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7544A - 대변 수용 포켓부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대변 수용 포켓부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7544A
KR20040067544A KR1020030004714A KR20030004714A KR20040067544A KR 20040067544 A KR20040067544 A KR 20040067544A KR 1020030004714 A KR1020030004714 A KR 1020030004714A KR 20030004714 A KR20030004714 A KR 20030004714A KR 20040067544 A KR20040067544 A KR 20040067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able diaper
upper sheet
sheet
feces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4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갑주
정대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30004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7544A/ko
Publication of KR20040067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754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5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with faecal cav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투과성 상부 시이트,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이트, 상기 상부 시이트와 배면 시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 탄성체를 갖는 다리플랩(flap) 및 체결 수단을 포함하는 1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상부 시이트와 흡수체 사이에 대변 수용 포켓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변 수용 포켓부(26)는 상부시이트(6)와 제1 부직포층(7)사이의 비 접착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이다. 상기 상부시이트(6)에는 비접착 공간부인 대변 수용 포켓부(26)에 대변이 들어갈 수 있도록 절개부(25)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대변 수용 포켓부(26)는 대변수용 포켓 접착부(27)가 가로방향 및 세로 방향 모두 흡수체 가장자리를 지나 상기 상부 시이트(6)와 제 1 부직포(7)가 접착되어 상기 상부 시이트(6)와 제 1 부직포(7)의 사이에 형성되는 비부착 공간부이다. 본 발명의 대변 수용 포켓부가 형성된 일회용 기저귀는 착용자의 피부 짓무름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대변 수용 포켓부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 {Disposable diaper having a pocket for the feces}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disposable diaper)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액체 투과성 상부 시이트,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이트, 상기 상부 시이트와 배면 시이트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 탄성체를 갖는 다리플랩(flap) 및 체결 수단을 포함하는 1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상부 시이트와 흡수체 사이에 대변 수용 포켓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기저귀는 한번 사용한 후, 폐기하는 제품으로서 유아용 또는 성인용의 일회용 기저귀(Disposable Diaper)로 구분된다.
유아 또는 성인 실금자가 착용하는 기저귀의 주요 기능은 대 소변과 같은 체 분비물을 흡수하여 함유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저귀는 체 분비물이 착용자가 입고 있는 옷이나 주변의 다른 제품을 더럽히거나 젖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회용 기저귀는 통상, 착용시 착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액체 투과성의 상부 시이트(Top sheet), 착용시 외부표면을 형성하는 액체 불투과성의 배면 시이트(Back Sheet), 상기 상부 시이트와 배면 시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흡수 체(Absorbent core), 탄성체를 갖는 다리 플랩(flap) 및 체결수단을 기본 구성요소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들 기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기저귀는 다양한 조합으로 각종 형태의 기저귀가 형성될 수 있으나, 1975년 1월 14일자 미합중국 특허 제3,860,003호에 제안된 구성이 바람직한 일회용 기저귀의 기본 형태로서 널리 인용되고 있다. 상기 기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기저귀는 탄성체를 갖는 다리 플랩(flap)이 기저귀의 가장자리와 접촉되는 옷 사이에 유체 불투과성의 차단막을 제공하고 착용자의 다리 근처에 가스켓팅 작용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기저귀에 적재되는 체 분비물이 기저귀의 가장자리와 접촉하는 옷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효과적이기는 하나, 탄성체를 갖는 다리 플랩 하나만으로는 심한 설사 시와 같은 경우, 그 설사 분비물이 다리 플랩 사이로 누출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기에는 부족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은 다리플랩 내측에 또 하나의 탄성체를 갖는 차단체를 더 구성함으로써 해결되었다. 이러한 차단체는 다양한 조합으로 다양한 실시 형태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특허 공고번호 제 1993-0000085호에는 탄성부재를 구비한 "플랩"이라는 명칭으로 다리플랩의 내측에 구성되는 형태가 제안되어 있고, 공고번호 제 1994-0008959호에는 "차단커프"라는 명칭으로 다리플랩과 흡수코아 사이에 구성되는 형태가 제안되어 있으며, 공고번호 제 10-1995-0008172호에는 "응가밴드"라는 명칭으로 높이가 동일한 2중 응가밴드로 구성된 형태가 제안되어 있다.
