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5706A - 극소형 이미지 패턴을 가지는 렌즈시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극소형 이미지 패턴을 가지는 렌즈시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5706A
KR20160125706A KR1020150056496A KR20150056496A KR20160125706A KR 20160125706 A KR20160125706 A KR 20160125706A KR 1020150056496 A KR1020150056496 A KR 1020150056496A KR 20150056496 A KR20150056496 A KR 20150056496A KR 20160125706 A KR20160125706 A KR 20160125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image
lens
image pattern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6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현
Original Assignee
김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현 filed Critical 김종현
Priority to KR1020150056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5706A/ko
Publication of KR20160125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7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62Stacked lens arrays, i.e. refractive surfaces arranged in at least two planes, without structurally separate optical elements in-betwe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317Production of lenses with markings or patterns
    • B29D11/00326Production of lenses with markings or patterns having particular surface properties, e.g. a micro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03Producing compound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87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index gradient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21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with pattern for identification or with cosmetic or therapeutic eff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렌즈층, 상기 제1 렌즈층과 대면되도록 형성된 제3 렌즈층, 상기 제1 렌즈층 및 제3 렌즈층 사이에서 상기 제1렌즈층 및 제3렌즈층과 굴절률이 다른 재질로 성형된 제2 굴절층을 포함하는 집적 렌즈층; 상기 집적 렌즈층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집적 렌즈층의 초점거리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초점거리 유지층; 상기 초점거리 유지층 하부에 형성되는 제2 이미지 패턴층; 및 상기 제2 이미지 패턴층 하부에 상기 집적렌즈층의 초점거리를 벗어난 비초점거리상에 형성되며, 제1 이미지가 인쇄된 제1 이미지 인쇄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이미지 패턴층은 제2 이미지 레이어에 제2 이미지 패턴용 홈을 형성시키고, 상기 제2 이미지 패턴용 홈에 고체분말을 매립시켜서 제2 이미지 패턴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소형 이미지 패턴을 가지는 렌즈시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극소형 이미지 패턴을 가지는 렌즈시트 및 그 제조방법 {Lens sheet having miniature type image pattern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 same}
본 발명은 본 발명은 극소형 이미지 패턴을 가지는 렌즈시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중 이미지 렌즈시트는 배면에 형성된 제1 이미지는 일반적인 시각거리에서 인쇄된 패턴이 그대로 표현되도록 하고 다른 층에 형성된 제2 이미지는 볼록렌즈의 초점거리에 맞도록 형성하여 가까이 볼 때만 제2 이미지가 보이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이중 이미지 렌즈시트는 지폐 유가증권 상품권 카드 담배 신분증 브랜드보호상표 물품 등의 진품표시 및 라벨표시 등을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라벨용 이중 이미지 렌즈시트는 부착면에 대한 간섭을 줄이기 위하여 좀더 작아지고 슬림형일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제2 이미지의 패턴은 일반적인 시각거리에서는 제1이미지 패턴과 간섭을 줄여서 안보이다가 특정한 거리에서만 보이게 하기 위해서는 보다 가늘게 패턴이 형성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제1, 2 이미지는 모두 인쇄 방식으로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액체형 인쇄나 프린팅은 인쇄 표면과 경계 부위가 거칠기 때문에 어느 정도 크기 이하에서는 정밀하고 가늘게 표현하기가 곤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40702호에 게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140702(3차원 입체인쇄물용 볼록 집적렌즈층을 가진 시트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볼록 집적렌즈층을 가진 시트 및 볼록 집적렌즈층을 가진 시트로 인쇄한 3차원 입체인쇄물)
