;
    상기 제 1 바디부, 상기 전해부,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 가이드부를 감싸는 제 2 바디부;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 사이로 액체 및 기체가 유입되는 입수부;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 사이로 액체 및 기체가 유출되는 출수부;
    전해수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 1 농도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수의 농도는 수소의 용존 농도와 산소의 용존 농도 중 적어도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농도 측정부는 상기 출수부 보다 상기 입수부에 더 근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농도 측정부에서 측정된 값이 제 1 스레시홀드 이상일 경우 상기 전해부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농도 측정부에서 측정된 값이 제 2 스레시 홀드 이하일 경우 상기 전해부로 전원을 인가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부보다 상기 출수부에 더 근접하여 위치한 제 2 농도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 1 농도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제 1 측정값과 상기 제 2 농도 측정부로부터 측정된 제 2 측정값을 비교하는 전해수 생성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측정값과 상기 제 2 측정값의 차이가 기 정의된 스레시홀드 이하일 경우 상기 전해부에 인가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해수 생성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정값과 상기 제 2 측정값의 차이가 기 정의된 스레시홀드 이하이고, 상기 제 1 측정값과 상기 제 2 측정값이 기 정의된 값 이하일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전해수 생성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은 상기 전해조의 동작에 이상이 발생했음을 알리는 전해수 생성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중력의 방향을 센싱하는 중력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력의 방향으로 아래에 위치한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의 사이의 물과 기체의 통로가 입수부이며 상기 중력의 방향으로 위에 위치한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의 사이의 물과 기체의 통로가 출수부인 전해수 생성장치.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농도 측정부는 상기 전해부에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와 상기 전해부에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농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 2 농도 측정부는 상기 전해부에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만 농도를 측정하는 전해수 생성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부는 기 설정된 두께와 너비를 갖는 원형띠 형상으로 구비되고
    제 1 절단면과 제 2 절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절단면은 상기 출수부를 향하고 상기 제 2 절단면은 상기 입수부를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부는 제 1 바디부와 상기 제 2 바디부 사이에 액체 및 기체가 유동할 수 있는 이격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수 생성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부, 상기 제 1 가이드부 및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상기 제 1 바디부를 감싸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농도 측정부는 상기 전해수 생성장치가 물 속에 잠겼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전해수 생성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전해부 액체와 기체가 유동할 수 있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전해수 생성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부는 물과의 접촉면적을 넓히기 위해 다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전해수 생성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부의 너비는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제 2 가이드부 사이의 간격보다 작으며,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제 2 가이드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2 바디부의 너비보다 작고, 상기 제 2 바디부의 너비는 상기 제 1 바디부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 생성장치.
  20. 전해수 생성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동작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제 1 농도 측정부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전해수 생성장치가 물에 잠겼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전해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계;
    물 속의 산소 혹은 수소의 제 1 용존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 값에 기초하여 전해부의 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단계;
    제 2 농도 측정부에서 물 속의 산소 혹은 수소의 제 2 용존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용존농도와 상기 제 2 용존농도의 비교값에 의해 상기 전해부의 전원 인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해수 생성 방법.
KR1020150106509A 2015-04-27 2015-07-28 전해수 농도 제어가 가능한 전해수 제조장치 KR201601276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8616 2015-04-27
KR20150058616 2015-04-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617A true KR20160127617A (ko) 2016-11-04

Family

ID=57530069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656A KR20160127612A (ko) 2015-04-27 2015-05-11 전해부를 포함한 수소수 제조 장치
KR1020150065340A KR20160127611A (ko) 2015-04-27 2015-05-11 수소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20150106509A KR20160127617A (ko) 2015-04-27 2015-07-28 전해수 농도 제어가 가능한 전해수 제조장치
KR1020150128668A KR20160127620A (ko) 2015-04-27 2015-09-11 내부 전원부를 가진 전해수 제조장치
KR1020150128667A KR20160127619A (ko) 2015-04-27 2015-09-11 부분 전원 제어 가능한 전해수 제조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656A KR20160127612A (ko) 2015-04-27 2015-05-11 전해부를 포함한 수소수 제조 장치
KR1020150065340A KR20160127611A (ko) 2015-04-27 2015-05-11 수소수 제조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8668A KR20160127620A (ko) 2015-04-27 2015-09-11 내부 전원부를 가진 전해수 제조장치
KR1020150128667A KR20160127619A (ko) 2015-04-27 2015-09-11 부분 전원 제어 가능한 전해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2016012761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910B1 (ko) 2017-11-06 2019-06-07 임채호 수소수 세안기
KR102087587B1 (ko) * 2018-08-29 2020-03-11 주식회사 카이샷 휴대용 물병의 물 전기분해에 의한 산소 발생 및 수소수 음용 장치
WO2021086162A1 (ko) * 2019-11-01 2021-05-06 김재호 원심력을 이용한 자가발전 기능을 갖는 수소발생장치
KR20220058013A (ko) 2020-10-30 2022-05-09 박우영 플라즈마 방전을 이용한 고농도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및 생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7619A (ko) 2016-11-04
KR20160127612A (ko) 2016-11-04
KR20160127611A (ko) 2016-11-04
KR20160127620A (ko) 2016-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27617A (ko) 전해수 농도 제어가 가능한 전해수 제조장치
US9005410B2 (en) Continuous electrolyzed oxidizing/reduction water generator device
ES2402768T3 (es) Un aparato para producir ozono por electrolisis
KR100660941B1 (ko) 전기 분해를 이용한 살균수 제조 장치
KR100741741B1 (ko) 수산기 생성용 수중 저온 플라즈마 발생장치
CN107046807B (zh) 氢水生成器
KR100756662B1 (ko) 순간 살균수 생성장치
WO2014148397A1 (ja) 通電方式によるナノバブル発生装置
JP4789988B2 (ja) 水の殺菌装置、その水の殺菌装置を用いた空調機、手乾燥機、加湿器
JP5210455B1 (ja) 洗浄水生成装置
JP3616079B2 (ja) 電解式オゾン水製造装置
ES2816248T3 (es) Procedimiento para el control de una célula electrolítica para la producción electrolítica de ozono y dispositivo para la desinfección del agua
KR101262046B1 (ko) 전기량 제어 시스템
JP2006150215A (ja) オゾン水生成装置及びオゾン水生成方法
JP6391659B2 (ja) 水素水生成器
KR101919571B1 (ko) 담수 또는 수돗물의 수소 농도를 강화하기 위한 전극 구조물, 이를 이용한 수소수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수소수 제조 장치
KR20190064185A (ko) 스마트 수소수 생성장치
JP5425007B2 (ja) 水の殺菌方法、水の殺菌装置、並びに水の殺菌装置を用いた空気調和機、手乾燥機及び加湿器
KR100864379B1 (ko) 보급형 귀금속 나노콜로이드 메이커
US20180141833A1 (en) Electrolyzed water generator
KR20060124794A (ko) 은 이온수 순간 제조장치
KR100607868B1 (ko) 전기분해 발생 코어가 병렬 연결되어 있는 오존발생기
CN212050661U (zh) 一种可漂浮在水面的杀菌抑菌液生成仪
CN112805246A (zh) 用于水净化的电极支架和包括该电极支架的浮动装置
KR200386869Y1 (ko) 나권형 전극을 이용한 해수 전해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