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6231A - 슬라브시공용 슬라브패널 서포터 - Google Patents

슬라브시공용 슬라브패널 서포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6231A
KR20160126231A KR1020150057059A KR20150057059A KR20160126231A KR 20160126231 A KR20160126231 A KR 20160126231A KR 1020150057059 A KR1020150057059 A KR 1020150057059A KR 20150057059 A KR20150057059 A KR 20150057059A KR 20160126231 A KR20160126231 A KR 20160126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bar
bar
roof panel
protrusions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7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2183B1 (ko
Inventor
김귀환
노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스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스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스플러스
Priority to KR1020150057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2183B1/ko
Publication of KR20160126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6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8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relatively to each other by friction or gripping

Abstract

본 발명은 지붕패널의 저면과 바닥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부재를 포함한 지붕패널을 지지하되, 지붕패널의 해체시에는 지지부재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지붕패널의 무게와 자중에 의해 스스로 서서히 높이가 낮아지도록 함으로써, 지붕패널의 빠른 하강 속도에 의해 발생될 있는 안전사고의 예방은 물론, 급격한 하강에 의해 변형 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지붕시공용 지붕패널 서포터에 관한 것으로,
슬라이딩바가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바(100)와;
고정바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며 지붕패널을 지지하는 슬라이딩바(300)와;
슬라이딩바의 외측에 체결되어 슬라이딩바의 슬라이딩 거리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붕시공용 지붕패널 서포터{The supporter for concrete forms of slab}
본 발명은 지붕시공용 지붕패널 서포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붕패널 해체시 지붕패널의 등의 자중에 의해 높이가 서서히 낮아지도록 한 지붕시공용 지붕패널 서포터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철근 구조의 다층 건축물은 콘크리트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설치로부터 시작되는바, 내부 공간이 벽체의 형상을 하는 주형과 같은 틀을 먼저 만들고, 그 틀의 상단에 천장 슬라브 시공용 판재를 지면에 수평 하게 설치한 후, 상기 틀의 내부와 판재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채우고 양생시키는 방법으로 형성되며, '거푸집'이라 불리는 상기 '틀'과 '판재'는 일반적으로 지붕패널이라고 불리는 사각 판상의 패널들을 다수 연결하여 만들어진다.
따라서, 벽체와 슬라브의 시공은 상기 다수의 지붕패널들을 연결하여 콘크리트를 채울 수 있는 내부 공간과 상면을 갖는 형틀인 거푸집을 설치하는 것으로부터 시작 된다.
즉, 하나의 벽체는, 벽체의 두께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각 전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두 벽체 거푸집 사이의 공간에 채워지는 콘크리트에 의해서 만들어진다.
그리고 천정이 되는 지붕패널은, 다수의 지붕패널들의 상면이 동일 평면을 이루고 상기 대향하는 두 벽체 거푸집 사이의 간격이 막히지 않도록 벽체 거푸집의 상단부에 바닥과 평행하도록 결합되고, 두 벽체 거푸집 사이와 상기 지붕패널의 상면에 콘크리트가 함께 타설된다.
상기와 같은 거푸집을 구성하는 지붕패널의 경우 종래에는 목재로 만들어진 것이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목재 패널을 이용할 경우에는 패널들 간의 연결조립이 못질 또는 와이어의 조임에 의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거푸집 설치 작업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필요로 되며, 또한 콘크리트 양생 후 거푸집의 철거 작업에도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된다.
따라서, 근래에는 목재와 함께 철재나 알루미늄 합금(이하 '알루미늄'이라고만 함)과 같은 금속을 사용한 목재-금속 패널이 개발되어 각종 건축물 시공현장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 범위 및 규모가 급속히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상기와 같은 각종 패널들을 조립하여 콘크리트가 부어지는 일종의 형틀인 종래 거푸집 구조를 도 1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알루미늄거푸집은, 각 벽체(W)를 시공하기 위하여 바닥면(A) 상면에 직립되며 1단으로 이루어진 벽체 거푸집(11)의 상단부에 바닥과 평행하게 지붕패널(13)이 놓이는 구조이다.