본 발명은 보다 정밀하고 가늘게 표현되는 극소형 2차 이미지 패턴을 가지는 렌즈시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반적인 시각 이미지는 인쇄로 구현하고 히든 이미지는 분말을 매립하는 구조로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이미지 패턴을 구현할 수 있는 렌즈시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렌즈층, 상기 제1 렌즈층과 대면되도록 형성된 제3 렌즈층, 상기 제1 렌즈층 및 제3 렌즈층 사이에서 상기 제1 렌즈층 및 제3 렌즈층과 굴절률이 다른 재질로 성형된 제2 굴절층을 포함하는 집적 렌즈층; 상기 집적 렌즈층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집적 렌즈층의 초점거리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초점거리 유지층; 상기 초점거리 유지층 하부에 형성되는 제2 이미지 패턴층; 및 상기 제2 이미지 패턴층 하부에 상기 집적렌즈층의 초점거리를 벗어난 비초점거리 상에 형성되며, 제1 이미지가 인쇄된 제1 이미지 인쇄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이미지 패턴층은 제2 이미지 레이어에 제2 이미지 패턴용 홈을 형성시키고, 상기 제2 이미지 패턴용 홈에 고체분말을 매립시켜서 제2이미지 패턴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소형 이미지 패턴을 가지는 렌즈시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이미지 레이어에 제1 이미지를 인쇄하여 제1 이미지면을 형성하는 제1 이미지 인쇄층 형성 단계; 상기 제1 이미지 인쇄층 상부에 제2 이미지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이미지 패턴층 상부에 투명 수지로 이루어진 초점거리 유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초점거리 유지층 상부에 집적렌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이미지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2 이미지 레이어에 제2 이미지 패턴용 홈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이미지 패턴용 홈에 고체분말을 매립시켜서 제2 이미지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소형 이미지 패턴을 가지는 렌즈시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종래의 액체 프린팅 대신, 고체분말을 분사시켜서 제2이미지 패턴용 홈에 매립시키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문자 또는 이미지의 형상을 보다 정교하고 미세하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이미지 표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종래의 액체 도료를 사용하는 인쇄기법은 표면 및 경계부위가 거칠기 때문에 10nm 정도의 극소형 이미지 형상으로 인쇄하였을 때, 선명하게 표현되기가 곤란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에 고체분말을 매립시키는 방법은 10nm굵기로 선명한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이미지는 상품로고를 나타내고 제2 이미지는 위조방지 문구 및 QR코드를 나타내도록 하는 등 다양한 이미지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일반적인 시각 이미지는 인쇄로 구현하고 히든 이미지는 분말을 매립하는 구조로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이미지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극소형 이미지 패턴을 가지는 렌즈 시트의 단면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폐층에 전자부품이 장착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이미지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제1 이미지 레이어의 상부면에 제1 이미지를 인쇄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제1 이미지 인쇄층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제1 이미지 레이어의 하부면에 제1 이미지를 인쇄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이미지 패턴층의 제2 이미지에 대한 패턴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2 이미지 패턴용 홈을 형성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집적렌즈층(40)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집적렌즈층(40)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극소형 이미지 패턴을 가지는 렌즈 시트의 단면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극소형 이미지 패턴을 가지는 렌즈 시트(1)는, 차폐층(10), 제1 이미지 인쇄층(20), 제2 이미지 패턴층(30), 초점거리 유지층(60), 집적렌즈층(40), 및 상부 코팅층(5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극소형 이미지 패턴을 가지는 렌즈 시트는 차폐층(10) 형성 단계, 제1 이미지 인쇄층(20) 형성 단계, 제2 이미지 패턴층(30) 형성 단계, 초점거리 유지층(60) 형성단계; 집적렌즈층(40) 형성 단계 및 상부 코팅층(50) 형성 단계를 포함한다.
차폐층(10) 형성 단계에서 차폐층(10)은 광을 차폐시키기 위하여 반투명막 시트나 반사막 시트 광차폐막 시트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차폐층(10)에 전자 부품을 포함하여 장착될 수 있다.
도 2는 차폐층에 통신용 안테나 및 칩이 포함되어 장착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따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치 차폐층(10)에는 근거리통신용 안테나(61), IC카드칩(62), 개인 인식용 칩(63), RFID 칩(64) 기타 반도체 칩(65) 등 전자부품이 내장될 수 있다.
