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6828A - 아일릿부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일릿부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6828A
KR20160126828A KR1020150090689A KR20150090689A KR20160126828A KR 20160126828 A KR20160126828 A KR 20160126828A KR 1020150090689 A KR1020150090689 A KR 1020150090689A KR 20150090689 A KR20150090689 A KR 20150090689A KR 20160126828 A KR20160126828 A KR 20160126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part
stopper
seating
decorative
inser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4606B1 (ko
Inventor
유승민
Original Assignee
유승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승민 filed Critical 유승민
Priority to PCT/KR2016/00364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171416A2/ko
Priority to PCT/KR2016/003644 priority patent/WO2016171417A2/ko
Priority to US15/565,417 priority patent/US10499708B2/en
Publication of KR20160126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6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4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4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58Eyelets or gromme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5/00Eyele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58Eyelets or grommets
    • A44B13/0076Eyelets or grommets characterised by their way of fastening to the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8Decorative devices for handbags or pur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76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a snap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8Clamps drawn tight by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58Eyelets or grommets
    • A44B13/0064Eyelets or grommet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A44B13/007Eyelets or grommet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made of plastic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일릿부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1 장식부, 상기 제1 장식부에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어 있는 제2 장식부 및 상기 제1 장식부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일부분이 통과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일부분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있고 상기 제2 장식부가 삽입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일릿부재 및 그 제조방법{Eyelet device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아일릿부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핸드백, 지갑, 가방(이하, 휴대물품이 함) 등에는 상표, 엠블럼(emblem) 등의 장식부재 또는 끈이나 다른 기구와 결합하기 위한 아일릿, 고리 등(이하, 장식부재, 아일릿, 고리 등을 '아일릿부재'라고 함)이 장착된다.
아일릿부재를 휴대물품에 고정하는 방식은 접착방식이나 물리적 결합방식을 사용하게 된다. 접착방식은 휴대물품의 유연한 재질로 인하여 시간이 지나면 아일릿부재와 휴대물품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리고 물리적 결합방식은 별도의 결합 장치들이 필요하게 된다.
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1985-0013615호 (1985.10.18.) 실용신안공고 제20-1988-0000214호 (1988.03.10.)
본 발명은 아일릿부재를 휴대물품에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고 그 결합력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아일릿부재는 제1 장식부, 상기 제1 장식부에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어 있는 제2 장식부 및 상기 제1 장식부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일부분이 통과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일부분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있고 상기 제2 장식부가 삽입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 제1 장식부는, 제2 장식부의 일부분이 위치하는 배치홀을 가지는 제1 바디, 그리고 상기 제1 바디 일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 스토퍼를 고정하는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치홀의 둘레면은, 상기 스토퍼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며 상기 제1 바디의 일면과 연결된 안착면, 상기 제1 바디 타면과 연결된 수직면 및 상기 안착면과 상기 수직면을 연결하고 상기 안착면에서 상기 수직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안착면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안착부재, 그리고 이웃한 상기 안착부재들을 연결하고 상기 일부분에 밀착된 복수의 걸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장식부는, 상기 걸림부재 중앙을 통과하고 상기 배치홀에 위치한 삽입부재, 그리고 상기 삽입부재와 연결되어 있는 제2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재의 외부 둘레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걸림부재가 걸리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경사져 있고,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경사면과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스토퍼의 적어도 일부분은 끊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장식부 및 상기 제2 장식부는 플라스틱, 금속, 목재, 아크릴, ABS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FRP)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아일릿부재 제조방법은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제1 장식부에 스토퍼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고정돌기를 구부려 상기 스토퍼를 상기 제1 장식부에 고정하는 단계, 휴대물품을 사이에 두고 제1 장식부와 제2 장식부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장식부와 상기 제2 장식부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장식부의 삽입부재는 상기 휴대물품을 관통하여 상기 스토퍼를 통과하여 상기 제1 장식부의 배치홀에 위치하고, 상기 스토퍼의 걸림부재는 상기 삽입부재의 외부둘레면에 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삽입부재가 관통홀을 통과할 때 걸림부재가 삽입부재의 걸림홈에 걸리게 되면서 제1 장식부와 제2 장식부는 휴대물품을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된다. 이에 제1 장식부와 제2 장식부의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생산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삽입부재 삽입 방향으로 경사진 걸림부재에 의해 삽입부재는 삽입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한다. 이에 제2 장식부는 제1 장식부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장식부와 제2 장식부의 결합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아일릿부재가 휴대물품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아일릿부재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 Ⅲ-Ⅲ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스토퍼가 제1 장식부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 확대도.
