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6986A - 성문 검증 방법 및 장치, 저장 매체 및 기기 - Google Patents

성문 검증 방법 및 장치, 저장 매체 및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6986A
KR20160126986A KR1020167022494A KR20167022494A KR20160126986A KR 20160126986 A KR20160126986 A KR 20160126986A KR 1020167022494 A KR1020167022494 A KR 1020167022494A KR 20167022494 A KR20167022494 A KR 20167022494A KR 20160126986 A KR20160126986 A KR 20160126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assword
identifier
keyboard
voi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2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2889B1 (ko
Inventor
단 수
용 관
Original Assignee
바이두 온라인 네트웍 테크놀러지 (베이징)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두 온라인 네트웍 테크놀러지 (베이징)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바이두 온라인 네트웍 테크놀러지 (베이징)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126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6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04L63/083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using one-time-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1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biometrical features, e.g. fingerprint, retina-s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L9/3231Biological data, e.g. fingerprint, voice or retin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문 검증 방법, 장치, 저장 매체 및 기기를 개시하고, 상기 방법은,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에 대한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비밀번호를 설정하도록, 클라이언트로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각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110); 클라이언트로 사용자가 비밀번호 설정시 입력한 제1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제1 음성신호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120);를 포함한다. 서버로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비밀번호 설정시 입력한 제1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제1 음성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랜덤 식별자를 추출하되, 각 랜덤 식별자는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하나의 키보드 요소에 각각 대응되고; 서버로 추출된 각 랜덤 식별자에 각각 대응되는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를 확정하고, 확정된 고정 식별자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를 확정하고 저장한다. 상기 방법을 통해, 종래 기술에서 고정 비밀번호가 표시되는 문제점을 피면할 수 있고,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성문 검증 방법 및 장치, 저장 매체 및 기기 {VOICE PRINT VER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DEVICE}
본 출원은 2014년 11월 7일에 출원한 출원번호가 201410643064.3이고, 출원인이 바이두 온라인 네트워크 테크놀러지 (베이징) 유한회사이고, 발명의 명칭이 "성문 검증 방법 및 장치"인 중국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해당 중국 특허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고로서 본원에 원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성문 인식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는 성문 검증 방법, 장치, 저장매체 및 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비밀번호 또는 패턴 기반의 로그인 방식은 안전성이 떨어져 일단 타인이 비밀번호 또는 패턴을 알게 될 경우, 이도 마찬가지로 로그인할 수 있게 된다. 성문검증은 사용자의 성문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종래 기술에서 성문 인식 방법을 통해 로그인 사용자의 신원을 검증하는 방법으로서, 주로 난수열/임의의 텍스트와 키보드 비밀번호를 결합한 성문 검증 방법이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가입 단계에서, 클라이언트로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낭독함으로써 생성된 제1 음성신호 및 사용자가 서버에서 생성된 난수열/임의의 텍스트를 낭독함으로써 생성된 제2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클라이언트로 수신된 각 음성신호를 서버에 전송하며, 서버로 제1 음성신호로부터 비밀번호를 추출하여 저장하고, 수신된 제2 음성신호로부터 사용자의 음성특징을 획득하며;
사용자 로그인 단계에서, 클라이언트로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낭독함으로써 생성된 제3 음성신호 및 사용자가 서버에서 생성된 난수열/임의의 텍스트를 낭독함으로써 생성된 제4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각 음성신호를 서버에 전송하며, 서버로 수신한 제4 음성신호로부터 음성특징을 획득하여, 해당 음성특징을 사용자 가입 단계에서 획득한 음성특징과 비교하고, 제3 음성신호로부터 비밀번호를 추출하여 사용자 가입 단계에서 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하며, 두 차례의 비교결과가 모두 일치할 경우, 사용자 신원 검증은 성공한 것이고, 그러지 아니할 경우, 사용자 신원 검증은 실패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사용자 가입 단계 및 사용자 로그인 단계에서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낭독해야 하므로, 비밀번호가 누설되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안전성이 비교적 낮다는 결함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성문 검증 방법, 장치, 저장 매체 및 기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입 및 로그인 과정에서 비밀번호 입력시의 안전성을 향상시킬수 있다.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성문 검증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성문 검증 방법은,
사용자로 적어도 하나의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에 대한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비밀번호를 설정하도록, 클라이언트로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각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클라이언트로 사용자가 비밀번호 설정시 입력한 제1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제1 음성신호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성문 검증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성문 검증 방법은,
서버로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비밀번호 설정시 입력한 제1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서버로 제1 음성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랜덤 식별자를 추출하되, 각 랜덤 식별자는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하나의 키보드 요소에 각각 대응되는 단계; 및
서버로 추출된 각 랜덤 식별자에 각각 대응되는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를 확정하고, 확정된 고정 식별자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를 확정하고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성문 검증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성문 검증 방법은,
사용자가 로그인시 적어도 하나의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에 대한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클라이언트로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각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클라이언트로 사용자가 비밀번호 검증시 입력한 제3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제3 음성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4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성문 검증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성문 검증 방법은,
서버로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비밀번호 검증시 입력한 제3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서버로 상기 제3 음성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랜덤 식별자를 추출하되, 각 랜덤 식별자는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하나의 키보드 요소에 각각 대응되는 단계;
서버로 추출된 각 랜덤 식별자에 각각 대응되는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를 확정하고, 확정된 고정 식별자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를 확정하는 단계; 및
서버로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를 가입 단계에서 사전 저장된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비밀번호 비교결과에 의해 사용자 신원 인증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신원 인증 결과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5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성문 검증 장치를 더 제공하고, 상기 성문 검증 장치는,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에 대한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비밀번호를 설정하도록,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각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를 생성하여 표시하기 위한 랜덤 식별자 생성 모듈; 및
사용자가 비밀번호 설정시 입력한 제1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제1 음성신호를 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제1 음성신호 송수신 모듈;을 포함한다.
제6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성문 검증 장치를 더 제공하고, 상기 성문 검증 장치는,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비밀번호 설정시 입력한 제1 음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음성신호 수신 모듈;
제1 음성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랜덤 식별자를 추출하되, 각 랜덤 식별자는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하나의 키보드 요소에 각각 대응되는 랜덤 식별자 추출 모듈; 및
추출된 각 랜덤 식별자에 각각 대응되는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를 확정하고, 확정된 고정 식별자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를 확정하고 저장하기 위한 비밀번호 저장 모듈;을 포함한다.
제7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성문 검증 장치를 더 제공하고, 상기 성문 검증 장치는,
사용자가 로그인시 적어도 하나의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에 대한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각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를 생성하여 표시하기 위한 랜덤 식별자 생성 모듈; 및
사용자가 비밀번호 검증시 입력한 제3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제3 음성신호를 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제3 음성신호 송수신 모듈;을 포함한다.
제8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성문 검증 장치를 더 제공하고, 상기 성문 검증 장치는,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비밀번호 검증시 입력한 제3 음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3 음성신호 수신 모듈;
상기 제3 음성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랜덤 식별자를 추출하되, 각 랜덤 식별자는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하나의 키보드 요소에 각각 대응되는 랜덤 식별자 추출 모듈;
추출된 각 랜덤 식별자에 각각 대응되는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를 확정하고, 확정된 고정 식별자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를 확정하기 위한 비밀번호 확정 모듈; 및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를 가입 단계에서 사전 저장된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비밀번호 비교결과에 의해 사용자 신원 인증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신원 인증 결과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신원 인증 모듈;을 포함한다.
제9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휘발성 컴퓨터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하나의 장치로 실행될 경우, 상기 장치로 하여금,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에 대한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비밀번호를 설정하도록,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각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조작; 및
사용자가 비밀번호 설정시 입력한 제1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제1 음성신호를 서버에 전송하는 조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10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휘발성 컴퓨터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하나의 장치로 실행될 경우, 상기 장치로 하여금,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비밀번호 설정시 입력한 제1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조작;
제1 음성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랜덤 식별자를 추출하되, 각 랜덤 식별자는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하나의 키보드 요소에 각각 대응되는 조작;
추출된 각 랜덤 식별자에 각각 대응되는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를 확정하고, 확정된 고정 식별자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를 확정하고 저장하는 조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11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휘발성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하나의 장치로 실행될 경우, 상기 장치로 하여금,
사용자가 로그인시 적어도 하나의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에 대한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각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조작; 및
사용자가 비밀번호 검증시 입력한 제3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제3 음성신호를 서버에 전송하는 조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12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휘발성 컴퓨터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하나의 장치로 실행될 경우, 상기 장치로 하여금,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비밀번호 검증시 입력한 제3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조작;
상기 제3 음성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랜덤 식별자를 추출하되, 각 랜덤 식별자는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하나의 키보드 요소에 각각 대응되는 조작;
추출된 각 랜덤 식별자에 각각 대응되는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를 확정하고, 확정된 고정 식별자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를 확정하는 조작; 및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를 가입 단계에서 사전 저장된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비밀번호 비교결과에 의해 사용자 신원 인증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신원 인증 결과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조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13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기기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
메모리 장치; 및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이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되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로 실행될 경우,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에 대한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비밀번호를 설정하도록,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각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조작; 및
사용자가 비밀번호 설정시 입력한 제1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제1 음성신호를 서버에 전송하는 조작;을 수행한다.