상기 전자부품은 상기 차폐층 레이어에 장착용 홈을 형성하고 필요한 전자부품을 내장할 수 있다.
또한, 근거리통신용 안테나(61)는 극소형 홈을 형성한 뒤 금속 분말을 분사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위와 같이 렌즈 시트에 근거리 안테나 및 전자 칩을 내장함으로써, 렌즈시트 기능과 더불어 IC카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제1 이미지 인쇄층 형성단계에서는 상기 차폐층(10) 상부에 제1 이미지 인쇄층(20)을 형성한다.
제1 이미지 인쇄층(20)은 일반적인 시각거리에서 집적렌즈층(40)을 투과하여제1 이미지를 명확하게 볼 수 있도록 제1 이미지 레이어에 제1 이미지의 인쇄면이 형성된 시트층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이미지 인쇄층(20)은 염료나 안료를 이용하여 제1 이미지 레이어에 제1 이미지를 형성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인쇄된 제1이미지시트를 제1 이미지 레이어에 접착 등에 의하여 붙일 수 있다.
상기 제1 이미지 레이어는 폴리메탈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투명 수지 등의 필름 형태로 구성된다.
제1 이미지 인쇄층(20)의 제1이미지 인쇄면은 상기 집적렌즈층(40)의 초점에서 벗어난 비초점거리 상에 위치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이미지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1 이미지 인쇄층 형성단계에서는 제1 이미지 레이어(21)의 하부면 또는 상부면에 제1 이미지를 인쇄하여 제1이미지 인쇄면(22, 23)을 형성하는 공정이 포함된다.
도 4는 제1 이미지 레이어의 상부면에 제1 이미지를 인쇄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제1 이미지 인쇄층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제1 이미지 레이어의 하부면에 제1 이미지를 인쇄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와 같이 제1 이미지 레이어(21)의 하부면에 인쇄면(22)을 형성할 경우 제2 이미지 패턴면과 거리 간격을 유지하기가 도 3의 실시 예보다 유리하며, 극소형 이미지 패턴을 가지는 렌즈 시트의 전체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제1 이미지 인쇄층(20)의 상부에 제2 이미지 패턴층(20)을 형성하는 제2 이미지 패턴층 형성단계가 수행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이미지 패턴층의 제2 이미지에 대한 패턴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시트(1)는 일반적인 시각거리에서는 제1 이미지만 보이고 제2 이미지는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10cm 미만으로 근접하여 드려다 보면 도 6와 같은 제2 이미지(히든 이미지)가 보이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이미지(히든 이미지)는 연속된 배열된 KS문자로 나타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이미지는 1 ~ 20 개의 기호, 문자로 표기할 수 있으며 규칙 또는 불규칙적으로 표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이미지(히든 이미지)는 기호, 문자, 심볼, Bar/QR Code 등을 혼용하여 배열될 수 있다.
