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5977A - 필터 코어에 고정된 물 센서가 있는 필터 그룹 및 필터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필터 코어에 고정된 물 센서가 있는 필터 그룹 및 필터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5977A
KR20160125977A KR1020167023615A KR20167023615A KR20160125977A KR 20160125977 A KR20160125977 A KR 20160125977A KR 1020167023615 A KR1020167023615 A KR 1020167023615A KR 20167023615 A KR20167023615 A KR 20167023615A KR 20160125977 A KR20160125977 A KR 20160125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ore
casing
longitudinal
conductive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3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1190B1 (ko
Inventor
조르지오 지론디
Original Assignee
유에프아이 필터즈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에프아이 필터즈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filed Critical 유에프아이 필터즈 소시에떼 퍼 아찌오니
Publication of KR20160125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1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1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02M37/22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05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internal-combustion engine lubrication or fue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3Filter condit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03Filters in combination with devices for the removal of liquids
    • B01D36/005Liquid level sensing means, e.g. for water in gasoil-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24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water separ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24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water separating means
    • F02M37/26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water separating means with water detection means
    • F02M37/28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water separating means with water detection means with means activated by the presence of water, e.g. alarms or means for automatic drain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3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29Filter cartridge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30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he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레디얼 개구(450)를 구비하고 적어도 전기 절연 재료로 만들어진, 필터 벽(43)의 내부 구멍에 축방향으로 삽입되는 적어도 세로방향의 코어(45) 및 관형 형상을 가지는 필터 벽(43)을 포함하는 유체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카트리지(40)로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40)는 세로 방향의 코어에 고정되며 전기 전도 재료로 만들어진 전도성 스트립(50)을 적어도 포함하며, 전도성 스트립(50)은 필터 벽(43)의 내부 구멍의 축방향의 외부로 돌출하고 세로방향의 코어로부터 노출된 제1 노출된 부분(51) 및 제1 노출된 부분(51)과 축방향으로 다른 높이에 위치되고 세로방향의 코어로부터 제2 노출된 노출(52)을 구비하는 필터 카트리지(4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필터 코어에 고정된 물 센서가 있는 필터 그룹 및 필터 카트리지{FILTER CATRTRDGE AND FILTER GROUP WITH WATER SENSOR FIXED TO THE FILTER CORE}
본 발명은 자동화 분야에서, 예컨대 디젤 연료의, 여과를 위한 필터 그룹 및 관련 필터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디젤 연료에서 물에 존재하는 센서를 구비한 필터 그룹 및 관련 필터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알다시피, 감시 섹터에서 디젤의 여과는 일반적으로 실질적으로 비커형 몸체를 구비한 외부 케이싱을 포함하는 그룹에 의해서 달성되며, 외부 케이싱의 개방된 단부는 커버에 의해서 폐쇄된다. 커버 및 비커형 몸체 사이에는 필터될 디젤 연료를 위한 주입구 및 필더된 디젤의 배출구가 구비된다. 필터 카트리지는 두 개의 떨어진 챔버들으로 케이싱의 내부 공간을 분할하기에 적합하며, 여기서 제1 챔버는 주입구와 연결되며 제2 챔버는 배출구와 연결된다. 이러한 방법에서, 필터 그룹의 배출구로부터 주입구로 흐르는 디젤은, 디젤에 존재할 수 있는 분순물을 분리하기 위해서 필터 카트리지를 가로지르도록 강제된다.
처리될 연료(예컨대 디젤 오일)의 특정 무게에 비하여 더 큰 특정 무게로 인해서, 물의 임의의 양이 디젤에 존재하며 비커형 몸체의 하부에 축적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필터 그룹의 기능을 위해서 제거되어야만 한다.
선행 기술에서, 물을 연료로부터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필터 벽이 일반적으로 연료로부터 분리된 물을 유지하기 위한 소수성 망(hydrophobic net) 및/또는 연료 결합에 의해서 분리할 수 있도록 사용되어서, 물이 케이싱의 하부에 중력에 의해서 수집된다.
또한, 케이싱의 하부에 위치되는 필터 그룹의 케이싱과 결합된 방출관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축적된 물이 케이싱으로부터 계속하여 비워지도록 물은 물의 흡입 수단 및/또는 배출 수단과 연결되어 수집되는 경향이 있다.
물의 수위가 기결정된 최대 수위를 초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과 함께, 케이싱에 축적된 물을 탐지하기 위해서, 센서의 센서부가 케이싱의 히부에 가깝게 위치되는 방식으로 케이싱에 결합된 센서가 존재한다.
물의 준재를 탐지하는 센서는 차량의 전자 보드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센서의 센서부가 케이싱의 내부에 위치된 수위에 상응하는 최대 수위에 도달한 경우 알람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알람 신호가 발생된 경우, 방출관을 통하여 케이싱의 하부에 존재하는 물을 비우도록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실제로 물 탐지 센서는 하나 이상의 덮이지 전극들을 끊을 수 있는 전자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들은 센서의 센서부이며 필터되는 유체에 잠기며 케이싱의 내부에 배열되도록 설계된다.
물이 케이싱에 도달한 수위는, 전극들이 디젤 또는 물에 잠기는 경우, 전극들에 대한 액체의 전도성의 측정값으로부터 계산된다.
케이싱의 상부 커버로부터 뻗어간 세로방향의 스템의 하단부에 고정되거나 케이싱의 하부에 고정된 전극들이 물 탐지 센서에 존재한다.
물 탐지 센서가 케이싱에 통합된, 알려진 종류의 필터 그룹에서 발견되는 단점들은 케이싱의 내부에 잘못 배열된 본래의 것이 아닌 필터 카트리지 또는 카트리지가 센서를 방해하거나 비효율을 발생시킨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알려진 필터 그룹에서 발견되는 단점들은 물 수위 센서가 필터 카트리지와 독립적인 높이에 위치되어서, 필터 카트리지의 하부 지지판의 수위에 대하여 더 높은 높이에 위치되고 필터 벽의 센터에 상응하는 수위에 위치될 수 있어서 하부에 축적되는 물에 의해서 젖을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선행 기술의 단점을 단순 합리적이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해결책으로 극복하는 것이다.
상기된 목적은 독립항에 청구된 발명의 특징에 의해서 달성된다. 종속항들은 본 발명의 선호되는이점 및/또는 특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레디얼 개구를 구비하고 적어도 전기 절연 재료로 만들어진, 필터 벽의 내부 구멍에 축방향으로 삽입되는 적어도 세로방향의 코어 및 관형 형상을 가지는 필터 벽을 포함하는 유체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카트리지로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는 세로 방향의 코어에 고정되며 전기 전도 재료로 만들어진 전도성 스트립을 적어도 포함하며, 전도성 스트립은 필터 벽의 내부 구멍의 축방향의 외부로 돌출하고 세로방향의 코어로부터 노출된 제1 노출된 부분 및 제1 부분과 축방향으로 다른 높이에 위치되고 세로방향의 코어로부터 노출된 제2 노출된 부분을 구비하는 필터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제2 노출된 부분은 물 수위 센서의 (디젤 연료) 필터되는 유체에 잠기는 노출된 전기 접점과 접촉되도록 설계되는 반면 제1 노출된 부분은 필터될 유체로부터 분리된 물과 먼저 접촉하도록 설계되며, 이것의 수위는 필터될 유체 아래에 이들의 축적 다음에 축방향으로 상승한다.
