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3846A - 원터치 재 배출 구조를 갖는 펠릿 버너 - Google Patents

원터치 재 배출 구조를 갖는 펠릿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3846A
KR20160123846A KR1020150054566A KR20150054566A KR20160123846A KR 20160123846 A KR20160123846 A KR 20160123846A KR 1020150054566 A KR1020150054566 A KR 1020150054566A KR 20150054566 A KR20150054566 A KR 20150054566A KR 20160123846 A KR20160123846 A KR 20160123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urnace
ash
pellet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4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환
박기식
오준석
Original Assignee
(주)귀뚜라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귀뚜라미 filed Critical (주)귀뚜라미
Priority to KR1020150054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3846A/ko
Publication of KR20160123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38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15Means for removing 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터치 재 배출 구조를 갖는 펠릿 버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재 배출기를 잡아 당기는 원 터치 동작만으로 화로 내부의 재가 하부로 낙하된 후 재받이로 밀려 배출되는 원터치 재 배출 구조를 갖는 펠릿 버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터치 재 배출 구조를 갖는 펠릿 버너{Pellet burner having one-touch ash discharging structure}
본 발명은 원터치 재 배출 구조를 갖는 펠릿 버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재 배출기를 잡아 당기는 원 터치 동작만으로 화로 내부의 재가 하부로 낙하된 후 재받이로 밀려 배출되는 원터치 재 배출 구조를 갖는 펠릿 버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석탄을 비롯하여 목재와 같은 각종 바이오매스(biomass)를 포함한 펠릿 연료(pellet fuel)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힘입어 실내를 난방하는 난로(stove)에도 펠릿 연료가 이용되고 있다.
이에, 도 1과 같이 특허출원 제2004-67544호(2014. 06. 03 출원)의 펠릿 난로는 난로 몸체(110) 내부의 화실(Fire_B)에 펠릿 버너(140)가 설치되고, 정면에는 도어(12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연료 낙하구(153)를 통해 펠릿 버너(140)에 펠릿 연료가 공급되면, 펠릿 연료를 점화시켜 발생한 열원(즉, 화염 및 고온의 연소가스)에 의해 공기 가열관(160)을 통해 유동 중인 외기를 가열하여 온풍을 공급한다.
한편, 도 2와 같이 펠릿 버너(140)는 일 예로 화로(141)의 몸체를 구성하는 이중벽(141a) 중 내벽에 형성된 분출공(H)을 통해 2차 연소공기가 공급되고, 바닥면(141b)을 통해 1차 연소공기가 공급된다.
또한, 화로(141)는 거치판(P)에 의해 지지판(S) 위에 거치되고, 지지판(S)의 하부에는 화로(141)를 둘러싸도록 연소공기 공급블럭(142)이 구비되어 연소공기 공급블럭(142)를 통해 상기 1차 연소공기 및 2차 연소공기를 공급한다.
또한, 화로(141)의 후방측 상단부에는 경사판(141c)을 구비하여 연료 낙하구(153)에서 낙하된 펠릿 연료를 화로(141) 내부로 안내하고, 화로(141)의 전방측 상단부에는 수직판(141d)를 구비하여 화염을 상측으로 안내한다.
또한, 지지판(S)에는 재 수집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에 재받이(A_T)를 배치함에 따라 펠릿 버너(140)에서 날린 재(ash)가 지지판(S)의 재 수집공을 통과하여 재받이(A_T)에 수집된다.
그러나, 도 3의 (a) 및 (b)와 같이 종래에는 운전 정지 후 재를 청소시 화로(141)에 쌓인 재는 물론 재받이(A_T)에 수집된 재 역시 청소해야 한다. 따라서, 화로(141)와 재받이(A_T) 모두를 탈착하여 청소한 후 다시 끼워 넣어야한다.
또한, 펠릿 연료가 쌓여있는 화로(141)의 내부에서 점화가 이루어지도록 착화용 전기히터(Ig)가 화로(141)의 측부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재 청소를 위해 화로(141)를 분리하는 것 자체가 어렵다.
