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2637A -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 Google Patents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2637A
KR20160122637A KR1020160039501A KR20160039501A KR20160122637A KR 20160122637 A KR20160122637 A KR 20160122637A KR 1020160039501 A KR1020160039501 A KR 1020160039501A KR 20160039501 A KR20160039501 A KR 20160039501A KR 20160122637 A KR20160122637 A KR 20160122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velope
band
fastened
drum
fr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9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2342B1 (ko
Inventor
엄제헌
Original Assignee
엄제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제헌 filed Critical 엄제헌
Publication of KR20160122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2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2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2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7/00Apparatus or devices facilitating manual packaging operations; Sack holders
    • B65B67/02Packaging of articles or materials in containers
    • B65B67/06Manually-operable devices for closing bag necks, by applying and securing lengths of string, wire or t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6End- or aperture-clos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장중인 과일 또는 열매에 봉투를 자동으로 포장하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는 몸체(111) 상부에 적층된 봉투(170) 중 최하단의 봉투(170)를 측방향으로 이송하는 봉투이송부(110); 상기 봉투이송부(110) 일 측에 체결되어 봉투이송부(110)에 의해 이송된 봉투(170)의 입구(172)를 벌려 과일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봉투오픈부(130); 및 상기 봉투오픈부(130)의 일 측에 체결되어 봉투오픈부(130)에 의해 벌어진 봉투 입구(172)를 닫아 밀폐하고, 봉투(170)를 과수의 과일에 체결 고정하는 봉투체결부(15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ackaging a protection envelope for fruit}
본 발명은 성장중인 과일 또는 열매에 봉투를 자동으로 포장하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봄철 과일 또는 열매의 꽃이 진 후 어린 과일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용 봉투를 포장하는 작업이 실시되고, 이러한 과일봉투 포장은 과일이 성과가 되기 전에 보호봉투를 씌움으로써 자외선으로 인한 과일의 변색을 방지하고, 비바람의 자연현상으로부터 과일을 보호하며, 까치 등의 조류로부터 과일을 보호할 수 있으므로 과수농가에서는 필수적인 작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종래의 과일봉투 포장 작업은 수작업으로 각각의 과일에 일일이 봉투를 포장하고 끈으로 묶어서 고정하여야 하므로 과다한 노동력과 시간이 소요되어 재배업자에게 과중한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수작업으로 과일을 포장하는 방법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 제195593호에 개시된 "자동 과실 봉지 씌우기 장치"는 장치의 입구를 과실에 대고 조작판의 레버를 누르는 동작을 통해 장치에 구성된 9개의 모터가 연속적으로 동작하여 과일봉투를 씌우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포장기는 구성이 복잡하여 고장이 자주 발생하고, 생산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이에 따라 포장기의 가격이 높게 책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5526호 "자동 과실 봉지 씌우기 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과일봉투 포장작업을 자동화하여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비용과 유지, 보수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는 몸체(111) 상부에 적층된 봉투(170) 중 최하단의 봉투(170)를 측방향으로 이송하는 봉투이송부(110); 상기 봉투이송부(110) 일 측에 체결되어 봉투이송부(110)에 의해 이송된 봉투(170)의 입구(172)를 벌려 과일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봉투오픈부(130); 및 상기 봉투오픈부(130)의 일 측에 체결되어 봉투오픈부(130)에 의해 벌어진 봉투 입구(172)를 닫아 밀폐하고, 봉투(170)를 과수의 과일에 체결 고정하는 봉투체결부(15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봉투이송부(110)는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부 면에 구멍 형태로 슬롯(112)이 형성된 몸체(111); 상기 몸체(111) 내부에 설치되고 모터(113)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114); 상기 스크류(114)에 체결되어 스크류(114)의 회전에 의해 스크류(114)를 따라 이동하는 블럭(116); 및 상기 블럭(116)에 토크힌지(117)로 체결되고, 상부가 상기 슬롯(112)을 통해 몸체(111) 상부로 돌출된 리프터(118);로 구성됨으로써 모터(113)의 구동에 의해 블럭(116)이 이동하며 리프터(118)가 몸체(11) 상부에 적층된 최하부의 봉투(170)의 테두리에 걸려 봉투(170)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프터(118)의 후단은 테이퍼 가공됨으로써 리프터(118)가 복귀할 때 몸체(111) 상부에 적층된 봉투(170)의 테두리에 걸리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111) 상부에는 덮개(119)가 설치되고, 상기 덮개(119)의 하부에는 스프링(120)이 설치되어 스프링(120)이 적층된 봉투(170)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봉투이송부(110)의 선단에는 단부 방향으로 폭과 높이가 점차 좁이지는 형태로 가이드(121)가 