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6266A -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6266A
KR20160126266A KR1020150057133A KR20150057133A KR20160126266A KR 20160126266 A KR20160126266 A KR 20160126266A KR 1020150057133 A KR1020150057133 A KR 1020150057133A KR 20150057133 A KR20150057133 A KR 20150057133A KR 20160126266 A KR20160126266 A KR 20160126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tore
terminal
beacon signal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7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종원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7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6266A/ko
Priority to US14/951,274 priority patent/US20160316315A1/en
Priority to EP15197136.3A priority patent/EP3086264A1/en
Priority to CN201510934093.XA priority patent/CN106067123A/zh
Publication of KR20160126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62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H04W4/04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7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movement velocity, accele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3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indoor environments, e.g. build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24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using a network of reference devices, e.g. beac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콘(Beacon) 신호의 세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매장 입장 또는 퇴장 정보를 판단하고, 이를 기초로 매장 내 고객 수, 잔여 좌석수 등의 매장 정보를 관리하거나, 입장 또는 퇴장하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비콘 장치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비콘 신호 수집 모듈,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비콘 신호 수집 모듈을 통해 수집되는 비콘 신호의 세기 변화를 분석하는 비콘 신호 분석 모듈 및 상기 비콘 신호의 세기 변화에 따라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비콘 장치가 위치한 매장 내 입장 또는 퇴장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된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처리하는 서비스 처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PROVIDING OF SERVICE USING BEC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콘(Beacon) 신호의 세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매장 입장 또는 퇴장 정보를 판단하고, 이를 기초로 매장 내 고객 수, 잔여 좌석수 등의 매장 정보를 관리하거나, 입장 또는 퇴장하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 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이동통신망의 발달과 단말기 사양의 발전에 따라 종래의 단순한 통신장치 또는 정보 제공 장치의 범주를 벗어나 이동통신단말기는 현대인의 필수 소지품이 되었고, 토탈 엔터테인먼트 기기로 진화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는 근거리에 위치한 장치들 간에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기술들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으며, 이러한 근거 무선통신 중 하나로 블루투스 통신이 있다.
이러한 블루투스 통신은 진화를 거듭하여 최근에는 블루투스 저 전력(BLE: Bluetooth Low Energy) 기술(블루투스 4.0)이 스마트폰, 소매 지오펜싱(geofencing), 모바일 결제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블루투스 저 전력 기술은 표준 블루투스 무선 연결보다 전력을 적게 소모하며, 최근 각광받는 기술이나, 아직까지 블루투스 저 전력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응용 서비스 제공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현재까지의 매장 관리 시스템은 POS 시스템과 외부 시스템을 연결한 후 POS 시스템의 테이블별 주문 현황을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응답을 수신함에 따라 현재 매장내 잔여 좌석수 등의 매장 관리가 가능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경우 매장의 POS 시스템과 외부 시스템 간의 연동이 사전에 반드시 필요하게 되며, POS 시스템을 변경하는 경우 외부 시스템 간의 연동 절차 또한 변경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실시간적으로 매장 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어 있다.
이에 블루투스 저 전력 기술을 이용하여 매장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진행하고, 아울러, 매장 안으로 입장하거나 퇴장하는 사용자에게 적절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104677호, 2012년 09월 24일 공개(명칭: 무선 에이피와 블루투스 비콘을 이용한 위치인증 서비스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특히 블루투스 저 전력 기술을 이용하여 매장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진행하기 위한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블루투스 저 전력 기술을 이용하여 비콘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비콘 신호의 세기 변화를 분석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매장 입장 또는 퇴장을 파악한 후, 파악된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적합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과 동시에 매장 내 잔여 좌석 수, 고객 수, 고객 성별 등 다양한 정보를 보다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비콘 장치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비콘 신호 수집 모듈;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비콘 신호 수집 모듈을 통해 수집되는 비콘 신호의 세기 변화를 분석하는 비콘 신호 분석 모듈; 및 상기 비콘 신호의 세기 변화에 따라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비콘 장치가 위치한 매장 내 입장 또는 퇴장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된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처리하는 서비스 처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이동 속도를 측정하는 이동 속도 측정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처리 모듈은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매장 내 입장 또는 퇴장하는 지 여부를 판단 시 상기 이동 속도 측정 모듈을 통해 이동 속도를 고려하여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처리 모듈의 판단된 결과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대응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 연동 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는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매장 내 입장 또는 퇴장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매장에 대한 기 저장된 매장 정보에 상기 입장 또는 퇴장 정보를 반영하여 매장 정보를 갱신하는 매장 정보 관리 모듈; 및 상기 입장 또는 퇴장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고객 정보 관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매장 정보는 비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된 매장 이름, 매장 위치, 매장 규모, 매장 총 좌석 수, 현재 매장 잔여 좌석 수, 매장 아이템, 매장 이벤트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객 정보 관리 모듈은 상기 입장 또는 퇴장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 추출 시 상기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고려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비콘 장치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수신되는 비콘 신호의 세기 변화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비콘 신호의 세기 변화에 따라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비콘 장치가 위치한 매장 내 입장 또는 퇴장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단말의 이동 속도를 고려하여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매장 내 입장 또는 퇴장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응하는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매장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매장 정보에서 상기 사용자의 입장 또는 퇴장 정보를 반영하여 갱신하거나, 상기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입장 또는 퇴장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의하면, 블루투스 저 전력 기술을 이용하여 비콘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비콘 신호의 세기 변화를 분석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매장 입장 또는 퇴장을 파악한 후 파악된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적합한 정보, 예컨대 매장 입장 사용자에게는 매장 이벤트 관련 정보를 제공하거나 매장 퇴장 사용자에게는 다음 번 방문 시 이용할 수 있는 할인 쿠폰을 제공하는 등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보다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비콘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매장 입장 또는 퇴장을 파악함으로써, 매장 내 잔여 좌석 수, 고객 수 등의 정보의 획득이 용이하게 매장 관리자는 매장 관리를 보다 쉽게 수행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현재 매장 내 고객 성별, 방문 횟수 등 보다 고차원의 고객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술한 효과 이외의 다양한 효과들이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의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의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위한 장치의 오퍼레이팅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구조를 가지거나 전달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의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PROM, CD-ROM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장치, 또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된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거나 전달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 및 특허 청구 범위에서, "네트워크"는 컴퓨터 시스템들 및/또는 모듈들 간의 전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링크로서 정의된다. 