특히, 화로(141)를 분리하였다가 재조립하는 번거로움이 있음은 물론, 재 청소 후 화로(141)를 부정확하게 끼우면 착화용 전기히터(Ig)와의 부적절한 위치관계에 의해 착화불량이나 비정상 연소가 이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4-67544호(2014. 06. 03 출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슬라이딩 재 배출기를 잡아 당기는 원 터치 동작만으로 화로 내부의 재가 하부로 낙하된 후 재받이로 밀려 배출되는 원터치 재 배출 구조를 갖는 펠릿 버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재 배출 구조를 갖는 펠릿 버너는 펠릿 연료를 공급받아 연소가 이루어지며 바닥면이 개방된 화로와; 상기 화로의 하측 방향에 이격 설치된 중계판과; 상기 화로와 중계판 사이에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후방에 연결되며 상기 화로의 개방된 바닥면을 막는 연소판과, 상기 연소판의 후방부에 관통 형성된 재 낙하공과, 상기 재 낙하공의 후방부에 구비되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밀대판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재 배출기; 및 상기 중계판의 전방부에 구비된 재 배출구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화로에서 배출된 재를 수용하는 재받이;를 포함하여, 가동시에는 상기 슬라이딩 재 배출기의 연소판이 상기 화로의 바닥면을 막아 펠릿의 연소가 진행되고, 재 청소시에는 상기 슬라이딩 재 배출기를 전방으로 잡아당김에 따라 상기 재 낙하공을 통해 상기 중계판으로 낙하된 재를 상기 밀대판이 재받이로 밀어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화로에 연소용 공기가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연소공기 공급블럭을 포함하되, 상기 연소공기 공급블럭은 상기 화로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중계판은 상기 연소공기 공급블럭의 바닥판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재 배출기의 연소판에는 상기 화로 내부로 1차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홀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밀대판은 전방 하측으로 하향 경사진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밀대판의 최하측 연단부는 상기 중계판의 상면에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재 배출기의 양측부에는 각각 가이드 측판이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 측판의 높이는 상기 중계판과 화로의 하단부 사이의 높이와 동일하여 상기 슬라이딩 재 배출기의 측부를 밀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손잡이 및 덮개판을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는 상기 덮개판의 전면에 구비되고, 상기 덮개판의 후면에는 상기 연소판이 연결되며, 상기 덮개판은 상기 중계판의 전방부에 구비된 상기 재 배출구를 막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화로의 바닥면을 슬라이딩 재 배출기로 대체하고 슬라이딩 재 배출기에 밀대판을 구비함으로써 슬라이딩 재 배출기를 잡아 당기는 원 터치 동작만으로 화로의 재가 자동으로 재받이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매우 간단하면서도 쉽게 재 청소를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재 청소를 위해 화로를 분리할 필요가 없어서 점화장치가 착화에 적합하도록 조정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고, 재받이만 꺼내어 재를 비우면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펠릿 난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펠릿 버너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펠릿 버너 모듈의 재 배출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재 배출 구조를 갖는 펠릿 버너가 적용된 펠릿 난로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재 배출 구조를 갖는 펠릿 버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재 배출 구조를 갖는 펠릿 버너의 슬라이딩 재 배출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재 배출 구조를 갖는 펠릿 버너의 재 배출 방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재 배출 구조를 갖는 펠릿 버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재 배출 구조를 갖는 펠릿 버너가 탑재된 펠릿 난로(stove)를 나타낸 것으로, 펠릿 난로는 본 발명의 원터치 재 배출 구조를 갖는 펠릿 버너가 적용될 수 있는 여러 타입의 장치 중 일 예에 해당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펠릿 난로는 난로 몸체(110)의 화실(Fire_B) 하부에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재 배출 구조를 갖는 펠릿 버너를 설치하고, 정면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120)를 구비한다.
또한, 화실(Fire_B)에는 열 반사판(131)이 설치되고, 열 반사판(131)의 후방부에는 송풍기 및 열교환 장치(도시 생략) 등이 설치되며, 공기 가열관(160)은 확산 그릴(112)을 통해 실내를 향한다.
따라서, 화실(Fire_B)에서 발생한 복사열은 전면부에 설치된 도어(120)를 통해 실내로 방출되고,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펠릿 버너의 후방에 설치된 열 반사판(131)에 의해 열이 전방으로 반사된다.
그와 동시에 공기 가열관(160)을 통해 공급 중인 차가운 실외 공기는 상기 열교환 장치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상승된 후 확산 그릴(112)을 통해 실내로 공급되므로 온풍으로 실내를 난방한다.