제2 이미지 패턴층(30)의 제2 이미지면은 집적렌즈층(40)의 초점거리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시각거리에서는 보이지 않고, 집적렌즈에 근접하게 드려다 볼 때만 제2 이미지를 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이미지 패턴층 형성단계에서는 제2 이미지 레이어(31)의 상부에 이미지 형성에 따른 이미지 패턴용 홈(32, 33)을 생성하는 단계 및 형성된 제2 이미지 패턴용 홈(32, 33)에 고체 분말(101)을 매립시켜서 제2 이미지 패턴을 형성하는 고체 분말 매립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이미지 레이어는 폴리메탈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투명 수지 등의 필름 형태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종래의 액체 프린팅 대신, 고체분말을 분사시켜서 제2 이미지 패턴용 홈에 매립시키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문자 또는 이미지의 형상을 보다 정교하고 미세하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이미지 표현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종래의 액체 도료를 사용하는 인쇄기법은 표면 및 경계부위가 거칠기 때문에 10nm 정도의 극소형 이미지 형상으로 인쇄하였을 때, 선명하게 표현되기가 곤란하였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에 고체분말을 매립시키는 방법은 10nm굵기로 선명한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패턴용 홈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홈이 형성된 금형에 수지를 몰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패턴 마스크를 사용하는 가시광에 의한 포토리소그라피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공지된 자외선 레이저 간섭법이나 전자선 리소그라피법을 이용하여 홈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들의 방법에서는, 시트상에 형성된 레지스트층을 자외선 레이저 간섭광이나 전자선에서 노광하여 현상해서 레지스트 패턴층을 형성하고, 이 레지스트 패턴층을 마스크로 이용하여 드라이 에칭법 등에 의해 미세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나노임프린트 기술에 의하여 미소한 홈 구조를 형성시킬 수 있다. 나노임프린트 방법을 사용하면 몰드로 제작되기 때문에 몰드만 제작할 수 있으면, 포토리소그래피 방법보다 세밀하고 지극히 미세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2 이미지 패턴용 홈을 형성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이미지 패턴층(30)의 제2 이미지 패턴용 홈(32 ~ 35)은 제2 이미지 레이어(31)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제2 이미지 레이어(31)의 상부면에 제2 이미지 패턴용 홈(32, 33)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제2 이미지 레이어(31)의 하부면에 제2 이미지 패턴용 홈(34, 35)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7,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이미지 패턴 홈은 초점거리 하단에 2~3 차원의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인 구조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홈의 폭은 10nm ~500um로 형성된다.
또한, 깊이는 0.005mm ~ 0.15mm 범위 내에서 일정한 깊이 또는 불규칙한 깊이나 경사진 깊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양한 실험 결과, 이미지 패턴용 홈의 깊이가 0.005mm 미만에서는 고체분말의 매립시 불량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최소 깊이는 0.005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미지 패턴용 홈의 깊이가 0.15mm이상일 경우에는 제2 이미지 패턴층(30)의 두께도 같이 증가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전체적인 렌즈시트의 두께가 두꺼워지게 되므로 최대 깊이는 0.15mm까지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홈의 깊이를 불규칙한 깊이로 형성하게 되면, 컬러 매립 후에 표현되는 색감의 명도를 이미지 형태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 컬러를 표현하기 위하여, 먼저 생성된 제2 이미지 패턴용 홈 상부에 제1 컬러 형성용 홈을 제외하고 나머지를 마스킹한 제1 마스크층을 형성한 후, 제1 컬러 고체분말을 상기 제1 마스크층 상부로부터 분사하여 제1컬러 형성용 홈에 제1 컬러 고체분말을 매립시키는 제1 컬러 매립 단계가 수행된다. 이후, 상기 제1 마스크층 및 상부면에 분사된 잔여물을 제거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잔여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거치면서 제1 컬러 고체분말은 제1컬러 형성용 홈에 상부면과 동일한 수평면을 가지며 평탄하게 매립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제2 이미지 패턴용 홈 상부에 제2 컬러 형성용 홈을 제외하고 나머지를 마스킹한 제2 마스크층을 형성하고 제2 컬러 고체분말을 분사하여 제2컬러 형성용 홈에 제2 컬러 고체분말을 매립시키는 제2 컬러 매립단계; 및 제2마스크층 및 분사된 잔여물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복수의 컬러 패턴을 형성한다.
2컬러 이상인 경우는 위와 같은 공정을 컬러별로 반복하여 제2 이미지 패턴이 완성될 수 있다.
즉, 다양한 컬러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컬러를 가진 제2 이미지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제2 이미지 패턴용 홈 상부에 제1 컬러 형성용 홈을 제외하고 나머지를 마스킹한 패턴의 제1 마스크층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마스킹층 상부로 제1 컬러 고체분말을 분사하여 제1컬러 형성용 홈에 제1컬러 고체분말을 매립시키는 제1 컬러 형성 단계; 제1 마스크층 및 분사된 상부면의 잔여물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홈 상면에 제n 컬러 형성용 홈을 제외하고 나머지를 마스킹한 패턴의 제n 마스크층을 형성하고 상기 n마스크층 상부로 제n 컬러 고체분말을 분사하여 제n컬러 형성용 홈에 제n컬러 고체분말을 매립시키는 제n 컬러 형성 단계; 제n마스크층 및 분사된 상부면의 잔여물을 제거하는 단계; (n은 2 이상의 자연수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고체분말은 특정 색을 가지는 금속 분말, 세라믹 분말 또는 염료용 고체 분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이미지 패턴층(30)의 두께는 0.01mm ~ 0.3mm로 형성된다.