이러한 해결책으로 인해, 필터 그룹의 케이싱 안의 물 수위 센서의 위치는 케이싱의 하부에 축적되는 물이 도달하게 허용되는 최대 수위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해결책에서 전도성 스트립은 필터될 유체에 잠기는 물 수위 센서를 축방향으로 연장시키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어, 필터 벽에 대하여 낮은 수위에 위치되는 전도성 스트립의 제1 논출된 부분은 모든 필터 벽에 대하여 어떤 낮은 수위의 필터 그룹의 케이싱에서 물의 도착을 탐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물과 필터벽 및 (필터될 유체에 항상 잠기는) 수위센서가 있는 물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한다.
이러한 해결책에서, 물 수위 센서의 축방향의 치수를 제한하는 것 또한 가능하며, 이는 탐지의 정확성 및 안전성 측면에서 상당한 이점이다.
유리하게는 전도성 스트립은 세로방향의 코어의 세로방향의 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세로방향의 축과 배열된 가늘고 긴 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으로 전도성 스트립은 세로방향의 코어에 쉽고 빠르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양태는 예컨대 서로 분리되고 전기적으로 고립된 적어도 한 쌍의 전도성 스트립을 포함하는 필터 카트리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서, 전도성 스트립은 물 수위 센서의 노출된 전기 접점의 케이싱의 내부로 단순하게 연장되도록 설계된다.
대안으로, 쌍의 전도성 스트립의 전도성 스트립들은, 예컨대 세로방향의 코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정된, 적어도 저항기에 의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 물 수위 센서의 구조를 단순화하며, 필터 카트리지에 통합된 저항기에 제공된 전기 저항을 통하여 물 수위를 측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구성으로 인해, 동일한 수위 센서를 사용하여 (필터 그룹만을 위해 설계된 필터 카트리지) 정확한 필터 카트리지의 존재를 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컨대 비-원형 교체품의 사용을 어렵게 만드는, 필터 그룹에서 필터 카트리지의 정확한 위치의 존재를 탐지할 수 있다.
상기 모든 변형에서, 본 발명의 추가 양태는 축방향으로 동일한 높이에 한 쌍의 전도성 스트립의 전도성 스트립들의 제1 노출된 부분 및 축방향으로 다른 높이에 한 쌍의 전도성 스트립의 전도성 스트립들의 제2 노출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 전도성 스트립에 의해서 정의된 두 개의 전극이 구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 전도성 스트립은, 세로방향의 코어에 삽입될 수 있는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으로 배열된 세로방향의 축을 가지는, 예컨대 노출된 부분들 사이의 중간 부분인, 일 부분을 적어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에서 세로방향의 코어는 필터 벽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세로방향의 코어는 레디얼 개구를 막기 위해서 디젤 연료로부터 물을 분리하기 위한 (소수성) 망을 적어도 지지할 수 있으며, 안으로 또는 필터 벽을 직접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는 필터될 유체의 주입구 및 필터될 유체의 배출구를 구비하는 외부 케이싱;필터 벽이 주입구에서 배출구로 흐르는 유체에 의해서 가로질러지고 전도성 스트립의 제1 노출된 부분이 케이싱의 하부에 가까운 전도성 스트립의 하단에 있도록, 케이싱의 내부에 보관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카트리지; 및 케이싱과 결합된 디젤 연료에서 물 센서의 적어도 전기 접점;을 포함하는 필터 그룹을 개시한다.
필터 그룹에서, 필터 카트리지가 케이싱의 내부에 보관될 때, 전도성 스트립이 전기 접점을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방식으로, 전도성 스트립의 제2 노출된 부분은 적어도 전기 접점과 접촉할 수 있다.
필터 카트리지 및 필터 그룹의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이하의 이점들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유리하게는, 전기 접점은 세로방향의 코어의 내부 구멍에 삽입된 스템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유리한 양태에서, 전기 접점 또는 제2 노출된 부분은 전기 전도 재료에 형성된 환형 몸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물 수위 센서 및 필터 카트리지의 (케이싱 내부에서) 방향은 완전히 서로 독립적이다.
쌍의 전기 접점의 전기 접점들은 유리하게는 케이싱 내부의 물 수위 센서의 방향에 관계없이 쉽게 구별되도록 케이싱의 내부의 다른 높이에 축방향으로 위치된다.
상술한 것과 또한 독립적으로 보호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추가 양태에서는, 예컨대 디젤 연료의 필터 그룹과 결합될 수 있는, 디젤 연료에서 물 수위 센서가 원주방향으로 전개하는 노출된 표면을 정의하는 적어도 환형 몸체를 포함하며 스템으로부터 노출된 전기 접점을 적어도 지지하는 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서, 필터 그룹에서 물 수위 센서의 방향은 필터 카트리지의 방향과 독립된다.
상술한 것과 독립적으로 보호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추가 양태에서는, 예컨대 디젤 연료의 필터 그룹과 결합할 수 있는, 디젤 연료에서 물의 물 수위 센서가 제공되며, 물 수위 센서는 전기적으로 고립되고 스템에 의해서 노출된 한 쌍을 전기 접점을 적어도 지지하는 스템을 포함하며, 전기 접점은 스템을 따라 다른 축방향의 수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필터 그룹에 센서의 방향에 관계없이 물 수위 센서의 두 개의 정의된 전극을 구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음.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제공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그룹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 ll-ll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그룹의 세로방향의 코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선 V-V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도면부호 10은 유체, 특히 자동차의 디젤 엔진에서 디젤 연료를 여과하기 위한 전체 필터 그룹(10)을 가리킨다. 필터 그룹(10)은, 일반적으로 도면부호 20으로 가리켜지는, 외부 케이싱을 포함하며, 외부 케이싱은 비커형 몸체(21) 및 비커형 몸체(21)을 폐쇄하기에 적합한 커버(22)를 포함한다.
커버(22)는 필터될 디젤을 위한 주입관(23) 및 필터된 디젤을 위한 배출관(24)을 포함한다.
비커형 몸체(21)는, 예컨대 비커형 몸체의 하부에 위치되는, 비커형 몸체(21)의 하부에 축적되는 물을 위한 방출관(25)을 포함하며, 방출관은 이하에 자세한 설명될 연결 커넥팅 캡(26)을 구비한다.
필터 그룹(10)은 물 수위 센서(30)를 포함하며, 물 수위 센서는 독립적으로 보호될 수 있으며 예컨대 스템(32)으로부터 외부로 연장하는 (예컨대, 디스크형이며 필수요소가 아닌) 판형 헤드(plated-shaped head)(31)를 포함하며, 스템은 노출된 전기 접점(electrical contact)을 내부적으로 지지하며 적어도 노출된 전기 접점(331, 332)의 하단에서 견딘다.