정보가 네트워크 또는 다른 (유선, 무선, 또는 유선 또는 무선의 조합인) 통신 접속을 통하여 컴퓨터 시스템에 전송되거나 제공될 때, 이 접속은 컴퓨터-판독가능매체로서 이해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면, 범용 컴퓨터 시스템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이 특정 기능 또는 기능의 그룹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 및 데이터를 포함한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는, 예를 들면, 어셈블리어, 또는 심지어는 소스코드와 같은 이진, 중간 포맷 명령어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 랩탑 컴퓨터, 핸드헬드 장치,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또는 프로그램 가능한 가전제품(programmable consumer electronics), 네트워크 PC,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모바일 전화, PDA, 페이저(pager)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컴퓨터 시스템 구성을 가지는 네트워크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데이터 링크, 무선 데이터 링크, 또는 유선 및 무선 데이터 링크의 조합으로 링크된 로컬 및 원격 컴퓨터 시스템 모두가 태스크를 수행하는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다.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로컬 및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단말(100) 및 서비스 제공 서버(200)와, 상기 단말(100)로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콘 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단말(100)과 서비스 제공 서버(200)간의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하는 통신망(5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단말(10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통신망(500)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의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단말(100)은 통신망(500)을 통해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서버(200)와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단말(100)은 정보의 송수신을 위한 브라우저,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은 블루투스 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 4.0 즉, 블루투스 저 전력(Bluetooth Low Energy, 이하, BLE라 칭함))이 가능한 단말기로서, BLE 통신을 통해 비콘 장치(300)로부터 송출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정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은 비콘 장치(300)로부터 송출되는 비콘 신호를 스캐닝하여 인식된 매장 내 위치한 비콘 장치(300)를 감지하고, 비콘 장치(300)로부터 송출되는 비콘 신호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세기 변화를 분석하여 이에 따라 단말(100)의 사용자가 비콘 장치(300)가 위치한 매장 내로 입장하거나 퇴장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단말(100)은 사용자의 움직임 정도를 감지하여 매장 입장 또는 퇴장 판단 시 움직임을 고려하여 판단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비콘 장치(300)는 실내, 예컨대 매장 내에 설치되며, 5cm ~ 49m까지의 일정 반경 내로 비콘 신호를 송출하고, 일정 반경 내 송출되는 비콘 신호가 존재하는 지 지속적으로 스캐닝하고 있는 단말(100)은 이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단말(100)은 송출되는 비콘 신호에서 비콘 식별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비콘 신호의 세기에 따라 비콘 장치(300)와의 거리 정도를 추출하거나, 비콘 신호의 세기를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달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거리 정도를 확인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단말(100)은 통신망(500)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입장 또는 퇴장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대응하는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판단 결과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특정 정보가 수신되면, 모바일 월렛 어플리케이션 등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하거나,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등의 지정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매장 내 입장한 경우, 단말(100)은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매장 내 이용할 수 있는 각종 쿠폰, 현재 이벤트 정보, 매장 관련 부가 정보(예컨대, 와이파이 비밀번호 등) 등을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매장에서 퇴장한 경우, 단말(100)은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매장 체류 시간, 매장 이용 현황, 다음 방문 시 이용할 수 있는 각종 쿠폰, 이벤트 정보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단말(100)에서의 동작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10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Player 등의 이동 단말기는 물론, 스마트 TV(Smart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단말(100)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휴대 기기의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유닛들과 동등한 수준의 유닛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100)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통신망(500)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200)와 정보를 송수신하며, 비콘 장치(300)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라면, 그 어떠한 장치도 본 발명의 단말(100)로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단말(100)로부터 매장 입장 또는 퇴장 정보가 수신되면, 이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100)의 사용자가 매장 내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매장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각종 이벤트, 할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0)의 사용자가 매장에서 퇴장한 것으로 판단되면, 다음 번 방문 시 이용할 수 있는 쿠폰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단말(100)의 사용자가 매장 입구에서 일정 시간 동안 체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의 매장 진입을 유도하는 이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통신망(500)을 통해 단말(100)과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며, 단말(100)로 모바일 월렛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비콘 장치(300)를 관리하는 매장 관리자의 단말기로 매장 정보, 고객 정보 등의 각종 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콘 장치(300)는 매장 내 위치하고, 하나 이상의 단말(100)로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비콘 장치(300)는 단말(100)로 비콘 식별 정보(Uniq ID)를 포함하는 비콘 신호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단말(100) 및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하며,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장치에 탑재되는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 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프로세서는 메모리 혹은 저장 장치 상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비콘 장치(300) 및 단말(100)은 저 전력 블루투스 통신 방식에 따라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특정 시그널을 송출할 수 있는 통신 방식이라면 그 어떠한 통신 방식도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단말(100) 및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통신망(500)을 통해 연동되며, 이러한 통신망(500)은 인터넷망, 인트라넷망,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망을 말한다. 