제14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기기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
메모리 장치; 및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이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되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로 실행될 경우,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비밀번호 설정시 입력한 제1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조작;
제1 음성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랜덤 식별자를 추출하되, 각 랜덤 식별자는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하나의 키보드 요소에 각각 대응되는 조작; 및
추출된 각 랜덤 식별자에 각각 대응되는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를 확정하고, 확정된 고정 식별자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를 확정하고 저장하는 조작;을 수행한다.
제15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기기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
메모리 장치; 및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이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되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로 실행될 경우,
사용자가 로그인시 적어도 하나의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에 대한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각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조작; 및
사용자가 비밀번호 검증시 입력한 제3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제3 음성신호를 서버에 전송하는 조작;을 수행한다.
제16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기를 제공하고, 상기 기기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
메모리 장치;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이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되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로 실행될 경우,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비밀번호 검증시 입력한 제3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조작;
상기 제3 음성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랜덤 식별자를 추출하되, 각 랜덤 식별자는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하나의 키보드 요소에 각각 대응되는 조작;
추출된 각 랜덤 식별자에 각각 대응되는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를 확정하고, 확정된 고정 식별자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를 확정하는 조작; 및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를 가입 단계에서 사전 저장된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비밀번호 비교결과에 의해 사용자 신원 인증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신원 인증 결과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조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로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각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를 생성하여 표시하고,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의 인터랙션을 통해, 사용자 가입 및 로그인 과정에서 고정 비밀번호의 랜덤화 검증 방식을 실현함으로써, 설정된 고정 비밀번호가 사용자가 이를 낭독할 때 이미 랜덤 식별자로 랜덤화되어 있도록 한다. 따라서, 가입 및 로그인 과정에서 비밀번호를 낭독할 때 타인에게 들렸다 하더라도, 상기 비밀번호가 타인에게 보이지 않으므로 타인에게 이용될 수 없으며, 종래 기술에서 기존의 성문과 고정 비밀번호를 결합한 방법에 있어서 고정 비밀번호가 표시되는 문제점을 피면할 수 있고,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성문 검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요소가 패턴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정자형 격자 요소인 개략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자형 격자 요소에 패턴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개략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자형 격자 요소에 랜덤 식별자가 표시되어 있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요소가 메인-종속 키보드중의 메인 키보드의 키보드 요소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요소가 테마 키보드에서 과일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성문 검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성문 검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성문 검증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성문 검증 장치의 구조적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성문 검증 장치의 구조적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성문 검증 장치의 구조적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성문 검증 장치의 구조적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기기의 하드웨어의 구조적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 및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더욱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본원에 설명된 구체적인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전반적인 구조가 아니라 본 발명에 관련된 부분만 도시하였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성문 검증 방법의 흐름도이고. 본 실시예는 예컨대 passport와 같은 사용자 가입 시스템 및 기타 유사한 사용자 즉각 가입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실행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의 방법은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110),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에 대한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비밀번호를 설정하도록, 클라이언트로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각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를 생성하여 표시한다.
상기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 또는 물품 이미지이고,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이다. 클라이언트로 각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와 하나의 랜덤 식별자가 대응되도록 일정한 알고리즘에 따라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각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를 생성하고, 후속적인 비밀번호의 추출의 편리를 위하여 상기 알고리즘은 서버에 사전 저장되어야 한다.
여기서, 상기 키보드 요소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정자형 격자 요소일 수 있다. 클라이언트로 9개의 격자 요소를 구비한 정자형 격자를 생성하고, 정자형 격자의 각 격자 요소는 고정 식별자(본 실시예에는 각 격자 요소의 고정 식별자가 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다. 사용자 가입시, 도 2b 중의 "L"자형 패턴과 같은 패턴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다. 패턴 비밀번호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클라이언트의 스크린에 상기 패턴을 그리지 않아도 된다. 각 격자 요소의 고정 식별자는 하나의 랜덤 식별자에 대응되는 바, 이러한 랜덤 식별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랜덤 식별자는 숫자이며, 각 격자 요소의 고정 식별자에 대응되는 랜덤 식별자는 하나의 알파벳 또는 숫자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알파벳열 또는 숫자열일 수도 있다. 사용자 가입시, 설정된 패턴 경로에 따라 클라이언트에서 생성된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정자형 격자 요소의 랜덤 식별자를 낭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45983"을 낭독함으로써 비밀번호를 설정하며, 이때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는 "45983"이 아니라, 패턴 경로에 대응되는 고정 식별자이다.
상기 키보드 요소는 메인-종속 키보드 중의 메인 키보드의 키보드 요소일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에서 생성된 메인 키보드는 총 9개의 키보드 요소를 구비하며, 메인 키보드의 키보드 요소는 고정 식별자 1~9를 구비한다. 메인 키보드의 각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는 대응되는 종속 키보드에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예시적으로 메인 키보드의 각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를 2개의 숫자로 설정한다. 종속 키보드 상의 랜덤 식별자는 매번 사용자가 음성신호를 입력한 후 다시 랜덤화된다. 키보드가 현재와 같이 배치될 경우, 사용자 가입시, 사용자는 본인이 사전 설정한 비밀번호, 예를 들어 "1840"에 따라 종속 키보드 상의 대응되는 랜덤 식별자 "56019067"을 낭독하기만 하면 된다.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가입시 여러번, 예를 들어 3번 낭독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가입시 비밀번호는 "1840"이나, 낭독한 것은 임의 문자열 "56019067"이다.
상기 키보드 요소는 테마 키보드 중의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일 수도 있다. 상기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는 과일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 또는 동물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로 과일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를 생성하고, 키보드에서 과일은 고정 식별자로서 그 위치는 고정적이며, 각 과일은 종류별로 랜덤 식별자를 생성한다. 매번 사용자가 음성신호를 입력한 후, 과일 뒤의 랜 식별자는 다시 랜덤화된다. 가입시, 사용자가 사전 설정한 비밀번호는 본인이 즐기는 과일의 조합, 예를 들어 딸기+사과 일 수 있는 바, 키보드가 현재와 같이 배치될 경우, 사용자는 딸기 및 사과 키보드 요소에 대응되는 랜덤 식별자 "5678"을 낭독하기만 하면 된다.
단계(120), 클라이언트로 사용자가 비밀번호 설정시 입력한 제1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제1 음성신호를 서버에 전송한다.
상기 제1 음성신호는, 사용자 가입시, 클라이언트에서 생성 및 표시된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각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 및 본인이 사전 설정한 비밀번호에 따라 입력한 적어도 하나의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에 대한 음성신호이다. 예를 들어, 단계(110)에서 키보드 요소가 패턴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정자형 격자 요소일 경우, 낭독할 음성신호는 "45983"이다.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1 음성신호를 서버에 전송하여, 서버로 하여금 후속적인 음성특징의 추출 및 비밀번호의 저장 등 조작을 완성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클라이언트로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각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를 생성하여 표시하고,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의 인터랙션을 통해, 사용자 가입 과정에서 고정 비밀번호의 랜덤화 검증 방식을 실현함으로써, 설정된 고정 비밀번호가 사용자가 이를 낭독할 때 이미 랜덤 식별자로 랜덤화되어 있도록 한다. 따라서, 가입 과정에서 비밀번호를 낭독할 때 타인에게 들렸다 하더라도, 그 비밀번호가 타인에게 보이지 않으므로 타인에게 이용될 수 없으며, 종래 기술에서 기존의 성문과 고정 비밀번호를 결합한 방법에 있어서 고정 비밀번호가 표시되는 문제점을 피면할 수 있고, 안전성도 향상시킨다.
상기 기술적 방안에 기반하여, 해당 방법은 바람직하게 클라이언트로 사용자가 입력한 제2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제2 음성신호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음성신호는 서버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낭독해야 할 내용에 대응되는 음성신호이다. 상기 서버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낭독해야 할 내용은 랜덤의 숫자열 또는 임의의 텍스트일 수 있다.
상기 제2 음성신호의 송수신은 제1 음성신호의 송수신 이전, 이후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2 음성신호의 송수신 및 제1 음성신호의 송수신의 시간적 순서 관계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클라이언트로 제2 음성신호를 서버에 전송하여, 서버로 하여금 사용자의 음성특징 정보를 추출하도록 한다. 상기 제2 음성신호는 서버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낭독해야 할 내용이므로, 기계 합성 음성에 의한 공격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성문 검증 방법의 흐름도로서, 상기 방법은 서버로 실행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210), 서버로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비밀번호 설정시 입력한 제1 음성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비밀번호 설정시 입력한 제1 음성신호는, 사용자 가입시 클라이언트에서 생성 및 표시된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각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 및 본인이 사전 설정한 비밀번호에 따라 입력한 적어도 하나의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에 대한 음성신호를 가리킨다.
단계(220), 서버로 제1 음성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랜덤 식별자를 추출하고, 각 랜덤 식별자는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하나의 키보드 요소와 각각 대응된다.
상기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 또는 물품 이미지이고,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이다.
여기서, 상기 키보드 요소는 패턴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정자형 격자 요소 또는 메인-종속 키보드 중의 메인 키보드의 키보드 요소 또는 테마 키보드 중의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이다.