한편,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재 배출 구조를 갖는 펠릿 버너는 지지판(S)에 화로(brazier)(210)를 고정 설치하고, 화로(210)의 후방 상측에 구비된 연료 낙하구(153)를 통해 펠릿 연료를 공급한다.
또한, 난로 몸체(110)에 형성된 연료 투입구(111a)를 통해 펠릿 연료가 보충되고, 보충된 펠릿 연료는 연료 낙하구(153)에서 공급되며, 난로 몸체(110)의 상부판(111)에 설치된 제어 판넬(CP)로 점화 및 펠릿 공급량 등 운전을 조작한다.
따라서, 연료 낙하구(153)를 통해 펠릿 버너(140)에 펠릿 연료가 공급되면, 펠릿 연료를 점화시켜 발생한 열원(즉, 화염 및 고온의 연소가스)에 의해 공기 가열관(160)을 통해 공급중인 외기를 가열하여 실내에 온풍을 공급한다.
또한, 화로(210)의 하부에는 중계판(220)이 설치되고, 중계판(220) 위에 슬라이딩 재 배출기(230)가 끼워져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슬라이딩 재 배출기(230)의 전방측 하부에는 재받이(240)가 구비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재 배출기(230)를 잡아 당기는 원 터치 동작만으로 화로(210)의 재가 재받이(240)로 배출되므로, 간단하면서도 쉽게 청소가 가능하며 재 청소를 위해 화로(210)를 분리할 필요 없이 재받이(240)만 꺼내어 비우면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와 같은 원 터치 방식의 재 청소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재 배출 구조를 갖는 펠릿 버너는 화로(210)와, 중계판(220)과, 슬라이딩 재 배출기(230) 및 재받이(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화로(210)는 펠릿 연료를 공급받아 연소가 이루어지는 곳으로, 화실(Fire_B) 내부까지 연장 설치된 연료 낙하구(153)를 통해 펠릿 연료를 공급받으며, 일측에 설치된 점화장치(Ig)로 펠릿 연료를 점화시킨다.
이러한 화로(210)는 종래기술과 차별적으로 재 청소를 위해 화로(210)를 빈번하게 탈착할 필요가 없으므로 볼트 체결(도 4의 조립 볼트 참조) 방식에 의해 고정 가능한 구조의 조립대(R)를 통해 지지판(S)위에 고정된다.
또한, 화로(210)는 일 예로 몸체(211)와, 상기 몸체(211)의 후방측 상부에 구비된 경사판(212) 및 몸체(211)의 전방측 상부에 구비된 수직판(213)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화로(210)의 몸체(211)는 이중벽으로 이루어지며 그 중 내측벽에는 분출공(H)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후방 측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판(212)에 의해 연료 낙하구(153)에서 낙하된 펠릿 연료를 화로(210) 내부로 안내하고, 수직판(213)에 의해 화염을 상측으로 유도하며, 이중벽 내부로 유입된 2차 연소공기를 분출공(H)에서 분출시킨다.
특히, 본 발명의 화로(210)는 바닥면이 개방되어 있다. 즉, 화로(210)를 구성하는 바닥면 중 전부 혹은 일부가 개방되고, 그 개방된 부분을 후술할 슬라이딩 재 배출기(230)의 연소판(232)이 막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펠릿 난로의 가동 중에는 슬라이딩 재 배출기(230)가 화로(210)의 바닥면을 막아 펠릿 연료의 연소가 이루어지게 한다. 운전을 정지하고 재를 청소하는 경우에는 슬라이딩 재 배출기(230)를 잡아당겨 화로(210)의 바닥을 개방시킴으로써 재가 배출된다.
다음, 중계판(220)은 화로(210)의 하측 방향에 이격 설치되는 것으로, 일 예로 전후방으로 움직이는 슬라이딩 재 배출기(230)를 지지하도록 소정 길이를 갖고, 화로(210)의 바닥면보다는 큰 폭을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중계판(220)은 슬라이딩 재 배출기(230)를 잡아당김에 따라 화로(210)에서 배출된 재를 일시 수용하고, 그 수용된 재가 슬라이딩 재 배출기(230)의 후속된 연속 동작에 의해 재받이(240)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통로로 사용된다.