이들 일회용 기저귀의 상기 구성요소 중, 상부 시이트는 통상 감촉이 부드러우며 착용자의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는 것으로 구성된다. 특히 상부 시이트는 액상의 체 분비물이 흡수 코아로 신속하게 통과할 수 있는 물성을 갖는 것이어야 한다. 이러한 물성을 갖는 것으로서 적합한 상부 시이트는 기공 플라스틱 필름, 천연 섬유, 합성섬유 또는 천연 및 합성섬유의 혼합물과 같은 광범위한 물질로부터 제조되어 사용되고 있다.
흡수체는 액상의 체 분비물을 흡수 및 보유할 수 있는 수단이다. 흡수체는 통상적으로 액체 흡수물질로서 솜털펄프(fluff pulp) 및 고흡수성 수지(Super absorbent polymer), 그리고 이들을 포장하는 티슈(Tissue) 등으로 이루어지고, 액체 투과성의 상부 시이트(Top Sheet)를 통과하는 체액을 빠른 속도로 흡수하고 흡수된 체액이 다시 피부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체액을 보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흡수체의 크기, 형태(예를 들면, 직사각형, 모래시계형 등),구조 및 흡수 능력 등은 유아로부터 성인에 이르는 착용자에게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흡수체는배면 시이트 상에 접착제와 같은 공지의 부착수단에 의하여 부착, 고정된다.
배면 시이트는 액체에 대하여 불 투과성이어서 흡수체에 흡수되어 함유되는 체 분비물이 착용자의 의복이나 침대 시이트 등과 같이 기저귀와 직접 접촉하는 제품을 더럽히거나 적시지 않도록 해준다. 배면 시이트는 액체에 대하여는 불투과성이고 기체에 대하여는 투과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물성을 갖는 것으로서 통상 플라스틱 필름이 사용되어 왔으며, 근래에는 폴리에틸렌 필름에 부직포를 접착한 소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다리 플랩에 구성되는 다리 탄성체는 기저귀(D)가 착용자의 다리에 착용되어 고정되도록 하게 하기 위해 각각의 세로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다리 플랩 의 바람직한 구성은 전술한 미합중국 특허 제 3,860,003호에 구체적으로 기술된 바와 같은 측 플랩 및 플랩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체결수단은 일회용 기저귀를 신체에 착용하여 그 착용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체결수단은 공지의 점착성 테이프 탭 또는 후크와 루프와 같은 체결부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응가밴드(또는 플랩, 차단커프)는 흡수체로부터 흡수되지 못하는 소변이나 대변의 샘을 방지하기 위하여 통상 일회용 기저귀의 흡수체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액체 투과성 또는 액체 불투과성의 재질로서 구성된다.
상기 기저귀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은 기저귀 분야에서 부착방법으로 이미 잘 알려진 고온 용융 접착제, 열융착 또는 다른 접착 방법에 의해 상호 결합, 고정된다.
