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3691A - 이동용 단말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품질관리 예측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용 단말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품질관리 예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3691A
KR20160123691A KR1020150054075A KR20150054075A KR20160123691A KR 20160123691 A KR20160123691 A KR 20160123691A KR 1020150054075 A KR1020150054075 A KR 1020150054075A KR 20150054075 A KR20150054075 A KR 20150054075A KR 20160123691 A KR20160123691 A KR 20160123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temperature
mobile terminal
module
c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4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9487B1 (ko
Inventor
원준연
Original Assignee
원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준연 filed Critical 원준연
Priority to KR1020150054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9487B1/ko
Publication of KR20160123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3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2Sliding forms raised continuously or step-by-step and being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raising and which are not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Arrangements of lifting mean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3/00Thermometers giving results other than momentary value of temperature
    • G01K3/02Thermometers giving results other than momentary value of temperature giving means values; giving integrated values
    • G01K3/04Thermometers giving results other than momentary value of temperature giving means values; giving integrated values in respect of time
    • H02J7/0004
    • H02J7/0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투스를 기반으로 하는 측정기를 콘크리트 매설시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도록 하여 콘크리트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이동용 단말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품질관리 예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매설시 매설되어, 콘크리트의 현재 양생 온도를 측정하여 저장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요청신호에 따라 현재 양생 온도를 송출하거나, 또는 콘크리트의 적산 온도를 송출하는 측정기; 및 측정기로 콘크리트의 현재 양생 온도 또는 적산 온도 요청신호를 송출하고, 그에 대응하여 콘크리트의 현재 양생 온도 또는 적산 온도를 제공받는 이동용 단말기를 포함하며, 측정기가, 콘크리트의 양생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모듈과, 측정모듈에 의해 측정된 양생 온도를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고, 상기 이동용 단말기의 요청에 응하여 저장된 현재 양생 온도 또는 적산 온도를 상기 이동용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과, 제어모듈의 제어신호에 응하여 현재 양생 온도 또는 적산 온도를 이동용 단말기로 송출하는 통신모듈과, 각 모듈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의 품질상태 및 콘크리트의 현재 강도를 예측 및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용 단말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품질관리 예측 시스템{Concrete quality prediction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용 단말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품질관리 예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루투스를 기반으로 하는 측정기를 콘크리트 매설시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도록 하여 콘크리트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이동용 단말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품질관리 예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멘트, 골재 및 물을 주요 구성재료로 하는 콘크리트는, 시멘트의 수화작용에 의해 경화되면서 일정한 강도를 갖도록 양생된다.
일정 양생이 진행되면 콘크리트를 둘러싼 거푸집을 탈형하는데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에서 제시한 5MPa이상의 강도가 발현된 상태에서 거푸집을 탈형하여야 하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제시가 없는 상태에서 적정 시간이 흐른 후 탈형할 경우가 상당히 많다. 특히, 콘크리트 타설시 함께 만들어놓은 시험 공시체의 경우 강도측정을 위한 캡핑(Capping)과 수중양생으로 인하여 현장의 타설된 콘크리트와 다른 조건에 놓이게 되며, 강도테스트를 하기 위한 대기시간이 너무 길어지게 된다.
초기강도 예측모델에는 가장 효과적인 적산온도가 있으나, 온도센서 설치에 따른 불편적인 요소가 많이 산재되어 있으며, 설치를 하더라도 작업도중 손실이 많고, 실제로 현장 작업 시 많이 꺼리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적용된 이동용 단말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품질관리 예측 시스템은 순수 독립적으로 작동되며, 스마트기기의 명령에 따라 양방향 통신을 하게 되어 콘크리트 속에 매립된 여러 가지 정보를 스마트기기로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상시 연결이 아닌 자체 메모리를 통하여 누적된 적산온도 데이터를 즉시 수신할 수가 있으며, 거푸집 탈형에 필요한 5Mpa(40°DD)강도까지 자체 프로그램에서 누적된 데이터를 계산하여 정확하게 강도를 예측할 수가 있다.
현장에서 거푸집 탈형시기에 관하여 감리단, 발주처 및 품질관리자와의 이견이 많이 상이하여 늘 분쟁에 소지가 있으나, 본 발명이 적용되면 객관적인 적산온도를 통한 강도를 제시할 수 있다.