도 6은 도 3의 제1 장식부와 제2 장식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도 6의 B 확대도.
도 8은 도 2의 제1 장식부와 제2 장식부의 다양한 디자인을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아일릿부재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아일릿부재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아일릿부재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아일릿부재에 대하여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아일릿부재가 휴대물품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아일릿부재(1)는 휴대물품(2)의 기설정된 위치에 배치되어 휴대물품의 장식으로 사용되거나, 휴대물품을 나타내는 상징물(상표, 엠블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일릿부재(1)는 휴대물품과 연결된 손잡이(도시하지 않음), 끈(도시하지 않음)이 통과하거나, 휴대물품의 덮개를 고정하는 락킹부재(도시하지 않음) 등이 결합될 수 있다. 아일릿부재(1)는 제1 장식부(10), 스토퍼(20) 및 제2 장식부(30)를 포함한다.
제1 장식부(10)와 제2 장식부(20)는 휴대물품(2)을 사이에 두고 연결된다. 스토퍼(20)는 제1 장식부(10)에 결합되어 제2 장식부(20)가 제1 장식부(1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제1 장식부(10)와 제2 장식부(20)는 휴대물품(2)의 외부로 노출되거나 선택된 어느 하나만 휴대물품(2)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는 휴대물품(2)의 디자인 및 휴대물품(2)에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면 도 1 및 에서 제1 장식부(10) 및 제2 장식부(30)를 원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제1 장식부(10)와 제2 장식부(30)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형상과 모양은 타원, 다각형, 캐릭터, 상표, 엠블럼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그 표면에는 그림, 문자, 기호 등이 그려질 수 있다. 여기서, 외부로 노출되는 제2 장식부(30) 만이 그 형상과 모양이 변경되고, 제1 장식부(10)는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장식부(10) 및 제2 장식부(20)의 형상과 모양, 색상 등은 주문자가 요구하는 디자인, 휴대물품(2)의 디자인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1 장식부(10) 및 제2 장식부(30)는 철, 아연, 동 등과 같은 금속, 플라스틱, 목재, 아크릴, ABS수지,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1 장식부(10) 및 제2 장식부(30)의 표면은 다양한 색상으로 도금될 수 있다. 스토퍼(20)는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제1 장식부(10) 및 제2 장식부(30)에 대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아일릿부재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 Ⅲ-Ⅲ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스토퍼가 제1 장식부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 확대도이며, 도 6은 도 3의 제1 장식부와 제2 장식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B 확대도이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제1 장식부(10)은 제1 바디(11) 및 고정돌기(12)를 포함한다.
제1 바디(11)는 제1 장식부(10)의 외형을 이룬다. 제1 바디(11)는 휴대물품(2) 외부로 노출되거나 가려질 수 있다. 제1 바디(11)는 주문자가 요구하는 디자인, 휴대물품의 디자인에 따라 그 형상과 모양, 색상 등이 달라질 수 있는 부분이다.
제1 바디(11)의 중앙에는 양측이 개방되어 있고 제2 장식부(10)의 일부분이 위치한 배치홀(13)이 형성되어 있다. 배치홀(13)의 타측은 막혀 있을 수 있다. 배치홀(13)에는 제2 장식부(30)의 일부분과 스토퍼(20)가 위치한다. 도면 도 2에서 배치홀(13)을 원형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모양은 제1 바디(11)의 형상과 모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배치홀(13)의 둘레면은 안착면(131), 경사면(132) 및 수직면(133)으로 이루어져 있다.
경사면(132)은 제1 바디(11)의 일면과 연결되어 있으며 제1 바디(11) 타면 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진다. 수직면(133)은 경사면(132)과 제1 바디(11)의 타면을 연결한다. 배치홀(13) 타측이 막힌 경우 수직면(133)은 제1 바디(11)의 타면과 연결되지 않는다.
안착면(131)은 제1 바디(11) 일면에 형성된 고정돌기(12)와 경사면 사이 부분이다. 즉, 경사면(32)과 연결된 일면 일부분이 안착면(131)이다.