본 발명에서, 두 개의 전기 접점(331, 332)이 도시된다.
물 수위 센서(30)의 전기 접점(331, 332)은 실질적으로 서로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며, 즉 스템(32)의 세로방향을 축을 따른 다른 축 위치에 위치된다.
예컨대, 전기 접점(331, 332)는 케이싱(30)의 안쪽에서 다른 높이에 위치된다.
예시에서, 전기 접점(311, 332)은 한 접점은 다른 접점 위에 놓이며, 전기-절연 재료의 환형 스트립에 의해서 축방향으로 분리된다.
예컨대 적어도 전기 접점(311, 322)은 스템(21)과 동축인 전도 재료의 환형 몸체에 의해서 실현된다.
각 환형 몸체의 전체 외부 벽은 스템(32)에 의해서 노출되며, 즉 전기 접점(311, 332)은 선호되는 방향 없이 전체 외부 원주방향을 따라 접촉될 수 있다.
예시에서, 하부 전기 접점(331), 즉 스템(32)의 자유단에 가깝게 위치된 전기 접점은 스템(32)의 자유단에서 멀리 위치된 상부 전기 접점(332)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특히, 상부 전기 접점(332)은 스템(32)의 단부보다 큰 직경의 스템(32)의 환형 확장부(broadening)(320)의 외부에 고정된다.
전자 회로의 기능에 따라 오직 하나의 전기 접점(331, 332) 또는 두 개 이상의 전기 접점(331, 332)이 있을 수 있다.
물 수위 센서(30)는 디젤 연료의 여과 동안에 비커형 몸체(21)의 하부에 축적된 물의 수위를 탐지하도록 구성되며 차량의 전기 제어 유닛(미도시)에 결합된다.
도시된 예시에서 물 수위 센서(30)는 커버(22)에 고정되어서, 예컨대 판형 헤드(31)는 케이싱(20)의 외부에 배열되고 로드(32)는 예컨대 커버(22)에 형성된 특별 구멍을 통하여 케이싱 내부에서 돌출한다.
실제로, 스템(32)은 실질적으로 케이싱(20)과 동축일 수 있다.
또한, 각 전기 접점(331, 332)은 각 전기 접점이 비커형 몸체의 하부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예컨대 비커형 몸체(21)의 중간 높이에서, 필터될 디젤 연료에 잠길 수 있도록 케이싱(20)에 배열될 수 있다.
(전자 히터와 같은) 히터 요소(34)가, 예컨대 엔지 작동의 제1 순간 동안에, 케이싱(20)에 함유된 디젤을 가열하기에 적합한, 판형 헤드(31) 내에 보관될 수 있다.
하지만, 물 수위 센서는 대안으로 비커형 몸체(21)의 하부로부터 뻗어나갈 수 있다.
도면부호 40으로 가리켜진 필터 카트리지는 케이싱(20)의 내부에 수용되며, 필터 카트리지는 관형인 필터 벽(43)을 포함한다.
예컨대, 카트리지(40)는 상부 지지판(41) 및 하부 지지판(42)을 포함하며, 이 지지판들은 관형 필터 벽(43)의 반대편 단부들에 고정된다.
도시된 예시에서, 필터 벽(43)은 플리티드(pleated) 벽이며, 플리티드 벽은 실질적으로 원통형 내부 공간의 범위를 정하고 구획한다.
대안으로, 필터 벽(43)은 깊은 벽일 수 있으며, 이 또한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내부 공동(cavity)의 범위를 정한다.
필터 벽(43)은 디젤 연료로부터 물의 분리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유합형(coalescent type)일 수 있다.
상부 지지판(41)은 실질적으로 디스크형이며 필터 벽(43)의 세로방향의 축(A)의 중심에 있는 중앙홀(410)을 가진다.
하부 지지판(42)은 또한 실질적으로 디스크형이며 필터 벽(43)의 세로방향의 축(A)의 중심에 있는 중앙홀(410)을 가진다.
특히, 하부 지지판(42) 및 상부 지지판(41)은 플라스틱 재료와 같은 전기 절연 재료로 적어도 만들어진다.
상부 지지판(41)의 중앙홀(410)은 스템(32)의 비커형 몸체(21)에서 내부로 돌출된 부분에 삽입되어서, 전기 접점(331, 332)는, 사용 중, 필터 벽(43)의 내부 구멍의 안쪽에 위치된다.
또한, 상부 지지판(41)의 중앙홀(410)은 배출관(24)의 내부 말단부에 삽입되며, 배출관은 스템(32)의 상부를 수용할 수 있다.
밀봉 링(411)은 배출관(24)의 내부 단부 및 상부 지지판(31)의 중앙홀(410)의 내부 모서리 사이에 끼워지고, 밀봉 링(4110)은 중앙홀의 내부 모서리에 고정되어서, 팔터 카트리지(40)의 내부 공간은 배출관(24)과 독점적으로 소통한다.
스템(32)의 자유단은 예컨대 필터 벽(43)의 내부 구멍의 안쪽에 배열된다.
하분 지지판(42)은 필터 벽(33)에 의해서 분할된, 두 개의 구별된 챔버(211, 212)로 케이싱의 내부 공간을, 밀봉 링(411)과 함께, 분할하는 추가 밀봉 링(421)에 끼워짐으로써 비커형 몸체(21)의 하부에 삽입되며, 필터될 디젤의 제1 챔버(211)는 주입관(23)과 연결되며, 필티될 디젤의 제2 챔버(121)는 배출 관(24)과 연결된다.
특히, 필터 카트리지(40)는 필터 벽(43)의 내부 구멍의 안쪽에 삽입되는 세로방향의 코어(45)를 적어도 포함한다.
예컨대, 세로방향의 코어(45)는 복수의 레디얼 개구(450)를 구비하는 관형 몸체를 포함한다.
예시에서, 세로방향의 코어(45)는 필터 벽(43)의 안쪽으로 동축으로 배열되며, 상부 지지판(41) 및 하부 지지판(42) 중 하나에 코어의 단부에서 각각 고정된다.
예컨대, 세로방향의 코어(45)는 플라스틱 재료와 같은 전기 절연 재료로 적어도 만들어진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필터 카트리지(40)는 두 개의 세로방향의 코어(451, 452)를 포함하며, 제1 세로방향의 코어(415)는 소수성 망(hydrophobic net)(46)를 지지할 수 있으며, 예컨대 관형 형상이며, 주입관(23)에서 배출관(24)까지 필터를 가로지르는 연료의 흐름을 가록막기 위해서, 필터 벽(43)에 동축으로 삽입된다.
제2 코어(452)는 필터 벽(43)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코어(452)는 필터 벽(43)의 내부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또는 약간 작은 직경)을 가지는 실질적으로 관형 몸체를 포함한다.
제2 코어(252)는 (예컨대 등거리) 축방향의 벽들만큼 서로 분리되고 (예컨대 등거리) 동축의 링들과 수직한 복수의 레디얼 개구(450)를 포함한다.
