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5096A - 콘크리트 포장도로 및 교면포장용 회전식 분사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포장도로 및 교면포장용 회전식 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5096A
KR20160125096A KR1020150055837A KR20150055837A KR20160125096A KR 20160125096 A KR20160125096 A KR 20160125096A KR 1020150055837 A KR1020150055837 A KR 1020150055837A KR 20150055837 A KR20150055837 A KR 20150055837A KR 20160125096 A KR20160125096 A KR 20160125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member
injection
link
link member
back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정식
김종섭
전범준
장봉진
홍영호
Original Assignee
(주)삼우아이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우아이엠씨 filed Critical (주)삼우아이엠씨
Priority to KR1020150055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5096A/ko
Publication of KR20160125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0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01C19/20Apparatus for distributing, e.g. spreading, granular or pulverulent materials, e.g. sand, gravel, salt, dry b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01C19/20Apparatus for distributing, e.g. spreading, granular or pulverulent materials, e.g. sand, gravel, salt, dry binders
    • E01C19/201Apparatus for distributing, e.g. spreading, granular or pulverulent materials, e.g. sand, gravel, salt, dry binders with driven loosening, discharging or spreading parts, e.g. power-driven, drive derived from road-wheels
    • E01C19/202Apparatus for distributing, e.g. spreading, granular or pulverulent materials, e.g. sand, gravel, salt, dry binders with driven loosening, discharging or spreading parts, e.g. power-driven, drive derived from road-wheels solely rotating, e.g. discharging and spreading dru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01C19/21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for simultaneously but separately applying liquid material and granular or pulverulent material, e.g. bitumen and grit, with or without spreading ; for filling grooves and gritting the f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포장도로 및 교면포장용 회전식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일측에 설치되어 도로 및 교면을 향해 숏크리트를 분사하는 분사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타측에 설치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캠부재와; 일단이 상기 캠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분사부재에 연결되어 전진, 후진 및 승강 운동을 하고, 상기 전진, 후진 및 승강 운동이 상기 분사부재에 전달되게 하여 상기 분사부재가 원운동을 하게 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분사부재는 상기 링크부재의 선단부 일측에서 상부 분사부재와 하부 분사부재로 분할되고, 상기 상부 분사부재와 상기 하부 분사부재 사이에는 상기 상부 분사부재와 상기 하부 분사부재를 연결하는 벨로우즈 관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포장도로 및 교면포장용 회전식 분사장치{ROTARY SPAYED DEVICE FOR CONCRETE PABEMENT AND BRIDGE DECK OVERLAY}
본 발명은 콘크리트 포장도로 및 교면포장용 회전식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해 구조가 개선된 콘크리트 포장도로 및 교면포장용 회전식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로 및 교면 포장은 사람의 통행이나 차량의 주행을 편하게 하기 위해 노면이나 교량의 상판 등을 아스콘이나 콘크리트 등으로 처리한 구조물을 말한다.
도로 및 교면 포장은 하중을 받아 평활한 면이 유지할 수 있어야 하고, 마모에 강해야 하며, 방수성에 있어서도 동결 융해의 파괴 작용에도 저항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밖에도 도로 및 교면 포장은 도로의 사용 계획 등에 따라서 다양한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그리고 도로 및 교면 포장은 하중 및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마모 및 파손되기 쉽기 때문에 짧게는 몇 년, 길게는 몇 십면 주기로 재포장을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교면의 경우에는 지표와 달리 배수가 원활하지 못하므로 파손이 발생하기 쉽고, 파손이 발생하면 사고의 위험이 대단이 높으므로 재포장 주기가 3~5년 정도로서 매우 짧다.