또한, 통신망(500)은 서비스 제공 서버(200)와 결합되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의 컴퓨팅 자원을 저장한다. 이러한, 통신망(500)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통신망(500)은 예컨대, 다수의 접속망(미도시) 및 코어망(미도시)을 포함하며, 외부망, 예컨대 인터넷망(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접속망(미도시)은 단말(100)과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접속망으로서, 예를 들어, BS(Base Station), BTS(Base Transceiver Station), NodeB, eNodeB 등과 같은 다수의 기지국과, BSC(Base Station Controller), RNC(Radio Network Controller)와 같은 기지국 제어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에 일체로 구현되어 있던 디지털 신호 처리부와 무선 신호 처리부를 각각 디지털 유니트(Digital Unit, 이하 DU라 함과 무선 유니트(Radio Unit, 이하 RU라 함)으로 구분하여, 다수의 영역에 각각 다수의 RU(미도시)를 설치하고, 다수의 RU(미도시)를 집중화된 DU(미도시)와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접속망(미도시)과 함께 모바일 망을 구성하는 코어망(미도시)은 접속망(미도시)과 외부 망, 예컨대, 인터넷망(미도시)을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코어망(미도시)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속망(미도시) 간의 이동성 제어 및 스위칭 등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주요 기능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으로서, 서킷 교환(circuit switching) 또는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을 수행하며, 모바일 망 내에서의 패킷 흐름을 관리 및 제어한다. 또한, 코어망(미도시)은 주파수간 이동성을 관리하고, 접속망(미도시) 및 코어망(미도시) 내의 트래픽 및 다른 네트워크, 예컨대 인터넷망(미도시)과의 연동을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코어망(미도시)은 SGW(Serving GateWay), PGW(PDN GateWay), MSC(Mobile Switching Center), HLR(Home Location Register), MME(Mobile Mobility Entity)와 HSS(Home Subscriber Server)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인터넷망(미도시)은 TCP/IP 프로토콜에 따라서 정보가 교환되는 통상의 공개된 통신망, 즉 공용망을 의미하는 것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200)와 연결되며,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코어망(미도시) 및 접속망(미도시)을 거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단말(100)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접속망(미도시) 및 코어망(미도시)을 거쳐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은 비콘 신호 수집 모듈(110), 비콘 신호 분석 모듈(120), 서비스 처리 모듈(130), 이동 속도 측정 모듈(140) 및 서버 연동 모듈(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모듈’은 각각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로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듈’은 프로그램 모듈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해 실행되어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또한,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단말(100)의 동작에 대해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비콘 신호 수집 모듈(110)은 일정 반경 내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콘 장치(300)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송출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단말(100)은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송출되는 비콘 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비콘 신호 분석 모듈(120)은 상기 비콘 신호 수집 모듈(110)을 통해 일정 기간 동안 수집되는 비콘 신호를 분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비콘 신호 분석 모듈(120)은 비콘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RSSI: Recie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분석할 수 있다.
서비스 처리 모듈(130)은 비콘 신호의 세기 변화에 따라 단말(100)의 사용자가 비콘 장치(300)가 위치한 매장 내 입장 또는 퇴장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예를 들어 10초 동안 비콘 신호를 최초 수신한 이후 비콘 신호의 세기가 점점 커지는 경우, 서비스 처리 모듈(130)은 사용자가 매장 내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비콘 신호의 세기가 점점 작아지는 경우, 서비스 처리 모듈(130)은 사용자가 매장 밖으로 퇴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사용자의 매장 내 입장 또는 퇴장 여부가 판단되면, 서비스 처리 모듈(130)은 판단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처리하게 된다. 예컨대, 서비스 처리 모듈(130)은 판단 결과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특정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모바일 월렛 어플리케이션 등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하거나,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등의 지정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매장 내 입장한 경우, 서비스 처리 모듈(130)은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매장 내 이용할 수 있는 각종 쿠폰, 현재 이벤트 정보, 매장 관련 부가 정보(예컨대, 와이파이 비밀번호 등) 등을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매장에서 퇴장한 경우, 서비스 처리 모듈(130)은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매장 체류 시간, 매장 이용 현황, 다음 방문 시 이용할 수 있는 각종 쿠폰, 이벤트 정보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서비스 처리 모듈(130)은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의 출력 정보에 따라 SMS 메시지 형태로 상기 정보를 수신하거나, 모바일 월렛 어플리케이션 등 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해당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각종 정보를 출력하고 알림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동 속도 측정 모듈(140)은 가속도 센서를 비롯한 이동 속도 측정이 가능한 센서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이동 속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서비스 처리 모듈(130)은 상기 이동 속도 측정 모듈(140)을 통해 측정된 이동 속도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매장 내 입장 또는 퇴장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컨대, 비콘 신호의 세기가 점점 커지다가 다시 점점 작아지다가 일정 시간 동안 이동 속도가 변화가 없을 경우, 서비스 처리 모듈(130)은 단말(100)의 사용자가 매장 내 진입하여 테이블에 착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서버 연동 모듈(150)은 상기 서비스 처리 모듈(130)의 판단된 결과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달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대응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이 비콘 신호 수집 모듈(110), 비콘 신호 분석 모듈(120), 서비스 처리 모듈(130), 이동 속도 측정 모듈(140) 및 서버 연동 모듈(150)만을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정된 방식에 따라 상기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의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하는 흐름도를 통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단말 인터페이스 모듈(210), 매장 정보 관리 모듈(220), 고객 정보 관리 모듈(230) 및 서비스 제공 모듈(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모듈’은 각각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로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듈’은 프로그램 모듈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는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해 실행되어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또한,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 중, 단말 인터페이스 모듈(210)은 단말(100)과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컨대, 단말(100)로부터 사용자의 매장 내 입장 정보 또는 퇴장 정보가 수신되면, 이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단말(100)로 제공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매장 정보 관리 모듈(220)은 비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미리 매장 이름, 매장 위치, 매장 규모, 매장 총 좌석 수, 현재 매장 잔여 좌석 수, 매장 아이템 등의 각종 매장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모듈이다. 특히, 매장 정보 관리 모듈(220)은 단말(100)로부터 수신되는 매장 입장 또는 퇴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매장 정보를 지속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정보가 매장 퇴장 정보일 경우, 매장 정보 관리 모듈(220)은 현재 매장 잔여 좌석 수가 1 증가하도록 매장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고객 정보 관리 모듈(230)은 단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매장 방문 횟수, 매장 구매 아이템 등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별도의 가입자 서버와 연동이 가능한 경우, 단말(100) 가입자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 정보를 지속적으로 관리하게 된다.