다양한 실험결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두께가 0.01mm 이하가 되면, 이미지 패턴 홈 형성시 불량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2 이미지 패턴층(30)의 두께는 0.01mm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두께가 0.3mm이상이 되면 전체 렌즈시트의 두께가 두꺼워져서 부착 매체로서 상품성 및 적용성이 떨어지고 부착시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이미지 패턴은 위조방지를 위한 특정 기호(도 6을 참조하면 연속되는 ks문양)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이미지는 상품로고 등으로 인쇄를 하고 제2 이미지 패턴은 QR코드를 나타낼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캔시 통상적으로 근접하여 접촉하는 방식으로 스캔을 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극소형 이미지 패턴을 포함하는 렌즈시트 상면을 스캐너를 이용하여 QR스캔을 하면 QR패턴에 따라 해당 계정으로 안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형성방법으로, 제1 이미지는 상품로고 등으로 형성하고 제2 이미지 패턴은 QR코드로 형성하게 되면, 제1 이미지인 상품로고를 보고 스캔을 하면, 시각적으로 QR코드인 제2 이미지 패턴은 보이지 않더라도, 제2 이미지 패턴의 QR코드가 스캔되어, 해당 계정 주소로 안내되어 상품정보나 필요한 정보를 안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일반적인 시각 이미지는 인쇄로 구현하고 히든 이미지는 분말을 매립하는 구조로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이미지 패턴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이미지층의 상층부에 형성된 제2 이미지 패턴층의 이미지를 극소형 패턴으로 구현함으로써, 제2 이미지 패턴층의 투과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2 이미지 패턴이 형성된 상부면을 자외선 경화용 수지(UV 수지)로 코팅하는 제1 코팅 공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제2 이미지 패턴층(30) 상부에 초점거리 유지층(60)을 장착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초점거리 유지층(60)은 집적렌즈층(40)의 곡률반경에 따라 적절한 초점거리를 맞추어 주는 두께를 가지는 투명수지 레이어로 형성된다.
다음은 상기 초점거리 유지층(60) 상부에 집적렌즈층(40)을 장착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초점거리 유지층(60)은 상기 집적렌즈층(40)의 제3 렌즈층(42) 하부에 포함되어 일체형으로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집적렌즈층(40)은 제1 렌즈층(41) 제2 굴절층(43) 및 제3 렌즈층(42)을 포함한다.