상기 서포터(S3)들이 바닥면(A)까지 직립하여 상기 지붕패널(13)을 지지하게 되는 구조이며, 벽체 거푸집의 배면 상단부를 따라 상기 가로바(14)와 평행한 SL이 결합되어 지붕패널(13)과 벽체 거푸집(11)을 연결하게 된다.
이때, 평탄한 전면이 벽체(W)의 두께만큼 이격된 상태로 대향하는 두 벽체 거푸집(11)은 벽체를 두께 방향으로 가로지르게 되는 다수의 연결편(C)과 핀으로 결합되며, 벽체 시공 완료 후 상기 각 연결편(C)의 양단부의 핀을 제거하여 벽체 거푸집을 해체하게 되고, 각 연결편(C)의 절단된 양단부는 벽체 콘크리트 속에 매몰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벽체 거푸집(11)의 각 배면에는, 벽체(W) 시공용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한 압력은 벽체판넬사이의 보강대로 지지하며, 벽체의 수펴유지를 위한 수평지지대가 결합된다.
또한, 슬라브용 거푸집(13)은, 서로 대향하는 두 측벽의 각 대향면에 각각의 전면이 밀착되며 바닥(A)면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각각의 배면이 서로 대향하게 되는 두 벽체 거푸집의 각 전면측 상단부로부터 배면측으로 양 단부가 각각 놓여져 두 교각에 걸쳐진 다리의 상판과 같은 형태가 되기 때문에, 슬라브를 시공하기 위하여 지붕패널의 상면으로 타설되는 전체 콘크리트의 하중이 지붕패널의 양 단부에 상단부가 결합된 두 벽체 거푸집에 의해서만 지지되는 구조가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는 지붕패널이 콘크리트의 하중을 견딜 수 없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지붕패널(13)의 저면과 바닥면(A) 사이에 서포터(S3)들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종래의 알루미늄거푸집은, 첫째, 벽체 수평지지대를 벽체 거푸집의 배면에 결합시켜야 하기 때문에 거푸집 설치 시간이 길어져 시공 기간이 연장되며, 둘째, 벽체 거푸집에 의해 지지되는 지붕패널의 양 단부 이외의 중간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서포터가 과다하게 필요하기 때문에 서포터를 설치하고 해체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셋째, 거푸집을 설치하기 위한 각종 부자재, 즉 지붕패널, 여러 부재가 핀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거푸집의 설치와 해체시 상기 각종 부자재의 파손율이 높아 재활용도가 낮아져 초기 거푸집 비용은 저렴하나 결과적으로는 시공비가 증가하게 되고, 폐자재 처리를 위한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84389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 종래 지붕패널 해체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지붕패널의 저면과 바닥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부재를 포함한 지붕패널을 지지하되, 지붕패널의 해체시에는 지지부재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지붕패널의 무게와 자중에 의해 스스로 서서히 높이가 낮아지도록 함으로써, 지붕패널의 빠른 하강 속도에 의해 발생될 있는 안전사고의 예방은 물론, 급격한 하강에 의해 변형 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지붕시공용 지붕패널 서포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 지붕시공용 지붕패널 서포터는 슬라이딩바가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바(100)와;
고정바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며 지붕패널을 지지하는 슬라이딩바(300)와;
슬라이딩바의 외측에 체결되어 슬라이딩바의 슬라이딩 거리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고정바(100)는 슬라이딩바(300)가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부에 형성되어 지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랜지(110)와;
고정바의 일측에 연장형성된 플랜지(131) 및 플랜지에 체결되어 힌지를 기점으로 회동하여 고정바(100), 슬라이딩바(300)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헤드(133-1)와 해제시 작업자가 눌러 힌지를 기점으로 회동시켜 해제하는 레버의 누름부(133-3)를 갖는 레버(133)로 이루어진 이탈방지수단(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슬라이딩바(300)는 고정바(100)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며 지붕패널을 지지하는 것으로, 외부에 높이조절수단(500)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나사산(311)이 형성된 돌출부(310)와 장홈(330)이 돌출부(310), 장홈(330) 다시 돌출부(310), 장홈(330)의 순서로 형성되어 높이조절수단(500)을 원하는 높이로 상하로 이동시킬 장홈(330)이 형성된 부분까지만 높이조절수단(500)을 