따라서 도로 및 교면 포장의 가능성, 내구성, 수명 등을 높이며 시공, 유지 보수에 따른 비용 및 공사기간을 줄이기 위해 포장재료, 포장층 구조, 포장공법 등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도로 및 교면포장용 분사장치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도로 및 교면포장용 분사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및 교면 포장을 위한 종래의 숏크리트 분사장치는 도로 및 교면(G)의 상부에서 하부로 숏크리트가 분사되도록 한 것으로 도로 및 교면(G)의 상부 양측에는 미도시한 가이드 레일을 갖는 이동부가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어 프레임 레일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프레임 레일에 상기 숏크리트가 분사되는 숏크리트 분사부(100)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숏크리트 분사부(100)는 분사브라켓(1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일측 을 향하는 상부 지지부(111)와 하부 지지부(112)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부 지지부(111)의 하부에는 숏크리트가 분사되는 분사건(180)이 조인트 연결부재(170)에 의하여 제1조인트(150)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조인트(150)는 조인트 연결부재(170)의 상부에 결합되는 Y축(151b)이 형성되고, 상기 Y축(151b)의 중간에 직교되는 방향을 갖는 X축(151a)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부 지지부(11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2축 방향으로 조인트 연결부재(170)가 회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 지지부(112)의 상부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 구동부(120)가 결합되어 있고, 회전 구동부(120)의 구동축이 하부로 노출되어 편심축(140)을 갖는 캠부재(13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편심축(140)은 볼 조인트 형태를 갖는 것으로 조인트 연결부재(170)의 하부에 제2조인트(160)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숏크리트 분사부(100)는 회전 구동부(120)에서 발생된 구동력에 의하여 캠부재(130)가 구동됨에 따라 편심축(140)에 연결된 제2조인트(160)가 전후,좌우로 회동하고, 이와 동시에 조인트 연결부재(170)의 상단이 제1조인트(150)에 연결됨으로써, 분사건(180)은 도2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회전궤적(R)을 가지며 구동된다.
그러나 캠부재(130) 및 편심축(140)에 의한 분사건(180)은 분사 반경이 한정됨으로써, 작업 범위가 한정되며, 이로 인해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분사건(180)의 상부가 고정되어 있고, 분사건(180)의 작업 범위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도로 및 교면(G) 중 분사건(180)이 접근할 수 없는 작업 사각지역이 발생되어 숏크리트 분사 작업시 별도의 숏트리트 분사수단을 더 구비해야 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240284호(2013.02.28)
본 발명은 분사건의 화전반경을 자유롭게 하고, 자연스런 회전이 이루어지게 하여, 작업성이 향상되고, 작업 사각지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정부재(10)와; 상기 고정부재(10)의 일측에 설치되어 도로 및 교면을 향해 숏크리트를 분사하는 분사부재(20)와; 상기 고정부재(10)의 타측에 설치된 구동부(41)와; 상기 구동부(41)의 회전축(411)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캠부재(42)와; 일단이 상기 캠부재(42)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분사부재(20)에 연결되어 전진, 후진 및 승강 운동을 하고, 상기 전진, 후진 및 승강 운동이 상기 분사부재(20)에 전달되게 하여 상기 분사부재(20)가 원운동을 하게 되는 링크부재(43);를 포함하되, 상기 분사부재(20)는 상기 링크부재(43)의 선단부 일측에서 상부 분사부재(21)와 하부 분사부재(22)로 분할되고, 상기 상부 분사부재(21)와 상기 하부 분사부재(22) 사이에는 상기 상부 분사부재(21)와 상기 하부 분사부재(22)를 연결하는 벨로우즈 관(25)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43)의 양 단부에는 볼 조인트(46)(47)이 설치되되, 상기 링크부재(43)와 상기 분사부재(20)와 연결을 위해 상기 분사부재(20)에는 제1브라켓(45)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43)의 일측에는 상기 링크부재(43)가 전진 및 후진 운동시 승강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링크부재(43)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링크부재(43)가 끼워져 전진 및 후진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블록(44)과; 상기 가이드 블록(44)이 승강되도록 상기 가이드 블록(44)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축(44a)과; 상기 수직축(44a)이 끼워져 