집적렌즈층(40)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글리콜 변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G), APET, PP, PS, PVC, 아크릴, UV, 폴리카보네이트(PC) 및 폴리메탈메타크릴레이트(PMMA) 등의 투명한 수지가 하나 이상이 결합되어 형서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집적렌즈층(40)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집적렌즈층의 제1 렌즈층(41) 및 제3 렌즈층(42)은 렌티큘러 렌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렌즈층(42)은 하부면이 집적렌즈층(40)의 초점거리를 유지시킬 수 있는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초점거리 유지층을 포함하여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집적렌즈층(40)은 하측면에 원주형 렌즈가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측면이 평판형으로 형성된 제1 렌티큘라 렌즈층(41)과, 상측면에 원주형 렌즈가 평행하게 배열되고 하측면이 평판형으로 형성된 제3 렌티큘라 렌즈층(42)이 마주보도록 배열되며, 상기 제1 렌티큘라 렌즈층과 제3 렌티큘라 렌즈층 사이를 상기 제1 렌티큘라 렌즈층과 제3 렌티큘라 렌즈층과 굴절률이 다른 제2 굴절층(43)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렌티큘러 렌즈층(41)과 제3 렌티큘러 렌즈층(42)은 상기 원주가 향하는 방향이 45° ~ 90°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집적렌즈층(40)의 상부를 평판형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굴곡진 렌즈면이 상부로 배치되는 것에 비하여 렌즈 마모를 방지할 수 있으며,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원주형 렌즈가 배열된 렌티큘러 렌즈는 수직 패턴의 입체감만 유지하게 되고, 원주의 수평배열 구조에 따라 사용시 원주의 골 부분에 음영부분이 발생될 수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집적렌즈층(40)은 상하 렌티큘러 렌즈층을 45° ~ 90° 엇갈리도록 배치함으로써, 음영부분을 방지하고 전방향 입체감을 나타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집적렌즈층(40)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집적렌즈층(40)은 하측면에 원주형 렌즈가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측면이 평판형으로 형성된 제1 렌티큘라 렌즈층(41)과, 상측면에 방사형 마이크로 볼록 렌즈가 평행하게 배열되고 하측면이 평판형으로 형성된 제3 방사형 마이크로 볼록 렌즈층(44)이 마주보도록 배열되며, 상기 제1 렌티큘라 렌즈층(41)과 제3 방사형 마이크로 볼록 렌즈층(44) 사이를 상기 제1 렌티큘라 렌즈층과 제3 방사형 마이크로 볼록 렌즈층(44)과 굴절률이 다른 제2 굴절층(43)으로 형성된다.
도 10의 실시 예에 따르면, 렌티큘러 렌즈층 배열만으로 사용시 발생될 수 있는 음영 부분 및 렌티큘러 렌즈에서 구현되지 않는 다른 방향의 입체감을 제3 방사형 마이크로 볼록 렌즈층(44)이 보완하여 음영부분을 방지하고 전방향 입체감을 나타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집적렌즈층(40)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집적렌즈층(40)은 하측면에 방사형 마이크로 볼록 렌즈가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측면이 평판형으로 형성된 제1 방사형 마이크로 볼록 렌즈층(45)과, 상측면에 방사형 마이크로 볼록 렌즈가 평행하게 배열되고 하측면이 평판형으로 형성된 제3 방사형 마이크로 볼록 렌즈층(44)이 마주보도록 배열되며, 상기 제1 방사형 마이크로 볼록 렌즈층(45)과 제3 방사형 마이크로 볼록 렌즈층(44) 사이를 상기 제1 방사형 마이크로 볼록 렌즈층(45) 및 제3 방사형 마이크로 볼록 렌즈층(44)과 굴절률이 다른 제2 굴절층(43)으로 성형하여 형성된다.
도 11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하로 방사형 마이크로 볼록 렌즈층을 마주보도록 형성함으로써, 음영부분을 방지하고 전방향 입체감을 나타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1: 렌즈 시트
10: 차폐층
20: 제1 이미지 인쇄층
21: 제1 이미지 레이어
22, 23: 인쇄면
30: 제2 이미지 패턴층
31: 제2 이미지 레이어
32 ~35: 제2 이미지 패턴용 홈
40: 집적렌즈층
41, 42: 렌티큘러 렌즈
43: 굴절층
44, 45: 방사형 마이크로 볼록렌즈
50: 상부 코팅층
60: 초점거리 유지층(60)
61: 근거리통신용 안테나
62: IC카드칩
63: 개인 인식용 칩
64: RFID 칩
65: 반도체 칩
101: 고체분말

Claims (11)

  1. 제1 렌즈층, 상기 제1 렌즈층과 대면되도록 형성된 제3 렌즈층, 상기 제1 렌즈층 및 제3 렌즈층 사이에서 상기 제1 렌즈층 및 제3 렌즈층과 굴절률이 다른 재질로 성형된 제2 굴절층을 포함하는 집적 렌즈층;
    상기 집적 렌즈층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집적 렌즈층의 초점거리 간격을 유지시켜주는 초점거리 유지층;
    상기 초점거리 유지층 하부에 형성되는 제2 이미지 패턴층; 및