체결되고, 상기 가이드(121)의 상단에는 가이드(121)가 연장되어 절곡된 형태로 이탈방지구(122)가 형성됨으로써, 봉투이송부(110)의 봉투(170) 이송과정에서 봉투(170)의 날개부(171)가 하방으로 말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봉투오픈부(130)는 몸체(131)의 양 측에 설치된 한 쌍의 투스(141)가 구동장치에 의해 수평밴드(173) 양측을 가압하여 봉투 입구(172)를 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는 몸체(131) 상부에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설치된 로드(132); 상기 로드(132)의 단부에 힌지(136) 체결된 한 쌍의 제1링크(135); 및 일 측 단부는 고정축(138)으로 몸체(131)에 고정되고, 타 측 단부에 형성된 구동로드(140)는 투스(141)에 장공 형태로 형성된 가이드홈(142)에 삽입되며, 가운데 부분은 상기 제1링크(135)의 타 측 단부와 힌지(139) 체결된 한 쌍의 제2링크(137);로 구성됨으로써, 로드(132)의 구동에 의해 제2링크(137)가 고정축(138)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구동로드(140)가 투스(141)의 가이드홈(14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가이드(121)에 투스힌지(143)로 힌지 체결된 투스(141)가 회전하며 봉투 입구(172) 양측을 가압하면서 수평밴드(173)을 벌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드(132)는 스프링(134)에 의해 봉투이송부(110) 방향으로 탄력 지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봉투이송부(110)의 블럭(116)이 로드(132)를 밀어서 로드(132)가 슬라이드 이동하며 봉투오픈부(130)가 구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봉투체결부(150)는 봉투오픈부(130)의 선단에 체결된 몸체(151); 상기 몸체(151)의 상부로 돌출되어 스크류(152)를 따라 승강하는 가압구(153); 및 상기 몸체(151)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봉투(170) 입구(172)를 접어 봉투(170)를 밀봉하는 폴더(15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봉투체결부(150)는 봉투오픈부(130)의 선단에 체결되고, 상부프레임(163a)과 하부프레임(163b)으로 구성된 프레임(163); 상기 상부프레임(163a)과 하부프레임(163)을 연통하는 구멍 형태의 관통구(163c); 상기 하부프레임(163b)의 내부에 설치되어 모터(16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드럼(168); 및 상부프레임(163a) 내면을 따라 위치하고, 일 측 단부는 상부프레임(163a)에 체결 고정되고, 타 측 단부는 드럼(168)에 체결 고정된 밴드(166);로 구성됨으로써, 모터(162)의 구동으로 드럼(168)이 회전하며 밴드(166)를 감아서 밴드(166)가 상부프레임(163a)의 삽입구(164)에 삽입된 봉투 입구(172)를 오므려 밀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163a)의 내면에는 홈 형태로 밴드홈(165)이 형성되고, 상기 밴드홈(165)에 밴드(166)가 안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168a)의 내면에는 제1밴드(166a) 및 제2밴드(166b)가 형성되고, 상기 드럼(168)은 제1드럼(168a) 및 제2드럼(168b)로 형성되되, 상기 제2드럼(168b)의 직경은 제1드럼(168a)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1밴드(166a)의 단부는 제1드럼(168a)에 체결 고정되고, 제2밴드(166b)의 단부는 제2드럼(168b)에 체결 고정됨으로써, 드럼(168)이 회전할 때 제2밴드(166b)가 봉투 입구(172)를 먼저 오므리고, 제2밴드(166b)가 오므라진 후 소정의 시간차를 두고 제1밴드(166a)가 봉투(170) 입구(172)를 오므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는 과일봉투 포장작업을 자동화하여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비용과 유지, 보수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과일봉투 체결작업이 빠르게 이루어지므로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 봉투이송부 작동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봉투오픈부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봉투체결부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사용되는 봉투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봉투체결부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봉투체결부의 드럼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사용되는 봉투를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9 및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봉투체결부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투이송부(110), 봉투오픈부(130) 및 봉투체결부(150)로 구성되고, 상기 봉투이송부(110)에는 손잡이(102)가 구비된 하우징(101)이 체결된다.
봉투이송부(110)는 자동 포장기에 적재된 봉투(170)를 하나씩 이송하는 역할을 하고, 봉투오픈부(130)는 과수에 열린 과일이 봉투(170)에 삽입되도록 이송된 봉투(170)의 입구를 벌리는 역할을 하며, 봉투체결부(170)는 과일이 봉투(170)에 삽입된 후 봉투(170)를 과수에 체결,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봉투이송부(1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된 몸체(111)가 형성되고, 몸체(111)의 평평한 상부에는 구멍 형태로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된 한 쌍의 슬롯(112)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111)의 내부 공간부에는 모터(113)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스크류(114)가 형성되고, 상기 스크류(114)에는 블럭(116)이 나사 결합됨으로써 모터(113)의 구동으로 스크류(114)가 회전함에 따라 블럭(116)이 스크류(114) 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블럭(116)에는 스크류(114)의 축과 동일한 축방향으로 가이드(115)가 삽입됨으로써 블럭(116)이 직선운동할 때 상기 가이드(115)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럭(116)의 하부에는 단면이 '┗┛' 형태로 형성된 리프터(118)가 토크힌지(117)로 체결되고, 상기 리프터(118)의 양 측벽은 슬롯(112)을 통해 몸체(111) 상부로 돌출된다.