승강되도록 하며, 상기 고정부재(10)에 설치된 제2브라켓(44b)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43)가 상기 가이드 블록(44)에 끼워져 전진 및 후진 운동시 상기 링크부재(43)의 운동거리(L)를 한정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 브록(44)의 전방 및 후방으로 상기 링크부재(43)에 스토퍼(43a)(43b)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사부재(20)의 원운동시 상기 분사부재(20)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분사부재(21)와 상기 하부 분사부재(22)에 설치된 지지수단(3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수단(30)은 상단부기 상기 상부 분사부재(21)의 일측에 고정된 복수의 상부 지지부재(32)와; 상기 상부 지지부재(32)의 타단에 연결되되, 상기 벨로우즈 관(25) 외주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링크부재(43)에 의해 상기 분사부재(20)와 연동되는 가동부재(31)와; 상단부가 상기 가동부재(31)의 외주면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상기 하부 분사부재(22)의 일측에 고정된 복수의 하부 지지부재(33)를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부재(31)와 상기 상부 지지부재(32) 및 하부 지지부재(33)는 힌지핀(31a)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분사부재(22)는 상기 벨로우즈 관(25)과 직접 연결되되, 내경의 크기가 일정한 제1하부 분사부재(22a)와; 상기 제1하부 분사부재(22a)의 하단부에 연결되되, 하부로 내려갈수록 점차 내경의 크기가 줄어들도록 형성된 제2하부 분사부재(22b)와; 상기 제2하부 분사부재(22b)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숏크리트가 분사되는 노즐(22c)을 포함하되, 상기 노즐(22c)의 내경은 상기 제2하부 분사부재(22b)의 맨 하단부의 내경과 같거나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분사부재의 회전이 매우 자연스럽고, 분사부재의 회전 반경을 가변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종래에 비해 월등히 향상되고, 작업 사각지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분사 작업시 별도의 분사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도로 및 교면포장용 분사장치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도로 및 교면포장용 분사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도로 및 교면포장용 회전식 분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도로 및 교면포장용 회전식 분사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도로 및 교면포장용 회전식 분사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6 내지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도로 및 교면포장용 회전식 분사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도로 및 교면포장용 회전식 분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도로 및 교면포장용 회전식 분사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도로 및 교면포장용 회전식 분사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도로 및 교면포장용 회전식 분사장치는 도3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및 교면(G)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구비된 미도시한 프레임 레일에 결합되는 고정부재(10)와, 상기 고정부재(10)의 일측에 설치되어 호스(H)를 통해 이송되어 온 숏크리트가 도로 및 노면(G)에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부재(20)와, 상기 고정부재(10)의 타측에 설치되어 분사부재(20)가 구동되도록 하는 구동수단(40)과, 상기 분사부재(20) 및 구동수단(40)에 설치되어 분사부재(20)의 회전운동을 지지 및 가이드 하는 지지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분사부재(20)는 고정부재(10)의 일측에 설치되어 도로 및 교면(G)의 상부에서 도로 및 교면(G)을 향해 숏크리트가 분사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구동수단(40)은 상기 고정부재(10)의 타측에 설치된 구동부(41)와, 상기 구동부(41)의 회전축(411)에 연결되어 구동부(41)에 의해 회전되는 캠부재(42)와, 일단이 상기 캠부재(42)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분사부재(20)에 연결되어 전진, 후진 및 승강 운동을 하고, 상기 전진, 후진 및 승강 운동이 상기 분사부재(20)에 전달되게 하여 분사부재(20)가 원운동을 하는 링크부재(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분사부재(20)는 링크부재(43) 선단부 일측에서 상부 분사부재(21)와 하부 분사부재(22)로 분할되고, 상기 상부 분사부재(21)와 하부 분사부재(22) 사이에는 상부 분사부재(21)와 하부 분사부재(22)를 연결하는 벨로우즈 관(25)이 설치된다.