서비스 제공 모듈(240)은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따라 적합한 서비스를 단말(100)로 제공하는 것으로, 예컨대, 단말(100)로부터 전달된 정보가 매장 입장 정보일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매장 내 이용할 수 있는 각종 쿠폰, 현재 이벤트 정보, 매장 관련 부가 정보(예컨대, 와이파이 비밀번호 등) 등을 포함하는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반면, 단말(100)로부터 전달된 정보가 매장 퇴장 정보일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단말(100)의 매장 체류 시간, 매장 이용 현황 등의 정보를 생성하고 다음 방문 시 이용할 수 있는 각종 쿠폰, 이벤트 정보 등을 추출한 후 상기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구체적인 동작은 후술하는 흐름도를 통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4를 참고하여 단말(100) 중심의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의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이동에 따라 일정 반경 내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콘 장치(300)로부터 송출되는 비콘 신호가 수신되면(S101), 비콘 신호가 수신된 시점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되는 비콘 신호를 저장하고, 비콘 신호의 세기 변화를 분석한다(S103). 예컨대 단말(100)은 10초 동안의 비콘 신호의 세기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100)은 분석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매장 내 입장 또는 퇴장을 판단하게 된다(S105). 예를 들어 10초 동안 비콘 신호를 최초 수신한 이후 비콘 신호의 세기가 점점 커지는 경우, 단말(100)은 사용자가 매장 내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비콘 신호의 세기가 점점 작아지는 경우, 단말(100)은 사용자가 매장 밖으로 퇴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사용자의 매장 내 입장 또는 퇴장 여부가 판단되면, 단말(100)은 판단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처리하게 된다(S107). 예컨대, 단말(100)은 판단 결과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특정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모바일 월렛 어플리케이션 등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하거나,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등의 지정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매장 내 입장한 경우, 단말(100)은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매장 내 이용할 수 있는 각종 쿠폰, 현재 이벤트 정보, 매장 관련 부가 정보(예컨대, 와이파이 비밀번호 등) 등을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매장에서 퇴장한 경우, 단말(100)은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매장 체류 시간, 매장 이용 현황, 다음 방문 시 이용할 수 있는 각종 쿠폰, 이벤트 정보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단말(100)은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의 출력 정보에 따라 SMS 메시지 형태로 상기 정보를 수신하거나, 모바일 월렛 어플리케이션 등 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해당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각종 정보를 출력하고 알림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200) 중심의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의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단말(100)로부터 매장 입장 또는 퇴장 정보를 수신한다(S201). 여기서, 매장 입장 또는 퇴장 정보는 단말(100)이 인근의 비콘 장치(300)로부터 송출되는 비콘 신호의 세기 변화에 따라 판단되는 정보로, 이때의 매장 입장 정보 또는 퇴장 정보는 비콘 식별 정보, 단말 식별 정보, 실질적인 데이터 등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수신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상기 매장 입장 또는 퇴장 정보에 포함된 비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기 저장된 매장 정보를 확인한다(S201). 즉,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비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미리 매장 이름, 매장 위치, 매장 규모, 매장 총 좌석 수, 현재 매장 잔여 좌석 수, 매장 아이템 등의 각종 매장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상태에서, 단말(100)로부터 전달된 정보의 비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기 저장된 매장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상기 단말(100)로부터 전달된 입장 또는 퇴장 정보를 반영하여 매장 정보를 갱신하게 된다(S205). 예를 들어, 단말(100)로부터 전달된 정보가 입장 정보일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기 저장된 매장 잔여 좌석 수에 반영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나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입장 또는 퇴장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추출한다(S207). 예컨대, 단말(100)로부터 전달된 정보가 매장 입장 정보일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매장 내 이용할 수 있는 각종 쿠폰, 현재 이벤트 정보, 매장 관련 부가 정보(예컨대, 와이파이 비밀번호 등) 등을 포함하는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고(S207), 이를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S209). 반면, 단말(100)로부터 전달된 정보가 매장 퇴장 정보일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단말(100)의 매장 체류 시간, 매장 이용 현황 등의 정보를 생성하고 다음 방문 시 이용할 수 있는 각종 쿠폰, 이벤트 정보 등을 추출한 후 상기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100) 및 서비스 제공 서버(200) 연동을 통한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비콘 장치(300)는 일정 반경으로 비콘 신호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한다(S301). 단말(100)은 이동에 따라 일정 반경 내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콘 장치(300)로부터 송출되는 비콘 신호가 수신되면(S303), 비콘 신호가 수신된 시점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되는 비콘 신호를 저장하고, 비콘 신호의 세기 변화를 분석한다(S305). 예컨대 단말(100)은 10초 동안의 비콘 신호의 세기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100)은 분석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매장 내 입장 또는 퇴장을 판단하게 된다(S307). 예를 들어 10초 동안 비콘 신호를 최초 수신한 이후 비콘 신호의 세기가 점점 커지는 경우, 단말(100)은 사용자가 매장 내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비콘 신호의 세기가 점점 작아지는 경우, 단말(100)은 사용자가 매장 밖으로 퇴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사용자의 매장 내 입장 또는 퇴장 여부가 판단되면, 단말(100)은 입장 또는 퇴장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매장 입장 정보 또는 퇴장 정보는 비콘 식별 정보, 단말 식별 정보, 실질적인 데이터 등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상기 입장 또는 퇴장 정보에 포함된 비콘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비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된 매장 정보를 확인한다(S311).
