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2699A - 유저장치 및 기지국 - Google Patents

유저장치 및 기지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2699A
KR20160122699A KR1020167018145A KR20167018145A KR20160122699A KR 20160122699 A KR20160122699 A KR 20160122699A KR 1020167018145 A KR1020167018145 A KR 1020167018145A KR 20167018145 A KR20167018145 A KR 20167018145A KR 20160122699 A KR20160122699 A KR 20160122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pcell
information
combination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8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오루 우치노
카즈키 타케다
히데아키 타카하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60122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26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04L5/0098Signalling of th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component carriers, subcarriers or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2Indication of how the channel is divid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 H04W72/04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04L5/008Timing of allocation once only, on instal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6Half-duplex systems; Simplex/duplex switching; Transmission of break signals non-automatically inverting the direction of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유저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저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서 사용 가능한 밴드의 조합을 나타내는 밴드 조합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와, 상기 유저장치가, 상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신방식의 밴드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리 셀을 설정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능력정보를, 상기 밴드 조합 정보에 명시적 또는 암묵적으로 부가하고, 해당 능력정보를 부가한 상기 밴드 조합 정보를 기지국에 통지하는 통지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유저장치 및 기지국{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본 발명은, LTE 등의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저장치(UE)가, 기지국(eNB)에 자신의 능력정보를 통지하는 기술에 관련된 것이다.
LTE―Advanced에서는, LTE와의 백워드 컴패터빌리티를 유지하면서, LTE를 상회하는 스루풋을 실현하기 위해, LTE에서 서포트되고 있는 대역폭(최대 20MHz)을 기준 단위로서, 복수의 캐리어를 동시에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 Carrier Aggregation)이 채용되고 있다.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있어서 기본 단위가 되는 캐리어는 컴포넌트 캐리어(CC: Component Carrier)라 불린다.
CA가 수행될 때에는, 유저장치(UE)에 대해, 접속성을 담보하는 신뢰성이 높은 셀인 PCell(Primary cell) 및 부수적인 셀인 SCell(Secondary cell)이 설정된다. 유저장치(UE)는, 첫째로, PCell에 접속하고, 필요에 따라, SCell을 추가할 수 있다. PCell은, RLM(Radio Link Monitoring) 및 SPS(Semi―Persistent Scheduling) 등을 서포트하는 LTE 방식에 있어서의 셀과 동일한 셀이다.
SCell은, PCell에 추가되어 유저장치(UE)에 대해 설정되는 셀이다. SCell의 추가 및 삭제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으로 수행된다. SCell은, 유저장치(UE)에 대해 설정된 직후는, 비액티브 상태(deactivate 상태)이기 때문에, MAC(Media Access Control) 레이어에 있어서 액티브화함으로써 처음으로 통신 가능(스케줄링 기능)해지는 셀이다. 또한, PCell에 대응하는 CC를 PCC(Primary Component Carrier)라 부르고, SCell에 대응하는 CC를 SCC(Secondary Component Carrier)라 부른다.
또, LTE에서는, 주파수 분할 복신(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방식과 시분할 복신(Time Division Duplex: TDD) 방식의 2개의 복신방식(Duplex 모드)이 규정되어 있다. FDD 방식에서는, 업링크 통신과 다운링크 통신이 서로 다른 주파수대에서 실행되고, TDD 방식에서는, 업링크 통신과 다운링크 통신이 동일한 주파수대를 이용하고, 업링크 통신과 다운링크 통신이 시간으로 분리된다. 또, 각각의 Duplex 모드 사이는, 이주파(Inter―frequency) 핸드오버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LTE에서는, frame structure type 1(프레임 구조 타입 1)을 갖는 캐리어가 FDD의 캐리어에 상당하고, frame structure type 2(프레임 구조 타입 2)를 갖는 캐리어가 TDD의 캐리어에 상당함으로써, 프레임 구조 타입에 따라 복신방식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비특허문헌 1: 3GPP TS 36.331 V10.9.0(2013―03), 6.3.6 Other information elements, UE―EUTRA―Capability
상기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CA 및 Duplex 모드에 관해, LTE의 Rel.10―11에서는 CA를 구성하는 복수의 CC는 동일 Duplex 모드로 한정되어 있었다. 즉,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매크로 셀(MeNB의 셀)과 스몰 셀(SeNB의 셀)을 형성하는 CA의 일 형태에 있어서, (a)와 같이, 복수의 CC(PCell, Scell)가 모두 FDD이거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CC가 모두 TDD인 형태로 한정되어 있었다.
한편, Rel―12에 있어서는 CA를 확장하고, 다른 Duplex 모드의 CC를 이용하여 CA를 수행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도 2에는, 다른 Duplex 모드의 CC를 이용한 CA의 일 예로서, PCell(PCC)에 FDD를 이용하고, SCell(SCC)에 TDD를 이용하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후, 다른 Duplex 모드의 CC를 이용한 CA를 TDD―FDD CA라고 기술한다. 또한, 도 2(및 도 1)는, DC(Dual Connectivity)를 상정한 도이지만, 이것은 예이며, TDD―FDD CA는 DC가 아닌 CA에도 적용된다. 이는, 예를 들면, 도 2에 있어서, SeNB로 도시되는 장치가, MeNB로 도시되는 기지국(eNB)으로부터 연장되는 RRE(원격 무선 장치)인 경우이다.
TDD―FDD CA에 있어서는, TDD와 FDD의 어느 것의 Duplex 모드도 PCell로서 동작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이 경우, CA에 있어서 PCell에서 PUCCH(하향 데이터에 대한 ACK/NACK)를 송신하기 때문에, 항상 UL 서브 프레임이 존재하는 FDD를 PCell로 하는 CA는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으나, UL 서브 프레임이 한정되어 있는 TDD를 PCell로 하는 CA는, FDD 제어를 복수로 변경할 필요가 있으며, UE/eNB 실장의 릴리스를 지연시킬 가능성이 있다.
즉, 예를 들면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FDD를 PCell에 사용하고, TDD를 SCell에 사용한 경우, SCell의 DL에서 수신한 데이터에 대해, PCell에서의 UL의 PUCCH는 SCell의 DL 수신의 타이밍에 따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TDD를 PCell에 사용하고, FDD를 SCell에 사용한 경우, PCell에서의 UL의 타이밍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SCell의 수회분의 DL 수신에 대해, 1회의 PCell의 UL 송신을 사용한다는 제어가 필요해진다.
한편으로, FD―LTE(FDD 방식의 LTE)는 이미 널리 보급하고 있으며(커버리지 밴드로서 이용되고), CA에 있어서의 PCell로서도 이용되는 것이 상정되기 때문에, PCell을 FDD에 한정하는 TDD―FDD CA를 도입해도, 운용의 제약은 그다지 엄격하지 않다.
이상과 같은 상황에서, PCell을 FDD만으로 하는 유저장치(UE)와, PCell을 FDD와 TDD의 양방에서 대응 가능한 유저장치(UE)가 혼재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LTE에서는, 유저장치(UE)는, 자신의 능력정보(capability)를 소정의 메시지 "UE―EUTRA―Capability"로 통지하는 것이 규정되어 있다(비특허문헌 1: TS36.311). CA에 관한 능력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유저장치(UE)에 있어서 CA를 수행할 때에 사용 가능한 밴드의 조합을 나타내는 CA 밴드 콤비네이션의 정보가 있다.
그러나, 현상태에서는, 유저장치(UE)는, PCell의 설정이 FDD에 한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기지국(eNB)에 통지할 수 없음으로써, 기지국(eNB)은 현상태, 유저장치(UE)에 대해 PCell의 설정이 FDD로 한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구별할 수 없고, 적절한 제어를 수행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제1 복신방식의 밴드와 제2 복신방식의 밴드를 이용하여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수행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유저장치가 기지국에 대해, 특정한 복신방식으로 프라이머리 셀을 설정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복신방식의 밴드와 제2 복신방식의 밴드를 이용하여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수행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저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저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서 사용 가능한 밴드의 조합을 나타내는 밴드 조합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와,
상기 유저장치가, 상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신방식의 밴드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리 셀을 설정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능력정보를, 상기 밴드 조합 정보에 명시적 또는 암묵적으로 부가하고, 해당 능력정보를 부가한 상기 밴드 조합 정보를 기지국에 통지하는 통지 제어부를 구비하는 유저장치가 제공된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복신방식의 밴드와 제2 복신방식의 밴드를 이용하여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수행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에 있어서,
유저장치로부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있어서의 밴드의 조합을 나타내는 밴드 조합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로 인해 수신된 상기 밴드 조합 정보에, 명시적 또는 암묵적으로 부가된 능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장치가, 상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신방식의 밴드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리 셀을 설정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구비하는 기지국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복신방식의 밴드와 제2 복신방식의 밴드를 이용하여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수행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유저장치가 기지국에 대해, 특정한 복신방식으로 프라이머리 셀을 설정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하는 기술이 제공된다.
도 1은 복수의 CC에서 동일 Duplex 모드를 사용하는 CA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복수의 CC에서 다른 Duplex 모드를 사용하는 CA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TDD―FDD CA에 있어서의 DL와 UL의 통신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6은 통지예 1에 있어서, TDD/FDD의 양방을 PCell로 할 수 있는 유저장치(UE)가 기지국(eNB)에 통지하는 CA 밴드 콤비네이션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통지예 1에 있어서, 일부의 TDD만을 PCell로 할 수 있는 유저장치(UE)가 기지국(eNB)에 통지하는 CA 밴드 콤비네이션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통지예 2에 있어서, 일부의 TDD만을 PCell로 할 수 있는 유저장치(UE)가 기지국(eNB)에 통지하는 CA 밴드 콤비네이션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변형예에 있어서, 일부의 FDD만을 PCell로 할 수 있는 유저장치(UE)가 기지국(eNB)에 통지하는 CA 밴드 콤비네이션 정보의 예(통지예 1에 대응)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변형예에 있어서, 일부의 FDD만을 PCell로 할 수 있는 유저장치(UE)가 기지국(eNB)에 통지하는 CA 밴드 콤비네이션 정보의 예(통지예 2에 대응)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변형예 3에 있어서의 통신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CA에 있어서의 SCell의 PUCCH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3은 변형예 3에 있어서의 통지예 2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4는 변형예 3에 있어서의 통지예 2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5는 변형예 4에 있어서 전제로 하는 상세한 과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6은 변형예 4에 있어서 전제로 하는 상세한 과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7은 변형예 4에 있어서 전제로 하는 상세한 과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8은 변형예 4에 있어서 전제로 하는 상세한 과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9는 변형예 4에 있어서 PCell duplex mode capability를 대체하여 판독한 경우의 상정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0은 변형예 4에 있어서 PCell duplex mode capability를 대체하여 판독한 경우의 상정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1은 변형예 4에 있어서 PCell duplex mode capability를 대체하여 판독한 경우의 상정 동작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2는 변형예 5에 있어서 전제로 하는 상세한 과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3은 변형예 5에 있어서의 통지예 1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4는 변형예 5에 있어서의 통지예 2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장치(UE)의 기능 구성도이다.
도 26은 유저장치(UE)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eNB)의 기능 구성도이다.