상기 하부 분사부재(20)는 상기 벨로우즈 관(25)과 직접 연결되되, 내경의 크기가 일정한 제1하부 분사부재(22a)와, 상기 제1하부 분사부재(22a)의 하단에 연결되되, 하부로 내려갈수록 점차 내경의 크기가 줄어 들도록 형성된 제2하부 분사부재(22b)와, 상기 제2하부 분사부재(22b)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숏크리트가 분사되는 노즐(22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노즐(22c)의 내경은 제2하부 분사부재(22b)의 맨 하단부의 내경과 같거나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링크부재(43)의 양 단부에는 볼 조인트(46)(47)가 설치되되, 상기 링크부재(43)와 분사부재(20)와 연결을 위해 분사부재(20)에는 제1브라켓(45)이 설치된다.
상기 링크부재(43)의 일측에는 링크부재(43)가 전진 및 후진 운동시 승강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링크부재(43)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 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링크부재(43)가 끼워져 전진 및 후진이 가능하게 된 가이드 블록(44)과, 상기 가이드 블록(44)이 승강되도록 상기 가이드 블록(44)에 수직되게 설치된 수직축(44a)과, 상기 수직측(44a)이 끼워져 승강되도록 하며 고정부재(10)에 설치된 제2브라켓(44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링크부재(43)가 가이드 블록(44)에 끼워져 전진 및 후진 운동시 상기 링크부재(43)의 운동거리를 한정하기 위해, 가이드 블록(44) 전방 및 후방으로 링크부재(43)의 선단부 및 후단부에는 스토퍼(43a)(43b)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43a)(43b)는 링크부재(43)의 운동거리를 한정하되, 운동거리(행정거리)를 늘이거나 줄이는 것을 쉽게 하기 위해 너트 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수단(30)은 분사부재(20)의 원운동시 분사부재(20)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분사부재(21)와 하부 분사부재(22) 사이에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지지수단(30)은 상단부가 상기 상부 분사부재(21)의 일측에 고정된 복수의 상부 지지부재(32)와, 상기 상부 지지부재(32)의 타단에 연결되어 벨로우즈 관(25) 외주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링크부재(43)에 의해 상기 분사부재(20)와 연동되는 가동부재(31)와, 상단부가 상기 가동부재(31)의 외주면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하부 분사부재(22)의 일측에 고정된 복수의 하부 지지부재(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동부재(31)와 상부 지지부재(32) 및 하부 지지부재(33)는 힌지핀(31a)으로 연결되어 링크부재(43)와 가동부재(31)가 연동되게 된다.
도6 내지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도로 및 교면포장용 회전식 분사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회전식 분사장치가 타설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호스(H)를 통해 숏크리트가 노즐(22c)을 통해 분사된다. 이때, 구동수단(40)의 구동부(41)가 구동됨과 동시에 회전축(411)이 회전되면서 캠부재(42)가 같이 회전됨으로써, 볼조인트(46)에 의하여 링크부재(43)가 전진 및 후진 운동을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링크부재(43)의 전진 및 후진 운동 중에 캠부재(42)의 회전에 따라 링크부재(43)로 전진 및 후진을 하면서 동시에 일정 각도로 회전을 반복하게 된다. 즉, 링크부재(43)의 전진, 후진 및 회전 운동을 수직축(44a)이 구비된 가이드 블록(44)에 연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수직축(44a)이 가이드 블록(44)에 승하가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링크부재(43)의 운동이 매우 자연스럽게 유지되게 된다.