제2 세로방향의 코어(452)의 반대편 단부들 모두 개방되고 하부 지지판(42) 및 상부 지지판(41)의 내부 면들에, 예컨대 접착 또는 용접에 의해서, 고정된다.
제2 세로방향의 코어(452)는 코어의 상부 단부에서 내부의 환형 선반을 포함한다.
제1 세로방향의 코어(451)는 (예컨대 도면에서 등간격 만큼) 축?향의 벽들만큼 서로 분리된 복수의 레디얼 개구(450)를 구비한 실질적으로 관형 몸체를 포함한다.
제1 세로방향의 코어(451)는, 예컨대 동축으로, 제2 세로방향의 코어(452)의 내부에 삽입되기 위해서 제2 세로방향의 코어(452)의 내부 직경보다 작은 외부 직경을 가진다.
제1 세로방향의 코어(451)은, 예시에서, (상부에) 개방된 단부 및 (하부에) 디스크형 벽에 의해서 닫힌 반대편 단부를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관형 형상인, 소수성 망(46)은 폐쇄된 하부 단부로부터 개방된 상부 단부까지 계속되는 적어도 축 방향의 부분) 제1 세로방향의 코어(451)의 축방향의 벽을 내부적으로 또는 외부적으로(도시된 예시에서, 예컨대 왜부적으로) 묶는다.
제1 세로방향의 코어(451)의 개방된 상부 단부는 넓어진 디스크형 모서리를 포함하며, 상기 모서리는 제2 세로방향의 코어(452)의 환형 선반 및 상부 지지판(41)의 내부 면 사이에 끼워질 수 있으며 클램프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실제로, 제1 세로방향의 코어(451)는 필요에 따라 영구적으로 또는 분리 가능하게 제2 세로방향의 코어(452) 및/또는 (예컨대 상부 지지판)필터 벽(43)에 고정된다.
제1 세로방향의 코어의 개방된 상부 단부는, 예컨대 매우 작은 레디얼 플레이(radial play)로, 배출관(24)의 내부 말단부에 삽입되어서, 배출관(24)은 제1 세로방향의 코어(451)의 내부 챔버(소수성 망(46)의 내부 챔버)와 유체로 소통한다.
또한, 사용 중, 전기 접점(331, 332)에 구비된, 물 수위 센서(30)의 스템(32)의 자유단은 (즉, 제2 챔버(212)의 소수성 망(46)의 내부의 안쪽에) 제1 세로방향의 코어(451)에 삽입된다.
예시에서, 제1 세로방향의 코어(451) (또는 임의의 경우에 세로방향의 코어(45))의 내부 구멍은 복수의 수직-단면부를 포함하며, 축방향의 벽들이 더 큰 반경방향의 두께를 가지는 테이퍼된 제1 하부, 테이퍼된 하부의 직경보다 더 큰 내부 직경을 가지는 제2 중간부, 예컨대 제1 코어(451)의 폐쇄된 단부로부터 제1 세로방향의 코어의 길이의 1/2 내지 5/6의 높이에 위치된다.
스템(320)의 환형 확장부(320)는 사용?ㅇ 제2 중간부에 보관되는 반면, 스템(32)의 (테이퍼된) 다유단은 제1 하부의 말단부의 안쪽으로 삽입된다.
예컨대 제1 세로방향의 코어(451)의 제1 부분 및 제2 부분 사이의 스텝(step)은 스템(32)을 위한 축방향의 접합부를 정의하며, 이는 환형 확장부(320)를 위한 정지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예시에서 서로 반대편에 있는) 부속물(appendage)(453)는 제1 세로방향의 코어(451)의 폐쇄된 하단부로부터 축방향의 아래쪽으로 돌출한다.
예컨대, 각 부속물(453)은 (제1 세로방향의 코어(451)의 하단부를 폐쇄하는 디스크형 벽에 의해서 정의된 평면을 넘어서) 제1 세로방향의 코어를 정의하는 축방향의 벽을 따라 연장한다.
각 부속물(453)의 자유단은, 예컨대, 필터 벽(43)의 (하부) 자유단이 위치되는 높이 보다 낮은 높이에 (케이싱(20)의 안쪽에) 위치된다.
실제로, 각 부속물(453)은 적어도 제한된 축방향 부분만큼 필터 벽(43)의 하단의 앞쪽으로 돌출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필터 카트리지(40)는, 예컨대 제1 세로방향의 코어(451)에서, 세로방향의 코어(45)에 고정된, 전기 절연 재료로 만들어진 전도성 스트립(50)을 적어도 포함한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전도성 스트립(50)은 제2 세로방향의 코어(452)에 고정될 수 있다.
전도성 스트립(50)은 (제1 세로방향의 코어(451)) 세로방향의 코어(45)로부터 적어도 제1 노출된 부분(51)을 구비하며, 제1 부분은 필터벽(43)의 내부 구멍의 축방향의 외부로 돌출한다.
또한, 전도성 스트립(50)은 필터 벽(43)의 내부 구멍의 안족에 배열된 (제1 세로방향의 코어(451)로부터) 세로방향의 코어(45)로부터 노출된 적어도 제2 노출된 부분(52)을 구비한다.
노출된 부분은 (제1 세로방향의 코어(451)) 세로방향의 코어(45)로부터 돌출하는 전도성 스트립(50)의 표면을 말하며, 노출될 부분은 사용 중 노출된 전기 접점을 정의하게 위해서, 이들과 직접 접촉하며, 필더될 유체, 즉 디젤 연료에 잠길 수 있다.
예컨대, 전도성 스트립(50)은, 예컨대 실질적으로 직선이 세로방향의 축을 가지는, (실질적으로 얇고 긴) 연장 몸체를 포함하며, 연장 몸체는 (제1 세로방향의 코어(451)의) 세로방향의 코어(45)의 세로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세로축에 배열된다.
제2 노출된 부분(52)은, 예컨대, 세로방향의 코어(45) (제1 세로방향의 코어(451)의 안쪽에 정의된다.
전도성 스트립(50)의 제2 노출된 부분(52)은 필터 카트리지(40)가 케이싱(20)에 정확하게 삽입될 때 물 수위 센서(30)의 전기 접점(33)과 접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케이싱(20)의 하부로부터 제1 노출된 부분(51)의 거리만큼 및/또는 전도성 스트립(50)의 길이에 의해서 정의된 기결정된 수위까지) 케이싱(20)의 안쪽에 위치된 노출된 제1 단부(51)의 높이에 의해서 정의된 수위까지 물 수위 센서(30)의 전기 회로를 축방향으로 연장한다.
임의의 경우에, 제1 노출된 부분(51)의 위치(케이싱(20) 내에서 최하단부)는 물 수위 센서(30)가 필터 조립체의 필요한 배출을 신호할 수 있게 구성되도록 케이싱(20)에서 물에 의해서 접근 가능한 최대 수위를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노출된 부분(51)은, 케이싱(20)의 하부에 축적된 물이 필터 벽(43)을 적시는 것을 방지하도록, 필터 벽(43)의 하단이 위치된 높이 보다 낮은 수위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제1 변형에서 물 수위 센서(30)가 단일 전기 접점(331, 332)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술한 단일 전도성 스트립(50)을 사용할 수 있다.