상기 키보드 요소가 패턴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정자형 격자 요소일 경우, 예를 들어 이때 상기 제1 음성신호가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가입시 설정한 패턴 "L"경로에 따라, 현재와 같은 키보드 배치 하에서, 클라이언트에서 생성된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정자형 격자 요소의 랜덤 식별자를 낭독한 음성신호이고, 서버는 제1 음성신호로부터 랜덤 식별자 "45983"를 추출한다.
상기 키보드 요소가 메인-종속 키보드 중의 메인 키보드의 키보드 요소일 경우, 메인 키보드의 각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는 대응되는 종속 키보드에 표시된다. 이때, 상기 제1 음성신호는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가입시 본인이 설정한 비밀번호, 예를 들어 “1840”에 따라, 현재와 같은 키보드 배치 하에서, 메인 키보드의 4개의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에 대응되는 종속 키보드의 랜덤 식별자를 낭독한 음성신호이고, 예를 들어, 서버는 제1 음성신호로부터 랜덤 식별자 "56019067"를 추출한다.
상기 키보드 요소가 테마 키보드 중의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일 경우, 상기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는 과일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 또는 동물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이다. 이때, 상기 제1 음성신호는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가입시 사전 설정한 과일조합 비밀번호, 예를 들어 딸기+사과에 따라, 현재와 같은 키보드 배치 하에서, 딸기 및 사과 키보드 요소에 대응되는 랜덤 식별자를 낭독한 음성신호이고, 서버는 제1 음성신호로부터 랜덤 식별자 "5678"를 추출한다.
단계(230), 서버로 추출된 각 랜덤 식별자에 각각 대응되는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를 확정하고, 확정된 고정 식별자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를 확정하고 저장한다.
상기 서버에는 클라이언트가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를 랜덤으로 생성할 때 사용되는 알고리즘이 사전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알고리즘에 의해, 추출된 각 랜덤 식별자에 각각 대응되는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를 확정한다.
상기 키보드 요소가 패턴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정자형 격자 요소일 경우, 서버로 사전 저장된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제1 음성신호로부터 추출된 랜덤 식별자 "45983" 중의 각 랜덤 식별자에 각각 대응되는 정자형 격자 요소의 고정 식별자를 확정하고, 고정 식별자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패턴 경로가 "L"임을 확정한 후, 저장한다.
상기 키보드 요소가 메인-종속 키보드 중의 메인 키보드의 키보드 요소일 경우, 서버로 사전 저장된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제1 음성신호로부터 추출된 랜덤 식별자 "56019067" 중의 각 랜덤 식별자에 각각 대응되는 메인 키보드의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를 확정하고, 고정 식별자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가 "1840"임을 확정한 후, 저장한다.
상기 키보드 요소가 테마 키보드 중의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일 경우, 서버로 사전 저장된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제1 음성신호로부터 추출된 랜덤 식별자 "5678" 중의 각 랜덤 식별자에 각각 대응되는 테마 키보드 요소의 과일 종류를 확정하고, 과일 종류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가 "딸기사과"임을 확정한 후,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서버로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제1 음성신호로부터 랜덤 식별자를 추출하고, 랜덤 식별자에 대응되는 고정 식별자를 확정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를 획득함으로써, 사용자 가입 과정에서 고정 비밀번호의 랜덤화 성문 검증 방식을 실현하므로, 설정된 고정 비밀번호가 사용자가 이를 낭독할 때 이미 랜덤 식별자로 랜덤화되어 있도록 한다. 따라서, 가입 과정에서 비밀번호를 낭독할 때 타인에게 들렸다 하더라도, 그 비밀번호가 타인에게 보이지 않으므로 타인에게 이용될 수 없으며, 종래 기술에서 기존의 성문과 고정 비밀번호를 결합한 방법에 있어서 고정 비밀번호가 표시되는 문제점을 피면할 수 있고, 안전성도 향상시킨다.
상기 실시예들에 기반하여, 상기 방법은, 바람직하게,
서버로 제1 음성신호에 의해 사용자의 음성특징 정보를 획득하고 저장하는 단계; 또는
서버로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2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제2 음성신호에 의해 사용자의 음성특징 정보를 획득하고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음성신호는 서버로부터 사전 발송된 사용자가 낭독해야 할 내용에 대응되는 음성신호이고, 상기 서버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낭독해야 할 내용은 랜덤 숫자열 또는 임의의 텍스트일 수 있다.
사용자 가입 과정에서 제1 음성신호 또는 제2 음성신호로부터 획득한 사용자의 음성특징 정보가 저장됨으로써, 사용자 가입 과정에서 성문 및 고정 비밀번호의 랜덤화 성문 검증 방식을 실현하였고, 또한, 사용자의 음성특징 및 설정된 비밀번호의 내용을 기록하여 이중 검증을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2 음성신호가 서버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낭독해야 할 내용이므로, 기계 합성 음성에 의한 공격을 방지하고,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성문 검증 방법의 흐름도이고 본 실시예는 예를 들어, passport와 같은 사용자 로그인 시스템 및 기타 유사한 사용자 즉각 로그인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 클라이언트로 실행되며, 본 실시예의 방법은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310), 사용자가 로그인시 적어도 하나의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에 대한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클라이언트로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각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를 생성하여 표시한다.
상기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 또는 물품 이미지이고,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이다. 각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가 하나의 랜덤 식별자에 대응되도록, 클라이언트로 일정한 알고리즘에 의해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각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를 생성하며, 후속적인 비밀번호의 추출의 편리를 위하여 상기 알고리즘은 서버에 사전 저장되어야 한다.
여기서, 상기 키보드 요소는 패턴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정자형 격자 요소일 수 있다. 클라이언트로 9개의 격자 요소를 구비한 정자형 격자를 생성하고, 정자형 격자의 각 격자 요소는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다. 각 격자 요소의 고정 식별자는 하나의 랜덤 식별자에 대응되고, 해당 랜덤 식별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일 수 있다. 각 격자 요소의 고정 식별자에 대응되는 랜덤 식별자는 하나의 알파벳 또는 숫자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알파벳열 또는 숫자열일 수도 있다. 사용자는 로그인시, 가입 단계에서 설정한 패턴 경로에 따라 클라이언트에서 생성된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바둑판격자 요소의 대응되는 랜덤 식별자를 낭독함으로써 로그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37128"을 낭독함으로써 로그인할 수 있다.
상기 키보드 요소는 메인-종속 키보드 중의 메인 키보드의 키보드 요소일 수도 있다. 메인 키보드의 각 키보드 요소는 모두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다. 메인 키보드의 각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는 대응되는 종속 키보드에 표시된다. 종속 키보드의 랜덤 식별자는 매번 사용자가 음성신호를 입력한 후 다시 랜덤화된다. 상기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는 메인 키보드의 고정 식별자의 조합이며, 사용자는 로그인시 가입 단계에서 사전 설정한 비밀번호에 따라 클라이언트에서 생성된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정자형 격자 요소의 대응되는 랜덤 식별자를 낭독함으로써 로그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02571639"을 낭독함으로써 로그인할 수 있다.
상기 키보드 요소는 테마 키보드 중의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일 수도 있다. 상기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는 과일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 또는 동물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로 과일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를 생성하고, 과일은 고정 식별자로서 키보드에서의 위치는 고정적이다. 각 과일은 종류별로 랜덤 식별자를 생성한다. 매번 사용자가 음성신호를 입력한 후, 과일 뒤의 랜덤 식별자는 다시 랜덤화된다.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는 본인이 즐기는 과일의 조합, 예를 들어 "딸기사과"일 수 있다. 사용자는 로그인시, 가입 단계에서 사전 설정한 비밀번호에 따라 클라이언트에서 생성된 서로 다른 과일 종류를 구비한 테마 키보드 요소의 대응되는 랜덤 식별자를 낭독함으로써 로그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1234"를 낭독함으로써 로그인할 수 있다.
단계(320), 클라이언트로 사용자가 비밀번호 검증시 입력한 제3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제3 음성신호를 서버에 전송한다.
상기 제3 음성신호는 사용자가 로그인시 클라이언트에서 생성 및 표시된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각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 및 본인이 사전 설정한 비밀번호에 따라 입력한 적어도 하나의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에 대한 음성신호이다. 예를 들어, 단계(310)에서 키보드 요소가 패턴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정자형 격자 요소일 경우, 낭독한 음성신호는 "37128"이다.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3 음성신호를 서버에 전송하여, 서버로 하여금 후속적인 음성특징 및 비밀번호의 추출 등 조작을 완성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클라이언트로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각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를 생성하여 표시하고,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의 인터랙션을 통해, 사용자 로그인 과정에서 고정 비밀번호의 랜덤화 검증 방식을 실현함으로써, 설정된 고정 비밀번호가 사용자가 이를 낭독할 때 이미 랜덤 식별자로 랜덤화되어 있도록 한다. 따라서, 로그인 과정에서 비밀번호를 낭독할 때 타인에게 들렸다 하더라도, 그 비밀번호가 타인에게 보이지 않으므로 타인에게 이용될 수 없으며, 종래 기술에서 기존의 성문과 고정 비밀번호를 결합한 방법에 있어서 고정 비밀번호가 표시되는 문제점을 피면할 수 있고, 안전성도 향상시킨다.