즉,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비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미리 매장 이름, 매장 위치, 매장 규모, 매장 총 좌석 수, 현재 매장 잔여 좌석 수, 매장 아이템 등의 각종 매장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상태에서, 단말(100)로부터 전달된 정보의 비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기 저장된 매장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상기 매장 정보의 현재 매장 잔여 좌석 수 정보에 상기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입장 또는 퇴장 정보를 반영하여 매장 정보를 갱신하게 된다(S313). 예를 들어, 단말(100)로부터 전달된 정보가 입장 정보일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기 저장된 매장 잔여 좌석 수에 반영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나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입장 또는 퇴장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추출한다(S315). 예컨대, 단말(100)로부터 전달된 정보가 매장 입장 정보일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매장 내 이용할 수 있는 각종 쿠폰, 현재 이벤트 정보, 매장 관련 부가 정보(예컨대, 와이파이 비밀번호 등) 등을 포함하는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고(S315), 이를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S317). 반면, 단말(100)로부터 전달된 정보가 매장 퇴장 정보일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단말(100)의 매장 체류 시간, 매장 이용 현황 등의 정보를 생성하고 다음 방문 시 이용할 수 있는 각종 쿠폰, 이벤트 정보 등을 추출한 후 상기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S317). 아울러,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서비스 정보 추출 시 단말(100)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 정보를 고려한 서비스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이를 수신한 단말(100)은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처리하게 된다(S319). 예컨대, 단말(100)은 판단 결과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특정 서비스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모바일 월렛 어플리케이션 등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하거나,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등의 지정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매장 내 입장한 경우, 단말(100)은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매장 내 이용할 수 있는 각종 쿠폰, 현재 이벤트 정보, 매장 관련 부가 정보(예컨대, 와이파이 비밀번호 등) 등을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매장에서 퇴장한 경우, 단말(100)은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매장 체류 시간, 매장 이용 현황, 다음 방문 시 이용할 수 있는 각종 쿠폰, 이벤트 정보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단말(100)은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전달되는 정보의 출력 정보에 따라 SMS 메시지 형태로 상기 정보를 수신하거나, 모바일 월렛 어플리케이션 등 연동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어 해당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각종 정보를 출력하고 알림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0)은 서비스 정보에 따라 특정 이벤트 동작, 예컨대 버튼 입력, 브라우저 실행 등 서비스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단말(100)이 사용자가 매장 내 입장하였는지 퇴장하였는지 여부를 비콘 신호의 세기 변화를 기초로 판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100)은 스캐닝된 비콘 신호를 지속적으로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달하고,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단말(100) 사용자의 매장 입장 또는 매장 퇴장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비콘 장치(300)는 일정 반경으로 비콘 신호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한다(S401). 단말(100)은 이동에 따라 일정 반경 내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콘 장치(300)로부터 송출되는 비콘 신호가 수신되면(S403), 비콘 신호가 수신된 시점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신되는 비콘 신호를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송한다(S405). 이를 수신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비콘 신호의 세기 변화를 분석한다(S407). 예컨대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10초 동안의 비콘 신호의 세기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분석 결과에 따라 단말(100) 사용자의 매장 내 입장 또는 퇴장을 판단하게 된다(S409). 예를 들어 10초 동안 비콘 신호를 최초 수신한 이후 비콘 신호의 세기가 점점 커지는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가 매장 내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비콘 신호의 세기가 점점 작아지는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가 매장 밖으로 퇴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단말(100)로부터 전달되는 비콘 신호는 비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상기 비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기 저장된 매장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S411).
즉,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비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미리 매장 이름, 매장 위치, 매장 규모, 매장 총 좌석 수, 현재 매장 잔여 좌석 수, 매장 아이템 등의 각종 매장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상태에서, 단말(100)로부터 전달된 정보의 비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기 저장된 매장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상기 매장 정보의 현재 매장 잔여 좌석 수 정보에 상기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입장 또는 퇴장 정보를 반영하여 매장 정보를 갱신하게 된다(S413). 예를 들어, 단말(100)로부터 전달된 정보가 입장 정보일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기 저장된 매장 잔여 좌석 수에 반영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나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입장 또는 퇴장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추출한다(S415). 예컨대, 단말(100)로부터 전달된 정보가 매장 입장 정보일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매장 내 이용할 수 있는 각종 쿠폰, 현재 이벤트 정보, 매장 관련 부가 정보(예컨대, 와이파이 비밀번호 등) 등을 포함하는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고(S415), 이를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S417). 반면, 단말(100)로부터 전달된 정보가 매장 퇴장 정보일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단말(100)의 매장 체류 시간, 매장 이용 현황 등의 정보를 생성하고 다음 방문 시 이용할 수 있는 각종 쿠폰, 이벤트 정보 등을 추출한 후 상기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S417). 아울러,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서비스 정보 추출 시 단말(100)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 정보를 고려한 서비스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
이를 수신한 단말(100)은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처리하게 된다(S419). 예컨대, 단말(100)은 판단 결과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특정 서비스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모바일 월렛 어플리케이션 등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하거나,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등의 지정된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매장 내 입장한 경우, 단말(100)은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매장 내 이용할 수 있는 각종 쿠폰, 현재 이벤트 정보, 매장 관련 부가 정보(예컨대, 와이파이 비밀번호 등) 등을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매장에서 퇴장한 경우, 단말(100)은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매장 체류 시간, 매장 이용 현황, 다음 방문 시 이용할 수 있는 각종 쿠폰, 이벤트 정보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단말(100) 사용자의 매장 입장 또는 퇴장 여부만을 판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단말(100)의 이동 속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이동 속도에 따라 보다 정확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단말(100) 또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비콘 신호의 세기 변화 분석 시 특정 신호 세기에서 일정 시간 동안 이동 속도의 변화가 있는 지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S501 ~ 503).