고정돌기(12)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바디(11)의 일면에서 안착면(131)과 제1 바디(11)의 일면을 구획하고 스토퍼(20)를 고정한다. 고정돌기(12)는 스토퍼(20)를 고정하기 전에는 제1 바디(11)의 일면에서 수직하게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스토퍼(20)를 고정할 때는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배치홀(13)의 중심을 향해 구부러져 있다. 고정돌기(12)의 구부러진 부분은 안착면(131)과 간격을 두고 마주한다.
제2 장식부(30)는 제2 바디(31) 및 삽입부재(32)를 포함한다. 제2 장식부(30)에는 휴대물품(2)과 연결되는 손잡이, 끈, 락킹장치 등이 결합되는 구멍(33)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33)의 형상은 제2 장식부(30)의 디자인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구멍(33)은 생략될 수 있다.
제2 바디(31)는 제2 장식부(30)의 외형을 이룬다. 제2 바디(31)는 제1 바디(11)와 함께 휴대물품(2)의 외부로 노출되거나 제1 바디(11)가 가려진 경우 제2 바디(31)만 노출될 수 있다. 제2 바디(31)는 주문자가 요구하는 디자인, 휴대물품의 디자인에 따라 그 형상과 모양, 색상 등이 달라질 수 있는 부분이다.
제2 바디(31)는 제1 바디(11)와 간격을 두고 마주한다. 제2 바디(31)와 제1 바디(11)의 간격은 휴대물품(2)의 두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삽입부재(32)는 제2 바디(31)에서 제1 바디(11)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다. 삽입부재(32)의 외부 둘레면 직경은 제2 바디(31)의 직경보다 작다. 삽입부재(32)의 끝은 배치홀(13)의 수직면(133) 부분에 위치한다. 삽입부재(32)의 외부 둘레면 직경이 수직면(133)을 이루는 배치홀(13) 부분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삽입부재(32)의 외부 둘레면과 수직면(133)은 떨어져 있다. 삽입부재(32)는 제1 바디(11) 외부로 돌출되어 있지 않다.
삽입부재(32)의 외부 둘레면에는 걸림홈(321)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홈(321)은 삽입부재(32)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걸림홈(321)은 1 개만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321)의 개수는 삽입부재(32)의 길이, 제1 바디(11)와 제2 바디(31) 사이에 위치하는 휴대물품(2)의 두께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걸림홈(321)은 생략될 수 있다.
삽입부재(32)의 모양은 배치홀(13)의 모양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제2 바디(31)의 형상 및 모양만 다양하게 변경되고, 삽입부재(32)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20)의 외형은 배치홀(13)과 대응되며 안착부재(21) 및 걸림부재(22)를 포함한다.
안착부재(21)는 안착면(131)과 고정돌기(12) 사이에서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안착부재(21)는 고정돌기(12)의 눌림으로 고정된다.
걸림부재(22)는 이웃한 안착부재(21)를 연결하며 삽입부재(32)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걸림부재(22)는 돌출편(221) 및 걸림편(222)을 포함한다.
돌출편(221)은 각 안착부재(21)의 양끝에서 배치홀(13)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경사면(132)을 따라 구부러져 있다. 즉, 돌출편(221)은 삽입부재(32)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다. 경사면(132)과 마주하는 돌출편(221) 부분은 경사면(132)과 간격(G)을 두고 있다. 돌출편(221)은 탄성력을 갖는다. 돌출편(221)은 삽입부재(32)가 삽입될 때 경사면(132)을 향해 탄력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도 5 참고).
걸림편(222)은 이웃한 안착부재(21)에서 서로 마주하는 돌출편(221)을 연결한다. 걸림편(222)은 돌출편(221)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져 있다. 걸림편(222) 들에 의해 스토퍼(20)의 중앙에는 삽입부재(32)가 통과하는 관통홀(23)이 형성된다. 관통홀(23)의 형상은 삽입부재(32)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관통홀(23)의 직경은 삽입부재(32)의 외부 둘레면 직경보다 작다. 걸림편(222)의 적어도 일부분은 걸림홈(321)에 위치한다. 휴대물품(2)의 사용으로 두께가 얇아진 경우 제2 바디(31)를 휴대물품(2) 방향으로 가압하면 걸림편(222)은 제2 바디(31)와 근접한 걸림홈(321)에 걸릴 수 있다. 휴대물품(2)의 두께가 얇을수록 걸림편(222)은 제2 바디(31)와 가까운 쪽의 걸림홈(321)에 위치한다(도 6 참조)
걸림편(222)에 의해 삽입부재(32)는 배치홀(13) 내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다. 걸림홈(321)이 생략된 경우 걸림편(222)은 삽입부재(32)의 외부 둘레면과 접한다. 걸림편(222)은 돌출편(221)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홈(321)의 둘레면 또는 삽입부재(32)의 외부 둘레면에 탄력적으로 걸린다.