도면들에 도시된 경우는 필터 카트리지(40)가 서로 분리된 두 개의 전도성 스트립(5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2 변형을 도시하지만, 이들은 또한 필요하다면 두 개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두 개의 전도성 스트립(50)은 직경상 반대편에 위치된다.
예컨대, 각 전도성 스트립(50)은 제1 세로방향의 코어(451)의 축방향의 벽들 중 하나에 고정되며, 예컨대 (접착제 등과 같은) 다른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임의의 경우에 또는 결합 또는 몰드되어 고정된다.
특히, 전도성 스트립(50)은 부속물(453)에 의해서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축방향의 벽에 고정된다.
제1 노출된 부분(51)은 유리하게는 부속물(453)에 고정된다.
예시에서, 제1 노출된 부분(51)은 부속물(453)에 대하여 추가 축방향의 부분만큼 축방향으로 돌출하여, 제1 자유단은 부속물보다 (케이싱(20)의 안쪽에서) 낮은 수위에 있다.
각 전도성 스트립(50)은, 전도성 스트립(50)의 수직 굽힘에 의해서 달성되는, 실질적으로 레디얼 부분(53)을 포함하며, 이는 예컨대 측면에서 측면까지 세로방향의 코어(45)를 가로지르는 (제1 세로방향의 코어(451)의) 세로방향의 코어(45)의 몸체의 안쪽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시된 예시에서, 각 전도성 스트립(5)은 한 쌍의 레디얼 부분(53)을 포함하며, 각 레디얼 부분은 각 노출된 부분(51, 52)에 가깝게 위치된다.
특히, 각 전도성 스트립(50)의 (하부의) 제1 레디얼 부분은 부속물(453) 중 하나와 통합되는 반면, 전도성 스트립(50)의 (상부의) 제2 레디얼 부분(53)은, 예컨대 물 수위 센서(30)의 각 전기 접점(331, 332)에 보관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단분에서, 부속물(453)로부터 연장하는 축방향의 벽에 통합된다.
특히, 한 쌍의 전도성 스트립(50)의 전도성 스트립들은 다른 축방향의 길이를 가진다.
특히, 전도성 스트립(50) 중 제1 노출된 부분(51)은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즉 필터 벽(43)으로부터 원위 단부는 이들이 외부로 돌출하는 필터 벽(43)의 (하부) 단부로부터 동일한 축방향의 거리에 있고, 또는 다시 말해, 제1 노출된 부분(51)은 케이싱(20)의 안쪽에서 같은 높이에 있다.
전도성 스트립(50)의 제2 노출된 부분(52)은 다른 높이이며, 즉 제2 노출된 부분(52)의 제1 노출된 부분(51)으로부터 원위 단부는 (필터 벽(43)의 하단부 또는) 각 제1 노출된 부분(51)와 다른 축방향의 위치에 있고, 또는 제2 노출된 부분(52)은 케이싱(20)의 안쪽에서 다른 높이에 있다.
실제로, 제2 노출된 부분(52)은 다른 노출된 부분보다 높이 위치되어서, 상부의 제2 노출된 부분(52)은 상부의 전기 접점(332)과 접촉하며 하부의 제2 노출된 부분(52)은 하부의 전기 접점(331)과 접촉한다.
도시된 예시에서, 각 전기 접점(331, 332)는 예컨대 스템(32)과 동축인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진 환형 몸체에 의해서 실현되는 반면, 각 제2 노출된 부분은 원주방향으로 제한된 폭을 나타내며, 상황이 전환되어, 즉 전도성 스트립(50)의 제2 노출된 부분(52)은 (전기 절연 재료의) 환형 몸체인 반면 전기 접점(331, 332)는 실질적으로 제한된 원주방향의 폭을 나타내는 판일 수 있다.
상부의 제2 노출된 부분(52)은, 예컨대 제1 세로방향의 코어(451)의 제1 부분으로부터 제2 부분의 범위를 제한하는 스텝 위에, 제1 세로방향의 코어(451)의 제2 부분에 배열된다.
하부의 제2 노출된 부분(52)는, 예컨대 제1 세로방향의 코어(451)의 제1 부분으로부터 제2 부분의 범위를 제한하는 스텝 아래 바로, 제1 세로방향의 코어(451)의 제1 부분에 배열된다.
각 전도성 스트립(50)의 제1 노출된 부분(51)과 같은, 제2 노출된 부분(52)은 예컨대 전도성 스트립의 각 말단이다.
상부의 제2 노출된 부분(52)의 상부 레디얼 부분(53)은, 예컨대 제1 세로방향의 코어(451)의 제1 부분으로부터 제2 부분의 범위를 제한하는 스텝 위에, 제1 세로방향의 코어(451)의 제2 부분에 통합된다; 실제로, 전도성 스트립(50)의 상단은, 예컨대 케이싱(20)의 하부 쪽을 향하는 오목부가 있게, C형으로 실질적으로 구부러진다.
하부의 제2 노출된 부분(52)의 상부 레디얼 부분(53)은, 예컨대 제1 세로방향의 코어(451)의 제1 부분으로부터 제2 부분의 범위를 제한하는 스텝 바로 아래에서, 제1 세로방향의 코어(451)의 제1 부분에 통합된다; 실제로, 전도성 스트립(50)의 상단은, 예컨대 케이싱(20)의 하부 쪽을 향하는 오목부가 있게, C형으로 실질적으로 구부러진다.
각 전도성 스트립(50)은 직선이며 실질적으로 축방향의 세로방향의 축에 배열되는 중간 부분(54)을 더 포함한다.
예컨대, 중간 부분(54)은 제1 세로방향의 코어(451)의 부속물(453)으로부터 연장하는 축방향의 벽에 형성된 세로방향의 시팅에 통합된다; 예컨대 중간 부분은 축방향의 벽의 외부 측면이다.
세로방향은 시팅은 전도성 스트립(50)의 중간 부분(54)을 측면으로 둘러싸는 두 개의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두 개의 전도성 스트립(50)은 예컨대 (제1 세로방향의 코어(451)에서) 세로방향의 코어(45)에 (전제적으로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잠기는 (도3에만 개략적으로 도시된) 저항기(55)에 의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시에서, 저항기(55)는 디젤 연료의 전기 저항 및 물의 전기 저항 모두와 사실상 다른 전기 차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저항기(55)는, 예컨대, 세로방향의 코어가 고정되는 (제1 세로방향의 코어) 세로방향의 코어(45)의 일부의 외부 직경 및 내부 직경 상의 직경을 가지며 (제1 세로방향의 코어) 세로방향의 코어(45)에 대하여 동축으로 배열되는 반원형인 금속으로 만들어진 판을 포함한다.
예컨대, 저항기(55)는 조인트-결합 또는 몰딩에 의해서 (제1 세로방향의 코어(451)의) 세로방향의 코어(45)의 몸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잠긴다.