다만, 중계판(220)은 재 배출을 안내하는 통로 뿐만 아니라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통로로써도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중계판(220)은 연소 공기 공급용 송풍기에 연결된 연소공기 공급블럭(BL)의 일 구성으로 사용된다.
일 예로 연소공기 공급블럭(BL)은 지지판(S)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고, 후방부에는 송풍기가 설치되어 있어서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덕트로 사용되며, 공급된 연소용 공기는 상술한 1차 연소공기 및 2차 연소공기로 사용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연소공기 공급블럭(BL)은 연소용 공기가 공급되는 화로(210)의 하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이때 중계판(220)은 연소공기 공급블럭(BL)의 바닥판으로 사용된다.
다음, 슬라이딩 재 배출기(230)는 화로(210)와 중계판(220) 사이에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화로(210)에서 발생한 재를 원 터치 방식으로 재받이(240)까지 배출되게 한다.
이러한 슬라이딩 재 배출기(230)는 도 6을 통해 좀더 상세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231)와, 연소판(232)과, 재 낙하공(233) 및 밀대판(push plate)(23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전체적으로 길이가 긴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손잡이부(231)는 사용자가 슬라이딩 재 배출기(230)를 잡고 잡아당겨 재 청소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홈 형상이나 돌출 바 형상의 손잡이는 물론 도시된 바와 같은 고리형 손잡이 등 다양한 손잡이가 사용될 수 있다.
연소판(232)은 손잡이부(231)의 후방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화로(210)의 개방된 바닥면을 막는 역할을 한다. 즉, 슬라이딩 재 배출기(230)의 연소판(232)을 화로(210)의 바닥판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연소판(232)에는 화로(210) 내부로 1차 연소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홀(232a)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1차 연소공기는 펠릿 연료에 직접 공급되는 연소용 공기로써 일 예로 연소공기 공급블럭(BL)을 통해 제공된다.
재 낙하공(233)은 연소판(232)의 후방부에 관통 형성된다. 재 낙하공(233)은 연소판(232)의 후방부에 연속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소판(232)이 화로(210)의 바닥면을 개방시 재 낙하공(233)을 통해 재가 중계판(220) 위로 낙하되기 시작한다.
밀대판(234)은 재 낙하공(233)의 후방부(235)에 구비되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밀대판(234)은 중계판(220)의 상면에 맞닿도록 구성되어 중계판(220) 위로 낙하된 재를 긁어 전방으로 밀어낸다.
재받이(240)는 중계판(220)의 전방부에 구비된 재 배출구(도 7의 'EX' 참조)에 연결 설치되어 화로(210)에서 배출된 재를 수집한다. 이러한 재받이(240)는 탈부착이 가능하여 재(ASH)가 가득차면 재받이(240)를 탈착하여 비워낼 수 있다.
이를 위해 재받이(240)는 일 예로 상부가 개방된 그릇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계판(220)의 전방 단부에 자연히 형성된 연단부를 재 배출구(EX)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재받이(240)를 중계판(220)의 전방 단부 하측에 위치시킨다.
물론, 재 배출구(EX)는 중계판(220)의 전방부 일부분에 배출공을 뚫어 만들 수도 있으며, 그에 따라 연소공기 공급블럭(BL)의 하부에 재 배출구(EX)가 구비되면, 그 하부에 재받이(240)를 배치한다.
다만, 상술한 슬라이딩 재 배출기(230)의 손잡이부(231)는 일 예로 손잡이(231a) 및 덮개판(231b)을 포함하되, 손잡이(231a)는 덮개판(231b)의 전면에 구비되고, 덮개판(231b)의 후면에는 연소판(232)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손잡이부(231)를 구성하는 상기 덮개판(231b)은 중계판(220)의 전방부에 구비된 재 배출구(EX)를 막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덮개판(231b)에 의해 재 청소 후 슬라이딩 재 배출기(230)를 다시 후방측으로 밀어 원상 복귀 시킬 때 덮개판(231b)이 재 배출구(EX)를 막아 연소용 공기가 화로(210)까지 안정적으로 공급된다.
또한, 슬라이딩 재 배출기(230)의 밀대판(234)은 수직 방향 등 다양한 방향으로 연장 설치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전방 하측으로 하향 경사지며, 밀대판(234)의 최하측 연단부는 중계판(220)의 상면에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밀대판(234)을 전방 하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면, 중계판(220) 위에 일시적으로 쌓인 재를 더욱 효율적으로 밀어냄은 물론, 재 낙하공(233)을 통해 낙하중인 재가 전방으로 흘러내려 모이게 하는 효과도 제공한다.