예를 들어, 단말(100)의 사용자가 매장에 가까이 인접한 상태라고 가정할 경우, 비콘 신호의 세기는 점점 커지게 될 것이다. 그러나, 점점 커진 후 특정 비콘 신호의 세기에서 움직임 없이 일정 시간 동안 정지한 경우, 단말(100)의 사용자가 매장 내 진입을 고민하고 있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단말(100)로 매장 진입을 유도하는 서비스 정보 제공, 예컨대 할인 쿠폰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S505). 또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잔여 좌석 수를 확인하여 단말(100)로 "현재 이용 가능한 좌석이 있습니다"라는 안내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도 9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단말(100)이 매장 밖인 A 지점에서 매장 안인 C 지점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매장 내 위치하는 비콘은 자신과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비콘 신호 세기가 커지게 되며, 멀어질수록 작아지게 된다. 단말(100)은 비콘 장치와 어느 정도가 거리가 있는 A 상태에 있을 때는 비콘 신호 세기가 약한 상태이나 매장과 가까워질수록 비콘 신호 세기가 커지게 되는 데, 만일 매장 입구 근처 예컨대 B 지점에서 이동 속도가 없거나 약할 경우, 단말(100)은 사용자가 현재 매장 입구에서 머뭇거리는 상황인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 대해 단말(100)은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안내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잔여 좌석 여부, 오늘의 메뉴 정보 등 부가 서비스 정보를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더하여 단말(100) 사용자의 매장 진입을 유도하는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단말(100)이 B 지점에서 C 지점까지 이동하여 착석한 경우, 단말(100)은 비콘 신호의 세기가 큰 상태에서 움직임이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단말(100)의 사용자가 테이블에 착석한 상태로 인지하고,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이에 따른 정보, 예컨대 메뉴 정보 등을 단말(100)로 제공할 수도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은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비콘 장치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수신되는 비콘 신호의 세기 변화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비콘 신호의 세기 변화에 따라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비콘 장치가 위치한 매장 내 입장 또는 퇴장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 등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서 읽히어 설치되고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각 단계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명령어로 구현되어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팅 시스템"은 전자 데이터 상의 동작의 수행과 함께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모듈, 또는 그 조합으로서 정의된다. 예를 들면, 컴퓨터 시스템의 정의는 퍼스널 컴퓨터의 오퍼레이팅 시스템과 같은 소프트웨어 모듈 및 퍼스널 컴퓨터의 하드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모듈의 물리적인 레이아웃(layout)은 중요하지 않다. 컴퓨터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컴퓨팅 시스템은 메모리 및 프로세서와 같은 내부 모듈이 전자 데이터 상의 동작의 수행과 함께 동작하는 하나의 물리적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위한 장치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기반으로 상술한 실시 예들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위한 장치의 오퍼레이팅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는 적절한 컴퓨팅 환경의 간단하고, 일반적인 설명을 제공하고자 한다. 요구사항은 아니지만,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와 관련하여 기술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은 특정 태스크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구현하는 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한다.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관련 데이터 구조, 및 프로그램 모듈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행위를 실행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의 예를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을 구현하는 예시적인 컴퓨팅 시스템은 프로세싱 유닛(11), 시스템 메모리(12), 및 상기 시스템 메모리(12)를 포함하는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를 상기 프로세싱 유닛(11)에 연결시키는 시스템 버스(10)를 포함하는 형태로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유닛(11)은 본 발명의 특징을 구현하도록 설계된 컴퓨터-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시킬 수 있다.
시스템 버스(10)는 다양한 버스 아키텍처 중의 임의의 것을 사용하는 로컬 버스, 주변 버스, 및 메모리 버스 또는 메모리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몇 가지 유형의 버스 구조 중의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12)는 ROM(Read Only Memory)(12a) 및 RAM(Random Access Memory)(12b)을 포함한다. 시동중과 같은 때에 컴퓨팅 시스템 내의 구성요소들 간에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돕는 기본 루틴을 포함하는 기본 입출력 시스템(BIOS)(13a)은 일반적으로 ROM(12a)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팅 시스템은 저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하드 하드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그 하드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5), 자기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그 자기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는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16), 및 예를 들면, CD-ROM 또는 기타 광 매체 등의 광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그 광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17)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15),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16),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17)는 각각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18), 자기 디스크 드라이브-인터페이스(19), 및 광 드라이브 인터페이스(20)에 의해 시스템 버스(10)에 접속된다.
또한, 컴퓨팅 시스템은, 저장 수단으로서 외장 메모리(2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장 메모리(21)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4)를 통해서 시스템 버스(10)에 접속될 수 있다.