삽입부재(32)가 배치홀(13)에서 삽입 방향(P)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구부러진 돌출편(221)이 경사면(13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져야 한다. 돌출편(221)이 구부러지기 위해서는 회전반경(R)이 필요하다. 그러나 걸림편(222)이 걸림홈(321)에 걸려 삽입부재(32)와 접하고 있어 회전반경(R)이 나오지 않는다. 이에 돌출편(221)이 구부러지지 않아 삽입부재(32)는 배치홀(13)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도 7 참조).
따라서 삽입부재(32)가 관통홀(23)을 통과할 때 걸림편(222)이 걸림홈(321)에 걸리게 되면서 삽입부재(32)가 제1 장식부(10) 내부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에 제1 장식부(10)와 제2 장식부(30)의 조립이 간편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스토퍼(20)의 모양에 있어 다르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20)는 안착부재(21) 및 걸림부재(22)를 포함한다.
안착부재(21)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안착면(131)을 따라 배치되어 고정돌기(1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걸림부재(22)는 패널 형태로 형성되어 안착부재(21)의 내부 둘레면에서 배치홀(13)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있으며 경사면(132)을 따라 경사져 있다. 걸림부재(22)는 안착부재(21)의 내부 둘레면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걸림부재(22)의 끝은 걸림홈(321)에 걸려 삽입부재(32)가 배치홀(13)에서 빠지지 않도록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내지 도 8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대부분 가진다. 다만 수지계열로 만들어진 제1 장식부(10)와 제2 장식부(30)를 스토퍼(20)가 결합하는 경우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안착부재(21)의 적어도 일부분이 끊어져 있다. 안착부재(21)는 끊어진 부분(24)에 의해 오므려질 수 있다.
제1 장식부(10)와 제2 장식부(30)가 금속으로 만들어진 경우 고정돌기(12)는 구부려지지 않고 안착면(131)과 수직한 상태로 형성된다. 안착면(131)에 놓인 안착부재(21)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고정돌기(12)의 상부측을 안착부재(21) 방향으로 구부려야 하는 공정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제1 장식부(10)와 제2 장식부(30)를 수지계열로 만들면 고정돌기(12)가 구부러진 상태로 성형된다. 안착부재(21)를 오므린 상태에서 고정돌기(12)와 안착면(131) 사이로 삽입한 뒤 오므림을 해제하면 안착부재(21)는 펼쳐지면 안착면(131)과 고정돌기(12) 사이에서 고정된다. 따라서, 제1 장식부(10)와 제2 장식부(30)를 수지계열로 만들면 금속으로 만드는 것보다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조립공정이 횟수를 줄일 수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9 실시예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아일릿부재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아일릿부재 제조 공정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아일릿부재 제조방법은 스토퍼를 제1 장식부에 배치하는 단계(S10), 스토퍼를 고정하는 단계(S20) 및 휴대물품을 사이에 두고 제1 장식부와 제2 장식부를 배치하는 단계(S30) 및 제1 장식부와 제2 장식부를 결합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먼저, 제1 장식부(10) 및 제2 장식부(30)가 금속으로 만들어진 경우 고정돌기(12)는 구부러지지 않고 제1 바디(11)와 수직한 상태로 형성된다.
스토퍼(20)를 제1 장식부(10)의 배치홀(13)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안착부재(21)를 안착면(131)에 놓는다. 걸림부재(22)는 경사면(132)과 간격을 두고 마주한다. 걸림편(222)의 끝은 배치홀(13)의 수직면(133) 부분에 위치한다(S10).
고정돌기(12)의 상부측을 안착부재(21) 방향으로 구부려 고정돌기(12)의 일부분이 안착부재(21)에 접하도록 한다. 고정돌기(12)의 구부러진 부분은 안착부재(21)를 안착면(131) 방향으로 가압 고정하게 된다(S20).