또한, 슬라이딩 재 배출기(230)의 양측부에는 각각 가이드 측판(236)이 구비되되, 가이드 측판(236)의 높이는 중계판(220)과 화로(210)의 하단부 사이의 높이와 동일하여 슬라이딩 재 배출기(230)의 측부를 밀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가이드 측판(236)을 구비하면 슬라이딩 재 배출기(230)가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 가이드 역할을 함과 동시에, 연소공기 공급블럭(BL)을 통해 유동중인 연소용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여 화로(210)가 있는 전방으로 안내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이상에서 설명한 원터치 재 배출 구조를 갖는 펠릿 버너의 재 청소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펠릿 난로를 운전시 슬라이딩 재 배출기(230)를 후방측으로 끝까지 밀어 원상태로 유지시키며, 이때 슬라이딩 재 배출기(230)의 연소판(232)은 화로(210)의 하단에 밀착되면서 연소판(232) 자체가 화로(210)의 바닥면으로 사용된다.
다음, 도 7의 (a)와 같이 펠릿 난로의 운전을 정지하고 재 청소를 하는 경우에는 슬라이딩 재 배출기(230)의 손잡이부(231)를 잡고 잡아당겨 도어(120)가 설치된 펠릿 난로의 전방측으로 꺼내기 시작한다.
이와 같이 슬라이딩 재 배출기(230)를 잡아당기면 화로(210)의 개방된 바닥을 막고 있던 연소판(232)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그 후방에 있던 재 낙하공(233)이 화로(210)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화로(210)의 재가 중계판(220) 위로 낙하된다.
다음, 도 7의 (b)와 같이 슬라이딩 재 배출기(230)를 계속해서 잡아당기면 밀대판(234)이 중계판(220) 위에 떨어진 재를 전방측으로 밀기 시작하고, 슬라이딩 재 배출기(230)를 끝까지 잡아당기면 재가 재 배출구(EX)를 통해 재받이(240)로 낙하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재 배출기(230)를 잡아당기는 하나의 동작으로 원 터치 방식으로 재를 배출시킨다. 또한, 점화장치(Ig)가 연결된 화로(210)를 탈부착할 필요 없이 슬라이딩 재 배출기(230)를 잡아 당기기만 하면 재 청소가 완료된다.
화로(210)의 재를 청소한 이후에는 도 7의 (c)와 같이 슬라이딩 재 배출기(230)를 다시 전방으로 끝까지 밀어 원상태로 복귀시킨다. 나아가, 위와 같은 방식으로 화로(210)의 재를 수차례 청소하여 재가 채워지면 재받이(240)를 꺼내어 재를 비우면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210: 화로
220: 중계판
230: 슬라이딩 재 배출기
231: 손잡이부
232: 연소판
232a: 공기 공급홀
233: 재 낙하공
234: 밀대판
235: 후방판
236: 가이드 측판
240: 재받이
BL: 연소공기 공급블럭
EX: 재 배출구

Claims (6)

  1. 펠릿 연료를 공급받아 연소가 이루어지며 바닥면이 개방된 화로(210)와;
    상기 화로(210)의 하측 방향에 이격 설치된 중계판(220)과;
    상기 화로(210)와 중계판(220) 사이에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손잡이부(231)와, 상기 손잡이부(231)의 후방에 연결되며 상기 화로(210)의 개방된 바닥면을 막는 연소판(232)과, 상기 연소판(232)의 후방부에 관통 형성된 재 낙하공(233)과, 상기 재 낙하공(233)의 후방부에 구비되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밀대판(234)(push plate)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재 배출기(230); 및
    상기 중계판(220)의 전방부에 구비된 재 배출구(EX)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화로(210)에서 배출된 재를 수용하는 재받이(240);를 포함하여,
    가동시에는 상기 슬라이딩 재 배출기(230)의 연소판(232)이 상기 화로(210)의 바닥면을 막아 펠릿의 연소가 진행되고, 재 청소시에는 상기 슬라이딩 재 배출기(230)를 전방으로 잡아당김에 따라 상기 재 낙하공(233)을 통해 상기 중계판(220)으로 낙하된 재를 상기 밀대판(234)이 재받이(240)로 밀어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재 배출 구조를 갖는 펠릿 버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로(210)에 연소용 공기가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연소공기 공급블럭(BL)을 포함하되, 상기 연소공기 공급블럭(BL)은 상기 화로(210)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상기 중계판(220)은 상기 연소공기 공급블럭(BL)의 바닥판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재 배출 구조를 갖는 펠릿 버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재 배출기(230)의 연소판(232)에는 상기 화로(210) 내부로 1차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홀(232a)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재 배출 구조를 갖는 펠릿 