회전시킨 후 장홈(33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시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높이조절수단(500)은 슬라이딩바(300)의 외측에 체결되어 슬라이딩바(300)의 슬라이딩 거리를 조절하여 슬라이딩바(300)의 상부에 고정되는 지붕패널을 설치 및 설치 및 철거할 때 소정의 높이만큼 상향 및 상향 및 하향시키는 것으로, 슬라이딩바(300)에 형성된 돌출부(310)와 장홈(330)과 대응되도록 나사산(511)이 형성된 돌출부(510)와 장홈(530)을 돌출부(310), 장홈(330) 다시 돌출부(310), 장홈(330)의 순서로 형성하여 정지상태에서는 슬라이딩바(300)의 돌출부(310)와 높이조절수단(500)의 돌출부(510)가 서로 맞물려 있는 상대로 유지시키고, 슬라이딩바(300)를 상하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는 높이조절수단(500)을 회전시켜 슬라이딩바(300)에 형성된 돌출부(310)에는 높이조절수단(500)에 형성된 장홈(530)이 슬라이딩바(300)에 형성된 장홈(330)에는 높이조절수단(500)에 형성된 돌출부(510)가 위치하도록 하여 각각의 장홈(330,530)을 따라 상하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각각의 장홈(330,530)의 넓이는 슬라이딩바(330) 및 높이조절수단(500)이 원활하게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돌출부(310,510)와 동일하거나 넓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종래 지붕패널 해체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지붕패널의 저면과 바닥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부재를 포함한 지붕패널을 지지하되, 지붕패널의 해체시에는 지지부재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지붕패널의 무게와 자중에 의해 스스로 서서히 높이가 낮아지도록 함으로써, 지붕패널의 빠른 하강 속도에 의해 발생될 있는 안전사고의 예방은 물론, 급격한 하강에 의해 변형 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벽체와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서포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
도 6 ~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용도,
도 10 ~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해체과정을 나타낸 도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붕시공용 지붕패널 서포터는, 도 3 ~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바가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바(100)와; 고정바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며 지붕패널을 지지하는 슬라이딩바(300)와; 슬라이딩바의 외측에 체결되어 슬라이딩바의 슬라이딩 거리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500)을 포함한다.
고정바(100)는 슬라이딩바(300)가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부에는 지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플랜지(11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에는 고정바(100)에서 슬라이딩바(30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수단(130)이 구비되어 있다.
이탈방지수단(130)은 고정바의 일측에 연장형성된 플랜지(131)에서 힌지를 기점으로 회동가능하도록 한 레버(133)로 구비되어 레버의 헤드(133-1)가 상·하부높이조절수단(500,500')을 가압하여 고정바(100)에서 슬라이딩바(30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해제시에는 작업자가 레버의 누름부(133-3)를 눌러 힌지를 기점으로 회동시켜 해제하게 된다.
슬라이딩바(300)는 고정바(100)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며 지붕패널을 지지하는 것으로, 외부에 높이조절수단(500)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나사산(311)이 형성된 돌출부(310)와 장홈(330)이 각각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다.
즉, 평면에서 보았을 때 돌출부(310), 장홈(330) 다시 돌출부(310), 장홈(330)의 순서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하는 하는 이유는 나사산(311)이 슬라이딩바(300)의 외주면 전체에 형성되면 높이조절수단(500)을 원하는 높이로 상하로 이동시킬 때 나사산(311)을 따라 연속적으로 회전시켜야 함으로써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게 때문이다.