유아용, 실금자 등의 성인용 기저귀(Adult Diaper)를 포함하는 일회용 기저귀 제품은 생리적 작용에 의해 배설되는 체액을 흡수하고 저장하는 흡수량의 관점에서의 기본성능은 사용자의 불편함이 없도록 조절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기저귀는 그 사용 시 착용자의 피부에 부작용이 없어야 하나, 아직도 일회용 기저귀를 사용 시 소양증(피부 가려움증), 피부 붉은 반점(홍반) 및 피부 짓무름이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있으며 이는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한 아기뿐만 아니라 보호자께도 발생된 피부 부작용에 의해 심한 통증과 아울러 불쾌감을 준다는 단점이 극복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피부부작용의 원인은 배설물에 의한 암모니아 발생으로 인한 피부자극, 배설물에 의한 피부 상재균의 활성화에 의한 피부자극, 일회용 기저귀 소재의 피부 마찰을 일으키는 물리적 자극과 화학적 자극, 착용 중에 발생하는 과다한 습기 등의 복합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다양한 제품 구조, 피부 보호재를 적용한 기능성 소재 적용, pH 조절제 등을 적용하는 시도가 있으나 그 효과는 아직 만족할 만한 수준이 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대변 수용을 위한 포켓부를 구성함으로써 대변과 피부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를 A-A'선으로 절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는 도 1를 B-B'선으로 절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를 C-C'선으로 절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 제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6는 도 5를 A-A'선으로 절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를 B-B'선으로 절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의 설명>
1 : 앞면 허리부 2 : 가랑이부
3 : 뒷면 허리부 4 : 배면시이트
5 : 흡수체 6 : 상부시이트
7 : 제1 부직포 8 : 제2 부직포
9 : 티슈 10 : 솜털펄프
11 : 고흡수성 수지 12 : 허리밴드
13 : 다리탄성체 14 : 응가밴드
15 : 응가밴드 플랩 접착부 16 : 재접착 체결수단
17 : 재접착 체결수단 고정부 18 : 앞면 체결수단
19 : 응가밴드 말단 접착부 20 : 응가밴드 탄성체
21 : 응가밴드 플랩 22 : 외측플랩
23 : 가장자리 24 : 다리플랩
25 : 절개부 26 : 대변수용 포켓부
27 : 대변수용 포켓 접착부 28 : 배면시이트 필름
29 : 응가밴드 말단부 30 : 배면시트 부직포
100 : 세로 중심선 200 : 가로 중심선
D : 일회용 기저귀
본 발명은 액체 투과성 상부 시이트,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이트, 상기 상부 시이트와 배면 시이트 사이에 삽입, 고정되는 흡수체, 다리 탄성체를 갖는 다리플랩(flap) 및 체결 수단을 포함하는 1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대변 수용을 위한 포켓부가 상부시이트와 흡수체 사이에 형성된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펼쳤을 때 나타나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D)는 착용 시 착용자의 앞부분에 밀착되는 앞면 허리부(1), 가랑이 사이에 위치되는 가랑이부(2) 그리고 뒷부분에 밀착되는 뒷면 허리부(3)로 구분되고 전체적으로 모래시계 형 형태의 겉모양을 하고 있으며 세로 중심선(100)과 가로 중심선(200)을 갖는다. 일회용 기저귀(D)의 겉모양은 좌우와 전후가 꼭 대칭구조를 이룰 필요는 없으나, 좌우는 대칭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도 1의 가랑이 부분에서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로서 대변 수용 포켓부(26) 및 상부 시이트에 형성된 절개부(25)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1의 전면부에서 C-C'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 구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로서 응가밴드 말단 접착부(19)가 흡수체(5) 위에 공지의 부착수단에 의해 고정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로서 다리탄성체(7)가 없고 이중 응가밴드를 형성한 경우를 나타내며, 도 6과 도 7은 도 5의 A-A'선 및 B-B'선으로 절단한 단면 구조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는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4)와 액체 투과성 상부시이트(6) 사이에 흡수체(5)가 삽입 고정된 구성을 나타낸다. 