상기 기술적 방안에 기반하여, 상기 방법은 바람직하게,
클라이언트로 사용자가 입력한 제4 음성신호을 수신하고 제4 음성신호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음성신호는 서버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낭독해야 할 내용에 대응되는 음성신호이다. 상기 서버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낭독해야 할 내용은 랜덤 숫자열 또는 임의의 텍스트일 수 있다.
상기 제4 음성신호의 송수신은 제3 음성신호의 송수신 이후, 이전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4 음성신호의 송수신과 제3 음성신호의 송수신의 시간적 순서 관계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클라이언트로 제4 음성신호를 서버에 전송하여, 서버로 하여금 사용자의 음성특징 정보를 추출하도록 한다. 상기 제4 음성신호는 서버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낭독해야 할 내용이므로, 기계 합성 음성에 의한 공격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성문 검증 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 방법은 서버로 실행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410), 서버로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비밀번호 검증시 입력한 제3 음성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비밀번호 검증시 입력한 제3 음성신호는, 사용자가 로그인시 클라이언트에서 생성 및 표시된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각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 및 본인이 사전 설정한 비밀번호에 따라 입력한 적어도 하나의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에 대한 음성신호이다.
단계(420), 서버로 상기 제3 음성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랜덤 식별자를 추출하고, 각 랜덤 식별자는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하나의 키보드 요소에 각각 대응된다.
상기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 또는 물품 이미지이고,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이다.
여기서, 상기 키보드 요소는 패턴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정자형 격자 요소 또는 메인-종속 키보드 중의 메인 키보드의 키보드 요소 또는 테마 키보드 중의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이다.
상기 키보드 요소가 패턴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정자형 격자 요소일 경우, 이때 상기 제3 음성신호는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 가입시 설정한 패턴 경로에 따라, 현재와 같은 키보드 배치 하에서, 클라이언트에서 생성된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바둑판격자 요소의 랜덤 식별자를 낭독한 음성신호이고, 예를 들어, 서버는 제3 음성신호로부터 랜덤 식별자 "37128"을 추출한다.
상기 키보드 요소가 메인-종속 키보드 중의 메인 키보드의 키보드 요소일 경우, 메인 키보드의 각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는 대응되는 종속 키보드에 표시된다. 이때, 상기 제3 음성신호는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가입시 본인이 설정한 비밀번호에 따라, 현재와 같은 키보드 배치 하에서, 종속 키보드에 대응되는 랜덤 식별자를 낭독한 음성신호이고, 예를 들어, 서버는 제3 음성신호로부터 랜덤 식별자 "02571639"를 추출한다.
상기 키보드 요소가 테마 키보드 중의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일 경우, 상기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는 과일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 또는 동물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이다. 이때, 상기 제3 음성신호는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가입시 사전 설정한 과일조합 비밀번호에 따라, 현재와 같은 키보드 배치 하에서, 테마 키보드 요소에 대응되는 랜덤 식별자를 낭독한 음성신호이고, 예를 들어, 서버는 제3 음성신호로부터 랜덤 식별자 "1234"를 추출한다.
단계(430), 서버로 추출된 각 랜덤 식별자에 각각 대응되는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를 확정하고, 확정된 고정 식별자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를 확정한다.
상기 서버에는 클라이언트로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를 랜덤으로 생성할 때 사용되는 알고리즘이 사전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알고리즘에 의해, 추출된 각 랜덤 식별자에 각각 대응되는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를 확정한다.
상기 키보드 요소가 패턴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정자형 격자 요소일 경우, 서버는 사전 저장된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제3 음성신호로부터 추출된 랜덤 식별자 "37128" 중의 각 랜덤 식별자에 각각 대응되는 정자형 격자 요소의 고정 식별자를 확정하고, 고정 식별자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를 확정하며, 예를 들어 알고리즘에 의해 사용자가 낭독한 랜덤 식별자 "37128"에 대응되는 입력된 비밀번호가 패턴 "L"임을 확정한다.
상기 키보드 요소가 메인-종속 키보드 중의 메인 키보드의 키보드 요소일 경우, 서버는 사전 저장된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제3 음성신호로부터 추출된 랜덤 식별자 "02571639" 중의 각 랜덤 식별자에 각각 대응되는 메인 키보드의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를 확정하고, 고정 식별자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를 확정하며, 예를 들어 알고리즘에 의해 사용자가 낭독한 랜덤 식별자 "02571639"에 대응되는 입력된 비밀번호가 "1840"임을 확정한다.
상기 키보드 요소가 테마 키보드 중의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일 경우, 서버는 사전 저장된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제3 음성신호로부터 추출된 랜덤 식별자 "1234" 중의 각 랜덤 식별자에 각각 대응되는 테마 키보드 요소의 과일 종류를 확정하고, 과일 종류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과일조합 비밀번호를 확정하며, 예를 들어 알고리즘에 의해, 사용자가 낭독한 랜덤 식별자 "1234"에 대응되는 입력된 비밀번호가 "딸기사과"임을 확정한다.
단계(440), 서버로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를 가입 단계에서 사전 저장된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비밀번호 비교결과에 의해 사용자 신원 인증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신원 인증 결과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한다.
서버는 상기 단계(430)에서 획득한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를 가입 단계에서 사전 저장된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와 비교한다. 예를 들어, 상기 키보드 요소가 메인-종속 키보드 중의 메인 키보드의 키보드 요소일 경우, 서버가 획득한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가 패턴 "L"이고 가입 단계에서 사전 저장된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도 패턴 "L"이면, 사용자 신원 인증 결과는 사용자 신원 매치이고, 아니면 사용자 신원 오류이다.
또는, 상기 키보드 요소가 메인-종속 키보드 중의 메인 키보드의 키보드 요소일 경우, 서버가 획득한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가 "1840"이고, 가입 단계에서 사전 저장된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도 "1840"이면, 사용자 신원 인증 결과는 사용자 신원 매치이고, 그러지 아니하면 사용자 신원 오류이다.
또는, 상기 키보드 요소가 테마 키보드 중의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일 경우, 서버가 획득한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가 "딸기사과"이고, 가입 단계에서 사전 저장된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도 "딸기사과"이면, 사용자 신원 인증 결과는 사용자 신원 매치이고, 그러지 아니하면 사용자 신원 오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서버로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제3 음성신호 중의 랜덤 식별자를 추출하고, 랜덤 식별자에 대응되는 고정 식별자를 확정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을 획득함으로써, 사용자 로그인 과정에서 고정 비밀번호의 랜덤화 검증 방식을 실현하므로, 설정된 고정 비밀번호는 사용자가 이를 낭독할 때 이미 랜덤 식별자로 랜덤화되어 있도록 한다. 따라서, 로그인 과정에서 비밀번호를 낭독할 때 타인에게 들렸다 하더라도, 그 비밀번호가 타인에게 보이지 않으므로 타인에게 이용될 수 없으며, 종래 기술에서의 기존의 성문과 고정 비밀번호를 결합한 방법에 있어서 고정 비밀번호가 표시되는 문제점을 피면할 수 있고, 안전성도 향상시킨다.
상기 실시예들에 기반하여, 상기 방법은 바람직하게,
서버로 제3 음성신호에 의해 사용자의 음성특징 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서버로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4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제4 음성신호에 의해 사용자의 음성특징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제4 음성신호는 서버에서 사전 발송된 사용자가 낭독해야 할 내용에 대응되는 음성신호인 단계; 및 서버로 획득한 음성특징 정보를 가입 단계에서 사전 저장된 사용자의 음성특징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비밀번호 비교결과에 의해 사용자 신원 인증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는,
비밀번호 비교결과 및 음성특징 정보의 비교결과에 의해 사용자 신원 인증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비밀번호 비교결과 및 음성특징 정보의 비교결과가 모두 일치할 경우, 사용자 신원 인증 결과는 신원 인증 통과이고, 비밀번호 비교결과 및 음성특징 정보의 비교결과 중 임의의 하나 또는 전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 신원 인증 결과는 신원 인증 실패이다.
사용자 로그인 단계에서 제3 음성신호 또는 제4 음성신호로부터 획득한 사용자의 음성특징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사용자 로그인 과정에서 성문 및 고정 비밀번호의 랜덤화 성문 검증 방식을 실현하여, 로그인 검증시 사용자의 음성특징 및 입력된 비밀번호 내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이중 검증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4 음성신호가 서버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낭독해야 할 내용이므로, 기계 합성 음성에 의한 공격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제5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성문 검증 장치의 구조적 개략도이다. 상기 성문 검증 장치는 사용자 가입 단계에서 사용되며, 단말기 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성문 검증 장치는,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에 대한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비밀번호를 설정하도록,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각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를 생성하여 표시하기 위한 랜덤 식별자 생성 모듈(510);
사용자가 비밀번호 설정시 입력한 제1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제1 음성신호를 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제1 음성신호 송수신 모듈(520);를 포함한다.
상기 키보드 요소는 패턴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정자형 격자 요소; 또는
메인-종속 키보드 중의 메인 키보드의 키보드 요소; 또는
테마 키보드 중의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이다.
상기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는 과일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 또는 동물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이다.
상기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 또는 물품 이미지이고,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이다.