본원발명은 높이조절수단(500)을 원하는 높이로 상하로 이동시킬 장홈(330)이 형성된 부분까지만 높이조절수단(500)을 회전시킨 후 장홈(33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간편하고 빠른 시간에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높이조절수단(500)은 슬라이딩바(300)의 외측에 체결되어 슬라이딩바(300)의 슬라이딩 거리를 조절하여 슬라이딩바(300)의 상부에 고정되는 지붕패널을 설치 및 철거할 때 소정의 높이만큼 상향 및 하향시키는 것으로, 슬라이딩바(300)에 형성된 돌출부(310)와 장홈(330)과 대응되도록 나사산(511)이 형성된 돌출부(510)와 장홈(530)이 각각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정지상태에서는 슬라이딩바(300)의 돌출부(310)와 높이조절수단(500)의 돌출부(510)가 서로 맞물려 있는 상대를 유지하다가 슬라이딩바(300)를 상하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는 높이조절수단(500)을 회전시켜 슬라이딩바(300)에 형성된 돌출부(310)에는 높이조절수단(500)에 형성된 장홈(530)이 슬라이딩바(300)에 형성된 장홈(330)에는 높이조절수단(500)에 형성된 돌출부(510)가 위치하도록 하여 각각의 장홈(330,530)을 따라 상하이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100 : 고정바 130 : 이탈방지수단
300 : 슬라이딩바 310 : 돌출부
330 : 장홈
500 : 높이조절수단 510 : 돌출부
530 : 장홈

Claims (4)

  1. 슬라이딩바가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바(100)와;
    고정바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며 지붕패널을 지지하는 슬라이딩바(300)와;
    슬라이딩바의 외측에 체결되어 슬라이딩바의 슬라이딩 거리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시공용 지붕패널 서포터.
  2. 제 1항에 있어서,
    고정바(100)는 슬라이딩바(300)가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부에 형성되어 지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랜지(110)와;
    고정바의 일측에 연장형성된 플랜지(131) 및 플랜지에 체결되어 힌지를 기점으로 회동하여 고정바(100), 슬라이딩바(300)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헤드(133-1)와 해제시 작업자가 눌러 힌지를 기점으로 회동시켜 해제하는 레버의 누름부(133-3)를 갖는 레버(133)로 이루어진 이탈방지수단(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시공용 지붕패널 서포터.
  3. 제 1항에 있어서,
    슬라이딩바(300)는 고정바(100)에 삽입되어 상하로 슬라이딩되며 지붕패널을 지지하는 것으로, 외부에 높이조절수단(500)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나사산(311)이 형성된 돌출부(310)와 장홈(330)이 돌출부(310), 장홈(330) 다시 돌출부(310), 장홈(330)의 순서로 형성되어 높이조절수단(500)을 원하는 높이로 상하로 이동시킬 장홈(330)이 형성된 부분까지만 높이조절수단(500)을 회전시킨 후 장홈(33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시켜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시공용 지붕패널 서포터.
  4. 제 1항에 있어서,
    높이조절수단(500)은 슬라이딩바(300)의 외측에 체결되어 슬라이딩바(300)의 슬라이딩 거리를 조절하여 슬라이딩바(300)의 상부에 고정되는 지붕패널을 설치 및 설치 및 철거할 때 소정의 높이만큼 상향 및 상향 및 하향시키는 것으로, 슬라이딩바(300)에 형성된 돌출부(310)와 장홈(330)과 대응되도록 나사산(511)이 형성된 돌출부(510)와 장홈(530)을 돌출부(310), 장홈(330) 다시 돌출부(310), 장홈(330)의 순서로 형성하여 정지상태에서는 슬라이딩바(300)의 돌출부(310)와 높이조절수단(500)의 돌출부(510)가 서로 맞물려 있는 상대로 유지시키고, 슬라이딩바(300)를 상하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는 높이조절수단(500)을 회전시켜 슬라이딩바(300)에 형성된 돌출부(310)에는 높이조절수단(500)에 형성된 장홈(530)이 슬라이딩바(300)에 형성된 장홈(330)에는 높이조절수단(500)에 형성된 돌출부(510)가 위치하도록 하여 각각의 장홈(330,530)을 따라 상하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시공용 지붕패널 서포터.