상기 리프터(118)는 블럭(116)에 토크힌지(117)로 체결됨으로써 평소에는 리프터(118) 양 측벽이 몸체(111) 상부로 상향 돌출되는 상태지만, 리프터(118)에 압력이 가해지면 리프터(118)가 회전하여 몸체(111) 하부로 삽입되었다가 압력이 제거되면 다시 탄성 회전하여 몸체(111) 상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봉투이송부(110)의 상부에는 덮개(119)가 몸체(111)에 힌지 체결되는데, 상기 덮개(119)와 몸체(111) 사이에는 봉투(170)가 적층되어 보관된다. 이때, 덮개(119)의 하부에는 스프링(120)이 설치되어 적층된 봉투(170)를 몸체(111)로 가압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봉투이송부(110)의 구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 상태는 블럭(116)이 모터(113) 측으로 위치하고 있는 상태이고, 리프터(118)는 몸체(111)의 평평한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모터(113)에 전원이 공급되면 스크류(114)가 회전하고, 스크류(114)의 회전에 의해 블럭(116)이 도 2의 봉투오픈부(13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몸체(111) 상부로 돌출된 리프터(118)의 측벽이 덮개(119) 하부에 적층된 최하부의 봉투(170)의 테두리부분에 걸리면서 도 4와 같이 최하부의 봉투(170)가 리프터(118) 이동에 의해 봉투오픈부(130)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적층된 최하부의 봉투(170)가 봉투오픈부(130)로 이동한 후에는 모터(113)가 역회전하여, 블럭(116)을 모터(113) 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리프터(118)는 봉투(170)의 하부를 지날 때 도 5와 같이 봉투(170)의 압력에 의해 리프터(118) 양 측벽이 눌리면서 몸체(111)의 슬롯(112)에 삽입된 상태로 도 6과 같이 봉투(170)를 통과한다.
리프터(118)가 적층된 봉투(170) 하부를 통과하면 리프터(118)는 토크힌지(117)의 탄성에 의해 회전하며 도 3과 같이 리프터(118)의 양 측벽이 몸체(111)의 슬롯(112) 상부로 다시 돌출된다.
그리고 또한,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덮개(119)의 후방은 하향 경사지도록 성형함으로써, 자동 포장기를 들고 작업할 때 봉투가 중력에 의해 경사진 덮개(119) 후면을 타고 내려오면서 몸체(111)에 밀착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봉투이송부(110)의 리프터(118)에 의해 봉투(170)가 봉투오픈부(130)로 이송될 때, 봉투(170)는 가이드(121)를 통과하면서 '∩'형태로 말리며 봉투오픈부(130)로 이송된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상기 가이드(121)는 봉투오픈부(130)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고 높이가 낮아지며, 양측의 가이드(121)가 상광하협의 형태로 성형됨으로써, 도 11에 도시한 봉투(170)가 가이드(121)를 통과할 때 봉투(170)의 양측 날개부(171)가 상기 가이드(121)에 의해 하방으로 말리면서 봉투오픈부(130)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121) 상부에 내측으로 절곡된 형태의 이탈방지구(122)를 구성함으로써 말리는 봉투가 가이드(121) 상부로 벗어나지 못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봉투(170)를 말아서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자동 포장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121)의 하판에는 체결구(123)가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구(123)에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봉투이송부(110)의 블럭(116)이 이동하는 통로 역할을 하고, 봉투오픈부(130)의 몸체(131)가 삽입됨으로써 봉투이송부(110)와 봉투오픈부(130)가 체결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봉투오픈부(13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31)의 상부에 로드(132)가 체결되고, 상기 로드(132)는 로드고정구(133)로 몸체(131)에 체결되어 몸체(131) 상부에서 로드(132)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로드(132)는 일 측 단부가 몸체(131)에 지지되고 타 측 단부는 로드(132)에 지지되는 스프링(134)에 지지되어 로드(132)를 봉투이송부(110) 방향으로 탄성가압한다.
상기 로드(132)의 단부에는 한 쌍의 제1링크(135)가 힌지(136)로 체결된다.
상기 한 쌍의 제1링크(135)는 회전가능하도록 일 측 단부가 힌지(136)로 로드(132) 단부에 체결되고, 타 측 단부는 각각 제2링크(137)의 중간 부분에 힌지(139)로 체결된다. 상기 힌지(139)는 몸체(131)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고 제1링크(135)의 단부를 구속한다.