나아가, 상기 성문 검증 장치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2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제2 음성신호를 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제2 음성신호 송수신 모듈(5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음성신호는 서버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낭독해야 할 내용에 대응되는 음성신호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장치의 각 모듈들의 순차적인 작동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의 인터랙션을 실현하고,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성문 검증 방법을 실행할 수 있으며, 실행되는 방법에 대응되는 기능 모듈과 유익한 효과를 구비한다.
제6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성문 검증 장치의 구조적 개략도이다. 상기 성문 검증 장치는 사용자 가입 단계에서 사용되며, 서버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성문 검증 장치는,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비밀번호 설정시 입력한 제1 음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음성신호 수신모듈(610);
제1 음성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랜덤 식별자를 추출하되, 각 랜덤 식별자는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하나의 키보드 요소에 각각 대응되는 랜덤 식별자 추출 모듈(620); 및
추출된 각 랜덤 식별자에 각각 대응되는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를 확정하고, 확정된 고정 식별자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를 확정하고 저장하기 위한 비밀번호 저장 모듈(630);을 포함한다.
상기 키보드 요소는 패턴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정자형 격자 요소; 또는
메인-종속 키보드 중의 메인 키보드의 키보드 요소; 또는
테마 키보드 중의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이다.
상기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는 과일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 또는 동물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이다.
상기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 또는 물품 이미지이고,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이다.
나아가, 상기 성문 검증 장치는, 제1 음성신호에 의해 사용자의 음성특징 정보를 획득하고 저장하거나 또는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2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제2 음성신호에 의해 사용자의 음성특징 정보를 획득하고 저장하기 위한 음성특징 저장 모듈(64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2 음성신호는 서버로부터 사전 발송된 사용자가 낭독해야 할 내용에 대응되는 음성신호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장치의 각 모듈들이 순차적으로 작동함으로써,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의 인터랙션을 실현하고,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성문 검증 방법을 실행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의 실행에 대응되는 기능 모듈 및 유익한 효과를 구비한다.
제7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성문 검증 장치의 구조적 개략도이다. 상기 성문 검증 장치는 사용자 로그인 단계에서 사용되고, 단말기 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성문 검증 장치는,
사용자가 로그인시 적어도 하나의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에 대한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각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를 생성하여 표시하기 위한 랜덤 식별자 생성 모듈(710); 및
사용자가 비밀번호 검증시 입력한 제3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제3 음성신호를 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제3 음성신호 송수신 모듈(720);을 포함한다.
상기 키보드 요소는 패턴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정자형 격자 요소; 또는
메인-종속 키보드 중의 메인 키보드의 키보드 요소; 또는
테마 키보드 중의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이다.
상기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는 과일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 또는 동물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이다.
상기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 또는 물품 이미지이고,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이다.
나아가, 상기 성문 검증 장치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4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제4 음성신호를 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제4 음성신호 송수신 모듈(7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음성신호는 서버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낭독해야 할 내용에 대응되는 음성신호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장치의 각 모듈들이 순차적으로 작동함으로써,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의 인터랙션을 실현하고,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성문 검증 방법을 실행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의 실행에 대응되는 기능 모듈 및 유익한 효과를 구비한다.
제8 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성문 검증 장치의 구조적 개략도이다. 상기 성문 검증 장치는 사용자 로그인 단계에서 사용되고, 서버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성문 검증 장치는,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비밀번호 검증시 입력한 제3 음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3 음성신호 수신 모듈(810);
상기 제3 음성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랜덤 식별자를 추출하되, 각 랜덤 식별자는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하나의 키보드 요소에 각각 대응되는 랜덤 식별자 추출 모듈(820);
추출된 각 랜덤 식별자에 각각 대응되는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를 확정하고, 확정된 고정 식별자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를 확정하기 위한 비밀번호 확정 모듈(830); 및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를 가입 단계에서 사전 저장된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비밀번호 비교결과에 의해 사용자 신원 인증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신원 인증 결과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신원 인증 모듈(840);을 포함한다.
상기 키보드 요소는,
패턴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정자형 격자 요소; 또는
메인-종속 키보드 중의 메인 키보드의 키보드 요소; 또는
테마 키보드 중의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이다.
상기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는 과일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 또는 동물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이다.
상기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 또는 물품 이미지이고,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이다.
나아가, 상기 성문 검증 장치는, 제3 음성신호에 의해 사용자의 음성특징 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4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제4 음성신호에 의해 사용자의 음성특징 정보를 획득하며, 획득한 음성특징 정보를 가입 단계에서 사전 저장된 사용자의 음성특징 정보와 비교하기 위한 음성특징 확정 모듈(8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음성신호는 서버로부터 사전 발송된 사용자가 낭독해야 할 내용에 대응되는 음성신호이다.
상기 사용자 신원 인증 모듈(840)은 비밀번호 비교결과 및 음성특징 정보의 비교결과에 의해 사용자 신원 인증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신원 인증 결과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장치의 각 모듈들이 순차적으로 작동함으로써,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의 인터랙션을 실현하고,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성문 검증 방법을 실행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의 실행에 대응되는 기능 모듈 및 유익한 효과를 구비한다.
제9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휘발성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하나의 장치로 실행될 경우, 상기 장치로 하여금,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에 대한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비밀번호를 설정하도록,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각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조작; 및
사용자가 비밀번호 설정시 입력한 제1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제1 음성신호를 서버에 전송하는 조작;을 실행하도록 한다.
상기 저장매체가 상기 장치에 의해 상기 조작을 실행할 경우, 바람직하게,
사용자가 입력한 제2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제2 음성신호를 서버에 전송하는 조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음성신호는 서버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낭독해야 할 내용에 대응되는 음성신호이다.
나아가, 상기 키보드 요소는,
패턴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정자형 격자 요소; 또는
메인-종속 키보드 중의 메인 키보드의 키보드 요소; 또는
테마 키보드 중의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이다.
나아가, 상기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는,
과일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 또는 동물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이다.
나아가, 상기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 또는 물품 이미지이고,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이다.
제10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휘발성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하나의 장치로 실행될 경우, 상기 장치로 하여금,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비밀번호 설정시 입력한 제1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제1 음성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랜덤 식별자를 추출하되, 각 랜덤 식별자는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하나의 키보드 요소에 각각 대응되는 동작; 및
추출된 각 랜덤 식별자에 각각 대응되는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를 확정하고, 확정된 고정 식별자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를 확정하고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저장 매체가 상기 장치에 의해 상기 동작을 실행할 경우, 바람직하게,
제1 음성신호에 의해 사용자의 음성특징 정보를 획득하고 저장하거나 또는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2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제2 음성신호에 의해 사용자의 음성특징 정보를 획득하고 저장하는 조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음성신호는 서버로부터 사전 발송된 사용자가 낭독해야 할 내용에 대응되는 음성신호이다.
나아가, 상기 키보드 요소는,
패턴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정자형 격자 요소; 또는
메인-종속 키보드 중의 메인 키보드의 키보드 요소; 또는
테마 키보드 중의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이다.
나아가, 상기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는,
과일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 또는 동물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이다.
나아가, 상기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 또는 물품 이미지이고,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이다.
제11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휘발성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하나의 장치로 실행될 경우, 상기 장치로 하여금,
사용자가 로그인시 적어도 하나의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에 대한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각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조작; 및
사용자가 비밀번호 검증시 입력한 제3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제3 음성신호를 서버에 전송하는 조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저장 매체가 상기 장치에 의해 상기 동작을 수행할 경우, 바람직하게,
사용자가 입력한 제4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제4 음성신호를 서버에 전송하는 조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음성신호는 서버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낭독해야 할 내용에 대응되는 음성신호이다.
나아가, 상기 키보드 요소는,
패턴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정자형 격자 요소; 또는
메인-종속 키보드 중의 메인 키보드의 키보드 요소; 또는
테마 키보드 중의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이다.
나아가, 상기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는,
과일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 또는 동물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이다.
나아가, 상기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 또는 물품 이미지이고,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이다.
제12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휘발성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하나의 장치로 실행될 경우, 상기 장치로 하여금,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비밀번호 검증시 입력한 제3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조작;
상기 제3 음성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랜덤 식별자를 추출하되, 각 랜덤 식별자는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하나의 키보드 요소에 각각 대응되는 조작;
추출된 각 랜덤 식별자에 각각 대응되는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를 확정하고, 확정된 고정 식별자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를 확정하는 조작; 및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를 가입 단계에서 사전 저장된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비밀번호 비교결과에 의해 사용자 신원 인증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신원 인증 결과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조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저장 매체가 상기 장치에 의해 상기 조작을 실행할 경우, 바람직하게,
제3 음성신호에 의해 사용자의 음성특징 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서버가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4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제4 음성신호에 의해 사용자의 음성특징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제4 음성신호는 서버로부터 사전 발송된 사용자가 낭독해야 할 내용에 대응되는 음성신호인 조작; 및
획득한 음성특징 정보를 가입 단계에서 사전 저장된 사용자의 음성특징 정보와 비교하는 조작;을 더 포함하고,
비밀번호 비교결과에 의해 사용자 신원 인증 결과를 획득하는 조작은,
비밀번호 비교결과 및 음성특징 정보의 비교결과에 의해 사용자 신원 인증 결과를 획득하는 조작을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키보드 요소는,
패턴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정자형 격자 요소; 또는
메인-종속 키보드 중의 메인 키보드의 키보드 요소; 또는
테마 키보드 중의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이다.