동절기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적절한 보양조치를 하지 않아 콘크리트의 온도가 빙점 이하로 되기 이전에 콘크리트가 충분히 강도를 내지 못하게 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이 동결되고 부피팽창 및 수분의 이동에 따른 압력으로 인해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되고 지속적인 강도증진이 불가능해진다.
특히, 한중 콘크리트 타설시에는 경화전의 콘크리트가 빙점하에 노출되면 상기 콘크리트는 초기 동해, 즉 유리수의 동결로 인한 결정압으로 콘크리트의 내부에 미세한 균열이 발생되고 체적이 팽창하여 탄성계수가 저하되며 동결융해의 반복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이 파괴에 이르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파괴는 대형화되어 가고 있는 구조물의 추세에 따라 대형 사고를 야기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져온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외기온의 평균이 4도 이하로 되는 기간을 한중콘크리트 적용기간으로 설정하고 콘크리트가 소요 품질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적절한 보양을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기간 동안에는 콘크리트의 온도를 모니터링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해줄 필요가 있다. 종래에는 콘크리트에 온도계를 매립하고, 일정 시간 간격으로 온도계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콘크리트의 온도를 모니터링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콘크리트의 온도 관리 방법에서는, 콘크리트를 시공하는 공사장 내부가 복잡하여 온도계가 매립된 콘크리트를 일일 찾아다니면서 기록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콘크리트 온도를 실시간으로 계측하여 모니터링할 수 없으므로, 콘크리트의 온도에 대한 사후 관리만 이루어질 뿐이므로, 실제 콘크리트 온도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시기를 놓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 공개특허 제 10-2009-0001821 호
(특허문헌 2) 한국 등록특허 제 10-1082737 호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본 발명은 블루투스를 기반으로 하는 측정기를 콘크리트 매설시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도록 하여 콘크리트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이동용 단말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품질관리 예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루투스 기반의 측정기에 배터리를 구비시켜 별도로 전원을 연결하지 않아도 작동가능하도록 하는 이동용 단말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품질관리 예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기 내에 구비된 배터리의 충전을 무선방식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용 단말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품질관리 예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는 측정기에 비콘 기술을 적용시켜 사용자가 측정기와 통신 가능한 앱이 설치된 이동용 단말기를 가지고 일정 반경 내로 진입하였을 경우 측정기에 측정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이동용 단말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품질관리 예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단말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품질관리 예측 시스템이, 콘크리트 매설시 매설되어, 콘크리트의 현재 양생 온도를 측정하여 저장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요청신호에 따라 현재 양생 온도를 송출하거나, 또는 콘크리트의 적산 온도를 송출하는 측정기; 및 측정기로 콘크리트의 현재 양생 온도 또는 적산 온도 요청신호를 송출하고, 그에 대응하여 콘크리트의 현재 양생 온도 또는 적산 온도를 제공받는 이동용 단말기를 포함하며, 측정기가, 콘크리트의 양생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모듈과, 측정모듈에 의해 측정된 양생 온도를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고, 상기 이동용 단말기의 요청에 응하여 저장된 현재 양생 온도 또는 적산 온도를 상기 이동용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과, 제어모듈의 제어신호에 응하여 현재 양생 온도 또는 적산 온도를 이동용 단말기로 송출하는 통신모듈과, 각 모듈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모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통신모듈이, 블루투스 모듈이며, 이동용 단말기가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이동용 단말기가,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있으며,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이, 통신모듈을 통해 통신라인을 연결시킨 후 메뉴항목을 통해 현재 양생 온도 또는 적산 온도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측정기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무선방식으로 공급받아 상기 전원공급모듈을 충전시키는 무선충전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무선충전모듈이, 자기 공진 유도방식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전원공급모듈을 충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상기 측정기가, 콘크리트의 양생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양생 측정모듈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제어모듈이, 양생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양생 측정모듈에 의해 측정된 양생 정도 데이터를 양생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초과하는 경우 이동용 단말기로 양생 초기 강도 도달 메시지를 송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블루투스를 기반으로 하는 측정기를 콘크리트 매설시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도록 하여 콘크리트 상태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콘크리트의 품질상태 및 콘크리트의 현재 강도를 예측 및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루투스 기반의 측정기에 배터리를 구비시켜 별도로 전원을 연결하지 않아도 작동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측정기를 통해 측정된 데이터를 제공받을 때마다 매번 전원을 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정기 내에 구비된 배터리의 충전을 무선방식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측정기 내의 배터리의 충전용량이 부족하여 데이터를 제공받지 못하는 현상을 미연에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는 측정기에 비콘 기술을 적용시켜 사용자가 측정기와 통신 가능한 앱이 설치된 이동용 단말기를 가지고 일정 반경 내로 진입하였을 경우 측정기에 측정되어 저장된 데이터를 자동으로 제공함으로써, 콘크리트와 관련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용 단말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품질관리 예측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와 같이 구현된 이동용 단말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품질관리 예측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4는 도 1의 또다른 실시예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용 단말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품질관리 예측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용 단말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품질관리 예측 시스템이, 측정기(100), 이동용 단말기(200)로 이루어진다.