상술한 드라이브 및 그 드라이브에 의해 판독 및 기록되는 관련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데이터의 비휘발성 저장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예시적인 환경은 하드 디스크(15), 자기 디스크(16) 및 광 디스크(17)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외에 자기 카세트, 플래쉬 메모리 카드, DVD, 베루누이 카트리지(Bernoulli cartridge), RAM, ROM,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다른 유형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싱 유닛(11)에 의해 로딩되어 실행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13b),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3c), 기타 프로그램 모듈(13d), 및 프로그램 데이터(13c)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코드 수단은 하드 디스크(15), 자기 디스크(16), 광 디스크(17), ROM(12a) 또는 RAM(12b)에 저장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컴퓨팅 시스템은, 키보드, 포인팅 장치, 마이크로폰, 조이 스틱, 게임 패드, 스캐너, 등과 같은 기타 입력 장치(22)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명령 및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들 입력 장치(22)는 시스템 버스(10)에 연결된 입출력 인터페이스(24)를 통해 프로세싱 유닛(11)에 접속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는 예를 들면, 직렬 포트 인터페이스, PS/2 인터페이스, 병렬 포트 인터페이스, USB 인터페이스,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394 인터페이스(즉, 파이어와이어(FireWire) 인터페이스)와 같은 매우 다양한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 중 임의의 것을 논리적으로 나타내거나, 다른 인터페이스의 조합까지도 논리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컴퓨팅 시스템은, 모니터 혹은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26) 또는 스피커나 마이크로폰과 같은 오디오 장치(27)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비디오/오디오 인터페이스(25)를 통해서 시스템 버스(10)에 접속된다. 예를 들면, 스피커 및 프린터 등의 (도시되지 않은) 기타 주변 출력 장치가 컴퓨터 시스템(420)에 또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비디오/오디오 인터페이스부(25)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GDI(Graphics Device Interfac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은, 예를 들면, 사무실-광역 또는 기업-광역 컴퓨터 네트워크, 홈 네트워크, 인트라넷, 및/또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하다. 컴퓨터 시스템은 이러한 네트워크를 통해, 예를 들면, 원격 컴퓨터 시스템, 원격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원격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외부 소스들과의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컴퓨팅 시스템은 외부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거나 외부 소스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러한 컴퓨팅 시스템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를 통해서 원격지에 위치한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컴퓨팅 시스템이 단말(100)을 의미하는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를 통해 메신저 서비스 장치(20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반면, 컴퓨팅 시스템이 메신저 서비스 장치(200)를 의미하는 경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를 통해 단말(100)과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7)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및 대응하는 네트워크 드라이버 인터페이스 사양(Network Driver Interface Specification: "NDIS") 스택과 같은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모듈의 논리적 조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컴퓨터 시스템은 입출력 인터페이스(24)를 통해 외부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외부 소스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4)는 모뎀(23)(예를 들면, 표준 모뎀, 케이블 모뎀, 또는 디지털 가입자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모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뎀(23)을 통해 외부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거나 외부 소스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적절한 오퍼레이팅 환경을 나타내지만, 본 발명의 원리는, 필요하다면 적절한 수정으로,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할 수 있는 임의의 시스템에 채용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환경은 단지 예시적이며 본 발명의 원리가 구현될 수 있는 매우 다양한 환경의 작은 일부도 나타내지 못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메신저 프로그램 및 메신저 프로그램 실행 시 발생되는 다양한 정보는 도 10과 같은 컴퓨팅 시스템에 관련된 임의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되고 액세스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의 일부 및 관련 프로그램 데이터의 일부는, 시스템 메모리(12)에 저장하기 위해, 오퍼레이팅 시스템(13b),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3c), 프로그램 모듈(13d),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13e)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하드 디스크와 같은 대용량(mass) 저장 장치가 컴퓨팅 시스템에 연결되면,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 및 관련 프로그램 데이터는 대용량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네트워크 환경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프로그램 모듈 또는 그 일부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4)의 모뎀(23)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5)를 통해 연결된 원격 컴퓨터 시스템, 예를 들어, 단말(100) 및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컴퓨팅 시스템에 관련된 시스템 메모리 및/또는 대용량 저장 장치와 같은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의 실행은 전술한 바와 같이 분산형 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특정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다. 기타의 실시형태들은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한다. 예컨대, 청구항에서 인용된 동작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면서도 여전히 바람직한 결과를 성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첨부도면에 도시한 프로세스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반드시 그 특정한 도시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를 요구하지 않는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본 발명은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콘(Beacon) 신호의 세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매장 입장 또는 퇴장 정보를 판단하고, 이를 기초로 매장 내 고객 수, 잔여 좌석수 등의 매장 정보를 관리하거나, 입장 또는 퇴장하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블루투스 저 전력 기술을 이용하여 비콘 장치로부터 송출되는 비콘 신호의 세기 변화를 분석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매장 입장 또는 퇴장을 파악한 후 파악된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적합한 정보, 예컨대 매장 입장 사용자에게는 매장 이벤트 관련 정보를 제공하거나 매장 퇴장 사용자에게는 다음 번 방문 시 이용할 수 있는 할인 쿠폰을 제공하는 등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보다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곧 서비스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으며, 더불어, 본 발명은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단말 110: 비콘 신호 수집 모듈
120: 비콘 신호 분석 모듈 130: 서비스 처리 모듈
140: 이동 속도 측정 모듈 150: 서버 연동 모듈
200: 서비스 제공 서버 210: 단말 인터페이스 모듈
220: 매장 정보 관리 모듈 230: 고객 정보 관리 모듈
240: 서비스 제공 모듈 300: 비콘 장치
500: 통신망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비콘 장치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비콘 신호 수집 모듈;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비콘 신호 수집 모듈을 통해 수집되는 비콘 신호의 세기 변화를 분석하는 비콘 신호 분석 모듈; 및