    상기 제2 이미지 패턴층 하부에 상기 집적 렌즈층의 초점거리를 벗어난 비초점거리 상에 형성되며, 제1 이미지가 인쇄된 제1 이미지 인쇄층; 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이미지 패턴층은 제2 이미지 레이어에 제2 이미지 패턴용 홈을 형성시키고, 상기 제2 이미지 패턴용 홈에 고체분말을 매립시켜서 제2이미지 패턴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소형 이미지 패턴을 가지는 렌즈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미지 패턴용 홈은 서로 다른 깊이와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소형 이미지 패턴을 가지는 렌즈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미지 패턴용 홈의 폭은 10nm ~500um, 깊이는 0.005mm ~ 0.15mm 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소형 이미지 패턴을 가지는 렌즈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미지 패턴은 QR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소형 이미지 패턴을 가지는 렌즈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 인쇄층 하부에 반 투명막 시트 또는 광차폐막시트로 형성된 차폐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차폐층에는 근거리통신용 안테나, IC카드칩, 개인 인식용 칩, RFID 칩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소형 이미지 패턴을 가지는 렌즈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층은 하측면에 원주형 렌즈가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측면이 평판형으로 형성된 제1 렌티큘라 타입의 렌즈층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3 렌즈층은 상측면에 원주형 렌즈가 평행하게 배열되고 하측면이 평판형으로 형성된 제3 렌티큘라 렌즈 타입 렌즈층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렌즈층과 제3 렌즈층은 원주가 향하는 방향이 45° ~ 90°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소형 이미지 패턴을 가지는 렌즈시트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층은 하측면에 원주형 렌즈가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측면이 평판형으로 형성된 제1 렌티큘라 타입의 렌즈층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3 렌즈층은 상측면에 방사형 마이크로 볼록 렌즈가 평행하게 배열되고 하측면이 평판형으로 형성된 제3 방사형 마이크로 볼록 렌즈 타입의 렌즈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소형 이미지 패턴을 가지는 렌즈시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층은 하측면에 방사형 마이크로 볼록 렌즈가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측면이 평판형으로 형성된 제1 방사형 마이크로 볼록 렌즈 타입의 렌즈층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3 렌즈층은 상측면에 방사형 마이크로 볼록 렌즈가 평행하게 배열되고 하측면이 평판형으로 형성된 제3 방사형 마이크로 볼록 렌즈 타입의 렌즈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소형 이미지 패턴을 가지는 렌즈시트
  9. 제1 이미지 레이어에 제1이미지를 인쇄하여 제1 이미지면을 형성하는 제1 이미지 인쇄층 형성 단계;
    상기 제1 이미지 인쇄층 상부에 제2 이미지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이미지 패턴층 상부에 투명 수지로 이루어진 초점거리 유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초점거리 유지층 상부에 집적렌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이미지 패턴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2 이미지 레이어에 제2 이미지 패턴용 홈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이미지 패턴용 홈에 고체분말을 매립시켜서 제2 이미지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소형 이미지 패턴을 가지는 렌즈시트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미지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이미지 패턴용 홈 상부에 제1 컬러 형성용 홈을 제외하고 나머지를 마스킹한 패턴의 제1 마스크층을 형성한 후, 상기 제1 마스킹층 상부로 제1 컬러 고체분말을 분사하여 상기 제1 컬러 형성용 홈에 제1 컬러 고체분말을 매립시키는 제1 컬러 형성 단계;
    상기 제1 마스크층 및 분사된 상부면의 잔여물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제2 이미지 패턴용 홈 상부에 제n 컬러 형성용 홈을 제외하고 나머지를 마스킹한 패턴의 제n 마스크층을 형성한 후, 상기 n마스크층 상부로 제n 컬러 고체분말을 분사하여 제n 컬러 형성용 홈에 제n 컬러 고체분말을 매립시키는 제n 컬러 형성 단계; 제n마스크층 및 분사된 상부면의 잔여물을 제거하는 단계; (n은 2 이상의 자연수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소형 이미지 패턴을 가지는 렌즈시트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분말은 금속분말, 세라믹 분말 또는 염료용 고체분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소형 이미지 패턴을 가지는 렌즈시트 제조방법