다음, 링크부재(43)의 운동으로 분사부재(20)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 및 교면(G)의 상부에서 일정한 회전반경을 가지면서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 힌지핀(31a)에 의해 지지된 가동부재(31)가 분사부재(20)와 연동되는 동시에 피봇이 되며, 이 피봇이 되는 가동부재(31)에 의해 분사부재(20)가 매우 자연스러운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링크부재(43)의 스토퍼(43a)(43b) 사이의 거리(L)와 벨로우즈 관(25)의 높이를 조정하면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회전 반경(C1)(C2)(C3)을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43)가 가이드 블록(44)에 끼워져 전진 및 후진 운동시 링크부재(43)의 운동거리를 한정하기 위해 링크부재(43)의 일측 전후에 스토퍼(43a)(43b)가 각각 구비되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스토퍼(43a)(43b) 사이의 거리(L)가 링크부재(43)의 운동거리가 된다.
상기 가동부재(31)의 내측으로는 플렉시블한 벨로우즈 관(25)이 설치되어 있어 더욱 더 분사부재(20)의 회전 운동이 매우 자연스럽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포장도로 및 교면포장용 회전식 분사장치는 분사부재(20)의 회전 운동을 매우 자연스럽게 할 수 있고, 회전반경(작업반경)을 가변시킬 수 있어 작업성이 향상되며 도로 및 교면(G)에 생기는 기존의 작업 사각지대에서도 숏크리트 분사 작업이 가능하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10:고정부재 20:분사부재
21:상부 분사부재 22:하부 분사부재
25:벨로우즈 관 41:구동부
42:캠부재 43:링크부재

Claims (8)

  1. 고정부재(10)와;
    상기 고정부재(10)의 일측에 설치되어 도로 및 교면을 향해 숏크리트를 분사하는 분사부재(20)와;
    상기 고정부재(10)의 타측에 설치된 구동부(41)와;
    상기 구동부(41)의 회전축(411)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캠부재(42)와;
    일단이 상기 캠부재(42)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분사부재(20)에 연결되어 전진, 후진 및 승강 운동을 하고, 상기 전진, 후진 및 승강 운동이 상기 분사부재(20)에 전달되게 하여 상기 분사부재(20)가 원운동을 하게 되는 링크부재(43);를 포함하되,
    상기 분사부재(20)는 상기 링크부재(43)의 선단부 일측에서 상부 분사부재(21)와 하부 분사부재(22)로 분할되고, 상기 상부 분사부재(21)와 상기 하부 분사부재(22) 사이에는 상기 상부 분사부재(21)와 상기 하부 분사부재(22)를 연결하는 벨로우즈 관(25)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포장도로 및 교면포장용 회전식 분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43)의 양 단부에는 볼 조인트(46)(47)이 설치되되, 상기 링크부재(43)와 상기 분사부재(20)와 연결을 위해 상기 분사부재(20)에는 제1브라켓(45)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포장도로 및 교면포장용 회전식 분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43)의 일측에는 상기 링크부재(43)가 전진 및 후진 운동시 승강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링크부재(43)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포장도로 및 교면포장용 회전식 분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링크부재(43)가 끼워져 전진 및 후진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블록(44)과;
    상기 가이드 블록(44)이 승강되도록 상기 가이드 블록(44)에 수직으로 설치된 수직축(44a)과;
    상기 수직축(44a)이 끼워져 승강되도록 하며, 상기 고정부재(10)에 설치된 제2브라켓(44b)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포장도로 및 교면포장용 회전식 분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43)가 상기 가이드 블록(44)에 끼워져 전진 및 후진 운동시 상기 링크부재(43)의 운동거리(L)를 한정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 브록(44)의 전방 및 후방으로 상기 링크부재(43)에 스토퍼(43a)(43b)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포장도로 및 교면포장용 회전식 분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재(20)의 원운동시 상기 분사부재(20)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분사부재(21)와 상기 하부 분사부재(22)에 설치된 지지수단(3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수단(30)은 상단부기 상기 상부 분사부재(21)의 일측에 고정된 복수의 상부 지지부재(32)와;
    상기 상부 지지부재(32)의 타단에 연결되되, 상기 벨로우즈 관(25) 외주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링크부재(43)에 의해 상기 분사부재(20)와 연동되는 가동부재(31)와;
    상단부가 상기 가동부재(31)의 외주면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상기 하부 분사부재(22)의 일측에 고정된 복수의 하부 지지부재(33)를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포장도로 및 교면포장용 회전식 분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31)와 상기 상부 지지부재(32) 및 하부 지지부재(33)는 힌지핀(31a)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포장도로 및 교면포장용 회전식 분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분사부재(22)는 상기 벨로우즈 관(25)과 직접 연결되되, 내경의 크기가 일정한 제1하부 분사부재(22a)와;
    상기 제1하부 분사부재(22a)의 하단부에 연결되되, 하부로 내려갈수록 점차 내경의 크기가 줄어들도록 형성된 제2하부 분사부재(22b)와;
    상기 제2하부 분사부재(22b)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숏크리트가 분사되는 노즐(22c)을 포함하되,
    상기 노즐(22c)의 내경은 상기 제2하부 분사부재(22b)의 맨 하단부의 내경과 같거나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포장도로 및 교면포장용 회전식 분사장치.