나아가, 상기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는,
과일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 또는 동물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이다.
나아가, 상기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 또는 물품 이미지이고,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이다.
제13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성문 검증 방법을 실행하는 기기의 하드웨어의 구조적 개략도이다.
상기 기기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901);
메모리 장치(902); 및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되, 도 12에서는 하나의 프로세서(901)를 예로 든다.
상기 기기는, 입력 장치(903) 및 출력 장치(9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기의 프로세서(901), 메모리 장치(902), 입력 장치(903) 및 출력 장치(904)는 버스 또는 기타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고, 도 12에서는 버스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예로 든다.
메모리 장치(902)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성문 검증 방법에 대응되는 프로그램 명령/모듈(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성문 검증 장치의 랜덤 식별자 생성 모듈(510), 제1 음성신호 송수신 모듈(520))과 같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컴퓨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및 모듈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901)는 메모리 장치(902)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명령 및 모듈을 실행함으로써, 기기의 각종 기능 응용 및 데이터 처리, 즉, 상기 방법의 실시예에 따른 성문 검증 방법을 실현한다.
메모리 장치(902)는 프로그램 저장 영역 및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운영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데이터 저장 영역은 기기의 사용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장치(902)는 하이 스피드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체 저장 디바이스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 장치(902)는 프로세서(901)에 대해 원격으로 설치된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원격 메모리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기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의 실예로 인터넷, 기업 인트라넷, LAN, 이동 통신망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입력 장치(903)는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기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에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출력 장치(904)는 디스플레이 등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이 상기 메모리 장치(902)에 저장되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901)로 실행될 경우,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에 대한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비밀번호를 설정하도록,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각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조작; 및
사용자가 비밀번호 설정시 입력한 제1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제1 음성신호를 서버에 전송하는 조작;을 실행한다.
나아가, 바람직하게,
사용자가 입력한 제2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제2 음성신호를 서버에 전송하는 조작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음성신호는 서버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낭독해야 할 내용에 대응되는 음성신호이다.
나아가, 상기 키보드 요소는,
패턴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정자형 격자 요소; 또는
메인-종속 키보드 중의 메인 키보드의 키보드 요소; 또는
테마 키보드 중의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이다.
나아가, 상기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는,
과일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 또는 동물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이다.
나아가, 상기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 또는 물품 이미지이고,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이다.
제14 실시예
도 12를 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901);
메모리 장치(902); 및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는 기기를 더 제공하고, 도 12에서는 하나의 프로세서(901)를 포함한 것을 예로 든다.
상기 기기는, 입력 장치(903) 및 출력 장치(9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기의 프로세서(901), 메모리 장치(902), 입력 장치(903) 및 출력 장치(904)는 버스 또는 기타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도 12에서는 버스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예로 든다.
메모리 장치(902)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성문 검증 방법에 대응되는 프로그램 명령/모듈(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성문 검증 장치의 제1 음성신호 수신 모듈(610), 랜덤 식별자 추출 모듈(620), 비밀번호 저장 모듈(630))과 같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컴퓨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및 모듈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901)는 메모리 장치(902)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명령 및 모듈을 실행함으로써, 기기의 각종 기능 응용 및 데이터 처리, 즉, 상기 방법의 실시예에 따른 성문 검증 방법을 실현한다. 메모리 장치(902)는 프로그램 저장 영역 및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운영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데이터 저장 영역은 기기의 사용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장치(902)는 하이 스피드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체 저장 디바이스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 장치(902)는 프로세서(901)에 대해 원격으로 설치된 메모리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원격 메모리 장치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기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의 실예로 인터넷, 기업 인트라넷, LAN, 이동 통신망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입력 장치(903)는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기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에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출력 장치(904)는 디스플레이 등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이 상기 메모리 장치(902)에 저장되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901)로 실행될 경우,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비밀번호 설정시 입력한 제1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조작;
제1 음성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랜덤 식별자를 추출하되, 각 랜덤 식별자는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하나의 키보드 요소에 각각 대응되는 조작; 및
추출된 각 랜덤 식별자에 각각 대응되는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를 확정하고, 확정된 고정 식별자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를 확정하고 저장하는 조작;을 실행한다.
바람직하게,
제1 음성신호에 의해 사용자의 음성특징 정보를 획득하고 저장하거나 또는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2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제2 음성신호에 의해 사용자의 음성특징 정보를 획득하고 저장하는 조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음성신호는 서버로부터 사전 발송된 사용자가 낭독해야 할 내용에 대응되는 음성신호이다.
나아가, 상기 키보드 요소는,
패턴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정자형 격자 요소; 또는
메인-종속 키보드 중의 메인 키보드의 키보드 요소; 또는
테마 키보드 중의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이다.
나아가, 상기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는,
과일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 또는 동물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이다.
나아가, 상기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 또는 물품 이미지이고,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이다.
제15 실시예
도 12를 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901);
메모리 장치(902); 및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는 기기를 더 제공하고, 도 12에서는 하나의 프로세서(901)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든다.
상기 기기는, 입력 장치(903) 및 출력 장치(9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기의 프로세서(901), 메모리 장치(902), 입력 장치(903) 및 출력 장치(904)는 버스 또는 기타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도 12에서는 버스를 통해 연결된 것을 예로 든다.
메모리 장치(902)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성문 검증 방법에 대응되는 프로그램 명령/모듈(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성문 검증 장치의 랜덤 식별자 생성 모듈(710), 제3 음성신호 송수신 모듈(720))과 같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컴퓨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및 모듈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901)는 메모리 장치(902)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명령 및 모듈을 실행함으로써, 기기의 각종 기능 응용 및 데이터 처리, 즉, 상기 방법의 실시예에 따른 성문 검증 방법을 실현한다.
메모리 장치(902)는 프로그램 저장 영역 및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운영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데이터 저장 영역은 기기의 사용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장치(902)는 하이 스피드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체 저장 디바이스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 장치(902)는 프로세서(901)에 대해 원격으로 설치된 메모리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원격 메모리 장치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기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의 실예로 인터넷, 기업 인트라넷, LAN, 이동 통신망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입력 장치(903)는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기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에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출력 장치(904)는 디스플레이 등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이 상기 메모리 장치(902)에 저장되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901)로 실행될 경우,
사용자가 로그인시 적어도 하나의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에 대한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각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조작; 및
사용자가 비밀번호 검증시 입력한 제3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제3 음성신호를 서버에 전송하는 조작;을 실행한다.
바람직하게,
사용자가 입력한 제4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제4 음성신호를 서버에 전송하는 조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음성신호는 서버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낭독해야 할 내용에 대응되는 음성신호이다.
나아가, 상기 키보드 요소는,
패턴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정자형 격자 요소; 또는
메인-종속 키보드 중의 메인 키보드의 키보드 요소; 또는
테마 키보드 중의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이다.
나아가, 상기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는,
과일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 또는 동물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이다.
나아가, 상기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 또는 물품 이미지이고,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이다.
제16 실시예
도 12를 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901);
메모리 장치(902); 및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는 기기를 더 제공하고, 도 12에서는 하나의 프로세서(901)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든다.
상기 기기는, 입력 장치(903) 및 출력 장치(9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기의 프로세서(901), 메모리 장치(902), 입력 장치(903) 및 출력 장치(904)는 버스 또는 기타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도 12에서는 버스를 통해 연결된 것을 예로 든다.
메모리 장치(902)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성문 검증 방법에 대응되는 프로그램 명령/모듈(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성문 검증 장치의 제3 음성신호 수신 모듈(810), 랜덤 식별자 추출 모듈(820), 비밀번호 확정 모듈(830), 사용자 신원 인증 모듈(840))과 같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컴퓨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및 모듈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901)는 메모리 장치(902)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명령 및 모듈을 실행함으로써, 기기의 각종 기능 응용 및 데이터 처리, 즉, 상기 방법의 실시예에 따른 성문 검증 방법을 실현한다.
메모리 장치(902)는 프로그램 저장 영역 및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운영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데이터 저장 영역은 기기의 사용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장치(902)는 하이 스피드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체 저장 디바이스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메모리 장치(902)는 프로세서(901)에 대해 원격으로 설치된 메모리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원격 메모리 장치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기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의 실예로 인터넷, 기업 인트라넷, LAN, 이동 통신망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입력 장치(903)는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기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에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출력 장치(904)는 디스플레이 등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이 상기 메모리 장치(902)에 저장되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901)로 실행될 경우,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비밀번호 검증시 입력한 제3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조작;
상기 제3 음성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랜덤 식별자를 추출하되, 각 랜덤 식별자는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하나의 키보드 요소에 각각 대응되는 조작;
추출된 각 랜덤 식별자에 각각 대응되는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를 확정하고, 확정된 고정 식별자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를 확정하는 조작; 및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를 가입 단계에서 사전 저장된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비밀번호 비교결과에 의해 사용자 신원 인증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신원 인증 결과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조작;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제3 음성신호에 의해 사용자의 음성특징 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서버가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4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제4 음성신호에 의해 사용자의 음성특징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제4 음성신호는 서버로부터 사전 발송된 사용자가 낭독해야 할 내용에 대응되는 음성신호인 조작; 및
획득한 음성특징 정보를 가입 단계에서 사전 저장된 사용자의 음성특징 정보와 비교하는 조작;을 더 포함하고,
비밀번호 비교결과에 의해 사용자 신원 인증 결과를 획득하는 동작은,
비밀번호 비교결과 및 음성특징 정보의 비교결과에 의해 사용자 신원 인증 결과를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키보드 요소는,
패턴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정자형 격자 요소; 또는
메인-종속 키보드 중의 메인 키보드의 키보드 요소; 또는
테마 키보드 중의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이다.