한 쌍의 제2링크(137)의 일 측 단부는 회전가능하도록 몸체(131)에 고정축(138)으로 고정되고,제2링크(137)의 타 측 단부는 도 7와 같이 투스(141)에 장공 형태로 형성된 가이드홈(142)에 삽입된다.
상기 투스(141)은 도 2의 가이드(121)에 형성된 투스힌지(124)에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봉투오픈부(130)는 한 쌍의 투스(141)가 오므라들면서 봉투(170) 입구를 벌리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투이송부(110)의 블럭(116)이 스크류(114)를 따라 이동하며 덮개(170) 하부에 적층된 봉투(170)를 이동시킬 때 블럭(116)이 로드(132)를 가압하여 민다.
상기와 같이 블럭(116)이 로드(132)를 밀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투오픈부(130)의 로드(1320가 몸체(131) 상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한 쌍의 제1링크(135)를 밀어올리고, 제2링크(137)의 가운데 부분에 힌지 체결된 제1링크(135)는 제2링크(137)를 밀어 올린다.
이때, 상기 제2링크(137)의 단부는 몸체(131)의 고정축(138)으로 고정된 상태이므로 도 8과 같이 고정축(138)을 중심으로 오므라드는 형태로 회전하고, 각 제2링크(137)의 단부에 형성된 구동로드(140)는 투스(141)의 가이드홈(14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한다.
상기 투스(141)는 가이드(121)의 투스힌지(143)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된 상태이므로 도 8과 같이 투스(141)는 투스힌지(143)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한 쌍의 투스(141)가 오므라드는 형태로 회전하며 봉투(170)의 입구(172)를 벌린다.
봉투(170)는 도 11과 같이 입구(172) 부분에 금속 와이어 형태로 수평밴드(173) 및 수직밴드(174)가 형성되는데, 봉투이송부(110)가 봉투(170)를 이송하여 봉투(170)의 수평밴드(173) 부분을 봉투오픈부(130)의 한 쌍의 투스(141) 사이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봉투이송부(110)의 블럭(116)이 봉투오픈부(130)의 로드(132)를 밀어 올리면서 투스(141)가 오므라들며 봉투(170) 입구 부분의 수평밴드(173)를 가압하여 봉투 입구(172)가 벌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봉투(170)의 수평밴드(173)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소재로 한 쌍의 에지(173a)가 소정 간격 이격되고 다수의 와이어(173b)가 상기 에지(173a)를 연결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와이어(173b)는 도 12와 같이 봉투(170)의 외측 방향으로 굴곡지도록 성형함으로써, 봉투오픈부(130)의 투스(141)가 입구(172) 양측을 가압할 때 수평밴드(173)가 외측으로 휘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봉투오픈부(130)가 봉투 입구(172) 양측을 가압하여 봉투 입구(172)를 벌리도록 구성하였으나, 진공패드(미도시)가 봉투(170) 양면을 흡착하여 벌리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봉투이송부(110)가 하나의 봉투를 봉투오픈부(130)로 이송하면, 봉투오픈부(130)는 한 쌍의 투스(141)가 오므라들어 봉투(170) 입구(172) 벌린다.
봉투 입구(172)가 벌어지면 작업자는 자동포장기의 손잡이(102)를 파지한 상태에서 과수에 열린 과일을 봉투(170)에 삽입한 후 봉투체결부(150)로 열린 봉투 입구(172)를 닫아 밀폐하면서 봉투(170)를 과일에 체결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봉투체결부(150)는 도 2 및 도 9와 같이 봉투오픈부(130)이 단부에 체결되는데, 봉투체결부(150)는 몸체(151)의 상부에서 수직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가압구(153)가 형성되고, 몸체(151)에서 회전하는 폴더(155)로 구성된다.
봉투체결부(150)의 가압구(153)는 몸체(151)에서 수직으로 이동하며 봉투(170)의 열린 입구(172)를 눌러 닫는 역할을 하고, 폴더(155)는 봉투(170) 입구(172)를 접어 봉투(170)가 닫힌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가압구(153)는 봉투체결부(150)의 몸체(151) 상부에 수직으로 돌출된 스크류(152)에 체결됨으로써 몸체(151) 내부의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스크류(152)가 회전하면 가압구(153)가 스크류(152)를 따라 승강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폴더(155)는 몸체(151) 내부의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축(154)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폴더(155)가 봉투(170) 상부를 접어 봉투(170)를 밀봉하도록 구성된다.
즉, 봉투오픈부(130)의 투스(141)가 봉투(170)의 수평밴드(173)를 양측에서 가압하여 입구(172)를 벌린 후, 입구(172)에 과일을 삽입한 봉투체결부(150)를 작동시키면 오므라든 투스(141)가 벌어지면서 봉투체결부(150)의 가압구(153)가 하강하여 벌어진 봉투(170) 입구(172)를 눌러 벌어진 입구(172)을 닫으면서 봉투(170)를 몸체(151)에 고정시키고, 폴더(155)가 회전하며 봉투(170)의 수직밴드(174) 상부를 접어서 봉투가 임의로 열리지 않도록 밀봉하면서 봉투(170)를 과일에 고정시킨다.