흡수체(5)는 티슈(9)에 의해 포장되어 배면시트(4)에 공지의 고온 용융 접착제로 결합, 고정된다. 상기 티슈(9)층 위에 제2부직포층(8)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시이트(6)와 제2부직포(8) 사이에 제1부직포(7)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의 부직포층(7),(8)은 액체 투과성으로서 투과된 뇨액을 확산시키며, 흡수된 뇨액이 흡수체(5)로부터 액체 투과성 상부시이트(6)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흡수체(5)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2 부직포층(8)은 티슈(9)층 위에 고온 용융 접착제와 같은 공지의 부착수단으로 결합, 고정되는 것으로서, 이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액체 투과성 상부시이트(6)는 부직포로서 가열된 압착롤에 의해 원사가 녹아 접착되는 열융착 부직포( Thermal Bond Nonwoven) 또는 열풍 룸을 통과하며 뜨거운 공기에 의해 원사가 접착되는 에어 쓰루 부직포(Air-Through Nonwoven)가 사용된다. 액체 투과성 상부시이트(6)는, 부직포를 부드럽게 만들기 위해 섬유의 강도를 결정하는 섬유의 핵 성분을 폴리프로필렌으로 하고 이 핵 성분을 감싸는 외각성분을 보다 부드러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에스테르 성분으로 하여 구성되는 이 성분 섬유(Bicomponent fiber)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부 시이트(6)는 기본중량이 16~30g/㎡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20~26g/㎡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변 수용 포켓부(26)는 도1, 도3, 도5 및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시이트(6)와 제1 부직포층(7)사이의 비 접착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이다. 상기 비접착 공간부인 대변 수용 포켓부(26)에 대변이 들어갈 수 있도록 상부시이트(6)에는 절개부(25)가 형성된다. 상부시이트(6)와 제1 부직포층(7)은 친수성 부직포 또는 부분적으로 친수성 처리한 부직포가 사용된다. 대변 수용 포켓부(26)인 비부착 공간부의 규모는 상부시이트(6)와 제1 부직포(7)가 접착되는 위치에 따라 달라지게 되고, 흡수체 크기와 같게 또는 흡수체 보다 더 크게 형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일회용 기저귀 앞면 허리부와 뒷면 허리부를 포함되게 형성하는 것이다. 즉, 대변 수용 포켓부(26)는 대변수용 포켓 접착부(27)가 가로방향 및 세로 방향 모두 흡수체 단부(또는 가장자리)를 지나 상기 상부 시이트(6)와 제 1 부직포(7)가 접착되어 상기 상부 시이트(6)와 제 1 부직포(7)의 사이에 형성되는 비 부착 공간부인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는 가로 중심선에서 뒷면 허리부 2/3를 포함되도록 하고 세로 방향으로는 흡수체 양측의 단부를 지나 플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대변 수용 포켓 접착부(27)가 세로방향에서는 흡수체 단부(가장자리)를 지나 응가밴드 플랩접착부(15)에 형성되고, 가로방향에서는 가로 중심선과 뒷면 허리부의 흡수체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시이트(6)와 제1 부직포층(7)의 접착부(27)는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고온 용융접착제, 열융착, 초음파접착 등 기저귀분야에서 잘 알려진 통상적인 접착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고, 그 바람직한 접착부(27)의 부위(위치)는 상부시이트를 배면시이트에 결합하는 접합부 및 응가밴드플랩 접착부(15)와 동일 접점이다. 