저항기(55)는, 예컨대 (제1 세로방향의 코어(451)에서) 세로방향의 코어(45)에 또한 부분(53)이 있는, 전도성 스트립(50)의 일 부분과 각각 접촉하는 그들의 반대편 단부들에 존재한다.
마지막으로, 도시된 예시에서, 방출관(25)은 실질적으로 원통형 내부(250)을 가지며, 비커형 몸체(21)와 동축이며, 제한된 축방향의 부분을 위한 비커형 몸체(210의 하부로부터 올라간다.
상기 내부(250)는 내부가 중공(hollow)이며 비커형 몸체(21)의 반대편과 마주하는 오목부가 있는 실질적으로 비커형이다.
예컨대, 내부(250)는 연결 캡(26)의 나사-삽입(screwing-in)을 위한 내부 나사산을 나타낸다.
연결 캡(26)은 , 예컨대 비커형 몸체의 하부 및 내부(250) 사이의 결합 영역에서, 비커형 몸체(210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구멍(251)을 적어도 막도록 구성된다.
특히, 비커형 몸체(21)의 하부는 내부(250)에 가깝게 내부(250) 근처에 배열된 하부의 각가의 낮은 지역에 만들어진 하나 이상의 관통구멍(251)을 포함한다.
실제로, 각 관통구멍(251)은 케이싱(25)과 외부로 소통하는 수집 공간(425)을 위치시킬 수 있다.
연결 캡(26)은 나사산 스템(262)이 나오는 확장 헤드(261)를 포함한다.
나사산 스템(262)은 내부의 내부 나사산과 나사 결합될 수 있는 반면, 확장 헤드(261)는 관통구멍(252)와 평면으로 정렬된 비커형 몸체(21)의 하부의 외부 벽의 오목한 시팅에 실질적으로 꽉 맞게 수용될 수 있다.
확장 헤드(261)는 나사산 로드(262)의 베이스에 위치된 (환형의) 전방 실(264)을 포함하며, 전방 실은, 각 (케이싱(20)의 외부로부터) 관통구멍(252)을 (실질적으로 밀봉하여) 막기 위해서, 확장 헤드(261)의 (환형) 상부면 및 비커형 몸체(21)의 외부의 하부 벽 사이에서 압축될 수 있다.
전방 실(264)는 비커형 몸체(21)의 하부에 형성된 오목한 시팅의 측벽 및 확장 헤드(261) 사이에 방경방향의 밀봉을 보장하기 위해서 돌출된 레디얼 립을 더 포함한다.
확장 헤드(261)는 일반적인 장비로 나사 결합 및 해제할 수 있다.
연결 캡(26)은 또한 나사산 스템(262) 및 확장 헤드(261) 사이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물 배수 통로를 포함한다.
실제로, 배수 통로(265)는, 일반적인 물 배출 파이프와 연결할 수 있는, 확장 헤드(261)의 하부의 위부로 앞쪽으로 흐르는 축방향 부분을 적어도 나타낸다.
배수 통로의 축방향 부분은 나사산 스템(262)을 따라 연장하며 전방 실(263)의 수위보다 높은 수위에 위치된 축방향의 홈 또는 레디얼 개구를 통하여 예컨대 나사산 로드(262)의 외부 스커트에서 열리는 하나 이상의 레디얼 부분과 끝난다.
실제로, 연결 캡(26)의 부분적은 나사 해제 후, 배수 통로는 일련의 각 관통구멍(251), 배수 통로의 레디얼 부분 및 축방향 부분에 의해서 케이싱(21)의 외부와 소통하는 수집 공간(425)에 위치될 수 있다.
대안으로, 방출관은 또한 커버에 구비되고 비커형 몸체(21)의 하부로부터 나오는 케눌라(cannula)에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것으로 고려하여 필터 그룹(10)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필터 그룹(10)을 작동시키기 위해서, 연결 캡(26)이 먼저 관통구멍(251, 252)을 가리도록 사용된다.
그러면, 필터 카트리지(40)는 추가 밀봉 링(421)이 비커형 몸체(21)의 하부에 가까운 원통형 시팅의 하부에 남아있도록 비커형 몸체(21)로 축방향으로 삽입된다.
그러면, 커버(22)는, 예컨대 나사결합에 의해서, 비커형 몸체(21) 상에 폐쇄된다.
커버(22)를 폐쇄함으로써, 물 수위 센서(30)의 스템(32)은 필터 벽(43)의 내부 구멍, 특히 (제1 세로방향의 코어(45)의) 세로방향의 코어(45)로 삽입되어서, 하나 또는 두 개의 전기 접점(331, 332)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전도성 스트립(50)의 제2 노출된 부분(52)과 직접 접촉하게 된다.
(제2 노출된 부분(52) 및/또는) 전기 접점(331, 332)의 형태로 인해서, (세로방향의 코어(45) 및/또는) 팔터 카트리지(43)의 방향은 (커버(22))의) 물 수위 센서(30)의 방향에 대하여 중요하지 않다.
물 수위 센서(30)의 기능은 물 수위 센서의 구성 및 및/또는 사용된 수위 센서에 따라 다르다.
이하는 필터 그룹(10)에서 필터 카트리지(40)와 조합하여 물 수위 센서(30)의 일부 작동 방법들을 설명한다.
만약 물 수위 센서(30)가 달인 전기 접점(331 또는 332), 필터 카트리지 및 단일 전도성 스트립(50)을 나타낸다면 물 수위 센서(30)의 작동을 다음과 같다.
물 수위 센서(30)는 한 쌍의 전기 접점을 포함하며, 그 중 하나인 전기 접점(33)은 여과 중의 유체에 담가지며 다른 하나는 접지된다.
물은 디젤 오일 보다 큰 전기 전동성을 가지기 때문에, 전도성 스트립(50)이 완전히 디젤에 잠기는 경우, 일단 전자 회로에 전원이 공급된다면, 스트립(50)은 디젤의 전기 저항에 따른 전기 접점들의 헤드에서 전류 세기의 제1 값을 측정한다.
만약 케이싱(20)의 하부에 축적된 물이 전도성 스트립(50)의 노출된 부분(51, 52)을 일부분이라도 가로막을 정도의 수위에 도달하는 경우, 전자 회로는 물의 전기 저항에 따른 전류의 제2 강도 값을 전기 접점의 헤드에서 측정하며, 따라서, 전류 세기의 제1 값보다 크면, 제어 유닛에 상응하는 신호가 방출관(25)을 통하여 물의 비우도록 진행한다.
만약 물 수위 센서(30)가 도시된 것과 같이 두 개의 전기 접점(33)을 구비하는 경우, 필터 카트리지(40)는 두 개의 전도성 스트립(50)을 포함하며, 물 수위 센서(30)의 작동을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양 전기 접점(33)은 여과 중 유체에 잠기며, 전도성 스트립(50) 또한 잠긴다.