제1 장식부(10)와 제2 장식부(30)를 휴대물품(2)을 사이에 두고 위치시킨다. 휴대물품(2)에는 삽입부재(32)과 통과하는 구멍(2a)이 형성되어 있다(S30).
제1 장식부(10)를 휴대물품(2) 표면에 위치시키고 배치홀(13)과 구멍(2a)을 일치시킨다. 삽입부재(32)를 구멍(2a)으로 통과시킨다. 삽입부재(32)는 걸림부재(22)를 경사면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며 걸림편(222)의 끝은 삽입부재(32)의 외부 둘레면에 접하게 된다. 계속 삽입되는 삽입부재(32)에 의해 걸림편(222)의 끝은 걸림홈(321)에 걸리게 된다. 삽입부재(32)은 더 이상 삽입되지 않는다. 삽입부재(32)는 스토퍼(20)에 걸려 고정된 상태가 된다(S40).
제1 바디(11)와 제2 바디(31)는 휴대물품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한 상태로 결합된다.
휴대물품 제조공장에서 작업자는 제1 장식부(10)를 휴대물품 일면에 배치하고 타면에서 별도의 장비 없이 제2 장식부(30)를 제1 장식부(10)에 결합하므로 아일릿부재(1)의 조립성이 간편해질 수 있다.
경사진 스토퍼(20)의 걸림부재(22)에 의해 삽입부재(32)은 인출되는 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한다. 이에 제2 장식부(30)는 제1 장식부(1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장식부(10)와 제2 장식부(30)의 결합상태는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제조방법과 대부분 갖다. 다만 제1 장식부(10)와 제2 장식부(30)가 수지계열로 만들어져 고정돌기(12)가 안착면(131)과 간격을 두고 마주한 경우 안착부재(21)가 끊어진 스토퍼(20)가 사용된다(도 10 참조).
안착부재(21)를 오므린 상태에서 고정돌기(12)와 안착면(131) 사이로 삽입한 뒤 오므림을 해제하면 안착부재(21)는 펼쳐지면 안착면(131)과 고정돌기(12) 사이에서 고정된다. 따라서, 제1 장식부(10)와 제2 장식부(30)를 수지계열로 만들면 금속으로 만드는 것보다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조립공정이 횟수를 줄일 수 있다. 이외 다른 구성은 도 11 의 제조방법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아일릿부재 10: 제1 장식부
11: 제1 바디 12: 고정돌기
13: 배치홀 131: 안착면
132: 경사면 133: 수직면
20: 스토퍼 21: 안착부재
22: 걸림부재 221: 돌출편
222: 걸림편 23: 관통홀
30: 제2 장식부 31: 제2 바디
32: 삽입부재 321: 걸림홈
33: 구멍

Claims (9)

  1. 제1 장식부,
    상기 제1 장식부에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어 있는 제2 장식부 및
    상기 제1 장식부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일부분이 통과하는 스토퍼
    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일부분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있고 상기 제2 장식부가 삽입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아일릿부재.
  2. 제1항에서,
    상기 제1 장식부는, 제2 장식부의 일부분이 위치하는 배치홀을 가지는 제1 바디, 그리고 상기 제1 바디 일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 스토퍼를 고정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배치홀의 둘레면은,
    상기 스토퍼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며 상기 제1 바디의 일면과 연결된 안착면,
    상기 제1 바디 타면과 연결된 수직면 및
    상기 안착면과 상기 수직면을 연결하고 상기 안착면에서 상기 수직면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면
    을 포함하는
    아일릿부재.
  3. 제2항에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안착면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안착부재, 그리고
    이웃한 상기 안착부재들을 연결하고 상기 일부분에 밀착된 복수의 걸림부재
    를 포함하는
    아일릿부재.
  4. 제3항에서,
    상기 제2 장식부는,
    상기 걸림부재 중앙을 통과하고 상기 배치홀에 위치한 삽입부재, 그리고
    상기 삽입부재와 연결되어 있는 제2 바디
    를 포함하는
    아일릿부재.
  5. 제4항에서,
    상기 삽입부재의 외부 둘레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걸림부재가 걸리는 적어도 하나의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아일릿부재.