도 28은 기지국(eNB)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일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형태는,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의 통신시스템은, LTE―Advanced를 포함하는 LTE에 대응하고 있는 것을 상정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LTE에 한정되지 않고, CA(DC를 포함)를 수행하는 다른 방식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하, 특별한 단서가 없는 한, 'LTE'는, LTE―Advanced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시스템 전체 구성)
도 4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모든 변형예를 포함)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시스템은, LTE 방식의 통신시스템이며,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장치(UE), 및 기지국(eNB)을 포함한다. 기지국(eNB)은, 예를 들면 원격으로 RRE를 접속하고 있으며, 스몰 셀과 매크로 셀을 형성 가능하다. 유저장치(UE), 및 기지국(eNB)은, TDD―FDD CA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에는, 유저장치(UE), 및 기지국(eNB)이 하나씩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이며, 각각 복수여도 좋다. 또, 유저장치(UE)는, 복수의 기지국(eNB)과 동시에 통신을 수행하는 능력(Dual Connectivity)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장치(UE)는, 단계 1에서 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되는 UE 능력정보 요구(예: UE capability enquiry)에 기초하여, 기지국(eNB)에 대해 UE 능력정보를 송신한다(단계 2).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통지방법은 예이며, 예를 들면, 유저장치(UE)는, 기지국(eNB)으로부터 UE 능력정보 요구를 수신하지 않고 UE 능력정보를 기지국(eNB)에 통지해도 좋다.
상기의 능력정보의 통지에 있어서, 유저장치(UE)는, 자신이 CA에 있어서 서포트하는 밴드의 조합(CA 밴드 콤비네이션, CA band combination)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지국(eNB)에 통지한다. 유저장치(UE)가 복수 종류의 CA 밴드 콤비네이션에 대응할 수 있는 경우, 유저장치(UE)는, 대응하는 모든 CA 밴드 콤비네이션의 패턴을 기지국(eNB)에 통지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지국(eNB)이 유저장치(UE)에 대해 PCell의 설정이 FDD에 한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구별할 수 없다는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PCell의 설정이 FDD에 한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능력정보(Capability)를 통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로 인해, 기지국(eNB)은, PCell의 설정이 FDD에 한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능력정보를 통지(암묵적인 통지를 포함)하는 유저장치(UE)에 대해서는, TDD의 밴드를 PCell로 한 CA를 설정하지 않는다(후술하는 변형예 4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 또, 기지국(eNB)은, PCell의 설정이 FDD에 한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능력정보를 통지한 유저장치(UE)로부터, TDD의 밴드를 PCell로 하는 CA를 설정하는 RRC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정상적인 통지가 아니라고 판단하고, 에러 메시지(예: reconfiguration failure)를 유저장치(UE)에 통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PCell의 설정이 FDD로 한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능력정보의 통지방법의 예로서, 통지예 1과 통지예 2를 설명한다. 통지예 1에서는, 유저장치(UE)로부터 기지국(eNB)에 능력정보를 통지하는 메시지에 있어서 신규의 정보 요소(IE: Information Element)를 추가함으로써, PCell의 설정이 FDD에 한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명시적으로 통지한다. 통지예 2에서는, 현상태의 정보 요소를 변경하지 않고, 암묵적(암시적)으로 통지를 수행한다. 이하, 각각의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 밴드의 조합을 의도하는 경우는 주로 'CA 밴드 콤비네이션'을 이용하고, 메시지로 전달되는 정보를 의도하는 경우는 주로 'CA 밴드 콤비네이션 정보' 등을 이용한다.
(통지예 1)
통지예 1에서는, TDD―FDD의 CA 밴드 콤비네이션마다 TDD의 밴드를 PCell로서 설정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하도록 하고 있다.
도 6에, 유저장치(UE)에 있어서 PCell을 설정할 수 있는 Duplex 모드에 제한이 없고, TDD의 밴드도 FDD의 밴드도 모두 PCell로서 설정할 수 있는 경우에, 해당 유저장치(UE)가 기지국(eNB)에 통지하는 CA 밴드 콤비네이션 정보의 예를 나타낸다.
도 6에 도시하는 예는, 유저장치(UE)가 X(TDD), Y(FDD), Z(FDD)라는 3개의 밴드를 이용한 3DL/2UL CA를 수행할 수 있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여기서, X(TDD)는 밴드 X가 TDD에 대응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Y(FDD)는 밴드 Y가 FDD에 대응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고, Z(FDD)는 밴드 Z가 FDD에 대응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3DL/2UL'는, 하향(DL)에서 3개 밴드의 캐리어를 사용한 CA가 가능하며, 상향(UL)에서 2개 밴드의 캐리어를 사용한 CA가 가능한 것을 나타낸다.
도 6에 도시하는 예는, 유저장치(UE)가, 3DL/2UL의 밴드의 모든 조합에 대해 CA가 가능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모든 조합'이란, 반드시 산술적인 의미에서의 모든 조합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실제로, 조합하는 것이 가능한 조합으로서 기규정된 조합이다. 또한, CA를 하지 않는 경우(DL: XA, UL:XA 등)도 서브셋으로서 통지하는 것이 규정되어 있다.
또, 'XA' 등에 있어서의 A란, CA bandwidthclass를 나타내고, 주파수 밴드마다, 유저장치(UE)에서 애그리게이션 가능한 대역폭, CC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주파수대 2GHz(Band 1)와 1.5GHz(Band 21)에서 각 밴드의 최대의 CC수가 1, 애그리게이트 가능한 최대 대역폭이 100RB이며, 그리고 2CC의 inter―band CA의 경우, 1A_21A라고 기술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저장치(UE)에 있어서 PCell을 설정할 수 있는 Duplex 모드에 제한이 있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장치(UE)는, TDD에서 PCell을 설정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PCell의 설정이 FDD에 한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하지 않고, 유저장치(UE)가 서포트하고 있는 모든 CA 밴드 콤비네이션의 정보를 기지국(eNB)에 통지한다.
예를 들면, 도 6에 있어서 A로 나타내는 CA 밴드 콤비네이션에 관해, 해당 유저장치(UE)는, 밴드 X에서 TDD의 PCell을 설정하고, 밴드 Y에서 FDD의 SCell을 설정할 수도 있고, 밴드 Y에서 FDD의 PCell을 설정하고, 밴드 X에서 TDD의 SCell을 설정할 수도 있다. 실제로 어느 밴드 콤비네이션으로 CA를 수행하고, 어느 밴드를 PCell, SCell로 할지는, 예를 들면, 캐리어(주파수)의 품질 등에 따라, 기지국(eNB)이 유저장치(UE)에 지시(설정)할 수 있다.
유저장치(UE)에 있어서, PCell을 설정할 수 있는 Duplex 모드에 제한이 있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장치(UE)는, TDD에서 PCell을 설정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부가하여, 유저장치(UE)가 서포트하고 있는 모든 CA 밴드 콤비네이션의 정보를 통지하도록 하고 있다.
즉, 도 7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CA 밴드 콤비네이션 정보를 통지하는 메시지에, TDD에서 PCell을 설정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요소(도 7의 예에서는 TDD PCell capability)를 추가하고, TDD에서의 PCell 설정을 수행할 수 있는 CA 밴드 콤비네이션에 대해, 실제로 TDD에서 PCell을 설정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그래프(도 7의 예에서는, True, False)를 부가하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면, 도 7의 A, B, C, D, E에 도시하는 CA 밴드 콤비네이션에 대해, 각각 밴드 X(TDD)가 DL과 UL의 양방에 존재하기 때문에, 밴드 X는 PCell로서 설정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A, B, E에 대해서는, 플래그가 True이기 때문에, 해당 유저장치(UE)는, A, B에 도시하는 CA 밴드 콤비네이션에 대해, 밴드 X(TDD)에서의 PCell 설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C, D에 대해서는, 플래그가 False이기 때문에, 밴드 X(TDD)를 이용한 PCell 설정을 수행할 수 없다. 따라서, 예를 들면, 도 7의 C에 도시하는 CA 밴드 콤비네이션에 관해서는, 밴드 Z(FDD)를 이용한 PCell과, 밴드 X(TDD)를 이용한 SCell의 설정만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TDD에서의 PCell 설정을 수행할 수 있는 CA 밴드 콤비네이션마다, TDD에서 PCell을 설정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부가하도록 했으나, 유저장치(UE)가 대응 가능한 CA 밴드 콤비네이션 정보의 전체에 대해, TDD에서 PCell을 설정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플래그)를 부가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True라는 플래그가 부가되어 있던 경우, 기지국(eNB)에서는, 유저장치(UE)로부터 통지된 CA 밴드 콤비네이션 정보에 있어서, TDD에서의 PCell 설정을 수행할 수 있는 CA 밴드 콤비네이션이 있는 경우에(예: 도 7에서의 A, B, C, D, E), 그들은 모두 TDD에서의 PCell 설정을 할 수 있는 CA 밴드 콤비네이션이라고 해석한다.
한편, 예를 들면, False라는 플래그가 부가되어 있던 경우, 기지국(eNB)에서는, 유저장치(UE)로부터 통지된 CA 밴드 콤비네이션 정보에 있어서, TDD에서의 PCell 설정을 수행할 수 있는 CA 밴드 콤비네이션이 있어도, 그들은 모두 TDD에서의 PCell 설정이 불가능한 CA 밴드 콤비네이션이라고 해석한다.
또한, True인 경우에는, 도 6의 상황과 같아지기 때문에, TDD에서 PCell을 설정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부여하지 않도록 해도 좋다.
또, 반대로, False의 경우에는, TDD에서 PCell을 설정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부여하지 않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 True라는 플래그가 부여되어 있던 경우, 기지국(eNB)에서는, 유저장치(UE)로부터 통지된 CA 밴드 콤비네이션 정보에 있어서, TDD에서의 PCell 설정을 수행할 수 있는 CA 밴드 콤비네이션이 있는 경우에, 그들은 모두 TDD에서의 PCell 설정이 가능한 CA 밴드 콤비네이션이라고 해석한다. 한편, 플래그가 부여되어 있지 않은 경우, 기지국(eNB)에서는, 유저장치(UE)로부터 통지된 CA 밴드 콤비네이션 정보에 있어서, TDD에서의 PCell 설정을 수행할 수 있는 CA 밴드 콤비네이션이 있어도, 그들은 모두 TDD에서의 PCell 설정이 불가능한 CA 밴드 콤비네이션이라고 해석한다.
(통지예 2)
다음으로, 통지예 2를 설명한다. 통지예 2에서는, CA 밴드 콤비네이션 정보를 통지하는 현상태의 메지지로의 정보 요소를 추가 등을 수행하지 않고, TDD에서의 PCell 설정을 수행할 가능성이 있는 CA 밴드 콤비네이션마다, 유저장치(UE)에 있어서 TDD에서의 PCell 설정이 가능한지 여부를 암묵적으로(implicitly) 기지국(eNB)에 통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유저장치(UE)는, TDD에 따른 PCell 설정이 불가능한 CA 밴드 콤비네이션을 기지국(eNB)에 통지하지 않음으로써, 해당 CA 밴드 콤비네이션이 서브셋(subset)이 되는 CA 밴드 콤비네이션에 대해서 TDD에 따른 PCell 설정이 불가능한 것을 암묵적으로 통지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한 CA 밴드 콤비네이션의 서브셋의 CA 밴드 콤비네이션이란, DL에 대해서, 해당 한 CA 밴드 콤비네이션의 DL에 있어서의 일부 또는 전부의 밴드를 갖고, UL에 대해, 해당 한 CA 밴드 콤비네이션의 UL에 있어서의 일부 또는 전부의 밴드를 갖고, 또한, DL 또는 UL, 혹은 이들 양방에 대해, CA를 구성하는 밴드수가 해당 한 CA 밴드 콤비네이션에 있어서의 밴드수 보다도 적은 CA 밴드 콤비네이션이다.