측정기(100)가 콘크리트 매설시 매설되어, 콘크리트의 현재 양생 온도를 측정하여 저장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요청신호에 따라 현재 양생 온도를 송출하거나, 또는 콘크리트의 적산 온도를 송출한다.
측정기(100)가 콘크리트의 양생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모듈(110)과, 측정모듈(110)에 의해 측정된 양생 온도를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고, 이동용 단말기(200)의 요청에 응하여 저장된 현재 양생 온도 또는 적산 온도를 이동용 단말기(2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120)과, 제어모듈(120)의 제어신호에 응하여 현재 양생 온도 또는 적산 온도를 이동용 단말기(200)로 송출하는 통신모듈(130)과, 각 모듈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모듈(140)로 이루어진다.
통신모듈(130)이 블루투스 모듈이다.
이동용 단말기(200)가 측정기로 콘크리트의 현재 양생 온도 또는 적산 온도 요청신호를 송출하고, 그에 대응하여 콘크리트의 현재 양생 온도 또는 적산 온도를 제공받아, 화면상에 출력하여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동용 단말기(200)가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하고 있으며, 측정기(100)의 블루투스 모듈(130)과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상호 간에 연결된 후 측정기(100)로 측정데이터 요청을 하게 되고, 측정기(100)로부터 송출되는 측정 데이터(양생 온도 데이터)를 수신받아 화면상으로 출력한다.
이동용 단말기(200)가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있으며,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이, 통신모듈(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통신라인을 연결시킨 후 메뉴항목을 통해 현재 양생 온도 또는 적산 온도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한편 측정기(10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전충전모듈(150)을 더 포함하고 있다. 무선충전모듈(150)이 매설된 콘크리트 외부에서 자기 공진 유도방식으로 제공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전원공급모듈(140)을 충전시킨다. 여기서, 자기 공진 유도방식이라 함은 송신부 코일에서 공진주파수로 진동하는 자기장을 생성하여 동일한 공진주파수로 설계된 수신부 코일에만 에너지가 집중적으로 전달되는 방식을 이용하여 충전하는 기술로서, 본 발명에서는 무선충전기술이라면 자기 공진 유도방식 이외에도 다른 방식을 채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측정기(20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의 양생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양생 측정모듈(160)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제어모듈(120)이 양생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양생 측정모듈(160)에 의해 측정된 양생 정도 데이터를 양생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초과하는 경우 이동용 단말기(200)로 양생 초기 강도 도달 메시지를 송출시키고, 이동용 단말기(200)가 양생 초기 강도 도달 메시지를 화면상에 출력하여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용 단말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품질관리 예측 시스템의 운영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와 같이 구현된 이동용 단말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품질관리 예측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가 이동용 단말기(200)에 탑재된 블루투스 통신을 실행시키면, 이동용 단말기(200)에 탑재된 블루투스와 측정기(100)의 통신모듈(130)인 블루투스 모듈이 상호 연결되어, 통신라인을 연결시킨다(S110).
이렇게 측정기(100)와 이동용 단말기(200)가 통신환경을 이루면 제어모듈(120)이 측정모듈(110)을 제어하여 작동(S120)되도록 하고, 측정모듈(110)은 콘크리트의 현재 양생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모듈(120)로 출력한다.
이때 제어모듈(120)이 이동용 단말기(20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1"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30). 판단 결과 "1"이 입력되면 양생온도 측정시작 일시정보를 입력하도록 요청하고, 현재의 양생 온도를 이동용 단말기(200)로 송출한다.