  6. 제3항에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경사져 있고,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경사면과 떨어져 있는 아일릿부재.
  7. 제1항에서,
    상기 스토퍼의 적어도 일부분은 끊어져 있는 아일릿부재.
  8. 제1항에서,
    상기 제1 장식부 및 상기 제2 장식부는 플라스틱, 금속, 목재, 아크릴, ABS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FRP)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로 만들어질 수 있는 아일릿부재.
  9. 고정돌기를 포함하는 제1 장식부에 스토퍼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고정돌기를 구부려 상기 스토퍼를 상기 제1 장식부에 고정하는 단계,
    휴대물품을 사이에 두고 제1 장식부와 제2 장식부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장식부와 상기 제2 장식부를 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장식부의 삽입부재는 상기 휴대물품을 관통하여 상기 스토퍼를 통과하여 상기 제1 장식부의 배치홀에 위치하고, 상기 스토퍼의 걸림부재는 상기 삽입부재의 외부둘레면에 접하는
    아일릿부재 제조방법.
KR1020150090689A 2015-04-23 2015-06-25 아일릿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684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03643 WO2016171416A2 (ko) 2015-04-23 2016-04-07 아일릿부재 및 그 제조방법
PCT/KR2016/003644 WO2016171417A2 (ko) 2015-04-23 2016-04-07 아일릿부재 및 그 제조방법
US15/565,417 US10499708B2 (en) 2015-04-23 2016-04-07 Eyelet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57500 2015-04-23
KR1020150057500 2015-04-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828A true KR20160126828A (ko) 2016-11-02
KR101684606B1 KR101684606B1 (ko) 2016-12-08

Family

ID=57518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689A KR101684606B1 (ko) 2015-04-23 2015-06-25 아일릿부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499708B2 (ko)
KR (1) KR1016846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600080448A1 (it) * 2016-08-01 2018-02-01 S T E G I S R L Chiusura magnetica, particolarmente per borse, zaini e simili.
KR102053436B1 (ko) * 2018-07-05 2019-12-06 유충한 아일렛
USD891294S1 (en) * 2018-11-16 2020-07-28 Hyuck Sang Jo Eyelet
DK3659458T3 (da) * 2018-11-30 2023-02-06 Carmo Holding Aps Metaløj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690Y1 (ko) * 1984-10-26 1987-05-13 닛봉 노-숀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아일릿 조립체
KR870001691Y1 (ko) 1984-10-22 1987-05-13 닛봉 노-숀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파스너 부재를 옷에 부착시키는 캡 아일릿
KR880000214Y1 (ko) 1985-08-10 1988-03-10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스냅 파스너를 의류에 부착하기 위한 캡 아일릿
JP3138948U (ja) * 2007-11-09 2008-01-24 株式会社東京錠前製作所 仮施錠型留め具
KR20090007887U (ko) * 2008-02-29 2009-08-04 손민호 줄장착 악세사리 고정기구
JP2009207525A (ja) * 2008-02-29 2009-09-17 Ykk Corp 雄スナップ及び雌スナップ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82164A (en) * 1928-06-11 1930-11-18 Universal Button Fastening & B Securing means
US1831202A (en) * 1930-03-11 1931-11-10 Scovill Manufacturing Co Pearl cap snap fastener socket member
US2796650A (en) * 1953-05-18 1957-06-25 United Carr Fastener Corp Fastener ornament
US2799910A (en) * 1953-07-02 1957-07-23 Bonnie M Weber Snap fastener ornament cap assembly
US2986790A (en) * 1959-08-03 1961-06-06 Rau Fastener Company Snap fastener construction
US3088295A (en) * 1962-06-08 1963-05-07 Mervyn V T Haines Fastener adapter
US3979802A (en) * 1974-03-21 1976-09-14 Firma Schaeffer-Homberg Gmbh Snap fastener
DE2725902A1 (de) * 1977-06-08 1978-12-14 Schaeffer Homberg Gmbh Knopf