또한, 한 CA 밴드 콤비네이션에 대해, 어느 CA 밴드 콤비네이션을 서브셋으로 하는지는, 상기의 정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면 한 CA 밴드 콤비네이션에 대한 서브셋을 개별적으로 결정해도 좋다.
또, 한 CA 밴드 콤비네이션의 서브셋의 CA 밴드 콤비네이션에 대해, 해당 서브셋의 CA 밴드 콤비네이션에서 봐서, 해당 한 CA 밴드 콤비네이션을 상위의 CA 밴드 콤비네이션이라 부를 수 있다.
일 예로서, 상술한 도 7에 있어서의 CA 밴드 콤비네이션 정보에 있어서, E에서 도시되는 CA 밴드 콤비네이션(DL:XA_YA_ZA, UL:ZA_XA)의 서브셋은, (DL:XA_YA_ZA, UL:ZA), (DL:XA_YA_ZA, UL:XA), (DL:ZA_XA, UL:ZA_XA), (DL:ZA_XA, UL:ZA), (DL:ZA_XA, UL:XA), (DL:YA_ZA, UL:ZA), (DL:XA_YA, UL:XA)이다. 또한, (DL:ZA, UL:ZA)와 (DL:XA, UL:XA)를 서브셋에 포함시켜도 좋으나, 이들은 CA를 구성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상기에서는, CA 밴드 콤비네이션의 서브셋으로서 포함시키지 않는 것으로 했다.
통지예 2에 있어서, 유저장치(UE)에서 PCell을 설정 가능한 Duplex 모드에 제한이 없는 경우에는, 통지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장치(UE)는, 유저장치(UE)가 서포트하고 있는 모든 CA 밴드 콤비네이션의 정보를 기지국(eNB)에 통지한다. 해당 정보를 수신한 기지국(eNB)에서는, 예를 들면, 도 6의 A에서 도시하는 CA 밴드 콤비네이션에 관해, 해당 통지를 수행한 유저장치(UE)는, 밴드 X의 캐리어에서 TDD의 PCell을 설정하고, 밴드 Y의 캐리어에서 FDD의 SCell을 설정할 수도 있으며, 밴드 Y의 캐리어에서 FDD의 PCell을 설정하고, 밴드 X의 캐리어에서 TDD의 SCell을 설정할 수도 있다고 해석한다.
유저장치(UE)에 있어서, PCell을 설정할 수 있는 Duplex 모드에 제한이 있는 경우에 기지국(eNB)에 통지하는 CA 밴드 콤비네이션의 예를 도 8에 도시한다. 도 8에 있어서, 우측의 기재("통지하지 않음" 등)는, 설명이며, 통지되는 정보가 아니다.
예를 들면, A에 도시하는 CA 밴드 콤비네이션을 통지하지 않는, 즉, A에 도시하는 CA 밴드 콤비네이션을 포함하지 않는 CA 밴드 콤비네이션 정보를 통지하는 경우, 기지국(eNB)은, A에 도시하는 CA 밴드 콤비네이션의 설정은 불가능하다고 판단함과 동시에, A에 도시하는 CA 밴드 콤비네이션을 서브셋으로 하는 CA 밴드 콤비네이션인 B, C, D, E에 대해 TDD에 따른 PCell 설정은 불가능하다고 판단한다. 또한, 이 경우, B, C, D, E는 통지는 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B에 대해, 밴드 Z를 PCell로 하고, 밴드 X를 SCell로 하는 CA는 불가능하다고 판단된다. C, D, E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 A를 통지하지 않는 경우, A를 서브셋으로 하지 않고, 그리고 TDD로 인해 PCell 설정을 수행할 수 있는 CA 밴드 콤비네이션인 F, G에 관해서는, 기지국(eNB)은 TDD로 인해 PCell 설정이 가능하다고 판단한다.
다음으로, 예를 들면, C에 도시하는 CA 밴드 콤비네이션을 통지하지 않는(A, B는 통지한다), 즉, C에 도시하는 CA 밴드 콤비네이션을 포함하지 않는 CA 밴드 콤비네이션 정보를 통지하는 경우, 기지국(eNB)은, C에 도시하는 CA 밴드 콤비네이션의 설정은 불가능하다고 판단함과 동시에, C에 도시하는 CA 밴드 콤비네이션을 서브셋으로 하는 CA 콤비네이션인 D, E에 대해 TDD에 따른 PCell 설정은 불가능하다고 판단한다. 또한, 이 경우, D, E는 통지는 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D에 대해서, 밴드 Y를 PCell로 하고, 밴드 X를 SCell로 하는 CA는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E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 C를 통지하지 않는 경우, C를 서브셋으로 하지 않고, 그리고 TDD로 인해 PCell 설정을 수행할 수 있는 CA 밴드 콤비네이션인 F, G, A, B에 관해서는, 기지국(eNB)은 TDD로 인해 PCell 설정이 가능하다고 판단한다.
또, 예를 들면, A와 C를 통지하지 않는, 즉, A와 C에 도시하는 CA 밴드 콤비네이션을 포함하지 않는 CA 밴드 콤비네이션 정보를 통지하는 경우, 기지국(eNB)은, A, C에 도시하는 CA 밴드 콤비네이션의 설정은 불가능하다고 판단함과 동시에, B에 도시하는 CA 밴드 콤비네이션을 서브셋으로 하는 CA 밴드 콤비네이션인 B에 대해서 TDD에 따른 PCell 설정은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또한, C에 도시하는 CA 밴드 콤비네이션을 서브셋으로 하는 CA 콤비네이션인 D, E에 대해서도 TDD에 따른 PCell 설정은 불가능하다고 판단한다.
또한, 통지예 2에 있어서는, 통지하지 않는 CA 밴드 콤비네이션을 서브셋으로 하는 모든 CA 밴드 콤비네이션이 TDD에 따른 PCell 설정 비대응이 되기 때문에, 통지예 1에 비해 TDD에 따른 PCell 설정 가능여부를 통지할 수 있는 CA 밴드 콤비네이션의 베리에이션의 수가 적어지지만, 통지예 2에서는, 기존의 통지 메시지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 통지예 1과 통지예 2를 병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일부의 CA 밴드 콤비네이션에 대해 통지예 1과 같이 True, False를 명시적으로 표시하고, 일부의 CA 밴드 콤비네이션에 대해 통지예 2와 같이 암묵적으로 통지를 수행해도 좋다.
이하, 각 변형예를 설명한다. 또한, 지금까지 설명한 예를 기본예라고 부르도록 한다.
(변형예 1)
TDD에 있어서는,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Full―duplex(전(全)이중 복신) 모드와,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없는 Half―duplex(반(半)이중 복신) 모드가 있으며, 밴드마다 어느 쪽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능력정보(capability)를 유저장치(UE)는 기지국(eNB)으로 통지하고 있다. 또한, Rel―10까지의 TDD 대응 유저장치(UE)는 Half―duplex이다.
TDD에서 Full―duplex 모드가 필요해지는 케이스란, 예를 들면, TDD의 복수 콤비네이션 캐리어(편의상, CC1, CC2로 한다)를 이용한 CA에 있어서, CC1의 DL의 서브 프레임과 CC2의 UL의 서브 프레임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이다.
또, TDD―FDD CA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TDD의 UL와 FDD의 DL가 동시에 발생하고, 또, TDD의 DL과 FDD의 UL가 동시에 발생하기 때문에, Full―duplex 모드에서의 통신이 된다.
단, 유저장치(UE)가 Half―duplex 모드에 밖에 대응하고 있지 않아도, TDD―FDD CA는 가능하며, 그 경우, 예를 들면, 유저장치(UE)에 상향 데이터가 있을 때에는 그것을 우선적으로 송신시키고, 그 사이에, 하향 데이터를 정지시키는 등의 제어가 기지국(eNB)에 있어서 수행된다(이 제어는 예에 불과하다). 즉, TDD―FDD CA에 있어서, 기지국(eNB)은, 유저장치(UE)가 Full―duplex 모드에 대응하고 있는지, 아니면 Half―duplex 모드에 대응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FDD를 베이스로서 설계된 TDD―FDD에 대응하는 유저장치(UE)는, 기본적으로는 Full―duplex 모드에 대응하고 있으나, Rel―10 TDD―UE를 베이스로 설계된 TDD―PCell capability=False의 TDD―FDD CA에 대응하는 유저장치(UE)는 Half―duplex 모드에밖에 대응하고 있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변형예에서는, 유저장치(UE)는, 지금까지 설명한 TDD―PCell capability의 정보에 더해, Full―duplex 모드와 Half―duplex 모드의 어느 것에 대응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능력정보(capability)도 통지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인 통지방법의 예 1, 예 2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이하의 예에서는, 유저장치(UE)에 있어서, TDD―PCell capability=True인 경우는, 해당 유저장치(UE)는, Full―duplex 모드에 대응하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변형예 1: 통지예 1〉
변형예의 통지예 1에서는, 유저장치(UE)에 있어서, TDD―PCell capability=False인 경우에, 유저장치(UE)는, Full―duplex 모드에 대응하고 있는지, 혹은 Half―duplex 모드에 대응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능력정보를 명시적으로 기지국(eNB)에 통지한다. 예를 들면, Full―duplex 모드에 대응하고 있는 경우에, Full―duplex 모드에 대응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True'를 통지한다. 이 경우, 기지국(eNB)에서는, True를 수신한 경우에 Full―duplex 모드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Half/Full―duplex 모드에 관한 능력정보를 수신하지 않았을 때에 Half―duplex 모드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유저장치(UE)에 있어서, TDD―PCell capability=False인 경우란, 기본적으로는, TDD―PCell에 대응할 수 있는 CA 밴드 콤비네이션이 하나도 없는 경우이다. 또, TDD―PCell capability=False가 되는 CA 밴드 콤비네이션마다, 상기 Half/Full―duplex 모드에 관한 능력정보를 통지하도록 해도 좋다.
〈변형예 1: 통지예 2〉
변형예의 통지예 2에서는, 유저장치(UE)는, Half/Full―duplex 모드에 관한 능력정보를 명시적으로는 기지국(eNB)으로 송신하지 않는다. 통지예 2에서는, 유저장치(UE)로부터 TDD―PCell capability=False의 능력정보를 수신한 기지국(eNB)이, 해당 유저장치(UE)는 Half―duplex 모드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혹은, 유저장치(UE)로부터 TDD―PCell capability=False의 능력정보를 수신한 기지국(eNB)이, 해당 유저장치(UE)는 Full―duplex 모드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하도록 해도 좋다. 규정에 따라 어느 하나로 정해진다.
상기 유저장치(UE)에 있어서의 TDD―PCell capability=False의 능력정보란, 기본적으로는, TDD―PCell에 대응할 수 있는 CA 밴드 콤비네이션이 하나도 없는 경우이다. 단, 기지국(eNB)은, TDD―PCell capability=False가 되는 CA 밴드 콤비네이션마다, 상기와 같이 하여, Half/Full―duplex 모드를 판단해도 좋다.
또, 기지국(eNB)은, 하나라도 TDD―PCell capability=True가 되는 CA 밴드 콤비네이션을 유저장치(UE)로부터 수신했을 때에, 해당 유저장치(UE)는 Full―duplex 모드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하도록 해도 좋다.