도 11 및 도 12에서 봉투(170)의 수평밴드(173) 상부에 수직으로 수직밴드(174)를 형성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폴더(155)가 봉투 입구(172)를 접었을 때 봉투가 접힌 상태로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도 12와 같이 봉투(170)의 저면(175)을 봉투(170) 내부로 접어 수납함으로써 과일이 봉투(170) 내부에서 성장할 때 상기 봉투 저면(175)이 펴지면서 내부 공간이 확장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봉투체결부(150)를 다른 형태로 구성한 것으로서, 봉투이송부(110) 및 봉투오픈부(13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고,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봉투체결부(150)는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투오픈부(130)의 단부에 몸체(161)가 체결되고, 상기 몸체(161)의 단부에 프레임(163)이 체결된다.
상기 프레임(163)은 상부프레임(163a)과 하부프레임(163b)로 구성되는데, 상부프레임(163a)은 내부에 삽입구(164)가 형성된 도넛 형태로 성형되고, 상부프레임(163a) 내면에는 홈 형태로 밴드홈(165)이 형성되고 띠 형태의 밴드(166)가 상기 밴드홈(165)에 안착된다.
상기 밴드(166)는 탄성이 있는 소재를 사용하여 띠 형태로 성형된다.
하부프레임(163b)은 내부 공간에 원형의 드럼(168)이 설치되고, 상기 드럼(168)은 몸체(161)에 수납되는 모터(162)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프레임(163a)과 하부프레임(163b)은 사이에는 소정 폭의 관통구(163c)가 형성된다.
상기 밴드(166)의 일 측 단부는 프레임 고정구(167)에 의해 상부프레임(163a)에 체결 고정되고, 밴드(166)의 타 측 단부는 관통구(163c)를 통해 하부프레임(163b)의 드럼(168)의 외면에 드럼고정구(169)로 체결 고정된다.
봉투이송부(110)에 의해 봉투(170)가 봉투오픈부(130)로 공급되면, 봉투(170) 입구(172) 부분의 수평밴드(173)가 봉투체결부(150)의 삽입구(164) 부분에 위치한 상태에서 봉투오픈부(130)의 투스(141)가 봉투(170) 입구를 벌린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봉투(170) 입구(172)로 과일을 삽입한 후 봉투체결부(150)의 모터(162)에 전원을 인가하면 모터(162)의 구동에 의해 하부프레임(163b) 내부의 드럼(168)이 회전한다.
도 15에서 모터(162)의 구동에 의해 드럼(168)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드럼(168)에 일 측이 고정된 밴드(166)가 당겨 하부프레임(163b) 내부로 당겨지고, 상부프레임(163a)에 위치한 밴드(166)는 관통구(163c)를 통해 회전하는 드럼(168)에 감겨진다.
이때, 밴드(166)의 타 측은 프레임 고정구(169)로 상부프레임(163a)에 체결고정된 상태이므로 밴드(166)는 도 15의 점선과 같은 형태로 직경이 작아지면서 상부프레임(163a)의 삽입구(164)에 삽입된 봉투(170)의 입구(172)를 조여 오므라들게 한다.
밴드(166)에 의해 봉투(170)의 입구(172)가 오므라들면서 봉투(170) 입구(172)의 수평밴드(173)가 오므라들고 그 상태로 고정되므로 봉투(170)가 밀폐되는 것이다.
봉투(170)의 입구(172)가 밀폐된 후 모터(162)가 역회전하면서 드럼(168)이 연동하여 역회전하고, 드럼(168)에 감겼던 밴드(166)가 풀리면서 하부프레임(163b)에 위치한 밴드(166)는 관통구(163c)를 통해 상부프레임(163a)으로 이동하여 상부프레임(163a) 내면의 밴드홈(165)에 다시 안착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봉투(170)의 수평밴드(173)가 오므라들면서 봉투(170)를 밀폐하므로 도 17과 같이 봉투(170)의 입구(172)에 수직밴드(174) 없이 수평밴드(176)만 구성한다.
상기 수평밴드(176)는 탄성 복원되지 않는 금속 와이어를 소재로 성형된다.
그리고 도 14 및 도 16과 같이 상부프레임(163a) 내부에 밴드(166)를 제1밴드(166a)와 제2밴드(166b)로 구성하고, 드럼(168)도 제1드럼(168a)과 제2드럼(168b)으로 구성하며, 제2드럼(168b)의 직경을 제1드럼(168a)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한다.