본 발명의 제1 부직포층(7)은 상부시이트와 대변 수용 포켓부(26)인 공간부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흡수체(5) 티슈의 파손을 방지하고 그 파손 시 흡수물질이 상부시이트(6)의 절개부(25)를 통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대변 수용 포켓부(26)의 절개부(25)는 상부 시이트에 5~10cm의 길이로 형성되며 일자형 또는 십자형태의 폭이 1~3cm인 슬릿 형상이거나 또는 타원형 구멍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절개부(25)의 주연에 탄성체로서 탄성실, 탄성밴드 또는 폴리우레탄 폼을 상부 시이트(6)의 상부 또는 아랫부분에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실은 폴리우레탄 스판덱스(Polyurethane Spandex) 또는 천연고무의 탄성실이 사용될 수 있으며, 탄성밴드는 부직포 등의 밴드에 상기 탄성실이 부착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실이나 탄성밴드는 절개부(25)의 주연에 탄력을 부여하여 이 절개부(25)가 형성된 상부시이트(6)를 대변 수용 포켓부(26) 쪽으로 밀착시켜 대변 수용 포켓부(26)에 대변을 탄력적으로 가두어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폼은, 폭은 1~5cm, 길이는 3~15cm, 두께는 10cm 이하의 크기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폭 1~2.5cm, 길이 5~10cm, 두께 3~7cm의 크기로 하여 상부 시이트(6)의 절개부(25) 아랫부분의 주변에 부착된다. 이러한 폴리우레탄 폼은 상부 시이트(6)와 제1 부직포층(7) 사이에 개재되어 대변 수용포켓부(26) 공간을 확장, 유지할 수 있어 대변 수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흡수체(5)는 흡수물질인 솜털펄프(10) (Fluff pulp) 및 고흡수성 수지(11)(Super Absorbent Polymer)와 이를 포장하는 티슈(Tissue)(9)로 이루어지고 흡수체(5)의 성능은 흡수물질인 솜털펄프(10) 및 고흡수성수지(11)의 물성 및 그 함량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상기 티슈(9)는 흡수체(5)의 인장강도를 개선시키며 습윤 시에 상기 흡수물질이 찢어지거나, 덩어리지거나 둥글게 되는 경향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서 흡수체(5)의 형태는 공지의 형태로서 T-자 형, 모래시계 형, 일자 형 또는 그 외의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4)는 액체 투과성 상부시이트(6)로부터 흡수된 체액이 흡수체(5) 밑으로 샘이 발생하여 착용자의 의복이나 주변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4)는 액체 불투과성 필름(28)과 부직포(30)가 라미네이트된 시이트로 구성된다. 배면시이트의 액체 불투과성 필름(28)은 폴리에틸렌과 탄산칼슘을 혼합하여 압출 성형한 후, 연신에 의해 통기공을 형성시킨 통기성 필름이다. 배면시이트(4)는 폴리에틸렌 필름(28)과 부직포(30)가 접착된 시이트의 부직포 면이 기저귀의 외부 면을 이루도록 구성함으로써 소재의 부드러움 성을 향상시킨다. 폴리에틸렌 필름(28)과 부직포(30)는 동일한 크기로 구성하거나 폭 또는 통기성을 더욱 증대시키는 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부직포를 더 크게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D)는 착용자의 몸에 착용하여 그 착용상태가 견고히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체결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체결수단은 공지의 수단으로서 주로 일회용 기저귀 뒷면 허리부(3)의 외측플랩(22) 모서리에 고정되는 재접착 체결수단의 고정부(17)와 비 고정된 자유스런 말단부로 구성되는 재 접착 체결수단(16)과 앞면 허리부(1)의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며 재 접착 체결수단(16)이접착될 수 있는 타겟(Target) 영역을 제공하는 앞면 체결수단(18)으로 구성된다. 재 접착 체결수단(16)은 접착층이나 후크(Hook)가 포함된 테이프 형태로서 신축성 또는 비신축성을 갖도록 시스템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앞면 체결수단은 폴리에틸렌 필름이나 루프(Loop) 테이프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D)는 샘 방지 수단으로 흡수체(5)의 좌우측에 응가밴드(14)가 구성될 수 있다. 응가밴드(14)는 다리탄성체(13)와 함께 샘 방지수단으로 형성되는 공지된 구성이다. 본 발명의 기저귀에 적용 가능한 응가밴드의 바람직한 조합 및 실시 형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17671호 및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특2002-0056227호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응가밴드(14)는 소수성의 부직포 또는 방수성의 부직포 필름이 사용될 수 있고, 소수성의 부직포인 경우는 소수성의 효과를 강화하기 위하여 2겹으로 응가밴드 플랩(21)을 형성하며, 응가밴드 플랩(21) 사이를 접착제로 접착시켜 구성할 수 있다. 