(변형예 2)
지금까지는, 유저장치(UE)에 있어서, TDD를 PCell로 한 CA를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한 능력정보 통지의 실시형태를 설명했으나, 그 반대로, FDD를 PCell로 한 CA를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한 능력정보 통지에 대해서도 지금까지의 설명과 동일하게 실시 가능하다.
예를 들면, TDD 베이스로 설계되어 있는 유저장치(UE)에 대해 TDD―FDD CA를 대응시키는 경우, 실장에 따라서는 TDD의 제어를 FDD의 제어에 맞춰 실장하는 것이 보다, 편리하게 실장할 수 있을 가능성도 있다. 이와 같은 관점으로부터 FDD를 PCell로 한 CA를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한 능력정보 통지를 수행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FDD를 PCell로 한 CA를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한 능력정보 통지 방법은, 지금까지의 설명에 있어서, TDD와 FDD로 하고, FDD를 TDD로 한 것에 상당한다.
예를 들면, TDD―PCell capability의 정보 요소를 마련하는 예와 마찬가지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FDD―PCell capability의 정보 요소를 마련하여 능력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또, TDD―PCell capability를 암묵적으로 통지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FDD―PCell capability를 암묵적으로 통지할 수 있다.
또, TDD를 PCell로 한 CA를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한 능력정보와, FDD를 PCell로 한 CA를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한 능력정보의 양방을 통지하도록 해도 좋다.
(변형예 3)
다음으로, 변형예 3에 대해 설명한다. LTE의 Rel―11까지는, PCell에서밖에 PUCCH을 서포트하고 있지 않았으나, Rel―12에 있어서, SCell에서도 PUCCH을 송신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변형예 3(및 후술하는 변형예 4)은, SCell에서의 PUCCH 송신에 관련되어 있다. SCell에서의 PUCCH 송신을 수행하는 하나의 예로서 Dual Connectivity(이하, DC)이다.
도 11은, 변형예 3(변형예 4도 동일)에 있어서 DC를 수행하는 통신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해당 통신시스템은, 각각 코어 네트워크(10)에 접속되는 기지국(MeNB)과 기지국(SeNB)을 구비하고, 유저장치(UE)와의 사이에서 DC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 기지국(MeNB)과 기지국(SeNB)과의 사이는, 예를 들면 X2 인터페이스로 인해 통신 가능하다.
DC는, CA의 일종이며, Inter eNB CA(기지국 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라고도 불리고, 상기와 같이 Master―eNB(MeNB)와, Secondary―eNB(SeNB)가 도입된다.
DC에 있어서, MeNB 배하의 셀(하나 또는 복수)로 구성되는 셀 그룹을 MCG(Master Cell Group, 마스터 셀 그룹), SeNB 배하의 셀(하나 또는 복수)로 구성되는 셀 그룹을 SCG(Secondary Cell Group, 세컨더리 셀 그룹)라고 부른다. SCG 중 적어도 하나의 SCell에는 UL의 CC가 설정되고, 그 중의 하나에 PUCCH가 설정된다. 이 SCell을 PSCell(primary SCell)이라 부른다. 또, 이를 특별 셀(special cell)이라 불려도 좋다.
도 11에 도시하는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예를 들면, MCG를 매크로 셀로 하고, SCG를 스몰 셀로 하여, PCell, SCell(PSCell을 포함)의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유저장치(UE)에 있어서의 SCell(PSCell을 포함)의 추가, 삭제, 설정 변경은, 기지국(MeBN)으로부터의 RRC 시그널링을 수행하도록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 SCell의 액티베이션/비 액티베이션은, SCG에 대해서는 기지국(SeNB)을 수행하고, MCG에 대해서는 기지국(MeNB)이 수행하도록 해도 좋으며, 모든 SCell에 대해 기지국(MeNB)이 수행하도록 해도 좋다.
DC는, 지연이 큰 backhaul로 접속된 eNB 배하의 CC에서 inter―eNB CA를 수행하는 제어이며, SCell측의 HARQ ACK/NACK를 PCell 경유로 피드백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SCell에서의 PUCCH가 필요해진다.
DC가 아닌 CA에 있어서 CC 수를 증가시키면, PCell에 있어서의 PUCCH 리소스가 부족하고, 스루풋이 감소하거나, 접속 가능한 UE 수가 감소하고, 셀 용량이 감소되기 때문에, DC가 아닌 CA에 있어서도, 상기 PSCell과 마찬가지로 SCell에서 PUCCH을 송신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이와 같은 SCell를 사용하는 CA를 'CA with SCell PUCCH'라 칭한다. 또, PUCCH을 송신하는 SCell을 PUCCH―SCell이라 칭해도 좋다. PSCell과 PUCCH―SCell을 총칭하여 특별 셀이라 칭해도 좋다. 또, PSCell과 PUCCH―SCell은, SCell의 그룹 내에서는 PCell과 마찬가지로 PUCCH을 설정하여 ACK/NACK를 송신함으로써, 이들은 '프라이머리 셀'의 일종이라고 생각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는, SCell에 있어서의 PUCCH 송신의 대응을 방식마다 나타낸 도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Rel―11까지의 CA에서는, PCell에서밖에 PUCCH을 송신할 수 없으나, DC 및 CA with SCell PUCCH에서는, SCell(PSCell)에서도 PUCCH을 송신할 수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 설명한 capability의 통지는, 한 CA 밴드 콤비네이션에 있어서, TDD의 PCell 설정이 가능한지, FDD의 PCell 설정이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PSCell/PUCCH―SCell(PSCell 또는 PUCCH―SCell를 의미한다)에 대해서는 고려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PUCCH가 설정되는 PSCell/PUCCH―SCell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PCell에서의 과제와 동일한 과제가 있다, 그래서, 변형예 3에서는, PSCell/PUCCH―SCell에 관한 capability도 통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변형예 3에 있어서의 통지예 1, 통지예 2에 대해 설명한다.
〈변형예 3의 통지예 1〉
통지예 1에서는, PCell의 capability의 통지방법은 지금까지의 설명과 동일하지만, 기지국(eNB)(DC의 경우는 예를 들면 MeNB)이, 능력정보를, PCell뿐 아니라 SCell/PUCCH―SCell에도 적용되도록 바꿔 읽도록 한다.
즉, 지금까지 설명한 통지방법에서, 한 CA 밴드 콤비네이션에 있어서, TDD에서 PCell이 설정 가능하다고 해석하는 경우(예: TDD가 true라고 명시적으로 통지되는 경우)에는, 기지국(eNB)은, PCell뿐 아니라 PSCell/PUCCH―SCell도 TDD에서 설정 가능하다고 해석한다. 또, 지금까지 설명한 통지방법에서, 한 CA 밴드 콤비네이션에 있어서, FDD에서 PCell가 설정 가능하다고 해석하는 경우(예: FDD가 true라고 명시적으로 통지되는 경우)에는, 기지국(eNB)은, PCell뿐 아니라 PSCell/PUCCH―SCell도 FDD에서 설정 가능하다고 해석한다.
또, 통지예 1에서는, 기지국(eNB)이 상기의 해석을 수행함으로써, 유저장치(UE)는, 실제의 능력으로서 기지국(eNB)이 해석하는 바와 같은 능력을 갖는 경우(즉, TDD에서 PSCell/PUCCH―SCell도 설정 가능한 경우)에 해당 통지를 수행하도록 해도 좋으며, PSCell/PUCCH―SCell에서의 설정 능력에 상관없이 PCell의 설정 능력에 따라 통지를 수행하도록 해도 좋다.
〈변형예 3의 통지예 2〉
통지예 2에서는, PCell의 capability와는 별도로 PSCell/PUCCH―SCell의 capability를 통지한다. 즉, 통지예 2에서는, 기본예∼변형예 2에서 지금까지 설명한 PCell에 관한 capability의 통지방법으로, PCell에 관한 capability의 통지를 수행하는 것에 더해, PSCell/PUCCH―SCell에 관한 capability의 통지를 기본예∼변형예 2에서 설명한 PCell에 관한 통지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수행한다. PSCell/PUCCH―SCell에 관한 capability의 통지는, 기본예∼변형예 2에서 설명한 PCell에 관한 통지방법에 있어서, PCell을 PSCell/PUCCH―SCell로 바꾼 것이다.
예를 들면, 유저장치(UE)는, PCell의 경우에 있어서의 도 7, 도 9에 도시한 통지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도 13,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SCell(PUCCH―SCell에 대해서도 동일)에 관한 TDD PSCell capability를 통지한다. 또한, 도 7, 도 9, 도 13,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CA 밴드 콤비네이션마다 따로 통지하도록 해도 좋으며, CA 밴드 콤비네이션마다, 예를 들면, (TDD―PCell=false, FDD―Pcell=True, TDD―PSCell/PUCCH―SCell=False, TDD―PSCell/PUCCH―SCell=True)와 같은 정보로, 묶어서 능력을 통지해도 좋다. 또, PSCell/PUCCH―SCell의 경우도, PCell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UE 단위로 통지해도 좋으며, CA 콤비네이션마다, 혹은, CA 콤비네이션의 조합마다 통지해도 좋다.
(변형예 4)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항목 등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UE 실장에 따라서는 duplex mode 사이의 연계가 어렵다. 그 능력 유무의 통지를 수행하기 위해, 기본예∼변형예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PCell(PSCell/PUCCH―SCell) capability의 통지를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기본예∼변형예 3에서 설명한 통지에 있어서, 예를 들면, 2DL/2UL의 CA 밴드 콤비네이션에 대해, FDD PCell=true, TDD PCell=false가 통지되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도 15의 좌측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FDD PCell과 TDD SCell과의 조합에 따른 CA가 가능하지만, 도 15의 우측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TDD PCell과 FDD SCell과의 조합에 따른 CA를 불가능하다. 기본예∼변형예 3에서는, 유저장치(UE)는, 도 15에 도시하는 능력을 갖는 경우, 'FDD PCell=true, TDD PCell=false'를 통지하고, 이를 수신한 기지국(eNB)은, 도 15에 도시하는 능력이 있다고 해석하는 것이 상정된다.
그러나, 예를 들면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DC나 CA with SCell PUCCH을 도입하면, Cell의 그룹핑의 방법에 따라서는, duplex mode 사이의 연계가 없어도 CA가 가능해진다. 즉, DC/CA with SCell PUCCH을 설정한 유저장치(UE)는 CC를 그룹핑한 셀 그룹 내에서 HARQ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일 duplex mode의 CC를 그룹핑하는 한, (UL가 있는) 어느 Cell을 PCell로 해도 좋다. 따라서, 이 경우, duplex mode 사이의 연계가 가능한지 여부에 상관없이, TDD/FDD Cell을 PCell(PSCell/PUCCH―SCell도 동일)로서 선택 가능하다.
그러나, 기본예∼변형예 3의 통지에 있어서는, duplex mode 사이의 연계가 불필요한 케이스를 상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면, FDD PCell=true, TDD PCell=false인 경우, 기지국(eNB)은,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률적으로 'FDD PCell=true, TDD PCell=false'를 적용함으로써, duplex mode 사이의 연계가 불필요하며, 실제로는 PCell(PSCell/PUCCH―SCell) 설정이 가능한 경우에도 이것이 불가능하다고 해석하는 것이 상정된다.