US4253226A (en) * 1979-07-25 1981-03-03 Tadashi Takeda Method for mounting up a plastic fastener
JPS58164512U (ja) * 1981-12-07 1983-11-01 日本ノ−シヨン工業株式会社 被服用スナツプ
JPS5986111U (ja) * 1982-12-01 1984-06-11 日本ノ−シヨン工業株式会社 スナツプ釦の雌体
US5308671A (en) * 1992-05-21 1994-05-03 Sanjam Originals, Inc. Decoration system
US5685174A (en) * 1995-06-21 1997-11-11 Balzer; Sherri Kay Decorative connector and method for affixing same
JPH1132815A (ja) * 1997-07-17 1999-02-09 Ykk Corp スナップボタンおよびその取付方法
KR200216831Y1 (ko) 2000-09-20 2001-03-15 권석웅 아일릿
JP4493210B2 (ja) * 2000-12-27 2010-06-30 ポップリベット・ファスナー株式会社 マット用固定具
US6742230B2 (en) * 2002-07-26 2004-06-01 Ching Fung Apparel Accessorie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snap stud
JP4095858B2 (ja) * 2002-08-01 2008-06-04 Ykk株式会社 ボタン
US6925692B2 (en) * 2003-09-08 2005-08-09 Shih Sheng Yang Easy-locking buckle structure
US7945992B2 (en) * 2007-12-17 2011-05-24 Illinois Tool Works Inc. Mat fastening system
US8720016B2 (en) * 2010-02-08 2014-05-13 Dominic Beaulieu Snap mounting clip system
KR101139106B1 (ko) 2012-01-12 2012-04-30 이성환 아일릿
WO2013110169A1 (en) * 2012-01-27 2013-08-01 O'leary Brennan John Interchangeable fabric accessory and method of use
ITMI20121953A1 (it) * 2012-11-16 2014-05-17 Fimma S P A A Socio Unico Bottone a pressione bivalente con chiusura a doppio scatto.
US9273707B2 (en) * 2014-01-07 2016-03-01 Seong Hwan Lee Female-male combination type ornament
US9517712B1 (en) * 2015-07-29 2016-12-13 Macneil Ip Llc Multi-vehicle retention gromme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691Y1 (ko) 1984-10-22 1987-05-13 닛봉 노-숀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파스너 부재를 옷에 부착시키는 캡 아일릿
KR870001690Y1 (ko) * 1984-10-26 1987-05-13 닛봉 노-숀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아일릿 조립체
KR880000214Y1 (ko) 1985-08-10 1988-03-10 요시다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스냅 파스너를 의류에 부착하기 위한 캡 아일릿
JP3138948U (ja) * 2007-11-09 2008-01-24 株式会社東京錠前製作所 仮施錠型留め具
KR20090007887U (ko) * 2008-02-29 2009-08-04 손민호 줄장착 악세사리 고정기구
JP2009207525A (ja) * 2008-02-29 2009-09-17 Ykk Corp 雄スナップ及び雌スナ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4606B1 (ko) 2016-12-08
US20180125167A1 (en) 2018-05-10
US10499708B2 (en) 2019-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4606B1 (ko) 아일릿부재 및 그 제조방법
JP6928817B2 (ja) プラグ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セット
WO2016188064A1 (zh) 一种滚筒洗衣机门体及滚筒洗衣机
US20090015994A1 (en) Case Structure for Card-Type Electronic Product
US20170354208A1 (en) Assembly type ornament device
CN111965966B (zh) 一种穿戴设备
JP5732489B2 (ja) ボタン開閉装置
JP4573199B2 (ja) ファスナーの引手装置
KR200483882Y1 (ko) 장신구용 체결구
KR100760848B1 (ko) 다이어리 조립구조
KR101426670B1 (ko) 판형 단위 블록 및 판형 단위 블록 세트
WO2016171416A2 (ko) 아일릿부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22546A (ko) 장식물 장착 구조
KR200398495Y1 (ko) 다이어리 조립구조
CN111887550A (zh) 穿戴设备
KR101992990B1 (ko) 엘이디 빛이 장식부재의 표면을 투과하여 표출되게 되는 원터치로 손목에 감기는 엘이디 시계
KR101062424B1 (ko) 간판용 프레임
KR200439229Y1 (ko) 단추 고리
US9741508B2 (en) Panel assembly and button tree therefor
CN205548029U (zh) 家具件功能元件和家具件
KR101616686B1 (ko) 장신구 고정용 기구
KR101602310B1 (ko) 장신구의 보석결착구조
KR200464955Y1 (ko) 펜던트 모듈
JP2005277734A (ja) 化粧板等の取付け構造
KR101210913B1 (ko) 자동차키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