응가밴드(14)는 응가밴드 탄성체(20), 응가밴드 플랩(21) 및 외측플랩(22)으로 구성되며, 응가밴드 플랩 접착부(15), 응가밴드 말단부(29), 응가밴드 말단 접착부(19)를 갖는다. 응가밴드 플랩(21)은 적어도 가랑이 부분에서 응가밴드 말단 접착부(19) 이외의 부분이 응가밴드 탄성체(20)에 의해 흡수체(5) 외측에서 흡수포켓(Pocket)을 형성한다. 상기 응가밴드 탄성체(20)는 응가밴드 말단부(29)가 착용자의 피부에 잘 밀착되게 하기 위하여 응가밴드 플랩 접착부(15)와 응가밴드 말단부(29) 사이의 응가밴드 플랩(21)에 하나 이상이 구비된다, 응가밴드 탄성체(20)는 탄성 실로서 통상의 폴리우레탄 스판덱스(Polyurethane Spandex) 또는 천연고무의 탄성 실이 사용된다. 응가밴드 말단 접착부(19)는 응가밴드 플랩(21)이 응가밴드 플랩 접착부(15)와 응가밴드 탄성체(20)에 의해 흡수체(5) 외측에서 흡수포켓을 형성하도록 일회용 기저귀(D)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 모서리 허리부(1),(3)에서 응가밴드 플랩(21)을 응가밴드 플랩 접착부(15) 내측, 또는 외측에 고정시키는 접착부분을 말한다. 응가밴드 말단 접착부(19)는 부분적으로 흡수체(5)위에 고정되며, 흡수체 외측의 측면플랩(22) 부분에 비 접착부가 발생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가밴드 말단 접착부(19)의 길이는 일회용 기저귀(D)의 허리부분(1),(3)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50~100mm가 되도록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D)는 허리밴드(12)를 구비할 수 있다. 허리밴드(12)는 일회용 기저귀(D)의 앞면허리부(1) 및/또는 뒤면허리부(3)에 탄성체를 접착하여 구성한다. 허리밴드 탄성체는 주로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 폴리우레탄 필름(Polyurethane Film), 폴리우레탄 부직포 탄성체 및 탄성실이 사용되며, 탄성실은 폴리우레탄 스판덱스(Polyurethane Spandex) 또는 천연고무를 사용한다. 허리밴드(12)의 허리 탄성체는 일회용 기저귀(D) 길이방향 끝 단부와 흡수체(5) 외측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제품 폭 전체에 걸쳐 형성하거나, 부분적으로 짧게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로 본 발명을 우수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길이 7cm 의 일자형 슬릿을 형성한 액체 투과성 상부시이트와, 상부 시이트 하부에 형성시킨 제1부직포층과,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와, 상기 상부시이트와배면시이트 사이에 배치 고정시킨 흡수체와, 흡수체의 양 측에 인접하여 배면 시이트에 접착 고정시킨 한 쌍의 응가밴드와, 응가밴드의 외측플랩 및 배면시이트에 접착 고정시킨 다리탄성체 및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기저귀의 대변 수용을 위한 포켓부는 가랑이부의 1/2에서 뒷면 허리부 2/3가 포함되는 비접착부가 형성되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기저귀의 절개부 주위에 탄성실을 좌우에 부착한 일회용 기저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기저귀의 절개부 주위에 폭 2cm*길이 7cm*두께 7cm인 폴리우레탄 폼을 부착한 일회용기저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1의 기저귀의 절개부를 폭 4cm를 포함하여 형성한 일회용 기저귀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액체 투과성 상부시이트와,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와, 상기 상부시이트와 배면시이트 사이에 배치 고정시킨 흡수체와, 흡수체의 양 측에 인접하여 배면 시이트에 접착 고정시킨 한 쌍의 응가밴드와, 응가밴드의 외측플랩 및 배면시이트에 접착 고정시킨 다리탄성체 및 체결수단으로 구성된 대변 수용 포켓부를 구성하지 않은 통상의 일회용 기저귀를 제조하였다. 상기 구성요소의 재질은 실시예 1의 기저귀에 사용한 재질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1 내지 4의 기저귀와 비교예1의 기저귀에 대하여 대변 수용 포켓부의 수용성 및 피부 짓무름에 대한 소비자 검증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 대변 수용성 판단 기준 >
5점: 100% 수용, 4점: 80% 수용, 3점: 60% 수용, 2점: 40% 수용, 1점: 수용하지 못함
< 짓무름 판단 기준 >
5점: 피부가 양호하다. 4점: 붉은 반점이 조금 있다. 3점: 붉은 반점이 많다. 2점: 피부가 빨갛다.