그리고 제1밴드(166a)의 일 측 단부는 상부프레임(163a)에 체결하고, 제1밴드(166a)의 타 측 단부는 제1드럼(168a)에 체결 고정하며, 제2밴드(166b)의 일 측 단부는 상부프레임(163a)에 체결 고정하고, 제2밴드(166b)의 타 측 단부는 제2드럼(168b)에 체결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상태에서 봉투체결부(150)의 모터(162)를 구동하면 드럼(168)이 회전하며 밴드(166)를 감는데, 제2드럼(168b)의 직경이 제1드럼(168a)보다 크므로 제2밴드(166b)가 제1밴드(166a)보다 더 빨리 감긴다.
제2밴드(166b)가 빨리 감기면서 봉투 입구를 오므라들게 한 후 제1밴드(166a)가 오므라들면서 수평밴드(176)를 조여 오므라들도록 함으로써, 수평밴드(176)가 봉투를 정확하게 조여 오므라들게 한다.
상기와 같이 하부의 제2밴드(166b)가 먼저 감기면서 봉투 입구(172)를 먼저 조인 후, 제1밴드(166a)가 감기면서 수평밴드(176)를 조임으로써 봉투(170)가 완벽하게 밀봉되고, 견고하게 체결 고정된다.
도 17에서 수평밴드(176) 하부에 위치한 수평밴드(173)는 도 12에 도시한 수평밴드(173)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봉투오픈부에 의해 열린 후 탄성 복원되어 봉투가 닫히도록 구성된 것인 반면에 봉투 입구(172)에 형성된 수평밴드(176)는 오므라든 후 복원되지 않는 수평밴드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봉투체결부(150)를 다른 형태로 구성한 것으로서, 봉투이송부(110) 및 봉투오픈부(13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동일하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봉투체결부(150)는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투오픈부(130)의 단부에 링 형태의 프레임(181)이 체결된다.
상기 링 형태의 프레임(181) 내부에는 프레임(181)과 소정 간격으로 링 형태이고 외면에 기어가 형성된 회전링(185)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81)과 회전링(185) 사이에는 지지기어(186)가 삽입되어 회전링(185) 외면에 형성된 기어와 치합된다.
상기 지지기어는 프레임(181)에 지지되어 회전링(185)이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기어(184)는 회전링(185)과 직접 치합되거나, 도 19와 같이 지지기어(186)와 연결되어 구동기어(184)의 구동에 의해 회전링(185)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81)에 지지된 연결대(182)가 회전링(185) 내부인 삽입구(187)까지 연장되고, 상기 회전링(185)의 단부에는 입벽 형태로 밴드고정구(183)가 형성된다.
밴드(188)가 회전링(185) 내부에 설치되되, 밴드(188)의 일 측단부는 도 19와 같이 회전링(185)에 체결고정되고, 밴드(188)의 타 측단부는 상기 밴드고정구(183)에 체결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해 회전링(185)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밴드(188)가 오므라든다.
이때, 회전링(185)에 체결된 밴드(188)의 일 측단부 지점은 회전링(185)이 회전할 때 밴드고정구(183) 지점을 통과하며 밴드(188)가 완전히 오므려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9 및 도 20과 같이 밴드(188)는 일 측단이 밴드고정구(183)에 체결 고정되고, 밴드(188)의 타 측단은 밴드고정구(183)의 반대측 회전링(185)에 체결되어 밴드(188)가 회전링(185) 내에서 반원형태로 형성되게 구성함으로써, 회전링(185)의 최소 회전으로도 밴드(188)가 완전히 오므라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봉투이송부(130)에 의해 봉투입구가 회전링(185)의 삽입구(187)에 삽입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밴드(188)가 오므라들면서 봉투 입구의 수평밴드(176)를 오므려 봉투가 밀폐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는 과일봉투 포장작업을 자동화하여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비용과 유지, 보수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과일봉투 체결작업이 빠르게 이루어지므로 작업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1 : 하우징 102 : 손잡이
110 : 봉투이송부 111 : 몸체
112 ; 슬롯 113 : 모터
114 : 스크류 115 : 가이드
116 : 블럭 117 : 토크힌지
118 : 리프터 119 : 덮개
120 : 스프링 121 : 가이드
122 : 이탈방지구 123 : 체결구
124 : 투스힌지 130 : 봉투오픈부
131 : 몸체 132 : 로드
133 : 로드고정구 134 : 스프링
135 : 제1 링크 136 ; 힌지
137 : 제2 링크 138 : 고정축
139 : 힌지 140 : 구동로드
141 : 투스 142 : 가이드홈
143 : 투스힌지 150 : 봉투오픈부
151 : 몸체 152 : 스크류
153 : 가압구 154 : 축
155 : 폴더 161 : 몸체
162 : 모터 163 : 프레임
163a : 상부프레임 163b : 하부프레임
163c : 관통구 164 : 삽입구
165 : 밴드홈 166 : 밴드
166a : 제1밴드 166b : 제2밴드
167 : 프레임 고정구 168 : 드럼
168a : 제1 드럼 168b : 제2 드럼
169 : 드럼고정구 170 : 봉투
171 : 날개부 172 : 입구
173 : 수평밴드 173a : 에지
173b : 와이어 174 : 수직밴드
175 : 저면 176 : 수평밴드
181 : 프레임 182 : 연결대
183 : 밴드고정구 184 : 구동기어
185 : 회전링 186 : 지지기어
187 : 삽입구 188 : 밴드

Claims (16)

  1. 몸체(111) 상부에 적층된 봉투(170) 중 최하단의 봉투(170)를 측방향으로 이송하는 봉투이송부(110);