유저장치(UE)에서 생각하면, 이와 같은 해석을 하는 것이 전제가 되면, 도 16에 도시하는 그룹핑 시에 PCell(PSCell/PUCCH―SCell) 설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통지하는 수단이 없게 된다.
그래서, 변형예 4에서는,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Duplex mode 사이의 셀 연계가 불가능한 유저장치(UE)라도,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연계가 불필요한 설정에 있어서는, PCell(PSCell/PUCCH―SCell)을 어느 셀에서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유저장치(UE)가 'FDD PCell=true, TDD PCell=false'를 통지하는 경우, 그것은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계가 필요한 CA 설정에 있어서의 능력을 나타내고, 연계가 불필요한 경우는, 통지 내용 'FDD PCell=true, TDD PCell=false'에 상관없이,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룹핑의 CA 설정 가능한 경우는 PCell(PSCell/PUCCH―SCell)을 어느 셀에서도 설정 가능한 것을 나타내도록 한다. 또한, 그룹핑의 CA 설정이 가능한지 여부는, 다른 능력 통지에서 통지하는 것이 가능하다(예: DC 가능, CA with SCell PUCCH 가능, 등).
상기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변형예 4에서는, 기지국(eNB)이, 유저장치(UE)로부터 수신하는 PCell(PSCell/PUCCH―SCell)의 TDD/FDD에 관한 능력을, 'Frame structure가 다른 셀을 동일 셀 그룹으로 설정하는 경우에, 해당 셀 그룹에 있어서, 능력 있음이라고 통지된 duplex mode의 셀을 PCell/PSCell(PUCCH Scell)로 할 수 있다'고 해석한다. Frame structure가 다른 셀을 동일 셀 그룹으로 설정하는 경우란, TDD의 셀과 FDD의 셀이 혼재한 셀 그룹을 설정하는 경우이며, 예를 들면, 도 15(DC/CA with SCell PUCCH 없음)의 경우의 전체 셀 그룹, DC에 있어서의 TDD의 셀과 FDD의 셀이 혼재하는 MCG 혹은 SCG 등이다.
변형예 4에서도, 능력의 통지방법 자체는 기본예∼변형예 3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PCell을 PSCell/PUCCH―SCell과 해석하는 것 등을 포함)하지만, 기지국(eNB)에서의 해석이 다르다. 변형예 4에서는, 예를 들면, Frame structure가 다른 셀을 동일 셀 그룹으로 설정하지 않는 경우, 즉,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셀 그룹이 하나의 복신방법(즉, 하나의 프레임 구조 타입)만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유저장치(UE)로부터 수신하는 능력정보에 상관없이, 해당 셀 그룹에 있어서, 해당 복신방식으로 PCell(PSCell/PUCCH―SCell)의 설정이 가능하다고 해석한다.
변형예 4에 있어서의 상기의 해석은 유저장치(UE)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되어도 좋다. 즉, 유저장치(UE)는, PCell(PSCell/PUCCH―SCell)의 TDD/FDD에 관한 능력을 통지할 때에, 그 능력이란, 'Frame structure가 다른 셀을 동일 셀 그룹으로 설정하는 경우에, 해당 셀 그룹에 있어서, 능력 있음이라고 통지된 duplex mode의 셀을 PCell/PSCell(PUCCH SCell)로 할 수 있다'는 것으로 통지를 수행한다.
변형예 4에 있어서, 3DL/3UL의 CA 밴드 콤비네이션에 대해 'FDD PCell=true, TDD PCell=false'라는 능력을 통지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CA의 설정 내용에 따른 PCell/PSCell 설정 가능여부의 예를 도 19, 도 20, 도 21에 도시한다.
도 19는, DC/CA with SCell PUCCH 없음인 경우이며, 전체가 하나의 셀 그룹이 되고, 'Frame structure가 다른 셀을 동일 셀 그룹으로 설정하는 경우'의 해석과 같이, 'FDD PCell=true, TDD PCell=false'와 같은 PCell 가능여부가 된다.
도 20은, DC/CA with SCell PUCCH 있음인 경우이며, 우측/좌측, CG(셀 그룹)#1과 CG#2 모두, 'Frame structure가 다른 셀을 동일 셀 그룹으로 설정하는 경우'가 아니기 때문에, 통지 내용 'FDD PCell=true, TDD PCell=false'에 상관없이, PCell/PSCell 가능해진다.
도 21은, DC/CA with SCell PUCCH 있음인 경우이며, CG#2는, 'Frame structure가 다른 셀을 동일 셀 그룹으로 설정하는 경우'가 아니기 때문에, 통지 내용 'FDD PCell=true, TDD PCell=false'에 상관없이, PSCell 가능해진다. 한편, CG#1은, 'Frame structure가 다른 셀을 동일 셀 그룹으로 설정하는 경우'이기 때문에, 통지 내용 'FDD PCell=true, TDD PCell=false'에 따른 PCell 가능여부가 된다.
(변형예 5)
다음으로, 변형예 5를 설명한다. 기본예∼변형예 4에서 설명한 PCell capability는, 기본적으로 CA 밴드 콤비네이션마다 설정, 통지되고, 콤비네이션 내에 있어서의 개개의 밴드의 능력은 통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콤비네이션 내에 TDD 밴드가 복수 있으며, TDD true인 경우에 있어서는, 모든 TDD 밴드에서 TDD PCell 설정 가능하다고 해석되게 된다. 유저장치(UE)에 있어서는, 콤비네이션 내에 TDD 밴드가 복수 있으며, TDD true를 통지하려면, 어느 TDD 밴드에서도 TDD PCell 설정 가능한 것이 확인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일 예로서,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밴드 A(TDD)와 밴드 B(FDD)의 콤비네이션에 있어서, TDD PCell 가능하며, 밴드 C(TDD)와 밴드 D(FDD)의 콤비네이션에 있어서, TDD PCell 불가한 경우에 있어서, 이들 4개의 밴드 A∼D를 이용한 4CC CA로서는 TDD PCell=false로 할 수밖에 없다.
그러나, 상기의 예에서는, 4CC CA로서 밴드 A(TDD)에서의 TDD PCell이 가능한 경우에, 기지국(eNB)은 그것을 인식할 수 없고, 또, 유저장치(UE)는 그것을 통지할 수 없다, 그래서, 변형예 5에서는, 이하의 통지예 1, 통지예 2의 통지를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하의 예에 있어서, PCell에 관한 능력만을 통지하는 경우라도, 그것을 PSCell/PUCCH―SCell의 능력이라고도 간주하거나, PSCell/PUCCH―SCell의 능력을 PCell과는 별도로 통지하는 것 등은, 지금까지 설명한 예와 동일하다.
〈변형예 5의 통지예 1〉
통지예 1에서는, 밴드마다 TDD/FDD에서 PCell(PSCell/PUCCH―SCell)이 되는 것이 가능한지를 통지한다. 통지는, 예를 들면, 각 밴드에 대응하는 비트맵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비트맵을 이용하는 경우, CA 밴드 콤비네이션마다 비트맵의 길이가 달려져도 좋다.
또한, 통지예 1에 있어서, 모든 CA 밴드 콤비네이션에 대해 비트맵을 통지하는 오버헤드가 되기 때문에, 특정한 케이스만, 해당 비트맵이 적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밴드마다가 아니라 콤비네이션마다 capability를 통지하는 경우의 capability가 'FDD PCell=false' 또는 'TDD PCell=false'가 되어 있는 경우에, 비트맵을 포함시키도록 해도 좋다. 'FDD PCell=false' 또는 'TDD PCell=false'의 경우, 밴드 단위라면 true의 밴드가 있을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도 23에, 통지예 1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23의 예에서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밴드 A, B, C, D가 있고, 콤비네이션 8로서 4DL/4UL가 도시되고, 콤비네이션 9로서 4DL/3UL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PCell capability로서 밴드마다의 비트맵에서 통지하는 예가 도시된다. 또한,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콤비네이션 8에서는, (A, B, C, D)=10010001가 통지된다. 이는, 비트의 순서로 각 2비트가 각 밴드(A, B, C, D의 순서)에 대응하고, 2 비트의 최소의 비트가 TDD PCell 가능여부(1/0), 다음의 비트가 FDD PCell 가능여부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10010001은, 밴드 A(TDD PCell 가능, FDD PCell 불가), 밴드 B(TDD PCell 불가, FDD PCell 가능), 밴드 C(TDD PCell 불가, FDD PCell 불가), 밴드 D(TDD PCell 불가, FDD PCell 가능)을 나타낸다. 콤비네이션 9도 동일하다. 또한, 밴드마다 1 비트로 PCell 가능여부를 나타내도록 해도 좋다.
상기와 같은 능력 통지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지국(eNB)은, 밴드마다의 능력을 고려한 유연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유저장치(UE)는, 예를 들면 TDD PCell 불가와 가능이 혼재하는 경우에서도 그것을 통지할 수 있다.
〈변형예 5의 통지예 2〉
통지예 2에서는, CA 밴드 콤비네이션의 서브셋의 조합에 따라 통지한다. 예를 들면, 밴드 A, B, C, D에서 4CC CA가 가능한 경우, 지금까지 설명한 CA 밴드 콤비네이션에서는 A_B_C_D라고 통지되나, 변형예 5의 통지예 2에서는, 이를, CA 밴드 콤비네이션 A_B와 CA 밴드 콤비네이션 C_D의 조합을 나타내는 (A_B)_(C_D)라고 통지하고, A_B, C_D 각각에서 PCell capability를 통지한다. capability는, 예를 들면, 서브셋의 CA 콤비네이션마다 2 비트를 할당한 비트맵으로 통지해도 좋다.
전체의 콤비네이션(예: A_B_C_D)을, 어느 서브셋의 조합으로 통지하는지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TDD와 FDD의 양방을 포함하는 서브셋을 선택하여, 그 조합으로 통지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A_B, C_D는 그 일 예이다.
도 24에, 통지예 2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도 24의 예에서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밴드 A, B, C, D가 있으며, 콤비네이션 8로서 4DL/4UL가 도시되고, 콤비네이션 9로서 4DL/3UL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UL, DL의 각각에서, 4CC의 콤비네이션에 대해서는 (A_B)_(C_D)로 하고, 3CC의 콤비네이션에서는, 예로서 (A_B)_C를 통지하도록 하고 있다.
PCell capability에 대해, 본 예에서는 비트맵을 이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콤비네이션 8의 1101은, 최초의 2 비트가 (A_B)에 있어서의 TDD PCell 가능여부의 비트와 FDD PCell 가능여부의 비트이며, 다음의 2 비트가 (C_D)에 있어서의 TDD PCell 가능여부의 비트와 FDD PCell 가능여부의 비트이다. 콤비네이션 9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상기와 같은 능력 통지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지국(eNB)은, 서브셋의 조합마다의 능력을 고려한 유연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유저장치(UE)는, 예를 들면, 전체의 콤비네이션 중에 TDD PCell 불가와 가능이 혼재하는 경우라도 그것을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설명한 기본예, 및 모든 변형예는, 모순이 생기지 않는 한, 어떠한 조합에 있어서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장치 구성, 동작 흐름)
이하, 본 실시형태(기본예와 전 변형예를 포함)에 있어서의 유저장치(UE)와 기지국(eNB)의 구성과, 동작 흐름의 일 예에 대해 설명한다.