이동용 단말기(200)는 제어모듈(120)의 양생온도 측정시작 일시정보 입력 요청을 화면상에 출력시키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양생온도 측정시작 일시정보인 년, 월, 일 및 시간 정보를 제어모듈(120)로 전송하면, 제어모듈(120)은 이동용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년, 월, 일 및 시간정보로 이루어진 양생온도 측정시작 일시정보를 저장하고, 콘크리트의 양생 온도를 측정하도록 측정모듈(110)을 제어하고, 측정모듈(110)을 통해 측정된 콘크리트의 양생 온도를 이동용 단말기(200)로 송출한다(S140).
한편, S130 단계의 판단 결과, "1"이 아닌 경우 "2"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50). 판단 결과 "2"가 입력되면 제어모듈(120)이 측정모듈(110)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하고 있는 적산 데이터를 이동용 단말기(200)로 송출하고(S160), 제어모듈(120)이 현재까지 누적된 온도데이터를 토대로 현재까지 누적된 온도의 누계값(SUM)과 적산온도값(°DD)을 즉시 계산하고, 계산된 결과값을 이동용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160).
S150 단계의 판단 결과, "2"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통신라인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S170)하고, 통신라인이 정상적으로 연결된 경우 S130 단계부터 반복 수행하고, 통신라인이 끊어진 경우 콘크리트 양생 온도 데이터 송출모드를 종료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에 송신기에서 데이터를 수신기를 통해 받는 일방향 제품이 아니라,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아 그 명령에 따라 작동되는 사물 인터넷을 타설 콘크리트에 적용시킨 제품이다.
도 3은 도 1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3은 도 1에서 무선충전모듈을 더 부가시킨 실시예로서, 측정기(100)를 작동시키기 위해 구비된 전원공급모듈(140)을 충전용 배터리로 구현하고, 충전용 배터리를 타설된 콘크리트 외부에서 자기 공진 유도 충전 방식을 이용하여 충전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실시예이다. 즉, 측정기(100)에 구비된 전원공급모듈(140)을 외부에서 간단한 방식으로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측정기(100)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언급하면, 무선충전모듈(150)이 매설된 콘크리트 외부에서 자기 공진 유도방식이 적용된 무선충전용 전원공급장치가 자기 공진 유도방식으로 제공되는 전원을 제공하고, 이를 무선충전모듈(150)이 자기 공진 유도방식으로 제공받아 전원공급모듈(140)을 충전시킨다. 여기서, 자기 공진 유도방식이라 함은 송신부 코일에서 공진주파수로 진동하는 자기장을 생성하여 동일한 공진주파수로 설계된 수신부 코일에만 에너지가 집중적으로 전달되는 방식을 이용하여 충전하는 기술로서, 본 발명에서는 무선충전기술이라면 자기 공진 유도방식 이외에도 다른 방식을 채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의 또다른 실시예이다.
도 4는 도 1에 콘크리트의 양생 온도인 온도 측정 모듈(120) 이외에, 양생 측정모듈(160)을 더 부가시킨 실시예로서, 양생 측정모듈(160)은 콘크리트의 양생 강도를 측정하여 제어모듈(130)로 제공한다. 이때, 양생 측정모듈(160)의 양생 강도를 측정하는 방식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면, 콘크리트 내부의 유도 초음파 전달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콘크리트의 양생 강도를 실시간 추정할 수 있다. 콘크리트의 양생이 진행됨에 따라 콘크리트의 강도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즉 콘크리트의 탄성 계수가 증가하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유도 초음파의 전달 시간이 빨라지는 것이므로, 이를 측정하여 콘크리트 양생 강도를 추정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양생 측정모듈(160)에 의해 측정된 양생 강도를 제공받은 제어모듈(130)이 제공받은 양생 강도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양생 강도를 비교하여, 초과하는 경우 이동용 단말기(200)로 양생 초기 강도 도달 메시지를 송출시키고, 이동용 단말기(200)가 양생 초기 강도 도달 메시지를 화면상에 출력하여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측정기(100)의 통신모듈(130)이 비콘 기능을 가지도록 하여, 이동용 단말기(200)가 측정기(100)를 중심으로 50미터~70미터 사이에 진입하게 되면, 양생 초기 강도 안내 메시지를 이동용 단말기(200)로 송출하고, 이동용 단말기(200)의 화면상에 출력되어 사용자가 알 수 있게 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이 적용된 측정기(100)를 타설 콘크리트에 매설함으로써, 콘크리트의 품질, 성능, 내구성을 측정할 수가 있다.