물이 디젤보다 큰 전기 저도성을 가지기 때문에, 모든 전도성 스트립(50)이 디젤 오일에 잠기는 경우, 전원이 공급된 전자 회로는 디젤 연료의 전기 저항에 따라 전기 접점(331, 332)의 헤드에서 전류 강도(intensity)의 제1 값을 측정한다.
만약 케이싱(20)의 후부에 축적된 물이 전도성 스트립(50)의 (모두 동일한 높이에 있는) 제1 노출된 부분(51)을 일부분이라도 접촉하는 것과 같은 수위에 도달한다면, 전자 회로는 물의 전기 저항에 따른 전류의 제2 강도 값을 전기 접점의 헤드에서 측정하며, 따라서, 전류 세기의 제1 값보다 크면, 제어 유닛에 상응하는 신호가 방출관(25)을 통하여 물의 비우도록 진행한다.
마지막으로, 필터 카트리지(40)가 저항기(55)을 포함하는 경우에, 저항은 (예컨대 물의 전기 저항보다 큰) 디젤의 전기 저항 및 물의 전기 저항 모두와 다른 전기 저항을 통하여 연결되어 두 개의 전도성 스트립(50)을 위치시킨다.
따라서, 케이싱이 비어있는 경우(또는 디젤 오일로 채워져 있는 경우), 일단 전원이 들어온 전자 회로는 저항기(55)(또는 디젤)의 전기 저항에 따른 전기 접점(331, 332)의 헤드에서 전류 강도의 기준 값을 측정한다.
전자 회로 및 제어 유닛은 탐지된 강도 값이 기준 값과 다른 경우 알람 신호를 발송하도록 구성되며, 이는 삽입된 필터 카트리지(40)가 결정된 필터 그룹에서 설계된 본래의 기능을 하지 못한다는 신호일 수 있다.
임의의 경우에, 전도성 스트립(50) 모두가 디젤에 잠긴다면, 전원을 공급받은 전자 회로는 저항기(55) 및 디젤의 전기 저항에 따른 전기 접점(331, 332)의 헤드에서 전류 강도의 제1 값을 측정한다.
만약 케이싱(20)의 하부에 축적된 물이 전도성 스트립(50)의 제1 노출된 부분(51)을 일부분이라도 가로막을 정도의 수위에 도달하는 경우, 전자 회로는 물의 전기 저항에 따른 전류의 제2 강도 값을 전기 접점(33)의 헤드에서 측정하며, 따라서, 전류 세기의 제1 값보다 크면, 제어 유닛에 상응하는 신호가 방출관(25)을 통하여 물의 비우도록 진행한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원리 내에서 허용 가능한 많은 변형 및 변경을 포함한다.
또한, 모든 세부사항은 다른 기술적으로 동일한 요소로 교체될 수 있다.
실제로, 사용된 재료뿐만 아니라 형상 및 치수는 이항의 청구항들의 보호 범위 안에서 제한사항에 따라 임의의 것일 수 있다.

Claims (16)

  1. 복수의 레디얼 개구(450)를 구비하고 적어도 전기 절연 재료로 만들어진, 필터 벽(43)의 내부 구멍에 축방향으로 삽입되는 적어도 세로방향의 코어(45), 및 관형 형상을 가지는 필터 벽(43)을 포함하는 유체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카트리지(40)로서,
    상기 필터 카트리지(40)는 세로 방향의 코어에 고정되고 전기 전도 재료로 만들어진 전도성 스트립(50)을 적어도 포함하며,
    상기 전도성 스트립(50)은 필터 벽(43)의 내부 구멍의 축방향의 외부로 돌출하고 세로방향의 코어로부터 노출된 제1 노출된 부분(51), 및 제1 노출된 부분(51)과 축방향으로 다른 높이에 위치되고 세로방향의 코어로부터 제2 노출된 노출(52)을 구비하는 필터 카트리지(40).
  2. 제 1 항에 있어서,
    제2 노출된 부분(52)은 필터 벽(43)의 내부 구멍의 안쪽에 배열되는 필터 카트리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제2 노출된 부분(52)은 제1 노출된 부분(51)의 반대편에서 필터 벽(43)의 내부 구멍 외부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필터 카트리지.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도성 스트립(50)은 세로방향의 코어(45)의 세로방향의 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세로방향의 축에 배열된 연장한(elongate) 몸체를 포함하는 필터 카트리지.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쌍의 전도성 스트립(50)을 포함하는 필터 카트리지.
  6. 제 5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전도성 스트립(50)의 전도성 스트립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격리되는 필터 카트리지.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전도성 스트립(50)의 전도성 스트립들(50)은 세로방향의 코어(45)에 고정된 적어도 저항기(55)에 의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필터 카트리지.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전도성 스트립(50)의 전도성 스트립들(50)의 제1 노출된 부분(51)은 축방향으로 동일한 높이에 있는 반면,
    한 쌍의 전도성 스트립(50)의 전도성 스트립들(50)의 제2 노출된 부분(52)은 축방향으로 다른 높이에 있는 필터 카트리지.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도성 스트립(50)은 세로방향의 코어(45)에 삽입되거나 끼워지는 레디얼 방향에 실질적으로 배열된 세로방향을 축을 가지는 레디얼 부분(53)을 적어도 나타내는 필터 카트리지.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로방향의 코어(45)는 필터 벽(4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필터 카트리지.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망(46)이 레디얼 개구(450)를 가로막는 방식으로 세로방향의 코어(45)에 고정되며,
    망(46)은 디젤 연료로부터 물을 분리할 수 있는 필터 카트리지.
  12. 필터될 유체의 주입구(23) 및 필터될 유체의 배출구(24)를 구비하는 외부 케이싱(20);
    필터 벽(43)이 주입구(23)애서 배출구(24)로 흐르는 유체에 의해서 가로질러지고 전도성 스트립(50)의 제1 노출된 부분(51)이 케이싱의 하부에 가까운 전도성 스트립(50)의 하단에 있도록, 케이싱의 내부에 보관되는 제1 항 내지 제 11 항에 따른 필터 카트리지(40); 및
    케이싱(20)과 결합된 디젤 연료(30)에서 물 센서의 적어도 전기 접점(331, 332);를 포함하는 필터 그룹(10)으로서,
    필터 카트리지(40)가 케이싱(20)의 내부에 보관될 때, 전도성 스트립(50)이 전기 접점(331, 332)을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방식으로, 전도성 스트립(50)의 제2 노출된 부분(52)은 적어도 전기 접점(331, 332)과 접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그룹.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전기 접점(331, 332)은 세로방향의 코어(50)의 내부 구멍에 삽입된 스템(32)에 의해서 지지되는 필터 그룹.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전기 접점(331, 332) 또는 제2 노출된 부분(52)은 전기 전도 재료로 만들어진 환형 몸체를 포함하는 필터 그룹.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젤 연료(30)에서 물 수위 센서는 서로 전기적으로 고립된 한 쌍의 전기 접점(331, 332)을 포함하는 필터 그룹.
  16. 제 15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전기 접점(331, 332)의 전기 접점들(331, 332)는 케이싱(20)의 안쪽에서 축방향으로 다른 높이에 위치되는 필터 그룹.