〈유저장치(UE)〉
도 25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저장치(UE)의 기능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장치(UE)는, DL 신호 수신부(101), UL 신호 송신부(102), UL 능력정보 저장부(103), UE 능력정보 통지 제어부(104), CA 제어부(105)를 구비한다. 또한, 도 25는, 유저장치(UE)에 있어서 본 발명에 특별히 관련하는 기능부만을 도시하는 것이며, 적어도 LTE에 준거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미도시의 기능을 갖는 것이다.
DL 신호 수신부(101)는, 기지국(eNB)으로부터 각종의 하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물리 레이어의 신호로부터 보다 상위의 레이어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UL 신호 송신부(102)는, 유저장치(UE)로부터 송신되어야 하는 상위의 레이어 정보로부터, 물리 레이어의 각종 신호를 생성하고, 기지국(eNB)에 대해 송신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UL 능력정보 저장부(103)는, 유저장치(UE) 자신이 서포트하고 있는 CA 밴드 콤비네이션, TDD/FDD―PCell 설정 능력, Full/Half―duplex 능력, DC/CA with SCell PUCCH 능력 등을 포함하는 UE 능력정보를 저장한다.
UE 능력정보 통지 제어부(104)는, CA 밴드 콤비네이션 정보를 기지국(eNB)으로 송신하는 경우에, UL 능력정보 저장부(103)를 참조하고, 명시적 또는 암묵적으로 TDD/FDD―PCell 설정 능력이나 Full/Half―duplex 능력을 부가한 CA 밴드 콤비네이션 정보의 송신을 UL 신호 송신부(102)에 수행하게 한다. 통지방법은 기본예∼변형예 5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UL 신호 송신부(102)는, CA 밴드 콤비네이션 정보를 소정의 메시지에 담아, 예를 들면 PUSCH, PUCCH 등의 채널에서 기지국(eNB)으로 송신한다.
CA 제어부(105)는, CA를 구성하고 있는 PCell(PCC), SCell(SCC)의 관리나, 기지국(eNB)으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는 SCell의 추가/삭제, Activation/Deactivation 등의 유저장치(UE)에 있어서의 CA에 관한 제어를 수행한다. 또, CA 제어부(105)는, DC, CA with SCell PUCCH의 제어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26에 도시하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유저장치(UE)의 동작예를 설명한다.
예를 들면, 유저장치(UE)가 기지국(eNB)과 접속하는 타이밍(RRC 커넥션을 설정하는 타이밍)에 있어서, 유저장치(UE)가 기지국(eNB)으로부터 UE 능력정보 요소를 수신한다(단계 101). 유저장치(UE)는, 해당 UE 능력정보 요구에 따라서, 명시적 또는 암묵적으로 TDD/FDD―PCell 설정 능력이나 Full/Half―duplex 능력을 부가한 CA 밴드 콤비네이션 정보를 기지국(eNB)으로 송신한다(단계 102).
단계 102에 있어서, 유저장치(UE)의 UE 능력정보 통지 제어부(104)는, UE 능력정보 저장부(103)를 참조함으로써, 대응 가능한 CA 밴드 콤비네이션의 정보를 취득함과 동시에, TDD(FDD)에 따른 PCell 설정을 수행할 수 있는 CA 밴드 콤비네이션에 대해, TDD(FDD)에 따른 PCell 설정의 가능여부를 판단하고, 판단에 기초하여, CA 콤비네이션 정보에 플래그를 부여하거나(기본예의 통지예 1), 혹은 일부의 CA 밴드 콤비네이션을 통지하지 않는(기본예의 통지예 2) 제어를 수행하거나, 각 변형예에서 설명한 통지를 실행한다.
또한, 유저장치(UE)의 능력이 고정적이라고 상정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판단을 매번 수행하지 않고, 유저장치(UE)의 능력에 기초하여 기 결정해둔(기억수단에 기억해둔) CA 밴드 콤비네이션 정보와 (명시 또는 암묵의) 부가정보를 송신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유저장치(UE)의 기능 구성은 상기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처리를 실현할 수 있는 어떠한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유저장치(UE)로서 사용할 수 있는 유저장치는, 제1 복신방식의 밴드와 제2 복신방식의 밴드를 이용하여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수행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저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저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서 사용 가능한 밴드의 조합을 나타내는 밴드 조합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와, 상기 유저장치가, 상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신방식의 밴드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리 셀을 설정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능력정보를, 상기 밴드 조합 정보에 명시적 또는 암묵적으로 부가하고, 해당 능력정보를 부가한 상기 밴드 조합 정보를 기지국에 통지하는 통지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통지 제어부는, 예를 들면, 상기 제1 복신방식의 밴드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리 셀을 설정할 수 있는 밴드의 조합마다, 상기 유저장치가 상기 제1 복신방식의 밴드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리 셀을 설정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능력정보를 부가하고, 해당 능력정보를 부가한 밴드 조합 정보를 기지국에 통지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밴드의 조합마다 정확하게 제1 복신방식의 밴드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리 셀을 설정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능력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상기 통지 제어부는, 상기 유저장치가 상기 제1 복신방식의 밴드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리 셀을 설정할 수 없는 밴드의 조합 중, 일부의 밴드의 조합을 제외한 상기 밴드 조합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통지함으로써, 해당 일부의 조합을 서브셋에 갖는 밴드의 조합에 대해서도 상기 제1 복신방식의 밴드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리 셀을 설정할 수 없는 것을 통지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서는, 현상태의 메시지에 정보 요소를 추가하지 않고 통지를 수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유저장치가 상기 제1 복신방식의 밴드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리 셀을 설정 가능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통지 제어부는, 상기 밴드 조합 정보에 상기 능력정보를 부가하지 않고 해당 밴드 조합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통지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따라서도, 현상태의 메시지에 정보 요소를 추가하지 않고 통지를 수행할 수 있다.
또, 상기 통지 제어부는, 상기 유저장치가 상기 제1 복신방식의 밴드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리 셀을 설정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상기 유저장치가, 전이중 복신방식에 대응하고 있는지, 또는 반이중 복신방식에 대응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능력정보를 명시적 또는 암묵적으로 상기 기지국에 통지하도록 해도 좋다. 이 구성으로, 기지국은, 유저단말이, 전이중 복신방식에 대응하고 있는지, 또는 반이중 복신방식에 대응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고, 유저장치에 대해 적절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복신방식은 TDD이며, 상기 제2 복신방식은 FDD이거나, 또는, 상기 제1 복신방식은 FDD이며, 상기 제2 복신방식은 TDD이다.
또, 상기 통지 제어부는, 상기 프라이머리 셀에 관한 능력정보를,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의 PSCell에 관한 능력정보, 또는, PUCCH을 설정하는 세컨더리 셀에 관한 능력정보로서 통지하도록 해도 좋다. 이 구성으로,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의 PSCell에 관한 능력정보, 또는, PUCCH을 설정하는 세컨더리 셀에 관한 능력정보를 통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통지 제어부는, 상기 프라이머리 셀에 관한 능력정보에 더해,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의 PSCell에 관한 능력정보, 또는, PUCCH을 설정하는 세컨더리 셀에 관한 능력정보를 통지하도록 해도 좋다. 이 구성으로 인해,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의 PSCell에 관한 능력정보, 또는, PUCCH을 설정하는 세컨더리 셀에 관한 능력정보를 통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통지 제어부는, 상기 프라이머리 셀에 관한 능력정보를, 프레임 구조가 다른 셀을 동일 셀 그룹으로 설정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해당 셀 그룹으로 설정하는 프라이머리 셀에 관한 능력정보로서 통지하도록 해도 좋다. 이 구성으로 인해, 프레임 구조가 다른 셀을 동일 셀 그룹으로 설정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임의의 복신방식을 PCell로 설정하는 등, 유연한 제어가 가능해진다.
상기 통지 제어부는, 상기 능력정보를, 밴드의 조합을 구성하는 밴드마다 통지하도록 해도 좋다. 이 구성으로, 밴드마다의 능력에 따른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통지 제어부는, 밴드 조합 정보를, 밴드의 조합을 구성하는 복수 밴드의 세트 조합으로서 통지함과 동시에, 상기 능력정보를, 해당 복수 밴드의 세트마다 통지하도록 해도 좋다. 이 구성으로, 복수 밴드의 세트마다의 능력에 따른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기지국(eNB)〉
도 27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eNB)의 기능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지국(eNB)은, DL 신호 송신부(201), UL 신호 수신부(202), UE 능력정보 저장부(203), UE 능력 판정부(204)를 갖는다. 또한, 도 27은, 기지국(eNB)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특별히 관련된 기능부만을 나타내는 것이며, 적어도 LTE 방식에 준거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미도시 기능도 갖는 것이다.
DL 신호 송신부(201)는, 기지국(eNB)으로부터 송신되어야 하는 상위의 레이어 정보로부터, 물리 레이어의 각종 신호를 생성하고, 유저장치(UE)에 대해 송신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UL 신호 수신부(202)는, 유저장치(UE)로부터 각종 상향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물리 레이어의 신호로부터 보다 상위의 레이어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UE 능력정보 저장부(203)는, UE마다, UE의 능력정보(CA 밴드 콤비네이션 정보, TDD/FDD―PCell 능력정보를 포함)를 저장한다. UE 능력정보 저장부(203)에 저장된 UE 능력정보는, 예를 들면, 유저장치(UE)로의 CA(DC, CA with SCell PUCCH을 포함)에 관한 설정(configuration) 등에 사용된다.
UE 능력 판정부(204)는, 명시적 또는 암묵적으로 TDD/FDD―PCell 설정능력이나 Full/Half―duplex 능력을 부가한 CA 밴드 콤비네이션 정보를 유저장치(UE)로부터 수신했을 때에, TDD(또는 FDD)―PCell 설정능력이나 Full/Half―duplex 능력을 결정하고, 결정한 능력과 CA 밴드 콤비네이션 등을 포함하는 능력정보를 UE 능력정보 저장부(203)에 저장한다. UE 능력 판정부(204)가 실행하는 판정은, 기본예에서의 판정뿐 아니라, 각 변형예에서 설명한 해석에 기초하는 판정을 포함한다.
도 28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기지국(eNB)의 동작예를 설명한다. 도 28은, 암묵적인 정보 부가를 수행하는 기본예의 통지에 2에 대응하고 있다.
기지국(eNB)이 유저장치(UE)로부터 UE 신호 수신부(202)에 의해 CA 밴드 콤비네이션 정보를 수신한다(단계 201). 다음으로, 기지국(eNB)의 UE 능력 판정부(204)는, CA 밴드 콤비네이션 중에, TDD(또는 FDD)―PCell 설정을 수행할 수 있는 상위의 CA 밴드 콤비네이션에 대해, 통지되어 있지 않은 서브셋의 CA 밴드 콤비네이션(TDD(또는 FDD)―PCell 설정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202).
통지되어 있지 않은 서브셋의 CA 밴드 콤비네이션이 있는 경우(단계 202의 Yes), 기지국(eNB)의 UE 능력 판정부(204)는, 통지되어 있는 CA 밴드 콤비네이션을 서브셋으로 하는 CA 밴드 콤비네이션에 대해 TDD(FDD)―PCell 비대응이라고 판단한다(단계 203). 통지되어 있지 않은 서브셋의 CA 밴드 콤비네이션이 없는 경우(단계 202의 No), 기지국(eNB)의 UE 능력 판정부(204)는, TDD(FDD)의 밴드를 DL와 UL에 갖는 CA 밴드 콤비네이션에 대해, 모든 TDD(FDD)―PCell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한다(단계 204). 이들의 판단결과에 대응하는 능력정보가 UE 능력정보 저장부(203)에 저장된다.