나아가, 상기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는,
과일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 또는 동물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이다.
나아가, 상기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 또는 물품 이미지이고,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이다.
상기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에 통해,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소프트웨어 및 필요한 범용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물론,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으나 다수의 경우에는 전자가 보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임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이해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방안의 본질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해 기여가 있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예를 들어 컴퓨터의 플로피 디스켓, 읽기 전용 메모리 장치(Read-Only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하드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되어 다수의 명령어를 포함함으로써, 컴퓨터 기기(개인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로 하여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상기 성문 검증 장치의 실시예에 있어서, 이에 포함된 각 유닛 및 모듈은 오직 기능 로직에 따라 분류된 것일 뿐이며, 관련 기능에 대한 실현이 가능할 경우 상기 분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각 기능 유닛의 구체적인 명칭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오직 구분이 용이하도록 이용되는 것임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에 익숙한 당업자가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적 범위내에서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는 그 어떠한 변경이나 대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어야 한다.

Claims (32)

  1.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에 대한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비밀번호를 설정하도록, 클라이언트로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각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클라이언트로 사용자가 비밀번호 설정시 입력한 제1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제1 음성신호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문 검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클라이언트로 사용자가 입력한 제2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제2 음성신호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음성신호는 서버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낭독해야 할 내용에 대응되는 음성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문 검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요소는,
    패턴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정자형 격자 요소; 또는
    메인-종속 키보드 중의 메인 키보드의 키보드 요소; 또는
    테마 키보드 중의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문 검증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는,
    과일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 또는 동물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문 검증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 또는 물품 이미지이고,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문 검증 방법.
  6. 서버로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비밀번호 설정시 입력한 제1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서버로 제1 음성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랜덤 식별자를 추출하되, 각 랜덤 식별자는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하나의 키보드 요소에 각각 대응되는 단계; 및
    서버로 추출된 각 랜덤 식별자에 각각 대응되는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를 확정하고, 확정된 고정 식별자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를 확정하고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문 검증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서버로 제1 음성신호에 의해 사용자의 음성특징 정보를 획득하고 저장하는 단계; 또는
    서버로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2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제2 음성신호에 의해 사용자의 음성특징 정보를 획득하고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음성신호는 서버로부터 사전 발송된 사용자가 낭독해야 할 내용에 대응되는 음성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문 검증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요소는,
    패턴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정자형 격자 요소; 또는
    메인-종속 키보드 중의 메인 키보드의 키보드 요소; 또는
    테마 키보드 중의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문 검증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는,
    과일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 또는 동물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문 검증 방법.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 또는 물품 이미지이고,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문 검증 방법.
  11. 사용자가 로그인시 적어도 하나의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에 대한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클라이언트로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각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클라이언트로 사용자가 비밀번호 검증시 입력한 제3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제3 음성신호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문 검증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클라이언트로 사용자가 입력한 제4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제4 음성신호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음성신호는 서버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낭독해야 할 내용에 대응되는 음성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문 검증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요소는,
    패턴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정자형 격자 요소; 또는
    메인-종속 키보드 중의 메인 키보드의 키보드 요소; 또는
    테마 키보드 중의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문 검증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는,
    과일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 또는 동물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문 검증 방법.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 또는 물품 이미지이고,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문 검증 방법.
  16. 서버로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비밀번호 검증시 입력한 제3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서버로 상기 제3 음성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랜덤 식별자를 추출하되, 각 랜덤 식별자는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하나의 키보드 요소에 각각 대응되는 단계;
    서버로 추출된 각 랜덤 식별자에 각각 대응되는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를 확정하고, 확정된 고정 식별자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를 확정하는 단계; 및
    서버로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를 가입 단계에서 사전 저장된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비밀번호 비교결과에 의해 사용자 신원 인증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신원 인증 결과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문 검증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서버로 제3 음성신호에 의해 사용자의 음성특징 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서버로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4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제4 음성신호에 의해 사용자의 음성특징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제4 음성신호는 서버로부터 사전 발송된 사용자가 낭독해야 할 내용에 대응되는 음성신호인 단계; 및
    서버로 획득한 음성특징 정보를 가입 단계에서 사전 저장된 사용자의 음성특징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비밀번호 비교결과에 의해 사용자 신원 인증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는, 비밀번호 비교결과 및 음성특징 정보의 비교결과에 의해 사용자 신원 인증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문 검증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요소는,
    패턴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한 정자형 격자 요소; 또는
    메인-종속 키보드 중의 메인 키보드의 키보드 요소; 또는
    테마 키보드 중의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문 검증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는,
    과일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 또는 동물 형태로 표시된 키보드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문 검증 방법.
  20.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임의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 또는 물품 이미지이고,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는 알파벳 또는 숫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문 검증 방법.
  21.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에 대한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비밀번호를 설정하도록,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각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를 생성하여 표시하기 위한 랜덤 식별자 생성 모듈; 및
    사용자가 비밀번호 설정시 입력한 제1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제1 음성신호를 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제1 음성신호 송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문 검증 장치.
  22.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비밀번호 설정시 입력한 제1 음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음성신호 수신 모듈;
    제1 음성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랜덤 식별자를 추출하되, 각 랜덤 식별자는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하나의 키보드 요소에 각각 대응되는 랜덤 식별자 추출 모듈; 및
    추출된 각 랜덤 식별자에 각각 대응되는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를 확정하고, 확정된 고정 식별자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를 확정하고 저장하기 위한 비밀번호 저장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문 검증 장치.
  23. 사용자가 로그인시 적어도 하나의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에 대한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각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를 생성하여 표시하기 위한 랜덤 식별자 생성 모듈; 및
    사용자가 비밀번호 검증시 입력한 제3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제3 음성신호를 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제3 음성신호 송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문 검증 장치..
  24.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비밀번호 검증시 입력한 제3 음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3 음성신호 수신 모듈;
    상기 제3 음성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랜덤 식별자를 추출하되, 각 랜덤 식별자는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하나의 키보드 요소에 각각 대응되는 랜덤 식별자 추출 모듈;
    추출된 각 랜덤 식별자에 각각 대응되는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를 확정하고, 확정된 고정 식별자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를 확정하기 위한 비밀번호 확정 모듈; 및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를 가입 단계에서 사전 저장된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비밀번호 비교결과에 의해 사용자 신원 인증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신원 인증 결과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 신원 인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문 검증 장치.
  25.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휘발성 컴퓨터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이 하나의 장치로 실행될 경우, 상기 장치로 하여금,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에 대한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비밀번호를 설정하도록,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각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조작; 및
    사용자가 비밀번호 설정시 입력한 제1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제1 음성신호를 서버에 전송하는 조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컴퓨터 저장 매체.
  26.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휘발성 컴퓨터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이 하나의 장치로 실행될 경우, 상기 장치로 하여금,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비밀번호 설정시 입력한 제1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조작;
    제1 음성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랜덤 식별자를 추출하되, 각 랜덤 식별자는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하나의 키보드 요소에 각각 대응되는 조작; 및
    추출된 각 랜덤 식별자에 각각 대응되는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를 확정하고, 확정된 고정 식별자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를 확정하고 저장하는 조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컴퓨터 저장 매체.
  27.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휘발성 컴퓨터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이 하나의 장치로 실행될 경우, 상기 장치로 하여금,
    사용자가 로그인시 적어도 하나의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에 대한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각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조작; 및
    사용자가 비밀번호 검증시 입력한 제3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제3 음성신호를 서버에 전송하는 조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컴퓨터 저장 매체.
  28.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휘발성 컴퓨터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이 하나의 장치로 실행될 경우, 상기 장치로 하여금,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비밀번호 검증시 입력한 제3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조작;
    상기 제3 음성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랜덤 식별자를 추출하되, 각 랜덤 식별자는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하나의 키보드 요소에 각각 대응되는 조작;
    추출된 각 랜덤 식별자에 각각 대응되는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를 확정하고, 확정된 고정 식별자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를 확정하는 조작; 및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를 가입 단계에서 사전 저장된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비밀번호 비교결과에 의해 사용자 신원 인증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신원 인증 결과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조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컴퓨터 저장 매체.