    상기 비콘 신호의 세기 변화에 따라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비콘 장치가 위치한 매장 내 입장 또는 퇴장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된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처리하는 서비스 처리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이동 속도를 측정하는 이동 속도 측정 모듈;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처리 모듈은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매장 내 입장 또는 퇴장하는 지 여부를 판단 시 상기 이동 속도 측정 모듈을 통해 이동 속도를 고려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처리 모듈의 판단된 결과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대응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 연동 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4. 어느 하나의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매장 내 입장 또는 퇴장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매장에 대한 기 저장된 매장 정보에 상기 입장 또는 퇴장 정보를 반영하여 매장 정보를 갱신하는 매장 정보 관리 모듈;
    상기 입장 또는 퇴장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단말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고객 정보 관리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 정보는
    비콘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된 매장 이름, 매장 위치, 매장 규모, 매장 총 좌석 수, 현재 매장 잔여 좌석 수, 매장 아이템, 매장 이벤트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정보 관리 모듈은
    상기 입장 또는 퇴장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 추출 시 상기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고려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7.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비콘 장치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수신되는 비콘 신호의 세기 변화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비콘 신호의 세기 변화에 따라 단말의 사용자가 상기 비콘 장치가 위치한 매장 내 입장 또는 퇴장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단말의 이동 속도를 고려하여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매장 내 입장 또는 퇴장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하는 정보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는 매장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매장 정보에서 상기 사용자의 입장 또는 퇴장 정보를 반영하여 갱신하거나, 상기 단말의 사용자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입장 또는 퇴장 정보에 대응하는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50057133A 2015-04-23 2015-04-23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12626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133A KR20160126266A (ko) 2015-04-23 2015-04-23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4/951,274 US20160316315A1 (en) 2015-04-23 2015-11-24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using beacon signal
EP15197136.3A EP3086264A1 (en) 2015-04-23 2015-11-30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using beacon signal
CN201510934093.XA CN106067123A (zh) 2015-04-23 2015-12-15 利用信标信号提供服务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133A KR20160126266A (ko) 2015-04-23 2015-04-23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266A true KR20160126266A (ko) 2016-11-02

Family

ID=54843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7133A KR20160126266A (ko) 2015-04-23 2015-04-23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60316315A1 (ko)
EP (1) EP3086264A1 (ko)
KR (1) KR20160126266A (ko)
CN (1) CN10606712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4562A (ko) * 2019-02-27 2020-09-04 주식회사 뉴턴 비콘 기반의 고객 자동 인식 기능을 갖는 대화형 키오스크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고객 맞춤형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17007100T5 (de) 2017-03-20 2019-12-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ädiktive Fahrzeugerfassung
JP7008203B1 (ja) * 2020-06-11 2022-01-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制御方法、通信端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11901755A (zh) * 2020-07-09 2020-11-06 广州启盟信息科技有限公司 用于实现物业定位的手机感应装置、感应方法及其系统
CN113704602A (zh) * 2021-07-29 2021-11-26 北京三快在线科技有限公司 到店推荐方法、服务器、装置、系统、电子设备及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4677A (ko) 2011-03-14 2012-09-24 홍충식 무선 에이피와 블루투스 비콘을 이용한 위치인증 서비스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106681D0 (en) * 2001-03-19 2001-05-09 Philips Electronics Uk Ltd Arrangement comprising beacon device and portable device
US7312752B2 (en) * 2003-10-22 2007-12-25 Awarepoint Corporation Wireless position location and tracking system
KR20110088111A (ko) * 2010-01-28 2011-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위치 기반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140128171A (ko) * 2013-04-26 2014-11-05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위치 안내를 수행하는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4677A (ko) 2011-03-14 2012-09-24 홍충식 무선 에이피와 블루투스 비콘을 이용한 위치인증 서비스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4562A (ko) * 2019-02-27 2020-09-04 주식회사 뉴턴 비콘 기반의 고객 자동 인식 기능을 갖는 대화형 키오스크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고객 맞춤형 서비스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16315A1 (en) 2016-10-27
CN106067123A (zh) 2016-11-02
EP3086264A1 (en) 2016-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53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control of beacon signal
KR20160126266A (ko) 비콘 신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60146014A (ko) 일행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50092933A (ko) 선택 가능한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220136306A (ko) 빌딩 내에서의 위치 추정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US20160048640A1 (en) Patient management service method, treatment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erver node and server applied thereto
KR20150111557A (ko)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정보 자동 설정 방법, 장치
EP307668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rifying validity of beacon signal
US10692084B2 (en) Membership card lending service method and device therefor
CN103688281A (zh) 基于区分准则对广告进行的区分显示
KR20170059241A (ko) 고객 서비스 상담원 관리 시스템 및 고객 서비스 상담원 관리 방법
US9930606B2 (en) Method of expanding beacon service coverage, and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EP3437054A1 (en) Merchant loyalty account enrollment through payment checkout platform services
KR20170034121A (ko) 무선 신호 정보를 이용한 사용자 참여형 실내 지도 구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WO2014080605A1 (ja) 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および記憶媒体
EP3993470A1 (en) Core network node, accessibility management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170045507A (ko) 메시 네트워크를 이용한 비콘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이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556768B1 (ko) 비콘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일정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50139714A (ko)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29114A (ko) 비콘을 활용한 매장 출입 여부 판단 방법 및 장치
KR20170071751A (ko) Rf 핑거프린트 기반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장치
KR102556769B1 (ko) 단말 위치 추정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JP7428447B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送信装置、受信装置
KR101902328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 기반의 인접 매장 정보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
KR20180009821A (ko) 광고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