KR1020150055837A 2015-04-21 2015-04-21 콘크리트 포장도로 및 교면포장용 회전식 분사장치 KR201601250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837A KR20160125096A (ko) 2015-04-21 2015-04-21 콘크리트 포장도로 및 교면포장용 회전식 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837A KR20160125096A (ko) 2015-04-21 2015-04-21 콘크리트 포장도로 및 교면포장용 회전식 분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096A true KR20160125096A (ko) 2016-10-31

Family

ID=57446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837A KR20160125096A (ko) 2015-04-21 2015-04-21 콘크리트 포장도로 및 교면포장용 회전식 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50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5328A (ko) * 2017-03-15 2018-09-28 주도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차선 도색 장치
KR102340479B1 (ko) * 2020-06-18 2021-12-16 김갑수 라돈 차단 보수공법을 위한 라돈 투과 차단용 코팅제 조성물 분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5328A (ko) * 2017-03-15 2018-09-28 주도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차선 도색 장치
KR102340479B1 (ko) * 2020-06-18 2021-12-16 김갑수 라돈 차단 보수공법을 위한 라돈 투과 차단용 코팅제 조성물 분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4935B2 (ja) 移動吊り足場装置及び移動吊り足場工法
KR102256018B1 (ko) 회전 피벗 아암 위치설정 조립체
CN103775103A (zh) 喷浆机械手
KR100900713B1 (ko) 터널 세척기
US20200031320A1 (en) Wheel was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a wheel and vehicle cleaning installation
KR20160125096A (ko) 콘크리트 포장도로 및 교면포장용 회전식 분사장치
CN103758537A (zh) 一种湿喷机臂架系统
KR20100056592A (ko) 승강식 도료분사장치가 구성된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
CN106245699A (zh) 挖掘机械及其喷洒系统
KR200431559Y1 (ko) 수직구용 습식 숏크리트 타설장치
KR101388651B1 (ko) 프레임 젯 및, 이를 구비하고 건물의 해체 또는 리모델링에 사용되는 워터젯 장치
CN105240029A (zh) 一种折叠机构及混凝土喷浆车
US9663162B1 (en) Hydraulic pivot arm positioning assembly
JP2007009474A (ja) 重量物搭載装置
CN203783596U (zh) 喷浆机械手
CN109611118A (zh) 一种隧道支护层的模喷方法
US10328445B2 (en) Device and method for moving a jet member
JP4157859B2 (ja) 重量物の横取り工法
CN109578020B (zh) 利用电磁模板的模喷方法
CN208733474U (zh) 旋转式混凝土振动装置
CN206053964U (zh) 一种混凝土喷浆车
KR101240284B1 (ko) 도로 및 교면포장용 숏크리트 타설장치
CN109080647A (zh) 轨道车及轨道车系统
CN109356619A (zh) 一种新型混凝土模喷设备
JP2006348500A (ja) スプレースクィー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