이는 콘크리트가 갖고 있는 각종 상태에 대해서 실시간 전송 및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상태정보를 모니터링 하는 기술이며, 콘크리트의 상태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콘크리트 품질하자를 사전에 예방하고, 콘크리트 보양시 필요한 연료 절약을 위한 불필요한 열원 공급을 차단하며, 공정관리를 촉진할 수 있고, 품질관리를 위한 인건비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측정기
110 : 측정모듈 120 : 제어모듈
130 : 통신모듈 140 : 전원공급모듈
150 : 무선충전모듈 160 : 양생 측정모듈
200 : 이동용 단말기

Claims (6)

  1. 콘크리트 매설시 매설되어, 콘크리트의 현재 양생 온도를 측정하여 저장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요청신호에 따라 현재 양생 온도를 송출하거나, 또는 콘크리트의 적산 온도를 송출하는 측정기; 및
    상기 측정기로 콘크리트의 현재 양생 온도 또는 적산 온도 요청신호를 송출하고, 그에 대응하여 콘크리트의 현재 양생 온도 또는 적산 온도를 제공받는 이동용 단말기;
    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기가,
    콘크리트의 양생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모듈과,
    상기 측정모듈에 의해 측정된 양생 온도를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고, 상기 이동용 단말기의 요청에 응하여 저장된 현재 양생 온도 또는 적산 온도를 상기 이동용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제어모듈의 제어신호에 응하여 상기 현재 양생 온도 또는 적산 온도를 상기 이동용 단말기로 송출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각 모듈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모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단말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품질관리 예측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이, 블루투스 모듈이며,
    상기 이동용 단말기가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단말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품질관리 예측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용 단말기가,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하고 있으며,
    상기 모니터링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통신라인을 연결시킨 후 메뉴항목을 통해 현재 양생 온도 또는 적산 온도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단말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품질관리 예측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무선방식으로 공급받아 상기 전원공급모듈을 충전시키는 무선충전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단말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품질관리 예측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모듈이, 자기 공진 유도방식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전원공급모듈을 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단말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품질관리 예측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기가,
    콘크리트의 양생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양생 측정모듈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모듈이, 양생 기준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양생 측정모듈에 의해 측정된 양생 정도 데이터를 양생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초과하는 경우 상기 이동용 단말기로 양생 초기 강도 도달 메시지를 송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단말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품질관리 예측 시스템.
KR1020150054075A 2015-04-16 2015-04-16 이동용 단말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품질관리 예측 시스템 KR101749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075A KR101749487B1 (ko) 2015-04-16 2015-04-16 이동용 단말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품질관리 예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075A KR101749487B1 (ko) 2015-04-16 2015-04-16 이동용 단말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품질관리 예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691A true KR20160123691A (ko) 2016-10-26
KR101749487B1 KR101749487B1 (ko) 2017-06-22

Family

ID=57251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4075A KR101749487B1 (ko) 2015-04-16 2015-04-16 이동용 단말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품질관리 예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9487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46924A (zh) * 2017-04-29 2017-10-13 中国能源建设集团安徽电力建设第工程有限公司 一种风机基础混凝土的温度监测和控制方法
CN110864824A (zh) * 2019-10-11 2020-03-06 大唐水电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ZigBee的混凝土箱温度监测系统
KR20210055384A (ko) * 2019-11-07 2021-05-17 노형남 스마트 하이웨이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256047B1 (ko) * 2020-09-28 2021-05-25 주식회사 비엘 수화반응물질 구조체의 강도 모니터링을 위한 강도신호 측정 방법 및 강도신호 측정 장치