버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대판(234)은 전방 하측으로 하향 경사진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밀대판(234)의 최하측 연단부는 상기 중계판(220)의 상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재 배출 구조를 갖는 펠릿 버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재 배출기(230)의 양측부에는 각각 가이드 측판(236)이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 측판(236)의 높이는 상기 중계판(220)과 화로(210)의 하단부 사이의 높이와 동일하여 상기 슬라이딩 재 배출기(230)의 측부를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재 배출 구조를 갖는 펠릿 버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231)는 손잡이(231a) 및 덮개판(231b)을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231a)는 상기 덮개판(231b)의 전면에 구비되고, 상기 덮개판(231b)의 후면에는 상기 연소판(232)이 연결되며, 상기 덮개판(231b)은 상기 중계판(220)의 전방부에 구비된 상기 재 배출구(EX)를 막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재 배출 구조를 갖는 펠릿 버너.
KR1020150054566A 2015-04-17 2015-04-17 원터치 재 배출 구조를 갖는 펠릿 버너 KR201601238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566A KR20160123846A (ko) 2015-04-17 2015-04-17 원터치 재 배출 구조를 갖는 펠릿 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566A KR20160123846A (ko) 2015-04-17 2015-04-17 원터치 재 배출 구조를 갖는 펠릿 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846A true KR20160123846A (ko) 2016-10-26

Family

ID=57251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4566A KR20160123846A (ko) 2015-04-17 2015-04-17 원터치 재 배출 구조를 갖는 펠릿 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384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5019A1 (ko) * 2017-12-21 2019-06-27 주식회사 포스코 소각로
EP3995743A1 (en) * 2020-11-10 2022-05-11 Ungaro SRL Solid fuel biomass stov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7544A (ko) 2003-01-24 2004-07-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대변 수용 포켓부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7544A (ko) 2003-01-24 2004-07-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대변 수용 포켓부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5019A1 (ko) * 2017-12-21 2019-06-27 주식회사 포스코 소각로
EP3995743A1 (en) * 2020-11-10 2022-05-11 Ungaro SRL Solid fuel biomass sto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8127B1 (ko) 하향식 연소방식을 채용한 화목 난로
KR200448540Y1 (ko) 펠릿 난로
US766540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bustion
WO2017048314A1 (en) Improved pellet stove
KR20160022688A (ko) 화목난로
KR101564844B1 (ko) 고효율 펠릿 난로
KR20160123846A (ko) 원터치 재 배출 구조를 갖는 펠릿 버너
KR101579258B1 (ko) 난방 펠릿난로
KR101554842B1 (ko) 무동력 펠릿 연소 난로
KR102023110B1 (ko) 화목 펠릿 난로
KR101708370B1 (ko) 연돌효과를 이용한 무동력 바베큐 장치
RU98546U1 (ru) Котел отопительный водогрейный с отбором горячей воды
KR101369605B1 (ko) 보일러
KR102011676B1 (ko) 벽난로
KR20110043564A (ko) 단열된 수직연소로의 화목연소장치 와 열교환기
KR20180001236A (ko) 외부 공기조절이 용이한 난로
RU108568U1 (ru) Котел отопительный водогрейный с отбором горячей воды
KR20170081346A (ko) 펠릿 난로
KR101690889B1 (ko) 펠렛난로용 화력조절장치
KR20160067328A (ko) 펠릿 난로
CN203687017U (zh) 一种生物质颗粒锅炉
KR20140129646A (ko) 펠릿 연소 장치
RU2780178C1 (ru) Банная печь
CN210128369U (zh) 一种取暖炉
CN108180505A (zh) 一种户外取暖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