1점: 짓무름이 있다
< 대변 포켓부의 수용성 및 피부 짓무름에 대한 소비자 검증 결과 >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대변 수용성 3.5 4.5 4.3 3.7 1
진무름 판단 3.3 4.5 4.3 3.8 2.1
(5점 척도, N=100)
상기의 표1에서는 나타낸바와 같이 대변 수용 포켓부를 형성하므로써 대변 수용 포켓부의 기능이 발휘되며 피부와 대변과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로써 피부 짓무름 방지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는 대변 수용 포켓부가 형성됨으로써 착용자의 피부 짓무름을 방지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Claims (6)

  1. 액체 투과성 상부 시이트(6),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이트(4), 상기 상부 시이트(6)와 배면 시이트(4) 사이에 삽입, 고정되는 흡수체(5), 다리탄성체(13)를 가즌 다리플랩(24) 및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상기 상부 시이트(6)에 대변이 들어갈 수 있는 절개부(25)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시이트(6)와 흡수체(5) 사이에 제 1 부직포층(7)을 형성하되, 상기 상부 시이트(6)와 상기 제 1 부직포(7)가 대변 수용 포켓 접착부(27)에서 부착되어 상기 상부 시이트(6)와 상기 제 1 부직포(7)사이에 비부착 공간부인 대변 수용 포켓부(2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시이트(6)에 형성되는 절개부(25)가 일자형상, 십자형상 또는 타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3. 제 1항에 있어서, 대변수용 포켓 접착부(27)가 가로방향 및 세로 방향 모두 흡수체(5) 단부를 지나 상기 상부 시이트(6)와 제 1 부직포(7)가 접착되어 비부착 공간부인 대변 수용 포켓부(2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4. 제 3항에 있어서, 대변 수용 포켓 접착부(27)가 세로방향에서는 흡수체 단부를 지나 응가밴드 플랩접착부(15)에 형성되고, 가로방향에서는 가로 중심선(200)과뒷면 허리부(3)의 흡수체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개부(25)가 그 주연에 탄성실, 탄성밴드 또는 폴리우레탄 폼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6. 제 5항에 있어서, 절개부(25)의 주연에 부착된 폴리우레탄 폼의 크기가 폭1~2.5cm, 길이 5~10cm, 두께가 3~7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KR1020030004714A 2003-01-24 2003-01-24 대변 수용 포켓부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 KR200400675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714A KR20040067544A (ko) 2003-01-24 2003-01-24 대변 수용 포켓부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714A KR20040067544A (ko) 2003-01-24 2003-01-24 대변 수용 포켓부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544A true KR20040067544A (ko) 2004-07-30

Family

ID=37357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4714A KR20040067544A (ko) 2003-01-24 2003-01-24 대변 수용 포켓부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754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846A (ko) 2015-04-17 2016-10-26 (주)귀뚜라미 원터치 재 배출 구조를 갖는 펠릿 버너
KR20170140287A (ko) * 2015-10-21 2017-12-20 길준모 일회용 기저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846A (ko) 2015-04-17 2016-10-26 (주)귀뚜라미 원터치 재 배출 구조를 갖는 펠릿 버너
KR20170140287A (ko) * 2015-10-21 2017-12-20 길준모 일회용 기저귀
US10940054B2 (en) 2015-10-21 2021-03-09 Jun Mo Gil Disposable diaper with inlet cutting part on skin contact lay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4440B2 (en) Disposable undergarment with sweat-absorbent pad in waistband
JP3422351B2 (ja) 使いすておむつ
US8211076B2 (en) Disposable diaper
JP5319367B2 (ja) 吸収性物品
EP1795164B1 (en) Shorts type disposable diaper
JPH04242643A (ja) 吸収性物品
US6497693B1 (en) Disposable undergarment
JP2006218055A (ja) 吸収性物品
JP5319365B2 (ja) 吸収性物品
JP4860082B2 (ja) 改良された漏出保護を有する吸収物品
JP5090975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5536545B2 (ja) 吸収性物品
JP5319366B2 (ja) 吸収性物品
JP5175689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2005218674A (ja) 使い捨ておむつ
JP5175702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3812460B2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3699610B2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5515536B2 (ja) 吸収性物品
KR20040067544A (ko) 대변 수용 포켓부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
JP5237084B2 (ja) 吸収性物品
JP4608502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3950258B2 (ja) 使い捨て紙おむつ
JPH0614960A (ja) 使い捨ておむつ
JP2003180735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