CN113865652A (zh) * 2021-10-25 2021-12-31 中测科仪(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砼试块龄期监测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220055852A (ko) * 2020-10-27 2022-05-04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맨홀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맨홀관리시스템
KR102504627B1 (ko) * 2022-09-28 2023-03-03 에코엔텍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체의 사후 균열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h빔을 이용한 조립기둥구조물
KR102512742B1 (ko) * 2022-09-28 2023-03-22 주식회사 연강 보강된 단부의 강도 모니터링이 가능한 합성보
KR20230055479A (ko) 2021-10-19 2023-04-26 현대건설(주) 인공지능을 이용한 레미콘 품질의 영상 판정 시스템
CN116929598A (zh) * 2023-09-12 2023-10-24 中国公路工程咨询集团有限公司 一种沥青路面用温度实时监测无线智能骨料及检测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821A (ko) 2007-05-25 2009-01-09 재단법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콘크리트 적산 온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82737B1 (ko) 2009-07-16 2011-11-10 (주)대우건설 구조체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평가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148B1 (ko) * 2005-04-07 2006-08-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유비쿼터스 기반의 콘크리트 양생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821A (ko) 2007-05-25 2009-01-09 재단법인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 콘크리트 적산 온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82737B1 (ko) 2009-07-16 2011-11-10 (주)대우건설 구조체콘크리트의 압축강도 평가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46924A (zh) * 2017-04-29 2017-10-13 中国能源建设集团安徽电力建设第工程有限公司 一种风机基础混凝土的温度监测和控制方法
CN110864824A (zh) * 2019-10-11 2020-03-06 大唐水电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基于ZigBee的混凝土箱温度监测系统
KR20210055384A (ko) * 2019-11-07 2021-05-17 노형남 스마트 하이웨이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256047B1 (ko) * 2020-09-28 2021-05-25 주식회사 비엘 수화반응물질 구조체의 강도 모니터링을 위한 강도신호 측정 방법 및 강도신호 측정 장치
WO2022065595A1 (ko) * 2020-09-28 2022-03-31 에코엔텍 주식회사 수화반응물질 구조체의 강도 모니터링을 위한 강도신호 측정 방법 및 강도신호 측정 장치
KR20220055852A (ko) * 2020-10-27 2022-05-04 주식회사 지에스아이엘 맨홀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맨홀관리시스템
KR20230055479A (ko) 2021-10-19 2023-04-26 현대건설(주) 인공지능을 이용한 레미콘 품질의 영상 판정 시스템
CN113865652A (zh) * 2021-10-25 2021-12-31 中测科仪(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砼试块龄期监测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2504627B1 (ko) * 2022-09-28 2023-03-03 에코엔텍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조체의 사후 균열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h빔을 이용한 조립기둥구조물
KR102512742B1 (ko) * 2022-09-28 2023-03-22 주식회사 연강 보강된 단부의 강도 모니터링이 가능한 합성보
CN116929598A (zh) * 2023-09-12 2023-10-24 中国公路工程咨询集团有限公司 一种沥青路面用温度实时监测无线智能骨料及检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9487B1 (ko) 201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9487B1 (ko) 이동용 단말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품질관리 예측 시스템
US11454606B2 (en) Method and systems relating to construction material assessment
US20220034724A1 (en) Concrete sensor device and system
CN104879169A (zh) 地下工程和深基坑无人值守实时监控预警系统及其工作方法
CN111998912B (zh) 一体化全量程窨井水位监测设备及监测方法
JP2014152570A (ja) コンクリート型枠装置およびコンクリート管理システム
JP2008249345A (ja) 地震観測待機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20203462A1 (en) Pile installation an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2013252983A (ja) 温度応力解析に基づいたコンクリート養生管理システム
US9792737B2 (en) Construction machine and operation state management system for the same
CN106228845A (zh) 一种带车位管理功能的车位预定系统
JP2015108260A (ja) 構造物構築用フレッシュコンクリート充填検知システム
CN105698771A (zh) 取决于气象数据的物位传感器提取
CN113885619A (zh) 一种超大体积混凝土的温度应力控制方法及系统
JP2016160670A (ja) コンクリートの振動締め固め検知装置
JP6495509B2 (ja) 遠隔状態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JP2008234361A (ja) ひずみ計測システムおよび無線式ひずみアンプ
KR101888835B1 (ko) 이동식 무선기반 매설배관 방식전위 원격 측정 및 모니터링 시스템
JP2011058199A (ja) セグメント、充填判定システム及び充填判定方法
CN204064335U (zh) 实时监测装置
JP5964459B1 (ja) 作業機械の管理システム、作業機械の管理方法及び作業機械
JPWO2010116992A1 (ja) 移動体および移動体在庫情報管理システム
JP2005091034A (ja) 鋼材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塩害検知システム及びその検知装置並びに鋼材コンクリート構造物
JP5136301B2 (ja) 通話品質測定装置、そのシステム、その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20030062387A (ko) 콘크리트의 경화(양생)과정 중 온도변화를 감시하는 전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