    상기 봉투이송부(110) 일 측에 체결되어 봉투이송부(110)에 의해 이송된 봉투(170)의 입구(172)를 벌려 과일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봉투오픈부(130); 및
    상기 봉투오픈부(130)의 일 측에 체결되어 봉투오픈부(130)에 의해 벌어진 봉투 입구(172)를 닫아 밀폐하고, 봉투(170)를 과수의 과일에 체결 고정하는 봉투체결부(1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이송부(110)는,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고 상부면에 구멍 형태로 슬롯(112)이 형성된 몸체(111);
    상기 몸체(111) 내부에 설치되고 모터(113)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114);
    상기 스크류(114)에 체결되어 스크류(114)의 회전에 의해 스크류(114)를 따라 이동하는 블럭(116); 및
    상기 블럭(116)에 토크힌지(117)로 체결되고, 상부가 상기 슬롯(112)을 통해 몸체(111) 상부로 돌출된 리프터(118);로 구성됨으로써 모터(113)의 구동에 의해 블럭(116)이 이동하며 리프터(118)가 몸체(11) 상부에 적층된 최하부의 봉투(170)의 테두리에 걸려 봉투(170)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118)의 슬롯(112) 상부로 돌출된 후단은 경사지게 가공됨으로써 리프터(118)가 복귀할 때 몸체(111)에 눌려 슬롯(112) 하부로 삽입되어 상부에 적층된 봉투(170)의 테두리에 걸리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1) 상부에는 덮개(119)가 설치되고, 상기 덮개(119)의 하부에는 스프링(120)이 설치되어 스프링(120)이 적층된 봉투(170)를 가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119)의 후방은 하향 경사지도록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이송부(110)의 선단에는 단부 방향으로 폭과 높이가 점차 좁이지는 형태로 가이드(121)가 체결되고, 상기 가이드(121)의 상단에는 가이드(121)가 연장되어 절곡된 형태로 이탈방지구(122)가 형성됨으로써, 봉투이송부(110)의 봉투(170) 이송과정에서 봉투(170)의 날개부(171)가 하방으로 말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오픈부(130)는,
    몸체(131)의 양 측에 설치된 한 쌍의 투스(141)가 구동장치에 의해 수평밴드(173) 양측을 가압하여 봉투 입구(172)를 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몸체(131) 상부에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설치된 로드(132);
    상기 로드(132)의 단부에 힌지(136) 체결된 한 쌍의 제1링크(135); 및
    일 측 단부는 고정축(138)으로 몸체(131)에 고정되고, 타 측 단부에 형성된 구동로드(140)는 투스(141)에 장공 형태로 형성된 가이드홈(142)에 삽입되며, 가운데 부분은 상기 제1링크(135)의 타 측 단부와 힌지(139) 체결된 한 쌍의 제2링크(137);로 구성됨으로써,
    로드(132)의 구동에 의해 제2링크(137)가 고정축(138)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구동로드(140)가 투스(141)의 가이드홈(14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가이드(121)에 투스힌지(143)로 힌지 체결된 투스(141)가 회전하며 수평밴드(173) 양측을 가압하면서 봉투 입구(172)를 벌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이송부(110)의 블럭(116)이 로드(132)를 밀어서 로드(132)가 슬라이드 이동하며 봉투오픈부(130)가 구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체결부(150)는,
    봉투오픈부(130)의 선단에 체결된 몸체(151);
    상기 몸체(151)의 상부로 돌출되어 스크류(152)를 따라 승강하는 가압구(153); 및
    상기 몸체(151)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봉투(170) 입구(172)의 수직밴드(174)를 접어 봉투(170)를 밀봉하는 폴더(15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체결부(150)는,
    봉투오픈부(130)의 선단에 체결되고, 상부프레임(163a)과 하부프레임(163b)으로 구성된 프레임(163);
    상기 상부프레임(163a)과 하부프레임(163b)을 연통하는 구멍 형태의 관통구(163c);
    상기 하부프레임(163b)의 내부에 설치되어 모터(16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드럼(168); 및
    상부프레임(163a) 내면을 따라 위치하고, 일 측 단부는 상부프레임(163a)에 체결 고정되고, 타 측 단부는 드럼(168)에 체결 고정된 밴드(166);로 구성됨으로써,
    모터(162)의 구동으로 드럼(168)이 회전하며 밴드(166)를 감아서 밴드(166)가 상부프레임(163a)의 삽입구(164)에 삽입된 수평밴드(176)을 오므려 밀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163a)의 내면에는 홈 형태로 밴드홈(165)이 형성되고, 상기 밴드홈(165)에 밴드(166)가 안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163a)의 내면에는 제1밴드(166a) 및 제2밴드(166b)가 형성되고,
    상기 드럼(168)은 제1드럼(168a) 및 제2드럼(168b)로 형성되되, 상기 제2드럼(168b)의 직경은 제1드럼(168a)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1밴드(166a)의 단부는 제1드럼(168a)에 체결 고정되고, 제2밴드(166b)의 단부는 제2드럼(168b)에 체결 고정됨으로써, 드럼(168)이 회전할 때 제2밴드(166b)가 봉투 입구(172)를 먼저 오므리고, 제2밴드(166b)가 오므라진 후 소정의 시간차를 두고 제1밴드(166a)가 봉투(170) 입구(172)를 오므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봉투체결부(150)는,