  29.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
    메모리 장치;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이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되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로 실행될 경우,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에 대한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비밀번호를 설정하도록,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각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조작; 및
    사용자가 비밀번호 설정시 입력한 제1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제1 음성신호를 서버에 전송하는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30.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
    메모리 장치; 및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이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되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로 실행될 경우,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비밀번호 설정시 입력한 제1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조작;
    제1 음성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랜덤 식별자를 추출하되, 각 랜덤 식별자는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하나의 키보드 요소에 각각 대응되는 조작; 및
    추출된 각 랜덤 식별자에 각각 대응되는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를 확정하고, 확정된 고정 식별자에 의해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를 확정하고 저장하는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31.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
    메모리 장치; 및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이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되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로 실행될 경우,
    사용자가 로그인시 적어도 하나의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에 대한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각 키보드 요소의 랜덤 식별자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조작; 및
    사용자가 비밀번호 검증시 입력한 제3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제3 음성신호를 서버에 전송하는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32.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
    메모리 장치; 및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이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되어,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로 실행될 경우,
    클라이언트로부터 발송되는 사용자가 비밀번호 검증시 입력한 제3 음성신호를 수신하는 조작;
    상기 제3 음성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랜덤 식별자를 추출하되, 각 랜덤 식별자는 고정 식별자를 구비한 하나의 키보드 요소에 각각 대응되는 조작;
    추출된 각 랜덤 식별자에 각각 대응되는 키보드 요소의 고정 식별자를 확정하고, 확정된 고정 식별자에 의해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를 확정하는 조작; 및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를 가입 단계에서 사전 저장된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비밀번호 비교결과에 의해 사용자 신원 인증 결과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 신원 인증 결과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하는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기.
KR1020167022494A 2014-11-07 2015-11-03 성문 검증 방법 및 장치, 저장 매체 및 기기 KR1020028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643064.3 2014-11-07
CN201410643064.3A CN104468522B (zh) 2014-11-07 2014-11-07 一种声纹验证方法和装置
PCT/CN2015/093621 WO2016070774A1 (zh) 2014-11-07 2015-11-03 一种声纹验证方法、装置、存储介质和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986A true KR20160126986A (ko) 2016-11-02
KR102002889B1 KR102002889B1 (ko) 2019-07-23

Family

ID=52913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2494A KR102002889B1 (ko) 2014-11-07 2015-11-03 성문 검증 방법 및 장치, 저장 매체 및 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77589B2 (ko)
EP (1) EP3223483B1 (ko)
JP (1) JP6444426B2 (ko)
KR (1) KR102002889B1 (ko)
CN (1) CN104468522B (ko)
WO (1) WO20160707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68522B (zh) 2014-11-07 2017-10-03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声纹验证方法和装置
CN104901808A (zh) * 2015-04-14 2015-09-09 时代亿宝(北京)科技有限公司 基于时间型动态口令的声纹认证系统及方法
CN107276962B (zh) * 2016-04-07 2023-04-07 北京得意音通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可结合任意手势的动态密码语音认证系统
CN107437013A (zh) * 2016-05-27 2017-12-05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身份验证方法和装置
WO2017217288A1 (ja) * 2016-06-14 2017-12-2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電子機器、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電子機器の処理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10607148B1 (en) * 2016-12-21 2020-03-31 Facebook, Inc. User identification with voiceprints on online social networks
US10635893B2 (en) * 2017-10-31 2020-04-28 Baidu Usa Llc Identity authent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2443632B1 (ko) * 2017-12-18 2022-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전자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10459204A (zh) * 2018-05-02 2019-11-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语音识别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09462482B (zh) * 2018-11-09 2023-08-08 深圳壹账通智能科技有限公司 声纹识别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R3092681A1 (fr) * 2019-02-12 2020-08-14 Orange Procédé de commande d’un équipement informatique
CN110322888B (zh) * 2019-05-21 2023-05-30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信用卡解锁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051537B (zh) * 2021-03-23 2023-02-10 深圳市声扬科技有限公司 身份验证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CN113949559A (zh) * 2021-10-14 2022-01-18 中国工商银行股份有限公司 声纹识别攻击防御方法、装置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2288A (ja) * 2001-05-21 2002-11-29 Casio Comput Co Ltd 認証装置、認証システム、認証方法、認証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13118302A1 (ja) * 2012-02-10 2013-08-15 株式会社クレスコ 認証管理システム及び認証管理方法並びに認証管理プログラム
US20140020074A1 (en) * 2012-07-11 2014-01-16 Conor Robert White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ing the security of secret authentication data during authentication transaction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8238B2 (en) * 1999-07-12 2005-12-20 Charles Schwab & Co., Inc.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 user by voice
US6973575B2 (en) * 2001-04-05 2005-12-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voice recognition password reset
JP2002312318A (ja) * 2001-04-13 2002-10-25 Nec Corp 電子装置、本人認証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30163739A1 (en) 2002-02-28 2003-08-28 Armington John Phillip Robust multi-factor authentication for secure application environments
JP4463526B2 (ja) * 2003-10-24 2010-05-19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声紋認証システム
EP1759358A1 (en) * 2004-05-17 2007-03-07 Dexrad (Proprietary) Limited Document creation and authentication system
JP4588069B2 (ja) * 2005-03-31 2010-11-2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操作者認識装置、操作者認識方法、および、操作者認識プログラム
NZ541711A (en) * 2005-09-28 2006-10-27 Chuan Pei Chen Human factors authentication using abstract definitions of viewable or audible objects
CN101197131B (zh) * 2006-12-07 2011-03-30 积体数位股份有限公司 随机式声纹密码验证系统、随机式声纹密码锁及其产生方法
CN101183941B (zh) * 2007-08-03 2011-03-09 廖睿 随机隐询式密码认证技术
US8117652B1 (en) * 2008-04-30 2012-02-14 Trend Micro, Inc. Password input using mouse clicking
CN101374149A (zh) * 2008-09-19 2009-02-25 中国民生银行股份有限公司 防止盗取密码的方法及系统
CN101685635A (zh) * 2008-09-23 2010-03-31 吕共欣 身份验证系统及方法
KR20110012270A (ko) * 2009-07-30 2011-02-09 (주)핀스텍 음성과 랜덤하게 가변되는 자판 배열을 이용한 비밀 번호 처리 방법과 그 시스템
CN102254559A (zh) * 2010-05-20 2011-11-23 盛乐信息技术(上海)有限公司 基于声纹的身份认证系统及方法
US8438063B2 (en) * 2010-08-31 2013-05-07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obile payment using picture messaging
CN102413100A (zh) 2010-09-25 2012-04-11 盛乐信息技术(上海)有限公司 声纹密码图片提示的声纹认证系统及其实现方法
CN102543084A (zh) 2010-12-29 2012-07-04 盛乐信息技术(上海)有限公司 在线声纹认证系统及其实现方法
US20130036461A1 (en) 2011-08-01 2013-02-07 Apple Inc. Image-based authentication
CN202261808U (zh) * 2011-11-03 2012-05-30 于斐斐 一种手机声纹验证系统
CN103034414A (zh) * 2012-12-12 2013-04-10 华为终端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屏幕解锁方法
SG11201504186UA (en) * 2012-12-19 2015-07-30 Visa Int Service Ass System and method for voice authentication
US9336779B1 (en) * 2013-04-10 2016-05-10 Google Inc. Dynamic image-based voice entry of unlock sequence
US9172697B1 (en) * 2013-09-16 2015-10-27 Kabam, Inc. Facilitating users to obfuscate user credentials in credential responses for user authentication
CN104468522B (zh) * 2014-11-07 2017-10-03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声纹验证方法和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2288A (ja) * 2001-05-21 2002-11-29 Casio Comput Co Ltd 認証装置、認証システム、認証方法、認証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13118302A1 (ja) * 2012-02-10 2013-08-15 株式会社クレスコ 認証管理システム及び認証管理方法並びに認証管理プログラム
US20140020074A1 (en) * 2012-07-11 2014-01-16 Conor Robert White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ing the security of secret authentication data during authentication transac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23483B1 (en) 2021-03-10
US20170244701A1 (en) 2017-08-24
KR102002889B1 (ko) 2019-07-23
JP2017507422A (ja) 2017-03-16
WO2016070774A1 (zh) 2016-05-12
EP3223483A1 (en) 2017-09-27
CN104468522A (zh) 2015-03-25
JP6444426B2 (ja) 2018-12-26
EP3223483A4 (en) 2018-08-15
US10277589B2 (en) 2019-04-30
CN104468522B (zh) 2017-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2889B1 (ko) 성문 검증 방법 및 장치, 저장 매체 및 기기
US11050555B2 (en) Method for remotely acquiring secret key, POS terminal and storage medium
US10158621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a security check
US10395065B2 (en) Password protection under close input observation based on dynamic multi-value keyboard mapping
US9690923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verifying terminal
US9979721B2 (en) Method, server, client and system for verifying verification codes
US9805182B1 (en) Authentication using a client device and a mobile device
US20160316369A1 (en) Account Logi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WO2014012476A1 (en) Method and system of login authentication
CN104994095B (zh) 一种设备认证方法、服务器及系统
CN104158664A (zh) 一种身份认证方法及系统
WO2017198098A1 (zh) 一种登录云桌面的虚拟机系统的方法及装置
KR102017505B1 (ko) 난수발생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TWI668586B (zh)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client and server
Moraskar et al. Cued click point technique for graphical password authentication
WO2015179640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a security check
CN104079527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2983969A (zh) 一种操作系统的安全登录系统及安全登录方法
CN106161388B (zh) 信息验证方法、服务器及系统
CN103401869A (zh) 一种账户自动登录的方法
US10771971B2 (en) Secured multi-factor authentication
CN104009963B (zh) 远程密码的安全认证机制
US20210211415A1 (en) Password protection in a computing environment
US20180124034A1 (en) Image based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to authenticate user identity
KR20180034199A (ko) 싱글 사인 온 서비스 기반의 상호 인증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