KR1020150057059A 2015-04-23 2015-04-23 슬라브시공용 슬라브패널 서포터 KR101832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059A KR101832183B1 (ko) 2015-04-23 2015-04-23 슬라브시공용 슬라브패널 서포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059A KR101832183B1 (ko) 2015-04-23 2015-04-23 슬라브시공용 슬라브패널 서포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231A true KR20160126231A (ko) 2016-11-02
KR101832183B1 KR101832183B1 (ko) 2018-04-13

Family

ID=57518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7059A KR101832183B1 (ko) 2015-04-23 2015-04-23 슬라브시공용 슬라브패널 서포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218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992B1 (ko) * 2017-03-13 2018-08-06 차명길 거푸집 지지용 서포트
KR20190050084A (ko) * 2017-11-02 2019-05-10 이현구 난방 배관이 삽입되는 마루 시공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마루 시공 방법
KR20190109978A (ko) * 2018-03-19 2019-09-27 서보산업 주식회사 높이 조절이 간편한 잭 서포트
CN113250451A (zh) * 2021-04-19 2021-08-13 中建二局第三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可周转组拼三角格构式后浇带独立支撑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389Y1 (ko) 2005-02-25 2005-05-16 (주)거혁건설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서포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875B1 (ko) * 2009-10-13 2012-05-10 (주)거혁산업 서포터의 드럽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389Y1 (ko) 2005-02-25 2005-05-16 (주)거혁건설 슬라브 시공용 거푸집 서포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992B1 (ko) * 2017-03-13 2018-08-06 차명길 거푸집 지지용 서포트
KR20190050084A (ko) * 2017-11-02 2019-05-10 이현구 난방 배관이 삽입되는 마루 시공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마루 시공 방법
KR20190109978A (ko) * 2018-03-19 2019-09-27 서보산업 주식회사 높이 조절이 간편한 잭 서포트
CN113250451A (zh) * 2021-04-19 2021-08-13 中建二局第三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可周转组拼三角格构式后浇带独立支撑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2183B1 (ko) 2018-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2551B1 (ko)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 지지바
KR101539447B1 (ko) 탈형이 용이한 보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보 시공 방법
CA3036600C (en) Fast moving installation supporting system
KR101832183B1 (ko) 슬라브시공용 슬라브패널 서포터
KR101745242B1 (ko) 가변형 보 거푸집 및 그 시공방법
KR101647347B1 (ko) 슬라브시공용 슬라브패널 전동서포터
KR101630760B1 (ko) 슬라브시공용 슬라브패널 서포터
KR101812230B1 (ko) 커튼월 설치용 가시설장치 및 커튼월 설치용 가시설장치의 설치방법
KR101559988B1 (ko) 조기 탈형이 가능한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CN215907389U (zh) 用于清水混凝土施工的模板结构
KR100818609B1 (ko) 해체가 용이한 슬라브 거푸집
KR100433561B1 (ko) 벽체상승 슬래브하강 타설공법
KR20180125648A (ko) 빔과 슬라브패널을 지지 및 하강시키는 서포터헤드구조
KR100817883B1 (ko) 슬래브 거푸집 설치구조
KR101832180B1 (ko) 원 스탭 드롭방식을 이용한 슬라브패널 시공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건축자재
KR102144769B1 (ko) 강판-콘크리트 복합 보
JP5498815B2 (ja) アルミ製改装フェンス
CN108729666B (zh) 一种用于高层建筑或桥塔施工的组合式承力装置
KR100557288B1 (ko) 건축용 조립식 보 거푸집
KR101586975B1 (ko) 콘크리트 슬라브 거푸집의 받침장치
KR20100042377A (ko) 건축물의 슬래브 성형을 위한 거푸집 받침장치
KR20120049687A (ko) 건축용 기능성 파이프 서포트
JP2017137730A (ja) 複合構造における仕口鉄骨の固定方法と仕口構造
KR100482272B1 (ko) 건축용 서포트 파이프
KR200408443Y1 (ko) 콘크리트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알루미늄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