    봉투오픈부(130)의 선단에 체결링 링 형태의 프레임(181);
    링 형태로 성형되어 내부에 삽입구(187)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181) 내부에서 회전하도록 설치된 회전링(185);
    프레임(181)에 지지되어 상기 회전링(185) 내부로 연장되어 단부가 삽입구(187) 내부로 삽입된 밴드고정구(183);
    일 측단이 회전링(185)에 체결되고, 타 측단이 상기 밴드고정구(183)에 체결된 밴드(188)로 구성됨으로써, 회전링(185)이 회전하여 밴드가 삽입구(187) 내부에 삽입된 봉투의 수평밴드(176)을 오므려 봉투 입구(172)를 밀폐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185)의 외면에는 기어가 형성되고, 회전링(185)과 프레임(181) 사이에서 프레임(181)에 지지되는 소정 개수의 지지기어(186)가 상기 회전링(185) 외면의 기어와 치합됨으로써, 회전링(185)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188)의 일 측단은 밴드고정구(183)에 체결되고, 밴드(188)의 타 측단은 밴드고정구(183)의 반대측 회전링(185) 내면에 체결됨으로써, 회전링(185) 내부에서 밴드(188)가 반원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KR1020160039501A 2015-04-14 2016-03-31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KR1018423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52202 2015-04-14
KR1020150052202 2015-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637A true KR20160122637A (ko) 2016-10-24
KR101842342B1 KR101842342B1 (ko) 2018-03-27

Family

ID=57256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9501A KR101842342B1 (ko) 2015-04-14 2016-03-31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23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38776A (zh) * 2019-12-13 2020-04-21 浙江思密达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垂直套袋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526Y1 (ko) 2002-02-22 2002-05-11 김인식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405B1 (ko) * 2008-06-04 2011-03-07 (주)에드모텍 과일봉지 자동 씌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526Y1 (ko) 2002-02-22 2002-05-11 김인식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38776A (zh) * 2019-12-13 2020-04-21 浙江思密达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垂直套袋机
CN111038776B (zh) * 2019-12-13 2024-04-16 浙江思密达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垂直套袋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2342B1 (ko) 2018-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7651B2 (en) Automatic bale wrapping apparatus
CN206265475U (zh) 一种简易开袋包装机
ITBO940072A1 (it) Dispositivo per il prelievo, l'apertura e il trasferimento a una linea di confezionamento di involucri ricavati da elementi in foglio
CN209305913U (zh) 一种发酵年糕包装用抽真空保鲜装置
CN209209098U (zh) 三边封抽真空在线粉末包装机
KR101842342B1 (ko)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BRPI0714611B1 (pt) Sistema para envolver material em um de um saco estirável e um saco contrátil
KR20110077534A (ko) 주름 포장지 꼬임장치
CN106794907A (zh) 用于生产沏泡产品的包装的设备
CN213057675U (zh) 蔬菜自动集束打捆装置
US2939257A (en) Mechanism for adding tape to tea bag
CN114516441B (zh) 一种用于苹果包网袋的机器
CN105563504A (zh) 食用菌菌包取环套环机械手
CN205652404U (zh) 一种方形糖用两头尖角折叠包装机
WO2007105970A9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rticle packing machines
CN204998849U (zh) 全自动小袋装食品包装机
PT1617992E (pt) Dispositivo, instalação e processo para produção de uma embalagem a partir de uma folha de um material flexível
KR20190011454A (ko) 과일봉투 자동 포장기 및 과일봉투
CN220147729U (zh) 一种装箱机
KR102342369B1 (ko) 부채꼴 결속용 소형 포장기
CN113493024B (zh) 一种钴粉生产过程中的分装装置以及钴粉制备装置
US1857662A (en) Tea bagging machine
CN210793813U (zh) 一种粉剂定量包装机
US3626817A (en) Container manufacture
CN209057692U (zh) 一种适用于食用菌培养基装袋的自动装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