KR1020167023615A 2014-02-27 2015-02-05 필터 코어에 고정된 물 센서가 있는 필터 그룹 및 필터 카트리지 KR1022711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RE20140015 2014-02-27
ITRE2014A000015 2014-02-27
PCT/IB2015/000129 WO2015128711A1 (en) 2014-02-27 2015-02-05 Filter cartridge and filter group with water sensor fixed to the filter co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977A true KR20160125977A (ko) 2016-11-01
KR102271190B1 KR102271190B1 (ko) 2021-07-01

Family

ID=50487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3615A KR102271190B1 (ko) 2014-02-27 2015-02-05 필터 코어에 고정된 물 센서가 있는 필터 그룹 및 필터 카트리지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731236B2 (ko)
EP (1) EP3110522B1 (ko)
JP (1) JP6454719B2 (ko)
KR (1) KR102271190B1 (ko)
CN (1) CN106457094B (ko)
CA (1) CA2939422C (ko)
ES (1) ES2663633T3 (ko)
MX (1) MX355549B (ko)
WO (1) WO20151287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010997B4 (de) 2014-07-29 2016-08-11 Mann + Hummel Gmbh Wasserabscheideelement mit Wasserdetektionselektroden
GB2552542A (en) * 2016-07-29 2018-01-31 Perkins Engines Co Ltd Fuel filter assembly
IT201600082879A1 (it) * 2016-08-05 2018-02-05 Ufi Innovation Ct Srl assieme cartuccia con elemento anulare di fissaggio
IT201600082909A1 (it) * 2016-08-05 2018-02-05 Ufi Innovation Ct Srl Assieme cartuccia con elemento anulare di contatto
WO2018075058A1 (en) 2016-10-21 2018-04-26 Cummins Filtration Ip, Inc. Bowl for filter assemblies
PL3618939T3 (pl) * 2017-04-30 2023-08-07 Mann+Hummel Gmbh Obudowa olejowa, element filtracyjny i zespół zaworowy do zapewniania zmian objętości wstępnie wprowadzonego oleju
IT201800004830A1 (it) * 2018-04-24 2019-10-24 Gruppo cartuccia per la filtrazione di carburante
IT201800009624A1 (it) * 2018-10-19 2020-04-19 Ufi Filters Spa Filtro carburante
DE102018133331A1 (de) 2018-12-21 2020-06-25 Hengst Se Filtereinsatz mit Wasserstandsensoren
CN112443437B (zh) * 2019-08-30 2024-01-23 上海索菲玛汽车滤清器有限公司 燃油滤清器
DE102020002769A1 (de) 2020-05-09 2021-11-11 Hydac Fluidcarecenter Gmbh Filter
CN115419532B (zh) * 2022-09-20 2024-03-08 众恒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带温控装置的柴油泵总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3804U (ko) * 1980-08-26 1982-03-10
JP2003049733A (ja) * 2001-07-20 2003-02-21 Robert Bosch Gmbh 燃料フィルタ
US20040069694A1 (en) * 2002-10-10 2004-04-15 Gamble Paul A. Fuel system including a water sensor, and a method of installing the water sensor in the fuel system
US20100000916A1 (en) * 2006-02-06 2010-01-07 Hengst Gmbh & Co. Kg Fluid Filter Comprising a Protected Liquid Senso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7550Y2 (ko) * 1979-01-10 1982-06-16
JPS5768166U (ko) * 1980-10-14 1982-04-23
JPS5941654A (ja) * 1982-08-31 1984-03-07 Tsuchiya Mfg Co Ltd 自動排水燃料フイルタ装置
US4512882A (en) * 1983-10-18 1985-04-23 Donaldson Company, Inc. Single-ended, spin-on fuel water separator
DE3829190C1 (ko) * 1988-08-29 1989-11-23 Knecht Filterwerke Gmbh, 7000 Stuttgart, De
JP4537005B2 (ja) * 2001-05-22 2010-09-01 マーレ フィルタージステーメ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内燃機関の燃料フィルタ
KR20030025333A (ko) * 2001-09-20 2003-03-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필터의 워터 센서구조
US7275430B2 (en) * 2005-10-07 2007-10-02 Beckman Coul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liquid levels in liquid-storage containers
JP2007126981A (ja) * 2005-11-01 2007-05-24 Mitsubishi Electric Corp 燃料供給装置
ITRE20050139A1 (it) * 2005-12-13 2007-06-14 Ufi Filters Spa Filtro per carburante diesel con riscaldatore
DE102007031382A1 (de) * 2007-06-26 2009-01-08 Hengst Gmbh & Co.Kg Kraftstofffilter mit Filtererkennung
DE202009000429U1 (de) * 2009-01-12 2010-05-27 Mann + Hummel Gmbh Kraftstofffilter mit Wasseraustragsrohr
DE102009029413A1 (de) * 2009-09-14 2011-03-17 Robert Bosch Gmbh Filtereinrichtung mit einer Heizung und einem Wassersensor
IT1404008B1 (it) * 2011-02-04 2013-11-08 Ufi Filters Spa Componente per filtri
US9279780B2 (en) * 2012-04-30 2016-03-08 Cummins Filtration Ip, Inc. Filters, filter assemblies, filter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installation of qualified filter elemen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3804U (ko) * 1980-08-26 1982-03-10
JP2003049733A (ja) * 2001-07-20 2003-02-21 Robert Bosch Gmbh 燃料フィルタ
US20040069694A1 (en) * 2002-10-10 2004-04-15 Gamble Paul A. Fuel system including a water sensor, and a method of installing the water sensor in the fuel system
US20100000916A1 (en) * 2006-02-06 2010-01-07 Hengst Gmbh & Co. Kg Fluid Filter Comprising a Protected Liquid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663633T3 (es) 2018-04-16
MX355549B (es) 2018-04-23
CN106457094A (zh) 2017-02-22
CA2939422A1 (en) 2015-09-03
CA2939422C (en) 2022-04-12
US20170065916A1 (en) 2017-03-09
EP3110522A1 (en) 2017-01-04
WO2015128711A1 (en) 2015-09-03
JP2017508608A (ja) 2017-03-30
CN106457094B (zh) 2021-09-28
JP6454719B2 (ja) 2019-01-16
EP3110522B1 (en) 2018-01-10
MX2016011088A (es) 2017-02-28
KR102271190B1 (ko) 2021-07-01
US9731236B2 (en) 2017-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25977A (ko) 필터 코어에 고정된 물 센서가 있는 필터 그룹 및 필터 카트리지
JP6517192B2 (ja) ディーゼル燃料中の水の存在検知器を備えたフィルタ群
US11850539B2 (en) Fuel filter device
JP6669753B2 (ja) 排水手段が設けられているフィルタ・カートリッジおよび関連フィルタ群
CN107405547A (zh) 过滤设备
JP7461939B2 (ja) 燃料フィルター
JPS6036325Y2 (ja) 燃料フイルタ
BR112016019776B1 (pt) Cartucho de filtro e conjunto de filtr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