KR1020150056496A 2015-04-22 2015-04-22 극소형 이미지 패턴을 가지는 렌즈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257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496A KR20160125706A (ko) 2015-04-22 2015-04-22 극소형 이미지 패턴을 가지는 렌즈시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496A KR20160125706A (ko) 2015-04-22 2015-04-22 극소형 이미지 패턴을 가지는 렌즈시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706A true KR20160125706A (ko) 2016-11-01

Family

ID=57484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6496A KR20160125706A (ko) 2015-04-22 2015-04-22 극소형 이미지 패턴을 가지는 렌즈시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570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6871A1 (ko) * 2018-01-29 2019-08-01 주식회사 상보 필름시트 및 전사재
KR20200023580A (ko) * 2018-08-24 2020-03-05 주식회사 상보 이미지 필름 및 전사재
KR20200034085A (ko) * 2018-09-20 2020-03-31 주식회사 상보 다층구조를 갖는 입체 이미지 필름 및 전사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702B1 (ko) 2009-08-12 2012-04-25 (주) 하이테크에스씨 3차원 입체인쇄물용 볼록렌즈층을 가진 시트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볼록렌즈층을 가진 시트 및 볼록렌즈층을 가진 시트로 인쇄한 3차원 입체인쇄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702B1 (ko) 2009-08-12 2012-04-25 (주) 하이테크에스씨 3차원 입체인쇄물용 볼록렌즈층을 가진 시트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볼록렌즈층을 가진 시트 및 볼록렌즈층을 가진 시트로 인쇄한 3차원 입체인쇄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6871A1 (ko) * 2018-01-29 2019-08-01 주식회사 상보 필름시트 및 전사재
KR20200023580A (ko) * 2018-08-24 2020-03-05 주식회사 상보 이미지 필름 및 전사재
KR20200034085A (ko) * 2018-09-20 2020-03-31 주식회사 상보 다층구조를 갖는 입체 이미지 필름 및 전사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2929B1 (ko) 패턴이 움직이는 것 처럼 보이는 라벨
CN108025583B (zh) 制造安全票证的方法及安全装置
US10766293B2 (en) Methods of manufacturing a security device
RU2564581C2 (ru) Защитный элемент, ценный документ с таким защитным элементом, а также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защитного элемента
JP5937522B2 (ja) モアレ拡大素子
JP5434144B2 (ja)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KR101429755B1 (ko) 입체 보안필름 및 입체 보안필름을 구비한 사출품과 그 제조방법
KR101472921B1 (ko) 미세 패턴과 마이크로 렌즈를 이용한 입체라벨
US20120243744A1 (en) Security element comprising a substrate bearing an optical structure and a reference pattern, and associated method
CN101680978A (zh) 显示体及信息印刷物
US10223948B2 (en) Three-dimensional label having moving patterns using fine patterns and microlens
CN109689394B (zh) 信息显示介质以及与其相关的制造方法
JP5504732B2 (ja) 表示体及びラベル付き物品
US20110197484A1 (en) Security label
JPWO2017068769A1 (ja) 表示体、および表示体付き物品、ならびに表示体の観察方法
JP2020535455A (ja) 光学セキュリティ要素
KR20160125706A (ko) 극소형 이미지 패턴을 가지는 렌즈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4940858B2 (ja) ディスプレイ
JP6676917B2 (ja) 表示体、および、表示体の真贋判定方法
JP2007309960A (ja) ディスプレイ及びその製造方法
EP3910384A1 (en) Indicator body and labeled printed matter
US20240140125A1 (en) Method for producing a security element comprising micro-imaging elements
CN107993561B (zh) 立体防伪微透镜薄片
CN107850708B (zh) 显示体
JP6907943B2 (ja) 光学素子、および光学素子付き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