또한, CA 밴드 콤비네이션 정보를 수신한 기지국(eNB)은, 그 후, 예를 들면, 유저장치(UE)의 CC마다의 통신품질 등에 기초하여, 유저장치(UE)가 서포트하는 CA 콤비네이션 중에서 어느 CA 콤비네이션을 적용하는지를 결정하고, 결정한 CA 콤비네이션을 유저장치(UE)에 통지하는(configure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기지국(eNB)의 기능 구성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처리를 실현할 수 있는 어떠한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기지국(eNB)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기지국은, 제1 복신방식의 밴드와 제2 복신방식의 밴드를 이용하여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수행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에 있어서, 유저장치로부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있어서의 밴드의 조합을 나타내는 밴드 조합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밴드 조합 정보에, 명시적 또는 암묵적으로 부가된 능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장치가, 상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신방식의 밴드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리 셀을 설정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구비한다.
상기 수신부는, 상기 유저장치가 상기 제1 복신방식의 밴드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리 셀을 설정할 수 없는 밴드의 조합 중, 일부의 밴드의 조합을 제외한 상기 밴드 조합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판정부는, 해당 일부의 조합을 서브셋에 갖는 밴드의 조합에 대해서도 상기 제1 복신방식의 밴드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리 셀을 설정할 수 없다고 판정하도록 해도 좋다. 이 구성으로 인해, 현상태의 메시지에 정보 요소를 추가하지 않고 통지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판정부는, 상기 프라이머리 셀을,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의 PSCell, 또는, PUCCH을 설정하는 세컨더리 셀이라고 해석하고, 해당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의 PSCell, 또는, 해당 PUCCH을 설정하는 세컨더리 셀에 관한 판정을 수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 구성으로,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의 PSCell, 또는, PUCCH을 설정하는 세컨더리 셀에 대한 설정 제어를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판정부는, 상기 프라이머리 셀에 관한 능력정보에 더해,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의 PSCell에 관한 능력정보, 또는, PUCCH을 설정하는 세컨더리 셀에 관한 능력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의 PSCell, 또는, 해당 PUCCH을 설정하는 세컨더리 셀에 관한 판정을 수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로 인해서도,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의 PSCell, 또는, PUCCH을 설정하는 세컨더리 셀에 대한 설정 제어를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판정부는, 상기 프라이머리 셀에 관한 능력정보를, 프레임 구조가 다른 셀을 동일 셀 그룹으로 설정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해당 셀 그룹으로 설정하는 프라이머리 셀에 관한 능력정보라고 해석하여 상기 판정을 수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 구성으로, 프레임 구조가 다른 셀을 동일 셀 그룹으로 설정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임의의 복신방식을 PCell로 설정하는 등, 유연한 제어가 가능해진다.
상기 수신부는, 밴드 조합 정보와 함께, 상기 능력정보를, 밴드의 조합을 구성하는 밴드마다의 정보로서 수신하도록 해도 좋다. 이 구성으로, 밴드마다의 능력에 따른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는, 밴드 조합 정보를, 밴드의 조합을 구성하는 복수 밴드의 세트의 조합으로서 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능력정보를, 해당 복수 밴드의 세트마다의 정보로서 수신하도록 해도 좋다. 이 구성으로, 복수 밴드의 세트마다의 능력에 따른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유저장치(UE)는, CPU와 메모리를 구비하는 유저장치(UE)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CPU(프로세서)로 인해 실행됨으로써 실현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으며,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처리의 로직을 구비한 하드웨어 회로 등의 하드웨어로 실현되는 구성이어도 좋으며, 프로그램과 하드웨어가 혼재하고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기지국(eNB)은, CPU와 메모리를 구비하는 기지국(eNB)에 있어서, 프로그램이 CPU(프로세서)로 인해 실행됨으로써 실현되는 구성이어도 좋으며,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처리의 로직을 구비한 하드웨어 회로 등의 하드웨어로 실현되는 구성이어도 좋으며, 프로그램과 하드웨어라 혼재하고 있어도 좋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열거한다.
(제 1항)
제1 복신방식의 밴드와 제2 복신방식의 밴드를 이용하여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수행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저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저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서 사용 가능한 밴드의 조합을 나타내는 밴드 조합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와,
상기 유저장치가, 상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신방식의 밴드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리 셀을 설정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능력정보를, 상기 밴드 조합 정보에 명시적 또는 암묵적으로 부가하고, 해당 능력정보를 부가한 상기 밴드 조합 정보를 기지국에 통지하는 통지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제 2항)
상기 통지 제어부는, 상기 제1 복신방식의 밴드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리 셀을 설정할 수 있는 밴드의 조합마다, 상기 유저장치가 상기 제1 복신방식의 밴드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리 셀을 설정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능력정보를 부가하고, 해당 능력정보를 부가한 밴드 조합 정보를 기지국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에 기재된 유저장치.
(제 3항)
상기 통지 제어부는, 상기 유저장치가 상기 제1 복신방식의 밴드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리 셀을 설정할 수 없는 밴드의 조합 중, 일부의 밴드의 조합을 제외한 상기 밴드 조합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통지함으로써, 해당 일부의 조합을 서브셋에 갖는 밴드의 조합에 대해서도 상기 제1 복신방식의 밴드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리 셀을 설정할 수 없는 것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또는 제 2항에 기재된 유저장치.
(제 4항)
상기 유저장치가 상기 제1 복신방식의 밴드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리 셀을 설정 가능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통지 제어부는, 상기 밴드 조합 정보에 상기 능력정보를 부가하지 않고 해당 밴드 조합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에 기재된 유저장치.
(제 5항)
상기 통지 제어부는, 상기 유저장치가 상기 제1 복신방식의 밴드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리 셀을 설정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상기 유저장치가, 전이중 복신방식에 대응하고 있는지, 또는 반이중 복신방식에 대응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능력정보를 명시적으로 또는 암묵적으로 상기 기지국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저장치.
(제 6항)
상기 제1 복신방식은 TDD이며, 상기 제2 복신방식은 FDD이거나, 또는, 상기 제1 복신방식은 FDD이며, 상기 제2 복신방식은 TD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저장치.
(제 7항)
상기 통지 제어부는, 상기 프라이머리 셀에 관한 능력정보를,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의 PSCell에 관한 능력정보, 또는, PUCCH을 설정하는 세컨더리 셀에 관한 능력정보로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저장치.
(제 8항)
상기 통지 제어부는, 상기 프라이머리 셀에 관한 능력정보에 더해,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의 PSCell에 관한 능력정보, 또는, PUCCH을 설정하는 세컨더리 셀에 관한 능력정보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저장치.
(제 9항)
상기 통지 제어부는, 상기 프라이머리 셀에 관한 능력정보를, 프레임 구조가 다른 셀을 동일 셀 그룹으로 설정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해당 셀 그룹으로 설정하는 프라이머리 셀에 관한 능력정보로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저장치.
(제 10항)
상기 통지 제어부는, 상기 능력정보를, 밴드의 조합을 구성하는 밴드마다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저장치.
(제 11항)
상기 통지 제어부는, 밴드 조합 정보를, 밴드의 조합을 구성하는 복수 밴드의 세트의 조합으로서 통지함과 동시에, 상기 능력정보를, 해당 복수 밴드의 세트마다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저장치.
(제 12항)
제1 복신방식의 밴드와 제2 복신방식의 밴드를 이용하여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수행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에 있어서,
유저장치로부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있어서의 밴드의 조합을 나타내는 밴드 조합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로 인해 수신된 상기 밴드 조합 정보에, 명시적 또는 암묵적으로 부가된 능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장치가, 상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신방식의 밴드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리 셀을 설정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제 13항)
상기 수신부가, 상기 유저장치가 상기 제1 복신방식의 밴드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리 셀을 설정할 수 없는 밴드의 조합 중, 일부의 밴드의 조합을 제외한 상기 밴드 조합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판정부는, 해당 일부의 조합을 서브셋에 갖는 밴드의 조합에 대해서도 상기 제1 복신방식의 밴드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리 셀을 설정할 수 없다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2항에 기재된 기지국.
(제 14항)
상기 판정부는, 상기 프라이머리 셀을,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의 PSCell, 또는, PUCCH을 설정하는 세컨더리 셀이라고 해석하고, 해당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의 PSCell, 또는, 해당 PUCCH을 설정하는 세컨더리 셀에 관한 판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기재된 기지국.
(제 15항)
상기 판정부는, 상기 프라이머리 셀에 관한 능력정보에 더해,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의 PSCell에 관한 능력정보, 또는, PUCCH을 설정하는 세컨더리 셀에 관한 능력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의 PSCell, 또는, 해당 PUCCH을 설정하는 세컨더리 셀에 관한 판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기재된 기지국.
(제 16항)
상기 판정부는, 상기 프라이머리 셀에 관한 능력정보를, 프레임 구조가 다른 셀을 동일 셀 그룹으로 설정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해당 셀 그룹으로 설정하는 프라이머리 셀에 관한 능력정보라고 해석하고 상기 판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2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지국.
(제 17항)
상기 수신부는, 밴드 조합 정보와 함께, 상기 능력정보를, 밴드의 조합을 구성하는 밴드마다의 정보로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2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지국.
(제 18항)
상기 수신부는, 밴드 조합 정보를, 밴드의 조합을 구성하는 복수 밴드의 세트의 조합으로서 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능력정보를, 해당 복수 밴드의 세트마다의 정보로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2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지국.
(제 19항)
제1 복신방식의 밴드와 제2 복신방식의 밴드를 이용하여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수행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저장치가 실행하는 정보 통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저장치는, 상기 유저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서 사용 가능한 밴드의 조합을 나타내는 밴드 조합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유저장치가, 상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신방식의 밴드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리 셀을 설정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능력정보를, 상기 밴드 조합 정보에 명시적 또는 암묵적으로 부가하고, 해당 능력정보를 부가한 상기 밴드 조합 정보를 기지국에 통지하는 통지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통지 방법.
(제 20항)
제1 복신방식의 밴드와 제2 복신방식의 밴드를 이용하여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수행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이 실행하는 능력 판정 방법에 있어서,
유저장치로부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있어서의 밴드의 조합을 나타내는 밴드 조합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와,
상기 수신 단계로 인해 수신된 상기 밴드 조합 정보에, 명시적 또는 암묵적으로 부가된 능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장치가, 상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신방식의 밴드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리 셀을 설정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력 판정 방법.
이상,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를 설명해 왔으나, 개시되는 발명은 그와 같은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는 다양한 변형예, 수정예, 대체예, 치환예 등을 이해할 것이다.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수치예를 이용하여 설명이 이루어졌으나, 특별히 단서가 없는 한, 그들의 수치는 단순한 일 예에 불과하며 적절한 어떠한 값이 사용되어도 좋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의 항목의 구분은 본 발명에 본질적인 것이 아니며, 2 이상의 항목에 기재된 사항이 필요에 따라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좋으며, 어느 항목에 기재된 사항이, 다른 항목에 기재된 사항에(모순되지 않는 한) 적용되어도 좋다. 기능 블록도에 있어서의 기능부 또는 처리부의 경계는 반드시 물리적인 부품의 경계에 대응한다고는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기능부의 동작이 물리적으로 하나의 부품으로 수행되어도 좋으며, 혹은 하나의 기능부의 동작이 물리적으로는 복수의 부품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다. 설명의 편의상, 유저장치(UE) 및 기지국(eNB)은 기능적인 블록도를 이용하여 설명되었으나, 그와 같은 장치는 하드웨어로,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유저장치가 갖는 프로세서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및, 기지국이 갖는 프로세서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프래쉬 메모리, 읽기 전용 메모리(ROM), EPROM, EEPROM,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HDD), 리무버블 디스크, CD―ROM, 데이터베이스, 서버 그 외의 적절한 어떠한 기억매체에 저장되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정신에서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형예, 수정예, 대체예, 치환예 등이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국제특허출원은 2014년 2월 19일에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14―029957호, 및 2014년 8월 7일에 출원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14―161843호에 기초하여 그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일본국 특허출원 제2014―029957호 및 일본국 특허출원 제2014―161843호의 모든 내용을 본원에 원용한다.
UE 유저장치
eNB 기지국
10 코어 네트워크
101 DL 신호 수신부
102 UL 신호 송신부
103 UE 능력정보 저장부
104 UE 능력정보 통지 제어부
105 CA 제어부
201 DL 신호 송신부
202 UL 신호 수신부
203 UE 능력정보 저장부
204 UE 능력 판정부

Claims (10)

  1. 제1 복신방식의 밴드와 제2 복신방식의 밴드를 이용하여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수행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저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저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서 사용 가능한 밴드의 조합을 나타내는 밴드 조합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상기 유저장치가, 상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신방식의 밴드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리 셀을 설정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능력정보를, 상기 밴드 조합 정보에 명시적 또는 암묵적으로 부가하고, 해당 능력정보를 부가한 상기 밴드 조합 정보를 기지국에 통지하는 통지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제어부는, 상기 제1 복신방식의 밴드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리 셀을 설정할 수 있는 밴드의 조합마다, 상기 유저장치가 상기 제1 복신방식의 밴드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리 셀을 설정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능력정보를 부가하고, 해당 능력정보를 부가한 밴드 조합 정보를 기지국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장치가 상기 제1 복신방식의 밴드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리 셀을 설정 가능한 경우에 있어서, 상기 통지 제어부는, 상기 밴드 조합 정보에 상기 능력정보를 부가하지 않고 해당 밴드 조합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제어부는, 상기 유저장치가 상기 제1 복신방식의 밴드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리 셀을 설정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상기 유저장치가, 전이중 복신방식에 대응하고 있는지, 또는 반이중 복신방식에 대응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능력정보를 명시적으로 또는 암묵적으로 상기 기지국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제어부는, 상기 프라이머리 셀에 관한 능력정보를,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의 PSCell에 관한 능력정보, 또는, PUCCH을 설정하는 세컨더리 셀에 관한 능력정보로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제어부는, 상기 프라이머리 셀에 관한 능력정보에 더해, 듀얼 커넥티비티에 있어서의 PSCell에 관한 능력정보, 또는, PUCCH을 설정하는 세컨더리 셀에 관한 능력정보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제어부는, 상기 프라이머리 셀에 관한 능력정보를, 프레임 구조가 다른 셀을 동일 셀 그룹으로 설정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해당 셀 그룹으로 설정하는 프라이머리 셀에 관한 능력정보로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제어부는, 상기 능력정보를, 밴드의 조합을 구성하는 밴드마다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제어부는, 밴드 조합 정보를, 밴드의 조합을 구성하는 복수 밴드의 세트의 조합으로서 통지함과 동시에, 상기 능력정보를, 해당 복수 밴드의 세트마다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10. 제1 복신방식의 밴드와 제2 복신방식의 밴드를 이용하여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수행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에 있어서,
    유저장치로부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있어서의 밴드의 조합을 나타내는 밴드 조합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로 인해 수신된 상기 밴드 조합 정보에, 명시적 또는 암묵적으로 부가된 능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유저장치가, 상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있어서, 상기 제1 복신방식의 밴드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리 셀을 설정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167018145A 2014-02-19 2015-02-19 유저장치 및 기지국 KR201601226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29957 2014-02-19
JP2014029957 2014-02-19
JP2014161843A JP5781674B1 (ja) 2014-02-19 2014-08-07 ユーザ装置、及び基地局
JPJP-P-2014-161843 2014-08-07
PCT/JP2015/054601 WO2015125860A1 (ja) 2014-02-19 2015-02-19 ユーザ装置、及び基地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699A true KR20160122699A (ko) 2016-10-24

Family

ID=53878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8145A KR20160122699A (ko) 2014-02-19 2015-02-19 유저장치 및 기지국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82834B2 (ko)
EP (1) EP3110186B1 (ko)
JP (1) JP5781674B1 (ko)
KR (1) KR20160122699A (ko)
CN (1) CN106031205B (ko)
WO (1) WO20151258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077A (ko) * 2018-01-16 2019-07-2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반송파 집성 기술이 적용된 통신 시스템을 위한 로드 밸런싱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4413271B2 (en) * 2014-12-05 2018-07-26 Huawei Technologies Co., Ltd. Position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ifferent uplink and downlink TDD configurations
US10327236B2 (en) 2015-03-09 2019-06-18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econdary cell in a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network
US10182406B2 (en) 2015-03-09 2019-01-1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Power headroom report for a wireless device and a base station
US10700845B2 (en) 2015-03-09 2020-06-30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econdary cell deactivation in a wireless device and a base station
US9820264B2 (en) 2015-03-09 2017-11-14 Ofinno Technologies, Llc Data and multicast signals in a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network
US9820298B2 (en) * 2015-03-09 2017-11-14 Ofinno Technologies, Llc Scheduling request in a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network
US11641255B2 (en) 2015-04-05 2023-05-02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Up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in a wireless network
US9877334B2 (en) 2015-04-05 2018-01-23 Ofinno Technologies, Llc Cell configuration in a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network
US9894681B2 (en) 2015-06-12 2018-02-13 Ofinno Technologies, Llc Uplink scheduling in a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network
US10200177B2 (en) 2015-06-12 2019-02-0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cheduling request on a secondary cell of a wireless device
US9948487B2 (en) 2015-06-15 2018-04-17 Ofinno Technologies, Llc Uplink resource allocation in a wireless network
WO2017034168A1 (ko) * 2015-08-23 201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fdd 프레임을 이용하여 pucch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7092827A (ja) * 2015-11-13 2017-05-25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基地局、通知方法及び設定方法
CN109076539B (zh) * 2016-05-11 2023-07-04 株式会社Ntt都科摩 用户装置以及基站
US10158477B2 (en) * 2016-07-28 2018-12-18 At&T Mobility Ii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fining carrier aggregation group sets
JP2021016010A (ja) * 2017-10-06 2021-02-12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及び基地局装置
US11812516B2 (en) * 2018-01-25 2023-11-07 Ntt Docomo, Inc User apparatus and base station apparatus for indicating a band combination that can be applied to dual connectivity
KR102615743B1 (ko) 2018-02-14 2023-12-20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협대역 위치 지정 기준 신호 구성
US11212786B2 (en) * 2018-05-09 2021-12-28 Qualcomm Incorporated Service and format indication techniques for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CN112738893B (zh) * 2018-09-21 2022-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用户终端的能力信息传输方法、相关装置、存储介质及系统
CN113014724B (zh) * 2019-12-18 2023-04-11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双连接模式启动方法、装置、移动终端及可读存储介质
WO2023089794A1 (ja) * 2021-11-19 2023-05-25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基地局及び通信方法
CN114902713A (zh) * 2022-04-08 2022-08-1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6321324B (zh) * 2023-04-27 2023-10-13 荣耀终端有限公司 通信方法及相关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78370B (zh) * 2010-08-13 2014-10-2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载波聚合能力的处理方法和设备
US20120106404A1 (en) * 2010-11-01 2012-05-03 Qualcomm Incorporated Fdd and tdd carrier aggregation
JP5802480B2 (ja) * 2011-08-12 2015-10-28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通信方法及び無線基地局
US9277398B2 (en) * 2011-08-22 2016-03-01 Sharp Kabushiki Kaisha User equipment capability signaling
KR101920496B1 (ko) 2011-11-25 2018-11-21 애플 인크. 인터밴드 tdd 전송 방식에서 사용자 단말의 전송 모드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30242881A1 (en) * 2012-03-16 2013-09-19 Yiping Wang Explicit indication of uplink control channel resources in carrier aggregation systems
KR20130126427A (ko) * 2012-05-11 2013-11-20 주식회사 팬택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단말의 성능정보의 전송장치 및 방법
JP2014090396A (ja) 2012-10-04 2014-05-15 Ntt Docomo Inc 移動局及び無線基地局
JP5857940B2 (ja) 2012-10-31 2016-02-10 株式会社デンソー 無線通信機
CN104919735B (zh) * 2013-01-16 2018-07-24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指示的方法和设备
US9497682B2 (en) * 2013-06-07 2016-11-15 Intel Corporation Central processing unit and methods for supporting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in an LTE network
US9474089B2 (en) * 2013-10-22 2016-10-18 Acer Incorporate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with configurable carrier
US9900923B2 (en) * 2013-11-01 2018-02-20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using carrier aggregation in dual connectivity wireless communications
US9544920B2 (en) * 2014-01-30 2017-01-10 Intel IP Corporation Random access procedure for dual connectivity
US9713044B2 (en) * 2014-01-30 2017-07-18 Sharp Kabushiki Kaisha Systems and methods for dual-connectivity operation
US20150223095A1 (en) * 2014-01-31 2015-08-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for Configuring a Dual Connectivity User Equipment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3GPP TS 36.331 V10.9.0(2013―03), 6.3.6 Other information elements, UE―EUTRA―Capabilit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077A (ko) * 2018-01-16 2019-07-2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반송파 집성 기술이 적용된 통신 시스템을 위한 로드 밸런싱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82834B2 (en) 2021-08-03
EP3110186B1 (en) 2018-06-20
EP3110186A4 (en) 2017-01-11
JP2015173429A (ja) 2015-10-01
WO2015125860A1 (ja) 2015-08-27
JP5781674B1 (ja) 2015-09-24
CN106031205A (zh) 2016-10-12
CN106031205B (zh) 2020-03-27
US20170064541A1 (en) 2017-03-02
EP3110186A1 (en) 201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22699A (ko) 유저장치 및 기지국
CN109417747B (zh) 蜂窝小区测量
KR102327037B1 (ko) 듀얼 접속을 위한 셀 온-오프 절차
US10959104B2 (en) Measurement control method and base station
US10897778B2 (en) User equipment reporting of receive beam change indication
EP280776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ata service using broadcasting signal
JP6234670B2 (ja) ユーザ装置、及び上り制御情報送信方法
JP7204746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及びシステム
CN112567785B (zh) 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CN111758276A (zh) 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JP7104145B2 (ja) ユーザ端末
WO2016017717A1 (ja) ユーザ装置、及び上り送信タイミング制御方法
JP7426171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CN110574473A (zh) 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EP2884798A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cell management
CN109479207B (zh) 终端、无线通信方法、基站以及系统
CN110999167A (zh) 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JP7499915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及びシステム
JP7431158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CN111165037A (zh) 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KR20170065464A (ko) 정보통지방법, 이동통신시스템, 및 기지국
WO2014054386A1 (ja) 移動局及び無線基地局
WO2016017715A1 (ja) ユーザ装置、及び上り送信タイミング制御方法
EP3297366B1 (en) User equipment, base station, and information reception method
JP2015222972A (ja) ユーザ装置、及び基地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